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31367B1 -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 Google Patents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31367B1
KR102431367B1 KR1020200084963A KR20200084963A KR102431367B1 KR 102431367 B1 KR102431367 B1 KR 102431367B1 KR 1020200084963 A KR1020200084963 A KR 1020200084963A KR 20200084963 A KR20200084963 A KR 20200084963A KR 102431367 B1 KR102431367 B1 KR 10243136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ste heat
air
drying chamber
drying
heat supply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8496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06942A (ko
Inventor
허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킹스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킹스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킹스톤
Priority to KR102020008496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1367B1/ko
Publication of KR202200069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0694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13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13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9/00Preservation of edible seeds, e.g. cereals
    • A23B9/08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4/00General methods for preserving meat, sausages, fish or fish products
    • A23B4/03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23B4/031Apparatus for drying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5/00Preservation of eggs or egg products
    • A23B5/02Dry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BPRESERVING, e.g. BY CANNING, MEAT, FISH, EGGS, FRUIT, VEGETABLES, EDIBLE SEEDS;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THE PRESERVED, RIPENED, OR CANNED PRODUCTS
    • A23B7/00Preservation or chemical ripening of fruit or vegetables
    • A23B7/02Dehydrating; Subsequent reconstitu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53/00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 B01D53/002Separation of gases or vapours; Recovering vapours of volatile solvents from gases; Chemical or biological purification of waste gases, e.g. engine exhaust gases, smoke, fumes, flue gases, aerosols by condensation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3/00Machines and apparatus for drying fabrics, fibres, yarns, or other materials in long length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3/10Arrangements for feeding, heating or supporting materials; Controlling movement, tension or position of materials
    • F26B13/14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 F26B13/18Rollers, drums, cylinders; Arrangement of drives, supports, bearings, cleaning heated or cooled, e.g. from inside, the material being dried on the outside surface by conduction
    • F26B13/183Arrangements for heating, cooling, condensate remova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04Nozzle assemblies; Air knives; Air distributors; Blow box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6Controlling, e.g. regulating, parameters of gas supply
    • F26B21/08Humidity
    • F26B21/086Humidity by condensing the moisture in the drying medium, which may be recycled, e.g. using a heat pump cycl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3/00Heating arrangements
    • F26B23/001Heating arrangements using waste heat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300/00Processes
    • A23V2300/10Drying, dehydrating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40/0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 Y02A40/90Adaptation technologies in agriculture, forestry, livestock or agroalimentary production in food processing or handling, e.g. food conservation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Sustainable Development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농수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수분은 분리하여 버리고 폐열은 다시 회수하여 건조실 안으로 재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한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즉, 본 발명은 창고형 건조실(10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구(11)과 배출구(12)가 형성된 송풍유닛(10)과, 건조실(101)과 송풍유닛(10)의 흡입구(11)를 연통시켜 건조실(101)로부터 습한공기(H)를 흡입하여 상온냉각시키는 복수의 흡입관(20)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습한공기(H)가 통과하는 중에 상온의 액화작용에 의해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수분은 응축수(A)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폐열공기(B)는 회수하도록 하는 폐열분리유닛(30)과, 폐열분리유닛(30)과 연통하여 분리된 공기를 회수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로 재공급하는 폐열공급유닛(40)을 포함하여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Waste heat supply device in drying room}
본 발명은 농수산물의 건조 과정에서 발생하는 습한공기를 외부로 배출한 후 수분은 분리하여 버리고 폐열은 다시 회수하여 건조실 안으로 재공급함으로써 열손실을 최소화 한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에 관한 것이다.
농수산물을 오랜 기간 보관하거나 이송이 용이하도록 하기 위해 밀폐된 일정 공간에 수용시킨 채로 가열공기에 의해 건조시키는데 창고형의 건조장치가 사용된다.
