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98248B1 -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 Google Patents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98248B1
KR102398248B1 KR1020200009806A KR20200009806A KR102398248B1 KR 102398248 B1 KR102398248 B1 KR 102398248B1 KR 1020200009806 A KR1020200009806 A KR 1020200009806A KR 20200009806 A KR20200009806 A KR 20200009806A KR 102398248 B1 KR102398248 B1 KR 102398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unger
swim bladder
water tank
cold water
ball to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098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96404A (ko
Inventor
강호술
사민옥
Original Assignee
오비오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비오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비오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0098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98248B1/ko
Publication of KR2021009640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9640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98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98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57Cooling arrangemen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0895He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FMEASURING VOLUME, VOLUME FLOW, MASS FLOW OR LIQUID LEVEL; METERING BY VOLUME
    • G01F23/00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 G01F23/0038Indicating or measuring liquid level or level of fluent solid material, e.g. indicating in terms of volume or indicating by means of an alarm using buoyant prob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7OPENING, CLOSING OR CLEANING BOTTLES, JARS OR SIMILAR CONTAINERS; LIQUID HANDLING
    • B67DDISPENSING, DELIVERING OR TRANSFERRING LIQUID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7D1/00Apparatus or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on draught
    • B67D1/08Details
    • B67D1/12Flow or pressure control devices or systems, e.g. valves, gas pressure control, level control in storage containers
    • B67D2001/1259Fluid level control devices
    • B67D2001/1261Fluid level control devices the level being detected mechanically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Abstract

음용수를 차단하기 위한 행정거리 및 유입구를 차단하는 힘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냉수탱크에서의 수위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를 제시한다. 그 장치는 냉수탱크에 내장되어 물통의 음용수를 냉수탱크로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볼탑을 포함하고, 볼탑은 적어도 하나의 부레, 부레와 연결되는 회전암 및 회전암의 단부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고, 캠은 플런저의 하부에 위치한다.

Description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Hot and cold water dispenser having ball-top}
본 발명은 냉온수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냉수의 수위를 조절하는 볼탑을 구비하는 냉온수기에 관한 것이다.
냉온수기는 냉수 및 온수를 각각 분리하여 저장하는 냉수탱크 및 온수탱크가 각각 별도로 구비되며, 냉수탱크에는 유입수를 냉각시키기 위한 냉각장치가 구비되고 온수탱크에는 물을 가열시키기 위한 가열장치가 구비된다. 냉수탱크와 온수탱크는 별도의 연결관을 통해 상호 연결되어 냉수탱크 내부 공간으로 공급된 냉수는 연결관을 통해 온수탱크로 공급된다. 냉수탱크로 유입된 음용수가 소정의 수위까지 도달되면, 유입구를 차단하여 음용수가 더 이상 냉수탱크로 유입되지 않게 하여 수위를 조절하는 볼탑이 장착된다.
국내등록특허 제10-1016188호는 수위를 조절하는 볼탑이 장착된 냉온수기를 제시하고 있다. 그런데, 상기 냉온수기는 중심부의 부력이 약하여 음용수의 유입이 차단되지 않을 우려가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냉온수기의 부레는 상하운동은 단지 부력에만 의존하므로, 패킹부가 움직이는 행정거리를 충분하게 확보하지 못할 수 있다. 또한, 부력에만 의존하는 상하운동은 유입구를 차단하는 힘이 부족하다. 음용수의 유입이 제대로 차단되지 않으면, 냉수탱크에서의 수위조절이 불가능하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음용수를 차단하기 위한 행정거리 및 유입구를 차단하는 힘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냉수탱크에서의 수위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를 제공하는 데 있다.
본 발명의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는 냉수탱크의 상부에 내장되어, 물통의 음용수를 상기 냉수탱크로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볼탑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볼탑은 적어도 하나의 부레, 상기 부레와 연결되는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단부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플런저의 하부에 위치한다.
