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93763B1 -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 Google Patents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93763B1
KR102493763B1 KR1020177018521A KR20177018521A KR102493763B1 KR 102493763 B1 KR102493763 B1 KR 102493763B1 KR 1020177018521 A KR1020177018521 A KR 1020177018521A KR 20177018521 A KR20177018521 A KR 20177018521A KR 102493763 B1 KR102493763 B1 KR 10249376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group
substituted
unsubstituted
formula
substitu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185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5274A (ko
Inventor
슈이치 하야시
나오아키 가바사와
다이조우 간다
슌지 모치주키
šœ지 모치주키
차순욱
박상우
송주만
전경석
Original Assignee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7009527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527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9376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9376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01L51/006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3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BORGANIC DYES OR CLOSELY-RELATED COMPOUNDS FOR PRODUCING DYES, e.g. PIGMENTS; MORDANTS; LAKES
    • C09B57/00Other synthetic dyes of known constitution
    • C09B57/008Triarylamine dyes containing no other chromophor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2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 C09K11/025Use of particular materials as binders,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therefor non-luminescent particle coatings or suspension media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11/00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 C09K11/06Luminescent, e.g. electroluminescent, chemiluminescent materials containing organic luminescent materials
    • H01L51/5012
    • H01L51/5024
    • H01L51/5036
    • H01L51/5072
    • H01L51/5088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comprising dopa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1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 H10K50/125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characterised by the electroluminescent [EL] layers specially adapted for multicolour light emission, e.g. for emitting white light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6Electron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31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 H10K85/636Amine compounds having at least two aryl rest on at least one amine-nitrogen atom, e.g. triphenylamine comprising heteroaromatic hydrocarbons as substituents on the nitrogen atom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4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comprising only nitrogen as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07Non-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1Condensed system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03Carbocyclic compounds
    • C09K2211/1014Carbocyclic compounds bridged by heteroatoms, e.g. N, P, Si or B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29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ne nitrogen atom as the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88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xygen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92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sulfur as the only heteroatom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KMATERIALS FOR MISCELLANEOUS APPLICATIONS, NOT PROVIDED FOR ELSEWHERE
    • C09K2211/00Chemical nature of organic luminescent or tenebrescent compounds
    • C09K2211/10Non-macromolecular compounds
    • C09K2211/1018Heterocyclic compounds
    • C09K2211/1025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 C09K2211/1096Heterocyclic compounds characterised by ligands containing other heteroatom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4Carrier transporting layers
    • H10K50/15Hole transporting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10OLEDs or polymer light-emitting diodes [PLED]
    • H10K50/17Carrier injection layer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1An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05Electrodes
    • H10K50/82Cathode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2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four rings, e.g. pyr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15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 H10K85/626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hydrocarbons, e.g. anthracene containing more than one polycyclic condensed aromatic rings, e.g. bis-anthracen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2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nitro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phenanthroline or carbazol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85/00Organic materials used in the body or electrode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85/60Organic compounds having low molecular weight
    • H10K85/649Aromatic compounds comprising a hetero atom
    • H10K85/657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 H10K85/6574Polycyclic condensed heteroaromatic hydrocarbons comprising only oxygen in the heteroaromatic polycondensed ring system, e.g. cumarine dye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Spectroscopy & Molecular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Electroluminescent Light Sources (AREA)
  • Indole Compounds (AREA)

Abstract

고발광효율, 고내구성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용 재료로서, 정공 및 전자의 주입·수송 성능, 전자 전지능력, 박막 상태에서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용의 각종 재료를, 각각의 재료가 가지는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될 수 있도록 조합함으로써, 저구동 전압, 고발광효율이며, 또한, 장수명의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를 제공하는 것이다.
적어도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이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및 전자 억셉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7064121512-pct00175

(식 중, Ar1∼Ar4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Description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본 발명은, 각종 표시 장치에 적합한 자발광(自發光) 소자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관한 것이며, 상세하게는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특정의 아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이하, 유기 EL 소자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음)에 관한 것이다.
유기 EL 소자는 자기 발광성 소자이기 때문에, 액정 소자에 비해 밝아 시인성이 우수하고, 선명한 표시가 가능하기 때문에, 활발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
1987년에 이스트만·코닥사의 C.W.Tang 등은 각종 역할을 각 재료에 분담한 적층 구조 소자를 개발함으로써 유기 재료를 이용한 유기 EL 소자를 실용적인 것으로 만들었다. 이들은 전자를 수송할 수 있는 형광체와 정공을 수송할 수 있는 유기물을 적층하고, 양쪽의 전하를 형광체의 층 안에 주입하여 발광시킴으로써, 10V 이하의 전압으로 1000cd/㎡ 이상의 고휘도를 얻을 수 있게 되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현재까지, 유기 EL 소자의 실용화를 위하여 많은 개량이 이루어지고, 적층 구조의 각종 역할을 더 세분화하여, 기판상에 순차로,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음극을 마련한 전계 발광소자에 의해서 고효율과 내구성을 달성되게 되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1 참조).
또, 발광 효율의 더욱 더 향상을 목적으로 하여 삼중항 여기자의 이용이 시도되고, 인광 발광성 화합물의 이용이 검토되어 있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그리고, 열활성화 지연 형광(TADF)에 의한 발광을 이용하는 소자도 개발되어 있다. 2011년에 큐슈 대학의 아다치(安達) 등은, 열활성화 지연 형광 재료를 이용한 소자에 의해서 5.3%의 외부 양자 효율을 실현시켰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 참조).
발광층은, 일반적으로 호스트 재료라 칭해지는 전하 수송성의 화합물에, 형광성 화합물이나, 인광 발광성 화합물 또는 지연 형광을 방사하는 재료를 도프하여 제작할 수도 있다. 상기 비특허문헌에 기재되어 있는 바와 같이,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의 유기 재료의 선택은, 그 소자의 효율이나 내구성 등 모든 특성에 큰 영향을 준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2 참조).
유기 EL 소자에 있어서는, 양전극으로부터 주입된 전하가 발광층에서 재결합하여 발광이 얻어지지만, 정공, 전자의 양 전하를 얼마나 효율 좋게 발광층에 주고 받을지가 중요하여, 캐리어 밸런스가 우수한 소자로 할 필요가 있다. 또, 정공 주입성을 높여 음극으로부터 주입된 전자를 블록하는 전자 저지성을 높임으로써, 정공과 전자가 재결합하는 확률을 향상시키고, 또한 발광층 내에서 생성한 여기자를 가둠으로써, 고발광효율을 얻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정공 수송 재료가 하는 역할은 중요하며, 정공 주입성이 높고, 정공의 이동도가 크고, 전자 저지성이 높으며, 또한 전자에 대한 내구성이 높은 정공 수송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또, 소자의 수명에 관해서는 재료의 내열성이나 아몰퍼스성도 중요하다. 내열성이 낮은 재료에서는, 소자 구동시에 생기는 열에 의해, 낮은 온도에서도 열분해가 일어나, 재료가 열화된다. 아몰퍼스성이 낮은 재료에서는, 짧은 시간이라도 박막의 결정합이 일어나, 소자가 열화 해 버린다. 이 때문에 사용하는 재료에는 내열성이 높고, 아몰퍼스성이 양호한 성질이 요구된다.
지금까지 유기 EL 소자에 이용되어 온 정공 수송 재료로서는, N,N'-디페닐-N,N'-디(α-나프틸)벤지딘(NPD)이나 여러 가지의 방향족 아민 유도체가 알려져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NPD는 양호한 정공 수송 능력을 가지고 있지만, 내열성의 지표가 되는 유리 전이점(Tg)이 96℃로 낮고, 고온 조건하에서는 결정화에 의한 소자 특성의 저하가 일어나 버린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4 참조). 또한, 상기 특허문헌에 기재된 방향족 아민 유도체 중에는, 정공의 이동도가 10-3㎠/Vs 이상으로 우수한 이동도를 가지는 화합물이 알려져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 참조), 전자 저지성이 불충분하기 때문에, 전자의 일부가 발광층을 빠져나가 버려, 발광 효율의 향상을 기대할 수 없는 등, 한층 더 고효율화 때문에, 보다 전자 저지성이 높고, 박막이 보다 안정적이며 내열성이 높은 재료가 요구되고 있다. 또, 내구성이 높은 방향족 아민 유도체의 보고가 있지만(예를 들면, 특허문헌 3 참조), 전자 사진 감광체에 이용되는 전하 수송 재료로서 이용한 것으로, 유기 EL 소자로서 이용한 예는 없었다.
내열성이나 정공 주입성 등의 특성을 개량한 화합물로서, 치환 카바졸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제안되어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4 및 특허문헌 5 참조). 또, 정공 주입층 혹은 정공 수송층에 있어서, 상기 층에 통상 사용되는 재료에 대해, 또한 트리스브로모페닐아민헥사클로로안티몬, 라디알렌 유도체, F4-TCNQ 등을 P도핑함으로써, 정공 주입성을 높일 수 있는 것이 제안되어 있지만(특허문헌 6 및 비특허문헌 5 참조), 이들의 화합물을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 수송층에 이용한 소자에서는, 저구동 전압화나 내열성이나 발광 효율 등의 개량은 되어 있지만, 아직도 충분하다고는 할 수 없으며, 한층 더 저구동 전압화나, 한층 더 고발광효율합이 요구되고 있다.
유기 EL 소자의 소자 특성의 개선이나 소자 제작의 수율 향상을 위하여, 정공 및 전자의 주입·수송 성능, 박막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조합함으로써, 정공 및 전자가 고효율로 재결합할 수 있는, 발광 효율이 높고, 구동 전압이 낮으며, 장수명인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또, 유기 EL 소자의 소자 특성을 개선시키기 위해서, 정공 및 전자의 주입·수송 성능, 박막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재료를 조합함으로써, 캐리어 밸런스가 잡힌 고효율, 저구동 전압, 장수명인 소자가 요구되고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8-048656호 일본 특허공보 제 3194657호 일본 특허공보 제 494384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6-151979호 국제 공개 제 2008/62636호 국제 공개 제 2014/009310호 국제 공개 제 2005/115970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평 7-126615호 일본 특허공보 평 8-048656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5-108804호 국제 공개 제 2011/059000호 국제 공개 제 2003/060956호 한국 공개특허공보 2013-060157호
응용 물리학회 제 9회 강습회 예고집 55∼61페이지(2001) 응용 물리학회 제 9회 강습회 예고집 23∼31페이지(2001) Appl. Phys. Let., 98, 083302(2011) 유기 EL 토론회 제3회 예회 예고집 13∼14페이지(2006) Appl. Phys. Let., 89, 253506(2006)
본 발명의 목적은, 고발광효율, 고내구성의 유기 EL 소자용 재료로서, 정공 및 전자의 주입·수송 성능, 전자 전지능력, 박막 상태로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유기 EL 소자용의 각종 재료를, 각각의 재료가 가지는 특성이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도록 조합함으로써, 저구동 전압, 고발광효율이며, 또한 장수명의 유기 EL 소자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이 제공하려고 하는 유기 EL 소자가 구비해야 할 물리적인 특성으로서는, (1) 발광 개시전압이 낮은 것, (2) 실용 구동 전압이 낮은 것, (3) 발광 효율 및 전력효율이 높은 것, (4) 장수명인 것, 을 들 수 있다.
그래서 본 발명자들은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서,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아릴아민계의 재료가 정공 주입 및 수송 능력, 박막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것에 착안하여,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선택하고, 양극에서의 정공을 효율 좋게 주입·수송할 수 있도록 하여, 정공 주입층의 재료에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여러 가지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여, 소자의 특성 평가를 예의 행하였다. 또한,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과 전자 억셉터를 도프하지 않은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조합한 여러 가지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하여, 소자의 특성 평가를 예의 행하였다. 그 결과, 본 발명을 완성하기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에 의하면, 이하의 유기 EL 소자가 제공된다.
