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9386B1 -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 Google Patents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9386B1
KR102419386B1 KR1020197004965A KR20197004965A KR102419386B1 KR 102419386 B1 KR102419386 B1 KR 102419386B1 KR 1020197004965 A KR1020197004965 A KR 1020197004965A KR 20197004965 A KR20197004965 A KR 20197004965A KR 102419386 B1 KR102419386 B1 KR 10241938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rimer composition
mass
component
primer
mo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496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803A (ko
Inventor
이사오 이와사키
타카후미 사카모토
박자룡
김성우
Original Assignee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한국신에츠실리콘(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Family has litigation
First worldwide family litigation filed litigation Critical https://patents.darts-ip.com/?family=61562726&utm_source=***_patent&utm_medium=platform_link&utm_campaign=public_patent_search&patent=KR102419386(B1) "Global patent litigation dataset” by Darts-ip is licensed under a Creative Commons Attribution 4.0 International License.
Application filed by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한국신에츠실리콘(주) filed Critical 신에쓰 가가꾸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68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8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938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9386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183/00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only; Coating compositions based o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9D183/04Polysilox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1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 B32B15/04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15/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metal comprising metal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natural rubber or synthetic rub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5/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 B32B25/2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natural or synthetic rubber comprising silicone rubber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20Diluents or solve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7/00Features of coating compositions, not provided for in group C09D5/00; Processes for incorporating ingredients in coating compositions
    • C09D7/40Additives
    • C09D7/60Additives non-macromolecular
    • C09D7/63Additives non-macromolecular organic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06Coating on the layer surface on metal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6Polymeric 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255/00Coating on the layer surface
    • B32B2255/28Multiple coating on one surfa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419/00Buildings or parts thereof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77/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linkage containing silicon with or without sulfur, nitrogen, oxygen or carbon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77/04Polysiloxanes
    • C08G77/14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 C08G77/16Polysiloxanes containing silicon bound to oxygen-containing groups to hydroxyl group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5/00Use of organic ingredients
    • C08K5/0091Complexes with metal-heteroatom-bond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2/00Walls, e.g. partitions, for buildings; Wall construction with regard to insulation; Connections specially adapted to walls
    • E04B2/88Curtain wall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aints Or Removers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각종 피착체에 대한 양호한 접착이 가능하고, 내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긴 작업 가능 시간을 확보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을 제공한다. (A) R3SiO1 /2 단위(R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 및 SiO4 / 2 단위로 이루어지고, SiO4 / 2 단위에 대한 R3SiO1 / 2 단위의 몰비가 0.6∼1.2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 100질량부와, (B)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을 75몰%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 300∼1000질량부와, Ti(OR1)3(R2CH2COCH2COOCH2R2)1… (1)(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 (C) 용제 1000∼8000질량부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

Description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본 발명은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과 각종 피착체와의 접착에 유용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에 관한 것으로, 특히 아크릴 전착 도장 등의 난접착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온시의 접착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도포 작업에 충분한 작업 가능 시간을 가지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커튼 월 유닛에 관한 것이다.
건축용 실링재나 일반 공업용 실링재,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과 각종 피착체와의 접착에서는, 각종 실레인이나 실레인 커플링제, 타이타늄산 에스터류 및 용제를 주성분으로 한 「실레인계 프라이머」나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수지, 타이타늄산 에스터류, 실레인 커플링제류 및 용제를 주성분으로 한 「실리콘 레진계 프라이머」,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 용제를 주성분으로 한 「유레테인계 프라이머」, 실레인 변성 아크릴 수지, 용제를 주성분으로 한 「아크릴계 프라이머」 등이 사용되어 왔다(특허문헌 1∼6 참조).
실레인계 프라이머의 실레인 커플링제로서는 아미노기, 에폭시기, 머캡토기 또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기를 갖는 것이 일반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또한, 유레테인계 프라이머의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로서는 아이소사이아네이트 화합물과 폴리에틸렌글라이콜, 폴리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폴리올이나 수산기 함유 아크릴 올리고머의 부가 반응에서 얻어지는 것이 알려져 있다.
상기 실레인계 프라이머는 금속이나 유리 등의 무기계 피착체에 유용하며, 내열성, 내후성 및 내구성도 양호하다. 그러나, 실레인계 프라이머는 각종 수지 등의 유기계 피착체에 대하여 충분한 접착성이 얻어지지 않는 경우가 종종 보이며, 특히 최근에 있어서, 알루미늄 새시에 대한 사용빈도가 높은, 아크릴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를 알루미늄에 전착 도장한 아크릴 전착 도장 알루미늄이나 불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를 알루미늄에 도장한 불소 수지 도장 알루미늄에 대한 접착성이 불충분했다.
이것에 대하여, 상기 유레테인계 프라이머는 금속계 및 유기계 피착체를 포함하는 광범위한 피착체에 대하여, 어느 정도 만족할 수 있는 접착성이 얻어지지만, 유레테인 수지의 특성상, 내열성이나 내후성, 내수성 등의 내구성이 부족하기 때문에, 일반적으로 장기간의 내구성이 요구되는 실리콘 경화성 조성물의 용도에는 부적합했다. 또한, 실레인계 및 폴리아이소사이아네이트계의 블렌드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에도, 접착성이나 내구성을 양립시키는 것은 곤란했다.
