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5090B1 -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 Google Patents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5090B1
KR102425090B1 KR1020197010732A KR20197010732A KR102425090B1 KR 102425090 B1 KR102425090 B1 KR 102425090B1 KR 1020197010732 A KR1020197010732 A KR 1020197010732A KR 20197010732 A KR20197010732 A KR 20197010732A KR 102425090 B1 KR102425090 B1 KR 10242509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tate
actuation
lock
chassis
lock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107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5364A (ko
Inventor
프란츠 키슬러
랄프 홀레이스
요한스 하우저
제이슨 바커
Original Assignee
시벡스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시벡스 게엠베하 filed Critical 시벡스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900453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53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509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509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62Coupling unit between front wheels, rear wheels and han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7/00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 B62B7/04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 B62B7/06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 B62B7/08Carriages for children; Perambulators, e.g. dolls' perambulators having more than one wheel axis; Steering devices therefor collapsible or foldable in the direction of, or at right angles to, the wheel axi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2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remotely controlled, e.g. from the handleba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2205/00Hand-propelled vehicles or sledges being foldable or dismountable when not in use
    • B62B2205/20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 B62B2205/24Catches; Locking or releasing an articulation to hold in the folded posi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BHAND-PROPELLED VEHICLES, e.g. HAND CARTS OR PERAMBULATORS; SLEDGES
    • B62B5/00Accessories or details specially adapted for hand carts
    • B62B5/06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 B62B5/064Hand moving equipment, e.g. handle bars adaptable for different users, e.g. by means of pivoting elemen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rriages For Children, Sleds, And Other Hand-Operated Vehicles (AREA)
  • Handcart (AREA)
  • Toys (AREA)
  • Lock And Its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특히 휠 및 유모차 섀시를 푸싱하기 위한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스포츠 모델 유모차 섀시, 버기 섀시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 섀시에 관한 것으로,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로킹 가능(lockable) 사용 상태 및 폴딩된 로킹 가능 저장 상태로 될 수 있고, 특히 수동의 작동 장치(16)가 제공되어 로킹된 사용 상태로부터 로킹된 저장 상태로 전환하는 중에, 적어도 2 가지의 로킹 프로세스, 특히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와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조정 둘 모두가 작동 장치(16)의 단일 제1 작동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Description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본 발명은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에 관한 것이다.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는 예를 들어 DE 10 2014 110 215 A1에 공지되어 있다. 여기에 설명된 유형의 유모차 섀시, 특히 스포츠 모델 유모차 섀시, 버기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은 유아 및 영아의 실제 교통 수단으로 사용된다. 공지된 유모차 섀시에 종종 문제가 되는 것은 비사용 상태의 공간 요구 사항이다. 특히, 운반시에 유모차가 함께 접힐 수 있으면 유익한데, 유모차의 전환은 사용자에게 가능한 한 간단하게 이루어져야 한다.
종래기술에서는 유모차의 섀시를 사용 상태로부터 저장 상태로 이동시키는 다양한 폴딩 메커니즘이 제안되어 있다. 적어도 사용 상태(사용 위치)에서, 유모차는 의도하지 않은 폴딩 메커니즘의 트리거링에 대비하여 고정되어야 한다. 선택적으로 안전 장치가 또한 저장 위치(저장 상태)에 대해 제공될 수도 있다.
폴딩 가능한 유모차는 통상적으로 예를 들어 푸시 요소 및 전방 레그 및/또는 후방 레그가 서로에 대해 회전할 수 있거나 또는 이들 위치와 관련하여 고정될 수 있는 관절을 갖는다. 안전 장치가 저장 상태에 대해 제공되면, 이는 종종 별도의 메커니즘에 의해 구현된다.
그러나, 공지된 폴딩 메커니즘은 전체적으로 불리한 것으로 간주된다. 특히, 유모차를 사용 상태로부터 저장 상태로 (또는 반대로) 이동시키기 위해서는 사용자의 몇 가지 별도 작동이 필요한데, 예를 들어 제1 작동으로서 사용 위치에서의 측방향 언로킹 및 제2 작동으로서 필요한 경우 저장 상태에서의 자동 연동으로의 섀시 폴딩 - 또는 제1 작동으로서 경우에 따라 저장 상태의 측방향 언로킹 및 제2 작동으로서 필요한 경우 사용 위치에서의 자동 연동으로의 섀시 언폴딩을 포함한다.
안전 장치가 저장 상태에서 제공되지 않는 한, 섀시는 실수로 언폴딩될 수 있다(예를 들어, 차량의 트렁크에 적재시). 더욱이, 폴딩 메커니즘은 통상 한손으로는 작동될 수 없는데, 예를 들어 먼저 사용 상태의 측방향 언로킹, 그 다음 폴딩 프로세스가 이루어져야 하고 - 또는 먼저 한 손으로 저장 상태를 언로킹 및 다른 한 손으로 섀시를 동시에 언폴딩이 이루어져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섀시가 간단한 방식으로 폴딩 가능해야 하고 사용 위치 및 저장 위치 둘 모두를 간단한 방식으로 고정할 수 있는 유모차 및 대응 유모차 섀시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해결하기 위해, 청구항 1의 특징을 갖는 유모차 섀시가 제안된다.
특히, 상기 목적은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특히 휠 및 유모차 섀시를 푸싱하기 위한 푸시 요소와, 선택적으로 유모차 부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는 스포츠 모델 유모차 섀시, 버기 섀시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 섀시에 의해 달성되며,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로킹 가능 상태 및 폴딩된 로킹 가능 저장 상태로 될 수 있고, (수동) 작동 장치가 제공되어 로킹 사용 상태로부터 로킹 저장 상태로 전환하는 동안, 적어도 2 가지 프로세스(특히, 폴딩 및/또는 로킹 프로세스)가 수행될 수 있는 방식을 구성되고, 바람직하게는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및 상기 작동 장치의 (단일) 제1 작동에 의한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조정 둘 모두가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수동) 작동 장치는 특히 (유모차를 분해하지 않고) 사용자에 의해 도달될 수 있고 (수동으로) 사용자에 의해 작동될 수 있는 작동 장치로 이해되어야 한다. 수동 작동은 특히 손 및/또는 발에 의한 작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동 장치는 특히 예를 들어 클립 또는 레버와 같은 (일체형) 작동 요소에 의해 형성된다. 작동 장치의 단일 작동은 특히 사용자가 작동 장치를 한 번 작동시키는(특히 움직이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저장 상태는 전방 및 후방 레그 또는 전방 및 후방의 한 쌍의 레그가 서로를 향해 이동(회전)되고 및/또는 푸시 요소가 전방 레그(한 쌍의 레그) (사용 상태에서 시작하여) 방향으로 이동되는(회전하는) 상태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핵심 양태는 유모차 섀시가 각각의 경우에 (단일) 작동으로 로킹된 (잠겨진) 사용 위치로부터 로킹된 (잠겨진) 저장 위치로 그리고 필요에 따라 반대로 복귀될 수 있다는 점에 있다. 하나의 폴딩 조인트(유모차 섀시를 폴딩하기 위한)에서는 이와 같은 하나의 작동으로 필요에 따라 여러 프로세스가 동시에 개시될 수 있으며, 시간상 또는 연속하여 중첩될 수 있다. 특히, 예를 들어 저장 위치(저장 상태)의 로킹 및 사용 위치(사용 상태)의 로킹 (잠금) 해제를 위한 로킹 장치의 프리-텐셔닝(pre-tensioning)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작동은 특히 (순전히) 병진 및/또는 (순전히) 회전 이동 또는 이들의 조합이다. 작동 중에, 회전하는 동안의 회전 방향 및/또는 병진하는 동안의 방향은 반전되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 작동은 반전 운동이 없는 작동이다.
