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7400B1 -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 Google Patents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7400B1
KR102437400B1 KR1020190151379A KR20190151379A KR102437400B1 KR 102437400 B1 KR102437400 B1 KR 102437400B1 KR 1020190151379 A KR1020190151379 A KR 1020190151379A KR 20190151379 A KR20190151379 A KR 20190151379A KR 102437400 B1 KR102437400 B1 KR 10243740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sin
parts
weight
resin film
rp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5137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61303A (ko
Inventor
조애리
이승훈
Original Assignee
(주)엘엑스하우시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엘엑스하우시스 filed Critical (주)엘엑스하우시스
Publication of KR20200061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61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740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740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10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propene
    • C08L23/14Copolymers of prop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olefi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3/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3/02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unsaturated aliphatic hydrocarbons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not modified by chemical after-treatment
    • C08L23/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ethene
    • C08L23/06Polyeth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70/00Resin or rubber layer containing a blend of at least two different poly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02Coloure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12Transpar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04Polyethylene
    • B32B2323/046LDPE, i.e. low density polyethylen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23/00Polyalkenes
    • B32B2323/10Polypropyl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207/00Properties characterising the ingredient of the composition
    • C08L2207/06Properties of polyethylene
    • C08L2207/066LDPE (radical proces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가 개시된다.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올레핀(LLDPE) 수지를 포함하는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POLYPROPYLENE BASED RESIN COMPOSITION AND LAMINATED SHEET INCLUDING THE SAME}
본 발명은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에 관한 것이다.
표면 마감재는 가구, 건축물의 내외장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의 표면을 마무리하는 필름이다. 표면 마감재는 건축물의 내외장재, 가구, 자동차용 내외장재, 전자제품의 내외장재 등에, 그림, 문자, 숫자, 무늬, 입체감 등의 다양한 장식효과를 제공할 수도 있다.
폴리염화비닐(PVC)은 가공성이 우수하여 다양한 분야에서 널리 이용되고 있는 소재이다. 그러나 PVC는 염소(Cl) 성분을 함유하고 있기 때문에 화재 발생 시에 연기와 독성가스가 다량 발생하여 인명피해가 확산될 우려가 있다. 또한, PVC 제품에는 보통 첨가제를 혼합하여 성형하는데, 그 첨가제 자체가 독성을 가지고 있는 경우가 대부분이다.
상술한 PVC의 단점으로 인해,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또는 폴리올레핀계 수지를 주요 소재로 하는 표면 마감재가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폴리프로필렌 수지는 적층시트의 층 간 박리를 해결하기 위한 접착제의 확보가 어렵고, 상온에서의 인장 시 나타나는 신율과 인장강도의 부족 등으로 인해 PVC 대비 유사 물성의 확보가 어려운 경우가 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1-0113101
삭제
본 발명은 적층시트의 층 간 접착력을 향상시킬 수 있는 동시에 높은 신율을 발휘할 수 있는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은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얻어진 필름을 포함하는 적층시트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제1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다른 일 실시예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수지의 제2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2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PO 수지를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시트는 투명 수지필름, 백색 수지필름 및 장식층을 포함한다. 상기 장식층은 상기 투명 수지필름과 상기 백색 수지필름의 사이에 배치된다.
상기 투명 수지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제1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백색 수지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수지의 제2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상기 제1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고, 상기 TPO 수지를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투명 수지필름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 조건에서, 신율이 750% 이상일 수 있고, 인장 강도가 20MPa 이상일 수 있다.
