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76289B1 -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76289B1
KR102476289B1 KR1020210054415A KR20210054415A KR102476289B1 KR 102476289 B1 KR102476289 B1 KR 102476289B1 KR 1020210054415 A KR1020210054415 A KR 1020210054415A KR 20210054415 A KR20210054415 A KR 20210054415A KR 102476289 B1 KR102476289 B1 KR 1024762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site material
skin
plate
display panel
display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544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147364A (ko
Inventor
강승규
도홍해
임성모
김상민
류제욱
강영욱
윤상훈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5441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6289B1/ko
Priority to EP23210516.3A priority patent/EP4304318A3/en
Priority to EP21190141.8A priority patent/EP4083694B1/en
Priority to US17/444,985 priority patent/US11747663B2/en
Priority to CN202210440171.0A priority patent/CN115249444B/zh
Priority to JP2022072051A priority patent/JP7328396B2/ja
Priority to AU2022202792A priority patent/AU2022202792B2/en
Publication of KR20220147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47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62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6289B1/ko
Priority to US18/223,316 priority patent/US20230359075A1/en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5K5/0018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having an electronic display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4Back fram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3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being semiconductor devices, e.g. diod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308Support structures for LCD panels, e.g. frames or bezels
    • G02F1/133317Intermediate frames, e.g. between backlight housing and front frame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2Details
    • H05K5/0217Mechanical details of casing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3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characterised by the 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the heat generating element to a dissipating body
    • H05K7/20436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 H05K7/20445Inner thermal coupling elements in heat dissipating housings, e.g. protrusions or depressions integrally formed in the housing the coupling element being an additional piece, e.g. thermal standoff
    • H05K7/20472Sheet interfac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954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for display panels
    • H05K7/20963Heat transfer by conduction from internal heat source to heat radiating structure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0/00Organic light-emitting devices
    • H10K50/80Constructional details
    • H10K50/84Passivation; Containers; Encapsul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02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fibre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46Fix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0Protective arrangements
    • G02F2201/503Arrangements improving the resistance to shock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개시된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합소재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스킨;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마주하는 리어 스킨; 그리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상기 리어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버(fibers)를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DISPLAY DEVICE}
본 개시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대한 요구도 다양한 형태로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부응하여 근래에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PDP(Plasma Display Panel), ELD(Electro luminescent Display), VFD(Vacuum Fluorescent Display), OLED(Organic Light Emitting Diode) 등 다양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가 연구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 중에서,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액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에 비하여 휘도 및 시야각이 우수하고 백라이트 유닛을 필요로 하지 않아 초박형으로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최근, 대화면 초박형(ultra-thin)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강성을 확보하고, 고화질에 따른 방열을 위한 구조에 대한 많은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다.
본 개시는 전술한 문제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 다른 목적은 대화면 초박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목적은 고화질에 따른 발열을 해소할 수 있는 방열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합소재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스킨;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마주하는 리어 스킨; 그리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상기 리어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버(fibers)를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효과에 대하여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대화면 초박형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구조적 강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실시 예들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하면, 고화질에 따른 발열을 해소할 수 있는 방열 구조를 구비한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를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적용 가능성의 추가적인 범위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경 및 수정은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으므로, 상세한 설명 및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와 같은 특정 실시 예는 단지 예시로 주어진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19는 본 개시의 실시예들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예들을 도시한 도면들이다.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모듈" 및 "부"는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개시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특정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 예를 설명하더라도, 필요한 경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를 언급할 수 있으며, 상기 특정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참조 번호는, 다른 도면에(in the other figures) 상기 참조 번호가 나타난 경우에 사용한다.
도 1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면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는 제1 장변(First Long Side, LS1), 제1 장변(LS1)에 대향하는 제2 장변(Second Long Side, LS2), 제1 장변(LS1) 및 제2 장변(LS2)에 인접하는 제1 단변(First Short Side, SS1) 및 제1 단변(SS1)에 대향하는 제2 단변(Second Short Side, SS2)을 포함할 수 있다.
설명의 편의를 위해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보다 더 긴 것으로 도시하고 설명하고 있으나, 제1 및 제2 장변(LS1, LS2)의 길이가 제1 및 제2 단변(SS1, SS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경우도 가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ong Side, LS1, LS2)과 나란한 방향을 제1 방향(DR1) 또는 좌우방향(LR)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단변(Short Side, SS1, SS2)과 나란한 방향을 제2 방향(DR2) 또는 상하방향(UD)이라고 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장변(LS1, LS2) 및 단변(SS1, SS2)에 수직한 방향을 제3 방향(DR3) 또는 전후방향(FR)이라고 할 수 있다. 여기서,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화면을 표시하는 방향을 전방이라고 하고, 이와 반대되는 방향을 후방이라고 할 수 있다.
