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66699B1 -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 Google Patents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66699B1
KR102366699B1 KR1020180013503A KR20180013503A KR102366699B1 KR 102366699 B1 KR102366699 B1 KR 102366699B1 KR 1020180013503 A KR1020180013503 A KR 1020180013503A KR 20180013503 A KR20180013503 A KR 20180013503A KR 102366699 B1 KR102366699 B1 KR 1023666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appliances
user terminal
terminal device
controlling
hom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1350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93997A (ko
Inventor
박형룡
고재환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01350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66699B1/ko
Priority to PCT/KR2019/000032 priority patent/WO2019151661A1/ko
Priority to US16/961,785 priority patent/US20210067622A1/en
Priority to EP19748205.2A priority patent/EP3716593B1/en
Publication of KR201900939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939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666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666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5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for remote control of applian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1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based on specific properties of the displayed interaction object or a metaphor-based environment, e.g. interaction with desktop elements like windows or icons, or assisted by a cursor's changing behaviour or appearance
    • G06F3/0482Interaction with lists of selectable items, e.g. menu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based on user interaction within the hom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12/00Data switching networks
    • H04L12/28Data switching networks characterised by path configuration, e.g. LAN [Local Area Networks] or WAN [Wide Area Networks]
    • H04L12/2803Home automation networks
    • H04L12/2816Controlling appliance services of a home automation network by calling their functionalities
    • H04L12/2821Avoiding conflicts related to the use of home applian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40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 H04M1/72412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by interfacing with external accessories using two-way short-range wireless interfa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69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for operating the device by selecting functions from two or more displayed items, e.g. menus or ic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4Microprocesso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2201/00Electronic components, circuits, software, systems or apparatus used in telephone systems
    • H04M2201/38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Selective Calling Equipment (AREA)

Abstract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가 개시된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고,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User terminal device and control method thereof}
본 개시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서로 연동된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복수의 기기들을 서로 연동하여 사용하는 기기인 경우, 기기들이 연동되더라도, 스마트 폰 화면에서는 개별 기기들을 각각 제어해야 했었다.
즉, 복수의 기기들이 서로 연동되는 경우, 연동된 복수의 기기는 단일 기기로 제어되어야 하나, 스마트 폰에서는 각각의 기기로 인식하여 개별 기기들을 제어하기 위한 화면을 각각 구성하게 되어, 사용자는 각 기기에 사용자 명령을 따로 입력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본 개시는 상술한 필요성에 따른 것으로, 본 개시의 목적은, 연동된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 제어 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상술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는,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공통 기능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및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은,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제공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공통 기능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르면, 연동된 복수의 가전 기기를 하나의 기기와 같이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의 편의성이 향상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된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타입의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이한 타입의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층되지 않은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제1 및 제2 가전 기기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은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본 개시를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덧붙여, 하기 실시 예는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가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개시를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고, 당업자에게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나아가, 도면에서의 다양한 요소와 영역은 개략적으로 그려진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은 첨부한 도면에 그려진 상대적인 크기나 간격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a, b 및 c 중 적어도 하나'라는 표현은 'a', 'b', 'c', 'a 및 b', 'a 및 c', 'b 및 c' 또는 'a, b 및 c'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이용하여 본 개시에 대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연동된 가전 기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에 의해 제어되는 전자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모식도이다.
도 1에 따르면 전자 시스템(10)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포함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직접적으로 통신을 수행하거나 서버(미도시)를 통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로 직접 전송하거나 입력된 명령을 서버를 통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로 전송할 수도 있다. 여기서, 서버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또는 서버와 통신이 가능한 스마트 폰과 같은 휴대폰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태블릿, 랩탑 컴퓨터, PC, 리모컨 등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은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고, 부착되는 경우 서로 연동되는 모듈형 기기일 수 있다. 각 가전 기기(200-1 및 200-2)는 독립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 있고,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되는 경우 하나의 기기와 같이 통합적으로 가전 기기의 기능을 수행할 수도 있다. 즉,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경우,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연동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함께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여기서, 연동은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가 물리적으로 접촉되어 통신 연결되거나 인접하게 배치되어 통신 연결되는 상태뿐만 아니라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더라도 서로 통신 연결되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상태일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는 모듈형 기기로서 공기 청정기, 가습기, 스피커 등으로 구현될 수 있으나, 서로 탈착 또는 부착이 가능하지 않더라도 서로 통신 연결되어 통합적으로 제어되는 기기이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에어컨, 로봇 청소기 등 다양한 형태의 가전 제품(home appliance)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일 예로, 공기 청정기인 제1 가전 기기(200-1)의 상부에 공기 청정기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배치되어 제1 가전 기기(200-1)와 연동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또는, 거실에 위치한 스탠드형 에어컨인 제1 가전 기기(200-1)와 방에 위치한 벽걸이형 에이컨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연동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하나는 마스터 기기가 되고, 나머지는 마스터 기기에 의해 제어되는 슬레이브 기기가 되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해 마스터 기기만을 제어하면 되는데,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가전 기기의 구성을 나타내는 블럭도이다.
