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03934B1 -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 Google Patents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03934B1
KR102403934B1 KR1020200023047A KR20200023047A KR102403934B1 KR 102403934 B1 KR102403934 B1 KR 102403934B1 KR 1020200023047 A KR1020200023047 A KR 1020200023047A KR 20200023047 A KR20200023047 A KR 20200023047A KR 102403934 B1 KR102403934 B1 KR 10240393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oor
cabinet door
cabinet
slider
poi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2304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108172A (ko
Inventor
이명철
Original Assignee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키오스크코리아(주), 이명철 filed Critical 키오스크코리아(주)
Priority to KR102020002304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03934B1/ko
Publication of KR2021010817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10817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0393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0393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DHINGES OR SUSPENSION DEVICES FOR DOORS, WINDOWS OR WINGS
    • E05D15/0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 E05D15/16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 E05D15/20Suspension arrangements for wings for wings sliding vertically more or less in their own plane movable out of one plane into a second parallel plane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FDEVICES FOR MOVING WINGS INTO OPEN OR CLOSED POSITION; CHECKS FOR WINGS; WING FITTING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ONCERNED WITH THE FUNCTIONING OF THE WING
    • E05F15/0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 E05F15/60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 E05F15/603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 E05F15/632Power-operated mechanisms for wings using electrical actuators using rotary electromotors for horizontally-sliding wing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4Carri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684Rails; Track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201/00Constructional element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0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Accessories therefor
    • E05Y2201/622Suspension or transmission members elements
    • E05Y2201/708Sliders
    • EFIXED CONSTRUCTIONS
    • E05LOCKS; KEYS; WINDOW OR DOOR FITTINGS; SAFES
    • E05Y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E05D AND E05F, RELATING TO CONSTRUCTION ELEMENTS, ELECTRIC CONTROL, POWER SUPPLY, POWER SIGNAL OR TRANSMISSION, USER INTERFACES, MOUNTING OR COUPLING, DETAILS, ACCESSORIES, AUXILIARY OPERA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 THEREOF
    • E05Y2900/0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 E05Y2900/20Application of doors, windows, wings or fittings thereof for furniture, e.g. cabine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abinets, Racks, Or The Like Of Rigid Construction (AREA)

Abstract

물건 보관함이 개시된다. 상기 물건 보관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수납공간 및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물품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물품투입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양측 측면판에 연결되는 캐비닛도어; 상기 캐비닛의 상면판의 내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물품투입구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지점 및 상기 캐비닛의 배면판에 근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지점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캐비닛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폐제어부재; 상기 물품투입구 및 상기 제1 지점 간의 거리 이하의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및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품투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제공하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되면 상기 물품투입구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따라 상단부가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PICKUP LOCKER TO PREVENT FINGER PINCHING}
본 발명은 물건 보관함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사용 중 손 끼임 방지 가능한 물건 보관함에 관한 것이다.
통상 물건 보관함 혹은, 로커(locker)는 의복이나 사물을 넣어 둘 수 있도록 문과 열쇠(혹은, 자기기록 카드 등)에 의해 수동(혹은 자동)으로 개폐되는 잠금장치가 장착된 선반을 의미한다. 이러한 물건 보관함은 학교나 지하철, 할인마트, 쇼핑센터, 박물관, 도서관 등 여러 장소에 설치되어 사용되고 있다.
이러한 물건 보관함은 도어에 의해 개폐되는데, 도어의 개폐 방식은 수동식이거나 기계적 장치에 의해 개폐되는 전동식이 사용되고 있다.
대부분의 물건 보관함은 물건을 꺼내는 과정에서 사용자의 부주의로 인해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의 손이 문에 끼여서 손의 부상을 입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고 있다. 특히, 전동식의 경우라면 사용자의 손이 끼인 경우 사용자의 부상은 수동식의 경우보다 더 클 수 있다.
