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514304B1 - 조리기기 - Google Patents

조리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514304B1
KR102514304B1 KR1020180087442A KR20180087442A KR102514304B1 KR 102514304 B1 KR102514304 B1 KR 102514304B1 KR 1020180087442 A KR1020180087442 A KR 1020180087442A KR 20180087442 A KR20180087442 A KR 20180087442A KR 102514304 B1 KR102514304 B1 KR 10251430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am
cover
cooking chamber
cavity
cover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874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12308A (ko
Inventor
이창욱
서동우
이태권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874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14304B1/ko
Publication of KR2020001230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1230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1430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1430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03Details moisturising of ai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08Foundations or supports plates; Legs or pillars; Casings; Wheel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 Ovens (AREA)
  • Cookers (AREA)

Abstract

조리기기에 대한 발명이 개시된다. 개시된 발명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의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공급부와;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스팀공급부와 연결되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조리실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구가 마련되는 스팀분사부재; 및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분사구와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리기기{COOKING APPLIANCE}
본 발명은 조리기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오븐 등의 조리실에 스팀을 공급하기 위한 스팀공급장치가 구비된 조리기기에 관한 것이다.
조리기기는, 음식물을 요리하기 위한 가전기기의 하나로써 주방 공간에 설치되어 사용자의 의도에 따라 음식물을 요리하는 기기이다. 이러한 조리기기는 사용되는 열원 또는 형태, 연료의 종류에 따라 다양하게 분류할 수 있다.
조리기기를 음식물을 조리하는 형태에 따라 분류하여 보면, 음식물이 놓이는 공간의 형태에 따라 개방형과 밀폐형 조리기기로 분류할 수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오븐, 전자레인지 등이 있으며, 개방형 조리기기에는 쿡탑, 홉 등이 있다.
밀폐형 조리기기는, 음식물이 위치하는 공간을 차폐하고, 차폐된 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하는 조리기기이다. 밀폐형 조리기기에는, 음식물이 놓이면서 음식물을 요리하고자 할 때 차폐되는 공간인 조리실이 제공된다. 이러한 조리실은,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 된다.
상기 밀폐형 조리기기는, 열원(熱源)의 종류에 따라 가스 오븐과 전기 오븐으로 대별된다. 가스 오븐은 가스를 연료로 사용하게 되며, 다수의 버너에 가스를 공급하여 점화시킴으로써 공급되는 가스가 타면서 발생되는 불꽃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되며,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과 달리 전기를 열원으로 하여 다수의 히터가 작동되면서,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에 의해 음식물을 요리하는 방식을 취하게 된다.
전기 오븐은 가스 오븐보다 요리의 속도가 빠르고 열효율이 높으며, 안정성이 좋아 그 이용이 늘어나고 있는 추세이다.
그리고 이러한 전기 오븐은, 다양한 음식물의 요리가 가능하도록 마그네트론과 같은 고주파를 발산하는 전장 부품을 추가함으로써, 고주파를 이용하여 음식물이 조리하거나, 히터에서 발산되는 열과 마그네트론과 같은 전장 부품에서 발산되는 고주파를 함께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기능을 부가적으로 제공하기도 한다.
최근에는, 고온의 스팀을 이용하여 음식물을 조리하는 스팀 오븐이 출시되고 있다. 스팀 오븐은, 고온의 스팀을 이용해 조리실 내부로 스팀을 분사하고, 스팀량에 의해 습도를 조절하는 기능을 갖춘 오븐으로서, 음식물이 건조되는 현상을 막아주고, 대량의 다단계 조리를 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맛과 향의 증발을 차단하여 요리의 맛과 향을 유지시켜 주는 복합적인 기능을 제공한다.
일반적으로 상기 스팀 오븐은,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조리실의 전면 개구를 개폐하는 도어, 및 조리실의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스팀공급부를 포함하는 형태로 제공된다.