도 2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및 프로세서(130)를 포함한다.
통신부(11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한다. 또는, 통신부(110)는 외부 서버(미도시)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여기서, 통신부(110)는 BT(BlueTooth), WI-FI(Wireless Fidelity), Zigbee, IR(Infrared) 와 같은 통신 방식으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또는 외부 서버와 무선 통신을 수행할 수 있으나, Serial Interface, USB(Universal Serial Bus), NFC(Near Field Communication) 등과 같은 다양한 통신 방식을 통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또는 외부 서버와 통신을 수행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통신부(11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기정의된 통신 방식에 따라 통신을 수행하여 연결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연결은 사용자 단말 장치(100)와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간에 통신이 초기화되는 동작, 네트워크가 형성되는 동작, 기기 페어링이 수행되는 동작 등 통신이 가능한 상태가 되는 모든 상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의 식별 정보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 제공되고, 그에 따라 양 기기 간의 페어링 절차가 수행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 또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에서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하면, DLNA(Digital Living Network Alliance) 기술을 통해 주변 기기를 탐색하고 탐색된 기기와 페어링을 수행하여 연결 상태가 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의 IP 어드레스, 맥(MAC) 어드레스, 제품명, 제품 번호 및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12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이 선택되면, 프로세서(130)의 제어에 따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아이템은 제1 가전 기기(200-1) 및 제2 가전 기기(200-2)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표시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200-1)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되고, 제2 가전 기기(200-2)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하기 위한 UI가 디스플레이 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120)는 LCD(liquid crystal display), OLED(organic light-emitting diode), LCoS(Liquid Crystal on Silicon), DLP(Digital Light Processing), QD(quantum dot) 디스플레이 패널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한다.
일 실시 예에 따라 프로세서(130)는 디지털 신호를 처리하는 디지털 시그널 프로세서(digital signal processor(DSP), 마이크로 프로세서(microprocessor), TCON(Time controller)으로 구현될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중앙처리장치(central processing unit(CPU)), MCU(Micro Controller Unit), MPU(micro processing unit), 컨트롤러(controller), 어플리케이션 프로세서(application processor(AP)), 또는 커뮤니케이션 프로세서(communication processor(CP)), ARM 프로세서 중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거나, 해당 용어로 정의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프로세싱 알고리즘이 내장된 SoC(System on Chip), LSI(large scale integration)로 구현될 수도 있고, FPGA(Field Programmable gate array)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통신 연결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로 인식하여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시킬 수 있다. 일 실시 예에 따르면,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저장부(미도시)에 저장하고,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저장된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를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 전송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서로 연동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마스터 기기로만 전송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된 상태인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동작에 대해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및 제2 아이템은 제1 가전 기기(200-1) 및 제2 가전 기기(200-2)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기 위해 표시되는 아이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제1 가전 기기(200-1)에 대응되는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고, 제2 가전 기기(200-2)에 대응되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아이템에는 각 가전 기기의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하는 식별 정보가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200-1)에 해당되는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 및 제2 가전 기기(200-2)에 해당되는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이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될 수 있으며, 제1 아이템에는 "공기 청정기"가 표시되고, 제2 아이템에는 "로봇 청소기"가 표시될 수도 있다. 이에 대하여는 도 3에서 후술한다.
프로세서(130)는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통신부(110)를 수신될 수 있다.
