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909B1 - 배수펌프 - Google Patents

배수펌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909B1
KR102487909B1 KR1020180077927A KR20180077927A KR102487909B1 KR 102487909 B1 KR102487909 B1 KR 102487909B1 KR 1020180077927 A KR1020180077927 A KR 1020180077927A KR 20180077927 A KR20180077927 A KR 20180077927A KR 102487909 B1 KR102487909 B1 KR 1024879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tor
oil
housing
lubricating oil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779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04714A (ko
Inventor
조상영
김창섭
송창현
오영진
이선중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779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909B1/ko
Publication of KR2020000471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0471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9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9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6Lubrication
    • F04D29/061Lubrication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4Shafts or bearings, or assemblies thereof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DNON-POSITIVE-DISPLACEMENT PUMPS
    • F04D29/00Details, component parts, or accessories
    • F04D29/08Sealings
    • F04D29/086Sealings especially adapted for liquid pump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Structures Of Non-Positive Displacement Pumps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는,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및 내부에는 상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부에는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삽입되는 로터수용부가 상기 임펠러를 등지는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로터수용부에는 소정량의 윤활유가 담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이 혼합되거나 또는 오일과 물, 그리고 부동액이 혼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오일의 점성에 의한 소음 및 마찰손실을 줄이고 결빙을 방지할 수 있다.

Description

배수펌프{DRAIN PUMP}
본 발명은 세탁기 또는 건조기와 같은 의류처리장치에 적용되거나 또는 식기세척장치에 적용되는 배수펌프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물을 이용하는 세탁기 또는 세척기 등에는 사용된 물을 배출시키기 위한 배수펌프가 포함되어 있다. 배수펌프는 일방향 모터 또는 양방향 모터가 필요에 따라 적용되고 있다.
배수펌프는 물속에 잠기거나 또는 물이 접촉되는 조건에서도 임펠러를 정상적으로 작동시킬 수 있어야 한다. 따라서, 펌프의 신뢰성과 성능을 높이기 위해서는 물이 펌프의 내부로 스며들지 못하도록 펌프어셈를 긴밀하게 실링시킬 수 있어야 한다.
이에, 종래에는 하우징을 단일체로 몰딩하거나 또는 복수 개의 하우징을 결합하되 기밀성을 높이기 위해 후크 결합하는 방식이 알려져 있다. 후크 결합 방식이 선행기술(일본 공개특허: 제2008-291780호)에 개시되어 있다. 이러한 후크 결합 방식은 물론 몰딩 방식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임펠러를 각각 설치하여 모터와 임펠러를 회전축으로 연결하고 있다. 그리고, 하우징의 내부에는 윤활유를 저장하여,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손실을 낮추고 있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종래의 배수펌프는, 윤활유가 순수 오일로 이루어짐에 따라 오일의 점성으로 인해 윤활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습동부에서의 소음 및 마찰손실을 줄이는데 한계가 있었다.
또, 종래의 배수펌프는, 배수펌프가 기온이 낮은 조건에서 작동하는 경우 윤활유가 얼게 되면서 윤활성능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기온이 낮은 조건에서 습동부에서의 소음 및 마찰손실이 증가하게 되는 문제점도 있었다. 특히,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경우 또는 하우징의 내 외부 사이에 온도차가 증가하여 수분이 발생되는 경우에는 수분의 결빙으로 인해 앞서 설명한 소음 및 마찰손실이 더욱 증가할 수 있었다.
선행기술: 일본 공개특허: 제2008-291780호 (공개일: 2008.12.04일)
본 발명의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에 윤활유를 저장하여 습동부에서의 마찰손실을 줄이되, 윤활유의 점성을 최적화하여 습동부에서의 소음이나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수펌프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기온이 낮은 조건에서 하우징의 내부에 저장된 오일이 결빙되지 않도록 하여 습동부에서의 소음이나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수펌프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또,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는 것을 억제하여 추운 조건에서 오일이나 물이 결빙되지 않도록 하고, 이를 통해 습동부에서의 소음이나 마찰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는 배수펌프를 제공하려는데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및 내부에는 상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부에는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삽입되는 로터수용부가 상기 임펠러를 등지는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로터수용부에는 소정량의 윤활유가 담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물의 혼합비율이 1 이상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의 혼합비율은 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부동액이 더 혼합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부동액의 혼합비율이 0.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과 부동액의 혼합비율은 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의 축방향 양쪽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상기 로터의 사이에는 상기 로터수용부에 수용된 윤활유의 일부가 개재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측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의 축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로터커버; 및 상기 로터커버의 축방향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축방향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제1 와셔 및 제2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는 상기 로터커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로터커버의 축방향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환형 홈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로터커버가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면을 가지는 콘넥터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콘넥터를 감싸는 콘넥터 커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넥터 커버부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콘넥터의 접속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될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임펠러; 상기 임펠러를 향하는 면에는 로터수용부가 상기 임펠러를 등지는 방향으로 함몰지게 형성되고, 상기 로터수용부에는 축수홈이 형성되며, 상기 축수홈에는 윤활유가 담기는 윤활저장부가 형성되는 하우징; 상기 로터수용부의 외부에 고정 결합되는 스테이터; 상기 로터수용부의 내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일단이 상기 축수홈에 지지되도록 회전축이 구비되는 로터; 상기 로터수용부의 개구측에 삽입되어 상기 로터수용부를 복개하고, 상기 회전축의 타단이 회전 가능하게 관통되는 실러(sealer); 및 상기 실러와 하우징에 각각 구비되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를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오일에 대한 물의 혼합비율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가 제공될 수 있다.
여기서,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의 혼합비율은 1:1로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부동액이 더 혼합되며, 상기 오일에 대한 부동액의 혼합비율이 0.3 이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과 부동액의 혼합비율은 1: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는, 하우징의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되, 윤활유는 오일과 물이 혼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오일의 점성이 낮아지게 되고, 이로 인해 로터의 회전시 베어링면에서의 소음 및 마찰손실을 줄일 수 있다.
또, 본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는, 윤활유가 오일과 물, 그리고 부동액으로 혼합되어 구성됨에 따라,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윤활유가 결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세탁기의 성능을 더욱 높일 수 있다.