무엇보다도 본 발명에 따른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에 의해, 사용 상태로부터 저장 상태로의 전환이 간단한 방식으로 달성될 수 있고, 그럼에도 불구하고 유모차 섀시의 안전한 사용이 가능해진다. 특히, 폴딩 프로세스는 (단일) 작동으로 (필요에 따라 한 손으로) 수행될 수 있으며, 그와 같은 작동은 바람직하게 연속적인 이동 시퀀스 (중단 또는 개입 없이)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로킹된 저장 상태로부터 로킹된 사용 상태로의 전환 중에,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또는 정확하게) 하나 또는 적어도 두 개의 로킹 프로세스, 예를 들어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및/또는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조정은 작동 장치의 (단일) 제2 작동에 의해 수행된다. 제2 작동은 바람직하게 반전 운동이 없는 작동이다. 또한 제2 작동은 제1 작동의 운동학적 반전이 될 수 있다. 운동학적 역전은 특히 (회전 작동의 경우) 복귀 또는 (병진 작동의 경우) 뒤로 이동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유리하게도, 저장 상태로부터 사용 상태로의 언폴딩은 하나의 작동(바람직하게는 한 손)으로 수행될 수 있다.
로킹의 조정은 특히 각각의 상태가 채택될 때 로킹되는 프로세스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로킹의 조정은 특히 각 상태의 채택 전에, 예를 들어 프리-텐셔닝 장치(특히 스프링)를 프리-텐셔닝 함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독점적으로 각 상태를 야기하는 것은 바람직하게 작동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된다. 따라서, (제1 또는 제2) 작동은 특히 로킹 해제 또는 로킹 제거가 능동적으로 (사용자에 의해) 제어되는 프로세스로 이해되어야 한다.
작동 장치는 제1 작동이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의 해제 및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의 조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시적으로 중첩되는 결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동시에 발생하거나 시간에 따라 (아마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작동 장치는 제2 작동이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및 (실행된 경우)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조정이 적어도 부분적으로 일시적으로 중첩되는 결과를 가지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특히 동시에 발생하거나 시간에 따라 (아마도 시간 간격으로) 연속적으로 발생한다.
특정 실시 예에서, 작동 장치는 제1 및/또는 제2 작동을 수행하도록 피봇팅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작동은 바람직하게 제1 작동 형태로 피봇팅되는 피봇팅 백(pivoting back)이다. 피봇팅에 의한 작동은 결함이 비교적 적고(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해결책과 비교하여), 특히 먼지 침투와 관련하여 비교적 내성이 있다. 기능성을 상당히 제한하지 않으면서 제조상의 비교적 큰 오차도 허용된다. 이로써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의 신뢰성 있고 매우 간단한 작동이 전반적으로 달성된다.
작동 장치는 푸시 요소 및/또는 클립, 특히 슬라이딩 클립(또는 그와 같은 구성)의 일부일 수 있고 및/또는 레버(또는 그와 같은 구성) 및/또는 플랩(또는 그와 같은 구성)일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하나의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 섹션은 핸들의 높이 조정을 위해 피봇 가능할 수 있으며, 특히 상이한 피봇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전체적으로 폴딩 메커니즘의 작동이 더욱 단순화된다.
작동 장치는 조정 장치와, 바람직하게 풀(pull) 요소, 특히 보우덴(Bowden) 케이블을 통해 협력할 수 있으며,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사용 상태는 제1 위치에 로킹되고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이 제1 위치에서 해제되고 및/또는 저장 상태가 제2 위치에 로킹되고 및/또는 사용 상태의 로킹이 제2 위치에서 해제된다. 조정 장치는 바람직하게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병진적으로, 필요에 따라 순전히 병진적으로 이동한다. 특히 바람직하게 이와 같은 경우에, 작동 장치는 (선택적으로 배타적으로) 회전 피봇팅에 의해 작동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유모차 섀시의 신뢰성 있게 기능하는 폴딩이 간단한 방식으로 가능해진다.
조정 장치는 사용 상태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제1 로크 요소가 특히 텐셔닝 장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의 작용에 대하여 로크 리셉터클로부터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1 작동 전달 장치, 특히 제1 런-인(run-in) 슬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부가적으로, 조정 장치는 저장 상태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하는 동안 제2 로크 요소가 특히 텐셔닝 장치, 바람직하게는 스프링의 작용에 대하여 로크 리셉터클 내로 이동되는 방식으로 제2 작동 전달 장치, 특히 제2 런-인 슬로프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또는 제2 로크 요소는 회전가능하게 및/또는 병진적으로 이동가능할 수 있다. 일 특정 실시 예에서, 제1 로크 요소는 (순전히) 병진적으로 이동될 수 있고 제2 로크 요소는 (순전히) 회전가능하게 이동될 수 있다. 이로써 전체적으로 로킹 프로세스가 더욱 단순화된다.
바람직하게, 제1 및 제2 로크 요소로부터의 하나의 로크 요소, 특히 제1 로크 요소는 축방향으로 이동되고 다른 하나, 특히 제2 로크 요소는 반경방향으로 이동된다. 그 결과, 다양한 로킹 프로세스를 위해 공간 절약 및 효과적인 구조가 제공된다.
제2 로크 요소는 서로를 향해 이동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로크 부분을 포함할 수 있으며, 텐셔닝 장치가 로크 부분을 서로 외부로 푸시하는 방식으로 텐셔닝 장치, 특히 스프링이 로크 부분 사이에 제공된다.
