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707B1 -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 Google Patents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707B1
KR102442707B1 KR1020160018677A KR20160018677A KR102442707B1 KR 102442707 B1 KR102442707 B1 KR 102442707B1 KR 1020160018677 A KR1020160018677 A KR 1020160018677A KR 20160018677 A KR20160018677 A KR 20160018677A KR 102442707 B1 KR102442707 B1 KR 10244270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uit
transfer
tray
unit
convey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001867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96870A (ko
Inventor
김배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Priority to KR102016001867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707B1/ko
Publication of KR2017009687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9687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7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7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5/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being sorted, e.g. by control effected by devices which detect or measure such characteristic or feature; Sorting by manually actuated devices, e.g. switches
    • B07C5/36Sorting apparatus characterised by the means used for distrib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B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BY SIEVING, SCREENING, SIFTING OR BY USING GAS CURRENTS; SEPARATING BY OTHER DRY METHODS APPLICABLE TO BULK MATERIAL, e.g. LOOSE ARTICLES FIT TO BE HANDLED LIKE BULK MATERIAL
    • B07B13/00Grading or sorting solid materials by dry metho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Sorting articles otherwise than by indirectly controlled devices
    • B07B13/14Details or accessories
    • B07B13/16Feed or discharge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13/00Roller-ways
    • B65G13/02Roller-ways having driven roll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37/00Combinations of mechanical conveyors of the same kind, or of different kinds, of interest apart from their application in particular machines or use in particular manufacturing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7/00Article or material-handling devices associated with conveyors; Methods employing such devices
    • B65G47/74Feeding, transfer, or discharging devices of particular kinds or types
    • B65G47/82Rotary or reciprocating members for direct action on articles or materials, e.g. pushers, rakes, shov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7SEPARATING SOLIDS FROM SOLIDS; SORTING
    • B07CPOSTAL SORTING; SORTING INDIVIDUAL ARTICLES, OR BULK MATERIAL FIT TO BE SORTED PIECE-MEAL, e.g. BY PICKING
    • B07C2501/00Sorting according to a characteristic or feature of the articles or material to be sorted
    • B07C2501/009Sorting of fru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02Agricultural and processed food products
    • B65G2201/0211Fruits and vegetab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B65G2201/0235Containers
    • B65G2201/0258Trays, totes or bi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3/00Indexing code relating to control or detection of the articles or the load carriers during conveying
    • B65G2203/02Control or detection
    • B65G2203/0208Control or detection relating to the transported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7/00Indexing codes relating to constructional details, configuration and additional features of a handling device, e.g. Conveyors
    • B65G2207/14Combination of convey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orting Of Articles (AREA)
  • Discharge Of Articles From Conveyors (AREA)
  • Packaging Of Special Articles (AREA)

Abstract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의 롤링 회전에 의해 외부의 동력이 필요없이 과일 출하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가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의 롤링 회전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부와, 이송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과일 출하위치부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일 출하위치부에 도착된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작업자에 의해 과일이 이탈되어 출하된 빈 트레이를 감지하여 반출하는 자동 반출부와, 과일 출하위치부와 연결되어 이송 컨베이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자동 반출부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를 이송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TRAY TRANSFER DEVICE FOR SORTING FRUIT}
본 발명은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과일을 트레이에 적재한 상태에서 과일 출하위치로 이송하여 선별 출하하기 위한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과일 트레이 이송장치는 과일의 적재위치에서 메인 컨베이어에 의해 이송되어 온 빈 트레이에 작업자가 과일을 들어서 올려 놓으면, 상기 메인 컨베이어의 이동에 따라 과일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과일은 숙성도 검출장치, 당도 검출장치, 중량 검출장치 등을 차례로 거치고 해당 등급의 이송 컨베이어로 환승된다.
