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3297B1 -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 Google Patents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3297B1
KR102413297B1 KR1020200119841A KR20200119841A KR102413297B1 KR 102413297 B1 KR102413297 B1 KR 102413297B1 KR 1020200119841 A KR1020200119841 A KR 1020200119841A KR 20200119841 A KR20200119841 A KR 20200119841A KR 102413297 B1 KR102413297 B1 KR 10241329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air cooling
emergency air
open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1984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20037193A (ko
Inventor
나선근
Original Assignee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1984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3297B1/ko
Publication of KR202200371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03719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329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329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218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liquid coolant without phase change in electronic enclosure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7/00Constructional details common to different types of electric apparatus
    • H05K7/20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 H05K7/20009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ventilating, or heating using a gaseous coolant in electronic enclosu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Cooling Or The Like Of Electrical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발열부를 냉각공기로 냉각시키도록 발열부와 덕트로 연결되는 열교환부; 덕트 상에 설치되어 케이스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비상공랭부; 및 냉각수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시키도록 케이스에 형성되는 유입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Water cooling type appratus having emergency air cooling parts}
본 발명은 수랭식 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 관한 것이다.
함정이나 선박에는 기계설비나 전자설비들이 설치되며, 이를 모니터링하고 제어하기 위한 캐비닛이나 콘솔 등의 장치들이 탑재된다.
특히, 함정에 탑재된 캐비닛이나 콘솔 등의 장치는 적 미사일, 어뢰 등의 공격무기에 대응하기 위하여 함정 내의 환경조건에서 지속적으로 고장 없이 운용될 수 있도록 관리하는 것이 매우 중요하다.
종래에는 함정에 탑재된 탑재 장치를 냉각하기 위해 냉각수를 공급받아 장비 내부의 공기를 냉각시키는 수랭식 방식을 사용하였으며, 고장 등의 비상상황에 대비한 별도의 비상공랭부가 구비되지 않았다.
그 결과, 수랭식 방식에 장애가 발생하여 수랭식 함정탑재장치 내부의 공기온도가 장비의 운용 온도를 초과하는 비상상황이 발생할 경우, 이것을 냉각시킬 수단이 없어 장비 내부의 고발열 전자모듈이 열화되어 고장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42055호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특히 함정이나 선박 등에 탑재되는 수랭식 장치의 내부 공기온도를 비상 냉각시킬 수 있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안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는,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발열부를 냉각공기로 냉각시키도록 발열부와 덕트로 연결되는 열교환부; 덕트 상에 설치되어 케이스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비상공랭부; 및 냉각수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시키도록 케이스에 형성되는 유입부 및 배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는, 냉각공기가 강제로 유동되도록 덕트 상에 가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비상공랭부는, 열교환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비상공랭부와 하부 비상공랭부로 구성되고, 각각 상부 개폐부와 하부 개폐부를 구비하고, 비상공랭시 개방된 하부 개폐부를 통해 케이스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냉각공기가 발열부를 통과한 이후 개방된 상부 개폐부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는 각각 회동가능하게 회전축이 포함되고,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가 케이스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관통부에는 먼지 필터와 전파 필터를 포함하는 차폐부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개폐부와 맞닿는 부분에 방수 개스킷이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는, 회전축의 중앙에 보강부가 구비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1인터럽트 핀이 돌출 형성되고, 제1인터럽트 핀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포토 인터럽트센서가 설치될 수 있다.
