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21339B1 -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21339B1
KR102421339B1 KR1020210099636A KR20210099636A KR102421339B1 KR 102421339 B1 KR102421339 B1 KR 102421339B1 KR 1020210099636 A KR1020210099636 A KR 1020210099636A KR 20210099636 A KR20210099636 A KR 20210099636A KR 102421339 B1 KR102421339 B1 KR 10242133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nel
polypropylene
perforated
roller
perforation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96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남원우
이선구
유지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남원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남원우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건향알앤디
Priority to KR10202100996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2133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2133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2133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4Punching, slitting or perfor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5/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 B32B5/02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non- homogeneity or physical structure, i.e. comprising a fibrous, filamentary, particulate or foam layer;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having a layer differing constitutionally or physically in different parts characterised by structural features of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32B5/022Non-woven fabric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관한 것으로, 합성수지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중간판; 상기 상부판과 같이 합성수지로,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타공은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에 부착되어 도막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재층의 상부에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을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기술적 특징으로 하여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구성들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해 도막재가 유입(침투)되어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PERFORATED POLYPROPYLENE HOLLOW PANELS AND THEIR MANUFACTURING METHODS}
본 발명은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구성들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해 도막재가 유입(침투)되어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에서 쾌적성 및 내구성과 공간의 효율적 활용 관점에서 옥상의 방수 공사와 지하주차장의 방진바닥 공사, 농구장, 테니스장 등 다목적 구장의 바닥공사는 중요한 공정 중의 하나이며 현대에 들어 그 차지하는 비중이 확대되어 가고 있는 상황이다.
건축물의 옥상방수를 위한 종래의 방수공법으로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표면에 고무 아스팔트계, 염화비닐수지계 등의 합성 고분자계 시트를 접착제로 부착하는 시트방수나, 폴리우레탄고무계, 속경화 엘라스토머 방수 바닥재 등을 도포하는 도막방수 등이 있다.
시트방수는 일정형상으로 성형되어 있는 시트들을 현장에서 이어주는 작업으로 방수시공이 가능하므로 일정한 막 두께가 확보되고 경화/양생하는 기간도 불필요하여 시공기간이 소요되지 않는 이점이 있지만, 시트들의 이음매 부분에 누수가 발생되는 사례가 많다.
또한, 도막방수는 현장에서 액상의 방수 및 바닥 재료를 도포하기 때문에 시트방수와 같은 접합부 없이 일체형의 도막층을 형성할 수 있고, 콘크리트 상부와의 접착성이 우수하다는 장점이 있다. 그러나 직사광선을 직접 받는 환경에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의 수증기 또는 가스배출 등으로 도막층의 부풀음 현상이 빈번히 발생한다.
특히, 건축물의 지하주차장 방진바닥공사나 농구장, 테니장 등의 다목적 구장의 바닥공사는 콘크리트나 모르타르 표면에 요구되는 물성을 가진 에폭시계 바닥재, 폴리우레탄 바닥재, 속경화 엘라스토머 바닥재를 포함한 액상의 바닥재를 한종 이상을 선택하고 이를 현장에서 시공하여 일체화된 도막을 형성시킨다.
그러나, 상기와 같은 시공방법은 시공된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는 완전 건조되지 않고, 일부 잔류된 수증기 또는 가스등이 방출되게 된다. 그러나, 방출된 수증기 또는 가스는 도막층에 모이게 되고, 도막층과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간의 접착력을 약화시켜, 부풀음 현상이 일어난다. 부풀어 오른 도막층은 약한 외부자극에도 내구성이 감소되어, 콘크리트 또는 모르타르로부터 이탈될 가능성이 높아진다. 도막층이 이탈될 경우, 이를 보완하기 위하여, 추가적으로 공사가 진행되는데, 이로 인해 건축물의 방수 또는 바닥재 공사 비용이 상승하는 문제점이 있다.
