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8554B1 -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8554B1
KR102428554B1 KR1020210129514A KR20210129514A KR102428554B1 KR 102428554 B1 KR102428554 B1 KR 102428554B1 KR 1020210129514 A KR1020210129514 A KR 1020210129514A KR 20210129514 A KR20210129514 A KR 20210129514A KR 102428554 B1 KR102428554 B1 KR 10242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evia
water
weight
leaves
fertiliz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29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빅토르 매드배
김상수
전철우
Original Assignee
빅토르 매드배
김상수
전철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빅토르 매드배, 김상수, 전철우 filed Critical 빅토르 매드배
Priority to KR1020210129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855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8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10Animal feeding-stuffs obtained by microbiological or biochemical processes
    • A23K10/16Addition of microorganisms or extracts thereof, e.g. single-cell proteins, to feeding-stuff composi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08Magnoliopsida [dicotyledons]
    • A01N65/12Asteraceae or Compositae [Aster or Sunflower family], e.g. daisy, pyrethrum, artichoke, lettuce, sunflower, wormwood or tarragon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6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material from algae, lichens, bryophyta, multi-cellular fungi or plants, or extracts thereof
    • A01N65/40Liliopsida [monocotyledons]
    • A01N65/44Poaceae or Gramineae [Grass family], e.g. bamboo, lemon grass or citronella gras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KFODDER
    • A23K10/00Animal feeding-stuffs
    • A23K10/30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 A23K10/33Animal feeding-stuffs from material of plant origin, e.g. roots, seeds or hay; from material of fungal origin, e.g. mushrooms from molasses
    • CCHEMISTRY; METALLURGY
    • C05FERTILISERS; MANUFACTURE THEREOF
    • C05FORGANIC FERTILISER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5B, C05C, e.g. FERTILISERS FROM WASTE OR REFUSE
    • C05F11/00Other organic fertilisers
    • C05F11/08Organic fertilisers containing added bacterial cultures, mycelia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20Natural extracts
    • A23V2250/21Plant extracts
    • CCHEMISTRY; METALLURGY
    • C12BIOCHEMISTRY; BEER; SPIRITS; WINE; VINEGAR; MICROBIOLOGY; ENZYMOLOGY; MUTATION OR GENETIC ENGINEERING
    • C12R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C12C - C12Q, RELATING TO MICROORGANISMS
    • C12R2001/00Microorganisms ; Processes using microorganisms
    • C12R2001/01Bacteria or Actinomycetales ; using bacteria or Actinomycetales
    • C12R2001/225Lactobacillu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Natural Medicines & Medicinal Plant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lant Path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Dentistry (AREA)
  • Physi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Fertiliz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유용미생물 배양액,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의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유용미생물(EM) 원액, 당밀 및 물을 혼합하여 배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 식물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그 수확량 및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료용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어 고급 브랜드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각종 부산물 사료 또는 부산물 비료의 악취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ADDITIVE COMPOSITION FOR FERTILIZER}
본 발명은 스테비아를 이용한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축의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농작물의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현재 우리의 시대는 농약과 비료의 개발로 농업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루었으나 그 반대로 우리의 토양과 우리의 환경은 회복 불능의 상태가 되고 원인을 알 수 없는 병해충과 치료할 수 없는 병으로 고통을 겪고 있다. 이러한 병든 자연환경과 토양을 치유하고 각종 동·식물에게도 면역력을 높여 튼튼하고 싱싱한 먹거리를 제공할 것이 요구되고 있다.
사료 산업은 식량 산업에 속하며 식품 안전 문제와 직접 연계되어 있고, 사료 안전은 안전한 육류 생산의 기반이며, 사료 안전은 사료 자체 안전뿐만 아니라 사람의 안전과 건강에도 직접적인 영향을 미친다.
사료 첨가제는 대상 동물의 특수한 요구를 충족시키기 위하여 일반 사료에 미량으로 첨가되는 물질이며, 사료의 영양학적인 측면에 있어 첨가제의 정확한 의미는 영양소는 아니지만 사료에 첨가했을 때 사료 효율, 생산성 및 동물의 품질을 향상 또는 보존시키는 물질을 말하며, 동물의 생산성과 퍼포먼스를 증가시키기 위해 사용된다.