이하, 디스플레이 패널(110)에 대해 유기 발광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를 이용한 디스플레이 패널을 예로 들어 설명하지만, 본 개시에 적용할 수 있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전면을 형성하며, 전방으로 화상을 표시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을 복수개의 픽셀로 나누어 각 픽셀당 색상, 명도, 채도를 맞추어 화상을 출력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화상이 표시되는 활성 영역(active area)과, 화상이 표시되지 않는 비활성 영역(de-active area)으로 구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제어신호에 따라 레드, 그린 또는 블루의 색에 해당하는 빛을 발생시킬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패널(material complexed panel, 130)은 코어(131, core)와, 프런트 스킨(132, front skin)과, 리어 스킨(133, rear skin)을 포함할 수 있다. 코어(131)와,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복합소재 패널(130)은 섬유 복합 패널(fiber complexed panel, 130), 섬유 복합 플레이트(fiber complexed plate, 130), 복합소재 플레이트(130) 또는 미들 프레임(130)이라 칭할 수 있다.
프런트 스킨(132)은 복합소재 패널(130)의 전면을 형성할 수 있다. 리어 스킨(133)은 복합소재 패널(130)의 후면을 형성할 수 있다.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은 금속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은 알루미늄(Al) 재질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의 두께는 약 0.5 mm 일 수 있다.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은 후술하는 코어(131)에 대하여 서로 대향할 수 있다.
코어(131)는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코어(131)는 파이버(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코어(131)는 복합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코어(131)는 메인 파이버(main fiber), 그리고 바인더 파이버(binder fiber)를 포함할 수 있다. 바인더 파이버는 메인 파이버 사이에 혼합될 수 있다.
프런트 스킨(132)과 코어(131) 사이에 핫 멜트 시트가 위치할 수 있고, 리어 스킨(133)과 코어(131) 사이에 핫 멜트 시트가 위치할 수 있다. 핫 멜트 시트는 필름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핫 멜트 시트는 두께 50 마이크로 미터 이상의 EVA, 아크릴, 폴리우레탄 등의 필름일 수 있다. 코어(131)를 핫 멜트 시트에 의해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 사이에 위치시킨 후, 섭씨 190도에서 1분 이상 롤 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디스플레이 디바이스의 굽힘 강성 및/또는 비틀림 강성이 향상될 수 있다.
도 3 및 4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패널(130)은 복수개의 롤러를 이용하여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을 코어(131)에 압착하는 공정을 통해 제조될 수 있고, 이러한 공정은 R2R(Roll-to-Roll) 공정으로 부를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구동모터의 기능을 수행하는 핀치롤러(Ra)의 회전에 따라, 프런트 스킨(132)이 프런트 드럼(Da)에서 풀리고, 리어 스킨(133)이 리어 드럼(Db)에서 풀리며, 코어(131)가 피딩롤러(Rd)를 거쳐 이동될 수 있다. 그리고, 프런트 스킨(132)을 코어(131)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1 접착제(134a)가 제1 드럼(Dc)에서 풀릴 수 있다. 또한, 리어 스킨(133)을 코어(131)에 결합시키기 위한 제2 접착제(134b)가 제2 드럼(Db)에서 풀릴 수 있다. 이 경우, 프런트 스킨(132), 제1 접착제(134a), 코어(131), 제2 접착제(134b) 및 리어 스킨(133)은 위 순서대로 적층되며, 가이드롤러(Rc)에 의해 오븐(Ov)을 향하는 방향으로 가이드 될 수 있다. 접착제(134a,134b)는 핫 멜트 시트(134a,134b)일 수 있다.
오븐(Ov)에서 제1 및 제2 접착제(134a, 134b)가 녹으며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 각각이 코어(131)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접착제(134a, 134b)의 녹는점은 약 150 ℃ 이고, 오븐(Ov)의 분위기 온도는 약 200 ℃ 일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및 제2 접착제(134a, 134b)의 접착력(Peel-off force)은 약 10 kgf 이상일 수 있다.
오븐(Ov)을 통과한 프런트 스킨(132), 코어(131) 및 리어 스킨(133)은 핀치롤러(Ra)의 회전에 따라, 압착롤러(Rb)로 안내되어 압착롤러(Rb)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프런트 스킨(132), 코어(131) 및 리어 스킨(133) 상호 간의 결합력이 보다 증대될 수 있다. 상호 결합된 프런트 스킨(132), 코어(131) 및 리어 스킨(133)은 핀치롤러(Ra)를 지난 후, 커터(Ct)에 의해 절단되어 일정 크기의 복합소재 패널(130)로 제조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압착롤러(Rb) 또는 핀치롤러(Ra)는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 각각의 외면에 접촉할 수 있다. 압착롤러(Rb) 또는 핀치롤러(Ra)가 회전하면 복합소재 패널(130)은 코어(131)의 길이방향(즉, 좌우방향(LR))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때, 프런트 스킨(132) 및 리어 스킨(133)은 코어(131)의 길이방향에서, 코어(131)의 일단부터 타단까지 순차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또한, 복합소재 패널(130)의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은 평평하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디바이스(100)의 후면을 형성하는 리어 스킨(133)의 후면이 평평하게 형성됨으로써, 외관상 미감을 위해 리어 스킨(133)의 후면에 도색을 하거나 시트지를 부착하는 등의 부가 작업을 하는 것이 용이해질 수 있다.
