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87013B1 -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 Google Patents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87013B1
KR102487013B1 KR1020210050713A KR20210050713A KR102487013B1 KR 102487013 B1 KR102487013 B1 KR 102487013B1 KR 1020210050713 A KR1020210050713 A KR 1020210050713A KR 20210050713 A KR20210050713 A KR 20210050713A KR 102487013 B1 KR102487013 B1 KR 10248701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derpass
buoyancy
entry
blocking member
entran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07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4254A (ko
Inventor
한승진
Original Assignee
한승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승진 filed Critical 한승진
Priority to KR10202100507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013B1/ko
Publication of KR2022014425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425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01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01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2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free-standing; portable, e.g. for guarding open manholes ; Portable signs or signals specially adapted for fitting to portable barriers
    • E01F13/028Flexible barrier members, e.g. cords; Means for rendering same conspicuous; Adapted supports, e.g. with storage reel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13/00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 E01F13/04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 E01F13/048Arrangements for obstructing or restricting traffic, e.g. gates, barricades ; Preventing passage of vehicles of selected category or dimensions movable to allow or prevent passage with obstructing members moving in a translatory motion, e.g. vertical lift barriers, sliding gates
    • EFIXED CONSTRUCTIONS
    • E01CONSTRUCTION OF ROADS, RAILWAYS, OR BRIDGES
    • E01FADDITIONAL WORK, SUCH AS EQUIPPING ROADS OR THE CONSTRUCTION OF PLATFORMS, HELICOPTER LANDING STAGES, SIGNS, SNOW FENCES, OR THE LIKE
    • E01F9/00Arrangement of road signs or traffic signals; Arrangements for enforcing caution
    • E01F9/60Upright bodies, e.g. marker posts or bollards; Supports for road signs
    • E01F9/696Overhead structures, e.g. gantries; Foundation mean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7/00Fencing, e.g. fences, enclosures, corrals
    • E04H17/14Fences constructed of rigid elements, e.g. with additional wire fillings or with pos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Special W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지하차도의 침수 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하여 침수에 따른 인명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는 지하차도의 배수구에 세워져 설치되는 부력가이드부재,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작동부재, 상기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부재, 및 상기 집수조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상승하는 상기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하강하도록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진입차단부재를 연결하는 연동와이어를 포함한다. 따라서, 전기를 사용하지 않고도 지하차도의 침수 시 자동으로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Powerless Underpass Entry Prevention Device}
본 발명은 지하차도의 침수 시 전력을 사용하지 않고도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하여 침수에 따른 인명사고의 발생을 예방하기 위한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지하차도는 지상의 구조물을 회피하기 위해 지상보다는 낮은 높이로 형성된다.
지하차도는 지상보다는 높이가 낮기 때문에 비가 내리면 우수가 지하차도로 모여 침수가 발생할 우려가 있기 때문에 우수를 모아 저장하는 집수조이 설치되고, 집수조에는 우수를 외부로 펌핑하기 위한 펌프가 설치된다.
그러나, 펌프의 고장이 발생하거나, 펌프의 토출량을 넘어서는 폭우가 발생하는 경우, 집수조에 찬 우수가 역류하면서, 지하차도가 침수하여 인명사고 또는 차량의 침수되는 등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해 종래에는 한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1702호(2014.3.10.공고)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가 개시된 바가 있다.
상기한 종래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는 인도면과 지하 출입구의 통로바닥면 사이에 높이를 다르게 하여 상,하로 설치한 제1 및 제2 수위감지센서와, 제1 수위감지센서와 동일 높이에 설치한 온도감지센서를 구비하고, 제어부는 제1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경보기를 작동시키도록 제어하고, 제2 수위감지센서로부터 검출신호가 출력될 때 물막이판이 통로차단위치로 이동하도록 전동기구를 포함하여 구성되었다.
이러한 구성의 종래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는 수위감지센서에 의해 침수가 발생하기 이전까지 물이 차오르는 경우, 경보기를 작동시켜 침수의 발생에 따른 대응을 할 수 있었다.
