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1009B1 - 경사 차량 - Google Patents

경사 차량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1009B1
KR102341009B1 KR1020207005026A KR20207005026A KR102341009B1 KR 102341009 B1 KR102341009 B1 KR 102341009B1 KR 1020207005026 A KR1020207005026 A KR 1020207005026A KR 20207005026 A KR20207005026 A KR 20207005026A KR 102341009 B1 KR102341009 B1 KR 1023410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ody frame
wheel
rider
vehicle
singl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700502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33295A (ko
Inventor
하루히토 쿠라카케
Original Assignee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야마하하쓰도키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0003329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329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10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100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27Motorcycles with thre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2Tricycles
    • B62K5/05Tricycles characterised by a singl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1/00Saddles or other seats for cycles; Arrangement thereof; Component parts
    • B62J1/12Box-shaped seats; Bench-type seats, e.g. dual or twin sea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7/00Luggage carriers
    • B62J7/02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 B62J7/04Luggage carriers characterised by the arrangement thereof on cycles arranged above or behind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1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 B62J9/14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integrated with the cycle under the sadd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JCYCLE SADDLES OR SEATS; AUXILIARY DEVICES OR ACCESSORIES SPECIALLY ADAPTED TO CYCLES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e.g. ARTICLE CARRIERS OR CYCLE PROTECTORS
    • B62J9/0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 B62J9/20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 B62J9/23Container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e.g. panniers or saddle bags attached to the cycle as accessories above or alongside the rear whee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11/00Motorcycles, engine-assisted cycles or motor scooters with one or two wheels
    • B62K11/02Frames
    • B62K11/04Frames characterised by the engine being between front and rear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08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steering devices acting on two or more whe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5/0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 B62K5/10Cycles with handlebars, equipped with three or more main road wheels with means for inwardly inclining the vehicle body on ben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KCYCLES; CYCLE FRAMES; CYCLE STEERING DEVICES; RIDER-OPERATED TERMINAL CONTROLS SPECIALLY ADAPTED FOR CYCLES; CYCLE AXLE SUSPENSIONS; CYCLE SIDE-CARS, FORECARS, OR THE LIKE
    • B62K2202/00Motorised scoo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utomatic Cycles, And Cycles In General (AREA)
  • Seats For Vehicle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목적은, 경사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후방 적재하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경사 차량(1)은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후륜 액슬(414)까지의 거리를 L1로 정의하고,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휠베이스 중앙(WBC)까지의 거리를 L2로 정의하고,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 중앙(BC)까지의 거리를 L3으로 정의하고,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단까지의 거리를 L4로 정의하고,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있어서 착좌면 전단(SF)으로부터 힙 포인트(HP)까지의 거리를 L5로 정의했을 때에, 식 (a), 식 (b), 및 식 (c)가 성립한다. L1<L2···(a), L3<L2···(b), L4<L5···(c)