또한,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2인터럽트 핀이 돌출 형성되고, 제2인터럽트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비상공랭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는, 함정에 설치되되,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함정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부가 제어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포토 인터럽트센서는, 개폐부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제어부는, 개폐부를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 이후, 제1인터럽트 핀이 개폐부의 개방위치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 구동부가 고장상태라고 판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수랭식 방열장치를 갖는 장비에 비상시 냉각할 수 있는 비상공랭부를 포함함으로써 장비 내부의 고발열로 인한 고장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하면 비상공랭부에 구비된 개폐부의 개폐상태를 감지할 수 있는 포토 인터럽트센서를 포함함으로써 고장의 원인을 신속히 파악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서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방열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서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방열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 구비된 비상공랭부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6은 비상공랭부에 포함된 차폐부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7은 비상공랭부에 포함된 개폐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8은 개폐부 조립체의 제1방향 확대 사시도이고,
도 9는 개폐부 조립체의 제2방향 확대 사시도이고,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되, 도면 부호에 관계없이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고 이에 대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구성요소에 대한 접미사 "부"와 "기", "모듈"과 "부", "유닛"과 "부", "장치"와 "시스템"등은 명세서 작성의 용이함 만이 고려되어 부여되거나 혼용되는 것으로서, 그 자체로 서로 구별되는 의미 또는 역할을 갖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은 본 발명의 정신 및 필수적 특징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른 특정한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음은 당업자에게 자명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100)는, 열이 발생하는 전자모듈장치로 구성되는 발열부(110)와, 발열부(110)의 외측에 구비되어 외관을 형성하며 발열부(110)를 냉각수로 냉각시킬 수 있도록 냉각수가 유입되어 배출되는 유입부(102a) 및 배출부(102b)가 형성되는 케이스(101)와, 비상시 외부 공기를 유입시켜 발열부(110)를 공랭시키는 비상공랭부(130)와, 평상시 발열부(110)에 공급되는 공기를 냉각시키는 열교환부(120)와, 열교환부(120)에서 냉각된 공기가 발열부(110)로 유동하도록 유로를 형성하는 덕트(150)를 포함한다.
발열부(110)는, 열이 발생하는 장치로서, 일례로 함정에 본 발명이 적용될 경우, 임무 수행에 필요한 신호를 수신하고 고속으로 처리하는 전자 모듈 장치일 수 있다. 이러한 전자 모듈장치는 칩셋 집적도가 높아 발열량이 높기 때문에 고장 없이 운용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해서는 발열 상태에 따라 적절한 냉각수단을 사용하여 냉각시켜야 한다.
열교환부(120)는, 배관 내부에 냉매가 기화하며 주위를 냉각시키는 관형 열교환기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열교환이 보다 원활하도록 핀(fin)이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열교환부(120)는, 배관에 직교하는 방향으로 유동하며 배관 외측을 지나는 공기와 열교환을 통해 냉각공기를 생성하게 되는데, 냉각공기는 하측에 위치한 덕트(150)를 통해 발열부(110)를 구성하는 전자 모듈장치로 유동되고, 발열부(1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상측에 위치한 덕트(150)를 통해 다시 열교환부(120)로 유입되면서 냉각된다.
본 발명에서는, 전술한 바와 같이 냉각공기를 강제로 순환 유동시킬 수 있도록 덕트(150) 상에 가압부(140)가 구비될 수 있다. 가압부(140)는, 일례로 팬(fan)으로 구성되어 공기를 가압하여 순환시킬 수 있다.
덕트(150)는 열교환부(120)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구비되어 열교환부(120)와 발열부(110) 사이에 공기 유동을 안내함으로써 냉각공기가 덕트(150)를 따라 유동되며 순환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의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100)는, 평상시에 수랭식으로 발열부(110)를 냉각시키는 데, 이를 위해 케이스(101) 내부로 냉각수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시킬 수 있도록 케이스(101)의 일측에 각각 유입부(102a) 및 배출부(102b)를 구비한다.
여기서, 냉각수는 함정에서 공급받아 사용할 수 있으며, 수랭식 장치(100) 내부로 유입된 저온 냉각수는 발열부(110)를 직접 냉각할 수 있으며, 또한, 열교환부(120), 덕트(150)의 외부에서 내측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게 된다. 냉각 후 고온이 된 냉각수는 배출부(102b)를 통해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비상공랭부(130)는, 발열부(110)가 소정온도 이상으로 상승되는 비상상황시 본 발명의 수랭식 장치(100)를 외부의 공기로 신속히 냉각시킬 수 있도록 구성되는 장치로서, 장착 케이스(105)에 비상공랭부(130) 및 열교환부(120)가 설치된다.