이러한 창고형 건조장치는 전기히터 방식이나 가스 버너 방식의 제작되어 전기나 기름을 사용하여 건조실 내부의 온도를 상승 및 건조대상물의 온도를 상승시켜서 수분이 기화되도록 유도하여 건조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에는 건조대상물이 70~80%의 수분을 머금고 있어 건조시 건조대상물로부터 많은 량의 수증기가 증발되면서 건조실의 천정과 벽으로 결로현상에 의한 응축수가 생기게 되며 이 응축수의 일부는 건조하고자 하는 건조대상물에 다시 떨어져서 건공기를 다시 습공기로 만들어 건조효율을 떨어뜨리는 현상이 야기되고, 특히 건조대상물의 건조과정을 살펴보면 건조과정 초기에 건조대상물로부터 뽑아내는 탈수량에 따른 건조속도에 따라 그 색상과 향미가 좌우됨에 따라 응축수가 떨어져서 건공기가 다시 습공기로 변하여 이로 인하여 탈수량이 줄어져서 건조과정이 지연되면 농수산물의 질을 향상시키는데 막대한 지장을 초래하였던 문제점이 발생되었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소하기 위해 종래에는 건조실에 제습기를 사용될 수 있으나, 제습기의 경우 60도 이상의 고온에서는 사용자체가 불가하고, 시설비용이 너무 많이 소요되어 경제적으로 비효율적인 단점이 있었다. 따라서 건조실의 습한공기 및 결로현상에 의한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서 사용자가 일정시간마다 건조실의 도어를 개방시킨 상태로 대형 송풍기 또는 선풍기에 의해 습한공기를 외부로 방출시키는 수작업을 실시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리고 응축수를 외부로 배출 시 그 과정에서 응축수뿐만 아니라 내부의 열기까지도 외부로 방출됨에 따라 건조실의 내부 온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많은 열원이 다시 사용됨에 따른 불필요한 에너지를 낭비하게 되는 단점이 있었다.
KR 20-0160924 (Y1, 1999. 11. 15.)
이에 본 발명에서는 상기한 종래 기술의 제반 문제점들을 해결코자 새로운 기술을 창안한 것으로서, 건조대상물을 건조시키는 과정에서 증발되는 수증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하고, 습한공기를 배출 과정에서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수분은 응축수로 집수하여 버리고 폐열공기는 다시 건조실로 회수하여 재사용이 가능토록 한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한 발명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구체적인 수단으로 본 발명에서는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를 구성하되, 창고형 건조실(10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구(11)과 배출구(12)가 형성된 송풍유닛(10)과, 건조실(101)과 송풍유닛(10)의 흡입구(11)를 연통시켜 건조실(101)로부터 습한공기(H)를 흡입하여 상온냉각시키는 복수의 흡입관(20)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습한공기(H)가 통과하는 중에 상온의 액화작용에 의해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수분은 응축수(A)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폐열공기(B)는 회수하도록 하는 폐열분리유닛(30)과, 폐열분리유닛(30)과 연통하여 분리된 공기를 회수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로 재공급하는 폐열공급유닛(40)을 포함하며,
폐열분리유닛(30)은 분리된 수분을 응축수(A)로 집수하도록 형성되며 집수된 응축수(A)를 외부로 배출하도록 배수구(31-1)가 형성된 집수통(31)과, 상기 집수통(31)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습한공기(H)를 집수통(31)으로 유도하는 중에 응축수(A)와 폐열공기(B)를 분리시키는 응축수유도배관(32)과, 상기 응축수유도배관(32)을 대향하여 집수통(31)과 폐열공급유닛(4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폐열공기(B)를 폐열공급유닛(40)으로 유도하여 건조실(101)로 재공급하도록 하는 폐열회수배관(33)으로 구성되며,
폐열공급유닛(40)은 폐열회수배관(33)과 건조실(101)을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를 회수하는 폐열공급관(41)과, 상기 폐열공급관(41)과 연결되어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를 재공급하도록 건조실(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분사수단(42)으로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분사수단(42)은 건조실(101)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체인(43-4)이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스프로킷(43-3)이 정역모터(43-5)에 의해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기어(43)와, 상기 구동기어(43)의 체인(43-4)에 설치되며 폐열공기(B)를 