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352B1 -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 Google Patents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352B1
KR102410352B1 KR1020177030502A KR20177030502A KR102410352B1 KR 102410352 B1 KR102410352 B1 KR 102410352B1 KR 1020177030502 A KR1020177030502 A KR 1020177030502A KR 20177030502 A KR20177030502 A KR 20177030502A KR 102410352 B1 KR102410352 B1 KR 10241035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actor housing
melt
housing part
reactor
end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70305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130540A (ko
Inventor
헬무트 베호운
클라우스 브르제조브스키
다비드 헤헨베르거
베른하르트 피클러
토마스 피클러
Original Assignee
넥스트 제너레이션 리사이클링마쉬넨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ATA50232/2015A external-priority patent/AT516967B1/de
Priority claimed from ATA50233/2015A external-priority patent/AT516968B1/de
Application filed by 넥스트 제너레이션 리사이클링마쉬넨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넥스트 제너레이션 리사이클링마쉬넨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701305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1305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35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35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1Measuring of the operational parameters
    • B01F35/2117Weigh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2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 B01F27/724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helices or sections of helices with a single helix closely surrounded by a cas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7/0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 B01F27/60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 B01F27/73Mixers with rotary stirring devices in fixed receptacles; Kneaders with stirrers rotating about a horizontal or inclined axis with rotary disc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20Measuring; Control or regulation
    • B01F35/21Measuring
    • B01F35/2136Visco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35/00Accessories for mixers; Auxiliary operations or auxiliary devices; Parts or 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 B01F35/71Feed mechanisms
    • B01F35/717Feed mechanisms characterised by the means for feeding the components to the mix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01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having a casing closely surrounding the rotor, e.g. with a plunger for feeding the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4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38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 B29B7/4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 B29B7/42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with movable mixing or kneading devices rotary with single shaft with screw or helix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29B7/726Measuring properties of mixture, e.g. temperature or density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29B7/7466Combinations of similar mix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3/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3/78Preparation processes
    • C08G63/785Preparation processes characterised by the apparatus used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4/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n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4/02Aliphatic polycarbonates
    • C08G64/0208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 C08G64/0225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 C08G64/025Aliphatic polycarbonates saturated containing atoms other than carbon, hydrogen or oxygen containing sulfu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G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OTHERWISE THAN BY REACTIONS ONLY INVOLVING UNSATURATED CARBON-TO-CARBON BONDS
    • C08G69/00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amide link in the main chain of the macromolecule
    • C08G69/02Polyamides derived from amino-carboxylic acids or from polyamines and polycarboxylic acids
    • C08G69/04Preparatory process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FMIXING, e.g. DISSOLVING, EMULSIFYING OR DISPERSING
    • B01F2101/00Mixing characterised by the nature of the mixed materials or by the application field
    • B01F2101/2805Mixing plastics, polymer material ingredients, monomers or oligom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30Mixing; Kneading continuous, with mechanical mixing or kneading devices
    • B29B7/58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72Measuring, controlling or regul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74Mixing; Kneading using other mixers or combinations of mixers, e.g. of dissimilar mixers ; Pla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4Venting or degassing ; Removing liquids, e.g. by evaporating components
    • B29B7/845Venting, degassing or removing evaporated components in devices with rotary stirr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BPREPARATION OR PRETREATMENT OF THE MATERIAL TO BE SHAPED; MAKING GRANULES OR PREFORMS; RECOVERY OF PLASTICS OR OTHER CONSTITUENTS OF WASTE MATERIAL CONTAINING PLASTICS
    • B29B7/00Mixing; Kneading
    • B29B7/8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 B29B7/86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for working at sub- or superatmospheric pressur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W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WASTEWATER TREATMENT OR WASTE MANAGEMENT
    • Y02W30/00Technologies for solid waste management
    • Y02W30/50Reuse, recycling or recovery technologies
    • Y02W30/62Plastics recycling; Rubber recycling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rocessing And Handling Of Plastics And Other Materials For Molding In General (AREA)
  • Separation, Recovery Or Treatment Of Waste Materials Containing Plastics (AREA)
  • Other Resins Obtained By Reactions Not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AREA)
  • Processes Of Treat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제1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으로 구성된 반응기 하우징(3)을 구비한 반응기(2)를 포함하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1) 및 방법에 관한 것이며, 혼합 요소(12)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되고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장치되며, 상기 반응기는 배출 장치(19) 및 이들 사이에 연결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와 함께 접촉 구역에 지지된다.

Description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본 발명은 플라스틱 용융물, 특히 중축합 용융물을 처리하며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출원인에 의한 WO 2014/040099 A1은 부압 하에서 중축합 용융물의 고유 점도를 증가시키는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용융물은 다수의 개구를 갖는 다공성 플레이트 또는 스크린을 통해 20 mbar 미만의 압력이 존재하는 챔버 내로 보내지고, 상기 용융물은 얇은 필라멘트로 자유 낙하 방식으로 상기 챔버를 통과하고, 챔버 아래의 수집 용기에서 적어도 1 분 동안 머무른다. 수집 용기에서, 용융물은 수집 용기의 기부와 관련하여 수평 위치로 배향된 혼합 및 배출 부에 의해 진공 상태에서 일정하게 이동되며, 혼합 및 배출 부는 용융물에 의해 완전히 덮여지지 않는다. 자유 공간이 용융물의 위에 남아 있고, 용융물의 표면은 혼합 및 배출 부의 회전 운동의 결과로서 반복적으로 파괴되고 반복적으로 갱신된다. 용융물이 체류하고 상기 용융물이 움직이게 유지된다는 사실로 인해, 얇은 필라멘트로 시작하는 용융물 조(melt bath)에서의 중축합이 계속된다. 최종적으로 용융물은 공동으로 형성된 혼합 및 배출 부에 의해 수집 용기로부터 배출된다.
JP 2002/254432 A는 모터에 의해 구동되는 운반 장치에 의해 사출 성형기의 가소화 유닛에 간헐적으로 운반되는, 가소화 될 물질을 수용하기 위한 수용 깔대기를 개시하고 있다. 수용 깔대기는 모터 및 이송 장치와 함께 계량 셀에 장착된다. 계량 셀에 의해, 수용 깔대기에 수용된 재료의 중량이 측정될 수 있으며, 따라서 충분한 재료가 사출 성형기의 가소화 유닛으로의 전진 이송에 이용 가능한지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사출 성형기의 가소화 유닛에 전달되는 재료의 배출량의 중량이 결정될 수 있다. 그러나, 이것은 전진 이송 중에 새로운 재료가 수용 깔대기로 공급되지 않는 경우에만 가능하다. 수용 깔대기에 공급되는 재료의 공급량의 중량을 간헐적으로 배출되는 배출량의 중량과 조화롭게 함으로써, 소정의 기간 동안 연속적이며 사출 성형기 하류로 운반되는 재료의 처리량을 측정하고 설정할 수 있다. 여기서의 단점은 압출기로부터 용융물이 배출되는 시점까지는, 공급된 원료의 양 또는 질량을 직접 모니터링 하는 것이 전혀 가능하지 않다는 것이다.
JP 2011-131381 A는 배출 섹션 아래에 배치된 제1 충전 깔때기 및 제2 충전 깔대기를 포함하는 유사한 디자인의 장치를 개시하였다. 제2 충전 깔때기의 배출부는 컨베이어 내로 개방되어 있다. 제2 충전 깔대기와 그 아래에 배치된 컨베이어는 계량 장치에 공동으로 지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충전 깔대기에 공급되어 배출되는 원료의 중량 변화가 결정될 수 있다. 원료는 컨베이어에 의해 하류에 배치된 압출기에 공급된다. 이 경우에도, 압출기로부터 용융물이 배출되는 시점까지는, 공급된 원료의 양 또는 질량을 직접 모니터링이 불가능하다는 단점이 있다.
EP 1 302 501 A2에는 중합체 생성물의 후처리-중축합을 촉진시키는 방법 및 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미리 준비된 용융물은 수직 방향으로 진공 챔버를 통과 할 때 용융물이 필라멘트 형태를 취하기 위해 다수의 구멍을 구비한 압출 플레이트를 통하여 이송된다. 챔버 아래에, 용융물 조가 각각의 용융 필라멘트로부터 형성되는 수집 용기가 배열된다. 일부의 양이 상기 용융물 조로부터 추출되고, 이미 처리된 용융물로서 특정 양의 비율로 용융 원료 제품의 공급 라인에 공급된다. 원료로부터 용융물을 형성하기 위한 상기 혼합물 및 추가로 공급되는, 이미 처리된 용융물이 다수의 구멍을 갖는 압출 플레이트를 통해 감압된 챔버로 다시 공급된다. 이송 펌프로의 배출 라인은 깔대기의 형태인 수집 용기의 하단부에 연결된다.
DE 2 243 024 A에는 거대 분자 PET를 제조하는 장치가 기재되어 있다. 이 장치는 상부 단부에 용융물 입구, 하부 단부에 용융물 출구 및 휘발성 물질을 위한 추출 포트를 구비한 수직으로 배열된 원통형 용기로 구성된다. 용기의 중간에 샤프트가 수직으로 배열되고, 샤프트 주위에는 수직의 고정된 물질 전달 플레이트가 배치된다. 각 경우에 분배기 공간은 물질 전달 플레이트 위에 제공되고 수집 공간은 상기 물질 전달 플레이트 아래에 제공된다. 분배기 공간과 그 위에 위치한 스테이지의 수집 공간 사이에는, 샤프트가 안내되는 연결 파이프가 장착되어 있다. 샤프트는 연결 파이프를 통해 돌출된 부분에서 각각의 경우 분배기 공간으로 운반 작용을 부여하는 압출기 샤프트로서 형성된다.
