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42515B1 - 미용 시트 - Google Patents

미용 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42515B1
KR102442515B1 KR1020210078923A KR20210078923A KR102442515B1 KR 102442515 B1 KR102442515 B1 KR 102442515B1 KR 1020210078923 A KR1020210078923 A KR 1020210078923A KR 20210078923 A KR20210078923 A KR 20210078923A KR 102442515 B1 KR102442515 B1 KR 1024425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se sheet
hydrogel
sheet
region
hydrogel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789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종철
김민경
이명준
오진세
룡 서
이권선
Original Assignee
콜마스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니슈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콜마스크 주식회사, 주식회사 베니슈, 주식회사 셀바이오휴먼텍 filed Critical 콜마스크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789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51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5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51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44/00Other cosmetic or toiletry articles, e.g. for hairdressers' rooms
    • A45D44/002Masks for cosmetic treatment of the fa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212Face mas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2Gels
    • AHUMAN NECESSITIES
    • A45HAND OR TRAVELLING ARTICLES
    • A45DHAIRDRESSING OR SHAVING EQUIPMENT; EQUIPMENT FOR COSMETICS OR COSMETIC TREATMENTS, e.g. FOR MANICURING OR PEDICURING
    • A45D2200/00Detai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in A45D
    • A45D2200/10Details of applicators
    • A45D2200/1009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 A45D2200/1036Applicators comprising a pad, tissue, sponge, or the like containing a cosmetic substance, e.g. impregnated with liquid or containing a soluble solid substance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미용 시트는, 적어도 일 영역이 소수성 처리되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미용 시트{COSMETIC SHEET}
본 발명은 미용 시트에 관한 것이다.
하이드로겔(Hydrogel)은 20 내지 90%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물질로서, 높은 함수율의 특성으로 인해 마스크 팩 등의 미용 분야 뿐만 아니라, 상처 드레싱, 콘택트 렌즈, 약물 전달매체, 보형물 등의 의료 분야까지 다양한 분야에 적용되고 있다.
하이드로겔을 이용한 마스크 팩의 경우, 종래, 화장 성분을 포함하는 하이드로겔을 단독으로 경화시켜 일정한 두께의 마스크 시트를 형성한 제품이 개발된 바 있다. 이러한 제품은 하이드로겔 외에 다른 구성을 요하지 않는다는 장점이 있지만, 마스크 시트의 두께가 얇은 경우 외력에 의해 쉽게 찢어지고, 이를 보완하기 위해 두께를 두껍게 하는 경우 착용감이 떨어지는 문제점이 있었으며, 또한, 이수 현상으로 인해 수분이 과도하게 흘러내릴 수 있는 문제점 또한 존재하였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하여, 부직포의 일면에 하이드로겔을 코팅하여 경화시킨 타입의 마스크 팩 제품이 도입된 바 있다. 이러한 제품의 경우, 부직포가 지지체로서 기능하기 때문에, 하이드로겔이 쉽게 찢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그런데, 이러한 제품은 하이드로겔을 코팅하는 과정에서 하이드로겔이 부직포를 투과하여 이면으로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부직포의 이면에 합성수지(PET 등) 필름을 추가적으로 부착해야 하므로 마스크 팩 제품의 두께가 두꺼워지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실제 사용 시에는 이물감으로 인해 합성 수지 필름을 제거해야 하기 때문에, 부직포의 이면으로 하이드로겔이 새어나가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없는 한계가 있었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미용 시트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들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용 시트가 제공된다. 상기 미용 시트는, 적어도 일 영역이 소수성 처리되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와 중첩하여 형성되는 제 1 하이드로겔 층; 및 상기 제 1 하이드로겔 층과 연속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 2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하이드로겔 층의 하측으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함침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에 의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침투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이드로겔 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한방 추출물 및 원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미용 시트의 제조 방법이 제공된다. 