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5173B1 - 의료용 나이프 - Google Patents

의료용 나이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5173B1
KR102415173B1 KR1020197006536A KR20197006536A KR102415173B1 KR 102415173 B1 KR102415173 B1 KR 102415173B1 KR 1020197006536 A KR1020197006536 A KR 1020197006536A KR 20197006536 A KR20197006536 A KR 20197006536A KR 102415173 B1 KR102415173 B1 KR 10241517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ip
slope
angle
incision
virtual sur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65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6838A (ko
Inventor
요시유키 다자와
Original Assignee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마니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9004683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683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51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517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7/00Surgical instruments, devices or methods, e.g. tourniquets
    • A61B17/32Surgical cutting instruments
    • A61B17/3209Incision instruments
    • A61B17/3211Surgical scalpels, knives; Accessories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61F9/013Instruments for compensation of ocular refraction ; Instruments for use in cornea removal, for reshaping or performing incisions in the cornea
    • A61F9/0133Knives or scalpels specially adapted therefo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9/00Methods or devices for treatment of the eyes; Devices for putting-in contact lenses; Devices to correct squinting; Apparatus to guide the blind; Protective devices for the eyes, carried on the body or in the hand
    • A61F9/007Methods or devices for eye surger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FFILTERS IMPLANTABLE INTO BLOOD VESSELS; PROSTHESES; DEVICES PROVIDING PATENCY TO, OR PREVENTING COLLAPSING OF, TUBULAR STRUCTURES OF THE BODY, e.g. STENTS; ORTHOPAEDIC, NURSING OR CONTRACEPTIVE DEVICES; FOMENTATION; TREATMENT OR PROTECTION OF EYES OR EARS; BANDAGES, DRESSINGS OR ABSORBENT PADS; FIRST-AID KITS
    • A61F2230/00Geometry of prostheses classified in groups A61F2/00 - A61F2/26 or A61F2/82 or A61F9/00 or A61F11/00 or subgroups thereof
    • A61F2230/0002Two-dimensional shapes, e.g. cross-sections
    • A61F2230/0017Angular shap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Ophthalmology & Optometry (AREA)
  • Surge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ical Instruments (AREA)

Abstract

높은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의료용 나이프를 제공한다.
나이프 (A) 는, 날부 (1) 의 평면 투영 형상이, 선단 부분에 형성된 첨단 (2) 및 그 첨단 (2) 의 근방을 포함하는 선단부 (3) 와, 가장 폭이 넓은 최대 폭부 (4) 와, 선단부 (3) 와 최대 폭부 (4) 사이에 형성된 측면부 (5) 로 이루어지는 대략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또한 날부 (1)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에지 (7) 를 포함하는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에지 (7) 를 구성하는 표면측 사면 (8) 이, 이면측에 에지 (7) 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 (9) 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 α 에 대한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a) 이 이루는 각도 β 의 비율이,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표면측 사면 (8) 과 이루는 각도 α 에 대한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 θ 의 비율보다 크다.

Description

의료용 나이프
본 발명은 안과 수술시에, 높은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 (切開創) 을 실현할 수 있도록 한 의료용 나이프에 관한 것이다.
안과 수술에서는, 의료용 나이프를 구면 형상의 안구에 찔러 넣어 각막 또는 각막과 공막 사이를 절개할 때에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고 여겨지고 있다.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이란, 안구를 정면에서 보았을 때, 중심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완만한 곡선상의 소위 프라운 절개 (frown incision) 이다.
안과 수술에 사용되는 의료용 나이프로서, 단면 형상이 에지를 잇는 면을 바닥면으로 하는 사다리꼴상으로 형성된 베벨업형 (bevel-up type), 에지를 잇는 선이 대략 중간 위치에 있는 주판알상으로 형성된 바이베벨형 (bi-bevel type) 등이 제공되고, 각각 선택적으로 사용되고 있다.