분사하도록 일정간격마다 분사공(44a,45a)이 형성된 제1,2노즐파이프(44,45)와, 상기 제1,2노즐파이프(44,45)로 폐열공급관(41)을 연결하여 폐열공기를 투입하는 연결호수(46)로 구성되며, 상기 제1노즐파이프(44) 및 제2노즐파이프(45)는 건조실(101) 전체에 폐열공기를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구동기어(43)에 의한 승하강시 건조실(101)의 양측에서 서로 교호 구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한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에 의하면, 건조실의 습한공기를 신속히 흡입한 후, 물과 공기를 분리하여 물은 응축수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하고, 공기는 건조실에 폐열공기로 재공급하여 사용할 수 있도록 함으로써, 건조실에 수증기에 의한 결로현상으로 응축수가 벽체 및 천정에 생기는 것을 방지하여 건조실의 건조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습한공기를 배출시 건조실에 발생되는 열손실을 폐열공기를 공급하여 보상함으로써 건조실의 온도유지가 용이하며 재차 건조실의 온도를 높이기 위한 에너지소모를 최소화할 수 있어 유지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또한 간소화된 설비로 건조실의 제습환경을 개선함에 따라 건조대상물의 건조처리 시간을 줄이고, 신속한 건조과정을 통해 건조대상물의 맛과 질을 극대화하는 효과를 제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제공하는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의 바람직한 일 실시예를 도시한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를 도시한 배면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의 정단면 및 작용을 도시한 도면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의 구성중 폐열공급유닛의 분사수단을 도시한 도면
도 5는 도 4의 작용을 도시한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의 구체적인 실시예에 따라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구성 실시예에 따른 하기 도면은 구성과 작용효과를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실시예로서, 이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가 좁게 한정되거나 변경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이러한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안에서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함은 통상의 기술자에게는 당연하다할 것이다. 또한,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 발명에서는 습한공기를 건조실로부터 배출시켜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습한공기가 외부공기에 의한 영향에 의해 온도가 내려가면서 응축되어 수분과 공기로 분리되는 원리를 이용함에 따라 수분은 곧 응축수이고, 공기는 열기가 잔여함에 따라 폐열공기라 명칭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를 도시한 사시도를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를 도시한 배면도를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는 농수산물(이하에서 건조대상물이라 명칭한다.)을 건조 시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수증기에 의한 건조실의 벽체와 천정으로 응축수가 생기는 것을 방지하도록 수증기에 의한 습한공기를 외부로 신속히 배출함과 동시에 습한공기를 배출시키는 과정에서 수분과 공기를 분리한 후, 수분은 응축수로 집수하여 버리고 공기는 다시 회수하여 폐열공기로 건조실에 재공급하여 열손실을 줄이도록 구성한데 기술적 특징이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1)는 건조실(101)의 수증기로 인한 습한공기(H)를 흡입하는 송풍유닛(10)과, 상기 건조실(101)과 송풍유닛(10)의 흡입구(11)를 연통시켜 습한공기(H)를 송풍유닛(10)으로 이동시키는 흡입관(20)과, 상기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습한공기(H)를 이동시키는 중에 수분과 공기가 분리되도록 하여 수분은 응축수(A)로 집수함과 동시에 외부로 배출시키고 공기는 폐열공기(B)로 회수하여 재사용 하도록 하는 폐열분리유닛(30)과, 상기 폐열분리유닛(30)과 연통하여 회수된 폐열공기(B)를 건조실(101)로 재공급하여 건조실(101)의 온도저하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하는 폐열공급유닛(40)을 포함한다.
상기 송풍유닛(10)은 건조실(101)로부터 수증기에 의한 습한공기(H)를 인입 및 배출하기 위한 흡입구(11)와 배출구(12)가 형성된 케이싱 내측으로 회전팬(13)이 구성된 것으로 건조실(101)의 외측 상부에 설치된다.