또한 스팀공급부는,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발생기, 및 스팀발생기에 물을 공급하는 물탱크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물탱크와 스팀발생기 사이에는, 물탱크 내부의 물이 스팀발생기로 이동될 수 있도록 급수관이 연결된다. 그리고 스팀발생기는, 물탱크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내부에 수용되는 물저장부, 및 물저장부 내부의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히터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와 같은 스팀 오븐에서는, 물탱크를 통해 주입된 물이 급수관을 거쳐 물저장부로 유입되고, 물저장부로 유입된 물이 히터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 내부로 분사되어 조리실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조리실 내부로의 스팀 분사는, 조리실 내부에 구비된 스팀분사부를 통해 이루어진다. 스팀분사부는, 조리실의 상부에 배치되며, 스팀공급부를 통해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의 상부에서 하부방향으로 분사한다. 이러한 스팀분사부는, 출구가 하부방향으로 개방된 파이프 형태로 구비된다.
상기 스팀분사부를 통해 스팀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스팀의 일부가 스팀분사부 내벽에 맺혀 응축되고, 이렇게 응축된 물이 물방울 형태로 조리물을 향해 떨어지는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현상이 발생되면, 떨어진 물방울로 인해 조리물의 일부분에만 많은 양의 수분이 공급되어 제대로 된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게 되는 문제점이 발생될 수 있다. 또한 물방울 떨어짐으로 인해 사용자가 불안함과 불쾌감을 느낄 수 있고, 이로 인해 소비자의 만족도가 저하되는 문제점도 우려된다.
본 발명은 조리실 내의 조리물이나 조리실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구조가 개선된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조리실 내 스팀의 공급이 효과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리기기를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는: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와;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공급부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구가 마련되는 스팀분사부재; 및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구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스팀분사부재에 맺힌 물방울이 조리물이나 조리실의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제1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2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르면, 도어 측으로의 스팀 분사를 억제할 수 있고, 스팀의 낭비를 막으면서 스팀 공급이 신속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분사구와 상기 제1커버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로부터 이격공간으로 분사된 스팀이 상기 제2커버부와 상기 제3커버부 사이에 형성된 측방향의 통로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커버부재의 구성에 의해, 조리실 전체에서 스팀의 고른 공급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지는 효과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커버부재와 중첩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히터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전열관을 포함하고, 상기 스팀분사부재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전열관 사이에 배치되고, 상기 커버부재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전열관 간의 간격보다 짧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 커버부재의 존재로 인한 조리기기의 미관 손상이 거의 없도록 하면서도 조리실 상부에서 상부히터와 커버부재를 함께 설치하는 작업도 어려움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조리기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리기기에 따르면, 스팀분사부재에 맺힌 물방울이 조리물이나 조리실의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고, 물방울 떨어짐으로 인해 제대로 된 조리가 이루어지지 못하거나 사용자가 불안함과 불쾌감을 느끼게 되는 일이 발생된 것을 사전에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조리실 전체에서 스팀의 고른 공급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함으로써, 스팀 조리의 효율성 및 스팀 조리의 결과물 향상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어 측으로의 스팀 분사를 억제할 수 있고, 스팀의 낭비를 막으면서 스팀 공급이 신속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커버부재의 존재로 인한 조리기기의 미관 손상이 거의 없도록 하면서도 조리실 상부에서 상부히터와 커버부재를 함께 설치하는 작업도 어려움 없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4는 도 2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4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조리기기의 실시예를 설명한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할 것이다.
[조리기기의 전반적인 구조]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조리기기에서 도어를 제거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는, 하부에 배치된 제1유닛(1)과 상부에 배치된 제2유닛(2)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 등과 같은 밀폐형 조리기기인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하부에 배치되는 제1유닛(1)이 전기 오븐이고 상부에 배치되는 제2유닛(2)이 가스 오븐인 형태로 조리기기의 구성이 이루어질 수도 있다.
다른 예로서, 전자레인지와 같이 오븐이 아닌 다른 형태의 밀폐형 조리기기가 제2유닛(2)으로 적용될 수도 있고, 쿡탑, 홉, 그리들 등과 같은 개방형 조리기기가 제2유닛(2)으로 적용되어 제1유닛(1)의 상부에 배치될 수도 있다.