WO 2012/119165 A1은 부압 하에서 플라스틱 용융물로부터 오염물을 제거하기 위한 방법 및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이 경우에 플라스틱 용융물은 다수의 개구를 갖는 천공된 플레이트 또는 스크린을 통해 20 mbar 미만의 압력이 존재하는 챔버로 공급된다. 이 경우에 개구부로부터 나오는 용융물은 챔버를 통해 자유 낙하 방식으로 통과하는 얇은 필라멘트를 형성하고, 챔버 아래에서 상기 용융물은 수집 깔대기의 형태의 수집 용기에 수집되고, 용융물이 수집 깔때기의 하부 단부에서 출구 개구를 통해 수집 깔대기로부터 유출되거나 수집 깔대기로부터 추출될 때까지 상기 용융물은 그 내부에 체류한다, 플라스틱 용융물을 연결 라인 또는 수집 라인으로 펌핑할 수 있는, 용융물 펌프 또는 이송 스크류가 상기 출구 개구부에만 인접하여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려는 문제는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균일한 재료 품질을 얻기 위하여, 플라스틱 용융물에 대해 진행하는 처리 공정에서 일정한 처리 조건을 생성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상기 문제는, 상부 단부 영역과 하부 단부 영역이 있고 상기 상부 단부 영역과 상기 하부 단부 영역 사이에 연장하는 챔버 부분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갖는 반응기 하우징을 구비한 반응기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용융물, 특히 중축합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로 해결될 수 있는데, 상기 제1 챔버 부분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반응기 하우징은 적어도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하부 단부 영역의 영역에 상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과 직접 인접하며 제2 챔버 부분이 있는 적어도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2 개의 챔버 부분은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상부 단부 영역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내로 개방되고,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치되고, 상기 혼합 요소는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장착되고, 혼합 요소는 구동과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어 있는 장치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고, 용융물 펌프의 형태 또는 압출기의 형태인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배출 장치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출구 개구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배출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개재하여 상기 기립 표면에 또한 지지되고, 배출 장치는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장치는 혼합 요소의 제1 구동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장치의 진행 작동 중에 플라스틱 용융물의 양 또는 중량 균형이 소정의 한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그러나, 이에 따라 플라스틱 용융물의 양 및 그와 관련하여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고유 점도가 설정되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가능한 중량 모니터링을 통해, 공급될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과 관련하여 추출된 중량의 안정적인 균형이 항상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표면의 레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적절한 자유 공간이 항상 용융물 표면 위에 유지될 수 있고, 혼합 요소에 의한 용융물의 추가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용융물에 작용할 수 있다. 전용 배출 장치의 제공을 통해, 처리된 용융물의 추출이 혼합 요소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분리에 의해, 처리될 용융물의 사전 설정된 소정 값이 달성될 때까지 혼합 공정의 강도 및 지속 시간이 추출과 무관하게 실행될 수 있다. 전용 지지부에 의해, 여전히 장치의 영역에 위치하는 용융물의 중량 분율을 결정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해 더욱 양호한 처리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혼합 요소가 구동과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면, 원하는 고유 점도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토출량과 무관한 혼합 공정이 가능해진다. 혼합 요소와 배출 장치의 구동의 분리의 결과로서, 혼합 공정의 강도 및 기간은 용융물의 추출이 실행되어야 할 때까지 실현될 수 있다.
배출 장치가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장치가 혼합 요소의 제1 구동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반응기로부터 용융물의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은 수행될 혼합 및 처리 공정과 무관하게 규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을 또한 포함하고 적어도 반응기,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에 유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 방식으로, 목표하는 지지 및 더욱 정확하게 사전 설정된 지지 지점이 실현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그 위에 유지되는 반응기와 함께 지지 프레임이 복수의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따라서, 전체 중량의 정확한 측정을 달성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기립 표면과 관련하여 지면에 근접하게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반응기로부터 또는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돌려지고 기립 표면을 향한 측에서 기부 프레임에 지지되고, 기부 프레임은 휠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된다. 이 방식으로 반응기의 설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장치 구성요소에 대해 지지 프레임과 함께 반응기의 개별적인 배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반응기,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이 지지 프레임의 매달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유지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따라서, 중량 측정이 모든 작동 상태에서 쉽고 신뢰성 있게 실행되는 것도 마찬가지로 가능하다. 이 방식으로, 가능한 진동 또는 다른 교란 영향은 더욱 양호하게 차단되고 보상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계량 셀 또는 인장 스케일 세트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제어 장치에 대한 통신 접속을 갖는다는 점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용융물의 고유 점도 값을 더욱 정확하게 고수할 수 있도록, 제어된 및/또는 조절된 처리 공정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은 관형(tubular form)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종방향 크기 및 용융물을 위한 관련 처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이,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배향되고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및 제2 단부 영역이 있는, 종방향 크기를 갖는다는 점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의 최적 처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전체 종방향 크기에 걸쳐 연장되는 처리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혼합 요소의 회전축이 관형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원형의 내부 단면을 갖는 파이프 또는 파이프 피스의 경우, 혼합 요소의 외부 단면 치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용융물의 과도한 축적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내부 벽에 대해 1.0mm 미만의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호하고 적절한 혼합 작용뿐만 아니라 용기 내벽에 대한 일정한 스트리핑 효과(stripping effect)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내벽에 대해 1.0mm보다 큰, 특히 20mm보다 큰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간극 공간의 확대의 결과로서, 혼합 및 처리 공정 동안 용융물의 일정한 역류가 허용되고, 이에 의해 용융물의 내부 순환의 결과로서 더욱 양호한 처리 작용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부 영역 사이의 제2 챔버 부분의 종방향 크기에 걸쳐서 연장되고 제2 챔버 부분에 전체적으로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로써 달성되는 이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 내에서 혼합 요소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해 전체 길이가 이용 가능하다는 사실에 있다.
삭제
삭제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두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챔버 부분이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흡인 추출 라인를 통해 부압 발생기에 연결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진행중인 처리 공정에서 형성되고 처리 공정으로부터 배출되며 용융물에 속하지 않는 성분들이 반응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중축합 공정이 용융물 내에서 개시되고 추가로 계속 될 수 있다.
추가적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흡인 추출 라인이 적어도 영역에서 가열 요소를 구비하고 있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흡입 추출 라인 내에서 성분, 특히 배출할 물 또는 다른 물질의 응축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제2 단부 영역의 영역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기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 영역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따라서, 반응기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용융물을 위한 목표 추출 영역이 실현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문제는 또한 독립적으로, 제17항에 특정 된 특징에 따라 플라스틱 용융물, 특히 중축합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는 방법에 의해 또한 해결된다. 상기 청구항의 특징들의 조합으로부터 달성되는 이점들은 장치, 특히 반응기의 함께 사용되는 배출 장치의 계속적인 작동 동안 플라스틱 용융물의 양 또는 중량 균형이 사전 설정된 한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배출 장치의 전용 지지에 의해, 장치의 영역에 여전히 위치하는 용융물의 중량 분율을 결정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한 더욱 양호하게 적용된 처리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용융물의 양 및 그와 관련하여,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에 따라 고유 점도가 설정되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배출 장치와 함께 반응기의 중량을 지속적으로 모니터링 함으로써, 공급될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과 관련하여 추출되는 중량의 조화로운 균형이 항상 설정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표면의 레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적절한 자유 공간이 항상 용융물 표면 위에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혼합 요소에 의한 용융물의 추가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혼합 요소가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는 경우, 원하는 고유 점도를 달성하기 위한 목적을 위해 배출량과 무관한 혼합 공정이 가능해진다. 혼합 요소와 배출 장치의 구동의 분리의 결과로서, 혼합 공정의 강도 및 지속 시간은 용융물의 추출이 수행되어야 할 때까지 실현될 수 있다.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치된 출구 개구에 인접하도록 배열된 배출 장치가 제2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제2 구동 장치가 혼합 요소의 제1 구동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기로부터의 용융물의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은 실행될 혼합 및 처리 공정과 독립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은 반응기에 공급되는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 다수의 얇은 용융물 필라멘트로 분리되고, 얇은 용융물 필라멘트가 자유 낙하 방식으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통과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이 필라멘트 형태로 분리됨으로써, 더욱 양호한 처리 공정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배출될 성분은 표면으로 통과할 수 있고, 따라서 보다 효과적인 방식으로 반응기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삭제
방법의 변형예는 또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제2 챔버 부분에서의 플라스틱 용융물이 혼합 요소에 의해 이동되고 일정하게 혼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반응기 부분에서 시작된 처리 공정, 특히 중축합이 더 계속되고, 따라서 고유 점도가 더욱 증가한다.
다른 유리한 접근법은 2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 부분이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으로 배기(evacuated) 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더욱 양호한 처리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방법의 변형예는 또한 제2 챔버 부분의 용융물 조의 용융물 표면이 혼합 요소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이 혼합 중에 용융물 조의 용융물 표면에 작용한다는 점에서 유리하다. 이로써 달성되는 이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 내에서 혼합 요소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체 길이가 이용 가능하다는 사실에 있다.
또한, 플라스틱 용융물의 용융물 표면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제2 챔버 부분의 미리 정의된 설정점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2 챔버의 높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 표면의 파괴 및 일정한 갱신이 용융물 표면 위에 남아있는 자유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반응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존재하는 경우, 이러한 부압을 용융물에 완전히 지탱되도록 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제2 챔버 부분으로부터의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종축에 대해 3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용융 표면 아래에서 실행되는 접근법이 유리하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충전 레벨의 경우, 용융물 표면이 추출 개구 내로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이 중단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 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 결과로서 연속적 추출 과정의 원치않는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삭제
또한, 측정 장치를 사용하여,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측정 값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출구 개구의 영역 또는 상기 영역에 직접 인접한 배출 섹션에서 측정되는 접근법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중인 처리 동안 항상 고유 점도의 직접적인 측정이 실행될 수 있고, 실행될 처리 공정은 폐기물이 전혀 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적은 양으로 발생하게 신속하게 재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상기 문제점은 또한, 반응기 하우징이 2 개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및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포함하고, 두 개의 수평으로 배열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은 제2 단부 영역에서 서로를 향하도록 배치되고 단일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제2 단부 영역에서 서로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기부 영역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는 각각의 경우에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1 및 제2 단부 영역 사이에서 제2 챔버 부분의 길이 방향 크기에 걸쳐 연장되며 각각의 제2 챔버 부분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에서 해결될 수 있다.