상기 흡입관(20)은 송풍유닛(10)의 흡입구(11)와 건조실(101)을 연통하도록 연결 형성되며, 건조실(101)의 습한공기(H)를 고르게 흡입하도록 복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폐열분리유닛(30)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습한공기(H)를 이동시키는 과정에서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응축수(A)가 집수되는 집수통(31)이 구비되고, 상기 집수통(31)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를 연결하여 습한공기(H)를 집수통(31)으로 유도하는 중에 수분과 공기가 분리되도록 하는 응축수유도배관(32)이 형성되며, 상기 응축수유도배관(32)을 대향하여 폐열공기(B)를 폐열공급유닛(40)으로 유도하여 건조실(101)로 재공급하도록 집수통(31)과 폐열공급유닛(40)을 연결하는 폐열회수배관(33)을 포함한다.
여기서 상기 집수통(31)에는 집수되는 응축수(A)를 외부로 배수시키도록 배수구(31-1)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배수구(31-1)는 외측에서 배수파이프(31-2)와 연결된다.
그리고 상기 응축수유도배관(32)는 습한공기(H)가 통과되고, 폐열회수배관(33)는 분리된 공기에 의한 폐열공기(B)가 통과할 시에 온도가 식어짐에 따른 액화작용으로 인해 응축수(A)와 폐열공기(B)의 분리작용이 용이하게 이루어지도록 집수통(31)으로 하향 경사지는 구조로 구성된다.
이와 같은 폐열분리유닛(30)은 송풍유닛(10)을 통해 빠르게 흡입되는 습한공기(H)가 흡입관(20)을 통과하면서 상온에서 냉각되고 연이어 응축수유도배관(32)을 통과하여 집수통(31)으로 유도하는 이동 중에 습한공기(H) 자체의 온도가 더 식어지면서 온도차로 인한 액화작용이 발생되고 이에 습한공기(H)가 수분과 공기로 분리되면서 수분은 집수통(31)에 응축수(A)로 집수되고, 분리된 폐열공기(B)는 폐열회수배관(33)으로 유도되어 폐열공급유닛(40)을 통해 건조실(101)로 다시 회수 또는 재공급하게 됨에 따라 건조실(101)의 열손실을 최소화하게 된다.
한편, 상기 폐열분리유닛(30)은 습한공기(H)의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응축수(A)를 집수하고 폐열공기(B)는 회수하기 위한 작용효율을 높이기 위해 응축수유도배관(32)은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에서 집수통(31)의 방향으로 하향 경사지는 하향경사각도(34)를 형성하고, 폐열회수배관(33)은 집수통(31)에서 폐열공급유닛(40)으로 상향 경사지는 상향경사각도(35)로 구성하게 된다.
여기서 하향경사각도(34)는 집수통(31)을 기준으로 30도 각도로 형성하고, 상향경사각도(35)는 집수통(31)을 기준으로 40도 각도로 형성하여 하향경사각도(34)에 비해 상향경사각도(35)가 더 급경사를 이루도록 구성하게 된다.