본 발명의 장치에 있어서, 상기 부레는 동일 형상으로 상기 플런저의 양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부레는 원호 형상으로, 종방향의 폭(W1) 및 횡방향의 폭(W2)을 가지며 상기 폭(W1) 및 폭(W2)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부레의 부력이 증가될 수 있다. 상기 부레는 아래 부분이 개방되고 격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공기방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부레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런저의 단부 및 상기 캠의 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딩되어 점접촉을 이룬다. 상기 플런저는 행정거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행정거리는 상기 부레의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상기 플런저의 행정거리는 상기 부레의 행정거리보다 클 수 있다. 상기 행정거리는 상기 플런저의 단부 및 상기 캠의 단부의 곡률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상기 볼탑은 상기 냉수탱크에 내장된 분리판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상기 분리판은 둘레를 따라 경사진 단차부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에 의하면, 부레의 부력과 함께 회전운동량을 활용하는 볼탑(ball-top)을 적용함으로써, 음용수를 차단하기 위한 행정거리 및 유입구를 차단하는 힘을 충분하게 확보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제1 냉온수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냉온수기의 볼탑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의 볼탑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볼탑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제1 냉온수기의 볼탑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제2 냉온수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분리판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음에서 설명되는 실시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술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한편, 상부, 하부, 정면 등과 같이 위치를 지적하는 용어들은 도면에 나타낸 것과 관련될 뿐이다. 실제로, 냉온수기는 임의의 선택적인 방향으로 사용될 수 있으며, 실제 사용할 때 공간적인 방향은 냉온수기의 방향 및 회전에 따라 변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는 부레의 부력과 함께 회전운동량을 활용하는 볼탑(ball-top)을 적용함으로써, 음용수를 차단하기 위한 행정거리 및 유입구를 차단하는 힘을 충분하게 확보하여 냉수탱크에서의 수위조절이 제대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냉온수기를 제시한다. 이를 위해, 부레의 부력과 회전운동량을 활용하는 볼탑의 구조에 대하여 상세하게 알아보고, 상기 볼탑에 의해 냉수탱크의 수위를 조절하는 과정을 구체적으로 살펴보기로 한다. 여기서, 음용수는 물통으로부터 공급을 받아서, 추후에 냉수 및 온수로 변형되어 공급된다. 이하에서는 물통으로부터 음용수를 공급받는 상태를 기준으로 설명하였으나, 물통 이외에도 수돗물을 공급하는 수도관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냉온수기(1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다. 다만, 엄밀한 의미의 도면을 표현한 것이 아니며,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도면에 나타나지 않은 구성요소가 있을 수 있다.
도 1에 의하면, 제1 냉온수기(100)는 탑커버(10), 볼탑(20), 냉수탱크(30) 및 온수탱크(40)를 포함하여 이루어진다. 탑커버(10)에는 물통(BT)이 탑재된다. 물통(BT)으로부터 공급된 음용수는 냉수탱크(30)에서 냉수 상태(이하, 냉수)로 저장되어 유동하고, 온수탱크(40)에서 온수 상태(이하, 온수)로 저장되어 유동한다. 탑커버(10)와 볼탑(20) 사이에는 냉수탱크(30)를 덮는 냉수탱크 덮개(11)가 배치된다. 덮개(11)의 중심부에는 봉 형태의 워터가이드(12)가 위치하고, 워터가이드(12)에는 상기 음용수가 유입되는 유입구(13)가 존재한다. 워터가이드(12)는 물통(BT)의 내부로 삽입되어, 유입구(13)로부터 음용수를 냉수탱크(30)로 공급하게 된다. 냉수탱크 덮개(11)의 일측에는 외부로부터 유입되는 공기를 조절하는 공기 체크밸브(14)를 구비할 수 있다.
볼탑(20)은 냉수탱크(30)의 내부에 위치하며, 바람직하게는 분리판(31) 상부의 워터가이드(12) 하부에 위치한다. 분리판(31)은 워터가이드(12)를 통해 공급되는 음용수가 분리판(31)의 하부의 냉수와 직접 혼합되지 않도록 한다. 대류에 의해, 분리판(31) 상부의 상온수의 온도는 분리판(31) 하부의 냉수보다 높다. 다시 말해, 냉수는 분리판(31)을 기준으로 온도가 서로 다른 층이 형성된다. 만일, 분리판(31)이 없다면, 상기 냉수의 온도가 서로 다른 층이 형성되지 않는다. 워터가이드(12), 공기 체크밸브(14), 냉수탱크(30), 분리판(31) 및 온수탱크(40)는 공지된 구조 및 방식이 모두 적용될 수 있다. 다만, 여기서는 하나의 사례를 든 것에 불과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냉온수기(100)의 볼탑(20)을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의 볼탑(20)을 저면에서 바라본 도면이다. 이때, 제1 냉온수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2에 의하면, 볼탑(20)은 적어도 하나의 부레(21), 부레(21)와 연결되는 회전암(22), 회전암(22)의 단부에 배치된 캠(23)을 구비한다. 캠(23)은 플런저(24)의 하부에 위치하며, 플런저(24), 회전암(22)의 일부, 캠(23)은 하우징(25)에 장착된다. 캠(23)은 각뿔 또는 원뿔 형태로써, 단부는 라운딩된 것이 바람직하다. 플런저(24)는 하우징(25)의 중심부에 위치하는 연통홀(26)을 따라 상하로 움직인다. 부레(21)의 개수는 하나이어도 무방하나, 보다 효과적인 수위조절을 위해서는 플런저(24)의 양측에 부레(21)를 설치하는 것이 좋다.