상기 이송 컨베이어는 과일의 등급마다 구비되어 분류된 과일을 과일 적재 트레이에 적재된 상태에서 과일 출하위치까지 이송시킨다. 그 후 과일 출하위치까지 이송된 과일 적재 트레이의 과일은 작업자에 의해 이탈되어 출하상자에 출하된다. 이때, 과일이 이탈된 빈 트레이는 이송 컨베이어의 일측에 배치된 이송 컨베이어로 반출되어 과일의 적재위치까지 반송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이송 컨베이어가 무한궤도 형태로 회전하는 벨트 타입의 컨베이어로 구성되므로 벨트 컨베이어를 회전 구동하기 위해서는 구동모터 등과 같은 동력원이 필요하게 되어 전력 공급이 요구된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의 벨트 컨베이어 및 구동모터 등을 구비함에 따라 과일 트레이 이송장치의 구조가 복잡하고, 설비 제작 비용이 많이 드는 문제점이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28055호(2009.03.18.)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의 롤링 회전에 의해 외부의 동력이 필요없이 과일 출하위치로 이송할 수 있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다른 기술적 과제는 롤링 회전하는 이송봉 컨베이어로 구성하여 구조가 간단하고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의 롤링 회전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 도착된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작업자에 의해 과일이 이탈되어 출하된 빈 트레이를 감지하여 반출하는 자동 반출부; 및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자동 반출부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는, 트레이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다수의 봉지지홈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및 상기 봉지지홈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봉;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과일 적재 트레이가 과일 출하 대기 상태로 정지되도록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동 반출부는,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 구비되어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과일이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며, 회동에 의한 푸시 작동에 의해 빈 트레이를 상기 반송 컨베이어부로 반출하는 회동푸시암; 및 상기 감지센서로부터 빈 트레이 감지신호를 받아 상기 회동푸시암을 작동시키는 액츄에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는 이송방향을 따라 좌,우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푸시암은 상기 제 1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의 사이 하단부에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에 따르면, 롤링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봉이 컨베이어 프레임에 이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이송봉 상에 놓인 트레이의 자중에 의해 이송봉이 롤링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는 외부의 동력이 필요없이 자연스럽게 이송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은 롤링 회전하는 이송봉 컨베이어로 구성함으로써, 종래의 벨트 컨베이어 구조에 비해 구조가 간단하고, 설비 제작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로 이송되는 과일 적재 트레이는 과일 출하위치부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패드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과일 출하 대기 상태로 정지하게 되고, 작업자는 정지 상태의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과일을 들어올려 선별 출하할 수 있다.
또한, 반송 컨베이어부는 과일 출하위치부와 연결되어 이송 컨베이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자동 반출부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를 이송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평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측면도.
도 4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이송 컨베이어부에 구비된 이송봉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면도, 도 5(b)는 측면도.
도 6은 슬라이딩블록을 적용한 트레이 반출 구조를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측면도이고, 도 4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의 이송 컨베이어부에 구비된 이송봉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요부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2의 A부분을 확대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5(a)는 평면도이고, 도 5(b)는 측면도이며, 도 6은 슬라이딩블록을 적용한 트레이 반출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는 이송 컨베이어부(100), 과일 출하위치부(200), 자동 반출부(300) 및 반송 컨베이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부(100)는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10)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120)의 롤링 회전에 의해 후술할 과일 출하위치부(200)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부(100)는 이송방향을 따라 좌,우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 1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101)(102)를 포함할 수 있다.
제 1 이송 컨베이어(101)와 제 2 이송 컨베이어(102) 사이에는 분리벽체(103)가 이송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제 1 이송 컨베이어(101)와 제 2 이송 컨베이어(102) 상에서 각각 이송되는 다수의 트레이(10)가 서로 충돌하거나 섞이지 않게 정렬된 상태로 이송되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송 컨베이어부(100)가 2열로 배열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1열 또는 2열 이상으로 배열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송 컨베이어부(100)를 4열로 배열하고 2열 이송 컨베이어부(100)의 사이에 위치하는 반송 컨에베이어부(400)를 서로 공유할 수 있다.
이송 컨베이어부(100)는 컨베이어 프레임(110) 및 이송봉(120)을 포함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트레이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은 양측판 및 하판으로 이루어지고, 상부가 개방되게 형성된다.
컨베이어 프레임(110)의 양측판에는 다수의 봉지지홈(111)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될 수 있다.
봉지지홈(111) 간의 이격 거리는 후술할 이송봉(120)의 회전축(121) 간의 이격 거리와 대응되며, 봉지지홈(111) 간의 이격 거리는 이송봉(120)의 직경과 동일하거나 이보다 더 크게 형성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봉지지홈(111)을 반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사각 형상으로 형성할 수도 있다.