아래에서는, 제1유닛(1)과 제2유닛(2) 모두가 전기 오븐인 경우를 예로 들어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되, 제1유닛(1)의 구성을 기준으로 조리기기의 구성을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제1유닛(1)은 본체(10)에 의해 외관이 형성된다. 본체(10)는, 대략 직육면체 형상을 포함하는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그 내부공간에 설치되는 다수의 부품을 보호하기 위하여 소정의 강도를 갖는 재질로 형성된다.
상기 본체(10)는, 본체(10)의 골격을 형성하는 캐비티(11), 및 캐비티(11)의 전방에 배치되어 본체(10)의 전면을 형성하는 전면 플레이트(14)를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캐비티(11)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되며, 전면 플레이트(14)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을 전방으로 개방하는 개구부가 형성된다.
본체(10)의 내부에는, 조리실(15)이 형성된다. 조리실(15)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형태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조리실(15)이 차폐된 상태에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여 음식물을 요리한다. 즉 조리기기에서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이 실질적으로 음식물이 요리되는 공간이다.
조리기기에는, 조리실(15)을 가열하는 가열부가 마련된다. 이러한 가열부의 일례로서, 조리실(15)의 후측에는 뜨거운 공기를 대류시켜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가열하는 컨벡션부(18)가 상기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조리실(11)의 상측에는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상측에서 가열하는 상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또한 조리실(15)의 하측에도 조리실(15)의 내부공간을 하측에서 가열하는 하부히터가 가열부로서 제공될 수도 있다.
본체(10)의 전방에는, 조리실(15)을 선택적으로 개폐하는 도어(16)가 회동 가능하게 제공된다. 도어(16)는, 그 하단을 중심으로 상단이 상하로 회동하는 풀-다운(Pull-down) 방식으로 조리실(15)을 개폐할 수 있다.
이러한 도어(16)는 전체적으로 소정의 두께를 가지는 육면체 형태로 이루어지며, 그 앞면에는 사용자가 도어(16)를 회동시키고자 할 때 파지하도록 핸들(17)이 설치된다.
본체(10)의 상부, 즉 제1유닛(1)과 그 위에 적층되는 제2유닛(2) 사이의 공간에는, 전장부품들이 위치하는 공간을 제공하는 전장공간부(20; 도 7 참조)가 형성된다. 전장공간부(20)의 하부 경계면은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의해 규정되고, 전장공간부(20)의 상부 경계면은 제2유닛(2)의 하부면에 의해 규정될 수 있다. 그리고 전장공간부(20)의 전면은, 전면플레이트(14)에 의해 차폐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의 구조]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스팀공급장치의 구성을 보여주는 구성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본체(10)의 내부에는 스팀공급장치(30)가 더 제공될 수 있다. 스팀공급장치(30)는, 본체(10)의 내부에 설치되어 조리실(15) 내부에 스팀을 공급하는 구성으로 제공되며, 스팀공급부(31)와 물공급장치(35) 및 연결관(37)을 포함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스팀공급부(31)는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도록 동작되는 구성이다. 스팀공급부(31)는, 물공급장치(31)로부터 연결관(37)을 통해 공급되는 물을 수용하는 물저장조(32)와, 물저장조(32) 내부에 수용된 물을 가열하여 스팀을 발생시키는 스팀히터(33)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물공급장치(35)는, 스팀공급부(31)에 공급되기 위한 물을 저장 및 공급하도록 마련된다. 본 실시예에서, 물공급장치(35)는 조리실(15)의 상부, 즉 본체(10)의 상부에 형성된 전장공간부(20; 도 7 참조)에 설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물공급장치(35)의 설치 위치는 고온 상태의 조리실(15) 내부의 열로부터의 영향이 적고 외부로부터의 물 공급이 용이하며 스팀공급부(31)로의 물공급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선택된 어느 위치라도 가능하다.
