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65054B1 -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65054B1
KR102465054B1 KR1020177009621A KR20177009621A KR102465054B1 KR 102465054 B1 KR102465054 B1 KR 102465054B1 KR 1020177009621 A KR1020177009621 A KR 1020177009621A KR 20177009621 A KR20177009621 A KR 20177009621A KR 102465054 B1 KR102465054 B1 KR 1024650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g
component
container
delivery device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096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56605A (ko
Inventor
장병선
Original Assignee
장병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장병선 filed Critical 장병선
Publication of KR201700566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5660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650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6505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19Syringes having more than one chamber, e.g. including a manifold coupling two parallelly aligned syringes through separate channels to a common discharge assembl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J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DEVICE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BRINGING PHARMACEUTICAL PRODUCTS INTO PARTICULAR PHYSICAL OR ADMINISTERING FORMS; DEVICES FOR ADMINISTERING FOOD OR MEDICINES ORALLY; BABY COMFORTERS; DEVICES FOR RECEIVING SPITTLE
    • A61J1/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or pharmaceutical purposes
    • A61J1/14Details; Accessories therefor
    • A61J1/20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or mixing fluids, e.g. from vial to syringe
    • A61J1/2089Containers or vials which are to be joined to each other in order to mix their cont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39/00Tubes, 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valves, access sites or the like,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use
    • A61M39/10Tube connectors; Tube couplin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4Infusion devices, e.g. infusing by gravity; Blood infusion; Accessories therefor
    • A61M5/1407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 A61M5/1409Infusion of two or more substances in series, e.g. first substance passing through container holding second substance, e.g. reconstitution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33Spring-loaded one-shot injectors with or without automatic needle inser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5/2066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4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 A61M5/2448Ampoule syringes, i.e. syringes with needle for use in combination with replaceable ampoules or carpules, e.g. automatic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4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3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haracterised by features of the needle hub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31Details
    • A61M5/32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 A61M5/3294Needles; Details of needles pertaining to their connection with syringe or hub; Accessories for bringing the needle into, or holding the needle on, the body; Devices for protection of needles comprising means for injection of two or more media, e.g. by mix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0Automatic syringes, e.g. with automatically actuated piston rod, with automatic needle injection, filling automatically
    • A61M2005/2006Having specific accessories
    • A61M2005/2013Having specific accessories triggering of discharging means by contact of injector with patient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5/00Devices for bringing media into the body in a subcutaneous, intra-vascular or intramuscular way; Accessories therefor, e.g. filling or cleaning devices, arm-rests
    • A61M5/178Syringes
    • A61M5/2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 A61M5/285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 A61M5/288Syringe ampoules or carpules, i.e. ampoules or carpules provided with a needle with sealing means to be broken or opened by piercing without internal pressure increas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ulmonolog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Medical Preparation Storing Or Oral Administration Devices (AREA)
  • Infusion, Injection, And Reservoir Apparatus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용기 부품 및 상기 용기 부품과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부품으로 이루어진 용액 전달 장치에 관한 것이다. 상기 용기 부품은 제1 성분을 함유한 가늘고 긴 혼합 채널을 포함한 내부 공동을 구비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은 상기 제1 성분과의 혼합을 위하여 상기 혼합 채널 속에 제2 성분을 주입하기 위하여 설계된 내부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 부품은 제1 작동 모드에서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삽입되어 제2 작동 모드에서 완전히 삽입된다. 상기 제1 성분은 약물일 수 있으며 상기 제2 성분은 희석제일 수 있는데, 이것은 상기 약물이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의 상기 장치로 동결 건조되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의 상기 장치에서 복원될 수 있는 것이다. 다양한 장치들이 다양한 성분들의 공동-전달을 위하여 동시에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장치는 키트 내에 포함되거나 주사기 내에 설치될 수 있다.

Description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SOLU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
이 출원은 전체적으로 참조를 위하여 여기 포함된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이라는 명칭의 2014년 9월 9일 출원된 35 U.S.C.§119(e)에 따른 미국 가특허출원 제62/048,089호에 대해 우선권을 주장한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약품 전달에 대한 것으로, 특히 용액 전달 장치 및 약물(drug)과 화학품(chemical)들의 혼합 및 보관 방법에 대한 것이다.
유전 및 세포 공학기술의 계속된 발전에 기인하여, 생체 내에서 다양한 약리학적인 작용을 나타내는 단백질이 제약 용도로 대량 생산할 수 있음이 알려졌다. 그러나, 단백질 제약의 개발에서 가장 어려운 과제들 중 하나는 단백질의, 특히 수용성 투약 형태에서 고유의 물리 화학적인 불안정성이다. 수용성 형태로 이들 단백질 제약과 다른 약품이 보관된 사전-충진된 피하 주사기들은 많은 효율성을 제공한다. 그러나, 많은 주사 가능한 약품은 용액일 때 빠르게 품질이 하락하고 유효성을 상실한다. 냉동 및 특수 포장이 저장기간을 연장할 수 있으나, 비용이 증가하고, 보관이 복잡해지며, 사전-충진 주사기에 의하여 제공되는 많은 효율성을 손상시킨다.
수용성 투약 형태의 블안정성에 기인하여, 분말 조제가 일반적으로 제품의 소정의 저장기간을 위한 충분한 안정성을 달성하기 위하여 선호된다. 건조 분말을 준비하기 위한 다양한 기술이 공지되고 약품 및 생물공학 산업에서 실시된다. 그러한 기술은 동결 건조(lyophilization), 분무-건조, 분무-냉동 건조, 대량(bulk) 결정화, 진공 건조, 및 발포 건조를 포함한다. 동결 건조(냉동-건조)는 자주 단백질을 함유하는 건조 분말(라이오필리제이트(lyophilizate))을 준비하기 위하여 사용된 선호된 방법이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다양한 냉동 건조 방법들이 알려져 있다. 냉동 건조 장치 및 방법은 약품의 액체 부분을 고체로 전환하는 진공을 적용하며, 이는 증기를 생성하기 위하여 대기보다 낮은(sub-atmospheric) 압력을 적용한다. 증기 통로를 통해 동결 건조 챔버로부터 증기를 끌어내고 동결 건조 장치의 외부 영역으로 배기된다. 동결 건조 공정은 액체 약물을 건조 분말 또는 입상의 형태로 축소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냉동 건조, 또는 동결 건조는 탈수 기술이다. 제품이 냉동 상태(진공 하에 얼음의 승화(ice sublimation)) 및 진공(약한 가열에 의한 건조) 아래 있으면서 발생한다. 이들 상태는 제품을 안정화시키고, 산화 및 다른 열화 공정을 최소화한다. 냉동 건조의 조건들에 의하여 저온에서 공정을 가동할 수 있으며, 따라서, 열적으로 불안정한 제품이 보존될 수 있다. 냉동 건조는 냉동 이상의 온도에서 장기간 동안 보관을 필요로 하는 열민감성 제품의 용인된 처리 방법이 되었다.
냉동 건조 단계들은 예비 처리(pretreatment), 냉동, 1차 건조, 및 2차 건조를 포함한다. 예비 처리는 냉동 전에 제품을 처리하는 방법을 포함한다. 이는 제품의 농축, 정제 변형(예를 들어, 안정성을 증가시키거나 그리고/또는 처리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성분 첨가), 높은 증기압의 용제를 감소시키거나 또는 표면적을 증가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비 처리 방법은: 냉동 농축, 용액상 농축, 및 구체적으로 제품 외관을 보존하거나 또는 반응물의 동결 건조를 제공하기 위한 정제를 포함한다.
제2 단계는 제품을 냉동시키는 것이다. 제품을 냉동시키면 분자 운동을 감소시켜 화학 활성을 감소시킨다. 냉동은 냉동 건조에서 탈수 단계이며; 용제 매트릭스가 일단 고체(냉동) 상태에 있으면, 용질 매트릭스는 “건조”한다(그러나 일부 비정질 물을 함유할 수 있다). 경험에 근거한 규칙으로는(rule of thumb), 제품을 냉동시킬 때 제품 용기는 바람직하게 총 용적 비율의 반 이상 제품으로 충진되어서는 안 된다. 실제로 이것은 또한 냉동, 얼음의 승화, 및 최종 수/용제 제거를 촉진하기 위하여 특정 깊이로만 제품을 충진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로써, 대부분의 경우, 제품 깊이에 의하여 냉동 건조가 저해되지 않도록 표면 대 깊이 비율이 설정되는 것이 보장된다.
일단 제품이 동결 건조 사이클의 종기에 있으면, 냉동 건조기로부터 꺼내야 한다. 마개식 선반/접시 건조기에서, 불활성 기체는 정지 전에 제품 위로 불활성 “가스 캡”을 형성하는 챔버 내로 취입될 수 있다. 많은 제품이 단순히 진공 아래 마개로 막힌다. 가장 공통적으로 세럼 바이알(vials)/병에 사용된 마개는 찢어 낼 수 있는 밀봉 부분과 관련해서 사용될 때 대략 5년의 진공 일체성을 가진다. 일단 제품이 마개로 막히면, 시스템은 대기압을 복귀되고 동결 건조 선반들은 하적된다.
동결 건조 약물이 피하 주사기의 챔버 내에 보관되는 많은 장치들이 현재 존재한다. 환자에게 전달하기 바로 전에, 주사기로부터 끝의 뚜껑을 제거하거나 또는 주사기의 예리한 캐뉼라를 바이알, 앰플, 또는 주사기에 결합될 수 있는 다른 단단하거나 가요성인 저장고에 배치함으로써 복원이 달성된다. 주사기의 플런저는 혼합을 위해 동결 건조된 약물 챔버 내로 희석제를 도입하기 위하여 중앙으로 당겨진다. 이어서 희석제 저장고는 제거되어 폐기된다. 주사기의 희석제/분말 용액은 이어서 완전한 혼합을 위해 흔들어진다. 예리한 캐뉼라가 이미 부착되지 않았으면, 주사기의 후단부에 캐뉼라가 부착되고 주입 위치에서 환자의 피부를 찌르기 위하여 캐뉼라가 사용된다. 이어서 주사기 플런저는 환자에게 혼합물을 전달하기 위하여 주사기 몸통 내로 밀어진다. 필요하면, 동결 건조 약물을 복원하기 위하여 사용된 바늘은 분리되고 환자에게 주사하기 적합한 다른 캐뉼라에 의하여 교체될 수 있다. 이러한 특성의 시스템의 하나의 예가 그리머드(Grimard)의 미국특허 제5,752,940호이다.
보다 복잡한 선행 기술은 다수 챔버들(대부분의 경우, 두 개의 챔버)을 가지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으로 제조된 피하주사 주사기들을 포함한다. 하나의 특수한 경우, 챔버는 중간 위치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배치된 마개(stopper)를 가진다. 동결 건조된 약물은 마개로부터 멀리 위치한 챔버에 보관되고, 선택된 희석제는 마개에 근접한 챔버에 보관된다. 플런저는 희석제로부터 인접하는 챔버 벽에 유체-밀폐식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결합되어 배치된다. 말단 방향으로의 플런저의 이동은 희석제와 마개를 동결 건조된 약물을 향하여 가압한다. 마개는 궁극적으로 주사기 몸통에 형성된 우회 영역에 정렬되고, 추가로 플런저의 이동에 의하여 희석제는 우회로를 통해 동결 건조된 약물과 완전히 혼합하도록 챔버의 말단부 내에 유동한다. 위와 유사한 피하주사 주사기의 예는 그리머드의 미국특허 제4,599,082호에 도시된다.
위에 설명된 두 부품들의 피하 주사 주사기 조립체는 잘 기능할 수 있으며; 그러나, 피하주사 주사기의 본체를 따른 두 개의 축방향으로 이격된 챔버들의 필요는 더 긴 주사기를 요구한다. 특히, 환자에게 전달하기 전에 동결 건조된 모든 약품을 모든 희석제와 혼합하기 위하여 충분히 큰 챔버에 대한 필요에 의하여 전달 단계 전에 모든 희석제들과 약품이 혼합되지 않는 것보다 용기를 더 크게 만드는 공간의 필요가 존재한다. 동결 건조 공정은 일반적으로 주사기에서 실행되므로, 이어서 동결 건조 장치는 더 긴 주사기를 수용하기에 충분히 커야 한다. 더 큰 피하주사 주사기와 대응하는 더 큰 동결 건조 장치는 더욱 고가이고 더 큰 공간을 요구하는 데, 이는 또한 비용을 증가시킨다.
현재 알려진 장치와 방법들은 주사 전에 동결 건조 제품의 희석제로의 완전한 복원과 혼합이 필요하며, 투약 전에 고체 약물의 액체 정제 내로의 복원을 위하여 세밀한 공정(10단계를 초과하는)들을 통상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그러한 전달 복원 단계들은 복잡하고, 번거롭고, 힘들 수 있고 동결 건조 제품의 투여를 불가능하게 할 수 있다. 더구나, 이들 복잡한 공정들은 발포, 오염, 및 간병인들이 실수로 바늘에 찔리는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동결 견조된 제품의 분배에 대한 가장 중요한 측면 중 하나는 용기의 신뢰성이다. 다른 중요한 측면은 분배 비용에 대한 제어이다. 의약 제품용으로 사용되는 장치는 폐기가 가능해야 할뿐더러 동시에 고 품질이어야 하므로 환자는 처방된 약물을 정확하게 받는 것이 보장되어야 한다. 동결 건조된 의약품의 용기는 낮은 가격을 가져야 하고, 신뢰성 있게 사용 가능하고, 제품의 사용 또는 그 품질에 대해 부정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아야 한다. 부가적으로, 용기는 용이하고 안전하게 사용 가능하고 직관적으로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 많은 수의 부품들을 가지는 용기는 신뢰성이 작고 제조하기에 너무 비싸다. 이동 가능한 부품들을 갖는 용기들은 더욱 그러하다.
별개의 바이알 또는 앰플로부터 희석제를 사용함으로써, 희석제용 별도 공간이 약물 용기에 필요하지 않으며, 상기 용기는 더욱 작아질 수 있다. 이와 같이, 주사기 몸통은 실질적으로 종래기술의 두-부품 주사기 조립체들보다 실질적으로 더 짧을 수 있으며, 더 작은 동결 건조 장치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더욱 바람직한 것은 희석제를 동결 건조 약물 내로 인도하기 위하여 무딘 캐뉼라를 사용하는 것이다. 이동 가능한 플런저를 포함하지 않는 복원 용기를 제공하는 것은 신뢰성 및 감소된 비용면에서 더욱 양호하다.
종래의 복원 장치와 방법들에서, 희석제는 환자에게 전달되기 전에 동결 건조 약물과 완전히 혼합된다. 그러한 완전히 혼합된 형태에서, 환자에게 전달되는 약물의 농도는 전체 투여 동안 일정하고, 즉, 변동이 없다. 그러나, 약품의 변화도가 있는(gradient) 전달이 환자에게 임상적으로 유익할 것이라는 일부 치료 설정이 발견되었다. 특히, 초기 전달에서의 약물의 더 높은 농도에서 후의 전달에서의 더 낮은 농도로 줄이는 것이 어떠한 이점들을 제공하는 것으로 발견되었다. 별도의 조정이 없는 농도 변화도의 전달 프로파일을 제공하는 장치와 방법은 유익할 것이다.
다른 약물 또는 다른 용액 전달 취지에서, 다수의 약물 또는 물질을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달하는 것에 관련된 필요가 때로 투약과 임상 효과 모두에서 효율에서 유익하다. 약물 또는 물질의 하나 이상이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동결 건조된 분말 형태일 수 있거나 또는 액체 형태로 보관될 수 있으며, 어느 경우에나, 불안정, 너무 이른 또는 원치 않는 화학 반응, 또는 다른 부정적인 효과를 피하기 위하여 투약시까지 약물들 또는 물질을 혼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며; 혼합 형태의 그러한 조합의 보관은 또한 단순히 규제 당국에 의하여 금지되거나 지원되지 않을 수 있다. 유사하게, 예비-혼합에 의하여 부정적으로 영향이 미치고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혼합 및 전달 단계에 이점을 갖는 경우 액체 약물과 다른 화학품 또는 두 개의 액체 약물들의 혼합을 요구하는(on-demand) 임상 지침이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전 혼합이 바람직하지 않은 경우, 약물 및/또는 화학품 또는 다른 물질의 혼합 요구를 허용하는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의 필요가 있다.
따라서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고체 또는 액체 형태로 보관된 약물이나 화학품의 다양한 조합의 혼합 요구 및 전달과 건조된 약품의 신속한 복원, 보관 및 동결 건조를 촉진하는 향상된 복원 장치에 대한 필요를 인식했다. 동결 건조 및 보관에서의 비용이 감소하도록 감소된 크기의 복원 장치에 대한 또 다른 필요가 인식되었다. 또 다른 인식된 필요는 건조된 약품의 복원 단계들의 수를 감소시키는 성능이다. 비상 상황이나 아니면 다른 상황에서 “현장(in the field)"에서의 동결 건조된 약품을 신속하게 그리고 안전하게 투약할 수 있는 추가적인 필요가 인식되었다. 제조의 복잡성 및 비용의 감축이 또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인식된 필요이다. 이와 관련해서, 바이알 충진 라인 또는 주사기 충진 라인 상의 사전-동결 건조된 액체 약품에 의하여 복원 장치를 초기에 충진하는 필요가 인식되었다. 동결 건조가 완료되면 복원 장치 내에서 약품으로의 접근을 방지하기 위한 또 다른 필요가 인식되었다. 농도 기울기를 가진 전달을 조절 가능하게 하는 장치에 대한 추가적인 필요가 인식되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필요들과 다른 필요들을 충족한다.
본 발명의 측면들은 이하 설명되는 예시적인 이점들을 발생하는 구조 및 용도상의 소정의 이점들을 교시한다.
본 명세서의 측면들은 용기 부품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품과 용기 부품을 가지는 용액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용기 부품은 제1 성분을 담는 길다란 혼합 채널을 포함하는 내부 공동을 가지며, 플러그 부품은 제1 성분과 혼합하도록 혼합 채널 내로 제2 성분을 도입하도록 구성된 내부 유로를 제공한다. 상기 플러그 부품은 제1 작동 모드에서 부분적으로 그리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완전히 용기 부품 내로 삽입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들은 약물인 제1 성분 및 희석제인 제2 성분을 제공하고, 상기 약물은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장치에 의하여 냉동 건조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장치에 의하여 복원된다.
본 명세서의 다른 측면들은 복수의 성분들을 같이 전달하기 위하여 같이 사용되는 복수의 용액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출원의 다른 측면들은 키트에 포함되는 용액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은 주입기 내에 장착된 용액 전달 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특징들과 이점들 및 측면들은 예로서 본 발명의 원리들을 예시하는 첨부 도면들과 관련되는 이하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첨부 도면들은 본 발명의 측면들을 예시한다. 그러한 도면들에서:
도 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도시하며;
도 2는 그의 예시적인 용기 부품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3은 그의 예시적인 플러그 부품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4는 그의 분리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5는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6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7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대안적인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8은 그의 예시적인 용기 부품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9는 그의 예시적인 플러그 부품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10은 그의 분리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1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2는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3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14는 그의 예시적인 용기 부품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15는 그의 예시적인 플러그 부품의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16은 그의 분리된 측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7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8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19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0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1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22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3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24는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25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6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27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28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29는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축소된 크기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0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축소된 크기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1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32는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축소된 크기의 조립된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3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축소된 크기의 조립된 확대 측면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4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약물 전달 장치의 분리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35는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6은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확대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7은 그의 분리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8은 제1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39는 제2 작동 모드의 그의 조립된 측 단면도를 예시하며;
도 40은 주사기와 캐뉼라와 조합하여 사용하는 것이 도시된 도 1-6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예로서의 용액 전달 장치의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41은 직렬로 연결되어 도시된 도 1-6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두 개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의 사시도를 예시하며;
도 42a는 제1 작동 모드의 의료 주사기 내에 동작하게 장착된 것이 도시된 도 13-18에서와 같은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개략적인 측면도를 예시하며;
도 42b는 이제 제2 작동 모드의 도 42a에서와 같은 의료 주사기 내에 작동하게 장착 도시된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개략적인 측면도를 예시하며;
도 43a는 제1 작동 모드의 의료 주사기 내에 동작하게 장착된 것이 도시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대안적인 예로서의 용액 전달 장치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개략적인 측면도를 예시하며; 및
도 43b는 이제 제2 작동 모드의 도 43a에서와 같은 의료 주사기 내에 작동하게 장착 도시된 대안적인 예로서의 용액 전달 장치의, 부분적으로 단면인, 개략적인 측면도를 예시한다.
상기 설명된 각 도면들은, 이하의 상세한 설명에서 추가적으로 정의되는, 본 발명의 예시적인 구체예들의 적어도 하나에서 본 발명의 특징들을 예시한다. 다른 도면들에서 동일한 부재번호로 표시된 본 발명의 특징들, 요소들, 및 부품들은 하나 이상의 구체예들에 따른, 동일하거나, 균등, 또는 유사한 특징들, 요소들, 또는 부품들을 나타낸다.
본 명세서는 일반적으로 별도로 혼합하고, 흔들고, 복원하고, 또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를 필요로 하지 않고 적어도 두 가지 성분들을 포함하는 전달 용액을 전달하도록 구성된 용액 전달 장치에 대한 것이다. "용액(solution)"이라는 단어는, 물질(substance)들이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상에서 시작하거나 또는 물질들이 고체, 반고체, 액체, 또는 기체 상으로 종료하거나 또는 그 조합이 기계적인 혼합물이거나 화학 반응을 포함하거나 또는 양자를 모두 포함하는, 널리 두 가지 물질들의 조합으로서 해석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그러한 용액은 명시적으로 균일할 필요는 없다. 또한, "성분(constituent)"이라는 단어는 또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또 다른 물질과 조합되는 소정의 물질로서 널리 해석되는 데, 그러한 성분들은 약물(drug), 화학품(chemical), 매트릭스, 알부민, 항체 단편, 마커, 운반체, 표적 분자, 진단약, 및 희석제 또는 그 조합을 포함하나 그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따라서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와 방법들과 같이 작용하는 예시적인 전달 용액들을 형성하는 예시적인 성분들이 여기 개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많은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제1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장치(40)가 도시된다. 장치(40)는 일반적으로 용기 부품(50)과 플러그 부품(130)을 포함한다. 용기 부품(50)은 개방된 선단부(52)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가 형성된 대향하는 말단부(54)를 포함한다. 용기 부품(50)은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벽(90)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결합부 둘레에는 더욱 플러그 부품(130)과 결합하도록 형성된다. 기저벽(56)은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크기가 선택된 내부 공동(60)을 정의하는 내면(58)을 가진다. 상기 공동(60) 내에는 실질적으로 개방된 상단(68)와 실질적으로 닫힌 하단(72)을 가지는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형성하도록 길다란 채널 벽(62)이 형성되거나 장착된다. 혼합 채널(66)의 개방된 상단(68)에 더 근접하게 그리고 기저벽(56)의 내면(58)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장치(40)가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체 연통하는 채널 유입 단부(70) 및 대향하는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유체 연통하는 유출 단부(74)가 형성되거나 정의되는데, 더 상세하게는 아래에서, 특히 도 6과 연관되어 설명된다. 플러그 부품(130)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플러그 부품(130)은 중심(proximal) 단부(132), 대향하는 말단부(134), 및 상기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외면을 가지는 측벽(136)을 가지며, 측벽(136)과 말단부(134)가 함께 플러그 둘레부(140)를 형성한다. 플러그 부품은 중심 단부(132)에서 실질적으로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 및 유입 커넥터 포트(192)로부터 플러그 둘레부(140)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의 내부 흐름 통로(144)를 가진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면, 상기 용기(50)와 플러그 부품(130)이 일반적으로 환형인 것으로 도시되지만,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부품들과 그의 다양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기하학적인 형태와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관련해서, 그리고 여기 도시되고 설명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참조하면, 벽들의 특정한 구조들, 결합 면들과 특징들, 및 그러한 특징들의 크기들 및 비율들은 단지 본 발명의 다양한 측면들의 예시일 뿐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다.
도 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용기 부품(50)의 확대 사시도가 도시된다. 한번 더, 용기 부품(50)은 일반적으로 본체를 형성하는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 벽(90)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와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에 형성된 상호연결연결 홈(76)을 포함한다. 상호연결 홈(76)은 용기 부품의 기저벽(56)을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지만, 다른 배향의 상기 홈(76) 또한 채용될 수 있다. 도 6 도시된 대로, 상호연결 홈(76)은 제2 작동 모드에 있는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체 연통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도 3-6), 따라서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 및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에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일반적으로 상호연결연결 홈(76)과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분배홈(7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분배홈(78)은 기저벽(56)의 내면(58)의 상향으로 개방하는 계단부(80)로 구성되며, 따라서 기저벽(56)이 유단(stepped) 내부 보어를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계단부(80) 아래의 또는 근접한 기저벽(56)의 내면(58)으로의 접시형구멍 전이부(countersink transition)를 제공하기 위해 계단부(80)의 각이 비스듬하다(angled). 또한, 계단부(80)는 채널 벽의 상면(64)에 근접한 기저벽(56)의 내면(58)을 따라 종료되는 깊이를 가지므로, 계단부(80) 및 혼합 채널(66) 사이에 내면(58)의 용기 안착부(84)를 형성하며, 이하에서 사용 중의 장치(40)와 관련되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예로서의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이 실질적으로 환형이므로, 반드시 그런 것은 아니지만, 용기 부품의 하부 벽(56) 내에 형성된 계단부(80)에 의하여 정의된 분배 홈(78) 또한 실질적으로 환형이다. 더욱이,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분배 홈은 실질적으로 이어지지만, 장치의 구조에 따라 분배 홈이 없거나 또는 있더라도 이어지지 않는 것일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다양한 그러한 구조들과 부품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것을 다시 한번 이해할 것이다.
계속해서 도 4와 연관해서 도 2를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은 근위로 뻗는 결합 벽(90)으로 전이하거나 반경 방향으로 종료하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용기 플랜지(86)에 근접하여 종료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상기 결합 벽 자체가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근위에서 종료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의 일부를 정의하는 가요성 다리(102)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벽(90)에 대향하며 실질적으로 수직이며 평행인 노치(notch)(104)들을 형성함으로써, 4개의 가요성 다리(102)들이 결합 벽(90)에 이격되어 형성되고, 가요성 다리(102)들은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서 기능 하도록 노치(104)들에 의하여 제한된 벽(90)의 상향으로 뻗는 부분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두 개, 세 개, 네 개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그 이상의 근위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들과 함께, 사실상 제한 없는 수의 가요성 다리(102)들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추가로, 대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그 자체가 가요성이고 용기 부품(50) 내로 플러그 부품(130)이 삽입될 때 그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비제한적인 예시로서, 용기 부품(50), 특히 다리(102) 및/또는 립(92)을 형성하는 재료는 바람직한 가요성 및/또는 탄성을 가지도록, 그리고 살균을 포함하는 의학 용도의 요건들을 충족하도록,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아크릴, 나일론, 실리콘, 또는 그 조합 또는 현재 알려졌거나 추후 개발될 다른 소재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현재 알려졌거나 추후 개발될 그러한 소재가 본 발명에 채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기저벽(5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용기 플랜지(86) 내에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98)가 형성되며, 이로써 도 5에 도시된 대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98)를 통해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주변 환경 사이에 유체 연통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통풍구들의 광범한 구조들과 위치들이 가능한 것이 이해되나, 각각의 통풍구(98) 및 각자의 결합 립(92)을 동시에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를 당기면서 주입 몰딩 공정을 통해 발생하거나 달성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상기 통풍구의 크기 및 위치들은 실질적으로 상기 다리(102) 및 관련 결합립(92)의 위치와 일치한다.
도 3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플러그 부품(130)이 확대되고 도 1에 대해 역전되어 도시된다. 도 6에 도시된 대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은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50) 내에 조립할 때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의 용기 안착부(84)에 안착하도록(도 4) 구성된 플러그 안착부(15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플러그 안착부(154)의 근접 측벽(136)에 위치하여,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유출 포트(146)가 여기에선 용기 부품(50)의 보어의 계단부(80)에 의하여 구성되거나 형성된(도 4) 분배 홈(78)에 인접하고 유체 연통하고, 이는 이하에서 특히 도 6과 관련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된다. 도 4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을 관통하는 유로(144)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를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의 보어(196)에 의해 교차되고 그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보어(194)를 포함한다. 플러그 부품을 관통하는 다양한 다른 유로 구조들 및 관련된 플러그 유출 포트(146)의 배치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도 가능하다. 외측으로 개방하는 결합 홈(162)은 장치(40)의 작동 동안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도 2 및 4)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결합 홈(162)은 근위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156) 및 말단으로 치우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retention) 립(158) 사이에 형성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플랜지가 없으므로, 유지 립(158)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결합 립(92)에 의해 근위에서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근위를 향한 결합 홈을 정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유지 립(158)은 실질적으로 이어지며 결합 립(92)은 원주상으로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에만 결합되거나 또는 이어져 있지 않거나 또는 다리(102) 마다 따로 형성된다. 플러그 부품(130)의 유지 립(158)을 실질적으로 이어지도록 형성함으로써, 용기 부품(50)에 대한 플러그 부품(130)의 배향에 불문하고, 두 개의 부품이 도 6 도시된 바와 같이 완전히 조립됐을 때 두 개의 부품이 플러그 부품(130)의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유지 립(158)과 결합되는 용기 부품(50)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다리(102)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결합될 수 있고, 그리고 유입 커넥터 포트(192) 및 연관된 내부 유로(144)를 통해 플러그 부품(130) 내로 도입된 어느 유체든, 상호연결연결 홈(76)과 유체 연통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 기인하여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내로 흐를 수 있고, 따라서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에 계단부(80)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이어진 분배 홈(78)을 통해 혼합 채널(66)로 흘러갈 것이라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계속해서 도 3과 4를 참조하면, 플러그 부품(130)은 추가로 비교적 더 작은 직경의 말단 플러그 안착부(174)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의 근접 플러그 결합부(176)를 분리하는 말단으로 향하는 단턱부(170)에 의하여 형성된 유단 측벽(136)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결합 립(92)으로부터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까지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결합 홈(162)으로부터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결합 홈(162) 내에 결합 립(92)을 결합하면,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70)가 실질적으로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이 구체예에서, 용기 플랜지(86)는 기저벽(56)으로부터 반경 방향으로 치우친 근위로 개방하는 O-링 홈(96)이 반경 방향으로 치우치게 형성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O-링(126)이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으로 향하는 단턱부(170)와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의 근위로 향하는 표면 사이의 밀봉을 제공하도록 O-링 홈(96)에 안착한다. 또한, 용기 플랜지(86)로부터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에 장착된 길다란 채널 벽(62)의 벽면(64)까지의 거리는 단턱부(170)로부터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부(134), 또는 플러그 말단면(142)까지의 거리와 같으며, 이로써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서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하면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은 플러그 부품(50)의 결합 립(162) 내에 결합되고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하게 위치되며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말단면(142)이 용기 부품(50)의 길다란 채널 벽(62)의 벽 상면(64)에 실질적으로 안착시켜 길다란 혼합 채널(66)의 상부(68)를 실질적으로 닫으며 추가로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를 용기 부품(50)의 용기 안착부(84) 내에 안착시켜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체 연통하는 입력 단부(70) 외의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실질적으로 밀봉한다. 이 구체예에서,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98)가 O-링 홈(96)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용기 플랜지(86) 내에 도시된 바와 같이 형성되며, 이는 이하에서 도 5와 6과 관련해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동결 건조 공정이 적용되는 액상 약품 투여의 예시적인 사례에서,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액 전달 장치(40)의 용도에서, 제1 단계는 근본적으로 내부 공동(60), 특히 용기 부품(50)의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동결 건조될 소정 양의 액체로 채우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 5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용기 유출 캡(200)으로 결합시킴으로써 덮히는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를 가지며, 그럼으로써 용기 부품(50)의 바닥 또는 말단 개구를 폐쇄하고 이로써 장치(40)를 폐쇄한다. 용기 유출 캡(200)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선택적으로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은 이 기술분야에서 잘 알려지고 사용되는 바와 같은 표준적인 루어(luer) 커넥터들로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얇은 막(도시되지 않음)이 혼합 채널(66) 내에 액체를 완전히 수용하도록 그리고 유출 커넥터 포트(124)로 유입되지 않도록 방츨 커넥터 포트(124)로의 개구 위에, 또는 실질적으로 혼합 채널(66)의 유출 단부(74)에 배치될 수 있으며, 그 후에, 유출 캡(200)은 유출 커넥터 포트(124)의 추가적인 밀봉과 일체성을 위하여, 그리고 충진 및 냉동 건조 공정들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장착될 것이다. 바람직하게, 장치(40)는 충진 단계를 위하여 그리고 다음의 동결 건조 공정 동안 실질적으로 직립 또는 수직으로 유지된다. 따라서, 특히 도 4와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출 캡(200)은 유출 캡 기저면(206)을 형성하는 유출 캡 베이스(204)에서 말단에서 종료하는 유출 캡 벽(202)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캡 기저면(206)은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인 수평 지지면에 대해 맞물려 지지하도록 실질적으로 평평하거나 평면이다.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유출 캡 벽(202)은 바이알 충진 라인 위의 리셉터클(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지지 구조물 내에 및/또는 동결 건조 기계 내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연관되어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 위에 유출 캡(200)이 분리 가능하게 장착됐을 때 유출 캡 벽(202)은 용기 기저벽(56)과 실질적으로 서로 접촉한다. 대안적으로, 유출 캡 벽(202)은 적어도 용기 기저벽(56)의 직경만큼 큰 유출 캡 직경을 가진다.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의 장치(40)는 용기 유출 캡(200) 위에서 수직으로 유지될 수 있으므로, 유출 캡 둘레는 일반적으로 장치(40)가 자체적으로 지지되거나 별도의 지지대 없이 서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유출 캡 둘레가 유출 캡 단면 영역을 가지며 용기 기저벽은 용기 단면 영역을 가지는 용기 둘레를 형성하며, 하나의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50%이며,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60%이며, 여전히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70%이며, 여전히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80%이며, 여전히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90%이며, 여전히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95%이며, 여전히 추가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의 적어도 100%이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라 다양한 다른 크기들과 성분 비율들이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위에 용기 유출 캡(200)이 결합되거나 장착되도록 일단 구성되면, 장치(40)는 이어서 소정의 정해진 양의 액체로 용기 공도 또는 특히 혼합 채널(66)을 충진하는데 적합한 자동화된, 반자동화된, 또는 수동 충진 머신에 설치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10 입방센티미터(0.1 cc)이며,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10 입방센티미터(0.2 cc)이며,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3/10 입방센티미터(0.3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4/10 입방센티미터(0.4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2 입방센티미터(0.5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6/10 입방센티미터(0.6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7/10 입방센티미터(0.7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8/10 입방센티미터(0.8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9/10 입방센티미터(0.9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 입방센티미터(1.0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1/10 입방센티미터(1.1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2/10 입방센티미터(1.2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3/10 입방센티미터(1.3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4/10 입방센티미터(1.4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5/10 입방센티미터(1.5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6/10 입방센티미터(1.6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7/10 입방센티미터(1.7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8/10 입방센티미터(1.8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1과 9/10 입방센티미터(1.9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0 입방센티미터(2.0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1/10 입방센티미터(2.1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2/10 입방센티미터(2.2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3/10 입방센티미터(2.3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4/10 입방센티미터(2.4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5/10 입방센티미터(2.5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6/10 입방센티미터(2.6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7/10 입방센티미터(2.7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8/10 입방센티미터(2.8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2와 9/10 입방센티미터(2.9 cc)이며, 여전히 추가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양은 공칭으로 3 입방센티미터(3.0 cc)이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본 발명 내에서 길다란 채널 벽(62)을 차지하는 다양한 크기 및 공칭 용량의, 특히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의 것이, 따라서 상기 공동(60) 및/또는 혼합 채널(66)의 용량이 가능함을 알 것이다. 일 면에서, 유출 커넥터 캡(200)과 결합하도록 형성된 용기 부품(50)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설치된 플러그 부품(130) 없이 충진을 위하여 배치되고, 플러그 부품(130)이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에 의해 재차 충진 공정이 완료된 후에 용기 부품(50) 내에 삽입된다. 대안적으로,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의 충진은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되었어도, 유로(144)를 통해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부터 유출됨으로써 용기 부품(50)의 공동(60) 내로 흘러들어가는 것으로 달성될 수 있다.