여기서, 마스터 기기는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할 수 있는 기기이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만을 제어하고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어느 기기가 마스터 기기이고 어느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인지 식별된 정보이다. 상태 정보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층된 복수의 가전 기기 중 상단의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 것으로 설정된 경우, 복수의 가전 기기가 적층되면, 상단에 위치한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가 될수 있다. 또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되는 경우,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가 될 수 있다. 일 예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하나를 마스터 기기로 선택을 요청하는 UI가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될 수 있다. 이후, 사용자가 마스터 기기로 선택한 기기가 제1 가전 기기(200-1)가 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프로세서(130)는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이 비활성화됨으로써 슬레이브 기기는 마스터 기기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사용자에게 간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상태는,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이 딤(dim) 처리된 상태이거나 은닉되는 상태일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제2 가전 기기(200-2)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태 정보가 수신됨에 따라 비활성화된 제2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슬레이브 기기인 BBB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비활성화된 제2 아이템이 선택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BBB 기기는 AAA 기기와 함께 제어되므로 AAA 기기를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수단이 텍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음향, 음성, LED 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슬레이브 기기가 마스터 기기에 의해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사용자에게 직접적으로 알릴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디스플레이(120)를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에는 마스터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하고,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에는 슬레이브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제1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여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이고,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임을 표시할 수 있다.
또한,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 및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을 하나의 도형 내에 함께 표시하거나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도 있다. 또는,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아이템을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 있다. 이에 대하여는 후술하는 도 7에서 자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제1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디스플레이(120) 상에 디스플레이되는 화면으로서 제1 가전 기기(200-1)의 구체적인 기능을 조작하기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가전 기기(200-1)가 에어컨인 경우,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UI는 전원 온/오프 기능, 온도 조절 기능, 냉방, 송풍, 제습 기능 등을 조작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동일한 타입인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대부분의 기능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상이한 타입인 경우,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간에 공통되는 기능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간에 공통되는 기능에 대응되는 UI 상에서의 메뉴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모두 공기 청정기인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대부분의 기능이 유사하거나 동일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통 기능인 전원 온/오프, 공기 청정의 강도, 운전 모드, 취침 예약 등이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 상에서 공기 청정의 강도가 "강"으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기 청정의 강도는 "강"으로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한편, 제1 가전 기기(200-1)가 공기 청정기이고, 제2 가전 기기(200-2)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에는 공기 청정기의 기능인 전원 온/오프, 공기 청정의 강도, 운전 모드, 취침 예약 메뉴 등이 포함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통 기능인 전원 온/오프, 취침 예약 등에 대응되는 메뉴를 별도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130)는 UI 상에 표시되는 전원 온/오프, 취침 예약 등에 대응되는 메뉴의 크기를 확대하거나 해당 메뉴의 색상을 상이하게 표시하거나 깜빡이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통 기능으로서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는 기능을 간편하게 인식할 수 있다.
한편,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상에서도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을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를 별도로 디스플레이 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별도로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따라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서로 연동되더라도,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각각이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에 포함된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200-1)로 제어 명령을 전송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200-1)는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로 전송하고 제2 가전 기기(200-2)와 함께 입력된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제2 가전 기기(2020-2)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전송되는 제어 신호는 무시하고 제1 가전 기기(200-1)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동작만을 수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공기 청정기이고, 제1 공기 청정기 마스터 기기이고, 제2 공기 청정기가 슬레이브 기기인 것으로 상정한다. 제1 및 제2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의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는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프로세서(130)는 제1 공기 청정기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 청정의 강도 "강"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1 공기 청정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제1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의 강도 "강"에 대응되는 신호를 제2 공기 청정기로 전송하고, 제1 및 제2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의 강도가 함께 "강"으로 변경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통 기능이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가 공기 청정기이고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가습기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가습기는 슬레이브 기기이므로 사용자 단말 장치(100)로부터 제어 명령을 직접 수신하지 않으며, 마스터 기기인 공기 청정기로부터 제어 명령을 수신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공기 청정기와 가습기의 공통 기능인 취침 예약 기능과 관련하여 30분뒤 전원 오프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공기 청정기에서 30분뒤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포함된 제1 제어 코드 및 가습기에 30분뒤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포함된 제2 제어 코드를 공기 청정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후, 공기 청정기는 제2 제어 코드를 가습기로 전송하고, 공기 청정기 및 가습기는 30분뒤 함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제2 가전 기기(200-2)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제2 가전 기기(200-2)에서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가 공기 청정기이고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가습기인 경우를 상정하도록 한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슬레이브 기기인 가습기에서 제공되지 않는 기능인 공기 청정의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 프로세서(130)는, 가습기의 가습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는 제어 코드를 공기 청정기로 전송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가 공기 청정기로 공기 청정의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는 제어 코드를 전송함은 물론이다. 