상기 제조 방법은, 베이스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 영역을 소수성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여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베이스 시트에 함침시켜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되, 베이스 시트의 상부를 소수성 처리하여 하이드로겔의 침투 깊이를 제한함으로써, 하이드로겔 층의 형성 과정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베이스 시트를 투과하여 외부로 새어나오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유출을 방지하기 위해 베이스 시트를 두껍게 형성할 필요가 없으므로, 기존 제품보다 얇은 미용 시트의 제작이 가능하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미용 시트를 피부에 적용하는 경우, 하이드로겔 층에 포함된 수분, 기능성 성분 등이 미용 시트의 반대측 면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 인용되는 도면을 보다 충분히 이해하기 위하여 각 도면의 간단한 설명이 제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층이 형성되기 전의 베이스 시트를 도시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예시적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들에 기재된 내용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구성하고 사용하는 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각 도면에서 제시된 동일한 참조번호 또는 부호는 실질적으로 동일한 기능을 수행하는 부품 또는 구성요소를 나타낸다. 이하에서 기재되는 편의상 상하좌우의 방향은 도면을 기준으로 한 것이며, 해당 방향으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반드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구성 요소들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 구성요소는 제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 구성요소도 제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및/또는 이라는 용어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의 조합 또는 복수의 관련된 항목들 중의 어느 하나의 항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한 용어는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제한 및/또는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 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에 있어서, 하이드로겔 층이 형성되기 전의 베이스 시트를 도시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미용 시트(100)는, 베이스 시트(110) 및 하이드로겔 층(120)을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10)는 섬유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교락하여 일정한 두께의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는 부직포일 수 있으며,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들을 혼합하여 웹을 형성하고,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 등에 의해 섬유들을 물리적으로 교락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제조 방식은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방식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를 이루는 섬유들은 합성섬유, 재생섬유, 생분해성 섬유 및 이들의 혼합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섬유는 PE(polyethylene), PP(polypropylene) 등의 합성 섬유, 면섬유, 마섬유, 모섬유, 견섬유 등의 식물성 또는 동물성의 천연섬유, 레이온(rayon) 섬유, 큐프라(cupra) 섬유, 리오셀(lyocell) 섬유, 극세사 섬유 등의 재생 섬유, 해조 섬유, 키토산 섬유, 셀룰로오스(cellulose) 섬유 등의 천연 유래 생분해성 섬유 중 하나이거나, 이들 중 2 종 이상의 섬유가 혼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를 이루는 섬유들은 소정의 범위의 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를 이루는 섬유들은 베이스 시트(110)가 40 내지 140 gsm, 50 내지 130 gsm, 50 내지 120 gsm, 50 내지 110 gsm, 50 내지 100 gsm, 50 내지 70 gsm 또는 80 내지 100 gsm 범위의 면밀도로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면밀도는 단위 면적당 질량(g/m2)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 상술되는 바와 같이, 베이스 시트(110)는 소수성 물질에 의해 소수성 처리되거나, 내측으로 하이드로겔 층(120)을 형성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함침될 수 있는데, 섬유들의 밀도가 너무 낮은 경우에는 소수성 물질 및/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베이스 시트(110)에 고정될 수 없고, 밀도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소수성 물질 및/또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침투가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소수성 처리 및 하이드로겔 층(120)의 형성에 적합하도록 베이스 시트(110)를 이루는 섬유들의 밀도가 일정한 범위로 제한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를 이루는 섬유들은 적어도 하나의 영역에서 서로 밀도를 달리하며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는 저밀도의 제 1 밀도 영역과 고밀도의 제 2 밀도 영역을 포함하고, 제 1 밀도 영역과 제 2 밀도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일 수 있다. 