계속해서 도 5를 참조하면, 제1 작동 모드에서의 장치(40)가 다시 도시되는 데,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에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이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0) 위에 근접하게 형성된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위에 안착한다(도 3 및 4). 이러한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위에 걸리게 배치되고(도 3 및 4)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는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의 위로 개방하는 계단부(80)로서 형성된 분배홈(78)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배치되고 아직 용기 안착부(154) 내에 없으므로(도 4),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그리고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 및 주변 환경 사이의 하나 이상의 용기 통풍구(98)들을 통해 유체 연통이 가능하도록 플러그 및 용기 부품들 사이에 틈새(clearance)가 제공된다.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잘 이해될 것으로서,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이어서 장치는 용기 부품(50)의 내부를 통기하거나 진공을 도입하거나 또는 처리될 액체와 관련된 유체 흐름이 필요한 다른 공정으로 처리되는 동결 건조처리가 될 수 있다.
이제 도 6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면에서 동결 건조 공정은 완료되고, 이어서 플러그 부품(130)은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재차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과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유입 캡(220)은 플러그 부품(130)을 덮고 따라서 유체 유로(144)를 폐쇄하기 위하여 유입 커넥터 포트(192)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이러한 유입 캡(220)은 유입 포트(192)와 분리 가능하게 그리고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 기술분야에서 현재 알려지거나 추후 개발될 구조일 수 있으며, 예시적인 구체예는 각각 표준 루어 커넥터로서 구성되므로, 캡(220)은 종래 방식으로 암형(female) 루어 유입 포트 커넥터(192)와 결합하도록 구성된 수형(male) 유입 캡 루어 커넥터(222)를 구비하도록 특히 형성된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해할 것이지만, 플랜지(224) 대신 또는 이에 부가해서 캡(220)의 외면의 널링(knurling)과 같은 다른 개선 수단이 사용될 수 있을 것이나, 플랜지(224)가 잡는 방식(gripping) 및 조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입 캡(220) 위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물론 캡(220)은 제2 작동 모드의 장치(40)와 관련해서, 도 6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 위에 예시적으로 단지 도시되지만, 도 5 도시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또는 도 6 도시의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 유입 캡(220)은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위치될 수 있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이해될 것이지만,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50) 내로 완전히 밀면, 여기서 용기의 결합 립(92)은 플러그의 결합 홈(162)에 결합되고(도 4 및 도 5), 가장 명확하게, 플러그 말단 면(142)은 따라서 혼합 채널(66)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접촉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되며, 이로써 플러그 부품(130)을 통해 유로(144)에 실질적으로 유체로 연결되는 그의 유입 단부(70)를 제외하고(도 2)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다. 다양한 예시적인 면들 및 임상적 용도에 따라서 동결 건조 후의 제2 작동 모드로서 구성된 장치(40)와 그에 따른 장치(40) 내의 다양한 성분들이 아래에서 추가적으로 설명되며, 특히 도 40-42와 관련해서 설명되나, 유입 커넥터 포트(192) 및 플러그 부품(130)과 연관된 유로(144)를 통해 장치(40) 내로 제2 성분을 전달하면, 제2 성분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서 배출되고, 분배 홈(78)을 충진하고, 이어서 별도의 혼합, 교반, 프라이밍(priming), 또는 다른 복원 단계 없이 다시 한번,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70)(도 2)와 다소 상응하는 길이방향의 상호연결 홈(76)(도 4와 5)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하는 것을 인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와 관련해서, 이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이 제2 작동 모드로서 장치(40)를 구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됐을 때, 플러그 단턱부(170)는 O-링(126)에 대해 압착되어 밀봉하도록 용기 플랜지(86)에 인접 배치되고 이로써 용기 통풍구(98)를 밀봉 차단하고, 분배 홈(78)을 형성하거나 완전히 차단하므로, 장치(40)에 유입되고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특히 분배 홈(78)으로 유동하는 소정의 제2 성분은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밖에 없으며, 어느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복귀 유동할 수 없고, 따라서 혼합 채널(66) 내에서 제1 성분과 제2 성분을 혼합하거나 또는 다시 강제로 제1 성분을 복원한다. 관련해서, 분배 홈(78)이 O-링(126)에 의하여 “위에서(above)” 효과적으로 밀봉되면, 이어서 플러그 안착부(154)와 용기 안착부(84) 사이의 결합을 통해 “아래”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이 표면들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은 꼭 맞는(net-fit) 배치이다. 특히, 두 표면 또는 안착부(84, 154)들은 여기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히 조립할 때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직선의 환형 벽들로서 도시된다. 여기 제시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추가로 참조해서, 본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 및 상호 작동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이 이해될 것이다. 장치(40)를 도 6 도시의 제2 작동 모드로 배치하는 것, 또는 장치(40)를 도 5에 도시된 제1 작동 모드에서 도 6에 도시된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추가로 유의하여야 하는 것은, 결합 립(92)이 그 위에 형성되는 용기 부품(50)의 가요성 다리(102)에 의하여, 립(92)들은 피하거나(deflect)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유지 립(158) 위로 이동하여 통과하고 이어서 플러그 결합 홈(162) 내에 가압 또는 안착할 수 있다. 도 1-6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는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하부 에지를 따라 결합 벽(90)에 부착되므로,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플라스틱의 선택에 따른 기하학적이거나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필수적인 가요성과 기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보여지고 이해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6 도시의 장치(40)의 구조 내에서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40) 내에 효과적으로 고정하도록 결합 홈(162) 내에 안착하고 유지 립(158)을 근접해서 제거하기까지 용기 부품(50) 내에 또는 부품에 대해 멀리 진행함에 따라,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 립(92)이 그를 따라 이동하는, 각각의 결합 립(92)과 유지 립(158)의 결합하거나 또는 대향하는 표면들은 경사되어 경사면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또한 도 6으로부터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플랜지(156)는 장치(40)가 도시와 같은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러그와 용기 부품들 사이에 실질적으로 맞물려 고정되도록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러그 둘레를 규정한다.
다음에 도 7-1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에 따른 제2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가 도시된다. 도 1-6의 장치와 다소 유사한 장치(40)는 다시 일반적으로 개방된 근접 단부(52)와 대향하는 말단부(54)를 가지는 용기 부품(40)을 포함하며, 말단부에는 용기 부품(50)의 개방된 상단(5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되는 플러그 부품(130)과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가 형성된다. 플러그 부품(130)은 일반적으로 적어도 제1 및 제2 작동 모드들에서 용기 부품(5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며, 플러그 부품(130)은 근접 단부(132), 대향하는 말단부(134), 및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외면(138)을 가지는 측벽(136)을 가지며, 측벽(136)과 말단부(134)는 함께 플러그 둘레(140)를 형성한다. 플러그 부품은 실질적으로 중심 단부(132)에서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유입 커넥터 포트(192)로부터 플러그 둘레(140)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로의 내부 유로(144)를 가지며, 여기서는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부(134)에 위치된 플러그 인서트(310)에 형성된 수직 홈(320)의 형태이며, 이하에서 보다 구체적으로 그에 대해 설명된다. 도 7의 분리 사시도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출 캡(200)은 또한 여기 개시되는 바와 같은 용기 부품(50)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말단부(5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제공될 수 있다.
특히 도 7을 계속 참조하면, 도 10-12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부(134) 내에 보다 구체적으로 안착된 용기 부품(50)과 플러그 부품(130) 사이에 효과적으로 장착된 플러그 인서트(310)가 도시된다. 위에 설명되고 여기서의 모든 구체예들에 적용될 수 있는 바와 같이, 용기와 플러그 부품(50, 130)들이 일반적으로 환형으로 도시되는 것이 다시 이해되더라도, 본 발명은 그에 한정되지 않으며, 플러그 인서트(310)는 실질적으로 환형이거나 또는 원통형 부품인 것으로 도시되며, 오히려 부품들과 그의 다양한 특징들은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기하학적 형상과 구조들을 가질 수 있다. 이어서, 여기 도시되고 설명되는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참조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벽의 특정 구조, 결합 면과 특징들, 그리고 그러한 특징들의 크기와 비율은 단지 본 발명의 특징들의 예시이며 제한적이 아니다. 도 7에 도시된 특정의 예시적인 플러그 인서트(310)에서, 두 개의 수평 홈(318)들이 위로부터 볼 때 "플러스 사인(plus sign)"을 형성하도록 서로 실질적으로 수직인 상면(314)에 형성된다. 또한, 수평 홈(318)과 교차하고 유체 연통하도록 이 경우 네 개의 실질적으로 균등하게 또는 플러그 인서트(310)의 외면(312) 둘레에 대략 90도에서 이격되어 길이방향 수직 홈(320)들이 형성되며, 이로써 인서트의 상면(314)과 바닥면(316) 사이의 연통이 이루어진다. 수평 및 수직 홈(318, 320)들의 협력에 의하여 도 10-12와 관련해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합치하는 보어에 인서트(310)가 장착될 때 특히 플러그 인서트(310)의 상면(314)과 측면(312) 둘레로부터 유체 유로를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다양한 다른 홈 구조(위치, 형상, 및 깊이를 포함하나 제한되는 것이 아닌 수와 배치)들이 가능한 것이 더욱 이해될 것이므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두 개의 수평 홈(318)들과 대응하는 네 개의 수직 홈(320)들은 단지 예시적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러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부품(130) 내에 플러그 인서트(310)들이 삽입될 때, 네 개의 수직 홈(320)들이 플러그 둘레(140)에 교차하는 네 개의 플러그 유출 포트들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8을 참조하면, 추가적인 예로서의 용기 부품(50)의 확대 사시도가 도시된다. 한번 더, 용기 부품(50)은 일반적으로 본체를 형성하고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을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하거나 제한하는 상부 결합 벽(90)과 하부 기저벽(56)을 포함한다. 특히, 기저벽(56)의 내면(58)은 홈들이나 절개부 없이 실질적으로 유연하다. 또한, 길다란 혼합 채널(66)(도 10)을 형성하는 길다란 채널 벽(62)은 내면(58)에 접촉하지 않고 대신에 혼합 채널(66) 둘레로 공동(60) 내의 둘레 경로 또는 공간을 형성한다. 따라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러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에 대해 플러그 부품(130)을 표시하기 위한 수단을 제공함이 없이, 다시, 도 12 도시와 같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복원되거나 용액화될 용기 부품(50) 내의 다른 재료 또는 건조 약물을 특히 관통하여 그리고 장치를 관통하는 유로는, 플러그 인서트(310)의 수직 홈(320)들에 의하여 형성되는 다수의 플러그 유출 포트들에 의하여 달성되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내부 유로(144)로 전달되고 그를 통해 플러그 인서트(310)로 그리고 이어서 용기 부품(50)의 공동(60)으로 전달됨으로써 사용 중에 희석제 또는 다른 용액들이 그를 통해 흐를 수 있으며, 이와 같이 혼합 채널(66)은 기능상의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재차 제공한다. 따라서, 이러한 대안적인 구체예에는, 도 1-6의 제1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분배 홈(78) 및/또는 상호연결 홈(76)에 대한 필요가 없다. 그렇더라도, 혼합 채널(66)은 여전히 유입 단부(70), 또는 성분들이 채널(66) 내로 유동하는 영역, 및 유출 단부(74), 또는 성분들이 혼합 채널(66)로부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 내로 유출하는 영역을 형성하는 것이 더욱 이해될 것이다.
도 10과 관련해서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이, 중앙에 근접해서 연장하는 결합 벽(90)에서 반경 방향으로 종료하거나 또는 전이하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용기 플랜지(86)에서 중앙에 근접하게 종료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그 자체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에서 중앙에 근접해서 종료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의 일부를 형성하는 가요성 다리(102) 위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와 같이, 벽(90)에 대향하는 실질적으로 수직인 평행의 노치(104)들을 형성함으로써 3개의 가요성 다리(102)들이 결합 벽(90)의 둘레에 이격 형성되는 데, 가요성 다리(102)들은 리빙 힌지와 같이 작동하도록 노치(104)들에 의하여 한정되는 벽(90)의 위로-연장하는 부분들에 의하여 형성된다. 이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여기 도시된 바와 같이 둘, 셋 그리고 도 1-6 도시된 바와 같이 넷, 그 이상의 중앙에 인접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을 구비한 실제로 소정 수의 가요성 다리(102)들에 의하여 구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대안적인 구체예들과 연관해서 여기 개시된 것들을 포함하는 다른 변형들이 본 발명의 여러 특징들에 따라 가능하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98)가 기저벽(5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용기 플랜지(86)내에 형성되며, 이로써 도 11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플랜지(86)의 바닥과 용기 유출 캡(200) 사이에 일부 공간을 상정하면,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98)를 통해 적어도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60)과 주위 대기(surrounding atmosphere) 사이의 유체 연통이 존재하며, 상당한 통기가 없더라도, 플러그 부품(130)의 유지 립(158)과 접하지 않는 결합 립(92) 둘레 및 노치(104)를 통하여 공동(60)은 이미 통기할 수 있음이 인식될 것이므로, 통풍구(98)들은 필요하지 않을 수 있으며, 상관 없이 제조 특성을 포함한 다른 목적을 위하여 형성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플러그 부품(130)이 도 7에 대해 역전되어 확대 도시된다. 도 12와 같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은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의 용기 안착부(84)(도 10)에 대해 안착하도록 구성된 플러그 안착부(154)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여기서, 플러그 부품(130)은 추가로 내면(160)과 상면(161)을 갖는 아래로 또는 말단으로-개방하는 인서트 수용 공동(159)을 형성하는 안착부 벽(155)을 포함한다. 도 10을 추가로 참조하면, 플러그 인서트(310)의 외면(312)과 맞춤 고정되도록 인서트 수용 공동(159)의 내면(160)을 형성하고 플러그 인서트(310)의 상면(314)에 맞춤 고정되도록 인서트 수용 공동(159)의 상면(161)을 형성함으로써 수평 및 수직 홈들(318, 320)의 조합에 의하여 인서트(310)의 상면(314)으로부터 공동(159)의 상면(161)에 의하여 한정된 수평홈(318)을 관통하여 그리고 플러그 인서트(310)의 측면(312) 둘레로 그리고 공동(159)의 내면(160)에 의하여 한정된 수직 홈(320)을 관통하여 유체 유로가 형성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수직홈(320)의 출구, 또는 수직홈(320)이 플러그 인서트의 바닥면(316)에 교차하는 부위가 효과적으로 이러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유출 포트를 규정하거나 형성하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수직 홈(320) 형태의 플러그 유출 포트는, 용기 부품 공동(60)과 혼합 채널(66)에 인접하고 유체 연통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도 12와 관련해서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될 것이다. 도 10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을 관통하는 유로(144)는 인서트 수용 공동(159)과 그리고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로부터 플러그 유출 포트로 유체 연통하고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보어(194)를 포함한다. 다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플러그 부품을 관통하는 다양한 다른 유로 구조들과 관련된 구조 및 플러그 유출 포트의 형성이 가능한 것이 다시 인식될 것이다. 외측으로 개방된 결합 홈(162)은 장치(40)의 작동 동안 용기 부품(50)(도 8 및 도 1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 외면(138)에 형성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결합 홈(162)은 중앙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플랜지(156)와 말단으로 치우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 사이에 형성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플랜지가 없으므로, 유지 립(158)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결합 립(92)에 의하여 근접해서 결합되는 실질적으로 중앙으로-향하는 결합 홈을 형성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지 립(158)은 이러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이며 결합 립(92)은 둘레방향으로 단지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와 연관되거나 또는 불연속이거나 또는 다리(102)마다 분리되어 형성된다. 플러그 부품(130)의 유지 립(158)을 실질적으로 연속으로 여기 형성함으로써, 용기부품(50)에 대한 플러그 부품(130)의 배향에도 불구하고, 도 12와 같이, 두 개의 부품들이 완전히 조립될 때, 두 개의 부품들은 플러그 부품(130)의 실질적으로 연속인 유지 립(158)에 결합하는 용기 부품(50) 위에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다리(102)의 결힙 립(92)에 의해서와 같이 결합될 수 있으며, 그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연관된 내부 흐름 통로(144)를 통해 플러그 부품(130) 내로 도입되는 유체는, 보어(194)와 혼합 채널(66) 사이에 유체 연통하는 플러그 인서트 홈들(318, 320)들에 기인하여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내로 자유로이 유동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도 9와 도 10을 계속 참조하면, 플러그 부품(130)은 더욱 비교적 더 작은 직경의 말단 플러그 안착부(154)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의 인접하는 플러그 결합부(172)를 분리시키는 말단으로-향하는 단턱부(170)에 의하여 규정되는 유단 측벽(136)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결합 립(92)으로부터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까지의 거리는 결합 홈(162)으로부터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 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결합 홈(162) 내로의 결합 립(92)의 결합에 의하여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해서 실질적으로 위치한다. O-링이 여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필요하면 합치면들 사이에 다시 사용될 수 있을 것이다. 더욱이, 용기 플랜지(86)로부터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에 장착된 길다란 채널 벽(62)의 벽 상면(64)까지의 거리는, 단턱부(170)로부터 플러기 부품(130)의 말단부, 또는 플러그 인서트(310)의 바닥면(316)에 의하여 실질적으로 형성된 플러그 말단면(142)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하여,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은 플러그 부품(130)의 결합 홈(162) 내에 결합되고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해서 위치되어,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말단면(142), 그리고 보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인서트(310)의 바닥면(316)을, 길다란 혼합 채널(66)의 상부를 실질적으로 닫도록 용기 부품(50)의 길다란 채널 벽(62)의 벽 상면(64)에 대해 실질적으로 안착시키고 그리고 더욱이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를 플러그 부품(130) 내에 장착된 플러그 인서트(310)의 수직 홈(320)에 의하여 여기 형성된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영역을 제외한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실질적으로 밀봉하도록 용기 부품(50)의 용기 안착부(84) 내에 안착시킨다.
도 7-10의 용액 전달 장치(40)의 사용시, 동결 건조 공정 처리될 액체 약물의 예시적인 관점에서, 제1 단계는 기본적으로 내부 공동(60), 그리고 특히 용기 부품(50)의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동결 건조될 소정 양의 액체로 충진하는 것이다. 바람직하게, 도 11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용기 유출 캡(200)과 결합시킴으로써 덮힌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를 가지며, 이로써 용기 부품(50)그리고 이로써 장치(40)의 바닥 또는 말단 개구를 폐색시킨다. 용기 유출 캡(200)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선택적으로 밀봉가능하게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각각은 이 기술분야에서 공지되고 사용된 표준 루어 커넥터들로서 구성될 수 있다. 대신에, 도 10-12 도시된 바와 같이, 캡(200)은 유출 커넥터 포트(124)의 외부에 대해 합치하거나 맞춤 고정을 제공하도록 형성된 내부 보어(209)를 가질 수 있으며, 포트(124)의 개구는 캡(200)의 내측에 안착되거나 또는 밀봉됨으로써 닫혀진다. 바람직하게, 장치(40)는 충진 단계 및 이어지는 동결 건조 공정 동안 실질적으로 직립의 또는 수직으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도 10과 도 11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출 캡(200)은 유출 캡 기저면(206)을 형성하는 유출 캡 기저면(204)에서 말단에서 종료하는 유출 캡 벽(202)을 가진다. 바람직하게,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캡 기저면(206)은 실질적으로 평탄한 또는 평면인 수평 지지면에 대해 맞닿아 지지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이다.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유출 캡 벽(202)은 약병 충진 라인 위 및/또는 동결 건조 머신 내의 다른지지 구조물 또는 리셉터클(도시되지 않음) 내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련해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200)이 용기 부품(50) 위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때, 유출 캡 벽(202)은 실질적으로 용기 결합 벽(90)에 인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에서의 장치(40)는 용기 유출 캡(200) 위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을 것이다는 생각이므로, 유출 캡 둘레는 일반적으로 장치(40)의 자체-지지 또는 자유로이 정지할 수 있기에 충분하다. 여기서, 유출 캡 둘레는 유출 캡 단면 영역을 가지며 용기 기저벽은 용기 단면 영역을 가지는 용기 둘레를 형성하며, 유출 캡 단면 영역은 용기 단면 영역과 대략 같거나 100%인 것으로 도시된다.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르면 다양한 다른 크기들 및 부품 비율들이 가능한 것이 재차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이, 용기의 유출 캡(200)이 용기 부품(50) 위에 장착되거나 또는 결합되도록 구성되면, 공동(60) 또는 특히 혼합 채널(66)을 소정의 정해진 양의 액체로 충진하기 위하여, 장치(40)는 이어서 적절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충진 머신에 배치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본 발명 내에서 제1 성분의 정해진 특별한 양의 광범위한 크기 또는 공칭 용적 따라서 공동(60) 및/또는 혼합 채널(66)의 용적이 가능함을 이해할 것이다. 하나의 관점에서, 유출 커넥터캡(200)과 결합되도록 형성된 용기 부품(50)은 도 11과 같이 아직 배치된 플러그 부품(130) 없이 충진을 위하여 위치되므로, 플러그 부품(130)은 충진 단계가 종료된 후에,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에 의하여 다시 용기 부품(50) 내에 이어서 삽입된다. 대신에, 용기 부품(50)의 충진은 도 11과 같이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부분적으로 삽입된 플러그 부품(130)에 의해서조차 달성될 수 있는 데, 용기 부품(50)의 공동(60) 내로 유동시키기 위하여 유로(144)를 통하여 흐르고 수직 홈(320)에 의하여 형성된 플러그 유출 포트로부터 유출하여, 유입 커넥터 포트(192)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제1 작동 모드에서 장치(40)가 다시 도시되는 데, 여기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도 10과 도 11)의 외면(138) 위에 형성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 위에 인접해서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위에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위로 걸리고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도 9와 도 10)는 용기 부품(50)의 공동(6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걸리고 용기 안착부(84)(도 10) 내에 아직 있으므로, 하나 이상의 용기 통풍구(98)를 통해 및/또는 노치(104)를 통해 및/또는 아니면 플러그 부품(130) 둘레로,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그리고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 그리고 둘레 대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플러그와 용기 부품 사이의 틈새를 형성한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동결 건조 처리될 수 있으며, 따라서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될 수 있거나 또는 진공이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처리될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을 필요로 하는 다른 공정에 적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2를 참조하면, 일단, 예시적인 관점에서, 동결 건조 공정은 완전하고, 플러그 부품(130)은 이어서 도시와 같은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에 의하여 다시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유입 포트(220)는 플러그 부품(130)을 덮기 위하여 따라서 유체 유로(144)를 폐쇄하기 위하여 유입 커넥터 포트(192) 위에 장착될 수 있다. 유입 캡(220)은 유입 포트(192)와 분리가능하고 밀봉 가능하게 결합하도록 이 기술분야에서 이제 공지되거나 또는 추후 개발된 소정 구조일 수 있다. 캡(220)의 외면의 널링과 같은 다른 개선 사항들이 플랜지(224) 대신에 또는 부가해서 사용될 수 있음을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해할 것이지만, 플랜지(224)는 파지와 조종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유입 캡(220)에 제공되는 것으로 도시된다. 유입 캡(220)은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삽입되기 전 또는 후에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위치될 수 있으며, 도 11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또는 도 12의 제2 작동 모드에서, 물론 캡(220)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장치(40)에 관련해서 도 12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 위에 예시를 위하여 단지 여기 도시된다.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그리고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지만,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50) 내로 완전히 밀어지므로, 여기서 용기의 결합 립(192)은 플러그 결합 홈(162)(도 10과 도 11)에 결합하고, 가장 명확하게, 플러그 인서트(310)의 바닥면(316)에 의하여 형성된 플러그 말단면은 이와 같이 혼합 채널(66)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근접 접촉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하고, 이로써 플러그 인서트(310)의 수평 및 수직 홈(318, 320)들에 의하여 플러그 부품(310)을 통해 유로(144)에 실질적으로 유체에 의하여 연결되는 영역을 제외하고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색시킬 수 있다. 다시 한번, 별개의 혼합, 교반, 프라이밍, 또는 다른 복원 단계들 없이,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플러그 부품(130)의 연관된 유로(144)를 통해 제2 성분을 유동시키면, 제2 성분은 수직홈(320)에 의하여 형성된 플러그 유출 포트로부터 배출되고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다. 관련해서, 이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장치(40)를 구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될 때, 플러그 단턱부(170)는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하게 위치되어 그들 사이에 꽂 맞추어져 밀봉하고 이로써 용기 통풍구(98)를 밀봉하고 공동(60)을 완전히 구속하므로 장치(40) 내로 유입하여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으로 유동하는 소정의 제2 성분은 이어서 혼합 채널(66) 내로 유입할 수 있고 어느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 복귀 유동하지 않으며, 이와 같이 다시 강압적으로 제2 성분을 복원하거나 또는 혼합 채널(66) 내에서 제1 성분과 제2 성분이 혼합된다. 관련해서, 플러그 단턱부(170)와 용기 플랜지(86) 사이의 결합에 의하여 공동(60)이 효과적으로 “위에서” 밀봉되면, 이어서 플러그 안착부(154)와 용기 안착부(84) 사이의 결합을 통해 “아래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이들 표면들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은 다시 꼭 맞춤 배치이다. 특히,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히 조립할 때, 두 표면들 또는 안착부들(84, 154)들이 여기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환형인 직선 벽들로서 도시된다. 여기 제시된 여러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많은 다른 구조들과 상호 작용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와 같이 가능함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잘 이해될 것이다. 또한 도 12의 제2 작동 모드에 장치(40)를 배치하는 것 또는 도 11의 제1 작동 모드로부터 장치를 도 12의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것에 관련해서, 결합 립(92)들이 위에 형성되는 용기 부품(50)의 가요성 다리(102)에 의하여 립(92)들은 굽혀지거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유지 립(158)을 통과하고 이어서 플러그 결합 홈(162) 내로 탄성 복귀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7-12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는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하부 에지를 따라 결합 벽(90)에 부착되므로,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플라스틱의 선택과 함께 기학학적 또는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필수적인 가요성과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되고 이해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결합 립(92)과 유지 립(158)들의 결합 또는 대향하는 표면들은 결사되어 경사면을 효과적으로 제공하므로, 도 12의 장치(40)의 구조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효과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결합 립(92)이 유지 립(158)을 근접하게 제거하고 결합 홈(162) 내에 안착하기까지 용기 부품(50)에 대해 또는 그 내부에서 플러그 부품9130)이 말단으로 이동함에 따라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함에 따라 결합 립(92)은 경사부를 따라 이동한다. 또한, 도 12로부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장치(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러그와 용기 부품들 사이의 실질적으로 맞춤 고정을 위하여 용기 부품(50)의 결합벽(90)과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한 플러그 둘레를 형성한다.
이제 도 13-1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여러 관점들에 따른 제3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40)가 도시된다. 장치(40)는 다시 일반적으로 개방 인접 단부(52)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가 형성된 대향하는 말단부(54)를 가지는 용기 부품(50)과, 용기 부품(50)의 개방된 상단(52)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삽입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부품(130)을 포함한다. 적어도 제1 및 제2 작동 모드들에서 용기 부품(50)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된 인접 단부(132), 대향하는 말단부(134), 및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외면(138)을 가지는 측벽(136)을 가지는 플러그 부품(130)에서, 측벽(136)과 말단부(134)는 함께 플러그 둘레(140)를 형성한다. 플러그 부품은 실질적으로 인접 단부(132)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유입 커넥터 포트(192)로부터 플러그 둘레(140)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의 내부 유로(144)를 가진다. 여기 도시되고 설명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를 참조하면, 벽들의 특정 구조, 결합 면들과 특징들, 그러한 특징들의 크기와 비율들이 본 발명의 특징들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을 다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해할 것이다.
도 14와 도 16을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에는 내면(58)을 가지고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크기를 가지는 내부 공동(60)을 형성하는 하부 기저벽(52)이 형성된다. 공동(60) 내에는 실질적으로 개방된 상부(68)와 실질적으로 폐쇄된 단부(72)를 가지는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형성하도록 길다란 채널 벽(62)이 형성되거나 장착된다. 혼합 채널(66)의 개방 상부(68)에 더욱 인접해서 그리고 기저벽(56)의 내면(58)에 실질적으로 인접해서, 장치(40)가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 유체 연통하는 채널 유입 단부(70) 및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유체 연통하는 대향하는 유출 단부(174)가 형성되거나 또는 규정되며, 이에 대해서는 특히 도 18에 관련해서 이하 설명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에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는 상호연결 홈(76)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홈(76)의 다른 배향이 또한 사용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상호연결 홈(76)은 용기 부품의 기저벽(56)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으로 형성된다. 도 18과 같은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50) 내에 조립할 때 상호연결 홈(7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체 연통하기에 충분한 길이를 가지므로,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일반적으로 상호연결 홈(76)에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분배 홈(78)을 포함한다. 도시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분배 홈(78)은 리세스(82)와 혼합 채널(66) 사이의 내면(58)의 용기 안착부(84)를 형성하도록 채널벽 상면(64)에 인접한 내면(58)에 위치된, 기저벽(56)의 내면(58)에 반경 방향 내측으로-개방하는 둘레 리세스(82)로서 구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사용 중의 장치(40)에 대해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실질적으로 환형인 용기 부품(50)에 이어서,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용기 부품 하부 벽(56) 내에 형성된 리세스(82)에 의하여 여기 형성된 분배 홈(78)은 또한 실질적으로 환형이다. 더욱이, 예시된 바와 같이, 분배 홈은 실질적으로 연속이며, 한번 더, 연속일 수 없으면, 분배 홈이 존재할 수 없거나 또는 있는 장치의 구조들이 있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다시 본 발명의 사상이나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부품들과 구조들이 가능한 것이 이해할 것이다.
