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9434B1 -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9434B1
KR102499434B1 KR1020200118960A KR20200118960A KR102499434B1 KR 102499434 B1 KR102499434 B1 KR 102499434B1 KR 1020200118960 A KR1020200118960 A KR 1020200118960A KR 20200118960 A KR20200118960 A KR 20200118960A KR 102499434 B1 KR102499434 B1 KR 1024994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utterbur
root
tea
steaming
roast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896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6581A (ko
Inventor
박서진
Original Assignee
박서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서진 filed Critical 박서진
Priority to KR102020011896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99434B1/ko
Publication of KR2022003658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658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94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94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34Tea substitutes, e.g. matè; Extracts or infusion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06Treating tea before extraction; Preparations produced thereby
    • A23F3/14Tea preparations, e.g.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FCOFFEE; TEA; THEIR SUBSTITUTES; MANUFACTURE, PREPARATION, OR INFUSION THEREOF
    • A23F3/00Tea; Tea substitutes; Preparations thereof
    • A23F3/40Tea flavour; Tea oil; Flavouring of tea or tea extract
    • A23F3/42Isolation or recuperation of tea flavour or tea oil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Tea And Coffe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머위 뿌리를 특정 단계로 덖어 제조함으로써, 머위 뿌리 특유의 떫고 쓴 맛이 제거되고, 머위 뿌리 자체의 유효성분들이 차로 잘 침출될 수 있는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COLTSFOOT LOOT ROASTED TEA AND PREPAR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 머위 뿌리를 특정 단계를 거쳐 차로 제조함으로써, 머위 뿌리 자체의 유효성분들이 차로 침출될 수 있는 형태의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머위(Petasites japonicus)는 중국, 일본 및 우리나라의 제주도,울릉도, 남부지방 및 중부지방의 산야지, 특히 햇볕이 잘 드는 산비탈의 숲이나 계속 주변의 습지에 자생하는 국화과(Asteraceae)에 속하는 다년생 초본 식물로, 관동화, 봉두엽, 사두초 등으로도 불리어 왔다. 생태적 특성으로 머위는 30 ㎝의 높이로 자라고, 꽃은 5, 6월에 피며, 암수의 구별이 있어 암그루는 꽃이 희고, 수그루는 황백색으로 구별이 가능하다는 특징을 가지고 있다.
예로부터 한방에서는 머위가 진해, 거담, 건위에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어 진정, 소종, 이뇨 및 풍한 등의 치료에 오랫동안 사용해 왔으며, 머위(Petasites)종 추출물은 혈압 강하 효과가 있음이 알려져 있고, 또한 머위 뿌리의 추출물은 편두통, 위궤양 및 천식에 효과가 있어 이의 예방 및 치료용으로 사용되어 왔다. 또한, 뿌리 및 줄기는 주요 성분으로 세스퀴테리페노이드(sesquiterpenoid)인 에레모페타시디온(eremopetasidione)과 페놀 화합물(phenolic compound)인 페타시페논(petasiphenone) 및 에레모필레놀라이드(eremophilenolide) 등을 포함하고 있는 것으로 확인되었고, 이를 이용한 추가적인 약리학적 연구를 통해 머위 뿌리가 항알레르기 효과, 항산화 효과 및 항암 효과 등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지며, 최근 건강 기능성 식품으로 머위 뿌리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다.