1) 적어도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이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및 전자 억셉터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EL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1
(식 중, Ar1∼Ar4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2) 상기 발광층에 인접하는 층은 전자 억셉터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에 기재된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3) 상기 전자 억셉터가, 트리스브로모페닐아민헥사클로로안티몬, 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탄(TCNQ),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1,4-벤조퀴논디메탄(F4TCNQ), 라디알렌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전자 억셉터인, 상기 1) 또는 2)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4) 상기 전자 억셉터가,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디알렌 유도체인, 상기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2
(식 중, Ar5∼Ar7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전자 수용체기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5) 상기 정공 수송층이,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6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함유하는, 상기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6) 상기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6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3
(식 중, R1∼R6은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를 표시한다. r1∼r6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r1, r2, r5, r6은 0∼5의 정수를 표시하고, r3, r4는 0∼4의 정수를 표시한다. r1, r2, r5, r6이 2∼5의 정수인 경우, 또는, r3, r4가 2∼4의 정수인 경우, 동일한 벤젠환에 복수개 결합하는 R1∼R6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L1는 2가의 연결기를 표시한다.)
7) 상기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6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하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5)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4
(식 중, R7∼R18은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를 표시한다. r7∼r18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r7, r8, r11, r14, r17, r18는 0∼5의 정수를 표시하고, r9, r10, r12, r13, r15, r16는 0∼4의 정수를 표시한다. r7, r8, r11, r14, r17, r18가 2∼5의 정수인 경우, 또는, r9, r10, r12, r13, r15, r16가 2∼4의 정수인 경우, 동일한 벤젠환에 복수개 결합하는 R7∼R18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L2, L3, L4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2가의 연결기, 혹은 단결합을 표시한다.)
8) 상기 전자 수송층이,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5
(식 중, A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B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표시하며, C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D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며, p, q는, p와 q의 합이 9가 되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p는 7 또는 8을 표시하고, q는 1 또는 2를 표시한다.)
9) 상기 전자 수송층이,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6
(식 중, Ar8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Ar9, Ar10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A는, 하기 구조식(7)로 표시되는 1가기를 표시한다. 여기서, Ar9와 Ar10은 동시에 수소 원자가 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한다.)
[화학식 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7
(식 중, Ar1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표시하고, R19∼R22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R19∼R22와 Ar11이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10) 상기 발광층이, 청색 발광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11) 상기 발광층이, 피렌 유도체인 청색 발광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12) 상기 청색 발광성 도펀트가, 하기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인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0)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화학식 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8
(식 중, A2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Ar12와 Ar13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23∼R26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따라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R23∼R26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27∼R29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R27∼R29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30과 R31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13) 상기 발광층이, 안트라센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14) 상기 발광층이, 안트라센 유도체인 호스트 재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상기 13)에 기재된 유기 EL 소자.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졸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롤리닐기, 아크리디닐기, 및 카르보리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 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 스티릴기, 나프틸비닐기 등의 아릴비닐기; 아세틸기,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 트리메틸시릴기, 트리페닐시릴기 등의 시릴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2) 중의 Ar5∼Ar7로 표시되는 「전자 수용체기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전자 수용체기」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니트로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2) 중의 Ar5∼Ar7로 표시되는 「전자 수용체기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전자 수용체기 이외에도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 혹은 전자 수용체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그리고,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2-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 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n-프로필옥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n-부틸옥시기, tert-부틸옥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시클로헵틸옥시기, 시클로옥틸옥시기, 1-아다만틸옥시기, 2-아다만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옥시기, 비페닐릴옥시기, 터페닐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안트라세닐옥시기, 페난트레닐옥시기, 플루오레닐옥시기, 인데닐옥시기, 피레닐옥시기, 페릴레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3)에 있어서, r1∼r6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r1, r2, r5, r6은 0∼5의 정수를 표시하고, r3, r4는 0∼4의 정수를 표시한다. r1, r2, r5, r6가 2∼5의 정수인 경우, 또는, r3, r4가 2∼4의 정수인 경우, 동일한 벤젠환에 복수개 결합하는 R1∼R6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3) 중의 L1로 표시되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메틸렌기, 에틸렌기, n-프로필렌기, 이소프로필렌기, n-부틸렌기, 이소부틸렌기, tert-부틸렌기, n-펜틸렌기, 이소펜틸렌기, 네오펜틸렌기, n-헥실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렌기」;시클로펜틸렌기, 시클로헥실렌기, 아다만틸렌기 등의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렌기」;비닐렌기, 아릴렌기, 이소프로페닐렌기, 부텐일렌 등의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렌기」;벤젠, 비페닐, 터페닐, 테트라키스페닐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나프탈렌, 안트라센, 아세나프탈렌, 플루오렌, 페난트렌, 인단, 피렌, 트리페닐렌 등의 축합다환 방향족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와 같은 2가기를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2가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렌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렌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렌기」의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의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4) 중의 R7∼R1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4) 중의 R7∼R1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 중의 R1∼R6으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4) 중의 R7∼R18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4) 중의 R7∼R18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 중의 R1∼R6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4)에 있어서, r7∼r18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r7, r8, r11, r14, r17, r18는 0∼5의 정수를 표시하고, r9, r10, r12, r13, r15, r16은 0∼4의 정수를 표시한다. r7, r8, r11, r14, r17, r18이 2∼5의 정수인 경우, 또는, r9, r10, r12, r13, r15, r16이 2∼4의 정수인 경우, 동일한 벤젠환에 복수개 결합하는 R7∼R18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4) 중의 L2, L3, L4로 표시되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상기 일반식(3) 중의 L1로 표시되는 「2가의 연결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 중의 A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에 있어서의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으로서는, 구체적으로, 벤젠, 비페닐, 터페닐, 테트라키스페닐, 스티렌, 나프탈렌, 안트라센, 아세나프탈렌, 플루오렌, 페난트렌, 인단, 피렌, 트리페닐렌, 피리딘, 피리미딘, 트리아진, 피롤, 퓨란, 티오펜, 키놀린, 이소 키놀린, 벤조푸란, 벤조티오펜, 인돌린, 카바졸, 카르볼린, 벤조옥사졸, 벤조티아졸, 퀴녹살린, 벤조이미다졸, 피라졸, 디벤조푸란, 디벤조티오펜, 나프티리딘, 페난트롤린, 아크리딘 등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식(5) 중의 A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는,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 2가기를 표시한다.
또, 이들의 2가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 중의 B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트리아지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및 카르보닐기 등을 들 수 있다.
일반식(5) 중의 B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등의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1-아다만틸옥시기, 2-아다만틸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 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 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페닐옥시기, 비페닐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안트라세닐옥시기, 페난트레닐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스티릴기, 나프틸비닐기 등의 아릴비닐기; 아세틸기,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5) 중의 C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가 동일한 안트라센환에 복수개 결합하고 있는 경우(q가 2인 경우),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은 것으로 한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 중의 D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등을 들 수 있다.
또, 복수개 존재하는 D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5) 중의 D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복수개 존재하는 D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6) 중의 Ar8, Ar9, Ar10으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테트라키스페닐기, 스티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푸릴기, 티에닐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다.
일반식(6) 중의 Ar8, Ar9, Ar10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비닐기, 알릴기 등의 알케닐기;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 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피리딜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카르보리닐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스티릴기, 나프틸비닐기 등의 아릴비닐기;아세틸기,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고, 이들의 치환기와 상기 치환기가 결합하고 있는 Ar8, Ar9 혹은 Ar10이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구조식(7) 중의 Ar1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트리아지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카르보리닐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6) 중의 Ar8, Ar9, Ar10으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구조식(7) 중의 R19∼R22로 표시되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i-프로필기, n-부틸기, 2-메틸프로필기, t-부틸기, n-펜틸기, 3-메틸부틸기, tert-펜틸기, n-헥실기, iso-헥실기 및 tert-헥실기를 들 수 있다.
구조식(7) 중의 R19∼R22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테트라키스페닐기, 스티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트리아지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티에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카르보리닐기, 페녹사디닐기, 페노티아지닐기, 페나진일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6) 중의 Ar8, Ar9, Ar10으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A2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에 있어서의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으로서는, 상기 일반식(5) 중의 A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에 있어서의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그리고, 일반식(8) 중의 A2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는, 상기 「방향족 탄화수소」, 「방향족 복소환」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 2가기를 표시한다.
또, 이들의 2가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Ar12, Ar13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Ar12와 Ar13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2-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이들의 기(R23∼R29)와 이들의 기(R23∼R29)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벤젠환으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알릴기 등의 알케닐기;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디페닐아미노기, 디나프틸아미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디피리딜아미노기, 디티에닐아미노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방향족 탄화수소기,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n-프로필옥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n-부틸옥시기, tert-부틸옥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시클로헵틸옥시기, 시클로옥틸옥시기, 1-아다만틸옥시기, 2-아다만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이들의 기(R23∼R29)와 이들의 기(R23∼R29)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벤젠환으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이들의 기(R23∼R29)와 이들의 기(R23∼R29)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벤젠환으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알릴기 등의 알케닐기;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스티릴기, 나프틸비닐기 등의 아릴비닐기;아세틸기, 벤조일기 등의 아실기;트리메틸시릴기, 트리페닐시릴기 등의 시릴기;디페닐아미노기, 디나프틸아미노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디피리딜아미노기, 디티에닐아미노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방향족 탄화수소기,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방향족 복소환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로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옥시기, 비페닐릴옥시기, 터페닐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안트라세닐옥시기, 페난트레닐옥시기, 플루오레닐옥시기, 인데닐옥시기, 피레닐옥시기, 페릴레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이들의 기(R23∼R29)와 이들의 기(R23∼R29)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벤젠환으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23∼R26로 표시되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따라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23∼R26로 표시되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따라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는, 이들의 기(R23∼R26)끼리가, 이들의 기(R23∼R26)가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통하면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이들의 기(R23∼R26)와 이들의 기(R23∼R26)가 직접 결합되어 있는 벤젠환으로, 이들의 기(R23∼R26)가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통하면서,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30, R31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30, R3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R30, R31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8) 중의 연결기 「1치환 아미노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의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의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8) 중의 R23∼R29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1) 중의 Ar1∼Ar4로서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디벤조푸라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1)에 있어서,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중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고,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비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또,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축합 방향환을 형성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층에 있어서,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에 도프되는 전자 억셉터로서는, 트리스브로모페닐아민헥사클로로안티몬, 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탄(TCNQ), 2,3,5,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1,4-벤조퀴논디메탄(F4TCNQ), 라디알렌 유도체(예를 들면,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1-100621호 참조) 등을 들 수 있고,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디알렌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일반식(2) 중의 Ar5∼Ar7로서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피리딜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피리딜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전자 수용체기」로서는,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2) 중의 Ar5∼Ar7는,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완전히 「전자 수용체기」로 치환되어 있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일반식(2) 중의 Ar5∼Ar7로서는, 테트라플루오로피리딜기, 테트라플루오로-(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시아노-테트라플루오로페닐기, 디클로로-디플루오로-(트리플루오로메틸)페닐기, 펜타플루오로페닐기 등의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또는 트리플루오로메틸기로 완전히 치환된 페닐기 혹은 피리딜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3) 중의 R1∼R6로서는, 중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고,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비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축합 방향환을 형성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특히,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3) 중의 r1∼r6로서는, 0∼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3) 중의 L1로 표시되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메틸렌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렌기」,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바람직하고, 하기 구조식(B)∼(G)로 나타내는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며, 하기 구조식(B)로 나타내는 2가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화학식 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09
(식 중, n1은 1∼3의 정수를 표시한다.)
[화학식 1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0
[화학식 1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1
[화학식 1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2
[화학식 1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3
[화학식 1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4
일반식(4) 중의 R7∼R18로서는, 중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고,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비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며,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축합 방향환을 형성하는 경우도 바람직하다. 특히, 중수소 원자, 페닐기, 비페닐릴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4) 중의 r7∼r18로서는, 0∼3의 정수인 것이 바람직하고, 0∼2의 정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4) 중의 L2∼L4로 표시되는 「2가의 연결기」로서는, 메틸렌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렌기」,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바람직하고, 상기 구조식(B)∼(G)로 나타내는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5) 중의 B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복소환기」로서는,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롤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및 카르보리닐기 등의 함질소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인돌릴기, 피라졸릴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및 카르보리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5) 중의 p, q는, p와 q의 합(p+q)가 9가 되는 관계를 유지하는 것으로 하고, p는 7 또는 8을 표시하며, q는 1 또는 2를 표시한다.