도 14와 16을 계속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이 중앙으로 연장하는 결합 벽(90)에서 종료하는 것으로 도시되며, 이들은 그 자체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에서 입접해서 종료된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용기 부품(50)의 전체 결합 벽(90)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는 가요성 다리(102)에 형성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된 바와 같이, 한 쌍의 대향하는 인접해서-연장하는 가요성 다리(102)들이 능동 ㅎㄴ지와 같이 작동하도록 결합 벽(90)으로서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여기 도시되고 설명된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기저벽(56)과 결합 벽(90) 사이에 플랜지나 다른 외부 단턱부가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지만, 기저벽(56)과 결합 벽(90)은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유사하다. 실제로,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용기 부품(50) 내에 삽입된 때, 말단으로-향하는 플러그의 단턱부(170)에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기저벽(56)의 상부를 형성하는 인접해서-향하는 용기 단턱부(170)가 용기 부품(50)에는 효과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플러그 부품9130)을 작동가능하게 수용하도록 다양한 기하학적인 부품들과 장치들을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미 다시 이해할 것이다. 다시, 다리(102) 및/또는 립(92)들 자체는 가요성이며 용기 부품(50) 내에 삽입됨에 따라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 이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통풍구(98)가 기저벽(5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용기 플랜지(86) 내에 형성되며, 이로써 도 11과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이 삽입된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60)과 주위 대기 사이에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98)를 통해 유체 연통이 이루어질 것이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통풍구들의 크기 및 위치들은 실질적으로 다리(102)들과 관련 립(92)들의 위치에 상응하는 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통풍구들의 광범위한 구조들과 위치들이 가능할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이들 통풍구들이, 각각의 결합 립(92)의 각각의 통풍구(98)와 절개부를 동시에 형성하기 위하여 코어 풀에 의한 주입 성형 공정을 통해 달성되거나 얻어질 수 있기 때문이다.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용액전달 장치(40)의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의 플러그 부품(130)은 도 13에 대해 역전되고 확대 도시된다. 도 18과 같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 조립할 때,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의 용기 안착부(84)(도 16) 내에 안착하도록 구성된 말단 플러그 안착부(154)가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36)의 외면(38)에는 형성된다.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플러그 안착부(154)의 인접하는 측벽(136)에 위치되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용기 부품(50)의 보어의 리세스(82)에 의하는 바와 같이(도 14 및 도 16), 용기 부품(50)에 형성된 분배 홈(78)과 유체 연통하고 인접해서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특히 도 18과 관련해서 아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또한, 대안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부품(130)은 추가로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 유체 연통하도록 외측으로-개방하는 둘레 리세스(152)로서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된 분배홈(148)을 포함하며; 즉,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플러그 분배홈(148) 또는 플러그 리세스(152)에 효과적으로 형성되거나 교차한다. 따라서, 각각 전체 분배홈을 형성하도록 플러그 유출 포트(146)가 양측과 유체 연통하고, 혼합 채널(66)의 상호연결 홈(76)으로 그리고 유입 단부(70)로 진행함에 따라(도 14와 도 16),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서 유출 후에 제2 성분이 내부에서 흐르도록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안착될 때 각각의 용기와 플러그 분배홈(78, 148)들은 실질적으로 동일-평면에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6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을 관통하는 유로(144)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횡방향 보어에 의하여 교차되고 유체 연통하는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형성된 실질적으로 축방향인 보어(194)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플러그 부품을 관통하는 다양한 다른 유로 구조들과 플러그 유출 포트(146)의 관련된 배치가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1-6의 구체예에서,장치(40)의 작동 동안, 특히 도 17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플러그 유출 포트(146) 및 리세스(152)에 인접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과 외면(138)에 외측으로-개방하는 결합 홈(162)이 형성되며, 이에 대해서는 이하에서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계속 도 15와 도 16을 참조하면, 플러그 부품(130)은 비교적 더 작은 직경의 말단 플러그 안착부(154)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의 인접하는 플러그 결합부(152)를 분리시키는 말단으로-향하는 단턱부(170)에 의하여 단턱이 형성된 측벽(136)을 가지도록 형성되며, 장치(40)가 도 18과 같이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단턱부(170)들은 결합하거나 인접 위치되도록 구성된다.
도 13-16의 용액 전달 장치(40)의 사용에서, 도 17과 도 18과 같이, 액체 약품이 동결 건조 처리되는 예시적인 취지에서, 용기 부품(50)은 용기 유출 캡(200)이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결합함으로써 용기 부품(50)은 덮히고, 이로써 장치(40)의 용기 부품(50)의 바닥과 말단 개구를 폐색한다. 용기 유출 캡(200)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선택적으로 밀봉 결합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각각은 이 기술분야에 알려지고 사용된 바와 같은 표준 루어 커넥터로서 구성될 수 있다. 유출 캡(200)은 다시 내부 막(도시되지 않음) 또는 다른 밀봉 없이 또는 구비하고 유출 커넥터 포트(124)의 밀봉 및 통합을 위하여, 그리고 충진 및 동결 건조 공정을 촉진하기 위하여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장치(40)는 충진 공정 및 다음의 동결 건조 공정 동안 실질적으로 직립으로 또는 수직으로 유지될 것이다. 따라서, 도 17과 도 18에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유출 캡(200)은 유출챕 기저면(206)을 형성하는 유출 캡 기저면(204)에서 말단으로 종료하는 유출 캡 벽(202)을 가진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출 캡 기저면(206)은 실질적으로 평탄하고 평면인 수평 지지면에 대해 맞물려 지지될 수 있도록 실질적으로 평탄하거나 평면이다. 대신에 또는 부가적으로, 유출 캡 벽(202)은 약병 충진 라인 및/또는 동결 건조 머신 내에서 리셉터클(도시되지 않음) 내에 또는 다른 지지 구조물 위에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관련해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유출 캡(200)이 용기 부품(50) 내에 분리가능하게 장착된 때, 유출 캡 벽(202)은 실질적으로 용기 기저벽(56)에 인접한다. 적어도 하나의 구체예에서의 장치(40)는 용기 유출 캡(200) 위에 수직으로 배치될 수 있으므로, 유출 캡 둘레는 일반적으로 장치(40)에서 독립적으로 배치되거나 자체 지지하기에 충분하다고 생각한다. 용기 유출 캡(200)이 일단 도시되고 설명된 바와 같은 용기 부품(50)에 결합하거나 또는 그 위에 장착되도록 구성되면, 소정의 정해진 양의 액체로 공동(60) 또는 특히 혼합 채널(66)을 충진하기 위하여 장치(40)는 이어서 적절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의 충진 기계 내에 배치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17을 계속 참조하면, 다시 제1 작동 모드에서 장치(40)가 도시되는데, 여기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용기 부품(50)의 플러그 결합 홈(162) 내에 임시로 결합 또는 안착하는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의 탄성 다리(102)와 일체로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92)은,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도 15와 도 16)의 측면(138)의 플러그 결합홈(162) 내에 임시로 결합 또는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단턱부(110) 위로 걸리고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도 15와 16)는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의 내측으로-개방하는 리세스(82)로서 형성된 분배홈(78) 내에 또는 인접해서 적어도 부분적으로 걸리며 용기 안착부(84) 내에 벌써 존재하지 않으므로, 플러그와 용기 부품들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고,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과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촉진한다.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동결 건조 처리될 수 있고 이로써 용기 부품(50) 내부는 통기될 수 있거나 진공이 도입될 수 있거나 또는 처리될 제1 성분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이 필요한 다른 공정이 적용될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이제 도 18을 참조하면, 예시적인 동결 건조공정 또는 다른 공정이 종료될 때, 플러그 부품(130)은 이어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되고, 이는 재차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의 공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 내로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히 밀면, 여기서 용기의 결합 립(92)이 플러그 부품(130)의 인접 단부(132)에 결합하고(도 17), 가장 명확하게, 플러그 말단면(142)(도 15)은 이와 같이 혼합 채널(66)(도 14 및 도 16)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접촉하거나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하며, 이로써 플러그 부품(130)을 통해 유로(144)에 실질적으로 유체 연결된 유입 단부(70)(도 14)를 제외하고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쇄한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의 인접 단부(132)는 인접하여-향하는 플러그 인접면(176)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부품(130)이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150)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 결합 립(92)이 플러그 인접면(176)에 대해 안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립 말단면(94)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한번, 제2 작동 모드에서 구성된 장치(40)에 대해 설명하면, 이하에서 특히 도 40-42와 관련해서, 다양한 예시적인 예들과 임상적인 사용에서 따라서 장치(40) 내의 다양한 성분들이 모두 논의되나, 플러그 부품(130)의 관련 유로(144)와 유입 커넥터 포트(192)를 통해 장치(40) 내로 제2 성분을 유동시키면, 다시 별도의 혼합, 흔듬, 프라이밍 또는 다른 복원 단계 없이 다시 한번,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도록 제2 성분을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서 배출하고, 실질적으로 인접한 용기 및 플러그 분배홈(78, 148) 내로 충진하고, 이어서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도 2)에 다소 인접한 세로 방향 상호연결 홈(76)(도 14-16)을 통하여 혼합 채널(66) 내로 제2 성분이 유동할 수 있는 것을 아는 것을 충분하다. 관련해서, 장치(40)를 제2 작동 모드로서 구성하기 위하여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될 때, 부품들을 같이 추가로 안착시키고 용기 내부 공동(60)을 밀봉하도록 지원하기 위하여 플러그 단턱부(170)는 용기 단턱부(110)에 인접하게 배치된다. 즉,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결합 립(92)으로부터 용기 단턱부(110)까지의 거리는 결합 홈(162)으로부터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0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용기 부품(50) 내의 조립시, 결합 홈(162) 내에 결합 립(92)을 결합시키면, 용기 부품(50)의 단턱부(110)에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를 실질적으로 위치시킨다. 또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은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되고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대응하는 반경 방향-내측으로 개방하는 보유 홈(116)에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예시된 바와 같이, 보유 홈(116)과 유지 립(158)은 각각의 용기와 플러그 분배홈(78, 148)에 인접 위치된다.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그러한 유지 립-결합 홈은 두 부품들을 같이 체결하고 상호연결 홈(76)을 관통하여 연통하는 분배홈(78, 148)들과 특히 혼합 채널(66) 및 내부 공동(60)을 밀봉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장치(40)에 유입하고 내부 공동(60)으로, 특히 각각의 용기 및 플러그 부품(50, 130)의 분배홈(78, 148)으로 유동하는 제2 성분은 이어서 상호연결 홈(76)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하고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유출하여 복귀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유입 단부(70)에서가 아닌 혼합 채널(66) 내로 복귀하지 않으며, 다시 혼합 채널(66) 내에서 제1 및 제2 성분들을 혼합하거나 또는 제1 성분을 강제로 복원한다. 관련해서, 단턱부(110, 170)들의 안착과 유지 립(158)의 보유 홈(116) 내의 결합에 의하여 분배홈(78, 148)들이 "위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되면, 이어서 플러그 안착부(154)와 용기 안착부(84) 사이의 결합을 통해 홈(78, 148)들은 효과적으로 "아래에서" 밀봉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이들 표면들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은 꼭 맞춤 배치이다. 특히,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소 테이퍼형의 환형 벽들로서 구성된 것으로 두 표면들 또는 안착부(84, 154)들은 여기서 도시된다. 여기 제시된 많은 다양한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추가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과 상호 작동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이와 같이 가능한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한번 더, 용기와 플러그 부품들 사이의 결합면들은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벽 또는 굽은-벽일 수 있다. 도 18의 제2 작동 모드로 장치(40)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17의 제1 작동 모드에서 도 18의 제2 작동 모드로 장치(40)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결합 립(92)들이 위에 형성된 용기 부품(50)의 가요성 다리(102)들에 의하여 립(92)들은 구부러지거나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플러그 부품의 외면(138) 위로 진행할 수 있고, 이어서 플러그 부품(130)의 인접 단부(132) 위로 탄성 복귀하거나 또는 근접하기 전에 결합 홈(162) 내에 그리고 그로부터 특히 단턱부(170) 위로 진행할 수 있는 것이 추가로 인식될 것이다. 도 13-18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는 하부 에지를 따라 결합 벽(90)에 부착되므로, 충분한 탄성을 가진 적절한 의료용 플라스틱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이거나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필수적인 가요성과 기능성이 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이러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인접하는 플러그 면(176)은 실질적으로 연속이며, 용기 부품(50)에 대한 플러그 부품(130)의 배향에 불문하고, 두 개의 부품들은 플러그 인접 단부(132) 위로 스냅 결합하는 결합 립(92)에 의하여 조립 상태로 결합되고 유지될 수 있으며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연관된 내부 유로(144)를 통해 도입된 유체는 부품들의 실질적으로 연속인 분배 홈(78, 148)들을 통해 상호연결 홈(76), 따라서 혼합 채널(66)에 유체 연통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 기인하여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다.
이제 도 19-21을 참조하면, 여러 명확한 차이들이 존재하지만, 도 13-18에 유사한 추가의 대안적인 구체예가 도시된다. 도 19의 분리 사시도를 참조하면, 용기 부품(50)과 그의 기저벽(56)으로부터 분리되어 결합 부분 또는 벽(90)이 형성된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기저면 결합 링(106)을 가지는 별개의 결합 부품(100)이 제공되고 그로부터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들이 인접해서 형성된 하나 이상의 가요성 다리(102)들이 실질적으로 인접해서 연장한다. 도시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결합 부품(100)은 4개의 서로 이격된 다리(102)들을 구비하여 형성되고, 다시 한번,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구조 및 수에서 다양한 다리(102)들이 가능한 것을 이해할 것이다. 실질적으로 다리(102)들 사이에서 결합 링(106)의 인접해서-향하는 표면이 용기 단턱부(110)를 형성한다. 결합 링(106)은 추가로, 도 21에 가장 잘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의 실질적으로 인접해서-향하는 기저벽 계단부(88)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계단부(108)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각각의 링과 기저벽의 계단부(108, 88)들의 결합에 의하여 용기 부품(50) 위로 결합 부품(100)의 조립이 억지 끼워 맞춤(interference fit), 초음파 용접, 용제 접합, 또는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지거나 추후 개발될 다른 조립을 통해 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용기 부품(50)은 다른 구체예들과 유사하며, 특히 용기 부품(50)의 상부 결합 벽(90)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도록 결합 성분(100)이 일단 조립되면, 용기 부품은 또한 내면(58)을 가지며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크기를 가진 내부 공동(60)을 형성하는 기저벽(56)을 가진다. 공동(60) 내에는 길다란 혼합 채널(66)을 형성하기 위하여 길다란 채널 벽(62)이 다시 형성 또는 장착된다. 상호연결 홈(76)은 또한 도 21 도시와 같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시, 플러그 부품(130)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되는 리세스(152)로서 형성된 분배 홈(148)과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사이에 유체 연통이 이루어지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되며, 이로써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방츨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용기 부품(50)은 다른 대안적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별개의 분배홈을 포함하지 않으므로, 단지 플러그 분배홈(148)만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상호연결 홈(76)을 유체로 연결하는 기능을 제공한다. 플러그 부품(130)에 관해서, 측벽(136)의 외면(138)은 분배 홈(148)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하는 리세스(152)를 가지도록 다시 형성되며,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분배홈(148) 또는 플러그 리세스(152)에 교차하고 유체 연통하도록 측벽(138)에 위치된다. 도 1-18의 구체예들과 같이, 장치(40)의 작동 동안, 특히 도 2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리세스(152)에 인접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에 외측으로-개방되는 결합 홈(162)이 형성된다. 플러그 부품(130)은 추가로 비교적 더작은 직경의 말단 플러그 안착부(154)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의 인접한 플러그 결합부(172)를 분리시키는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단턱부(170)에 의하여 형성된 유단 측벽(136)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단턱부(170)는 장치(40)가 도 21과 같은 제2 작동 모드에 위치할 때 결합 부품(100)의 결합 링(106)의 인접해서-향하는 면으로 형성된 용기 단턱부(110)에 대해 인접하거나 결합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예시적인 대안적 구체예에서, 플러그 외면(138)에는, 구체적으로 인접하는 플러그 결합부(172)에는, 다리(102) 용 틈새를 제공하고 일부 구체예들에서 표시 기능으로서 가요성 결합 다리(102)들의 크기 및 위치들에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세로방향의 플러그 절개부(188)가 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안착부(154)와 인접하는 결합부(172) 사이의 전이부, 또는 특히 단턱부(170)에서 절개부(188) 내의 두께 또는 부분 직경이 말단 플러그 안착부(154)와 실질적으로 같도록, 절개부(188)는 비교적 더 큰 인접 플러그 결합부(172)를 가로질러 세로로 연장한다.
제1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임계 사건들로서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를 도시하는 도 20과 도 21을 참조하면,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모두 일반적으로 사용될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편리성과 명확성의 면에서, 용기 유출 캡(200)(도 1, 7 및 13)과 플러그 유입캡(220)(도 6 및 12)의 어느 것도 도시되지 않는다. 도 19의 용액 전달 장치(40)의 사용에서, 다시 액체 약물에 대해 동결 건조 공정이 적용될 예시적인 관점에서, 장치(40)는 공동(60) 또는 특히 혼합 채널(66)을 소정 양의 액체 제1 성분으로 충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충진 머신에 배치될 수 있다. 가장 자주는 후이지만, 이 단계 전 또는 후에, 플러그 부품(130)은 이어서 다시 동결 건조기에 배치되거나 또는 처리될 때, 장치(40)를 제1 작동 모드에 배치하기 위하여 여기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특히, 립(92)이 대체로 도 20과 같은 플러그 결합 홈(162) 내에 진입하기까지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서 말단으로 진행되고 따라서 결합 립(92)들이 플러그 절개부(188) 내에서 중앙으로 이동됨에 따라 용기 결합부품(100)의 가요성 다리(102) 위에 인접해서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이 일시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도 19)의 외면(138) 위의 플러그 결합 홈(162) 내에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는 다리(102)들에 의하여 결합하거나 안착하는 것이 인식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단턱부(110) 위로 걸리고 플러그 부품(130)의 플러그 안착부(154)는 아직 용기 안착부(84)에 결합되거나 또는 안착되지 않았으며(도 19),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그리고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과,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촉진하도록, 플러그와 용기 부품들 사이에 틈새를 제공한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동결 건조 공정이 적용될 수 있으며,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할 수 있거나 진공이 도입되고 또는 처리될 제1 성분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을 필요로 하는 다른 공정이 처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어서,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예시적인 동결 건조 공정 또는 다른 그러한 공정이 완료될 때, 이어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고, 이는 재차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 내로 플러그 부품(130)을 계속 밀어서, 여기서 용기의 결합 립(92)이 플러그 부품(130)의 인접 단부(132)에 결합하고(도 19), 플러그 말단면(142)은 혼합 채널(66)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 접촉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되며(도 19), 이로써 상호연결 홈(76)의 근처에서 유입 단부를 제외하고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쇄시킨다(도 19).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의 중심 단부(132)는 중심으로-향하는 플러그 중심면(176)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용기 부품(150) 내로 안착된 때, 결합 립(92)은 플러그 중심면(176)에 대해 안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플러그 중심면(94)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한번, 다양한 예시적인 문맥 및 임상적인 용도에서의 제2 작동 모드 사후-동결 건조로 구성된 장치(40)에 대해 더욱 그리고 장치(40) 내의 다양한 성분들이 도 40-42와 관련해서 이하에서 추가로 논의되나,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플러그 부품(130)의 연관된 유로(144)를 통해 장치(40) 내로 제2 성분을 전달하면, 별도의 혼합하고, 흔들고, 프라이밍(priming)하는, 또는 그 외 복원하는 단계 없이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도록 제2 성분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부터 배출되고, 플러그 분배홈(148)을 충진하거나 또는 내부로 유동하고, 그리고 이어서 세로방향의 상호연결 홈(76)(도 19)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음을 인식하는 것으로 충분하다. 이와 관련해서, 제2 작동 모드로 장치(40)를 구성하기 위하여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될 때, 추가로 부품들을 함께 안착시키고 용기 내부 공동(60)을 밀봉하는 것을 지원하도록 플러그 단턱부(170)는 용기 단턱부(110)에 인접된다. 또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O-링(126)이 말단 분배홈(148) 또는 리세스(152)와 중심 결합홈(162)과 단턱부(170)(도 19) 사이의 플러그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된 O-링 홈(166)에 안착된다.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되는 제2 작동 모드에서, O-링(126)은 용기 부품(50)의 내면(58)과 플러그 부품(130)의 외면(138) 사이의 밀봉을 효과적으로 형성하며 이로써 내부 공동(60) 특히 혼합 채널(66) 그리고 상호연결 홈(76)과 유체 연통하는 분배 홈(148)을 밀봉하도록 작용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장치(40)에 유입하고 내부 공동(60), 특히 분배 홈(148) 내로 유입하는 제2 성분은, 이어서 상호연결홈(148)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하고 어느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유출 복귀하거나 대체로 그의 유입 단부를 제외한 어느 부위를 통해 혼합 채널(66)로 유동하지 않으며, 이로써 재차 제1 성분을 강제로 복원하거나 또는 혼합 채널(66)에서 제1 및 제2 성분들을 강제 혼합한다. 이와 관련해서, 분배홈(148)이 O-링(126)에 의하여 “위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되면, 이어서 홈(148)은 “아래에서” 플러그 안착부(154)와 용기 안착부(84)(도 19) 사이의 결합을 통해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이들 면들 사이의 효과적인 결합은 꼭-맞춤 배치이다. 특히, 두 개의 면들 또는 안착부(84, 154)들은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히 조립할 때 실질적으로 인접 접촉하도록 구성된 다소 테이퍼되는 환형 벽들로 도시된다. 여기 제시된 많은 대안적인 예로서의 구체예들을 더욱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을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과 상호 작용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을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한번 더, 용기와 플러그 부품들 사이의 결합 면들은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벽 또는 굽은 벽일 수 있다. 도 21의 제2 작동 모드에 장치(40)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20의 제1 작동 모드로부터 도 21의 제2 작동 모드로의 장치(40)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추가로 인식되는 것은, 용기 부품(50)의 가요성 다리(102), 또는 보다 정확하게 위에 결합 립(92)들이 형성되는 결합 부품(100)들에 의하여, 립(92)들은 굽어지거나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결합 홈(162)으로부터 외부로 진행하고 플러그 부품(130)의 중심 단부(132)에 인접하거나 위로 탄성 복귀하여 배치되기 전에 절개부(188)를 횡단한다. 한번 더,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용 플라스틱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 또는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장치(40)의 필수적인 가요성과 기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다음에 도 22-24를 참조하면, 도 1-6의 구체예와 유사한 추가적인 대안적인 예로서의 구체예가 도시되는데, 주요 차이는 결합 벽(90)의 반경 방향 외측 한 지점으로부터 중심으로 연장하도록 둘레 벽(114)이 용기 부품(50) 위에 형성된다. 이어서 둘레 벽(114)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부품들이 조립될 때, 플러그 플랜지(156)는 이어서 결합 벽(90)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므로,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때, 플러그 플랜지(156)와 상호 작용하는 둘레 벽(114)이 결합 벽(90), 특히 결합 립(92)을 갖는 가요성 다리(102)들을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작용하고, 이로써 두 부품들의 경합을 더욱 유지하거나 부품들의 다른 부적절한 또는 의도하지 않은 분리 또는 변형 또는 제2 작동 모드에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조립된 장치(40)의 개봉을 방지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용기 플랜지(86)에 맞닿도록 또는 결합 벽(90)을 적어도 실질적으로 덮거나 또는 에워싸도록 플러그 플랜지(156)로부터 말단으로 연장하는, 반경 방향 스커트(도시되지 않음)과 같은,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의 조립을 확보하거나 또는 변형-방지를 위한 많은 다른 구조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용기 부품(50)은 재차 일반적으로 본체를 형성하는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 벽(90)을 포함한다. 예시된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와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상호연결 홈(76)을 추가로 포함한다. 바람직하게, 홈(76)의 다른 배향이 또한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지만, 상호연결 홈(76)은 용기 부품 기저벽(56)을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된다. 상호연결 홈(76)은,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할 때 플러그 유출 포트(146)(도 23 및 도 24)와 유체 연통하기에 충분한 길이이며, 따라서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에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일반적으로 상호연결 홈(76)과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분배 홈(78)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분배 홈(78)은 기저벽(56)의 내면(58)에 위로-개방하는 계단부(80)으로 구성되므로, 기저벽(56)은 유단 내부 보어를 가진다.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은 중심으로 연장하는 결합 벽(90)을 너머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용기 플랜지(86)에서 중심에서 재라 종료하는 것으로 더욱 도시된다. 한번 더, 이어서 둘레 벽(140)이 결합 벽(90)으로부터 이격되고 반경 방향 외측으로 용기 플랜지(86)로부터 실질적으로 중심으로 연장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이와 같이 용기 플랜지(86)는 중심으로 연장하는 둘레 벽(114)에서 반경 방향으로 종료하고, 결합 벽(90)은 중간에 위치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다른 기하학적 구조가 가능하고 이러할 필요가 없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이해될 것이지만, 결합 및 둘레 벽(90, 114)들은 실질적으로 환형이며, 동심이고, 중심에서 인접한다. 결합 벽(90)은 재차 적어도 하나의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에서 중심에서 그 자체 종료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의 일부를 형성하는 두 개의 대향하는 가요성 다리(102)들 위에 형성된다. 추가로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서, 부품들이 조립된 때, 용기 부품(50)의 둘레 벽(114)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에서 인접하는 플러그 둘레를 형성하는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플러그 플랜지(156)에서 측벽(136)은 중심에서 종료한다. 아니면, 플러그 부품(130)은 도 1-6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와 아주 동일하다. 플러그 부품(130)과 그이 용기 부품(50)과의 결합에 대한 추가적인 세부 사항은 두 가지 예시적인 작동 모드들에서 장치(40)를 단면으로 도시하는 도 23과 도 24에 관한 이하의 논의로부터 이해된다.
도 23을 참조하면, 제1 작동 모드에서의 도 22의 장치(40)가 다시 도시되고, 여기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 위에 형성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도 22)의 가요성 다리(102) 위에 중심으로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위에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효과적으로 걸리고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위로 이격되며, 따라서 하나 이상의 용기 통풍구(98)들을 통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과,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촉진하도록 플러그와 용기 부품들 사이의 틈새를 제공한다. 결합 벽 둘레의 일부를 단지 포함하는 유지 립(158)과 다리(102)와 대응하는 립(92)들이 접촉함으로써, 통풍구들을 너머 통기하도록 플러그 부품(130)과 용기 부품(50) 사이에 실제로 틈새가 형성되는 것이 인식될 것이며; 그러나 결합 립(92)과 유지 립(158)들이 모두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경우들에서,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동안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을 통기시키는 유일한 수단을 효과적으로 하나 이상의 용기 통풍구(98)들이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와 같이, 다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동결 건조 공정이 처리될 수 있고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할 수 있거나 진공이 도입되거나 또는 처리될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이 필요한 다른 공정이 실행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이어서, 도 2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용기의 결합 립(92)은 플러그의 결합 홈(162)(도 23)에 결합하고 플러그는 혼합 채널(66) 위에 안착하거나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한다. 다시, 플러그 부품(130)이 이와 같이 제2 작동 모드로 장치(40)를 구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될 때, 플러그 단턱부(170)(도 23)는 O-링(126)에 대해 압착하여 밀봉하고 이로써 용기 통풍구(98)를 밀봉하도록 용기 플랜지(86)에 인접 배치되고 분배 홈(78)을 형성하거나 또는 완전히 제한하므로, 장치(40)에 진입하고 내부 공동(60), 특히 용기 부품(50)의 분배 홈(78)으로 진행하는 제2 성분은 이어서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어느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유출되어 복귀할 수 없으며, 이로써 다시 혼합 채널(66) 내에서의 제1 성분의 복원 또는 제1 및 제2 성분의 혼합을 강제한다. 이와 관련해서, 분배홈(78)이 O-링(126)에 의하여 “위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되면, 이어서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 외면과 용기 내면 사이의 결합을 통해 “아래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여기 제공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추가로 참고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과 상호작용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다시 이해될 것이다. 도 24의 제2 작동 모드에 장치(40)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23의 제1 작동 모드로부터 도 24의 제2 작동 모드로의 장치(40)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추가로 인식되는 것은, 용기 부품(50)의 가요성 다리(102), 또는 보다 정확하게 위에 결합 립(92)들이 형성되는 결합 부품(100)들에 의하여, 립(92)들은 굽어지거나 또는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하여 결합 홈(162)으로부터 외부로 진행하고 플러그 부품(130)의 유지 립(158) 위로 진행하고 이어서 플러그 결합 홈(162)(도 23) 내로 가압되거나 또는 안착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각 가요성 다리(102)는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하부 에지를 따라 결합벽(90)에 부착되므로,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플라스틱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이며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필수적인 가요성과 기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더욱이, 도시되고 잘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4 도시의 장치(24) 구조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효과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결합 립(92)이 보유립(158)을 중심으로 제거하고 결합 홈(162) 내에 안착하기까지, 각각의 결합 립(92)들과 유지 립(158)들의 결합 또는 대향하는 면들은 경사되어 효과적으로 경사면을 제공하며 용기 부품(50) 내에서 또는 이에 대해 플러그 부품(130)이 말단으로 진행함에 따라 결합 립은 반경 방향 외측으로 이동한다. 또한, 도 24로부터 잘 이해되는 바와 같이, 장치(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모드에 위치할 때, 용기 부품과 플러그 부품 사이의 대체적인 맞춤 고정을 위하여,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플랜지(156)는 이제 용기 부품(50)의 외측 둘레벽(114)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플러그 둘레를 형성한다. 외측 둘레벽(114)과 내측 결합 벽(90) 사이의 매우 중요한 공간 또는 분리가 도시되지만, 벽들 사이의 반경 방향 갭 또는 거리는 비교적 더 작으며, 이 경우, 플러그 플랜지(156)는 비례적으로 크기가 감소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결합 립(92)이 유지 립(158)을 지나 진행함에 따라, 다리(102)들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도록 결합 벽(90)과 둘레 벽(114) 사이의 공간이 충분히 형성되고, 이어서 장치는 적절히 작용할 것이다. 또는, 다리(102)들 및/또는 립(92)들은 압력 하에 변형할 수 있는 탄성 재료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로써 둘레 벽(114)과 결합 벽(90) 사이의 더 작은 틈새를 허용할 수 있다. 다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도시되고 설명된 이상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이 가능하므로, 예시된 구체예들은 예시적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닌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25-2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대안적인 예로서의 용액 전달 장치가 도시된다. 기본적으로, 여기서 가요성 다리(102)들은 여기의 다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용기 부품(50) 위보다 플러그 부품(130)에 형성된다. 따라서,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유지 립(158)에서 중심으로 종료하는 다리(102)들은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에 형성된다. 다시, 실질적으로 세로방향의 노치(184)들이 측벽(136)의 일부로서 각각의 다리(102)를 형성한다. 각 다리(182)의 중심 단부는 또한 측벽(136)이 없으므로, 다리(182)들은 단지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거나 규정하는 하부 또는 말단 조인트(186)를 따라 측벽(136)에 연결될 뿐이므로, 다리(182)들은 사용시 구부러질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이하게 셋, 넷, 또는 그 이상의 다리(182), 또는 단지 하나의 다리가 존재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지만, 측벽(136)은 두 개의 실질적으로 치우친 가요성 다리(182)를 포함한다. 사용 동안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유지하기 위하여, 특히 도 27의 제2 작동 모드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용기 결합 립(92)이 용기 결합 벽(90) 위에 중심에서 형성되고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삽입된 때 가요성 다리(182) 위에 형성된 플러그 유지 립(158)들이 그 아래 안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결합 립(92)은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실질적으로 연속이며 유지 립(158)은 원주상에서 단지 각각의 가요성 다리(182)만이 연관되거나 또는 불연속이거나 또는 다리마다 별개로 형성된다. 다른 예시적인 구체예들과 관련해서 여기서 다른 것에서와 같이,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을 실질적으로 연속으로 형성함으로써, 용기 부품(50)에 대한 플러그 부품(130)의 배향에 불문하고, 두 개의 부품들이 결합될 수 있으며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연관된 내부 통로(144)를 통해 플러그 부품(130)으로 도입된 소정의 유체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가 상호연결 홈(76)에, 그리고 혼합 채널(66)에 유체 연통하므로,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내면(58)에 계단부(80)으로 형성된 실질적으로 연속인 분배홈(78)을 통해,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어서 플러그 플랜지(156)는 또한 측벽(13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연장하도록 구성되므로 부품들이 조립될 때 플러그 플랜지(156)는 용기 벽(90)에 결합되어 효과적으로 덮는다. 플러그 부품(130)을 용기 부품(50) 내에 조립하는 것을 보장하고 변형-방지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많은 다른 구조들이 가능한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도 25에서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보다 플러그 부품(130) 또는 어느 하나의 부품에는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부(134) 내에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통풍구(178)가 형성되며, 이로써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통풍구(178)를 통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과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이 이루어진다. 도시된 바와 같은 구체예에서, 중심으로-향하는 O-링(96)이 용기 플랜지(86)에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통풍구(178)가 용기 O-링 홈(96)의 반경 방향 외측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말단부(134) 내에 형성되며, 이로써 도 2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그리고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은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조립된 제2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통풍구(178)를 통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과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이 이루어지고, O-링 홈(96)에 안착된 O-링(126)은 내부 공동(60)과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방지하도록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와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사이를 밀봉한다. 플러그의 말단부(134) 둘레로 소정 수의 플러그 통풍구(178)들이 형성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용기 부품(50)은 다시 일반적으로 본체를 구성하는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 벽(90)을 포함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은 다시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에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상호연결 홈(78)을 포함한다. 도 2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조립된 때, 상호연결 홈(78)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도 26 및 도 27)에 유체 연통하도록 충분한 길이를 가지며, 이로써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용기 부품(50)은 추가로 일반적으로 기저벽(56)의 내면(58)의 위로-개방된 계단부(80)으로 형성된 분배홈(78)을 포함하므로, 기저벽(56)은 단이 형성된 내부 보어를 가지며, 상호연결 홈(78)에 유체 연통하도록 형성된다. 용기 부품(50)의 기저벽(56)은 중심으로-연장하는 결합 벽(90)에서 반경 방향 외측으로 종료하는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하는 용기 플랜지(86)의 중심에서 종료하는 것으로 다시 도시되며, 자체적으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에서 중심에서 종료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다시 이하 추가로 설명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결합 립(158)에 무차별적으로 결합하여 다시 실질적으로 연속이다.