상기 백색 수지필름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 조건에서, 신율이 750% 이상일 수 있고, 인장 강도가 20MPa 이상일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에틸렌 반복단위를 포함함으로써 열접착성 물성을 통한 높은 접착력을 가지며 고신율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적층시트는 상기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로부터 제조된 필름들의 사이에 장식층이 배치된 구조를 가지므로, 층 간 접착력이 우수하여 층 간 박리를 최소화 내지 방지할 수 있으며, 고신율을 발휘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시트의 모식도이다.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는 실시형태들과 실험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의 사상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그 기술의 사상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됨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내용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이하에서 게시되는 내용은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고,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기술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할 수 있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도면에서 층 및 영역들의 크기 및 상대적인 크기는 설명의 명료성을 위해 과장된 것일 수 있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으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명세서 전체에서,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각 구성요소는 단수일 수도 있고 복수일 수도 있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하는(including)", "가진(having)" 이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A 및/또는 B"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A, B 또는 A 및 B 를 의미하며, "C 내지 D" 라고 할 때, 이는 특별한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C 이상이고 D 이하인 것을 의미한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 또는 "상(on)"으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또는 층의 바로 위 뿐만 아니라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반면, 소자가 "직접 위(directly on)" 또는 "바로 위"로 지칭되는 것은 중간에 다른 소자 또는 층을 개재하지 않은 것을 나타낸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인 "아래(below)", "아래(beneath)", "하부(lower)", "위(above)", "상부(upper)" 등은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바와 같이 하나의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 다른 소자 또는 구성 요소들과의 상관관계를 용이하게 기술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공간적으로 상대적인 용어는 도면에 도시되어 있는 방향에 더하여 사용시 또는 동작시 소자의 서로 다른 방향을 포함하는 용어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을 참고하여, 발명에 대해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에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적층시트(100)의 모식도가 도시되어 있다.
도 1을 참조하면, 적층시트(100)는 투명 수지필름(10), 백색 수지필름(11) 및 장식층(12)을 포함한다. 장식층(12)은 투명 수지필름(10)과 백색 수지필름(11)의 사이에 배치된다. 적층시트(100)는 백색 수지필름(11)과 장식층(12)의 사이에 배치되어 백색 수지필름(11)과 장식층(12)을 접착시키는 제1 접착제층(13)과 투명 수지필름(10)과 장식층(12)의 사이에 배치되어 투명 수지필름(10)과 장식층(12)을 접착시키는 제2 접착제층(14)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투명 수지필름(10)은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를 포함한다. 제1 폴리프로필렌계 수지는 제1 고분자 블렌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포함하는 제1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제1 고분자 블렌드가 에틸렌 반복단위를 포함함으로써 투명 수지필름(10)은 750% 이상의 고신율을 발휘할 수 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수지 대비 개선된 투명성과 유연성을 가진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는 폴리프로필렌 중합 시 소량의 에틸렌을 첨가하여 고분자의 입체 규칙성을 낮춘 것이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는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비정형 부분이 많으므로, 강성은 약간 떨어지지만 충격강도와 유연성이 우수하고, 광 산란을 일으키는 결정의 양이 적으므로 호모 폴리프로필렌에 비해 투명성이 우수하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는 저밀도 폴리에틸렌(LDPE) 수지에 비해 낮은 압력과 온도에서 중합되고, 일반적으로 에틸렌에 소량의 α-올레핀 공단량체를 첨가하여 중합된다.
제1 고분자 블렌드는 부성분으로 상기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포함한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는 투명 수지필름(10)의 고신율을 저하시키지 않으며 열접착성 물성을 통한 높은 접착력을 투명 수지필름(10)에 제공할 수 있다.
투명 수지필름(10)은 호모 폴리프로필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며 LLDPE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 기존의 투명 수지필름에 비해 향상된 신율 및 접착력을 발휘할 수 있다.
제1 고분자 블렌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적층시트(100)의 층 간 접착력이 부족하여 층 간 박리가 발생될 수 있다.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함량이 증가함에 따라 신율과 인장강도가 감소되는 경향이 있으므로,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함량은 30 중량부 미만인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어, 투명 수지필름(10)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 조건에서, 신율이 750% 이상일 수 있고, 인장 강도가 2000 N/cm2a 이상 일 수 있다.