한편, 머위 뿌리는 상기와 같은 약리적 효능에도 불구하고, 특유의 떫고 쓴 맛으로 인하여 다양한 기호도를 충족시킬 수 있는 식품으로의 개발이 쉽지 않아 그 쓰임새가 한정되어 있었다. 따라서 머위 뿌리를 이용하여 현대인의 다양한 기호도를 충족시키면서도 쉽게 섭취가 가능한 식품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몸에 좋은 머위 뿌리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면서, 동시에 머위 뿌리의 떫고 쓴 맛을 개선하여 남녀노소 누구나 쉽게 섭취 가능한 식품을 개발하기 위하여 노력한 결과, 머위 뿌리를 채취 후 절단한 다음 1차 증제 단계, 교반 단계, 2차 증제 및 음건 단계, 1차 덖음 단계, 2차 덖음 및 향가두기 단계를 통하여 머위 뿌리 덖음 차가 이로운 효능을 가지는 것은 물론 머위 뿌리 특유의 떫고 쓴 맛을 개선하여 우수한 풍미를 가진 차로 섭취할 수 있음을 확인하고, 이에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머위 뿌리 고유의 이로운 효능 및 종합적인 기호도가 향상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1) 머위 뿌리를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달인 물을 이용하여 1차 증제하는 단계;
2) 단계 1)의 1차 증제한 머위 뿌리를 미감수 및 식초의 혼합물에 담가 교반하는 단계;
3) 단계 2)의 교반한 머위 뿌리를 단계 1)의 증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2차 증제 및 음건하는 단계;
4) 단계 3)의 2차 증제 및 음건한 머위 뿌리를 저온에서 1차 덖음하는 단계; 및
5) 단계 4)의 1차 덖음한 머위 뿌리를 고온에서 2차 덖음 및 향가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는 머위 뿌리로 인한 이로운 효능은 물론, 우수한 풍미를 가진 차를 제공할 수 있고, 머위 뿌리 특유의 쓰고 떫고 쓴 맛이 제거된 고유의 독특한 맛과 향이 살아있는 차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머위 뿌리 덖음 차 제조방법의 순서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1) 머위 뿌리를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포함하여 달인 물을 이용하여 1차 증제하는 단계;
2) 단계 1)의 1차 증제한 머위 뿌리를 미감수 및 식초의 혼합물에 담가 교반하는 단계;
3) 단계 2)의 교반한 머위 뿌리를 단계 1)의 증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2차 증제 및 음건하는 단계;
4) 단계 3)의 2차 증제 및 음건한 머위 뿌리를 저온에서 1차 덖음하는 단계; 및
5) 단계 4)의 1차 덖음한 머위 뿌리를 고온에서 2차 덖음 및 향가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공한다.
이하, 본 발명의 머위 뿌리 덖음 차 제조방법에 대해 단계별로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머위 뿌리는 채취한 것, 구체적으로 이른 봄 또는 늦가을에 채취하여 잔뿌리를 제거한 후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다음, 굵은 뿌리는 최대한 얇게 절단하고 가는 뿌리는 어슷썰기한 머위 뿌리인 것인 바람직하다. 또한, 머위 뿌리는 상업적으로 채취한 것을 사용할 수 있으며, 머위 뿌리의 수득 방법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단계 1)은 머위 뿌리를 1차 증제하는 단계로, 상기 증제는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으로 구성된 그룹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을 넣고 달인 전탕수를 이용하여 머위 뿌리를 증제할 수 있고, 보다 구체적으로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모두 포함시켜 달인 전탕수를 이용하여 머위 뿌리를 증제할 수 있다.
상기 전탕수는 물에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넣고 1분 내지 10시간 달여 제조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5분 내지 5시간 달여 제조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2시간 동안 달여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건쑥은 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8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3 내지 5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감초는 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8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3 내지 5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건생강은 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8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3 내지 5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소금은 물 100 중량부 당 0.1 내지 10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0.2 내지 8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3 내지 5 중량부로 물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증제는 30초 내지 30분 동안 수행될 수 있고, 1분 내지 2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며, 2분 내지 10분 동안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러한 증제로 효소의 활성을 억제시켜 효소에 의한 발효작용을 멈추게 함으로써 머위 뿌리 고유의 떫고 쓴 맛을 제거하면서 머위 뿌리 고유의 색을 유지시키고 머위 뿌리를 살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서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달인 물로 증제함으로써 상기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상기 단계 2)는 상기 단계 1)에서 1차 증제 단계를 거친 머위 뿌리를 교반하는 단계로, 상기 교반은 미감수 및 식초의 혼합물에 약 1 내지 20시간 동안 담근 후 물로 세척하여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18시간 동안 담근 후 물로 세척하여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15시간 동안 담근 후 물로 세척하여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식초는 자연발효실초인 것이 바람직할 수 있고, 식초의 사용량은 미감수 100 중량부 당 약 0.005 내지 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0.01 내지 0.5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0.02 내지 0.1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이러한 교반 작업을 통하여 머위 뿌리의 탄닌 성분을 제거함으로써 머위 뿌리 특유의 떫고 쓴 맛을 제거할 수 있어 완성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기호도를 높일 수 있으며, 차 우림시 머위 뿌리 차의 깊은 맛을 느낄 수 있도록 교반 시간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상기 단계 3)은 상기 단계 2)의 교반 단계를 거친 머위 뿌리를 2차 증제 및 음건하는 단계로, 상기 단계 3)에서의 증제는 상기 단계 1)의 증제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한다. 본 발명에서 2차 증제를 실시함으로써, 최종 덖음 차에서 머위 뿌리의 유효성분의 양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하기 단계에서 습도의 조절이 원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음건은 1 내지 15시간 동안 음건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 내지 10시간 동안 음건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3 내지 5시간 동안 음건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머위 뿌리를 양건하는 경우 머위 뿌리에 함유된 수분의 손실에 의하여 고유의 색을 잃어버릴 수 있어 음건을 수행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상기 음건은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자연 건조할 수 있고, 건조기 또는 통풍용 기구를 이용하여 인공 건조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단계 4)는 상기 단계 3)의 2차 증제 및 음건 단계를 거친 머위 뿌리를 1차 덖음하는 단계로, 상기 덖음은 덖음 팬, 전기필름 또는 열판 위에서 직화로 10 내지 8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20 내지 7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30 내지 6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덖음은 1 내지 3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5 내지 2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0 내지 2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덖음은 머위 뿌리의 습이 90 % 없어질 때까지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 2차 덖음을 통해 습이 90 % 없어질 때까지 덖음으로써, 머위 뿌리의 형태가 잘 유지되어 차로 제조시 맛 및 향의 증진을 일으킬 수 있다.
