KR102516968B1 -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 Google Patents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6968B1
KR102516968B1 KR1020150126000A KR20150126000A KR102516968B1 KR 102516968 B1 KR102516968 B1 KR 102516968B1 KR 1020150126000 A KR1020150126000 A KR 1020150126000A KR 20150126000 A KR20150126000 A KR 20150126000A KR 102516968 B1 KR102516968 B1 KR 10251696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ermented
extract
lactic acid
acid bacteria
mix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260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9103A (ko
Inventor
이상수
Original Assignee
이상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상수 filed Critical 이상수
Priority to KR10201501260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6968B1/ko
Publication of KR201700291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91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6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6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29/00Foods or foodstuffs containing additive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29/065Microorganis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digestive trac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4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immune system
    • A23Y2220/49
    • A23Y2220/67
    • A23Y2220/77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유산균으로 발효된 허브 발효물에 용매 추출하여 얻어지는 발효 허브 추출물의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 예방 및 개선 효과를 실험적으로 확임함으로써 이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 예방 및 개선기능성을 갖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Food composition comprising fermented herbs extract for preventing or improving of immunity, dyspepsia, diarrhea and constipation}
본 발명은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유산균(lactic acid bacteria)은 사람이나 동물의 장(腸)과 발효식품 등에서도 쉽게 발견되는 안전한 미생물로(Orrhge, K. et al., 2000, Bifidobacteria and lactobacilli in human health, Drugs Exptl. Clin. Res., 26, 95-111) 장내 상피세포에 부착하여 기생하게 되어 장내 균총의 성질을 개선시켜 장내 균총의 안정화, 유해세균의 정착 억제에 따른 부패산물 생성 감소 및 질병 예방, 면역 활성화 작용, 항암작용, 콜레스테롤 저하 등 인체에 많은 도움을 준다. 유산균이 여러 부패성 미생물 및 병원성 미생물에 대하여 생육억제 작용을 갖는 것은 몇 가지 대사적인 특성 때문인데 유산균은 대사산물로서 항균활성 인자인 organic acid, hydrogen peroxide, reuterin, diacetyl, acetaldehyde, bacteriocin 등을 생산하기 때문이다(Fuller, K., 1989, Probiotics in man and animals, J. Appl. Bacteriol., 66, 365-378). 유산균 배양여액에는 유산균의 발효과정 중 생성된 대사산물로서 감마 아미노뷰티르산(GABA), 아미노산, 펩타이드, 비타민 및 유기산, GABA 등 다양한 생리활성 물질이 함유되어있다(Hur, H.J. et al., In vitro immunopotentiating activities of cellular fractions of lactic acid bacteria isolated from kimchi and bifidobacteria, J. Microbiol. Biotechnol, 16, 661-666, 2006). 최근 건강지향(well-being)을 반영하여 숙주의 건강유지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살아있는 미생물 및 이들을 함유한 식품을 뜻하는 프로바이오틱스(probiotics)라는 개념이 도입되어 락토바실러스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으며 많은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이 프로바이오틱스라는 말은 본래 장내 세균총의 밸런스(Balance)를 개선함으로서 숙주동물에 유익하게 작용하는 미생물 첨가물로 정의되어 왔으나 현재는 앞에서 지적한 바와 같이 넓은 의미로 사용하는 경우가 많다(Fuller R., J. Appl. Bacteriol., 66, pp365-378, 1989).
면역이란 라틴어의 immunitas 라는 어원에서 유래된 말로 외부인자인 항원에 인체가 방어하는 현상을 말한다. 면역에는 태어날 때부터 가지고 있는 선천 면역과 각종 병원체에서 만들어진 백신 등에 의하여 얻어지는 후천성 면역으로 나눌 수 있는데 후천성 면역은 선천 면역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Ham, S. J. et al., studies on immune stimulation effects of natural amino acid polymer poly-r-glutamic acid, kookmin university, 2012). 면역증강제는 유기 합성이나 추출로 생성한 물질이 주로 이용되지만 독성물질이 잔존할 수 있는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천연물을 이용하여 추출한 물질을 사용한 경우 천연물이 자연에 존재하는 여러 생물로부터 사람에게 도움이 되는 다양한 물질을 분리하여 얻기 때문에 안정성을 가진다(홍선화, studies on the development of natural immunostimulants originated from herbal extracts, 2010). 유산균의 면역 증강 효과에 대한 메커니즘에 대해서 명확하게 밝혀지지는 않았으나 유산균이 장내에서 서식함으로 장관 면역계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eyer's patch의 림프구들의 항균 활성을 증가시키는 것은 요구르트를 통한 유산균 섭취일 때이고, 실험 동물 및 사람을 대상으로 실행된 일부 연구들에 따르면 유산균은 IgA의 반응을 강화시킨다고 알려져 있다.