한국 등록특허 제10-1876465호
따라서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물건 보관함의 도어가 닫힐 때 사용자의 손이 끼이더라도 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는 사용상의 안전성이 부가된 물건 보관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수납공간 및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물품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물품투입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양측 측면판에 연결되는 캐비닛도어; 상기 캐비닛의 상면판의 내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물품투입구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지점 및 상기 캐비닛의 배면판에 근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지점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캐비닛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폐제어부재; 상기 물품투입구 및 상기 제1 지점 간의 거리 이하의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및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품투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제공하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되면 상기 물품투입구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따라 상단부가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도어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하부가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는, 제1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상기 장방형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제공하는 가이드축; 및 상기 제2 단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이더와 마주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캐비닛도어가 상기 물품투입구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직후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도어의 자중에 의한 회전을 가이드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캐비닛도어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물품투입구를 덮도록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캐비닛도어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물건 보관함에 의하면, 캐비닛도어와 물품투입구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더라도 사용자의 손을 강하게 누르지 않아서 사용자의 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고, 사용자의 손이 캐비닛도어와 물품투입구 사이에 끼이더라도 사용자는 쉽게 캐비닛도어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손을 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즉시 끼인 손을 빼낼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비닛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비닛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4는 3에 도시된 열린 캐비닛도어를 닫기 위해 슬라이더가 도어 자유이동 구간만큼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더가 더 전진하여 제1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 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첨부된 도면에 있어서, 구조물들의 치수는 본 발명의 명확성을 기하기 위하여 실제보다 확대하여 도시한 것이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권리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제1 구성요소는 제2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고, 유사하게 제2 구성요소도 제1 구성요소로 명명될 수 있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 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 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의 구성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싱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은 캐비닛(100), 캐비닛도어(200), 도어개폐제어부재(300),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를 포함할 수 있다.
캐비닛(100)은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어, 수납공간(101) 및 육면체 형상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수납공간(101)을 노출시키는 물품투입구(102)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예로, 캐비닛(100)은 물품투입구(102)에 마주하는 배면판(110), 캐비닛(100)의 저면을 이루는 바닥판(120), 캐비닛(100)의 평면을 이루는 상면판(130), 캐비닛(100)의 측면을 이루는 제1 측면판(141) 및 제2 측면판(14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물품투입구(102)는 상기 배면판(110)의 넓이보다 작을 수 있고, 이러한 경우, 물품투입구(102)의 상부에는 전면판(150)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전면판(150)은 후술하는 도어개폐제어부재(300)가 상면판(130)의 내면에 고정되는 경우 도어개폐제어부재(300)를 캐비닛(100)의 외부로 노출시키지 않으며, 개방된 캐비닛도어(200)는 전면판(150)의 아래에 위치할 수 있다.
한편,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상기 물품투입구(102)의 일측, 예를 들면, 물품투입구(102)에 근접하게 제1 측면판(141) 및 제2 측면판(142)에 근접센서가 구비되어 물품투입구(102)로 손이 진입되는 것을 감지할 수 있고, 손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후술하는 모터(321)로 송출하여 모터(321)가 정지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0)은 캐비닛도어(200)의 개폐를 가이드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캐비닛(100)은 물품투입구(102) 및 바닥판(120)에 근접한 위치로부터 상면판(130) 방향으로 아크(arc) 형상으로 연장되는 제1 도어가이드홀(161)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측면판(142)은 상기 제1 도어가이드홀(161)과 대응하는 형상의 제2 도어가이드홀(16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내에는 도어닫힘턱(170)이 구비될 수 있다. 도어닫힘턱(170)은 캐비닛(100)의 바닥판(120)의 내면으로부터 상측으로 돌출되고, 물품투입구(102)로부터 캐비닛도어(200)의 두께만큼 안쪽으로 인입되어 위치할 수 있고, 닫힌 상태의 캐비닛도어(200)의 하단부 측 내면에 마주할 수 있다. 일 예로, 도어닫힘턱(170)은 플레이트 형태일 수 있다.