연결관(37)은, 물공급장치(35)에서 공급되는 물이 스팀공급부(31)로 이동하는 통로가 형성되도록 물공급장치(35)와 스팀공급부(31)를 연결한다. 이러한 연결관(37)은, 플렉시블한 튜브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고, 금속 재질의 파이프 형태로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연결관(37)은, 물공급장치(35)로부터 조리실(15)을 우회하여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되되, 조리실(15)의 후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될 수도 있고, 조리실(15)의 측방 측으로 우회하는 경로를 통해 스팀공급부(31)와 연결될 수도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을 갖는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에서는, 물공급장치(35)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관(37)을 통해 물저장조(32)로 유입되고, 물저장조(3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5)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물공급장치(35)로부터 이루어지는 물의 공급은, 물공급장치(35)와 물저장조(32) 간의 높이 차 또는 압력 차에 의한 힘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고, 물저장조(32) 또는 연결관(37) 측에 설치되는 펌프의 동력에 의해 이루어질 수도 있다.
아울러 스팀공급장치(30)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을 조리실(15) 내부에 분사하는 스팀분사부재(3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스팀분사부재(39)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스팀관(38)을 통해 스팀공급부(31)의 물저장조(32)와 연결된다. 이러한 스팀분사부재(39)는, 스팀공급부(31)에서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의 상부에서 조리실(15) 내부로 하향 분사되기 위한 통로를 형성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분사부재(39)가 상하방향으로 연장되는 중공의 원통 형태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이러한 스팀분사부재(39)는, 캐비티(11)의 상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형태로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스팀분사부재(39)의 상단은, 조리실(15)의 상부, 즉 전장공간부(20)로 돌출되고, 전장공간부(20)에서 스팀관(38)과 연결된다. 그리고 스팀분사부재(39)의 하단은, 조리실(15)의 내부로 돌출된다. 스팀분사부재(39)의 하단에는, 스팀분사부재(39)로 공급된 스팀이 조리실(15)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구(39a)가 마련된다. 분사구(39a)는, 스팀분사부재(39)의 하단에 상하방향으로 관통되게 형성된다.
캐비티(11)의 상부면에는 스팀배출구(40)가 마련된다. 스팀배출구(40)는, 조리실(15)의 내부와 캐비티(11)의 상부 사이, 바꾸어 말하면 조리실(15)의 내부와 전장공간부(20)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한다.
상기 스팀배출구(40)는, 하단부와 상단부가 각각 개방된 덕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스팀배출구(40)의 개방된 하단부는, 조리실(15)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스팀배출구(40)의 개방된 상단부는, 전장공간부(20) 내부의 공간과 연통된다.
이처럼 개방된 하단부와 상단부를 갖는 스팀배출구(40)는, 그 하단부와 상단부 사이를 연결하는 통로를 내부에 형성한다. 이로써 조리실(15) 내부의 스팀이 스팀배출구(40)를 통해 조리실(15) 외부, 즉 전장공간부(20)로 배출되기 위한 통로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스팀배출구(40)가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커버부재의 구조]
도 4는 도 2의 "Ⅳ 부분을 확대하여 도시한 확대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커버부재를 분리하여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의 "Ⅵ-Ⅵ 선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3 및 도 4를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커버부재(1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부재(100)는, 조리실(15)의 내부에 구비되고,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설치된다. 이러한 커버부재(100)는, 분사구(39a)와 조리실(15)의 바닥면 사이에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도 4 및 도 5를 참조하면, 커버부재(100)는 제1커버부(110)와 연결부(120,130)를 포함한다.
제1커버부(110)는, 분사구(39a)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바꾸어 표현하면, 제1커버부(110)는 분사구(39a)가 스팀을 분사하는 방향과 교차하는 평면과 나란한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커버부(110)는, 스팀분사부재(39)의 하부에 배치되며, 스팀분사부재(39)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부(110)가 전후방향 길이가 측방향 폭보다 긴 평면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되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커버부(110)는, 원판이나 곡면, 그 외에도 스팀분사부재(39) 및 주변 부품의 형상과 위치에 따라 적합한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연결부(120,130)는,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제1커버부(110)를 캐비티(11)에 고정시킨다. 이러한 연결부(120,130)는, 제2커버부(120)와 제3커버부(130)를 포함한다.
