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83248B1 -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 Google Patents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83248B1
KR102383248B1 KR1020170132794A KR20170132794A KR102383248B1 KR 102383248 B1 KR102383248 B1 KR 102383248B1 KR 1020170132794 A KR1020170132794 A KR 1020170132794A KR 20170132794 A KR20170132794 A KR 20170132794A KR 102383248 B1 KR102383248 B1 KR 10238324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oor side
side member
bracket
mounting unit
rear floo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3279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41339A (ko
Inventor
민헌식
Original Assignee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기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자동차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3279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83248B1/ko
Priority to US15/822,256 priority patent/US10259502B1/en
Priority to CN201711269238.4A priority patent/CN109649102B/zh
Publication of KR201900413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413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8324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8324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1/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 B60G11/14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 B60G11/1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kind of springs having helical, spiral or coil springs only characterised by means specially adapted for attaching the spring to axle or sprung part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1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with resilient means for suspension, e.g. of wheels or engine; sub-frames for mounting engine or suspens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15/00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 B60G15/02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 B60G15/06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 B60G15/067Resilient suspensions characterised by arrangement, location or type of combined spring and vibration damper, e.g. telescopic type having mechanical spring and fluid damper characterised by the mounting on the vehicle body or chassis of the spring and damper uni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02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 B62D21/03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comprising longitudinally or transversely arranged frame members transverse members providing body suppor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1/00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 B62D21/15Understructures, i.e. chassis frame on which a vehicle body may be mounted having impact absorbing means, e.g. a frame designed to permanently or temporarily change shape or dimension upon impact with another body
    • B62D21/152Front or rear frames
    • B62D21/155Sub-frames or undergu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2/00Indexing codes relating to the type of spring, damper or actuator
    • B60G2202/10Type of spring
    • B60G2202/12Wound spr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10Mounting of suspension elements
    • B60G2204/12Mounting of springs or dampers
    • B60G2204/124Mounting of coil sprin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GVEHICLE SUSPENSION ARRANGEMENTS
    • B60G2204/00Indexing codes related to suspensions per se or to auxiliary parts
    • B60G2204/40Auxiliary suspension parts; Adjustment of suspensions
    • B60G2204/43Fittings, brackets or knuckl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개시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된다.

Description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MOUNTINB UNIT FOR REAR SUSPENSION}
본 발명은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차량의 횡강성을 향상시키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의 서스펜션 장치는 차량의 주행 중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이 휠 및 차축을 통해 프레임에 전달되는 것을 방지한다.
또한, 상기 서스펜션 장치는 탑승자의 승차감을 향상시키고, 무리한 충격에 의해 차체가 손상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상기 휠의 불규칙한 진동을 억제하고, 주행의 안전을 도모하게 된다.
한편, 차량의 후방에 위치한 리어 서스펜션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는 마운팅 유닛에 의해 차체에 고정된다.
이때, 상기 마운팅 볼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내측과 하부에 각각 브라켓을 통해 지지되면서 장착된다.
그러나 상기한 바와 같은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코너링 시, 후륜 타이어의 횡력이 마운팅 볼트에 하중으로 집중되며, 이로 인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리어 크로스 멤버, 및 마운팅 유닛 사이의 국부적인 변형이 발생되게 된다.
결과적으로, 종래 기술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의 마운팅 유닛은 차량의 리어부 전체에 걸쳐 횡변형에 대한 저항력이 낮아져 차량의 안전성이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다.
이 배경기술 부분에 기재된 사항은 발명의 배경에 대한 이해를 증진하기 위하여 작성된 것으로서, 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이미 알려진 종래 기술이 아닌 사항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하나 또는 다수의 실시 예에서는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되는 서포트 브라켓을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너트가 관통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지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3 플랜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몸체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의 경계선과, 상기 제2 브라켓과 용접 플랜지의 경계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면에 각각 용접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하는 효과가 있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상기 서포트 브라켓을 통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꺾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리어부의 횡강성을 증가시켜 R&H(Ride and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그 외에 본 발명의 실시 예로 인해 얻을 수 있거나 예측되는 효과에 대해서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에서 직접적 또는 암시적으로 개시하도록 한다. 즉,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라 예측되는 다양한 효과에 대해서는 후술될 상세한 설명 내에서 개시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일측 투영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저면 투영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02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한 도면부호를 적용하여 설명한다.