이에 따라 건조실(101)에서 배출된 습한공기(H)가 흡입관(20)에서 상온냉각되어 온도가 저감되고 송풍유닛(10)의 강한압력에 의해 응축수유도배관(32)을 통과 시 온도가 더 저감됨에 따른 액화작용으로 수분과 공기로 분리되면서 응축수유도배관(32)의 하향경사각도(34)에 의해 무게가 무거운 수분은 집수통(31)으로 강제 유도되어 응축수(A)로 집수되게 되며, 분리되는 공기는 폐열회수배관(33)으로 폐열공기(B)로 회수되어 통과시 상향경사각도(35)에 의해 폐열공기(B)에 잔존하던 수분까지 충분히 액화되면서 수분은 집수통(31)으로 강제 집수되고 폐열공기(B)만 폐열공급유닛(40)을 통해 건조실(101)에 다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에서 응축수(A)를 집수통(31)으로 유도하기 위해 응축수유도배관(32)은 하향 경사지고, 폐열회수배관(33)은 상향 경사지도록 하기 위해 송풍유닛(10)은 집수통(31) 보다 더 높게 위치되도록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한편, 상기 폐열분리유닛(30)은 미작동시 건조실(101)의 공기가 흡입관(20)을 통해 누설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응축수유도배관(32)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 사이에 개폐댐퍼(50)가 더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폐열회수배관(33)과 폐열공급유닛(40)이 연통되는 지점에는 응축수(A)가 폐열공급유닛(40)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하는 차단턱(36)이 더 구성될 수 있으며, 폐열회수배관(33)의 중간지점에 폐열공기(B)에 잔존하는 습기가 흡착되도록 가변흡착편(37) 설치되며, 상기 가변흡착편(37)는 부직포 소재로 구성하게 된다.
상기 가변흡착편(37)는 상단이 폐열회수배관(33)의 상부측에 고정 설치되어 폐열공기(B)가 유도되는 방향으로 유연하게 젖혀지게 된다.
상기 폐열공급유닛(40)은 폐열회수배관(33)과 건조실(101)을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를 재공급하는 폐열공급관(41)이 형성되고, 상기 폐열공급관(41)과 연결되어 건조실(101) 전체에 고온의 건조한 폐열공기(B)를 고르게 분사하도록 건조실(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분사수단(42)을 포함한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상기 분사수단(42)은 건조실(101) 양측에 체인(43-4)이 수직방향으로 구동하는 구동기어(43)가 형성되고, 상기 구동기어(43)의 체인에 의해 승하강하도록 설치되며 폐열공기(B)를 분사하도록 일정간격마다 분사공(44a,45a)이 형성된 제1,2노즐파이프(44,45)가 구비되며, 상기 제1,2노즐파이프(44,45)으로 폐열공기가 투입되도록 폐열공급관과 연결하는 연결호수(46)로 구성된다.
상기 연결호수(46)는 제1,2노즐파이프(44,45)가 상하 이동됨에 따라 플렉시블한 연질의 소재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상기 구동기어(43)는 체인 스프로킷 방식으로 건조실(101)의 양측에 각각 형성되며, 전후측 상하부에 종동축(43-1)과 구동축(43-2)이 축설되고, 상기 종동축(43-1)과 구동축(43-2)의 양단에 스프로킷(43-3)이 축설되어 상하를 체인(43-4)으로 연결되며, 구동축(43-2)의 일단에 정역모터(43-5)가 설치된다.
상기 제1노즐파이프(44)는 평면에서 볼때 - 형으로 형성되어 건조실(101)의 일측에서 구동기어(43)에 의해 승하강 하면서 폐열공기(B)를 분사하게 되며, 제2노즐파이프(45)는 평면에서 볼때 ㄴ 형으로 형성되어 건조실(101)의 타측 및 후측에서 구동기어(43)에 의해 승하강하면서 폐열공기(B)를 분사하게 된다.
상기 제1노즐파이프(44) 및 제2노즐파이프(45)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건조실(101) 전체에 고르게 분포되도록 구동기어(43)에 의한 승하강시 건조실(101)의 양측에서 서로 교호되게 동작하도록 함으로써 건조실의 대류현상을 최소화하도록 하여 폐열공기(B)에 의한 열손실을 보상하게 된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1)의 작용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먼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1)는 농수산물의 건조대상물을 수용시켜 건조처리하는 창고형 건조박스의 상부측에 설치하게 된다.
상기 본 발명에 의한 건조실(101)은 바닥부, 벽체부, 천장부로 온수관이 밀폐구성되는 구들식으로 구성되며, 70℃ 이상의 온수가 순환되면서 건조대상물의 건조처리하게 된다.
