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6625B1 -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6625B1
KR102386625B1 KR1020210141558A KR20210141558A KR102386625B1 KR 102386625 B1 KR102386625 B1 KR 102386625B1 KR 1020210141558 A KR1020210141558 A KR 1020210141558A KR 20210141558 A KR20210141558 A KR 20210141558A KR 102386625 B1 KR102386625 B1 KR 10238662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arative example
examples
niacinamide
composi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41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혜용
최재춘
Original Assignee
(주)바이오신펩
주식회사 이우바이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바이오신펩, 주식회사 이우바이오 filed Critical (주)바이오신펩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662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6625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6Tri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045Hydroxy compounds, e.g. alcohols; Salts thereof, e.g. alcoholat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55Nicotinic acids, e.g. niacin; Derivatives thereof, e.g. esters, 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atoms, e.g. piperazine or tetrazines
    • A61K31/505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 A61K31/519Pyrimidines; Hydrogenated pyrimidines, e.g. trimethoprim ortho- or peri-condensed with heterocyclic rings
    • A61K31/52Purines, e.g. adenine
    • A61K31/522Purines, e.g. adenine having oxo groups directly attached to the heterocyclic ring, e.g. hypoxanthine, guanine, acyclovi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8/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peptides
    • A61K38/04Peptides having up to 20 amino acids in a fully defined sequence; Derivatives thereof
    • A61K38/07Tetrapept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4Proteins; Peptides; Derivatives or degradation product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14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for baldness or alopec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7/00Preparations for affecting hair grow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300/00Mixtures or combinations of active ingredients, wherein at least one active ingredient is fully defined in groups A61K31/00 - A61K41/00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61K2800/5922At least two compounds being classified in the same subclass of A61K8/18

Abstract

본 발명은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및 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 및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Description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A COMPOSITION FOR STIMULATING GROWTH OF HAIRS CONTANING PEPTIDE COMPLEX}
본 발명은 모발의 손상 및 자극을 최소화함과 동시에 모발의 성장을 촉진할 수 있을뿐만 아니라, 속눈썹의 성장도 촉진할 수 있는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동물들은 계절에 따라 털이 전체적으로 교체되는 털갈이 시기가 있으나, 인간은 전체 모발 중 일부가 매일 계속적으로 교체되어 항상 비슷한 개수가 유지된다.
모발의 주기(hair cycle)는 성장기, 퇴행기, 휴지기의 3주기로 나뉠 수 있으며, 그 중 성장기(anagen)는 모유두에서 활발한 세포 분열이 일어나 새로운 모발의 성장이 촉진되는 시기로, 이 시기에 모발이 성장할 수 있다.
모발의 상장 주기는 대략 남성은 3 내지 5년, 여성은 4 내지 6년 정도이며 전체적으로 약 80 내지 85%의 모발이 성장기에 해당한다.
퇴행기(catagen)는 세포 분열이 점차 멈추어 가는 시기로 대략 3 내지 4주 정도이다. 마지막으로 휴지기(talogen)는 모유두가 위축되어 모발이 모세혈관과 분리되어 단순히 두피에 박혀 있는 시기로, 대략 3개월 정도이며 휴지기에 있는 모발은 대개 물리적 자극에 의해 쉽게 모피에서 이탈된다.
인간의 모발은 비록 생명과는 무관하나, 사람의 인상 및 외모에 결정적인 영향을 미치기 때문에 사회적으로 많은 관심이 집중되고, 종래 탈모가 증상으로 인식되었던 것과 달리 최근에는 질환이라는 인식이 증대되고 있다.
특히, 최근 고도화, 산업화가 가속되면서 수반되는 과도한 스트레스, 생활 습관의 사회 문화적인 요인들로 인해 탈모 인구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또한, 최근에는 중년 남성뿐 아니라 장년층의 탈모가 증가하고 있어 탈모의 다양한 원인을 분석하고 이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주기적인 모발 성장을 위해 모낭의 재생과 줄기세포의 활성화가 이루어져야 하며 이는 Wnt/β카테닌(catenin)의 생성, 활성화에 의해 이루어지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앞서 언급된 DKK-1은 Wnt/β의 길항제로 알려져 있어 모발 성장을 조절하는데 있어 상기의 신호 체계가 매우 중요하다.
특히 모발의 성장 및 퇴화를 조절하는 다양한 성장인자는 모낭의 모유두 세포로부터 만들어 지고 조절된다.
현재까지 개발된 탈모증의 치료 또는 예방용 제제로는 혈행 촉진, 모근 기능 강화, 두피보습 및 남성호르몬 억제를 위한 여성호르몬을 주성분으로 한 제제나 미녹시딜(minoxidil), 피나스트라이드(finasteride), 트리코사카라이드(trichosaccharide) 등을 함유한 제제 등이 있지만, 성기능장애, 기형아 출산 가능성, 전신 발모 등의 부작용으로 인하여 사용에 많은 제약이 있다.