일반식(5) 중의 A1로서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가 바람직하고, 벤젠, 비페닐, 나프탈렌, 또는 페난트렌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 2가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일반식(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하기 일반식(5a), 일반식(5b) 또는 일반식(5c)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식 1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5
(식 중, A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Ar14, Ar15, Ar16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R32∼R38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X1, X2, X3, X4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1, X2, X3, X4 중 어느 하나만이 질소 원자인 것으로 하고, 이 경우의 질소 원자는 R32∼R35의 수소 원자 혹은 치환기를 가지지 않은 것으로 한다.)
[화학식 1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6
(식 중, A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Ar17, Ar18, Ar19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화학식 1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7
(식 중, A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Ar20, Ar21, Ar22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며, R39는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를 표시한다.)
일반식(5a) 중의 Ar14, Ar15, Ar16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기, 에틸기, n-프로필기, 이소프로필기, n-부틸기, 이소부틸기, tert-부틸기, n-펜틸기, 이소펜틸기, 네오펜틸기, n-헥실기, 시클로펜틸기, 시클로헥실기, 1-아다만틸기, 2-아다만틸기, 비닐기, 알릴기, 이소프로페닐기, 2-부테닐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로서는, 구체적으로, 중수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불소 원자, 염소 원자, 브롬 원자, 요오드 원자 등의 할로겐 원자;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프로필옥시기 등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알릴기 등의 알케닐기;페닐옥시기, 토릴옥시기 등의 아릴옥시기;벤질옥시기, 페네틸옥시기 등의 아릴알킬옥시기;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트리아지닐기, 티에닐기, 푸릴기, 피로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벤조푸라닐기, 벤조티에닐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 카르보리닐기 등의 방향족 복소환기와 같은 기를 들 수 있고, 이들의 치환기는 상기 예시한 치환기가 더 치환되어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치환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메틸옥시기, 에틸옥시기, n-프로필옥시기, 이소프로필옥시기, n-부틸옥시기, tert-부틸옥시기, n-펜틸옥시기, n-헥실옥시기, 시클로펜틸옥시기, 시클로헥실옥시기, 시클로헵틸옥시기, 시클로옥틸옥시기, 1-아다만틸옥시기, 2-아다만틸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구체적으로, 페닐옥시기, 비페닐릴옥시기, 터페닐릴옥시기, 나프틸옥시기, 안트라세닐옥시기, 페난트레닐옥시기, 플루오레닐옥시기, 인데닐옥시기, 피레닐옥시기, 페릴레닐옥시기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의 기끼리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a)에 있어서, X1, X2, X3, X4는 탄소 원자 또는 질소 원자를 나타내고, X1, X2, X3, X4 중 어느 하나만이 질소 원자(나머지는 탄소 원자)인 것으로 한다. 이 경우의 질소 원자는 R32∼R35의 수소 원자 혹은 치환기를 갖지 않는 것으로 한다. 즉, X1이 질소 원자인 경우는 R32가, X2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R33이, X3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R34가, X4가 질소 원자인 경우는 R35가 존재하지 않는 것을 의미한다.
일반식(5a)에 있어서, X3이 질소 원자(X1, X2, X4가 탄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 R34의 수소 원자 혹은 치환기는 존재하지 않는다.
또, 연결기(L1)의 결합 위치는, 피리도인돌환의 질소 원자의 파라위(位)에 상당하는 위치에 결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5b) 중의 Ar17, Ar18, Ar1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c) 중의 Ar20, Ar21, Ar22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c) 중의 R3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로서는,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c) 중의 R39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로서는,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있어서의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또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치환기를 가지는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c) 중의 R3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5c) 중의 R39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로서는, 상기 일반식(5a) 중의 R32∼R38로 표시되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에 있어서의 「아릴옥시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또, 이들의 기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고, 치환기로서, 상기 일반식(1) 중의 Ar1∼Ar4로 표시되는 「치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축합다환 방향족기」에 있어서의 「치환기」에 관하여 나타낸 것과 같은 것을 들 수 있고, 취할 수 있는 형태도, 같은 것을 들 수 있다.
일반식(6) 중의 Ar8로서는,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안트라세닐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혹은 푸릴기, 벤조푸라닐기,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티에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함유황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피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가 보다 바람직하다. 여기서, 페닐기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혹은 페닐기를 치환기로서 가지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피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혹은 페닐기로부터 선택되는 치환기를 가지고 있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가지는 치환기와 페닐기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식(6) 중의 Ar9로서는,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혹은 푸릴기, 벤조푸라닐기,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티에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함유황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페닐기의 치환기로서는,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나프틸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등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혹은 푸릴기, 벤조푸라닐기,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티에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함유황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피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가지는 치환기와 페닐기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식(6) 중의 Ar10로서는, 수소 원자, 치환기를 가지는 페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혹은 푸릴기, 벤조푸라닐기,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티에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함유황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페닐기의 치환기로서는, 페닐기, 비페닐릴기, 터페닐기 등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나프틸기, 아세나프테닐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레닐기, 페릴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등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혹은 푸릴기, 벤조푸라닐기, 디벤조푸라닐기와 같은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티에닐기, 벤조티에닐기, 디벤조티에닐기와 같은 함유황 방향족 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플루오레닐기, 피레닐기, 플루오란테닐기, 트리페니레닐기, 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벤조푸라닐기, 디벤조티에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가지는 치환기와 페닐기가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일반식(6)에 있어서, Ar8와 Ar9가 동일하지 않은 것이, 박막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여기서, Ar8와 Ar9가 동일한 기인 경우, 다른 치환기라도 좋고, 혹은, 다른 치환 위치라도 좋다.
일반식(6)에 있어서, Ar9와 Ar10은 동일한 기라도 좋지만, 분자 전체의 대칭성이 좋아짐으로써 결정화되기 쉬워질 우려가 있어, 박막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Ar9와 Ar10은 다른 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Ar9와 Ar10이 동시에 수소 원자로는 되지 않는 것으로 한다.
또, Ar9와 Ar10의 한쪽이 수소 원자인 것이 바람직하다.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로서는, 치환기의 결합 양식이 다른, 하기 일반식(6a), 일반식(6b)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있다.
[화학식 1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8
(식 중, Ar8, Ar9, Ar10, A는, 상기 일반식(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화학식 1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19
(식 중, Ar8, Ar9, Ar10, A는, 상기 일반식(6)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구조식(7) 중의 Ar11로서는, 트리아지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피롤릴기, 퀴놀릴기, 이소퀴놀릴기, 인돌릴기, 카바졸릴기, 벤조옥사졸릴기, 벤조티아졸릴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피라졸릴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카르보리닐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등의 함질소복소환기가 바람직하고, 트리아지닐기,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인돌릴기, 퀴녹살리닐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피리딜기, 피리미디닐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인돌릴기, 아자플루오레닐기, 디아자플루오레닐기, 퀴녹살리닐기, 벤조이미다조릴기, 나프티리디닐기, 페난트로리닐기, 아크리딘일기, 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 디아자스피로비플루오레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구조식(7)에 있어서, 벤젠환에 있어서의 Ar11의 결합 위치는, 하기 구조식(7 a)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일반식(6)에 나타내는 피리미딘환과의 결합 위치에 대해, 메타위(位)인 것이, 박막의 안정성의 관점에서 바람직하다.
[화학식 2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0
(식 중, Ar11, R19∼R22는, 상기 구조식(7)에 기재한 바와 같은 의미이다.)
일반식(8) 중의 A2로서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바람직하고, 벤젠, 비페닐, 또는 나프탈렌으로부터 수소 원자를 2개 제거하여 생기는 2가기, 혹은 단결합이 보다 바람직하며, 단결합이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8) 중의 Ar12, Ar13로서는,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리딜기, 디벤조푸라닐기, 피리도벤조푸라닐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8) 중의 Ar12와 Ar13는 직접, 혹은 그들의 기가 가지는 치환기를 통하면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일반식(8) 중의 R23∼R26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가,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따라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인 것이 바람직하고, 이 경우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는, 페닐기, 비페닐릴기, 나프틸기, 플루오레닐기, 인데닐기, 피리딜기, 디벤조푸라닐기, 피리도벤조푸라닐기가 바람직하다.
일반식(8)에 있어서, R23∼R26가 서로 이웃하는 2개, 혹은 모두가 비닐기로서, 서로 이웃하는 2개의 비닐기가 단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축합환을 형성하는 형태, 즉, R23∼R26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함께 나프탈렌환, 혹은 페난트렌환을 형성하는 형태도 바람직하다.
일반식(8)에 있어서, R23∼R26 중 어느 하나가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 R23∼R26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페닐기로서, R23∼R26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산소 원자 혹은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 즉, R23∼R26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함께 디벤조푸란환, 혹은 디벤조티오펜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일반식(8)에 있어서, R27∼R29 중 어느 하나가 「방향족 탄화수소기」로서, R27∼R29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하다. 이 경우의 「방향족 탄화수소기」가 페닐기로서, R27∼R29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산소 원자 혹은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 즉 디벤조푸란환, 혹은 디벤조티오펜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 중에서, R23∼R29가 이들의 기끼리로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 또는, R23∼R29와 R23∼R29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이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로서, 하기 일반식(8a-a), (8a-b), (8b-a), (8b-b), (8b-c), (8b-d), (8c-a) 혹은 (8c-b)로 표시되는 형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식 2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1
(식 중, X, Y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산소 원자 혹은 유황원자를 표시하며, A2, Ar12, Ar13, R23∼R26, R29, R30∼R31은, 상기 일반식(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일반식(8) 중의 R30, R31로서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함산소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가 바람직하고, 페닐기, 나프틸기, 페난트레닐기, 피리딜기, 퀴놀릴기, 이소퀴노릴기, 디벤조푸라닐기가 보다 바람직하고, 페닐기가 특히 바람직하다.
그리고, R30와 R31가,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1 치환 아미노기 등의 연결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바람직하고, 단결합을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가 특히 바람직하다.
이상과 같이,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 중에서, R30과 R31이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는 형태로서, 하기 일반식(8a-a1), (8a-b1), (8b-a1), (8b-b1), (8b-c1), (8b-d1), (8c-a1) 혹은 (8c-b1)로 표시되는 형태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화학식 2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2
(식 중, X, Y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산소 원자 혹은 유황원자를 표시하며, A2, Ar12, Ar13, R23∼R26, R29는, 상기 일반식(8)에서 나타낸 바와 같은 의미를 나타낸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 수송층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정공의 이동도가 높고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 수송층의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디알렌 유도체는,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층 혹은 정공 수송층에 통상 사용되는 재료에 대한 P도핑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4개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층 또는 정공 수송층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은,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의 구성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는,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의 구성 재료로서 사용할 수 있다. 종래의 재료에 비해 발광 효율이 우수하고, 발광층의 도펀트 재료로서, 바람직한 화합물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정공의 주입·수송 성능, 박막의 안정성이나 내구성이 우수한 유기 EL 소자용 재료를, 캐리어 밸런스를 고려하면서 조합하고 있기 때문에, 종래의 유기 EL 소자에 비해, 양극에서 정공 수송층으로의 정공 수송 효율이 향상됨(또한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정공 수송층에 이용함)으로써, 저구동 전압을 유지하면서,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저구동 전압, 고발광효율, 또한 장수명의 유기 EL 소자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되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정공 주입층의 재료로서 정공의 주입·수송의 역할을 효과적으로 발현할 수 있는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선택하여, 전자 억셉터를 P도핑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 정공 수송층으로 정공을 효율 좋게 주입·수송할 수 있고, 발광층으로의 정공의 주입·수송 효율이 향상됨으로써, 정공 주입·수송 성능이 우수하여, 저구동 전압으로, 고발광효율의 유기 EL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또한,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P도핑하지 않고, 정공 수송층의 재료에 선택함으로써, 캐리어 밸런스를 정치화할 수 있도록 조합하고, 저구동 전압으로서, 고발광효율, 또한 장수명의 유기 EL 소자를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종래의 유기 EL 소자의 저구동 전압을 유지하면서, 발광 효율, 특히 내구성을 개량할 수 있다.