관련 선행기술로는 등록특허공보 제10-2109184호(발명의 명칭: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등록일자: 2020년 05월 04일) 및 등록특허공보 제10-1810030호(발명의 명칭: PP 복합패널 방수층 보호재, 그 제조방법 및 그 시공방법, 등록일자: 2017년 12월 12일)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창안된 것으로,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구성들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해 도막재가 유입(침투)되어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실현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아래와 같은 기술적 특징을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은, 합성수지로, 넓은 면적을 갖는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중간판; 상기 상부판과 같이 합성수지로,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며,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타공은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판; 및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에 부착되어 도막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재층의 상부에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을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에 부착되되,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지 않은 상기 상부판에 부착되어 상기 도막재층의 상부에 상기 상부판이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부직포는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에 부착되되,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는 상기 하부판에 부착되어 상기 도막재층의 상부에 상기 하부판이 접착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있어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은 상기 도막재층의 상부에 복수로 구비되되, 상기 복수의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 간의 조인트에 방수테이프를 부착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작업대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안착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착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이송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상기 타공롤러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을 상기 타공롤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계의 상기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은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거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배출단계를 거치기 전에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여 배출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안착단계의 상기 작업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가압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이 상기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형성단계에서 상기 타공롤러의 타공 과정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움직임을 억제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양측 가장자리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가압하되, 상기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가압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에 있어서, 상기 형상단계의 상기 타공롤러는 상부 타공롤러부와 하부 타공롤러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타공롤러부는 롤러본체와 타공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타공롤러부는 롤러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타공체는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로 결합되되, 상기 롤러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타공시키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롤러본체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과제의 해결 수단을 통해 방수를 위해 설치되는 구성들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에 형성된 복수의 타공을 통해 도막재가 유입(침투)되어 탈락되지 않도록 하여 내구성이 향상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다른 효과는 본 발명의 특징을 통해 이해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실시 예를 통해 보다 분명하게 알 수 있고,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난 수단 및 조합에 의해 발휘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
도 2는 도 1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저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
도 3은 도 1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프라이머층, 도막재층,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적층된 상태의 노출형 도면,
도 4는 도 1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프라이머층, 도막재층,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적층된 상태의 비노출형 도면,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
도 6은 도 5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패널에 타공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
도 7은 도 5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패널에 타공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도면.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서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일 실시예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저면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프라이머층, 도막재층 및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적층된 상태의 노출형 도면이고, 도 4는 도 1에 따른 콘크리트 슬라브, 프라이머층, 도막재층 및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적층된 상태의 비노출형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판(110), 중간판(120), 하부판(130), 부직포(14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폴리에틸렌(PE)보다 비중이 작지만 비교적 싼 가격에 경제성이 있으며, 투명성이 좋으면서 잘 깨지지 않는 특성이 있습니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합성수지 중 가벼운 편이며, 무미, 무취, 무독으로 위생적이고, 탄소와 수소만으로 이루어져 있기 때문에 유해한 원료가 없고, 전기적 성질이 우수하며, 완전 연소 특성으로 연소 시에 다이옥신과 같은 유해물질이 발생하지 않는 친환경 소재이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가공자가 용이하게 가공 작업을 하기 위하여 1 x 1 m 의 사이즈로, 두께는 2 ~ 3 mm로, 복수의 타공은 간격이 8 ~ 10 cm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가공자가 용이하게 가공 작업을 할 수 있는 크기로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때 가공된 각 단위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너무 크면 가공자가 가공 작업(시공)하기 어렵고, 반대로 각 단위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이 너무 작으면 각 단위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 간의 조인트(이음새)가 많아져 시공 성능이 저하된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위와 같은 사이즈와 두께 그리고 타공의 간격으로 이루어지므로 인해 강도가 우수하여 방수층의 방수성능을 극대화시킬 수 있는 반면에 너무 얇으면 방수층의 방수성능을 충분하게 발휘할 수 없고, 반대로 너무 두꺼우면 시공 작업이 불편한 단점이 있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콘크리트 슬라브(C), 프라이머층(P), 도막재층(R)에 순차적으로 적층된다.
상부판(110)은 합성수지로, 넓은 면적을 갖는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상부판(110)은 합성수지로 구성되되, 하드(Hard) 타입으로 구성되는 것으로,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하부판(130)에 비해 상대적으로 강성이 우수하다.
중간판(120)은 상부판(1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복수의 공간(121)이 형성되도록 구비된다.
중간판(120)은 상부판(110)의 강성 확보와 함께 완충 및 단열 향상은 물론 중량 감소를 통한 시공 편의성을 확보를 위해 내부에 복수의 공간(121)이 구비된다.
복수의 공간(121)은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하부판(130)의 복수의 타공(H)과 연통되도록 형성된다.