또한, 상기 의약품들은 가격이 비싸고 지속적인 사용이 요구되며, 사용을 중단하였을 때에는 다시 탈모가 유발되는 단점이 있다. 또한 효능에 대한 개개인의 차이가 심하며, 부작용도 개개인 마다 차이가 나는 단점이 있다.
본 발명자들은 두피에 효과적으로 침투하는 저분자 펩타이드가 모발 및 속눈썹의 성장 및 탈모 예방 효과를 가질 뿐만 아니라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며, 천연 성분과 함께 피부에 작용하여 더욱 우수한 생리 활성을 나타낼 수 있음을 규명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생체 안정성이 우수하며, 발모 촉진 및 피부 상태 개선 효과가 우수한 펩타이드 복합체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약학 조성물은 항염, 또는 항균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이 제공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항염, 또는 항균 용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조성물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조성물은 크기가 작은 펩타이드를 포함하므로 우수한 피부 침투능을 가지며, 이로 인해 모발 및 의 생장을 촉진하고 피부 상태 개선 효과를 효과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성물은 펩타이드 복합체와 천연성분이 상호 작용 사용자의 피부 건강에 유익하면서도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를 극대화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것과 같은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가지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출원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되지 않는다.
수치 범위는 상기 범위에 정의된 수치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대의 수치 제한은 낮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낮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최소의 수치 제한은 더 높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모든 더 높은 수치 제한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걸쳐 주어진 모든 수치 제한은 더 좁은 수치 제한이 명확히 쓰여져 있는 것처럼, 더 넓은 수치 범위 내의 더 좋은 모든 수치 범위를 포함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기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한정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및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저분자의 펩타이드 복합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여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활성뿐만 아니라 생체 안전성이 우수하다.
상기 펩타이드 복합체는 인체 내에서 동시에 작용하므로, 단일 성분과 비교하여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 효과가 현저히 우수하며, 특히 본 발명자들은 모발 뿐만 아니라 눈썹이나 속눈썹의 생장에도 영향을 미쳐 속눈썹의 성장 촉진을 위한 용도로서도 사용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상기 펩타이드(peptide)는 아미드 결합(또는 펩타이드 결합)으로 연결된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폴리머를 의미한다.
상기 펩타이드를 명명하는 일반적인 규칙은 구체적으로 지시된 예외사항이 없는 경우 3문자 또는1문자 아미노산 코드를 기초로 할 수 있다. 예컨대, 아미노산 구조의 중심부를 3문자 코드(예컨대, Ala, Lys)로 표시하며, 3문자 코드의 앞에 "D-"를 적음으로써 D-입체형태(예컨대, D-Ala, D-Lys)를 구체적으로 지시하지 않은 경우라면L-입체형태로 가정할 수 있다. 상기 펩타이드를 구성하는 아미노산 잔기는 천연 또는 비-천연아미노산 잔기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모발 성장을 효과적으로 촉진할 뿐만 아니라, 항염, 항균 활성 및 세포 증식능이 뛰어나 비듬 방지 효과 및 두피 염증 완화 효과가 우수하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는 아미노산 구조체로 콜라겐, 엘라스틴, 프로테오글리칸, 글리코스아미노글리칸 등의 합성 증진, 피부 노화와 피부 수분 손실 등의 방지에 관여할 수 있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로렌 피카르트(Loren Pickart) 박사가 1973년 인체 내 혈장 알부민에서 분리한 트리펩타이드-1의 카퍼 복합체 성분으로, 구리이온 및 3개의 아미노산(Gly-His-Lys) 복합체이다.
상기 카퍼트리펩타이드-1은 신장, 콜라겐, 타액 및 소변에서도 발견이 되며, 포유동물에서 모낭과 모발성장 촉진, 상처치유, 피부재건, 상처회복, 간 보호 및 위벽궤양 방지에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은 테트라펩타이드-3(Lys-Gly-His-Lys)의 아세틸화 반응으로 수득한 생성물로, 하기 화학식 1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112021121186983-pat00001
상기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은 콜라겐을 생성하여 모낭 고정을 개선하고, 두꺼운 모발 형성에 도움을 줄 수 있다.
한편, 상기 약학 조성물이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및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 중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은 구리 이온 및 트리펩타이드-34(Ala-His-Lys)에서 형성된 복합물로, 하기 화학식 2의 화합물일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112021121186983-pat00002
상기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은 아세트산(Acetic Acid)과 헵사펩타이드-1의 반응물로, 'Ac - Nle - Ala - His - D - Phe - Arg - Trp - NH2"이 순차로 연결된 서열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카페인(caffeine)”은 브라질의 커피콩에 1 내지 1.5%, 동양의 차 잎에 1 내지 5%, 열대 아프리카의 콜라 열매에 3%, 파라과이의 마테차에 1 내지 2% 및 브라질의 구아라나 종자에 3 내지 5% 존재하는 흥분성 성분으로 백색의 연한 결정이다.
