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8531B1 -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8531B1
KR102488531B1 KR1020200092280A KR20200092280A KR102488531B1 KR 102488531 B1 KR102488531 B1 KR 102488531B1 KR 1020200092280 A KR1020200092280 A KR 1020200092280A KR 20200092280 A KR20200092280 A KR 20200092280A KR 102488531 B1 KR102488531 B1 KR 10248853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aw
ear
extract
ultrasonic
raw h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9228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13141A (ko
Inventor
왕명현
임서준
Original Assignee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농업회사법인 원삼로즈힙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9228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8531B1/ko
Publication of KR2022001314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1314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853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853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23L33/105Plant extracts, their artificial duplicates or their derivative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4Extra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48Ultrasonic treatment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yc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loring Foods And Improving Nutritive Qualit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Food composition containing raw heat as an active ingredient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본 발명은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 자세하게는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현대로 접어들면서, 다양한 질병의 예방과, 건강의 관리에 대한 관심도가 커지고 있다. 특히, 경제성장에 따른 국민소득 향상으로 생활수준이 크게 향상되고, 건강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면서 영양의 중요성이 재인식되었다. 일상의 음식만으로는 인체의 균형 및 영양유지가 불충분하다는 인식이 확산됨에 따라 건강식품의 소비가 점차 증가하고 있다. 건강기능식품이 각광 받는 이유는 고령화 사회로의 진입, 식습관에 기인하는 고혈압, 당뇨병, 심혈관계 질환 등의 만성질환의 증가와 인스턴트 음식의 발달로 미량 영양소의 섭취가 줄어들고 있기 때문이다. 식품의 유효성분에 의한 건강 증진 및 질병 예방의 효과 등이 증명되면서 식품의 기능성 즉 식품의 생체조절기능이 주목받고 있고, 이를 이용한 많은 제품들이 만들어지고 있다.
한편, 건강을 해치는 원인 중 하나로 위염과 위궤양이 있는데, 상기 위염 및 위궤양은 위 속에 기생하는 헬리코박터 파일로리(Helicobacter pylori) 균의 감염에 의해서 생기거나 위장관을 헐게 만드는 인자인 위산 및 펩신(pepsin)의 영향과 이들로부터 위벽을 보호하는 방어인자인 점막(mucosa)의 기능간에 평형이 깨어짐으로써 일어난다. 또한,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진통제(non 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를 비롯한 상당수의 약들은 위장관 출혈 등의 부작용을 수반하기 때문에 위염 및 위궤양 등을 일으키는 주요 요인으로 꼽히고 있다. 따라서, 위염이나 위궤양 치료를 위해서는 그 원인에 따라 헬리코박터 파일로리균을 억제하는 항생제를 투여하거나 위산분비를 억제하는 약물을 투여해야 하며 이 두가지 요법을 동시에 쓰는 경우도 많다. 지금까지 개발된 대부분의 위염, 위궤양 치료제는 위에서 분비되는 산을 제거하거나 낮추는 작용을 하며 기작이 매우 다양하다.
한편, 5대 질환인 심장병, 고혈압, 당뇨, 뇌졸증, 암의 발병 원인은 이동수단의 편의성을 추구하는데 따른 운동부족, 서구식 육식위주의 식사에 의한 영양 과잉으로 인한 비만 때문이다. 비만의 원인으로는 유전적 요인, 환경적 요인, 에너지 대상의 이상 등이 있다. 비만의 종류에는 원인에 따라서, 단순 비만과 증후성 비만으로 분류할 수 있다. 단순 비만은 과식과 운동 부족이 그 원인이며, 증후성 비만은 내분비, 시상하부성, 유전, 전두엽 및 대사성 등으로 발생한다. 비만으로 인한 질병에는 관상동맥질환, 당뇨병, 고중성지방혈증, 고혈압 등이 있다. 비만의 치료에는 식이요법, 운동요법, 행동수정요법, 약물요법 등이 있다. 또한, 비만증(肥滿症, obesity)은 몸에 지방질이 많아져서 지나치게 뚱뚱해지며 운동장애나 기능장애를 일으키는 증세로, 비만증의 대부분은 섭취한 열량 중에서 소모되고 남은 부분이 지방으로 전환되어 체내의 여러 부분 특히, 피하조직과 복강 내에 축적되는 현상이다. 비만증 환자는 지방조직의 기능에 필요한 지방량보다 훨씬 많은 지방이 체내에 축적되어 인체내의 정상적인 생화학적 및 생리적 기능에 장애를 중 뿐만 아니라, 여러 가지 질환, 특히 당뇨병, 고지혈증, 고혈압 및 관상동맥질환의 원인이 되기 때문에 예방과 조기치료에 많은 노력을 기울여야만 한다.