이에 의해 달성되는 이점은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각각의 두 배 제공을 통해 더 많은 양의 용융물이 관련 반응기에서 처리될 수 있고 동시에, 처리된 용융물의 품질이 더욱 향상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2 개의 수직으로 배향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의 각각의 경우에서 시작하여 용융물의 동시 처리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의 이후의 추가 처리를 통해, 장치와 관련하여 상대적으로 작은 공간 요구 및 비용으로 용융물의 신속한 처리를 실현하는 동시에 단위 시간당 더 많은 양의 처리량을 달성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 혼합 요소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전체 길이가 이용 가능하며, 또한 반응기 하우징 부분으로부터의 용융물을 위한 목표 추출 영역이 실현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충전 레벨의 경우, 용융물 표면이 추출 개구 내로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이 중단될 수 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이것은 다음의 결과로서 연속적 추출 공정의 원치않는 중단을 초래할 수 있다. 더욱이, 혼합 요소가 챔버 부분 내에 전체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용융물의 중단없는 처리가 추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더 목표화되고 보다 집중적인 용융물의 처리가 실행될 수 있고, 이에 의해 더욱 양호하거나 더욱 높은 고유 점도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진행중인 처리 공정을 통해 배출되어야 하고 용융물에 속하지 않는 성분들이 반응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배출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중축합 공정이 용융물 내에서 개시되고 추가로 계속 될 수 있다. 또한 용융물의 최적 처리를 달성할 수 있도록,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전체 종방향 크기에 걸쳐 연장되는 처리 공간이 생성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은 관형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규정된 종방향 크기 및 용융물에 대한 관련 처리 경로가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혼합 요소의 회전축이 관형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특히 원형의 내부 단면을 갖는 파이프 또는 파이프 피스의 경우, 혼합 요소의 외부 단면 치수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용융물의 과도한 축적이 방지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내벽에 대해 1.0mm 미만의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양호하고 적절한 혼합 작용뿐만 아니라 용기 내벽에 대한 일정한 스트리핑 효과가 달성될 수 있다.
또한,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내벽에 대해 1.0mm보다 큰, 특히 20mm보다 큰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이 유리하다. 간극 공간의 확대의 결과로서, 혼합 및 처리 공정 동안 용융물의 일정한 역류가 허용되어, 용융물의 내부 순환의 결과로서 더욱 우수한 처리 작용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독립적인 혼합 요소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각각에 제공되고, 각각의 혼합 요소는 구동과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에 연결되는 것을 제공한다. 따라서, 원하는 고유 점도를 달성하기 위해 배출량과 무관한 혼합 공정이 가능해진다. 혼합 요소 및 배출 장치의 구동의 분리의 결과로서, 혼합 공정의 강도 및 지속 시간은 용융물의 추출이 실행되어야 할 때까지 실행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열된 혼합 요소가 하나의 일관된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혼합 요소가 반대로 배향된 기울기를 갖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혼합 요소는 하나의 단일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고, 이로써 장치 부품이 절감될 수 있다. 반대로 배향된 기울기로 인해, 혼합 요소가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되는 경우, 서로 마주하는 단부 영역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를 향하는 용융물의 이송 운동이 달성된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종축을 관통하는 수평 평면 아래에 3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배치되는 특징이 있다.
다른 실시예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배출 장치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따라서, 전용 배출 장치의 제공을 통해, 처리된 용융물의 추출이 혼합 요소와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상기 분리의 결과로서, 혼합 공정의 강도 및 지속 시간은 처리될 용융물의 소정 값이 달성될 때까지 추출과 독립적으로 실행될 수 있다.
다른 바람직한 실시예는 배출 장치가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장치가 하나 이상의 혼합 요소의 하나 이상의 제1 구동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기로부터의 용융물의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은 실행될 혼합 및 처리 공정과 독립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반응기가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로써 달성되는 이점은 장치의 진행하는 작동 중에 플라스틱 용융물의 양 또는 중량 균형이 소정의 한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게 한다는 사실에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용융물의 양 및 그와 관련하여,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고유 점도가 설정되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가능한 중량 모니터링을 통해, 공급될 용융물의 중량에 대한 추출된 중량의 조화로운 균형을 항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표면의 레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적절한 자유 공간이 항상 용융물 표면 위에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혼합 요소에 의한 용융물의 추가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용융물에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장치가 지지 프레임을 또한 포함하고, 적어도 반응기,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이 지지 프레임에 유지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이 방식으로 목표하는 지지 및 더욱 정확히 미리 정해진 지지 지점이 실현될 수 있다.
다른 가능한 실시예는 그 위에 유지되는 반응기와 함께 지지 프레임이 복수의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전체 중량을 정확히 측정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기립 표면과 관련하여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제공한다.
다른 실시예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반응기로부터 또는 지지 프레임으로부터 돌려져서 기립 표면을 향해 대면하는 측에서 기부 프레임에 지지되고, 기부 프레임이 휠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이 방식으로 반응기의 설치 위치가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다른 장치 구성요소에 대해 지지 프레임과 함께 반응기의 개별적인 배향을 실현하는 것도 가능하다.
추가의 바람직한 실시예는 적어도 반응기,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이 지지 프레임의 매달린 위치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통해 지지 프레임에 유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마찬가지로, 중량 측정이 모든 작동 상태에서 쉽고 신뢰성있게 실행될 수 있다. 이 방식으로, 가능한 진동 또는 다른 교란 영향이 더욱 양호하게 차단되고 보상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중량 측정 셀 또는 인장 스케일 세트에 의해 형성되고,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가 제어 장치에 대한 통신 접속을 갖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설정될 용융물의 고유 점도 값을 보다 정확하게 고수할 수 있도록, 제어된 및/또는 조절된 처리 공정이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는 배출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또한 지지된다는 사실에 의해 구별된다. 그러나, 전용 지지에 의해, 여전히 장치 영역에 위치하는 용융물의 중량 분율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한 보다 양호하게 적용된 처리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에 의해 다루어지는 문제점은 또한 제47항에 특정된 특징에 따라 플라스틱 용융물, 특히 중축합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는 추가 방법에 의해 독립적으로 해결될 수 있다. 상기 청구항의 특징들의 조합으로부터 달성되는 장점은, 이러한 방식으로 각각의 경우에 2 개의 제1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제공함으로써, 단위 시간당 처리될 용융물의 양이 증가 될 수 있고, 이 공정에서 반응기의 출구에서 용융물의 품질을 적절히 유지하면서 생산성을 증가시킬 수 있다. 따라서, 각각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 용융물의 개별적인 처리가 실행될 수 있으며, 중앙 영역에서 두 용융물의 혼합이 이루어지며, 반응기로부터 추출된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미세하고 더욱 정확한 설정이 가능하다. 또한,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서, 혼합 요소에 의한 플라스틱 용융물의 처리를 위한 전체 길이가 이용 가능하며,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으로부터 용융물에 대한 목표 추출 영역이 실현될 수 있다. 따라서, 비교적 낮은 충전 레벨의 경우, 용융물 표면이 추출 개구 내로 연장되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이 중단될 수있는 상황을 방지할 수 있다. 그렇지 않았다면 이것은 다음 결과로서 연속적 추출의 원치않는 중단으로 이어질 수 있다. 또한, 혼합 요소가 챔버 부분 내에 전체적으로 배열됨으로써, 용융물의 중단없는 처리가 추출에 의해 영향을 받지 않는 방식으로 실행될 수 있다. 따라서 더욱더 목표화되고 보다 집중적인 용융물의 처리가 실행되고, 이에 의해 더욱 양호하거나 더욱 높은 고유 점도가 달성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접근법은 독립적인 혼합 요소가 각각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제공되고 각각의 혼합 요소는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따라서, 원하는 고유 점도를 달성하기 위해 배출량과 무관한 혼합 공정이 가능해진다. 혼합 요소 및 배출 장치의 구동의 분리의 결과로서, 혼합 공정의 강도 및 지속 시간은 용융물의 추출이 실행되어야 할 때까지 실행될 수 있다.
또한, 두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열된 혼합 요소가 하나의 일관된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혼합 요소가 반대로 배향된 기울기로 형성되는 방식이 유리하다. 따라서, 혼합 요소는 단일의 제1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될 수 있어, 장치 부품이 절감될 수 있다.
방법의 변형예는 또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각각의 제2 챔버 부분에서의 플라스틱 용융물이 혼합 요소에 의해 이동되고 일정하게 혼합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1 반응기 부분에서 시작된 처리 공정, 특히 중축합이 더 계속되고, 따라서 고유 점도가 더욱 증가한다.
다른 접근법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배열된 출구 개구에 인접하도록 배치된 배출 장치가 제2 구동 장치에 의해 구동되고, 제2 구동 장치는 하나 이상의 혼합 요소의 하나 이상의 제1 구동 장치와 독립적으로 구동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반응기로부터의 용융물의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은 실행될 혼합 및 처리 공정과 독립적으로 규정될 수 있다.
또한, 유리한 접근법에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에 의해, 먼저 플라스틱 용융물이 없는 반응기 자체의 중량의 제1 측정 값이 측정되고 제어 장치에 전송되고 가능하게는 제어 장치에 저장되며,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이 그 후에 반응기로 공급되고,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제2 챔버 부분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소정의 충전 레벨 및 용융물 표면의 관련 레벨에 도달할 때,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에 의해 제2 측정 값이 측정되고 제어 장치로 전송되고 가능하게는 제어 장치에 저장되고, 이어서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측정 값에서 제1 측정 값을 제산하여 차이 값이 결정되고, 제2 반응기 하우징으로부터 추출되는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어 장치에 의해, 처리할 공급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이 미리 정해진 한계 내에서 이전에 결정된 차이 값에 대해 균형을 유지한다. 이로써 달성되는 이점은 장치의 진행하는 작동 중에 플라스틱 용융물의 양 또는 중량 균형이 소정의 한계 내에서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는 사실에 있다. 또한, 플라스틱의 용융물의 품질 및 그와 관련하여, 추출량 또는 추출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고유 점도가 설정되고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다. 따라서, 계속적으로 가능한 중량 모니터링을 통해, 공급될 용융물의 중량에 대해 추출된 중량의 조화로운 균형을 항상 설정할 수 있다. 따라서 용융물 표면의 레벨이 비교적 일정하게 유지될 수 있어서, 적절한 자유 공간이 항상 용융물 표면 위에 유지될 수 있고, 따라서 혼합 요소에 의한 용융물의 추가 처리가 방해받지 않는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해 작용할 수 있다.