상기 카페인은 중추신경 흥분제, 호흡흥분제, 강심제 및 이뇨제로 알려져 있으며, 소량으로는 피로회복에 효과가 있고, 편두통이나 심장병 등에도 효과가 있다고 알려져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상기 카페인은 테스토스테론의 효능을 상쇄시키고, 단시간 처리에도 두피에 잔류, 탈모 예방에 효과적이다.
상기 “멘톨(menthol)”은 박하의 주성분으로, 박하는 전통적인 동양의학에 의하면 청량작용, 해경(spasolysio) 효과가 있고, 산열, 해표 효과가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또한, 상기 박하는 혈관 중추에 작용, 혈관 이완 효과를 나타내어 혈행 순환을 촉진시키는데, 이는 상기 멘톨이 특유의 강한 향과 자극을 통해 혈행 순환을 촉진하기 때문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는 비타민B군인 나이아신류의 일종으로,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니코틴아마이드라고도 알려진 수용성 비타민 B3이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세라마이드와 함께 라멜라 구조형성에 필요한 콜레스테롤과 지방산의 합성을 동시에 촉진하여 표피의 수분 상실을 감소시키고 지질량을 개선할 수 있다.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멜라닌 합성과 피부 명암에 관련된 효소로서 알려져 있으며 피부 명암에 작용하는 물질들이 전형적으로 멜라닌 합성과 그에 관여된 효소를 저해하는 것으로 연구된 바 있다.
본 연구에 따르면, 상기 나이아신아마이드는 두피의 모세혈관을 확장시키고 혈류량을 증가시켜 모근에 산소와 영양공급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유효성분 이외에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는 제제 시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것으로서, 락토스, 덱스트로스,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전분, 아카시아고무, 인산 칼슘, 알기네이트, 젤라틴, 규산 칼슘, 미세 결정성셀룰로스, 폴리비닐피로리돈, 셀룰로스, 물, 시럽, 메틸 셀룰로스,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히드록시벤조에이트, 활석, 스테아르산 마그네슘 및 미네랄 오일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약학 조성물은 상기 성분들 이외에 윤활제, 습윤제, 감미제, 향미제, 유화제, 현탁제, 보존제 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투여하거나 비경구투여(예를 들어, 정맥 내, 피하, 복강 내 또는 국소에 적용)할 수 있으며,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 형태, 투여 경로 및 시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할 수 있다. 상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 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상기 약학 조성물은 개별 치료제로 투여하거나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 의 치료제와는 순차적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한 요소들을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이는 당업자에 의해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약학 조성물의 유효량은 환자의 연령, 성별, 상태, 체중, 체내에 활성 성분의 흡수도, 불활성율 및 배설 속도, 질병 종류, 병용되는 약물에 따라 달라질 수 있으며, 일반적으로는 체중 1kg 당 0.001 내지 150mg, 바람직하게는 0.01내지 100mg을 매일 또는 격일 투여하거나, 1일 1 내지 3회로 나누어 투여할 수 있다.
그러나 투여 경로, 비만의 중증도, 성별, 체중, 연령 등에 따라서 증감될 수 있으므로 상기 투여량이 어떠한 방법으로도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 및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아미노산 복합체(amino acid complex),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hydrolyzed silk), 착향제, 세라마이드(Ceramide), 및 부형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amino acid complex)는 단백질의 기본 구성단위인 하나 이상의 아미노산이 혼합된 복합 조성물을 지칭하는 것으로, 혼합되는 아미노산의 종류 또는 혼합비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필요에 따라 달리 할 수 있다. 상기 아미노산 복합체는 피부에 보습력을 제공해주고, 모발에 윤기를 부여하므로 상기 조성물의 사용감을 증진시키고, 피부에 대한 자극을 최소화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hydrolyzed silk) 견섬유를 산 또는 알칼리로 가수분해하여 얻은 펩타이드를 함유하는 물 또는 묽은 에탄올을 지칭하는 것으로 흔히 피부 또는 모발 컨디셔닝제의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하이드롤라이즈드실크는 단백질의 구성 성분으로서 인체에 안전하며, 모발에 윤기 및 탄력을 부여하고 손상된 모발을 회복시킬 수 있다.
상기 착향제는 식품이나 화장품 등에 넣어 향기를 내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상온에서 휘발성이 우수하며, 상기 조성물의 제품화를 위해 필요에 따라 첨가될 수 있다.
상기 착향제의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며, 방향성 화학물질, 정유, 천연추출물, 증류물, 단리성분, 아로마, 수지성 레진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Ceramide)는 피부 각질층을 구성하는 각질 세포간 지질 중 약 40% 이상을 차지하며 각질층의 구조 형성이나 기능을 나타내는 데 필수적인 성분으로서, 친수성기와 친유성기를 함께 가지므로 피부에 있는 수분의 증발을 억제할 수 있다. 상기 세라마이드는 모발에 수분막을 형성하여 수분 증발을 억제하고 손상을 방지하므로, 보습제의 원료로 첨가될 수 있다.