베벨업형의 나이프의 경우, 절개시에 작용하는 안압 및 절개 저항에 의해 발생하는 힘이 상면과 하면에서 상이하고, 절개의 진행에 따라 하향으로 작용하는 힘이 커져, 전체적으로 바닥면 방향으로 어긋난다는 특징을 갖는다. 이 나이프는 비교적 높은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또, 바이베벨형의 나이프의 경우, 절개시에 상면과 하면에 작용하는 힘은 거의 동등해지고, 찔러 넣는 방향은 직선적이 된다는 특징을 갖기는 하지만, 형성된 절개창의 자기 폐쇄성은 그다지 높지는 않다.
항상 보다 바람직한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의료용 나이프의 개발이 요구 되고 있으며, 이 요구에 부응하여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의료용 나이프가 제안되어 있다. 이 의료용 나이프는,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여 개발된 것으로, 날부의 선단 부분에 형성한 뾰족한 첨단을 정점으로 하고, 마름모꼴의 최대 폭의 부분에까지 에지가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에지를 포함하는 면을 경계로 하여 상부측에 에지에서부터 내부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으로 경사진 제 1 경사면과, 이 제 1 경사면에 연속된 제 2 경사면이 형성되고, 가장 상부측의 표면이 상부 평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또, 에지를 포함하는 면을 경계로 하여 하부측에는 에지에서부터 날부의 내부측을 향하여 두께 방향으로 경사진 하측 경사면과, 이 하측 경사면에 연속된 평면이 형성되어 있다. 특히, 에지를 포함하는 면을 경계로 하여 상부면측의 두께가 날부에 있어서의 총 두께의 75 % ∼ 93 % 의 범위가 되도록 구성되어 있다.
상기 의료용 나이프에서는, 각막 또는 각막과 공막 사이를 절개할 때에, 첨단을 구면 상의 각막에 찔러 넣었을 때에 작용하는 안압이나 절개 저항에 의해, 상면측에 작용하는 힘이 하면측에 작용하는 힘보다 커지기는 하지만 그 차이는 작다. 이 때문에, 의료용 나이프를 찔러 넣는 방향에서 본 절개창은 위를 향하여 볼록해지는 완만한 곡선이 된다. 또, 안구의 정면에서 본 절개창은, 안구의 중심을 향하여 볼록해지는 더욱 완만한 곡선이 된다. 이와 같은 절개창은, 자기 폐쇄성이 높은 바람직한 것이다.
일본 특허공보 제4269299호 (일본 공개특허공보 2001-238890)
상기 특허문헌 1 에 기재된 의료용 나이프에서는, 안과 수술시에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그러나, 항상 보다 바람직한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의료용 나이프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는 것이 실정이다.
본 발명의 목적은, 보다 높은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의료용 나이프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관련된 의료용 나이프는, 날부의 외주를 따라 에지를 형성한 의료용 나이프로서, 날부의 평면 투영 형상이, 날부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첨단 및 그 첨단의 근방을 포함하는 선단부와, 가장 폭이 넓은 최대 폭부와, 선단부와 최대 폭부 사이에 형성된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대략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또한 날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에지를 포함하는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에지를 구성하는 표면측 사면이, 이면측에 에지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상면과 상기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이,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측 사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것이다.
상기 의료용 나이프에 있어서, 상기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의 표면측의 두께가 상기 이면측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또, 상기 어느 의료용 나이프에 있어서, 상기 가상면과 상기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은, 상기 측면부에서는 거의 일정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의료용 나이프 (이하, 간단히 「나이프」라고 한다) 에서는, 높은 자기 폐쇄성을 발휘하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날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에지를 포함하는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형성된 표면측 사면과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이면측에 형성된 이면측 사면과 가상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이, 선단부 쪽이 측면부보다 크다. 이 때문에, 안구를 절개할 때에 작용하는 안압이나 절개 저항에 의해 표면측에서부터 이면측에 발생하는 힘의 차이는, 선단부 쪽이 작아지고, 측면부 쪽이 커진다.
따라서, 안구를 절개할 때에, 선단부에서는 나이프를 이면측으로 내리려고 하는 힘이 작아지고, 직진시키려고 하는 힘이 커져, 곡률이 작은 곡선상의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또, 측면부에서는 나이프를 이면측으로 내리려고 하는 힘이 선단부보다 커져, 곡률이 큰 곡선상의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하여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다.