다른 유리한 접근법은 배출 장치가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그러나, 전용 지지에 의해, 여전히 장치 영역에 위치하는 용융물의 중량 분율을 결정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에 대한 보다 양호하게 적응된 처리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방법의 변형예는 측정 장치에 의해,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측정 값이 출구 개구의 영역 또는 상기 영역에 직접 인접한 배출 섹션에서 측정되는 것이 유리하다. 이러한 방식으로, 진행중인 처리 공정 동안 항상 고유 점도의 직접적인 측정이 실행될 수 있고, 실행될 처리 공정이 폐기물이 발생하지 않거나 단지 적은 양으로 발생하도록 신속하게 개재될 수 있다.
다른 접근법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제2 챔버 부분의 미리 결정된 충전 레벨의 경우에 플라스틱 용융물의 용융 표면이 제2 챔버 부분의 높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한다는 사실로 구별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 표면의 파괴 및 일정한 갱신이 용융물 표면 위에 남아있는 자유 공간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반응기 내부 공간에 부압이 존재하는 경우, 이것을 용융물이 충분히 지탱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본 발명은 도면들에 기초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다.
도면들은 각각의 경우에 매우 단순화된 개략도로 도시되어 있다.
도 1은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반응기를 갖는 설비의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Ⅱ-Ⅱ 선을 따라, 반응기 하우징의 일부를 단면도로 도시한다.
도 3은 기립 표면에 반응기를 지지하는 다른 가능한 장치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다수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장치를 구비한 반응기의 다른 가능한 설계 변형을 도시한 도면이다.
서론으로, 설명되는 다양한 실시예들에서 동일한 부분은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 명칭으로 표시되며, 전체적으로 설명에 포함된 개시 내용은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동일한 구성 요소 명칭을 갖는 동일한 부분으로 유사하게 대체될 수 있음을 유의해야 한다. 또한, 예를 들어 위, 아래, 측면 등과 같은 설명에서 선택된 위치 용어는 각각 기술되고 제시되는 도면과 관련되며, 위치의 변화가 있는 경우에는 이러한 위치 용어가 새로운 위치로 유사하게 대체되어야 한다.
아래에서, "특히"라는 표현은 참조되는 대상물 또는 방법 단계의 가능한 보다 구체적인 실시예 또는 보다 정확한 사양을 구성할 수 있지만, 본질적인 바람직한 실시예 또는 방안을 반드시 나타낼 필요가 없다는 것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3은 플라스틱 용융물, 특히 중축합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1)의 일부를 단순화된 형태로 도시한다. 처리는 특히 그 고유 점도의 설정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일반적으로 또는 바람직하게는, 플라스틱 용융물은 새로운 재료 또는 재활용 재료로부터 형성된다. 예를 들어, 재활용 재료가 사용되는 경우,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품을 제조하기 위해 이미 실행된 처리로 인해 더 낮은 고유 점도 값을 갖는다. 중축합의 경우,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 값을 증가시키기 위해, 단량체가 예를 들어 물과 같은 반응 생성물을 분열시켜 함께 연결되는 중축합 공정이 실행되어야 한다. 상기 연결 과정은 사슬 성장과 관련이 있으며, 이로써 분자 사슬 길이가 또한 증가하고, 이로부터 생성된 제품의 기계적 특성에 상당한 영향을 미친다. 이 공정은 신제품의 생산뿐만 아니라 그러한 제품의 재활용에서 매우 특별하게 중요한 역할을 하는 데 중요하다. 처리될 재활용 재료는, 예를 들어 먼저 분류, 분쇄, 세정, 용융, 가스 제거 및 여과될 수 있다. 바람직하지 않은 첨가제의 상기 플라스틱 용융물을 추가로 정제할 뿐만 아니라 고유 점도를 원하는 값으로 설정하기 위해, 이와 같이 준비된 플라스틱 용융물은 장치(1)에서 처리된다. 이것은 통상적으로 고유 점도의 증가를 포함하지만, 점도의 저하를 또한 포함할 수 있다. 중축합 용융물은 열가소성 물질, 예를 들면 PET, PBT; PEN, PC, PA 또는 폴리에스테르 등으로 구성된 재료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도시된 장치(1)는 간략화된 형태로 도시되고 그 자체가 적어도 하나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 이에 직접 인접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가진 반응기 하우징(3)을 포함하는 반응기(2)를 포함한다.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은 차례로 상부 단부 영역(6) 및 이로부터 거리를 두고 배치된 하부 단부 영역(7)을 갖는다. 제1 챔버 부분(8)은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내에서 상부 단부 영역(6)과 하부 단부 영역(7) 사이에 연장한다.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은 상부 단부 영역(6)과 하부 단부 영역(7) 사이에 수직 배향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며, 이에 의해 제1 챔버 부분(8)은 또한 상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내에 수직 높이 범위를 갖는다. 따라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은 대략 탑형 구조를 구성한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적어도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마찬가지로 반응기 하우징(3)의 구성 부분이고, 상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에 직접 인접하도록 적어도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의 영역에 배치된다.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제2 챔버 부분(9)을 형성하거나 둘러싼다. 2 개의 챔버 부분(8, 9)은 서로 유동 연결을 가지며, 따라서 적어도 반응기(2)의 채워지지 않은 작동 상태에서 서로 연결된다.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이 하나 또는 다수의 구성 요소로부터 조립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2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의 상이한 길이 또는 높이가 선택될 수 있다.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 부분(8, 9) 내에 대기의 침입을 방지할 수 있도록, 상기 챔버 부분들은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되도록 설계될 수도 있다.
또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의 영역에는,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에,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내로 개방된 것이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처리 될 플라스틱 용융물은 처리를 위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반응기(2), 특히 반응기 하우징(3)으로부터 플라스틱 용융물을 배출 또는 추출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또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되거나 형성된다.
반응기 하우징(3)에 위치한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가 처리를 위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는 내부에 수용되는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가 배치될 수도 있다.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장착되어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여기서, 회전축(13)은 반드시 일관하여 연장하는 물리적인 축을 구성할 필요는 없으며 단순히 가상의 축을 구성할 수도 있다는 것을 유의해야 한다. 혼합 요소(12)는 다양한 방식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혼합하기 위한 목적으로 다수의 디스크 형태 요소들이 서로 차례대로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혼합 요소(12)는 하나 이상의 나선형 웹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혼합 요소(12)는 주로 용융물 표면 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 위치한 용융 조의 표면을 움직이게 유지하고 상기 용융물 표면을 파열시킴으로써 지속적으로 갱신하도록 작용한다. 이러한 처리 공정에 의해, 예를 들어 제1 챔버 부분(8)에서 시작되는 중축합이 더 계속될 수 있어서, 고유 점도의 추가적인 증가가 달성될 수 있다. 혼합 요소(12)는 어떠한 운반 작용도 없이 혼합 공정만을 실행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러나 이와는 독립적으로, 배출 요소(12)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에 특정 운반 작용이 가해져 출구 개구(11) 로의 목표하는 전진 이송을 실현할 수도 있다. 또한, 서로 다른 구역들이 서로 줄지어 형성될 수 있다.
2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은 그 공간 형상과 관련하여 다양한 방식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관형 일 수 있다. "관형"은 바람직하게는 원형의 단면을 의미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단면 치수는 예를 들어 약 600 mm의 직경을 가질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다각형, 계란형 또는 타원형과 같은 다른 단면 형상도 또한 고려 될 수 있다. 서로에 대한 두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의 길이 비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길이에 대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길이 또는 높이에 기초한 것일 수 있으며, 예를 들어 1 : 0.5 내지 1 : 4, 바람직하게는 1 : 1 내지 1 : 3이다.
또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에서, 공급 라인(10)을 통해 공급된 용융물 유동은 천공된 플레이트 또는 스크린을 통해 실행될 수 있는데, 특히 용융물에 작용하는 압력으로 다수의 얇은 용융 필라멘트를 생성시킨다. 얇은 용융 필라멘트는 제1 챔버 부분(8)을 자유 낙하 방식으로 통과한다. 여기서, 개구 또는 구멍의 수는 질량 처리량에 대응하여 적합하게 될 수 있다. 또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높이 또는 길이에 의해, 용융물 유동 또는 얇은 용융 필라멘트의 하강 지속 시간이 영향을 받을 수 있다.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이 더욱 크거나 길어지도록 형성될 수록, 상기 섹션 내의 용융물의 처리 지속 시간이 또한 영향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중력에 의해 개개의 용융 필라멘트의 박막화가 발생할 수 있다.