양측에 부레(21)를 설치함으로써, 부레(21)가 한쪽으로 치우치지 않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부레(21)를 양측에 설치함으로써 회전암(22)도 2개이며 급수되는 물에 의해 부상하는 부레는 회전암(22)을 통하여 플런저(24)를 위로 밀어 올린다. 만일, 캠(23) 구조의 플런저(24)를 한쪽에서 밀어 올리면 플런저(24)가 측력을 받게 되는데 반해, 2개의 회전암(22)으로 양방향에서 플런저(24)를 밀면 자연히 측력이 해소된다. 양측의 부레(21)는 플런저(24)의 작동성과 밀폐기능을 높인다. 또한, 볼탑(20)을 원통형으로 하게 되면 볼탑(20)이 장착되는 공간에는 다른 기능을 하는 구조물을 설치하기가 쉽지 않다. 부레(21)을 양방향으로 배치하면, 2개의 부레(21) 사이의 간격은 에어 볼탑, 살균장치 등을 장착할 수 있는 공간을 확보한다. 이하에서는, 양측에 부레(21)가 존재하는 경우를 중심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이때, 각각의 부레(21)에는 회전암(22) 및 캠(23)이 부착된다.
도 3에 의하면, 부레(21)는 원호 형상으로, 종방향의 폭(W1) 및 횡방향의 폭(W2)을 가진다. 종방향 및 횡방향의 폭(W1, W2)의 크기를 조절하면, 부레(21)의 부력이 달라진다. 예컨대, 종방향 및 횡방향의 폭(W1, W2)의 크기가 크면 부력이 커지고, 크기가 작아지면 부력이 작아진다. 종방향 및 횡방향의 폭(W1, W2)은 본 발명이 제1 냉온수기(100)의 냉수탱크(30)의 크기, 용도 등을 고려하여 적절하게 설정할 수 있다. 부레(21)에는 복수개의 격벽(27)으로 구분된 방으로 구분될 수 있다. 격벽(27)은 부레(21)의 변형을 방지하고, 부력의 크기를 세밀하게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레(21)는 밀폐형이 아닌 아래 부분이 개방된 개방형을 적용할 수 있다. 개방형 부레(21)는 개방된 부분의 소재의 절약, 공정의 편의 등으로 비용을 절감할 수 있다. 개방형 부레(21)는 수위가 아래로 내려갔을 경우에 부레(21)가 아래로 처진 형태가 된다. 부레(21)가 아래로 처지면, 그 경사각도만큼 부레(21)를 경사진다. 부레(21)가 상승하면 갇혀져 있는 격벽(27)으로 형성된 공기방이 유출되므로, 여러 개의 공기방을 형성하여 공기의 유출을 최소로 하여 부력을 최대로 하였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볼탑(20)의 동작과정을 개략적으로 설명하는 도면이고, A 부분을 확대하여 표현하였다. 이때, 제1 냉온수기(100)는 도 1을 참조하기로 한다.