도 3을 참조하면, 건조실(101)에서 건조대상물을 건조처리 시 건조대상물로부터 증발되는 수증기에 의한 습한공기(H)가 건조실(101)을 채우게 되면, 폐열공급장치(1)의 송풍유닛(10)이 가동되면서 습한공기(H)를 건조실(101)로부터 신속히 배출시키게 되고, 배출되는 습한공기(H)를 이동시키는 중에 수분과 공기를 분리한 후 수분은 응축수(A)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열기가 잔재된 공기는 폐열공기(B)로 다시 회수하여 건조실(101)로 재공급함으로써 건조실(101)의 습기제거에 의한 열손실을 방지함과 동시에 건조실(101)의 쾌적한 건조환경을 제공하게 된다.
이때 건조실(101)의 습한공기(H)를 송풍유닛(10)에 의해 배출시 흡입관(20)을 통해 흡입되어 통과하는 중에 1차 상온냉각되고, 상온냉각된 습한공기(H)는 송풍유닛(20)의 흡입구(11) 및 배출구(12)를 경유하여 강한 풍압에 의해 응축수유도배관(32)을 통과하면서 온도가 식어짐에 따른 액화작용으로 인해 수분과 공기가 이동중에 분리되게 된다.
즉, 건조실(101)에 형성된 80℃의 습한온도가 흡입관(20)로 배출시 상온에서 냉각되면서 응축수유도배관(32)을 통과시 상온에서 20℃이상 냉각되어 온도가 떨어지게 됨에 따라 액화작용에 의해 수분과 공기가 빠르게 분리되게 되는 것이다. 건조실(101)의 온도와 응축수유도배관(32)에서의 온도차는 20℃이상의 편차가 발생된다.
여기서 응축수유도배관(32)이 송풍유닛(10)의 배출관(12)에서 급경사로 하향경사각도(34)가 형성된 구조에 따라 분자량이 큰 수분은 집수통(31)에 응축수(A)로 강제 집수되어 배수구(31-1) 및 배수파이프(31-2)를 통해 외부로 배출시키게 되고, 분리된 공기는 폐열공기(B)로 응축수유도배관(32)을 대향하여 급경사로 상향 경사지는 폐열회수배관(33)으로 회수되어 폐열공급유닛(30)을 통해 다시 건조실(101)로 재공급하게 된다.
상기 응축수유도배관(32)는 원뿔 형상(32a)인 경우 습한공기(H)가 통과 시 습한공기(H)가 좁은통로에서 압축되면서 액화작용에 따라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게 되며, 스크류 형상(32b)인 경우 습한공기(H)가 통과시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는 시간이 직선관 형태일때 보다 증가하게 되고 원심력에 의한 와류가 형성되면서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는 작용이 더 용이하게 이루어져 집수통(31)으로 응축수(A)를 빠르게 집수함과 동시에 분리된 공기는 폐열회수배관(33)쪽으로 이동하여 폐열공기(B)로 공급하도록 작용하게 된다.