뒤에 상세히 설명될 개폐부(미도시)가 폐쇄위치에 위치되는 평상시에는 열교환부(120)와 발열부(110) 사이를 연결하는 덕트(150)가 외부에 대해 밀폐되는 상태를 유지함으로써 열교환부(120)에서 냉각된 공기에 외부 공기가 유입되지 않고 발열부(110)로 공급된 다음 다시 열교환부(120)로 회수되며 순환하게 된다. 이 경우, 본 발명의 수랭식 장치(100)는 주로 냉각수에 의한 수랭식으로 방열되게 된다.
이에 반해, 개폐부(미도시)가 개방위치에 위치되는 비상시에는 덕트(150)의 유로 상에 설치된 개폐부(미도시)가 개방됨으로써 덕트(150)가 외부에 대해 개방되는 상태가 되어 덕트(150) 내부의 공기가 장치(100) 외부로 유출 및 유입가능하게 되어 본 발명의 수랭식 장치(100)는 주로 외부 공기에 의한 공랭식으로 방열되게 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100)는, 케이스(101)의 하단부를 지지하는 완충 지지부(10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100)가 함정에 적용된 경우, 이러한 완충 지지부(103)는 함정이 수중의 어뢰 및 기뢰로 인한 폭발 충격, 함정 추진기관에서 전달되는 진동으로부터 장치(100) 내부의 부품들을 보호할 수 있게 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작동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를 참조하면, 비상공랭부(130)는 열교환부(120)의 상하측에 배치되며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131)를 구비하는데, 개폐부(131)는 비상공랭이 필요할 경우 제어부(미도시)에 의해 개방되며 외부의 냉각 공기가 유입되도록 구성된다.
즉, 평상시에는 도 2a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개폐부(131)는 폐쇄상태를 유지하여 외기의 유입을 막아서 수랭식 방열을 수행하고 있다.
도 2b에 도시된 상태는 비상공랭이 필요할 경우 개폐부(131)가 회동하며 장착케이스(105)의 관통부에 설치된 차폐부(160)이 노출되기 시작하거나, 개폐부(131)가 개방된 상태에서 도 2a의 폐쇄상태로 변경되는 과도 과정을 도시한 것이다.
도 2c는 비상공랭을 위해 개폐부(131)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로, 외기가 차폐부(160)를 통해 장치(100) 내부로 유입되어 일정시간 동안 임시로 외기에 의한 공랭식 방열이 수행될 수 있게 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서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의 방열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서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의 방열 메커니즘을 도시한 것이다.
먼저, 도 3을 참조하면, 비상공랭부(130)의 개폐부가 폐쇄된 상태에서는 열교환부(120)를 통해 냉각된 공기는 발열부(110)의 하측으로 유입된 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가열된 공기는 발열부(110)의 상측에서 덕트(150)를 통해 다시 열교환부(120)로 안내되어 전체적으로 순환 유동이 구성된다.
열교환부(120)로 안내된 가열된 공기는 열교환부(120)와 열전달을 통해 냉각되고 다시 발열부(110)인 전자모듈 장치를 통과하면서 가열되는 과정을 반복한다. 본 발명에서는 가압부(140)가 공기를 가압하여 강제 대류 유동을 발생시킴으로써 공기 유속을 증가시켜 이러한 순환 유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도 4를 참조하면, 비상공랭부(130)의 개폐부가 개방된 상태에서는 열교환부(120)를 통해 냉각된 공기는 발열부(110)의 하측으로 유입된 후 통과하면서 가열되고, 발열부(1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공기는 덕트(150)를 통해 마련된 유로를 따라 유동한다. 도 3에서와 같이, 이 과정에서 가압부(140)에 의해 강제 대류 유동이 발생되며 공기 유속을 증가시키게 된다.