이후, 공기 청정기는 가습기의 가습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는 제어 코드를 가습기로 전송하고, 공기 청정기는 공기 청정의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고 가습기는 가습의 강도를 "강"으로 변경하여 동작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200-1)에서 제공되는 기능과 유사한 제2 가전 기기(200-2)의 기능은 기설정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는 제1 가전 기기(200-1)에서 수행되는 특정 메뉴가 선택되면 제2 가전 기기(200-2)에서 특정 기능을 수행하도록 매크로 설정을 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가 공기 청정기이고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가 로봇 청소기인 경우, 공기 청정기의 공기 청정의 강도가 "강"으로 변경되는 명령이 입력되면 로봇 청소기는 30분후 전원이 오프되는 취침 예약이 매크로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가 공기 청정의 강도 "강"으로 변경하는 명령을 입력하면, 로봇 청소기는 30분후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상태 정보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도 있다. 즉,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를 통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프로세서(130)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고, 프로세서(13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제어하기 위한 사용자 명령이 입력되면, 입력된 명령을 외부 서버를 통해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여기서, 외부 서버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에 관한 정보가 저장된 클라우드 서버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외부 서버를 통해 사용자 단말 장치(100)가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와 통신을 수행하는 것으로 설명하도록 한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동일한 타입의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에 따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는 공기 청정기 1(제1 기기) 및 공기 청정기 2(제2 기기)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3a는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되지 않고,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 간 서로 연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도 제어할 수 있는 기기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3b는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 각각이 서버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 각각이 서버와 연결되어 서버에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의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20) 상에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 1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300-1) 및 공기 청정기 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300-2)이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300-1) 및 제2 아이템(300-2)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control"이라는 표식을 제1 아이템(300-1) 및 제2 아이템(300-2)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3c는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가 적층되어 연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 청정기 2의 상부에 공기 청정기 1이 배치되어 공기 청정기 1이 마스터 기기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1이 마스터 기기이고, 공기 청정기 2가 슬레이브 기기라는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정보를 서버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300-2)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상태는 아이템이 딤(dim) 처리되거나 은닉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아이템(300-2)이 비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제2 아이템(300-2)을 딤(dim) 처리하거나, 제2 아이템(300-2)을 은닉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도 제1 아이템(300-1)에 공기 청정기 1이 마스터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고, 제2 아이템(300-2)에 공기 청정기 2가 슬레이브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도 3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템(300-2)에 표시된 "control"이라는 표식을 제거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기인 공기 청정기 2를 제어하기 위한 비활성화 상태인 제2 아이템(300-2)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상태인 제2 아이템(300-2)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2는 공기 청정기 1과 함께 제어되므로 공기 청정기 1을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수단이 텍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음향, 음성, LED 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3d는 도 3c에서 제1 아이템(300-1)이 선택되는 경우 마스터 기기 및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300-1)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인 공기 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3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의 전원 온/오프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의 전원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의 공통 기능인 공기 청정의 강도, 운전 모드, 취침 예약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가 서로 연동되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300-1)의 선택에 따른 UI 화면에서 공기 청정기 1 및 공기 청정기 2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도 제공할 수 있다.
도 3e는 도 3d에서 슬레이브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d의 전원 온/오프 UI 화면에서 슬레이브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2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를 공기 청정기 1로 전송하고 공기 청정기 1은 수신된 제어 명령을 공기 청정기 2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공기 청정기 2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슬레이브 기기가 개별적으로 제어될 수도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상이한 타입의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에 따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4a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가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되지 않고,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 간 서로 연동되지 않은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따라서,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디스플레이(120) 상에서도 제어할 수 있는 기기가 표시되지 않을 수 있다.
도 4b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 각각이 서버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 각각이 서버와 연결되어 서버에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의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20) 상에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 각각을 제어하기 위한 아이템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공기 청정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400-1) 및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400-2)이 디스플레이(120) 상에 표시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400-1) 및 제2 아이템(400-2)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control"이라는 표식을 제1 아이템(400-1) 및 제2 아이템(400-2) 각각에 표시할 수 있다.