상기 부형제(excipien)는 약제에 적당한 굳기나 형상을 부여하거나, 주제(主劑)의 양이 부족한 경우에 일정 용량, 중량을 주어 취급하기 쉬운 크기로 하기 위해 첨가하는 물질을 지칭하는 것으로, 그 종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락토오스, 녹말, 덱스트린, 글리세린, 셀룰로오스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상기 첨가물들뿐만 아니라, 상기 조성물의 기능이나 용도를 고려하여 유화제, 보존제, 희석제, 색소 등 다양한 첨가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두피 및 모발용 외용제에 배합될 수 있는 기제 성분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용해보조제, 계면활성제, 보습제, 점증제, pH 조정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금속이온봉쇄제, 살균제, 항염증제, 항미생물제, 용제, 착색제, 또는 착향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용해보조제는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폴리에틸렌 글리콜, 중쇄 지방산 트리글리세리드, 탄화수소, 글리콜류 등이 될 수 있다.
상기 계면활성제 중 음이온계 계면활성제는 암모늄 라우릴술포숙시네이트, 암모늄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코코일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이세시오네이트, 소디움 라우릴 설페이트, 트리에탄올아민 라우릴 설페이트, 소디움 라우릴 에테르 설페이트(에틸렌옥사이드 1∼3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비이온성 계면활성제는 폴리옥시에틸렌알킬에테르, 폴리옥시에틸렌지방산 에스테르, 폴리옥시에틸렌, 경화 피마자유 유도체,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글리세릴스테아레이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이온성 계면활성제는 3급 지방족 아민염, 알킬트리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디알킬디메칠암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양쪽성 계면활성제는 구체적으로 베타인, 아미드베타인형, 설포베타인형, 스테아르트리모늄클로라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보습제는 글리세린,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렌글리콜, 디프로필렌글리콜, 소르비톨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점증제는 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에틸셀룰로스, 카라기난, 카르복시메틸셀룰로스, 하이드록시메틸셀룰로스 등의 수용성 고분자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pH 조정제는 구체적으로 구연산, 수산화나트륨, 트리에탄올아민, 구연산나트륨, 인산, 인산나트륨, 젖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방부제는 벤조산,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메칠클로로이소치아졸리논의 혼합물, 페녹시에탄올, 디엠디엠히단토인 등이 될 수 있고, 상기 산화방지제는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 아스코르빈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금속이온봉쇄제는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디나트륨, 에칠렌디아민테트라초산테트라나트륨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살균제는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4급 암모늄염, 피록톤올아민,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요도프로피닐 부틸카바메이트, 살리실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항염증제는 글리시리진산모노암모늄, 글리시리진산디칼륨, 스테아릴글리시리지네이트, 카모마일, 알파 비사보롤, 알란토인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항미생물제는 구체적으로 페녹시에탄올, 클로르헥시딘, 클로르헥시딘 글루코네이트, 피록톤올아민, 케토코나졸, 아르니카추출물, 요도프로피닐부틸카바메이트, 벤잘코늄클로라이드, 벤젠토늄클로라이드, 벤조산 및 그의 염, 벤질알코올, 라벤다, 로즈마리, 살리실산, 트리클로카르반, 아연피리치온 현탁액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용제는 에탄올, 정제수, 트윈 20, 사이클로메치콘, 미네랄오일, 디메치콘 등이 사용될 수 있고, 상기 착색제 및 착향제는 두피 및 모발용 제제에 사용되는 통상의 기제들을 사용할 수 있다.
한편, 상기 조성물은 유액, 크림, 페이스트, 겔, 화장수, 팩, 로션, 파우더, 스프레이, 비누 등의 모발처리용 조성물로서 제형화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헤어토너, 헤어로션, 헤어크림, 헤어스프레이, 헤어무스, 헤어젤, 헤어비누, 헤어샴푸, 헤어린스, 헤어팩, 및 헤어트리트먼트로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으로 제형화될 수 있고, 구체적으로 액상형 헤어샴푸로 제형화될 수 있다.
상기 제형에 있어서, 상기한 필수성분 이외에 다른 성분들은 기타 외용제의 용도 또는 사용목적에 따라 당업자가 적절하게 선정하여 배합할 수 있다.
예컨대,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페이스트, 크림 또는 겔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섬유, 식물섬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또는 산화아연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시드, 칼슘 실리케이트 또는 폴리아미드 파우더가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 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체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매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사용될 수 있고,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 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을 더욱 상술하나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지 아니함은 자명하다.
실시예 및 비교예
본 발명의 펩타이드 복합체의 안정성 및 기능성을 검증하고자 하기 표 1 및 2와 같이 시료를 혼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를 설정하였다.
실시예 1 내지 4, 실시예 6 내지 9는 펩타이드를 동일 비율로 혼합하였으며,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3:3:2:2로 하여 혼합비율에 따른 활성을 비교하였다.
이 때, 각 원료는 파우더 형태로 균질하게 혼합하여 실험에서 사용하였다.
각 시료는 시중에서 구득하여 사용하였다.