한편, 도 3 및 4를 참조해 전술한 R2R 공정을 통해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을 평평하게 형성하는 것 외에도, 프런트 스킨(132), 코어(131) 및 리어 스킨(133)을 차례로 적층한 후 결합시키는 공정을 통해 코어(131),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을 결합하는 것도 가능하다.
도 5를 참조하면, 복합소재 패널(130)은 평판부(130P), 수용부(137) 그리고 아우터 파트(135)를 구비할 수 있다. 아우터 파트(135)는 평판부(130P)의 둘레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아우터 파트(135a)는 평판부(130P)의 상변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제2 아우터 파트(135b)는 평판부(130P)의 좌변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제3 아우터 파트(135c)는 평판부(130P)의 하변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고, 제4 아우터 파트(135d)는 평판부의 우변을 따라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트(135)는 평판부(130P)가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아우터 파트(135)는 평판부(130P)로부터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평판부(130P)의 두께는 아우터 파트(135)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케이블홀(136)은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 도 2 참조)과 리어 스킨(133, 도 2 참조)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홀(136)은 평판부(130P)의 하변에 인접하여 수용부(137)에 형성될 수 있다. 케이블홀(136)은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케이블홀(136a)은 제2 케이블홀(136b)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137)는 평판부(130P)의 하변에 인접하여 평판부(130P)와 제3 아우터 파트(135c)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37)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수용부(137a)는 제1 케이블홀(136a)과 제2 단변(SS2)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제2 수용부(137b)는 제2 케이블홀(136b)과 제1 단변(SS1)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수용부(137)는 평판부(130P)가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37)는 평판부(130P) 및/또는 아우터 파트(135c)로부터 낮아지면서 단차를 형성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수용부(137)는 평판부(130P)가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은 평판부(130P)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낮아지는 단차(D1)를 형성할 수 있다.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은 평판부(130P)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높아지는 단차(D2)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평판부(130P)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으로 낮아지는 단차(D1)의 높이는 평판부(130P)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으로 높아지는 단차(D2)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평판부(130P)의 두께(T1)는 수용부(137)의 두께(T2) 보다 클 수 있다.
평판부(130P)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리어 스킨(133) 방향으로 프레스가 되면서 복합소재 패널(130)의 코어(131)는 외력을 흡수할 수 있다. 평판부(130P)의 프런트 스킨(132)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는 평판부(130P)의 리어 스킨(133)에 가해지는 외력의 크기 보다 클 수 있다. 복합소재 패널(130)의 코어(131)는 강성 확보 뿐만 아니라 충격을 흡수할 수도 있다.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두께(T4)는 수용부(137)의 두께(T2) 보다 클 수 있다.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으로 높아지는 단차(D2)가 형성될 수 있다.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리어 스킨(133)과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의 단차(D2)의 높이는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과 평판부(130P)의 리어 스킨(133)의 단차(D2)의 높이는 동일할 수 있다.
돌출패드(138)는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돌출되어 형성될 수 있다. 돌출패드(138)의 프런트 스킨(132)은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프런트 스킨(132)으로 낮아지는 단차(D4)를 형성할 수 있다. 제3 아우터 파트(135c)와 돌출패드(138)가 형성하는 단차(D4)의 높이는 평판부(130P)와 수용부(137)가 형성하는 단차(D1, D2)의 높이 보다 작을 수 있다. 돌출패드(138)의 두께(T3)는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두께(T4) 보다 클 수 있고, 평판부(130P)의 두께(T1) 보다 작을 수 있고, 수용부(137)의 두께(T2) 보다 작을 수 있다. 돌출패드(138)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으로 낮아지는 단차(D3)가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H)은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체결홈(H)은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에서 함몰되고,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체결홈(H)의 중앙은 관통될 수 있다.
도 7 및 8을 참조하면, 체결홈(H)은 평판부(130P)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H)은 평판부(130P)가 프레스 되면서 형성될 수 있다. 체결홈(H)의 프런트 스킨(132)은 평판부(130P)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함몰되어 형성될 수 있다. 평판부(130P)의 리어 스킨(133)과 체결홈(H)의 리어 스킨(133)은 동일한 평면을 형성할 수 있다. 체결홈(H)의 두께(T0)는 평판부(130P)의 두께(T1) 보다 작을 수 있다.