도 4c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가 적층되어 연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로봇 청소기의 상부에 공기 청정기가 배치되어 공기 청정기가 마스터 기기가 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가 마스터 기기이고, 로봇 청소기가 슬레이브 기기라는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정보를 서버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400-2)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여기서, 비활성화 상태는 아이템이 딤(dim) 처리되거나 은닉되는 상태일 수 있다. 즉,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아이템(400-2)이 비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제2 아이템(400-2)을 딤(dim) 처리하거나, 제2 아이템(400-2)을 은닉시킬 수도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도 제1 아이템(400-1)에 공기 청정기가 마스터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고, 제2 아이템(400-2)에 로봇 청소기가 슬레이브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도 4c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아이템(400-2)에 표시된 "control"이라는 표식을 제거하여 상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기인 로봇 청소기를 제어하기 위한 비활성화 상태인 제2 아이템(400-2)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 상태인 제2 아이템(400-2)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는 공기 청정기와 함께 제어되므로 공기 청정기를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수단이 텍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음향, 음성, LED 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도 4d는 도 4c에서 제1 아이템(400-1)이 선택되는 경우 마스터 기기 및 슬레이브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를 디스플레이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400-1)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인 공기 청정기를 제어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또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에 공통되는 기능을 조작하는 메뉴를 디스플레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d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전원 온/오프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의 전원 온/오프 기능뿐만 아니라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의 공통 기능인 취침 예약 등을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를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한편,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가 서로 연동되었으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400-1)의 선택에 따른 UI 화면에서 공기 청정기 및 로봇 청소기를 개별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UI도 제공할 수 있다.
도 4e는 도 4d에서 슬레이브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입력되는 경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4d의 전원 온/오프 UI 화면에서 슬레이브 기기의 전원을 오프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로봇 청소기의 전원 오프에 대응되는 제어 코드를 공기 청정기로 전송하고 공기 청정기는 수신된 제어 코드를 로봇 청소기로 전송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로봇 청소기의 전원이 오프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라 적층되지 않은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제어하는 UI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에 따라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는 스탠드형 에어컨 및 벽결이형 에어컨으로 구현되는 것으로 상정한다.
도 5a는 스탠드형 에어컨만이 서버와 연결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스탠드형 에어컨이 서버와 연결되어 서버에 스탠드형 에어컨의 식별 정보가 저장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스탠드형 에어컨의 식별 정보를 수신하고, 디스플레이(120) 상에 스탠드형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500-1)을 디스플레이 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500-1)이 활성화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control"이라는 표식을 제1 아이템(500-1)에 표시할 수 있다.
도 5b는 스탠드형 에어컨 및 벽걸이형 에어컨이 적층되지 않고 연동된 상태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스탠드형 에어컨이 마스터 기기이고, 벽걸이형 에어컨이 슬레이브 기기라는 정보가 포함된 상태 정보를 서버를 통해 수신할 수 있다. 이후,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벽걸이형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500-2)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 이외에도 제1 아이템(500-1)에 스탠드형 에어컨이 마스터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고, 제2 아이템(500-2)에 벽걸이형 에어컨이 슬레이브 기기임을 텍스트로 표시하거나,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아이템(500-1)에만 "control"이라는 표식을 표시할 수 있다.
슬레이브 기기인 벽걸이형 에어컨을 제어하기 위한 비활성화 상태인 제2 아이템(500-2)이 선택되는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활성화된 제2 아이템(500-2)이 선택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벽걸이형 에어컨은 스탠드형 에어컨과 함께 제어되므로 스탠드형 에어컨을 선택해주세요"와 같은 텍스트 정보를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은 정보 제공 수단이 텍스트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이미지, 음향, 음성, LED 출력 등과 같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슬레이브 기기도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가 제공될 수 있다.
이후의 동작은 도 4d 및 도 4e와 동일하므로 생략한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 서버 및 제1 및 제2 가전 기기 간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시퀀스도이다.
제1 가전 기기(200-1)는 제1 가전 기기(200-1)의 식별 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605). 여기서, 식별 정보는, IP 어드레스, 맥(MAC) 어드레스, 제품명, 제품 번호 및 제1 가전 기기(200-1)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600)로부터 제1 가전 기기(200-1)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S610), 제1 가전 기기(200-1)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가전 기기(200-1)가 등록되면,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600-1)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제2 가전 기기(200-2)는 제2 가전 기기(200-2)의 식별 정보를 서버(600)로 전송할 수 있다(S615).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600)로부터 제2 가전 기기(200-2)의 식별 정보가 수신되면(S620), 제2 가전 기기(200-2)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등록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2 가전 기기(200-2)가 등록되면, 제2 가전 기기(200-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600-2)을 디스플레이(120) 상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가 서로 연동되는 경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선택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 중 하나가 마스터 기기가 되고, 나머지가 슬레이브 기기가 될 수 있다.