도 4에 도시된 비상공랭시에는, 도 3과 같은 공기가 순환유동되는 것이 아니라, 가열된 공기가 개방된 상측의 비상공랭부(130)를 통하여 장치(100)의 외부(일례로 함정 내부)로 배출된다. 또한, 개방된 하측의 비상공랭부(130)를 통해 장치(100)의 외부에서 공기가 유입되는데, 유입공기는 밀도가 커서 상대적으로 아래쪽에 위치한 찬 공기가 가압부(140)에 의해 장치(100)의 내부로 유입된다. 유입된 찬 공기는 발열부(110)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후 개방된 상측의 비상공랭부(130)를 통해 다시 장치(100)의 외부로 배출된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에 구비된 비상공랭부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를 참조하면, 비상공랭부(130)는 장착 케이스(105)의 전면에 개폐부(131)가 회동가능하게 설치되는 덕트(150)가 설치되고, 장착 케이스(105)의 관통부(105a)에는 차폐부(160)가 설치된다.
관통부(105a)는 상부 및 하부 개폐부(131)가 장착 케이스(105)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장착 케이스(105)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형성된다.
여기서, 개폐부(131)는 회전되면서 차폐부(160)가 설치되는 장착 케이스(105)의 관통부(105a)를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상태(a), 천이상태(b), 개방상태(c)로 작동할 수 있게 한다.
차폐부(160)는 비상공랭부(130)가 개방된 상태에서 장착 케이스(105)의 관통부(105a)를 통해 외부의 공기가 내부로 유입될 때, 먼지 등의 오염물질을 차단시키는 기능을 수행한다. 또한, 장치(100) 내부의 전자 모듈 장치에서 발생하는 전파로 인해 다른 장비에 전자기적 간섭이 발생하지 않도록 전파가 외부로 유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하도록 구성된다.
즉, 도 6에 도시된 비상공랭부에 포함된 차폐부의 분해사시도를 참조하면, 차폐부(160)는 창틀형의 프레임(161)에 먼지 등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먼지 필터(163)와 내부의 전파가 외부로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는 전파 필터(165)가 차례로 겹쳐서 설치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프레임(161)의 전면에는, 전자기적 차폐를 보다 향상시키도록 압축가능한 탄성의 차폐재료로 형성된 차폐 개스킷(167)이 더 설치될 수 있다.
도 7은 비상공랭부에 포함된 개폐부 조립체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개폐부 조립체는 열교환부(120)가 설치되는 위치에서 열교환부(120)를 기준으로 상하방향으로 대칭되게 각각 설치된다.
개폐부 조립체에는 열교환부(120)으로 유입/배출되는 공기 유동을 안내하도록 덕트(150)가 구비되는데, 덕트(150)는 전면에 배치되는 전면덕트(151)과 양측면에 배치되는 측면덕트(153)가 조립되어 형성된 내부 공간을 통해 공기가 유동할 수 있는 통로를 마련하게 된다.
상부 및 하부에 각각 배치된 개폐부(131)는 플립(flip) 형상으로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가능하게 구성되며, 구동부(136)의 회전력에 의하여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폐쇄상태(a), 천이상태(b), 개방상태(c)로 작동할 수 있게 된다.
또한, 개폐부(131)는 비틀림(torsion)을 방지할 수 있도록 회전축의 중앙에 회전축보다 더 두텁게 형성된 보강부(131a)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130)는 장치(100)의 외부로부터 내부로 물 또는 오일이 침투하는 것을 막기 위하여 장착 케이스(105)와 개폐부(131)가 맞닿는 부분에 탄성을 가진 방수 개스킷(139)이 설치되어 개폐부(131)가 폐쇄된 상태에서 면접촉되며 방수되도록 구성된다.
도 8은 개폐부 조립체의 제1방향(우측 방향) 확대 사시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개폐부 조립체는 개폐부(131)를 회전시킬 수 있도록 구동부(136)와, 구동부(136)의 회전력을 개폐부(131)로 전달하는 동력전달핀(136a)과, 구동부(136)를 제어하는 제어부(135)를 포함한다.