도 1은, 실시예 52∼59, 비교예 1∼8의 유기 EL 소자 구성을 나타낸 도이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2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3
[화학식 2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4
[화학식 2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5
[화학식 2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6
[화학식 2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7
[화학식 2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8
[화학식 2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29
[화학식 3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0
[화학식 3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1
한편, 상술한 아릴아민 화합물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합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7 참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2
[화학식 3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3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6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 중의,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에 대하여,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외에,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4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5
[화학식 3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6
한편,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및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준하여 합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8∼10 참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5a)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7
[화학식 3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8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5b)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3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39
[화학식 4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0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5c)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4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1
[화학식 4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2
[화학식 4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3
한편, 상술한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1∼13 참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본 발명은,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4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4
[화학식 4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5
[화학식 4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6
[화학식 4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7
[화학식 4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8
[화학식 4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49
[화학식 5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0
[화학식 5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1
[화학식 5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2
[화학식 5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3
[화학식 5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4
[화학식 5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5
[화학식 5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6
[화학식 5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7
[화학식 5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8
[화학식 5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59
[화학식 6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0
[화학식 6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1
[화학식 6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2
[화학식 6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3
[화학식 6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4
[화학식 6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5
한편, 상술한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은, 그 자체 공지의 방법에 따라 합성할 수 있다(예를 들면, 특허문헌 13 참조).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적합하게 이용되는, 상기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 중에서, 바람직한 화합물의 구체적인 예를 이하에 나타내지만, 이들의 화합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화학식 6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6
[화학식 6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7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의 정제는 컬럼 크로마토 그래프에 의한 정제, 실리카 겔, 활성탄, 활성 백토 등에 의한 흡착 정제, 용매에 의한 재결정이나 정석법, 승화 정제법 등에 의하여 행하였다. 화합물의 분류는, NMR 분석에 의하여 행하였다. 물성치로서 융점, 유리 전이점(Tg)과 일함수의 측정을 행하였다. 융점은 증착성의 지표가 되는 것이며, 유리 전이점(Tg)은 박막 상태의 안정성의 지표가 되고, 일함수는 정공 수송성이나 정공 저지성의 지표가 되는 것이다.
그 외,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 이용되는 화합물은, 컬럼 크로마토 그래프에 의한 정제, 실리카 겔, 활성탄, 활성 백토 등에 의한 흡착 정제, 용매에 의한 재결정이나 정석법 등에 의하여 정제를 행한 후, 마지막에 승화 정제법에 따라 정제한 것을 이용했다.
융점과 유리 전이점(Tg)은, 분체를 이용하고 고감도 시차주사 열량계(불카·에이엑스에스(Bruker Corporation) 제, DSC3100SA)에 의하여 측정했다.
일함수는, ITO 기판상에 100㎚의 박막을 제작하고, 이온화 포텐셜 측정 장치(스미토모쥬기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住友重機械工業株式會社), PYS-202)에 의하여 구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구조로서는, 기판상에 순차로,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전자 주입층 및 음극으로 이루어지는 것, 또, 정공 수송층과 발광층의 사이에 전자 저지층을 가지는 것, 발광층과 전자 수송층의 사이에 정공 저지층을 가지는 것을 들 수 있다. 이들의 다층 구조에 있어서는 유기층을 몇 층 정도 생략 혹은 겸하는 것이 가능하고, 예를 들면 전자 주입층과 전자 수송층을 겸한 구성으로 하는 것, 등도 가능하다. 또, 동일한 기능을 가지는 유기층을 2층 이상 적층한 구성으로 하는 것이 가능하고, 정공 수송층을 2층 적층한 구성, 발광층을 2층 적층한 구성, 전자 수송층을 2층 적층한 구성, 등도 가능하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양극으로서는, ITO나 금과 같은 일함수가 큰 전극 재료가 이용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정공 주입층으로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에 대해, 전자 억셉터를 P도핑한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과 혼합 혹은 동시에 사용할 수 있는, 정공 주입·수송성의 재료로서는, 스타버스트형의 트리페닐아민 유도체, 여러 가지의 트리페닐아민 4량체 등의 재료;구리 프탈로시아닌으로 대표되는 포르피린 화합물;헥사시아노아자 트리페닐렌과 같은 억셉터성의 복소환화합물이나 도포형의 고분자 재료,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정공 수송층으로서는,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또한, P도핑 하지 않은 것이 적합하게 이용된다.
이들은, 단독으로 성막해도 좋지만, 다른 정공 수송성의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성막한 단층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단독으로 성막한 층끼리, 혼합하여 성막한 층끼리, 또는 단독으로 성막한 층과 혼합하여 성막한 층의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전자 저지층으로서는,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 외,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4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 4,4',4"-트리(N-카바졸릴)트리페닐아민(TCTA), 9,9-비스[4-(카바졸-9-일)페닐]플루오렌, 1,3-비스(카바졸-9-일)벤젠(mCP), 2,2-비스(4-카바졸-9-일페닐)아다만탄(Ad-Cz) 등의 카바졸 유도체, 9-[4-(카바졸-9-일)페닐]-9-[4-(트리페닐시릴)페닐]-9H-플루오렌으로 대표되는 트리페닐시릴기와 트리아릴아민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등의 전자 저지작용을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성막해도 좋지만, 다른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성막한 단층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단독으로 성막한 층끼리, 혼합하여 성막한 층끼리, 또는 단독으로 성막한 층과 혼합하여 성막한 층의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발광층에 인접하는 층(예를 들면, 정공 수송층, 전자 저지층 등)에 있어서, 전자 억셉터를 P도핑 하지 않은 것이 바람직하다.
이들의 층에는, 상기 일반식(3)으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상기 일반식(4)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적합하게 이용되며, 상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이 특히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또, 이들 층의 막 두께는, 통상 이용되는 막 두께이면 특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를 들면, 정공 수송층으로서는 20∼100㎚, 전자 저지층으로서는 5∼30㎚로 이용된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발광층으로서 Alq3를 비롯하는 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외, 각종 금속 착체, 안트라센 유도체, 비스스티릴벤젠 유도체, 피렌 유도체, 옥사졸 유도체, 폴리파라페닐렌비닐렌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발광층을 호스트 재료와 도펀트 재료로 구성해도 좋고, 호스트 재료로서는, 안트라센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 외, 상기 발광재료에 더하여 티아졸 유도체, 벤즈이미다졸 유도체, 폴리디알킬플루오렌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또 도펀트 재료로서는, 피렌 유도체, 상기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가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 외, 퀴나크리돈, 쿠마린, 루브렌, 페릴렌, 및 그들의 유도체, 벤조피란 유도체, 인데노페난트렌 유도체, 로다민 유도체, 아미노 스티릴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성막해도 좋지만, 다른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성막한 단층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단독으로 성막한 층끼리, 혼합하여 성막한 층끼리, 또는 단독으로 성막한 층과 혼합하여 성막한 층의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또, 발광재료로서 인광 발광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인광 발광체로서는, 이리듐이나 백금 등의 금속 착체의 인광 발광체를 사용할 수 있다. Ir(ppy)3 등의 녹색의 인광 발광체, FIrpic, Fir6 등의 청색의 인광 발광체, Btp2Ir(acac) 등 적색의 인광 발광체 등이 이용되고, 이때의 호스트 재료로서는 정공 주입·수송성의 호스트 재료로서 4,4'-디(N-카바졸릴)비페닐(CBP)이나 TCTA, mCP 등의 카바졸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전자 수송성의 호스트 재료로서 p-비스(트리페닐시릴)벤젠(UGH2)이나 2,2',2"-(1,3,5-페닐렌)-트리스(1-페닐-1H-벤즈이미다졸)(TPBI) 등을 이용할 수 있어, 고성능의 유기 EL 소자를 제작할 수 있다.
인광성의 발광재료의 호스트 재료로의 도프는 농도 소광(消光)을 피하기 위해, 발광층 전체에 대하여 1∼30중량 퍼센트의 범위에서, 공증착에 의하여 도프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발광재료로서 PIC-TRZ, CC2TA, PXZ-TRZ, 4CzIPN 등의 cdCB 유도체 등의 지연 형광을 방사하는 재료를 사용하는 것도 가능하다(예를 들면, 비특허문헌 3 참조).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정공 저지층으로서, 배소쿠프로인 (bathocuproine)(BCP) 등의 페난트롤린 유도체나, 알루미늄(Ⅲ)비스(2-메틸-8-퀴놀리네이트)-4-페닐페놀레이트(BAlq) 등의 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외, 각종 희토류 착체,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등, 정공 저지작용을 가지는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의 재료는 전자 수송층의 재료를 겸해도 좋다. 이들은, 단독으로 성막해도 좋지만, 다른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성막한 단층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단독으로 성막한 층끼리, 혼합하여 성막한 층끼리, 또는 단독으로 성막한 층과 혼합하여 성막한 층의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전자 수송층으로서는, 상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 또는 상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이 바람직하게 이용되지만, 그 외, Alq3, BAlq를 비롯하는 퀴놀리놀 유도체의 금속 착체, 각종 금속 착체, 트리아졸 유도체, 트리아진 유도체, 옥사디아졸 유도체, 티아디아졸 유도체, 카보디이미드 유도체, 퀴녹살린 유도체, 페난트롤린 유도체, 실롤 유도체 등을 이용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으로 성막해도 좋지만, 다른 재료와 함께 혼합하여 성막한 단층으로서 사용해도 좋고, 단독으로 성막한 층끼리, 혼합하여 성막한 층끼리, 또는 단독으로 성막한 층과 혼합하여 성막한 층의 적층 구조로 해도 좋다. 이들의 재료는 증착법 외, 스핀 코트법이나 잉크젯법 등의 공지의 방법에 따라 박막 형성을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전자 주입층으로서, 불화 리튬, 불화 세슘 등의 알칼리 금속염, 불화 마그네슘 등의 알칼리토류 금속염, 산화 알류미늄 등의 금속 산화물 등을 이용할 수 있지만, 전자 수송층과 음극이 바람직한 선택에 있어서는, 이것을 생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의 음극으로서, 알루미늄과 같은 일함수가 낮은 전극 재료나, 마그네슘 은합금, 마그네슘 인듐 합금, 알루미늄 마그네슘 합금과 같은, 보다 일함수가 낮은 합금이 전극 재료로서 이용된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대하여, 실시예에 의해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하의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4,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4-일)-페닐아민 39.5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32.4g, 동분(銅粉) 0.42g, 탄산칼륨 27.8g, 3,5-디-tert-부틸살리실산 1.69g, 아황산수소나트륨 2.09g, 도데실벤젠 32ml, 톨루엔 50ml를 더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했다. 30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50ml, 메탄올 10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5/1, v/v)의 혼합 용액 500ml로 세정한 후, 1,2-디클로로벤젠 35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메탄올 4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 500ml를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의 회색 분체 45.8g(수율 91%)을 얻었다.
얻어진 회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同定)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8
[화학식 6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69
실시예 2
〈4,4"-비스{(비페닐-4-일)-4-트릴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0)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4-일)-4-트릴아민 16.7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2.9g, 동분(銅粉) 0.17g, 탄산칼륨 11.2g, 3,5-디-tert-부틸살리실산 0.71g, 아황산수소나트륨 0.89g, 도데실벤젠 20ml, 톨루엔 20ml를 더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하고, 28시간 교반했다. 냉각한 후, 톨루엔 150ml를 더하여,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메탄올 1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조제물(粗製物)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톨루엔/메탄올의 혼합 용매로 재결정을 3회 반복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4-트릴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0)의 황백색 분체 12.3g(수율 61%)을 얻었다.