한편, 요즘들어 갱년이 증후군에 대한 고민도 커지고 있다. 갱년기(climacteric)란 내분비 증후군의 일종으로 난소기능의 전반적이고 점진적인 감소가 일어나 생리적 기능이 감소 내지 소실되는 과도기를 말하며, 갱년기의 한 과정으로 난소기능의 정지 후에 일어나는 생리의 영구적인 정지인 폐경(menopause)이 오게 된다. 폐경기에는 에스트로겐 생성의 감소, 난포자극호르몬(follicular stimulating hormone, FSH) 및 황체화호르몬(luteininzing hormone, LH)의 상승 등 호르몬의 변화에 따라 급만성 증상이 나타날 수 있다. 즉, 초기증상으로 안면홍조(hot flush), 야간 발한(night sweat), 빈맥, 두통 등의 혈관 운동성 증상(vasomotor symptom)과 불안감, 우울증 등의 심리적 증상(psychological symptom)이 나타날 수 있으며, 폐경 수년 내에 빈뇨, 요실금, 피부와 모발의 변화, 시력 감퇴 등이 나타날 수 있고, 이와 같은 증상들을 나타내는 것을 갱년기 증후군이라고 한다.
이에 따라, 위염. 위궤양을 예방하고, 체지방 감소시킬 수 있으며, 여성 갱년기 증후군에 대한 예방 효과를 갖는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다.
종래에 위염과 위궤양의 예방, 체지방 감소, 여성 갱년기 증후군 등은 화학적 약물을 통해 예방되곤 하였으나, 화학적 약물은 신체에 부작용을 초래할 위험이 크고,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하지 못하다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부작용의 위험이 적고, 생태학적으로 지속 가능한 천연물을 이용한 건강식품에 대한 관심이 커지고 있는 추세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995238호(2019.07.02. 공고), "생열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도록 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데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은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또한, 본 발명은 생열귀와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초음파로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는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는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는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또한,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은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수행한 다음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을 나타낸 플로우 차트.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에 사용되는 생열귀의 사진.
도 3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위염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4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위궤양 개선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
도 5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투여한 쥐의 체중 변화를 나타낸 그래프.
도 6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투여한 쥐의 8주 후 정소상체지방패드의 무게를 나타낸 그래프.
도 7은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의 갱년기 증상 지수를 나타낸 그래프.
이하의 본 발명에 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의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 업자가 본 발명의 실시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생열귀는 생열귀나무(Rosa davurica Pall.) 또는 긴생열귀나무(Rosa davurica var. ellipsoidea)의 열매를 지칭한다.
상기 생열귀(Rosa davurica Pall.)는 장미과의 여러해살이식물로 가시열매, 뱀의 찔레 등으로도 불린다. 상기 생열귀나무의 높이는 1~1.5m 정도이며 가지가 많고 잎은 서로 어긋나며 장미잎과 비슷하다. 상기 생열귀의 꽃은 5~6월 새로 나온 가지 끝에 1개 혹은 2~3개 달리며, 짙은 홍색을 띠고 지름이 약 4~5cm이다. 상기 생열귀의 꽃잎은 넓은 도란형으로 끝이 오그라지며 향기가 난다.