또, 본 발명에 따른 배수펌프는, 모터하우징의 외부로 노출되는 콘넥터를 감싸도록 모터하우징에 콘넥터 커버부를 형성함으로써, 물이 콘넥터가 노출되는 부위를 통해 배수펌프의 내부로 침투하는 것을 차단하여 윤활유가 결빙되는 것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수펌프를 보인 분해 사시도,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을 분해하여 임펠러쪽에서 보인 사시도 및 모터하우징쪽에서 보인 사시도,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을 조립하여 내부를 보인 단면도,
도 6은 본 실시예의 배수펌프에서 윤활유의 점성 변화에 따른 소음 변화를 보인 그래프.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배수펌프를 첨부도면에 도시된 일실시예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는 세탁기나 건조기 또는 세척기와 같이 물을 이용하여 세탁물이나 식기를 처리하는 장치에 설치되어 사용된 물을 배수하는 역할을 하게 된다. 이하에서는, 배수펌프가 드럼 세탁기에 적용된 예를 중심으로 본 실시예에 따른 배수펌프를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드럼 세탁기의 내부를 개략적으로 보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드럼 세탁기는 전면에 세탁물 투입구(11)가 구비된 캐비닛(10),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1)를 개폐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도어(20), 캐비닛(10) 내부에 세탁수를 저장하도록 구비되는 터브(30), 터브(30)에 구비되어 구동력을 발생하는 모터(40), 모터(40)에 연결되는 회전축(41), 회전축(41)에 연결되어 모터(40)에서 전달된 구동력에 의해 세탁물을 세탁하는 드럼(50)을 포함한다. 도 1에서는 모터(40)가 직접 회전축(41)과 연결되어 드럼(50)을 구동하는 직결식 구동 구조가 도시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캐비닛(10)은 드럼 세탁기의 외관을 형성하며, 세탁물 투입구(11)는 캐비닛(1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시키도록 형성된다. 도어(20)은 세탁물 투입구(11)를 선택적으로 개폐하도록 캐비닛(10)의 전면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어(20)는 드럼(50)을 바라보는 도어 내측면이 드럼(50)을 향하여 돌출되어 형성되고, 세탁물 투입구(11)의 내주면에는 가스켓(12)이 구비된다. 가스켓(12)은 드럼 내부의 세탁수가 누수되는 것을 억제하는 동시에 모터(40)의 진동을 완충시킬 수 있도록 유연한 재질로 이루어진다. 이에 따라, 도어(20)가 닫히면 세탁수는 드럼(50)의 외부로 거의 배출되지 않는다. 하지만, 세탁물 투입구(11)의 가스켓(12)과 도어(20) 사이에는 진동 및 노후로 인한 틈새가 발생될 수 있고, 이 틈새를 통해 세탁수의 일부가 누수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이러한 세탁수의 누수로 인한 배수펌프의 방수에 관한 것으로, 이에 대해서는 배수펌프의 구조와 함께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터브(30)는 캐비닛(10) 내부에 구비된 채 세탁수를 수용하도록 형성된다. 터브(30)는 세탁수가 외부의 급수원으로부터 내부로 급수된다. 터브(30)는 대략 원통형으로 형성된다. 터브의 전방에는 드럼(50)의 내부와 외부를 연통하도록 캐비닛(10)의 세탁물 투입구(11)를 마주보는 위치에 전방 개구부가 형성된다.
또, 터브(30)는 원주면이 캐비닛(10) 내부에 설치되는 스프링(13)과 댐퍼(14)에 의해 탄력적으로 지지된다. 터브(30)는 원주면이 스프링(21)과 댐퍼(23)에 의해 직접 지지되므로 자체 회전할 수 없다. 따라서, 터브(30)는 드럼(50)과 달리 모터(40)로부터 별도의 회전력을 전달받지 않는다.
드럼(50)은 모터(40)에 의해 회전시 내부에 수용된 세탁물이나 세탁수의 일부를 들어올려 낙하시키도록 내주면에 리프터(49)가 구비된다. 이에 따라, 드럼(50)이 모터(40)에 의해 회전하면, 리프터(51)는 드럼(50)과 같이 회전하면서 일측면으로 세탁물이나 세탁수의 일부를 들어올려 낙하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 드럼(50)은 복수개의 통공(52)이 측벽 즉, 윈주면에 형성된다 복수개의 통공(52)을 통하여 드럼(50)은 터브(30)와 연통된다. 이에 따라 세탁수가 터브(30)에 일정 수위 이상으로 공급되면 드럼(50)은 세탁수에 잠기면서 일부 세탁수가 통공(52)을 통하여 드럼(50)의 내부로 인입된다.
한편, 터브(30)의 상측에는 터브(30)의 내부로 물을 급수하는 급수유닛(60)이 연결되고, 터브(30)의 하측에는 물을 배수하기 위한 배수유닛(70)이 연결된다.
급수유닛(60)은 외부 호스를 통해 공급되는 깨끗한 물을 단속하는 급수 밸브(61), 급수 밸브(61)를 통과한 물을 안내하는 급수호스(62), 급수호스(62)를 통해 공급되는 물이 미리 저장된 세제와 혼합한 후 배출하도록 형성된 세제공급부(63), 세제공급부(63)에서 배출되는 세제가 포함된 물 또는 세제가 포함되지 않는 깨끗한 물을 터브(30)의 내부로 안내하도록 일단이 세제공급부(63)의 배출구에 연결되고 타단이 터브(30)의 상부에 연결된 급수관(64)을 포함한다.
배수유닛(70)은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출하기 위한 동력을 제공하는 배수펌프(71), 일단이 터부의 하측에 연결되고 타단이 배수펌프(71)에 연결되어 터브(30)에 수용된 세탁수를 배수펌프(71)로 안내하는 제1 배수관(72a), 일단이 배수펌프(71)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 후면을 향하도록 대략 수평하게 연장되는 제2 배수관(72b), 대략 수직하게 연장되며 일단이 제2 배수관(72b)에 연결되고 타단이 캐비닛(10)의 후면에 연결되어 세탁수를 캐비닛(10) 외부로 배출하는 제3 배수관(72c)을 포함한다. 제1 배수관(72a)은 터브(30)의 진동이 배수펌프(71)에 전달되지 않도록 벨로우즈관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2는 도 1에 따른 배수펌프를 보인 분해 사시도이다. 이를 참조하면, 배수펌프(71)는 펌프케이싱(75) 및 펌프어셈(100)을 포함한다.
펌프케이싱(75)은 펌프어셈(100)의 일단부에 결합하며, 후술할 임펠러(101)가 회전 가능하게 수용되는 케이싱본체(75a), 터브(30) 내의 세탁수가 케이싱본체(75a) 내부로 유입되도록 일단이 제1 배수관(72a)과 연결되며 타단이 케이싱본체(75a)과 연통하는 입수관(75b), 케이싱본체(75a) 내부의 세탁수가 배출되도록 일단이 케이싱본체(75a)과 연통하며 타단이 제2 배수관(72b)과 연결되는 출수관(75c), 및 케이싱본체(75a) 내부로 유입된 세탁수를 입수관(75b)으로 안내하는 연통부(75d)를 포함한다. 펌프케이싱(75a)은 별개의 부품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캐비닛의 하부 일측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펌프어셈(100)은 임펠러(101) 및 임펠러(101)를 회전시키는 펌프모터(102)로 이루어진다. 임펠러(101)는 중앙에 위치하는 허브(101a) 및 허브(101a)의 외주면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되는 복수 개의 블레이드(101b)를 포함한다.