저장 상태는 유모차 섀시가 더 폴딩될 수 있는 방식으로 로킹 가능할 수 있다(즉, 선택적으로 다시 폴딩 개방이 되지 않도록 하나의 안전 장치만이 제공된다). 이러한 목적으로 바람직하게는, 제2 로크 요소 및 부속 로크 리셉터클은 저장 상태가 언폴딩되지 못하도록 로킹되는 방식으로 (특히 비대칭적으로) 구성되지만, 동시에 추가로 폴딩 가능하다.
상기 목적은 또한 특히 전술된 유형의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바람직하게는 스포츠 모델 유모차 섀시, 버기 섀시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 섀시에 의해 해결되는데, 휠 및 유모차 섀시를 푸싱하기 위한 푸시 요소와, 선택적으로 유모차 부착물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 수단을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하나의 로킹 가능 사용 상태 및 폴딩된 선택적으로 로킹 가능 저장 상태로 될 수 있으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 섹션은 핸들의 높이 조정을 위해 피봇 가능하고, 사용 상태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 및/또는 로킹의 해제는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팅에 의해 달성된다. 따라서, 다른 피봇 가능한 (높이 조정을 위한) 푸시 요소 섹션에서, 이와 같은 피봇 가능성(pivotability)이 사용되고 로킹 프로세스가 또한 발생할 수 있도록 추가로 구성된다는 점에서 핵심 아이디어가 보일 수 있다. 높이 조정을 위해 피봇 가능한 통상의 푸시 요소 섹션이 유모차를 폴딩하기 위해 관절로부터 상대적으로 멀리 위치되지만, 본 발명에 따르면 작동 및 구조 전체가 단순화될 수 있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과 폴딩 조인트 사이의 비교적 큰 거리는 바람직하게 푸시 및/또는 풀 장치, 예를 들어 보우덴 케이블에 의해 브릿지될 수 있다. 따라서, 본 접근법은 로킹을 위한 작동 장치가 일반적으로 폴딩 조인트에 즉각적으로 또는 공간적으로 근접하게 제공되는 이전의 해결책으로부터 어느 정도 벗어난다. 피봇팅 의한 작동은 전체적으로 결함이 덜 생기고(예를 들어, 텔레스코픽 해결책과 비교하여), 특히 먼지 침투에 대해 비교적 내성이 있다. 기능성을 상당히 제한하지 않으면서 제조상의 비교적 큰 오차도 허용된다. 전체적으로, 특히 사용 상태의 간단하고 안전한 로킹이 본 발명에 따른 해결책에 의해 가능해진다.
바람직하게는, 하나의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은 적어도 2 개, 바람직하게 적어도 3 개의 피봇 위치에 로킹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은 추가의 푸시 요소 섹션에 대해 피봇 가능할 수 있다.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 축은 폴딩 조인트에 대해 적어도 10 cm,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20 cm의 거리를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푸시 요소 섹션은 전체적으로 (U자형) 클립일 수 있으며, 클립의 레그는 적어도 10 cm 또는 적어도 15 cm 및/또는 최대 30cm 또는 최대 25cm 또는 최대 20cm이다.
그러나, 바람직하게는 상기 양태와 결합된 본 발명의 또 다른 (독립적인) 양태에 따르면,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특히 휠 및 유모차 섀시를 푸싱하기 위한 푸시 요소를 포함하는 스포츠 모델 유모차 섀시, 버기 섀시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 섀시가 제안되고,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로킹 가능 사용 상태 및 선택적으로 로킹 가능 저장 상태로 될 수 있으며, 상기 유모차 섀시는 사용 상태의 로킹 해제가 (단지) 동시에 수행되는 2 개의 상이한 작동 단계(프로세스 단계)에 의해 또는 (단지) 3 개의 연속적인 작동 단계(프로세스 단계에 의해 달성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사용 위치가 조정될 수 있는 적어도 하나의 조절 가능을 가지고, 적어도 하나의 추가 (적어도 제3) 위치, 즉 사용 상태의 로킹이 해제되거나 해제될 언로킹 위치가 채택될 수 있다.
조절 가능성은 특히 유모차 섀시의 프레임(또는 프레임워크)의 조절(특히 인접 섹션 사이의 상대 각도 또는 인접한 섹션으로부터의 거리에 관한), 즉 예를 들어 높이 조정, 특히 푸시 요소의 높이 조정을 포함한다. 하나의 위치(특히 최종 사용 위치)로부터 다른 위치(특히 언로킹 위치)로의 전환은 바람직하게 (단지) 2 개의 동시 작동 단계(예를 들어, 버튼 누름 및 예를 들어 레버 또는 프레임 부분의 섹션, 특히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팅)에 의해 발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이것은 3 개의 (연속) 프로세스 단계에 의해 수행할 수도 있다. 일 실시 예에서, 적어도 2 개의 사용 위치 사이의 전환 및 (최종) 사용 위치로부터 언로킹 위치로의 전환을 위한 동일한 작동 단계(특히 동시)는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작동 단계(프로세스 단계)에 의해, 예를 들어 (동일의) 버튼 또는 일반적으로 동일한 안전 장치의 동시 누름 및 유모차 섀시의 섹션, 특히 푸시 요소 섹션의 이동(특히 피봇팅)에 의해 수행될 수 있다. 언로킹 위치는 적어도 2 개의 (상이한) 사용 위치 사이에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대안적인 아이디어에 따르면, 추가 위치가 조절 가능성(특히, 높이 조정)에 추가되는데, 이와 같은 추가 위치는 조절(높이 조정)을 위해 이미 존재하는 2 개의 위치 사이에 있지 않는 것이 바람직하다. 추가 위치는 이와 같은 위치가 채택될 때 프레임 로킹이 해제되어 유모차가 폴딩될 수 있는 방식으로 구성된다.
특히 바람직하게는, (높이 조정의) 조절 가능성, 특히 피봇 가능한 섹션의 피봇팅, 예를 들어 안전 장치의 작동(특히 버튼 누름) 및 푸시 요소의 동시 변위(피봇팅)의 조절 가능성을 조절하기 위해 2 개의 동시 프로세스 단계가 필요하다. 바람직하게는, 메커니즘이 최종 사용 위치와 추가 위치 사이에, 특히 바람직하게는 추가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제공되고, 이 메커니즘은 부가적인 위치, 예를 들어 정지(또는 로킹)로의 (우발적) 전환을 방지한다. 결과적으로, 사용자는 추가 위치로 전환하기 전에 실제로 두 단계를 동시에 실행해야 한다(그리고 최종 사용 위치를 떠날 때만 가능하지 않음). 바람직하게는, 추가 위치는 우발적 전환 가능성이 낮아지게 위해, 예를 들어 푸싱에 부적합한 푸싱 요소의 높이 및/또는 위치에서 정상적인 용도에 부적합한 방식으로 설계된다.