중간판(120)은 상부판(110)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판과 같이 형성되어 상부판(110)의 폭방향으로 일체형으로 구비된다.
중간판(120)의 두께는 상부판(1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꺼운게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완충 및 단열 향상을 위함이다.
하부판(130)은 상부판(110)과 같이 합성수지로, 넓은 면적을 갖되, 상부판(110)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며, 상부판(110)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며, 복수의 타공(H)이 형성되되, 복수의 타공(H)은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하부판(130)은 상부판(110)과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되, 상부판(110)에 비해 상대적으로 소프트(Soft)한 성질로 이루어진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의 하부에 배치되는 하부판(130)의 타공(H)은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하부에서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된다.
폴리프로필렌 패널(10)에 형성되는 복수의 타공(H)은 시공되는 현장에 따라 직경이 서로 동일하거나 서로 상이하게 형성된다.
하부판(130)의 복수의 타공(H)과 중간판(120)의 복수의 공간(121)은 서로 연통되도록 형성되는 것으로, 하부판(130)의 복수의 타공(H) 간격과 중간판(120)의 복수의 공간(121) 간격은 서로 상이하다.
이를 테면, 하부판(130)의 복수의 타공(H) 간격은 8 ~ 10 cm 이고, 중간판(120)의 복수의 공간(121) 간격은 2 ~ 4 cm 인 것이다.
하부판(130)의 타공(H)은 원형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거나 사각형 형상으로 선택적으로 형성될 수 있다.
부직포(140)는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에 부착되어 도막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재층(R)의 상부에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을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킨다.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 140)는 피복재료의 하나로,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이다.
부직포(140)의 가공법은 침지식(浸漬式)과 건식(乾式)이 있는데, 침지식은 초지식(抄紙式)이라고도 하며, 섬유를 합성수지 접착제 통에 넣어 적셨다가 건조 ·열처리한 것으로, 종이와 비슷하며, 건식은 섬유를 얇은 솜모양으로 만든 것에 합성수지를 내뿜고 열을 가하여 건조시킨 것이다.
부직포(140)는 섬유가 얽혀 있어서 종횡의 방향성이 없으며, 자른 가장자리가 풀리는 일도 없기 때문에 건축분야, 공업분야 등 여러 가지 용도에 쓰이고 있는 실정이다.
부직포(140)는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을 도막재층(R)의 상부에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A)은 부직포(140)를 통해 도막재층(R)의 상부에 접착되되, 복수의 타공(H)이 형성되지 않은 상부판(110)이 부직포(140)를 통해 도막재층(R)의 상부에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직포(140)는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A)의 상부판(110)과 도막재층(R)의 사이에 개재되어 부직포(140)의 접착을 통해 상부판(110)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A)과 도막재층(R)을 서로 탈락되지 않도록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이는 노출형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것이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B)은 부직포(140)를 통해 도막재층(R)의 상부에 접착되되, 복수의 타공(H)이 형성되는 하부판(130)이 부직포(140)를 통해 도막재층(R)의 상부에 접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직포(140)는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B)의 하부판(130)과 도막재층(R)의 사이에 개재되어 부직포(140)의 접착을 통해 하부판(130)을 포함하는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B)과 도막재층(R)을 서로 탈락되지 않도록 일체화시키는 것으로, 이는 비노출형 방수공법에 사용되는 것이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도막재층(R)의 상부에 복수로 구비되되, 복수의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 간의 조인트(이음새)에 방수테이프를 부착한다.
방수테이프는 폴리에스터(Polyester)의 피, 천연 고무 베이스의 접착제, 배면제와 LDPE가 코팅된 원단으로 구성된다.
폴리에스터(Polyester)의 피는 가벼우면서 인장강도가 높으며 특히, 방수능력이 우수하다.
천연 고무 베이스의 접착제는 환경파괴호르몬 물질이 방출이 전혀 없는 무독성 친환경적이다.
LDPE(Low Density Polyethylene, 저밀도 폴리에틸렌)은 인체에 유해한 화학성분 및 환경호르몬이 배출되지 않는 무독성 친환경 소재로, 잘 늘어나며 부드러운 촉감을 지님과 동시에 가공성, 유연성, 투명성이 우수하다.
방수테이프는 220㎛+-10㎛의 두께, 1.175㎏f/25mm Typical의 점착력, 21 Typicaldml 볼텍, 8.2㎏f/25mmdml 인장강도 및 14.10%의 연실율을 갖는다.