투명 수지필름(10)의 두께는, 예를 들어, 약 10 ㎛ 내지 약 100 ㎛ 일 수 있다. 투명 수지필름(10)의 두께가 약 10 ㎛ 미만인 경우 가공성과 취급성이 불리하며, 투명 수지필름(10)의 두께가 약 100 ㎛ 초과인 경우 적층시트(100)의 가격 경쟁력이 저하될 수 있다.
한편, 제1 고분자 블렌드는 공지된 활제, 공지된 산화방지제, TiO2, 공지된 UV 안정화제, 아민계 광안정제(HAL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수지는 백화 현상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제1 고분자 블렌드는 투명 수지필름(10)의 제조에 사용되기 때문에, TPO 수지에 의한 백화 현상의 방지를 위해, TPO 수지를 포함하지 않는다.
한편, 백색 수지필름(11)은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을 포함한다. 제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은 제2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한다. 제2 고분자 블렌드는 제1 고분자 블렌드에 TPO 수지가 더 첨가된 것으로,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및 TPO 수지를 포함한다.
TPO 수지는 폴리올레핀계 수지에 올레핀계 고무를 블렌딩한 고분자 복합소재로 고무와 같은 탄성을 보이는 열가소성 수지이다. TPO 수지의 일반적인 구조는 경질상(hard segment)와 연질상(soft segment)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연질상은 열가소성 엘라스토머 특유의 고무 탄성을 TPO 수지에 제공할 수 있다. TPO 수지의 예로는 호모 폴리프로필렌(homo polypropylene), 호모 폴리에틸렌(homo polyethylene) 및 에틸렌계 엘라스토머인 EPDM(ethylene-propylene-diene monomer)의 단순 블렌드, R-TPO(Reactor made Thermoplastic PolyOlefin), TPV(thermoplastic vulcanizate) 등을 들 수 있지만 이것 만으로 제한되지 않으며, 특히 R-TPO는 타 수지에 비해 성형성이 높고 엠보 유지력이 좋다.
제2 고분자 블렌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를 주성분으로 함유하며, 부성분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와 TPO 수지를 포함한다. 제2 고분자 블렌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고, TPO 수지를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할 수 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 10 중량부 미만인 경우, 적층시트(100)의 층 간 접착력이 부족하여 층 간 박리가 발생될 수 있다. TPO 수지는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함량의 증가에 따른 신율과 인장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따라서, 제2 고분자 블렌드는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LLDPE 수지를 30 중량부 이하로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TPO 수지가 20 중량부 미만인 경우에는 750% 이상의 고신율을 얻기 어려울 수 있다. 또한,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TPO 수지가 30 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750% 이상의 고신율을 얻을 수 있지만 백색 수지필름(11) 및 적층시트(100)의 단가가 높아질 수 있다.
예를 들어, 백색 수지필름(11)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 조건에서, 신율이 750% 이상일 수 있고, 인장 강도가 2000 N/cm2a 이상 일 수 있다.
백색 수지필름(11)의 두께는 약 10㎛ 내지 약 100㎛ 일 수 있다. 백색 수지필름(11)의 두께가 약 10 ㎛ 미만인 경우 가공성 및 취급성이 불리하며, 백색 수지필름(11)의 두께가 약 100 ㎛ 초과인 경우 적층시트(100)의 제조비용을 상승시킬 수 있다.
제2 고분자 블렌드는 공지된 활제, 공지된 산화방지제, TiO2, 공지된 UV 안정화제, 아민계 광안정제(HALS) 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장식층(12)은 인쇄층 및/또는 금속질감층일 수 있다.
