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77215B1 -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 Google Patents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77215B1
KR102377215B1 KR1020190102221A KR20190102221A KR102377215B1 KR 102377215 B1 KR102377215 B1 KR 102377215B1 KR 1020190102221 A KR1020190102221 A KR 1020190102221A KR 20190102221 A KR20190102221 A KR 20190102221A KR 102377215 B1 KR102377215 B1 KR 10237721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omatic vinyl
thermoplastic resin
rubber
weight
res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0222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26066A (ko
Inventor
주민지
민상우
Original Assignee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롯데첨단소재(주) filed Critical 롯데첨단소재(주)
Priority to US17/268,645 priority Critical patent/US20210179792A1/en
Priority to PCT/KR2019/011080 priority patent/WO2020046013A1/ko
Priority to CN201980056750.1A priority patent/CN112752796B/zh
Publication of KR2020002606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2606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7721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77215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08L25/08Copolymers of styrene
    • C08L25/12Copolymers of styrene with unsaturated nitril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04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 C08J5/045Reinforcing macromolecular compounds with loose or coherent fibrous material with vegetable or animal fibrous material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9/00Compositions of polycarbonate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polycarbona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1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characterized by their specific function
    • C08K3/014Stabilisers against oxidation, heat, light or ozo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0Use of in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3/02Elements
    • C08K3/04Carbon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1/00Compositions of cellulose, modified cellulose or cellulose derivatives
    • C08L1/02Cellulose; Modified cellulos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2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at least one being terminated by an aromatic carbocyclic ring;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25/02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hydrocarbons
    • C08L25/04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styrene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1/00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51/04Compositions of graft polymers in which the grafted component i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grafted on to rubb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55/00Compositions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btained by polymerisation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8L23/00 - C08L53/00
    • C08L55/02ABS [Acrylonitrile-Butadiene-Styrene] 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02Physical properties
    • C08K2201/003Additives being defined by their diameter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KUse of inorganic or non-macromolecular organic substances as compounding ingredients
    • C08K2201/00Specific properties of additives
    • C08K2201/016Additives defined by their aspect ratio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에 유색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가지는 성형품이며, 상기 유색 입자는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이고,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성형품의 적어도 1면에 입체 패턴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입체 패턴은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이고, 상기 입체 패턴의 3 mm × 3 mm 넓이 부분을 600dpi의 해상도로 스캔하여, 4900개의 픽셀(pixel)로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각 픽셀의 명도(L*) 값을 측정한 후 산출한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가 30 내지 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성형품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실제 패브릭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다.

Description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MOLDED ARTICLE HAVING FABRIC TEXTURE}
본 발명은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실제 패브릭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유리 및 금속에 비해 비중이 낮고, 성형성, 내충격성 등의 물성이 우수하여, 전기/전자 제품의 하우징, 자동차 내/외장재, 건축용 내/외장재 등에 유용하다.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이 외장재 등으로 널리 사용됨에 따라, 고급스러운 외관을 요구하는 소비자들을 만족시킬 수 있는 외관 소재, 특히, 패브릭(fabric) 질감에 대한 요구도 늘어나고 있다.
기존의 패브릭 질감을 갖는 소재는 실제 직물을 열가소성 수지에 배합하거나, 열가소성 수지 제품에 단순히 일반적인 패턴 부식을 적용하거나, 패브릭 질감의 패턴 필름을 인-몰드 성형하거나, 부착, 인쇄하는 방식 등을 적용하였다.
그러나, 이러한 제조 방식은 열가소성 수지의 물성을 저하시키거나, 접착제 사용, 필름 적용 등으로 인한 비용 상승과 공정 단계의 증가, 친환경성 저하 등의 단점이 있다.
따라서, 내충격성, 내열성 등의 물성 저하 없이, 실제 패브릭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의 개발이 필요한 실정이다.
본 발명의 배경기술은 대한민국 공개특허 10-2015-0103541호 등에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실제 패브릭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상기 성형품의 제조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상기 및 기타의 목적들은 하기 설명되는 본 발명에 의하여 모두 달성될 수 있다.