상기 긴생열귀(Rosa davurica var. ellipsoidea) 쌍떡잎식물 장미목 장미과의 낙엽 관목로 높이 1~1.5m로, 강가의 암석지대나 해안에서 자란다. 상기 긴생열귀의 줄기는 모여나며, 가지가 많고 적갈색을 띤다. 상기 긴생열귀는 털이 없고, 턱잎 밑에 가시가 곧게 마주난다. 상기 긴생열귀의 잎은 어긋나며 5~9개로 이루어진 깃꼴겹잎이다. 상기 긴생열귀의 작은 잎은 길이 2~3cm, 너비 1~1.3cm의 타원형 또는 긴 타원형으로, 끝이 뾰족하거나 둔하고 밑은 둥글다. 잎의 가장자리에 잔톱니가 있다. 잎의 뒷면은 회록색이고 선점(腺點)이 빽빽이 있으며 잎줄기에 짧은 털과 가시가 있다.
상기 초음파 추출액은 생열귀를 추출용매에 넣고 초음파를 가하여 추출한 것을 지칭한다.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은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면,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위염.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에 있어 최고의 효울을 낼 수 있다.
상기 생열귀 건조 분말은 생열귀를 건조하고 최대한 작은 입자가 되도록 분쇄한 것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한 것일 수 있다.
완성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위염. 위궤양의 예방 효과 및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생열귀와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초음파로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는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는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는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포함한다.
우선,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를 수행한다.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는 생열귀와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초음파로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한다.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상기 추출용매는 정제수, 에탄올, 메탄올, 부탄올, 부틸렌글라이콜 또는 프로판올 중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가장 바람직하게는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것이 적절할 것이다.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은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초음파는 50 ~ 300W인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가작 적절하게는 100W이다.
즉, 2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첫 5초 동안은 초음파가 가해지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가하지 않고 휴식기를 가진다. 이와 같은 과정을 한 사이클로 하여,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는 2 ~ 8시간 진행될 수 있다.
다음으로,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를 수행한다.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단계(S40)에서는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한다.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단계(S40) 생열귀를 건조기에 넣고 12 ~ 48시간 동안 건조한다. 그 다음, 건조된 생열귀를 최대한 작은 입자가 되도록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한다.
다음으로,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수행한다.
상기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는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한다.
상기 생열귀 혼합액 제조단계(S50)에서는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에 생열귀 분말을 투하하고 교반하여 두 재료가 골고루 섞이게 해준다. 이 때, 교반의 속도 120 ~ 480rpm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50분 간 수행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수행하고 난 다음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S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숙성단계(S40)는 2 ~ 14일 간 1 ~ 15℃의 온도로 숙성하여 진행된다.
상기 숙성단계(S40)를 진행하면,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 분말 간의 반응이 더욱 잘 이루어지므로 완성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가 더 증대될 수 있다.
이하, 하기의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자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1의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와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100W의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생열귀를 24시간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240rpm으로 30분 간 교반하여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숙성 단계(S40):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7일 간 10℃의 온도로 숙성하였다.
실시예 2. 숙성단계를 배제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2의 숙성단계를 배제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와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100W의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생열귀를 24시간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240rpm으로 30분 간 교반하여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비교예 1. 생열귀 일반 용매추출액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1의 생열귀 일반용매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용매추출액 제조단계(S10):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용매에 생열귀를 투하하고 80℃로 가열하여 생열귀 일반 용매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숙성단계(S20): 제조된 생열귀 용매추출액을 7일 간, 10℃의 온도로 숙성하였다.
비교예 2.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가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비교예 2의 초음파를 지속적으로 가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와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100W의 초음파를 통해 일반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생열귀를 24시간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240rpm으로 30분 간 교반하여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였다.
숙성 단계(S40):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7일 간 10℃의 온도로 숙성하였다.
비교예 3. 생열귀 초음파 추출액의 제조
하기의 제조과정을 거쳐 실시예 2의 숙성단계를 배제한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와 정제수와 에탄올을 1 : 1의 중량비로 혼합한 추출용매를 혼합하여 100W의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4시간 동안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였다.
숙성 단계(S2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7일 간 10℃의 온도로 숙성하였다.