또한, 제 1 밀도 영역과 제 2 밀도 영역은 줄무늬 구조를 이루며 반복 배치될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와 같이, 베이스 시트(110)는 저밀도 영역과 고밀도 영역이 순차적으로 배치되는 구조를 형성할 수 있으며, 특히, 소수성 처리되는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고밀도 영역이 배치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10)는 적어도 일 영역이 소정의 방식으로 소수성 처리됨으로써 소수성 처리 영역(1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처리는 소수성 물질을 베이스 시트(110)를 구성하는 섬유들 사이로 흡수(또는, 함침)시키는 방식으로 수행되거나, 베이스 시트(1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소수성 섬유들로 구성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소수성 물질은 발수 성질을 가지는 물질로서, 예를 들어, 사용자에게 무해하고 화장품 제조용으로 사용 가능한 실리콘계, 불소계, 왁스(WAX)계 물질 등 당해 기술 분야에서 알려진 다양한 종류의 물질이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수성 처리 영역(111)은 베이스 시트(110)의 상단부를 포함하는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소수성 처리 영역(111)은 베이스 시트(11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소수성 처리는 베이스 시트(110)의 상단면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소수성 물질이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으로 흡수되게 하는 방식으로 수행될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실시예에 따라, 소수성 처리 영역(111)은 베이스 시트(110)의 중간 영역이나 상부 및/또는 하부 또는, 베이스 시트(110)의 전체에 걸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소수성 처리 영역(111)은 하이드로겔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의 침투 깊이를 제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하이드로겔 층(120)을 형성하기 위하여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는 경우, 하이드로겔 조성물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수분)가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으로 침투되는데, 소수성 처리 영역(111)의 존재로 인해 다량의 수분을 함유하는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소수성 처리 영역(111)의 일부까지만 침투 가능할 수 있다. 이를 통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베이스 시트(110)를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할 수 있다. 즉, 소수성 처리 영역(111)은 하이드로겔 조성물(특히, 수분)이 새어나가는 것을 방지하는 일종의 차단막으로 작용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는 비-함침 영역(112)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비-함침 영역(112)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또는, 함침)되지 않은 영역을 지칭한다. 이러한 비-함침 영역(112)은 하이드로겔 층(120)을 형성하는 과정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소수성 처리 영역(111)에 의해 침투 깊이가 제한됨으로 인해, 하이드로겔 층(120)의 하측에 배치되되, 소수성 처리 영역(111)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는 0.01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10)의 두께가 상기 범위보다 작은 경우에는 하이드로겔 층(120)의 형성이 어렵게 되고, 베이스 시트(110)의 상기 범위보다 큰 경우에는 피부와의 밀착성이 좋지 못하게 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층(120)은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적층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시트(110)에 함침된 상태로, 이를 경화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하이드로겔 층(120)은 사용자의 피부에 접촉하여 기능성 성분 등을 피부로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은 다량의 물을 함유할 수 있는 고함수 특성을 갖는 물질로서, 겔화제(예를 들어, 카나기난(Carrageenan), 알긴산나트륨(Sodium Alginate) 등의 천연 고분자 물질), 피부 미용 기능 등을 부여하는 기능성 성분, 방부제(예를 들어, 파라옥시향산 에스테르류, 페녹시에탄올, 이미다졸리디닐 우레아, 페노닙 등의 천연 방부제), 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이드로겔 층(120)은 제 1 하이드로겔 층(121) 및 제 2 하이드로겔 층(122)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하이드로겔 층(121)은 베이스 시트(110)와 중첩되어 형성되는 영역으로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소수성 처리 영역(111)으로 인해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만큼(예를 들어, 소수성 처리 영역(111)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 2 하이드로겔 층(122)은 제 1 하이드로겔 층(121)과 연속되되, 베이스 시트(110)와 중첩되지 않고 베이스 시트(110)의 외부에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하이드로겔 층(120)은 0.01 내지 10mm의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 및 하이드로겔 층(120) 중 적어도 하나는 한방 추출물 및/또는 원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한방 추출물은 한방 재료를 물리 및/또는 화학적으로 처리하여 이로부터 유효 성분을 추출한 것으로서, 피부에 보습, 미백, 재생 등의 미용적 효과를 제공하는 적어도 하나의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한방 재료는 어성초, 오배자, 목단피, 구지뽕나무, 치자, 황기, 오미자, 황금, 계피, 왕겨초액, 당귀, 도라지, 수세미, 은행, 생강, 맥문동, 녹두, 