반응기(2),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3)은 처리될 플라스틱 물질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상응하는 온도로 유지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공된 온도 제어 요소는 다양한 온도 제어 매체로 공급되거나 작동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액체 및/또는 기체 온도 제어 매체가 반응기(2), 특히 반응기 하우징(3) 주위로 유동할 수 있다. 그러나,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와 같은 다른 에너지 캐리어 또는 에너지 형태의 사용도 가능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의 챔버 부분(8, 9)은 유동에 관하여 서로 연결되고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된다. 또한, 챔버 부분(8, 9)이 주변 압력과 관련하여 낮은 압력으로 낮아질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하나 이상의 포트 개구가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 중 적어도 하나에 제공될 수 있으며, 포트 개구는 유동과 관련하여 적어도 하나의 흡입-추출 라인(14)을 통해 부압 발생기(상세하게 도시되지 않음)에 연결된다. 예를 들어 챔버 부분(8, 9) 내의 균일한 하강 압력을 얻기 위해 다수의 포트 개구가 제공될 수 있으며, 이들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분포되는 방식으로 배열될 수 있다. 포트 개구 및 그곳에 연결된 흡입-추출 라인(14)은 바람직하게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상부 측에 배치된다. 두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 부분(8)은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으로 배기 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0.5 mbar 내지 20 mbar의 압력이 선택된다. 챔버 부분(8, 9)에서 부압이 클수록 그리고 절대 압력이 낮을수록, 플라스틱 용융물의 처리 결과가 더욱 빠르고 효과적이다. 이러한 결과는 또한 처리될 플라스틱 물질에 따라 선택되어야 하는 챔버 부분(8, 9)에서의 지배적인 온도에 좌우된다.
또한, 상이한 압력을 갖는 상이한 구역, 즉 상이한 진공 레벨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 내에 제공되도록 하는 것이 또한 가능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 부분(8, 9)에서, 차동 진공이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5) 중 적어도 하나에서 실현될 수 있다. 이러한 차동 진공 또는 상이한 압력은 예를 들어 차동 펌핑에 의해 달성될 수 있다. 상이한 구역은 천공된 플레이트, 스크린, 중간 플레이트 또는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의 협소부 또는 다른 유동 방해물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흡입-추출 라인(14)이 적어도 가열 요소가 있는 영역에 장착되거나 둘러싸일 수도 있다. 가열 요소는 예를 들어 전기 에너지로 작동되는 가열 요소일 수 있다. 그러나, 흡입-추출 라인(14)이 그 외측에 그로부터 또는 그로부터 간격을 두고 배치된 케이싱 요소로 둘러싸일 수도 있고, 예를 들어 온도 조절 매체, 예를 들어 상응하는 온도의 액체 또는 가스를 흡입-추출 라인(14)과 케이싱 요소 사이에 형성된 중간 공간을 통해 인도되게 할 수도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챔버 부분(8, 9)으로부터 흡입에 의해 추출될 성분이 흡입-추출 라인(14)에서 응축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은 바람직하게는 수직 배향을 갖는다. 예시적인 본 실시예에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 길이 방향 크기를 가지며, 서로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단부 영역(15, 16)을 갖는다. 이러한 방식으로, "L"자 형상의 2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이 형성된다.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이 원형 단면인 경우에 바람직하게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는 장치를 갖는다. 따라서, 원형 파이프의 경우에, 회전축(13)은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중심에서 연장된다.
혼합 요소(12)의 이러한 중심 또는 동축 배열로 인해, 상기 혼합 요소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과 1.0mm 미만의 최소 간격을 두고 배치될 수 있다. 혼합 요소(12)의 디자인에 의존하여, 상기 혼합 요소가 증착된 플라스틱을 적어도 영역에서 내벽(17)으로부터 박리할 수 있기 때문에, 내벽(17)에 대한 혼합 요소(12)의 최소 간격이 더욱 작아지도록 선택되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에 축적되는 플라스틱의 양이 적어질 수 있다. 예를 들어, 혼합 요소(12)의 외주에, 상기 혼합 요소가 다음에 내벽(17)과 직접적으로 접촉할 수 있는 추가의 부착 요소(상세히 설명되지 않음)를 구비할 수도 있다. 따라서, 부착 요소의 선택 및 경도에 따라, 혼합 요소(12)와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 사이의 금속 접촉이 회피될 수 있다. 또한, 장치(1)의 저온 상태와 그 작동 상태 사이에 열적으로 유도되는 길이 변화가 허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와 무관하게, 혼합 요소(12)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에 대해 1.0 mm보다 큰, 특히 50 mm보다 큰, 특히 150 mm보다 큰 최소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최소 간격의 확대에 의해, 제2 챔버 부분(9)에 위치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복귀 유동 및 반복 순환이 달성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예를 들어 고유 점도를 더욱 증가시킬 수도 있다.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서로 이격되어 배치된 제1 및 제2 단부 영역(15, 16) 사이에서 제2 챔버 부분(9)의 종방향 범위에 걸쳐 연장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혼합 요소(12)가 전체적으로 제2 챔버 부분(9)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혼합 요소(12)의 장착이 예를 들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단부 벽에서만 구현된다.
혼합 요소(12)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1 단부 영역(15)과 제2 단부 영역(16) 사이에 내부 종방향 범위에 걸쳐 연장되기 때문에, 제2 챔버 부분(9) 내의 용융 조의 용융물 표면은 혼합 요소(12)의 길이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이러한 방식에서, 주변 압력에 대해 상대적으로 낮아진 압력, 예를 들어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이 혼합하는 동안에 용융 조의 용융물 표면에 작용할 수 있다.
또한, 혼합 요소(12)가 구동기와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18)에 연결되는 것도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혼합 요소(12)가 다른 구동 요소와 독립적으로 선택될 수 있는 전용의 회전 속도로 작동될 수 있다. 따라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혼합, 특히 혼합 강도는 설정 및/또는 증가되는 고유 점도에 따라 자유롭게 선택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혼합 요소(12)에 의해 이동되고 일정하게 혼합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배출 장치(19)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된 출구 개구(11)에 인접하도록 배치된다. 상기 배출 장치(19)는 예를 들어 용융 펌프, 압출기 등일 수 있다. 제2 반응기 하우징(5)으로부터 플라스틱 용융물의 독립적인 추출량 또는 독립적인 추출 중량을 설정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배출 장치(19)는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20)에 연결된다. 여기서, 제2 구동 장치(20)는 혼합 요소(12)의 제1 구동 장치(18)와 독립적으로 구동될 수 있다. 2 개의 구동 장치(18, 20)의 이러한 연결 해제에 의해,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더욱 개별적인 설정 및 적응을 달성할 수 있다.
이 경우에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단부 영역(16)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2 단부 영역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기부 영역에 배치된다.
반응기(2)에서 실행된 처리 결과의 결과를 신속하게 얻기 위해서는, 측정 장치에 의해, 출구 개구(11)의 영역에서 또는 상기 영역에 바로 인접하는 플라스틱 용융물의 배출 섹션에서 처리할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측정 값이 결정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인라인 측정이 반응기(2)에 직접 인접하여 실행될 수 있고, 고유 점도의 소정의 값을 달성하기 위하여, 폐기물을 증가시키는 일없이 처리 및 방법 파라미터가 재조정되거나 설정될 수 있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는, 본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기부 영역의 하부 주변 영역에 배치되는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제공된다.
또한, 반응기(2)가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예를 들어 레벨 홀 플로어(level hall floor) 또는 이와 유사한 것에 지지될 수 있다는 것이 도 1에 단순화된 형태로 또한 도시되어 있다. 이 방식에서, 비어 있는 상태 및 그 안에 수용된 처리할 플라스틱 용융물의 작동 상태에서 반응기(2)의 무게를 결정할 수 있다.
장치(1)는 바람직하게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22)을 포함하고, 적어도 반응기(2),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3)이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22) 상에 유지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22)이 그 위에 유지되는 반응기(2)와 함께 복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 될 수 있다. 더욱이,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상기 기립 표면과 지지 프레임(22) 사이에서 기립 표면과 관련한 지면에 근접하여 배치될 수 있다. 그러나,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가 반응기(2) 또는 지지 프레임(22)으로부터 벗어난 측에서 기립 표면을 향하여 기부 프레임(23) 상에 지지될 수도 있다.
또한, 기부 프레임(23)은 휠(24)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 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휠(24)의 선택 및 설계에 따라 반응기(2)가 재배치될 수 있게 된다.
그러나, 독립적으로 적어도 반응기(2), 특히 반응기 하우징(3)은 도 3에 보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지지 프레임 상의 매달린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될 수도 있다. 여기서, 지지의 이러한 설계는 그 자체로 독립적인 실시 형태를 구성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예를 들어 계량 셀(weighing cell)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반응기(2), 특히 그 반응기 하우징(3)이 지지 프레임(22) 상의 매달린 위치에서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되면, 중량 측정 장치(21)는 예를 들어 한 세트의 인장 스케일 등에 의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제어 장치에 통신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하나 이상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결정된 측정 값들이 제어 장치에서 처리 될 수 있고, 추가의 공정에서, 처리를 위해 필요한 방법 파라미터가 장치 구성 요소를 구비한 장치(1)에서 생성 및 전송될 수 있다.
그러나, 배출 장치(19)가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유사하게 지지 될 수도 있다. 도 3의 반응기(2)에 대해 전술한 바와 같이, 지지는 직접적인 지지에 의해서 또는 현수 장치에서 실현될 수 있다.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이 더 상세히 설명되지 않고 반응기(2)의 상류에 위치되는 준비 장치에서 형성되거나 생성되도록, 상기 유형의 장치(1)가 작동될 수 있다. 플라스틱 용융물이 재활용 재료로 형성되는 경우, 바람직하게는 오염을 방지하기 위해 재활용 재료들은 유형별로 분리해야 한다.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으로 개방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을 통해 반응기(2)로 공급된다. 후속해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에 의해 둘러싸이고 그 자체가 수직 높이 범위를 갖는 제1 챔버 부분(8)을 통과한다. 이어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에 인접하고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의해 둘러싸인 제2 챔버 부분(9)에 수집된다. 여기서, 수집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2 챔버 부분(9)에서 용융물 표면을 갖는 용융 조를 형성한다. 플라스틱 용융물의 사전 결정된 설정점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서의 플라스틱 용융물의 용융물 표면은 예를 들어 제2 챔버 부분(9)의 높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높이 또는 레벨은 대략 회전축(13)의 위치에 상응할 수 있다. 추가의 처리를 위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 내의 용융 조가 혼합 요소(12)에 의해 이동되고 혼합된다. 상기 혼합 공정은 바람직하게는 연속적으로 실행될 수 있고, 또한 서로 다른 세기로 실행될 수 있다. 플라스틱 용융물의 이러한 처리 공정 후에,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된 적어도 출구 개구(11)를 통해 제2 챔버 부분(9)으로부터 추출되거나 배출된다.