체결구(h)는 체결홈(H)의 중앙에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h)는 체결홈(H)이 펀칭되어 형성될 수 있다. 체결구(h)는 체결홈(H)의 프런트 스킨(132)과 리어 스킨(133)을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S)의 축(SA)의 길이는 체결홈(H)의 두께(T0) 보다 클 수 있다. 체결부재(S)의 축(SA)은 체결홈(H)에 삽입되어 체결구(h)를 통해 체결홈(H)의 리어 스킨(132)의 외부로 돌출될 수 있다. 체결홈(H)의 깊이(D5)는 헤드(SH)의 두께 보다 클 수 있다. 체결부재(S)의 헤드(SH)는 체결홈(H)에 은폐될 수 있다.
도 9 및 10을 도 8과 함께 참조하면, PCB 플레이트(150)는 복합소재 패널(130)의 후방에 결합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150)는 체결부재(S)에 의해 복합소재의 패널(130)의 후방에 고정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150)는 금속을 포함하는 플레이트(151)가 프레스 되어 형성될 수 있다. PCB 플레이트(150)는 수평부(152), 수직부(153), 돔부(154), 그리고 함몰부(155)를 구비할 수 있다. 수평부(152)는 PCB 플레이트(15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PCB 플레이트(151)의 좌우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부(153)는 PCB 플레이트(151)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되고, PCB 플레이트(150)의 상하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돔부(154)는 PCB 플레이트(150)의 전방에서 후방으로 돌출될 수 있다. 함몰부(155)는 수직부(153) 및/또는 수평부(152)의 후방에서 전방으로 함몰될 수 있다.
체결부재(S)의 축(SA)은 수직부(153) 및/또는 수평부(152)에 형성된 함몰부(155)를 관통하여 복합소재 패널(130)과 PCB플레이트(150)를 결합시킬 수 있다. 함몰부(155)의 깊이는 복합소재 패널(130)을 관통하여 후방으로 돌출되는 체결부재(S)의 축(SA)의 돌출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도 11 및 12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40)은 평판부(130P)에 인접하여 아우터 파트(135,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은 제1 파트(141), 제2 파트(142), 제3 파트(143), 제4 파트(144), 그리고 제5 파트(1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트(142)는 제1 파트(141)로부터 제1 코너(C1)에서 굽어질 수 있다.
제1 파트(141)는 수평부(141H)와 수직부(141V)를 구비할 수 있다. 제1 파트(141)의 수평부(141H)는 제1 아우터 파트(135a, 도 5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트(142)는 수평부(142H)와 수직부(142V)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트(142)의 수평부(142H)는 제4 아우터 파트(135d, 도 5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 파트(141)의 수평부(141H)와 제2 파트(142)의 수평부(142H) 사이에 갭(G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파트(141)의 수직부(141V)와 제2 파트(142)의 수직부(142V)는 굽어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들(141V,142V)에 인접하여 수평부들(141H,142H) 사이에 갭(G1)과 연결된 홀(H1)이 형성될 수 있다. 홀(H1)의 크기 또는 홀(H1)의 직경은 갭(G1)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코너(C1)에 대한 설명은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2 코너(C2)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및 13을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40)은 평판부(130P)에 인접하여 아우터 파트(135, 도 5 참조)에 결합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은 제1 파트(141), 제2 파트(142), 제3 파트(143), 제4 파트(144), 그리고 제5 파트(145)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트(142)는 제3 파트(143)로부터 제3 코너(C3)에서 굽어질 수 있다.
제3 파트(143)는 수평부(143H)와 수직부(143V)를 구비할 수 있다. 제3 파트(143)의 수평부(143H)는 제3 아우터 파트(135c, 도 5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2 파트(142)는 수평부(142H)와 수직부(142V)를 구비할 수 있다. 제2 파트(142)의 수평부(142H)는 제4 아우터 파트(135d, 도 5 참조)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파트(143)의 수평부(143H)와 제2 파트(142)의 수평부(142H) 사이에 갭(G3)이 형성될 수 있다. 제3 파트(143)의 수직부(143V)와 제2 파트(142)의 수직부(142V)는 굽어지면서 연결될 수 있다. 수직부들(143V,142V)에 인접하여 수평부들(143H,142H) 사이에서 갭(G3)과 연결되어 홀(H3)이 형성될 수 있다. 홀(H3)의 크기 또는 홀(H3)의 직경은 갭(G3)의 너비 보다 클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코너(C3)에 대한 설명은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4 코너(C4)에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11 및 14를 참조하면,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3 파트(143) 및 제4 파트(144)는 제3 아우터 파트(135c) 상에 위치하거나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3 파트(143)의 말단은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4 파트(144)의 말단과 결합될 수 있다.