얻어진 황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0
[화학식 6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1
실시예 3
〈4,4"-비스{(비페닐-4-일)-(페닐-d5)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4)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4-일)-(페닐-d5)아민 25.3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20.3g, 동분 0.30g, 탄산칼륨 17.5g, 3,5-디-tert-부틸살리실산 1.05g, 아황산수소나트륨 1.31g, 도데실벤젠 20ml, 톨루엔 30ml를 더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했다. 23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30ml, 메탄올 6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1/5, v/v)의 혼합 용액 180ml로 세정한 후, 메탄올 90ml로 세정했다. 얻어진 회색 분체를 1,2-디클로로벤젠 21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메탄올 21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 210ml를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페닐-d5)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4)의 회색 분체 29.3g(수율 96%)을 얻었다.
얻어진 회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3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2
[화 7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3
실시예 4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의 합성〉
반응 용기에, (나프탈렌-1-일)-페닐아민 40.0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43.7g, 동분 0.53g, 탄산칼륨 34.4g, 3, 5-디-tert-부틸살리실산 2.08g, 아황산수소나트륨 2.60g, 도데실벤젠 40ml, 크실렌 40ml를 더하여, 크실렌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했다. 35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1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얻어진 고체에 1,2-디클로로벤젠 21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하고, 실리카 겔 30g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의 담황색 분체 21.9g(수율 40%)을 얻었다.
얻어진 담황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36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4
[화학식 7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5
실시예 5
〈4,4"-비스{(나프탈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의 합성〉
반응 용기에, (나프탈렌-2-일)-페닐아민 50.0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50.0g, tert-부톡시나트륨 23.9g, 크실렌 500ml를 더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1시간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초산 팔라듐 0.47g, 트리-tert-부틸포스핀의 50%(w/v) 톨루엔 용액 2.96ml를 더하여 120℃까지 가열하고, 15시간 교반했다. 방랭한 후, 감압하로 농축하고, 메탄올 30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 30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하여, 실리카 겔 140g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감압하로 농축하고, 1,2-디클로로벤젠 250ml를 이용한 재결정에 의한 정제를 행한 후,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나프탈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의 백색 분체 51.0g(수율 74%)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36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6
[화학식 7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7
실시예 6
〈4,4"-비스[{(비페닐-2',3',4',5',6'-d5)-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1)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2',3',4',5',6'-d5)-4-일}-페닐아민 24.8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9.9g, 동분 0.26g, 탄산칼륨 17.2g, 3, 5-디-tert-부틸살리실산 2.06g, 아황산수소나트륨 1.30g, 도데실벤젠 20ml를 더하여 215℃까지 가열했다. 21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30ml, 메탄올 6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1/5, v/v)의 혼합 용액으로 세정했다. 얻어진 고체에 1,2-디클로로벤젠 30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메탄올 300ml를 더하여 석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2',3',4',5',6'-d5)-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1)의 황색 분체 25.5g(수율 85%)을 얻었다.
얻어진 황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3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8
[화학식 73]
Figure 112017064121512-pct00079
실시예 7
〈4,4"-비스{(비페닐-3-일)-(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2)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3-일)-(비페닐-4-일)아민 16.1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1.0g, 동분 0.29g, 탄산칼륨 9.46g, 3,5-디-tert-부틸살리실산 1.14g, 아황산수소나트륨 0.71g, 도데실벤젠 22ml를 더하여 220℃까지 가열했다. 34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헵탄을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 20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하고, 실리카 겔 50g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감압하 농축한 후, 톨루엔, 아세톤을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한 정석(晶析), 계속하여, 아세톤을 이용한 정석, 1,2-디클로로메탄을 이용한 정석, 메탄올을 이용한 정석을 더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3-일)-(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2)의 담황색 분체 25.5g(수율 77%)을 얻었다.
얻어진 담황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0
[화학식 74]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1
실시예 8
〈4,4"-비스{(페난트렌-9-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3)의 합성〉
반응 용기에, (페난트렌-9-일)-페닐아민 16.9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2.6g, 동분 0.16g, 탄산칼륨 10.9g, 3, 5-디-tert-부틸살리실산 0.65g, 아황산수소나트륨 0.83g, 도데실벤젠 13ml를 더하여 210℃까지 가열했다. 23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26ml, 메탄올 26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1/5, v/v)의 혼합 용액 120ml로 세정했다. 1,2-디클로로벤젠을 이용한 정석, 계속하여, 메탄올을 이용한 정석을 행함으로써, 4,4"-비스{(페난트렌-9-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3)의 백색 분체 9.38g(수율 47%)을 얻었다.
얻어진 황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2
[화학식 75]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3
실시예 9
〈4,4"-비스{(비페닐-3-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의 합성〉
반응 용기에, (비페닐-3-일)-페닐아민 12.7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1.3g, 동분 0.30g, 탄산칼륨 9.72g, 3, 5-디-tert-부틸살리실산 1.17g, 아황산수소나트륨 0.73g, 도데실벤젠 23ml를 더하여 220℃까지 가열했다. 21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1,2-디클로로벤젠 250ml, 실리카 30g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감압하 농축한 후, 헵탄을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헵탄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정석, 1,2-디클로로벤젠/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정석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3-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의 연갈색 분체 10.8g(수율 64%)을 얻었다.
얻어진 연갈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4
[화학식 7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5
실시예 10
〈4,4"-비스{(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3)의 합성〉
반응 용기에,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 11.9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8.55g, tert-부톡시나트륨 4.09g, 크실렌 86ml를 더하여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40분간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초산 팔라듐 0.08g, 트리-tert-부틸포스핀의 50%(w/v) 톨루엔 용액 0.55ml를 더하여, 100℃까지 가열했다. 7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메탄올 8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얻어진 고체에 1,2-디클로로벤젠 30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실리카 겔 45g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감압하 농축한 후, 1,2-디클로로벤젠을 이용한 재결정에 의한 정제를 행한 후,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3)의 연한 황녹색 분체 11.4g(수율 74%)을 얻었다.
얻어진 연한 황녹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6
[화학식 77]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7
실시예 11
〈4,4"-비스{디(나프탈렌-2-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4)의 합성〉
반응 용기에, 디(나프탈렌-2-일)아민 12.2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9.49g, 동분 0.14g, 탄산칼륨 8.2g, 3, 5-디-t-부틸살리실산 0.51g, 아황산수소나트륨 0.69g, 도데실벤젠 15ml, 톨루엔 20ml를 더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했다. 28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1,2-디클로로벤젠 20ml, 메탄올 2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1/4, v/v)의 혼합 용액 200ml로 세정한 후, 1,2-디클로로벤젠 10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하고, 실리카 겔을 더한 후,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메탄올 25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1,2-디클로로벤젠/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정석, 계속하여,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디(나프탈렌-2-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4)의 황백색 분체 10.5g(수율 70%)을 얻었다.
얻어진 황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8
[화학식 78]
Figure 112017064121512-pct00089
실시예 12
〈4,4"-비스[{4-(나프탈렌-2-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5)의 합성〉
반응 용기에, {4-(나프탈렌-2-일)페닐}-페닐아민 16.6g,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1.8g, 동분 0.18g, 탄산칼륨 10.5g, 3, 5-디-tert-부틸살리실산 0.61g, 아황산수소나트륨 0.83g, 도데실벤젠 15ml, 톨루엔 20ml를 더하여, 톨루엔을 증발시키면서 210℃까지 가열했다. 19시간 교반한 후 냉각하고, 톨루엔 20ml, 메탄올 20ml를 더하였다.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메탄올/물(1/4, v/v)의 혼합 용액 180ml로 세정한 후, 다시 메탄올 100ml로 세정했다. 얻어진 차황색 분체에, 1,2-디클로로벤젠 175ml를 더하여 가열하고,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방랭한 후, 메탄올 2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메탄올의 혼합 용매에 의한 정석, 계속하여,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4-(나프탈렌-2-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5)의 차백색(茶白色) 분체 11.9g(수율 53%)을 얻었다.
얻어진 차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0
[화학식 79]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1
실시예 13
〈4-{(비페닐-4-일)-페닐아미노}-4"-[{4-(1-페닐-인돌-4-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6)의 합성〉
반응 용기에, (4'-브로모-1,1'-비페닐-4-일)-{4-(1-페닐-인돌-4-일)페닐}-페닐아민 7.25g, {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로란-2-일)페닐}-(1,1'-비페닐-4-일)-페닐아민 5.76g, 2M 탄산칼륨 수용액 12.3ml, 톨루엔 80ml, 에탄올 20ml를 더하고,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40분간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테트라키스 트리페닐 포스핀 팔라듐 0.43g을 더하여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7시간 환류했다. 방랭 후, 물 50ml, 톨루엔 100ml를 더하여 불용물을 여과에 의하여 제거했다. 분액 조작에 의하여 유기층을 채취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으로 탈수한 후, 감압하로 농축함으로써 조제물을 얻었다. 조제물을 컬럼 크로마토 그래프(담체:실리카 겔, 용리액:톨루엔/헵탄)에 의하여 정제한 후, THF를 이용한 정석, 계속하여, 메탄올을 이용한 정석을 행함으로써, 4-{(비페닐-4-일)-페닐아미노}-4"-[{4-(1-페닐-인돌-4-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26)의 연한 황색 분체 6.80g(수율 67%)을 취득했다.
얻어진 연한 황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5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2
[화학식 80]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3
실시예 14
〈4,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7)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3-브로모요드벤젠 8.83g,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 30.5g, 탄산칼륨 13.0g, 물 30ml, 톨루엔 300ml, 에탄올 75ml를 더하여, 30분간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 1.1g을 더하여 가열하고, 80℃에서 16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3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 27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한 후, 실리카 겔 16g을 더하여 30분 교반했다. 여과에 의하여 불용물을 제거한 후, 메탄올 300ml를 더함으로써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조제물에 메탄올 200ml를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7)의 백색 분체 14.3g(수율 71%)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4
[화학식 81]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5
실시예 15
〈4,4"-비스{(비페닐-4-일)-(페닐-d5)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8)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1,3-디브로모벤젠 6.51g,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 26.9g, 탄산칼륨 11.4g, 물 50ml, 톨루엔 200ml, 에탄올 50ml를 더하여, 30분간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 0.95g을 더하여 가열하고, 70℃에서 12시간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2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고체를 여과에 의하여 채취하고, 1,2-디클로로벤젠 400ml를 더하여 가열 용해한 후, 실리카 겔 20g을 더하여 30분 교반했다. 여과에 의하여 불용물을 제거한 후, 메탄올 500ml를 더함으로써 생성되는 석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석출물에 1,2-디클로로벤젠 100ml를 더하여 용해하고, 톨루엔 100ml, 메탄올 100ml를 더함으로써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조제물에 메탄올 250ml를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페닐-d5)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8)의 백색 분체 18.3g(수율 91%)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3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6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7
[화학식 82]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8
실시예 16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9)의 합성〉
실시예 15에 있어서,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대신하여 (나프탈렌-1-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29)의 백색 분체 8.8g(수율 59%)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36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099
[화학식 83]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0
실시예 17
〈4,4"-비스[{4-(디벤조푸란-4-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32)의 합성〉
실시예 15에 있어서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대신하여 {4-(디벤조푸란-4-일)페닐}-{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4-(디벤조푸란-4-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32)의 백색 분체 6.8g(수율 86%)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1
[화학식 84]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2
실시예 18
〈2,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0)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4-브로모-4'-{(비페닐-4-일)-페닐아미노}-비페닐 16.8g, (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 19.0g, 탄산칼륨 7.4g, 물 26ml, 톨루엔 200ml, 에탄올 50ml를 더하여, 30분간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테트라키스(트리페닐 포스핀)팔라듐 0.87g을 더하여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20시간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여, 분액조작에 의하여 유기층을 채취하고, 무수 황산 마그네슘을 이용하여 탈수한 후, 농축함으로써 조제물을 얻었다. 조제물을 컬럼 크로마토 그래프(담체:실리카 겔, 용리액:헵탄/톨루엔)에 의하여 정제한 후, 초산에틸/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정석을 행함으로써, 2,4"-비스{(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0)의 백색 분체 20.8g(수율 82%)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3
[화학식 85]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4
실시예 19
〈4,4"-비스{(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1)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4,4"-디브로모-1,1':3',1"-터페닐 8.2g,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 15.4g, tert-부톡시나트륨 5.1g, 톨루엔 180ml를 더하여, 30분간 초음파를 조사하면서 질소 가스를 통기했다. 초산 팔라듐 0.11g, 50%(w/v)의 트리-tert-부틸포스핀의 톨루엔 용액 0.31ml를 더하여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5시간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1,2-디클로로벤젠을 이용한 추출 조작을 행한 후, 실리카 겔을 이용한 것에 의한 흡착 정제, 계속하여, 1,2-디클로로벤젠/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정석을 행함으로써, 4,4"-비스{(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1)의 황백색 분체 11.67g(수율 64%)을 얻었다.