도 4에 의하면, 볼탑(20)은 부레(21)의 운동에 의해 플런저(24)를 움직이게 한다. 플런저(24)가 물통(BT) 방향으로 이동하면, 플런저(24)는 음용수의 유입구(13)를 폐쇄하여 음용수의 유입이 차단된다. 플런저(24)가 분리판(31) 방향으로 이동하면, 음용수의 유입구(13)가 개방되어 음용수의 유입이 이루어진다. 즉, 음용수의 차단 및 유입은 플런저(24)에 의해 이루어진다. 플런저(24)는 행정거리(L)만큼 상하로 움직인다. 행정거리(L)는 유입구(13)의 폐쇄 및 개방을 구현하는 거리이다. 행정거리(L)는 부레(21)의 부력과 함께 회전운동량에 의해 형성된다. 이에 대해서는 추후에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플런저 단부(24a)는 볼록하게 라운딩된 형태이다. 플런저 단부(24a)와 접촉하는 캠(23)의 단부도 볼록하게 라운딩된 형태이다.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는 라운딩되어 있으므로,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는 한 지점(a, b, c)에서 만나게 된다. 부레(21)의 부력이 평형을 이루면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는 a 지점에서 만난다. 여기서, 평형이란 한쪽으로 기울어지지 않고 수평을 유지하는 것이다. 부레(21) 한쪽의 부력이 작아서 캠(23)이 기울어지면,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는 b 또는 c 지점 중의 어느 하나의 지점에서 만난다. 도면의 좌측을 기준으로, 오른쪽 아래 방향으로 기울어지면 b 지점에서 만나고, 왼쪽 아래 방향으로 c 지점에서 만난다. 이와 같이,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는 점(point) 접촉을 이룬다.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가 a 지점에서 만나면, 양측의 부레(21)에 의해 플런저(24)를 상승시킨다. 만나는 지점이 b 또는 c 지점 중의 어느 하나의 지점이 되면, 플런저(24)는 하강한다. 플런저 단부(24a)의 상승 및 하강에 의한 행정거리(L)가 정의된다. 플런저(24)의 행정거리(L)는 a 지점에 대한 b 또는 c 지점 중의 어느 하나의 지점 사이의 간격이다. 플런저(24)가 상승하면 유입구(13)가 폐쇄되어 음용수 유입이 차단되고, 플런저(24)가 하강하면 유입구(13)가 개방되어 음용수가 유입된다.
행정거리(L)는 상하 간의 수직거리이므로, 수직거리에 의한 운동에 의해 부레(21)의 회전운동량을 발생시킨다. 만일, 종래와 같이, 부레의 기울어짐이 없이 수평을 유지한 채 행정거리만큼 이동하면, 상기 행정거리는 부레의 부력에만 기인한다. 부레의 크기는 냉수탱크에 제한되어 있어서, 상기 부력을 증가시키는 데에는 한계가 있다. 하지만, 본 발명의 부레(21)의 크기는 종래보다 작아서 부력은 작으나, 행정거리(L)만큼 수직으로 회전운동하는 회전운동량을 활용하여, 행정거리(L)를 종래보다 크게 하고 플런저(24)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증가시킨다. 본 발명의 부레(21)는 지레의 원리에 의해 회전 모멘트(moment)를 발생시켜서 플런저(24)를 움직이게 하는 힘을 원통형보다 크게 발휘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부레(21)는 플런저(24)의 양측에 배치하여, 상기 회전운동량 효과를 더욱 배가할 수 있다.
한편, 플런저 단부(24a) 및 캠(23) 단부의 곡률을 조절하면, 행정거리(L)가 달라진다. 만일, 플런저 단부(24a) 또는 캠(23) 단부 또는 모두의 곡률이 커지면 행정거리(L)가 커지고, 플런저 단부(24a) 또는 캠(23) 단부 또는 모두의 곡률이 작아지면 행정거리(L)가 작아진다. 그런데, 플런저 단부(24a) 또는 캠(23) 단부 또는 모두의 곡률이 지나치게 크면, 기울어진 후에 원상태로 회복하는 데에 어려움이 있을 수 있다. 이에 따라, 플런저 단부(24a) 또는 캠(23) 단부 또는 양측의 곡률은 본 발명에 볼탑(20)의 크기, 냉수탱크(30)의 크기, 냉수탱크(30)의 형상 등을 고려하여 행정거리(L)를 적절하게 조절할 수 있다.