구기자, 약쑥, 백련초, 지황, 천궁, 작약, 감초, 황련, 율피, 복분자, 사상자, 토사자, 감국, 고삼, 금은화, 백지, 연교, 유근피, 자초, 지실, 진피, 하수오, 홍삼, 인삼, 율무, 울금, 산수유, 갈근, 백출, 복령, 마테, 칡 등 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원물은 식물의 잎, 열매, 과피, 줄기 및 뿌리 중 적어도 하나의 건조물 또는 분쇄물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원물은 한라봉, 천혜향, 레드향 등의 만감류, 노지감귤, 금귤 등이 감귤류 등 다양한 품종의 귤의 껍질(진피)을 동결 건조한 다음 이를 일정한 크기로 분쇄한 것일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원물(30)은 쑥, 어성초, 익모초 등의 한방약재, 또는 장미꽃, 목단꽃, 금잔화 등의 꽃잎 등과 같이 유효 성분을 가지는 다양한 식물 등을 건조 및/또는 분쇄하여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는 이를 구성하는 섬유의 물리적 교락에 의해 원물을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는 제 1 섬유를 포함하는 제 1 웹과 제 2 섬유를 포함하는 제 2 웹을 물리적으로 교락하여 제조될 수 있으며, 이러한 베이스 시트(110)의 제조 과정에서 원물을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에 고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웹의 상측에 원물을 분산 배치시키고, 이의 상측으로 제 2 웹을 적층한 다음,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 등을 통해 제 1 섬유와 제 2 섬유가 원물을 외측에서 감싸면서 서로 물리적으로 얽힘 및/또는 교락되도록 함으로써, 단일 레이어의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에 원물을 고정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서 도시되는 미용 시트(100) 및 베이스 시트(110)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 발명이 적용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적용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미용 시트의 제조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순서도를 도시한다.
제조 방법(300)은 베이스 시트(110)를 제공하는 단계(S310), 베이스 시트(1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소수성 처리하는 단계(S320) 및 하이드로겔 층(120)을 형성하는 단계(330)를 포함할 수 있다.
S310 단계에서, 베이스 시트(110)를 제공할 수 있다. 베이스 시트(110)는 섬유들이 서로 물리적으로 교락하여 시트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베이스 시트(110)는 부직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는 1종 또는 2종 이상의 섬유들을 혼합하여 웹을 형성하고, 스펀레이스(spun-lace) 공정 등에 의해 섬유들을 물리적으로 교락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S320 단계에서, 베이스 시트(110)의 적어도 일 영역을 소정의 방식으로 소수성 처리함으로써, 베이스 시트(110)에 소수성 처리 영역(111)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이스 시트(110)의 상단면에 소수성 물질을 도포하여, 소수성 물질을 베이스 시트(110)의 내측으로 흡수시키는 방식으로, 소수성 처리 영역(111)을 베이스 시트(110)의 상단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소정의 두께만큼 형성시킬 수 있다.
S330 단계에서,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층(120)을 형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도포하여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베이스 시트(110)의 상부에 형성된 소수성 처리 영역(111)의 내측으로 일정한 깊이만큼 함침되게 할 수 있다. 이어서,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경화시킴으로써 하이드로겔 층(120)을 베이스 시트(110)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된 형태로 형성할 수 있다. S330 단계에서는, 소수성 처리 영역(111)에 의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베이스 시트(110)를 투과하여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비교예에 의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1: 수분 이동 시험
표 1과 같이, 본 발명에 따라 부직포에 각각 상이한 농도의 소수성 물질로 소수성 처리하여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의 베이스 시트를 제조하였다. 또한, 동일한 부직포에 별도의 소수성 처리를 하지 않은 비교예를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동일한 크기 및 두께로 준비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부직포 면밀도(GSM) 25 25 25 25
소수성 물질 종류 실리콘 실리콘 실리콘 -
소수성 물질 농도(%) 0.01 0.1 1 -
이어서, 실시예1 내지 실시예3 및 비교예에 따른 시트의 상측에 각각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1.5mm 두께(34GSM)로 적층하고 20분 동안 모세관 현상에 따른 부직포 내의 수분 이동 거리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비교예
수분 이동 거리(mm) 240 120 0 260
표 2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은 비교예와 대비하여 동일 시간 동안 모세관 현상에 따른 수분의 이동 거리가 작음을 알 수 있다. 이를 통해, 실시예1 내지 실시예3과 같이 부직포에 소수성 처리를 수행하는 경우, 미용 시트의 제조 과정에서 하이드로겔 조성물(특히, 수분)의 침투 깊이를 일정하게 제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2: 미용 시트의 수분흡수 실험
본 발명에 따라 실리콘 0.1%로 소수성 처리한 부직포(25GSM) 상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1.5mm 두께(34GSM)로 적층하여 실시예의 미용 시트를 제조하고, 베이스 시트가 없는 노메쉬 타입의 하이드로겔 시트인 비교예를 1.5 mm의 두께로 제조하였다.