하지만, 종래의 지하 출입구 침수방지장치는 감지센서에 의해 수위를 센싱하기 때문에 전기의 소모가 발생하여 유지보수비용이 증대될 뿐만 아니라, 센서의 도입으로 인한 제작비용이 증가되며, 경보기에 의해 소리로서 침수의 발생을 알리기 때문에 출입을 차단하기 위한 차단효과가 높지 않은 문제점이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부력작동부재의 부양력에 의해 진입차단부재가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를 소모할 필요가 없어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으며, 침수의 발생 시에 진입차단부재가 내려와 지하차도로의 진입을 차단하기 때문에 출입의 차단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연동와이어에 매달린 진입차단부재를 차단부재가이드가 지지하여 진입차단부재가 바람에 의해 흔들려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는 지하차도의 배수구에 세워져 설치되는 부력가이드부재,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작동부재, 상기 지하차도의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부재, 및 상기 집수조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상승하는 상기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하강하도록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진입차단부재를 연결하는 연동와이어를 포함한다.
상기 지하차도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의 위치에서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가림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진입차단부재는 상기 지하차도의 일측에 위치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1 진입차단부재, 및 상기 지하차도의 타측에 위치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2 진입차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연동와이어는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제1 진입차단부재와 연결하는 제1 연동와이어 및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제2 진입차단부재와 연결하는 제2 연동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진입차단부재와 상기 제2 진입차단부재가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일측 출입구와 타측 출입구를 동시에 차단할 수 있다.
상기 진입차단부재는 상기 지하차도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지하차도에 차오르는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진입차단부재를 부양시키는 부력제공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지하차도의 침수가 발생하면 부력작동부재가 부력에 의해 부양되면서 연동와이어에 연결된 진입차단부재가 하향되어 출입구를 차단하기 때문에 침수된 지하차도로 진입함에 따라 인명사고가 발생하거나, 차량이 침수되어 재산상의 손실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진입차단부재가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작동하기 때문에 전기를 소모하지 않아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으며, 비교적 단순한 구조로 제작비용을 대폭 감소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설치한 지하차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도시한 개략적인 사사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의 부력가이드부재 및 부력부재가 설치된 부분을 도시한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구성하는 진입차단부재의 변형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의 방향전환부재를 도시한 도면으로서, (a)는 롤러 형태이고, (b)는 브래킷의 형태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측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지하차도(200)에 설치되어 지하차도(200)가 침수된 경우, 차량 또는 사람의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지하차도(200)에는 지하차도(200)로 유입되는 우수를 집수하는 집수조(220)가 설치될 수 있으며, 집수조(220)에는 지하차도(200)의 우수를 배수하기 위한 배수로에 설치된 배수구(210)를 통해 우수가 유입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우수는 빗물 뿐만 아니라, 오수일수도 있으며, 지하차도(200)를 침수시킬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물을 포함하는 의미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부력가이드부재(11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부력가이드부재(110)는 집수조(220)의 수위에 따라 하기에 설명할 부력작동부재(120)의 이동을 가이드할 수 있다.
부력가이드부재(110)는 지하차도(200)에서 가장 낮은 위치에 위치하는 배수구(210) 또는 가장 낮은 위치에 배수로의 부분에 관통공을 형성하고, 배수구(210) 또는 관통공에 수직으로 세워지는 형태로 일단은 배수구(210) 또는 관통공에 위치하고 반대방향에 위치하는 타단은 끝단이 집수조(220)의 내부에 위치하는 형태로 집수조(220)과 연결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배수를 위해 형성되는 배수구(210)나 부력가이드부재(110)를 설치하기 위해 임의로 형성된 관통공을 모두 배수구(210)라고 칭한다.