이송봉(120)은 양단의 회전축(121)이 봉지지홈(111)에 삽입되어 롤링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다수 개가 설치될 수 있다.
따라서, 롤링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봉(120)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이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이송봉(120) 상에 놓인 트레이(10)의 자중에 의해 이송봉(120)이 롤링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10)는 외부의 동력이 필요없이 자연스럽게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이송 컨베이어부(100)에는 스토퍼(130)가 액츄에이터(미도시)에 의해 상하로 작동할 수 있도록 설치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스토퍼(130)가 액츄에이터에 의해 상부로 작동하게 되면 빈 트레이(11)를 반송 플레이트(410)로 반출할 때 회동푸시암(310)쪽으로 과일 적재 트레이(10)가 밀려 내려오지 못하도록 차단함으로써 과일 출하위치부(200)에서 빈 트레이(11)의 반출이 원활하게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과일 출하위치부(200)는 이송 컨베이어부(100)의 하단에 위치하여 이송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되는 과일 적재 트레이(10)에서 작업자가 과일(1)을 선별 출하할 수 있도록 한다.
과일 출하위치부(200)는 이송 컨베이어부(100)의 하단에 이송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이송된 과일 적재 트레이(10)가 과일 출하 대기 상태로 정지되도록 수평으로 배치되고, 과일 적재 트레이(10)의 미끄럼을 방지하기 위한 미끄럼방지패드(210)가 구비될 수 있다.
미끄럼방지패드(210)는 과일 적재 트레이(10)의 미끄럼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부 표면에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는 소재로 제작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과일 출하위치부(200)에는 미끄럼방지패드(210)와 측방향으로 나란하게 다수 개의 지지봉(220)이 배치되어 후술할 자동 반출부(300)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11)가 반송 컨베이어부(400)쪽으로 이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다수 개의 지지봉(220)은 미끄럼방지패드(210)와 나란하게 수평으로 배치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자동 반출부(300)는 이송 컨베이어부(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과일 출하위치부(200)의 일측에 설치되어 과일 출하위치부(200)에 도착된 과일 적재 트레이(10)에서 작업자에 의해 과일(1)이 이탈되어 출하된 빈 트레이(11)를 감지하여 반출할 수 있다.
자동 반출부(300)는 감지센서(미도시), 회동푸시암(310) 및 액츄에이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과일 출하위치부(200)에 구비되어 과일 적재 트레이(10)에서 과일(1)이 이탈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다.
감지센서는 광 포토센서(광센서)가 사용되어 후술하는 액츄에이터의 작동 스위치 기능을 갖는다.
이러한 광 포토센서로 이루어진 감지센서는 공지된 기술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회동푸시암(310)은 과일 출하위치부(200)의 일측에 회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회동에 의한 푸시 작동에 의해 빈 트레이(11)를 반송 컨베이어부(400)로 반출할 수 있다.
회동푸시암(310)은 제 1 및 제 2 이송 컨베이어(101)(102)의 사이 하단부에 힌지 결합되어 좌,우 방향으로 회동하도록 설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회동푸시암(310)을 T자 형상으로 형성하는 구성을 예시하였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고 다양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감지센서로부터 빈 트레이(11) 감지신호를 받아 일정속도로 전후 왕복하여 회동푸시암(310)을 회동시킬 수 있다.
액츄에이터는 공압실린더로 구성될 수 있고, 이러한 공압실린더는 공지된 구성으로 이해 가능하므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또한, 자동 반출부(3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트레이 반출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는 슬라이딩블록(320)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액츄에이터(미도시)의 작동에 의해 슬라이딩블록(320)이 좌우방향으로 슬라이드 이동하면서 빈 트레이(11)를 반송 컨베이어부(400)로 푸시하여 자동 반출할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부(400)는 과일 출하위치부(200)와 연결되어 이송 컨베이어부(100)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어 자동 반출부(300)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11)를 이송 컨베이어부(100)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할 수 있다.