펌프모터(102)는 모터하우징(110)의 내부에는 후술할 스테이터(120) 및 로터(130)가 구비된다. 모터하우징(110)은 임펠러(101)가 결합하는 일단부의 가장자리에 복수 개의 걸림부(1111a)가 형성되고, 이 걸림부(1111a)는 펌프케이싱(110)에 구비된 돌기부(75e)와 맞물려 결합된다. 돌기부(75e)가 회전하면서 걸림부(1111a)의 내부에 끼워지게 됨에 따라, 모터하우징(110)은 펌프케이싱(75)과 서로 결합되고, 임펠러(101)는 펌프케이싱(75)의 케이싱본체(75a)에 삽입된다.
한편, 배수펌프(71)는 통상적으로 드럼(50)보다 하측에 설치된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을 분해하여 임펠러쪽에서 보인 사시도 및 모터하우징쪽에서 보인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을 조립하여 내부를 보인 단면도이다.
이들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펌프어셈(100)은, 펌프어셈(100)의 외관을 형성하는 모터하우징(110), 모터하우징(110)의 내부에 구비되어 임펠러(101)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전동부(M)를 포함한다.
모터하우징(110)은 제1 하우징(1110), 제1 하우징(1110)에 결합되는 제2 하우징(1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하우징(1110)의 일측에는 개구측 테두리면이, 제2 하우징(1120)의 일측에는 개구측 테두리면이 각각 구비되고, 제1 하우징(1110)의 개구측 테두리면과 제2 하우징(1120)의 개구측 테두리면이 마주보도록 결합되어 후술할 스테이터(120)가 설치되는 모터수용공간(110a)이 밀봉될 수 있다.
제1 하우징(1110)은 일측에 내부공간을 가지는 캡 단면 형상으로 형성된다. 예를 들어, 제1 하우징(1110)은 축방향 일측면을 이루는 제1 밀봉면(1111), 제1 밀봉면(1111)의 외주연에서 원통모양으로 연장되는 제1 측벽면(1112)을 포함한다.
제1 밀봉면(1111)은 펌프케이싱(75)을 마주보는 면의 외주에는 앞서 설명한 복수 개의 돌기부(1111a)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1110)은 펌프케이싱(75)의 체결홈(75e)에 돌려져 결합될 수 있다.
제1 밀봉면(1111)의 중앙에는 로터수용부(1115)가 임펠러(101)를 등지는 제1 축방향으로 함몰지게 형성된다. 로터수용부(1115)는 대략 제1 측벽면(1112)의 높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로터수용부(1115)는 제2 하우징(1120)을 향하는 제1 축방향 측면(1115a)은 막히는 반면 반대쪽인 임펠러(101)를 향하는 제2 축방향 측면(미부호)은 개구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로터수용부(1115)의 원주방향 측면을 이루는 외주면과 제1 밀봉면(1111)의 내측면, 그리고 제1 측벽면(1112)의 내주면은 후술할 제2 하우징(1120)을 이루는 제2 밀봉면(1121)의 내측면과 제2 측벽면(1122)의 내주면과 함께 케이싱본체(75)의 내부공간인 모터수용공간(110a)의 일부를 형성하게 된다.
여기서, 로터수용부(1115)는 원주방향 측면의 두께가 밀폐된 축방향 측면의 두께에 비해 얇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터수용부(1115)의 원주방향 측면을 사이에 두고 배치되는 스테이터(120)와 로터(130) 사이의 간격이 작아져 모터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로터수용부(1115)의 외부에는 펌프모터(102)의 스테이터(120)가 삽입되어 고정 결합되고, 로터수용부(1115)의 내부에는 펌프모터(102)의 로터(130)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된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120)와 로터(130)는 제1 하우징(1110)의 로터수용부(1115)를 사이에 두고 바깥쪽에는 스테이터(120)가, 안쪽에는 로터(130)가 각각 배치되고, 스테어터(120)와 로터(130)는 대략 동일한 축방향 높이 범위에 배치된다.
로터수용부(1115)의 외주면에는 후술할 스테이터 코어(1210)의 티스(정확하게는 티스에서 연장된 폴부)(1212) 사이에 위치하는 고정리브(1115b)가 축방향으로 길게 형성된다. 고정리브(1115b)는 스테이터(120)의 티스(1212) 사이에 삽입되어 스테이터(120)가 원주방향으로 움직이는 것을 억제한다. 고정리브(1115b)는 원주방향을 따라 소정의 간격을 두고 티스(1212)의 개수만큼 복수 개가 형성된다.
하지만, 고정리브(1115b)는 적어도 한 개 이상이더라도 스테이터(120)의 회전을 억제할 수 있다. 다만, 고정리브(1115b)가 한 개인 경우에는 로터수용부(1115)의 측벽부 두께가 원주방향으로 불균일하여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고정리브(1115b)는 원주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고정리브(1115b)는 동일한 형상과 규격으로 형성되는 것이 제1 하우징(1110)의 사출 제작시 로터수용부(1115)의 변형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또, 로터수용부(1115)의 외주면에는 스테이터(120)의 축방향 일측면, 즉 임펠러(101)를 향하는 스테이터 코어(1210)의 제2 축방향 면을 제2 축방향에 대해 지지되도록 제1 지지돌부(1116)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돌부(1116)는 로터수용부(1115)의 제1 축방향 면(1115a)쪽에서 축방향 반대쪽으로 소정의 길이만큼 리세스되어 단차진 홈 형상으로 형성되거나 또는 단차지는 위치에서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는 돌기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지지돌부(1116)는 고정리브(1115b)를 사이에 원주방향 양쪽 고정리브(1115b)의 사이를 연결하여 형성될 수 있다.
로터수용부(1115)는 축방향 측면을 이루는 외측 바닥면(1115a)에는 회전축(1330)을 지지하는 축수부(1115c)가 제1 축방향으로 돌출되어 형성되고, 로터수용부(1115)의 외측 바닥면(1115a)과 축수부(1115c)의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반경방향으로 돌출되는 복수 개의 보강리브(1115d)가 형성될 수 있다.
보강리브(1115d)는 한 개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축수부(1115c)에 대해 균일하게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는 복수 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강리브(1115d)는 로터수용부(1115)의 외측 바닥면(1115a)에서 축수부(1115c)의 단부쪽을 향해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보강리브(1115d)는 로터수용부(1115)의 외측 바닥면(1115a)에서 축수부(1115c)의 단부로 갈수록 단면적이 작아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보강리브(1115d)는 복수 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등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고, 원주방향을 따라 연장되어 한 개의 환형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다만, 보강리브가 한 개의 환형으로 형성되는 경우에는 보강리브(1115d)에서의 두께가 증가하게 되므로 가능한한 축수부(1115c)가 시작되는 뿌리부분에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나아가 보강리브(1115d)는 경사면 또는 곡면지게 형성될 수도 있다.