이때 상기 덖음은 골고루 뒤집어가며 덖음과 식힘을 반복하여 수행함으로써 머위 뿌리 조직의 연성화 및 냉각을 반복하여 조직의 성질순화 및 변이를 유도하고, 이를 통해 머위 뿌리의 유효성분이 최대한 침출될 수 있도록 유도하며,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우림 시 지속성을 극대화시킬 수 있다.
상기 단계 5)는 상기 단계 4)에서 1차 덖음을 거친 머위 뿌리를 2차 덖음 및 향가두기하는 단계로, 상기 덖음은 덖음 팬, 전기필름 또는 열판 위에서 100 내지 30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120 내지 25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30 내지 200℃의 온도에서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덖음 단계를 수행하는 경우 저온에서만 덖은 머위 뿌리 차에 비하여 차우림 시 머위 뿌리 차 특유의 부드럽고 구수한 맛을 더욱 잘 느낄 수 있고, 머위 뿌리 차에 벌레가 형성되는 것을 방지하며, 보관기간을 연장하는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상기 2차 덖음이 끝난 후 덖음 팬의 불을 끄고 뚜껑을 덮은 후 5분 뒤에 습체크를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머위 뿌리에 습기가 남아있을 경우 다시 상기 단계 4)의 1차 덖음과 동일한 방법으로 수행하여 남아있는 습을 10 % 이하가 될 때까지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향가두기는 덖음 후 불을 끈 팬 위에 면 보자기를 덮고 10분 내지 10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30분 내지 7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1 내지 5시간 동안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완성된 머위 뿌리 덖음 차는 충분히 식힌 후 공기가 들어가지 않도록 밀봉하여 보관한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머위 뿌리를 1차 증제하고, 교반한 후 2차 증제한 뒤 음건하였다. 그 다음, 저온에서 1차 덖음 및 고온에서 2차 덖음한 다음 향가두기로 마감하여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완성하였다.
또한, 본 발명자들은 상기 머위 뿌리 덖음 차와 일반적인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차우림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한 결과, 본 발명의 머위 뿌리 덖음 차로 우려낸 찻물의 맛, 향, 색을 포함한 종합적인 기호도가 일반적인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종합적인 기호도보다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방법에 따라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는 머위 뿌리의 이로운 효능을 가지는 것은 물론 고유의 독특한 맛과 향이 유지되므로, 소비자들에게 심미적 만족감을 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기 위하여, 하기의 단계를 수행하였다.
<1-1> 원료 준비 단계
채취한 머위 뿌리를 잔뿌리 제거 후 깨끗이 세척하고 물기를 제거한 뒤 절단하였다.
<1-2> 1차 증제 단계
물 2 ℓ에 건쑥 10 g, 건감초 10 g, 건생강 10 g 및 소금 10 g을 넣고 1시간 동안 중불에 달여 전탕수를 제조하였다. 그 다음, 상기 실시예 <1-1>에서 획득한 머위 뿌리를 상기 전탕수를 이용하여 4분 동안 증제하였다.
<1-3> 교반 단계
상기 실시예 <1-2>에서 획득한 머위 뿌리를 미감수 2 ℓ에 자연발효식초 0.5 g을 넣은 혼합물에 11시간 담가 교반작업을 수행한 후 세척하였다.
<1-4> 2차 증제 및 음건 단계
상기 실시예 <1-3>에서 획득한 머위 뿌리를 상기 실시예 <1-2>에서 제조한 전탕수를 이용하여 4분 동안 증제하였다.