얻어진 황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5
[화학식 86]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6
실시예 20
〈4,4"-비스{(페난트렌-9-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2)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페난트렌-9-일)-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페난트렌-9-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2)의 황백색 분체 8.0g(수율 50%)을 얻었다.
얻어진 황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0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7
[화학식 87]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8
실시예 21
〈4-{비스(비페닐-4-일)아미노}-2"-{(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3)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2-{(비페닐-4-일)-페닐아미노}-4"-브로모-1,1':4',1"-터페닐 12.1g, 비스(비페닐-4-일)아민 8.0g,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 0.6g, 트리-tert-부틸포스핀 0.22g, tert-부톡시나트륨 6.3g을 더하여 가열하고, 교반하면서 3시간 환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메탄올 600ml를 더하여, 석출하는 조제물을 여과에 의하여 채취했다. 조제물을 톨루엔에 용해하고, 여과에 의하여 불용물을 제거한 후, 메탄올을 이용한 정석 정제를 행하였다. 계속하여, THF/메탄올의 혼합 용매를 이용한 재결정을 행함으로써, 4-{비스(비페닐-4-일)아미노}-2"-{(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3)의 백색 분체 15g(수율 87%)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09
[화학식 88]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0
실시예 22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d5)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4)의 합성〉
실시예 15에 있어서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대신하여 (나프탈렌-1-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나프탈렌-1-일)-(페닐-d5)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4)의 백색 분체 5.2g(수율 30%)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26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1
[화학식 89]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2
실시예 23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4"-{(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6)의 합성〉
실시예 18에 있어서 (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대신하여 비스(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4"-{(비페닐-4-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6)의 백색 분체 15.7g(수율 94%)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3
[화학식 90]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4
실시예 24
〈2,4"-비스{비스(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7)의 합성〉
실시예 18에 있어서 4-브로모-4'-{(비페닐-4-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대신하여 4-브로모-4'-{비스(비페닐-4-일)아미노}-비페닐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대신하여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4"-비스{비스(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57)의 백색 분체 12g(수율 76%)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5
[화학식 91]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6
실시예 25
〈4,4"-비스{(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9)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59)의 백색 분체 6.4g(수율 36%)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7
[화학식 92]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8
실시예 26
〈4,4"-비스{(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60)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60)의 백색 분체 14.6g(수율 80%)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19
[화학식 93]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0
실시예 27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4"-{(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2)의 합성〉
실시예 18에 있어서 4-브로모-4'-{(비페닐-4-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대신하여 4-브로모-4'-{(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대신하여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4"-{(나프탈렌-1-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2)의 백색 분체 12.8g(수율 75%)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2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1
[화학식 94]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2
실시예 28
〈2-{(비페닐-4-일)-페닐아미노}-4"-{(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3)의 합성〉
실시예 18에 있어서 4-브로모-4'-{(비페닐-4-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대신하여 4-브로모-4'-{(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비페닐-4-일)-페닐아미노}-4"-{(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63)의 백색 분체 11.7g(수율 73%)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3
[화학식 95]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4
실시예 29
〈4,4"-비스{(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67)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4,4"-디브로모-1,1':3',1"-터페닐을 대신하여 4,4"-디브로모-1,1':2',1"-터페닐을 이용하고,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비페닐-4-일)-(나프탈렌-1-일)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67)의 백색 분체 5.0g(수율 30%)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5
[화학식 96]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6
실시예 30
〈4,4"-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68)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4,4"-디브로모-1,1':3',1"-터페닐을 대신하여 4,4"-디브로모-1,1':2',1"-터페닐을 이용하고,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68)의 백색 분체 7.3g(수율 43%)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7
[화학식 97]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8
실시예 31
〈2,2"-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69)의 합성〉
실시예 14에 있어서, 3-브로모요드벤젠을 대신하여 1, 3-디요오드벤젠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대신하여 2-[{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2"-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69)의 백색 분체 7.3g(수율 43%)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29
[화학식 98]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0
실시예 32
〈4,4"-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71)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71)의 백색 분체 16.7g(수율 79%)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4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1
[화학식 99]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2
실시예 33
〈2,2"-비스{(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75)의 합성〉
실시예 15에 있어서, 1,3-디브로모벤젠을 대신하여 1, 4-디브로모벤젠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대신하여 2-{(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2"-비스{(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75)의 백색 분체 13.7g(수율 76%)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3
[화학식 100]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4
실시예 34
〈2,2"-비스{비스(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76)의 합성〉
실시예 15에 있어서, 1, 3-디브로모벤젠을 대신하여 1, 4-디브로모벤젠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d5)아민을 대신하여 2-{비스(비페닐-4-일)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2"-비스{비스(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76)의 백색 분체 15.7g(수율 78%)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5
[화학식 101]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6
실시예 35
〈2-{(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2"-[{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81)의 합성〉
실시예 18에 있어서, 4-브로모-4'-{(비페닐-4-일)-페닐아미노}-비페닐을 대신하여 4-브로모-2'-{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비페닐을 이용하고, (비페닐-4-일)-{2-(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란-2-일)페닐}-페닐아민을 대신하여 2-{(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페닐 붕소산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2-{(9,9-디메틸-9H-플루오렌-2-일)-페닐아미노}-2"-[{4-(나프탈렌-1-일)페닐}-페닐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81)의 백색 분체 7.3g(수율 48%)을 얻었다.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THF-d8)에서 이하의 46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7
[화학식 102]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8
실시예 36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03)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4,4"-디요오드-1,1';4',1"-터페닐 13.0g, 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민 20.0g, 동분 0.18g, 탄산칼륨 11.3g, 3,5-디-tert-부틸살리실산 0.7g, 아황산수소나트륨 0.86g, 도데실벤젠 3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210℃에서 24시간 교반했다. 냉각하고, 크실렌 30ml, 메탄올 60ml를 더한 후, 여과에 의해 고체를 채취했다. 이 고체에 톨루엔 250ml, 실리카 겔 20g을 더하여 90℃까지 가열하면서 교반한 후, 열시(熱時) 여과를 행함으로써 불용물을 제거했다. 농축한 후, 초산에틸, 메탄올을 더함으로써 석출하는 조제물을 채취하고, 클로로 벤젠을 이용한 재결정, 메탄올을 이용한 환류 세정을 행함으로써,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4',1"-터페닐(화합물 1-103)의 백색 분체 16.9g(수율 72%)을 얻었다.
[화학식 103]
Figure 112017064121512-pct00139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0
실시예 37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104)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4,4"-디브로모-1,1':3',1"-터페닐을 대신하여 4,4"-디브로모-1,1';2',1"-터페닐을 이용하고,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2',1"-터페닐(화합물 1-104)의 백색 분체 4.3g(수율 42%)을 얻었다.
[화학식 104]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1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2
실시예 38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105)의 합성〉
실시예 19에 있어서, (트리페닐렌-2-일)-페닐아민을 대신하여, 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4,4"-비스{N-페닐-N-(2-페닐-비페닐-4-일)아미노}-1,1';3',1"-터페닐(화합물 1-105)의 백색 분체 7.7g(수율 53%)을 얻었다.
[화학식 105]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3
얻어진 백색 분체에 대하여 NMR를 사용하여 구조를 분류했다.
1H-NMR(CDCl3)에서 이하의 48개의 수소 시그널을 검출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4
실시예 39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에 대하여, 고감도 시차주사 열량계(불카·에이엑스에스제, DSC3100SA)에 의하여 융점과 유리 전이점을 측정했다.
      융점 유리 전이점
실시예 1의 화합물     263℃     111℃
실시예 2의 화합물     210℃     113℃
실시예 3의 화합물     265℃     111℃
실시예 4의 화합물     279℃     107℃
실시예 5의 화합물     266℃     104℃
실시예 6의 화합물     263℃     111℃
실시예 7의 화합물     262℃     117℃
실시예 8의 화합물     303℃     149℃
실시예 10의 화합물     365℃     163℃
실시예 11의 화합물     289℃     138℃
실시예 13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25℃
실시예 14의 화합물     252℃     108℃
실시예 15의 화합물     252℃     108℃
실시예 16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06℃
실시예 17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35℃
실시예 18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07℃
실시예 19의 화합물    323℃     159℃
실시예 20의 화합물     290℃     146℃
실시예 21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9℃
실시예 22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06℃
실시예 23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8℃
실시예 24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33℃
실시예 25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36℃
실시예 26의 화합물     286℃     124℃
실시예 27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7℃
실시예 28의 화합물     218℃    114℃
실시예 29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27℃
실시예 31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0℃
실시예 32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22℃
실시예 33의 화합물     269℃ 117℃
실시예 34의 화합물    277℃ 122℃
실시예 35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7℃
실시예 36의 화합물    249℃ 124℃
실시예 37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15℃
실시예 38의 화합물 관측되지 않음 122℃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은 100℃ 이상의 유리 전이점을 가지고 있고, 박막 상태가 안정된 것을 나타내는 것이다.
실시예 40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이용하여, ITO 기판상에 막 두께 100㎚의 증착막을 제작하고, 이온화 포텐셜 측정 장치(스미토모쥬기카이고교가부시키가이샤, PYS-202)에 의하여 일함수를 측정했다.
             일함수
실시예 1의 화합물     5.65eV
실시예 3의 화합물     5.65eV
실시예 4의 화합물     5.67eV
실시예 5의 화합물     5.66eV
실시예 6의 화합물     5.69eV
실시예 7의 화합물     5.63eV
실시예 8의 화합물     5.70eV
실시예 9의 화합물     5.72eV
실시예 10의 화합물     5.62eV
실시예 11의 화합물     5.61eV
실시예 12의 화합물     5.62eV
실시예 13의 화합물     5.67eV
실시예 14의 화합물     5.75eV
실시예 15의 화합물     5.75eV
실시예 16의 화합물     5.79eV
실시예 17의 화합물     5.68eV
실시예 18의 화합물     5.76eV
실시예 19의 화합물     5.70eV
실시예 20의 화합물     5.79eV
실시예 21의 화합물     5.71eV
실시예 22의 화합물     5.79eV
실시예 23의 화합물     5.72eV
실시예 24의 화합물     5.70eV
실시예 25의 화합물     5.71eV
실시예 26의 화합물     5.65eV
실시예 27의 화합물     5.70eV
실시예 28의 화합물     5.67eV
실시예 29의 화합물     5.69eV
실시예 30의 화합물     5.75eV
실시예 31의 화합물     5.84eV
실시예 32의 화합물     5.76eV
실시예 33의 화합물     5.72eV
실시예 34의 화합물     5.67eV
실시예 35의 화합물     5.76eV
실시예 36의 화합물     5.67eV
실시예 37의 화합물     5.75eV
실시예 38의 화합물     5.76eV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은 NPD, TPD 등이 일반적인 정공 수송 재료가 가지는 일함수 5.4eV와 비교하여, 적합한 에너지 준위를 나타내고 있고, 양호한 정공 수송 능력을 가지고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실시예 41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디아민(화합물 8-1)의 합성〉
질소 치환한 반응 용기에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 5.0g,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 6.0g, 팔라듐 아세테이트 0.08g, tert-부톡시나트륨 3.4g, 트리-tert-부틸포스핀 0.07g, 톨루엔 60ml를 더하여 가열하고, 2시간 환류 교반했다. 실온까지 냉각하고, 디클로로메탄, 물을 더한 후, 분액 조작을 행함으로써 유기층을 채취했다. 유기층을 농축한 후, 컬럼 크로마토 그래프에 의한 정제를 행함으로써,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디아민(화합물 8-1)의 분체 3. 1g(수율 36%)을 얻었다.