한편, 보강리브(1115d)가 복수 개가 원주방향을 따라 형성되는 경우에는 각각의 보강리브(1115d)는 고정리브(1115b)의 사이, 즉, 스테이어터(120)의 각 티스(1212)의 원주방향 범위내에 위치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만약, 보강리브(1115d)와 고정리브(1115b)가 반경방향으로 동일 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연결되면 제1 하우징(1110)의 사출 제작시 보강리브와 고정리브(1115b)가 형성되는 부분이 주변 부분보다 두꺼워지게 된다. 그러면 제1 하우징(1110)의 사출 후 냉각시 수축되면서 변형이 발생될 수 있다. 따라서, 보강리브(1115d)와 고정리브(1115b)는 반경방향으로 다른 선상에 위치하여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며, 동일 반경선상에 위치하더라도 서로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 보강리브(1115d)는 반경방향으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되는 것이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하우징(1110)의 사출제작시 로터수용부(1115)의 변형을 억제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하지만, 보강리브(1115d)는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 서로 다른 길이를 가지는 보강리브(1115d)가 규칙적으로 번갈아 배열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상대적으로 긴 제1 보강리브 사이에 상대적으로 짧은 제2 보강리브가 번갈아 배열될 수 있다. 제1 보강리브(1115d)는 고정리브(1115b)의 사이에 위치하고, 제2 보강리브는 고정리브(1115b)와 동일 반경선상에 위치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제2 보강리브는 고정리브(1115b)로부터 이격되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와 같이, 축수부(1115c)의 외주면에 보강리브(1115d)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후술할 제2 하우징(1120)의 제2 밀봉면(1121)에 구비되는 환형돌부(1125)의 내주면이 보강리브(1115d)와 대응되도록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제2 하우징과 함께 다시 설명한다.
한편, 로터수용부(1115)의 내주면에는 후술할 실러(140)가 안착되는 안착면(1115e)이 개구단 주변에 단턱지게 형성된다. 그리고 로터수용부(1115)의 내측 바닥면 중심에는 로터(130)의 회전축(1330)의 단부가 삽입될 수 있도록 축수홈(1115f)이 형성된다. 축수홈(1115f)의 바닥면과 회전축(1330)의 단부 사이에는 일정량의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도록 윤활저장공간(1115g)가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110)의 측면을 이루는 제1 측벽면(1112)의 외주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도면에선, 3개가 도시됨)의 후크돌기(1117)가 형성되고, 후크돌기(1117)는 후술할 제2 하우징(1120)의 후크걸이홈(1127)에 걸려 축방향으로 결합된다.
후크돌기(1117)의 양측에는 소정의 높이를 갖는 안내리브(1118)가 형성될 수 있다. 안내리브(1118)는 원주방향 측면이 후크걸이홈(1127)의 원주방향 측면에 미끄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후크걸이홈(1127)을 후크돌기(1117)에 밀어 삽입할 때 그 후크걸이홈(1127)이 제위치를 유지할 수 있게 된다.
안내리브(1118)는 모터하우징(110)을 돌려 그 모터하우징(110)의 체결돌기(1111a)가 펌프케이싱(75)의 체결홈(75e)에 걸리도록 할 때 손잡이 역할을 할 수 있을 정도의 높이와 폭을 가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에 따라, 작업자가 후크걸이홈(1127)이나 후술할 콘넥터(1240)에 무리한 힘을 가하지 않도록 하여 후크걸이홈(1127)이나 콘넥터(1240)의 파손을 억제할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110)의 테두리를 이루는 제1 측벽면(1112)의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1 단차부(111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단차부(1112a)는 후술할 제2 하우징(1120)의 개구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2 단차부(1122a)와 맞물리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 제1 하우징(1110)의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콘넥터(1240)가 삽입되도록 콘넥터 장착홈(1112b)이 형성된다. 콘넥터 장착홈(1112b)은 제1 측벽면(1112)의 개구측 테두리면에서 임펠러(101)를 향하는 제2 축방향으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콘넥터 장착홈은 제1 하우징(1110)과 제2 하우징(1120)의 각 개구측 테두리면에 절반씩 형성될 수도 있다. 콘넥터 장착홈에 대하여는 나중에 다시 설명한다.
한편, 제2 하우징(1120)은 원판모양으로 형성되는 제2 밀봉면(1121), 제2 밀봉면(1121)에서 원통형상으로 연장되는 제2 측벽면(1122)을 포함한다.
제2 밀봉면(1121)은 제2 하우징(1120)의 축방향 일측면을 이루며 제1 하우징(1110) 개구측을 복개하여 모터수용공간(110a)을 밀봉하게 된다. 제2 밀봉면(1121)의 내측면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도 있지만,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환형돌부(1125)가 형성될 수 있다.
환형돌부(1125)는 스테이터(120)를 향해 돌출되는 것으로, 스테이터 코어(1210)의 측면에 최대한 근접되도록 돌출 형성되는 것이 후술할 제2 지지돌부(1126)의 높이를 최소화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환형돌부(1125)는 외주면 또는 내주면이 제2 하우징의 밀봉면에 대해 직교하도록 축방향으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하지만, 축수부(1115c)의 외주면에 보강리브(1115d)가 경사지게 형성됨에 따라, 적어도 환형돌부(1125)의 내주면은 보강리브(1115d)의 외측면과 일정 간격을 유지할 수 있도록 그 보강리브(1115d)와 대응되는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나아가, 환형돌부(1125)의 외주면은 내주면과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것이 환형돌부(1125)의 변형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또, 환형돌부(1125)의 중앙부분에는 로터수용부의 축수부(1115c)가 수용되도록 함몰부(1125a)가 형성될 수 있다. 함몰부(1125a)는 환형돌부(1125)의 내주면에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환형돌부(1125)의 내주면은 외주면에 비해 짧게 형성되고, 함몰부(1125a)의 외측 바닥면은 제2 하우징(1120)의 밀봉면(1121)과 동일한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한편, 환형돌부(1125)의 스테이터측 단부에는 앞서 설명한 제2 지지돌부(1126)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돌부(1126)는 스테이터 코어(1210)를 향해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돌부(1126)는 스테이터의 내주측 제1 축방향 면에 접촉되어 지지할 수 있는 정도의 높이를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지지돌부(1126)의 높이는 가능한 한 낮게 형성되는 것이 제2 지지돌부(1126)의 좌굴을 방지할 수 있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제2 지지돌부(1126)의 축방향 높이는 환형돌부(1125)의 축방향 높이보다 낮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지지돌부(1126)는 그 단부가 제2 하우징(1120)의 개구측 테두리면보다 소정의 높이만큼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1 하우징(1110)과 제2 하우징(1120)이 서로 결합된 상태에서 제2 지지돌부(1126)가 스테이터(120)를 제1 하우징(1110)을 향하는 방향으로 더 밀어올려 스테이터(120)가 제1 지지돌부(1116)에 더욱 밀착되도록 할 수 있다.
또, 제2 지지돌부(1126)는 원주방향을 따라 동일한 간격을 가지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스테이터(120) 복수 개의 제2 지지돌부(1126)에 의해 원주방향을 따라 균일하게 힘을 받아 안정적으로 지지될 수 있다.