비교예 4. 생열귀 분말 희석액의 제조
하기의 제조방법에 따라 비교예 4의 생열귀 분말 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분말 제조단계(S10): 생열귀를 12 ~ 48시간 동안 건조기에서 건조하고 최대한 작은 입자가 되도록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였다.
생열귀 혼합액 제조단계(S20): 정제수와 생열귀 분말을 10 : 1의 중량비로 혼합하고 240rpm으로 30분 간 교반하여 생열귀 분말희석액을 제조하였다.
숙성단계(S40): 상기 생열귀 분말 희석액을 7일 간, 10℃의 온도로 숙성하였다.
실험예 1. 위염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위염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0.1% CMC에 녹여 SD rat(male, SPF, 150 - 200 g, 오리엔트바이오사로부터 구입)에 경구투여 하였다. 1시간 후에 indomethacin을 10 mg/rat의 용량으로 SD rat에 경구 투여하였다. 5시간 후 위부분을 절제하고 polytron homogenizer로 갈고, 원심분리하여 상등액을 얻었다. 이후 ethyl acetate로 추출하고 건조하였다. 이 후 methanol에 녹인 후 Park등의 방법으로(Eur. J. Pharmacol. 425, 153-157, 2001) Sep-Pak C18 column에 넣고 유출한 후 N2로 건조한 후 ELISA 법으로 위의 염증의 parameter인 PGE 2의 양을 정량하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억제율은 아무것도 가하지 않은 실험군(Control)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투여량 PGE (ng/stomach)
(Mean ± SD)
% inhibition
Control - 3.0 ±0.2 -
Indomethacin-induced - 0.2 ±0.2 -
실시예1 5mg/rat 2.8 ±0.1 93.3
실시예2 5mg/rat 2.6 ±0.2 86.6
비교예1 5mg/rat 0.4 ±0.1 13.3
비교예2 5mg/rat 1.9 ±0.3 63.3
비교예3 5mg/rat 1.3 ±0.2 43.3
비교예4 5mg/rat 1.4 ±0.1 46.6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위염 억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열귀를 단순히 용매로 추출한 수치에 비하여,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2의 수치가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2. 위궤양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위궤양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각각 0.1% CMC에 녹여 SD rat(male, SPF, 150 - 200 g, 오리엔트바이오사로부터 구입)에 경구투여 하였다. 그 후 위궤양을 유도하기 위하여 Rao등의 방법(J. Ethnopharmacol. 91, 243, 2004)에 따라, 1시간 후 ethanol을 경구 투여한 다음 4시간 경과 후 rat를 sacrifice하고 위를 절제한 후 formalin에 고정하고 궤양의 넓이를 측정하고 그 결과를 표 2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오메프라졸 5 mg을 사용하였다. 억제율은 에탄올만 처리한 실험군(Ethanol-treated)에 대한 백분율로 나타내었다.
투여량 Ulcer index, area (Mean ±SD) % inhibition
Ethanol-treated - 9.2 ± 2.4 -
대조군 5mg/rat 3.4 ± 2.0 63.0
실시예1 5mg/rat 3.1 ± 1.6 66.3
실시예2 5mg/rat 3.2 ± 1.8 65.2
비교예1 5mg/rat 8.7 ± 2.4 5.4
비교예2 5mg/rat 5.5 ± 2.8 40.2
비교예3 5mg/rat 7.4 ± 2.6 19.5
비교예4 5mg/rat 7.2 ± 2.4 21.7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위궤양 억제율이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열귀를 단순히 용매로 추출한 수치에 비하여,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2의 수치가 월등히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3. 체지방 감소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다이어트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실험을 실시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실험동물로서 생후 3주령인 SD rat(male, SPF, 150 - 200 g, 오리엔트바이오사로부터 구입)를 처리 군당 4수 3반복으로 각각 12수 난괴법(randomized complete block design)으로 배치하였고, 8주간 사육하며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와 함께 사료를 급식시켰다. 8주 후 체중을 측정하여 각 군(12마리)의 평균체중을 구하고, 8주 실험 완료 후 해부하여 장기 및 정소상체지방패드(EFP, 체지방)무게를 측정하였다. 체중 변화는 표 3에 나타내었고, 8주 후 정소상체지방패드 무게는 표 4에 나타내었다.