특히, 에지를 포함하는 가상선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의 표면측의 두께가 상기 이면측의 두께보다 크게 함으로써, 안구를 절개할 때에 표면측에 작용하는 힘과 이면측에 작용하는 힘의 차이를 작게 할 수 있다.
또, 가상면과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가상면과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을, 측면부에서는 거의 일정하게 함으로써, 안구에 대해 나이프를 찔러 넣었을 때, 측면부에 있어서의 이면측으로 내리도록 작용하는 힘을 거의 일정한 값으로 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의사가 안정적인 상태로 절개 수술을 진행할 수 있다.
도 1 은 제 1 실시예에 관련된 나이프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의 부분 단면도이다.
도 3 은 에지 부분의 확대도이다.
도 4 는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나이프의 표면과 이면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는, 안구를 절개했을 때, 높은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는, 안구에 찔러 넣어 초기 절개창을 형성하고, 이 초기 절개창을 기점으로 하여 절개함과 함께 밀어 넓히는 기능을 갖는다. 그리고, 안구에 렌즈를 매설하는 것과 같은 수술을 실시할 때에, 그 안구로부터 수정체를 흡인하기 위한 초음파 유화 흡인 장치의 칩을 삽입하거나, 혹은 그 안구에 매립하는 렌즈를 삽입할 수 있는 길이의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를 구성하는 재료로서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스테인리스강이나 탄소강 등의 강류를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러나, 방청의 면이나 가공 용이성을 고려했을 때, 스테인리스강인 것이 바람직하고, 그 중에서도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인 것이 바람직하다.
오스테나이트계 스테인리스강을 소재로 하는 경우, 소재의 경도를 상승시키기 위해, 소정의 가공률로 냉간 소성 가공을 실시하여 조직을 파이버상으로 신장시켜 두고, 파이버상의 조직을 유지하여 프레스 가공, 연마 가공 및 다른 필요한 가공을 실시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는, 날부의 평면 형상이, 뾰족한 첨단과 그 첨단의 근방을 포함하는 선단부와, 최대 폭부와, 선단부와 최대 폭부 사이에 형성된 측면부를 갖는 대략 마름모꼴로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첨단에서부터 최대 폭부에 이르는 외주 부분에 에지 (절삭날) 가 형성되어 있다. 이 때문에, 안구에 첨단을 찔러 넣고 똑바로 이동시킴으로써 최대 폭부의 치수에 대응하는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안구에 첨단을 찔러 넣고 좌우 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최대 폭부의 치수의 여하에 상관없이 원하는 폭의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에 있어서, 선단부를 구성하는 첨단의 근방이란, 첨단을 정점으로 하여 최대 폭부의 에지끼리를 잇는 선을 밑변으로 하는 삼각형을 상정하고, 첨단에서부터 밑변에 이르는 수선 (축선이라고도 한다) 의 길이의 1/2 까지의 범위, 바람직하게는 1/4 까지의 범위이다. 선단부를 구성하는 첨단을 포함하는 첨단의 근방의 길이가, 첨단에서부터 밑변에 이르는 수선의 길이의 1/2 을 초과하면, 종래의 바이베벨형의 나이프에 의한 절개창과 유사한 절개창이 되어, 바람직하지 않다. 또, 선단에서부터 밑변에 이르는 수선의 길이의 1/30 정도 이하가 되면, 절개를 개시했을 때에 생기는 나이프의 직진성을 발휘할 수 있는 범위가 좁아져, 높은 자기 절개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없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는, 첨단을 정점으로 하여 날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1 쌍의 에지를 포함하는 가상면을 상정하고, 이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표면측 사면이 형성되고, 이면측에 이면측 사면이 형성되어 있다. 그리고,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과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가상면과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 (선단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 이, 측면부에 있어서의 표면측 사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한 가상면과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 (측면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 보다 크게 구성되어 있다.