인쇄층은 색상 및/또는 무늬를 구비할 수 있다. 인쇄층은 색상 및/또는 무늬를 통해 적층시트(100)에 심미성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인쇄층은 유색층 또는 투명층일 수 있다. 유색층을 형성하는 잉크의 조성이나 인쇄 방법 등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예를 들어, 아크릴계, 염화비닐-초산비닐 공중합체계, 우레탄계, 폴리 에스테르계, 섬유소 유도체계, 염소화 폴리프로필렌계, 폴리비닐 부티랄계 등의 1종 또는 2종 이상의 혼합계 인쇄 잉크 또는 도료를 사용하여 유색층이 형성될 수 있다. 인쇄층에는 전사 인쇄, 그라비어 인쇄, 스크린 인쇄, 오프셋 인쇄, 로터리 인쇄 또는 플렉소 인쇄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무늬가 형성될 수 있다.
금속질감층은 적층시트(100)에 금속질감을 부여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금속질감층은 금속소재를 스퍼터링(Sputtering), 열증착 등의 방법으로 얻어질 수 있다. 금속질감층을 형성하는 금속소재로는 주석, 알루미늄, 구리, 은, 백금, 크롬, 니켈 또는 이들의 합금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장식층(12)은 금속질감층으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금속질감층과 인쇄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식층(12)이 인쇄층과 금속질감층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인쇄층은 금속질감층 상에 형성될 수 있다. 다시 말하면, 장식층(12)이 인쇄층과 금속질감층을 모두 포함하는 경우, 적층시트(100)는 백색 수지 시트와 인쇄층의 사이에 금속질감층이 개재된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장식층(12)의 두께는 약 5 nm 내지 약 10㎛ 일 수 있다. 장식층(12)은 인쇄층 또는 금속질감층으로 이루어질 수 있거나, 인쇄층과 금속질감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할 수도 있다.
장식층(12)이 금속질감층과 인쇄층의 적층구조를 포함하는 경우, 인쇄층의 두께는 약 0.1 ㎛ 내지 약 10 ㎛ 일 수 있고, 금속질감층의 두께는 약 5 nm 내지 약 100 nm 일 수 있다. 인쇄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의 두께를 유지하는 것에 의해, 적층시트(100)는 정밀한 인쇄 효과를 구현할 수 있고, 건조성을 확보함으로써 가공성 및 생산성을 높일 수 있다.
적층시트(100)는 투명 수지필름(10)과 백색 수지필름(11)의 각각의 표면을 코로나 처리하고, 후속하여 표면 개질된 백색 수지필름(11) 상에 제1 접착제층(13), 장식층(12), 제2 접착제층(14)을 순서대로 코팅하여 공정품을 얻은 뒤, 롤의 표면 온도가 약 125℃ 내지 135 ℃ 가 되는 합지 롤러를 이용하여, 공정품의 제2 접착제층(14) 상에 투명 수지필름(11)을 합지함으로써 얻어질 수 있다.
한편, 투명 수지필름(10)은 적층시트(100)의 표면 보호층의 역할을 할 수 있으므로, 투명 수지필름(10) 상에는 내스크래치 강화층, 눈부심 방지층(AR), 및 반사방지층(AR) 중 적어도 하나의 역할을 할 수 있는 기능층이 더 배치될 수도 있다.
<실시예 1 >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TI625,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SP310, LG화학) 10 중량부를 배합한 후, 이 배합물을 187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투명 수지필름을 얻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TI625,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에 TPO 수지(AlflexTM, Q100F, BASF社) 30 중량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SP310, LG화학) 30 중량부를 배합한 후, 여기에 Talc 10중량부와 TiO2 20중량부를 추가 배합한 배합물을 187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백색 수지필름을 얻었다.
투명 수지필름과 백색 수지필름의 각각의 표면을 0.6A, 220V로 코로나 처리하였다. 후속하여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백색 수지필름 0.08mm 상에 우레탄계 제1 접착제층, 장식층, 폴리에스테르계 제2 접착제층을 순서대로 코팅하여 공정품을 얻었다.