반송 컨베이어부(400)는 과일 출하위치부(200)의 지지봉(220) 측과 연결되어 빈 트레이(11)가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도록 하는 반송 플레이트(410)와, 반송 플레이트(410)의 말단부 측에 수평으로 배치되는 벨트 컨베이어(420)로 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자동 반출부(300)에 의해 반출된 빈 트레이(11)는 반송 플레이트(410)의 경사면을 따라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이동하게 되고, 이후 벨트 컨베이어(420)의 회전에 의해 이동하여 반송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는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10)가 이송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200)로 이송된다. 이때, 이송 컨베이어부(100)에는 롤링 회전하는 다수의 이송봉(120)이 컨베이어 프레임(110)에 이송방향을 따라 하향 경사지게 배치됨으로써, 다수의 이송봉(120) 상에 놓인 트레이(10)의 자중에 의해 이송봉(120)이 롤링 회전함에 따라 트레이(10)는 외부의 동력이 필요없이 자연스럽게 이송이 가능하게 된다.
이송 컨베이어부(100)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200)로 이송되는 과일 적재 트레이(10)는 과일 출하위치부(200)에 구비된 미끄럼방지패드(210)에 의해 미끄럼이 방지되면서 과일 출하 대기 상태로 정지하게 되고, 작업자는 정지 상태의 과일 적재 트레이(10)에서 과일(1)을 들어올려 선별 출하하게 된다.
이처럼 작업자에 의해 과일 적재 트레이(10)에서 과일(1)이 이탈되어 빈 트레이(11)가 되면, 즉시 빈 트레이 감지센서에 의해 감지된 빈 트레이 감지신호에 의해 공압 액츄에이터의 전후 가동 로드가 직진되면서 회동푸시암(310)이 회동하게 된다. 이때, 회동푸시암(310)이 회동하면서 빈 트레이(11)를 반송 컨베이어부(400)로 반출시키게 되고, 반출된 빈 트레이(11)는 반송 컨베이어부(400)에 의해 이송방향의 반대방향으로 이송되면서 반송된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자격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 이해 해야만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0 : 이송 컨베이어부 101 : 제 1 이송 컨베이어
102 : 제 2 이송 컨베이어 110 : 컨베이어 프레임
111 : 봉지지홈 120 : 이송봉
121 : 회전축 130 : 스토퍼
200 : 과일 출하위치부 210 : 미끄럼방지패드
220 : 지지봉 300 : 자동 반출부
310 : 회동푸시암 320 : 슬라이딩블록
400 : 반송 컨베이어부 410 : 반송 플레이트
420 : 벨트 컨베이어

Claims (5)

  1. 복수 개의 과일 적재 트레이를 이송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는 다수 이송봉의 롤링 회전에 의해 과일 출하위치부에 순차적으로 이송시키는 이송 컨베이어부;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하단에 위치하는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의 일측에 설치되며,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 도착된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작업자에 의해 과일이 이탈되어 출하된 빈 트레이를 감지하여 반출하는 자동 반출부; 및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와 연결되어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와 반대방향으로 경사지게 배치되며, 상기 자동 반출부에 의해 반출되는 빈 트레이를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의 이송방향과 반대방향으로 반송하는 반송 컨베이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는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에 의해 이송된 과일 적재 트레이가 과일 출하 대기 상태로 정지되도록, 과일 적재 트레이의 미끄럼을 방지하는 미끄럼방지패드가 구비되고,
    상기 이송컨베이어부는 이송방향을 따라 나란하게 배열되는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 사이에 설치되는 분리벽을 포함하고,
    상기 자동 반출부는 상기 과일 출하위치부에 구비되어 과일 적재 트레이에서 과일이 이탈되는 것을 감지하는 감지센서, 상기 이송컨베이어부의 제1 이송컨베이어와 제2 이송컨베이어부 사이에서 트레이 반출방향으로 좌우 슬라이드 이동 가능하게 설치되어 엑츄에이터의 작동에 의해 좌우 슬라이드 이동되면서 빈 트레이를 상기 제1 이송컨베이어와 연결된 반송 컨베이어부 또는 상기 제2 이송컨베이어부에 연결된 반송 컨베이어부로 선택적으로 반출하는 하나의 슬라이딩블록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이송 컨베이어부는,
    트레이 이송방향으로 하향 경사지게 배치되고, 다수의 봉지지홈이 이송방향을 따라 일정 간격으로 형성되는 컨베이어 프레임; 및
    상기 봉지지홈에 회전축이 삽입되어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도록 상기 컨베이어 프레임에 설치되는 다수 개의 이송봉;을 포함하는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3. 삭제
  4. 삭제
  5. 삭제