부력가이드부재(110)는 하기에 설명할 부력작동부재(120)의 수위에 따른 상승 및 하강을 가이드할 수 있으며, 부력가이드부재(110)는 막대 형태이거나, 실시예에서와 같이 내부가 빈 파이프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부력가이드부재(110)가 막대 형태일 경우에는 부력작동부재(120)는 부력가이드부재(110)에 끼워져 부력가이드부재(110)를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와 같이 부력가이드부재(110)가 내부가 빈 파이프의 형태일 경우, 부력가이드부재(110)의 상단은 밀폐되고, 부력가이드부재(110)의 상단에는 하기에 설명할 연동와이어(140)가 관통되는 와이어공이 형성될 수 있으며, 와이어공은 배수로를 덮는 트렌치에도 형성될 수도 있다.
그리고,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둘레에는 하기에 설명할 부력작동부재(120)가 부력가이드부재(110)에서 이동할 때, 부력작동부재(120)가 내부에 충전되는 공기에 의해 미작동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내부에 충전된 공기를 배출하거나, 집수조(220)에서 넘치는 우수가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로 용이하게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 개의 침투공(111)이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부력가이드부재(110)는 배수구(210)보다는 작은 둘레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부력가이드부재(110)는 배수구(210)에 연결대에 의해 서로 연결되어 지하차도(200)로 유입되는 우수가 부력가이드부재(110)와 배수구(210)의 사이로 유입되어 집수조(220)으로 배수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부력작동부재(120)를 포함할 수 있다.
부력작동부재(120)는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부력작동부재(120)는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서 집수조(220)에 차오르는 우수의 수위에 따라 우수에서 부양되어 상하로 이동할 수 있다.
부력작동부재(120)는 부력을 가질 수 있도록 내부에 공기가 충전된 용기형태 또는 스티로폴과 같은 다공성재료로 미리 설정된 형상 예컨대, 원기둥형태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도 있으며, 물에서 부양할 수 있는 다양한 형태의 공지된 부력체를 적용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진입차단부재(130)를 포함할 수 있다.
진입차단부재(130)는 지하차도(200)를 출입하는 출입구에 위치하여 지하차도(200)에 침수가 발생하면, 진입을 차단할 수 있다.
진입차단부재(130)는 출입구를 가로막을 수 있는 크기를 가질 수 있으며, 진입차단부재(130)는 판 또는 현수막의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진입차단부재(130)에는 지하차도(200)의 출입을 금지하는 내용이 표시될 수 있다.
진입차단부재(130)는 지하차도(200)에서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할 수 있으며, 진입차단부재(130)는 침수의 발생 시 출입구에서 하강하는 형태로 출입구로의 진입을 차단하고, 다시 출입구의 상부로 상승하면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진입차단부재(130)의 하부에는 부력제공부(133)가 형성되어 출입구에서 진입차단부재(130)가 최대 하강된 상태보다 지하차도(200)의 침수로 인한 수위가 더 높을 경우, 진입차단부재(130)가 물에 잠기지 않고 부양되어 보이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부력제공부(133)는 용이하게 부양될 수 있도록 다공성재료로 형성되거나, 공기가 충전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부력제공부(133)는 우수에서 부양된 상태에서 진입차단부재(130)가 세워진 상태로 부양될 수 있도록 넓은 판의 형태로 부력제공부(133)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입차단부재(130)의 변형예로는 진입차단부재(130)의 흔들림을 방지하기 위한 차단부재가이드(135)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차단부재가이드(135)는 연동와이어(140)에 매달리는 형태로 설치된 진입차단부재(130)가 바람에 의해 흔들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차단부재가이드(135)는 가이드대(136) 및 가이드레일(137)을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대(136)는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은 막대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이드대(136)의 일단은 진입차단부재(130)의 양측에서 각각 좌우로 회전 가능하도록 진입차단부재(130)에 한 쌍이 설치될 수 있다.
양측에 위치하는 진입차단부재(130)의 양측에 위치하는 가이드대(136)는 회전하는 타단이 서로 바라보는 방향으로 회전하여 접히거나, 서로 바라본 상태에서 세워지는 형태로 회전하여 펼쳐질 수 있다.
여기서, 가이드대(136)가 진입차단부재(130)에서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한 상태에서는 가이드대(136)의 길이에 따라 서로 마주하도록 회전하는 경우, 서로 겹쳐질 수도 있다.