유모차 섀시는 사용 상태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 및/또는 로킹의 해제가 달성되는 피봇 위치로의 하나의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팅이 안전 장치, 특히 노브의, 바람직하게는 푸시 요소의 수평 섹션 상의 동시 작동 전 또는 후에만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노브는 바람직하게 수평 푸시 요소 섹션의 중앙에 배치된다. 이와 같은 노브는 또한 높이 조정이 버튼(일반적으로: 안전 장치 작동) 디프레션(depression) 및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동시 피봇팅에 의해서만 이루어질 수 있다는 점에서 푸시 요소의 높이 조정을 추가적으로 허용할 수 있다.
특히, 더 이상 임의의 (의미있는) 유용한 위치(하지만, 특히 로킹 위치의 전방 위치)를 더 이상 채택하지 않는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 위치에서, 예를 들어 정지 및/또는 래칭 장치는 푸시 요소 섹션이 사용 상태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 및/또는 로킹 해제가 발생할 수 있는 피봇 위치로 될 수 없게 방지할 수 있다. 단지 안전 장치를 작동시킴으로써(특히 버튼을 누름으로써) 바람직하게는 사용 상태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 및/또는 로킹 해제가 가능하게 된다(이에 필요한 피봇 위치가 달성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치의 작동(특히, 버튼의 누름)은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이 수직 정렬과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에 인접한 푸시 요소 섹션에 역평행한 정렬 사이에 놓이는 각도 범위에 위치되는 피봇 위치에서 필요하고(따라서,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은 특히 피봇 가능 푸시 요소 섹션에 인접한 푸시 요소 섹션에 대해 접촉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안전 장치의 작동은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이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에 인접한 푸시 요소 섹션의 방향으로, 예를 들어 적어도 10°또는 적어도 20°의 각도만큼 수직 연장부로부터 시작하여 회전하는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위치와 (적어도 실질적으로)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에 역평행하게 연장하거나 바람직하게 푸시 요소 섹션에 인접한 푸시 요소 섹션으로 적어도 10°의 각도로 연장하는 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위치 사이에 놓이는 각도 범위에서 필요하다.
안전 장치(또는 유모차 섀시의 대응하는 구성)를 작동시킬 필요성의 결과로서, 특히 단지 2 가지의 동시 프로세스 단계(피봇 가능한 푸시 요소 섹션의 피봇팅 및 안전 장치의 작동, 특히 버튼 누름)에 의해 특히 가능하게 되는 프레임 로킹이 제공된다.
바람직하게, 유모차는 언로킹 위치(추가 위치)로의 전환 및 프레임의 폴딩이 크기가 다른 및/또는 방향이 다른 힘 또는 토크를 필요로 하도록 구성된다. 특히, 유모차는 로킹 장치의 피봇 가능한 섹션을 피봇팅하거나 사용 상태 및/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을 해제하기 위한 토크가 프레임 폴딩에 필요한 토크의 방향과 다른 방향을 가리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추가 위치(언로킹 위치)는 서로의 사용 위치(평균적으로)로서 최종 위치로부터 적어도 1.5 배 또는 적어도 2 배 또는 3 배 또는 적어도 5 배 이상 멀리 위치한다.
일반적으로, 유모차 섀시는 전방 레그, 특히 한 쌍의 레그 및 적어도 하나의 후방 레그, 특히 한 쌍의 후방 레그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경우에, 전방 및 후방 레그는 푸시 요소가 또한 관절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는 폴딩 조인트에 관절 방식으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선택적으로 연결 부분(연결 링키지)은 전방 레그와 후방 레그, 선택적으로 한 쌍의 전방 레그 및 한 쌍의 후방 레그를 서로 연결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결 부분은 선택적으로 관절 방식으로 폴딩 조인트에 연결될 수 있다.
작동 장치는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저장 상태로의 전환 및 저장 상태의 로킹이 한 손으로, 특히 파지 및 이에 대응하는 특히 핸들, 특히 푸시 요소 핸들을 누르는 힘의 인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또는 추가적으로, 작동 장치는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사용 상태로의 전환 및 사용 상태의 로킹이 한 손으로, 특히 파지 및 이에 대응하는 특히 핸들, 특히 푸시 요소 핸들을 누르는 힘의 인가에 의해 수행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전술한 목적은 상기한 유형의 유모차 섀시를 포함하는 유모차, 특히 스포츠 모델 유모차, 버기 또는 유사한 어린이용 차량에 의해 추가로 해결된다. 유모차에는 일체형 리셉터클이 어린이 또는 (선택적으로 분리가능한) 유모차 부착물, 특히 차이트 시트, 하이 체어 프레임, 어린이 카 시트(또는 이와 유사한 것)를 위해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전술한 목적은 상기한 유형의 유모차 섀시를 폴딩 및/또는 언폴딩하기 위한 방법에 의해 독립적으로 해결되며, 그에 따라 기능적으로 공식화된 특징은 대응하는 프로세스 단계로 대체될 수 있다. 추가 실시 예는 종속항으로부터 얻어진다.
본 발명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되는 예시적인 실시 예를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된다. 도면에서:
도 1a는 본 발명에 따른 유모차 섀시의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b는 유모차 섀시의 다른 상태에서의 도 1a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c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d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e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f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g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h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i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1j는 유모차 섀시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이전 도면에 따른 측면도를 도시하고;
도 2는 폴딩 조인트의 분해도를 도시하고;
도 3a는 제1 상태에서의 폴딩 조인트의 제1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3b는 도 3a에 따른 상태에서의 폴딩 조인트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4a는 폴딩 조인트의 상이한 상태에서의 도 3a와 유사한 폴딩 조인트의 단면도를 도시하고;
도 4b는 도 4a에 따른 상태에서의 폴딩 조인트의 또 다른 상태를 도시하고;
도 5는 폴딩 조인트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도 3a 및 도 4a와 유사한 폴딩 조인트의 단면을 도시하고,
도 6은 폴딩 조인트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도 3a, 도 4a 및 도 5와 유사한 폴딩 조인트를 통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7은 폴딩 조인트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특히 도 3a와 유사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8은 폴딩 조인트의 또 다른 상태에서의 특히 도 3a와 유사한 단면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1h의 확대 단면을 도시한다.
하기의 설명에서, 동일한 참조 번호는 동일한 효과를 갖는 동일한 부분 및 부품에 사용된다.