도 26을 참조하면, 제1 작동 모드의 도 25의 장치(40)가 다시 도시되며, 여기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구체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가요성 다리(182)에 형성된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58)은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 위에 중심에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 위에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효과적으로 걸리고 플러그 부품(130)의 단턱부(170)는 용기 부품(50)의 용기 플랜지(86) 위로 이격되며, 이로써 플러그 통풍구(178)들을 통한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 그리고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 연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플러그 및 용기 부품들 사이의 틈새를 제공한다. 결합 벽 둘레의 일부만을 포함하는 결합 립(92)과 다리(102) 및 대응하는 립(158)이 접하면, 통풍구 너머로 통기하도록 플러그 부품9130)과 용기 부품(50) 사이에 실제로 틈새가 형성되며; 그러나 결합 립(92)과 유지 립(158)이 모두 실질적으로 연속인 경우들에는, 하나 이상의 플러그 통풍구(178)들이, 예컨대, 액체 약물과 같은 제1 성분이 내부 공동(60), 특히 혼합 채널(66)에 충진되고, 이어서 동결 건조 공정이 실행될 때,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동안,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을 통기시키는 유일한 수단을 효과적으로 제공할 것임이 이해될 것이다. 여하튼, 이와 같이 도 26과 같은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이어서 장치는 동결 건조 처리될 것이며, 따라서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될 수 있거나 진공이 도입될 수 있으며 또는 처리될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이 필요한 다른 공정이 실행될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다시 인식될 것이다. 이어서, 도 27과 같이,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되므로 플러그 유지 립(158)은 용기 결합 립(92)에 결합하고 플러그는 혼합 채널(66) 위에 안착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그 에 인접 배치된다. 다시, 플러그 부품(130)이, 이와 같이 장치(40)를 제2 작동 모드로 구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50) 내에 안착될 때, 플러그 단턱부(170)(도 26)는 O-링(126)에 대해 압착하여 밀봉하도록 용기 플랜지(86)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이로써 플러그 통풍구(178)를 밀봉하여 분배홈(78)을 형성하거나 또는 완전히 한정하므로, 장치(40)에 유입하여 내부 공동(60), 특히 용기 부품(50)의 분배 홈(78)으로 진행하는 제2 성분은 이어서 단지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어떤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유출 복귀할 수 없으며, 이와 같이 재차 제1 성분의 복원 또는 혼합 채널(66) 내에서의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혼합을 강제한다. 이와 관련해서, 분배 홈(148)이 O-링(126)에 의하여 “위에서” 효과적으로 밀봉되면, 이어서 홈은 “아래에서”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러그 외면과 용기 내면 사이의 결합을 통해 효과적으로 밀봉된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여기 제공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과 상호작용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이 다시 인식될 것이다. 더욱이 도 27의 제2 작동 모드에 장치(40)를 배치하거나, 또는 도 26의 제1 작동 모드로부터 도 27의 제2 작동 모드로의 장치(40)를 이동시키는 것과 관련해서 추가로 인식되는 것은, 유지 립(158)들이 위에 형성되는, 플러그 부품(130)의 가요성 다리(102)의 결합 부품(100)들에 의하여, 립(158)들은 굽어지거나 또는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하여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 내부로 진행하고 이어서 도 27과 같은 제2 작동 모드에 장치(40)를 효과적으로 체결하기 위하여 결합 립(92) 아래 복귀 가압되어 안착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각각의 가요성 다리(102)는 다시 리빙 힌지로서 작용하도록 하부 에지 또는 죠인트(186)(도 25)를 따라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 내에 부착되거나 또는 그 내부로 통합되며, 이로써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플라스틱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이거나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필요한 가요성과 기능성이 확보된다. 또한, 도시될 수 있고 이해되는 바와 같이, 결합 립(92)과 유지 립(158)의 각각의 결합 또는 대향하는 표면들은 경사되어 효과적으로 경사면을 제공하며 유지 립(158)이 결합 립(92)을 말단으로 제거하고 그 아래 안착하기까지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서 또는 그에 대해 말단으로 진행함에 따라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되고 경사면을 따라 유지 립(158)은 이동한다. 도 27로부터 특히 또한 인식되는 바와 같이,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플랜지(156)는, 장치(40)가 도시된 제2 작동 모드에 있을 때, 플러그 및 용기 부품들 사이의 실질적으로 빈틈 없이 맞추어지도록 용기 결합벽(90)에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인접하는 둘레 벽을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다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도시되고 설명된 것 외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이 본 발명의 여러 관점들에 따라 가능하므로, 예시된 구체예들은 예시적이며 제한하려는 것이 아닌 것을 이해할 것이다.
이제 도 28-3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추가로 대안적인 예로서의 구체예가 도시된다. 임계적인 예로서, 편리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일반적으로는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양자는 모두 사용될 것이 이해되지만, 용기 유출 캡(200)(도 1, 7, 13, 22 및 25) 또는 플러그 유입 캡(220)(도 6 및 도 12)들이 도시되지 않는 것이 인식된다. 도 28의 분리 사시도를 참조하면, 도 13-21의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용기 부품(50)은 단턱부를 가지지 않으나 대신에 실질적으로 직선인 벽을 가진다. 여기서, 실제로, 용기 부품(50)의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벽(90)은 실질적으로 근접하거나 유닛이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구성되는 용기 본체는 하부 또는 말단부(54)로부터 개방된 상부 또는 중심 단부(52)까지 외측으로 다소 테이퍼되면서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도시된다. 한번 더, 용기 부품(50)은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크기의 내부 공동(60)을 형성하는 내면(58)을 가진다. 공동(60) 내에는 다시 길다란 혼합 채널(66)이 형성된다. 도 30 도시와 같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9130)을 조립할 때, 플러그 부품(130)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하는 리세스(152)로서 형성된 분배 홈(148)과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사이에서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상호연결 홈(76)이 또한 형성되며, 이로써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용기 부품(50)은 다른 대안적인 구체예에서와 같이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별개의 분배홈을 포함하지 않으며, 따라서 플러그 분배홈(148)만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상호연결 홈(76)을 유체 연통시키는 작용을 제공한다.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 측벽(136)의 외면(138)이 다시 분배홈(148)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되는 리세스(152)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분배 홈(148) 또는 플러그 리세스(152)에 교차하고 유체 연통하도록 측벽(136)에 위치된다. 다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특히 도 29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장치(40)의 동작 동안,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외측으로-개방된 보유 홈(164)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리세스(152)의 중심에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되며, 그에 대해서는 이하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합치하는 용기 부품(50)과 같이, 플러그 부품(130)은 또한 실질적으로 직선 벽이며, 하부 또는 말단(134)으로부터 상부 중심 단부(132)로 다소 외측으로 테이퍼된다. 플러그 부품(130)이 도 30의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안착될 때 특히 플러그 보유 홈(164)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형성되고 위치되는 용기 부품(50)의 내면(58)에는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보유립(118)이 형성된다.
사용시 다시 동결 건조 고정이 적용될 액체 약물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및 제2 작동 모드의 도 28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40)를 도시하는 도 29와 도 30을 참조하면, 장치(40)는 소정의 정해진 양의 액체의 제1 성분으로 공동(60) 또는 특히 혼합 채널(66)을 충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의 충진 머신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단계 전 또는 후에, 가장 자주는 후에, 장치가 동결 건조기에 배치되거나 또는 달리 처리될 때와 같이 장치(40)를 제1 작동 모드에 배치하도록, 플러그 부품(130)은 다시 이어서 여기 도 29의 용기 부품(50)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특히, 용기 부품(50)의 중심으로 개방된 상단(52)에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은, 도 29와 같이 보유 홈(164) 내에 립(92)이 안착하기까지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서 말단으로 진행하고 따라서 결합 립(92)이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 중심으로 이동됨에 따라, 용기 부품(50)의 림 또는 립(92) 자체에 의하거나 또는 양자를 반경 방향으로 굽힘으로써 일시적으로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도 28)의 외면(138)의 플러그 보유 홈(164) 내에 결합하거나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은 기본적으로 용기 부품(50) 내이 걸리므로 플러그 말단면(142)은 혼합 채널벽 상면(64)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과,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 연통을 촉진하기 위하여 플러그 및 용기 부품 사이에 틈새를 제공하며, 이것은 특히 플러그의 내부 유로(144)를 통해 이루어지며, 이 유로는 다시 교차(cross)-보어(196)가 플러그면(138)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를 형성하는 실질적으로 횡방향 교차-보어(196)에 의하여 교차되는 실질적으로 축방향의 또는 세로방향의 보어(194)에 의하여 형성되는 것으로 도시된다(도 28). 따라서, 이러한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제1 작동 모드의 장치(40)의 소정의 처리가 완료된 후까지 플러그 유입 캡(220)(도 6)을 장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면, 장치(40)의 그러한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필요에 따라 동결 건조 공정이 실행될 수 있으며,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할 수 있거나 진공이 도입될 수 있으며 또는 처리될 제1 성분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이 필요한 어느 다른 공정이 적용될 것이다. 이어서, 도 30과 같이, 예시적인 동결 건조 공정 또는 다른 그러한 공정이 완료될 때,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재차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 내로 플러그 부품(130)을 완전히 밀면, 용기의 결합 립(92)이 플러그 부품(130)의 중심 단부(132)에 결합하고(도 28), 플러그 말단면(142)이 이와 같이 혼합 채널(66)(도 29)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 접촉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배치되므로, 상호연결 홈(76)의 근처에서 유입 단부를 제외하고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색시킨다. 특히,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부품(130)의 중심 단부(132)는 중심으로-향하는 플러그 중심면(176)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부품(130)이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된 때 결합 립(92)은 플러그 중심면(176)에 대해 안착하도록 구성된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립 말단면(94)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다시 한번, 여러 예시적인 구체예들의 후-동결 건조에서 제2 작동 모드로 구성된 장치(40)에 대해 더 설명하면, 임상적인 용도 및 따라서 장치(40) 내의 다양한 성분들은 모두 이하에서, 특히 도 40-42에 관련해서 추가로 모두 논의되며, 그러나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플러그 부품(130)의 관련 유로(144)를 통해 장치(40) 내로 제2 성분을 유동시키면, 한번 더, 별개의 혼합, 흔듦, 프라이밍, 또는 다른 복원 단계 없이,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그러한 제2 성분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서 유출되고, 플러그 분배홈(148) 내로 충진 또는 유동하고, 그리고 이어서 길이방향 상호연결 홈(76)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진행한다.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내면(58)과 플러그 외면(138)의 각각의 테이퍼되는 표면들이 합치하는 부품들 사이에서 결합하여 효과적인 꼭 맞춤 밀봉을 형성하도록 작용하고, 이로써 다시 상호연결 홈(76)을 통해 유체 연통하고 있는 내부 공동(60)과 특히 혼합 채널(66) 및 분배 홈(148)을 다시 밀봉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플러그 보유 홈(164) 내의 용기 유지 립(118)의 결합에 의하여 부품들이 제 위치에 고정되고 면-대-면 계면 사이에 추가적으로 밀봉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장치(40)에 유입하여 내부 공동(60), 특히 분배홈(148)으로 진행하는 제2 성분은, 이어서 상호연결 홈(76)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어느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복귀 유동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그의 유입 단부에서가 아닌 어느 부위를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없으며, 이로써 다시 제1 성분의 복원 또는 혼합 채널 내에서의 그의 길이를 따라 제1 및 제2 성분들의 혼합을 강제한다. 여기 제공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추가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들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 및 상호 작동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함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예컨대, 한번 더, 용기와 플러그 부품들의 결합면들은 실질적으로 직선-벽들 또는 굽은-벽들일 수 있다. 한번 더,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재료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 또는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장치(40)의 필수적인 가요성 및 기능성이 확보될 수 있다.
도 31-3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40)의 여전히 추가적인 대안적인 구체예가 도시되며, 여기서 도 28-30의 구체예에 다소 유사하다. 편리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용기 유출 캡(220)(도 1, 7, 13, 22 및 25)이나 플러그 유입 캡(220)(도 6 및 도 12)들은 도시되지 않는다. 여기서, 다시 도 31의 분리 사시도를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은 단턱부를 가지지 않고 대신에 실질적으로 직선-벽인 것이 보여질 수 있으며, 용기 부품(50)의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 벽(90)은 실질적으로 인접하거나 단위를 구성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구성되는 용기 본체는 하부 또는 말단부(54)로부터 개방된 상부 또는 중심 단부(52)까지 다소 외측으로 테이퍼를 가지는 것으로 도시되며, 여기서 중심의 결합 벽(90)은 각각의 반경 방향-내측으로 연장하는 결합 립(92)에서의 중심에서 종료하는 실질적으로 중심으로-연장하는 다리(102)를 형성하도록 파상으로 형성된다. 한번 더, 용기 부품(50)은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크기의 내부 공동(60)을 형성하는 내면(58)을 가진다. 공동(60) 내에는 다시 길다란 혼합 채널(66)이 형성된다. 도 33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조립시, 플러그 부품(130)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하는 리세스(152)로서 형성된 분배 홈(148)과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도 32 및 33) 사이에 유체 연통하도록 기저벽(56)의 내면(58)에 실질적으로 길이방향의 상호연결 홈(76)이 다시 형성되며, 이로써 혼합 채널(66)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간접 유로를 제공한다. 여기서, 용기 부품(50)은 다시 다른 대안적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기저벽(56)의 내면(58)에 형성된 별개의 분배홈을 포함하지 않고, 따라서 단지 플러그 부품(130)만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상호연결 홈(76)을 유체 연통시키는 작용을 제공한다.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 측벽(136)의 외면(138)은 다시 분배 홈(148)을 형성하는 반경 방향-외측으로 개방하는 리세스(152)를 가지도록 형성되고,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분배홈(148) 또는 플러그 리세스(152)와 교차하고 유체 연통하도록 측벽(136)에 위치된다. 도 28-30의 구체예들을 포함하는 다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외측으로-개방되는 보유 홈(164)이 장치(40)의 작동, 특히 도 32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의 결합 립(92)에 의하여 선택적으로 결합되도록 플러그 유출 포트(146) 및 리세스(152)의 중심의 플러그 부품(130)의 측벽(136)의 외면(138)에 형성되며, 그에 대해 이하 설명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결합하는 용기 부품(50)과 같이, 플러그 부품(130)은 또힌 실질적으로 직선-벽이며, 하부 또는 말단부(134)로부터 상부 또는 중심 단부(132)까지 다소 외측으로 테이퍼된다. 특히, 도 33의 제2 작동 모드에서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완전히 안착된 때,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118)은 플러그 보유 홈(164)과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구성되거나, 크기가 형성되고 위치된 상호연결 홈(76)과 혼합 채널(66)의 중심의 용기 부품(50)의 내면(58)에 다시 형성된다.
제1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도 31의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40)를 도시하는 도 32와 도 33을 이어서 참조하면, 동결 건조 공정이 적용될 액체 약물의 예시적인 예에서 다시 사용할 때, 장치(40)는 소정의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으로 공도(60) 특히 혼합 채널(66)을 충진하기 위하여 적절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충진 머신에 배치될 수 있다. 해당 단계 전 또는 후에, 동결 건조기에 배치되거나 또는 달리 처리될 경우 장치(40)를 제1 작동 모드에 배치하기 위하여 플러그 부품(130)은 이어서 다시 용기 부품(50) 내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도 32와 같이, 립(92)들이 보유 홈(164) 내에 안착하기까지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에서 말단으로 진행하고 이와 같이 결합 립(92)은 플러그 부품(130)에 대해 중심으로 이동됨에 따라, 특히, 용기 부품(50)의 중심 개방된 상단(52)에, 그리고 특히 상향으로-연장하는 다리(102)(도 31)의 중심 단부에 형성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이 반경 방향 외측으로 굽어지는 다리(102) 또는 립(92)들 또는 양자에 의하여 플러그 부품(130)의 측면(136)(도 31)들의 외면(138)에 형성된 플러그 보유 홈(164) 내에 일시적으로 결합하거나 또는 안착한다. 이 위치에서, 플러그 부품(130)은 기본적으로 용기 부품(50) 내에 걸리므로, 플러그 말단면(142)은 혼합 채널의 벽상면(64)으로부터 이격되고,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그리고 특히 길다란 혼합 채널(66)과 주위 대기 사이의 여기서 특히 플러그 내부 유로(144)를 통한 유체 연통을 촉진하도록 플러그 및 용기 부품들 사이에 틈새를 제공한다. 그러나, 다리(102)들 사이와 같이 용기 부품(50)의 파상 중심 단부에 기인하여 부품들 사이에 틈새와 통기가 제공됨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의 장치(40)의 처리가 종료된 후까지 플러그 유입 캡(220)(도 6)을 장착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지만, 이것은, 다리(102) 둘레의 통기에 기인하거나, 또는 연속이기보다 불연속인 결합 립(92)의 측면에서 기본적으로 요구되지 않는다.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 또는 위치에서, 장치는 이어서 필요에 따라 동결 건조 공정이 실행될 수 있고 이로써 용기 부품(50)의 내부는 통기할 수 있거나 또는 진공이 도입될 수 있으며 또는 처리된 제1 성분 액체에 대해 유체 흐름이 필요한 다른 공정이 실행될 수 있음이 이 기술분야의 통상의 전문가에 의하여 인식될 것이다. 이어서, 도 33과 같이, 예시적인 동결 건조 공정 또는 다른 그러한 공정이 종료하면, 플러그 부품(130)은 용기 부품(50) 내로 완전히 삽입될 수 있으며, 이는 다시 자동, 반자동, 또는 수동 공정을 통해 달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용기 부품(50) 내로 완전히 플러그 부품(130)을 밀면, 따라서, 여기서 용기의 결합 립(92)은 플러그 부품(130)의 중심 단부(132)에 결합하고(도 31), 플러그 말단면(134)은 혼합 채널(66)의 벽(62)의 상면(64)에 결합하거나 또는 실질적으로 인접하여 접촉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며, 이로써 다시 상호연결 홈(76)의 근처에서 유입 단부를 제외하고 혼합 채널(66)을 효과적으로 폐쇄할 수 있는 것이다. 한번 더, 유입 커넥터 포트(146)와 플러그 부품(130)의 연관된 유로(144)를 통해 장치(40)로 제2 성분을 유동시키면, 별도의 혼합, 흔듦, 프라이밍, 또는 다른 복원 단계 없이, 혼합 채널(66) 내에 수용된 이전에 동결 건조된 제1 성분을 복원하기 위하여 제2 성분은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부터 배출되고, 플러그 분배홈(148)을 충진하거나 그 내부로 유동하고, 그리고 이어서 길이방향 상호연결 홈(76)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진행할 수 있다. 한번 더,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 삽입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내면(58)과 플러그 외면(138)의 각각의 테이퍼되는 표면들은 결합하는 부품들 사이에 결합되어 효과적인 맞춤-고정 밀봉을 형성하도록 작용하며, 이로써 상호연결 홈(78)을 통해 유체 연통하는 내부 공동(60)과 특히 혼합 채널(66) 그리고 분배 홈(148)을 재차 밀봉할 수 있음이 또한 이해될 것이다. 도 28-30의 구체예에서와 같이, 플러그 보유 홈(164) 내에서의 용기 유지 립(118)의 결합에 의하여, 부품들은 제 위치에 고정되고 면-대-면 계면을 더욱 밀봉하도록 작용한다. 따라서, 장치(40)에 유입하고 내부 공동(6), 그리고 특히 분배 홈(76)으로 진행하는 제2 성분은 단지 상호연결 홈(78)을 통해 혼합 채널(66) 내로 유동할 수 있으며, 다른 경로를 통해 장치(40)로부터 유출하여 복귀하거나 실질적으로 유입 단부에서가 아닌 혼합 채널(66)의 어느 것으로도 유동할 수 없으며, 이로써 다시 제1 성분의 복원 또는 길이를 따라 혼합 채널(66) 내에서 제1 성분과 제2 성분의 혼합을 강제할 수 있다. 여기 제시된 많은 대안적인 구체예들을 추가로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부품의 다양한 구조들과 상호작동성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한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다시 이해될 것이다. 한번 더, 충분한 탄성을 갖는 적절한 의료 등급의 재료들의 선택과 함께 기하학적이거나 또는 기계적인 디자인에 의하여 장치(40)는 불가피한 기능성을 확보한다.
다음에 도 34-3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또 다른 대안적인 예로서의 구체예가 도시된다. 임계적인 사항으로서,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일반적으로 모두 사용되는 것이 이해될 것이지만, 한번 다시, 편리성과 명확성을 위하여, 용기 유출 캡(200)(도 1, 7, 13, 22, 및 25) 및 플러그 유입 캡(220)(도 6 및 도 12)이 도시되지 않는다. 우선 도 34의 분리 사시도를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은 다시 닥턱부를 가지지 않으나 대신에 실질적으로 직선-벽이며, 용기 부품(50)의 하부 기저벽(56)과 상부 결합 벽(90)은 실질적으로 인접하거나 유닛이며 바닥 또는 말단부(540로부터 개방 상부 또는 중심 단부(52)까지 다소 외측의 테이퍼를 가지도록 형성된다. 유사하게, 플러그 부품(130)은 또한 다시 실질적으로 직선-벽으로 형성되며, 하부 또는 말단부(134)로부터 상부 또는 중심 단부(132)까지의 다소 외측으로의 테이퍼는 실질적으로 합치하는 용기 부품(50)에 대응한다. 플러그 부품(130)이 여기 도 39 도시의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에서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안착된 때 용기 부품(50)에는 또한 다시 중심으로-향하는 플러그 중심면(176) 위로 스냅되거나 또는 결합하도록 특히 구성된 중심 개방단부(52)에서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92)이 형성된다. 그러나 여기서, 이제 도 35와 36의 용기 부품(50)과 플러그 부품(130)의 확대 사시도를 각각 참조하면, 용기 부품(50)은 그 내면(58)을 실질적으로 따라 또는 인접해서 실질적으로 중심으로-향하는 경사된 용기 식별면(120)을 가지도록 형성된다. 플러그 외면(138) 위에 또는 인접해서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경사된 플러그 식별면(190)이 형성된다. 각각의 식별면(120, 190)들은 각각의 부품들의 결합, 그리고 특히 회전상 또는 각도상 위치들을 표시하거나 잠그도록 작용하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따라서, 플러그 부품(130)이 도 39 도시된 바와 같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삽입된 때, 각각의 식별 면(120, 190)의 결합은 소정의 또는 밀-선택된 위치에서 용기 부품(50)에 대해 플러그 부품9130)을 향하도록 작용하며, 이로써 특히 다른 구체예들에서와 같이 분배홈이나 상호연결 홈의 필요 없이,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도 35)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플러그 유출 포트(146)를 배치시킨다. 그러나, 도시된 바와 같이 플러그 외면(138)과 플러그 말단면(142)의 상호 교차부에서보다 플러그 말단부(134)의 중심으로 위치되는 바와 같이, 플러그 유출 포트(146)의 높이에 따라, 실질적으로 유입 단부(70)로부터 시작해서,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부터 내부 유로(144)를 통해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서 장치(40)로 도입된 제2 성분을 마침내 혼합 채널(66)로 인도하도록 상호연결 홈이 여전히 용기 부품(50)의 내면(58) 또는 플러그 부품(130)의 외면(138)에 또는 양자에 제공될 수 있어서 것이 추가로 이해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구조 및 작동에서 다양한 다른 식별 표면 또는 수단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본 발명의 여러 측면들에 따라 사용될 수 있으므로, 예시적인 식별면(120, 190)들은 예시적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추가적인 비제한적인 예에 의하여, 식별면들은 실질적으로 헬리컬, 대향하는 경사면들, 나사형, 또는 이제 공지되거나 또는 추후 개발될 다른 기계적인 커플링 장치들일 수 있다.
이제 특히 도 37-39를 참조하면, 다양한 작동 모드들의 도 34-36에서와 같은 장치(40)의 측 단면도들이 도시된다. 우선, 도 37에서 실질적으로 중심으로-향하는 램프식 또는 경사된 용기 식별면(120)을 구비하여 구성된 용기 부품(50)과 대응하는 실질적으로 말단으로-향하는 램프식 또는 경사된 플러그 식별면(190)을 구비하여 구성된 플러그 부품(130)을 다시 한번 도시하는 분리도가 제공된다. 한번 더, 용기 부품(50)은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형성된 크기의 내부 공동(60)을 형성하는 내면(58)(도 35)을 가진다. 공동(60) 내에는 다시 길다란 혼합 채널(66)이 형성된다. 다시 용기 부품(50)의 내면에는 상호연결 홈이 형성되지 않고, 플러그 부품(130) 또는 용기 부품(50)에는 분배홈이 형성되지 않는다. 오히려, 도 39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이 조립될 때, 각각의 식별면(120, 190)들은 실질적으로 인접하는 관계로 배치되고,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플러그 유출 포트(146)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사이의 직접 유로를 제공하도록 혼합 채널(66)의 유입 단부(70)(도 35)에 실질적으로 인접해서 위치된다. 또한,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유출 포트(146)는 플러그 식별면(190)의 최말단 부분에 실질적으로 인접해서 위치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유입 커넥터 포트(192)로부터 플러그 유출 포트(146)로의 플러그 부품(130)을 통한 내부 유로(144)가 플러그 유출 포트(146)에서 종료하는 공칭 횡방향 보어(196)로 변화되거나 굽어지는 축방향 주요 보어(194)에 의하여 형성된다. 다시,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플러그 부품(130)을 관통하는 유로의 다양한 다른 구조들과 플러그 유출 포트(146)의 위치들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가능하다.