소화불량(functional dyspepsia)은 조직 병리적 및 생화학적인 기질적 병변이 아닌 기능적 증상으로 상복부에 지속적인 불쾌감 또는 통증 등의 증상을 나타내는 질환으로서 의학적으로는 지속 및 반복적으로 상복부에 국한에서 불쾌감이나 통증 등에 따르는 제반증상을 의미한다. 구체적으로 소화불량 중 하나인, 비궤양성 소화불량은 식후 포함감, 식욕부진, 복부 팽만감, 조기 포만감, 트림, 상복부 불쾌감 또는 통증, 속쓰림, 오심(메스꺼움), 구토, 위산 역류, 가슴앓이(heartburn) 등의 소화기계 증상을 모두 포함하며 아직 병태생리가 확실히 밝혀져 있지 않다. 소화불량은 뚜렷한 기질적 병변이 없이 여러 가지 다양한 소화불량 증상에 의한 진단이기 때문에 치료 또한 단순하지 않고, 대부분의 증상이 호전과 악화를 반복하며 음식, 스트레스 등에 의해 변화가 심하다. 대표적 기능성 소화불량 치료제로는 위장관 운동 촉진제로서, 돔페리돈 (Domperidone), 메토클로프라마이드(metoclopramide), 레보설프라이드(levosulpiride), 모사프라이드(mosapride), 이토프라이드(itopride) 등의 약물이 있다(Vincenzo Stanghellini et al., Delayed Gastric Emptying in Functional Dyspepsia, Current Treatment Options in Gastroenterology, 7, 259-264, 2004).
과민성 대장 증후군(irritable bowel syndrome: IBS)은 삶의 질에 관한 현저한 효과를 갖는 공통적인 대장 기능성 장애이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은 복부 불편(abdominal discomfort) 또는 통증(pain)이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에 관한 Rome Ⅱ 진단 기준(증상에 기초한 기능성 위장관 장애를 진단하기 위한 체계)은 하기와 같다: 하기 특징 중 2 이상을 동반하는 복부 불편 또는 통증이 이전 12개월 중에, 연속적일 필요없는, 12주 이상: (1) 그것이 배변으로 경감되거나, 및/또는 (2) 개시가 배변 빈도의 변화에 연관되어 있고, 및/또는 (3) 개시가 대변 형태(외관)의 변화와 연관되어 있음.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진단을 지지하는 다른 증상은 통증: 비정상적인 대변 통과 (힘주기(straining), 절박성(urgency), 또는 불완전한 배출감); 점액의 통과; 및 더부룩함(bloating) 또는 복부 팽창감을 포함한다. 환자는 그의 잠재적인 배변 습관(bowel habit)에 의해 세분화될 수 있다: (i) 설사 우세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ii)변비-우세형 과민성 대장 증후군, 및 (iii) 설사와 교대로 발생하는 변비(교대성 과민성 대장 증후군).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병태생리학은 영국 인구의 약 1/4이 상기 증상을 보일 수 있고, 미국 성인의 약 15 %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진단에 일치하는 증상을 가진 것으로 보고되고 있다는 사실에도 불구하고 잘 이해되고 있지 않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갖는 사람의 25%만이 의료적 지원을 구하고 있는 것으로 추정된다. 또한, 과민성 대장 증후군으로 진단된 환자는 섬유근육통(fibromyalgia) 및 간질성 방광염(interstitial cystitis)과 같은 다른, 비-위장관 기능성 장애의 증가된 위험 속에 놓이게 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미국의 위장병학자에 의해 이루어지는 가장 흔한 진단이고, 일차 의료 제공자에 대한 방문자의 12%에게 설명되고 있다. 직접적인 의료 비용으로 약 80억 달러 및 간접적인 비용으로 250억 달러가 매년 미국에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진단하고 치료하는데 소비된다. 따라서, 과민성 대장 증후군은 미국에서 매년 건강관리 비용의 큰 비율을 차지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의 일차 치료는 상담 및 식습관 교정을 포함한다. 약물 치료는 개별적인 증상에 지향되는 유익한 것으로 간주된다. 설사 우세형의 경우, 설사는 치료하지만, 복부 통증은 치료하지 않는, 로페라미드와 같은 항설사 약물이 사용될 수 있다. 복부 통증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정의하는 특징 중 하나이기 때문에, 항설사성 약물은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적절하게 치료하는 것이 아니다(Jailwala 등, 2000, Ann Intern Med. 2000;133:136-147; Cremonini 등, 2004, Minerva Med 95:427-441) 변비 우세형의 경우, 이스파굴라(ispaghula)가 식이 섬유를 증가시키기 위해 종종 사용된다. 환자가 우세한 증상으로서 통증 및 팽창을 갖는 경우에는, 항진경제(antispasmolytics)가 공통적으로 사용된다. 메베베린(mebeverine) 및 페페르민트 오일이 상기 경우에 종종 사용된다. 과민성 대장 증후군을 치료하기 위해 시도되었던 다른 제제들은 다양한 결과를 갖는 베타-차단제, 날록손(naloxone), 온단세트론(ondansetron), 칼슘 채널 차단제, 시메티콘(simethicone), 레우프로레린(leuprorelin), 옥트레오티드(octreotide) 및 콜레시스토키닌(cholecystokinin) 길항제를 포함한다(Martindale, The Extra Pharmacopoeia, 31st Edition(1996)p.1197).