1. 본 발명의 한 관점은 성형품에 관한 것이다. 상기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에 유색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가지는 성형품이며, 상기 유색 입자는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이고,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성형품의 적어도 1면에 입체 패턴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입체 패턴은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이고, 상기 입체 패턴의 3 mm × 3 mm 넓이 부분을 600dpi의 해상도로 스캔하여, 4900개의 픽셀(pixel)로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각 픽셀의 명도(L*) 값을 측정한 후 산출한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가 30 내지 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2. 상기 1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3. 상기 1 또는 2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100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공중합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4. 상기 1 내지 3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명도 값의 차이가 20 내지 99일 수 있다.
5. 상기 1 내지 4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는 셀룰로오스 및 탄소 섬유 중 1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6. 상기 1 내지 5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의 종횡비는 0.015 내지 0.08일 수 있다.
7. 상기 1 내지 6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일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50 kgf·cm/cm일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일 수 있다.
8. 상기 1 내지 7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일 수 있고,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8 내지 125℃일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일 수 있다.
9. 본 발명의 다른 관점은 상기 성형품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상기 제조방법은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인 입체 패턴을 적어도 1면에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사출기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인 유색 입자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한다.
10. 상기 9 구체예에서, 상기 사출은 사출 온도 200 내지 320℃, 금형 온도 40 내지 80℃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하고, 실제 패브릭과 유사한 외관을 갖는 성형품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발명의 효과를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패브릭 질감을 구현한 것으로서, 열가소성 수지에 유색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가지는 성형품이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1면에 입체 패턴이 형성된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수치범위를 나타내는 "a 내지 b"는 "≥a 이고 ≤b"으로 정의한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A) 열가소성 수지; 및 (B) 유색 입자;를 포함한다.
(A) 열가소성 수지
본 발명의 열가소성 수지는 통상적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열가소성 수지일 수 있다. 예를 들면,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또는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 등을 사용할 수 있다.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로는 통상의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사용되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페놀류(방향족 디올 화합물)를 포스겐, 할로겐 포르메이트, 탄산 디에스테르 등의 카보네이트 전구체와 반응시킴으로써 제조되는 방향족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를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디페놀류로는 4,4'-비페놀,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4-비스(4-히드록시페닐)-2-메틸부탄,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 2,2-비스(3-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면,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클로로-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2,2-비스(3,5-디메틸-4-히드록시페닐)프로판 또는 1,1-비스(4-히드록시페닐)시클로헥산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비스페놀-A 라고 불리는 2,2-비스(4-히드록시페닐)프로판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카보네이트 전구체로는 디메틸카보네이트, 디에틸카보네이트, 디부틸카보네이트, 디시클로헥실카보네이트, 디페닐카보네이트, 디토릴카보네이트, 비스(클로로페닐)카보네이트, m-크레실카보네이트, 디나프틸카보네이트, 카보닐클로라이드(포스겐), 디포스겐, 트리포스겐, 카보닐브로마이드, 비스할로포르메이트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분지쇄가 있는 것이 사용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중합에 사용되는 디페놀류 전체에 대하여, 0.05 내지 2 몰%의 3가 또는 그 이상의 다관능 화합물, 구체적으로, 3가 또는 그 이상의 페놀기를 가진 화합물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도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호모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코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또는 이들의 블렌드 형태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에스테르 전구체(precursor), 예를 들면, 2관능 카르복실산의 존재 하에서 중합 반응시켜 얻어진 방향족 폴리에스테르-카보네이트 수지로 일부 또는 전량 대체하는 것도 가능하다.