제2커버부(120)는, 스팀분사부재(39)의 전방에서 제1커버부(110)와 연결된다. 제2커버부(120)는,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2커버부(120)는 전후방향과 교차하는 평면과 나란한 차단벽을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2커버부(120)는, 스팀분사부재(39)와 스팀배출구(40) 사이에 배치되는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할 수 있다.
이러한 제2커버부(120)는 스팀분사부재(39)의 전방에서 캐비티(11)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커버부(110)의 전방 측이 제2커버부(120)를 매개로 캐비티(11) 상에 고정된다.
제3커버부(130)는,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서 제1커버부(110)와 연결된다. 제3커버부(130)는,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한다. 바꾸어 말하면, 제3커버부(130)는 제2커버부(120)와 나란한 차단벽을 스팀분사부재(39)의 전방에 형성한다.
이러한 제2커버부(120)는 스팀분사부재(39)의 후방에서 캐비티(11)의 상부면과 결합되고, 이에 따라 제1커버부(110)의 후방 측이 제3커버부(130)를 매개로 캐비티(11) 상에 고정된다. 즉 제1커버부(110)는, 제2커버부(120) 및 제3커버부(130)가 캐비티(11)의 상부면과 결합됨에 의해, 캐비티(11)의 상부면에 고정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제1커버부(110)와 제2커버부(120) 및 제3커버부(130)를 포함하는 커버부재(100)는, 금속판을 상부가 개방된 "ㄷ" 형상으로 벤딩하는 방법으로 제조될 수 있다.
한편 커버부재(100)는, 오목형상부(11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오목형상부(115)는, 분사구(39a)의 수직방향 하부에 배치된다. 이러한 오목형상부(115)는, 제1커버부(110)가 형성하는 차단벽보다 더 하부에서 차단벽을 형성한다.
오목형상부(115)는, 분사구(39a)를 제1커버부(110)에 수평 투영한 형상이 제1커버부(110)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내측에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분사구(39a)가 원형인 경우, 오목형상부(115)는 제1커버부(110) 상에 분사구(39a) 크기 이상의 크기의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오목형상부(115)는, 하부에서 봤을 때 분사구(39a)가 오목형상부(115)에 의해 완전히 덮이는 위치에 배치된다.
오목형상부(115)는, 제1커버부(110)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커버부(110) 중 분사구(39a)의 하부에 위치한 일부 영역이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됨으로써 오목형상부(115)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즉 별도의 구조물을 부가하고 이를 결합시키기 위한 별도의 체결 작업 없이, 제1커버부(110)의 일부를 오목하게 포밍하는 것만으로, 오목형상부(115)를 커버부재(100) 상에 쉽고 빠르며 저렴한 비용으로 형성할 수 있다.
아울러 제1커버부(110)는, 분사구(39a)로부터 하부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형성된다. 이에 따라 분사구(39a)와 제1커버부(110)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된다. 이로써, 분사구(39a)로부터 이격공간으로 분사된 스팀은, 제2커버부(120)와 제2커버부(120) 사이에 형성된 측방향의 통로를 통해 조리실(15)의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커버부재의 작용 및 효과]
이하,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물공급장치(35)로부터 공급되는 물이 연결관(37)을 통해 물저장조(32)로 유입되고, 물저장조(32)로 유입된 물이 스팀히터(33)에 의해 가열되어 스팀이 생성되며, 이처럼 생성된 스팀이 조리실(15) 내부로 유입되어 조리실(15) 내부를 순환하는 형태로 스팀을 이용한 조리가 이루어지게 된다.
이때 스팀은, 스팀분사부재(39)를 통해 조리실(15) 내부로 하향 분사된다. 스팀분사부재(39)를 통해 스팀이 분사되는 과정에서, 스팀의 일부가 스팀분사부재(39)의 내벽, 외벽, 분사구(39a) 주변에 맺혀 물방울 형태로 응축될 수 있다.
특히, 스팀이 과량으로 분사되거나, 스팀분사부재(39)의 온도가 아직 낮은 상태인 스팀 분사 초기, 스팀 분사가 완료된 후에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가능성이 높다. 또한 스팀 분사가 이루어지지는 않은 상태이지만 조리실(15) 내에서 수분이 많은 조리물에 대한 가열이 이루어지는 경우에도 이러한 현상이 발생될 수 있다.