한편, 허브는 초록색 풀을 의미하는 라틴어인 herba에서 유래되어 꽃과 종자, 줄기, 잎, 뿌리 등이 인간에게 유용하게 사용되는 초본식물로, 예로부터 진통·진정 등의 치료나 방부 및 살충을 위한 약초로서 중요한 역할을 해왔다. 허브에는 인체에 대한 화학물질의 독성, 환경오염에 대한 우려 및 그 뛰어난 효능으로 인하여 많은 주목을 받고 있으며 그 종류로는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질, 페퍼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스테비아 등이 있다.
로즈마리(Rosemarinus officinalis L.)는 지중해 연안이 원산인 상록관목으로 소나무 잎처럼 뾰족한 잎에 장뇌와 비슷한 산뜻하고 강한 향을 지닌 허브로서 주로 향수, 약으로 사용되어 왔으며, 역한 냄새를 제거하는 소취제의 역할, 상큼한 향을 내는 부향제의 역할, 살균작용과 항균작용 및 항산화 효과 등과 식품의 보존성을 높이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Elena I. et al., Supercritical fluid extraction and fractionation of different preprocessed rosemary plants. J Agric Food Chem, 47, P1400-1404, 1999). 강력한 항산화 효과, 골다공증 예방효과, 항암효과, antiAIDS 효과뿐만 아니라 그람 양성균에 대한 항균 활성을 가지며 혈중 알콜농도를 감소시키는 효과 등의 여러 기능성이 보고되었다(Kim J.S. et al., Effect on the Quality characteristics of Korean traditional wines with the addition of rosemary (Rosmarinus officinalis L.), Korean J. Food Cookery Sci., 22, P914-922, 2006).
라벤더(Lavandula angustifolia)는 원산지가 지중해인 쌍떡잎식물 꿀풀과의 한 종류로 라벤더 물 추출물은 mushroom tyrosinase에 대한 저해 활성을 가지고, 에탄올 추출물은 피지 생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다고 보고되어 있다. 라벤더의 주요 성분으로는 linalool, linalyl acetate, ladanein, apigenin, apigenin-7-O-β-glucoside, luteolin, luteolin-7-O-β-glucoside, 5,4'-dihydroxy flavonoid-7-O-β-pyranglycuronate buthyl ester가 함유되어 있다고 알려져 있다(Park S. J. et al., Inhibitory effects of the ethanol extract of Lavandula vera on sebum synthesis, J. Traditional Korean Medicine, 15, P77, 2006). 이 중 rosmarinic acid, hydroxycinnamic acid, 1,8-cineole 등은 L. angustifolia의 항산화 효과에 기여한다고 보고되어 있다(CHU C. J. et al., Lavender(Lavandula spp.), Longwood Herbal Task Force, 1, 2001).
세이지(sage, Salvia officinalis L.)는 샐비어, common sage, garden sage라고도 불리며 항박테리아, 진균억제, 바이러스 억제, 수렴제, 분비물 용해제, 발한 억제 효과를 가지고 있다고 하며 동물실험에 항고혈압과 이담작용이 관찰되었다. 약용으로는 잎을 삶아서 인후염 및 위장염에 사용하며 방부, 항균, 항염 등 살균 소독작용이 있고 염증의 소염제로도 이용한다. 또한 중풍이나 심한 운동 뒤의 피로도를 감소시켜준다(Han M. J. et al., One Hundred of Herbs Used for Healing. 1st ed. Hyoil Press, Seoul. Korea, P52-53, 2004).
바질(Ocimum basilicum L.)은 아프리카, 열대 아시아 지역이 원산지로 현재는 유럽을 비롯한 전세계에서 재배되는 1년생 초본으로 0.5m 크기로 자라는 식물로 건위, 진정, 진경, 구풍 등의 약리작용과 불면증, 구내염 등에도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Ahn D. J. et al., Comparison of volatile components in organs of organs of Ocimum basilicum L. cultivated in Korea, Korean J. Medicinal Crop. Sci. 9, 130-138, 2001), 바질의 추출물은 저혈당 효과를 가지므로 식이성 치료제 개발 가능성이 있으며, 콜레스테롤 함량을 줄일 수 있다고 보고된 바 있다(Choi E. Y. et al., Optimization of homemade pasta with addition of basil using response surface methodology, Korean J. food Culture, 20, 61-67, 2005).
페퍼민트(Mentha piperita L.)는 국화과에 속하며 향기가 강한 다년생 허브로 전 세계적으로 널리 재배되고 있으며 식품 및 화장품 첨가제, 약품의 원료로 사용되고 있으며(McKay, Diane L. et al., A Review of the Bioactivity and Potential Health Benefits of Peppermint Tea (MenthapiperitaL), Phytother Res., 20, 619-633, 2006) 항산화, 항염, 항알러지, 항바이러스, 항균 등의 효과가 보고 되었다(Mimica-Dukic, N. et al.,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activities of three Mentha species essential oils, Planta Med., 69, 413-419, 2003).