구체예에서,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는 GPC(gel permeation chromatography)로 측정한 중량평균분자량(Mw)이 10,000 내지 200,000 g/mol, 예를 들면 15,000 내지 40,000 g/mol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강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내충격성, 유동성, 내열성 등의 물성 발란스가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서, 건축용 내/외장재, 자동차 내/외장재 등 다양한 용도에 사용될 수 있는 것이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100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공중합된 (b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의 혼합물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첨가하여 중합할 수 있고,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는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 등을 첨가하여 중합할 수 있다. 상기 중합은 유화중합, 현탁중합, 괴상중합 등의 공지의 중합방법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괴상중합의 경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를 별도로 제조하지 않고도, 일 단계 반응 공정만으로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가 매트릭스인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에 분산된 형태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최종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성분 중에서 고무(고무질 중합체) 함량은 5 내지 5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입도 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Z-average)가 0.2 내지 15 ㎛, 예를 들면 0.3 내지 10 ㎛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고, 입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average)는 라텍스(latex) 상태에서 광 산란(light sca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메쉬(mesh)에 걸러서, 고무질 중합체 중합 중 발생하는 응고물 제거하고, 라텍스 0.5 g 및 증류수 30 ml를 혼합한 용액을 1,000 ml 플라스크에 따르고 증류수를 채워 시료를 제조한 다음, 시료 10 ml를 석영 셀(cell)로 옮기고, 이에 대하여, 광 산란 입도 측정기(malvern社, nano-zs)로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크기(Z-average)를 측정할 수 있다.
이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를 더욱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그라프트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으며, 필요에 따라,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시킬 수 있다.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부타디엔), 폴리(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 등의 디엔계 고무 및 상기 디엔계 고무에 수소 첨가한 포화 고무, 이소프렌 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탄소수 2 내지 10의 알킬 (메타)아크릴레이트 및 스티렌의 공중합체, 에틸렌-프로필렌-디엔단량체 삼원공중합체(EPDM) 등을 예시할 수 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면, 디엔계 고무,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고, 구체적으로, 부타디엔계 고무,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 등을 사용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전체 중량 중 5 내지 65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60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5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내충격성 등 기계적 물성이 우수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는 입도 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Z-average)가 250 내지 3,000 nm, 예를 들면 350 내지 2,000 nm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내충격성 등이 우수할 수 있고, 입체 질감을 구현할 수 있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얻을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고무질 중합체(고무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Z-average)는 라텍스(latex) 상태에서 광 산란(light scattering) 방법을 이용하여 측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무질 중합체 라텍스를 메쉬(mesh)에 걸러서, 고무질 중합체 중합 중 발생하는 응고물 제거하고, 라텍스 0.5 g 및 증류수 30 ml를 혼합한 용액을 1,000 ml 플라스크에 따르고 증류수를 채워 시료를 제조한 다음, 시료 10 ml를 석영 셀(cell)로 옮기고, 이에 대하여, 광 산란 입도 측정기(malvern社, nano-zs)로 고무질 중합체의 평균 입자 크기(Z-average)를 측정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는 상기 고무질 공중합체에 그라프트 공중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전체 중량 중 15 내지 94 중량%, 예를 들면 20 내지 80 중량%, 구체적으로 30 내지 6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중량 중 1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5 내지 45 중량%, 구체적으로 1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기계적 물성이 우수한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를 얻을 수 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의 함량은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전체 중량 중 0 내지 15 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로는 부타디엔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부틸 아크릴레이트계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인 아크릴레이트-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그라프트 공중합체(g-ASA) 등을 예시할 수 있다.
(b2)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의 성분 중 고무(고무질 중합체)를 제외한 단량체 혼합물을 사용하여 제조할 수 있으며, 단량체의 비율은 상용성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를 공중합시켜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스티렌, α-메틸스티렌, β-메틸스티렌, p-메틸스티렌, p-t-부틸스티렌, 에틸스티렌, 비닐크실렌, 모노클로로스티렌, 디클로로스티렌, 디브로모스티렌, 비닐나프탈렌 등을 사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로니트릴 등의 시안화 비닐계 화합물, 에타크릴로니트릴,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단독 혹은 2종 이상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필요에 따라,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는 단량체를 더욱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로는 예를 들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무수말레인산, N-치환말레이미드 등을 예시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은 단독 또는 2종 이상 혼합하여 적용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에 있어서,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중량 중 50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60 내지 90 중량%, 구체적으로 70 내지 8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중량 중 5 내지 50 중량%, 예를 들면 10 내지 40 중량%, 구체적으로 20 내지 3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우수한 충격강도와 기계적 물성의 물성 발란스를 얻을 수 있다.