캐비닛도어(200)는 물품투입구(102)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캐비닛(100)의 양측 제1 측면판(141) 및 제2 측면판(142)에 연결되어, 상하로 회전하고 캐비닛(100)의 내외로 이동되면서 물품투입구(102)를 개폐할 수 있다.
일 예로, 캐비닛도어(200)는 캐비닛(100)의 제1 측면판(141) 및 제2 측면판(142)에 대응되는 양측의 수직변으로부터 후방으로 돌출되는 제1 축결합리브(211) 및 제2 축결합리브(212), 제1 축결합리브(211)에 결합되고 캐비닛(100)의 제1 측면판(141)에 연결되는 제1 회전중심축(221), 제2 축결합리브(212)에 결합되고 캐비닛(100)의 제2 측면판(142)에 연결되는 제2 회전중심축(222)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회전중심축(221) 및 제2 회전중심축(222)은 캐비닛도어(200)의 상하 회전을 위한 중심이 되는 축으로서 캐비닛도어(200)의 상하 회전이 가능하도록 하며, 캐비닛(100)의 제1 도어가이드홀(161) 및 제2 도어가이드홀(162)에 체결되어 도어가 개폐될 때 제1 도어가이드홀(161) 및 제2 도어가이드홀(162)을 따라 이동하면서 캐비닛도어(200)가 캐비닛(100)의 내외로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한다.
한편, 캐비닛도어(200)의 일측 또는 상기 전면판(150)의 일측에는 후술하는 도어개폐제어부재(300)를 작동시키기 위한 작동스위치부(500)가 구비될 수 있고, 캐비닛도어(200)의 하단부 측 내면에는 자석이 구비될 수 있다.
작동스위치부(500)는, 인증을 위한 NFC, 바코드리더, QR리더 중 어느 하나, 열림스위치 및 닫힘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자석은 캐비닛도어(200)가 닫힐 때 상기 도어닫힘턱(170)에 부착될 수 있다.
또한, 도시하지는 않았지만 캐비닛도어()의 전면에는 투명 디스플레이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개폐제어부재(300)는 캐비닛도어(200)의 개폐를 제어할 수 있다. 도어개폐제어부재(300)는 캐비닛(100)의 상면판(130)의 내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더(310) 및 슬라이더이동장치(320)를 포함할 수 있다.
슬라이더이동장치(320)는 슬라이더(310)를 물품투입구(102)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지점(A) 및 캐비닛의 배면판에 근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지점(B) 사이의 슬라이딩 이동 구간을 따라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된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점(A)은 슬라이더(310)가 제1 지점(A)에서 정지되면 캐비닛도어(200)가 물품투입구(102)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되는 위치일 수 있고, 상기 제2 지점(B)은 캐비닛도어(200)가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내에서 상면판(130)과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되는 위치일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이동장치(320)는 모터(321), 제1 벨트풀리(322), 제2 벨트풀리(323), 벨트(324), 슬라이더가이드(325)를 포함할 수 있다.
모터(321)는 캐비닛(100)의 배면판(110)에 근접하도록 캐비닛(100)의 상면판(130) 내면에 설치될 수 있고, 구동축이 정회전 및 역회전되게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캐비닛도어(200)를 개방시키고, 구동축이 역회전하면 개방된 캐비닛도어(200)가 닫힐 수 있다.
제1 벨트풀리(322)는 모터(321)의 구동축에 결합되어 회전될 수 있고, 제2 벨트풀리(323)는 제1 벨트풀리(322)와 반대편 즉, 캐비닛(100)의 물품투입구(102)에 근접하는 위치에 구비될 수 있다.