캐모마일(Matricaria chamomilla L.)은 유럽과 인도, 북아프리카가에 널리 자생하며 국화과에 속하며 염증성 질환, 발열, 설사, 소장과 간의 종양을 치료하기 위한 약용 차로 많이 이용되어 왔다(Mann C. et al., Spices and Medical Plants. Recent advances in botany, horticulture and pharmacology, Food Products Press, USA, 1, 235-280, 1986). 꽃에는 terpenes, flavonoides, coumarin, malicacid 및 무기질 성분 등 120여종의 화합물들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보고되었으며 특히 α-bisabolol은 통풍을 감소하고 의궤양의 진행을 억제시킬 뿐 아니라 피부염 치료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Cillegas L. F. et al., (+)-epi-α-bisabolol is the wound healing principle of peperomia galioides: investigation of the in vivo wound-healing activity of related terpenoids, J. Nat. Prod., 46, 1357-1358, 2001).
오레가노(Origanum majorana L.)는 소엽과의 다년초로서 원산지는 유럽이다. 이탈리아, 멕시코요리에 잘 이용되며 와일드(야생) 마조람이라는 별명대로 야생적인 향기가 있다. 라틴계의 요리나 토마토와 잘 어울린다. 소화촉진, 강장효과가 있으며 차나 입욕제, 건조한 꽃으로 이용한다.
레몬밤(lemon balm, Melissa officinalis L.)은 주로 잎을 식용으로 사용하며 우울증, 신경성 두통, 기억력 저하, 신경통, 발열 등에 효능이 있으며 뇌의 활동을 높여 기억력을 증진시키며 우울증과 노화를 예방하는데도 좋다고 알려져 있다. 레몬밤은 레몬과 유사한 향이 있는데 이 향은 감정을 편안하게 진정시켜주며 심장 박동수를 낮추어 혈압을 강하시키는 작용을 한다(Korea Food and Drug Administration. Food sources, Apr, 5, 2006)
스테비아(Stevia rebaudiana Bertoni)는 스테비아속의 숙근성 다년생 초본으로 쌍떡잎식물강 초롱꽃목 국화과이다. 줄기의 길이는 70∼80 cm 정도이고 잎은 길이가 4∼10 cm, 너비가 2.5 cm이고 1899년에 처음 연구되어 100개 이상의 terpenes과 flavonoids 등이 phytochemicals로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Komisseranko NF. et al, Diterpene glycoside and phenylpropanoid of Stevia rebaudiana bertoni (astercae), 1, 53-64, 1994). 스테비아의 주요성분으로는 diterpenoid glycosides의 steviolbioside, rebaudioside A~E, stevioside 등의 성분이 함유되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으며, 그 밖에 jhanol, sterebin A-N, 6-O-acetyl-austroinulin 등의 diterpenes 성분이 알려져 있다. 그 중에서 stevioside는 생쥐에 대한 당뇨조절 효과 등이 보고되고 있으며(Lailerd N. et al., Effects of stevioside on glucose transport activity in insulin-sensitive and insulin-resistant rat skeletal muscle, Metabolism, 53, 101-107, 2004), diterpene 화합물들은 항산화, 항박테리아, 항바이러스 등에 효과가 확인되고 있다(Wang B.S.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abietane-type diterpenes from heartwood of Taiwania cryptomerioides Hayata, Holzforschung, 56, 487-492, 2002).
본 발명의 선행기술로는 신규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한 대장균성 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이 국내 등록특허 제10-1378673호에 공지되어 있으나 이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LP GS 변이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대장균성 설사병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 함초, 민들레, 생강나무 등 125가지의 원재료를 생물의 물성에 따라 CO2(또는 N2) Carrier Gas를 이용하여 추출농축, 설탕 절임 후 추출 및 Microwave와 Filter를 이용하여 추출한 추출물들을 혼합숙성하여 제조한 조성물과 그 제조방법이 국내 등록특허 제 10-1501326호에 공지되어있다. 그러나 상기문헌 어디에도 상기 허브에 유산균을 사용하여 발효시킨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 대하여는 공지된 바 없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식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은 허브를 건조분말화한 다음 고온살균처리하여 발효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원료에 유산균을 접종하고 온도 35~37℃, pH7, 교반속도 100~120rpm의 발효조건에서 3~5일간 발효시켜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발효액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액을 추출용매로 열수추출하여 발효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시켜 본 발명 발효허브추출물을 제조하는 단계로 이루어지고, 상기 본 발명 발효허브추출물의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효과를 확인하고 식품 조성물 제형을 제조하는 단계를 통하여 달성하였다.
본 발명은 식물성 유산균으로 발효시킨 혼합 허브 추출물의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에 대한 예방 및 개선 기능성을 확인함으로써 이를 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에 대한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 제조방법을 도식화한 그림이다.
본 발명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의 제조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도1).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에 적합한 허브는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및 스테비아로 이루어지는 그룹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조합일 수 있거나 또는 상기 허브들을 동량비의 중량으로 혼합한 것이다.
제1단계:원료 준비
허브를 건조분말화 한 허브분말과 동량의 증류수를 발효조에 넣고 100℃에서 5분간 살균처리한 후 37℃까지 온도를 낮추어 발효원료를 준비한다.
제2단계: 식물성 유산균 발효
유산균 배양배지에서 액상배양한 식물성 유산균을 상기 제1단계의 발효원료에 접종하고 온도 35~37℃, pH 7, 교반속도 100~120rpm의 발효조건에서 3~5일간 발효시킨다.