또한, 상기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하기 위한 단량체의 함량은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전체 중량 중 0 내지 30 중량%, 예를 들면 0.1 내지 2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다른 물성의 저하 없이, 가공성 및 내열성을 부여할 수 있다.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중량평균분자량은 50,000 내지 500,000 g/mol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비한정적인 예로는, 중심부 부타디엔계 고무상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화합물인 스티렌 단량체와 불포화 니트릴계 화합물인 아크릴로니트릴 단량체가 그라프트된 공중합체(g-ABS) 등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단독 사용 형태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B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에틸렌프로필렌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ES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아크릴고무-스티렌 공중합체 수지(AAS 수지) 등의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 및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의 혼합물 형태를 예시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ABS 수지는 상기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b1)로서, g-ABS가 상기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2)로서, 스티렌-아크릴로니트릴 공중합체 수지(SAN 수지)에 분산된 것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가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 및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조합일 경우, 상기 폴리카보네이트 수지(a)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5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70 중량%일 수 있고,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b)의 함량은 전체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 중, 5 내지 95 중량%, 예를 들면 30 내지 70 중량%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의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할 수 있다.
(B) 유색 입자
본 발명의 유색 입자는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어, 이로부터 형성되는 입체 패턴을 갖는 성형품이 실제 패브릭 소재와 유사한 외관 구현이 가능하도록, 컬러 스펙트럼을 넓게 향상시킬 수 있다. 상기 유색 입자는 침상(섬유상)의 형태를 가질 수 있고, 입도분석기를 통해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 예를 들면 350 내지 3,000 ㎛일 수 있고, 가공 전 단면 직경이 10 내지 100 ㎛, 예를 들면 15 내지 80 ㎛일 수 있다. 상기 유색 입자의 평균 입자 크기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성형품의 컬러 스펙트럼(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이 줄어들어, 패브릭 질감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는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측정한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명도(L*) 값의 차이가 20 내지 99, 예를 들면 20 내지 80일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실제 패브릭 소재와 유사한 질감(특히, 시각적 질감)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의 종횡비(aspect ratio)는 0.015 내지 0.08, 예를 들면 0.018 내지 0.08일 수 있다. 여기서, 종횡비는 침상(섬유상) 유색 입자 단면의 최장축 직경 대 최단축 직경의 비율이다. 상기 범위에서 실제 패브릭 소재와 유사한 질감(특히, 시각적 질감)을 갖는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는 셀룰로오스(cellulose), 탄소 섬유(carbon fiber), 이들의 조합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유색 입자는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 예를 들면 0.1 내지 3 중량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유색 입자의 함량이 0.05 중량부 미만일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컬러 스펙트럼, 분산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고, 5 중량부를 초과할 경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성형품의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될 우려가 있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 외에도,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첨가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제로는 난연제, 산화 방지제, 적하 방지제, 활제, 이형제, 핵제, 대전방지제, 안정제, 착색제, 이들의 혼합물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일 구체예에 따른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하고, 통상의 이축 압출기를 사용하여, 200 내지 280℃, 예를 들면 220 내지 260℃에서 용융 압출한 펠렛 형태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BS/SAN 등)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 예를 들면 10 내지 3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BS/SAN 등)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50 kgf·cm/cm, 예를 들면 18 내지 4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SA/SAN 등)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 예를 들면 10 내지 40 kgf·cm/cm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BS/SAN 등)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 예를 들면 85 내지 115℃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BS/SAN 등)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8 내지 125℃, 예를 들면 110 내지 120℃일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g-ASA/SAN 등)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 예를 들면 84 내지 115℃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성형품은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로부터 형성되고, 적어도 1면에 입체 패턴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입체 패턴은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 예를 들면 70 내지 450 ㎛인 것이다. 입체 패턴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상기 범위를 벗어날 경우, 성형품의 컬러 스펙트럼(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이 줄어들어, 패브릭 질감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다.