벨트(324)는 제1 벨트풀리(322) 및 제2 벨트풀리(323)에 체결되어 제1 벨트풀리(322) 및 제2 벨트풀리(323)의 회전에 의해 정회전 및 역회전될 수 있다. 벨트(324)는 상기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의 이격 방향에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슬라이더가이드(325)는 벨트(324)와 평행하게 배치되어 벨트(324)의 회전에 따라 이동하는 슬라이더(310)가 상기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 사이로 이동하는 것을 가이드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가이드(325)는 2개일 수 있고, 각각 벨트(324)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고, 봉 형상일 수 있다.
슬라이더(310)는 슬라이더이동장치(320)를 통해 물품투입구(102)에 근접하거나 멀어지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슬라이더(310)는 벨트(324)의 일측에 연결될 수 있고,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에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슬라이더(310)는 캐비닛(100)의 상면판(130)에 고정되지 않고, 벨트(324) 및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에 매달려 있는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슬라이더(310)는 모터(321) 및 벨트(324)의 구동에 의해 미리 설정되는 제1 지점(A) 및 제2 지점(B) 사이를 왕복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슬라이더(310)는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의 이격 간격 이상의 길이를 갖고 소정의 두께를 갖는 사각블록 형태의 이동블록(311) 및 이동블록(311)의 상면의 양측에 구비되어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 각각에 연결되는 가이드연결부재(312)를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는 물품투입구(102) 및 제1 지점(A) 간의 거리 이하의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 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슬라이더(310)의 일측 및 상기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가 슬라이더(310)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슬라이더(310)가 상기 제1 지점(A)에서 정지하면 제1 지점(A)으로부터 물품투입구(102)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D)을 제공할 수 있다.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를 통해 캐비닛도어(200) 및 슬라이더(310)가 연결되기 위해, 캐비닛도어(200)는 연결플레이트(230)를 포함하고,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30) 및 슬라이더(310)의 이동블록(311) 사이에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연결플레이트(230)는 하부가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부로부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구멍(231)을 포함할 수 있다.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는 가이드축(410) 및 스톱퍼(42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축(410)은 제1 단부가 슬라이더(310)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연결플레이트(230)의 장방형 구멍(231)에 삽입될 수 있다. 스톱퍼(420)는 가이드축(410)의 제2 단부의 끝단에 구비되어 연결플레이트(230)를 사이에 두고 슬라이더(310)와 마주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결플레이트(230)는 캐비닛도어(200)가 물품투입구(102)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직후 가이드축(410)을 따라 이동하여 캐비닛도어(20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을 가이드하고, 상기 스톱퍼(420)는 캐비닛도어(200) 및 연결플레이트(230)가 물품투입구(102)를 덮도록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점에 위치하여 연결플레이트(230)의 이동을 제한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은 캐비닛도어(200)가 힌지부재(6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힌지부재(600)는 상기 연결플레이트(230)의 하부 및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힌지부재(600)는 힌지축(610), 힌지축(6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연결플레이트(230)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판(620) 및 힌지축(610)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연결판(630)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힌지부재(600)는 경첩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의 캐비닛도어(200)가 개방 및 폐쇄되는 과정을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캐비닛도어가 닫힌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에 도시된 캐비닛도어가 열린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4는 3에 도시된 열린 캐비닛도어를 닫기 위해 슬라이더가 도어 자유이동 구간만큼 전진한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슬라이더가 더 전진하여 제1 지점에서 정지된 상태의 모습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캐비닛도어(200)가 도 2와 같이 닫힌 상태인 경우, 힌지부재(600)의 제1 연결판(620) 및 제2 연결판(630)은 서로 포개어진 상태이고, 연결플레이트(230)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의 스톱퍼(420)에 대응된 상태이다.
이러한 상태에서 캐비닛도어(200)를 개방하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열림스위치를 누르면, 슬라이더이동장치(320)의 모터(321)의 구동축이 정회전 하도록 모터(321)가 구동된다.
모터(321)의 구동축이 정회전하면 제1 벨트풀리(322)가 정회전하여 벨트(324)가 캐비닛도어(200)를 개방시킬 수 있는 방향, 즉 캐비닛(100)의 배면판(110)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벨트(324)에 연결된 슬라이더(310)는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를 따라 캐비닛(100)의 배면판(110)에 근접하도록 후진하게 된다.