이미 전술한 바와 같이, 사전 결정된 또는 사전 설정된 설정점 충전 레벨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제2 챔버 부분(9)에서의 플라스틱 용융물은 관련된 용융물 표면을 형성한다. 제2 챔버 부분(9)에서의 용융물 표면의 높이에 따라, 제2 챔버 부분(9)로부터의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종축에 대해 30°,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용융물 표면 아래에서 실행될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용융물 표면은 혼합 요소와 대략 동일한 종방향 범위를 가질 수 있고, 이러한 방식에서 감소한 압력이 혼합하는 동안 용융물 조의 용융물 표면에 작용할 수 있다. 이 목적을 위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기하학적 디자인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종축을 통하여 연장하는 수평면 아래에서 30°의 각도, 바람직하게는 90°의 각도로 배열되어야 한다.
전술한 중량 측정 장치(21)는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 질량 또는 중량에 대한 소정의 범위 내에서 반응기(2)에 공급되는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의 질량 또는 중량 균형을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장치(1)의 시운전 전에,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이 없이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반응기(2)의 고유 중량의 제1 측정 값이 측정될 수 있다. 상기 측정 값은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 있다. 이어서,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이 반응기(2)로 공급되며,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의 플라스틱 용융물의 설정점 충전 레벨 및 제2 챔버 부분(9) 내의 용융물 표면의 관련 레벨이 도달된 경우, 제2 측정 값이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결정된다. 여기서, 상기 결정된 제2 측정 값이 제어 장치로 전송될 수 있고 가능하게는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도 있다. 여기서, 결정된 제1 측정 값은 반응기(2)의 순 중량에 대응한다. 그 다음, 제2 측정 값에서 제1 측정 값을 빼고 생성된 차이 값이 제어 장치에 의해 결정될 수 있다. 그 다음,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으로부터 추출된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의 공급된 중량이 소정의 한계 내에서, 미리 결정된 차이 값에 대해 평형으로 유지될 수 있다. 사전 결정된 한계로부터 평형의 가능한 편차는 예를 들어 +/- 50 %, 바람직하게는 +/- 30 %, 특히 바람직하게는 +/- 15 %일 수 있다.
도 4는 장치(1)를 형성하기 위한 반응기(2)의, 그 자체로 가능하게는 독립적일 수 있는 다른 실시예를 도시하며, 동일한 부품에 대해서는 이전의 도 3에서와 동일한 참조 번호 또는 구성요소 명칭이 사용된다. 불필요한 반복을 피하기 위해, 이전의 도 3에 대한 상세한 설명을 참조한다. 여기서, 본 실시예는 전술한 실시예들의 변형을 구성하며, 단지 일부 구성 요소들이 복수로 되어 있는 경우인 것을 유의해야 한다.
여기서, 각 경우에 반응기 하우징(3)은 2 개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과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포함한다. 두 개의 대략 수평으로 배치된 반응기 하우징 부분(5)들은 이들의 제2 단부 영역(16)에서 서로를 향하여 마주하고 하나의 유닛을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될 수 있다. 함께 소속되어 관련된 제1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은 두 개의 제2 단부 영역(16)에 대해 거울 대칭으로 배열된다.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중앙 출구 개구(11)가 서로를 향해 마주하는 제2 단부 영역(16)에 제공된다. 그러나, 두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이 단일의 연속적인 구조 요소로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이 다수의 개별 구성 요소로부터 조립되는 것도 고려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가 두 개의 제2 챔버 부분(9) 내에 배치되는 경우가 있다.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목표하는 이송 운동을 실현하기 위해, 혼합 요소(12)에는 바람직하게는 공통의 출구 개구(11)의 방향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배향된 구배가 제공될 수 있다. 작동 중에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위치한 용융물은 짧은 점선으로 표시되고,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 아래에서 서로를 향해 보내지는 상기 용융물의 이송 운동은 화살표로 표시된다. 독립된 혼합 요소(12)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 각각에 제공되는 것도 생각할 수 있다. 이 경우에, 중앙의 지지점이 2 개의 혼합 요소(12) 사이에 제공될 수 있으며, 그 다음에 각각의 혼합 요소(12)는 반응기(2)의 우측 부분에 점선으로 표시된 바와 같이 전용의 제1 구동 장치(18)에 의해서 구동되어야 한다.
그러나, 2 개의 혼합 요소(12)는 하나의 일관된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연결되거나 단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이 실시예에서, 단일의 제1 구동 장치(18)로 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적어도 하나의 배출 장치(19)가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의 영역에 제공되는 경우가 있다. 바람직하게는, 용융물이 하나의 배출 장치(19)에 의해 하류의 장치(상세히 도시되지 않음)로 이송되도록 오직 하나의 출구 개구(11)의 중앙 배열이 선택된다. 마찬가지로, 챔버 부분(8, 9)은 흡입-추출 라인(14)을 통해 대기압에 비해 낮아진 압력으로 비워질 수 있다.
전체 반응기(2)는 가능하게는 지지 프레임(22)을 개재하여 전술한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 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반응기(2)로부터 벗어난 측에서 기부 프레임(23)에 지지 될 수 있다. 다음에, 기부 프레임(23)은 다중 휠(24)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 될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들은 장치(1), 특히 그 반응기(2)의 가능한 설계 변형예들을 도시하며, 본 발명은 구체적으로 예시된 설계 변형예에 한정되지 않고 개별적인 설계 변형을 서로 조합한 다양한 변형도 또한 가능하며, 기술적인 절차에 관한 본 발명의 교시 내용에 기초하여, 가능한 변형들은 이 기술 분야에 종사하는 당업자의 능력에 속한다.
또한, 제시되고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실시예로부터의 개별적인 특징 또는 특징들의 조합은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발명의 해결책 또는 해결책을 구성할 수도 있다.
독립적인 발명의 해결책에 의해 해결되는 문제는 명세서에서 드러난다.
본 명세서에서의 모든 특정 값 범위는 임의의 범위 및 모든 하위 범위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명세서에서 1 내지 10은 1의 하한으로부터 10의 상한까지의 모든 하위 범위를 포괄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모든 하위 범위는 1 이상의 하한에서 시작하여 10 이하의 상한에서 끝나는 모든 하위 범위, 예를 들어 1 내지 1.7, 또는 3.2 내지 8.1, 또는 5.5 내지 10이다.
특히, 도 1, 도 2,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개별적인 실시예는 본 발명에 따른 독립적인 해결책의 대상물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라 개별적으로 적용할 수 있는 문제 및 해결책은 상기 도면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드러난다.
정연함을 위해서, 장치(1)의 구성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하여 장치 또는 그 구성 부분들은 부분적으로 비례적이지 않고 및/또는 확대된 비율 및/또는 축소된 비율로 도시되었다는 것을 마지막으로 유의해야 한다.