[함량(중량부)]
구분 실시예
1 2 3 4 5 6 7 8 9 10
카퍼트리펩타이드-1 60 40 40 30 36 24 24 24 24 30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 60 40 40 30 36 24 24 24 24 30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폴리펩타이드카퍼HCL - 40 - 30 24 24 24 24 24 20
아세틸헥사펩타이드-1 - - 40 30 24 24 24 24 24 20
카페인 - - - - - 6 - - 2 2
멘톨 - - - - - - 6 - 2 2
나이아신아마이드 - - - - - - - 6 2 2
[함량(중량부)]
구분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12
카퍼트리펩타이드-1 120 - - - - - - 60 60 40 30 -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 - 120 - - - - - - - - - -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폴리펩타이드카퍼HCL - - 120 - - - - 60 - 40 - -
아세틸헥사펩타이드-1 - - - 120 - - - - 60 40 - -
카페인 - - - - 120 - - - - - 5 40
멘톨 - - - - - 120 - - - - 5 40
나이아신아마이드 - - - - - - 120 - - - 5 40
실험예 1 : 피부 안전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에 대한 피부 안전성을 검증하기 위해, 섬유아세포(HDF)에 대한 MTT assay 실험을 수행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25, 50, 100, 200, 400 μg/mL의 농도별로 각각 현탁한 후,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였다.
세포 독성은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시약을 이용하여 세포 생존율을 측정하는 모스만(Mosmann)의 방법을 변형하여 수행하였다.
섬유아세포(HDF)를 각각 96-웰 플레이트에 1×104 cells/well의 농도로 분주하여 37℃, 5%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배지를 제거하고 시료를 농도별로 처리한 배지에 48시간 동안 배양한 후 배지를 제거하고 PBS(Phosphate buffered saline)로 반복 세척하였다.
MTT를 5mg/mL로 PBS에 녹여 50 μL 첨가하고 37℃, 5%의 CO2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DMSO(Dimethyl sulfoxide)를 한 웰(well) 당 100μL 넣고, 10분 동안 교반한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측정 결과, 각 시료의 모든 농도에서 세포 독성은 확인되지 않았다. 상기 결과는 상기 시료가 인체에 무해할 뿐만 아니라 인체 안전성이 우수함을 시사한다.
실험예 2 :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활성 평가
온도 민감 T 항원을 인코딩한 폴리오마바이러스 라지 T 유전자(polyomavirus large T gene)를 트랜스펙션하여 제조한 PVG 쥐수염 모유두세포(Rat Vibrissa dermal papillae cell)를 이용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모유두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상기 모유두세포를 6-웰 플레이트에 한 웰 당 약 104 cells/well의 농도로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에탄올에 각각 용해시킨 후, 5% FBS 혈청 농도의 DMEM 배지로 순차적 희석(serial dilution)하여 최종 농도를 10ppm으로 조절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가 첨가된 배지 200μL를 각각 웰 당 첨가한 후, 37℃ 5% CO2 배양기에서 약 3일간 배양하였으며, MTT 용액을 각 웰 당 50μL씩 첨가한 후, 동일한 배양기에서 4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MTT 시약이 세포 내 미토콘드리아에 흡수된 후 상등액을 제거하고, DMSO를 150μL 첨가하였으며, 10분간 교반하여 균일하게 프로마잔(formazan) 염료(dye)를 용해시켰다.
515nm 파장에서 ELISA 리더를 이용하여 O.D. 값을 측정하였으며, 미리 만들어둔 표준 곡선에 맞추어 세포 수를 측정하였다.
측정한 세포 수를 기초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유두 세포 증식 촉진능(%)을 계산하였다. 평가 결과는 하기 표 3과 같다.
구분 세포증식촉진효과(%)
실시예 1 58.9±1.1
실시예 2 63.6±1.3
실시예 3 64.1±1.2
실시예 4 66.1±1.2
실시예 5 69.3±1.2
실시예 6 68.2±1.3
실시예 7 69.5±1.1
실시예 8 68.1±1.3
실시예 9 73.0±1.2
실시예 10 76.0±1.2
비교예 1 22.1±1.3
비교예 2 20.5±1.2
비교예 3 22.7±0.9
비교예 4 26.5±1.3
비교예 5 21.4±1.3
비교예 6 23.3±1.2
비교예 7 26.5±1.1
비교예 8 34.2±1.2
비교예 9 37.6±0.9
비교예 10 40.7±1.1
비교예 11 42.1±1.3
비교예 12 37.4±1.1
표 3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혼합 시료는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현저하게 우수한 모두유 세포 증식 촉진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시료의 복합 적용에 따른 시너지 효과가 규명되었다.
실시예 2 내지 10의 시료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세포 증식을 더욱 촉진하였으므로, 탈모 방지 및 육모 촉진 효과가 매우 우수한 것으로 평가할 수 있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우수하였다.
실험예 3 : 모세혈관 확장효과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를 평가하고자,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 정도를 측정하였다.