여기서, 상기 10점 평균 거칠기(ten point height of irregularity) Rz는 하기 식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현미경을 통해 측정한 거칠기 곡선에서 그 평균선의 방향에 기준 길이만큼 뽑아내어 이 표본의 평균선에서 세로 배율의 방향으로 측정한 가장 높은 산봉우리부터 5번째 산봉우리까지의 표고(Yp)의 절대값의 평균값과 가장 낮은 골바닥에서 5번째까지의 골바닥의 표고(Yv)의 절대값의 평균값과의 합을 구하여, 이 값을 마이크로미터(㎛)로 나타낸 것을 말한다.
[식 1]
Figure 112019085771024-pat00001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입체 패턴의 3 mm × 3 mm 넓이 부분을 스캔하여, 4900개의 픽셀(pixel)로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각 픽셀의 명도(L*) 값을 측정한 후 산출한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가 30 내지 60개, 예를 들면 30 내지 50 개일 수 있다. 상기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가 30개 미만일 경우, 성형품의 컬러 스펙트럼이 너무 적어, 패브릭 질감을 구현하기 어려울 수 있고, 60개를 초과할 경우, 패브릭 질감 및 미려한 외관 구현이 어려울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성형품은 상기 입체 패턴을 적어도 1면에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사출기를 사용하여, 통상의 사출 성형 방법으로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여 제조할 수 있다.
구체예에서, 상기 사출은 사출 온도 200 내지 320℃, 예를 들면 210 내지 290℃, 금형 온도 40 내지 80℃, 예를 들면 50 내지 70℃ 조건에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범위에서, 상기 입체 패턴이 적어도 1면에 형성된 성형품을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성형품은 실제 패브릭 소재와 유사한 외관 구현과 자연스러운 질감 표현이 가능하며,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우수한 것으로서, 고급스러운 외관이 요구되는 자동차, 전기/전자 제품 등의 내/외장재, 벽지 및 건축용 외장재 등의 분야에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통해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이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예시로 제시된 것이며 어떠한 의미로도 이에 의해 본 발명이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될 수는 없다.
실시예
하기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사용된 각 성분의 사양은 다음과 같다.
(A) 열가소성 수지
(a)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비스페놀-A계 폴리카보네이트 수지(중량평균분자량(Mw): 28,000 g/mol)를 사용하였다.
(b1)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Z-평균이 310 nm인 부타디엔 고무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을 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g-ABS를 사용하였다.
(b2)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45 중량%의 평균 입경이 400 nm인 부틸아크릴레이트 고무에 55 중량%의 스티렌 및 아크릴로니트릴(중량비: 75/25)을 투입하여 그라프트 공중합시킨 g-ASA를 사용하였다.
(c)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스티렌 80 중량% 및 아크릴로니트릴 20 중량%가 중합된 SAN 수지(중량평균분자량: 130,000 g/mol)를 사용하였다.
(B) 유색 입자
(B1) 평균 입자 크기가 27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056인 침상 형태의 탄소 섬유(명도 값: 23)를 사용하였다.
(B2) 평균 입자 크기가 50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03인 침상 형태의 셀룰로오스 입자(명도 값: 45)를 사용하였다.
(B3) 평균 입자 크기가 3,00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033인 침상 형태의 셀룰로오스 입자(명도 값: 28)를 사용하였다.
(B4) 평균 입자 크기가 15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33인 침상 형태의 탄소 섬유(명도 값: 23)를 사용하였다.
(B5) 평균 입자 크기가 3,30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009인 침상 형태의 셀룰로오스 입자(명도 값: 27)를 사용하였다.