이제 도 40과 도 41 및 사용시의 본 발명의 여러 관점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40)의 예시적인 예들의 논의를 참조하면, 도 40에는 하나의 예시적인 사용 모드의 도 1-6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보이는 그러한 장치(40)가 도시된다. 특히,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캐뉼라(210)를 결합시킬 수 있도록 유출 캡(200)(도 6)은 제거된다. 이 기술분야에서 알려지고 사용된 방식으로, 캐뉼라 루어 커넥터(212)는 용기 커넥터 포트(124)의 대응하는 루어 커넥터와 분리가능하게 걀합하도록 제공되므로, 장치(40)는 이와 같이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은 장치(40) 내에 수용된 제1 성분의 주입에 의하여 투약되도록 구성된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캐뉼라(210)는 대신에 용기 부품(50)과, 특히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유출 캡(200)(도 6)은 사용되지 않을 때 캐뉼라(210)를 내장하거나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형성되며 수용하기에 충분한 길이일 수 있다. 예시적인 면에서, 한번 더, 제1 성분은 장치(40)의 혼합 채널(66)(도 6) 내에 특히 수용된 분말 형태의 동결 건조 약물이다. 제1 성분은 액체로서 시작할 수 있으며 이어서 여기 설명된 바와 같이 장치 내에서 동결 건조될 수 있는 것이 인식되고 약물이 이미 분말 형태로 존재하고 복원을 위하여 준비된 형태로 용기 부품(50) 내에 단순히 부가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약물은 주입 또는 투약 전에 복원되어야 하고,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편리하고 효과적으로 이는 별개의 혼합, 교반, 복원 또는 프라이밍 단계 없이 가능하다. 계속해서 도 40을 참조하면, 플러그 유입 캡(220)(도 6)은 플러그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서 제거되고 주사기(230)가 거기에 연결된다. 특히, 주사기(230)는 그 말단부에 주사기 루어 커넥터 (236)가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이어서 주사기 몸통(232)과 장치(40) 내부 사이에서 플러그 부품(130) 내에 형성되고 여기 설명된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및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유체교환하는 내부 유로(144)(도 6)을 통해 유체 연통하도록 대응하는 루어 커넥터로서 구성되는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분리가능하게 결합된다. 대안적인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주사기(230) 또는 다른 그러한 저장고는 플러그 부품(130)과, 특히 유입 커넥터 포트(192)와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 않았지만, 주사기(230)는 특정 양의 희석제를 수용하므로, 장치(4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30)에 연결될 때, 주사기 몸통(232) 내에서 플런저(234)를 말단으로 진행하면 주사기(230) 내의 희석제 또는 다른 유체를 용액 전달 장치(40)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도 6) 내로 유출하여 플러그 부품(130)을 통해 유동하여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 내로 진행하고, 이와 같이 신속하게 동결 건조된 약물을 복원하며 이는 부착된 캐뉼라(210)를 통해 장치(40)에서 배출된다. 제2 성분, 여기서 희석제의 유입 단부로부터 길다란 혼합 챔버의 유출 단부로 전달되는 제1 성분인 동결 건조된 약물의 혼합에 의하여 구배를 너머 성분들을 강제로 혼합하고 복원하며, 이로써 전달 용액의 초기 흐름이 전달 용액의 후기 흐름보다 더 높은 약물 농도를 가지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로부터 유동함에 따라 약물 농도 구배를 가지도록 형성되며, 이로써 혼합 및 전달이 동일한 단계에서 발생하고 별개의 복원 단계가 필요하지 않는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하여 이해될 것이다. 특별한 예들에서, 장치(40) 내로 희석제를 효과적으로 주입하여 신속하게 동결 건조된 약물을 복원하도록 주사기 플런저(234)를 비교적 신속하게 진행시키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캐뉼라(210) 자체는 약물을 직접 피하주사하거나 또는 정맥 주사하도록 전달하기 위하여 주입 부위(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되거나 다른 경구외적인 전달을 위하여 I.V. 라인 커넥터 또는 포트(도시되지 않음) 내에 삽입될 수 있음이 더욱 이해될 것이다. 어느 하나의 또는 소정의 그러한 경우, 캐뉼라(210)는 주사기 플런저(234)를 진행하기 전에 소망하는 대로 위치될 것이고 약물의 복원과 전달을 시작하였을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주사기(230)에 의하여 전달된 희석제와 같은 제2 성분의 전달된 용적, 또는 주사기 또는 저장고 용적은, 정해진 양의 제1 성분, 여기서 용기 부품(50)의 혼합 채널(66)(도 6) 내에 수용된 분말로서 동결 건조된 액체 약물의 양과 실질적으로 같다.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제2 성분의 전달된 용적 또는 주사기 또는 저장고 용적은, 두 배와 같이, 제1 성분의 정해진 양보다 더 크다.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라 복원되거나 혼합될 수 있는 제1 및 제2 성분들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다시, 예시된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은 실질적으로 분말 형태이고, 다시 동결 건조된 약물이거나 또는 예컨대, 활성 동결 건조된 분말이며, 제2 성분은 염수 용액 또는 주사용 살균수("WFI"), 또는 활성 희석제 또는 예컨대, 제1 성분과 반응하는 성분과 같은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이다. 희석제는 활성이고, 제1 성분은 또한 비활성 분말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들 및 예들에서, 제1 및 제2 성분들은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이거나, 또는 모두 약물(drug)이며, 약물이며 화학품이거나 또는 모두 화학품이거나, 또는 약물이며 매트릭스이거나, 또는 약물이며 알부민이거나, 또는 약물이며 항체 단편이거나, 또는 마커이며 항체 단편이거나, 또는 약물이며 운반체이거나, 또는 약물이며 표적 분자이거나, 또는 진단약 및 화학품이거나, 또는 그의 어느 다른 조합이거나, 또는 이제 알려지거나 추후 개발될 어떤 목적을 위하여 또는 어느 방식으로 그러한 다른 성분들을 사용하는 것일 수 있다. 화학품이 성분으로서 사용되면, 일 구체예에서, 화학품은 전달 용액의 반감기를 연장한다. 추가의 예시적인 예에서, 제1 및 제2 성분들의 사전-혼합은 바람직하지 않으며, 또는 불안정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pH를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거나, 또는 5분, 30분, 1시간, 또는 1일을 포함하나 제한되지 않는 특수한 저장기간을 넘는 불안정한 저장기간을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거나, 또는 불안정하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정제 특성들을 갖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거나, 또는 증가된 덩어리를 발생하거나, 또는 증가된 결정을 유발하거나, 또는 실온에서 불안정하거나, 또는 규제 당국에 의하여 지원되지 않거나, 또는 바라지 않거나 너무 이른 화학 반응을 유발하거나, 또는 그들의 어느 조합을 발생하거나 또는 아니면 바람직하지 않다. 다른 측면들에서, 용도는 추가로 제한된 용해도 또는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에 담긴 제1 성분으로서 선택된 느린 용해 정제를 가지는 중요한 부수적인 효과를 갖는 약물에 대한 것이다. 여전히 다른 예시적인 측면들에서, 용도는 비-주사가능한 의약 치료에 대한 것으로, 이로써 장치(40)는 예컨대, 국부적인 용도, 코를 통한 전달, 또는 흡기와 같은 디스펜서로서 작용한다. 에피네피린, 항히스타민제, 항독제, 해독제(antivenom), 모핀, 날록손(naloxone), 글루코제, 아스피린, 및 아드레날린과 같은 약물 및 조성물의 예측된 처방이 도 42 및 도 43과 관련해서 이하 보다 상세하게 개시되고 설명되는 바와 같은 주사기(240)의 현장 사용을 요청하는 비상 상황으로서 예측되며, 그러한 약물과 조성물 및 많은 다른 것들이 도 40에 도시된 설정을 채용하는 주사 또는 다른 그러한 구조에 의하여 더욱 전통적으로 투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보다 일반적으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장치(40)의 용도는, 도 40에서와 같이 단독으로, 또는 도 41에서와 같이 전체로, 또는 도 42와 43에서와 같은 주사기(240)에 통합된 채로, 알레르기 반응의 치료로서, 유독 물질에 대한 노출의 치료로서, 신경 독성 물질에의 노출 치료로서, 뱀독 치료, 통증 관리, 아편 유사제의 남용 치료, 심장 발작의 치료, 및 당시의 최선의 의료 관행에 따른 임상적으로 요청되는 다른 그러한 상황들의 치료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포함하는 상황들에 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40)의 용도는 시약들로 사용되는 작은 용적의 동결 건조된 화학품, 실험 진단약, 및 제조 공정들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포함하는, 임상 또는 의약용을 너머 연장할 수 있다. 그러한 소정의 측면에서, 사용을 위한 다른 예시적인 지표는 제한되는 것이 아닌, 하나의 구성 성분의 바라지 않은 물질의 제거, 전달 용액, 또는 바라지 않는 물질을 포획하기 위하여 장치(40)를 통과시킨 샘플을 포함하며, 바라지 않는 물질은 바라지 않는 화학품, 오염 물질, 및 불순물로 구성되는 그룹에서 선택되며, 제거는 화학적인 포획, 화학적인 변형, 및/또는 여과와 같은 기계적인 수단에 의하여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하나의 예시적인 측면에서, 장치(40)는 어피너티(affinity) 컬럼 또는 어피너티 용기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어피너티 용기의 용적, 또는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의 유효 범위는 0.1 cc 내지 20.0 cc 이다. 그러한 취지에서, 장치(40)의 용도는 추가로 바라지 않는 물질의 제거 후의 전달 용액의 비경구적 투여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용도에 대해 도 1-39를 참조하여 보다 일반적으로 설명하면, 본 명세서로부터 이해될 것이지만, 이하의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여러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40)의 사용 방법이 개시되며, 이는: (a)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에 정해진 양의 제1 성분을 충진하고; (b) 플러그 말단면(142)이 제1 성분으로부터 이격되도록, 장치(40)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배치하며; (c) 제1 작동 모드에서 장치(40)에 의하여 제1 성분에 작용하며; (d) 플러그 부품(130)이 용기 부품(50) 내에 완전히 안착되고 플러그 말단면(142)이 제1 성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도록 장치(40)의 제2 작동 모드로 플러그 부품(130)을 이동시키며; 및 (e) 제1 성분에 접촉시키기 위하여 플러그 부품(130)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144)를 통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로 제2 성분을 유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며, 이로써 별개의 혼합, 흔듬, 복원, 또는 프라이밍 단계의 필요 없이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제1 및 제2 성분들이 충분히 혼합된다. 일 구체예에서, 단계(a)는 약병-충진 조립 라인 공정을 통해 달성된다. 이와 관련해서, 충진 단계(a) 동안 용기 부품(50)을 실질적으로 직립 상태로 유지하도록 작용하는 용기 유출 캡(200)을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92) 위에 분리 가능하게 장착하는 것을 추가적인 단계가 포함할 수 있다. 제1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50)에 플러그 부품(130)을 배치하는 단계(b)에 의하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이 주위 대기에 유체 연통하기 위한 통풍구가 형성될 수 있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작동 모드에서 장치(40)의 제1 성분에 작용하는 단계(C)는 장치(40)를 동결 건조 처리하는 것을 포함한다. 이제 알려지거나 추후 개발될 어느 다른 공정이 대신해서 사용될 수 있으며, 이들 공정은 분무-건조, 분무-동결 건조, 대량 결정화, 진공 건조, 및 발포 건조, 또는 그 조합으로 제한되지 않으나 이들을 포함하여 사용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플러그 부품(130)을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d)는 혼합 채널(66)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에 장착된 길다란 채널 벽(62)의 벽 상면(64)에 플러그 말단면(142)을 인접시키는 것을 포함한다. 그러한 이동 및 결합 단계는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스냅 배치하고,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용접하거나, 또는 용기 부품(50) 내에 플러그 부품(130)을 접합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으며, 그리고 추가로 부품들의 결합면들을 내부적으로 배치하거나, 보다 구체적으로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결합면들이 위치된 용기 부품(50)의 결합 벽(90) 둘레에 둘레 벽(114)을 배치하는 것에 의하여 장치(40)의 변형-방지하기 위한 소정 형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도 40의 예시적인 구체예의 제2 성분을 다시 유동시키는 것에 대한 단계(e)는, 다시 제2 성분을 포함하는 주사기(230)를 플러그 부품(130)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연결하고 내부 유로(144)를 통해 용기 부품(50)의 내부 공동(60) 내로 제2 성분을 압송하기 위하여 주사기 플런저(234)를 활성화하는 것을 포함하며, 주사기(230)나 저장고는 다시 플러그 부품(130)으로부터 분리가능하거나 또는 일체일 수 있다. 또 다른 구체예에서, 제2 성분은 플러그 부품(130)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연결된 I. V. 라인을 통해 전달될 수 있다. 다른 용도들은, 장치(40)의 물리적 크기를 증가시키거나 및/또는 장치를 통해 유동하는 장치(40)의 상류 또는 하류의 흐름 속도를 긴밀하게 제어함으로써 약품을 실질적으로 연속 주입하는 것에 대한 것일 수 있다.
이제 도 41을 참조하면, 두 가지 다른 약들이나 다른 성분들이 같이-주사되거나 또는 아니면 실질적으로 동시에 주사되어야 하는 경우와 같이,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40, 40')들이 직렬로 연결되는 대안적인 용도 및 배치가 도시되며, 이하에서 그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기본적으로, 제2 장치(40')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 제1 장치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도 6)에 연결된다. 여기 설명되는 바와 같이, "제1" 장치(40)는 I.V. 루어 커넥터(216)를 제1 장치의 유출 커넥터 포트(214)에 결합함으로써 I. V. 라인(214)에 직접 연결되는 장치로서 생각되고; 따라서, 제1 장치(40)는 제1 성분을 포함한다. "제2" 장치(40')는 제1 장치(40)의 위에 또는 “상류”에 직렬로 연결되며 따라서 주사기(230)로부터 직접 전달되는 것보다 제2 성분을 효과적으로 제공한다. 따라서, 제2 장치(40')는 다시 말단에서 제1 장치(40)에 연결되고,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30)는 중심에서 루어 커넥터 결합 또는 이 기술분야에 이제 알려지거나 추후 개발될 다른 기술에 의하여 다시 제2 장치(40')에 연결된다. 하나의 장치(40)의 다른 장치(40')로의 그러한 연결은 예컨대 암형 루어 커넥터로서의 각각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92) 및 수형 루어 커넥터로서의 각각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를 구성함으로써 촉진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며, 수형 및 암형 루어 커넥터들은 서로 선택적으로 결합가능하도록 형성된다. 따라서, 도시된 바와 같이 구성된 대로 사용시, 주사기(230)의 플런저(234)의 작동은 배럴(232)로부터 제2 장치(40') 내로 희석제 또는 다른 제4 성분을 유출시켜 제2 장치(40') 내에 위치된 추가적인 제3 성분과 복원하거나 혼합하도록 작용한다. 이와 같이,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의 복원된 약과 같은, 전달 용액이 제2 장치(40')를 형성하고, 이어서 제2 장치(40')로부터 제1 장치(40) 내로 배출된 제2 성분으로 되어 이어서 내부에 수용된 제1 성분을 복원하거나 또는 혼합되어 이어서 제1 장치(40)의 유출 커넥터 포트(124)로부터 최종 전달 용액을 유출하는 데, 이는 효과적이게 제1 장치(40)로부터의 제1 약물 또는 다른 성분과 제2 장치(40')로부터의 제2 약물 또는 다른 성분의 소정 형태의 혼합물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제1 성분은 동결 건조된 약품(medicine), 활성 동결 건조된 분말, 및 불활 분말의 하나이고, 제2 성분은 복원 약물(drug)이다. 약물(drug), 화학품, 매트릭스, 알부민, 항체 단편, 마커, 운반체, 표적 분자, 진단약, 및 희석제 또는 그 조합에 제한되지 않고 이를 포함하는 실제로 무한인 다양한 혼합물이나 제1 내지 제4 성분들의 동시-주사가 가능한 것이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이해될 것이다. 상류의 주사기나 다른 그러한 성분 소스와 함께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적절한 사전 충진된 용액 전달 장치들을 직렬로 연결하거나 선택적으로 접속함으로써 그러한 조합이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그리고 도 40 도시의 용도에 유사하게, I. V. 라인(214)을 제1 장치(40)의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연결하는 단계는 바람직하게 제2 장치(40')로부터 제2 성분을 유동시키는 단계 이전에 실행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소정 수의 장치(40)들이 직렬로 연결되므로, 직렬의 두 개의 장치는 본 발명의 측면들의 단지 예시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닌 것이 더욱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둘 이상의 용액 전달 장치들이 대신에 직렬 보다 병렬로 연결되고 말단에서 공통의 주입 또는 주사 부위와 연통하고 그리고 중심에서, 예컨대, 이 예에서, 병렬로 연결된 둘 이상의 용액 전달 장치들에 제2 성분을 전달하기 위한 공통 주사기 또는 다른 저장고 또는 장치와 같은, 하나 이상의 제2 성분 소스에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예컨대, 제2 약물을 복원하기 위하여 복원된 약물을 이용하여 부정적인 결과를 가지거나 또는 가졌을 수 있는 경우, 또는 하나 또는 양자의 약물의 보다 정밀한 조제가 필요한 경우, 또는 "직렬" 복원 및 전달의 어느 다른 바라지 않거나 바람직하지 않은 효과에 의하여 "병렬" 방안이 보다 바람직한 경우, 그러한 대안적인 방안이 사용될 수 있다.
도 41의 구조를 사용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다수의 용액 전달 장치들의 사용에서, 예시적인 어플리케이션 또는 용도는 이하의 것들을 포함하나, 이들에 한정되지 않으며: (a) 부수적인 효과가 통증, 가려움증, 약물의 투여와 관련된 신경 증상의 하나 이상인, 약물과 관련된 부수적인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하여 사용하도록 지시된 마취제와 조합된 약물의 투여(administration); (b) 부수 효과가 약물의 투여와 관련된 염증, 면역 반응, 고열, 통증의 하나 이상인, 약물과 연관된 부수 효과를 감소시키기 위해 사용하도록 지시된 항염제와 조합된 약물의 투여; (c) 약물들이 두 개의 다른 통증의 약물 치료이며 상승 작용 효과가 각각 다른 작용 메카니즘을 가지는 약물이며 또는 약물들은 다른 PK 또는 PD 프로파일을 가지는, 상승 효과를 가지는 조합으로 두 가지 약물들의 투여; (d) 고정된 복용량(dose)의 약물들의 조합의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투여; 및 (e) 무게-기반 복용량의 약물의 조합의 실질적으로 동시적인 투여를 포함한다.
최종적으로, 이제 도 42a와 도 42b를 참조하면, 주사기(240) 내에 통합된 대로의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예시적인 용액 전달 장치(40)가 두 개의 작동 모드에서 단면으로 도시된다. 먼저, 도 42a를 참조하면, 장치(240)의 "휴지" 구조에서, 여기서 도 13-18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체예에 대한 용액 전달 장치(40)를 일반적으로 내부에 포함하는 보조-조립체가 도시되며, 장치(40)의 말단에는 캐뉼라 조립체(258)가 연결되고, 중심으로 저장고(274)가 장치(40)에 연결되고, 이어서 주사기(240)의 하우징(242) 내에 유닛으로서 3개의 부품들이 축방향으로 슬라이드가능하게 효과적으로 장착되고, 하우징은 일반적으로 (244)로 표시된 내부 보어를 가진다. 하우징(242) 내에 보조-조립체를 유연하게 배치시키기 위하여 하우징의 중심 캡(250)과 중심 저장고 개구 플랜지(280)의 사이에 실질적으로 주사기(240)의 중심 단부에 조립체 스프링(290)이 장착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반드시 그러한 것은 아니지만, 캡(250)은 하우징 보어(244)에 실질적으로 균등한 내부 캡 보어(252)를 가진다. 특히, 그를 통해 캐뉼라 조립체(258)의 일부가 연장하는 하우징 말단 개구(246)에 형성된 하우징 개구 플랜지(248)와 캐뉼라 본체(266)의 결합에 의하여 하우징(242)의 말단부를 지나 보조-조립체가 말단으로 이동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된다. 보다 구체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 조립체(258)에 대해, 그 자체 용액 전달 장치(40)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결합되는 캐뉼라 커넥터(262) 내에 중심으로 장착된 말단으로 연장하는 캐뉼라(260)가 구비된다. 캐뉼라 커넥터(262)는 추가로 반경 방향 커넥터 플랜지(264)가 형성되는데, 그로부터 말단으로 연장하거나 또는 아니면 거기에 장착되거나 또는 캐뉼라 본체(266)가 그 위에 형성된다. 캐뉼라 본체(266)의 말단부 사이에 안착하거나 또는 커넥터 플랜지(264)에 대해 중심으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실드 플랜지(270)를 가지는 캐뉼라 실드(268)가 캐뉼라 본체(266) 내에 작동가능하게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명확하게, 캐뉼라 스프링(272)은 캐뉼라 실드(268)를 말단으로 유연하게 탄지하도록 캐뉼라 실드(268)와 커넥터 플랜지(264) 사이에 실질적으로 캐뉼라 조립체(258) 내에 위치되며, 이해되는 바와 같이, 캐뉼라 실드는 주사기 하우징(242)의 말단부 너머 연장하는 캐뉼라(260)를 차단하거나 실질적으로 에워싸도록 작용하며, 이로써 의도하지 않은 니들의 찌르기에 대해 보호된다. 한번 더, 중심에서, 저장고(274)는 용액 전달 장치(40)의 중심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를 갖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중심의 저장고 개구(278)를 통해 삽입됨에 따라 저장고(276) 내에서 작동가능하고, 그리고 그러한 개구를 효과적으로 폐쇄하는 것은 저장고 플런저(282)이다. 하우징의 중심 캡(250)으로부터 말단으로 연장하는 캡 포스트(254)의 보어(256) 내에 대향하는 중심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고정된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결합되는 보스(284)를 플런저(282)는 중심에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플런저 스프링(292)은 내부에 수용된 액체, 여기서는 제2 성분(302)에 대해 저장고(274) 내에서 플런저(282)를 말단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것은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 의해 이해될 것이다. 명확하게, 희석제와 같은 제2 성분과 장치(40) 내에 수용된 동결 건조된 약물과 같은 제1 성분(300)의, 문제를 키우는, 바라지 않거나 너무 이른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막(288)은 저장고(274)와 용액 전달 장치(40) 사이의 임시적인 유체 불투과성 배리어로서 장착된다. 예시적인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가 위에 장착됨에 따라 포트(192)를 효과적으로 덮기 위하여 막(288)은 장치(40)의 유입 커넥터 포트9192)의 중심 단부에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유입 커넥터 포트(192)로의 개구에 걸치도록 위치되거나 포착되었으므로, 따라서 막(288)은 저장고(274)로부터의 소정의 액체 제1 성분(302)의 유출을 방지할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저장고(274) 또는 캐뉼라 조립체(258)와 용액 전달 장치(40)와 같이 특정의 및 모든 그러한 부품들은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별개로 형성되어 도시된 바와 같이 장착될 수 있을 것으로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해할 것이다. 막(288)은 선택적으로 극복되거나 아니면 배리어로서 제거되고 이어서 제2 성분(302)을 전달 장치(40)로 유동시킬 수 있어야 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며, 그에 대해서는 도 42b를 참조하여 이하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막(288)은 도 4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주사기(240)의 "휴지" 구조에서 위에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말단에서 가압된 플런저(282)로부터의 압력 하에 저장고(274) 내의 유체 컬럼에 의하여 그에 미치는 압력을 견디도록 형성되고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주사기(240), 특히 플런저(282)와 막(288)은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사전-가압된다. 이어서, 하나의 방안에서, 재료와 두께 및 천공들 등에 비추어 보는 막(288) 디자인은, 사전 가압된 스프링(292)과 플런저(282)에 의해 미치는 압력을 가진 "휴지" 구조에서, 막(288)은 파괴되거나 파단되지 않을 것이나, "휴지" 또는 "사전-가압" 압력은 이어서 막(288)을 파손하거나 파단하도록 할 것이며 이로써 저장고(274)로부터의 제2 성분(302)이 사전 가압된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말단으로 가압된 플런저(282)의 영향 아래 다시 흐를 수 있다. 그러한 막(288)에 대한 압력-평형 방안 대신에 또는 부가해서, 도 42a에는 대안적으로, 실질적으로 막(288)을 향하는 방향으로 그로부터 멀리 연장하도록 플런저(282) 위에 구성된 천공 팁(286)이 도시된다. 이러한 기초 위에서 플런저(282)를 추가적으로 납득할만큼 말단으로 이동시키면 천공 팁(286)은 파손을 유발하거나 지원하도록 막(288)에 접촉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천공 팁(286)으로부터 막(288)까지의 거리는 하우징(242)의 말단 단부 너머 노출된 캐뉼라 실드(268)의 길이와 커넥터 플랜지(264)에 대해 복귀 접촉하는 실드 플랜지(270)의 중심 이동 거리 사이의 차이에 의하여, 적어도 부분적으로, 결정되는 바와 같은 하우징(242) 내의 장치 보조-조립체의 중심 이동 범위 보다 작으며, 이 지점에서 실드(268)의 추가적인 중심 이동은 전체 캐뉼라 조립체(258), 용액 전달 장치(40), 및 저장고(74)의 중심 이동으로 변환되고, 이로써 효과적으로 저장고(274) 내에서 플런저(282)를 말단으로 이동시키고 천공 팁(286)을 막(288)을 향하여 이동시킬 수 있다.
주사기(240)가 약물의 피하 주사에 사용될 때, 도 42a의 "휴지" 구조에 대해 작동된 주사기(240)를 도시하는 도 42b를 참조하면, 캐뉼라 실드(268)에 대해 중심의, 다소 축방향의 압력 또는 힘을 가하면 캐뉼라(260)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중심에서 실드(268)를 밀어 피부(S) 내에 삽입할 수 있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캐뉼라 스프링(272)의 가압 효과에 대항하여 캐뉼라 실드(268)를 계속 가압하면, 실드 플랜지(270)가 도시된 바와 같이 캐뉼라 커넥터 플랜지(264)에 접촉하기까지 캐뉼라 스프링(272)의 가압 효과에 대항하여 캐뉼라 실드(268)에 계속 힘을 가하여 캐뉼라 실드(268)를 중심에서 이동시키며, 조금 이른 것으로 보이지만, 이 지점에서 캐뉼라 실드(268)에 대한 추가적인 중심으로 향하는 힘의 적용에 의하여, 캐뉼라 조립체(258)의 보조-조립체, 용액 전달 장치(40), 및 저장고(274)를 조립체 스프링(290)의 최소 저항에 대항하여 주사기 하우징 내에서 중심으로 이동시킨다. 따라서, 플런저 스프링(292)의 말단에서의 가압 및 사전-가압 하에서 저장고 플런저(282)는 공간상으로 실질적으로 동일한 위치에 유지되며 저장고(274)는 특히 중심으로 이동되며, 천공 팁(286)은 막(288)에 접촉하므로, 플런저 스프링(292)의 영향 하에 다시 플런저(282)에 의하여 제2 성분(302) 위에 미치는 압력을 생성하면서, 도시된 바와 같이 막(288)은 파손되고, 제2 성분(302)을 저장고(274)로부터 유출하여 유입 커넥터 포트(192)를 통해 용액 전달 장치(40) 내로 유동하며 여기서 제2 성분은 설명된 바와 같이 내부에 수용된 제1 성분에 직면하여 복원하고 또는 아니면 혼합되고, 복원된 약물과 같은 전달 용액은 이어서 전달 장치(40)에서 유출되어 유출 커넥터 포트(124)를 통해 캐뉼라(260)로 진행하여 피하 주사 또는 다른 투여를 실행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플런저 스프링(292)이 사전-가압되고 주사기(240)의 주입 또는 가동 상황 동안 압력이 증가할 때, 일단 막(288)이 파손되면, 플런저(282)의 말단으로의 이동에 대한 저항이나 이해할만한 구속이 더 이상 없으며, 제2 성분은 상당히 신속하게 저장고(274)로부터 유출되는 것을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이해할 것이다. 일 구체예에서, 플런저 스프링(292)의 영향 아래, 또는 스프링 상수 및 구조의 함수로서의 그러한 구축 속도는 실질적으로 유출 속도에 근접하고 도 40 및 도 41의 구체예들에서와 같은 주사기(230)를 사용한 수동 작동을 통해 복원이 통상적으로 달성되었다. 그러나, 많은 인자들을 기초로 다양한 스프링 및 유출 속도들이 가능하므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음이 이해될 것이다. 더욱이, 주사기(240) 및 그의 다양한 부품들의 다양한 구조들이 현재 알려져 있거나 또는 추후 개발될 것이거나, 개발 가능하므로 도시되고 설명된 주사기(240)는 본 발명의 특징들과 측면들을 단지 예시하는 것이며 제한하는 것이 아니며 명확히 비제한적임이 이해될 것이다. 하나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막(288)은 실리콘, 폴리에스테르, 또는 포일에 제한되는 것이 아닌 이를 포함하는 재료로 제조되고 1 내지 1,000 미크론의 두께를 가진다. 그러한 주사기(240)는 일반적으로 단일 용도로서 구성되며 따라서 폐기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다. 그러나, 소정 측면들에서, 특히 예컨대, 저장고(274)와 캐뉼라 조립체(258)가 용액 전달 장치(40)와 일체인 경우, 보조 조립체는 폐기할 수 있거나 재사용가능한 주사기 하우징(242) 내에 카트리지식으로 교체될 수 있다. 여기 개시된 바와 같은 용액 전달 장치(40)와 특히 관련해서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라 주사기(240)에 의하여 보관되고 복원되고 투약될 수 있는 약물 및 다른 조성물의 종류들의 비제한적인 예시적인 리스트로서 그리고 추가적인 도시로서, 그러한 전달 용액은 에피네피린, 항히스타민제, 항독제, 해독제, 모핀, 넥솔론, 글루코제, 아스피린, 및 아드레날린에 제한되지 않고 이들을 포함한다. 그러한 약 또는 조성물이 비상시 인간이나 동물에 투여될 수 있음이 이해될 것이며,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주사기(240)에 의한 바와 같이 안전-위배 및 복원 약물의 실질적으로 순간적인 투여는 많은 중요하고 잠재적으로 인명-절감적인 이익을 제공한다. 더욱이, 동결 건조된 약품과 같은 건조 분말 형태로 약물이나 다른 조성물을 보관함으로써 약물 따라서 주사기(240)의 보관이나 저장기간은 급격하게 증가되고, 중요한 생각에 의하면 그러한 주사기들 또는 자동-주사기들은 수 년은 아니더라도 수 개월간 비상 상황이 발생하는 "만일의 경우(just in case)"로서 대기 유지될 수 있다. 물론 주사기(240)와 함께 포함되거나 포장되는 지시와 종료 경고에도 불구하고 최초 제조에서 긴 시간 후에는 주사기(240)는 여전히 작동가능하고 동결 건조된 약물이 여전히 사용 효능이 유효한 것이 바람직하다.
유사하게, 도 43a와 도 43b를 참조하면, 분사기(240) 내에 장착된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른 대안적인 예로서의 용액 전달 장치(40)가 두 가지 작동 모드들에서 단면도로 도시된다. 기본적으로, 도 42a와 도 42b의 구체예와 비교하면,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 내에 위치된 막(288)은, 필요하지 않아 도 43a와 도 43b의 대안적인 구체예에서 제거된, 천공 팁(286)에 의하여 제1의 예시적인 구체예에서 지원되는 바와 같이, 막(288)이 파단되기보다 흐를 수 있도록 압력 하에 이동되는 밀봉 플러그(289)에 의하여 대체되었다. 보다 상세하게, 도 42a와 도 42b를 참조하면, 장치(240)의 "휴지" 구조에서, 도 13-18에 도시된 예시적인 구체예에 따라, 용액 전달 장치(40)를 일반적으로 포함하는 보조-조립체가 내부에 도시되는 데, 이는 말단에서 장치(40)에 연결된 커뉼러 조립체(258)와 장치(40)에 근접 단부에서 연결된 저장고(274)를 구비하여, 이어서 세 부품들이 주사기(240)의 하우징(242) 내에 유닛으로서 효과적으로 축방향으로 슬라이드 가능하게 장착된다. 하우징(242) 내에서 말단으로 보조-조립체를 유연하게 가압하기 위하여 주사기(240)의 근접 단부에 조립체 스프링(290)이 장착된다. 저장고(274)는 용액 전달 장치(40)의 근접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도록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를 구비하도록 구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274) 내에서 동작 가능하도록 저장고 플런저(282)가 장착되는데, 이는 제2 구성 성분인 내부에 수용된 액체에 대해 저장고(274) 내에서 플런저(282)를 말단으로 가압하도록 작용하는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결합된다. 명백하게, 한번 더, 자체-손상일 수 있는 장치(40) 내에 수용된 냉동건조된 약품으로서의 제1 성분(300)과 희석제로서의 제2 성분(302)의 바람직하지 않거나 또는 사전 혼합을 방지하기 위하여 밀봉 플러그(289)가 저장고(274)와 용액 전달 장치(40) 사이의 임시적인 유체 불투과성 배리어로서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 내에 마찰하도록 장착된다. 예로서의 구체예에 도시된 바와 같이,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가 위에 장착됨에 따라, 포트(192)를 효과적으로 덮도록 장치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의 근접 단부에 플러그(289)가 실질적으로 위치된다. 유입 커넥터 포트(192)에 개구를 형성하기 위하여 위치되거나 또는 포착되므로, 따라서 플러그(289)는 저장고(274)로부터 유출하는 액체의 제1 성분의 흐름을 방지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는 그러한 모든 또는 일부 성분들은 용액 전달 장치(40)를 갖는 캐뉼라 조립체(258) 또는 저장고(274)와 같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거나, 또는 도시된 바와 같이 별개로 형성되어 장착될 수 있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 내의 플러그(289)의 마찰 결합은 선택적으로 극복되어야 하거나 또는 달리 배리어로서 제거되거나 또는 이동될 수 있으며 이어서 제2 성분(302)이 전달 장치(40) 내로 흐를 수 있으며, 이에 대해서는 도 43b와 관련해서 이하에 설명된다. 일반적으로, 플러그(289)는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말단으로 가압됨에 따라 플런저(282)로부터의 압력 아래 저장고(274) 내의 유체 기둥에 의해 이동되는 바와 같이, 도 43a의 분사기(240)의 "휴지" 구조에서 그에 미치는 압력을 이동되지 않고 견디도록 형성되고 구성된다. 달리 말하면, 분사기(240), 특히 플런저(282)와 플러그(289)는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사전-가압"된다. 하나의 방안에서, 이어서, 재료(탄성과 표면 마찰)와 크기(직경)의 면에서의 플러그(289) 디자인은, 사전-가압된 스프링(292)과 플런저(282)에 의하여 압력이 가해진 "휴지" 구조에서 플러그(289)는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 내에서 전달 장치(40)의 유입 커넥터 포트(192)를 향하여 또는 더욱 아래로 멀리 이동하거나 구축되지 않도록 구성되나, "휴지" 또는 "사전-가압" 압력 이상의 압력의 선택된 증가는 이어서 플러그(289)를 이동시키고 따라서 사전 가압된 플런저 스프링(292)에 의하여 멀리 가압된 플런저(282)의 영향 아래 다시 저장고(274)로부터 제2 성분이 흐를 수 있도록 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고 커넥터(276)와 커넥터 포트(192) 내에서 플러그(289)가 멀리 이동할 때 밀봉 플러그(289)의 말단 이동과 제2 성분(302)의 플러그 둘레의 흐름을 모두 촉진함으로써, 커넥터 포트(192) 내에서 길이방향으로 유로 노치(145)가 형성된다. 플러그(289)는 커넥터 포트(192)의 공칭 내경 표면(도 16의 축방향 보어(194))와 맞춤또는 밀봉 결합하고 접촉될 수 있으며, 플러그(289) 둘레로 그리고 유로(144)를 관통하여 유체가 흐르도록 커넥터 포트(192)의 축방향 보어(194)와 플러그(289) 사이로 절개부 또는 갭(gap)을 형성하는 것이 이해될 것이다. 이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는 본 발명의 측면들에 따라 말단 저장고 커넥터(276) 내에서 선택적으로 결합하고 그로부터 분리하기 위한 다른 메커니즘 및 다른 종류의 플러그들을 포함하는 주사기(240)의 저장고(274)를 위한 매우 다양한 임시 밀봉 구조가 가능한 것이 이해될 것이다. 또한, 필요하면,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로부터 벗어나지 않고 유입 커넥터 포트(192)를 관통하는 유로를 선택적으로 제공하거나 허용하기 위한 다양한 구조들이 또한 가능하다.
앞서 기재된 바로부터 본 발명의 특징들에 따른 상기 용액 전달 장치(40)의 여러 맥락에서 그리고 예상된 또는 의도된 용도에서 상기 장치가 그 외 관련된 요소들과 함께 포장(packaged)될 수 있고 그리고 키트(kit)로서 함께 제공될 수 있음을 인정할 것이다. 예를 들어, 어떠한 구성의 상기 장치(40)든 그 자체에 더하여, 상기 키트는 상기 용기 부품(50)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제거 가능하게(removably) 설치된 용기 배출 캡(200) 및 상기 플러그 부품(130)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124)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플러그 유입 캡(220) 또한 포함할 수 있다. 더 나아간 예로, 상기 키트는 캐뉼라(210), I.V. 라인(214) 및/또는 주사기(230)를 대신 또는 더 포함할 수 있다. 캐뉼라(210)를 포함하는 경우, 다시 한번, 상기 캐뉼라(210)는 상기 용기 부품(50)의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되거나 또는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124)와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러한 캐뉼라(210)가 상기 키트에 포함될 때, 바람직하게 용기 배출 캡(200) 또한 포함하고 그리고 무심코 주사바늘에 찔리는 것을 방지하는데 일조하도록 실질적으로 상기 캐뉼라(210) 근처에 상기 용기 부품(50)의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124)에 제거할 수 있도록 설치된다. 도한, 상기 키트는 주사기 외의 형태의 저장고(reservoir) 또는 상기 플러그 부품(130)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저장고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키트는 유입 캡기(240)를 대신 또는 더 포함할 수 있고, 그런 경우 상기 용액 전달 장치(40)는 바람직하게 상기 유입 캡기(240) 내에 미리 설치되어있고 바로 사용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그러한 모든 키트는 적어도 상기 장치(40)의 사용방법 또는 본 명세서와 일치하는 상기 장치(40)를 사용하는 방법을 수행방법을 제공하는 설명서를 포함할 것이다.