제3단계: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 제조
제2단계에서 얻은 유산균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침전물과 균체를 제거하고 발효액을 회수한다. 상기 얻은 발효액에 추출용매로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이를 냉각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서 온도 80℃로 6시간 가열하여 증류되어 나오는 증류액을 회수하고 이와 별도로 상기 단계에서 남은 발효액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발효추출물을 얻는다. 상기에서 얻은 발효추출물은 300메쉬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50mm 여과지로 2차 여과시켜 본 발명 발효 허브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제 1단계의 허브는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및 스테비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으며 가장 바람직하게는 4종류 이상의 허브를 동량(w/w)으로 혼합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제 2단계의 식물성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속이면 제한없이 사용할 수 있으나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FCC-11028),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 sakei, KFCC 11383P), 락토바실러스 랙티스(L. lactice, KCCM 11159P)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식물성 유산균'이란 유산균이 분리된 원재료가 식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산균이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의 유산균 배양배지는 MRS(Man Rogosa Sharpe), 락토오스, YM(Yeast and Mold), M17 또는 ART(Asparagine Enrichment Broth)배지를 사용할 수 있으나 MRS배지를 사용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제 2단계의 유산균주의 접종량은 제 1단계의 허브식물 1kg 대비 1×108~5×108cell을 접종한다.
상기 제 3 단계의 추출용매는 증류수 및/또는 유기용매를 사용할 수 있으나 가장 바람직하기로는 증류수를 사용하는 것이다. 상기 유기용매는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금알코올, 프로필렌글리콜, 초산에틸, 부틸렌글리콜, 글리세린, 에틸아세티이트, 헥산, 메틸렌클로라이드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제 3단계의 발효액과 추출용매의 혼합비는 중량기준으로 50:50 ~ 25:75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본 발명에 따라 제조된 발효 허브 추출물은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에 대한 예방 및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로 이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효 허브 추출물을 첨가할 수 있는 식품 조성물로는 예를 들어, 각종 음료, 껌, 차, 비타민 복합제 등이 있다. 추가로, 본 발명에서 식품에는 특수영양식품(예, 조제유류, 영,유아식 등), 식육가공품, 어육제품, 두부류, 묵류, 면류(예, 라면류, 국수류 등), 건강보조식품, 조미식품(예, 간장, 된장, 고추장, 혼합장 등), 소스류, 과자류(예, 스넥류), 유가공품(예, 발효유, 치즈 등), 기타 가공식품, 김치, 절임식품(각종 김치류, 장아찌 등), 음료(예, 과실,채소류 음료, 두유류, 발효음료류 등), 천연조미료(예, 라면 스프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상기 식품, 음료 또는 식품첨가제는 통상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이란 식품에 물리적, 생화학적, 생물공학적 수법 등을 이용하여 해당 식품의 기능을 특정 목적에 작용, 발현하도록 부가가치를 부여한 식품군이나 식품 조성이 갖는 생체방어리듬조절, 질병방지와 회복 등에 관한 체조절기능을 생체에 대하여 충분히 발현하도록 설계하여 가공한 식품을 의미한다. 상기 기능성 식품 조성물에는 식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식품 보조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으며, 기능성 식품의 제조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적절한 담체, 보조제, 응고제, 희석제 또는 생리활성 성분을 포함시킬 수 있고 분말제, 정제, 캡슐, 겔제 등을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와 도면에 의거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기 위한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한정하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본 발명 발효 허브 추출물의 허브는 청주 근교의 상수허브랜드 농장에서 채취한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페퍼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스테비아를 각각 건조하고 분쇄하여 건조분말로 사용하였다. 또한 유산균은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FCC-11028)을 한국미생물보존센터에서 분양받아 사용하였으며 유산균 배양배지는 MRS배지(DifcoTM MRS)를 BD에서 구매하였다.
<실시예 1> 발효 허브 추출물 제조
허브로서 로즈마리분말 900 g과 동량의 증류수 900 g을 발효조에 넣고 100℃에서 5분간 살균처리한 후 37℃가 되도록 방치하였다. 그 다음 이와 별도로 MRS 배지에서 액상배양한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 plantarum, KFCC-11028) 200mL(1 X 108cell)을 상기 발효조에 넣고 온도 37℃, pH 7, 교반속도 100 rpm의 발효조건으로 3일간 발효시켰다. 상기단계에서 얻은 발효물을 원심분리한 후 침전물과 균체를 제거하여 발효액 1.2 L를 얻었다. 상기단계에서 얻은 발효액에 증류수 900 g을 첨가하고 이를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 넣고 온도 80℃로 6시간 가열한 후 증류되어 나오는 증류액을 회수하여 증류액 약 2 L를 얻었다. 상기에서 얻은 발효추출물은 300메쉬 여과지로 1차 여과하고 1주일간 실온에서 방치한 후 150mm 여과지로 2차 여과시켜 본 발명 발효 로즈마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상기 방법과 동일한 방법으로, 발효 라벤더 추출물, 발효 세이지 추출물, 발효 바실 추출물, 발효 민트 추출물, 발효 캐모마일 추출물, 발효 오레가노 추출물, 발효 레몬밤 추출물, 발효 스테비아 추출물을 각각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제조
상기 실시예 1과 달리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은 하기와 같이 제조하였다. 로즈마리분말 100 g, 라벤더분말 100 g, 세이지분말 100 g, 바실분말 100 g, 페퍼민트분말 100 g, 캐모마일분말 100 g, 오레가노분말 100 g, 레몬밤분말 100 g 및 스테비아분말 100 g을 혼합한 허브 혼합분말 900 g을 사용하여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800 L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인 제조방법은 상기 실시예 1 같다.