제4 파트(144)의 수평부(144H)는 제3 파트(143)의 수평부(143H) 및 수직부(143V)와 접촉할 수 있다. 제4 파트(144)의 수직부(144V)는 제3 파트(143)의 수직부(143V)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파트(143)의 수직부(143V)는 제4 파트(144)의 수평부(144H) 및 수직부(144V)와 접촉할 수 있다. 제3 파트(143)의 말단은 제4 파트(144)의 말단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3 파트(143)의 말단과 제4 파트(144)의 말단은 용접에 의해 고정될 수 있다.
도 15를 참조하면, 방열판(HA)은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에 고정될 수 있다. 방열판(HA)은 복수개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HA)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플레이트일 수 있다. 다른 예를 들면, 방열판(HA)은 알루미늄을 포함하는 테잎일 수 있다. 방열판(HA)은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방열판(HA1)은 평판부(130P)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에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2 방열판(HA2)은 평판부(130P)의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에 인접하되, 제1 방열판(HA1)에 이웃할 수 있다. 제1 방열판(HA1) 및 제2 방열판(HA2)은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의 길이방향을 따라서 순차적으로 배치될 수 있다.
제3 방열판(HA3)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 방열판(HA1)의 하측에서 제1 방열판(HA1)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4 방열판(HA4)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2 방열판(HA2)의 하측에서 제2 방열판(HA2)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5 방열판(HA5)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3 방열판(HA3)의 하측에서 제3 방열판(HA3)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6 방열판(HA6)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4 방열판(HA4)의 하측에서 제4 방열판(HA4)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7 방열판(HA7)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5 방열판(HA5)의 하측에서 제5 방열판(HA5)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8 방열판(HA8)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6 방열판(HA6)의 하측에서 제6 방열판(HA6)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9 방열판(HA9)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7 방열판(HA7)의 하측에서 제7 방열판(HA7)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0 방열판(HA10)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8 방열판(HA8)의 하측에서 제8 방열판(HA8)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1 방열판(HA11)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9 방열판(HA9)의 하측에서 제9 방열판(HA9)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제12 방열판(HA12)은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고, 제10 방열판(HA10)의 하측에서 제10 방열판(HA10)과 이웃하여 위치할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사이드 접착부재(ADH,ADV)는 사이드 프레임(140)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접착부재(ADH,ADV)는 복수개일 수 있다. 복수개의 사이드 접착부재(ADH,ADV) 각각은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 제2 파트(142), 제3 파트(143), 제4 파트(144), 그리고 제5 파트(145) 각각에 고정될 수 있다.
패널 접착부재(AD)는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패널 접착부재(AD)는 복수개일 수 있다. 제1 패널 접착부재(AD1)는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7 패널 접착부재(AD7)는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1 파트(141)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7 패널 접착부재(AD7)는 제1 패널 접착부재(AD1)와 하나의 라인에 배치될 수 있다.
제2 패널 접착부재(AD2)는 제2 방열판(HA2)의 상변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3 패널 접착부재(AD3)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4 방열판(HA4)과 제6 방열판(HA6)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4 패널 접착부재(AD4)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8 방열판(HA8)과 제10 방열판(HA10)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5 패널 접착부재(AD5)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10 방열판(HA10)과 제12 방열판(HA12)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6 패널 접착부재(AD6)는 제12 방열판(HA12)의 하변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8 패널 접착부재(AD8)는 제1 방열판(HA1)의 상변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9 패널 접착부재(AD9)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3 방열판(HA3)과 제5 방열판(HA5)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0 패널 접착부재(AD10)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7 방열판(HA7)과 제9 방열판(HA9)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1 패널 접착부재(AD11)는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제9 방열판(HA9)과 제11 방열판(HA11) 사이에서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제12 패널 접착부재(AD12)는 제11 방열판(HA11)의 하변에 인접하여 좌우방향으로 길게 연장되어 평판부(130P) 상에 고정될 수 있다.
도 17 및 18을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복합소재 패널(130)의 프런트 스킨(132) 상에 접착부재(AD)에 의해 결합되거나 고정될 수 있다.
복합소재 패널(130)과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air-gap)에 방열판(HA)이 위치할 수 있다. 방열판(HA)의 후면은 프런트 스킨(132)에 고정되고, 방열판(HA)의 전면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이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접착부재(AD)의 두께는 0.2 내지 0.4 미리 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방열판(HA)의 두께는 0.15 내지 0.25 미리 미터일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방열판(HA) 사이에 형성되는 간격은 0.04 내지 0.1 미리 미터일 수 있다.
공간(air-gap)의 간격이 방열판(HA)에 의해 줄어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10)에서 발생하는 열이 보다 효과적으로 방열될 수 있다.
도 19를 참조하면, 디스플레이 패널(110)은 사이드 프레임(140) 상에 결합 또는 고정될 수 있다. 사이드 프레임(140)의 수평부(143H)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을 지지할 수 있고, 수직부(143V)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3 파트(143)의 수직부(143V)는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변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수직부(143V)는 복합소재 패널(130)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사이드 프레임(140)의 제3 파트(143)의 수직부(143V)는 복합소재 패널(130)의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측면을 커버할 수 있다.