스팀분사부재(39)에 맺힌 물방울은, 분사구(39a) 주변에 모인 후 무게가 그 양이 충분히 증가되면, 하부방향으로 낙하하게 된다. 이러한 물방울은 분사구(39a)의 하부에 배치된 제1커버부(110) 측으로 낙하된다. 그리고 이와 같이 낙하된 물방울은 제1커버부(110)에 형성된 오목형상부(115)에 고이고, 조리물이나 조리실(15)의 바닥면 측으로 낙하되지 않는다.
즉 분사구(39a)의 하부에 제1커버부(110)가 배치되도록 마련된 커버부재(100)는, 스팀분사부재(39)에 맺힌 물방울이 조리물이나 조리실(15)의 바닥면에 떨어지는 것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커버부재(100)가 설치됨에 따라, 분사구(39a)를 통해 배출되는 스팀은 하부방향으로 분사되지 않고 분사구(39a)와 커버부재(100) 사이에 형성된 측방향의 통로를 통해 측방향으로 조리실(15)의 내부에 공급된다.
즉 스팀이 하부방향으로 곧바로 분사되지 않고 커버부재(100)의 양측으로 퍼지는 형태로 조리실(15)의 내부로 공급된다. 이에 따라 조리실(15)의 일부 영역에만 스팀이 집중적으로 분사되지 않고 조리실(15) 전체에 스팀이 고루 퍼지는 형태로 스팀의 공급이 이루어진다. 이로써 조리실(15) 전체에서 스팀의 고른 공급이 신속하고 효율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게 되므로, 스팀 조리의 효율성 및 스팀 조리의 결과물 향상을 기대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측방향 길이, 즉 폭이 좁은 형태로 제공된다. 바람직하게는, 제1커버부(110)가 오목형상부(115)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가장 좁은 폭을 갖도록 커버부재(100)의 폭이 설정될 수 있다.
조리실(15)이 개방되었을 때, 커버부재(100)는 조리실(15) 외부로 노출될 수 있는 구성이다. 커버부재(100)가 조리실(15) 외부로 노출되는 것이 미관상 좋다고 하기는 어려우므로, 커버부재(100)는 외부 노출이 최소화되기 위해 최대한 좁은 폭으로 형성된다. 이 경우에도 제1커버부(110)가 오목형상부(115)를 내부에 포함할 수 있는 충분한 폭으로 커버부재(100)의 폭이 설정되어야 함은 물론이다.
분사구(39a)의 전방에는 제2커버부(120)가 구비되고, 분사구(39a)의 후방에는 제2커버부(120)가 구비된다. 제2커버부(120)와 제3커버부(130)는, 제1커버부(110)를 분사구(39a)의 하부에 고정시키기 위해 필요한 구성이지만, 이러한 용도로만 구비되는 구성은 아니다.
분사구(39a)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2커버부(120)는, 분사구(39a)와 도어(16; 도 1 참조)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2커버부(120)에 의해, 스팀이 분사구(39a)에서 전방 측, 즉 도어(16) 측으로 곧바로 분사되는 것이 일정 부분 억제된다.
조리실(15)에 스팀이 가득 차게 되면 도어(16)에 김이 서리는 현상이 발생되는 것은 어쩔 수 없다고 하더라도, 도어(16) 측으로 곧바로 분사되는 스팀으로 인해 스팀 분사 초기부터 도어(16)에 김이 서리는 것은 상기 제2커버부(120)에 의해 억제될 수 있다.
분사구(39a)의 후방에 구비되는 제3커버부(130)는, 분사구(39a)와 스팀배출구(40) 사이에 배치되는 차단벽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3커버부(130)에 의해, 분사구(39a)와 스팀배출구(40) 사이의 통로가 일정 부분 차단된다.
조리실(15) 내로 분사되는 스팀이 조리물에 가해지기 전에 스팀배출구(40)를 통해 곧바로 배출된다면, 스팀의 낭비가 이루어지고 조리실(15) 내의 스팀의 공급도 기대만큼 충분히 이루어지기 어렵다.