본 명세서의 특징들은 또한 다음과 같이 설명될 수 있다:
1. 용액 전달 장치로서:
내면을 가진 기저벽을 가지고, 그 안에 소정의 분량의 제1 성분을 수용하도록 선택된 크기의 내부 공동(cavity)이 형성되고,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를 가진 말단부(distal end)를 더 포함하는 용기 부품;
적어도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selective engagement) 구성되었고, 선단부(proximal end), 말단부, 및 상기 단부들 사이에 배치된 외면을 가지고, 상기 측벽 및 말단부는 함께 플러그 주변(periphery)을 정의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선단부에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 및 상기 플러그 둘레를 가로지르는 상기 유입 커넥터 포트부터 플러그 유출 포트까지의 내부 유로를 더 포함하고, 플러그 저면(distal surface)을 가진 말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부품; 및
혼합 채널이 실질적으로 닫힌 바닥 및 상면 벽에 인접한 개방된 상단(top)을 가지도록, 상면 벽을 가지고 용기 부품 내에 위치하고, 상기 혼합 채널이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와 유체연통(in fluid communication)하는 투입 단부(input end) 및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와 유체연통하는 출력 단부(output end)를 가지는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elonglated mixing channel)을 형성하기 위해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길다란 채널 벽을 포함하고;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의 상면 벽은 상기 플러그 부품을 향한 상기 용기 부품내에 위치하고, 그러므로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과 상기 용기 부품이 완전히 함께 조립되었을 때, 상기 플러그 후단면이 상기 상면 벽과 접촉하고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닫아 상기 제1 성분으로의 유일한 접근이 상기 혼합 채널의 상기 투입 및 출력 단부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제2 성분을 상기 유입 단부 커넥터 포트를 통해 밀어 넣음으로써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내부 유로를 통해 흘러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로 나와 상기 혼합 채널의 상기 투입 단부로 들어가 상기 제1 성분과 혼합되게 하고,
별도의 혼합, 교반, 복원(reconstituting), 또는 프라이밍 단계의 필요없이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함께 상기 투입 단부로부터 상기 출력 단부로 상기 혼합 채널을 횡단하는 것으로 충분히 혼합되고,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를 통해 전달 용액으로서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 제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혼합 채널의 상기 유입 단부와 유체연통하도록 상기 기저벽의 내면에 형성된 상호연결 홈(interconnecting groove)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 제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상호연결 홈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을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로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 제2 또는 제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혼합 채널이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 및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 사이에 간접적인 유로를 제공하게 되는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의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상호연결 홈이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와 유체연통하기에 충분한 길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 제2 내지 제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상호연결 홈과 유체연통하도록 상기 기저벽의 상기 내면에 형성된 분배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 제2 내지 제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와 유체연통하도록 상기 측벽의 외면에 형성된 분배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 제5 또는 제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환형(annula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 제5 내지 제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이어지는(continuous)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 제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상기 기저벽이 유단 내부 보어(stepped inner bore)를 갖도록 상기 기저벽의 내면에 위쪽으로 열린 단(upwardly-opening step)으로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 제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 아래 기저벽의 상기 내면으로의 카운터싱크 이행(countersink transition)을 제공하기 위해 상기 단의 각이 비스듬한(angl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 제9 또는 제1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단이 상기 채널 벽의 상면을 따라 끝나는(terminating) 깊이를 가짐으로써 상기 단 및 상기 혼합 채널 사이에 상기 내면의 용기 안착부(seating portion)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 제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상기 기저벽의 상기 내면에 안쪽으로 열린 원주로 리세스(circumferential recess)으로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 제1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채널 벽의 상면의 근위 기저벽의 내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리세스 및 상기 혼합 채널 사이에 상기 내면의 용기 안착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 제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에 의해 교차된 상기 측벽의 상기 외면에 바깥쪽으로 열린 원주로 리세스로서 형성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 제1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리세스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말단부의 근위이고 이격된(spaced) 상기 측벽의 상기 외면에 위치함으로써 상기 리세스 및 상기 말단부 사이에 상기 외면의 플러그 안착부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 제5 또는 제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가 플러그 안착부 근위의 상기 측벽에 위치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가 상기 분배 홈에 인접하고 유체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 제1 내지 제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측벽의 상기 외면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의 내면의 용기 안착부에 안착되도록 구성된 플러그 안착부을 가지도록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 제1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이 네트-피트(net-fit) 결합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 제17 또는 제1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이 직선의 벽(straight-wall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0. 제17 또는 제1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이 곡선의 벽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1. 제17 또는 제1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이 점점 가늘어지는(taper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2. 제1 내지 제2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벽이 근위에 뻗는 결합벽(engagement wall)을 가진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용기 플랜지(flange)의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3. 제2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벽이 실질적으로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4. 제22 또는 제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벽이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engagement lip)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5. 제2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바깥쪽으로 열린 결합 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6. 제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이 근위의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 및 말단으로 오프셋 된(distally offset)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retention lip)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7. 제24 내지 제2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립이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8. 제24 또는 제27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반경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9. 제2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지 립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결합 립에 의해 근위로(proximally) 결합하는 실질적으로 근위를 향한(proximally-facing) 결합 홈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0. 제25 내지 제2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의 근위 플러그 결합 저면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름의 후단 플러그 안착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후단으로-향한 단턱부(shoulder)에 의해 정의된 유단 측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결합 립으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용기 플랜지까지의 거리가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단턱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럼으로써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결합 홈 내에서의 상기 결합 립의 결합은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를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실질적으로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1. 제3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가 상기 기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 된 근위로 열린 O-링(o-ring) 홈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O-링은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 및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기 O-링 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2. 제30 또는 제3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까지의 거리는 상기 단턱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말단부까지의 거리와 동일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결합 내에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가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플러그 저면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길다란 채널 벽의 사익 벽 상면에 실질적으로 안착하는 것으로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닫는 것을 야기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이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안착부 내에 안착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와 유체연통하는 상기 유입 단부를 제외하고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을 실질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더 야기한다.
33. 제22 내지 제3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 내에 상기 기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vent hole)가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저면적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동 및 주위 대기(surrounding atmosphere) 사이에 유체연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4. 제3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 내에 상기 O-링 홈으로 바깥쪽으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가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저면적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동 및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연통이 있고, 그리고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조립되는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O-링 홈에 안착한 상기 O-링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 및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내부 공동 및 상기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5. 제22 내지 제3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기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말단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가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저면적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동 및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연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6. 제3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에 형성된 상기 O-링 홈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의 말단부 내에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가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저면적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내부 공동 및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연통이 있고, 그리고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조립되는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는, 상기 O-링 홈에 안착한 상기 O-링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 및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 사이를 밀봉하여 상기 내부 공동 및 상기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연통을 방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7. 제33 내지 제3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저면적으로 삽입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이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 근위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가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 위에 떠 있고(suspended)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의 상기 내면에 위쪽으로 열린 단으로서 형성된 상기 분배 홈 내에 적어도 저면적으로 떠 있음으로써, 적어도 하나의 상기 용기 통풍구 및 적어도 하나의 플러그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히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 및 상기 주위 대기 사이의 유체연통이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8. 제3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이 있고, 상기 장치를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조립된 제2 작동 모드로 바꾸는 데에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을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에 상대적으로 근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유지 립을 지나 그 근위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9. 제24 내지 제3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 다리(leg)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의 일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0. 제3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두개의 실질적으로 오프셋(offset)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1. 제40 구체예에 있어서, 두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2. 제40 구체예에 있어서, 복수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3. 제40 구체예에 있어서,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4. 제3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이격된(spaced apart) 세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5. 제44 구체예에 있어서, 세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6. 제44 구체예에 있어서, 복수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7. 제44 구체예에 있어서,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8. 제3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이격된 네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9. 제48 구체예에 있어서, 네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0. 제48 구체예에 있어서, 복수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1. 제48 구체예에 있어서, 두 개, 세 개, 또는 네 개의 플러그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2. 제37 내지 제5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리빙 힌지(living hinge)으로서 기능하도록 오프셋되는 세로의 노치(notches)에 의해 제한된(bounded) 상기 결합 벽의 한 저면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3. 제37 내지 제5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뻗는 상기 가요성 다리의 위치(position)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의 위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4. 제28 내지 제3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한 저면을 정의하는 가요성 다리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5. 제5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두 개의 실질적으로 상쇄하는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6. 제5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이격된 세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7. 제5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이격된 네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8. 제54 내지 제5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오프셋 된 세로의 노치(notches)에 의해 제한된(bounded) 상기 결합 벽의 한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9. 제5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리빙 힌지으로서 기능 하도록 단일 에지(single edge)를 따라 아래쪽의 다릿마디(leg joint)에서만 상기 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0. 제22 내지 제5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의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1. 제6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플랜지가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경계를 접하고 있는(coterminous) 플러그 둘레(perimeter)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2. 제22 내지 제5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가 근위로 뻗는 상기 결합 벽을 넘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3. 제6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벽이 상기 결합 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그리고 간격을 두고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실질적으로 근위로 뻗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4. 제6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벽 및 상기 결합 벽이 실질적으로 근위의 경계를 접하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5. 제63 또는 제6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 근위에서 끝나는 것으로 상기 용기 부품의 외벽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경계를 접하고 있는 플러그 둘레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6. 제1 내지 제2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벽이 근위로 뻗는 결합 벽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7. 제6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기저벽 및 상기 결합 벽이 실질적으로 근접해(contiguous)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8. 제66 또는 제6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실질적으로 환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9. 제66 내지 제6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에서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0. 제6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선단부에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1. 제7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선단부가 근위를 향하는 플러그 근위면(proximal surface)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안착될 때, 상기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근위면에 안착하도록 구성된 말단을 향하는(distally-facing) 립 저면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2. 제66 내지 제6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립이 실질적으로 이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3. 제69 내지 제7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리는 유지 홈(retention groove)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결합 립의 말단 쪽에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결합 벽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과 결합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4. 제69 내지 제7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과 결합하도록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홈과 결합하도록 더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5. 제66 내지 제7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열리는 유지 홈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고; 그리고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유지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열리는 유지 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6. 제7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지 홈 및 상기 유지 립 모두 상기 분배 홈의 근위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7. 제66 내지 제7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리는 O-링 홈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되고; 그리고
O-링은 상기 플러그 외면 및 상기 용기 내면 사이를 밀봉하기 위해 상기 O-링 홈에 안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8. 제66 내지 제7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뻗는 유지 립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의 상기 내면에 형성되고, 상기 장치의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린 유지 홈과 결합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9. 제66 내지 제7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의 근위 플러그 결합 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름의 후단 플러그 안착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후단을 향한 플러그 단턱부에 의해 정의된 유단 측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 부품이 상대적으로 더 큰 지름의 근위 용기 결합 부분을 상대적으로 더 작은 지름의 후단 용기 안착부으로부터 분리시키는 전단을 향한 용기 단턱부에 의해 정의된 유단 측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상기 용기 결합 부분이 상기 플러그 결합 부분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래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용기 안착부이 상기 플러그 안착부의 선택적인 수용(receipt)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0. 제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립으로부터 상기 용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단턱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결합 홈 내의 상기 결합 립의 결합이 상기 플러그 단턱부를 상기 용기 단턱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1. 제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립 저면으로부터 상기 용기 단턱부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러그 근위면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단턱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결합립과 상기 플러그 선단부의 결합이 상기 플러그 단턱부를 상기 용기 단턱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2. 제80 또는 제8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단턱부가 상기 기저벽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오프셋 된 근위로 열리는 O-링 홈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O-링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했을 때 상기 플러그 단턱부 및 상기 용기 단턱부 사이에 밀봉을 제공하도록 상기 O-링 홈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3. 제79 내지 제8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단턱부가 상기 분배 홈의 근위의 상기 측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4. 제79 내지 제8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단턱부가 상기 분배 홈의 근위의 상기 기저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5. 제79 내지 제8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단턱부가 상기 유지 홈의 근위의 상기 기저벽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6. 제79 내지 제8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단턱부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플러그 단턱부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품의 말단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동일하고,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결합 홈 내에 결합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단턱부가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하는 것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저면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길다란 채널 벽의 상기 벽 상면에 실질적으로 안착하여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닫는 것을 야기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이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안착부 내에 안착하여 상기 플러그 배출구와 유체연통하는 상기 유입 단부를 제외한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을 실질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7. 제79 내지 제8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결합 벽 근위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린 유지 홈 내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단턱부가 상기 용기 단턱부 위에 떠 있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플러그 안착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안착부 내에 떠 있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히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 및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 주변의 환경 사이에 유체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8. 제73 내지 제8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 근위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린 유지 홈 내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안착부 내에 떠 있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히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 및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 주변의 환경 사이에 유체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9. 제74 내지 제8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 근위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상기 외면에 형성된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에 안착함으로써,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안착부 내에 떠 있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히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 및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 주변의 환경 사이에 유체연통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0. 제73 내지 제8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가 상기 유지 립 근위의 상기 용기 결합 벽 내에 형성됨으로써,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주위 대기 사이에 유체연동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1. 제73 내지 제8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이 있고, 그리고 상기 장치를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조립된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바꾸는 데에는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을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열리는 유지 홈에 상대적으로 근위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유지 홈을 지나 그 근위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2. 제69 내지 제9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안쪽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 다리에 형성되어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결합 벽의 한 부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3. 제9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두 개의 실질적으로 상쇄하는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4. 제93 구체예에 있어서, 두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5. 제9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이격된 세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6. 제95 구체에에 있어서, 세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7. 제9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결합 벽이 이격된 네 개의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8. 제97 구체예에 있어서, 네 개의 용기 통풍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9. 제92 내지 제9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리빙 힌지으로서 기능 하도록 오프셋 된 세로의 노치에 의해 제한된 상기 결합 벽의 한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0. 제92 내지 제10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뻗는 상기 가요성 다리의 위치가 실질적으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의 위치와 일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1. 제73 내지 제10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이 가요성 다리에 형성되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측벽의 한 부분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2. 제10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두 개의 실질적으로 상쇄하는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3. 제10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세 개의 실질적으로 상쇄하는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4. 제10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측벽이 네 개의 실질적으로 상쇄하는 가요성 다리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5. 제101 내지 제10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오프셋 된 세로의 노치에 의해 제한된 상기 측벽의 한 부분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6. 제10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가 리빙 힌지으로서 기능 하도록 단일 에지를 따라 아래쪽의 다릿마디에서만 상기 측벽에 부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7. 제66 내지 제10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이 반경방향으로 바깥쪽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의 근위에서 끝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8. 제10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상기 플러그 플랜지가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과 실질적으로 반경방향으로 경계를 접하고 있는 플러그 둘레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9. 제66 내지 제10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이 용기 인덱싱(indexing) 표면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안착했을 때 상기 용기 인덱싱 표면과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해 구성된 플러그 인덱싱 표면을 가진 것으로 형성되고, 그럼으로써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가 상기 혼합 채널의 상기 유입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0. 제10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인덱싱 표면 및 상기 플러그 인덱싱 표면이 실질적으로 나선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1. 제10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인덱싱 표면 및 상기 플러그 인덱싱 표면이 실질적으로 반대의 경사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2. 제10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인덱싱 표면 및 상기 플러그 인덱싱 표면에 실질적으로 나삿니가 있는(threa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3. 제109 내지 제11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인덱싱 표면이 실질적으로 근위를 향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인덱싱 표면이 실질적으로 말단을 향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4. 제109 내지 제11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가 상기 플러그 인덱식 표면의 가장 말단 부분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5. 제109 내지 제11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가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측벽 외면 및 상기 플러그 저면의 접점에 위치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6. 제1 내지 제11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로가 상기 플러그 출력 포트를 정의하는 실질적으로 횡방향의(transverse) 보어와 유체연통하고 그에 의해 교차되는 상기 유입 커넥터 포트에 형성되는 실질적으로 축을 이루는 보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7. 제1 내지 제1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용기 배출 캡이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선택적인 밀봉 가능한 결합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8. 제11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 캡이 상기 용기 기저벽과 실질적으로 경계를 접하고 있는 유출 캡 벽(outlet cap wall)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9. 제11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 캡이 적어도 상기 용기 기저벽 지름만큼 큰 유출 캡 지름을 가진 유출 캡 벽을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0. 제11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배출 캡이 배출 캡 기저면(base surface)을 정의하는 배출 캡 베이스 말단에서 끝나는 유출 캡 벽을 가진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1. 제117 내지 제12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기저면이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그러므로 상기 장치가 상기 용기 유출 캡으로 수직으로 세워질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2. 제118 내지 제12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벽이 상기 장치가 상기 용기 유출 캡으로 수직으로 서기에 충분한 유출 캡 둘레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3. 제12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둘레가 유출 캡 횡단면 부분(area)을 가지고; 그리고
상기 용기 기저벽이 용기 횡단면 부분을 가진 용기 둘레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4.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5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5.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6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6.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7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7.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8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8.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9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9.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9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0. 제1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횡단면 부분이 상기 용기 횡단면 부분의 적어도 100%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1. 제117 내지 제13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및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가 결합하는 루어 연결 부재(mating luer connection members)를 가진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2. 제117 내지 제13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출 캡 제거(removal)가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캐뉼라의 결합을 감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3. 제13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와 상기 외부 발출 커넥터 포트의 결합이 루어 연결 부재의 결합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4. 제1 내지 제13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플러그 유입 캡(inlet cap)이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의 선택적인 밀봉 가능한 결합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5. 제13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 캡 및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가 결합하는 루어 연결 부재를 가진 것으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6. 제134 또는 제13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 캡 제거가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 주사기의 결합을 감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7. 제13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사기 및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의 결합이 루어 연결 부재의 결합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8. 제1 내지 제1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이 표시상(nominally) 1 입방센티미터의 10분의 2(0.2 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9. 제1 내지 제1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이 표시상 1 입방센티미터(1.0 cc)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0. 제138 또는 제13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을 차지하는 상기 내부 공동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1. 제1 내지 제14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의 공급량(supplied volume)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2. 제1 내지 제14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의 공급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보다 더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3. 제1 내지 제14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의 공급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의 두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4. 제1 내지 제14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가 암형 루어(female luer) 커넥터로서 구성되고; 그리고
상기 외부 방찰 커넥터 포트가 수형 루어(male luer) 커넥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5. 제14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수형 루어 커넥터 및 상기 암형 루어 커넥터가 선택적으로 결합할 수 있는 크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6. 제1 내지 제1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유입 커넥터 포트와 유체연통하기 위해 저장고가 상기 플러그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7. 제14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상기 제2 성분을 담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8. 제147 구체에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주사기로서 구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9. 제147 또는 제148 구체에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 내에서 사용말단부는 플런져(plunger)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0. 제146 내지 제14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과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1. 제146 내지 제14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2. 제146 내지 제14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의 용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의 두 배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3. 제1 내지 제11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유체연통하기 위해 캐뉼라가 상기 용기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4. 제153 구체예에 있어서, 용기 유출 캡이 실질적으로 상기 캐뉼라 근처에서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의 선택적인 밀봉 가능한 결합을 위해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5. 제1 내지 제15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실질적으로 분말 형태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실질적으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6. 제1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동결 건조된 약품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희석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7. 제15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처음에는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에 실질적으로 액상으로 주입되고, 그 이후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가 상기 동결 건조된 약품을 산출하기 위해 동결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8. 제156 또는 제15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이 처음에는 주사기 내에 수용되어있고, 그 이후 상기 주사기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희석액이 상기 플러그 부품을 거쳐 상기 내부 공동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동결 건조된 약품과 접촉하고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약품 농도 기울기(medication 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진 전달 용액(delivery solution)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말을 복원(reconstituting)하여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전달 용액의 초기 흐름이 전달 용액의 나중 흐름보다 더 높은 약품의 농도를 가지고, 그럼으로써 혼합 및 전달이 동일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별도의 복원 단계가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9. 제1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활성 동결 건조된 약품(active lyophilized powder)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활성 희석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0. 제15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처음에는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에 실질적으로 액상으로 주입되고, 그 이후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가 상기 동결 건조된 분말을 산출하기 위해 동결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1. 제159 또는 제16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이 처음에는 주사기 내에 수용되어있고, 그 이후 상기 주사기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희석액이 상기 플러그 부품을 거쳐 상기 내부 공동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동결 건조된 분말과 접촉하고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유효성분 농도 기울기(active ingredient concentration gradient)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말을 복원하여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전달 용액의 초기 흐름이 전달 용액의 나중 흐름보다 더 높은 유효성분의 농도를 가지고, 그럼으로써 혼합 및 전달이 동일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별도의 복원 단계가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2. 제1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비활성(inactive) 분말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활성 희석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3. 제16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희석액이 처음에는 주사기 내에 수용되어있고, 그 이후 상기 주사기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되고 상기 희석액이 상기 플러그 부품을 거쳐 상기 내부 공동 안으로 들어감으로써 상기 동결 건조된 분말과 접촉하고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유효성분 농도 기울기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도록 상기 분말을 활성화시켜(activating)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로부터 흘러나오면서 전달 용액의 초기 흐름이 전달 용액의 나중 흐름보다 더 높은 유효성분의 농도를 가지고, 그럼으로써 혼합 및 전달이 동일한 단계에서 이루어지며 별도의 복원 단계가 불필요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4. 제1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동결 건조된 약품, 활성 동결 건조된 분말, 및 비활성 분말 중 하나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복원된 약물(reconstituted drug)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5. 제16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복원된 약물이 156 내지 163 구체예에 따른 장치로부터 얻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6. 제1 내지 제15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실질적으로 액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7.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 둘 다 약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8.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화학품(chemica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9.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 둘 다 화학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0.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매트릭스(matrix)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1.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알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2.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항체 단편(antibody fragment)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3.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마커(marker) 및 항체 단편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4.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운반체(carrier)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5.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및 알부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6.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진단약(diagnostic) 및 화학품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7.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이 약물, 화학품, 매트릭스, 알부민, 항체 단편, 마커, 운반체, 표적 분자(targeting molecule), 진단약, 및 희석액 또는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8. 제17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화학품이 상기 전달 용액의 반감기를 연장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9. 제1 내지 제17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의 예비-혼합(pre-mixing)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0.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불안정한 pH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1.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바람직하지 않은 pH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2.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특정한 저장기간기간을 지나면 불안정한 보관(storage)을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3.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특정한 저장기간을 지나면 바람직하지 않은 보관을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4. 제182 또는 제1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5. 제182 또는 제1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6. 제182 또는 제1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7. 제182 또는 제1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하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8.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불안정한 배합 속성(formulation attributes)을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9.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바람직하지 않은 배합 속성을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0.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증가한 응집(aggregation)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1.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증가한 결정화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2.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193.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미리 혼합하는 것이 규제 기관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unsupport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4.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원치않는 화학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5. 제17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너무 이른(premature) 화학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6. 제1 내지 제1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의해 정의된 용액 전달 장치 사용 방법에 있어서:
a)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을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으로 채우고;
b) 상기 장치의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용기 부품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플러그 저면이 상기 제1 성분으로부터 간격을 두도록(spaced from) 배치하고;
c) 상기 장치가 제1 작동 모드에 있을 때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고(acting on);
d)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완전히 안착 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저면이 상기 제1 성분에 실질적으로 인접한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이동시키고; 그리고
e) 상기 제2 성분을 상기 플러그 부품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안으로 흐르게하여 상기 제1 성분과 접촉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충분히 혼합되어 별도의 혼합, 교반, 복원, 또는 프라이밍 단계가 필요없이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97. 제19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의 소정의 분량으로 채우는 단계가 바이알 충진 어셈블리 라인(vial-fill assembly line) 과정으로 완수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98. 제196 또는 제19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용기 유출 캡을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고,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제1 성분으로 채우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 부품이 실질적으로 반듯이 세우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199. 제19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용기 부품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가 통풍 틈(vent gap)을 감안하고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이 주위 대기와 유체연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0.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동결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1.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스프레이-건조(spray-drying)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2.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스프레이-동결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3.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대량(bulk) 결정화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4.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진공 건조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5. 제196 내지 제19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에서 상기 제1 성분에 조치를 취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기포 건조(foam drying) 과정을 거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6. 제196 내지 제20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의 저면을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에 접경(abutting)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7. 제196 내지 제20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소리가 나게하는(snapping)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8. 제196 내지 제20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용접(weld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09. 제196 내지 제20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용기 부품 내에 결합(bonding)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0. 제207 내지 제20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쉽게 변경할 수 없게 하는(tamper-proofing) 것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1. 제21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쉽게 변경할 수 없게 하는 상기 단계가 상기 결합 표면을 내부적으로(internally)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2. 제21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를 쉽게 변경할 수 없게 하는 상기 단계가 외벽을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결합 벽 근처에 배치하고, 상기 결합 표면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3. 제196 내지 제21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하는 단계가 상기 제2 성분을 담은 주사기를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2 성분을 상기 내부 유료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안으로 주입하기 위하여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작동시키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4. 제196 내지 제21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저장고 내에 사용 가능하게 배치된 플런저를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 선택적인 유체연통 가능하게 배치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5. 제213 또는 제21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가 주입기를 작동시키는 것을 더 포함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장치가 사용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6. 제21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를 작동시키는 단계가 상기 주입기의 기부에 힘을 가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7. 제21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의 말단부에 힘을 가하는 단계가 플런저 스프링의 치우침(bias)으로 상기 플런저를 말단으로 이동시키기 위해 작동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8. 제217 구체예에 있어서, 상가 주입기가 작동되었을 때 상기 플런저 스프링이 압축되었을 때 상기 용수철의 물리력이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밀봉하는 막(membrane)을 극복하기(overcome) 충분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플러그 부품 안으로 흐르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19. 제21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상기 압력에 의하여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0. 제217 내지 제21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에 작용하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의 치우침으로 상기 막과 접촉하도록 이동되는 피어싱 팁(piercing tip)에 의해 상기 막이 극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1. 제196 내지 제21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가 제1 용액 전달 장치의 상류로(upstream) 제2 용액 전달 장치를 연속으로 연결하고 그리고 상기 제2 용액 전달 장치의 전달 용액에 의해 정의된 제2 성분을 상기 제2 용액 전달 장치로부터 상기 제1 용액 전달 장치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 안으로 향하게 하는 것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2. 제221 구체예에 있어서, 제4 성분을 담은 주사기를 상기 제2 장치의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하고 상기 제4 성분을 상기 내부 유로를 통해 상기 제2 장치의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안으로 주입하기 위해 상기 주사기의 플런저를 작동시켜 상기 내부 공동에 담긴 제3 성분과 혼합되고 그리고 그럼으로써 상기 제2 성분을 정의하는 제2 장치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3. 제22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이 동결 건조된 약품, 활성 동결 건조된 분말, 및 비활성 분말 중 하나이고; 그리고
상기 제2 성분이 희석액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4. 제22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3 성분 및 제4 성분이 약물, 화학품, 매트릭스, 알부민, 항체 단편, 마커, 운반체, 표적 분자, 진단약, 및 희석액 또는 그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5. 제196 내지 제22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상기 제2 성분을 미리 혼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 않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6.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불안정한 pH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7.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바람직하지 않은 pH를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8.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특정한 저장기간을 지나면 불안정한 보관을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29.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특정한 저장기간을 지나면 바람직하지 않은 보관을 가지는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0. 제228 또는 제22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5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1. 제228 또는 제22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30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2. 제228 또는 제22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한 시간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3. 제228 또는 제22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기간이 하루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4.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불안정한 배합 속성을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5. 제22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바람직하지 않은 배합 속성을 가진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6.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증가한 응집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7.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증가한 결정화를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8.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미리 혼합하는 것이 상온에서 불안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39.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을 미리 혼합하는 것이 규제 기관에 의해 지원되지 않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0.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원치않는 화학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1.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의 예비-혼합이 너무 이른 화학 반응을 야기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2. 제196 내지 제24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소정의 분량의 상기 제1 성분을 채우는 단계가 상기 용기 부품에 있는 상기 플러그 부품을 제1 작동 모드로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3. 제196 내지 제24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더 포함된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용기 유출 캡을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소정의 분량의 상기 제1 성분을 채우는 단계에 앞서 일어나고,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제1 성분으로 채우는 단계에서 상기 용기 부품이 실질적으로 반듯이 세우고, 그리고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밀봉하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4. 제24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성분에 작용하는 단계 도중에는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계속 결합한 있는 상태이고,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작용 단계 도중에 상기 장치를 실질적으로 반듯이 세우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5. 제243 또는 제24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도중에는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계속 결합한 있는 상태이고, 상기 용기 유출 캡이 상기 이동 단계 도중에 상기 장치를 실질적으로 반듯이 세우기 위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6. 제243 내지 제24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용기 유출 캡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7.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더 포함된 플러그 유입 캡을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용기 부품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8.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더 포함된 플러그 유입 캡을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용기 부품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배치하는 단계 다음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49.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더 포함된 플러그 유입 캡을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장치가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고 상기 제1 성분에 작용하는 단계 다음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0.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더 포함된 플러그 유입 캡을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하는 단계가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다음에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1. 제247 내지 제25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플러그 유입 캡을 제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2.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캐뉼라를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결합하게 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3. 제25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 이전에 실행되는 상기 캐뉼라의 피하 삽입(subcutaneous insertion)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4. 제196 내지 제24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흐르게 하는 단계 이전에 I.V. 라인을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연결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 방법.
255. 제1 내지 제19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의해 정의된 용액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6. 제255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용기 유출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7. 제255 또는 제256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플러그 유입 캡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8. 제255 내지 제25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캐뉼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59. 제25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가 상기 용기 부품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0. 제25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캐뉼라가 상기 용기 부품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일체형으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1. 제259 또는 제260 구체예에 있어서, 용기 유출 캡이 실질적으로 상기 캐뉼라 근처에서 상기 용기 부품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제거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2. 제255 내지 제26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저장고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3. 제26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상기 플러그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4. 제262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주사기에 의해 정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5. 제255 내지 제26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주입기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6. 제255 내지 제26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I.V. 라인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7. 제255 내지 제26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설명서(instructional material)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8. 제267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설명서가 제196 내지 제25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의해 정의된 방법의 실행 방법에 대한 설명을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키트.
269. 제1 내지 제19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 및 주입기의 조합.
270. 제26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주입기의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slidably)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1. 제269 또는 제270 구체예에 있어서, 차폐된(shielded) 캐뉼라 조립체(assembly)가 상기 장치의 상기 용기 부품의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에 설치되고,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체가 캐뉼라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2. 제269 내지 제27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밀봉하는 막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3. 제272 구체예에 있어서, 저장고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 결합되어 있고결합되어 있고고가 제2 성분을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4. 제27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상기 플러그 부품과 일체형으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5. 제27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저장고가 주사기에 의해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6. 제273 내지 제27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막이 실질적으로 상기 저장고 및 상기 플러그 사이에 배치됨으로써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밀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7. 제276 구체예에 있어서, 플런저가 상기 제2 성분에 작용하기 위해 상기 저장고 내에서 작동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8. 제277 구체예에 있어서, 플런저가 플런저 스프링에 의해 말단으로 치우쳐진(distally bias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79. 제278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 스프링이 상기 플런저 및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 근위의 하우징 캡 사이에 축의 방향으로(axially) 고정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0. 제273 내지 제27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 상기 저장고, 상기 막, 및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체가 함께 주입기 하위 부품(injector sub-assembly)를 구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1. 제28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하위 부품가 상기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2. 제28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하위 부품가 상기 하우징과 결합한 근위의 하우징 캡에 붙어 고정된 조립체 스프링에 의해 말단으로 치우쳐지고,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체의 기부를 누르는 것으로 상기 주입기를 작동시켜야 할 때, 상기 조립체 스프링에 맞선 상기 주입기 하위 부품의 축의 움직임이 상기 플런저 스프링을 압축하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를 상기 주입기 하위 부품 및 특히 상기 저장고에 관해 말단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3. 제276 내지 제28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상기 주입기 하위 부품의 근위의 움직임 및 상기 플런저 스프링의 증가한 힘에 의한 상기 플런저의 말단으로의 움직임으로 기능을 못하게 되도록 구성됨으로써, 상기 저장고에 저장되어있던 상기 제2 성분이 유출되고 그리고 상기 저장고로부터 흘러나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통해 상기 용기 부품 안으로 들어가게 하고, 그리고 그 곳에서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제1 성분과 혼합되고 상기 캐뉼라를 통해 배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4. 제2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실리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5. 제2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폴리에스테르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6. 제28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포일(foil)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7. 제283 내지 제28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다공성(perforated)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8. 제283 내지 제28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1 내지 1,000 미크론 범위의 두께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89. 제283 내지 제28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막이 압력에 의해 극복되어 상기 막이 파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0. 제283 내지 제289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에 부착되고 그리고 상기 플런저에 작용하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의 치우쳐짐으로 상기 막과 접촉하도록 이동되는 피어싱 팁에 의해 구멍이 뚫려(perforation) 상기 막이 극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1. 제269 내지 제290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상기 장치의 상기 조립체가 하나로 구성된(unitary)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2. 제269 내지 제29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상기 장치의 상기 조립체가 일회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3. 제269 내지 제29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주입기 내의 상기 장치의 상기 조립체가 사용 후 버릴 수 있는 것을(disposable)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4.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에피네프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5.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항히스타민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6.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항독소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7.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해독제(antivenom)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8.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모르핀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299.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날록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300.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포도당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301.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아스피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302. 제269 내지 제293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전달 용액이 아드레날린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조합.