연성케이블(1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하변으로부터 디스플레이 패널(110)과 사이드 프레임(140)의 수평부(143H)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연성케이블(113)은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과 복합소재 패널(130) 사이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연성케이블(113)은 COF(113)일 수 있다.
소스 신호 기판(115)은 연성케이블(1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소스 신호 기판(115)은 연성 케이블(113)의 일면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면, 소스 신호 기판(115)은 S-PCB(115)일 수 있다. 소스 신호 기판(115)은 복합소재 패널(130)의 수용부(137)에 위치할 수 있다.
연성케이블(113)은 복합소재 패널(130)의 돌출패드(138)와 디스플레이 패널(11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연성케이블(113)은 돌출패드(138)와 접촉할 수 있다. 소스 신호 기판(115) 및/또는 연성케이블(113)에서 발생하는 하는 열은 돌출패드(138)를 통해 방열될 수 있다.
돌출패드(138)에 접촉하는 연성케이블(113)과 디스플레이 패널(110)의 후면 사이에 방열패드(114)가 위치할 수 있다. 방열패드(114)는 탄성소재(114a)와 전도막(114b)을 구비할 수 있다. 방열패드(114)의 코어(114a)는 탄성소재로 형성될 수 있고, 전도막(114b)은 방열패드(114)의 코어(114a)를 덮을 수 있다. 이에 따라, 연성케이블(113)이 돌출패드(138)에 접촉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도 1 내지 19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측면에 따른 디스플레이 디바이스는: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합소재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스킨;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마주하는 리어 스킨; 그리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상기 리어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버(fibers)를 포함하는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둘레에 인접하고, 상기 코어가 압축되어 상기 프런트 스킨의 전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아우터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런트 스킨 사이에서 상기 아우터 파트에 위치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와 교차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또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상변을 형성하는 제1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좌변을 형성하는 제2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하변을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우변을 형성하는 제4 아우터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와 상기 평판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으로부터 낮아지는 제1 단차를 형성하는 수용부 프런트 스킨;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리어 스킨으로부터 높아지는 제2 단차를 형성하는 수용부 리어 스킨을 포함하고, 상기 제1 단차의 높이는 상기 제2 단차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3 아우터 파트(135c)는: 상기 수용부(137)의 프런트 스킨(132)으로부터 높아지는 제3 단차(D3)를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프런트 스킨(132); 상기 수용부(137)의 리어 스킨(133)으로부터 낮아지는 제4 단차(D2)를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135c)의 리어 스킨(133)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차(D3)의 높이는 상기 제4 단차(D4)의 높이 보다 클 수 있다.
삭제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부의 프런트 스킨과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의 프런트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의 프런트 스킨으로부터 높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변에서 연장되는 연성케이블; 그리고, 상기 연성케이블에 연결되는 소스 신호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신호 기판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케이블은, 상기 돌출패드에 접촉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돌출패드에 접촉하는 연성케이블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상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우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하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3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패널의 좌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4 파트; 그리고, 상기 제4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하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5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의 말단은 상기 제5 파트의 말단과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체결홈 프런트 스킨; 상기 형판부의 리어 스킨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체결홈 리어 스킨; 그리고, 상기 체결홈 프런트 스킨과 상기 체결홈 리어 스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에 위치하는 축; 그리고, 상기 축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홈의 프런트 스킨에 위치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두께는 상기 체결홈의 프런트 스킨이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과 형성하는 단차 보다 작을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는 PCB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PCB 플레이트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로 길게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돌출되고, 좌우로 길게 연장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 또는 상기 수평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함몰부를 관통하여 결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함몰부에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축의 길이 보다 클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상변을 따라서 길게 연장되는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는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부는 상기 제2 수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제2 수평부와 갭에 의해 이격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another) 측면에 따르면,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가 형성하는 코너와 상기 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갭과 연결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갭의 간격 보다 클 수 있다.
앞에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서로 배타적이거나 구별되는 것은 아니다. 앞서 설명된 본 개시의 어떤 실시예들 또는 다른 실시예들은 각각의 구성 또는 기능이 병용되거나 조합될 수 있다(Certain embodiments or other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are not mutually exclusive or distinct from each other. Any or all elements of the embodiments of the invention described above may be combined or combined with each other in configuration or function).
예를 들면 특정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A 구성과 다른 실시예 및/또는 도면에 설명된 B 구성이 결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즉, 구성 간의 결합에 대해 직접적으로 설명하지 않은 경우라고 하더라도 결합이 불가능하다고 설명한 경우를 제외하고는 결합이 가능함을 의미한다(For example, a configuration "A" described in one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and a configuration "B" described in another embodiment of the invention and the drawings may be combined with each other. Namely, although the combination between the configurations is not directly described, the combination is possible except in the case where it is described that the combination is impossible).