또한, 하기의 설명에서 구성의 명칭을 제1, 제2 등으로 구분한 것은 그 구성의 명칭이 동일하여 이를 구분하기 위한 것으로, 반드시 그 순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확대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일측 투영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의 저면 투영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 적용된 차체의 개략적인 단면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이하, 간단히 마운팅 유닛이라 함)은 차량의 리어 서스펜션 멤버(2, 도 5 참조)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체결하기 위하여 적용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것이며, 상기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로워 암과 코일 스프링이 별개로 구성된 것으로, 그 형상을 간단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뒷바퀴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휠 캐리어와, 상기 휠 캐리어의 하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 방향으로 설치된 로워 암과, 상기 휠 캐리어의 상측부와 크로스 멤버 사이에 차폭 방향으로 배치된 한 쌍의 어퍼 암과, 상기 휠 캐리어의 전측부와 차체 사이에 차체 길이방향으로 설치된 트레일링 암과, 상기 로워 암의 차체 사이에 상하 방향으로 설치된 쇽 업소버 및 코일 스프링으로 이루어진다.
이러한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은 주요구성 부품인 쇽 업소버와, 코일 스프링, 및 이를 지지하는 로워 암이 상호 연결되어 노면으로부터 지속적으로 발생되는 진동 및 충격에 의해 상하운동을 하게 되면서 진동과 충격을 흡수하게 된다.
이때,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멀티링크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되는 것을 예를 들어 설명하나,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필요에 따라 다른 타입의 서스펜션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상기 마운팅 유닛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7)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7)의 상단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장착되는 제1 브라켓(10)을 포함한다.
상기 제1 브라켓(10)은 내측으로 개방되도록 절곡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의 사이에 공간을 형성한다.
이러한 제1 브라켓(10)은 둘레를 따라 플랜지를 형성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0)에 접합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파이프 너트(7)의 하단부를 고정하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장착되는 제2 브라켓(11)을 포함한다.
이때, 상기 제2 브라켓(11)은 일단부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접합되고, 타단부가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된 상태로, 중앙부가 하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된다.
이러한 제2 브라켓(11)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서포트 브라켓(20)과 함께,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되는 용접 플랜지(13)가 형성된다.
또한,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2)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7)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9)를 포함한다.
상기 마운팅 볼트(9)는 하측에서 상측으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를 관통하여 상기 파이프 너트(7)에 체결되되, 상기 마운팅 볼트(9)는 상기 파이프 너트(7)에 나사산을 통해 체결될 수 있고, 억지끼움 방식으로 체결될 수도 있다.
그리고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장착되는 서포트 브라켓(20)을 포함한다.
다시 말해,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제1 브라켓(10)과 제2 브라켓(11)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다.
이때,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을 좀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된 몸체부(21)를 포함한다.
이때, 상기 몸체부(21)는 차체 내측을 향하여 볼록하게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한다.
이러한 폐공간부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3)의 강성을 보강한다.
더불어, 상기 몸체부(21)는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10)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이는 상기 몸체부(21)와 상기 제1 브라켓(10)과의 L방향 하중 지지를 유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1 플랜지(23)가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23)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외측면과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상기 제1 플랜지(23)는 상기 제1 브라켓(10)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2 플랜지(25)가 형성된다.
상기 제2 플랜지(25)는 상기 제1 플랜지(23)와 연결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된다.
또한, 상기 서포트 브라켓(20)은 상기 몸체부(21)의 둘레의 일정구간에 제3 플랜지(27)가 형성된다.
상기 제3 플랜지(27)는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저면에 접촉되는 위치에 형성된다.
이러한 제3 플랜지(27)는 상기 제2 브라켓(11)과 함께,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용접된다.