가이드대(136)의 길이는 차단부재가이드(135)가 최대한 하향되었을 때의 길이를 가질 수 있다.
가이드대(136)의 타단은 가이드레일(137)에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으며, 가이드레일(137)은 진입차단부재(130)에서 좌우로 회전하는 가이드대(136)의 타단이 가이드될 수 있도록 진입차단부재(130)의 길이방향과 나란하게 진입차단부재(130)와 대응되는 지하차도(200)의 천정에 설치될 수 있다.
이렇게 구성된 차단부재가이드(135)는 출입구를 개방하도록 진입차단부재(130)가 상향된 상태에서는 서로 마주하도록 접힌 상태로 위치하고, 진입차단부재(130)가 부양작동부재에 의해 하향되면, 서로 모였던 양끝단이 가이드레일(137)에서 서로 멀어지도록 가이드되면서 접힌 진입차단부재(130)가 세워지는 형태로 가이드대(136)에 의해 진입차단부재(130)가 지지되어 바람에 의해 흔들림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200) 진입방지장치는 연동와이어(140)를 포함할 수 있다.
연동와이어(140)는 부력작동부재(120)와 진입차단부재(130)를 서로 연결하여 수위에 대응하여 부력가이드부재(110)에서 부력작동부재(120)의 이동에 따라 진입차단부재(130)를 출입구에서 상승하거나, 하강시킬 수 있다.
연동와이어(140)는 예컨대, 피아노선과 같은 강성을 갖는 금속와이어일 수 있으며, 일반적인 노끈과 같은 끈의 형태일 수도 있다.
연동와이어(140)는 일단이 부력작동부재(120)에 연결되고, 타단은 진입차단부재(130)에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와이어(140)에 의해 서로 연결되는 부력작동부재(120)와 진입차단부재(130)는 진입차단부재(130)의 무게보다 부력작동부재(120)의 무게보다 더 무겁게 구성되어 부력작동부재(120)에 의해 연동와이어(140)가 부력작동부재(120)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진입차단부재(130)를 당겨짐으로써, 부력작동부재(120)에 부력이 작용하지 않는 한 부력작동부재(120)의 무게에 의해 진입차단부재(130)가 출입구에 상향된 상태로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작동와이어(140)의 길이에 따라 진입차단부재(130)의 최대로 하향될 수 있는 길이를 설정할 수 있으며, 연동와이어(140)과 부력작동부재(120) 및 부력가이드부재(110)는 진입차단부재(130)의 양측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도 1, 도 2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200) 진입방지장치는 방향전환부재(160)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방향전환부재(160)는 연동와이어(140)의 작동방향을 변경하도록 연동와이어(140)의 이동방향을 가이드할 수 있다.
방향전환부재(160)는 연동와이어(140)의 이동경로가 변경되는 부분마다 설치될 수 있으며, 최소한의 방향전환부재(160)는 제1 방향전환부재(161)와 제2 방향전환부재(16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방향전환부재(161)는 부력작동부재(120)와 수직한 지하차도(200) 천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2 방향전환부재(162)는 진입차단부재(130)의 수직한 지하차도(200) 천정의 위치에 설치될 수 있다.
제1 방향전환부재(161)와 제2 방향전환부재(162)에 걸쳐지는 부력부재에 연결된 연동와이어(140)는 제1 방향전환부재(161)를 거쳐 제2 방향전환부재(162)가 위치하는 방향으로 90°의 각도로 방향이 전환된 뒤 다시 제2 방향전환부재(162)를 거쳐 제2 방향전환부재(162)의 하부에 위치하는 진입차단부재(130)에 연결되도록 90°의 각도로 방향을 전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물론, 방향전환부재(160)는 연동와이어(140)의 처짐을 방지하기 위해 연동와이어(140)의 이동방향이 변경되지 않는 부분에도 복수 개가 설치되어 연동와이어(140)를 지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도 5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향전환부재(160)는 롤러 형태로 구현되거나, 도 5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방형전환부재(160')는 연동와이어(140)를 걸칠 수 있는 브래킷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와이어(140)가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를 포함할 경우,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가 각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에 연결하기 위해 이동방향이 변경되는 부분마다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200) 진입방지장치는 가림부재(150)를 포함할 수 있다.