상기의 상세한 설명은 모든 면에서 제한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고 예시적인 것으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의 합리적 해석에 의해 결정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등가적 범위 내에서의 모든 변경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된다(Although embodiments have been described with reference to a number of illustrative embodiments thereof, it should be understood that numerous other modifications and embodiments can be devised by those skilled in the art that will fall within the scope of the principles of this disclosure. More particularly, various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are possible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of the subject combination arrangement within the scope of the disclosure, the drawings and the appended claims. In addition to variations and modifications in the component parts and/or arrangements, alternative uses will also be apparent to those skilled in the art).

Claims (15)

  1. 디스플레이 패널;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방에 위치하는 복합소재 플레이트;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되며,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이 결합되는 사이드 프레임을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전면을 형성하는 프런트 스킨;
    후면을 형성하고, 상기 프런트 스킨과 마주하는 리어 스킨;
    상기 프런트 스킨과 상기 리어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파이버(fibers)를 포함하는 코어; 그리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둘레를 형성하고, 상기 코어가 압축되어 상기 프런트 스킨의 전면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아우터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상기 프런트 스킨 사이에서 상기 아우터 파트에 위치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평부와 교차하면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측면 또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평판부;
    상기 평판부의 상변을 형성하는 제1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좌변을 형성하는 제2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하변을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
    상기 평판부의 우변을 형성하는 제4 아우터 파트; 그리고,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와 상기 평판부 사이에 형성되는 수용부를 포함하고,
    상기 수용부는: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으로부터 낮아지는 제1 단차를 형성하는 수용부 프런트 스킨; 그리고,
    상기 평판부의 리어 스킨으로부터 높아지는 제2 단차를 형성하는 수용부 리어 스킨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2. 삭제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단차의 높이는 상기 제2 단차의 높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아우터 파트는:
    상기 수용부의 프런트 스킨으로부터 높아지는 제3 단차를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의 프런트 스킨;
    상기 수용부의 리어 스킨으로부터 낮아지는 제4 단차를 형성하는 제3 아우터 파트의 리어 스킨을 포함하고,
    상기 제3 단차의 높이는 상기 제4 단차의 높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상기 수용부의 프런트 스킨과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의 프런트 스킨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제3 아우터 파트의 프런트 스킨으로부터 높아지는 단차를 형성하는 돌출패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하변에서 연장되는 연성케이블; 그리고,
    상기 연성케이블에 연결되는 소스 신호 기판을 더 포함하고,
    상기 소스 신호 기판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수용부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케이블은,
    상기 돌출패드에 접촉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돌출패드에 접촉하는 연성케이블과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의 후면 사이에 위치하는 방열패드를 더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상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우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2 파트;
    상기 제2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하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3 파트;
    상기 제1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좌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4 파트; 그리고,
    상기 제4 파트로부터 굽어지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하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5 파트를 포함하고,
    상기 제4 파트의 말단은 상기 제5 파트의 말단과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는:
    상기 평판부에 형성되는 체결홈을 포함하고,
    상기 체결홈은: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이 함몰되어 형성되는 체결홈 프런트 스킨;
    상기 평판부의 리어 스킨과 동일한 평면을 형성하는 체결홈 리어 스킨; 그리고,
    상기 체결홈 프런트 스킨과 상기 체결홈 리어 스킨을 관통하여 형성되는 체결구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체결구를 관통하는 체결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체결구에 위치하는 축; 그리고,
    상기 축에 연결되고, 상기 체결홈의 프런트 스킨에 위치하는 헤드를 포함하고,
    상기 헤드의 두께는 상기 체결홈의 프런트 스킨이 상기 평판부의 프런트 스킨과 형성하는 단차 보다 작은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대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과 대향하여 위치하고,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후방에 결합되는 PCB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PCB 플레이트는 상기 체결부재에 의해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2. 제11 항에 있어서,
    상기 PCB 플레이트는:
    수평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돌출되고, 상하로 연장되는 수직부;
    상기 수평부로부터 돌출되고, 좌우로 연장되는 수평부; 그리고,
    상기 수직부 또는 상기 수평부가 함몰되어 형성되는 함몰부를 포함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상기 함몰부를 관통하여 결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함몰부의 높이는 상기 함몰부에서 돌출되는 상기 체결부재의 축의 길이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이드 프레임은: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상변을 따라서 연장되는 제1 파트; 그리고,
    상기 제1 파트의 일단에서 굽어지며 연장되는 제2 파트;
    상기 제1 파트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1 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1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2 파트는: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와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사이에 위치하는 제2 수평부; 그리고,