(B6) 평균 입자 크기가 500 ㎛이고, 단면의 종횡비가 0.03인 침상 형태의 셀룰로오스 입자(명도 값: 32)를 사용하였다.
실시예 1 내지 3 및 10 내지 12 및 비교예 1, 2 및 7 내지 10
하기 표 1, 2 및 3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한 후, L/D=35, 직경 45 mm인 이축(twin screw type) 압출기에 첨가하고, 220℃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80℃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한 후,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401 ㎛인 입체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10 oz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 온도 230℃, 금형 온도 60℃ 조건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2 및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4 내지 9 및 비교예 3 내지 6 및 11
하기 표 1, 2 및 3의 조성 및 함량에 따라, 상기 구성 성분을 혼합한 후, L/D=35, 직경 45 mm인 이축(twin screw type) 압출기에 첨가하고, 260℃에서 용융 및 압출하여 펠렛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펠렛은 100℃에서 2시간 이상 건조한 후,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401 ㎛인 입체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10 oz 사출기를 사용하여, 사출 온도 270℃, 금형 온도 60℃ 조건에서 사출하여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1 및 2에 나타내었다.
비교예 9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25 ㎛인 입체 패턴을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시편을 제조하였다.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하기의 방법으로 물성을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물성 측정 방법
(1) 컬러 스펙트럼: 각 실시예 및 비교예에서 제조된 시편에 대하여, 입체 패턴의 3 mm × 3 mm 넓이 부분을 스캔하여, 4900개의 픽셀(pixel)로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각 픽셀의 명도(L*) 값을 측정한 후,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를 산출하였다.
(2) 내충격성 평가: ASTM D256에 의거하여,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단위: kgf·cm/cm)를 측정하였다.
(3) 내열성 평가: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열변형 온도(HDT, 단위: ℃)를 측정하였다.
실시예
1 2 3 4 5 6
(A)
(중량%)
(a) - - - 79 79 79
(b1) 28 28 28 - - -
(b2) - - - 12.5 12.5 12.5
(c) 72 72 72 8.5 8.5 8.5
(B)
(중량부)
(B1) 0.5 - - 0.5 - -
(B2) - 0.5 - - 0.5 -
(B3) - - 0.5 - - 0.5
(B4) - - - - - -
(B5) - - - - - -
(B6) - - - - - -
(A)의 명도 값 92 85 56 78 91 76
(B)의 명도 값 23 45 28 23 45 28
명도 값 차이 69 40 28 55 46 48
컬러 스펙트럼 49 49 50 48 47 49
내충격성 13.7 13.2 13.5 20.1 22 21.5
내열성 88 87 87 113 113 112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실시예
7 8 9 10 11 12
(A)
(중량%)
(a) 89 89 89 - - -
(b1) 4 4 4 28 28 28
(b2) - - - - - -
(c) 7 7 7 72 72 72
(B)
(중량부)
(B1) 0.5 - - 0.1 1.5 0.5
(B2) - 0.5 - - - -
(B3) - - 0.5 - - 0.3
(B4) - - - - - -
(B5) - - - - - -
(B6) - - - - - -
(A)의 명도 값 93 91 84 84 92 72
(B)의 명도 값 23 45 28 23 23 23, 28
명도 값 차이 70 46 56 61 69 49, 44
컬러 스펙트럼 45 49 49 47 50 48
내충격성 12.5 10.4 10.3 15.2 12.2 14.3
내열성 84 84 84 87 86 86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비교예
1 2 3 4 5 6 7 8 9 10 11
(A)
(중량%)
(a) - 79 79 89 89 - - - - 79
(b1) 28 28 - - 4 4 28 28 28 28 -
(b2) - - 12.5 12.5 - - - - - - 12.5
(c) 72 72 8.5 8.5 7 7 72 72 72 72 8.5
(B)
(중량부)
(B1) - - - - - - 0.01 5.5 0.5 - -
(B2) - - - - - - - - - - -
(B3) - - - - - - - - - - -
(B4) 0.5 - 0.5 - 0.5 - - - - - -
(B5) - 0.5 0.5 0.5 - - - - -
(B6) - - - - - - - - - 0.5 0.5
(A)의 명도 값 84 86 81 75 93 71 75 86 74 36 39
(B)의 명도 값 23 27 23 27 23 27 23 23 23 32 32
명도 값 차이 61 59 58 48 70 44 52 63 51 2 7
컬러 스펙트럼 17 49 14 49 15 47 15 49 27 4 12
내충격성 13.5 8.5 20 18.5 10.7 11.2 17.7 4.3 13.5 13.7 21