제1 가전 기기(200-1)는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라는 상태 정보를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S625).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라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S630), 제1 아이템(600-1)에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임을 나타내는 정보를 표시할 수 있다.
제2 가전 기기(200-2)는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라는 상태 정보를 서버(600)에 전송할 수 있다(S635).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서버로부터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라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S640), 제2 아이템(600-1)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를 제어하는 명령이 입력되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해당 명령을 서버(600)를 통해 마스터 기기인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S645, S650). 제1 가전 기기(200-1)는 해당 명령에 대응되는 신호를 슬레이브 기기인 제2 가전 기기(200-2)로 전송하여(S655),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1 및 200-2)는 통합적으로 제어될 수 있다.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상에서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내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기기 1, 기기2 및 기기 3이 등록되어, 디스플레이(120) 상에 기기 1, 기기2 및 기기 3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700-1), 제2 아이템(700-2) 및 제3 아이템(700-3)이 디스플레이되고, 이후, 기기 1 및 기기 2가 연동된 상태임을 상정한다.
도 7a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기 1 및 기기 2가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기기 1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700-1) 및 기기 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700-2)을 하나의 도형 내에 함께 표시할 수 있다. 도 7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700-1) 및 제2 아이템(700-2)을 사각형 형태의 점선 내에 표시할 수 있다. 여기서, 사각형 및 점선은 다양한 형태로 변형되어 표시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b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기기 1 및 기기 2가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내기 위해 기기 1을 제어하기 위한 제1 아이템(700-1) 및 기기 2를 제어하기 위한 제2 아이템(700-2)을 상대적으로 인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도 7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700-1) 및 제2 아이템(700-2) 간의 거리를 제2 아이템(700-2) 및 제3 아이템(700-3) 간의 거리보다 근접하게 배치시킬 수 있다.
다른 실시 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제1 아이템 및 제2 아이템을 동일한 색상으로 표시하여 연동된 상태임을 나타낼 수도 있다.
도 8은 도 2의 사용자 단말 장치의 세부 구성의 일 예를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8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100)는 통신부(110), 디스플레이(120), 프로세서(130) 및 저장부(140)를 포함한다. 도 2에 도시된 구성 중, 도 2에 도시된 구성과 중복되는 구성에 대해서는 자세한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프로세서(130)는 CPU(121),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이 저장된 롬(ROM, 또는 비 휘발성 메모리) 및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외부에서부터 입력되는 데이터를 저장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서 수행되는 다양한 작업에 대응되는 저장 영역으로 사용되는 램(RAM, 또는 휘발성 메모리)을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0)는 기설정된 이벤트가 발생되면 저장부(140)에 저장된 OS(Operating System), 프로그램 및 다양한 어플리케이션을 실행할 수 있다.프로세서(130)는 싱글 코어, 듀얼 코어, 트리플 코어, 쿼드 코어 및 그 배수의 코어를 포함할 수 있다.
CPU(131)는 저장부(140)에 액세스하여, 저장부(140)에 저장된 O/S를 이용하여 부팅을 수행한다. 그리고, 저장부(140)에 저장된 각종 프로그램, 컨텐츠, 데이터 등을 이용하여 다양한 동작을 수행한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를 구동/제어하기 위한 다양한 데이터, 프로그램 또는 어플리케이션을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사용자 단말 장치(100) 및 프로세서(130)의 제어를 위한 제어 프로그램, 제조사에서 최초 제공되거나 외부에서부터 다운로드 받은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베이스들 또는 관련 데이터들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부(140)는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멀티 채널 설정을 위한 UI를 제공하고, UI 와 관련된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다.
특히, 저장부(14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된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식별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정보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IP 어드레스, 맥(MAC) 어드레스, 제품명, 제품 번호 및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종류를 나타내는 타입 정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저장부(140)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또는 외부 서버로부터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 중 하나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나머지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정보를 나타내는 상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부(140)는 프로세서(130)에 포함된 롬(ROM), 램(RAM) 등의 내부 메모리로 구현되거나, 프로세서(130)와 별도의 메모리로 구현될 수도 있다. 이 경우, 저장부(140)는 데이터 저장 용도에 따라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되거나,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 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구동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에 저장되고, 사용자 단말 장치(100)의 확장 기능을 위한 데이터의 경우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탈부착이 가능한 메모리에 저장될 수 있다. 한편, 사용자 단말 장치(100)에 임베디드된 메모리의 경우 비휘발성 메모리, 휘발성 메모리,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DD) 또는 솔리드 스테이트 드라이브(SSD) 등과 같은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 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다.