이어서, 실시예와 비교예를 증류수에 30분간 침지한 다음 침지 전, 후의 무게 변화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수분 흡수력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흡수력(%) 54.5 10.4
표 3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높은 수분 흡수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의 경우, 동일한 면적의 시트로 더 많은 수분 및/또는 미용액을 충진하여 사용자에게 제공할 수 있다.
실험예3: 미용 시트의 수분증발 실험
실험예2와 동일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용 시트를 제조하고, 실시예와 비교예를 증류수에 30분간 침지시킨 다음 실온에서 6시간까지 방치 후 시간이 경과함에 따른 무게 변화를 백분율로 계산하여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의 수분 증발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20분 증발률(%) 2.5 5.1
3시간 증발률(%) 27.0 34.0
6시간 증발률(%) 43.6 53.9
증발률은 미용 시트에 충진된 미용액 중 피부에 전달되지 않고, 대기 중으로 증발되는 미용액의 비율을 의미할 수 있다. 표 4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해 낮은 증발률을 보임을 알 수 있다.
실험예2와 실험예3을 함께 이를 검토해 보면, 실시예가 비교예에 비하여 더 많은 양의 액체가 흡수되면서도, 더 적은 양의 액체가 증발됨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미용액의 전달 효율이 높은 것으로 볼 수 있다.
실험예4: 미용 시트의 인장 실험
실험예2와 동일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용 시트를 제조하고, 실시예와 비교예를 각각 동일한 힘으로 잡아당겨 시트가 끊어지기 전까지의 인장길이와 인장률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인장길이(mm) 55 35
인장률(%) 73 47
표 5에서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더 큰 인장길이 및 인장률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비교예에 비하여 사용 과정에서 미용 시트에 가해지는 힘에 의해 시트가 찢어지는 문제를 효과적으로 방지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험예5: 미용 시트의 밀착력 실험
실험예2와 동일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용 시트를 제조하고,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하이드로겔 부분을 마찰계수가 작은 매끄러운 표면에 부착한 다음 90도 각도에서 시간이 경과함에 따라 실시예와 비교예 각각이 미끄러지는 이동 길이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비교예
20분 이동 길이(mm) 6 130
1시간 이동 길이(mm) 7 253
2시간 이동 길이(mm) 7 255
표 6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실시예는 비교예보다 더 큰 표면 밀착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즉, 실시예는 베이스 시트인 부직포가 하이드로겔 층의 형태를 잡아주기 때문에, 사용자의 착용 시간이 경과하더라도 높은 밀착력을 유지할 수 있다.
실험예6: 미용 시트의 품평 실험
실험예2와 동일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미용 시트를 제조하고, 실시예와 비교예에 따른 미용 시트를 사용자에게 착용한 후, 품평 실험을 실시하였다.
평가항목 실시예 비교예
밀착력 +++ +
보습감 +++ +
지속력 ++ +
활동성 +++ +
선호도 +++ +
평가기준: +++: 매우 우수; ++: 우수; +: 보통
상기와 같이, 밀착력, 보습감, 지속력, 활동성 및 선호도의 모든 영역에서 실시예가 비교예에 대해 높은 평가를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에서는 소수성 처리를 통해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증발이나 이수 현상을 방지함으로써, 기존의 미용 시트(비교예) 대비 개선된 보습력과 지속력을 제공함을 알 수 있다.
이상과 같이 실시예들이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해당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상기의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시스템, 구조, 장치, 회로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실시예는 필요에 따라 서로 조합되어 운용할 수 있다. 그러므로, 다른 구현들, 다른 실시예들 및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한 것들도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범위에 속한다.