1 : 장치
2 : 반응기
3 : 반응기 하우징
4 :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
5 :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
6 : 상부 단부 영역
7 : 하부 단부 영역
8 : 제1 챔버 부분
9 : 제2 챔버 부분
10 : 공급 라인
11 : 출구 개구
12 : 혼합 요소
13 : 회전축
14 : 흡입-추출 라인
15 : 제1 단부 영역
16 : 제2 단부 영역
17 : 내벽
18 : 제1 구동 장치
19 : 배출 장치
20 : 제2 구동 장치
21 : 중량 측정 장치
22 : 지지 프레임
23 : 기부 프레임
24 : 휠

Claims (55)

  1. 상부 단부 영역(6)과 하부 단부 영역(7)이 있고 상기 상부 단부 영역(6)과 상기 하부 단부 영역(7) 사이에 연장하는 제1 챔버 부분(8)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을 갖는 반응기 하우징(3)을 구비한 반응기(2)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제1 챔버 부분(8)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반응기 하우징(3)은 적어도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의 영역에 상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과 직접 인접하며 제2 챔버 부분(9)이 있는 적어도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을 가지며, 2 개의 챔버 부분(8, 9)은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이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내로 개방되고,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되며,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되고, 상기 혼합 요소(12)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장착되고, 혼합 요소(12)는 구동과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18)에 연결되어 있는, 상기 장치(1)에 있어서,
    상기 반응기(2)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고,
    용융물 펌프의 형태 또는 압출기의 형태인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배출 장치(19)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출구 개구(11)에 인접하게 배치되고, ,
    배출 장치(19)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상기 기립 표면에 또한 지지되고,
    배출 장치(19)는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20)에 연결되고, 상기 제2 구동 장치(20)는 혼합 요소(12)의 제1 구동 장치(18)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22)을 또한 포함하며, 적어도 반응기(2)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 제2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22)은 그 위에 지지된 반응기(2)와 함께 복수 개의 중량 측정 장치(21)들을 통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상기 기립 표면과 관련하여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5.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반응기(2) 또는 지지 프레임(22)으로부터 반대쪽에 배치되고 기립 표면을 향하는 측에서 기부 프레임(23)에 지지되고, 상기 기부 프레임(23)은 휠(24)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6. 제2항에 있어서,
    적어도 반응기(2)는 지지 프레임(22)에 매달려있는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7. 제1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계량 셀 또는 인장 스케일 세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8. 제1항에 있어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관형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9. 제1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되며 서로 이격되어 있는 제1 단부 영역 및 제2 단부 영역(15, 16)이 있는 종방향 크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0.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의 회전축(13)은 관형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대해 동축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1. 제8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에 대해 1.0mm 미만의 최소 간격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2. 제8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에 대해 1.0mm보다 큰 또는 20mm보다 큰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3. 제1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는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1 단부 영역과 제2 단부 영역(15, 16) 사이에서 제2 챔버 부분(9)의 종방향 크기에 걸쳐서 연장하며, 제2 챔버 부분(9) 안에 전적으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4. 제1항에 있어서,
    두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의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된 두 개의 챔버 부분(8, 9)은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흡입-추출 라인(14)을 통해 부압 발생기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5. 제14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흡입-추출 라인(14)은 가열 요소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6. 제1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제2 반응기 하우징의 제2 단부 영역(16)의 영역 및 제2 반응기 하우징의 기부 영역에 배치되고, 상기 제2 단부 영역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17.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 내로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포함하는 반응기 하우징(3)을 가진 반응기(2)에 공급되고, 후속해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에 의해 둘러싸이며 수직 높이를 갖는 제1 챔버 부분(8)을 통과하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에 인접하며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챔버 부분(9)에서 수집되고, 이 과정에서 제2 챔버 부분(9)에 수집된 플라스틱 용융물에 의해 용융물 표면이 있는 용융물 조가 형성되고, 용융물 조는 혼합 요소(12)에 의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 이동되고 혼합되며, 혼합 요소(12)는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18)에 의해 구동되며,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를 통해 제2 챔버 부분(9)으로부터 추출되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우선,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된 출구 개구(11)에 인접하도록 배열되며 용융물 펌프의 형태 또는 압출기의 형태인 배출 장치(19)와 함께 반응기(2) 자체의 중량의 제1 측정 값이 플라스틱 용융물이 없는 상태에서 측정되고, 제어 장치에 전달되고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속해서, 처리할 플라스틱 용융물이 반응기(2)로 공급되고,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설정점 충전 레벨 및 용융물 표면의 관련 레벨에 도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제2 측정 값이 측정되고, 제어 장치에 전달되고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측정 값으로부터 제1 측정 값을 빼서 차이 값이 결정되고,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으로부터 추출되는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공급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이 사전 설정된 한계 내에서 이전에 결정된 차이 값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고,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된 출구 개구(11)에 인접하도록 배열된 배출 장치(19)는 제2 구동 장치(20)에 의해 구동되고,
    제2 구동 장치(20)는 혼합 요소(12)의 상기 제1 구동 장치(18)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8. 제17항에 있어서,
    반응기(2)에 공급되는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에서 다수의 얇은 용융 필라멘트들로 분리되고, 상기 얇은 용융 필라멘트들은 자유 낙하 방식으로 제1 챔버 부분(8)을 통과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19. 제17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의 플라스틱 용융물은 혼합 요소(12)에 의해 이동되고 일정하게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0. 제17항에 있어서,
    2 개의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에 의해 둘러싸인 챔버 부분(8, 9)들은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으로 배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1. 제20항에 있어서,
    제2 챔버 부분(9)에서 용융물 조의 용융물 표면은 혼합 요소(12)의 크기와 대략 동일한 길이로 형성되고, 혼합하는 동안 용융물 조의 용융물 표면에 100mbar 미만의 압력이 작용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2. 제17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용융물 표면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 사전 설정된 설정점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2 챔버 부분(9)의 높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3. 제17항에 있어서,
    제2 챔버 부분(9)으로부터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추출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종방향 축선에 대해 30°또는 90°의 각도로 용융물 표면 아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4. 제17항에 있어서,
    측정 장치에 의해,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측정 값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출구 개구(11)의 영역에서 또는 상기 영역에 직접 인접하는 배출 섹션에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25. 상부 단부 영역(6)과 하부 단부 영역(7)이 있고 상기 상부 단부 영역(6)과 상기 하부 단부 영역 사이에 연장하는 제1 챔버 부분(8)이 있는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을 갖는 반응기 하우징(3)을 구비한 반응기(2)를 포함하며,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기 위한 장치(1)로서,
    상기 제1 챔버 부분(8)은 수직 높이를 가지며, 상기 반응기 하우징(3)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의 영역에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과 직접 인접하며 제2 챔버 부분(9)이 있는 적어도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가지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대략 수평으로 연장되도록 배향된 길이 방향 크기를 가지며 제1 단부 영역(15) 및 제1 단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된 제2 단부 영역(16)을 갖고 있으며, 챔버 부분(8, 9)들은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되어 있고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되도록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의 영역에서, 적어도 하나의 입구 개구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이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내로 개방되고,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되며,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단부 영역(16)의 영역에 배치되고, 제2 단부 영역(16)의 영역은 상기 하나 이상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되며,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된 제1 및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4, 5)들의 챔버 부분(8, 9)들은 적어도 하나의 포트 개구 및 적어도 하나의 흡입-추출 라인(14)을 통해 부압 발생기에 연결되고,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가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되고, 상기 혼합 요소(12)는 회전축(13)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장착되어 있는, 상기 장치(1)에 있어서,
    반응기 하우징(3)은 2 개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포함하고,
    두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들은 제2 단부 영역(16)에서 서로를 향하도록 배열되고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상기 제2 단부 영역(16)에서 서로 연결되며,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들의 기부 영역에 배치되고,
    적어도 하나의 혼합 요소(12)는 각각의 경우에 서로 이격되어 배치되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1 및 제2 단부 영역(15, 16) 사이의 제2 챔버 부분(9)들의 종방향 크기에 걸쳐서 연장하며 각각의 제2 챔버 부분(9)에 전체적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6. 제25항에 있어서,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또는 상기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관형 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
  27. 제26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의 회전축(13)은 관형 형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대해 동축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8. 제26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내벽(17)에 대해 1.0mm 미만의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29. 제26항에 있어서,
    혼합 요소(12)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의 내벽(17)에 대해 1.0mm보다 큰 또는 20mm보다 큰 최소 간격으로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0. 제25항에 있어서,
    각각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는 독립적인 혼합 요소(12)가 제공되고, 각각의 혼합 요소(12)는 구동과 관련하여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18)에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1. 제25항에 있어서,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열된 혼합 요소(12)들은 하나의 일관된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혼합 요소(12)들은 반대로 배향된 기울기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2. 제25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종방향 축선을 통해 연장하는 수평면 아래에 30°의 각도 또는 90°의 각도로 배열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3. 제25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융물을 위한 배출 장치(19)는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에 인접하도록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4. 제33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19)는 구동과 관련하여 제2 구동 장치(20)에 연결되고, 제2 구동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혼합 요소(12)의 하나 이상의 제1 구동 장치(18)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5. 제25항에 있어서,
    반응기(2)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6.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장치는 지지 프레임(22)을 또한 포함하고, 적어도 반응기(2)는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7. 제36항에 있어서,
    지지 프레임(22)은 그 위에 유지되는 반응기(2)와 함께 복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8.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기립 표면과 관련하여 지면에 가깝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39. 제36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반응기(2) 또는 지지 프레임(22)으로부터 반대쪽에 배치되고 기립 표면을 향하는 측에서 기부 프레임(23)에 지지되고, 상기 기부 프레임(23)은 휠(24)을 통해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0. 제36항에 있어서,
    적어도 반응기(2)는 지지 프레임(22)에 매달려있는 위치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통해 상기 지지 프레임(22)에 유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1. 제35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계량 셀 또는 인장 스케일 세트에 의해 형성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는 제어 장치와 통신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2. 제33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19)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장치(1).
  43. 처리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상부 단부 영역(6) 내로 개방하는 적어도 하나의 공급 라인(10)을 통해, 적어도 하나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 및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을 포함하는 반응기 하우징(3)을 가진 반응기(2)에 공급되고, 후속해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에 의해 둘러싸이며 수직 높이를 갖는 제1 챔버 부분(8)을 통과하고, 플라스틱 용융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의 하부 단부 영역(7)에 인접하며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의해 둘러싸이는 제2 챔버 부분(9)에서 수집되고, 이 과정에서 적어도 하나의 제2 챔버 부분(9)에 수집된 플라스틱 용융물에 의해 용융물 표면이 있는 용융물 조가 형성되고, 제2 챔버 부분(9)은 대략 수평으로 연장하도록 배향된 길이 방향 크기를 가지며 제1 단부 영역(15) 및 상기 제1 단부 영역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치된 제2 단부 영역(15)을 가지며, 2 개의 챔버 부분(8, 9)은 유동과 관련하여 서로 연결되고 외부 환경에 대해 밀봉되며 부압 발생기에 의해 100 mbar보다 낮은 압력으로 비워지고, 용융물 조는 회전축(13)에 대하여 회전할 수 있도록 장착된 혼합 요소(12)에 의해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서 이동되고 혼합되며,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은 적어도 하나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단부 영역(16)의 영역에 배열된 적어도 하나의 출구 개구(11)를 통해 제2 챔버 부분(9)으로부터 추출되며, 제2 단부 영역은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4)으로부터 이격되어 배열되어 있는,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고 그 고유 점도를 설정하기 위한 방법에 있어서,
    반응기 하우징(3)은 2 개의 제1 반응기 하우징 부분(5) 및 2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으로 형성되고,
    두 개의 수평으로 배치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은 제2 단부 영역(16)에서 서로를 향하여 배열되며 단일 유닛을 형성하도록 제2 단부 영역(16)에서 서로 연결되고,
    두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으로부터의 처리된 플라스틱의 용융물의 추출은, 용융물 표면이 혼합 요소(12)와 대략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용융물 조의 혼합 동안에 용융물 조의 용융 표면에 감소한 압력이 작용하도록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종축에 대해 30°또는 90°의 각도로 용융물 표면 아래에서 실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4. 제43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 각각에 독립적인 혼합 요소(12)가 제공되고, 각각의 혼합 요소(12)는 전용의 독립적인 제1 구동 장치(18)에 의해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5. 제43항에 있어서,
    두 개의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된 혼합 요소(12)들은 하나의 일관된 구성요소를 형성하도록 서로 연결되고, 혼합 요소(12)들은 반대로 배향된 기울기를 갖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6. 제43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들의 각각의 제2 챔버 부분(9)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은 혼합 요소(12)에 의해 이동되고 일정하게 혼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7. 제43항에 있어서,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에 배치된 출구 개구(11)에 인접하도록 배열된 배출 장치(19)는 제2 구동 장치(20)에 의해 구동되고, 제2 구동 장치(20)는 하나 이상의 혼합 요소(12)의 하나 이상의 제1 구동 장치(18)와 독립적으로 구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8. 제43항에 있어서,
    우선,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플라스틱 용융물이 없는 반응기(2) 자체의 중량의 제1 측정 값이 측정되고, 제어 장치에 전달되고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후속해서, 처리할 플라스틱 용융물이 반응기(2)로 공급되고,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사전 설정된 충전 레벨 및 용융물 표면의 관련 레벨에 도달한 경우,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에 의해 제2 측정 값이 측정되고, 제어 장치에 전달되고 제어 장치에 저장될 수 있으며,
    다음에,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측정 값으로부터 제1 측정 값을 빼서 차이 값이 결정되고,
    제어 장치에 의해,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으로부터 추출되는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에 의존하는 방식으로, 처리될 공급 플라스틱 용융물의 중량이 사전 설정된 한계 내에서 이전에 결정된 차이 값에 대해 균형을 유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49. 제47항에 있어서,
    배출 장치(19)는 적어도 하나의 중량 측정 장치(21)를 개재하여 기립 표면에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0. 제43항에 있어서,
    측정 장치에 의해, 처리된 플라스틱 용융물의 고유 점도의 측정 값이 플라스틱 용융물의 출구 개구(11)의 영역 또는 상기 영역에 직접 인접하는 배출 섹션에서 측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1. 제43항에 있어서,
    플라스틱 용융물의 용융물 표면은, 제2 반응기 하우징 부분(5)의 제2 챔버 부분(9)에 사전 설정된 충전 레벨의 경우에, 제2 챔버 부분(9)의 높이의 대략 중간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방법.