선단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이, 측면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보다 어느 정도 큰지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과 수술을 실시할 때에, 선단부에서는 충분한 직진성을 발휘하고, 측면부에서는 적당한 하향의 힘이 작용할 수 있는 비율인 것이 바람직하다. 즉, 선단부에서는 바이베벨형의 나이프의 특성을 갖고, 측면부에서는 베벨업형의 특성을 갖는 비율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선단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을 측면부에 있어서의 각도의 비율보다 크게 하는 경우,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각각 독립시킨 각도로서 설정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선단부 및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하고,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혹은,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작게 하고, 선단부 및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해도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의 두께가 이면측의 두께보다 큰 것이 바람직하다. 표면측의 두께가 이면측의 두께보다 어느 정도 큰지는 특별히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구에 측면부가 찔려질 때, 작용하는 하향의 힘이 자기 폐쇄성을 갖는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두께인 것이 바람직하다.
또, 측면부에서는, 가상면과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가상면과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을 거의 일정하게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측면부에 있어서의 표면측에 작용하는 힘과 이면측에 작용하는 힘의 차이가 거의 일정해진다. 이 때문에, 단위 길이 찔러 넣었을 때의 이면 방향으로의 이동 치수가 거의 일정해져, 안정된 곡률을 갖는 곡선으로 이루어지는 절개창을 형성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다음으로 도 1 ∼ 도 3 을 사용하여 나이프의 제 1 실시예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관련된 나이프는, 선단부 및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하고, 선단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를 측면부에 있어서의 가상면에 대한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도면에 있어서, 나이프 (A) 는 날부 (1) 와, 이 날부 (1) 에 연속된 도시되지 않은 섕크를 가지고 구성되어 있다. 날부 (1) 에는 뾰족한 첨단 (2) 이 형성되어 있고, 그 첨단 (2) 및 그 첨단 (2) 의 근방을 포함하여 선단부 (3) 가 형성되어 있다. 또, 첨단 (2) 으로부터 이격된 위치에 날부 (1) 의 최대 폭부 (4) 가 형성되어 있고, 선단부 (3) 에서부터 최대 폭부 (4) 의 사이가 측면부 (5) 로서 형성되어 있다.
첨단 (2) 에서부터 최대 폭부 (4) 까지의 거리, 최대 폭부 (4) 의 폭 치수 등의 상세한 치수, 및 선단부 (3) 의 범위는 나이프 (A) 의 목적, 예를 들어 절개창의 치수 등의 사양에 따라 여러 가지로 설정되어 있다.
날부 (1) 의 외주를 따라, 첨단 (2) 을 정점으로 하고 최대 폭부 (4) 에 이르는 1 쌍의 에지 (7) 가 형성되어 있다. 이 에지 (7) 는 생체 조직을 절개하는 기능을 갖는 것이며, 날부 (1) 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1 쌍의 에지 (7) 를 포함하는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형성된 표면측 사면 (8) 과 이면측에 형성된 이면측 사면 (9) 이 교차함으로써 형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표면측 사면 (8) 과 이면측 사면 (9) 은 공동으로 에지 (7) 를 형성하는 것이기 때문에, 이들 사면 (8, 9) 은 평활도가 높은 연삭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날부 (1) 에 있어서의 표면측에 형성된 표면측 사면 (8) 을 따라 제 2 사면 (10) 이 형성되고, 양 사면 (8, 10) 의 경계에는 경계선 (8a) 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제 2 사면 (10) 은 양 에지 (7) 를 구성하는 표면측 사면 (8) 사이에 형성되어 있다. 제 2 사면 (10) 은 절삭날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가 없기 때문에, 반드시 높은 평활도를 가진 연삭면에 의해 형성할 필요는 없어, 프레스면 혹은 거친 연삭면이어도 된다.
또, 1 쌍의 제 2 사면 (10) 사이에 그 제 2 사면 (10) 을 따라 표면측 평면 (11) 이 형성되어 있다. 이 표면측 평면 (11) 도 제 2 사면 (10) 과 마찬가지로 프레스면 혹은 거친 연삭면이어도 된다.