나아가, 제2 측벽면(1122)의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후크걸이홈(1127)이 형성될 수 있다. 후크걸이홈(1127)은 제1 하우징(1110)의 후크돌기(1117)에 걸려 제1 하우징(1110)과 제2 하우징(1120)이 결합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한다.
또, 제2 측벽면(1122)의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원주방향을 따라 제2 단차부(1122a)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단차부(1122a)는 앞서 설명한 제1 하우징(1110)의 개구측 테두리면에 형성되는 제1 단차부(1112a)와 맞물리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제1 하우징의 개구측 테두리면과 제2 하우징의 개구측 테두리면은 실링면적이 증가되어 더욱 견고하게 밀봉될 수 있다.
한편, 본 실시예 따른 제1 하우징(1110)과 제2 하우징(1120)은 초음파 용착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 단차부(1112a)에는 후술할 제2 단차부(1122a)와 초음파 용착시 초음파 진동에 의해 용융되면서 제2 단차부(1122a)와 접합되도록 용착돌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용착돌부는 제2 단차부(1122a)에 형성될 수도 있고, 제1 단차부(1112a)와 제2 단차부(1122a)에 각각 형성될 수도 있다.
나아가, 제1 하우징(1110)의 개구측 테두리면과 제2 하우징의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단차부가 형성되지 않고 평면으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경우에도 개구측 테두리면에는 앞서 설명한 용착돌부가 형성되어 제1 하우징의 개구측 테두리면과 제2 하우징(1120)의 테두리면이 초음파 용착될 수도 있다. 물론, 초음파 용착 외에 다른 접착제를 이용하여 접합할 수도 있다.
한편, 구동부는 스테이터(120)와 로터(130)를 포함할 수 있다.
스테이터(120)는 스테이터 코어(1210)와, 코일(1220)과, 그리고 인슐레이터(12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스테이터 코어(1210)는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의 슬롯(1211)과 티스(1212)를 가지는 다수 장의 스테이터 시트가 원통모양으로 적층되는 형성되고, 코일(1220)은 스테이터 코어(1210)의 슬롯(1211) 사이의 티스(1212)에 감기며, 인슐레이터(1230)는 스테이터 코어(1210)와 코일(1220) 사이에 개재되어 절연을 하는 역할을 한다.
스테이터(120)는 그 내주면이 제1 하우징(1110)에 구비된 로터수용부(1115)의 외주면에 삽입되고, 스테이터(120)의 일측면, 즉 스테이터 코어(1210)의 제2 축방향 측면은 제1 하우징(1110)의 로터수용부(1115)의 외주면에 구비된 제1 지지돌부(1116)에 의해 제2 축방향이 지지된다. 그리고 스테이터(120)의 타측면, 즉 스테이터 코어(1210)의 제1 축방향 측면은 제2 밀봉면(1121)의 내측면에 구비되는 제2 지지돌부(1126)에 의해 제1 축방향이 지지된다.
또, 스테어터 코어(1230)의 내주면은 그 스테어터 코어(1210)의 슬릿(1211), 즉 티스(정확하게는 폴부) 사이의 슬릿들이 로터수용부(1115)의 외주면에 구비되는 고정리브(1115b)에 삽입되어 원주방향으로 지지된다.
한편, 로터(130)는 자석(1310)과, 자석(1310)의 축방향 양측면을 감싸 지지하는 로터커버(1320)와, 로터커버(1320)의 중심에 삽입되어 결합되는 회전축(1330)과, 그리고 로터커버(1320)의 축방향 양측을 덮어 결합되는 복수 개의 와셔(1341)(1342)를 포함한다.
자석(1310)은 환형으로 형성되어 외주면은 노출되고, 내주면은 수지로 된 로터커버(1320)가 인서트 몰딩에 의해 채워져 지지된다. 또, 자석(1310)은 축방향 양쪽 측면이 후술할 로터커버(1320)의 제2 지지부(1322)에 의해 축방향으로 지지된다.
로터커버(1320)는 자석(1310)과 회전축(1330)을 두고 인서트 몰딩을 통해 형성된다. 로터커버(1320)은 자석(1310)의 내주면을 채우며 회전축(1330)을 지지하는 제1 지지부(1321)와, 제1 지지부(1321)의 축방향 양쪽 외주면에서 연장되어 자석(1310)의 축방향 양쪽 측면을 각각 지지하는 복수 개의 제2 지지부(1322)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지지부(1321)는 원통 형상으로 형성되고, 중앙에는 회전축(1330)이 삽입되어 결합되도록 축구멍(1321a)이 형성되며, 축구멍(1321)의 바깥쪽에는 로터(130)의 무게를 줄이는 동시에 사출 변형을 줄이기 위한 살빼기홈(1321b)이 형성될 수 있다.
살빼기홈(1321b)은 축구멍의 바깥쪽에 원주방향을 따라 복수 개가 일정 간격을 두고 형성될 수 있다. 또, 살빼기홈(1321b)은 축방향을 따라 관통 형성될 수도 있지만, 회전축(1330)을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도록 축방향 양쪽 측면에서 소정의 깊이만큼 함몰지게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2 지지부(1322)(1322)는,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1 지지부(1321)의 축방향 양단의 외주면에서 반경방향으로 연장되어 플랜지 형상으로 형성된다. 제2 지지부(1322)의 축방향 외측면, 즉 후술할 제1 베어링(151)과 제2 베어링(152)을 각각 마주보는 측면에는 후술할 제1 와셔(1341)와 제2 와셔(1342)의 외주면으로부터 각각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환형 홈(1322a)(1322a)이 각각 형성될 수 있다.
환형 홈(1322a)(1322a)은 제1 와셔(1341)와 제2 와셔(1342)를 고정하는 과정에서 형성되는 홈으로, 이 환형 홈(1322a)에는 윤활유가 저장될 수 있고, 이 윤활유는 로터(130)가 회전을 할 때 비산되어 제1 베어링(151)과 회전축 사이를 윤활할 수 있다.
또, 환형 홈(1322a)(1322a)의 축방향 깊이는 제1 와셔(1341) 및 제2 와셔(1342)의 두께보다 크거나 같게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2 지지부(1322)의 두께는 제1 와셔(1341) 또는 제2 와셔(1342)의 두께보다 같거나 크게 형성하는 것이 제1 와셔(1341) 및 제2 와셔(1342)를 안정적으로 고정하는데 바람직할 수 있다. 제2 지지부에 대해서는 나중에 와셔와 함께 다시 설명한다.
한편, 회전축(1330)은 금속재질로 형성되어 자석의 중심에서 로터커버(1320)의 축구멍(1321a)을 관통하여 결합된다.
또, 회전축(1330)의 일단은 실러(140)를 회전 가능하게 관통하여 임펠러(101)에 결합되고, 회전축(1330)의 타단은 축수부(1115c)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된다. 회전축(1330)의 타단과 축수부(1115c)의 바닥면은 곡면지게 형성하는 것이 회전축(1330)과 축수부(1115c) 사이의 마멸을 방지하는데 바람직하다.