칼륨통로는 활성화되어 미토제네시스(mitogenesis)를 촉진하고, 혈관 평활근(vascular smooth muscle)을 이완시켜 혈관의 확장을 유도하는 반면, 차단에 의해 NIH3T3 섬유아세포(fibroblast)의 증식을 촉진하므로 섬유아세포의 증식 정도를 평가하여 칼륨통로의 개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시료의 모세혈관 확장능을 평가하기 위해, NIH3T3 섬유아세포를 24-웰 배양 플레이트에 104 세포/웰의 농도로 시드(seed)하고, 10% FCS(fetal calf serum) 및 2mM L-글루타민을 포함하며 항생제를 포함하지 않는 DMEM 배지에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한편, 상기 배양된 배지를 실험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가 첨가된 각 배지로 교체하고 72시간 동안 더 배양하였다.
이 때, 배지를 제거한 후 PBS(Ca2+/Mg2+ 없음)로 세척하였으며, 0.5mL TE(trypsin-ethylenediamine tetraacetic acid)로 처리한 후 배양하였다.
10%(v/v) FCS가 포함된 DMEM를 첨가하고 세포를 분리한 후 EP 튜브에 넣어 5500rpm에서 원심 분리하였다.
상등액을 제거한 후 남은 세포액을 100μL의 PBS에 현탁한 후 혈구 계산기(hemocytometer)를 통해 세포수를 카운팅하였다.
상기 결과에 따라 측정된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세혈관 확장효과는 하기 표 4와 같다.
구분 모세혈관확장효과(%)
실시예 1 51.2±2.1
실시예 2 56.5±1.4
실시예 3 57.3±1.6
실시예 4 61.5±1.4
실시예 5 65.3±1.7
실시예 6 65.7±1.4
실시예 7 64.9±1.6
실시예 8 66.0±1.8
실시예 9 71.3±1.7
실시예 10 75.4±1.9
비교예 1 22.4±1.2
비교예 2 22.2±1.1
비교예 3 24.4±1.3
비교예 4 30.4±1.4
비교예 5 28.2±1.2
비교예 6 31.4±1.3
비교예 7 33.6±1.4
비교예 8 34.6±1.1
비교예 9 38.7±1.3
비교예 10 37.2±1.1
비교예 11 37.5±1.4
비교예 12 38.3±1.2
표 4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혼합 시료는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의 시료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모세혈관 확장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두피 모세혈관의 혈액 순환을 개선하여 모발 건강을 증진시키고 탈모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는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증대되었으며, 펩타이드와 함께 카페인, 멘톨,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점에서 원료 간 시너지 활성이 규명되었다.
실험예 4 : 발모 촉진 활성 평가
모발이 휴지기에 들어선 생후 약 50일 된 생쥐(C57BL/6)의 모발을 제거한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평가하였다.
본 실험에서 몸무게, 크기 등 특성이 유사한 생쥐를 4마리씩 20으로 나눈 후 개별적으로 사육하여 모발의 성장 정도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동일량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를 생쥐의 피부에 처리한 후 30일간 사육하고 제모 부위에서 성장한 모발을 분리하여 중량을 측정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포함하지 피부 외용제를 처리한 생쥐를 대조군으로 설정하여 실시예의 시료에 의한 모발 성장 촉진 효과를 더욱 명확하게 평가하였다. 측정 결과는 하기 표 5와 같다.
구분 모발중량(mg)
실시예 1 237.3±11.8
실시예 2 252.5±12.3
실시예 3 261.4±12.3
실시예 4 269.9±11.3
실시예 5 281.3±12.2
실시예 6 280.6±11.5
실시예 7 280.2±11.2
실시예 8 282.5±13.4
실시예 9 294.7±12.3
실시예 10 301.6±12.4
비교예 1 124.2±8.1
비교예 2 122.5±9.3
비교예 3 115.5±7.6
비교예 4 125.2±9.6
비교예 5 126.3±8.4
비교예 6 121.6±8.6
비교예 7 133.8±9.1
비교예 8 134.4±9.4
비교예 9 147.0±8.5
비교예 10 137.402±9
비교예 11 134.5±8.6
비교예 12 132.9±9.3
대조군 63.2±6.5
표 5를 참조하면, 실시예의 혼합 시료는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의 시료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모발 성진 촉진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으므로 모발 건강을 증진 시키고 탈모를 억제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우수하였으며, 펩타이드 복합체와 함께 카페인, 멘톨,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점에서 원료 간 시너지 활성이 규명되었다.
실험예 5 :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 평가
상기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정제수에 현탁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free radical scavenging acticity)을 평가하였다.
DPPH 측정법은 억제제(inhibitor)가 안정한 라디칼 DPPH(2,2-Diphenyl-1-picrylhydrazyl radical)를 소거하여 탈색되는 정도를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는 방법이다.
대조군으로서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BHT, Dibutyl hydroxy toluene)을 이용하여 자유라디칼 소거 활성을 명확히 비교하였다.
디부틸히드록시톨루엔은 무색의 결정, 또는 백색의 결정성 분말로 항산화 효과가 우수하여 식용유지, 유지성 식품의 산화방지제로 널리 사용되고 있다.
실험의 정확도를 위하여 동일한 실험을 3회 반복하였으며, 결과는 하기 표 6과 같다.