상기 분리된 폐열공기(B)가 응축수유도배관(32)을 통과하여 폐열공급유닛(40)의 폐열공급관(41)으로 이동시 응축수유도배관(32)이 급경사지는 상향경사각도(35)를 형성하고 있어 폐열공기(B)에 잔여하던 수분까지 액화작용에 의해 분리되어 집수통(31)으로 자연스럽게 집수되게 됨과 동시에 가변흡착편(37)으로 잔여되던 수분이 흡착됨에 따라 폐열공급관(41)으로 폐열(B)만 통과하게 되며 응축수(A)가 폐열공급관(41)으로 유입되는 것을 방지토록 폐열회수배관(33)과 폐열공급관(41) 사이에 차단턱(36)이 기능을 하게 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1)는 건조 시 건조대상물의 수분이 증발되면서 결로현상으로 인해 벽체와 천정에 생기는 응축수를 제거하기 위해 습한공기(H)를 배출하는 과정에서 흡입관(20)으로 수분과 공기가 같이 배출하게 됨에 따라 건조실 자체에 열손실이 발생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은 배출되는 습한공기(H)를 응축수(A)와 폐열공기(B)를 신속히 분리하여 폐열공기(B)는 다시 건조실(101)로 재공급이 이루어짐에 따라 열손실을 보상해 주게 되며, 이에 열원을 재사용함에 따른 에너지 손실을 최소화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건조실(101)에 폐열공급유닛(40)에 의한 폐열공기(B)를 공급시 건조실(101)의 양측에서 제1,2노즐파이프(44,45)가 상하로 교호되는 작용으로 폐열공기(B)를 분사해주므로서 건조실(101) 전체에 폐열공기가 고르게 분포됨에 따라 건조실(101)의 온도 유지가 아주 용이하게 이루어지게 된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른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1)는 타이머에 의해 일정시간마다 5~10분정도 동작제어되게 구성하여 건조실(101) 내에 습한공기(H)를 신속히 배출시켜 응축수(A)는 외부로 버리고, 폐열공기(B)는 다시 회수하여 재사용함에 따라 건조성능을 극대화하여 건조대상물의 맛과 질을 한층 향상시킬 수 있게 된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는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실시 예에 관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범위에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는 다양한 변형실시도 가능하다 할 것이며, 따라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상기 실시 예에 한정하여 정해지는 것이 아니라,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의 기술들과 이들 기술로부터 균등한 기술수단들에까지 보호범위가 인정되어야 할 것이다.
1: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10:송풍유닛
11:흡입구 12:배출구 13:회전팬
20:흡입관 30:폐열분리유닛
31:집수통 31-1:배수구 31-2:배수파이프
32:응축수유도배관 33:폐열회수배관 34:하향경사각도
35:상향경사각도 36:차단턱 37:가변흡착편
40:폐열공급유닛
41:폐열공급관 42:분사수단 43:구동기어
43-1:종동축 43-2:구동축 43-3:스프로킷
43-4:체인 43-5:정역모터
44:제1노즐파이프 44a:분사공 45:제2노즐파이프
45a:분사공 46:연결호수
101:건조실

Claims (3)

  1. 창고형 건조실(101) 상부에 설치되며 흡입구(11)과 배출구(12)가 형성된 송풍유닛(10)과,
    건조실(101)과 송풍유닛(10)의 흡입구(11)를 연통시켜 건조실(101)로부터 습한공기(H)를 흡입하여 상온냉각시키는 복수의 흡입관(20)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와 연통되어 습한공기(H)가 통과하는 중에 상온의 액화작용에 의해 수분과 공기를 분리하여 수분은 응축수(A)로 집수하여 외부로 배출시키고 폐열공기(B)는 회수하도록 하는 폐열분리유닛(30)과,
    폐열분리유닛(30)과 연통하여 분리된 공기를 회수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로 재공급하는 폐열공급유닛(40)을 포함하며,
    폐열분리유닛(30)은 분리된 수분을 응축수(A)로 집수하도록 형성된 집수통(31)과,
    상기 집수통(31)과 송풍유닛(10)의 배출구(12)를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습한공기(H)를 집수통(31)으로 유도하는 중에 응축수(A)와 폐열공기(B)를 분리시키는 응축수유도배관(32)과,
    상기 집수통(31)과 폐열공급유닛(40)을 연결하도록 형성되며 폐열공기(B)를 폐열공급유닛(40)으로 유도하여 건조실(101)로 재공급하도록 하는 폐열회수배관(33)으로 구성되며,
    폐열공급유닛(40)은 폐열회수배관(33)과 건조실(101)을 연통하도록 연결하여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를 회수하는 폐열공급관(41)과, 상기 폐열공급관(41)과 연결되어 건조실(101)에 폐열공기(B)를 재공급하도록 건조실(101)의 양측으로 형성되는 분사수단(42)으로 구성되며,