또, 회전축(1330)은 그 회전축(1330)의 회전시 마모를 방지하도록 제1 베어링(151)과 제2 베어링(152)에 의해 반경방향으로 지지된다. 제1 베어링(151)은 후술할 실러베이스(1410)에 삽입되어 결합되고, 제2 베어링(152)은 축수부(1115c)를 이루는 로터수용부(1115)의 축수홈(1115f)에 삽입되어 결합된다.
제1 베어링(151)과 제2 베어링(152)은 모두 부시 베어링으로 이루어진다. 하지만, 제1 베어링(151)과 제2 베어링(152)은 반경방향 베어링부를 이루는 원통부(1511)(1521) 및 축방향 베어링부를 이루는 플랜지부(1512)(1522)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에 따라, 반경방향 베어링부를 이루는 원통부(1511)(1521)에는 회전축(1330)의 일단부가 삽입되어 로터(130)를 반경방향으로 지지하는 한편, 축방향 베어링부를 이루는 플랜지부(1512)(1522)에는 회전축(1330)의 타단부가 삽입되어 로터(130)의 축방향 양쪽 측면을 각각 축방향으로 지지하게 된다.
이때, 제1 베어링(151)과 제2 베어링(152)은 각각 금속재질로 형성됨에 따라 제1 베어링(151)의 플랜지부(1512)와 제2 베어링(152)의 플랜지부(1522)가 마주보는 로터(130)의 축방향 양쪽 측면에는 앞서 설명한 제1 와셔(141) 및 제2 와셔(142)가 구비된다.
제1 와셔(141)와 제2 와셔(142)는 로터커버(1320)의 양쪽 측면이 제1 베어링(151) 및 제2 베어링(52)과 직접 접촉될 경우 그 로터커버(1320)와 베어링(151)(152)의 마찰로 인한 로터의 마모를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에 따라, 제1 와셔(1341)와 제2 와셔(1342)는 수지로 된 로터커버(1320)보다 강성이 큰 금속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와셔(1341)와 제2 와셔(1342)는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된다. 예를 들어, 제1 와셔(1341)는, 살빼기홈(1321b)을 복개하여 자석(1310)을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넓이를 가진 원판모양으로 형성되고,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홈(1341a)이 형성될 수 있다.
고정홈(1341a)에는 로터커버(1320)가 삽입되어 결합된다. 이를 위해, 로터커버(1320)의 제2 지지부(1322)에는 제1 와셔(1341)의 외주면을 따라 환형으로 된 고정돌부(1322b)를 형성하고, 이 고정돌부(1322b)에 열을 가해 고정돌부(1322b)가 제1 와셔(1341)쪽으로 용해되면서 고정홈(1341a)으로 스며들도록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로터커버(1320)의 제2 지지부(1322)와 제1 와셔(1341)가 동일한 높이로 형성됨에 따라 자석(1310)의 크기를 최대한 크게 형성할 수 있고, 이를 통해 동일한 모터 크기 대비 모터 용량을 확대할 수 있다.
제2 와셔(1342)는 제1 와셔(1341)와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어 조립되므로 이에 대한 설명은 생략한다.
한편, 로터(130)의 바깥쪽, 즉 로터(130)와 임펠러(200) 사이에는 그 로터(130)가 로터수용부(1115)에서 이탈되는 것을 방지하는 동시에 세탁수가 로터(130)쪽으로 침투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실러(sealer)(140)가 설치될 수 있다.
실러(140)는 실링베이스(1410)와, 실링부재(seal member)(1420)와, 실링커버(1430)로 이루어질 수 있다.
실링베이스(1410)는 로터(130)의 회전축(133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고, 실링부재(1420)는 그 외주면이 로터수용부(1115)의 내주면과 실링되어 접촉되도록 실링베이스(1410)에 얹혀져 결합되며, 실링커버(1430)는 실링부재(1420)가 실링베이스(1410)에 고정되도록 그 실링부재(1420)를 눌러 실링베이스(1410)에 결합된다.
도면으로 도시하지는 않았으나, 상기와 같은 실러를 대신하여 제1 하우징(1110)의 로터수용부(1115)에 로터를 축방향으로 지지할 수 있는 로터지지돌부를 반경방향으로 돌출시켜 형성할 수도 있다.
도면중 미설명 부호인 1112b는 콘넥터 장착홈, 1114b는 콘넥터 커버부의 제2 축방향 측면, 1114e는 콘넥터 커버부의 원주방향 측면, 1114h는 고정돌기, 1114f는 물막이 돌부, 1123은 실링돌부, 1240a는 접속면, 1241은 제1 콘넥터부, 1241a는 구획돌기, 1242는 제2 콘넥터부, 1245는 단자부, 1245a는 제1 단자부, 1245b는 제2 단자부, 1246는 밀착돌부이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의한 배수펌프가 구비된 세탁기에서 세탁수가 배수되는 과정은 다음과 같다.
즉, 세탁기에서 배수 행정이 시작되어 펌프어셈(100)을 이루는 스테이터(120)의 코일(1220)에 전원이 인가되면, 스테이터(120)의 코일(1220)과 로터(130)의 자석(1310) 간 상호 작용에 의해 로터(130)가 회전을 하게 된다. 로터(130)가 회전을 하면 그 로터(130)의 회전축(1330)에 결합된 임펠러(101)가 회전을 하게 된다.
그러면, 터브(30) 내의 세탁수는 제1 배수관(72a) 및 입수관(75b)을 거쳐 배수펌프(71)의 내부로 유입되고, 이 세탁수는 임펠러(101)에 의해 강제적으로 출수관(75c)으로 배출된다.
그러면, 출수관(75c)으로 배출된 세탁수는 제2 배수관(72b) 및 제3 배수관(72c)을 따라 캐비닛의 외부로 배출되는 일련의 과정을 진행하게 된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배수펌프는 하우징의 내부에 모터를, 하우징의 외부에 임펠러를 각각 설치하여 모터의 로터와 임펠러를 회전축으로 연결하고 있다. 이때, 하우징의 내부에는 윤활유를 저장하여, 모터의 회전축과 제1 및 제2 베어링 사이를 윤활하고 있다.
하지만, 윤활유가 순수 오일로 이루어질 경우에는 오히려 오일의 점성으로 인해 윤활성능이 저하되고, 이로 인해 회전축과 양쪽 베어링 사이, 로터와 양쪽 베어링 사이에서의 소음 및 마찰손실이 증가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본 실시예에서는 윤활유가 오일과 물이 혼합된 일종의 혼합유가 형성될 수 있다. 그러면, 순수 오일만 사용하는 것에 비해 오일의 점성이 낮아지게 되어 베어링면에서의 마찰손실이 감소될 수 있다. 아울러, 오일의 점성이 낮아지면서 로터의 회전시 발생될 수 있는 일종의 점핑 현상, 즉 오일의 점성으로 인해 회전축과 베어링의 반경방향 베어링부 사이 및 로터와 베어링의 축방향 베어링부 사이가 들러붙는 현상을 줄일 수 있다. 이에 따라, 모터의 구동시 발생되는 마찰손실 및 소음을 줄여 모터 효율을 높일 수 있다.