우리나라는 사료첨가용 항생 물질의 사용을 2011년 7월 이후부터 사용 금지하는 조치를 EU에 이어 세계에서 2번째로 이행하여 성장촉진용 항생제(Antibiotics Growth Promoter; AGP)의 대체 물질의 사용에 대한 관심과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이에 많은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물질들이 시장에 도입되고 있다. 주요 성장촉진용 항생제 대체제로 프로바이오틱스/프리바이오틱스, 효모, 식물추출물, 정유, 유기산, 미네랄, 효소 등이 있는데 우리나라에 일대일로 대체하여 성장촉진용 항생제의 생산성을 낼 수 있는 대체제는 없는 실정이다. 구제역(FMD) 및 조류 독감(AvianInfluenza, AI) 등 바이러스성 질환의 경우에는 전량 외국에서 수입하는 FMD 백신 외에는 적절한 대응 수단이 없는 실정이다.
최근, 배합사료용 항생제의 사용 금지로 인해 면역증강제에 대한 시장의 요구에 부응하여 허브나 한방약재로 사용되는 식물체 혹은 식물유래 성분들을 활용하는 프리바이오틱스나 항균물질을 만들어 생균제로 활용 가능한 균주에 대한 연구들이 많이 진행되고 있다.
또한, 현재 농업에서는 농산물 생산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화학 비료, 살균제, 살충제, 제초제가 과다하게 사용되고 있다. 이는 질소 기아와 같은 영양 결핍, 토양 오염과 같은 환경 악화, 농업 종사자의 건강 문제, 새로운 병균, 해충의 유입 및 출현, 내성균, 내성 해충의 출현과 같이 농업에 악영향을 주고 있다.
이와 같이 가축이나 농산물에 첨가되어 면역성 및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사료첨가제 및 비료 첨가제에 대한 종래기술은 하기와 같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0643596호에서는 항산화, 항암, 항균, 항바이러스, 해독 등의 다양한 생리활성을 가진 몰로키아, 인동초 및 고단백의 주정박을 이용하여 돼지의 면역력을 증가시키고 여러 가지 영양소가 축적되게 하여 고품질의 육을 생산할 수 있는 사료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042070호는 광합성 세균 중 로도슈도모나스 루티라 및 이를 이용하여 식물의 성장 촉진, 면역 증강, 잡초 제거, 토양 개선의 효과를 갖는 비료 첨가제를 개시하고 있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222811호에서는 유용미생물 배양액, 황칠 추출물, 게르마늄 액비, 콩, 청미래덩굴, 오미자 및 죽엽을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하여 동, 식물의 면역력을 증강시키는 사료 및 비료 첨가제 조성물을 개시하고 있다.
한편, 종래 비료 또는 사료의 제조시 농업·임업·축산업·수산업·제조업 또는 판매업을 영위하는 과정에서 나온 부산물, 예시적으로 가축분 퇴비, 부숙겨, 분뇨잔사, 도축 부산물, 부엽토, 건조축산폐기물 등을 이용하여 사례가 많아지고 있다. 이러한 부산물 비료 또는 사료는 자연순환적인 친환경 농축산업을 수행하는데 있어서 그 효용가치가 매우 크다.
그러나 이러한 부산물 비료 또는 사료는 악취가 심해 가축이 급이를 거부하거나, 토양에 시비시 민원의 대상이 되는 등의 문제가 있다.