또한, 전기 공급 중단 등 장애발생과 같은 비상시 함정에서 공급되는 전원 인가가 불가능할 때, 자동으로 안정적이며 지속적으로 전기를 공급할 수 있도록 무정전 전원공급부(170)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된 개폐부 조립체는 구동부(136)의 회전력이 동력전달핀(136a)을 통해 전달되어 개폐부(131)를 회전시키게 된다.
제어부(135)는 아날로그-디지털(AD) 컨버터와, PWM((Pulse Width Modulation) 제어가 가능한 직접회로에 구동용 H-브릿지를 내장하도록 구성할 수 있다.
제어부 브래킷(138)은 내부에 구동부(136)를 설치되고, 그 외측면에는 제어부(135)가 부착되도록 구성된다.
도 9는 개폐부 조립체의 제2방향(좌측 방향) 확대 사시도이다.
도 9를 참조하면, 개폐부 조립체는 구동부(136)의 회전력을 전달할 수 있도록 좌우측에 각각 동력전달핀(136a)이 설치되어 개폐부(131) 회전축의 양단을 형성하는데, 일측(좌측)의 동력전달핀(136a)에는 제1인터럽트 핀(132a)이 돌출 형성된다. 동력전달핀(136a)에는 원활하게 회전을 위해 부싱(136b)이 설치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개폐부(131)의 회전정도에 따라 이동되는 제1인터럽트 핀(132a)을 감지하도록 2개의 포토인터럽트 센서(133)를 소정 각도(일례로,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각각 하나씩)에 설치한다.
여기서, 포토인터럽트 센서(133)는 발광부와 수광부를 포함하여 발광부와 수광부 사이에 제1인터럽트 핀(132a)이 위치할 경우 이를 감지하도록 구성된다. 수직방향에 설치된 포토인터럽트 센서(133)가 제1인터럽트 핀(132a)을 감지할 경우, 개폐부(131)는 수직방향으로 위치되어 폐쇄된 상태가 되고, 수평방향에 설치된 포토인터럽트 센서(133)가 제1인터럽트 핀(132a)을 감지할 경우, 개폐부(131)는 수평방향으로 위치되어 개방된 상태가 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개폐부(131)의 회전상태에 연동되는 제1인터럽트 핀(132a)을 포토인터럽트 센서(133)를 통해 감지하도록 구성되어 개폐부(131)가 개방상태인지 폐쇄상태인지 인식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일측(좌측)의 동력전달핀(136a)에는 제1인터럽트 핀(132a)과 나란한 위치에 제2인터럽트 핀(132b)이 돌출 형성되며, 제2인터럽트 핀(132b)의 회전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134)가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각각 설치될 수 있다.
수직방향 및 수평방향에 각각 설치된 스토퍼(134) 및 제2인터럽트 핀(132b)에 의해 전술된 포토인터럽트 센서(133)가 제1인터럽트 핀(132a)을 감지하지 못했을 경우에도 개폐부(131)의 회전범위를 물리적으로 제한할 수 있게 된다.
센서 브래킷(137)은 포트인터럽트 센서(133)와 스토퍼(134)가 설치될 수 있는 구조를 갖는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의 작동 순서를 도시한 것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100)은, 먼저 함정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가능한지를 판단한다(S110).
판단결과, 함정에서 전원공급이 불가능할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부에 의해 전원이 공급되고(S130), 제어부를 작동시킨다(S120).
함정에서 전원공급이 가능한 경우에는 함정에서 공급되는 전원으로 제어부를 작동시킨다(S120).
이후, 수직방향에 위치한 제1 포토인터럽트센서가 제1인터럽트 핀을 감지하였는지를 체크한다(S140).
체크결과, 제1인터럽트 핀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비상공랭부가 폐쇄된 상태임을 인식한다(S150). 그러나, 체크결과, 제1인터럽트 핀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시스템 고장진단 필요' 메시지를 전송한다(S180).