아크릴계 프라이머는 알콕시실릴기를 갖는 아크릴 수지와 용제를 주성분으로 한 것이다. 이러한 아크릴계 프라이머로서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이 프라이머 없이는 접착 곤란한 아크릴 수지나 폴리스타이렌 수지 등의 각종 수지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보이는 것이 많이 시판되고 있다. 이것들 중에는, 아크릴 전착 도장 알루미늄이나 불소 수지 도장 알루미늄에도 접착하여, 높은 내열성, 내후성 및 내수성을 갖는 것도 있다. 그러나, 아크릴계 프라이머의 내열성, 내후성은 일반적인 유기 수지 중에서는 높지만, 실리콘계에는 미치지 못하므로, 아크릴계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의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접착 내구성은 아크릴계 프라이머에 의해 형성된 레진층의 내구성에 영향을 받아, 실레인계, 실리콘 레진계의 프라이머와 비교하면 충분하지 않았다.
이에 반해, 실리콘 레진계 프라이머는 유효 성분의 하나로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수지를 포함하고, 타이타늄산 에스터나 아미노실레인 커플링제, 실레인 화합물 등을 접착 성분으로 한 것으로, 유리, 금속, 각종 수지 등의 유기계 피착체에 더하여, 아크릴 전착 도장 알루미늄이나 불소 수지 도장에 대한 접착성을 양립하는 것이 가능한 것이 알려져 있다.
이상으로, 실리콘 레진계 프라이머는 유리, 금속, 수지나 수지 도장면을 중심으로 한 여러 피착체를 용도로 한 프라이머로서 적합하게 사용되어 왔다.
일본 특공 소53-005043호 공보 일본 특허 제2522856호 공보 일본 특개 평4-224879호 공보 일본 특개 평8-295852호 공보 일본 특허 제2914854호 공보 일본 특허 제2991934호 공보
그러나, 실리콘 레진계 프라이머의 건조 후의 조막 성분인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수지에는 각종 피착체에 대한 접착성은 부족하여, 프라이머막에 피착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발현시키기 위해서는 활성이 높은 타이타늄산 에스터류 등의 금속 알콕사이드를 사용할 필요가 있었다. 활성이 높은 타이타늄산 에스터류는 접착 부여 능력이 높은 반면, 높은 가수분해성을 갖기 때문에, 습기가 있는 환경하에서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했을 때, 도포 작업 중에 기상(氣相) 중의 습기와 반응하여, 단시간에 침전물이 생겨, 탁해지게 하거나, 고화하여 도포 불능으로 되거나 하는 외관이나 작업성의 문제가 생기는 경우가 종종 있다. 또한,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기 전에도 프라이머의 접착 성능이 저하되어 버리는 일도 있어, 중대한 문제를 일으키는 경우가 있었다. 프라이머의 제조자는, 도포 작업 전에 밀폐된 용기를 개봉하여 다른 개방 용기에 나눌 때는, 나눈 후 10분 이내에 프라이머를 도포할 것을 사용자에게 추천하여, 상기 문제의 발생을 예방하고 있지만, 현실의 작업에서는 10분 내지 30분 정도의 작업 시간을 요하는 경우가 많고, 난접착의 불소 수지 도장, 아크릴 전착 도장 등에 양호하게 접착하여, 내열성, 내자외선성 등의 내구성, 내후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시공시에 장시간 습기 환경에 노출되어도 외관에 변화를 일으키지 않고, 각종 피착체에 양호한 접착성을 발현할 수 있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개발이 요망되어 왔다.
그래서, 본 발명은 각종 피착체에 대한 양호한 접착성을 발현 가능하며, 각종 내구성이 우수함과 아울러, 긴 작업 가능 시간을 확보한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커튼 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자들은 상기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조성물에 대해 여러 검토를 거듭한 결과, 이 프라이머 조성물이 특정 구조를 갖는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수지와 특정 구조를 갖는 타이타늄 화합물, 용제를 소정의 비율로 혼합함으로써, 상기 과제를 해결할 수 있는 것을 발견하고, 본 발명에 이르렀다.
즉, 본 발명은 하기의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층을 통하여 실리콘 고무층이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접착한 커튼 월 유닛을 제공하는 것이다.
[1]
유기 수지, 금속 및 수지 도장된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재와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A) R3SiO1 /2 단위(식 중, 각 R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및 SiO4 / 2 단위를 포함하고, SiO4 / 2 단위에 대한 R3SiO1/2 단위의 몰비가 0.6∼1.2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 100질량부와,
(B)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 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을 75몰%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 300∼1000질량부와,
Ti(OR1)3(R2CH2COCHCOOCH2R2)1 … (1)
(식 중,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C) 용제 1000∼8000질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
상기 (B) 성분은 (B1)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프라이머 조성물.
[3]
상기 (B) 성분은 (B1)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1] 기재의 프라이머 조성물.
[4]
아미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환 함유 실레인을 함유하지 않는 것인 [1]∼[3]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라이머 조성물
[5]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밀봉 용기로부터 개방 용기로 옮긴 후, 20분 이상의 도포 가능 시간을 갖는 것인 [1]∼[4]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라이머 조성물.
[6]
2성분형의 탈알코올형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고무층을 표면에 갖는 금속제 및/또는 수지 도장된 금속제의 틀에 의해 유리를 고정하는 커튼 월 유닛에 있어서, 이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도포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되는 것인 [1]∼[5]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프라이머 조성물.
[7]
[6] 기재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층을 통하여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접착한 것인 커튼 월 유닛.