내열성 88 83 113 106 84 80 88 83 87 88 113
* 중량부: 열가소성 수지 (A) 100 중량부에 대한 중량부
상기 결과로부터, 본 발명의 성형품은 내충격성 및 내열성 등이 우수함을 알 수 있고, 컬러 스펙트럼이 30 내지 60개로 실제 패브릭 소재(컬러 스펙트럼: 42개)와 유사한 외관(질감)을 갖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반면, 본 발명의 유색 입자 대신에 평균 입자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인 유색 입자 (B4)를 적용한 비교예 1, 3 및 5의 경우, 컬러 스펙트럼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평균 입자 크기가 본 발명의 범위 초과인 유색 입자 (B5)를 적용한 비교예 2, 4 및 6의 경우, 내열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열가소성 수지와 명도 차이가 10 미만인 유색 입자 (B6)를 적용할 경우(비교예 10 및 11), 컬러 스펙트럼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또한, 유색 입자의 함량이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일 경우(비교예 7), 컬러 스펙트럼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고, 본 발명의 범위를 초과할 경우(비교예 8), 내충격성, 내열성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으며, 형성된 미세 패턴 돌기의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본 발명의 범위 미만일 경우(비교예 9), 컬러 스펙트럼 등이 저하되었음을 알 수 있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내지 변경은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0)

  1. 열가소성 수지에 유색 입자가 분산된 구조를 가지는 성형품이며,
    상기 유색 입자는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명도 값의 차이가 20 내지 99이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5 내지 5 중량부로 포함되며,
    상기 성형품의 적어도 1면에 입체 패턴이 형성된 것이며,
    상기 입체 패턴은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이고, 상기 입체 패턴의 3 mm × 3 mm 넓이 부분을 600dpi의 해상도로 스캔하여, 4900개의 픽셀(pixel)로 표현되는 이미지로 변환하고, CIE 1976 / CIE LAB 색차 기준으로, 각 픽셀의 명도(L*) 값을 측정한 후 산출한 서로 다른 명도 값의 개수가 30 내지 60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열가소성 수지는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는 고무질 중합체에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그라프트 공중합된 고무변성 비닐계 그라프트 공중합체 10 내지 100 중량%; 및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 및 상기 방향족 비닐계 단량체와 공중합 가능한 단량체가 공중합된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 0 내지 90 중량%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입자는 셀룰로오스 및 탄소 섬유 중 1종 이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유색 입자의 종횡비는 0.015 내지 0.08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이고,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15 내지 50 kgf·cm/cm이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256에 의거하여 측정한 두께 1/4" 시편의 노치 아이조드 충격강도가 9 내지 50 kgf·cm/cm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성형품은, 열가소성 수지가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이고,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디엔계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108 내지 125℃이며, 열가소성 수지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및 (메타)아크릴레이트 고무변성 방향족 비닐계 공중합체 수지의 조합일 경우, ASTM D648에 의거하여 하중 18.56 kgf/cm2, 승온 속도 120℃/hr의 조건에서 측정한 열변형 온도(HDT)가 82 내지 125℃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
  9. 10점 평균 거칠기 Rz가 50 내지 500 ㎛인 입체 패턴을 적어도 1면에 구현할 수 있는 금형을 적용한 사출기에서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을 사출하는 단계를 포함하며,
    상기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은 열가소성 수지 100 중량부, 및 입도분석기로 측정한 평균 입자 크기가 250 내지 3,200 ㎛이고, 상기 열가소성 수지와 명도 값의 차이가 20 내지 99인 유색 입자 0.05 내지 5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사출은 사출 온도 200 내지 320℃, 금형 온도 40 내지 80℃ 조건에서 수행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성형품의 제조방법.