방수테이프는 온도, 습도, 압력 등에 의해 품질에 영향을 받기 쉽기 때문에 직사광선, 고온 및 고습의 장소를 피하고, 변형 방지를 위해 옆으로 하중을 주는 것도 피한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의 일 실시예의 순서도이고, 도 6은 도 5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패널에 타공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정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며, 도 7은 도 5에 따른 폴리프로필렌 패널에 타공을 형성시키는 상태를 평면에서 나타내는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S100)은, 도 5 내지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작업대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S110); 상기 안착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S120); 상기 부착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S130); 상기 이송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상기 타공롤러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S140); 및 상기 형성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을 상기 타공롤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S150); 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안착단계(S110)는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을 작업대(20)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이다.
안착단계(S110)의 작업대(20) 상에 안착되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은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거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아래에서 설명하게 되는 배출단계(S150)를 거치기 전에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여 배출한다.
작업대(20) 상에 안착되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은 가공자가 용이하게 가공 작업을 수행할 수 있도록 2 ~ 3 mm 두께로, 1m x 1m 의 사이즈로 재단하여 이루어지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가공자가 가공 작업을 수행하는데 불편함이 없다면 작업대(20) 상에 안착되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은 2 ~ 3 mm 두께로, 10m x 10m 의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안착단계(S110)의 작업대(20)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을 가압하되,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이 타공롤러(30)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형성단계(S140)에서 타공롤러(30)의 타공 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움직임을 억제시킨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타공롤러(30)의 타공 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움직임을 억제시키기 위해 작업대(20)는 양측 가장자리에 돌기(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이는 타공 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일면이 타공롤러(30)의 타공체(31b)에 걸려서 끌려 올라가는 것을 차단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은 타공 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움직임을 억제시키기 위해 작업대(20)의 양측 가장자리에 돌기(21)가 형성되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타공 과정에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끌려 올라가는 즉,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것이라면 다른 형상(구조) 이를 테면, 인두와 같이 타공체(31b)가 가열되는 등의 변형이 가능하다.
부착단계(S120)는 안착단계(S110)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일면에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140)를 부착하는 단계이다.
부직포(不織布, non-woven fabric, 140)는 피복재료의 하나로, 섬유를 직포공정을 거치지 않고, 평행 또는 부정방향(不定方向)으로 배열하고 합성수지 접착제로 결합하여 펠트 모양으로 만든 것으로 건축분야, 공업분야 등 여러 가지 용도에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부착단계(S120)는 안착단계(S110)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일면 즉,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에 부직포(140)를 부착하여 도막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재층(R)의 상부에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을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킨다.
부직포(140)는 상부판(110)이나 하부판(130)을 도막재층(R)의 상부에 탈락되지 않도록 하는 것이다.
이송단계(S130)는 부착단계(S120)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을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일면에 복수의 타공(H)을 형성시키는 타공롤러(30)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이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이송단계(S130)는 작업대(20) 상에 구비되는 복수의 이송롤러의 회전을 통해 일면에 복수의 타공(H)을 형성시키기 위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을 일방향 즉, 타공롤러(30)방향으로 이송한다.
형성단계(S140)는 이송단계(S130)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일면에 타공롤러(30)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타공(H)을 형성시키는 단계이다.
형성단계(S140)의 타공롤러(30)는 상부 타공롤러부(31)와 하부 타공롤러부(32)로 구성되되, 상부 타공롤러부(31)는 롤러본체(31a)와 타공체(31b)로 구성되고, 하부 타공롤러부(32)는 롤러본체로 구성되며, 타공체(31b)는 롤러본체(31a)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로 결합되되, 롤러본체(31a)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타공시키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두께에 따라 롤러본체(31a)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된다.
타공체(31b)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두께에 따라 롤러본체(31a)로부터 분리 및 결합됨은 물론 폴리프로필렌 패널(10)에 타공되는 형상에 따라 롤러본체(31a)로부터 분리 및 결합된다.
형성단계(S140)에서 상부 타공롤러부(31)의 타공체(31b)는 타공시키는 폴리프로필렌 패널(10)의 두께에 따라 즉, 하부판(130)만 타공시키되, 상부판(110)의 타공을 차단하는 것이 중요하다.