본 발명에 의해, 아크릴 전착 도장 알루미늄이나 불소 수지 도장 알루미늄 등의 각종 피착체에 대하여 양호한 접착성을 나타내고, 접착 내구성 및 사용시에 긴 작업 가능 시간이 얻어지는 프라이머 조성물 및 이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커튼 월 유닛을 제공할 수 있다.
(발명을 실시하기 위한 형태)
이하,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또한, 이하의 실시형태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기의 각 구성요소를 적당히 조합하여 구성한 것도 본 발명에 포함된다.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유기 수지, 금속 및 수지 도장된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재와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A) R3SiO1 /2 단위(식 중, 각 R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및 SiO4 / 2 단위를 포함하고, SiO4 / 2 단위에 대한 R3SiO1/2 단위의 몰비가 0.6∼1.2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 100질량부와,
(B)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 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을 75몰%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 300∼1000질량부와,
Ti(OR1)3(R2CH2COCHCOOCH2R2)1 … (1)
(식 중,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C) 용제 1000∼8000질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다.
이하에,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 함유되는 각 성분에 대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A)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
(A) 성분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건조 후(즉 (C) 성분의 용제를 건조 제거한 후)의 주성분이 되는 성분으로, 기재 위에 도포된 프라이머 조성물의 조막성을 결정짓는 성분이 된다.
(A) 성분은 R3SiO1 /2 단위(식 중, 각 R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및 SiO4 / 2 단위로 이루어지고, SiO4 / 2 단위에 대한 R3SiO1 / 2 단위의 몰비가 0.6∼1.2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이며, 이것은 수지상의 오가노실록세인 코폴리머(소위 실리콘 레진)이다.
여기에서, 각각의 R은 독립적으로 메틸, 에틸, 프로필, 아이소프로필, 헥실 등의 알킬기, 사이클로헥실 등의 사이클로알킬기, 바이닐, 알릴, 프로펜일 등의 알켄일기, 및 페닐 등의 아릴기와 같은 탄소수 1∼6의 1가 탄화수소기, 또는 이들 기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를 할로젠 원자 등으로 치환한 클로로메틸기, 3,3,3-트라이플루오로프로필기 등의 1가의 치환 탄화수소기를 나타내는 것이다. 이러한 코폴리머는 가수분해성의 트라이오가노실레인, 및 R기를 포함하지 않는 가수분해성 실레인, 실록세인을 공가수분해, 축합시킴으로써 얻어지는, 당업계에 있어서는 공지의 재료이다.
SiO4 / 2 단위에 대한 R3SiO1 / 2 단위의 몰비는 0.6∼1.2이며, 바람직하게는 0.7∼1.0이다. 상기 몰비가 0.6 미만에서는 프라이머 건조 후의 프라이머막이 지나치게 딱딱해지고, 1.2를 초과하면 부서지기 쉬워지기 때문에 접착성, 접착 내구성이 뒤떨어진다.
또한, 상기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의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RSiO3/2 단위, R2SiO2 / 2 단위를 합계로 R3SiO1 / 2 단위와 SiO4 / 2 단위의 합계에 대하여 0∼10몰%, 특히 0∼5몰%의 비율로 함유해도 된다.
또한, 상기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의 하이드록시실릴기(실란올기)의 함유량은 0.04∼0.07몰/100g이다. 하이드록시실릴기의 함유량이 0.04몰/100g 미만에서는 접착성이 뒤떨어지고, 0.07몰/100g을 초과하면 내구성이 뒤떨어진다.
상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는 프라이머 조성물 전량당 0.5∼10질량%, 특히 1∼5질량%의 범위로 포함되어 있다.
<(B)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
(B) 성분은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기재에 대한 접착성을 향상시킴과 아울러,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실리콘 고무층)과 프라이머 조성물의 접착성이 발현되는 시간을 단축하는 접착 촉진제로서의 역할을 담당한다.
(B) 성분은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 등의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75몰% 이상, 바람직하게는 80몰%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이다.
Ti(OR1)3(R2CH2COCHCOOCH2R2)1 … (1)
(식 중,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B) 성분은, (B1) 테트라알콕시타이타늄 등의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 경우, (B1) 성분의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과 (B2) 성분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와의 반응은 실온(25℃)에서 정량적으로 용이하게 진행하여, (B1) 성분의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 중의 4개의 오가노옥시기 중 1개가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와 교환하여 식 (1)로 표시되는 킬레이트 착체를 생성하는 것이며, 또한 (B1) 성분의 전체가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착체로 변환해도, 또한 과잉의 (B2) 성분인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가 반응계 내에 잔존해 있는 경우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착체 전체 중 과잉의 (B2) 성분과 등몰분 만큼이,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착체 중의 3개의 오가노옥시기 중 1개가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와 더 교환하여, 하기 식 (1)'에 나타내는 (B3) 성분인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오가노옥시기를 가짐과 아울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착체를 정량적으로 생성하는 것이다.
Ti(OR1)2(R2CH2COCHCOOCH2R2)2 … (1)'
(식 중, R1 및 R2의 정의는 동일하다.)
따라서, (B1) 성분 중의 타이타늄 원자와 (B2) 성분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혼합 몰비가 1:1(등몰)인 경우에는, 반응생성물인 (B) 성분은 식 (1)로 표시되는 분자 중에 3개의 오가노옥시기와 1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배위자를 갖는 거의 단일에 가까운 성분(거의 100몰% 정도)으로 이루어지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되지만, (B1) 성분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한 (B2) 성분의 혼합 몰비가 0.8인 경우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 원료 (B1) 성분인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이 약 4:1(약 0.8:0.2) 정도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되고, 또한 상기 혼합 몰비가 1.2인 경우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 상기에 나타내는 (B3) 성분인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착체가 약 4:1(약 0.8:0.2) 정도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이 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 몰비의 범위 내에서 (B1) 성분과 (B2) 성분을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 중에는, 어느 경우이어도,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80몰% 정도 이상(적어도, 75몰% 이상)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다.