도 1a는 푸시 요소(11) 및 한 쌍의 전방 레그로 이루어진 전방 레그(12), 한 쌍의 후방 레그로 이루어진 후방 레그(13) 및 연결 부분(14)이 관절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는 (중앙) 폴딩 조인트(10)를 갖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를 도시한다. 제2의 대응하게 구성되고 배열된 폴딩 조인트는 도 1a에 따른 도면에서 도시된 폴딩 조인트(10) 뒤에 배열될 수 있다. 따라서, 요소(12, 13, 14 및/또는 46)는 이중으로 설계될 수 있다. 푸시 요소(11), 전방 레그(12) 및 후방 레그(13)는 축(15)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하다. 연결 부분(14)은 이와 같은 축(15)에 대하여 편심 회전한다(이후에 더 상세히 설명됨). 푸시 요소(11)는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 및 근위 푸시 요소 섹션(17)을 포함한다.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은 핸들(18)을 포함하고 푸시 요소 조인트(19)를 통해 관절 방식으로 근위 푸시 요소 섹션(17)에 연결된다. 핸들(18)의 높이는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을 근위 푸시 요소 섹션(17)에 대해 피봇팅시킴으로써 조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3 개의 상이한 위치, 특히 하향 폴딩된, 중간 및 상향 폴딩된 위치에서).
상이한 위치에서,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은 다음에 선택적으로 근위 푸시 요소 섹션(17)에 대해 로킹될 수 있다. 로킹 해제를 위해,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의 핸들(18)(횡단 로드) 상에 (중앙) 해제 메커니즘(버튼)이 제공될 수 있다. 이러한 해제 메커니즘(버튼)은 예를 들어, 풀 요소(특히 보우덴 케이블)를 통해 푸시 요소 조인트(19)에서 로킹을 해제할 수 있다.
도 1b는 도 1a에 따른 상태(사용 상태)를 도시하며, 도 1a와는 달리,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은 핸들(18)이 더 높게 위치되도록 다른 (중간) 위치로 피봇된다. 도 1c는 핸들(18)이 더 높게 (최대 높이에) 위치되도록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이 여전히 더 피봇팅되는 위치를 다시 도시한다.
도 1a 내지 도 1c에 따른 사용 상태에서, 유모차는 (유모차 부착물에서) 어린이를 운반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도 1d 및 도 1e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은 전방을 향한 근위 푸시 요소 섹션(17)에 충돌할 때까지(도 1e) 도 1c에 따른 위치를 넘어서 회전될 수 있다(도 1d). 결과적으로, 폴딩 조인트(10) 내의 조절 요소는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특히, 하기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스프링의 힘에 대해) 변위될 수 있다. 그러나, 본원에서 도 1e에 따른 폴딩 조인트(10)의 로킹은 유모차 섀시가 도 1f에 따른 상태(폴딩된 저장 상태)로 될 수 있는 방식으로 해제되는 것이 중요하다. 그러므로, 사용 상태의 로킹은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을 피봇팅 함으로써 해제된다. 유모차 섀시는 도 1d에 따른 위치로부터 도 1e에 따른 위치로 적어도 두 위치 사이의 중간 위치, 특히 도 1e에 따른 위치에 도달하기 직전에 피봇팅 하도록 구성할 수 있고, 피봇 동안, 안전 장치가 작동되어야 하고, 특히 (바람직하게는 상기 언급된) 해제 메커니즘(버튼)이 작동되어야 한다. 결과적으로, 적어도 도 1e에 따른 위치가 의도하지 않게 도달될 가능성이 상당히 적다. 안전 장치, 바람직하게 버튼의 작동은 특히 안전 장치(버튼)가 능동적으로 (예를 들어, 스프링 힘에 대하여) 압력을 가하는 작동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g는 도 1f와 비교하여 유모차 섀시가 더 폴딩된 상태를 도시한다. 도 1f에 따른 상태에서, 유모차 섀시는 재 언폴딩에 대해 로킹되지만 도 1g에 도시된 바와 같이, 추가 폴딩에 대해서는 (더 작은 정도로만) 로킹되지 않는다. 도 1g에 따른 상태는 또한 로킹되지 않아서, 이 상태에서 적절한 언폴딩에 의해 도 1f에 따른 상태가 (원위 섹션(16)이 이동되지 않고) 다시 도달할 수 있다.
유모차 섀시의 사용 위치에서의 또 다시 추가의 언폴딩은 기본적으로 도 1a 내지도 1f 또는 도 1g를 참조하여 설명된 폴딩과 유사하게 달성된다. 처음에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은 폴딩 조인트(10)에서의 로킹이 또 다시 해제되도록 뒤로 피봇된다(도 1h 참조). 결과적으로, 도 1i 및 도 1j에 도시된 바와 같이 유모차 섀시는 또 다시 언폴딩될 수 있다. 도 1j는 도 1c에 따른 사용 상태를 도시한다.
사용 상태 또는 저장 상태를 로킹하기 위한 메커니즘은 도 2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이후에 더 설명된다.
도 2는 도 1a 또는 도 1j에 따른 상태에서의 폴딩 조인트(10)의 (부분) 분해도를 도시한다. 특히 도 2는 제1 스프링(22)의 작용에 대해 화살표(21)의 방향으로 상부 푸시 요소 섹션(16) 또는 이것에 연결된 풀 요소(특히 보우덴 케이블; 도면에 도시되지 않음)에 의해 반경 방향으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여기 및 이후에서는 반경 방향 및 축 방향은 항상 도 1a에 따른 축(15)과 관련됨) 풀링될 수 있는 조정 장치(20)(조절 요소)를 도시한다. 결과적으로, 제1 경사면(램프)(23) 및 제2 경사면(램프)(24)은 화살표(21)의 방향으로 이동된다.
경사면(23, 24)의 결과로서 조인트 섹션(25a, 25b)에 대한 조정 장치(20)의 이동 중에, 제1 로크 요소(26)는 축 방향으로 변위되고 제1 (외부) 로크 부분(28) 및 제2 (내부) 로크 부분(29)을 포함하는 제2 로크 요소(27)는 반경 방향으로 변위된다. 이와 같은 로크 요소(26, 27)의 변위 또는 이동은 도 3a 내지 도 8을 참조하여 후술되는 바와 같이 스프링(도면 부호 31a, 31b 및 35로 국한된, 도 2에는 도시되지 않음)의 힘에 대하여 달성된다.