즉, 비상공랭이 진행되지 않은 초기 상태에는 비상공랭부가 폐쇄되어야 하는데, 초기 상태에 비상공랭부가 개방되어 있기 때문에 시스템에 대한 점검이 필요하게 된다.
제1인터럽트 핀이 감지되어 비상공랭부가 폐쇄된 상태임을 인식한 이후에는, 제어부는 개폐부를 개방 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동부를 회전시킨다(S160).
여기서, 제어부는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비상공랭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이후 구동부를 동작시킬 수 있다.
이후, 수평방향에 위치한 제2 포토인터럽트센서가 제1인터럽트 핀을 감지하였는지를 체크한다(S170).
체크결과, 제1인터럽트 핀이 감지되면 제어부는 비상공랭부가 개방된 상태임을 인식한다(S190). 이와 같이 비상공랭부가 개방된 상태에서 비상공랭이 수행된다.
그러나, 체크결과, 제1인터럽트 핀이 감지되지 않으면 제어부는 구동부가 고장상태라고 판단하여 '구동부 고장' 메시지를 전송한다(S175).
전술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르면, 수랭식 방열 메커니즘을 갖는 장치에서 비상상황에 대처할 수 있도록 비상공랭부를 구비함으로써 고장시 장치를 끄지 않으면서 고장진단을 수행할 수 있게 된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변경 및 치환이 가능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들은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고, 이러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본 발명의 기술 사상의 범위가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보호 범위는 아래의 청구범위에 의하여 해석되어야 하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기술 사상은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101: 케이스
110: 발열부
120: 열교환부
130: 비상공랭부
131: 개폐부
140: 가압부
150: 덕트

Claims (12)

  1. 케이스;
    케이스의 내부에 설치되어 열이 발생하는 발열부;
    발열부를 냉각공기로 냉각시키도록 발열부와 덕트로 연결되는 열교환부;
    덕트 상에 설치되어 케이스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거나 차단시키도록 개폐가능하게 설치되는 개폐부를 포함하는 비상공랭부; 및
    냉각수를 케이스 내부로 유입시키고, 유출시키도록 케이스에 형성되는 유입부 및 배출부;를 포함하고,
    비상공랭부는,
    열교환부의 상단 및 하단에 각각 설치되는 상부 비상공랭부와 하부 비상공랭부로 구성되고, 각각 상부 개폐부와 하부 개폐부를 구비하고,
    비상공랭시 개방된 하부 개폐부를 통해 케이스 외부공기가 유입되고, 냉각공기가 발열부를 통과한 이후 개방된 상부 개폐부를 통해 케이스 외부로 배출되도록 구성되며,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는 각각 회동가능하게 회전축이 포함되고,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가 케이스를 폐쇄하는 위치에 대응되도록 케이스의 상부 및 하부에 각각 관통부가 형성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는,
    냉각공기가 강제로 유동되도록 덕트 상에 가압부가 구비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3. 삭제
  4. 삭제
  5. 청구항 1에 있어서,
    관통부에는
    먼지 필터와 전파 필터를 포함하는 차폐부가 설치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케이스의 내측면에는 개폐부와 맞닿는 부분에 방수 개스킷이 설치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7. 청구항 1에 있어서,
    상부 개폐부 및 하부 개폐부는,
    회전축의 중앙에 보강부가 구비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8. 청구항 1에 있어서,
    회전축의 일단에는 회전축을 회전시키는 구동부가 구비되고,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1인터럽트 핀이 돌출 형성되고,
    제1인터럽트 핀의 위치를 검출하도록 포토 인터럽트센서가 설치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회전축의 타단에는 제2인터럽트 핀이 돌출 형성되고,
    제2인터럽트 핀의 이동을 제한하는 스토퍼가 포함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10. 청구항 8에 있어서,
    발열부의 온도를 측정하여 비상공랭이 필요하다고 판단한 경우, 구동부를 동작시키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11. 청구항 10에 있어서,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는, 함정에 설치되되,
    무정전 전원공급부를 더 포함하고,
    함정에서 공급되는 전원이 동작하지 않을 경우, 무정전 전원공급부가 제어부로 전원을 인가하도록 구성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12. 청구항 10에 있어서,