중간판(120)의 두께는 상부판(110)의 두께와 동일하거나 두꺼운게 바람직한 것으로, 이는 타공시 타공체(31b)의 가압에도 하부판(130)의 눌림을 최소화시키기 위함이다.
한편, 중간판(120)의 두께가 상부판(110)의 두께보다 얇으면 타공시 타공체(31b)의 가압에 눌려 하부판(130)은 물론 상부판(110)도 타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타공을 회전롤러(타공롤러(30))의 회전을 통해 형성시키는 것으로 예시하고 있으나 경우에 따라서 타공체가 구비되는 별도의 틀을 폴리프로필렌 패널(10)에 가압을 통해 타공을 형성시킬 수 있다.
배출단계(S150)는 형성단계(S140)를 거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을 타공롤러(30)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이다.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배출단계(S150)에서 배출되기 전에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여 배출한다.
구체적으로 살펴보면, 배출단계(S150)에 배출되는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가공자가 용이하게 가공(시공) 작업을 할 수 있는 1m x 1m 의 사이즈로 이루어진다.
배출단계(S150)에 배출되기 전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안착단계(S110)에서 작업대(20) 상에 안착되기 전부터 1m x 1m 의 사이즈로 이루어지거나 10m x 10m 의 사이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배출되기 전 10m x 10m 의 사이즈의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은 가공자가 용이하게 가공(시공) 작업을 할 수 있는 1m x 1m 의 사이즈로 재단과정을 거친다.
배출단계(S150)에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을 타공롤러(30)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과정에서 예기치 않은 오작동이 발생되어 완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100)이 타공롤러(30)방향으로 이송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작업대(20)에 역방향으로 이송을 방지하는 안전수단을 구비한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을 바람직한 실시 예에 의거하여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고, 청구항에 기재된 범위 내에서 변형이나 변경 실시가 가능함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그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한다 할 것이다.
100 :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
110 : 상부판
120 : 중간판
121 : 공간
130 : 하부판
140 : 부직포
10 : 폴리프로필렌 패널
100 :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
20 : 작업대
21 : 돌기
30 : 타공롤러
31 : 상부 타공롤러
31a : 롤러본체
31b : 타공체
32 : 하부 타공롤러
C : 콘크리트 슬라브
P : 프라이머층
R : 도막재층
H : 타공
S100 :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S110 : 안착단계
S120 : 부착단계
S130 : 이송단계
S140 : 형성단계
S150 : 배출단계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합성수지로 이루어지는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작업대 상에 안착시키는 단계;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접착시키는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
    상기 부직포를 부착하는 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
    상기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하는 단계를 거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일면에 상기 타공롤러의 회전을 통해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 및
    상기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를 거친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은 합성수지로 이루어진 상부판; 상기 상부판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되, 복수의 공간이 형성되도록 구비되는 중간판; 상기 상부판과 같이 합성수지로, 상기 상부판과 동일한 면적을 갖으며, 상기 중간판의 하부에 일체형으로 구비되고, 복수의 타공이 형성되되, 상기 복수의 타공은 하부와 상부의 직경이 서로 동일하게 형성되거나 상기 하부에서 상기 상부로 갈수록 좁아지게 형성되는 하부판; 및 도막재를 도포하여 형성되는 도막재층과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의 사이에 개재되어 기계조작이나 열접착을 사용하여 상기 상부판이나 상기 하부판을 상기 도막재층에 접착시키는 부직포; 로 이루어지며, 상기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이 상기 타공롤러의 방향으로 이송을 방지하는 안전수단이 구비되어 상기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을 상기 타공롤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되,
    상기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의 상기 타공롤러는 상부 타공롤러부와 하부 타공롤러부로 구성되되, 상기 상부 타공롤러부는 롤러본체와 타공체로 구성되고, 상기 하부 타공롤러부는 롤러본체로 구성되며, 상기 타공체는 상기 롤러본체의 외주면 둘레에 복수로 결합되되, 상기 롤러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게 결합되거나 타공시키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두께에 따라 상기 롤러본체로부터 높이 조절이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의 상기 작업대 상에 안착되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은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거나 길이방향으로 길게 형성되어 상기 타공롤러의 반대방향으로 배출하는 단계를 거치기 전에 선택된 길이로 재단하여 배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7.