상기와 같이 윤활유가 오일과 물로 혼합되는 경우 그 혼합비율은 앞서 설명한 효과를 높이는데 중요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물의 혼합비율이 1 이상으로 구성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아래의 [표 1] 내지 [표 3]은 동일 조건에서의 오일의 점성 크기에 따른 소음의 변동을 보인 실험결과들이다. [표 1]은 오일만 적용한 예(1:0)를, [표 2]는 오일과 물을 동일한 비율로 혼합한 예(1:1)를, [표 3]은 오일 대비 물의 비율을 2배로 혼합한 예(1:2)를 각각 보이고 있다.
시료No. 시료① 시료②
콘넥터 방향 12시 3시 6시 9시 12시 3시 6시 9시
평균(dB) 26.46 32.76 39.7 26.04 32.74 26.86 40.72 42.36
시료No. 시료① 시료②
콘넥터 방향 12시 3시 6시 9시 12시 3시 6시 9시
평균(dB) 28 28.16 27.86 27.86 27.78 27.6 28.2 27.84
시료No. 시료① 시료②
콘넥터 방향 12시 3시 6시 9시 12시 3시 6시 9시
평균(dB) 27.9 28.34 28.12 29.66 27.86 28.04 28.14 28.64
위 표들에서 보여진 바와 같이, [표 1] 내지 [표 3] 중에서 시료 ①, ②에 대해 살펴보면, 콘넥터의 설치방향을 기준으로 할 때 점성이 클수록 소음 산포가 크고 점성이 작을수록 소음 산포가 적게 형성되는 것을 볼 수 있다.
즉, 시료①을 보면, 오일만으로 이루어져 점성이 큰(1:0) 윤활유의 경우에는 각 방향에 대해 소음 산포가 최소 26.04dB에서 최대 39.7dB까지 분포되는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오일 대 물의 혼합비율이 1:1인 중간 점성에서는 소음 산포가 최소 27.16dB에서 최대 28.16dB이고, 혼합비율이 1:2인 작은 점성에서는 소음 산포가 최소 27.9dB에서 최대 29.66dB인 것을 볼 수 있다.
그리고, 시료②를 보면, 윤활유의 점성이 큰(1:0) 경우에는 각 방향에 대해 소음 산포가 최소 26.86dB에서 최대 42.36dB까지 분포되어 소음 산포가 더 커진 것을 볼 수 있다. 하지만, 오일과 물의 혼합비율이 1:1인 중간 점성에서는 소음 산포가 최소 27.6dB에서 최대 28.2dB이고, 혼합비율이 1:2인 작은 점성에서는 소음 산포가 최소 27.86dB에서 최대 28.66dB인 것을 볼 수 있다.
이를 통해, 오일로만 이루어진 경우에 비해 오일에 물을 혼합한 경우가 소음 산포가 작아지는 것을 알 수 있고, 이는 소음 산포가 작아진다는 것은 그만큼 로터의 회전시 베어링면에서의 들러붙는 현상이 감소된다는 것을 의미하게 되므로 마찰손실 역시 감소할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의 배수펌프에서 윤활유의 점성 변화에 따른 소음 변화를 보인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오일 대비 물의 혼합 비율이 1:0인 큰 점성에서 혼합 비율이 1:1인 중간 점성까지 소음이 큰 폭으로 낮아지는 것을 볼 수 있고, 오일 대비 물의 혼합 비율이 1:1인 중간 점성에서 혼합 비율이 1:2인 작은 점성까지 소음은 거의 동일하게 유지되는 것을 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물의 혼합비율이 1 이상, 더 정확하게는 오일과 물의 혼합비율은 1:1로 이루어질 수 있다.
한편, 앞서 설명한 바와 같이, 윤활유가 오일로만 이루어지거나 또는 물이 혼합되는 경우에는 기온 조건에 따라서는 윤활유가 결빙될 수도 있다. 그러면 윤활유가 제 역할을 하지 못하게 되어 베어링면에서의 소음은 물론 마찰손실이 크게 증가할 수 있다.
이를 감안하여, 윤활유에는 오일에 부동액을 혼합하거나 또는 오일, 물, 부동액을 혼합하여 구성할 수도 있다. 아래의 [표 4]는 오일, 정제수(Dpistilled Water), 부동액(Ethylene glycol)의 혼합 비율에 따라 실험조건을 달리한 경우 윤활유의 결빙 여부를 실험하여서 보인 표이다. 참고로, X는 결빙, O는 결빙안됨이다.
구분
오일 용액 조합 비율 실험조건(온도[℃], 방치시간[hr])
-10℃ -20℃ -30℃ -35℃
오일 정제수 부동액 1hr 31hr 5hr 18hr 1hr 19hr 15hr
시료③ 1 1 미사용 O X
시료④ 1 1 0.3 O
시료⑤ 1 1 0.5 O
시료⑥ 1 1 1 O O O O X
위 [표 4]에서 보는 바와 같이, 부동액을 사용하지 않는 시료③의 경우에는 실험온도가 -10℃, 방치시간이 31시간이 되면 윤활유가 결빙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는, 통상 세탁기가 실외 또는 실외에 준하는 위치에 설치되는 점을 감안할 때 영하 10℃에서 이미 결빙이 발생되므로,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윤활유에 부동액을 혼합하지 않으면 실생활에 사용하기 어렵게 될 수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반면, 부동액이 오일과 정제수 대비 0.3배 혼합하는 시료④의 경우 또는 부동액이 오일과 정제수 대비 0.5배 혼합하는 시료⑤의 경우는 각각 -10℃의 조건은 물론 -20℃의 조건에서 18시간 방치를 하더라도 결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또, 오일과 정제수, 부동액을 각각 동일 비율(1:1:1)로 혼합하는 시료⑥의 경우는 -20℃의 조건은 물론 -30℃의 조건에서 19시간 방치를 하더라도 결빙이 발생되지 않게 된다.
상기와 같이, 하우징의 내부에 윤활유가 저장되는 경우 하우징의 내부로 물이 침투하거나 또는 로터수용부의 내외부 간 온도차에 의해 로터수용부의 내부에 수분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면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는 오일은 물론 물이 결빙되어 모터의 성능이 크게 저하될 수 있다.
하지만, 윤활유가 오일과 정제수, 그리고 부동액으로 혼합되게 되면 기온이 낮은 지역에서도 윤활유가 결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특히, 오일 대비 부동액의 혼합 비율이 0.3 이상, 더 정확하게는 오일과 정제수 그리고 부동액의 혼합 비율을 1:1:1로 구성하게 되면 영하 30도 이하의 혹한 조건에서도 윤활유가 결빙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어 세탁기의 성능을 높일 수 있다.