그 다음, 상기 증제한 머위 뿌리를 건조하기 위하여 통풍이 잘되는 그늘에서 4시간 동안 자연건조하였다.
<1-5> 1차 덖음 단계
상기 실시예 <1-4>에서 획득한 머위 뿌리를 45℃의 덖음 팬에서 직화로 11시간 동안 습이 90 %가 없어질 때까지 덖음과 식힘을 반복하였다.
<1-6> 2차 덖음 및 향가두기 단계
상기 실시예 <1-5>에서 획득한 머위 뿌리를 180℃의 덖음 팬에서 남은 습이 10 %가 없어질 때까지 덖음한 다음, 덖음 팬의 불을 끄고 뚜껑을 덮은 후 5분 뒤에 습체크를 하였다. 이때 머위 뿌리에 습기가 남아있는 경우, 상기 실시예 <1-5>의 덖음을 수행하였다.
그 다음, 상기 2차 덖음한 머위 뿌리에 면 보자기를 덮은 후 4시간 동안 향가두기하여,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증제 과정이 상이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1-1> 물로 증제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 단계에서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넣지 않은 물을 이용하여 증제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1-2> 감초 및 생강 달인 물로 증제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2> 단계에서 감초 및 생강만을 넣고 달인 물로 증제한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1-3> 1회 증제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4> 단계에서 2차 증제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교반 과정이 없는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3> 단계에서 교반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2차 덖음 과정이 없는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
상기 실시예 <1-6> 단계에서 2차 덖음 과정을 거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 <실시예 1>의 제조방법에 따라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관능평가
본 발명에 따른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 <비교예 1> 내지 <비교예 3>의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에 대하여, 관능평가를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관능평가는 본 발명으로 제조한 <실시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와 증제 과정을 상이하게 하여 제조한 <비교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 교반 과정을 저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2>의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2차 덖음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3>의 머위 뿌리 덖음 차에 대해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알아보기 위하여 제조한 차 샘플 각각을 5 g씩 취하여 85℃의 온수를 투입한 뒤 30초 후의 차의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를 평가하였다.
차의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는 충분히 훈련된 전문관능 시험요원 30명이 시음하여, 매우 좋다(5), 좋다(4), 보통(3), 좋지 않다(2), 매우 좋지 않다(1)로 총 5단계로 평가한 후, 그 평균점으로 판정하였다.
판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매우 좋다: 4.6 ∼ 5.0 점;
좋다: 3.6 ∼ 4.5 점;
보통: 2.6 ∼ 3.5 점;
좋지 않다: 1.6 ∼ 2.5 점; 및
매우 좋지 않다: 1.0 ∼ 1.5 점;
그 결과, 표 1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에 비하여 증제시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넣지 않고 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1>의 머위 뿌리 덖음 차는 맛 및 향이 옅어 맛, 향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고, 증제시 감초 및 생강만을 넣고 달인 물을 이용하여 제조한 비교예 <1-2>의 머위 뿌리 덖음 차는 맛 및 향이 비교예 <1-1> 보다는 개선되었으나, 여전히 색이 옅어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 모두에서 낮은 평가를 받았으며, 증제 과정을 1회만 거쳐 제조한 비교예 <1-3>의 머위 뿌리 덖음 차는 특유의 부드러운 맛이 부족하고 색이 옅어 맛,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에 비하여 교반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2>의 머위 뿌리 덖음 차는 머위 뿌리 특유의 떫고 쓴 맛이 강하여 맛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또한,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실시예 1>의 머위 뿌리 덖음 차에 비하여 2차 덖음 과정을 거치지 않고 제조한 <비교예 3>의 머위 뿌리 덖음 차는 감칠맛이 부족하고 찻물의 향 및 색이 옅어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에서 낮은 평가를 받은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상기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제조방법에 따라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경우, 일반적인 제조방법에 의해 제조된 머위 뿌리 덖음 차보다 찻물이 머위 뿌리 특유의 달콤한 첫 맛과 부드럽고 구수한 끝 맛을 내고, 맛과 향이 보다 더 잘 유지되며, 찻물의 색이 진하게 우러나와 맛, 향, 색 및 종합적인 기호도가 현저히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또한,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를 위한 증제 과정, 교반 과정 및 덖음 횟수를 통하여 완성도가 높은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최적화된 제조방법을 확립함으로써, 완성도가 높은 머위 뿌리 덖음 차를 소비자에게 제공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No. 종합적인 기호도