100: 미용 시트 110: 베이스 시트
111: 소수성 처리 영역 112: 비-함침 영역
120: 하이드로겔 층 121: 제 1 하이드로겔 층
122: 제 2 하이드로겔 층

Claims (8)

  1. 미용 시트로서,
    적어도 일 영역이 소수성 처리되는 베이스 시트;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여 형성되는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는, 상기 하이드로겔 층의 하측으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은 비-함침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에 의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침투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형성되며,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미용 시트.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베이스 시트와 중첩하여 형성되는 제 1 하이드로겔 층; 및
    상기 제 1 하이드로겔 층과 연속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의 외부에 형성되는 제 2 하이드로겔 층을 포함하는, 미용 시트.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하부에 형성되는, 미용 시트.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 시트 및 상기 하이드로겔 층 중 적어도 하나는 한방 추출물 및 원물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는, 미용 시트.
  8. 미용 시트의 제조 방법으로서,
    베이스 시트를 제공하는 단계;
    상기 베이스 시트의 적어도 일 영역을 소수성 처리하는 단계; 및
    상기 베이스 시트의 상부에 하이드로겔 조성물을 적층하여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하이드로겔 층을 형성하는 단계에서,
    상기 하이드로겔 층은,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의 적어도 일부까지 함침됨으로써, 상기 베이스 시트와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베이스 시트에는,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에 의해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의 침투 깊이가 제한됨으로써, 상기 하이드로겔 층의 하측으로 상기 하이드로겔 조성물이 포함되지 않는 비-함침 영역이 형성되고,
    상기 비-함침 영역은, 상기 베이스 시트의 소수성 처리된 영역과 적어도 일부가 중첩되는, 제조 방법.
KR1020210078923A 2021-06-17 2021-06-17 미용 시트 KR1024425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23A KR102442515B1 (ko) 2021-06-17 2021-06-17 미용 시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78923A KR102442515B1 (ko) 2021-06-17 2021-06-17 미용 시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515B1 true KR102442515B1 (ko) 2022-09-13

Family

ID=8328681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78923A KR102442515B1 (ko) 2021-06-17 2021-06-17 미용 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51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223A (ko) * 2013-12-27 2016-08-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습성 여과재
KR20190033126A (ko) * 2017-09-21 2019-03-29 (주)아모레퍼시픽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다중층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2137A (ko) * 2019-01-24 2020-08-03 콜마스크 주식회사 화장용 패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2223A (ko) * 2013-12-27 2016-08-29 닛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투습성 여과재
KR20190033126A (ko) * 2017-09-21 2019-03-29 (주)아모레퍼시픽 하이드로겔이 코팅된 다중층 바이오셀룰로오스 시트마스크 및 이의 제조방법
KR20200092137A (ko) * 2019-01-24 2020-08-03 콜마스크 주식회사 화장용 패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52789B2 (ja) 創傷被覆材および創傷被覆材キット
JP5805733B2 (ja) 創傷被覆材用表面シートおよび創傷被覆材
US3122140A (en) Flexible absorbent sheet
JP6158178B2 (ja) 保液シート及びフェイスマスク
JP6480335B2 (ja) 抗菌性不織布シート、含液シート、およびフェイスマスク
KR102597677B1 (ko) 쑥을 함유한 미용 마스크팩 및 이의 제조 방법
EP0594034B1 (de) Plastisch verformbare Kompresse
BR102012023829A2 (pt) material composto absorvente resiliente
EP2532326B1 (de) Wundauflage, enthalted vliesstoff und salbengrundlage, zur unterdrucktherapie
CN109414523A (zh) 包括载体和复合材料的医用敷料
KR102442515B1 (ko) 미용 시트
KR20210130535A (ko) 냉감 효과의 스펀레이스 혼섬 부직포
CN215426220U (zh) 一种具有护肤功效的无纺布桑拿用品
US6759353B2 (en) Absorbing article
KR20230144312A (ko) 미용 시트
CN202654322U (zh) 乳胶性sap卫生用品芯体
CN112618383A (zh) 一种具有护肤功效的无纺布桑拿用品
JP7035752B2 (ja) 機能性シートおよび機能性シートキット
JP4426255B2 (ja) 殺菌消毒液含浸用シート
JP2019183336A (ja) 機能性シート
KR20120110934A (ko) 서방형 원단
DE102013018941A1 (de) Fluid zur Wundbehandlung und Wundauflag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