또한, 본 실시예에 있어서는, 제 2 사면 (10) 및 표면측 평면 (11) 을 형성했지만, 제 2 사면 (10), 표면측 평면 (11) 은 필수인 것은 아니며, 이것들을 형성하지 않는 구성으로 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표면측 사면 (8) 을 날부 (1) 의 내측으로 연장시켜 중앙에서 교차시켜도 되고, 제 2 사면 (10) 을 날부 (1) 의 내측으로 연장시켜 중앙에서 교차시켜도 된다. 그 경우의 연장시키는 면은, 평면이어도 되고 곡면이어도 된다.
날부 (1) 에 있어서의 이면측에 형성된 1 쌍의 이면측 사면 (9) 사이에 그 이면측 사면 (9) 에 연속해서 이면측 평면 (12) 이 형성되어 있다. 이 이면측 평면 (12) 은, 전술한 제 2 사면 (10) 및 표면측 평면 (11) 과 마찬가지로 절삭날로서의 기능을 갖는 경우가 없는 면으로서 형성된다. 이 때문에, 반드시 높은 평활도를 가진 연삭면일 필요는 없어, 거친 연삭면 혹은 프레스면으로서 형성되어 있어도 된다.
선단부 (3) 는 첨단 (2) 및 그 첨단 (2) 의 근방을 포함하여 형성되어 있다. 첨단 (2) 의 근방의 범위는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안과 수술시에 필요로 하는 자기 폐쇄성을 발휘하기에 적합한 절개창을 형성할 수 있는 범위인 것이 바람직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최대 폭부 (4) 를 잇는 선 (도 1(a) 의 C-C 선) 을 밑변으로 하고, 첨단 (2) 을 지나는 수선 (축선) 상에서, 첨단 (2) 에서부터 밑변까지의 치수의 약 1/5 의 범위를 선단부 (3) 로서 설정하고 있다. 그러나, 이 범위에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이 이상으로 길어도 되고, 또 짧아도 된다.
전술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선단부 (3) 및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에 대한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를 일정하게 하고 있다. 그리고,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에 대한 이면측 사면 (9a) 이 이루는 각도를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에 대한 이면측 사면 (9b) 이 이루는 각도보다 크게 설정하고 있다.
특히, 선단부 (3) 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 (9a) 에서부터 측면부 (5) 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 (9b) 으로 연속해서 이행할 수 있도록, 그 이행부는 평활한 곡면으로서 형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선단부 (3) 와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는,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와,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 (9a, 9b) 이 이루는 각도의 관계에 대해서 설명한다.
도 2(a) 는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A-A 단면도이고, 도 3(a) 는 에지 (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2(b) 는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B-B 단면도이고, 도 3(b) 는 에지 (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 2(c) 는 최대 폭부 (4) 에 있어서의 C-C 단면도이고, 도 3(c) 는 에지 (7) 의 확대 설명도이다.
도면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에지 (7) 는,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α 로 교차한 표면측 사면 (8) 과,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β 로 교차한 이면측 사면 (9a)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에지 (7) 는,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α 로 교차한 표면측 사면 (8) 과,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θ 로 교차한 이면측 사면 (9b)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또한, 최대 폭부 (4) 에 있어서의 에지 (7) 는, 가상면 (7a) 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α 로 교차한 표면측 사면 (8) 과, 가상면 (7a) 에 대해 각도 θ 로 교차한 이면측 사면 (9) 에 의해 구성되어 있다.
각 각도 α, β, θ 의 값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그러나, 각도 β 는 각도 θ 보다 큰 각도로 설정되어 있다. 즉, 선단부 (3) 의 에지 (7)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 α 에 대한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a) 이 이루는 각도 β 의 비율은 β/α 가 된다. 또, 측면부 (5) 의 에지 (7)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 α 에 대한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b) 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은 θ/α 가 된다. 따라서,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비율 β/α 는,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비율 θ/α 보다 크다.