303. 별도의 혼합, 교반, 복원, 또는 프라이밍 단계의 필요없이 전달 용액을 전달하기 위한 제1 내지 제19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의해 정의된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
304. 제30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전에 상기 제1 성분 및 제2 성분이 원치않게 미리 혼합되는 것을 방지하는데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5. 제303 또는 제304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하나 이상의 약물, 화학품, 매트릭스, 알부민, 항체 단편, 마커, 운반체, 표적 분자, 진단약, 및 희석액 또는 그의 조합을 혼합 및 전달하는데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6. 제303 내지 제305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하나 이상의 에피네프린, 항히스타민제, 항독소, 해독제, 모르핀, 날록속, 포도당, 아스피린, 및 아드레날린의 비경구 투약하는데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7. 제303 내지 제306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의료 응급 상황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8. 제303 내지 제30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인간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09. 제303 내지 제30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동물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0. 제303 내지 제311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원치않는 물질을 잡아내기 위해(capture) 상기 장치를 통해 지나가는 것으로 성분, 전달 용액, 또는 샘플 중 하나에서 원치않는 물질의 제거에 향한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1. 제310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원치않는 물질이 원치않는 화학품, 전염성의 물질, 및 불순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2. 제310 또는 제31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친화 칼럼(affinity column)과 유사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3. 제310 내지 제31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친화 용기(affinity container)로서 기능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4. 제31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친화 용기의 용량이 0.1 cc 내지 20.0 cc의 범위 내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5. 제310 내지 제31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 화학 포집(chemical capture)에 의해 완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6. 제310 내지 제31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 화학 변화에 의해 완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7. 제310 내지 제314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거가 기계적인 방법으로 완수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8. 제310 내지 제317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원치않는 물질을 제거한 이후에 상기 전달 용액을 비경구 투약하는데에 더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19. 제303 내지 제318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약물의 지속적인 주입(infusion)을 하는데에 더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0. 제31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된 제1 성분으로 선택된 제한된 용해도를 가진 약물에 더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1. 제319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된 제1 성분으로 선택된 느리게 용해되는 제제(formulation)를 가진, 상당한(significant) 부작용을 가진 약물에 더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2. 제320 또는 제321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에 연결된 I.V. 라인을 통해 공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3. 제303 내지 제322 구체예 중 어느 한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혼합된 복수의 치료제(treatment)를 실질적으로 동시에 전달하는데에 더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4. 제323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도가 연속으로 연결된 제1 용액 전달 장치 및 제2 용액 전달 장치에 향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도.
325. 구체예 323 또는 구체예 324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상기 약물과 연관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용도를 나타내는 마취제와 결합한 약물의 투약에 대한 지시가 더 추가된다.
326. 구체예 325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부작용은 상기 약물의 투약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통증, 가려움, 및 신경 증상이다.
327. 구체예 323 또는 구체예 324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상기 약물과 연관된 부작용을 감소시키는 용도를 나타내는 소염제와 결합한 약물의 투약에 대한 지시가 더 추가된다.
328. 구체예 327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부작용은 상기 약물의 투약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통증, 발열, 면역 반응 및 염증이다.
329. 구체예 323 또는 구체예 324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결합에서 상승 효과를 가지는 두가지 약물의 투약에 대한 지시가 더 추가된다.
330. 구체예 329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약물들은 두 가지 다른 통증 약물들이고 상기의 상승 효과는 다른 활성 메커니즘을 가지는 각각의 약물이다.
331. 구체예 329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약물들은 다른 PK 또는 PD 프로파일을 가진다.
332.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1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정해진 복용 결합의 실질적인 동시 투약에 대한 지시가 더 추가된다.
333.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1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체중-기반 복용 결합의 실질적인 동시 투약에 대한 지시가 더 추가된다.
334.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05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비-주사제용 의학적 치료에 관한 것이다.
335. 구체예 334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국소 처리법에 관한 것이다.
336. 구체예 335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코로 전달하는 것에 관한 것이다.
337. 구체예 336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흡입에 관한 것이다.
338.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알러지 반응의 치료에 관한 것이다.
339.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독소에 노출된 치료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0.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신경독에 노출된 치료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1.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뱀에 물린 치료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2.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통증 관리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3.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오이오피드 과다복용의 치료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4.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3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심근 경색의 치료에 관한 것을 더 포함한다.
345.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05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실험적인 진단에 관한 것이다.
346. 구체예 345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시약으로 작용하는 작은 부피의 동결 건조된 화학물질에 관한 것이다.
347.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05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제조 과정에 관한 것이다.
348. 구체예 303 내지 구체예 34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용도에서, 상기 용도는 구체예 196-254 중 어느 한 구체예에서 정의된 방법으로 구성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은 다음과 같이 추가로 기재될 수 있다:
1. 다음과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지는 용액 전달 장치:
선결된 용량의 제1 성분을 담기 위하여 선택된 크기로 중심부로-확장된 결합 벽 및 내부 공동을 가진 용기 부품, 상기에서 결합 벽은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lip)에 근위적으로 종결되고, 상기 용기 부품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를 가진 말단부를 추가로 가지는 용기 부품;
적어도 제1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과 함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부품, 상기 플러그 부품은 중심(proximal) 단부, 말단부, 및 상기 중심 단부 및 말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개방 결합 홈으로 형성된 외면을 가진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 및 말단부는 함께 플러그 둘레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은 중심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 및 유입 커넥터 포트로부터 플러그 둘레부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로의 유로를 가지며, 플러그 말단 표면으로 말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부품; 및
길다란 혼합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길다란 채널 벽, 상기 채널 벽은 벽 상면을 가지고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위치하는데 결과적으로 상기 혼합 채널은 실질적으로 바닥에 근접하게 되고 상기 벽 상면에 인접한 개구부를 가지며, 상기 혼합 채널은 상기 플러그 유출포트와 함께 유체 연통에서 유입 단부를 가지고 유출 커넥터 포트와 함께 유체 연통에서 유출 단부를 가지는 채널;로 구성되는 용액 전달 장치,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은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삽입되는데 그것은 결과적으로 상기 플러그 말단 표면이 상기 벽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별히 상기 혼합 채널 및 주변 공기 사이에 상기 유체 전달 기능을 할 수 있게 되며;
상기에서,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은 상기 플러그 부품과 대향하는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위치하게 되는데 그것은 결과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 및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결합 홈을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lip)으로 결합함에 의해, 완전히 제2 작동 모드에서 함께 조합될 때, 상기 플러그 말단 표면은 상기 벽 상면을 접촉하고 실질적으로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의 상단에 근접하게 되는데 이것은 제1 성분에 대한 유일한 접촉 기회가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 및 유출 단부에 의해 제공되며; 그리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장치로 유입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제2 성분을 강제하는 것은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유로를 통하여 흘러가게 하고 플러그 유출 포트로 나가게 하여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 속으로 들어가게 하는데 이것은 제1 성분과 혼합을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들은 분리된 혼합, 교반, 복원, 또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 없이, 유입 포트로부터 유출 단부까지 혼합 채널을 함께 통과함으로써 충분히 혼합되고 나서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으로서의 유출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 구체예 1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은 상기 결합 홈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 말단을 추기로 포함하고, 상기에서 플러그 부품을 가진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기 유지 립이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상에 안착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걸려있다.
3. 구체예 2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결합 홈은 근위(proximal) 반경 방향-외측으로 확장되는 플러그 플랜지 및 말단 오프셋 유지 립 사이에 형성한다.
4. 구체예 1-3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용기 부품은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로 유체 연통을 하기 위하여, 내면을 가진 기저벽 및 기저벽의 내면에 형성된 상호 연결 홈을 추가로 포함한다.
5. 구체예 4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상호 연결 홈은 상기 용기 부품 기저벽을 따라 실질적으로 길이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체 연통이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이며, 그에 따라 상기 혼합 채널은 플러그 유출 포트 및 유출 커넥터 포트 사이에 간접적인 유로를 제공한다.
6. 구체예 1-5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용기 부품은 상기 상호 연결 홈과 선택적인 유체 연통이 있기 위하여 기저벽 내면 또는 측벽의 외면 중 하나에 형성된 분배 홈을 추가로 포함한다.
7. 구체예 6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분배 홈은 상기 기저벽이 유단 (stepped) 내부 보어(bore)를 가지기 위하여, 상기 기저벽의 내면에 상부를 향하여 개방된 계단으로 형성된다.
8. 구체예 1-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외면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결합 벽의 용기 부품 말단 기저벽의 내면의 용기 안착부에 대향하여 안착하기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안착부를 가지게 형성된다.
9. 구체예 8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는 맞춤형(net-fit) 결합을 위하여 설계된다.
10. 구체예 1-9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에서 용기 부품의 기저벽이, 근위적으로 확장된 결합 벽을 가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외측으로 연장되는 용기 플랜지에서 근위적으로 종결된다.
11. 구체예 1-10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은 비교적 더 작은 직경 말단 플러그 안착부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 중심 플러그 결합부를 분리하는 말단으로-향하는 단턱부에 의해 형성된 유단(stepped) 측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결합 립으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까지의 거리는 실질적으로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까지의 거리와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용기 부품 내에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상기 결합 홈 내에 결합 립을 결합시키면,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가 실질적으로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한다.
12. 구체예 10 또는 구체예 11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 설치된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까지 거리는 상기 단턱부로부터 플러그 부품의 말단부까지의 거리와 등가이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플러그 부품을 조립함에 의해 결과적으로 용기 부품의 결합 립이 플러그 부품의 결합 홈 내에 체결되고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는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게 되는데 이것은 실질적으로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저면을 용기 부품의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에 대향하게 안착시키고 실질적으로 상기 혼합 채널의 상단에 밀접하게 하는데 이것은 추가적으로 플러그 유출 포트와의 유동 소통에서 유입 단부 이외 다른 혼합 채널을 봉인하게 한다.
13. 구체예 10-12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벤트 홀은 기저벽의 반경 방향-외측으로 용기 플랜지 내에 형성되는데, 그것에 의하여 용기 부품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상기 플러그 부품을 가진 제1 작동 모드에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벤트 홀을 통하여 적어도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과 주변 대기 사이에 유체 연통이 있다.
14. 구체예 1-13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은 가요성이 있으며, 상기 장치를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완전히 조립된 상기 플러그 부품을 가진 제2 작동 모드로 바꾸는 데에는 상기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을 반경 방향-외측 유지 립에 상대적으로 근접하게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유지 립을 지나 그 근위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안착한다.
15. 구체예 1-14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반경 방향-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은 가요성 다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의 일부를 정의한다.
16. 구체예 15에 따른 장치에서, 상기 가요성 다리는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오프셋 세로 눈금(notches)에 의해 경계되는(bounded) 결합 벽의 일부로 정의된다.
17. 구체예 1-16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은 내부 유로를 가진 유체 연통 내에서 말단-개방 인서트 수용 공동을 가진 플러그 말단부에서 형성되고; 그리고
플러그 인서트가 상기의 인서트 수용 공동 내에 수용되고, 상기 플러그 인서트가 유로와 유체 연통하기 위하여 적어도 하나의 수평 홈을 가진 상면 및 상기 수평 홈과 교차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홈을 가진 외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 위치 홈은 추가로 플러그 인서트의 말단-방향 바닥 면을 추가로 교차하고, 상기 수직 위치 홈은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를 정의하고 아랫면은 플러그 말단 표면을 정의한다.
18. 구체예 1-17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상기 용기 부품은 용기 색인 면으로 형성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은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안착될 때, 상기 용기 색인 면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색인 면으로 형성되며, 그것에 의하여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는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위치하게 된다.
19. 구체예 1-18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용기 유출 캡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함께 선택적인 밀봉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설계되고,
유출 캡 벽부를 구비한 상기 용기 유출 캡은 유출 캡 기저면을 정의하는 유출 캡 베이스 내 말단에서 종결되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기 유출 캡 기저면과 유출 캡 주변을 정의하는 상기 유출 캡 벽부는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가 상기 용기 유출 캡 상에 수직으로 서 있을 수 있게 한다.
20. 구체예 1-19 중 어느 한 구체예에 따른 장치, 상기에서:
상기 제1 성분은 실질적으로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 중 한 가지이고; 그리고
제2 성분은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이다.
21. 구체예 1-20 중 어느 한 구체예로 정의되는 용액 전달 장치를 적용하는 방법, 상기 방법은 다음과 같은 단계로 구성된다:
a.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선결된 용량의 제1 성분을 충진하는 단계;
b. 상기 장치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위치시키고 상기에서 플러그 말단 표면은 상기의 제1 성분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게 하는 단계;
c.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로 제1 성분에 작동하는 단계;
d.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에 대하여 상기 플러그 부품을 이송하는 단계로서 상기에서 플러그 부품은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완전히 안착시키고 상기 플러그 말단 표면은 실질적으로 제1 성분에 인접하게 위치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제1 성분을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부품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성분을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속으로 유동시키는 단계;
로 이루어지는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에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은 독립적인 혼합, 교반, 복원(reconstituting), 또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를 거칠 필요없이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데에 있어서 충분히 혼합된다.
22. 구체예 21에 따른 방법, 상기 제2 작동 모드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이송하는 단계는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스냅핑(snapping)하는 단계로 구성된다.
23. 구체예 21 또는 구체예 22에 따른 방법, 상기에서 제2 성분을 유동시키는 단계는 주사기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추가로 포함하는데, 상기에서 장치는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된다.
24. 주사기와 결합한 구체예 1-20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
25. 구체예 24에 따른 결합, 상기에서 장치는 주사기의 하우징 내에 미끄러지기 쉽게 설치된다.
26. 구체예 24 또는 구체예 25에 따른 결합은, 상기 장치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봉인하는 막 또는 플러그 중 하나를 추가하여 구성된다.
27. 구체예 24-26 중 어느 한 가지에 따른 결합, 상기에서 저장고 (reservoir)는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 맞물려있고, 상기 저장고는 제2 성분을 담고 있다.
28. 구체예 27에 따른 결합, 상기에서 플런저(plunger)는 상기 제2 성분에 작용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고 내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는 플런저 용수철에 의해 말단으로 편향되어 있다.
29. 구체예 27 또는 구체예 28에 따른 결합, 상기 장치, 상기 저장고, 상기 막 또는 상기 플러그와 차폐된 캐뉼라(cannula)의 조립은 상기 하우징 내에 미끄러지기 쉽게 설치된 주사기 하위-부품으로 구성되고,
상기 주사기 하위-부품은 상기 하우징과 맞물린 근위 하우징 캡에 대향하여 고정된 조립 용수철에 의해 말단으로 편향되어 있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주사기가 차폐된 캐뉼라 조립 상에서 근위적으로 밀어냄에 의해 활성화되어야 할 때처럼 상기 부품 스프링에 대향한 상기 주사기 하위-부품의 축 운동은 플런저를 압축하고 상기 주사기 하위-부품 및 특히 저장고에 비교적 멀리 상기 플런저를 이송하며,
상기 막 또는 플러그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의 증가된 힘 아래에서 상기 플런저의 말단 운동과 주사기 하위-부품의 근위적 운동에 실패하도록 설계되어,
그것에 의해 상기 저장고에 저장된 제2 성분은 자유롭게 되어 저장고 밖으로 유동이 강제되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용기 부품 속으로 유동되고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자리잡은 상기 제1 성분과 혼합된 후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의 캐뉼라를 통하여 유출된다.
30. 바로 위에서 언급한 구체예 1-29 중 어느 하나에 따른 상기 장치, 방법, 또는 결합은 보다 먼저 기재된 구체예 1-348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하나 이상의 특징 또는 관점과 결합된 것이다.
실시예
하기의 비-제한적인 실시예들은 개시된 본 문제의 보다 완벽한 이해를 가능하게 하기 위한 구체적인 목적을 위하여 제공되었다. 이러한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구체예들 중 어느 하나에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되며, 용액 전달 장치, 용액 전달 장치로 구성되는 키트, 및/또는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를 형성하거나 사용하기 위한 용도에 관계되는 것을 포함한다.
실시예 1
관절염 약물이 자가-주사
이 실시예는 류마티스성 관절염에 관련된 증상의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실증한다.
56세 여성은 류마티스성 관절염과 관련된 관절 통증 및 다른 증상으로 만성적으로 고통을 받고 있었다. 규정된 치료는 제품명 엔브렐®로 판매되는 TNF-차단제 이타너셉트의 주 1회 자가-주사 50 mg 또는 1 ml (50 mg/ml)이다. 상기 환자는 대략 분기별로 그녀의 자택에 12 복용량의 수송이 도달할 수 있도록 그녀의 류마티스 전문의로부터 상기 약물의 자가-리필 처방을 가진다. 상기 12 복용량의 각각은 분말 형태인 이타너셉트의 필수 복용량이 함유된 미리-충진된 용액 전달 장치로 구성되며, 상기 장치는 한쪽 끝에 미리 설치된 피복된 캐뉼라를 가지고 있다. 미리 충진된 주사기는 또한 상기 동결건조된 이타너셉트를 복원하기 위하여 필수 용량의 희석액을 함유한 12 복용량 각각을 포함한다. 상기 관절염 약물의 자가-복용에 있어서, 상기 환자는 단순히 상기 전달 장치에 미리-충진된 주사기에 연결하고, 상기 캐뉼라를 노출시키기 위하여 주사기 말단으로부터 상기 캡을 제거하고, 피부 속으로 상기 캐뉼라를 삽입하고, 전형적으로 복부 또는 넓적다리에, 상기 주사기 플런저를 완전하게 전진시킴에 의해 피하 약물이 주입을 투약하는데, 이것은 결과적으로 상기 이타너셉트 복용의 빠른 복원 및 전달을 야기시킨다. 상기의 캐뉼라는 그런 다음 주입 부위로부터 제거되고 전체 장치는 날카롭거나 다른 그러한 바이오해저드 용기 내에서 처리된다.
실시예 2
암 약물의 공동-투여
본 실시예는 다발성 항암제 치료에 있어서의 공동-투여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3가지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췌장암으로 고통받는 69세 남성은 격주로 다발성 항암제의 화학용법 양생법을 받고 있다. 상기 환자는 상기 약물이 100 mg/ml/day의 일반적인 속도로 지속 주입되는 연결된 I.V. 라인을 통하여 공동투여되게 하기 위하여 설치된 포트를 가진다. 종양-침투 펩티드, iRGD (CRGDK/RGPD/EC)는 종양-특이적이고 뉴로필린-1-의존 매너에서 혈관 및 조직 침투력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공동-투여되고, 상기 공동-투여된 약물은 혈관 밖의 종양 조직 속에 보다 용이하게 침투하는 것을 허용한다. 중요하게, 이러한 효과는 상기 항암제가 상기 펩티드에 화학적으로 컨쥬게이트 되는 것을 필요로 하지 않았다. iRGD를 사용한 체계통적 주사는 이에 따라서 작은 분자(독소루비신), 나노입자들(냅-팩리타셀 및 독소루비신 리포좀), 및 단일클론성 항체(트라스투즈맵)을 포함한 다양한 조성물의 항암제의 치료적 지표를 향상시키고, iRGD의 공동투여는 항암제의 부작용을 감소시키면서 항암제의 효능을 강화시키기에 상기 환자의 종양전문의에 의해 처방된다. 따라서, 분말 형태로 선택된 두 가지 항암제를 함유한 첫 번째 및 두 번째 장치들은 역시 분말 형태인 상기 iRGD를 함유한 세 번째 전달 장치로 연결되며, 상기 장치의 최후 또는 가장 말단이 상기 포트에 선두적인 I.V. 라인 루어 연결 장치에 연결되었다. 펌프된 희석 소스는 첫 번째 또는 가장 근위의 전달 장치에 연결되고 하나하나씩 복원되기위하여 작동되며, 상기 상류 복원 약물은 또는 펩티드는 그런 다음 복원되기 위하여 제공되거나 각각의 그 다음의 분말를 용액 내에 넣고, 그런 다음 궁극적으로 상기 환자의 포트를 통하여 상기 항암제 및 펩티드를 공동 투여한다.
실시예 3
액체 아스피린의 자가-주사
본 실시예는 심혈관계 증상에 대응한 액체 주사가능한 아스피린의 자가-투여에 있어서 본원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주사기는 아스피린 및 트레할로오스의 동결 건조된 혼합물 (Lyo A/T)을 함유한 용액 전달 장치로 설계되고 아주 작은 5 ml 복용량을 함께 전달하는 스프링-편향된 플런저를 가지 선-충진된 저장조로 연속해서 연결된다. 상기의 Lyo A/T는 아스피린과 같이 비-스테로이드성 소염제(NSAID)로 알려진 소염제 및 진통제 효과를 제공하는 용도를 나타내는데, 소염제 효과를 유지하면서 동시에 아포프토시스(apoptosis)를 저해하기 위하여 상기 트레할로오스는 상기 아스피린과 결합되어 작용한다. 잠재적으로 심근 경색 또는 심각한 편두통을 나타내는 심혈관계 증상이 발병한 55세 남성은 넓적다리에 자신이 직접 찌르는 방법에 의해 상기 주사기의 활성을 통한 단일 단계에서 상기 주사기를 이용하고, 상기 Lyo A/T를 복원하고 투여하며, 그렇게 함으로써 필요로 하는 만큼의 추가적인 의학적 치료가 투여될 때까지 그의 증상으로부터 일시적인 안정을 받는다.
실시예 4
전장에서 신경독 치료
본 실시예는 신경독 노출 치료에 있어서 아트로핀 투약 영역에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중동에 전개된 군사적인 파병은 화학전의 대상이 되었으며, 수많은 병사들이 치명적인 신경독 제제인 사린에 노출되었고 즉각적인 치료가 시급한 실정이다. 주사기는 근육 주사에 의해 각각 소량의 아트로핀 2 mg을 전달하기 위하여 설계된 유닛에 의해 전장에서 수송되는데, 상기 아트로핀은 상기 무스카린성 아세틸콜린 수용체에 대하여 아세틸콜린으로 대립하고 이렇게 하여 신경계에 작용하는 물질이 중독되는 동안 과량의 아세틸콜린이 축적되는 것을 보호하는데 도움을 주며 그렇게 함으로써 그것의 효과를 역전시키고, 상기 아트로핀을 재빨리 복원하여 투여하는데 사용되어 감염된 병사들의 생명을 구한다. 상기 초기, 즉각적인, 생명을 구하는 주사를 넘어서서, 추가적인 주사가 마찬가지로 병사들의 건강을 유지하고 안정화시키기 위하여 투여되었으며, 각각의 그러한 복용량은 편리하게 자가-투여되거나 일반적으로 훈련되지않거나 비-의료 전문가에 의해 투여되었으며 그러한 주사기들은 상기의 동결 건조된 아트로핀을 함유한 용액 전달 장치로 설계되었다.
실시예 5
해독제 자가-주사
본 실시예는 뱀에 물린 후의 해독제의 자가-투여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22세 여성은 숲 속에서 홀로 하이킹을 하다 오솔길에 있는 통나무를 건너면서 예기치못하게 방울뱀을 조우하였는데 그 방울뱀이 그녀를 공격하며 왼쪽 종아리를 물었다. 그녀는 그 뱀을 피해 도망쳤고 그녀의 백팩에 있었던 주사기를 뱀에 물린 자국에 가지고 갔다. 상기 주사기는 소량인 0.2 ml의 냉동-건조된 다원자가 해독제, 보다 구체적으로 언급하자면 제품명 CroFab®로 생산되고 판매되는 crotalidae polyvalent immune fab (ovine) 뱀 해독제를 함유한 용액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있었는데, 그것은 즉각적으로 상기 하이커에 의해 그녀의 왼쪽 종아리에 찔려져서 신속히 상기 해독제를 복원하고 투약되게 하였으며 그렇게 함에 의해 실질적으로 상기 독과 결합하고 중성화함으로써 상기 독을 해독하게 되었고, 완전한 의학적 조치가 제공될 때까지 물린 상처로부터 발생될 수 있는 증상을 약화시키고 추가적인 위해를 예방할 수 있었는데, 상기의 해독제는 상기 하이커가 거의 2년 전에 상기 주사기를 구매하였음에도 불구하고 동결건조되거나 냉동-건조된 약물은 및 기타 그러한 제제와 관련하여 비교적 자기-생명을 연장하게 하는 효과를 유지하게 하였다.
실시예 6
오이피드 약물은 과다복용의 치료
본 실시예는 오이피드 약물은 과다복용의 치료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한 어머니가 그녀의 십대 아들의 침실에 들어갔다 바닥에서 의식을 잃고 쓰러진 그를 발견하게 되었다. 그녀는 주위에 그녀의 처방 진통제인 제품명 비코딘®이 있는 것을 보았고, 그녀는 그녀의 아들이 자살 기도를 하였다는 것을 깨달았다. 그녀는 부엌으로 달려갔고 제품명 Evzio®로 판매되는 염산날럭손 2 mg을 함유한 용액 전달 장치로 설계된 주사기를 꺼내서, 그녀의 아들에게 돌아온 다음, 아들의 복복 속으로 상기 주사기를 찔렀으며, 상기 주사기 바늘을 통하여 그녀 아들의 피하 조직 속으로 신속하게 상기 분말 날럭손이 복원되고 상기 약물이 전달되었다. 비록 즉각적인 의식의 회복은 없었지만, 떨어졌던 그의 심장 박동 및 호흡이 눈에 띄게 위험한 수준에서 증가하였고 그는 대체적으로 보다 안정을 되찾았다. 상기의 어머니는 두 번째 주사기를 가지고 있었으며, 필요한 경우라면 2 또는 3분 이내에 2 mg의 날럭손을 추가로 투여할 수 있으며, 전체적으로 10 mg 까지 투여가 가능하다는 것을 알고 있었다. 그녀는 그런 다음 911을 불렀고 전문 의료 지원이 도착할 때까지 그녀 아들의 바이탈을 주의깊게 모니터링하였다. 마침내 그녀의 아들은 특히 초기에 감사하게도 구조되었고 실질적으로 보유한 주사기 덕분에 안전 장치가 되어있는 날럭손 투약이 가능하였다.
실시예 7
자가-주사에 의한 저혈당증의 치료
본 실시예는 저혈당증 사례에 있어서 포도당의 자가-주사에 있어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당뇨병을 가진 한 45세 여성은 어느 날 밤에 안절부절한 상태였으며, 덥고 배가 고픈 채로, 스낵을 먹기 위하여 부엌으로 내려갔다. 냉장고에서 무언가를 미처 발견하기도 전에 기운이 없어짐을 느끼면서 그녀는 의자에 앉았다. 곧 그녀은 그 의자에 누웠고 점점 더 강하게 기운이 떨어지면서 그녀 자신이 땀투성이가 것을 느끼면서 그녀는 자신이 "당뇨성 크러쉬"를 가지게 되거나 또는 저혈당증으로 고통받고 있다고 생각하기 시작했다. 그녀는 자러가기 전에 인슐린 주사를 맞았고 그녀의 식욕은 그 전날 매우 좋지 않았다는 기억은 그녀의 혈당이 매우 떨어져서 "인슐린 쇼크"의 경계선상에 있게 되었다는 공포를 느끼게 하였다. 그녀는 다행스럽게도 의자 근체 탁자 끝에 있는 포도당 주사기에 손을 뻗어서 잡을 수 있었고 그녀의 넓적다리 속으로 그것을 찔러 상기 주사기 내에 설치된 용액 전달 장치 내에 있는 분말 형태로 함유된 상태인 수용액으로부터 결정화된 소량의 생명-구조 5 mg의α-글루코피라노오스를 자가-투약하였다. 상지 주사된 포도당은 그녀의 혈당 수치를 뒤로 되돌려, 허용가능한 식전의 혈중 포도당 범위인 4.0 에서 6.0 mmol/L (72 to 108 mg/dl)까지로 증가시키기 시작하였으며, 추가적으로 가정에서의 포도당 테스트에 의해서 확정되었다. 그녀는 그런 다음 잠재적으로 체크되지 않았던 저혈당증의 치명적인 영향과 그 반대상황을 피하면서, 그녀의 당뇨병을 규제하고 조절할 수 있었으며 식이요법과 약물을 통한 조절하에서 혈당을 감소시킬 수 있었다.
실시예 8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서 약물의 공동-주입
본 발명은 다발성 경화증의 치료에서 약물의 공동-주입에 있어서, 본 발명의 관점에 따른 연속한 두 가지 용액 전달 장치의 용도를 입증한다.
다발성 경화증을 앓고 있는 36세 여성은 피하 또는 근육으로 인터페론 베타 b 주사를 포함한 일상적인 식이요법 조절을 진행하고 있었는데, 이것은 뇌에서 전- 및 소염제의 발현을 조절하고 그에 따라 혈액 뇌 관문을 통과하는 염증 세포 수를 감소시켰다. 인터페론 베타 b는 주사 부위에서 즉각적으로 또는 시간을 초과해서 피부 반응을 야기시키는 것으로 알려져 있는데, 이것은 피부 괴저를 포함할 수 있기에, 예방차원에서 해독제가 공동-주입되어야 한다. 따라서, 제1 및 제2 전달 장치는 연속해서 제공되고 연결되며, 단독 또는 인간 혈청 알부민과 결합한 분말 형태인 상기 인터페론 베타 b를 함유한 캐뉼라에 가장 밀접한 상기 제1 장치 및 상기 제1 장치의 상류인 제2 장치 및 상기 희석액 전달 주사기는 상기 피부 반응 예방 해독제를 함유하며 연결되어 있다. 상기 주사기 플런저의 활성화는 제2 용액 용기 장치 속으로 상기 해독제를 복원하기 위하여 주입을 위한 증류수와 같은 희석액을 강제하는데, 그것은 조성물을 복원하고 그런 다음 상기 인터페론 베타 b를 복원하거나 가용성으로 하기 위하여 상기 제1 전달 장치 속으로 통과하고, 그렇게함에 의해 신속하고 편리하게 잠재적으로 괴사로 까지 갈 수 있는 그것의 가장 일반적인 부작용인 피부 자극을 예방하고 감소시키는 목적을 가진 해독제와 함께 초기 MS 약물이 복원되고 공동 주입된다.
마지막으로 한마디 한다면, 비록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관점이 특이적인 구체예를 언급한 것에 강조되었음에도 불구하고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은 이러한 개시된 구체예들이 단지 여기에 기재된 본 문제의 원칙을 설명하는 것으로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기 기재된 본 발명은 여기에 묘사된 특정한 기구, 방법, 설계, 크기, 형태, 구조 물질, 초안 등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정신과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현재 알려진 그러한 기술 또는 이후 개발된 기술 그러한 어떠한 결합을 모두 포함한다. 예를 들어서, 상기에 언급된 본 발명에 대한 선택적인 설계 또는 다양한 변형 또는 변화는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의 정신 및 영역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여기에 기재된 설명에 따라 만들어질 수 있다. 상기 도면은 도식으로서 정의되는지 여부와 상관없이 분명히 그렇게 나타내지 않는 한 어떠한 특정 크기를 스케일 하거나 청구하는 것이 아니다; 오히려, 달리 명시되지 않은 한, 상기 도면은 본 발명과 관련하여 구조 및 개념을 전달하기 위한 것이다. 마지막으로, 여기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단지 특정 구체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사용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할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정확하게 상기에서 표시되고 기재된 것에 한정된 것이 아님을 밝혀두는 바이다.
여기에 기재된 본 발명의 어떤 구체예는 본 발명을 수행하기 위하여 본 발명자에 알려진 최상의 모드를 포함한다. 물론 상기에 기재된 구체예들에 대한 변형이 상기 기재를 읽은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전문가에게 자명하게 될 수도 있다. 본 발명자는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전문가들이 그러한 적절한 변형을 사용할 것을 기대하며, 본 발명에 대하여 특별하게 여기에 기재된 이상의 다른 실행이 될 수 있음을 생각한다. 따라서, 본 발명은 허용가능한 법에 의해 허락되는 한 여기에 나타난 청구항에서 인용된 본 발명의 모든 변형 및 등가물을 포함한다. 나아가, 상기 언급된 구체예의 가능한 모든 변형에서의 어떠한 조합도 본문에 의해 명백하게 부인되거나 다른 반대의사 표시가 없는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할 것이다.
본 발명의 선택적인 구체예, 구성요소, 또는 단계들의 그룹들은 제한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각각의 그룹 인자들은 개별적으로 또는 여기에 기재된 다른 그룹 인자들과 함께 결합하여 언급될 수 있다. 그룹의 하나 이상의 인자들은 편리성 및/또는 특허성의 이유로 포함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그러한 포함 또는 삭제가 발생되는 경우, 상기 발명의 상세한 설명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된 모든 마쿠쉬 그룹의 변형된 기재 내용으로서 상기 그룹을 포함하는 것으로 간주된다.