    상기 제1 수평부와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복합소재 플레이트의 측면을 커버하는 제2 수직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수직부는 상기 제2 수직부와 연결되고,
    상기 제1 수평부는 상기 제2 수평부와 갭에 의해 이격되는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수직부 및 상기 제2 수직부가 형성하는 코너와 상기 갭 사이에 위치하고, 상기 갭과 연결되는 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의 크기는 상기 갭의 간격 보다 큰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0210054415A 2021-04-27 2021-04-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8)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15A KR102476289B1 (ko) 2021-04-27 2021-04-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EP23210516.3A EP4304318A3 (en) 2021-04-27 2021-08-06 Display device
EP21190141.8A EP4083694B1 (en) 2021-04-27 2021-08-06 Display device
US17/444,985 US11747663B2 (en) 2021-04-27 2021-08-12 Display device
CN202210440171.0A CN115249444B (zh) 2021-04-27 2022-04-25 显示装置
JP2022072051A JP7328396B2 (ja) 2021-04-27 2022-04-26 ディスプレイデバイス
AU2022202792A AU2022202792B2 (en) 2021-04-27 2022-04-27 Display Device
US18/223,316 US20230359075A1 (en) 2021-04-27 2023-07-1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54415A KR102476289B1 (ko) 2021-04-27 2021-04-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47364A KR20220147364A (ko) 2022-11-03
KR102476289B1 true KR102476289B1 (ko) 2022-12-08

Family

ID=7724975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4415A KR102476289B1 (ko) 2021-04-27 2021-04-27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11747663B2 (ko)
EP (2) EP4083694B1 (ko)
JP (1) JP7328396B2 (ko)
KR (1) KR102476289B1 (ko)
CN (1) CN115249444B (ko)
AU (1) AU2022202792B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101480A1 (ko) * 2022-11-11 2024-05-1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5191201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
KR101832301B1 (ko) * 2013-03-15 2018-02-2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커버 및 그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49324A (ja) * 2000-03-03 2001-09-14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4896583B2 (ja) * 2006-05-19 2012-03-14 株式会社 日立ディスプレイズ 表示装置
KR101432507B1 (ko) * 2007-12-31 2014-08-2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CN101220915B (zh) * 2008-01-16 2010-06-30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光源模块及背光单元
CN101308265B (zh) * 2008-06-25 2010-09-22 友达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及其组装方法
JP2013004783A (ja) * 2011-06-17 2013-01-07 Sony Corp 放熱構造および表示装置
JP5739249B2 (ja) 2011-06-29 2015-06-24 帝人株式会社 繊維強化複合材料からなる薄型ディスプレイ筐体
JP2015191078A (ja) 2014-03-28 2015-11-02 シャープ株式会社 フレーム補強部材、フレーム、および、テレビ装置
KR102195276B1 (ko) * 2014-05-21 2020-12-24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발광소자
KR102585211B1 (ko) 2016-01-05 2023-10-06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70120001A (ko) * 2016-04-20 2017-10-30 (주)티에스이 디스플레이 패널용 엣지프레임 제조방법
KR102454503B1 (ko) * 2017-07-20 2022-10-14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1044820B2 (en) * 2017-10-30 2021-06-22 Lg Display Co., Ltd. Display device
KR102612785B1 (ko) * 2018-12-20 2023-12-1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CN111458918A (zh) * 2019-01-21 2020-07-2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设备
KR20210001926A (ko) 2019-06-28 2021-01-06 주식회사 오성디스플레이 Oled 디스플레이장치 및 그 백커버 제작방법
JP7123870B2 (ja) 2019-07-05 2022-08-23 公益財団法人鉄道総合技術研究所 桁の補強構造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32301B1 (ko) * 2013-03-15 2018-02-26 에스케이케미칼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지지용 백커버 및 그 제조 방법
JP2015191201A (ja) * 2014-03-28 2015-11-02 株式会社東芝 映像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4304318A3 (en) 2024-03-20
JP2022169471A (ja) 2022-11-09
AU2022202792B2 (en) 2023-12-21
US20230359075A1 (en) 2023-11-09
KR20220147364A (ko) 2022-11-03
EP4083694A1 (en) 2022-11-02
EP4304318A2 (en) 2024-01-10
US11747663B2 (en) 2023-09-05
US20220346287A1 (en) 2022-10-27
AU2022202792A1 (en) 2022-11-10
JP7328396B2 (ja) 2023-08-16
CN115249444A (zh) 2022-10-28
EP4083694B1 (en) 2023-11-22
CN115249444B (zh) 2024-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4632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304817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002223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18774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476289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190069186A (ko) 백 커버 및 이를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EP4090143A1 (en) Display device
KR102304818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4004399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4154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3026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73731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230167066A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20070117054A (ko) 액정 표시 모듈
US20240164180A1 (en) Display device
KR102492451B1 (ko) 디스플레이 장치
KR10220478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KR102350240B1 (ko)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US12019323B2 (en) Display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