비율 β/α 가 비율 θ/α 보다 크기 때문에, 나이프 (A) 에 의해 안구를 꿰뚫었을 때, 선단부 (3) 에 작용하는 표면측과 이면측의 힘의 차이는, 측면부 (5) 에 작용하는 표면측과 이면측의 힘의 차이보다 작아진다. 따라서, 안구에 대해 나이프 (A) 를 축 방향으로 똑바로 찔러 넣었을 때, 선단부 (3) 에서는 거의 직진시켜 절개하는 것이 가능하고, 선단부 (3) 에서부터 측면부 (5) 로 이행함에 따라 나이프 (A) 는 이면 방향으로 이동 (하강) 하면서 절개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이 결과, 안구에 형성된 절개창을 정면에서 보았을 때, 선단부 (3) 에 의한 절개창은 완만한 곡선상이 되고, 측면부 (5) 에 의한 절개창은 보다 곡률이 큰 하향의 곡선이 된다. 그리고, 이와 같은 절개창에 의해 프라운 절개를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건 발명자들은, 최대 폭부 (4) 의 치수가 2.4 ㎜, 첨단 (2) 에서부터 최대 폭부 (4) 까지의 축 방향의 치수가 3.0 ㎜, 선단부 (3) 의 치수가 첨단 (2) 에서부터 축 방향으로 대략 0.5 ㎜, 측면부 (5) 의 치수가 선단부 (3) 에 연속해서 대략 2.5 ㎜, 첨단 (2) 을 정점으로 하는 1 쌍의 에지 (7) 끼리가 이루는 각도가 대략 60 도,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 α 를 대략 21.5 도,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a) 이 이루는 각도 β 를 대략 11.5 도로 하고,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가상면 (7a) 과 표면측 사면 (8) 이 이루는 각도 α 를 대략 21.5 도, 가상면 (7a) 과 이면측 사면 (9b) 이 이루는 각도 θ 를 대략 9.5 도로 하는 나이프를 제작하였다.
상기 나이프에서는,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비율 β/α 는 0.53 이고,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비율 θ/α 는 0.44 이다. 따라서,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비율 β/α 가,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비율 θ/α 보다 크다.
상기와 같이 구성한 나이프를 사용하여 돼지의 안구에 대한 절개창을 형성하는 실험을 실시한 결과, 첨단 (2) 에서부터 선단부 (3) 에 걸친 절개창은 곡률이 작은 완만한 곡선상이 되고, 측면부 (5) 의 절개창은 상기 절개창과 비교하여 곡률이 큰 곡선상이 되었다. 이 실험으로 얻어진 절개창은 충분히 바람직한 프라운 절개라고 할 수 있다라는 결론을 얻었다.
다음으로 제 2 실시예에 관련된 나이프 (A) 의 구성에 대해서 도 4 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도면에 있어서, 전술한 제 1 실시예와 동일한 부분 또는 동일한 기능을 갖는 부분에는 동일한 부호를 붙여 설명을 생략한다.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측 사면 (9) 으로서, 선단부 (3) 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 (9a) 에서부터 측면부 (5) 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 (9b) 으로 이행하는 부위에, 경계선 (9c) 이 형성되어 있다. 즉, 선단부 (3) 의 이면측 사면 (9a) 과 측면부 (5) 의 이면측 사면 (9b) 이 연속적으로 접속되는 것이 아니라, 명확하게 형성된 경계선 (9c) 을 통해 접속되어 있다. 이와 같은 이면측 사면 (9a, 9b) 은, 높은 강성을 갖는 연삭재를 이용하고, 나이프의 소재를 미리 설정된 각도 β,θ 에 대응시켜 경사지게 하여 연삭함으로써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상기와 같이, 이면측 사면 (9a, 9b) 이 경계선 (9c) 을 통해 접속되어 있어도, 절개할 때의 관통성에 영향을 주는 경우는 없으며, 형성된 절개창도 선단부 (3) 에서는 곡률이 작은 완만한 곡선상이고, 측면부 (5) 에서는 상기 절개창과 비교하여 곡률이 큰 곡선상이 되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이면측 사면 (9) 에 있어서의 선단부 (3) 에 대응하는 이면측 사면 (9a) 에서부터 측면측 사면 (9b) 으로 이행하는 부위에 경계선 (9c) 을 형성하는 구성으로 하였다. 그러나, 표면측 사면 (8) 에 있어서의 선단부 (3) 에 대응하는 범위와 측면부 (5) 에 대응하는 범위의 각도를 변경함으로써, 선단부 (3) 에 있어서의 비율 β/α 를 측면부 (5) 에 있어서의 비율 θ/α 보다 크게 하는 경우, 표면측 사면 (8) 에 있어서의 선단부 (3) 와 측면부 (5) 를 명확한 경계선으로 접속해도 되는 것은 당연하다.