다시 말해, 상기 제3 플랜지(27)는 상기 제2 브라켓(11)의 용접 플랜지(13)의 경계선이 일치하는 위치에 용접된다.
한편, 상기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상기 제1 브라켓(10) 사이에 개재되는 보강 플레이트(30)를 포함한다.
상기 보강 플레이트(30)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플레이트(30)는 프레스 성형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의 내측에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져 장착된다.
또한, 상기 보강 플레이트(30)는 일측에 상기 파이프 너트(7)가 관통 설치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서포트 브라켓(20)을 적용하여 구조적 강성을 향상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의 횡변형에 대한 저항령을 증대시켜 안전성을 확보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 사이에 적용된 서포트 브라켓(20)이 상기 제1, 제2 브라켓(10, 11)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1)와 리어 크로스 멤버(3)에 접합되어 차량의 횡강성을 증가시킴으로써, 차량의 코너링 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3)가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결과적으로,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꺾임현상을 방지함으로써, 차량의 리어부의 횡강성을 증가시켜 R&H(Ride and Handling)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
2: 리어 서스펜션 멤버
3: 리어 크로스 멤버
5: 대시 패널
7: 파이프 너트
9: 마운팅 볼트
10: 제1 브라켓
11: 제2 브라켓
13: 용접 플랜지
20: 서포트 브라켓
21: 몸체부
23: 제1 플랜지
25: 제2 플랜지
27: 제3 플랜지
30: 보강 플레이트

Claims (7)

  1. 리어 서스펜션 멤버를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체결하기 위한 멀티링크 타입의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에 있어서,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일측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파이프 너트와, 상기 파이프 너트의 상단부와 하단부를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각각 고정 연결하는 제1, 제2 브라켓과, 상기 리어 서스펜션 멤버의 일측을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에 고정하도록 상기 파이프 너트에 체결되는 마운팅 볼트를 포함하되,
    상기 제1, 제2 브라켓의 각 차체 내측방향 단부에 대응하여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 사이에 배치된 상태로, 둘레를 따라 일체로 형성된 플랜지를 통하여 상기 제1, 제2 브라켓과 함께,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에 접합되는 서포트 브라켓; 및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상기 제1 브라켓 사이에 개재된 상태로, 상기 파이프 너트가 관통 설치되는 보강 플레이트;
    를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레이트는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양측 내측면과 저면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길이방향을 따라 일정구간 겹쳐지도록 프레스 성형되어 형성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중앙부가 볼록하게 형성되어 몸체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의 외측면과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1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1 플랜지;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일측 내측면에 용접되는 제2 플랜지; 및
    상기 몸체부의 둘레에 일정구간 형성되어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저면에 접촉된 상태로, 상기 제2 브라켓과 함께 용접되는 제3 플랜지;
    를 포함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와 상기 리어 플로어 사이드 멤버와 리어 크로스 멤버 사이에 폐공간부를 형성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은
    상기 몸체부의 상면 높이가 상기 제1 브라켓의 상면 높이에 대응하도록 형성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서포트 브라켓과 상기 제2 브라켓은
    상기 서포트 브라켓의 몸체부와 상기 제3 플랜지 사이의 경계선과, 상기 제2 브라켓과 용접 플랜지의 경계선이 일치하도록 상기 리어 크로스 멤버의 양면에 각각 용접 고정되는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1020170132794A 2017-10-12 2017-10-12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102383248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ko) 2017-10-12 2017-10-12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US15/822,256 US10259502B1 (en) 2017-10-12 2017-11-27 Mounting unit for rear suspension