<비교예1> 혼합 허브 추출물의 제조
로즈마리분말 100 g, 라벤더분말 100 g, 세이지분말 100 g, 바실분말 100 g, 페퍼민트분말 100 g, 캐모마일분말 100 g, 오레가노분말 100 g, 레몬밤분말 100 g 및 스테비아분말 100 g을 혼합한 허브 혼합분말 900 g과 동량의 증류수 900 g을 냉각 콘덴서가 달린 추출기에 넣고 온도 80℃로 6시간 가열한 후 증류되어 나오는 증류액을 회수하여 허브 추출물을 얻었다.
< 제조예 1>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 제조
(1) 가루 및 과립형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및 비교예 1의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하기 [표 1]의 함량 비율로 가루형태와 과립형태로 각각 제조하였다.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의 식품 조성물 배합비
원료
함량(중량%)
가루형 과립형 가루형 과립형
대두 10 ~ 20 10 ~ 20 10 ~ 20 10 ~ 20
미강 5 ~ 10 5 ~ 10 5 ~ 10 5 ~ 10
현미 40 ~ 70 40 ~ 70 40 ~ 70 40 ~ 70
올리고당 5 ~ 10 5 ~ 10 5 ~ 10 5 ~ 10
혼합 허브 추출물 - - 3 ~ 5 3 ~ 5
혼합 허브 발효 추출물 3 ~ 5 3 ~ 5 - -
혼합 허브 분말 7 ~ 15 7 ~ 15 7 ~ 15 7 ~ 15
합계 100 100 100 100
[주] 혼합 허브 분말 : 로즈마리, 라벤더, 민트, 캐모마일, 세이지, 바실, 타임, 펜넬, 레몬밤을 1:1:1:1:1:1:1:1:1(중량%)로 혼합하여 분쇄한 분말
(2) 음료 제조
상기 실시예 2에서 제조한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및 비교예 1에서 제조한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하기 [표 2]의 배합비로 꿀, 식초, 올리고당, 비타민C, 구연산, 물과 혼합하여 음료를 각각 제조하였다.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배합비
원료 함량(%, v/v)
꿀(mL) 3 ~ 5 3 ~ 5
식초(mL) 3 ~ 5 3 ~ 5
올리고당(mL) 10.95 ~ 14.8 10.95 ~ 14.8
비타민C(mL) 0.04 ~ 0.1 0.04 ~ 0.1
구연산(mL) 0.01 ~ 0.1 0.01 ~ 0.1
물(mL) 70 ~ 80 70 ~ 80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mL) - 3 ~ 5
혼합 허브 추출물 3 ~ 5 -
< 실험예 1>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의 면역증강 효과 평가
(1) 실험동물의 사육조건 및 장기무게와 체중 측정
생후 6주령의 암컷 Balb/c 마우스를 분양 받아 난괴법으로 군을 나누어 케이지에 한 마리씩 사육하고 5주 간 사육하였다. 사육실의 실내 온도는 22±2℃, 습도는 50±5%, 전등은 낮 12시간, 밤 12시간으로 조절하였다. 식이는 일반 식이와 혼합 허브 추출물 첨가 식이 및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 총 3군으로 나누어 각 군 당 8마리씩 배정하였으며 식이는 하루에 한번씩 5주 간 급여하였다. 장기 무게는 5주 간 급여가 끝난 후 측정하였고 체중은 일주일에 한번씩 일정한 시간에 측정하였다. 실험동물의 장기는 적출하여 생리식염수에 세척한 후 흡수지로 물기를 제거하고 무게를 측정하였다.
실험결과, [표 3]에서 보는 바와 같이 일반 식이 대조군이 혼합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군 및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군에 비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났다.
실험동물의 사육조건 및 장기무게와 체중 측정
일반 식이 혼합 허브 추출물 첨가 식이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
무게(g) 3.6 ± 0.3b 2.8 ±0.3a 2.5 ± 0.1a
식이 섭취량(g/day) 4.2 ± 0.1a 4.2 ±0.0a 4.2 ± 0.1a
FER 2.4 ± 0.1b 1.9 ±0.2a 1.7 ± 0.1a
[주] Values are mean ±SE for 8 animals in each group.