본 실시예에서는, 분사구(39a)와 스팀배출구(40) 사이의 통로가 제3커버부(130)에 의해 일정 부분 차단되므로, 분사구(39a)를 통해 분사된 스팀이 곧바로 스팀배출구(40)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상당 부분 차단할 수 있게 된다. 이로써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스팀의 낭비를 막으면서 스팀 공급이 신속하고 충분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기능이 개선된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히터와 커버부재 간의 관계]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리기기를 도시한 측단면도이고, 도 8은 도 7에 도시된 조리기기의 조리실 내부를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에서는, 스팀관(38)의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본 실시예의 조리기기는 상부히터(19)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히터(19)는, 조리실(15)의 내부에 배치되며, 캐비티(11)의 상부면에 인접한 위치에 설치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상부히터(19)가 커버부재(100)와 중첩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는 것으로 예시된다.
상부히터(19)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전열관(19a)을 포함한다. 그리고 복수개의 전열관(19a)은, 상부히터(19)의 전방 또는 후방에서 서로 연결되어 하나의 상부히터(19)를 구성한다.
상기 상부히터(19)는, 조리실(15) 내부에서 캐비티(11) 상부면의 대부분의 영역을 차지하도록 배치된다. 이에 따라 스팀분사부재(39)는, 하부에서 봤을 때 측방향으로 서로 이격된 전열관(19a)과 전열관(19a) 사이의 틈 사이에 배치된다. 그리고 커버부재(100)도 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전열관(19a) 사이의 틈에 배치된다.
상기 커버부재(100)는, 이러한 좁은 틈에 배치되기 위해, 전후방향 길이에 비해 폭이 좁은 형태로 제공된다. 구체적으로, 커버부재(100)의 측방향 길이, 즉 커버부재(100)의 폭은 커버부재(100)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전열관(19a) 간의 간격보다 짧게 설정된다.
커버부재(100)가 이와 같이 좁은 폭으로 구비됨으로써, 조리실(15)이 개방되었을 때 커버부재(100)가 외부로 잘 드러나지 않게 되는 효과와 조리실(15) 상부에 상부히터(19)가 설치된 경우에도 커버부재(100)가 상부히터(19)와의 간섭 없이 쉽게 설치될 수 있게 되는 효과가 함께 제공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 : 본체
11 : 캐비티
14 : 전면플레이트
15 : 조리실
16 : 도어
17 : 핸들
18 : 컨벡션부
19 : 상부히터
20 : 전장공간부
30 : 스팀공급장치
31 : 스팀공급부
32 : 물저장조
33 : 스팀히터
35 : 물공급장치
37 : 연결관
39 : 스팀분사부재
39a : 분사구
40 : 스팀배출구
100 : 커버부재
110 : 제1커버부
115 : 오목형상부
120 : 제2커버부
130 : 제3커버부

Claims (11)

  1.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구가 마련되는 스팀분사부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구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분사구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제1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2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는, 상기 조리실의 내부와 상기 캐비티의 상부 사이를 연통하는 통로를 형성하는 스팀배출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와 상기 스팀배출구 사이에 배치되는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조리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분사구의 수직방향 하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커버부가 형성하는 차단벽보다 하부에서 차단벽을 형성하는 오목형상부를 더 포함하는 조리기기.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오목형상부는, 상기 제1커버부와 일체로 형성되며, 상기 분사구를 상기 제1커버부에 수평 투영한 형상이 상기 제1커버부에서 차지하는 영역을 내측에 포함하는 형상으로 형성되는 조리기기.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1커버부 중 일부분이 하부방향으로 오목하게 포밍되어 상기 오목형상부가 형성되는 조리기기.