    포토 인터럽트센서는,
    개폐부의 개방위치 및 폐쇄위치에 각각 설치되고,
    제어부는,
    개폐부를 개방위치에 위치하도록 구동부를 제어한 이후, 제1인터럽트 핀이 개폐부의 개방위치에서 검출되지 않은 경우, 구동부가 고장상태라고 판단하는,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KR1020200119841A 2020-09-17 2020-09-17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KR10241329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41A KR102413297B1 (ko) 2020-09-17 2020-09-17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19841A KR102413297B1 (ko) 2020-09-17 2020-09-17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93A KR20220037193A (ko) 2022-03-24
KR102413297B1 true KR102413297B1 (ko) 2022-06-27

Family

ID=8093577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19841A KR102413297B1 (ko) 2020-09-17 2020-09-17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3297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7083050A (ja) 2015-10-27 2017-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JP2018152580A (ja) * 2013-04-08 2018-09-27 マッパー・リソグラフィー・アイピー・ビー.ブイ.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15446A (ko) * 2007-08-08 2009-02-12 엠쏘정보통신(주) 냉/난방 겸용의 공조시스템을 갖는 통신함체
KR101087636B1 (ko) * 2009-09-30 2011-11-30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히트파이프형 발전장치
KR101742055B1 (ko) 2016-11-07 2017-05-31 엘아이지넥스원 주식회사 콘솔용 서브랙 및 콘솔용 서브랙의 방열팬 제어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8152580A (ja) * 2013-04-08 2018-09-27 マッパー・リソグラフィー・アイピー・ビー.ブイ. 電子機器用キャビネット
JP2017083050A (ja) 2015-10-27 2017-05-18 パナソニックIpマネジメント株式会社 冷却装置およびこれを搭載した電子機器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37193A (ko) 2022-03-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033792B1 (ko) 고장대응을 위한 자동차용 에어플랩 개폐장치
US9518503B2 (en) Cooling water control valve apparatus
CA2886079C (en) Spring-operated back-up/fail-safe module for active grille shutter systems
JP2007001503A (ja) 可動グリルシャッタ装置
US7247089B2 (en) Automatic recirculation airflow damper
KR101468874B1 (ko) 서버랙의 비상 보호장치
KR20130035368A (ko) 차량용 액티브 에어플랩 장치
CA3053377C (en) Arc resistant exhaust and intake for drives and switchgear
KR102413297B1 (ko) 비상공랭부를 갖는 수랭식 장치
US20190323429A1 (en) Engine Nacelle Heat Exchanger
US20190121219A1 (en) Shielding device
KR102413088B1 (ko) 수랭식 장치의 고장진단 및 운용방법
US20040008485A1 (en) Electronic apparatus
US20170042061A1 (en) Server fan flap and shutter system for prevention of air flow diversion
US6502628B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undirectional coolant flow control unit for pressurized cooling systems
WO2017209529A1 (ko) 압축기 및 압축기 시스템
JP4561545B2 (ja) 風量調整構造
KR101248955B1 (ko) 팬 콘트롤러의 내부 압력 및 온도 유지를 위한 에어벤트구조
KR20200138482A (ko) 통합유량제어밸브의 고장 진단방법 및 시스템
KR101040988B1 (ko) 수중함용 전기모터의 독립된 두 개의 냉각시스템
JP2003168461A (ja) 燃料電池システムの換気方法および換気装置
KR102159290B1 (ko) 차량용 egr 쿨러의 냉각수 유동 제어장치 및 제어방법
CN209067337U (zh) 一种滑移装载机散热装置
KR100192466B1 (ko) 자동변속기용 오일 냉각장치
KR101719666B1 (ko) 액티브 에어 플랩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