롤의 표면 온도가 약 130 ℃ 가 되는 합지 롤러를 이용하여, 공정품의 제2 접착제층 상에 투명 수지필름을 합지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2 >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SB530, 롯데케미칼社)를 사용하고, 배합물을 175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투명수지 필름과 백색수지 필름을 제조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TI625,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를 187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투명 수지필름을 얻었다.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TI625,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 대비 티탄 10 중량부를 처방한 후 컴파운딩하여 캘린더링하여 백색 수지필름을 얻었다.
투명 수지필름과 백색 수지필름의 각각의 표면을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코로나 처리하였다. 후속하여 표면이 코로나 처리된 백색 수지필름 상에 제1 접착제층, 장식층, 제2 접착제층을 순서대로 코팅하여 공정품을 얻었다.
롤의 표면 온도가 약 130 ℃ 가 되는 합지 롤러를 이용하여, 공정품의 제2 접착제층 상에 투명 수지필름을 합지하여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호모 폴리프로필렌(hPP) 수지(Y-120H,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에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제품명, 제조사명) 10 중량부를 배합한 후이 배합물을 187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투명 수지필름을 얻었다.
호모 폴리프로필렌(hPP) 수지(Y-120H, 롯데케미칼社) 100 중량부에 TPO 수지(AlflexTM, Q100F, BASF社) 30 중량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제품명, 제조사명) 30 중량부를 배합한 후, 여기에 Talc 10중량부와 TiO2 20중량부를 추가 배합한 배합물을 187 ℃의 온도에서 캘린더링(calendaring)하여 백색 수지필름을 얻었다.
그 외의 제조방법은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적층시트를 제조하였다.
실험예 1 - 적층시트의 접착력
하기 표 1에는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의 접착력 측정 결과가 정리되어 있다. 상기 접착력은 먼저 합지 필름의 말단을 손으로 분리시킨 후, 각 말단을 Peel Tester 장비에 고정하고 10cm 거리 기준 100mm/min의 속도로 잡아당겨 박리력을 측정하였다.
합지 직후 접착력(kg/inch) 1일 동안 에이징(aging) 후 접착력(kg/inch)
실시예 1 2.3 3.2
실시예 2 2.1 2.9
비교예 1 0.7 1.0
비교예 2 1.6 1.8
실험예 2 - 적층시트의 신율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투명 필름, 백색 필름 및 이를 합지한 적층 시트의 신율을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신율 측정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투명 필름(%) 백색 필름(%) 적층 시트(%)
실시예 1 760 755 703
실시예 2 770 800 712
비교예 1 387 452 421
비교예 2 37.7 21 25
실험예 3 - 적층시트의 인장강도 측정
실시예 1 내지 2 및 비교예 1 내지 2에서 제조된 투명 필름, 백색 필름 및 이를 합지한 적층 시트의 세로방향의 인장강도을 측정하여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인장강도 측정은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에 의하여 측정하였다.
투명 필름(N/cm2) 백색 필름(N/cm2) 적층 시트(N/cm2)
실시예 1 2740 3100 3495
실시예 2 2260 3300 3380
비교예 1 1800 1500 1950
비교예 2 3690 3300 3520
상기 표 1 내지 표 3의 결과에서와 같이,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를 함께 사용하여 필름을 제조한 실시예 1 내지 2의 경우,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만을 사용하거나 종래의 호모 폴리프로필렌(hPP)를 사용한 비교예 1 내지 2에 비하여 접착력과 인장강도가 개선될 뿐만 아니라, 신율이 놀랍게 개선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렇게 신율이 뛰어는 적층 시트의 경우, 실제 표면 마감재로 사용되는 경우, 쉽게 찢어지지 않고 성형성이 뛰어나다는 장점이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으나, 발명은 상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각 실시예에 게시된 내용들을 조합하여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제조될 수 있으며,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0: 적층시트
10: 투명 수지필름
11: 백색 수지필름
12: 장식층
13: 제1 접착제층
14: 제2 접착제층

Claims (8)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투명 수지필름;
    백색 수지필름; 및
    상기 백색 수지필름과 상기 투명 수지필름의 사이에 배치된 장식층; 을 포함하고,
    상기 투명 수지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수지의 제1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하며,
    상기 백색 수지필름은 랜덤 폴리프로필렌(rPP) 수지, 선형 저밀도 폴리에틸렌(LLDPE) 및 폴리올레핀계 열가소성 엘라스토머(TPO) 수지의 제2 고분자 블렌드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이상 30 중량부 미만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상기 제2 고분자 블렌드는 상기 rPP 수지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상기 LLDPE 수지를 1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고, 상기 TPO 수지를 20 중량부 내지 30 중량부의 범위 내에서 포함하는, 적층시트.