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안착시키는 단계의 상기 작업대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가압하되,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이 상기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상기 복수의 타공을 형성시키는 단계에서 상기 타공롤러의 타공 과정에서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의 움직임을 억제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작업대는 양측 가장자리에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돌기는 상기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가압하되, 상기 타공롤러방향으로 이송이 가능하도록 가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9. 삭제
KR1020210099636A 2021-07-29 2021-07-29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KR10242133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36A KR102421339B1 (ko) 2021-07-29 2021-07-29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9636A KR102421339B1 (ko) 2021-07-29 2021-07-29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21339B1 true KR102421339B1 (ko) 2022-07-15

Family

ID=824010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9636A KR102421339B1 (ko) 2021-07-29 2021-07-29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21339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354B1 (ko) * 2004-03-25 2006-09-19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수층 보호재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1282154B1 (ko) * 2008-08-12 2013-07-04 조리 가부시키가이샤 차열 투습 방수 시트
KR101286746B1 (ko) * 2013-03-18 2013-07-15 김재용 건축물 단열 방수구조
JP2020070690A (ja) * 2018-11-02 2020-05-07 ロータリー株式会社 防水工法用通気緩衝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防水工法用通気緩衝シートを用いた防水工法
KR102108449B1 (ko) * 2019-10-29 2020-05-08 권영화 방수재,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복합 방수 공법 및 그 구조체
KR102109184B1 (ko) * 2019-01-03 2020-05-28 최시행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24354B1 (ko) * 2004-03-25 2006-09-19 한본인더스트리 주식회사 방수층 보호재
KR101282154B1 (ko) * 2008-08-12 2013-07-04 조리 가부시키가이샤 차열 투습 방수 시트
KR101116811B1 (ko) * 2011-06-20 2012-02-28 (주)삼성건업 방수 시트, 이를 이용한 방수 공법 및 그 방수 구조
KR101286746B1 (ko) * 2013-03-18 2013-07-15 김재용 건축물 단열 방수구조
JP2020070690A (ja) * 2018-11-02 2020-05-07 ロータリー株式会社 防水工法用通気緩衝シート、その製造方法および防水工法用通気緩衝シートを用いた防水工法
KR102109184B1 (ko) * 2019-01-03 2020-05-28 최시행 폴리우레아 및 폴리프로필렌 패널을 이용한 복합방수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102108449B1 (ko) * 2019-10-29 2020-05-08 권영화 방수재, 이를 이용한 방수시트, 복합 방수 공법 및 그 구조체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A2885144C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WO2005097879A3 (en) Fiber reinforced thermoplastic sheets with surface coverings
JP2008509308A (ja) 取り外し及び再配置が可能な床仕上げ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524221B1 (ko) 통기성 방수시트를 이용한 통기성 방수구조
US10857759B2 (en) Peel and stick waterproofing material
JP2004027718A (ja) 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用シート及びコンクリート構造物の補修・補強・劣化防止方法
JP2004027718A5 (ko)
JP5503894B2 (ja) 通気緩衝シート
JP2006328879A (ja) 建材用透湿防水シート
JP2006057444A (ja) コンクリート防水処理用透湿性複合シート
KR102421339B1 (ko) 타공이 형성된 폴리프로필렌 중공형 패널의 제조방법
US20110277910A1 (en) Methods for Making Elastic Laminate
JP2778010B2 (ja) 防水シート用接合テー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防水施工法
WO1996025569A1 (fr) Feuille composite permeable a la vapeur d'eau permettant de proteger le beton de l'eau
JP3779685B2 (ja) 防水施工用シート状物および防水施工法
KR20150105044A (ko) 방수시트 및 이를 이용한 방수공법
KR100530801B1 (ko) 통기성 방수시트
KR102011323B1 (ko) 온열매트용 부직포 합지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JP2022056515A (ja) 防水シート材
JP3701387B2 (ja) 防水下地用目地テープおよびそれを使用した防水施工法
KR102384339B1 (ko) 기능성 소재를 포함하는 온열매트용 부직포 합지 장판 및 이의 제조방법
US20050260904A1 (en) Laminate having high moisture vapor transmission rate
JP2015194048A (ja) 建築下地用防水シート
JP4106817B2 (ja) 防水シート、この防水シートを用いる壁への防水層形成方法および防水層を形成した壁
JP7469836B1 (ja) 透湿防水建材シー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