1) FER , food efficiency ration = weight gain(g/day)/food in take(g/day) × 100
또,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심장, 간, 신장, 비장 조직의 무게는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동물의 간, 심장, 신장, 비장 무게의 측정
일반 식이 혼합 허브 추출물 첨가 식이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
간(g/100 g B.W) 5.4 ± 0.0 5.5 ± 0.0 5.4 ± 0.0
심장(g/100 g B.W) 0.6 ± 0.0 0.6 ± 0.0 0.6 ± 0.0
신장(g/100 g B.W) 1.4 ± 0.0 1.4 ± 0.0 1.5 ± 0.0
비장(g/100 g B.W) 0.5 ± 0.0 0.5 ± 0.0 0.4 ± 0.0
[주] Values are mean ±SE for 8 animals in each group.
(2) 비장세포 증식능 측정
상기 5주 간 사육을 한 마우스에 이산화탄소로 희생시킨 마우스로부터 무균적으로 비장을 적출하여 RPMI 1640으로 씻은 후 멸균 유리봉으로 상기 비장을 분쇄하여 세포를 유리시켰다. 분리된 세포 현탁액을 150 mesh stainless steel sieve에 통과시켜 상기 배지로 2번 세척하고 원심분리하였다(3000 rpm, 4℃, 10분). 원심분리한 비장의 적혈구를 제거하기 위해 Tris-buffered ammonium chloride(0.87% NH4Cl, pH 7.2)에 5분간 현탁시켰다. 상기 적혈구가 제거 된 비장세포 현탁액에 분산시켜 세포수를 측정하였다. 세포는 5×106 cell/mL로 분산시킨 후 96 well plate에 분주하여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고, cytokine 분비량을 측정하기 위해 2×106 cell/mL가 되도록 조정한 후 24 well에 분주하고 각 군 당 양의 대조군으로 LPS (15 g/mL)를 100 L씩 분주하고 대조군에는 10% FBS-RPMI를 동량 분주한 후 각 plate는 37℃, 5% CO2 배양기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양액을 이용하여 실험하였다.
MTT assay를 이용하여 비장세포 증식능을 측정하였다. T세포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ConA와 B세포를 선택적으로 증가시키는 LPS(lipopolysaccharide)를 mitogen으로 첨가하였고, mitogen을 첨가하지 않은 정상대조군의 비장 증식능을 1로 계산한 proliferation index를 나타내었다.
실험결과,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mitogen을 첨가하지 않을 시 모든 그룹에서 유의적인 차이가 없었고, ConA와 LPS 첨가한 경우,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군에서 일반식이 대조군에 비해 증식능이 유의적으로 높게 나타난 반면, 혼합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군에서는 일반식이 대조군과 유의적인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실험동물의 비장세포 증식능
일반 식이 혼합 허브 추출물 첨가 식이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함유 식이
with out mitogen 1.1 ± 0.0 1.0 ± 0.0 1.1 ± 0.0
ConA (5mg/mL) 2.4 ± 0.0 2.6 ± 0.0 3.1 ± 0.0
LPS (15mg/mL) 2.5 ± 0.0 2.5 ± 0.0 3.5 ± 0.1
[주] Values are mean ±SE for 8 animals in each group.
< 실험예 2>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식품의 소화불량 개선 효과 평가
소화불량으로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20 ~ 40대 20명을 대상으로 소화불량 개선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단은 상기 제조예에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일주일간 1일 2회 복용하고 하기 문항에 답하였다.
실험결과,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은 50% 이상의 사람이 소화불량이 개선되었으며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 가운데 80% 이상의 사람이 소화불량이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식품의 소화불량 개선 효과
매우 좋아짐 약간 좋아짐 변화없음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10 6 4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5 7 8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15 3 2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8 7 5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11 3 6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2 8 10
< 실험예 3>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의 설사 개선 효과 평가
설사로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20 ~ 40대 20명을 대상으로 설사 개선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단은 상기 제조예에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일주일간 1일 2회 복용하고 하기 문항에 답하였다.
실험결과, [표 7]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은 60% 이상의 사람이 설사가 개선되었으며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 가운데 90% 이상의 사람이 설사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식품의 설사 개선 효과
매우 좋아짐 약간 좋아짐 변화없음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14 4 2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8 5 7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6 5 1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10 4 6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10 8 2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11 1 8
< 실험예 4>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의 변비 개선 효과 평가
변비로 생활에 불편함을 겪는 20 ~ 40대 20명을 대상으로 변비 개선 효과 검사를 실시하였다. 실험단은 상기 제조예에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일주일간 1일 2회 복용하고 하기 문항에 답하였다.
실험결과, [표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은 45% 이상의 사람이 변비가 개선되었으며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식품 조성물을 섭취한 사람들 가운데 70% 이상의 사람이 변비가 개선된 것으로 나타났다.
본 발명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 식품의 변비 개선 효과
매우 좋아짐 약간 좋아짐 변화없음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11 6 3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가루 식품 조성물 6 5 9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12 3 5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과립 식품 조성물 6 9 5
혼합 발효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10 5 5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음료 식품 조성물 3 6 11
본 발명은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식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효과가 있으며 특히 분말, 과립, 액상, 음료 등 제형으로 식품용 신소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다. 또 발효 허브 추출물에 함유되어 있는 유용한 성분이 함유된 식품 조성물을 제공함으로써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변비 예방 및 개선 기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뛰어난 효과가 있으므로 식품 산업적으로 매우 유용한 발명인 것이다.