KR 10-0643596 B1 KR 10-1042070 B1 KR 10-2222811 B1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항생제를 사용하지 않고도 가축의 면역력을 증가시킬 수 있고 농작물의 병충해에 대한 저항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사료 또는 비료의 악취를 빠르게 제거하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을 제공하는 데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유용미생물 배양액,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의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유용미생물(EM) 원액, 당밀 및 물을 혼합하여 배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테비아 0.1~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0.1~100중량부, 도깨비 부채 잎 0.01~50중량부 및 행채 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스테비아는,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액; 및 황칠나무의 수피, 줄기 및 잎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깨비 부채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행채는,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혼합물은, 분홍애기풀 0.01~50중량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0.01~50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홍애기풀은,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유효성분으로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옥수수속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발효하고, 이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동, 식물의 면역력을 증강시켜 그 수확량 및 생산량을 늘릴 수 있는 것은 물론, 사료용 항생제를 대체할 수 있어 고급 브랜드의 축산물을 생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아울러, 각종 부산물 사료 또는 부산물 비료의 악취를 빠르게 제거할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은, 유용미생물 배양액,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의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유용미생물(Effective Microoganims; EM)이란 광합성 세균과 유산균, 방선균, 사상균, 효모균 등의 다양한 유용 미생물을 단독 또는 둘 이상 포함하도록 배양한 미생물제재이다. 이러한 유용미생물은 수처리, 대기처리 분야뿐 아니라 농업, 축산업, 수산업, 식품, 화장품 등에 널리 활용되고 있고, 악취 제거, 수질 정화, 금속과 식품의 산화 방지, 남은 음식물 발효 등에 탁월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유용미생물은 강력한 항산화 작용, 고분자 물질의 분해를 통한 저분자화, 중금속의 이온화 방지효과 및 친환경성을 가지며, 유용미생물을 구성하는 혐기성균은 황화수소, 암모니아 등을 악취가 없는 물질로 변화시키고, 항산화 효과와 함께 산소를 생성하며, 호기성균은 유해균을 억제 및 퇴치하는 것으로 밝혀짐에 따라 각종 제품의 원료로 각광받고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유용미생물의 경우 일체의 합성화학물질을 사용하지 않고 천연재료로만 제조됨은 물론이고, 생리활성물질을 생성하여 사용 후 생태계에 잔류하더라도 유익한 작용을 하므로, 환경친화적인 원료로서 더욱 주목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용미생물을 배양한 용액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유용미생물은 시중에서 시판되는 EM 원액을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효모, 유산균 및 광합성 세균을 필수적으로 포함하는 유용미생물이면 제한 없이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유용미생물의 배양액은 상기 유용미생물을, 당밀 및 물과 혼합하여 배양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는바, 이에 대해서는 하기 제조방법에서 더욱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이러한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통해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행채 등을 발효함으로써, 유효성분의 함량을 극대화하고, 흡수율을 높여준다. 아울러, 본 발명의 사료 및 비료의 첨가제 조성물은, 유용미생물 배양액의 사용으로 미생물의 활동을 최대화하고, 해로운 세균의 발육을 억제하며, 미량원소를 공급하여, 작물 및 가축의 건강한 성장을 돕는 것이다.
상기 스테비아(stevia)는 카로틴, 비타민, 단백질, 칼슘, 탄수화물, 글루타민, 유기탄소 등의 인체에 유익한 많은 영양소와 미네랄이 함유되어 있으며, 잎과 줄기에 설탕의 200~300배에 달하는 당도를 가진 저칼로리 감미물질이 포함되어 있어 이를 비료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수확증대, 뿌리활착, 발근촉진, 당도증대, 신선도 증가 및 유효미생물의 활력으로 병충해 예방효과 등의 효과를 가지며, 사료 첨가제로 사용할 경우 가축의 생장촉진, 면역력 증강 등의 효과를 갖는다. 다만, 이러한 스테비아를 그대로 사용하거나 단순 추출하여 사용할 경우, 그 흡수율이 미약한바, 이를 유용미생물 배양액에 의해 발효시킴으로써, 흡수율을 높여 우수한 작용효과를 갖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스테비아는,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그 추출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면 족하다. 또한, 그 분말 입도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안식향을 함유하여 약리효과가 탁월한바, 항암, 항산화 효과, 간세포재생, 당뇨치료, 경조직 세포 재생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 상기 황칠의 성분은 사포닌과 정유(精油)성분으로서 주성분은 sesqui-terpene계의 dendropanoxide이며 그 외에 알콜 및 에테르 등이 함유되어 있다. 즉 황칠에는 α-Cubebene, β-Elemene, β-Selinene, β-Selinene, α-Muurolene Germacrene D, β-Sitosterol, β-Sitosterol 성분이 함유되어 있어서, 고혈압, 중풍, 치매 예방 등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외에도 항균 효과, 소화기질환 치료, 강장 효과, 우울증 및 스트레스 해소 등에 효과적인 것으로 알려져 있다.