  5. 조리실을 형성하는 캐비티;
    상기 조리실의 외부에 구비되어 스팀을 생성하는 스팀공급부;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고, 상기 스팀공급부와 연결되며, 상기 스팀공급부로부터 공급된 스팀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하향 분사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분사구가 마련되는 스팀분사부재;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구비되고,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설치되며, 상기 분사구와 상기 조리실의 바닥면 사이에 가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커버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는, 상기 분사구의 하부에 수평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는 제1커버부, 및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에 결합되어 상기 제1커버부를 상기 캐비티에 고정시키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를 중심으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길이를 갖도록 형성되고,
    상기 연결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서 상기 제1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2커버부, 및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서 상기 제2커버부와 연결되어 상기 캐비티의 상부면과 결합되는 제3커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제3커버부는, 상기 스팀분사부재의 후방에 세로방향의 차단벽을 형성하고,
    상기 커버부재와 중첩될 수 있는 높이에 배치되어 상기 조리실의 내부에 설치되는 상부히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상부히터는, 측방향으로 소정 간격 이격되게 배치된 복수개의 전열관을 포함하고,
    상기 커버부재의 측방향 길이는, 상기 커버부재의 측방향 양측에 배치된 한 쌍의 상기 전열관 간의 간격보다 짧고,
    상기 스팀분사부재 및 상기 커버부재는, 측방향으로 인접한 한 쌍의 상기 전열관 사이에 배치되는 조리기기.
  6.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사구와 상기 제1커버부 사이에는, 이격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분사구로부터 이격공간으로 분사된 스팀이 상기 제2커버부와 상기 제3커버부 사이에 형성된 측방향의 통로를 통해 상기 조리실의 내부로 공급되는 조리기기.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087442A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KR10251430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42A KR102514304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7442A KR102514304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08A KR20200012308A (ko) 2020-02-05
KR102514304B1 true KR102514304B1 (ko) 2023-03-24

Family

ID=69514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7442A KR102514304B1 (ko) 2018-07-26 2018-07-26 조리기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14304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592224B (en) * 2020-02-19 2023-08-02 Gozney Group Ltd Oven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177Y1 (ko) 1996-07-18 1999-06-15 윤종용 가스오븐렌지의 스팀발생장치
JP4334201B2 (ja) * 2002-11-11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347689B1 (ko) * 1999-08-28 2002-08-09 대웅전기산업주식회사 중탕기의 낙수받이장치
KR20130028319A (ko) * 2011-09-09 2013-03-19 린나이코리아 주식회사 스팀 컨벡션 오븐의 청소용수 분사노즐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46177Y1 (ko) 1996-07-18 1999-06-15 윤종용 가스오븐렌지의 스팀발생장치
JP4334201B2 (ja) * 2002-11-11 2009-09-30 シャープ株式会社 加熱調理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12308A (ko) 2020-02-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739949B2 (en) Steam generator and cooking appliance
KR100629336B1 (ko) 스팀 오븐의 증기 발생 장치
KR102564246B1 (ko) 조리기기
KR101531060B1 (ko) 공기 순환 수단을 포함한 오븐 레인지
EP3853529B1 (en) Oven
WO2018042696A1 (ja) 加熱調理器
KR100878476B1 (ko) 가열조리기
KR102514304B1 (ko) 조리기기
KR101307659B1 (ko) 스팀 용수 배수 시스템 및 이를 포함하는 스팀 조리기기
US11421894B2 (en) Spill guard for a gas oven burner
KR102611409B1 (ko) 펌프 조립체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JP2007003121A (ja) 加熱調理器
KR101864491B1 (ko) 버너 및 이를 구비하는 조리기기
KR101724696B1 (ko) 스팀 발생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조리기기
CN104515122B (zh) 蒸汽发生装置及烹饪设备
WO2016079935A1 (ja) 加熱調理器
KR102512751B1 (ko) 조리기기
KR101531062B1 (ko) 덕트 유니트를 포함한 오븐 레인지
WO2015125490A1 (ja) マイクロ波加熱調理器
JP2020063871A (ja) 加熱調理器
KR101531061B1 (ko) 열 차단 수단을 구비한 오븐 레인지
KR102132480B1 (ko) 조리기기
JP5513954B2 (ja) 加熱調理器
KR200463749Y1 (ko) 난방용 가스히터
KR101623853B1 (ko) 조리기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