    상기 분사수단(42)은 건조실(101) 양측에 각각 설치되며 체인(43-4)이 수직방향으로 체결된 스프로킷(43-3)이 정역모터(43-5)에 의해 구동하도록 형성되는 구동기어(43)와,
    상기 구동기어(43)의 체인(43-4)에 설치되며 폐열공기(B)를 분사하도록 일정간격마다 분사공(44a,45a)이 형성된 제1,2노즐파이프(44,45)와,
    상기 제1,2노즐파이프(44,45)로 폐열공급관(41)을 연결하여 폐열공기를 투입하는 연결호수(46)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제1노즐파이프(44) 및 제2노즐파이프(45)는 건조실(101) 전체에 폐열공기를 고르게 분포시키도록 구동기어(43)에 의한 승하강시 건조실(101)의 양측에서 서로 교호 구동하도록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3. 삭제
KR1020200084963A 2020-07-09 2020-07-09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KR1024313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63A KR102431367B1 (ko) 2020-07-09 2020-07-09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84963A KR102431367B1 (ko) 2020-07-09 2020-07-09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42A KR20220006942A (ko) 2022-01-18
KR102431367B1 true KR102431367B1 (ko) 2022-08-11

Family

ID=8005210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84963A KR102431367B1 (ko) 2020-07-09 2020-07-09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136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73B1 (ko) * 2017-04-26 2018-09-1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효율이 향상된 농산물용 냉풍 건조장치
KR101926088B1 (ko) * 2017-06-29 2018-12-06 권오인 열풍 재순환 구조를 갖는 농산물 열풍 건조장치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39357A (ja) * 1993-08-02 1995-02-10 Hakodate Seimo Sengu Kk 熱風乾燥装置
KR200160924Y1 (ko) 1997-08-27 1999-11-15 김태석 농수산물건조실내의 응축수제거장치
KR100867685B1 (ko) * 2006-11-06 2008-11-10 수공테크 주식회사 승하강식 분사노즐을 갖는 에어 샤워 장치
KR101246341B1 (ko) * 2010-11-19 2013-03-25 (주)세종테크 건조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97973B1 (ko) * 2017-04-26 2018-09-12 대구보건대학교산학협력단 에너지 절감효율이 향상된 농산물용 냉풍 건조장치
KR101926088B1 (ko) * 2017-06-29 2018-12-06 권오인 열풍 재순환 구조를 갖는 농산물 열풍 건조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06942A (ko) 2022-01-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31367B1 (ko) 건조실의 폐열공급장치
JP4884938B2 (ja) 連続蒸煮原料冷却装置
CN110067101A (zh) 一种蒸汽余热利用***
KR200421694Y1 (ko) 수냉식 유기화합물 회수장치
CN113899189B (zh) 一种油茶籽自动化干燥装置及方法
CN108741728A (zh) 一种洁净室用的无尘服洁净柜
CN212260372U (zh) 一种食品加工冷却装置
KR101585686B1 (ko) 수증기 처리장치
CN101839620A (zh) 冷凝式网带烘干机
TWM547423U (zh) 乾燥除塵裝置
CN210656661U (zh) 微波热风污泥干化设备
KR200425501Y1 (ko) 다용도 분배장치를 겸비한 용제회수 건조장치
JP2000308598A (ja) 汚染空気の漏洩を抑えたハンドドライヤー
CN2365618Y (zh) 浮动式烘干机
CN111616384A (zh) 一种对根茎类蔬菜进行脱水的方法
KR100900615B1 (ko) 초고속 건조장치
RU2228499C2 (ru) Способ сушки пиломатериалов 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его осуществления
CN1519526A (zh) 一种物料脱水干燥回收冷凝水热气体循环回用装置
CN109163508A (zh) 软木烘干除臭工艺及设备
CN213841560U (zh) 一种开闭环结合式冷凝热余回收烘干机
CN219160874U (zh) 一种多级低温物料干化机
CN211963499U (zh) 一种门板生产用除尘装置
CN218955422U (zh) 一种竹木加工用具有除湿功能的烘干设备
CN2271691Y (zh) 木材干燥机
RU2729408C1 (ru) Способ получения воды из воздуха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