  52. 삭제
  53. 삭제
  54. 삭제
  55. 삭제
KR1020177030502A 2015-03-23 2016-03-23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KR102410352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ATA50233/2015 2015-03-23
ATA50232/2015A AT516967B1 (de) 2015-03-23 2015-03-23 Anlage sowi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Kunststoffschmelze
ATA50232/2015 2015-03-23
ATA50233/2015A AT516968B1 (de) 2015-03-23 2015-03-23 Anlage sowi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Kunststoffschmelze
PCT/AT2016/050074 WO2016149725A1 (de) 2015-03-23 2016-03-23 Anlage sowi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kunststoffschmelz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540A KR20170130540A (ko) 2017-11-28
KR102410352B1 true KR102410352B1 (ko) 2022-06-17

Family

ID=55919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7030502A KR102410352B1 (ko) 2015-03-23 2016-03-23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Country Status (14)

Country Link
US (1) US10710036B2 (ko)
EP (2) EP3363609B1 (ko)
JP (1) JP7246852B2 (ko)
KR (1) KR102410352B1 (ko)
CN (2) CN108349113B (ko)
BR (1) BR112017020333B1 (ko)
CA (2) CA3170694A1 (ko)
ES (2) ES2721784T3 (ko)
IL (2) IL254602A0 (ko)
MX (2) MX2017012166A (ko)
RU (1) RU2696456C2 (ko)
SA (2) SA521421171B1 (ko)
TR (1) TR201903421T4 (ko)
WO (1) WO201614972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521534A2 (de) * 2018-07-03 2020-02-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erfahren zur Herstellung einer Polykondensatschmelze aus einem Primärmaterial und einem Sekundärmaterial
DE102018009171A1 (de) * 2018-11-22 2020-05-28 Bb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Recyceln von Kunststoffen
EP3892441A1 (de) * 2020-04-07 2021-10-13 Entex Rust & Mitschke GmbH Nachrüstung für eine extruderanlage
PT3995278T (pt) 2020-11-04 2023-09-19 Sml Maschinengesellschaft M B H Método e dispositivo para processamento de policondensados
EP4005663A1 (en) * 2020-11-26 2022-06-01 Fette Compacting GmbH Powder blender for a system for continuous processing of powder products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432A (ja) 2001-03-02 2002-09-11 Japan Steel Works Ltd:The 重量式フィーダの間欠運転制御装置及び方法
WO2007131728A1 (de) 2006-05-11 2007-11-22 Aquafil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polymerisation von polymer in fester phase
JP2011131381A (ja) 2009-12-22 2011-07-07 Japan Steel Works Ltd:The ロスインウェイト式フィーダ原料充填中の処理量変更方法
WO2014040099A1 (de) 2012-09-12 2014-03-20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höhen der grenzviskosität einer polykondensatschmelze

Family Cites Families (1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283709B (de) * 1964-11-26 1970-08-25 Barmag Barmer Maschf Schneckenpresse zur Verarbeitung thermoplastischer Kunststoffe
DD98691A1 (ko) 1971-09-10 1973-07-12
JPS509834B2 (ko) 1971-12-14 1975-04-16
DE2450030C3 (de) 1974-10-22 1978-05-18 Erich 6520 Worms Beck Einschnecken-Strangpresse für thermoplastische Kunststoffe
CN1028006C (zh) * 1983-10-07 1995-03-29 卡尔·弗沙工业设备公司 聚己酰胺的连续脱单体和后缩合工艺所用的设备
EP0305692B1 (de) * 1987-09-02 1992-05-06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Verfahren zur kontinuierlichen Herstellung von Kautschukmischungen und anderen füllstoffhaltigen Mischungen auf der Basis von Polymeren
DE4001986C1 (ko) 1990-01-24 1991-09-19 Hermann Berstorff Maschinenbau Gmbh, 3000 Hannover, De
US6103152A (en) * 1998-07-31 2000-08-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 Articles that include a polymer foam and method for preparing same
JP2001288342A (ja) * 2000-04-04 2001-10-16 Sumitomo Chem Co Ltd 液晶ポリエステル樹脂組成物、その製造方法およびその成形体
ITMI20011773A1 (it) 2001-08-10 2003-02-10 Viba Siat S R L Procedimento e apparecchiatura per la post-policondensazione allo stato fuso di materie plastiche
AU2003241654A1 (en) * 2002-06-13 2003-12-31 Asahi Kasei Kabushiki Kaisha Polytrimethylene terephthalate resin
WO2006068093A1 (ja) * 2004-12-21 2006-06-29 Asahi Kasei Chemicals Corporation 重縮合ポリマー回収品のリサイクル方法
US8758887B2 (en) 2004-12-22 2014-06-24 Entegris, Inc. Multilayer porous membrane and process
AT504326B8 (de) * 2006-10-30 2008-09-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 Vorrichtung zum aufbereiten von thermoplastischem kunststoffmaterial
DE102008029305A1 (de) 2008-06-20 2009-12-24 Bayer Technology Services Gmbh Schneckenelemente mit reduziertem Kammwinkel
AT511574B1 (de) 2011-03-10 2017-06-15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ntfernen von verunreinigungen aus einer kunststoffschmelze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2254432A (ja) 2001-03-02 2002-09-11 Japan Steel Works Ltd:The 重量式フィーダの間欠運転制御装置及び方法
WO2007131728A1 (de) 2006-05-11 2007-11-22 Aquafil Engineering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r kontinuierlichen polymerisation von polymer in fester phase
JP2011131381A (ja) 2009-12-22 2011-07-07 Japan Steel Works Ltd:The ロスインウェイト式フィーダ原料充填中の処理量変更方法
WO2014040099A1 (de) 2012-09-12 2014-03-20 Next Generation Recyclingmaschinen Gmbh Verfahren und vorrichtung zum erhöhen der grenzviskosität einer polykondensatschmelz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130540A (ko) 2017-11-28
CA2980600C (en) 2023-12-19
EP3363609B1 (de) 2019-07-31
US20180111101A1 (en) 2018-04-26
US10710036B2 (en) 2020-07-14
EP3274148B1 (de) 2019-01-30
CA2980600A1 (en) 2016-09-29
RU2017134376A (ru) 2019-04-04
IL268096B (en) 2021-03-25
IL254602A0 (en) 2017-11-30
SA521421171B1 (ar) 2022-09-11
JP7246852B2 (ja) 2023-03-28
TR201903421T4 (tr) 2019-04-22
ES2721784T3 (es) 2019-08-05
MX2017012166A (es) 2018-02-19
RU2017134376A3 (ko) 2019-06-11
BR112017020333B1 (pt) 2021-11-23
EP3274148A1 (de) 2018-01-31
CN108349113A (zh) 2018-07-31
CA3170694A1 (en) 2016-09-29
WO2016149725A1 (de) 2016-09-29
BR112017020333A2 (pt) 2018-06-05
SA517390010B1 (ar) 2021-09-05
CN108349113B (zh) 2020-05-05
IL268096A (en) 2019-09-26
ES2753765T3 (es) 2020-04-14
MX2020010854A (es) 2020-11-06
CN110774472A (zh) 2020-02-11
JP2018510945A (ja) 2018-04-19
EP3363609A1 (de) 2018-08-22
RU2696456C2 (ru) 2019-08-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10352B1 (ko) 플라스틱 용융물을 처리하기 위한 장치 및 방법
JP6240197B2 (ja) 重縮合物溶融体の極限粘度を高めるための方法及び装置
CN101778705B (zh) 用于处理塑料材料的方法和装置
KR100473696B1 (ko) 가소성 물질, 특히 열가소성 물질을 제조하는 장치 및방법
KR100811966B1 (ko) 재활용될 열가소성 플라스틱 물질의 제조를 위한 장치 및방법
JP7383649B2 (ja) 一次材料及び二次材料から重縮合溶融物を製造する方法
CN1305658C (zh) 用于在单螺杆脱气挤出机或级联挤出机中调节压力的方法与装置
IT201900005192A1 (it) Impianto di estrusione per la lavorazione di materiale polimerico
US11639018B2 (en) Method and device for cleaning a polymer melt
US20040012116A1 (en) Method for melting a polymer granulate and melt element
AT516968B1 (de) Anlage sowie Verfahren zur Behandlung einer Kunststoffschmelz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