도 3a 및 도 3b는 도 1a, 도 1b, 도 1c 또는 도 1d에 따른 유모차 섀시의 상태에 대응한다. 제1 로크 요소(26)의 로크 섹션(26a, 26b)은 도 3b에 도시되어 있고, 대응하는 로크 리셉터클(30a, 30b) 내에 배치된다. 그 결과, 폴딩 조인트(10)는 폴딩이 불가능한 방식으로 고정된다. 따라서 도 3a 및 도 3b에 따른 상태에서, 제1 로크 요소(26)는 폴딩 조인트를 통한 폴딩을 방지한다. 제2 로크 요소는 도 3a의 단면에서 볼 수 있다. 도 3a에 따른 상태에서, 제2 로크 요소(27)는 폴딩(이 기능은 제1 로크 요소(26)에 의해 인계됨)에 대한 사용 상태를 고정하지도 않고, 저장 상태를 고정할 수 있는 상태의 로크 요소(27)도 아니다(하기에서 더 상세히 설명될 것임).
도 4a 및 도 4b는 도 1e에 따른 상태에 대응한다. 이 상태에서, 유모차는 여전히 언폴딩되지만 상부 푸시 요소 섹션(16)은 이미 최대 피봇 단부 위치로 피봇된다. 이것은 도 2에 따른 조정 장치(20)가 반경 방향으로 화살표(21)의 방향으로 이동되는 것과 동일하며, 도 4a 및 도 4b에 도시된 결과를 갖는다. 도 2에 도시된 제1 런-인 경사면(23)의 결과로서, 로크 섹션(26a, 26b)은 할당된 로크 리셉터클(30a, 30b)로부터 특히 제2 스프링(부분적으로 상세히 도시되지 않음 : 31a 및 31b에 국한되고, 도 3b 참조)의 스프링 힘에 대해 가압된다. 따라서, 제1 로크 요소(26)는 폴딩에 대해 어린이 시트를 더 이상 고정하지 않는다. 도 4a에 따른 제2 로크 요소(27)는 또한 폴딩 프로세스에 대해 어린이 시트를 (아직) 고정하지 않는다. 그러나, 제2 로크 요소(27)는 이제 이것이 채택되는 즉시 (도 1f에 도시된 바와 같이) 도 1f에 따른 저장 상태를 고정(로킹)할 수 있는 상태에 있다. 이것은 (특히) 제1 로크 부분(28)의 방향으로의 제2 로크 부분(29)의 이동의 결과이다. 제1 로크 부분(28)의 위치는 도 3a에 따른 위치에 대응한다. 그러나, 제2 로크 부분(29)은 변경되지 않는다. 특히, 이러한 위치 변경의 결과로서, 제3 스프링(상세히 볼 수 없지만, 31에 국한됨, 도 2 및 도 3a 참조)은 압축되어 로크 돌기(32)에 스프링 힘이 작용하고, 로크 돌기(32)는 기본적으로 반경 방향으로 가압된다. 그러나, 여기서 로크 돌기(32)는 주변부(34)의 내부면(33)에 충돌하여 스프링 힘에도 불구하고 도 3a와 유사한 위치에 머물러 있게 된다. 제4 스프링(도면에서 상세히 볼 수는 없음; 35에 구한되고, 도 3a 참조)은 원위 푸시 요소 섹션(16)의 천이 또는 작동(즉, 도 3a, 도 3b 내지 도 4a, 도 4b로부터의 천이)에 의해 압축된다. 이와 같은 스프링(35)은 한편으로 제2 로크 부분(29)에 그리고 다른 한편으로 주변부(34)의 내부면(33) 상에 지지된다. 이를 위해 제1 로크 부분에는 개구(36)(도 2 참조)가 제공된다. 따라서, 제4 스프링(35)은 기본적으로 제1 스프링 부분 요소를 반경 방향 내측으로 가압한다. 그러나, 제2 경사면(24)의 작용의 결과로서, 이와 같은 내측으로의 가압은 도 4a, 4b에 따른 상태에서 차단된다.
도 4a 및 도 4b에서, 제1 로크 요소 또는 제2 로크 요소는 고정되지 않아서, 유모차 섀시는 폴딩될 수 없다.
도 5는 도 1f와 유사한 상태, 즉 폴딩된 저장 상태에서의 폴딩 조인트(10)를 도시한다. 푸시 요소(11)는 여기서 전방 레그(12)에 대해 회전된다. 이와 같은 회전의 결과로서, 프리-텐션드 로크 돌기(32)는 대응하는 로크 리셉터클(37) 내로 진입하여 이와 같은 저장 상태가 로킹된다. 그러나, 로크 돌기(32) 및 로크 리셉터클(37)은, (도 1g에 따른 위치로의) 추가의 폴딩 동안, 어떠한 (또는 단지 약간의) 고정도 존재하지 않는 방식으로, 특히 로킹이 단지 추가로 폴딩하면 극복될 수 있는 방식으로 (임의의 메커니즘을 해제하지 않고) 구성된다(비대칭적으로). 이것은 도 6에 도시된다(도 1g와 유사하게). 특히, 언더컷(38)은 (작동 장치의 대응하는 작동없이) 사용 상태 방향으로의 임의의 폴딩 백을 방지한다.
작동 장치(원위 푸시 요소 섹션(16))가 이제 또 다시 작동되면, 즉 도 1h에 따라 뒤로 피봇된다면, 제2 로크 부분(29)(도 7 참조)은 반경 방향 내측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이동은 제4 스프링(35)의 프리-텐션의 결과로서 강제된다. 또한, 제1 로크 부분(28)은 제2 로크 부분(29)에 의해 반경 방향 내측으로 풀링되어 로크 돌기(32)가 부속 로크 리셉터클(37)로부터 풀링되며 로킹이 전체적으로 해제되어 어린이 시트가 언폴딩될 수 있다. 도 1i에 따른 상태는 도 8에서 다시 단면으로 도시된다. 도 1j에 따른 상태는 도 3a에 따른 단면에 대응한다.
도 3a에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제1 로크 부분(28)은 제2 로크 부분(29)에 대해 축(40)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장착되며, 이와 같은 피봇팅은 피봇팅 리미터(41)(특히, 제1 로크 부분의 대응하는 핀과 협동할 수 있는 제2 로크 부분의 가늘고 긴 구멍의 형태로)에 의해 제한된다.