본 발명에서 상기 황칠 추출물은 유용미생물 배양액에 의해 발효되어, 각종 활성성분이 극대화되고, 작물 및 가축에의 흡수율 역시 극대화됨으로써, 면역력을 현저히 향상키는 효과를 갖는다.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Dendropanax morbifera)의 수피에 상처를 내서 분비되는 황색의 수액; 및 황칠나무의 수피, 줄기 및 잎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한다. 이때, 그 추출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면 족하다. 또한, 그 분말 입도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도깨비부채(Rodgersia podophylla)는 쌍떡잎식물 장미목 범의귀과의 여러해살이풀로서 5개로 갈라진 잎의 모양이 마치 도깨비가 사용하는 부채와 같다고 하여 도깨비부채라고 부르며, 산우, 작합산, 수레부채라고도 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도깨비부채는 그 잎을 분말화한 것;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비하는바, 작물 및 가축의 생육을 돕는 것은 물론, 사료 및 비료의 악취 제거를 돕는다. 이때, 그 추출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면 족하다. 또한, 그 분말 입도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상기 행채는 학명이 Nymphoides peltata (JGGmelin) Kuntze로서 조름나물과(Menyanthaceae)에 속하는 수년생 수초이며 식물명은 노랑어리연꽃이다.
본 발명에서 상기 행채는 그 전초를 분말화한 것;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비하는바, 작물 및 가축의 생육을 돕는 것은 물론, 사료 및 비료의 악취 제거를 돕는다. 이때, 그 추출방법은 제한하지 않는바,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공지된 방법에 의하면 족하다. 또한, 그 분말 입도 역시 제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테비아 0.1~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0.1~100중량부, 도깨비 부채 잎 0.01~50중량부 및 행채 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혼합물을 발효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으로, 이러한 발효 과정을 통해 각종 영양성분의 흡수율을 높이고, 유용물질의 함량을 극대화하여 식물 및 가축의 면역력 향상 및 생육을 돕는 것이다.
한편, 상기 혼합물은, 분홍애기풀 0.01~50중량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0.01~50중량부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분홍애기풀(Binghamia californica J. Agardh)은 홍조식물 분홍치목 마디잘록이과의 바닷말로, 조간대 하부에 자란다. 식물체는 막질이며 분홍색으로 끈 모양의 가는 뿌리에서 납작한 줄기가 여러 개 나온다. 이리저리 굽고 서로 붙으며 얽혀서 덩어리로 된다. 줄기는 두 갈래로 가지를 낸다. 구술모양의 세포가 2~3겹으로 피층을 이루고 수조직은 둥근 세포와 막대 모양의 세포가 어우러져 양쪽 피층조직을 연결한다.
상기 분홍애기풀은, 그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가축 및 작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Castanopsis echinocarpa)는 메밀잣밤나무속(카스타놉시스, Castanopsis)에 속한 종으로써 상록 활엽 교목이다. 한국, 중국, 일본 및 아열대에서 서식한다.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그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의미하는 것으로, 각종 영양성분을 공급하여 가축 및 작물의 성장을 촉진한다.
또한,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으로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함이 바람직하다.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악취를 갖는 부산물 비료 또는 사료의 냄새를 빠르게 제거해주는 역할을 하면서도, 가축 및 작물의 생육을 돕는 역할을 한다.
이때, 상기 혼합물의 발효물과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 간의 배합비는 제한하지 않는데, 1:0.1~0.5 중량비 정도면 바람직하다.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옥수수속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발효하고, 이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발효추출물을 의미한다.
그 구체적인 방법은 옥수수속대에 물을 1:0.5~1 부피비로 혼합하고,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1~10(v/v)%로 접종한 후, 35~38℃의 혐기적 조건에서 60~80시간 발효시키고, 이에 5~20중량배의 물를 첨가한 후, 80~100℃에서 1~5시간 동안 추출, 여과 및 건조하여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여과, 농축 및 건조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이용함은 당연하다.
이하, 본 발명에 의한 비료 및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에 의한 비료 및 사료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방법은, 유용미생물(EM) 원액, 당밀 및 물을 혼합하여 배양함으로써,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제조하는 단계와,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에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를 혼합하는 단계와, 상기 혼합된 혼합물을 발효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먼저, 유용미생물 배양액을 제조한다.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당밀 100중량부에 대하여, EM 원액 0.1~0.5중량부 및 물 5~20중량부를 혼합하고, 25~30℃에서 4~7일간 배양하여 제조할 수 있다. 상기 당밀은 비정제 사탕수수당으로, 정제당보다 미네랄이 많으며, EM 원액의 배양을 촉진시켜 주고, 면역력 강화, 에너지 증강 등의 효과를 부여한다.