개시체중(g) 8주 후 체중(g)
실시예1 처리군 154.3 274.6
실시예2 처리군 152.5 285.5
비교예1 처리군 152.8 386.4
비교예2 처리군 156.2 301.7
비교예3 처리군 154.7 354.2
비교예4 처리군 154.6 358.3
간(g) 비장(g) 신장(g) 정소(g) EPF(g)
실시예1 처리군 2.64 0.22 0.35 0.44 0.36
실시예2 처리군 2.83 0.23 0.36 0.45 0.37
비교예1 처리군 3.82 0.31 0.44 0.59 0.52
비교예2 처리군 3.23 0.25 0.38 0.47 0.41
비교예3 처리군 3.44 0.27 0.42 0.51 0.44
비교예4 처리군 3.42 0.28 0.41 0.52 0.45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체중 감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열귀를 단순히 용매로 추출한 일반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2의 체중 감소 및 체지방 감소 효과가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실험예 4.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 확인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에 대하여 여성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은 공지된 방법을 통해 진행하였다.
폐경을 전후로 갱년기 증후군 증상을 보이는 40 내지 65세의 여성 100명을 대상으로 무작위로 5명씩 13개의 군으로 나누어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4를 1회 20ml, 1일 2회씩 8주간 복용하고, 갱년기 주요 증상인 안면홍조, 발한, 불면증, 과민성, 우울증, 어지럼증, 피로감, 관절 및 근육통, 두통, 가슴 두근거림, 질 건조의 11가지 항목에 대해 각 항목의 개선여부를 5점 척도(0점은 효과가 없음을, 5점은 효과가 있음을 나타낸다.)로 표시하여 평균수치를 구하고, 그 결과를 표 5에 나타내었다.
갱년기 증상 지수
(4주 후)
갱년기 증상 지수
(8주 후)
실시예1 4.5 4.8
실시예2 4.2 4.7
비교예1 1.2 1.3
비교예2 3.2 3.5
비교예3 2.4 2.4
비교예4 2.3 2.5
그 결과, 실시예 1 내지 2의 조성물이 비교예 1 내지 4의 조성물에 비해 갱년기 증후군의 증상 개선 효과가 높은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생열귀를 단순히 용매로 추출한 일반 용매 추출물에 비하여,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한 실시예 1 내지 2의 갱년기 증후군의 증상 개선 효과가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생열귀를 초음파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효과가 나타났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결론.
상기 실시예, 비교예 및 실험예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효과에 대하여 알아보았다.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위염 억제율을 가지며, 이로부터 위염 예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위궤양 억제율을 가지며, 이로부터 위궤양 예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체중 감소 및 체지방 감소 효과를 가짐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은 높은 갱년기 증후군의 증상 개선 효과를 가지며, 이로부터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 신규한 조성물로써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을 개발하였음을 명시한다.
본 발명을 첨부된 도면과 함께 설명하였으나, 이는 본 발명의 요지를 포함하는 다양한 실시 형태 중의 하나의 실시 예에 불과하며, 당 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하는 데에 그 목적이 있는 것으로, 본 발명은 상기 설명된 실시예에만 국한되는 것이 아님은 명확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하기의 청구범위에 의해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변경, 치환, 대체 등에 의해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에 포함될 것이다. 또한, 도면의 일부 구성은 구성을 보다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실제보다 과장되거나 축소되어 제공되는 것임을 명확히 한다.