[화학식 106]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5
실시예 42
〈N2,N2,N7,N7-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디벤조[5, 6:7, 8]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플루오렌)-2,7-디아민(화합물 8-2)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2,7-디브로모스피로(디벤조[5, 6:7, 8]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플루오렌)를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2,N2,N7,N7-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디벤조[5, 6:7, 8]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플루오렌)-2,7-디아민(화합물 8-2)의 분체 2.5g(수율 31%)을 얻었다.
[화학식 107]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6
실시예 43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3)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3)의 분체 3.0g(수율 36%)을 얻었다.
[화학식 108]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7
실시예 44
〈N6',N6',N10',N10'-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렌-9,8'-플루오레노[3,4-b]벤조푸란)-6',10'-디아민(화합물 8-4)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6',10'-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8'-플루오레노[3,4-b]벤조푸란)를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6',N6',N10',N10'-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렌-9,8'-플루오레노[3,4-b]벤조푸란)-6',10'-디아민(화합물 8-4)의 분체 2.5g(수율 34%)을 얻었다.
[화학식 109]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8
실시예 45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키산텐)-5,9-디아민(화합물 8-5)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키산텐)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스피로(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키산텐)-5,9-디아민(화합물 8-5)의 분체 2.4g(수율 28%)을 얻었다.
[화학식 110]
Figure 112017064121512-pct00149
실시예 46
〈N5',N9'-비스(비페닐-4-일)-N5',N9'-비스{4-(tert-부틸)페닐}-2-플루오로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디아민(화합물 8-6)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2-플루오로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이용하고,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을 대신하여, (비페닐-4-일)-{4-(tert-부틸)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9'-비스(비페닐-4-일)-N5',N9'-비스{4-(tert-부틸)페닐}-2-플루오로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5',9'-디아민(화합물 8-6)의 분체 2.4g(수율 28%)을 얻었다.
[화학식 111]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0
실시예 47
〈N5,N9-비스{4-(tert-부틸)페닐}-N5,N9-비스{4-(트리메틸시릴)페닐}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7)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를 이용하고,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을 대신하여, {4-(tert-부틸)페닐}-{4-(트리메틸시릴)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9-비스{4-(tert-부틸)페닐}-N5,N9-비스{4-(트리메틸시릴)페닐}스피로(벤조[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7)의 분체 3.0g(수율 35%)을 얻었다.
[화학식 112]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1
실시예 48
〈N5',N9'-비스{4-(tert-부틸)페닐}-N5',N9'-비스{4-(트리메틸시릴)페닐}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티오펜)-5',9'-디아민(화합물 8-8)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티오펜)를 이용하고,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을 대신하여, {4-(tert-부틸)페닐}-{4-(트리메틸시릴)페닐}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9'-비스{4-(tert-부틸)페닐}-N5',N9'-비스{4-(트리메틸시릴)페닐}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티오펜)-5',9'-디아민(화합물 8-8)의 분체 3.2g(수율 37%)을 얻었다.
[화학식 113]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2
실시예 49
〈N5,N9-비스(비페닐-4-일)-N5,N9-비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벤조[4',5']티에노[2',3':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9)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스피로(벤조[4',5']티에노[2',3':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를 이용하고,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을 대신하여, {4-(tert-부틸)페닐}-(비페닐-4-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9-비스(비페닐-4-일)-N5,N9-비스{4-(tert-부틸)페닐}스피로(벤조[4',5']티에노[2',3':5,6]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7,9'-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9)의 분체 2.8g(수율 34%)을 얻었다.
[화학식 114]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3
실시예 50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12',12'-디메틸-12'H-스피로(플루오렌-9,7'-인데노[1,2-a]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10)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5',9'-디브로모-12',12'-디메틸-12'H-스피로(플루오렌-9,7'-인데노[1,2-a]플루오렌)를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5',N5',N9',N9'-테트라키스{4-(tert-부틸)페닐}-12',12'-디메틸-12'H-스피로(플루오렌-9,7'-인데노[1,2-a]플루오렌)-5',9'-디아민(화합물 8-10)의 분체 1.8g(수율 49%)을 얻었다.
[화학식 115]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4
실시예 51
〈N6',N10'-비스(비페닐-4-일)-N6',N10'-비스{4-(tert-부틸)페닐}-5'-메틸-5'H-스피로(플루오렌-9,8'-인데노[2,1-c]카바졸)-6',10'-디아민(화합물 8-11)의 합성〉
실시예 41에 있어서, 5',9'-디브로모스피로(플루오렌-9,7'-플루오레노[4,3-b]벤조푸란)을 대신하여, 6',10'-디브로모-5'-메틸-5'H-스피로(플루오렌-9,8'-인데노[2,1-c]카바졸)를 이용하고, 비스{4-(tert-부틸)페닐}아민을 대신하여, {4-(tert-부틸)페닐}-(비페닐-4-일)아민을 이용하고, 같은 조건으로 반응을 행함으로써, N6',N10'-비스(비페닐-4-일)-N6',N10'-비스{4-(tert-부틸)페닐}-5'-메틸-5'H-스피로(플루오렌-9,8'-인데노[2,1-c]카바졸)-6',10'-디아민(화합물 8-11)의 분체 2.3g(수율 41%)을 얻었다.
[화학식 116]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5
실시예 52
유기 EL 소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유리기판(1)상에 투명 양극(2)으로서 ITO 전극을 미리 형성한 것 위에, 정공 주입층(3), 정공 수송층(4), 발광층(5), 전자 수송층(6), 전자 주입층(7), 음극(알루미늄 전극)(8)의 순서로 증착하여 제작했다.
구체적으로는, 막 두께 150㎚의 ITO를 성막한 유리기판(1)을 이소프로필 알코올 중에서 초음파 세정을 20분간 행한 후, 200℃로 가열한 핫 플레이트상에서 10분간 건조를 행하였다. 그 후, UV오존처리를 15분간 행한 후, 이 ITO 부착 유리 기판을 진공 증착기 내에 부착, 0.001Pa 이하까지 감압했다. 계속하여, 투명 양극(2)을 덮도록 정공 주입층(3)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고,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했다. 이 정공 주입층(3) 상에, 정공 수송층(4)으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했다. 이 정공 수송층(4) 상에, 발광층(5)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EMD-1)와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EMH-1)을, 증착 속도비가 EMD-1:EMH-1=5:95가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20㎚가 되도록 형성했다. 이 발광층(5) 상에, 전자 수송층(6)으로서 하기 구조식의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5b-1)과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ETM-1)을, 증착 속도비가 화합물(5b-1):ETM-1=50:50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했다. 이 전자 수송층(6) 상에, 전자 주입층(7)으로서 불화 리튬을 막 두께 1㎚가 되도록 형성했다. 마지막으로, 알루미늄을 100㎚ 증착하여 음극(8)을 형성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화학식 117]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6
[화학식 118]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7
[화학식 119]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8
[화학식 120]
Figure 112017064121512-pct00159
[화학식 121]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0
[화학식 122]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1
실시예 53
실시예 52에 있어서, 전자 수송층(6)의 재료로서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5b-1)을 대신하여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6-125)을 이용하고, 화합물(6-125)과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ETM-1)을, 증착 속도비가 화합물(6-125):ETM-1=50:50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화학식 123]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2
실시예 54
실시예 52에 있어서, 발광층(5)의 재료로서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EMD-1)을 대신하여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를 이용하고,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와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EMH-1)을, 증착 속도비가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EMH-1=5:95가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25㎚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화학식 124]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3
실시예 55
실시예 53에 있어서, 발광층(5)의 재료로서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EMD-1)을 대신하여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를 이용하고,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와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EMH-1)을, 증착 속도비가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8-1):EMH-1=5:95가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25㎚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실시예 56
실시예 52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고,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화학식 125]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4
실시예 57
실시예 53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고,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실시예 58
실시예 54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고,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실시예 59
실시예 55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며,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1]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2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HTM-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며,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하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화학식 126]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5
[비교예 2]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3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HTM-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며,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3]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4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HTM-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며,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4]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5에 있어서, 정공 주입층(3)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HTM-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30㎚가 되도록 형성하며,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화합물(HTM-1)을 이용하고,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5]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3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6]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5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1의 화합물(1-1)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1)=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7]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7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비교예 8]
비교를 위하여, 실시예 59에 있어서, 정공 수송층(4)의 재료로서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대신하여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이용하고, 상기 구조식의 전자 억셉터(Acceptor-1)와 실시예 4의 화합물(1-2)을, 증착 속도비가 Acceptor-1:화합물(1-2)=3:97이 되는 증착 속도로 2원 증착을 행하여, 막 두께 40㎚가 되도록 형성한 이외는 같은 조건으로 유기 EL 소자를 제작했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대하여, 대기중, 상온에서 특성 측정을 행하였다. 제작한 유기 EL 소자에 직류 전압을 인가했을 때의 발광특성의 측정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실시예 52∼59 및 비교예 1∼8에서 제작한 유기 EL 소자를 이용하여, 소자 수명을 측정한 결과를 표 1에 정리하여 나타냈다. 소자 수명은, 발광 개시시의 발광 휘도(초기 휘도)를 2000cd/㎡로서 정전류 구동을 행했을 때, 발광 휘도가 1900cd/㎡(초기 휘도를 100%로 했을 때의 95%에 상당:95%감쇠)으로 감쇠할 때까지의 시간으로서 측정했다.
Figure 112017064121512-pct00166
표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전류 밀도 10mA/㎠의 전류를 흘렸을 때의 발광 효율은, 정공 수송층에도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비교예 5∼8의 유기 EL 소자 0.55∼0.80cd/A에 대해, 정공 수송층에 전자 억셉터를 도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4의 유기 EL 소자 4.84∼5.44cd/A에서는 고효율이 되었다. 그리고, 정공 주입층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실시예 52∼59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6.06∼7.20cd/A로 한층 더 고효율이 되었다. 또, 전력효율에 있어서도, 정공 수송층에도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비교예 5∼8의 유기 EL 소자의 0.45∼0.64lm/W에 대해, 정공 수송층에 전자 억셉터를 도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4의 유기 EL 소자의 4.07∼4.45lm/W에서는 고효율이 되었다. 그리고, 정공 주입층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실시예 52∼59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4.99∼5.85lm/W로 한층 더 고효율이 되었다. 한편, 소자 수명(95%감쇠)에 있어서는, 정공 수송층에도 전자 억셉터를 도프한 비교예 5∼8의 유기 EL 소자의 1시간에 대해, 정공 수송층에 전자 억셉터를 도프하고 있지 않은 비교예 1∼4의 유기 EL 소자의 6∼69시간으로 장기 수명화 되었다. 그리고, 정공 주입층에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이용한 실시예 52∼59의 유기 EL 소자에서는 116∼143시간으로 한층 더 크게 장기 수명화 되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유기 EL 소자는, 정공 주입층의 재료로서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선택하여, 전자 억셉터를 P도핑함으로써, 전극으로부터 정공 수송층으로 정공을 효율 좋게 주입·수송할 수 있고, 또한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을 P도핑 하지 않고, 정공 수송층의 재료를 선택함으로써, 유기 EL 소자 내부의 캐리어 밸런스를 개선하여, 종래의 유기 EL 소자와 비교하여, 고발광효율, 또한 장수명의 유기 EL 소자를 실현할 수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산업상의 이용 가능성]
본 발명의, 특정의(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과 전자 억셉터를 유기 EL 소자 내부의 캐리어 밸런스를 정치화할 수 있도록 조합한 유기 EL 소자는, 발광 효율이 향상됨과 함께, 유기 EL 소자의 내구성을 개선시킬 수 있고, 예를 들면, 가정 전자제품이나 조명의 용도로의 전개가 가능하게 되었다.