다음으로,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에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를 혼합한다.
이때, 그 혼합비는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테비아 0.1~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0.1~100중량부, 도깨비부채 0.1~50중량부 및 행채 0.1~50중량부임이 바람직하다.
아울러, 상기 스테비아는,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액; 및 황칠나무의 수피, 줄기 및 잎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깨비 부채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행채는,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추출방법은 물론, 분말의 입도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또한, 이 단계에서 필요에 따라 분홍애기풀 0.01~50중량부 및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0.01~50중량부를 더 혼합할 수 있다.
상기 분홍애기풀은,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그 추출방법은 물론, 분말의 입도 등은 제한하지 않는다.
그리고 상기 혼합액을 25~30℃로 2~7일간 발효함으로써, 본 발명에 의한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한다. 상기 발효를 통해 각종 활성성분의 함량 증가시키고, 흡수율을 높임으로써, 작물 및 가축의 생육을 돕는 것이다.
아울러, 옥수수속대 발효추출물을 더 혼합하고자 할 경우, 상기 발효된 발효물에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혼합하여 첨가제 조성물의 제조를 완료한다.
이때,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앞서 설명된 바와 같이, 옥수수속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발효하고, 이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다.
상기와 같이 제조되는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은 일반적인 사료 또는 비료에 혼합되어 사용되거나, 물에 희석하여 단독으로 사용할 수 있는바, 그 사용방법을 제한하지 않는다. 예시적으로,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을 물로 50~200배 정도 희석하여 작물에 관주식 또는 엽면식으로 살포하거나, 상기 첨가제 조성물을 일반적인 비료에 0.5~2중량% 내로 혼합하여 관주식 또는 엽면식 살포하거나, 가축용 사료에 0.5~2중량%로 첨가하거나, 물에 0.5~2중량%로 첨가하여 가축에게 복용시킬 수 있는 것으로, 그 사용을 제한하지 않는다.
아울러, 적용되는 작물의 종류 및 가축의 종류 역시 제한하지 않는바, 포도, 감귤, 보리싹, 고추, 상추, 배추 등의 식물은 물론, 닭, 돼지, 소, 오리 등의 가축에 적용가능하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의 첨가제 조성물을 적용할 경우, 가축 및 작물의 면역력을 향상시켜 질병을 예방하고, 해충, 바이러스의 발생을 방지하는 것은 물론, 생육을 도와 수확량을 늘릴 수 있다는 장점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 1)
당밀 4,000kg, EM 원액 5kg, 물 500kg을 혼합하고, 25~30℃에서 5일간 배양하여 EM 배양액을 제조하였다.
상기 EM 배양액에 스테비아 20kg, 황칠 추출물 20kg, 도깨비나무 10kg 및 행채 10kg을 혼합하고, 25~30℃에서 다시 3일간 발효하여 첨가제 조성물을 제조하였다.
이때, 상기 스테비아는 스테비아 잎의 건조분말을 사용하였고,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피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10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도깨비나무는 도깨비나무 잎의 건조분말을, 상기 행채는 전초의 건조분말을 사용하였다.
(실시예 2)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스테비아는 그 잎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고, 상기 도깨비나무는 그 잎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행채는 그 전초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3)
실시예 2와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EM 배양액에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나무, 행채를 혼합할 시, 분홍애기풀 10kg,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10kg을 더 혼합하였다.
이때, 분홍애기풀은 그 전초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으며,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그 잎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하고, 9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사용하였다.
(실시예 4)
실시예 1과 동일하게 실시하되, 상기 제조된 발효물에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1:0.2 중량비로 혼합하였다.
이때,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옥수수속대를 100mesh 정도로 분쇄한 후, 이에 물을 1:1 부피비로 혼합하였다. 그리고 이에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를 3(v/v)%로 접종하고, 37℃의 혐기적 조건에서 72시간 발효시켰다. 그리고 이 발효물에 5중량배의 물을 가한 후, 90~100℃에서 10시간 추출한 후, 여과, 농축 및 건조하여 제조하였다.