(S10):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
(S20):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
(S30):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
(S40): 숙성 단계

Claims (5)

  1. 생열귀(Rosa davurica Pall.)를 추출용매에 넣고, 2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2 ~ 8시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생열귀(Rosa davurica Pall.)를 건조하고 분쇄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숙성하여 위염 및 위궤양의 예방 효과, 체지방 감소 효과 및 여성 갱년기 증후군 예방 효과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2. 삭제
  3. 생열귀(Rosa davurica Pall.)와 추출용매를 혼합하고, 20초를 한 사이클로 하여 초음파를 5초 동안 가하고, 나머지 15초 동안은 초음파를 중지하는 것을 2 ~ 8시간 반복하는 간헐적 초음파 추출 방식으로 추출하여 생열귀 초음파추출액을 제조하는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
    생열귀(Rosa davurica Pall.)를 건조하고 분쇄하여 생열귀 분말을 제조하는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
    상기 생열귀 초음파추출액 제조 단계(S10)에서 제조한 생열귀 초음파추출액과 상기 생열귀 분말 제조 단계(S20)에서 제조한 생열귀 분말을 혼합하고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제조하는 생열귀 추출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4. 삭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를 수행한 다음 상기 생열귀 추출 혼합물 제조 단계(S30)에서 제조한 생열귀 추출혼합물을 숙성하는 숙성단계(S4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의 제조방법.


KR1020200092280A 2020-07-24 2020-07-24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48853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80A KR102488531B1 (ko) 2020-07-24 2020-07-24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92280A KR102488531B1 (ko) 2020-07-24 2020-07-24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41A KR20220013141A (ko) 2022-02-04
KR102488531B1 true KR102488531B1 (ko) 2023-01-13

Family

ID=802677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92280A KR102488531B1 (ko) 2020-07-24 2020-07-24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8531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44B1 (ko) * 2009-09-14 2010-10-26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431275B1 (ko) * 2001-07-19 2004-05-12 강원도 생열귀 농축액 캡슐이 함유된 음료의 제조방법
KR101995238B1 (ko) 2016-10-10 2019-07-02 경상대학교산학협력단 생열귀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당뇨병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042798B1 (ko) * 2018-04-25 2019-11-07 민흥기 천연 원료 추출물을 포함하는 기능성 환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89944B1 (ko) * 2009-09-14 2010-10-26 앨트웰코스메틱 주식회사 항산화 미백 활성을 갖는 생약 혼합 추출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13141A (ko) 2022-02-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44532B1 (ko) 백수오 추출물을 포함하는 여성 갱년기 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0893106B1 (ko) 발모용 조성물
KR102105540B1 (ko) 천연재료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여성 갱년기 증후군 개선용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JP2010514756A (ja) 脱毛予防及び発毛促進のためのナノ粒子組成物
CN104855738A (zh) 一种猪配合饲料及其制备方法
KR20070107329A (ko) 발모촉진용 생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80073437A (ko) 생약 추출 혼합물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049208B1 (ko) 여드름 완화 및 피지 분비 억제용 화장료 조성물
CN103749821B (zh) 一种提高免疫力的绞股蓝保健茶及其制备方法
KR100891914B1 (ko) 식물생약제 조성물의 추출액으로된 다이어트용 기능성식품의 제법
KR101224196B1 (ko) 비타민나무 추출물과 생약제가 함유된 오메가 - 3 제조방법
KR101961356B1 (ko) 엉겅퀴 엑기스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747415B1 (ko) 여성 젖몸살 완화 효과가 있는 추출혼합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KR101338560B1 (ko) 오디 및 한방조성물이 함유된 건강국수 제조방법
KR101600751B1 (ko) 녹용을 함유하는 여성 불임증 치료용 한약 조성물 제조 방법
KR102488531B1 (ko) 생열귀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N103829108A (zh) 促进仔猪生长的中药添加剂及其制备方法
KR101681890B1 (ko) 혼합 생약제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골다공증 예방 및 치료 조성물 및 그의 제조방법
KR20160079685A (ko) 건강환 및 이의 제조방법
CN107281084A (zh) 一种美白中药面膜及其制备方法
KR101544000B1 (ko) 생약 혼합물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20024186A (ko) 건강보조식품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1206875B1 (ko) 어성초를 주성분으로 하는 동물사료 및 그 제조방법
KR101810421B1 (ko) 아마씨를 포함하는 갱년기 증상 개선용 환의 제조방법
KR100885480B1 (ko) 한방 미백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