도 9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제공할 수 있다(S910).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제2 가전 기기(200-2)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할 수 있다(S920).여기서, 표시 상태 변경은,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태 정보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거나, 서버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한편,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제1 가전 기기(200-1)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할 수 있다(S930). 여기서,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제1 가전 기기(200-1)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메뉴가 선택되면,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공통 기능이면,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제2 가전 기기(200-2)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제2 가전 기기(200-2)에서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제1 가전 기기(200-1)로 전송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제2 가전 기기(200-2)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 장치는,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제1 및 제2 가전 기기(200)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각 단계의 상세 동작에 대해서는 상술한 바 있으므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설치 가능한 어플리케이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방법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기존 전자 장치에 대한 소프트웨어 업그레이드, 또는 하드웨어 업그레이드 만으로도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 중 적어도 일부 구성은 전자 장치 에 구비된 임베디드 서버, 또는 전자 장치의 외부 서버를 통해 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다.
한편, 이상에서 설명된 다양한 실시 예들은 소프트웨어(software), 하드웨어(hardware) 또는 이들의 조합을 이용하여 컴퓨터(computer) 또는 이와 유사한 장치로 읽을 수 있는 기록 매체 내에서 구현될 수 있다. 일부 경우에 있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실시 예들이 프로세서 자체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적인 구현에 의하면,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절차 및 기능과 같은 실시 예들은 별도의 소프트웨어 모듈들로 구현될 수 있다. 소프트웨어 모듈들 각각은 본 명세서에서 설명되는 하나 이상의 기능 및 작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본 개시의 다양한 실시 예들에 따른 처리 동작을 수행하기 위한 컴퓨터 명령어(computer instructions)는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non-transitory computer-readable medium)에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명령어는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상술한 다양한 실시 예에 따른 처리 동작을 특정 기기가 수행하도록 할 수 있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란 레지스터, 캐쉬, 메모리 등과 같이 짧은 순간 동안 데이터를 저장하는 매체가 아니라 반영구적으로 데이터를 저장하며, 기기에 의해 판독(reading)이 가능한 매체를 의미한다. 비일시적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의 구체적인 예로는, CD, DVD, 하드 디스크, 블루레이 디스크, USB, 메모리카드, ROM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개시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개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 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개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개시에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개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져서는 안될 것이다.
10: 전자 시스템 100: 사용자 단말 장치
110: 통신부 120: 디스플레이
130: 프로세서

Claims (19)

  1.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디스플레이;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고,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상기 통신부를 통해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상기 디스플레이 상에 제공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공통 기능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는, 사용자 단말 장치.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를 통해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
  10.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및 이를 통합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 장치에 전송하는 제1 및 제2 가전 기기; 및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제공하고,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고,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사용자 단말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
  11.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등록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제어 방법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각각 제어하기 위한 제1 및 제2 아이템을 제공하는 단계;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고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슬레이브 기기로 설정된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의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 및
    상기 제1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를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제어 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표시 상태를 변경하는 단계는,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제2 아이템을 비활성화 상태로 변경하는, 제어 방법.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를 통합적으로 제어하기 위한 UI는,
    상기 제1 가전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메뉴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 방법은,
    상기 메뉴가 선택되면,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제어 동작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에서 모두 수행되도록 하는 제어 명령을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공통 기능이면,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타입에 각각 대응되는 제1 제어 코드 및 제2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5.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전송하는 단계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상이한 타입의 가전 기기이고,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제공되는 기능이 아니면, 상기 제2 가전 기기에서 상기 메뉴에 대응되는 기능과 관련된 기능을 제공하도록 제어하는 제어 코드를 상기 제1 가전 기기로 전송하는, 제어 방법.
  16.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는,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 중 적어도 하나로부터 수신되거나, 외부 서버로부터 수신되는, 제어 방법.
  17.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의 배치 상태 및 사용자 명령 중 적어도 하나에 기초하여 상기 제1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로 설정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8.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아이템이 선택되면, 상기 마스터 기기를 제어하기 위한 UI에서 상기 제2 가전 기기가 통합적으로 제어됨을 알리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19.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상태 정보가 수신되면, 상기 상태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제1 및 제2 가전 기기가 마스터 기기인지 슬레이브 기기인지를 나타내는 정보를 제공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제어 방법.