상기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럼 균주는 Lactobacillus plantarum SRCM 9균주를 MRS 아가 플레이트(Difco)에 계대배양 한 뒤, 100ml MRS 배지(Difco)에 접종하여 진탕배양기(37℃, 160rpm)에서 24시간 동안 본 배양하여 균수를 1.0×106CFU/ml 수준으로 조절하여 사용하였다.
(시험예 1)
실시예 1 내지 4에 의한 첨가제 조성물의 항균 능력을 보기 위하여, 대장균 O-157 및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Salmonella enteritidis)에 대하여 항균 활성 실험을 하였다.
시험군은 상기 균주를 식염수에 접종한 후 실시예 1 내지 4에 따른 첨가제 조성물 1% 수용액을 첨가하여 24시간 동안 배양시킨 후 선택 배지에 도말하고, 도말 후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에 각 균주의 개체수를 측정하였다. 대조군은 첨가제 조성물 수용액을 첨가하지 않았다.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1 결과
균주 구분 48시간 후 (cell/ml) 감소율(%)
대장균 O-157 대조군 4580±98 -
실시예 1 1155±80 74.8
실시예 2 1001±80 78.1
실시예 3 951±72 79.2
실시예 4 1251±84 72.7
살모넬라 엔테리티디스 대조군 4875±101 -
실시예 1 1158±82 76.2
실시예 2 1098±83 77.5
실시예 3 1025±84 80.0
실시예 4 1259±87 74.2
상기 표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1 내지 4는 병원성 세균의 증식을 억제할 수 있으며, 우수한 항균력을 가져 항생제 대체 물질로 사용이 가능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2)
실시예 1 내지 4의 첨가제 조성물을 육계용 배합사료에 1중량%로 혼합하여 사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를 실험군 1 내지 4의 닭에 급여하였다.
그리고 대조군 1로서 닭에 일반사료만을 급여하였으며, 대조군 2로서 닭에 일반 육계용 배합사료와 아빌라마이신과 살리노마이신을 1:1 중량비로 혼합한 항생제 200ppm을 혼합한 동물사료를 급여하였다.
상기 실험군 1 내지 4, 대조군 1, 2는 각각 16주령의 산란계 중종 200마리를 7일간 자유급식량으로 급여하면서 사료 섭취량, 산란율 및 계란의 평균무게를 측정하여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예 2 결과
구분 실험군
(실시예 1)
실험군
(실시예 2)
실험군
(실시예 3)
실험군
(실시예 4)
대조군 1 대조군 2
일당 사료섭취량(g) 120.1 120.4 121.5 123.1 119.4 130.1
산란율(%) 72.8 73.2 74.1 74.5 65.7 72.2
계란 100개 평균 무게 1.58 1.59 1.61 1.63 1.43 1.57
상기 표 2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의 실험군은 대조군 1에 비해 산란율, 계란의 평균 무게가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으며, 대조군 2에 비해 사료 섭취량이 적은 반면, 산란율 및 계란의 평균 무게는 비슷한 수준으로, 사료 효율 역시 개선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험예 3)
다보탑 고추를 50일 동안 육묘하고 정식한 후, 상기 실시예 1 내지 4의 첨가제 조성물을 물에 100배 희석하여, 고추 1주당 1L의 관주량으로, 15일 간격으로 관주하여 70주를 재배한 후, 고추의 평균 과수를 비교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았다.
시험예 3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무처리군
평균과수(개) 1.81 1.82 1.85 1.80 1.02
평균중량(g) 1.60 1.61 1.62 1.59 0.99
평균길이(cm) 20.2 20.4 20.8 20.2 13.4
상기 표 3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를 시비한 고추는 무처리군에 비하여 그 평균 과수가 현저히 높음을 확인하였다.
(시험예 4)
계분 7kg, 목분 3kg을 혼합하여 부식유기질비료를 제조하였다. 그리고 이에 실시예 1 내지 4의 시료를 0.2kg씩 혼합하고, 최초암모니아 수치를 기준(100%)으로 시간 경과에 따른 암모니아 수치를 측정하여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대조군으로는 가루탈취제(MW101-03) 0.2kg를 사용하였다.