Claims (5)

  1. 로즈마리, 라벤더, 세이지, 바실, 민트, 캐모마일, 오레가노, 레몬밤, 스테비아를 각각 동량비(w/w)의 중량으로 배합한 혼합 허브를 건조분말화한 다음 동량의 증류수를 넣어 100℃ 에서 5분간 고온살균처리하여 37℃까지 냉각 발효원료를 준비하는 단계와; 상기 단계에서 얻은 발효원료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plantarum, KFCC-11028), 락토바실러스 사케이(L. sakei, KFCC 11383P), 락토바실러스 렉티스(L. lactice, KCCM 11159P)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의 식물성유산균을 접종하고 35 ∼ 37℃ 에서 pH 7, 100 ∼ 120rpm 의 조건으로 3 ∼ 5일간 발효하여 식물성 유산균 발효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유산균 발효단계에서 얻은 유산균 발효물을 원심분리하여 얻은 발효액에 동량의 증류수를 첨가하고 추출기에서 가열 증류하여 증류 추출액을 회수하는 단계와; 이와 별개로 상기 증류추출 회수단계에서 남은 발효액을 추출용매로 추출하여 발효 추출물을 얻는 단계와; 상기 용매 추출단계에서 얻은 발효 추출물을 여과지로 여과시키는 단계를 모두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의 제조방법.
  2. 삭제
  3. 삭제
  4. 제 1항의 방법으로 제조된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용 혼합 식물성 유산균 발효 혼합허브 추출물.
  5. 삭제
KR1020150126000A 2015-09-07 2015-09-07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KR102516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00A KR102516968B1 (ko) 2015-09-07 2015-09-07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26000A KR102516968B1 (ko) 2015-09-07 2015-09-07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03A KR20170029103A (ko) 2017-03-15
KR102516968B1 true KR102516968B1 (ko) 2023-03-31

Family

ID=5840326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26000A KR102516968B1 (ko) 2015-09-07 2015-09-07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6968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5366B1 (ko) * 2019-11-14 2022-01-25 재단법인 전남바이오산업진흥원 스테이크용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85367B1 (ko) * 2021-12-27 2023-01-10 (주)제이에스씨컴퍼니 낙지 또는 오징어용 소스 및 이의 제조방법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2762A (ko) * 2007-07-31 2009-02-04 정찬수 허브 발효차 및 그 제조방법
KR20110118911A (ko) * 2010-04-26 2011-11-02 (주)웰조이 한약재를 이용한 유산균 곡물 발효 추출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472190B1 (ko) * 2012-12-24 2014-12-12 주식회사 풀무원 식물성 유산균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 피엠오08 사균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변비 예방, 치료 또는 개선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9103A (ko) 2017-03-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13064B (zh) 乳仔猪用植物提取物饲料添加剂
KR101252639B1 (ko) 쌍화탕 또는 이의 유산균 발효물을 포함하는 골다공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9125525B (zh) 防治心血管疾病的组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KR101930277B1 (ko) 숙취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101614574B1 (ko) 탱자 발효물에 의한 비만개선효과물질의 조성
CN105685620A (zh) 一种辣木口服液及其制备方法
KR102516968B1 (ko) 유산균 발효 혼합 허브 추출물을 함유하는 면역활성, 소화불량, 설사 및 변비 예방 또는 개선 기능성 식품 조성물
JP5943406B2 (ja) ビフィズス菌または乳酸菌の生存維持用組成物
KR102305931B1 (ko) 혈액순환 개선 및 면역력 증진 효능을 가지는 천연 추출물을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KR102139732B1 (ko) 유산균을 함유하는 면역 기능 개선용 조성물
KR20160049732A (ko) 여주 발효 추출물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기능성 식품 소스 및 기능성 발효 음료
Mahmoudi et al. An introductory review on increasing the survival of probiotic bacteria in dairy products using essential oil
KR102168192B1 (ko) 발효 생약초, 과실류 및 표고를 이용한 건강 혼합차 개발
US20220016193A1 (en) ANTIBACTERIAL AND ANTIVIRUS COMPOSITION COMPRISING Extract of CANNABIS SATIVA L.
KR102470155B1 (ko) 용쑥 및 서양민들레를 포함하는 체중 또는 체지방 감소용 경구용 조성물
Jia et al. Hawk Tea, a traditional and healthy natural beverage in South China
Onoruoiza et al. A Review on the Effects of Functional Food on Humans and Microorganisms
CN104758555B (zh) 治疗海水鱼类细菌病的中草药
JP6541047B1 (ja) 経口組成物
KR102202065B1 (ko) 항균식물 복합 발효액을 이용한 고추장 제조방법
KR20180107785A (ko) 우엉 추출물의 유기용매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1949557B1 (ko) 땅두릅 추출물을 포함하는 면역증강용조성물
KR20150059092A (ko) 증숙 후 발효시킨 더덕의 추출물을 포함하는 인지 장애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Mahmoudi An overview of using some essential oils in functional dairy products from Iran
EA021203B1 (ru) Композиция на основе корицы и базилика для лечения или профилактики инфекций мочевыводящих путей и способ ее получения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