또한, (B) 성분은 (B1) 테트라알콕시타이타늄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이어도 된다.
이 경우, (B1) 성분의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과 (B3) 성분의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의 반응은 실온(25℃)에서 정량적으로 용이하게 진행하여, (B1) 성분인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 중의 4개의 오가노옥시기 중 1개가 (B3) 성분 중에 존재하는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 중 1개와 교환하는 것이므로, (B1) 성분 중의 타이타늄 원자와 (B3) 성분의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알콕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의 혼합 몰비가 1:1(등몰)인 경우에는, (B1) 성분과 (B3) 성분과의 교환 반응이 과부족 없이 진행하는 결과, 반응생성물인 (B) 성분은 (B1)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 (B3)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의 대략 몰비 1:1 정도의 등몰 혼합물(혼합물 전체로서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대략 100몰% 정도)이 되지만, (B1) 성분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한 (B3) 성분의 혼합 몰비가 0.8인 경우에는, 원료 (B1) 성분의 테트라오가노옥시실레인과 (B1)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 (B3)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1:4:4(약 0.2:0.8:0.8) 정도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즉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89몰% 정도의 혼합물)이 되고, 또한, 상기 혼합 몰비가 1.2인 경우에는, 원료 (B3) 성분과 (B1)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과 (B3) 성분 유래의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1:5:5(약 0.2:1.0:1.0) 정도의 몰비로 혼합된 혼합물(즉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91몰% 정도의 혼합물)이 된다. 따라서, 상기 혼합 몰비의 범위 내에서 (B1) 성분과 (B3) 성분을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 중에는, 어느 경우이어도,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이 약 89몰% 정도 이상(적어도, 75몰% 이상)의 비율로 혼합되어 있는 것이다.
(B1) 성분의 테트라알콕시타이타늄 등의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이하, 단지, 테트라알콕시타이타늄이라고 칭하는 경우가 있다.) 및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은 하기 일반식 (2)
Ti(OR1)4 … (2)
(식 중,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로 표시되는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 및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이다. 일반식 (2)에 있어서, 1가 탄화수소기 R1로서는, 예를 들면, 탄소 원자수 8 이하의 저급 알킬기가 적합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테트라알콕시타이타늄은 테트라에톡시타이타늄, 테트라프로폭시타이타늄, 테트라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 테트라뷰톡시타이타늄, 테트라(tert-뷰톡시)타이타늄, 테트라(2-에틸헥스옥시)타이타늄이다. 이들 알콕시타이타늄은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고, 또한 공가수분해물의 형태로도 사용할 수 있다. 알콕시기가 상이한 2종의 알콕시타이타늄을 혼합한 경우에는, 양자의 알콕시기의 일부가 시간 경과에 따라 교환 반응을 일으키는 것이 알려져 있어, 알콕시타이타늄의 알콕시기의 설계 자유도를 높이고 있다. 또한, 알코올류나 알콕시실레인과 혼합했을 때는 알콕시기의 일부 또는 전부가 교환하는 것도 알려져 있다. 이 때문에, 프라이머 조성물 중에 알코올류나 알콕시실레인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그 알코올류가 알콕시기로 교환되어 성능적인 불이익을 일으키지 않도록 종류를 선택하거나, 양을 조정할 필요가 있다.
(B2) 성분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는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된다.
R2CH2C(=O)CH2C(=O)OCH2R2 … (3)
(식 중,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일반식 (3)에서, R2로서는 수소 원자 및/또는 탄소 원자수 8 이하의 저급 알킬기가 적합하다. 양쪽의 R2가 수소 원자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및 에스터기측(우측)의 R2가 메틸기이며, 타방(좌측)의 R2가 수소 원자인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있어서, 특히 적합한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는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아세토아세트산 메틸, 아세토아세트산 아이소프로필, 아세토아세트산 t-뷰틸이다. 이들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는 1종 단독이어도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사용할 수도 있다.
(B3) 성분의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은, 적합하게는, 상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화합물에 있어서, 분자 중에 3개 존재하는 오가노옥시기(OR1) 중 1개가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배위자(R2CH2COCHCOOCH2R2)로 더 치환되어 있는 것(즉 1분자 중에 2개의 오가노옥시기(OR1)와,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배위자(R2CH2COCHCOOCH2R2)를 갖는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에 해당하는 것이며, (B3) 성분의 구체예로서는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다이노말뷰톡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다이터셔리뷰톡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다이(2-에틸헥스옥시) 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등의 다이알콕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 착체 등의 다이오가노옥시타이타늄비스아세토아세테이트 착체 등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B) 성분은 프라이머 조성물 전량당 1∼20질량%, 특히 3∼10질량%의 범위로 포함되어 있다.
(B) 성분의 배합량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300∼1000질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350∼800질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400∼700질량부이다. 300질량부 미만에서는, 접착성의 발현이 늦어져 단시간에 원하는 접착성을 얻을 수 없다. 또한, 1000질량부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프라이머 조성물의 저장안정성이 저하되어, 제조하고 장기간 경과 후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각종 기재에 대한 접착성을 얻을 수 없게 되어, 시공된 경화성 조성물의 경화물이 기재로부터 프라이머 조성물과 함께 박리되어 버리는 경우가 많아진다.