시험예 4 결과
구분 실시예 1 실시예 2 실시예 3 실시예 4 대조군 무처리군
최초 100 100 100 100 100 100
5분 52 50 51 11 100 100
10분 27 26 28 2 99 100
30분 21 23 21 1 95 98
60분 19 18 20 0 93 97
상기 표 4에서와 같이, 실시예 1 내지 4는 모두 암모니아 수치가 초기 대비 현저히 저감하여 탈취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발효작용에 의한 것으로 판단되었다. 특히, 실시예 4는 그 저감효과가 월등한바,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는 경우 탈취효과가 현저히 상승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상,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예를 사용하여 상세히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는 특정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이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습득 한 자라면,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으면서도 많은 수정과 변형이 가능함을 이해하여야 할 것이다.

Claims (4)

  1. 유용미생물 배양액, 스테비아, 황칠 추출물, 도깨비부채 및 행채의 혼합물이 발효된 발효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은 유용미생물(EM) 원액, 당밀 및 물을 혼합하여 배양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상기 유용미생물 배양액 100중량부에 대하여, 상기 스테비아 0.1~100중량부, 황칠 추출물 0.1~100중량부, 도깨비 부채 잎 0.01~50중량부 및 행채 0.01~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고,
    상기 스테비아는,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 줄기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황칠 추출물은, 황칠나무의 수액; 및 황칠나무의 수피, 줄기 및 잎 중 1종 이상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며,
    상기 도깨비 부채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고,
    상기 행채는,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혼합물은,
    분홍애기풀 0.01~50중량부,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 0.01~50중량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홍애기풀은, 전초를 분말화한 분말; 및 전초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이며,
    상기 카스타놉시스 에키노카르파는, 잎을 분말화한 분말; 및 잎을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으로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을 더 포함하되,
    상기 옥수수속대의 발효추출물은 옥수수속대에 락토바실러스 람노서스(Lactobacillus rhamnosus)를 접종하여 발효하고, 이를 물을 추출용매로 하여 추출한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20210129514A 2021-09-30 2021-09-30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KR10242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14A KR102428554B1 (ko) 2021-09-30 2021-09-30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29514A KR102428554B1 (ko) 2021-09-30 2021-09-30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8554B1 true KR102428554B1 (ko) 2022-08-04

Family

ID=828342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29514A KR102428554B1 (ko) 2021-09-30 2021-09-30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8554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71B1 (ko) 2023-02-16 2024-01-23 주식회사 진설초해 황칠추출물(진세노사이드ro)을 포함하는 고농도 사포닌 비료의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비료 및 상기 비료를 이용하여 재배된 재배물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419B1 (en) * 2000-01-31 2001-08-21 Naohiko Sato Methods of enhancing vitality of plants trees and crops with stevia
JP2005306768A (ja) * 2004-04-21 2005-11-04 Pola Chem Ind Inc 夏用の皮膚外用剤
KR20060109581A (ko) * 2005-04-16 2006-10-23 한국스테비아(주) 원예용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596B1 (ko) 2005-12-19 2006-1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0729713B1 (ko) * 2006-05-24 2007-06-18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KR20090121793A (ko) * 2008-05-23 2009-11-26 장동춘 지렁이, 스테비아, 박하를 이용한 액상비료와 그 제조방법및 그 이용방법