2개의 부레(21)를 양방향에 배치함으로써 플런저(24)의 접촉면 곡률을 크게 하더라도 보다 용이하게 작동시킬 수 있다. 또한, 플런저(24)의 곡률을 크게 함으로써 회전암(22)과 접촉되는 플런저(24) 곡면상의 상하 높이차와 회전암(22)이 선회할 때 회전암(22)의 접촉부의 궤적에서 상하 높이차가 서로 합해져서 플런저(24)의 상하 이동량을 늘릴 수 있다. 한편, 플런저(24)의 상하 이동량은 플런저(24)를 상향으로 이동시켜 수로를 밀폐할 때에 이론적 밀폐 높이보다 여유값을 가지도록 더 이동해야 한다. 반대로 냉수탱크 내의 급수된 물이 부족할 때에는 부레(21)가 내려가서 플런저(24)를 하향으로 이동시킬 때 일정한 값 이상 열려야만 플런저(24) 상부의 물 급수가 용이하게 된다. 따라서, 플런저(24)의 상하 행정거리는 부레(21)의 상하 행정거리보다 큰 것이 유리하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1 냉온수기(100)의 볼탑(20)의 변형예를 나타내는 사시도들이다. 이때, 변형예(20a, 20b)는 부레(50, 51)의 형상을 제외하고 도 2의 볼탑(20)과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5에 의하면, 볼탑의 변형예(20a, 20b)는 부레(50, 51)가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이다. 도면과 같이 플런저(24)에 가까운 중심부의 두께가 두껍고, 플런저(24)와 거리가 먼 주변부의 두께가 얇다. 변형예(20a)의 부레(50)는 상부는 편평하고 하부가 경사진 형태이고, 변형예(20b)의 부레(51)는 하부는 편평하고 상부가 경사진 형태이다. 상기 테이퍼 형태는 부레(50, 51)의 위치에 따른 부력이 달라지게 한다. 구체적으로, 두께가 두꺼운 부분은 부력이 크고, 두께가 얇은 부분은 부력이 작다. 플런저(24)의 중심부는 부력이 크기 때문에, 플런저(24)의 부상력을 높인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한 제2 냉온수기(200)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 및 단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분리판(60)에 의한 효과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때, 제2 냉온수기(200)는 분리판(60)을 제외하고 제1 냉온수기(100)와 동일하다. 이에 따라, 동일한 참조부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제2 냉온수기(200)의 분리판(60)은 둘레를 따라 경사진 단차부(61)를 포함한다. 경사진 단차부(61)는 경사지지 않은 분리판(31)에 비해 부레(51)를 더욱 기울어지게 한다. 도면에서는 부레(51)를 나타내었으나, 앞에서 설명한 부레(21, 50)가 모두 적용된다. 경사진 단차부(61)에 의해 부레(51)가 더욱 기울어지면, 도 4에서 설명한 플런저 단부(24a)와 캠(23)의 단부가 만나는 b 또는 c 지점 중의 어느 하나는 경사지지 않은 분리판(31)에 비해 더욱 낮아진다. 여기서, b 또는 c 지점 중의 어느 하나가 더욱 낮아지면, 행정거리(L)은 더욱 증가한다.
행정거리(L)가 증가하면 부레(51)의 회전운동에 의한 회전운동량이 커진다. 회전운동량이 커지면, 플런저(24, 50)를 움직이게 하는 힘이 더욱 커진다. 상기 회전운동량이 커지면, 부레(51)의 크기가 작아져도 경사지지 않은 분리판(31)의 부레(21, 50)보다 작아도 유입구(13)의 폐쇄하고 개방하는 행정거리(L)를 충분하게 확보할 수 있다. 이렇게 되면, 냉수탱크(30)의 크기를 작게 해도 수위조절이 가능하므로, 제2 냉온수기(200)는 제1 냉온수기(100)보다 작은 크기로 설계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바람직한 실시예를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당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0; 탑커버 11; 냉수탱크 덮개
12; 워터가이드 13; 유입구
14; 공기 체크밸브 20; 볼탑
21, 50, 51; 부레 22; 회전암
23; 캠 24; 플런저
25; 하우징 26; 연통홀
27; 격벽 30; 냉수탱크
31, 60; 분리판 40; 온수탱크
61; 단차부

Claims (10)

  1. 냉수탱크의 상부에 내장되어, 물통의 음용수를 상기 냉수탱크로의 유입을 차단하거나 공급하는 볼탑을 포함하고,
    상기 볼탑은,
    동일 형상으로 플런저의 양측에 배치된 부레, 상기 부레와 연결되는 회전암 및 상기 회전암의 단부에 형성된 캠을 포함하고, 상기 캠은 상기 플런저의 하부에 위치하고,
    상기 플런저의 단부 및 상기 캠의 단부는 볼록하게 라운딩되어 점 접촉을 이루며, 상기 플런저는 행정거리를 따라 이동하며 상기 행정거리는 상기 부레의 회전운동을 일으키고, 상기 플런저의 행정거리는 상기 부레의 행정거리보다 크며, 상기 양측에 배치된 부레의 부력의 차이에 따라 상기 점 접촉의 위치가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는 원호 형상으로, 종방향의 폭(W1) 및 횡방향의 폭(W2)을 가지며 상기 폭(W1) 및 폭(W2)의 크기가 커질수록 상기 부레의 부력이 증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는 아래 부분이 개방되고 격벽에 의해 형성된 여러 개의 공기방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레는 외측으로 갈수록 두께가 얇아지는 테이퍼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6. 삭제