<(C) 용제>
(C) 성분의 용제는 (A) 성분 및 (B) 성분을 용해 또는 분산시킴으로써 도포 작업을 쉽게 하여, 속건성을 부여하기 위해 사용된다. (C) 성분의 용제의 종류는, 프라이머 조성물이 투명성이나 균일성을 잃어버리지 않는 한, 특별히 한정되지는 않지만, 대상으로 하는 피착체의 내용제성이나 브러시 작업 조건 등에 의해 선정된다.
이러한 용제는 (A) 성분의 양용매로서 아세톤, 메틸에틸케톤 등의 케톤류, 아세트산 에틸이나 아세트산 뷰틸 등의 에스터류, n-헥세인, n-헵테인, 아이소옥테인(2,2,4-트라이메틸펜테인) 등의 지방족 탄화수소류, 톨루엔, 자일렌 등의 방향족탄화수소류를 들 수 있다. 또한, (A) 성분의 빈용매로서 알코올류를 사용해도 된다. 알코올류의 예로서는, 예를 들면, 메탄올, 에탄올, 아이소프로필알코올, 2-에틸-1-헥산올을 들 수 있다.
(C) 성분의 배합량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1000∼8000질량부이며, 바람직하게는 2000∼7000질량부이다. (C) 성분의 배합량이 1000질량부를 하회하면, 프라이머 조성물을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에 기재 표면에 남는 프라이머의 막 두께가 지나치게 두꺼워지기 때문에, 기재로부터 박리되기 쉬워질 뿐만 아니라, (A) 성분 및 (B) 성분의 양이 상대적으로 증가해 버림으로써 비용적으로도 불이익이 된다. 그것에 대하여 (C) 성분의 배합량이 8000질량부를 상회하면, 건조 후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층이 지나치게 얇아져 버려,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작용이 상실될 뿐만 아니라, 점도는 내려가지만, 습기 환경하에서의 프라이머의 작업 가능 시간이 짧아진다.
<(D) 첨가제>
(D) 성분의 첨가제로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저장안정성 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임의 성분으로서 필요에 따라 알킬트라이알콕시실레인 등의 가수분해성 기 함유 실레인을 함유해도 된다. (D) 성분 중, 알킬트라이알콕시실레인으로서는, 예를 들면, 메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메틸트라이에톡시실레인, 에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 n-프로필트라이메톡시실레인, 바이닐트라이메톡시실레인을 들 수 있고, 그중에서도 메틸트라이메톡시실레인이 바람직하다.
(D) 성분의 배합량은 (A) 성분 100질량부에 대하여 0.1∼100질량부이다. 바람직하게는 0.5∼10질량부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5질량부이다. 0.1질량부보다 적은 경우에는, 저장 중에 프라이머 조성물이 증점하기 때문에, 겔화할 때까지의 기간이 빨라지고, 100질량부보다 많을 때에는 성능면에서 거의 불이익은 없지만, 비용적인 불이익이 생긴다.
<그 밖의 첨가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는, 그 성능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그 밖에도 임의의 성분을 첨가할 수 있다. 그들 성분으로서는 실란올 축합 촉매로서 다이뷰틸주석다이메톡사이드, 다이뷰틸주석다이아세테이트, 다이뷰틸주석다이옥타노에이트, 다이뷰틸주석다이라우레이트 등의 유기 주석 화합물; 알루미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알루미늄 알콕사이드; 지르코늄아세틸아세토네이트 등의 지르코늄알콕사이드; 접착부여제로서 실레인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것들의 종류 및 첨가량은 용도에 따라 선정된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에는, 아미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환 함유 실레인을 함유하지 않는다.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접착 방법>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하여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전형적으로는 축합 반응 경화형의 실온 경화성 실리콘 고무 조성물)의 경화물을 각종 기재에 접착 경화시키기 위해서는, 금속, 수지 도장 금속(예를 들면, 아크릴 수지나 불소 수지를 주성분으로 하는 도료를 도장한 알루미늄 등의 유기 수지 도장금속 표면) 또는 유기 수지 등의 각종 기재 표면에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을 브러시 등으로 도포하고 건조시킨 후, 이 도포면에 경화성 조성물을 접촉시켜 경화시킨다.
이러한 프라이머 조성물은 온도 23(±10)℃, 상대습도 50(±25)%의 환경하에서, 밀봉 용기로부터 개방 용기로 옮긴 후, 20분 이상의 도포 가능 시간(사용 가능 시간)을 갖는 것이다.
도포 후의 프라이머 조성물의 건조시간은, 상온(25℃ 정도)에서, 5분∼480분의 범위가 바람직하고, 10분∼120분이 보다 바람직하다. 건조시간이 5분보다 짧으면 용제의 건조가 불충분하여 건조 후의 프라이머층의 강도가 얻어지지 않는다. 또한, 건조시간이 480분을 초과하면, 표면에 공기 중의 티끌 또는 먼지 등의 오염 물질이 부착될 가능성이 높아져, 접착을 저해할 우려가 있다. 또한, 프라이머층의 두께는 통상 0.1∼500㎛, 바람직하게는 1∼100㎛, 보다 바람직하게는 5∼50㎛ 정도가 적합하다.