슬라이더(310)가 후진하면 슬라이더(310)에 연결된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축(410) 및 스톱퍼(420)가 슬라이더(310)를 따라 후진하고, 이때 스톱퍼(420)에 대응되어 있는 연결플레이트(230)가 당겨지면서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와 함께 후진하고, 연결플레이트(230)에 연결된 힌지부재(600)의 제1 연결판(620)이 당겨지면서 연결플레이트(230)와 함께 후진하게 되고, 제1 연결판(620)은 힌지축(610) 및 제2 연결판(630)을 후방으로 당기게 된다.
제2 연결판(630)이 후방으로 당겨짐에 따라 캐비닛도어(200)가 함께 후방으로 당겨지고, 이때 캐비닛도어(200) 양측의 제1 회전중심축(221) 및 제2 회전중심축(222)이 제1 도어가이드홀(161) 및 제2 도어가이드홀(162)을 따라 이동하며, 제1 도어가이드홀(161) 및 제2 도어가이드홀(162)은 아크 형상을 이루고 있으므로 캐비닛도어(200)는 이동하는 제1 회전중심축(221) 및 제2 회전중심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면서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내로 인입된다.
이동하는 슬라이더(310)는 제2 지점(B)에서 정지되며, 이때 캐비닛도어(200)는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 내에서 물품투입구(102)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고 캐비닛(100)의 상면판(130)과 마주하게 위치하여 도 3과 같이 물품투입구(102)를 개방하며,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의 스톱퍼(420)는 연결플레이트(230)와 대응된 상태로 유지된다.
한편, 이와 같이 개방된 캐비닛도어(200)를 닫고자 하는 경우, 사용자가 닫힘스위치를 누르면, 슬라이더이동장치(320)의 모터(321)의 구동축이 역회전 하도록 모터(321)가 구동된다.
모터(321)의 구동축이 역회전하면 제1 벨트풀리(322)가 역회전하여 벨트(324)가 캐비닛도어(200)가 닫히는 방향, 즉 캐비닛(100)의 물품투입구(102) 방향으로 회전하고, 이러한 벨트(324)에 연결된 슬라이더(310)는 2개의 슬라이더가이드(325)를 따라 캐비닛(100)의 물품투입구(102)에 근접하도록 전진하게 된다. 이때, 슬라이더(310)는 연결플레이트(230)를 밀지 않고, 도 4와 같이 도어 자유이동 구간(D)만큼 전진하게 되며, 슬라이더(310)의 이동블록(311)이 연결플레이트(230)에 대응되는 시점부터 연결플레이트(230)를 밀어서 전진시키게 된다.
슬라이더(310)의 이동블록(311) 및 연결플레이트(230)가 대응된 상태로 연결플레이트(230)가 전진되면, 연결플레이트(230)와 함께 힌지부재(600)의 제1 연결판(620)이 전진되고, 제1 연결판(620)은 힌지축(610) 및 제2 연결판(630)을 밀고, 이에 의해 캐비닛도어(200)가 전진될 수 있다.
전진되는 캐비닛도어(200)는 양측의 제1 회전중심축(221) 및 제2 회전중심축(222)이 제1 도어가이드홀(161) 및 제2 도어가이드홀(162)을 따라 이동하는 것에 의해 캐비닛도어(200)가 물품투입구(102)에 대해 일정 각도를 이루도록 회전하며, 이동하는 슬라이더(310)는 제1 지점(A)에서 정지되며, 이때 캐비닛도어(200)는 도 5와 같이 물품투입구(102)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다.