도 1f에 따른 위치에서, 유모차는 모든 휠에 자유롭게 세워질 수 있다("셀프-스탠딩 기능"). 도 1g에 따른 추가로 폴딩된 (더 편평한) 제2 저장 상태에서, 이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도 1g에 따른 제2 저장 상태로부터, 유모차 섀시는 저항(로킹)을 극복하지 않고 다시 도 1f에 따른 제1 저장 상태로 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원칙적으로 푸시 요소(11)(도 3 내지도 8에 도시됨)는 각각의 전방 레그(12)에 대해 로킹될 수 있다. 이 경우에, 나머지 모든 피봇가능하게 장착된 부품, 즉 후방 레그 및 연결 부분은 픽스(고정)된다. 또한, 한 쌍의 전방 레그(12)에 대한 푸시 요소(11)의 폴딩 중에 나머지 부분(연결 부분(14) 및 후방 레그(13))도 자동으로 폴딩된다. 이는 연결 부분(14)이 축(15)에 대해 편심된 피봇 축(43)(도 9에서 점선 원으로 표시됨)을 중심으로 피봇가능하게 되어 달성된다. 또한, 연결 부분(14)은 링키지(45)를 포함하는 링키지 부분(45)에 견고하게 연결된다. 이와 같은 링키지(45)는 안내 기능을 가지며 선택적으로 (대응하는 언더컷이 형성될 때) 고정 기능을 또한 가질 수 있다. 그러나, 편심 피봇팅 장착의 결과로서 연결 부분(14)이 상향 이동하는 것이 중요하지만, 도 1a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전반적인 구조의 결과로서, 전방 레그(12)와 후방 레그(13)가 서로 접근하고 도 1a에 도시된 연결 스트럿(46)이 서로 접근하는 결과를 가진다. 이것을 달성하기 위해, 전방 레그(12), 후방 레그(13) 및 각각의 연결 부분(14)은 서로 간에 피봇가능하다.
이 시점에서, 단독으로 또는 임의의 조합으로 볼 때 전술한 모든 부분, 특히 도면에 도시된 세부 사항은 본 발명에 필수적이라고 주장되어야 한다. 이들 변형은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10 폴딩 조인트
11 푸시 요소
12 전방 레그
13 후방 레그
14 연결 부분
15 축
16 원위 푸시 요소 섹션
17 근위 푸시 요소 섹션
18 핸들
19 푸시 요소 조인트
20 조정 장치(조절 요소)
21 화살표
22 제1 스프링
23 제1 경사면
24 제2 경사면
25a 제1 섹션
25b 제2 섹션
26 제1 로크 요소
26a 로크 섹션
26b 로크 섹션
27 제2 로크 요소
28 제1 (외부) 로크 부분
29 제2 (내부) 로크 부분
30a 로크 리셉터클
30b 로크 리셉터클
31 제3 스프링
31a (제2) 스프링
31b (제2) 스프링
32 로크 돌기
33 내부면
34 주변부
35 제4 스프링
36 개구
37 로크 리셉터클
38 언더컷
40 축
41 피봇팅 리미터
43 피봇 축
44 링키지 부분
45 링키지
46 연결 스트럿

Claims (16)

  1.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로서, 상기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는,
    휠; 및
    유모차 섀시를 푸싱하기 위한 푸시 요소를 포함하고,
    상기 유모차 섀시는 적어도 로킹 가능 사용 상태 및 적어도 폴딩된 로킹 가능 저장 상태로 될 수 있고,
    수동 작동 장치가 제공되어, 로킹된 사용 상태로부터 로킹된 저장 상태로의 전환이 상기 수동 작동 장치의 단일 제1 작동에 의한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및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의 조정을 포함하도록 구성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2. 제1항에 있어서,
    제1 작동은 반전 운동이 없는 작동인,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3. 제1항에 있어서,
    로킹된 저장 상태로부터 로킹된 사용 상태로의 전환은 상기 수동 작동 장치의 단일 제2 작동에 대응하는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작동은 반전 운동이 없는 작동이고,
    상기 제2 작동은 상기 제1 작동의 운동학적 반전인,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작동 장치는 상기 제1 작동이 일시적으로 중첩하는 사용 상태에서의 로킹 해제 및 저장 상태에서의 로킹 조정이 동시에 발생하거나 연속적으로 발생하도록 구성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작동 장치는 상기 제1 또는 제2 작동을 수행하도록 피봇될 수 있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작동 장치는 푸시 요소, 클립, 레버 또는 플랩의 일부이고,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푸시 요소 섹션은 핸들의 높이 조정을 위해 피봇 가능하며, 상이한 피봇 위치에 로킹될 수 있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동 작동 장치는 조정 장치와 협력하고,
    상기 조정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제2 위치로 조정될 수 있고,
    사용 상태가 제1 위치에서 로킹되거나 저장 상태의 로킹이 제2 위치에서 해제되고, 또는
    저장 상태가 제2 위치에서 로킹되거나 사용 상태의 로킹이 제2 위치에서 해제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조정 장치는 사용 상태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하는 중에 제1 로크 요소가 하나의 텐셔닝 장치의 작용에 대해 로크 리셉터클로부터 이동되도록 구성된 제1 런-인 경사면을 가지는 제1 작동 전달 장치를 포함하고, 또는
    상기 조정 장치는 저장 상태에서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전환하는 중에 제2 로크 요소가 다른 하나의 텐셔닝 장치의 작용에 대해 로크 리셉터클로 이동되도록 구성된 제2 런-인 경사면을 가지는 제2 작동 전달 장치를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로크 요소로부터 선택된 하나의 로크 요소는 축 방향으로 이동되고 상기 제1 및 제2 로크 요소로부터 선택된 다른 하나의 로크 요소는 반경 방향으로 이동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로크 요소는 서로를 향해 이동할 수 있는 적어도 2 개의 로크 부분을 포함하고,
    하나의 텐셔닝 장치는 상기 하나의 텐셔닝 장치가 상기 로크 부분을 서로 푸싱하는 방식으로 상기 로크 부분 사이에 제공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11. 제8항에 있어서,
    부속 로크 리셉터클을 더 포함하고,
    저장 상태는 유모차 섀시를 추가 상태로 폴딩 가능하도록 로킹 가능하고,
    상기 제2 로크 요소 및 상기 부속 로크 리셉터클은 저장 상태가 언폴딩되지 않도록 로킹되고 상기 추가 상태로 유지되도록 구성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1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은 핸들의 높이 조정을 위해 피봇 가능하며,
    사용 상태 또는 저장 상태의 로킹 또는 로킹의 해제는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피봇팅을 포함하는,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이 적어도 2 개의 피봇 위치에서 로킹될 수 있거나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제1 섹션이 상기 푸시 요소의 적어도 하나의 섹션의 제2 섹션에 대해 피봇 가능한, 폴딩 가능한 유모차 섀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97010732A 2016-09-15 2017-09-14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KR10242509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202016105140.1U DE202016105140U1 (de) 2016-09-15 2016-09-15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DE202016105140.1 2016-09-15
DE202017100792.8 2017-02-14
DE202017100792.8U DE202017100792U1 (de) 2016-09-15 2017-02-14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PCT/EP2017/073091 WO2018050728A2 (de) 2016-09-15 2017-09-14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5364A KR20190045364A (ko) 2019-05-02
KR102425090B1 true KR102425090B1 (ko) 2022-07-26