실시예 1 4.9 4.9 4.8 4.9
비교예 1-1 1.7 2.0 2.6 2.3
비교예 1-2 3.2 2.9 2.5 2.7
비교예 1-3 3.4 4.2 2.9 3.5
비교예 2 1.4 3.1 3.4 2.2
비교예 3 2.8 3.0 3.3 3.1

Claims (3)

1) 머위 뿌리를 물 100 중량부에 대해 건쑥, 건감초, 건생강 및 소금을 동량으로 각각 0.4 내지 0.6 중량부를 포함하여 55 내지 65분 동안 달인 물을 이용하여 3 내지 5분 동안 1차 증제하는 단계;
2) 단계 1)의 1차 증제한 머위 뿌리를 미감수 100 중량부에 대해 식초 0.01 내지 0.03 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에 담가 10 내지 12시간 동안 교반하는 단계;
3) 단계 2)의 교반한 머위 뿌리를 단계 1)의 증제와 동일한 방법을 이용하여 3 내지 5분 동안 2차 증제 후 3 내지 5시간 동안 음건하는 단계;
4) 단계 3)의 2차 증제 및 음건한 머위 뿌리를 40 내지 50℃에서 10 내지 12시간 동안 1차 덖음하는 단계; 및
5) 단계 4)의 1차 덖음한 머위 뿌리를 175 내지 185℃에서 습이 없어질 때까지 2차 덖음 후 3 내지 5시간 동안 향가두기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단계 4)의 1차 덖음은 머위 뿌리의 습이 90% 없어질 때까지 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머위 뿌리 덖음 차의 제조방법.

삭제
삭제
KR1020200118960A 2020-09-16 2020-09-16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4994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60A KR102499434B1 (ko) 2020-09-16 2020-09-16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8960A KR102499434B1 (ko) 2020-09-16 2020-09-16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81A KR20220036581A (ko) 2022-03-23
KR102499434B1 true KR102499434B1 (ko) 2023-02-14

Family

ID=8096363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8960A KR102499434B1 (ko) 2020-09-16 2020-09-16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99434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04B1 (ko) * 2012-05-25 2013-02-19 바랑산 영농조합법인 머위 및 돼지감자가 함유된 차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34304B1 (ko) * 2012-05-25 2013-02-19 바랑산 영농조합법인 머위 및 돼지감자가 함유된 차 및 그 제조방법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에 게재된 ‘머위뿌리차’(2019.03.13.)*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6581A (ko) 2022-03-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4012694B (zh) 一种云雾绿茶的制作工艺
KR101867536B1 (ko) 국화, 댓잎, 매화, 난꽃, 회화가 함유된 사군자차 제조방법
CN109548939A (zh) 一种桑叶茶的制备方法
CN108244296A (zh) 一种全发酵蒲公英茯砖茶的制作方法
KR20070032458A (ko) 황칠덖음차 및 그 제조방법
CN108378153A (zh) 一种白茶加工方法
KR101788463B1 (ko) 모링가 커피간장과 이의 제조방법
KR101602679B1 (ko) 그라비올라 액상차의 제조방법 및 이에 의해 제조된 그라비올라 액상차
KR100355114B1 (ko) 연엽차 제조방법
KR100665684B1 (ko) 조릿대 잎차 및 그 제조방법
KR100916196B1 (ko) 발효녹차의 제조방법
KR101079172B1 (ko) 대나무통을 이용한 숙성 대추정과의 제조방법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숙성 대추정과
KR101785022B1 (ko) 방풍잎차 제조방법
CN111345362A (zh) 一种白檀嫩梢叶制作白茶的加工方法
KR102499434B1 (ko) 머위 뿌리 덖음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30049602A (ko) 향미가 강화된 국화차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107B1 (ko) 고욤잎차의 제조방법 및 상기 방법으로 제조된 고욤잎차
KR102076404B1 (ko) 두충잎차의 제조방법
KR102484535B1 (ko) 구절초 꽃 발효숙성 차 및 이의 제조방법
CN112970873A (zh) 一种杜鹃红茶的制作工艺
KR102651233B1 (ko) 메리골드 꽃 발효숙성 차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10071153A (ko) 죽순잎차 제조방법 및 그 방법에 의해 제조된 죽순잎차
KR20090116527A (ko) 제주조릿대 새잎을 이용한 차의 제조방법 그에 의해 제조된 제주조릿대 새잎 차
KR100952877B1 (ko) 헛개차의 제조방법
KR102483968B1 (ko) 더덕 뿌리 발효숙성 차 및 이의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N231 Notification of change of applic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