KR1020180013503A 2018-02-02 2018-02-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366699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03A KR102366699B1 (ko) 2018-02-02 2018-02-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PCT/KR2019/000032 WO2019151661A1 (ko) 2018-02-02 2019-01-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US16/961,785 US20210067622A1 (en) 2018-02-02 2019-01-02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EP19748205.2A EP3716593B1 (en) 2018-02-02 2019-01-02 User terminal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for controlling sam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13503A KR102366699B1 (ko) 2018-02-02 2018-02-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93997A KR20190093997A (ko) 2019-08-12
KR102366699B1 true KR102366699B1 (ko) 2022-02-23

Family

ID=6747969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13503A KR102366699B1 (ko) 2018-02-02 2018-02-02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20210067622A1 (ko)
EP (1) EP3716593B1 (ko)
KR (1) KR102366699B1 (ko)
WO (1) WO201915166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721331B1 (en) * 2019-12-06 2023-08-08 Amazon Technologies, Inc. Device functionality identification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04A1 (ko) 2016-03-31 2017-10-05 삼성전자(주)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Family Cites Familie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277655A (ja) * 2004-03-24 2005-10-06 Sony Corp 入出力端末、マスタ装置、スレーブ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方法、ならびに入出力端末用、マスタ装置用およびスレーブ装置用プログラム
KR101740440B1 (ko) * 2010-12-24 2017-05-26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 제어 방법
KR101240274B1 (ko) * 2011-07-07 2013-03-1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및 그의 컨텐츠 믹싱방법
KR102088526B1 (ko) * 2013-11-04 2020-04-14 삼성전자주식회사 스마트 홈 시스템을 제어하기 위한 방법 및 그 전자 장치
KR102218295B1 (ko) * 2014-02-06 2021-02-22 삼성전자주식회사 가전 기기,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시스템 및 가전 기기의 네트워크 연결 방법
KR20170037409A (ko) * 2015-09-25 2017-04-04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ui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7171204A1 (ko) 2016-03-31 2017-10-05 삼성전자(주) 단말장치 및 그 제어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716593A4 (en) 2021-01-13
US20210067622A1 (en) 2021-03-04
EP3716593B1 (en) 2022-11-16
EP3716593A1 (en) 2020-09-30
WO2019151661A1 (ko) 2019-08-08
KR20190093997A (ko) 2019-08-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42438B2 (en) Group-wise device management system and method
CN111262761B (zh) 一种电子设备和用于操作电子设备的方法
KR102288777B1 (ko) 조명 제어 장치 및 이의 조명 제어 방법
US8683086B2 (en) Universal remote control with automated setup
JP5338458B2 (ja) 遠隔制御装置、通信装置、遠隔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US9288880B2 (en) Smart home network apparatus and control method thereof
US9998582B2 (en) Peripheral device management system for communication between a display apparatus and a node terminal apparatus
US11537092B2 (en) Appliances and control method thereof
EP3474517A1 (en) Electronic device for controlling iot device to correspond to state of external electronic device and operation method thereof
WO2020192200A1 (zh) 分体式家电设备的控制方法、智能操控设备和***
KR102314690B1 (ko) 디바이스의 통신 연결 방법 및 그 장치
JP6691523B2 (ja) 照明システム
US10051481B2 (en) Electronic apparatus and sensor arrangement method thereof
KR20190076337A (ko) 가전 기기 및 이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KR102366699B1 (ko) 사용자 단말 장치 및 그를 제어하는 제어 방법
JP2017199962A (ja) 機器制御システム、管理装置、機器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18021710A (ja) 空気調和システム
US20230379404A1 (en) Terminal device, apparatus management serve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medium
JP6320563B2 (ja) 通信機器、通信アダプタ、通信システム、通信パラメータ応答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WO2019064533A1 (ja) コントローラおよび端末装置のプログラム
WO2017119035A1 (ja) 制御方法、及び、情報処理システム
JP6742152B2 (ja) 機器状態表示制御装置、機器状態表示システム、機器状態表示画面構築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WO2019069481A1 (ja) 制御システム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JP2003259462A (ja) 機器制御システム及び機器制御装置
JP2019003228A (ja) 機器連携システム、機器連携装置、機器連携方法及び機器連携プログラ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