구분 DPPH radical scavenging activity(%)
실시예 1 155.5
실시예 2 161.8
실시예 3 167.8
실시예 4 172.6
실시예 5 179.7
실시예 6 176.4
실시예 7 178.0
실시예 8 178.3
실시예 9 183.6
실시예 10 188.1
비교예 1 122.8
비교예 2 124.4
비교예 3 123.5
비교예 4 131.0
비교예 5 123.6
비교예 6 123.7
비교예 7 127.4
비교예 8 132.4
비교예 9 134.4
비교예 10 135.3
비교예 11 127.2
비교예 12 129.4
대조군 155.5
표 6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농도가 증가함에 따라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증가하였으며,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자유라디칼 소거활성이 높을수록 항산화 효과가 뛰어난 것으로 평가할 수 있으며, 특히, 실시예 2 내지 10의 시료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항산화 효과가 더욱 우수하였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우수하였으며, 펩타이드 복합체와 함께 카페인, 멘톨,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점에서 원료 간 시너지 활성이 규명되었다.
실험예 6 : 항염 활성 평가
Lipopolysaccharide(LPS)로 자극을 유도한 쥐 대식세포주 RAW 264.7 cell에서 EAME의 NO 생성 억제능을 분석하여 실시예 및 비교예의 항염 활성을 평가하였다.
실험을 위해 Murine macrophage cell line 인 Raw 264.7 세포를 한국 세포주 은행으로부터 분양 받아 100units/mL penicillin-streptomycin과 10% fetal bovine serum(FBS)이 함유된 DMEM 배지를 사용하여 37℃ 5% CO2 incubator에서 배양하였으며, 2 내지 3일에 한번씩 계대 배양을 실시하였다.
Raw 264.7 세포(3 X 105 cells/mL)를 18시간 전 배양 후,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농도 10%)와 LPS(1 μg/mL)를 동시 처리하여 24시간동안 배양하였다.
생성된 NO는 Griess reagent을 이용하여 세포 배양액 중 존재하는 NO2 -의 형태로 측정하였다.
음성 대조군은 LPS를 처리하지 않았으며, 양성 대조군은 LPS만을 처리하여 생성된 NO량을 측정하였다.
세포 배양 상층액 100μL 및 Griess 시약(1%(w/v) sulfanilamide, 0.1%(w/v) naphtylehtylenediamine in 2.5%(v/v) phosphoric acid)을 동량 혼합하여 10분간 실온 암실에서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흡광도(540nm)를 측정하였다.
표준농도 곡선은 sodium nitrite(NaNO2)를 serial dilution하여 얻었다(10-100μM).
구분 NO 생성량(μM)
실시예 1 16.2
실시예 2 14.1
실시예 3 15.3
실시예 4 14.1
실시예 5 12.8
실시예 6 12.6
실시예 7 13.1
실시예 8 12.1
실시예 9 10.8
실시예 10 9.4
비교예 1 24.6
비교예 2 27.5
비교예 3 25.7
비교예 4 25.3
비교예 5 27.4
비교예 6 25.9
비교예 7 22.0
비교예 8 24.8
비교예 9 27.8
비교예 10 26.9
비교예 11 24.8
비교예 12 23.3
LPS(-) 6.5
LPS(+) 37.2
표 7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혼합 시료는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더 높은 NO(Nitric oxide) 생성 억제 활성을 나타냈으며, 항산화 및 항염증 활성이 현저히 우수하였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우수하였으며, 펩타이드 복합체와 함께 카페인, 멘톨,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점에서 원료 간 시너지 활성이 규명되었다.
실험예 7 : 속눈썹 성장 촉진 활성 평가
실시예 및 비교예 시료의 속눈썹 성장 촉진 효과를 비교하기 위하여, 건강한 성인 여성을 대상으로 각 시험군(n = 5)에 대하여 속눈썹의 성장 효과를 측정하였다.
크림으로 제형화한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3주 동안 하루 2회 취짐 전, 세안 후 도포하여 속눈썹의 성장 효과를 시험하였다.
각 시험군에서 성장된 속눈썹 길이의 평균값을 산술하여 하기 표 8에 나타내었으며, 음성대조군은 실시예 및 비교예의 시료를 포함하지 않는 동일 제형의 크림을 도포하였다.
구분 속눈썹 성장 길이(mm)
실시예 1 0.98
실시예 2 1.05
실시예 3 1.08
실시예 4 1.12
실시예 5 1.18
실시예 6 1.17
실시예 7 1.17
실시예 8 1.17
실시예 9 1.22
실시예 10 1.27
비교예 1 0.52
비교예 2 0.51
비교예 3 0.48
비교예 4 0.52
비교예 5 0.52
비교예 6 0.50
비교예 7 0.56
비교예 8 0.56
비교예 9 0.61
비교예 10 0.57
비교예 11 0.56
비교예 12 0.55
음성대조군 0.32
표 8을 참조하면, 실시예의 시료는 비교예의 시료와 비교하여 속눈썹 성장 촉진 효과가 현저하게 우수하였다.