이러한 상태에서, 연결플레이트(230)는 슬라이더(310)의 이동블록(311)에 대응된 상태이고, 캐비닛도어(200)는 무게 중심이 하단부에 집중되어 있으므로 캐비닛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제1 회전중심축(221) 및 제2 회전중심축(222)을 중심으로 회전하며, 이때 연결플레이트(230)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의 가이드축(410)을 따라 도어 자유이동 구간(D)만큼 이동하면서 캐비닛도어(200)의 자중에 의한 회전을 가이드할 수 있다.
도어 자유이동 구간(D)을 이동한 연결플레이트(230)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400)의 스톱퍼(420)에 대응될 때 정지되며, 이때 캐비닛도어(200)는 캐비닛(100)의 상면판(130)에 수직하여 물품투입구(102)를 닫는다.
이와 같이 캐비닛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캐비닛도어(200)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D)의 거리만큼 자유 개방될 수 있다. 즉, 캐비닛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캐비닛도어(200)의 상부를 캐비닛(100)의 수용공간(101)을 향해 밀면 캐비닛도어(200)의 하단부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D)만큼 캐비닛(100)의 물품투입구(102)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물건 보관함은 캐비닛도어(200)가 닫힐 때 캐비닛도어(200)가 완전히 닫히기 직전의 일부 구간에서 기계적인 동력원에 의해 강제로 닫히지 않고 캐비닛도어(200)의 자중에 의해 회전하여 닫히도록 구성되므로 캐비닛도어(200)와 물품투입구(102) 사이에 사용자의 손이 끼이더라도 사용자의 손을 강하게 누르지 않아서 사용자의 손의 부상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캐비닛도어(200)가 닫힌 상태에서 사용자가 캐비닛도어(200)의 상단부를 밀면 캐비닛도어(200)가 자중에 의해 회전하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D) 내에서 회전하여 캐비닛도어(200)의 하단부가 물품투입구(102)로부터 이격되어 일부 개방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손이 캐비닛도어(200)와 물품투입구(102) 사이에 끼이더라도 사용자는 쉽게 캐비닛도어(200)의 하단부를 개방하여 손을 뺄 수 있어서 사용자의 손이 끼이는 경우라도 사용자는 즉시 끼인 손을 빼낼 수 있다.
제시된 실시예들에 대한 설명은 임의의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이용하거나 또는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러한 실시예들에 대한 다양한 변형들은 본 발명의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백할 것이며, 여기에 정의된 일반적인 원리들은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남이 없이 다른 실시예들에 적용될 수 있다. 그리하여, 본 발명은 여기에 제시된 실시예들로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여기에 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관되는 최광의의 범위에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3)

  1. 육면체 형상으로 구비되고, 수납공간 및 상기 육면체 형상의 바닥면에 수직하고 상기 수납공간을 노출시키는 물품투입구를 포함하는 캐비닛;
    상기 물품투입구를 덮을 수 있는 크기의 플레이트 형태로 구비되고,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상기 캐비닛의 양측 측면판에 연결되는 캐비닛도어;
    상기 캐비닛의 상면판의 내면에 구비되고, 슬라이더를 포함하고, 상기 슬라이더를 상기 물품투입구 후방으로 일정 간격을 갖도록 미리 설정된 제1 지점 및 상기 캐비닛의 배면판에 근접하도록 미리 설정된 제2 지점 사이의 상기 상면판과 평행한 슬라이딩 이동 구간 사이에서 왕복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이동을 통해 상기 캐비닛도어의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도어개폐제어부재;
    상기 물품투입구 및 상기 제1 지점 간의 거리 이하의 길이를 갖는 막대 또는봉 형상으로 구비되고, 상기 슬라이더의 일측 및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 사이에 연결되어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가 상기 슬라이더를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하면 상기 제1 지점으로부터 상기 물품투입구 방향으로 연장되는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제공하는,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캐비닛도어는 상기 슬라이더가 상기 제1 지점에서 정지되면 상기 물품투입구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후 자중에 의해 상기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따라 상단부가 이동하면서 회전하여 닫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도어는 연결플레이트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하부가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부는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보다 높게 위치하며 상기 상부로부터 상기 하부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방형 구멍을 포함하고,