본 발명에 관련된 나이프 (A) 는, 안과 수술에 있어서의 자기 폐쇄성이 높은 절개창을 형성할 때에 이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A : 나이프
1 : 날부
2 : 첨단
3 : 선단부
4 : 최대 폭부
5 : 측면부
7 : 에지
7a : 가상면
8 : 표면측 사면
9, 9a, 9b : 이면측 사면
9c : 경계선
10 : 제 2 사면
11 : 표면측 평면
12 : 이면측 평면

Claims (3)

  1. 날부의 외주를 따라 에지를 형성한 의료용 나이프로서,
    날부의 평면 투영 형상이, 날부의 선단 부분에 형성된 첨단 및 그 첨단의 근방을 포함하는 선단부와, 가장 폭이 넓은 최대 폭부와, 선단부와 최대 폭부 사이에 형성된 측면부로 이루어지는 마름모꼴로 형성되고,
    또한 날부의 외주를 따라 형성된 에지를 포함하는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표면측에 에지를 구성하는 표면측 사면이, 이면측에 에지를 구성하는 이면측 사면이 각각 형성되어 있고,
    상기 선단부에 있어서의 상기 가상면과 상기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이, 상기 측면부에 있어서의 상기 표면측 사면과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이프.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면을 경계로 하여, 그 가상면의 표면측의 두께가 상기 이면측의 두께보다 큰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이프.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가상면과 상기 표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에 대한 상기 가상면과 상기 이면측 사면이 이루는 각도의 비율은, 상기 측면부에서는 일정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의료용 나이프.
KR1020197006536A 2016-08-29 2017-08-24 의료용 나이프 KR1024151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6166623A JP6457985B2 (ja) 2016-08-29 2016-08-29 医療用ナイフ
JPJP-P-2016-166623 2016-08-29
PCT/JP2017/030255 WO2018043266A1 (ja) 2016-08-29 2017-08-24 医療用ナイ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6838A KR20190046838A (ko) 2019-05-07
KR102415173B1 true KR102415173B1 (ko) 2022-06-29

Family

ID=613008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6536A KR102415173B1 (ko) 2016-08-29 2017-08-24 의료용 나이프

Country Status (12)

Country Link
US (1) US11304849B2 (ko)
EP (1) EP3498202B1 (ko)
JP (1) JP6457985B2 (ko)
KR (1) KR102415173B1 (ko)
CN (1) CN109661206B (ko)
AU (1) AU2017321548B2 (ko)
BR (1) BR112019004245B1 (ko)
CO (1) CO2019002642A2 (ko)
IL (1) IL264600B (ko)
MX (1) MX2019002270A (ko)
RU (1) RU2744554C2 (ko)
WO (1) WO2018043266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D941470S1 (en) 2019-11-07 2022-01-18 K2M, Inc. Surgical blade
CN111185942B (zh) * 2020-02-25 2023-10-27 深圳市誉和光学精密刀具有限公司 切刀及其加工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890A (ja) 2000-02-29 2001-09-04 Manii Kk 医療用ナイフ
JP2005103035A (ja) 2003-09-30 2005-04-21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ナイフ
JP2012231842A (ja) 2011-04-28 2012-11-29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ナイフ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RU2033095C1 (ru) * 1992-01-27 1995-04-20 Мельников Валерий Яковлевич Микрохирургический нож
US5713915A (en) * 1996-11-15 1998-02-03 Rhein Medical, Inc. Surgical knife blade
JPH10332808A (ja) * 1997-06-02 1998-12-18 Mitsubishi Electric Corp レーダ装置
JP2002345834A (ja) * 2001-05-25 2002-12-03 Manii Kk 医療用刃物