가림부재(150)는 지하차도(200)의 차단상태를 오판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진입차단부재(130)가 지하차도(200)를 개방한 위치에서 진입차단부재(130)가 외부에서 시각적으로 보이는 것을 차단할 수 있다.
가림부재(150)는 지하차도(200)를 진입차단부재(130)가 개방한 상태의 위치 즉, 진입차단부재(130)가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전방에 위치하여 출입구에서 지하차도(200)를 바라 봤을 때, 가림부재(150)에 의해 진입차단부재(130)가 가려질 수 있다.
가림부재(150)는 진입차단부재(130)가 출입구를 차단하도록 하향되면 보여지도록 진입차단부재(130)와 대응되는 크기로 형성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한 각 구성 간의 작용과 효과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지하차도(200)의 가장 낮은 위치에서 집수조(220)과 연결되는 배수구(210)에 부력가이드부재(110)가 세워져 설치된다.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끝단은 집수조(220)의 내부에 위치하며, 집수조(220)에 우수가 차올라 배수구(210)로 넘칠 경우, 부력가이드부재(110)로 우수가 유입될 수 있다.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는 부력작동부재(120)가 설치되어 집수조(220)의 수위에 따라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서 상승 및 하강하도록 설치되고, 출입구에는 진입차단부재(130)가 설치된다.
그리고, 진입차단부재(130)는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 위치하는 부력작동부재(120)와 연동와이어(140)에 의해 연결되며, 연동와이어(140)는 방향이 전환되는 부분마다 방향전환부재(160)에 의해 가이드되어 이동하도록 지하차도(200)에 설치된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비가 내리면, 지하차도(200)로 유입되는 우수는 배수로를 통해 지하차도(200)의 가장 낮은 부분에 위치하는 배수구(210)를 통해 유입되며, 배수구(210)로 유입되는 우수는 집수조(220)에 저장된 뒤, 펌프를 통해 집수조(220)에서 외부로 배출된다.
그러나, 펌프의 토출용량을 넘어서는 폭우가 발생하거나, 펌프의 고장이 발생하여 집수조(220)에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우수가 차면, 부력가이드부재(110)에 설치된 부력작동부재(120)가 부양되고, 집수조(220)에서 물이 배수구(210)로 역류하면, 부력작동부재(120)는 부력가이드부재(110)의 내부에서 부양된다.
부력작동부재(120)가 상향하면, 부력작동부재(120)의 무게에 의해 하부로 당겨졌던 연동와이어(140)의 당김력이 해제되면서 지하차도(200)의 출입구 상부에 위치하였던 진입차단부재(130)가 자중에 의해 하향되어 가림부재(150)의 하부로 노출되면서, 진입차단부재(130)의 표시가 출입구 측에서 보이고, 진입차단부재(130)가 출입구의 하부까지 내려와 지하차도(200)의 진입을 차단한다.
한편, 집수조(220)에 우수가 배수되면, 부양되었던 부력작동부재(120)가 자중에 의해 부력가이드부재(110)에서 하향되어 연동와이어(140)가 당겨지고, 부력작동부재(120)에 의해 당겨지는 연동와이어(140)에 의해 진입차단부재(130)가 다시 출입구의 상부로 당겨지면서, 다시 가림부재(150)에 가려져 지하차도(200)의 출입구를 개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폭우에 의해 집수조(220)에 우수가 차면 부력작동부재(120)가 부양되고 연결와이어에 의해 연결된 진입차단부재(130)가 지하차도(200)의 출입구를 폐쇄함으로써, 집수조(220)의 수위에 따라 지하차도(200)의 진입을 차단하여 지하차도(200)의 침수에 따라 재산상의 피해나 인명사고 등이 발생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집수조(220)의 수위에 따라 부력작동부재(120)가 부력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진입차단부재(130)를 승하강하며 지하차도(200)의 출입구의 진입을 차단 또는 개방하기 때문에 전기를 소모하지 않기 때문에 유지보수비용을 절감시킬 수 있을 뿐만 아니라, 비교적 간단한 구성을 제작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제2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서는 침수 시 지하차도(200)의 어느 한 측의 출입구만을 진입차단부재(130)에 의해 차단하도록 구성하였다면, 제2 실시예에서는 지하차도(200)의 양측의 출입구를 동시에 차단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진입차단부재(130)와 작동와이어에 특징이 있다.