KR1020160018677A 2016-02-17 2016-02-17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KR1024427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677A KR102442707B1 (ko) 2016-02-17 2016-02-17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60018677A KR102442707B1 (ko) 2016-02-17 2016-02-17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870A KR20170096870A (ko) 2017-08-25
KR102442707B1 true KR102442707B1 (ko) 2022-09-14

Family

ID=5976165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0018677A KR102442707B1 (ko) 2016-02-17 2016-02-17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707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803348B (zh) * 2017-08-28 2021-01-12 常熟冠林汽车饰件有限公司 汽车饰件自动化仓储及喷涂的中转室工作控制方法
CN108792557B (zh) * 2018-07-12 2024-01-23 苏州德机自动化科技有限公司 一种采用双排6+5方式的aoi检测运输装置
KR101991293B1 (ko) 2018-10-26 2019-09-30 (주)한국선별기술 과일 선별용 과일 자동 적재 장치
KR101973659B1 (ko) 2018-11-19 2019-04-29 (주)한국선별기술 과일 선별용 트레이 투입 조절 장치
KR102246221B1 (ko) * 2018-12-28 2021-04-29 현대무벡스 주식회사 물품 박스 공급 장치
CN109759356B (zh) * 2019-01-17 2020-06-30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一种转盘式水果质量分级分选装置
KR102040429B1 (ko) * 2019-02-11 2019-11-04 이용두 살균장치
CN110976297B (zh) * 2019-11-02 2021-06-25 江苏工电宝信息科技有限公司 一种用于物流集中分拣的智能运输平台
CN110976331B (zh) * 2019-12-24 2020-11-27 北京农业智能装备技术研究中心 托盘式水果重量检测分级***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754Y1 (ko) * 2007-06-20 2008-03-06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기
KR101320634B1 (ko) * 2012-04-30 2013-10-23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시스템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28055A (ko) 2007-09-13 2009-03-18 최병훈 과일이송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38754Y1 (ko) * 2007-06-20 2008-03-06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기
KR101320634B1 (ko) * 2012-04-30 2013-10-23 주식회사 한성엔지니어링 과일 선별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96870A (ko) 2017-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42707B1 (ko) 과일 선별용 트레이 이송장치
US7735625B2 (en) Apparatus and method for unloading trays having a pallet layer loaded
JP2007014925A (ja) 農産物選別装置
EP0096505A1 (en) Picking device
JP2017105596A (ja) 果菜引継ぎ移送方法と、果菜引継ぎ移送装置と、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果菜容器詰め方法と、果菜容器詰め装置と、果菜選別容器詰め方法と、果菜選別容器詰め装置
US20160280464A1 (en) System and method for destacking and conveying articles arranged in stacks
JP6007375B2 (ja) 物品仕分方法と物品仕分装置
JP5797501B2 (ja) 物品仕分装置
US20100270124A1 (en) plant product conveyor system and method
JP2017006826A (ja) 果菜自動選別方法と、果菜自動選別装置と、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選別パック詰め装置と、果菜キャリア
JP5159206B2 (ja) パネル排出装置
KR101000432B1 (ko) 과일 트레이 이송기의 과일 적재 트레이 정지 및 빈 트레이 자동반출방법 및 장치
JP4941162B2 (ja) 物品移載装置
JPH0623936U (ja) 自動選別装置
JP2529523B2 (ja) 移載装置
JP5915883B2 (ja) 物品仕分方法と物品仕分装置
CN118103179A (zh) 用于经由物体传送来提供检测的***和方法
JP4857474B2 (ja) 果実の選別装置
KR101588296B1 (ko) 과일 선별장치
JP6143564B2 (ja) 物品仕分装置
JPH03256814A (ja) 果菜物整列箱詰装置
KR101750531B1 (ko) 농산물 선별 장치 및 농산물 선별 방법
JPH0283071A (ja) 青果物の選別装置
KR20120087075A (ko) 트레이 대기 및 반출 장치
JP2013173616A5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