Family

ID=577389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10732A KR102425090B1 (ko) 2016-09-15 2017-09-14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Country Status (9)

Country Link
US (1) US11260892B2 (ko)
EP (1) EP3512752A2 (ko)
JP (1) JP7160348B2 (ko)
KR (1) KR102425090B1 (ko)
CN (1) CN109906183B (ko)
AU (1) AU2017327604B2 (ko)
DE (2) DE202016105140U1 (ko)
RU (1) RU2745333C2 (ko)
WO (1) WO2018050728A2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202016105140U1 (de) 2016-09-15 2016-12-19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DE202017106245U1 (de) 2017-10-16 2017-11-09 Cybex Gmbh Kinderwagensitz und Kinderwagen-System
CN113771091A (zh) * 2020-05-21 2021-12-10 炬星科技(深圳)有限公司 一种扶手和包括该扶手的机器人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245A (ja) 2003-10-30 2005-05-26 Aprica Kassai Inc 折畳式乳母車
DE202005008369U1 (de) 2005-05-30 2005-10-20 Lan, Red, Hsichih Klappbarer Stroller mit einem Steuerkabel, das zum Klappen des Strollers betätigt werden kann
US20060273553A1 (en) * 2005-06-07 2006-12-07 Red Lan Foldable stroller with a control cable operable to allow for folding of the stroller

Family Cites Families (2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2330116A (en) * 1997-08-21 1999-04-14 Britax Teutonia Kinderwagen Pushchair
US6116624A (en) * 1998-04-01 2000-09-12 Hu; Stephen Direction-changing and positioning device for the handle of a baby stroller
US6422586B1 (en) 1999-08-31 2002-07-23 Cosco Management, Inc. Stroller latch apparatus
RU2163205C1 (ru) * 1999-10-25 2001-02-20 Государственное унитарное предприятие Вольский механический завод Детская складная коляска
CN2690255Y (zh) * 2003-11-09 2005-04-06 中山市隆成日用制品有限公司 婴儿车收折关节结构及婴儿车骨架结构
US7267359B1 (en) * 2006-06-08 2007-09-11 Link Treasure Limited Collapsible stroller frame
US8485546B2 (en) 2006-09-08 2013-07-16 Lerado (Zhong Shan) Industrial Co., Ltd. Foldable baby stroller frame
TWM325960U (en) 2006-09-29 2008-01-21 Golden Point Marketing Ltd Folding control mechanism for baby stroller
CN101204966B (zh) * 2006-12-19 2012-12-12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双人座婴儿车用车架
CN201082718Y (zh) * 2007-07-19 2008-07-0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婴儿车的单手收合致动机构
CN101548835B (zh) * 2008-04-03 2011-06-29 明门实业股份有限公司 高脚椅
US8714581B2 (en) * 2010-01-25 2014-05-06 Cosco Management, Inc. Compact foldable stroller
CN102069831A (zh) * 2010-12-17 2011-05-25 陈荣财 婴儿车收合机构
US20130113185A1 (en) 2011-11-07 2013-05-09 Dynamic Brands, Llc Baby stroller
NO335333B1 (no) * 2012-09-19 2014-11-17 Stokke As Barnevogn
US8947816B1 (en) * 2013-05-01 2015-02-03 Western Digital Technologies, Inc. Data storage assembly for archive cold storage
CN103507846B (zh) * 2013-09-05 2016-04-13 好孩子儿童用品有限公司 儿童推车
DE102014110215A1 (de) 2014-06-16 2015-12-17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DE202016105140U1 (de) 2016-09-15 2016-12-19 Cybex Gmbh Kinderwagengestell und Kinderwagen
CN113104094B (zh) * 2017-01-06 2023-09-22 明门瑞士股份有限公司 具有餐盘的婴儿车车架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32245A (ja) 2003-10-30 2005-05-26 Aprica Kassai Inc 折畳式乳母車
DE202005008369U1 (de) 2005-05-30 2005-10-20 Lan, Red, Hsichih Klappbarer Stroller mit einem Steuerkabel, das zum Klappen des Strollers betätigt werden kann
US20060273553A1 (en) * 2005-06-07 2006-12-07 Red Lan Foldable stroller with a control cable operable to allow for folding of the stroll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11260892B2 (en) 2022-03-01
WO2018050728A3 (de) 2018-05-24
CN109906183B (zh) 2022-04-15
WO2018050728A2 (de) 2018-03-22
RU2745333C2 (ru) 2021-03-24
AU2017327604A1 (en) 2019-04-11
EP3512752A2 (de) 2019-07-24
JP7160348B2 (ja) 2022-10-25
RU2019110879A3 (ko) 2020-11-09
US20190270474A1 (en) 2019-09-05
AU2017327604B2 (en) 2024-03-21
KR20190045364A (ko) 2019-05-02
DE202017100792U1 (de) 2017-03-24
RU2019110879A (ru) 2020-10-15
JP2019529221A (ja) 2019-10-17
DE202016105140U1 (de) 2016-12-19
CN109906183A (zh) 2019-06-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86940B2 (en) Child stroller apparatus
DK2957479T3 (en) Stroller and stroller
US8936267B2 (en) Collapsible child carrier apparatus
US7883104B2 (en) Mobile carriage, for example for a buggy
RU2643610C2 (ru) Рама с телескопической толкающей рукояткой для прогулочной или легкой детской коляски и коляска с такой рамой
CN101448694B (zh) 具有弹簧辅助折叠机构的婴儿车
US20180001920A1 (en) Infant Stroller Apparatus
KR101809357B1 (ko) 접이식 유아용 세발자전거 및 그 접이 방법
WO2018014843A1 (zh) 折叠车的折叠驱动机构
KR102425090B1 (ko) 유모차 섀시 및 유모차
US20080179848A1 (en) Adjustable carrying device for a people carrier, such as a perambulator or stroller
JP6209100B2 (ja) 折畳式乳母車
US11052932B2 (en) Foldable tricycle
US20060237949A1 (en) One hand release mechanism for stroller
CN108860282A (zh) 具有锁定机构的婴儿车
JP5963630B2 (ja) 手押し車のロック機構
CN220500795U (zh) 一种可联动车架解锁的儿童座椅及儿童车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