별도의 표시가 없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특징, 항목, 수량, 파라미터, 성질, 용어 등등을 표현하는 모든 숫자들은 "약(about)"에 의해 모든 사례에서 변형되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여기에 사용된 것과 같이, 상기 용어 "약(about)"은 그렇게 한정된 특징, 항목, 수량, 파라미터, 성질, 또는 용어는 상기 주장된 특징, 항목, 수량, 파라미터, 성질, 또는 용어 값의 플러스 또는 마이너스 10 % 이상 및 이하의 범위를 포함한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반대의 표시가 없으면, 상기 숫자 파라미터들은 발명의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가 다양해질 수 있다는 것을 제시한다. 적어도, 본 청구범위의 범위에 대한 등가물에 대한 원칙의 출원을 제한하기 위한 시도로서가 아닌, 개개 숫자적 표시는 적어도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 일반적인 적용에 의하여 그리고 보고된 유효 숫자의 수를 고려하는 것으로 해석된다. 본 발명의 넓은 범위를 제시하는 수치적 범위 및 값들이 근사치임에도 불구하고, 상기 특이적 실시예에서 제시한 수치적 범위 및 값들은 가능한한 정확하게 보고된다. 그러나, 어떠한 수치적 범위 또는 값은 내재적으로 개별 실험 측정에서 발견되는 표준 편차에 기인하여 필수적으로 어떠한 오차를 포함한다. 여기에서의 값들에 대한 수치적인 범위의 인용은 단순히 각각의 개별 수치적 값을 범위 내에서 개별적으로 언급하는 약칭 방법으로서 제공되고자 한다. 여기에 별도의 표시가 없는 한, 수치적 범위의 각 개별 값은 만약 그것이 개별적으로 여기에서 인용되는 경우라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속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을 기술하는 본문에 사용된 용어인 "a," "an," "the" 및 상기와 유사한 것들은(특별히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본문에서), 본문에서 명백하게 반대 표시가 있거나 다른 표시가 없는 한, 모두 단수 및 복수를 나타내기 위하여 사용된 것으로 해석된다. 본문에서 명백하게 반대 표시가 있거나 다른 표시가 없는 한, 여기에 기재된 모든 방법들은 적당한 순서에서 실행될 수 있다. 여기에 제공된 어떠한 및 모든 실시예들, 또는 예시적인 언어(예컨대, "~와 같은")는 단순히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의도로 기재된 것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기 위한 의도가 아님을 밝힌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기재된 어떠한 언어도 본 발명의 실행에 있어 청구되지 않은 필수 구성요소를 나타내기 위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여기에 기재된 특이적 구체예는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 또는 "~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을 사용한 청구범위에 추가로 한정될 수 있다. 상기 특허청구범위에 사용되는 경우, 청구되거나 보정에 의해 추가되는 경우, 상기 변천 용어인 "~로 구성되는(consisting of)"은 상기 특허청구범위에서 특정되지 않은 요소, 단계, 또는 성분을 배제한다. 상기 변천 용어인 "~로 필수적으로 구성되는(consisting essentially of)"은 상기 특정된 물질 또는 단계에 대한 특허청구범위의 범위를 한정하고 기본적이고 신규한 특징에 영향을 실질적으로 영향을 미치지 않는다. 그렇게 청구된 본 발명의 구체예들은 여기에 내재적으로 또는 분명히 기재되고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참고되고 확인된 모든 특허, 특허 공보, 및 다른 간행물들은 개별적으로 및 명백하게 기재되고 개시되는 목적을 위하여 그 전체로서 참증 자료에 의해 여기에 합체되는데, 예를 들어서, 그러한 간행물로서 기재된 조성물 및 방법론들은 본 발명과 함께 연계되어 사용될 수 있다. 이러한 간행물들은 본 발명의 출원일 이전에 공개된 것으로 제공된다. 이러한 점과 관련하여 어떤 것도 선행 발명의 이점 또는 다른 이유로 인하여 본 발명가들이 그러한 선행 발명을 할 자격이 없다는 사실을 인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될 것이다. 본 서류의 내용물로서 날짜 또는 표현에 관한 모든 주장은 본 출원인이 이용할 수 있는 정보에 근거한 것이고 이러한 서류의 날짜 또는 내용상의 정확도에 관한 어떠한 승인으로 이루어진 것이 아님을 밝힌다.

Claims (29)

  1. 용액 전달 장치로서:
    예정된 용량의 제1 성분을 담기 위하여 선택된 크기로 중심부로 뻗는 결합 벽 및 내부 공동을 가진 용기 부품으로, 상기 결합 벽은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lip)에 근위적으로 종결되고, 상기 용기 부품은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를 가진 말단부를 추가로 가지는 용기 부품;
    적어도 제1 작동 모드 및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과 함께 선택적인 결합을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부품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은 중심(proximal) 단부, 말단부, 및 상기 중심 단부 및 말단부 사이에 위치하고 외측-개방 결합 홈으로 형성된 외면을 가진 측벽을 가지고, 상기 측벽 및 말단부는 함께 플러그 둘레부를 형성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은 상기 중심 단부에서 실질적으로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 및 유입 커넥터 포트로부터 플러그 둘레부에 교차하는 플러그 유출 포트로의 내부 유로를 추가로 가지며, 플러그 말단 표면으로 상기 말단부에 형성되는 플러그 부품; 및
    길다란 혼합 채널을 형성하기 위하여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설치된 길다란 채널 벽으로, 결과적으로 상기 혼합 채널이 실질적으로 닫힌 하단 및 벽 상면에 인접한 개방 상단을 가지며, 상기 혼합 채널은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유입 단부 및 유출 커넥터 포트와 유체 연통하는 유출 단부를 가지도록, 상기 벽 상면을 가지고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위치하는 길다란 채널 벽;
    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은 부분적으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삽입되고 결과적으로 플러그 저면(distal surface)이 상기 벽 상면으로부터 간격을 두고 위치하게 되어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특히 상기 혼합 채널 및 주변 대기 사이에 상기 유체 연통을 가능하게 하고;
    상기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은 상기 플러그 부품과 대향하는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위치하고 결과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 및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결합 홈을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lip)으로 결합함에 의해,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완전히 조립될 때, 상기 플러그 저면은 상기 벽 상면을 접촉하고 상기 길다란 혼합 채널의 상단을 실질적으로 폐쇄함으로써, 상기 제1 성분으로의 유일한 접근이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 및 유출 단부에 의해 제공되고; 그리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장치로 제2 성분을 상기 유입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밀어 넣는 것은 상기 제2 성분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내부 유로를 통하여 흘러가게 하고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로 나가게 하여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 속으로 들어가게 하고, 이것은 상기 제1 성분과 혼합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제1 및 제2 성분들은 별도의 혼합, 교반, 복원, 또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 없이, 상기 유입 단부로부터 유출 단부까지 상기 혼합 채널을 함께 통과함으로써 충분히 혼합되고 나서 전달 용액으로서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나가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결합 홈의 말단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유지 립이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에 안착하고, 그에 따라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걸려있는(suspended)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결합 홈이 근위의(proximal)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플러그 플랜지 및 말단의 오프셋(distally offset) 유지 립 사이에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와 유체 연통을 하기 위하여, 내면을 가진 기저벽 및 상기 기저벽의 내면에 형성된 상호 연결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상호 연결 홈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을 따라 실질적으로 세로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체 연통이 있을 만큼 충분한 길이이며, 그에 따라 상기 혼합 채널이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 및 상기 유출 커넥터 포트 사이에 간접적인 유로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이 상기 상호 연결 홈과 선택적인 유체 연통을 하기 위하여 상기 기저벽의 내면 또는 측벽의 외면 중 하나에 형성된 분배 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홈이, 상기 기저벽이 유단(stepped) 내부 보어(bore)를 가지게 하기 위하여, 상기 기저벽의 내면에 상향으로 개방된 계단부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의 측벽의 외면은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결합 벽의 말단의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의 내면의 용기 안착부에 안착하기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안착부를 가지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안착부 및 상기 용기 안착부가 맞춤형(net-fit) 결합을 위하여 설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0.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부품의 기저벽이 근위적으로 뻗는 결합 벽을 가진 실질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뻗는 용기 플랜지에서 근위적으로(proximally) 종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1. 제10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로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비교적 더 작은 직경의 말단 플러그 안착부로부터 비교적 더 큰 직경의 중심 플러그 결합부를 분리하는 말단으로 향하는 단턱부에 의해 정의된 유단(stepped) 측벽을 가지도록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결합 립으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까지의 거리가 상기 결합 홈으로부터 상기 플러그 부품의 단턱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으므로,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할 때 상기 결합 홈 내에 결합 립이 결합하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단턱부를 실질적으로 용기 부품의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배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용기 플랜지로부터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 설치된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단 표면까지의 거리가 상기 단턱부로부터 플러그 부품의 말단부까지의 거리와 실질적으로 같고,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립이 상기 플러그 부품의 결합 홈 내에 결합하고 상기 플러그 부품의 상기 단턱부는 상기 용기 부품의 상기 용기 플랜지에 인접하게 위치하도록 상기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조립함으로써,
    실질적으로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저면이 상기 용기 부품의 길다란 채널 벽의 벽 상면에 안착하여 실질적으로 상기 혼합 채널의 상단을 폐쇄하고 그리고 추가적으로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와 유동 연통하는 유입 단부를 제외한 다른 혼합 채널을 실질적으로 밀봉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부품의 플러그 안착부가 상기 용기 부품의 용기 안착부 내에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3. 제10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가 상기 기저벽의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상기 용기 플랜지 내에 형성되고, 그것에 의하여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부분적으로 삽입된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용기 통풍구를 통하여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및 주변 대기 사이에 유체 연통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이며, 상기 장치를 상기 용기 부품 내에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완전히 조립된 제2 작동 모드로 바꾸는 데에는 상기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을 반경 방향으로 외측으로 돌출하는 유지 립에 상대적으로 근위적으로 이동시키는 것을 수반하고, 그럼으로써 상기 유지 립을 지나 그 근위에 그리고 그에 인접하게 안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반경 방향으로 내측으로 돌출하는 결합 립이 가요성 다리 상에 형성되고 상기 용기 부품의 결합 벽의 일부를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다리는 리빙 힌지(living hinge)로서 기능을 하기 위하여 오프셋 세로 눈금(notches)에 의해 제한되는(bounded) 결합 벽의 일부로 정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7.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로서: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내부 유로와 유체 연통하는 말단-개방 인서트 수용 공동을 갖는 플러그의 말단부에 형성되고; 그리고
    플러그 인서트가 상기 인서트 수용 공동 내에 수용되고, 상기 플러그 인서트가 상기 유로와 유체 연통하도록 적어도 하나의 수평 홈을 가진 상면 및 상기 수평 홈과 교차하고 유체 연통하는 적어도 하나의 수직 홈을 가진 외면상에 형성되고,
    상기 수직 홈이 추가로 상기 플러그 인서트의 말단-방향 바닥 면을 교차하고, 상기 수직 홈이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 및 상기 플러그 저면을 정의하는 아랫면을 정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8.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로서:
    상기 용기 부품은 용기 색인(indexing) 면으로 형성되고; 그리고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이 안착할 때, 상기 용기 색인 면을 선택적으로 결합하게 하기 위하여 설계된 플러그 색인 면으로 형성되며, 그것에 의하여 제2 작동 모드에서 상기 플러그 유출 포트는 상기 혼합 채널의 유입 단부에 실질적으로 인접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19.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로서:
    용기 유출 캡은 상기 외부 유출 커넥터 포트와 선택적인 밀봉 가능한 결합을 위하여 설계되고,
    상기 용기 유출 캡은 유출 캡 기저면을 정의하는 유출 캡 베이스의 말단에서 종결되는 유출 캡 벽부를 가지고,
    실질적으로 평면인 상기 유출 캡 기저면과 유출 캡 주변을 정의하는 상기 유출 캡 벽부는 결과적으로 상기 장치가 상기 용기 유출 캡 상에 수직으로 서 있을 수 있게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0.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로서:
    상기 제1 성분은 실질적으로 분말 형태 또는 액체 형태 중 한 가지이고; 그리고
    제2 성분은 실질적으로 액체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1.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를 사용하는 방법으로서,
    a.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선결된 용량의 제1 성분을 충진하는 단계;
    b. 상기 플러그 저면은 상기의 제1 성분으로부터 일정한 간격을 두도록, 상기 장치의 제1 작동 모드에서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장착시키는 단계;
    c. 상기 제1 작동 모드에 있는 상기 장치로 제1 성분을 활성화 시키는 단계;
    d. 상기 플러그 부품이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완전히 안착하고 상기 플러그 저면이 실질적으로 제1 성분에 인접하도록,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장치의 제2 작동 모드로 이동시키는 단계; 그리고
    e. 상기 제1 성분과 접촉하기 위하여 상기 플러그 부품 내에 형성된 내부 유로를 통하여 상기 제2 성분을 상기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으로 유동시키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1 및 제2 성분은 별도의 혼합, 교반, 복원(reconstituting), 또는 프라이밍(priming) 단계의 필요없이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는데에 있어서 충분히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플러그 부품을 상기 제2 작동 모드로 이동하는 단계가 상기 용기 부품 내에 상기 플러그 부품을 스냅핑(snapping)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성분을 유동시키는 단계는 상기 장치가 사용 가능하도록 설치된 주입기(injector)를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주입기(injector)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제1항에 따른 용액 전달 장치.
  25.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가 상기 주입기의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slidably) 설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6.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의 상기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일시적으로 밀봉하는 막 또는 플러그 중 하나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저장고(reservoir)가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와 결합하고, 상기 저장고는 제2 성분을 담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8. 제27항에 있어서, 플런저(plunger)는 상기 제2 성분을 활성화(act on) 하기 위하여 상기 저장고 내에서 작동될 수 있으며, 상기 플런저가 플런저 스프링에 의해 말단으로 치우쳐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29. 제27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 상기 저장고, 상기 막 또는 상기 플러그, 및 차폐된 캐뉼라(cannula) 조립체는 함께 하우징 내에 슬라이드 가능하게 설치된 주입기 하위-부품(sub-assembly)을 구성하고,
    상기 주입기 하위-부품은 상기 하우징과 결합된 근위의 하우징 캡에 고정된 조립체 스프링에 의해 말단으로 치우쳐져 있고,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체를 근위적으로 미는 것으로 상기 주입기가 활성화되었을 때 상기 조립체 스프링에 대향하는 상기 주입기 하위-부품의 축운동이 플런저 스프링을 압축하고 플런저를 상기 주입기 하위-부품 및 특히 저장고에 관하여 멀리 이동시키고,
    상기 막 또는 플러그는 상기 플런저 스프링의 증가된 힘 아래에서 상기 플런저의 말단으로의 움직임과 주사기 하위-부품의 근위적 움직임으로 기능을 못하게 되도록 설계됨으로써,
    상기 저장고에 저장된 제2 성분이 유출되고 상기 저장고로부터 강제로 유동되어 상기 플러그 부품의 외부 유입 커넥터 포트를 통하여 상기 용기 부품 속으로 유동되고, 상기 전달 용액을 형성하기 위하여 용기 부품의 내부 공동 내에 수용되어 있던 상기 제1 성분과 혼합된 후 상기 차폐된 캐뉼라 조립체의 캐뉼라를 통하여 유출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용액 전달 장치.
KR1020177009621A 2014-09-09 2015-09-08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 KR10246505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462048089P 2014-09-09 2014-09-09
US62/048,089 2014-09-09
PCT/US2015/049002 WO2016040360A1 (en) 2014-09-09 2015-09-08 Solution delivery device and method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605A KR20170056605A (ko) 2017-05-23
KR102465054B1 true KR102465054B1 (ko) 2022-11-09

Family

ID=554364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09621A KR102465054B1 (ko) 2014-09-09 2015-09-08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0)

Country Link
US (2) US10201692B2 (ko)
EP (1) EP3191068B1 (ko)
JP (1) JP6785770B2 (ko)
KR (1) KR102465054B1 (ko)
CN (1) CN106999349A (ko)
AU (2) AU2015315285B2 (ko)
CA (1) CA2960625C (ko)
ES (1) ES2830278T3 (ko)
MX (1) MX2017003095A (ko)
WO (1) WO201604036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9259535B2 (en) 2006-06-22 2016-02-16 Excelsior Medical Corporation Antiseptic cap equipped syringe
US9078992B2 (en) 2008-10-27 2015-07-14 Pursuit Vascular, Inc. Medical device for applying antimicrobial to proximal end of catheter
CA2841832C (en) 2011-07-12 2019-06-04 Pursuit Vascular, Inc. Device for delivery of antimicrobial agent into a trans-dermal catheter
JP6822978B2 (ja) 2015-05-08 2021-01-27 アイシーユー・メディカル・インコーポレーテッド 治療薬のエミッタを受け入れるように構成された医療用コネクタ
CN107683158B (zh) 2015-06-04 2021-05-14 麦迪麦珀医疗工程有限公司 用于药物释放装置的筒***
JP6825210B2 (ja) * 2016-03-02 2021-02-03 株式会社ジェイ・エム・エス 穿刺針用コネクタ及び連結管
US10585021B2 (en) * 2016-08-11 2020-03-10 Instrumentation Laboratory Company Dual chamber reagent mixing container
WO2018071717A1 (en) 2016-10-14 2018-04-19 Icu Medical, Inc. Sanitizing caps for medical connectors
US11141545B2 (en) * 2016-12-01 2021-10-12 Mark L. Anderson, Llc Sprayer technology
GB2560524B (en) * 2017-03-13 2019-07-31 Univ Cape Town An auto-injector
WO2018204206A2 (en) 2017-05-01 2018-11-08 Icu Medical, Inc. Medical fluid connectors and methods for providing additives in medical fluid lines
US11293841B2 (en) * 2017-05-21 2022-04-05 Jms Southeast, Inc. Process inserts, assemblies, and related methods for high velocity applications
US10441714B2 (en) * 2017-10-05 2019-10-15 Pirouette Medical LLC Protective case for an auto-injector
EP3727514A1 (en) 2017-12-22 2020-10-28 West Pharma Services IL, Ltd. Injector usable with different dimension cartridges
US20190275217A1 (en) * 2018-03-08 2019-09-12 Fresenius Medical Care Holdings, Inc. Devices for Securing Dialysis Fluid Lines and Related Systems and Methods
CN108498903A (zh) * 2018-03-11 2018-09-07 杨博 药物复原装置
US11779520B1 (en) 2018-07-02 2023-10-10 Patrick Vitello Closure for a medical dispenser including a one-piece tip cap
US11793987B1 (en) 2018-07-02 2023-10-24 Patrick Vitello Flex tec closure assembly for a medical dispenser
US11857751B1 (en) 2018-07-02 2024-01-02 International Medical Industries Inc. Assembly for a medical connector
US11690994B1 (en) 2018-07-13 2023-07-04 Robert Banik Modular medical connector
CA3104910C (en) * 2018-07-24 2023-08-29 Antares Pharma, Inc. Injector with safety cap
KR102545290B1 (ko) 2018-08-29 2023-06-16 삼성전자주식회사 반도체 패키지 몰딩 장치
US11541220B2 (en) 2018-11-07 2023-01-03 Icu Medical, Inc. Needleless connector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517732B2 (en) 2018-11-07 2022-12-06 Icu Medical, Inc. Syringe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400195B2 (en) 2018-11-07 2022-08-02 Icu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transfer set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US11534595B2 (en) 2018-11-07 2022-12-27 Icu Medical, Inc. Device for delivering an antimicrobial composition into an infusion device
US11541221B2 (en) 2018-11-07 2023-01-03 Icu Medical, Inc. Tubing set with antimicrobial properties
EP3883638A1 (en) 2018-11-21 2021-09-29 ICU Medical, Inc. Antimicrobial device comprising a cap with ring and insert
CA3130823C (en) 2019-03-29 2023-11-21 Jaime Ray Arnett Medication delivery systems and methods
US11602589B2 (en) * 2019-05-21 2023-03-14 Covidien Lp Peristaltic pumps with selective activation of multiple fluid lines and fluid management systems including the same
US11904149B1 (en) 2020-02-18 2024-02-20 Jonathan Vitello Oral tamper evident closure with retained indicator
KR102258450B1 (ko) * 2020-09-07 2021-05-31 주식회사 하이센스바이오 시린지용 약제혼합유닛
USD948715S1 (en) * 2020-11-06 2022-04-12 West Pharmaceutical Services, Inc. Injection needle shield puller
WO2022125474A1 (en) 2020-12-07 2022-06-16 Icu Medical, Inc. Peritoneal dialysis caps, systems and methods
US11872187B1 (en) 2020-12-28 2024-01-16 Jonathan Vitello Tamper evident seal for a vial cover
KR102337067B1 (ko) * 2021-06-25 2021-12-07 전남대학교산학협력단 의료용 미드라인 카테터
WO2023196543A2 (en) * 2022-04-06 2023-10-12 Young Hee Ko Liquid-dispersible halopyruvate formulations and associated methods
WO2023212070A2 (en) * 2022-04-29 2023-11-02 3Eo Health Inc. Swab assemblies and assay systems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007A2 (en) 2011-01-10 2012-07-19 Byeong Seon Chang Compact medication reconstitution device and method

Family Cites Families (8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708438A (en) 1951-11-13 1955-05-17 Miljam Instr Corp Hypodermic syringe
US3342180A (en) 1964-04-24 1967-09-19 American Cyanamid Co Disposable liquid-powder package and hypodermic syringe
US3477432A (en) 1964-07-21 1969-11-11 Joseph Denman Shaw Combination mixing and injecting medical syringe
US3330280A (en) 1964-08-25 1967-07-11 Duo Matic Corp Combination syringe vial and plunger and syringe
US3766917A (en) 1968-01-26 1973-10-23 West Co Two compartment ampul syringe
AT318132B (de) 1969-08-01 1974-09-25 Dentaire Ivoclar Ets Mischbehälter für die Aufnahme von miteinander reagierenden Substanzen für die Herstellung von gebrauchsfertigen pastenförmigen Dentalpräparaten
US3685514A (en) 1969-09-23 1972-08-22 Paul E Cheney Two compartment syringe
US3678931A (en) 1970-06-09 1972-07-25 Milton J Cohen Syringe
US3838689A (en) 1970-11-04 1974-10-01 M Cohen Disposable syringe with slit valve
JPS4855037U (ko) * 1971-10-26 1973-07-14
JPS5139130B2 (ko) 1971-11-12 1976-10-26
US3826260A (en) 1971-12-27 1974-07-30 Upjohn Co Vial and syringe combination
US4041945A (en) 1976-06-07 1977-08-16 Guiney Aeneas C Mixing syringe
US4153186A (en) 1977-07-20 1979-05-08 Arthur T. Medkeff Valve and medicant dispensing syringe
US4172457A (en) 1977-10-06 1979-10-30 American Hospital Supply Corporation Plural component mixing system and method
US4318386A (en) 1979-09-20 1982-03-09 Automotive Engine Associates Vortex fuel air mixer
JPS5575335U (ko) * 1978-11-14 1980-05-24
US4328802A (en) 1980-05-14 1982-05-11 Survival Technology, Inc. Wet dry syringe package
FR2508341B1 (fr) 1981-06-29 1986-10-31 Dupont Philippe Dispositif permettant le melange a terme de deux ou plusieurs composants
US4411662A (en) 1982-04-06 1983-10-25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Sterile coupling
US4410321A (en) 1982-04-06 1983-10-18 Baxter Travenol Laboratories, Inc. Closed drug delivery system
DE3468174D1 (en) 1984-01-25 1988-02-04 Medicorp Holding Pre-filled syringe for unitary dose
WO1986007541A1 (en) 1985-06-19 1986-12-31 Yasushi Zyo Composition which can impart antithrombotic ability and medical apparatus to be in contact with blood
US4886495A (en) 1987-07-08 1989-12-12 Duoject Medical Systems Inc. Vial-based prefilled syringe system for one or two component medicaments
US4874369A (en) * 1987-07-27 1989-10-17 Baxter International Inc. Self-priming injection site with check valve
US4898209A (en) 1988-09-27 1990-02-0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DE59001705D1 (de) 1990-02-07 1993-07-15 Vetter & Co Apotheker Doppelkammerspritze und verwendungsverfahren.
DK288590D0 (da) 1990-12-04 1990-12-04 Michael Morris Blandings/oploesnings-sproejte til cytostatika for medicinsk behandling af cancer patienter
SE9201247D0 (sv) 1992-04-21 1992-04-21 Kabi Pharmacia Ab Injection device
SE9201246D0 (sv) 1992-04-21 1992-04-21 Kabi Pharmacia Ab Injection cartridge arrangement
AU665067B2 (en) 1992-04-30 1995-12-14 Takeda Pharmaceutical Company Limited Prefilled syringe
US5817055A (en) 1992-07-07 1998-10-06 Pharmacia & Upjohn Aktiebolag Dual-chamber injection cartridge
SE9202108D0 (sv) 1992-07-07 1992-07-07 Kabi Pharmacia Ab Dual-chamber injection cartridge
DE69412492T2 (de) * 1993-09-07 1999-02-11 Debiotech Sa Spritzenvorrichtung zum mischen von zwei präparaten
US5489266A (en) 1994-01-25 1996-02-06 Becton, Dickinson And Company Syringe assembly and method for lyophilizing and reconstituting injectable medication
DE69508629T2 (de) 1994-01-25 1999-10-14 Becton Dickinson Co Spritze und Verfahren zur Lyophilisierung und Wiederherstellung von einspritzbaren Medikamenten
US5496284A (en) 1994-09-27 1996-03-05 Waldenburg; Ottfried Dual-chamber syringe & method
US5685846A (en) 1995-02-27 1997-11-11 Schott Parenta Systems, Inc. Dual chamber internal by-pass syringe assembly
US5785682A (en) 1995-03-22 1998-07-28 Abbott Laboratories Pre-filled syringe drug delivery system
US5876372A (en) 1995-03-22 1999-03-02 Abbott Laboratories Syringe system accomodating seperate prefilled barrels for two constituents
US5569193A (en) 1995-03-22 1996-10-29 Abbott Laboratories Syringe system accommodating separately storable prefilled containers for two constituents
US5779668A (en) 1995-03-29 1998-07-14 Abbott Laboratories Syringe barrel for lyophilization, reconstitution and administration
GB9611562D0 (en) 1996-06-03 1996-08-07 Applied Research Systems Device
US5865798A (en) * 1996-06-28 1999-02-02 Becton Dickinson France, S.A. Stopper assembly having bypass features for use in a multi-chamber syringe barrel
US7387216B1 (en) 1996-07-17 2008-06-17 Smith James C Closure device for containers
DE19638940C2 (de) 1996-09-23 1999-01-07 Vetter & Co Apotheker Vorgefüllte Spritze für medizinische Zwecke
US6171276B1 (en) 1997-08-06 2001-01-09 Pharmacia & Upjohn Ab Automated delivery device and method for its operation
US6458095B1 (en) 1997-10-22 2002-10-0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ispenser for an adhesive tissue sealant having a housing with multiple cavities
SE9704405D0 (sv) 1997-11-28 1997-11-28 Pharmacia & Upjohn Ab New syringe
US6159192A (en) 1997-12-04 2000-12-12 Fowles; Thomas A.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with seal
JP2951938B1 (ja) 1998-03-19 1999-09-20 日本ケミカルリサーチ株式会社 薬剤溶解機構を内蔵した注射器
US5950819A (en) 1998-05-08 1999-09-14 Sellars; Andy Storage, admixing, and dispensing system
US6267154B1 (en) * 1998-06-05 2001-07-31 Abbott Laboratories System for storing mixing and administering a drug
US6149628A (en) 1998-07-20 2000-11-21 Szapiro; Jaime Luis Syringe with two variable volume chambers for containing and administering mixtures of products provided separately
US6514231B1 (en) 1998-07-20 2003-02-04 Jaime Luis Szapiro Disposable syringe with single variable volume chamber
US7425209B2 (en) 1998-09-15 2008-09-16 Baxter International Inc. Sliding reconstitution device for a diluent container
US6406455B1 (en) 1998-12-18 2002-06-18 Biovalve Technologies, Inc. Injection devices
DE19912322A1 (de) 1999-03-19 2000-09-28 Vetter & Co Apotheker Spritze für medizinische Zwecke
FR2799654B1 (fr) 1999-10-13 2002-01-11 Sod Conseils Rech Applic Dispositif pour reconstituer une solution, une suspension ou une dispersion therapeutique et procede de preparation et de conditionnement dans ce dispositif
US6440101B1 (en) 2000-05-31 2002-08-27 Abbott Laboratories Syringe systems for lyophilized drugs and methods for making the same
DE10060513A1 (de) 2000-12-06 2002-06-20 Illbruck Gmbh Kartuschenset zur Ausbringung von Ortschaum
US6386872B1 (en) 2001-01-03 2002-05-14 Gc Corporation Capsule for dental restoration material
DE10140704A1 (de) 2001-08-18 2003-03-06 Vetter & Co Apotheker Verfahren zur Durchmischung einer schwer löslichen pharmazeutischen Substanz mit einem Lösungsmittel und Spritze zur Anwendung des Verfahrens
US6808511B2 (en) 2001-10-11 2004-10-26 Gary J. Pond Disposable aspirating safety syringe
JP4112851B2 (ja) 2001-11-27 2008-07-02 テルモ株式会社 2室型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EP1344500B1 (de) 2002-03-15 2005-06-01 Ernst Mühlbauer GmbH & Co.KG Mehrkomponenten-Mischkapsel, insbesondere für Dentalzwecke
US6743194B2 (en) * 2002-03-28 2004-06-01 Igal Sharon Multi-compartment syringe
DE10340586A1 (de) * 2003-09-03 2005-04-07 Tecpharma Licensing Ag Abmischvorrichtung für Mehrkammerampulle
US6884232B1 (en) 2003-10-31 2005-04-26 Baxter International Inc. Laparoscopic spray device and method of use
US7470253B2 (en) 2004-05-26 2008-12-30 Bioquiddity, Inc. Fluid delivery apparatus with adjustable flow rate control
EP1602415A1 (en) 2004-06-04 2005-12-07 3M Espe AG Syringe for a multi-component paste
US7329235B2 (en) 2004-08-02 2008-02-12 Bertron Kim W Powder and liquid mixing syringe
US20060144869A1 (en) 2004-12-30 2006-07-06 Chang Byeong S Container closure delivery system
US20060157507A1 (en) 2004-12-30 2006-07-20 Chang Byeong S Multi-functional container closure delivery system
US7959600B2 (en) 2004-12-30 2011-06-14 Byeong S. Chang Container closure delivery system
EP1728560A1 (en) * 2005-06-03 2006-12-06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ystem for storing and dispensing of a substance
DE102007049446A1 (de) * 2007-10-16 2009-04-23 Cequr Aps Katheter-Einführeinrichtung
WO2009133755A1 (ja) * 2008-05-02 2009-11-05 テルモ株式会社 コネクタ組立体
EP3287162B1 (en) * 2008-09-29 2019-03-20 Becton Dickinson France Autoinjector with audible indication of completed delivery
EP2180459A1 (en) * 2008-10-24 2010-04-28 Sanofi-Aventis Deutschland GmbH Device for simulating the operation of a medication delivery device
TW201103594A (en) 2009-06-02 2011-02-01 Sanofi Aventis Deutschland Medicated module with premix medicament
CN203506677U (zh) * 2013-09-24 2014-04-02 安瑞医疗器械(杭州)有限公司 一种内镜注射针
FR3011472B1 (fr) * 2013-10-09 2017-09-01 Aptar Stelmi Sas Bouchon-piston et dispositif de seringue comportant un tel bouchon-piston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2097007A2 (en) 2011-01-10 2012-07-19 Byeong Seon Chang Compact medication reconstitution device and method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56605A (ko) 2017-05-23
US10894152B2 (en) 2021-01-19
MX2017003095A (es) 2018-01-26
CN106999349A (zh) 2017-08-01
CA2960625C (en) 2021-06-22
JP6785770B2 (ja) 2020-11-18
EP3191068A4 (en) 2018-05-30
AU2015315285A1 (en) 2017-03-23
US20190134376A1 (en) 2019-05-09
CA2960625A1 (en) 2016-03-17
AU2015315285B2 (en) 2019-04-04
AU2019204786B2 (en) 2020-07-02
AU2019204786A1 (en) 2019-07-25
US10201692B2 (en) 2019-02-12
WO2016040360A1 (en) 2016-03-17
EP3191068A1 (en) 2017-07-19
EP3191068B1 (en) 2020-08-12
ES2830278T3 (es) 2021-06-03
JP2017527427A (ja) 2017-09-21
US20160067144A1 (en) 2016-03-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65054B1 (ko) 용액 전달 장치 및 방법
JP5827966B2 (ja) 容器閉鎖配送システム
JP5829219B2 (ja) デバイス
US11786661B2 (en) Single use delivery device
JP2001112867A (ja) 薬剤入りシリンジ
KR20040095276A (ko) 유체 이송을 위한 의료용 접속 조립체
JP2004529739A (ja) 液体トランスファー装置用スパイク、スパイクを有する液体トランスファー装置及びそれを用いた液体のトランスファー方法
JP2024509234A (ja) 薬物送達デバイス
EP3810230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dual-component drug agent delivery
KR20200037355A (ko) 적절한 볼러스로 약물을 투약하기 위한 재구성 장치, 시스템, 및 방법
WO2016049501A1 (en) Concentric barrel drug containers and drug delivery pumps that allow mixing and delivery
US11583473B2 (en) Integrated injectable drug packaging and delivery system and methods of use
AU2011323060A1 (en) Safely preparing and administering drug substances
JP2016533856A (ja) 条件付きの必須プライミング
AU2013202473A1 (en) Devic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