    상기 도어 자중낙하 가이드부재는, 제1 단부가 상기 슬라이더에 연결되고 제2 단부는 상기 장방형 구멍에 삽입되고, 상기 도어 자유이동 구간을 제공하는 가이드축; 및 상기 제2 단부의 끝단에 구비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슬라이더와 마주하는 스톱퍼를 포함하며,
    상기 연결플레이트는 상기 캐비닛도어가 상기 물품투입구에 대해 예각을 이루도록 이동이 정지된 직후 상기 가이드축을 따라 이동하여 상기 캐비닛도어의 자중에 의한 회전을 가이드하고,
    상기 스톱퍼는 상기 캐비닛도어 및 상기 연결플레이트가 상기 물품투입구를 덮도록 서로 평행하게 수직으로 세워지는 지점에 위치하여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이동을 제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캐비닛도어는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 및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 사이에 구비되는 힌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힌지부재는,
    힌지축;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연결플레이트의 하부에 고정되는 제1 연결판; 및
    상기 힌지축에 회전 가능하게 연결되고, 상기 캐비닛도어의 상단부의 배면에 고정되는 제2 연결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KR1020200023047A 2020-02-25 2020-02-25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KR10240393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47A KR102403934B1 (ko) 2020-02-25 2020-02-25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23047A KR102403934B1 (ko) 2020-02-25 2020-02-25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72A KR20210108172A (ko) 2021-09-02
KR102403934B1 true KR102403934B1 (ko) 2022-05-31

Family

ID=7779433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23047A KR102403934B1 (ko) 2020-02-25 2020-02-25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03934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873Y1 (ko) * 2005-08-23 2006-01-24 한용일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101499049B1 (ko) * 2012-12-10 2015-03-05 김영진 보관함의 개폐장치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146406B2 (ja) * 1994-05-16 2001-03-19 富士変速機株式会社 パネル体の開閉装置
US8741062B2 (en) 2008-04-22 2014-06-03 Picosun Oy Apparatus and methods for deposition reactors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406873Y1 (ko) * 2005-08-23 2006-01-24 한용일 상향식 도어 개폐장치
KR101499049B1 (ko) * 2012-12-10 2015-03-05 김영진 보관함의 개폐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108172A (ko) 2021-09-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WO2016090992A1 (zh) 票箱和票据处理装置
WO2018019040A1 (zh) 金融自助***的发卡、换卡设备及其方法、金融自助终端
KR102403934B1 (ko) 손가락 끼임을 방지하는 물건 보관함
US4895008A (en) Security system
EP3531381B1 (en) Cash storage apparatus
US7044331B2 (en) Media dispenser module and automated teller machine having the same
JP3383069B2 (ja) 取引口のシャッタ装置
JP5174710B2 (ja) 貸金庫システム
CN108198330B (zh) 双向闸门机构
CN116152985A (zh) 一种钞袋装置
US6000521A (en) Slidable door for a bill inlet
JPH01255177A (ja) インターロツク装置
WO2019218913A1 (zh) 闸门机构、钞箱及自助设备
CN208056869U (zh) 一种自动式箱包电子锁
EP3557546A1 (en) Cash storage apparatus
KR200425003Y1 (ko) 봉투 투입구
JP3884794B2 (ja) 紙幣識別機
CN219958299U (zh) 售卖装置
KR101229253B1 (ko) 전자도어록 타입 캐비넷 도어 개폐 장치
CN109448220A (zh) 金融自助设备及其闸门防盗***
CN110880215B (zh) 回收箱、票据发放机及金融设备
WO2020177625A1 (zh) 出货装置及自动售货机
US11939795B2 (en) Selective locking assembly of extractable components such as furniture drawers
JP2919504B2 (ja) カップ式飲料自動販売機の販売口扉装置
JP3544194B2 (ja) 引き違い戸用プッシュロック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