프라이머층이 형성된 도포면에는, 또한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이 형성된다.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은, 통상, 주제와 경화제 2성분으로 분리되고 이것을 혼합함으로써 경화가 시작되어 고무상으로 할 수 있다. 미리 2성분으로 분리하여 보존되기 때문에, 보존안정성이 좋고, 또한 경화제량 등으로 경화 속도를 적당히 조정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경화 기구는 주로 실란올기와 가수분해성 기와의 사이에서, 산, 알칼리, 유기 주석 화합물 외에, 유기 타이타늄 화합물 등의 촉매를 이용하여, 탈알코올시켜 경화시킨다.
이러한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에는, 예를 들면, SEALANT-FC-295SG(한국 신에츠실리콘 주식회사제)를 사용할 수 있지만, 이 조성물은 상온(25℃ 정도)에서, 0.5시간∼28일, 바람직하게는 3시간∼21일, 보다 바람직하게는 6시간∼14일 정도하에서 경화시킬 수 있다. 또한,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실리콘 고무층)의 두께는 통상 100∼1000000㎛, 바람직하게는 1000∼100000㎛ 정도가 적합하다.
이러한 프라이머 조성물은 창틀의 실링이나 고층 건축의 외벽 방수 실링 외에, 물을 사용하는 곳(부엌, 세면장, 목욕탕) 등의 실내 실링에도 응용할 수 있지만, 그중에서도 상술한 2성분형의 탈알코올형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고무층을 표면에 갖는 금속제 및/또는 수지 도장된 금속제의 틀에 의해 유리를 고정하는 커튼 월 유닛에 있어서, 이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도포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되는 프라이머 조성물은 적합하다. 또한, 이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층을 통하여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접착한 것인 커튼 월 유닛은 유용하다.
또한,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실리콘 고무)을 각종 기재에 접착시키는 접착성 부여제, 접착성 향상제 및 접착 발현성 향상제로서 유효하지만,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 이외에도 프라이머 조성물과의 사이에 실록세인 결합을 생성 가능한 실릴기를 갖는 경화성 조성물, 예를 들면, 변성 실리콘계 경화성 조성물, 실릴화 폴리유레테인계에도 유효하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의 상세를 설명하지만, 이것들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Me는 메틸기를 나타낸다.
<실시예 및 비교예>
표 1에 나타낸 성분에 기초하여, 실시예 1∼6 및 비교예 1∼6을 하기 방법에 의해 생성했다.
[실시예 1]
Me3SiO1 / 2 단위 및 SiO4 / 2 단위로 이루어지고, SiO4 / 2 단위에 대한 Me3SiO1 / 2 단위의 몰비가 0.85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의 70질량% 톨루엔 용액 143질량부, 노말헥세인 4750질량부, 아이소프로필알코올 50질량부,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1.18몰),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1.15몰)를 가하고, 실온(25℃)에서 균일하게 혼합함으로써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2]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을 150질량부에서 130질량부(1.00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3]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을 150질량부에서 145질량부(1.12몰)로 변경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을 400질량부에서 330질량부(0.97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4]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 대신에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의 95질량%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280질량부(0.56몰)를 사용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를 270질량부(0.79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5]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 대신에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의 95질량%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315질량부(0.66몰)를 사용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를 240질량부(0.71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실시예 6]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 대신에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의 95질량%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340질량부(0.71몰)를 사용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를 215질량부(0.63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1]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을 사용하지 않은 것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2]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을 150질량부에서 100질량부(0.77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3]
아세토아세트산 에틸을 150질량부에서 300질량부(2.31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4]
노말헥세인을 4750질량부에서 15000질량부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5]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 대신에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의 95질량%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190질량부(0.40몰)를 사용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를 360질량부(1.06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비교예 6]
아세토아세트산 에틸 150질량부 대신에 다이아이소프로폭시타이타늄비스에틸아세토아세테이트의 95질량% 아이소프로필알코올 용액 380질량부(0.80몰)를 사용하고, 테트라노말뷰톡시타이타늄 400질량부를 180질량부(0.53몰)로 변경한 이외는 실시예 1과 마찬가지로 담황색 투명한 프라이머 조성물을 얻었다.
Figure 112019017694461-pct00001
<접착성의 평가>
실시예 1∼6,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각 프라이머 조성물에 대하여, 알루미늄 도포판에 대한 접착성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시험편의 준비]
각 프라이머 조성물을 아크릴 전착 도장 알루미늄의 판에 브러시로 도포하고, 23℃, 상대습도(RH) 50%의 조건하에서 30분간 방치한 후, 탈알코올 타입의 2성분형 실리콘계 실링재(SEALANT-FC-295SG: 한국 신에츠실리콘 주식회사제)의 주제와 경화제를 혼합한 것을 각 프라이머 조성물이 도포된 알루미늄판의 도포면에 도포하고, 10mm 폭, 50mm 길이, 2mm 두께의 형상으로 주걱으로 성형하여 시험편으로 했다.
[접착성 시험]
이 시험편을 이하의 조건으로 양생한 후, 실리콘계 실링재의 경화물을 나이프로 자르고 이 절단부를 손으로 박리하여(손으로 잡아당겨), 그 박리 상태를 관찰(나이프 절단에 의한 손 박리 시험)함으로써, 피착체와 프라이머 조성물의 접착 계면의 상태를 평가했다.