KR20100018907A (ko) * 2008-08-07 2010-02-18 박수상 스테비아를 주재로 하는 액상 유기질 비료
KR101042070B1 (ko) 2008-09-04 2011-06-16 김국진 신규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료 첨가제
KR20150117062A (ko) * 2014-04-09 2015-10-19 유재원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첨가제 조성물
KR101908518B1 (ko) * 2018-07-10 2018-10-17 김덕형 스테비아 액비를 이용한 기능성 스테비아 양파 재배방법 및 그 스테비아 이용한 양파즙
KR20200113587A (ko) * 2019-03-26 2020-10-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22811B1 (ko) 2020-09-03 2021-03-04 전철우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2281219B1 (ko) * 2020-06-11 2021-07-2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엘바이오텍 스테비아 발효추출물 및 유용미생물을 포함하여 작물의 생육촉진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Patent Citation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277419B1 (en) * 2000-01-31 2001-08-21 Naohiko Sato Methods of enhancing vitality of plants trees and crops with stevia
JP2005306768A (ja) * 2004-04-21 2005-11-04 Pola Chem Ind Inc 夏用の皮膚外用剤
KR20060109581A (ko) * 2005-04-16 2006-10-23 한국스테비아(주) 원예용 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0643596B1 (ko) 2005-12-19 2006-11-10 계명대학교 산학협력단 사료첨가제 및 이를 포함하는 사료
KR100729713B1 (ko) * 2006-05-24 2007-06-18 재단법인 전라북도생물산업진흥원 스테비아 추출물 및 광물질을 함유하는 원예용 비료 및 그제조방법
KR20090121793A (ko) * 2008-05-23 2009-11-26 장동춘 지렁이, 스테비아, 박하를 이용한 액상비료와 그 제조방법및 그 이용방법
KR20100018907A (ko) * 2008-08-07 2010-02-18 박수상 스테비아를 주재로 하는 액상 유기질 비료
KR101042070B1 (ko) 2008-09-04 2011-06-16 김국진 신규 미생물 및 이를 포함하는 친환경 비료 첨가제
KR20150117062A (ko) * 2014-04-09 2015-10-19 유재원 유용미생물을 포함하는 첨가제 조성물
KR101908518B1 (ko) * 2018-07-10 2018-10-17 김덕형 스테비아 액비를 이용한 기능성 스테비아 양파 재배방법 및 그 스테비아 이용한 양파즙
KR20200113587A (ko) * 2019-03-26 2020-10-07 안동대학교 산학협력단 도깨비부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 조성물
KR102281219B1 (ko) * 2020-06-11 2021-07-23 농업회사법인주식회사엘바이오텍 스테비아 발효추출물 및 유용미생물을 포함하여 작물의 생육촉진능을 갖는 토양개량제
KR102222811B1 (ko) 2020-09-03 2021-03-04 전철우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7671B1 (ko) 2023-02-16 2024-01-23 주식회사 진설초해 황칠추출물(진세노사이드ro)을 포함하는 고농도 사포닌 비료의 조성물, 상기 조성물을 함유한 비료 및 상기 비료를 이용하여 재배된 재배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22811B1 (ko) 사료 및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KR100830858B1 (ko) 인삼사포닌 발효액을 이용한 엽채류 재배방법
US9150461B2 (en) Bioorganic agent for treating plants (variants)
KR101365728B1 (ko) 친환경 유기 액체 비료 및 그 제조 방법
CN106008098A (zh) 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CN107266183A (zh) 鸡粪有机肥及其制备方法
KR101383550B1 (ko) 유인균 미생물을 이용한 뼈를 튼튼하게 하고 키 성장에 도움을 주는 성장 촉진 쌀 및 그 재배방법
CN105198661A (zh) 一种生物杀虫有机肥料及其制备方法
KR101225890B1 (ko) 해조류를 이용한 기능성 강화 액체비료 및 그 제조방법
KR102428554B1 (ko) 스테비아를 이용한 비료용 첨가제 조성물
KR20090057539A (ko) 해조류 구멍 갈파래를 발효하여 액체비료 제조방법
KR102257872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CN104230570A (zh) 一种莲藕种植专用生物有机肥
CN106889370A (zh) 一种竹粉发酵饲料及其制备方法
KR102183599B1 (ko) 부숙유기질비료의 살균, 탈취 및 부숙 촉진을 위한 사료 첨가제 및 이의 제조방법
Gajjela et al. Prospect of liquid organic manure on organic bitter gourd cultivation
CN111892440A (zh) 防治马铃薯疮痂病的微生物菌肥及其制作方法和使用方法
CN104193457A (zh) 一种莲藕种植生物有机肥
CN116831150A (zh) 一种预防生姜病虫害的栽培方法
KR101238338B1 (ko) 다량의 미네랄이 함유된 포도 및 그 시비방법
CN110590445A (zh) 一种水蜜桃专用生物有机肥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04817349A (zh) 一种鲜食玉米专用富锌铁生物有机肥的制备方法
KR20090095149A (ko) 목초액 함유 비료용 조성물
KR100463959B1 (ko) 압분을 이용한 기능성 퇴비 및 그 제조방법
CN113200795A (zh) 一种酶解生物肽肥及其制备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