CN201711269238.4A CN109649102B (zh) 2017-10-12 2017-12-05 用于后悬架的安装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ko) 2017-10-12 2017-10-12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41339A KR20190041339A (ko) 2019-04-22
KR102383248B1 true KR102383248B1 (ko) 2022-04-05

Family

ID=66095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32794A KR102383248B1 (ko) 2017-10-12 2017-10-12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10259502B1 (ko)
KR (1) KR102383248B1 (ko)
CN (1) CN1096491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0315921A (zh) * 2019-07-31 2019-10-11 重庆长安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后纵臂总成接附点安装结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ja)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Family Cites Families (1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A2117945C (en) * 1994-10-12 2003-03-25 Laurence J. Holt Suspension system
JP2000229581A (ja) * 1999-02-10 2000-08-22 Nissan Motor Co Ltd サスペンション取付部構造
KR20030024945A (ko) * 2001-09-19 2003-03-28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차체 프레임과 크로스멤버의 접합부 보강구조
US7448478B2 (en) * 2003-10-30 2008-11-11 Sean Thomas Upper strut mount
JP3988745B2 (ja) * 2004-05-06 2007-10-10 日産自動車株式会社 車体フロア構造
US20060043659A1 (en) * 2004-08-30 2006-03-02 Marian Gofron Dual spring jounce bumper assembly
US7416242B2 (en) * 2006-03-29 2008-08-26 Chrysler Llc Reinforcement plate
CN101678861B (zh) * 2007-06-22 2011-11-02 本田技研工业株式会社 后车身结构
DE102009045038B4 (de) * 2009-09-25 2012-05-24 Lisa Dräxlmaier GmbH Federunterlage und Verfahren zum Herstellen derselben
JP5329575B2 (ja) * 2011-01-26 2013-10-30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車両の車体前部
CN102189908A (zh) * 2011-03-25 2011-09-21 许晓华 代步车双悬臂独立悬挂***
JP5821425B2 (ja) * 2011-08-31 2015-11-24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車体構造
KR101354374B1 (ko) * 2012-12-03 2014-01-23 기아자동차주식회사 서브프레임 체결구조
JP6332837B2 (ja) * 2016-02-04 2018-05-30 マツダ株式会社 車両の下部車体構造
CN106739905B (zh) * 2016-12-30 2023-08-29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用于多连杆式后独立悬架的后弹簧下隔振垫结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7099093A (ja) * 2005-10-05 2007-04-19 Mazda Motor Corp 自動車の下部車体構造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9649102A (zh) 2019-04-19
US10259502B1 (en) 2019-04-16
US20190111972A1 (en) 2019-04-18
CN109649102B (zh) 2022-12-13
KR20190041339A (ko) 2019-04-2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793954B2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1826566B1 (ko) 차량의 현가장치용 캐리어
KR101090806B1 (ko) 쇽 업소버용 스테빌라이져 링크 마운팅 유닛
KR100448791B1 (ko) 자동차 플로어의 리어 서스펜션 연결부 구조
CA2691602C (en) Suspension system for a vehicle
KR102383248B1 (ko) 리어 서스펜션용 마운팅 유닛
KR20100067312A (ko) 자동차 로어암 및 쇽업쇼버 브라켓 어셈블리 장치
KR20120007608U (ko) 보조쇽업소버 장착을 위한 보조브래킷
JP4529737B2 (ja) トレーリングアーム構造
KR101361246B1 (ko) 자동차의 커플드 토션 빔 액슬
KR19980040143A (ko) 자동차용 맥퍼어슨식 독립현가현가장치
WO2015189909A1 (ja) サスペンション装置
KR100901578B1 (ko) 차량의 트레일링아암 장착구조
JP6204159B2 (ja) 車体後部構造
KR102235838B1 (ko) 자동차용 토션빔 스프링 설치구조
KR20110063122A (ko) 차량의 프론트 서스펜션용 서브 프레임
KR20100001153A (ko) 차량용 리프 스프링 마운팅 유닛
KR100482055B1 (ko) 자동차 현가장치의 로워암
KR101916050B1 (ko) 차량용 쇽 업소버 보강유닛
CN104590380A (zh) 一种减振器支座加强结构
KR101211421B1 (ko) 차량용 토션빔
KR101767914B1 (ko) 차체 강성보강구조
CN205686116U (zh) 扭转梁式半独立悬架
KR100290805B1 (ko) 자동차용 전방현가장치
KR102377539B1 (ko) 자동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