  7. 삭제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행정거리는 상기 플런저의 단부 및 상기 캠의 단부의 곡률에 따라 달라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볼탑은 상기 냉수탱크에 내장된 분리판 상부에 위치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분리판은 둘레를 따라 경사진 단차부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20200009806A 2020-01-28 2020-01-28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KR102398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06A KR102398248B1 (ko) 2020-01-28 2020-01-28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09806A KR102398248B1 (ko) 2020-01-28 2020-01-28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04A KR20210096404A (ko) 2021-08-05
KR102398248B1 true KR102398248B1 (ko) 2022-05-17

Family

ID=7731658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09806A KR102398248B1 (ko) 2020-01-28 2020-01-28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98248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38Y1 (ko) * 2001-08-14 2002-07-27 김기호 부레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경보감도를 향상시킨 수위경보장치
KR200292155Y1 (ko) * 2002-07-02 2002-10-18 (주) 에이씨이전자 정수기의 도자기 냉수통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843585B2 (ja) * 1998-03-06 2006-11-08 株式会社タツノ・メカトロニクス 弁装置
US6178994B1 (en) * 2000-02-24 2001-01-30 Young Do Industrial Co., Ltd. Tap for compressed or liquefied gases having an overcharging prevention function
KR20130103046A (ko) * 2012-03-09 2013-09-23 오비오주식회사 냉온수기용 노스필과 볼탑의 일체형 구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83738Y1 (ko) * 2001-08-14 2002-07-27 김기호 부레의 무게를 감소시키고 자석의 흡인력을 이용하여경보감도를 향상시킨 수위경보장치
KR200292155Y1 (ko) * 2002-07-02 2002-10-18 (주) 에이씨이전자 정수기의 도자기 냉수통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96404A (ko) 2021-08-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913035B2 (en) Water filler for water tank
KR102398248B1 (ko) 볼탑을 포함하는 냉온수기
US20200236903A1 (en) Water dispenser
JP2004507694A (ja) 複数の吐出口を有するフロート弁付き自動水位調節装置
US8113231B2 (en) Device for controlling water level
JP5683318B2 (ja) 洗浄タンク装置
JP2014224432A (ja) 便器洗浄装置
CN105113593B (zh) 一种用于控制水箱水位的给排水***
KR101663070B1 (ko) 유량조절밸브 및 온수분배기
KR101016188B1 (ko) 냉온수기
KR101214212B1 (ko) 냉온수기
KR100871616B1 (ko) 물 공급 장치
JP7037718B2 (ja) 洗浄水タンク装置
KR101339989B1 (ko) 배출유량 조절형 부구를 갖는 배수장치
JP3295632B2 (ja) 水位制御装置
KR101680285B1 (ko) 밸러스트 탱크의 유체 조절장치
JPS5915801Y2 (ja) 空気排出弁
JP2009097174A (ja) 便器洗浄タンク装置
WO2003050633A1 (en) Improved liquid level controller
KR200191668Y1 (ko) 정전시 복귀방지 기능과 수동 개폐조작기능을 갖춘 전자밸브
US6722623B1 (en) Multi-stage pedal valve structure
KR200492788Y1 (ko) 측면 레버형 수전 카트리지
KR20190022956A (ko) 급수탱크 및 이를 이용한 냉온수기
KR101369875B1 (ko) 정수기용 순간 온수장치
JP7084275B2 (ja) 水流スイッチ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