실시예 2 내지 10의 시료는 실시예 1과 비교하여 속눈썹 성장 촉진 효과가 우수하였으며, 속눈썹 건강 촉진 및 성장을 위한 용도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평가된다.
특히, 펩타이드 혼합비를 3:3:2:2로 달리한 실시예 5 및 10은 혼합비를 1:1:1:1로 한 실시예 4 및 9보다 활성이 더욱 우수하였으며, 펩타이드 복합체와 함께 카페인, 멘톨, 나이아신아마이드 중 하나 이상을 혼합한 실시예 6 내지 10의 활성은 현저히 개선된 점에서 원료 간 시너지 활성이 확인되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및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약학 조성물.
  2. 삭제
  3. 삭제
  4.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 및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염,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5. 삭제
  6. 삭제
  7. 카퍼트리펩타이드-1(Copper Tripeptide-1);
    아세틸테트라펩타이드-3(Acetyl Tetrapeptide-3);
    알라닌/히스티딘/라이신 폴리펩타이드카퍼에이치씨엘(Alanine/Histidine/Lysine Polypeptide Copper HCl);
    아세틸헥사펩타이드-1(AcetylHexapeptide-1); 및
    카페인(caffeine); 멘톨(menthol); 및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눈썹 또는 속눈썹 성장 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210141558A 2021-04-16 2021-10-22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86625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49601 2021-04-16
KR1020210049601 2021-04-16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86625B1 true KR102386625B1 (ko) 2022-04-14

Family

ID=812111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41558A KR102386625B1 (ko) 2021-04-16 2021-10-22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8662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70B1 (ko) * 2022-12-14 2023-03-17 유스킨컴퍼니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02578B1 (ko) * 2019-06-26 2020-04-21 코스맥스 주식회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KR20200112598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메타케어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화장료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12598A (ko) * 2019-03-20 2020-10-05 주식회사 메타케어 탈모 방지 및 모발 성장 촉진용 조성물 및 이를 포함하는 두피 및 모발 화장료
KR102102578B1 (ko) * 2019-06-26 2020-04-21 코스맥스 주식회사 18β-글리시레틴산, D-판테놀 및 멘톨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모근 강화용 화장료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biofda사 홈페이지(https://www.biofda.com/?p=8429)"Hair growth cosmetic peptide", 2021.03.30.* *
MOBEL Biotechnology 홈페이지, ‘AHK Cu 소개’* *
웰펩(주) 카탈로그(2020.08.25.)* *
제품설명서(인터넷), Product Name: Acetyl Hexapeptide-1, Production Date: 2019.04.12.(https://www.gold-agents.com/product.aspx?id=41444655), 1-8 페이지*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10870B1 (ko) * 2022-12-14 2023-03-17 유스킨컴퍼니 주식회사 펩타이드를 포함하는 육모촉진용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5106028B (zh) 一种用于毛发生长的多肽组合物
KR101208736B1 (ko) 플라보노이드를 함유하는 발모 및 육모 조성물
JPWO2004016236A1 (ja) 化粧料
EP1549331B2 (en) Use of purslane to treat facial wrinkles
US9622963B2 (en) Methods for stimulating growth and preventing loss of human hair
KR20140115400A (ko) 붉나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두피케어조성물
US11896706B2 (en) Composition for preven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as active ingredient, mixed extract of cucumber, eggplant and snail extracts as active ingredient
KR102535575B1 (ko) 고안정성 섬유아세포 성장인자-9 변이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헤어케어 화장품 조성물
KR101698922B1 (ko) 발모 및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102369387B1 (ko) 탈모방지 및 발모촉진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57437A (ko) 탈모 방지, 발모 촉진, 비듬 생성 억제 및 두피 염증 완화용 화장료 조성물
KR102386625B1 (ko) 펩타이드 복합체를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07693780A (zh) 用于预防或治疗脱发的药学组合物
KR20160008055A (ko) 동백잎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체모 또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KR101547758B1 (ko) 탈모 예방 및 양모, 육모 촉진용 조성물
ITRM20130657A1 (it) Trattamento delle dermatopatie mediante estratto vegetale di daphne laureola
KR102458480B1 (ko) 쥐눈이콩 복합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방지 및 발모 촉진용 조성물
CN110248641A (zh) 包含丝胶、蛇床子提取物及槲寄生提取物的皮肤再生、皮肤舒缓或伤口愈合用组合物
KR102302131B1 (ko) 탈모의 예방, 치료, 또는 육모용 조성물
US20230363999A1 (en) Composition for treating hair loss or promoting hair growth comprising growth factor
JP5259127B2 (ja) ツツジ科エリカ属植物由来成分を少なくとも含む外皮系組織用組成物
KR102387136B1 (ko) 탈모의 예방 또는 치료용 펩티드 및 이의 이용
JPH03112912A (ja) 化粧料組成物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2430512B1 (ko) 릴린 및/또는 vegf-c의 생산 및/또는 활성 촉진제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외용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