제2 실시예에서의 진입차단부재(130)는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진입차단부재(131)는 지하차도(200)의 일측에 위치하는 출입구를 차단한다면, 제2 진입차단부재(132)는 지하차도(200)의 타측에 위치하는 출입구를 차단할 수 있다.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는 출입구의 양측에 위치하여 지하차도(200)의 침수의 발생 시 하강하여 지하차도(200)의 양측의 출입구를 모두 폐쇄하고, 다시 상승하여 둘 모두를 개방할 수 있다.
연동와이어(140)는 하나의 부력작동부재(120)에 의해 양측에 위치하는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함께 출입구를 차단 또는 개방할 수 있도록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연동와이어(141)는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부력작동부재(120)를 연결하며, 제2 연동와이어(142)는 제2 진입차단부재(132)와 부력작동부재(120)를 연결하여, 부력작동부재(120)가 집수조(220)의 수위에 따라 상승 또는 하강할 때,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함께 각 출입구에서 상승 또는 하강할 수 있다.
물론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는 각각 방향전환부재(160)에 의해 부력작동부재(120)에서부터 제1 진입차단부재(131) 및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위치하는 부분까지 지하차도(200)에서 지지되도록 설치될 수 있다.
그리고, 지하차도(200)에서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출입구를 개방한 상대에서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의 전방에 가림부재(150)가 각각 설치되어 출입구 측에서 바라볼 때,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시각적으로 가려질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집수조(220)에 미리 설정된 수위만큼 우수가 차면, 부력작동부재(120)가 부양되면서,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의 부력작동부재(120)의 하중에 의한 당김력이 해제되면서, 제1 연동와이와 연결된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연동와이어(142)에 연결된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하향되어 각 출입구를 차단한다.
그리고, 집수조(220)에 우수가 배수되면 부력작동부재(120)의 하중에 의해 제1 연동와이어(141)와 제2 연동와이어(142)가 부력작동부재(120)에 의해 당겨지고, 제1 연동와이어(141)에 연결된 제1 진입차단부재(131)와 제2 연동와이어(142)에 연결된 제2 진입차단부재(132)가 모두 함께 상향되어 각 출입구를 개방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는 제1 실시예에 따른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100)의 효과에 더 해 지하차도(200)의 침수 발생 시 제1 진입차단부재(131) 및 제2 진입차단부재(132)에 의해 지하차도(200) 양측의 출입구를 모두 차단하거나 개방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예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용이하게 변경되어 균등한 것으로 인정되는 범위의 모든 변경 및 수정을 포함한다.