KR1020190102221A 2018-08-31 2019-08-21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KR102377215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17/268,645 US20210179792A1 (en) 2018-08-31 2019-08-29 Molded Product Having Fabric Texture
PCT/KR2019/011080 WO2020046013A1 (ko) 2018-08-31 2019-08-29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CN201980056750.1A CN112752796B (zh) 2018-08-31 2019-08-29 具有织物质地的模制产品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03555 2018-08-31
KR20180103555 2018-08-31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26066A KR20200026066A (ko) 2020-03-10
KR102377215B1 true KR102377215B1 (ko) 2022-03-22

Family

ID=698012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02221A KR102377215B1 (ko) 2018-08-31 2019-08-21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1) US20210179792A1 (ko)
KR (1) KR102377215B1 (ko)
CN (1) CN112752796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9146474A1 (ja) * 2018-01-29 2019-08-01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立体造形用樹脂組成物、立体造形物、および立体造形物の製造方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543A (ja) 1999-10-20 2001-04-24 Sakae Riken Kogyo Kk 模様付きプラスチック製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476057B1 (ko) 2013-10-07 2014-12-23 삼성토탈 주식회사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44111B1 (ko) * 2009-12-02 2012-07-09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섬유외관 구현 폴리프로필렌 복합수지 조성물
KR20160001877A (ko) * 2014-06-27 2016-01-07 제일모직주식회사 외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JP6010170B2 (ja) * 2015-04-02 2016-10-19 テクノポリマー株式会社 熱可塑性樹脂組成物及び成形品
KR101902710B1 (ko) * 2017-08-01 2018-10-01 롯데첨단소재(주) 외장재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113543A (ja) 1999-10-20 2001-04-24 Sakae Riken Kogyo Kk 模様付きプラスチック製成形品の製造方法
KR101476057B1 (ko) 2013-10-07 2014-12-23 삼성토탈 주식회사 천질감 폴리프로필렌 수지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2752796B (zh) 2023-03-07
US20210179792A1 (en) 2021-06-17
KR20200026066A (ko) 2020-03-10
CN112752796A (zh) 2021-05-0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780917B2 (en) Aromatic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US9403978B2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the same
KR101795132B1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20120073818A (ko)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WI745364B (zh) 具改良之耐水解性之聚碳酸酯組成物
JP7386159B2 (ja) 熱可塑性樹脂組成物およびこれから形成された成形品
KR10255325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EP329047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electronic device housing comprising same
TWI568790B (zh) 用於簡易製造具有高光澤與無光澤組份型材之低溫韌性組份之經衝擊改質聚碳酸酯組成物
KR102377215B1 (ko) 패브릭 질감을 갖는 성형품
KR10224096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형성된 성형품
KR101752527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US10941290B2 (en) Polycarbonate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product using the same
TW201817810A (zh) 具良好熱穩定性之抗刮痕聚碳酸酯組成物
KR102365596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KR102201718B1 (ko) 금속질감의 외관을 갖는 고강성 열가소성 수지 및 이를 이용하여 제조된 성형품
EP3889218A1 (en) Thermoplastic resin composition and molded article using same
KR102117741B1 (ko) 도금용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KR102683485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0635392B1 (ko) 대전 방지성을 갖는 폴리카보네이트 성형 재료
KR102183730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KR102504924B1 (ko) 대리석 외관을 갖는 성형품
KR102672294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성형품
TW201840707A (zh) 具有良好低溫韌性、高光澤度與高加工穩定性之組成物及熱塑性模塑料
KR101903839B1 (ko) 열가소성 수지 조성물 및 이로부터 제조된 성형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