[초기 접착성]
초기 접착성에 대해서는,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 있어서 7일간 양생한 후에, 상기 나이프 절단에 의한 손 박리 시험에 의해 평가했다. 평가는, 실링재의 응집 파괴한 면적의 비율이 100%이었던 것을 「◎」, 동 80% 이상 100% 미만이었던 것을 「○」, 동 50% 이상 80% 미만이었던 것을 「△」, 동 50% 미만이었던 것을 「×」로 했다. 각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초기 접착성의 시험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침수 접착성]
내수 접착성에 대해서는,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7일간 양생 후, 50℃의 온수에 7일간 침지한 후, 초기 접착성의 시험 방법과 동일한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각 프라이머 조성물을 사용한 경우의 내수 접착성의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작업 가능 시간의 평가>
실시예 1∼6, 비교예 1∼6에서 얻어진 각 프라이머 조성물에 대하여, 작업 가능 시간을 이하의 방법에 의해 평가했다.
[작업 가능 시간]
얻어진 각 프라이머 조성물을 3g 알루미늄 샤알레에 취하고, 23℃, 50% RH로 조정된 항온항습실 속에서 30분간 정치 후, 외관 변화를 확인했다. 투명한 액체의 성상을 유지하고 있는 경우에는 ○, 백탁, 겔화되거나, 건조 고화된 경우에는 ×로 평가했다. 각 프라이머를 사용한 경우의 작업 가능 시간의 시험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또한, 이 30분 정치 후의 프라이머를 사용하여 접착성 시험을 실시하고, 결과를 표 2에 나타냈다.
Figure 112019017694461-pct00002
(산업상의 이용가능성)
본 발명의 프라이머 조성물은 건축용 실링재나 일반 공업용 실링재, 접착제로서 사용되는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과 각종 피착체와의 접착에 적합하게 사용할 수 있고, 특히 아크릴 전착 도장 등의 난접착 피착체에의 접착성이 우수하고, 또한 고온시의 접착 내구성이 우수하고, 또한 도포 작업에 충분한 작업 가능 시간을 가지고 있으므로, 그 공업적 가치는 크다.

Claims (7)

  1. 유기 수지, 금속 및 수지 도장된 금속으로부터 선택되는 기재와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과의 접착성을 향상시키는 프라이머 조성물로서,
    (A) R3SiO1/2 단위(식 중, 각 R은 독립적으로 탄소수 1∼6의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를 나타낸다.) 및 SiO4/2 단위를 포함하고, SiO4/2 단위에 대한 R3SiO1/2 단위의 몰비가 0.6∼1.2인 삼차원 망상 구조의 오가노실록세인 폴리머 100질량부와,
    (B) 하기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 또는 식 (1)로 표시되는 타이타늄 화합물을 75몰% 이상 함유하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화합물의 혼합물 300∼1000질량부와,
    Ti(OR1)3(R2CH2COCHCOOCH2R2)1 … (1)
    (식 중, R1은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며, R2는 동일하여도 상이하여도 되고, 수소 원자 및/또는 비치환 또는 치환의 1가 탄화수소기이다.)
    (C) 용제 1000∼8000질량부
    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이 (B1)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2)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를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B) 성분이 (B1) 테트라오가노옥시타이타늄 및/또는 그 부분 가수분해 축합물과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B1) 중의 타이타늄 원자 1몰에 대하여, (B3) 타이타늄 원자 1개에 대하여 2개의 아세토아세트산 에스터의 킬레이트가 형성되어 있는 오가노옥시기 함유 타이타늄 킬레이트 화합물을 0.8몰 이상 1.2몰 미만의 비율로 혼합하여 생성하는 반응생성물의 혼합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아미노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에폭시기 함유 실레인 커플링제, 아이소사이아누레이트환 함유 실레인을 함유하지 않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5.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온도 23℃, 상대습도 50%의 환경하에서, 밀봉 용기로부터 개방 용기로 옮긴 후, 20분 이상의 도포 가능 시간을 갖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2성분형의 탈알코올형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로 이루어지는 실리콘 고무층을 표면에 갖는 금속제 및/또는 수지 도장된 금속제의 틀에 의해 유리를 고정하는 커튼 월 유닛에서, 이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도포하는 프라이머로서 사용되는 것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프라이머 조성물.
  7. 제6항에 기재된 프라이머 조성물의 도포층을 통하여 실온 경화성 오가노폴리실록세인 조성물의 경화물층을 금속 및/또는 금속 도장면에 접착한 것인 커튼 월 유닛.