  6. 삭제
  7. 삭제
  8. 제5항에 있어서,
    상기 투명 수지필름과 상기 백색 수지필름은 각각, KS M 3001:2001(Specimen: Type2, Test speed: 50 mm/mm) 조건에서,
    신율이 750% 이상이고,
    인장 강도가 2000 N/cm2 이상인, 적층시트.
KR1020190151379A 2018-11-23 2019-11-2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KR10243740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80146141 2018-11-23
KR1020180146141 2018-11-23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303A KR20200061303A (ko) 2020-06-02
KR102437400B1 true KR102437400B1 (ko) 2022-08-29

Family

ID=710908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51379A KR102437400B1 (ko) 2018-11-23 2019-11-22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7400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602A (ja) * 1998-09-19 2000-04-04 Alkor Gmbh 多層の熱成形可能な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該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を用いて製造した家具部材並びに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の製造法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663319B2 (ja) * 1992-04-03 1997-10-15 宇部興産株式会社 ストレッチラップ多層フィルム
JP3175482B2 (ja) * 1994-06-23 2001-06-11 凸版印刷株式会社 化粧シート及びその製造方法
JP3702628B2 (ja) * 1997-12-15 2005-10-05 三菱化学エムケーブイ株式会社 化粧シート用フィルム
KR101248743B1 (ko) 2010-04-08 2013-04-03 (주)엘지하우시스 성형가공 후에도 높은 광택을 가지는 성형용 적층시트 및 그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0094602A (ja) * 1998-09-19 2000-04-04 Alkor Gmbh 多層の熱成形可能な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該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を用いて製造した家具部材並びに家具用プラスチック複合シ―トの製造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61303A (ko) 2020-06-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30268B2 (en) Decorative laminated sheet, structure including the decorative laminated sheet,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EP2739485B1 (en) Graphic article
US20170369689A1 (en) Conformable sheet
CN111770838B (zh) 使用低温热层压形成瓷砖的方法
JP3099748B2 (ja) 化粧シート
KR102437400B1 (ko) 폴리프로필렌계 수지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적층시트
JP2002370328A (ja) 共押出多層フィルム
KR100531256B1 (ko) 폴리올레핀계 공압출 연신 폴리프로필렌(opp) 필름
JP2002337282A (ja) 梨地状フィルム
US11123964B2 (en) Film composition for paper thermal lamination application
EP3500429B1 (en) Coated, metallized films
KR101887233B1 (ko) 이축연신 폴리프로필렌 다층 필름 및 이를 이용한 디스플레이용 보호 필름
KR101736690B1 (ko) 아스팔트 방수 시트용 다층 공압출 필름 및 이의 제조 방법
JPH1036590A (ja) 化粧シート
US20230107206A1 (en) Decorative vapor deposition sheet
EP4360871A1 (en) Gas barrier film, laminate, and packaging material
JP2010214917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H06218892A (ja) 積層フィルム
JP2010214824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BR112020003175B1 (pt) Método para produzir um ladrilho
JP200305391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化粧材
JPH11334002A (ja) 化粧用エンボスシート状物
JP2000289160A (ja) 化粧用積層シート
JP2010208308A (ja) 化粧シ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