100: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110: 부력가이드부재
111: 침투공 120: 부력작동부재
130: 진입차단부재 131: 제1 진입차단부재
132: 제2 진입차단부재 133: 부력제공부
135: 차단부재가이드 136: 가이드대
137: 가이드레일 140: 연동와이어
141: 제1 연동와이어 142: 제2 연동와이어
150: 가림부재 160,160': 방향전환부재
161: 제1 방향전환부재 162: 제2 방향전환부재
200: 지하차도 210: 배수구
220: 집수조

Claims (5)

  1. 지하차도의 배수구에 세워져 설치되는 부력가이드부재,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의 내부에 설치되어 상기 배수구와 연결된 집수조의 수위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부력에 의해 상승 또는 하강하는 부력작동부재,
    상기 지하차도의 출입구의 상부에 위치한 상태에서 상기 출입구의 하부로 하강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진입을 차단하는 진입차단부재, 및
    상기 집수조의 수위가 상승함에 따라 상기 부력가이드부재에서 상승하는 상기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하강하도록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진입차단부재를 연결하는 연동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진입차단부재는 상기 지하차도의 일측에 위치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1 진입차단부재, 및 상기 지하차도의 타측에 위치하는 출입구에 설치되는 제2 진입차단부재를 포함하며,
    상기 연동와이어는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제1 진입차단부재와 연결하는 제1 연동와이어 및 상기 부력작동부재와 상기 제2 진입차단부재와 연결하는 제2 연동와이어를 포함하여, 상기 부력작동부재에 의해 상기 제1 진입차단부재와 상기 제2 진입차단부재가 동시에 작동하여 상기 지하차도의 일측 출입구와 타측 출입구를 동시에 차단하고,
    상기 진입차단부재는 상기 지하차도를 차단한 상태에서 상기 지하차도에 차오르는 물에 잠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상기 진입차단부재를 부양시키는 부력제공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하차도에 설치되어 상기 연동와이어의 이동방향을 변경하는 방향전환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상기 출입구를 개방한 상태의 위치에서 상기 진입차단부재가 시각적으로 보이지 않도록 가리는 가림부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4. 삭제
  5. 삭제
KR1020210050713A 2021-04-19 2021-04-19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KR10248701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713A KR102487013B1 (ko) 2021-04-19 2021-04-19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0713A KR102487013B1 (ko) 2021-04-19 2021-04-19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54A KR20220144254A (ko) 2022-10-26
KR102487013B1 true KR102487013B1 (ko) 2023-01-10

Family

ID=8378519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0713A KR102487013B1 (ko) 2021-04-19 2021-04-19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013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6536A (ja) * 2014-09-08 2016-04-21 大成建設株式会社 冠水表示装置
KR101971420B1 (ko) * 2018-08-07 2019-04-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05350U (ko) * 2012-03-03 2013-09-12 조민후 자연 부상식 도로 규제봉
KR102087553B1 (ko) * 2019-07-23 2020-03-10 장현실 자동제어식 터널진입 차단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056536A (ja) * 2014-09-08 2016-04-21 大成建設株式会社 冠水表示装置
KR101971420B1 (ko) * 2018-08-07 2019-04-23 동명대학교산학협력단 데크로드의 출입 차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4254A (ko) 2022-10-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2852162B (zh) 一种可自动升降的排水井盖
JP4472749B2 (ja) 防潮装置および防潮構造
CN202249014U (zh) 地下车库防洪板
JP4609955B1 (ja) 津波シェルター
KR100929613B1 (ko) 복합게이트 수문비
KR20110037807A (ko) 우수량 증감에 따른 그레이팅 안전 커버 자동개폐장치
KR101423496B1 (ko) 비구방지용 안전망 휀스
US5168584A (en) Retractable perimeter barrier
JP5416292B1 (ja) フロート式止水扉
KR102487013B1 (ko) 무전력 지하차도 진입방지 장치
CN113622372B (zh) 一种隐藏式防洪门
JP2001032621A (ja) 防水扉
JP5713863B2 (ja) 避難シェルタ
KR102590164B1 (ko) 부력식 어도
CN218062136U (zh) 一种地下车库汽车坡道自动升降的防水装置
KR20170062658A (ko) 도르래를 이용한 홍수 방지장치
KR100987506B1 (ko) 통수 게이트 기능이 구비된 하이브리드형 하천둔치용 엘리베이팅 타입 야구장 안전휀스 장치
JP2851580B2 (ja) 電気スクリーン
CN203729271U (zh) 刚性板自动阻水机
CN115095266A (zh) 一种地下车库汽车坡道自动升降的防水装置及使用方法
KR101985540B1 (ko) 승강 건축구조
JP3717454B2 (ja) 浮上式水防装置の排水構造
GB2371324A (en) Pivotable flood barrier
CN215367707U (zh) 一种下水道井盖
GB2592950A (en) Barrier for preventing liquid entry to an area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