US7947076B2 (en) * 2005-06-03 2011-05-24 Medtronic Xomed, Inc. Nasal valve treatment method and apparatus
US9132036B2 (en) * 2007-04-27 2015-09-15 Mani, Inc. Stripping knife
DE102008030783B3 (de) * 2008-06-28 2009-08-13 Trumpf Werkzeugmaschinen Gmbh + Co. Kg Verfahren zum Laserstrahlschrägschneiden und Laserbearbeitungsmaschine
JP5433227B2 (ja) * 2008-12-26 2014-03-05 マニー株式会社 医療用ナイフ
DE102009030874A1 (de) * 2009-06-29 2010-12-30 Rheinische Fachhochschule Köln gGmbH Skalpell, insbesondere für ophthalmologische Anwendungen
CN102596130A (zh) * 2009-09-10 2012-07-18 易-梅迪克斯有限责任公司 手术刀柄和手术刀
US8308715B2 (en) * 2009-11-13 2012-11-13 Circulite, Inc. Cannula stabilizer
EP2833840A4 (en) * 2012-04-06 2016-09-21 Conformis Inc METHODS, TECHNIQUES, DEVICES AND ADVANCED SYSTEMS FOR KNEE IMPLANTS RETAINING CROSS LIGAMENTS
US20150209069A1 (en) * 2012-08-27 2015-07-30 Chris Salvino Scalpel
JP6317934B2 (ja) * 2014-01-31 2018-04-25 株式会社貝印刃物開発センター 医療用ナイフ
CN204951081U (zh) * 2015-08-27 2016-01-13 常山优博特机电科技有限公司 一种手术刀刀片可以方便地被旋转并锁固的手术刀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238890A (ja) 2000-02-29 2001-09-04 Manii Kk 医療用ナイフ
JP2005103035A (ja) 2003-09-30 2005-04-21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ナイフ
JP2012231842A (ja) 2011-04-28 2012-11-29 Kai R & D Center Co Ltd 医療用ナイ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O2019002642A2 (es) 2019-03-29
CN109661206B (zh) 2021-08-10
EP3498202A4 (en) 2020-01-22
RU2744554C2 (ru) 2021-03-11
AU2017321548B2 (en) 2022-01-20
AU2017321548A1 (en) 2019-03-07
US20210330502A1 (en) 2021-10-28
WO2018043266A1 (ja) 2018-03-08
RU2019108820A3 (ko) 2020-09-30
MX2019002270A (es) 2019-11-05
RU2019108820A (ru) 2020-09-29
AU2017321548A9 (en) 2019-05-02
EP3498202B1 (en) 2020-11-18
IL264600B (en) 2022-04-01
EP3498202A1 (en) 2019-06-19
IL264600A (en) 2019-02-28
BR112019004245A2 (pt) 2019-06-04
US11304849B2 (en) 2022-04-19
CN109661206A (zh) 2019-04-19
JP2018033492A (ja) 2018-03-08
BR112019004245B1 (pt) 2023-01-17
JP6457985B2 (ja) 2019-01-23
KR20190046838A (ko) 2019-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554840B2 (en) Medical scalpel
US6908471B2 (en) Ophthalmologic knife
US20160311073A1 (en) Straight knife manufacturing method
KR102415173B1 (ko) 의료용 나이프
US9913660B2 (en) Medical knife
US8323301B2 (en) Medical knife
EP1491172A1 (en) Medical knife
JP6317934B2 (ja) 医療用ナイフ
JP2005334054A (ja) 医療用刃物
US20100199505A1 (en) Cutting Blade Holder for a Microsurgical Cutting Arrangement, in particular such an Arrangement for Refractive Eye Surgery
JP6546864B2 (ja) 手術用メス
JP6181135B2 (ja) ストレートナイフの製造方法
JP2023160562A (ja) 眼科手術用ナイフ
JP2021029783A (ja) 医療用縫合針
CN101347366B (zh) 巩膜瓣剥离刀
US20150374402A1 (en) Surgical blad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