Claims (15)

  1. 임펠러;
    상기 임펠러에 결합되는 회전축이 구비되어 회전력을 상기 임펠러에 전달하는 로터;
    상기 로터의 외주측에 구비되어 상기 로터를 회전시키는 스테이터; 및
    내부에는 상기 로터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고, 외부에는 상기 스테이터가 고정 삽입되는 로터수용부가 상기 임펠러를 등지는 축방향으로 구비되며, 상기 로터수용부에는 소정량의 윤활유가 담기는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이 혼합되어 이루어지며,
    상기 로터의 축방향 양쪽에는 상기 회전축을 지지하는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이 구비되고,
    상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상기 로터의 사이에는 상기 로터수용부에 수용된 윤활유의 일부가 개재되며,
    상기 로터는,
    상기 회전축의 외주측에 구비되는 자석;
    상기 회전축에 결합되고, 상기 자석의 축방향 양단을 지지하는 로터커버; 및
    상기 로터커버의 축방향 양쪽 측면에 구비되어 상기 제1 베어링 및 제2 베어링과 축방향 베어링면을 형성하는 제1 와셔 및 제2 와셔;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는 상기 로터커버보다 높은 강성을 가지는 재질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물의 혼합비율이 1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의 혼합비율은 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부동액이 더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에 대한 부동액의 혼합비율이 0.3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윤활유는, 오일과 물과 부동액의 혼합비율은 1:1:1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7. 삭제
  8. 삭제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로터커버의 축방향 양쪽 측면에는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의 외주면으로부터 소정의 간격을 둔 위치에 환형 홈이 각각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와셔 및 제2 와셔는, 외주면을 따라 적어도 한 개 이상의 고정홈이 형성되고,
    상기 고정홈에는 상기 로터커버가 삽입되어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1.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에는 외부전원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도록 접속면을 가지는 콘넥터가 관통되어 결합되고,
    상기 하우징에는 상기 콘넥터를 감싸는 콘넥터 커버부가 형성되며,
    상기 콘넥터 커버부의 적어도 일측면은 상기 콘넥터의 접속면이 노출되도록 개구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배수펌프.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80077927A 2018-07-04 2018-07-04 배수펌프 KR10248790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27A KR102487909B1 (ko) 2018-07-04 2018-07-04 배수펌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77927A KR102487909B1 (ko) 2018-07-04 2018-07-04 배수펌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714A KR20200004714A (ko) 2020-01-14
KR102487909B1 true KR102487909B1 (ko) 2023-01-12

Family

ID=691530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77927A KR102487909B1 (ko) 2018-07-04 2018-07-04 배수펌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909B1 (ko)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099A (en) 1982-01-22 1984-06-05 Hughes Tool Company Submersible motor bearing with extended sleeve
US4569638A (en) 1982-11-30 1986-02-1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Pump with resiliently mounted impeller
JP2000220591A (ja) 1999-01-28 2000-08-08 Ogihara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ポンプ
US20120183421A1 (en) 2009-08-17 2012-07-19 Amotech Co., Ltd. Water pump motor, and water pump using same
CN106040745A (zh) 2016-06-02 2016-10-26 启东中冶润滑液压设备有限公司 立辊轧机板胚热轧轧制润滑***
US20170082117A1 (en) 2015-09-18 2017-03-23 Henan Province Xixia Automobile Water Pump Co., Ltd. Energy-saving and endurable auto electric water pump
WO2017220134A1 (en) * 2016-06-22 2017-12-28 Wärtsilä Sweden Ab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propeller shaft of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servicing such
CN108034412A (zh) * 2017-12-14 2018-05-15 玉门油田科达化学有限责任公司 一种钻井液用液体油润滑剂及其制备方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374382B2 (ja) 2007-05-25 2009-12-02 株式会社鷺宮製作所 モータの防水構造、排水ポンプ及び空気調和機
KR20110125094A (ko) * 2010-05-12 2011-11-1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배수펌프
KR101751343B1 (ko) * 2010-05-12 2017-06-27 엘지전자 주식회사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KR101242680B1 (ko) * 2011-05-18 2013-03-12 주식회사 아모텍 방수구조를 갖는 스테이터, 이를 이용한 워터펌프 모터 및 워터펌프

Patent Citation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4453099A (en) 1982-01-22 1984-06-05 Hughes Tool Company Submersible motor bearing with extended sleeve
US4569638A (en) 1982-11-30 1986-02-11 International Telephone And Telegraph Corporation Pump with resiliently mounted impeller
JP2000220591A (ja) 1999-01-28 2000-08-08 Ogihara Seisakusho:Kk マグネットポンプ
US20120183421A1 (en) 2009-08-17 2012-07-19 Amotech Co., Ltd. Water pump motor, and water pump using same
US20170082117A1 (en) 2015-09-18 2017-03-23 Henan Province Xixia Automobile Water Pump Co., Ltd. Energy-saving and endurable auto electric water pump
CN106040745A (zh) 2016-06-02 2016-10-26 启东中冶润滑液压设备有限公司 立辊轧机板胚热轧轧制润滑***
WO2017220134A1 (en) * 2016-06-22 2017-12-28 Wärtsilä Sweden Ab Arrangement for supporting a propeller shaft of a marine vessel and a method of servicing such
CN108034412A (zh) * 2017-12-14 2018-05-15 玉门油田科达化学有限责任公司 一种钻井液用液体油润滑剂及其制备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04714A (ko) 2020-01-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0207430B1 (en) Centrifugal pump
US8110958B2 (en) Rotor cover with rotor fins extending between stator slots
US20140271306A1 (en) Scroll compressor with back pressure discharge
EP3582373B1 (en) Brushless dc motor and drain pump having the same
US20050196296A1 (en) Electric motor-driven pump for washing machines and the like
KR102514964B1 (ko) 배수펌프
JP2015033226A (ja) 回転電機
JP5552402B2 (ja) ポンプの冷却液循環構造
CN110331556A (zh) 外筒组件、洗衣机
KR102487909B1 (ko) 배수펌프
KR102563116B1 (ko) 배수펌프
KR102487908B1 (ko) 배수펌프
KR20130115450A (ko) 히터 일체형 펌프
KR102499757B1 (ko) 배수펌프
US10995759B2 (en) Water pump
CN220254254U (zh) 电机组件和家用电器
CN110762023A (zh) 水泵组件和具有其的洗碗机
KR101763688B1 (ko) 비엘디시 모터 및 이를 이용한 배수펌프
JP2021120568A (ja) ポンプ装置
KR102613471B1 (ko) 워터 펌프
CN217206992U (zh) 一种轴承箱、轴承箱密封***及中开泵
KR102326023B1 (ko) 누설방지구조를 개선한 드럼 회전식 제빙기
CN213331512U (zh) 立式冷媒泵
EP3926172B1 (en) Motor, pump, and washing device
US20220131443A1 (en) Rotor core, permanent magnet rotor, electric motor and electric pump for a household applian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