KR1020197004965A 2016-09-09 2017-07-18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KR10241938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76598 2016-09-09
JPJP-P-2016-176598 2016-09-09
PCT/JP2017/025888 WO2018047470A1 (ja) 2016-09-09 2017-07-18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カーテンウォールユニッ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803A KR20190046803A (ko) 2019-05-07
KR102419386B1 true KR102419386B1 (ko) 2022-07-11

Family

ID=615627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4965A KR102419386B1 (ko) 2016-09-09 2017-07-18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US (2) US20190169466A1 (ko)
EP (1) EP3511380A4 (ko)
JP (1) JP6690723B2 (ko)
KR (1) KR102419386B1 (ko)
CN (1) CN109689814B (ko)
WO (1) WO2018047470A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4160609A (ja) 2013-02-20 2014-09-04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シール材料
US20150275045A1 (en) 2012-10-12 2015-10-01 Dow Corning Corporation Low voc construction primer

Family Cites Families (2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S51139831A (en) 1975-05-29 1976-12-02 Shin Etsu Chem Co Ltd Primer composition
DE2627536C2 (de) 1976-06-19 1978-06-08 Hoechst Ag, 6000 Frankfurt Verfahren zum Korrosionsschutz von Gußeisen in siedender konzentrierter Schwefelsäure
JPS5852350A (ja) * 1981-09-21 1983-03-28 Toray Silicone Co Ltd プライマ−組成物
DE3739174A1 (de) * 1987-11-19 1989-06-01 Huels Chemische Werke Ag Kondensierte acetessigsaeureester-titanchelate und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GB9002716D0 (en) * 1990-02-07 1990-04-04 Dow Corning Sa Method of bonding silicone elastomer to a substrate
JPH0474572A (ja) * 1990-07-18 1992-03-09 Toshiba Silicone Co Ltd フルオロエチレンビニルエーテル共重合体塗膜の接着改良方法
JP2522856B2 (ja) 1990-11-01 1996-08-07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イマ―組成物
JP3029296B2 (ja) 1990-12-26 2000-04-04 横浜ゴム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JP2522856Y2 (ja) 1991-03-01 1997-01-16 石川島播磨重工業株式会社 熱交換器
JPH0671784B2 (ja) * 1991-04-30 1994-09-14 信越ポリマー株式会社 メタルカーテンウオールの製造方法とそれに使われる帯状体
JP2914854B2 (ja) 1993-09-07 1999-07-05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US5654090A (en) * 1994-04-08 1997-08-05 Nippon Arc Co., Ltd. Coating composition capable of yielding a cured product having a high refractive index and coated articles obtained therefrom
JP2991934B2 (ja) 1994-08-08 1999-12-20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JP3553194B2 (ja) 1995-04-25 2004-08-11 株式会社ブリヂストン プライマー組成物
JP3115808B2 (ja) * 1995-09-21 2000-12-11 東レ・ダウコーニング・シリコーン株式会社 液状シリコーンゴムコーティング剤組成物
US5780525A (en) * 1997-02-14 1998-07-14 Reliance Electric Industrial Company Photocurable composition for electrical insulation
US6132664A (en) * 1997-12-23 2000-10-17 Dow Corning Corporation Method of forming a seal in a confined configuration with an alkoxy-functional RTV composition
JP2002241500A (ja) * 2001-02-14 2002-08-28 Matsumoto Seiyaku Kogyo Kk 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の硬化方法
DE10143414A1 (de) * 2001-09-05 2003-03-27 Basf Coatings Ag Thermisch und mit aktinischer Strahlung härtbare Polysiloxan-Sol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und ihre Verwendung
JP4161674B2 (ja) * 2002-10-17 2008-10-08 株式会社カネカ 導電性ローラ
US20050288415A1 (en) * 2004-06-23 2005-12-29 Beers Melvin D Highly elastomeric and paintable silicone compositions
DE102004050748A1 (de) * 2004-10-19 2006-04-20 Basf Coatings Aktiengesellschaft Hochkratzfeste und hochelastische Beschichtungsmittel auf Basis von Alkoxysilanen
JP4586981B2 (ja) * 2005-06-23 2010-11-24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自己接着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5742421B2 (ja) * 2011-04-21 2015-07-01 公立大学法人首都大学東京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及び気体分離膜
GB201405947D0 (en) * 2013-12-04 2014-05-14 Trio Healthcare Ltd Skin compatible curing adhesives for adhering devices to mammalian body
JP6269828B2 (ja) * 2014-06-06 2018-01-31 信越化学工業株式会社 プライマー組成物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50275045A1 (en) 2012-10-12 2015-10-01 Dow Corning Corporation Low voc construction primer
JP2014160609A (ja) 2013-02-20 2014-09-04 Honda Motor Co Ltd 燃料電池セパレータ用シール材料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511380A1 (en) 2019-07-17
JPWO2018047470A1 (ja) 2019-06-24
JP6690723B2 (ja) 2020-04-28
US20230203340A1 (en) 2023-06-29
EP3511380A4 (en) 2020-04-15
CN109689814B (zh) 2022-03-15
KR20190046803A (ko) 2019-05-07
WO2018047470A1 (ja) 2018-03-15
CN109689814A (zh) 2019-04-26
US20190169466A1 (en) 2019-06-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4546018A (en) Coating composition and primer
US4737562A (en) Self-adhering polyorganosiloxane elastomer compositions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6269828B2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4955771B2 (ja) シリコーン組成物
US20070191541A1 (en) Single-component polyorganosiloxane compositions which crosslink into silicone elastomers
WO2019090456A1 (en) An anti-graffiti coating composition
JPH0625615A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2006265529A (ja) 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EP4034601A1 (en) Curable compositions with acrylic and silicone resins
FR2612932A1 (fr) Composition de revetement de silicone sans solvant
JPH05179159A (ja) プライマー組成物及びシリコーン支持体の上塗方法
EP3401093B1 (en) Laminate and method for producing same
JP4717324B2 (ja) ポリオルガノシロキサン組成物
KR102419386B1 (ko) 프라이머 조성물 및 커튼 월 유닛
JPS6118939B2 (ko)
JP3446504B2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WO2019131641A1 (ja) 被膜形成組成物
KR20240049325A (ko) 방오 도료 조성물
JP5482698B2 (ja) 2液混合型室温硬化性オルガノポリシロキサン組成物
JPH029633B2 (ko)
JPS6221022B2 (ko)
CN106795182A (zh) 新的有机钛化合物、该有机钛化合物的制造方法以及室温固化性树脂组合物
JP4726226B2 (ja) 塗膜形成方法
JP6740917B2 (ja) プライマー組成物
JP2022071754A (ja) 硬化性組成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