1: 유리기판
2: 투명 양극
3: 정공 주입층
4: 정공 수송층
5: 발광층
6: 전자 수송층
7: 전자 주입층
8: 음극

Claims (14)

  1. 적어도 양극, 정공 주입층, 정공 수송층, 발광층, 전자 수송층 및 음극을 이 순서로 가지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에 있어서, 상기 정공 주입층이 하기 일반식(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 및 전자 억셉터를 함유하며, 상기 정공 수송층이, 분자 중에 트리페닐아민 구조를 2개∼6개, 단결합 또는 헤테로 원자를 포함하지 않은 2가기로 연결한 구조를 가지는 아릴아민 화합물인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아릴아민 화합물만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1]
    Figure 112022107744562-pct00177

    (식 중, Ar1∼Ar4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며, 단 Ar1과 Ar2 또는 Ar3와 Ar4는 서로 다른 기를 나타낸다.)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에 인접하는 층은 전자 억셉터를 함유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억셉터가, 트리스브로모페닐아민헥사클로로안티몬, 테트라시아노퀴논디메탄(TCNQ), 2, 3, 5, 6-테트라플루오로테트라시아노-1, 4-벤조퀴논디메탄(F4TCNQ), 라디알렌 유도체로부터 선택되는 전자 억셉터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억셉터가, 하기 일반식(2)로 표시되는 라디알렌 유도체인,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2]
    Figure 112022028973872-pct00168

    (식 중, Ar5∼Ar7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전자 수용체기를 치환기로서 가지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한다.)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이, 하기 일반식(5)로 표시되는 안트라센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5]
    Figure 112022028973872-pct00171

    (식 중, A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B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표시하며, C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D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며, p, q는, p와 q의 합이 9가 되는 관계를 유지하면서, p는 7 또는 8을 표시하고, q는 1 또는 2를 표시한다.)
  9.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전자 수송층이, 하기 일반식(6)으로 표시되는 피리미딘환 구조를 가지는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6]
    Figure 112022028973872-pct00172

    (식 중, Ar8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Ar9, Ar10은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A는, 하기 구조식(7)로 표시되는 1가기를 표시한다. 여기서, Ar9와 Ar10은 동시에 수소 원자가 되는 것은 아닌 것으로 한다.)
    [화학식 7]
    Figure 112022028973872-pct00173

    (식 중, Ar11은,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를 표시하고, R19∼R22는,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트리플루오로메틸기,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를 표시하고, R19∼R22와 Ar11이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하고 있어도 좋다.)
  10.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청색 발광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피렌 유도체인 청색 발광성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2.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청색 발광성 도펀트가, 하기 일반식(8)로 표시되는 축합환 구조를 가지는 아민 유도체인 발광 도펀트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화학식 8]
    Figure 112017064121512-pct00174

    (식 중, A2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의 2가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의 2가기, 또는 단결합을 표시하고, Ar12와 Ar13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로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23∼R26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 또는 방향족 탄화수소기, 방향족 복소환기 혹은 축합다환 방향족기로부터 선택되는 기에 따라 치환된 디치환 아미노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R23∼R26이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27∼R29는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수소 원자, 중수소 원자, 불소 원자, 염소 원자, 시아노기, 니트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옥시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옥시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또는 유황원자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고, R27∼R29가 결합하고 있는 벤젠환과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R30과 R31은 서로 동일해도 달라도 좋고,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1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5 내지 10의 시클로알킬기, 치환기를 가지고 있어도 좋은 탄소 원자수 2 내지 6의 직쇄 형상 혹은 분지 형상의 알케닐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탄화수소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방향족 복소환기, 치환 혹은 무치환의 축합다환 방향족기, 또는 치환 혹은 무치환의 아릴옥시기로서, 각각의 기끼리로 단결합, 치환 혹은 무치환의 메틸렌기, 산소 원자, 유황원자, 또는 1 치환 아미노기를 통하여 서로 결합하여 환을 형성해도 좋다.)
  1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안트라센 유도체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14. 제 13 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층이, 안트라센 유도체인 호스트 재료를 함유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0177018521A 2014-12-05 2015-12-0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49376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4246681 2014-12-05
JPJP-P-2014-246681 2014-12-05
PCT/JP2015/083776 WO2016088759A1 (ja) 2014-12-05 2015-12-01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5274A KR20170095274A (ko) 2017-08-22
KR102493763B1 true KR102493763B1 (ko) 2023-01-30

Family

ID=560917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18521A KR102493763B1 (ko) 2014-12-05 2015-12-01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Country Status (7)

Country Link
US (1) US11158811B2 (ko)
EP (1) EP3229284B1 (ko)
JP (1) JP6675321B2 (ko)
KR (1) KR102493763B1 (ko)
CN (1) CN107004773A (ko)
TW (1) TWI683464B (ko)
WO (1) WO2016088759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0377B1 (ko) 2014-07-28 2019-10-10 에스에프씨주식회사 헤테로고리를 포함하는 축합 플루오렌 유도체
EP3002797B1 (en) * 2014-09-30 2020-04-29 Novaled GmbH A light emitting organic device and an active OLED display
EP3244462B1 (en) * 2015-01-06 2020-11-11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KR102201104B1 (ko) * 2015-01-13 2021-01-11 에스에프씨주식회사 고효율과 장수명을 갖는 유기 발광 소자
US20180114916A1 (en) * 2015-04-10 2018-04-26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
KR102424977B1 (ko) * 2015-04-14 2022-07-2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축합환 화합물 및 이를 포함한 유기 발광 소자
US10367147B2 (en) 2015-05-27 2019-07-30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US10312449B2 (en) 2015-05-27 2019-06-04 Samsun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emitting device
KR102630644B1 (ko) 2015-12-17 2024-01-3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 발광 소자
WO2017138569A1 (ja) * 2016-02-12 2017-08-17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EP3544073A4 (en) * 2016-11-16 2020-11-25 Hodogaya Chemical Co., Ltd. ORGANIC ELECTROLUMINESCENT ELEMENT
EP3544984B1 (en) 2016-11-25 2020-12-23 Merck Patent GmbH Bisbenzofuran-fused 2,8-diaminoindeno[1,2-b]fluorene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materials for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oled)
EP3549970B1 (en) * 2016-11-30 2022-01-26 Hodogaya Chemical Co., Ltd. High molecular weight compound containing substituted triarylamine structural unit
CN117677263A (zh) 2017-03-28 2024-03-08 保土谷化学工业株式会社 有机电致发光元件
KR20190009994A (ko) * 2017-07-20 2019-01-30 주식회사 두산 유기 발광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8101491A2 (ja) * 2018-03-19 2018-06-07 出光興産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及び電子機器
JP7421494B2 (ja) * 2018-11-29 2024-01-24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CN211654861U (zh) * 2019-12-13 2020-10-09 南京国兆光电科技有限公司 有源矩阵式有机发光显示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093A (ja) * 2006-11-01 2008-05-22 Idemitsu Kosan Co Ltd アミノジベンゾフルオレ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13118288A (ja) * 2011-12-02 2013-06-1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その用途
WO2014129201A1 (ja) * 2013-02-22 2014-08-2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Family Cites Families (2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4943840B1 (ko) 1970-12-25 1974-11-25
JP3194657B2 (ja) 1993-11-01 2001-07-30 松下電器産業株式会社 電界発光素子
JP3828595B2 (ja) 1994-02-08 2006-10-04 Tdk株式会社 有機el素子
US6998487B2 (en) * 2001-04-27 2006-02-14 Lg Chem, Ltd. Double-spiro organic compounds and organic electroluminescent devices using the same
KR100691543B1 (ko) 2002-01-18 2007-03-09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전자 수송용 물질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 소자
US20100026176A1 (en) * 2002-03-28 2010-02-04 Jan Blochwitz-Nomith Transparent, Thermally Stable Light-Emitting Component Having Organic Layers
JP4487587B2 (ja) 2003-05-27 2010-06-23 株式会社デンソー 有機el素子およびその製造方法
KR100787425B1 (ko) 2004-11-29 2007-12-26 삼성에스디아이 주식회사 페닐카바졸계 화합물 및 이를 이용한 유기 전계 발광 소자
KR101151998B1 (ko) 2004-05-25 2012-06-01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p?터페닐 화합물 및 이 화합물을 이용한 전자 사진용감광체
US8623522B2 (en) * 2006-04-26 2014-01-07 Idemitsu Kosan Co., Ltd. Aromatic amine derivative and electroluminescence device using the same
WO2008023550A1 (fr) * 2006-08-23 2008-02-28 Idemitsu Kosan Co., Ltd. Dérivé d'amine aromatique et dispositif électroluminescent organique utilisant celui-ci
KR20120135325A (ko) 2006-11-24 2012-12-12 이데미쓰 고산 가부시키가이샤 방향족 아민 유도체 및 그것을 이용한 유기 전기발광 소자
KR20090048299A (ko) * 2007-11-08 2009-05-13 주식회사 엘지화학 새로운 유기 발광 소자 재료 및 이를 이용한 유기 발광소자
ES2370120T3 (es) * 2008-10-23 2011-12-12 Novaled Ag Compuesto de radialeno y su utilización.
WO2011134458A1 (de) * 2010-04-27 2011-11-03 Novaled Ag Organisches halbleitendes material und elektronisches bauelement
CN101694849B (zh) * 2009-09-22 2012-08-22 昆山维信诺显示技术有限公司 一种有机电致发光叠层器件
KR101791276B1 (ko) 2009-11-12 2017-10-27 호도가야 가가쿠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치환된 안트라센환 구조와 피리도인돌환 구조를 갖는 화합물 및 유기 전계 발광 소자
WO2012117973A1 (ja) * 2011-02-28 2012-09-07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013399B1 (ko) 2011-11-29 2019-08-22 에스에프씨 주식회사 안트라센 유도체 및 이를 포함하는 유기전계발광소자
KR101474798B1 (ko) 2011-12-23 2014-12-22 제일모직 주식회사 유기광전자소자용 화합물, 이를 포함하는 유기발광소자 및 상기 유기발광소자를 포함하는 표시장치
EP2684932B8 (en) 2012-07-09 2016-12-21 Hodogaya Chemical Co., Ltd. Diarylamino matrix material doped with a mesomeric radialene compound
WO2014088047A1 (ja) * 2012-12-05 2014-06-12 三星ディスプレイ株式▲会▼社 アミン誘導体、有機発光材料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081605B1 (ko) * 2013-07-31 2020-02-27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색 유기전계발광소자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8115093A (ja) * 2006-11-01 2008-05-22 Idemitsu Kosan Co Ltd アミノジベンゾフルオレン誘導体及びそれを用いた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JP2013118288A (ja) * 2011-12-02 2013-06-13 Toyo Ink Sc Holdings Co Ltd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用材料およびその用途
WO2014129201A1 (ja) * 2013-02-22 2014-08-28 保土谷化学工業株式会社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229284B1 (en) 2022-08-31
EP3229284A1 (en) 2017-10-11
CN107004773A (zh) 2017-08-01
EP3229284A4 (en) 2018-08-15
KR20170095274A (ko) 2017-08-22
TWI683464B (zh) 2020-01-21
JP6675321B2 (ja) 2020-04-01
US11158811B2 (en) 2021-10-26
TW201626615A (zh) 2016-07-16
WO2016088759A1 (ja) 2016-06-09
US20170346015A1 (en) 2017-11-30
JPWO2016088759A1 (ja) 2017-09-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93763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KR102356301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KR102300867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CN107431142B (zh) 有机电致发光器件
KR102355739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센스 소자
TWI631095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KR102425263B1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CN111670506B (zh) 有机电致发光元件
KR102319951B1 (ko) 유기 전계발광 소자
JP7018895B2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WO2017086357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20180017130A (ko) 아릴아민 화합물 및 유기 전계발광 소자
KR20180108616A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선스 소자
TWI790287B (zh) 有機電致發光元件
CN108292708B (zh) 有机电致发光器件
KR20190128169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WO2017099155A1 (ja) 有機エレクトロルミネッセンス素子
KR102316844B1 (ko) 유기 일렉트로 루미네센스 소자
KR20230042440A (ko) 유기 일렉트로루미네선스 소자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