Description

경사 차량
본 발명은 우전륜, 좌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 관한 것이다.
종래의 경사 차량에 관한 발명으로서는, 예를 들면,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삼륜 차량이 알려져 있다. 이들 삼륜 차량은 핸들, 차체 프레임,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을 구비한다. 라이더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삼륜 차량을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전륜 및 우전륜을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라이더는, 차체 프레임을 삼륜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시킨다. 이것에 의해, 삼륜 차량은 왼쪽으로 선회한다. 또한, 라이더는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삼륜 차량을 위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전륜 및 우전륜을 시계 방향으로 회전시킨다. 또한, 라이더는 차체 프레임을 삼륜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시킨다. 이것에 의해, 삼륜 차량은 오른쪽으로 선회한다.
일본 특허공개 2005-247303호 공보 미국 특허 제 8814186호 명세서
그런데, 특허문헌 1 및 특허문헌 2에 기재된 삼륜 차량을 비즈니스나 통근 등에 사용할 시에, 하물을 적재하고 싶다는 요망이 높아지고 있다.
그래서, 본 발명의 목적은, 좌전륜, 우전륜, 후륜, 및, 좌전륜의 액슬을 우전륜의 액슬보다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체 프레임을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시키고, 우전륜의 액슬을 좌전륜의 액슬보다 차체 본체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체 본체를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 있어서, 경사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후방 적재하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키는 것이다. 후방 적재하물은 후륜 근방 상에 적재되는 하물이다.
본원 발명자는 좌전륜, 우전륜, 후륜 및 링크 기구를 구비한 경사 차량에 있어서, 편리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 패신저(passenger) 시트의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후방에 설치된 적재부를 증대하는 것을 검토했다. 단, 단순히 적재부가 증대하면, 경사 차량의 후방부가 후방으로 연장되거나, 또는, 경사 차량의 후방부가 좌우 방향으로 넓어진다. 그 결과, 경사 차량이 커져버린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이미 제안되어 있는 경사 차량의 적재부를 개량해서 증대한다는 기술 사상과는 다른 기술 사상으로 검토했다. 구체적으로는, 본원 발명자는 적재부를 증대시키는 것을 우선해서, 좌전륜, 우전륜, 후륜, 링크 기구, 시트 및 적재부의 레이아웃을 새롭게 구축한다고 하는 기술 사상으로 검토했다.
우선, 본원 발명자는,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의 적재부를 증대시키기 위해서 이 경사 차량의 중량 배분을 조사했다. 그러자,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의 중량 배분에 있어서 좌전륜 및 우전륜이 차지하는 비율의 합계는, 1개의 전륜 및 1개의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의 중량 배분에 있어서 전륜이 차지하는 비율보다 크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중량 배분에 있어서 좌전륜 및 우전륜이 차지하는 비율의 합계가 큰 경사 차량에서는, 어떻게 하물을 적재하는 것이 바람직한 것인지를 검토했다.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서는, 상기와 같이, 중량 배분에 있어서 좌전륜 및 우전륜이 차지하는 비율의 합계가 크다. 환언하면,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을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서는, 중량 배분에 있어서 후륜이 차지하는 비율이 작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후륜 근방 상에 하물(이하,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해서, 중량 배분에 있어서 후륜이 차지하는 비율을 증가시켜도 좋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런데, 경사 차량에서는,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하고 있는 상태(적재 상태)와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하고 있지 않은 상태(비적재 상태)가 존재한다. 중량 배분에 있어서 좌전륜 및 우전륜이 차지하는 비율(이하, 앞쪽 중량 배분)과 중량 배분에 있어서 후륜이 차지하는 비율(이하, 뒷쪽 중량 배분)을 적재 상태 및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 크게 변화시키고 싶지 않을 경우가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 앞쪽 중량 배분과 뒷쪽 중량 배분이 크게 변화되지 않는 위치에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는 위치에 대해서 검토했다.
상기와 같이, 경사 차량에서는 후륜 근방 상에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된다. 그 때문에,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이 변동된다. 단, 본원 발명자는,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동률을 저감함으로써, 앞쪽 중량 배분과 뒷쪽 중량 배분이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고 생각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이하에 설명하는 바와 같이, 라이더의 중량이 후륜에 보다 많이 가해지도록, 경사 차량에 있어서 시트를 배치하면 좋다고 생각했다.
예를 들면, 60㎏의 체중을 갖는 라이더가 경사 차량의 시트에 착좌했을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제 1 예에서는 20㎏의 중량이 좌전륜 및 우전륜에 가해지고, 40㎏의 중량이 후륜에 가해지는 경사 차량을 상정한다. 제 2 예에서는 5㎏의 중량이 좌전륜 및 우전륜에 가해지고, 55㎏의 중량이 후륜에 가해지는 경사 차량을 상정한다. 제 1 예에서는 20㎏의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면,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은 50% 증가한다. 제 2 예에서는 20㎏의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면,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은 36% 증가한다. 이와 같이, 후륜에 가해지는 라이더의 중량이 많아질수록,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동률이 저감된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 앞쪽 중량 배분과 뒷쪽 중량 배분이 크게 변화되는 것을 억제하기 위해서는, 라이더가 착좌하는 시트를 후륜의 가까이에 배치하면 좋다고 생각했다.
본원 발명자는, 이상과 같이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 앞쪽 중량 배분과 뒷쪽 중량 배분이 크게 변화하는 것이 억제된 경사 차량에 있어서, 경사 차량을 대형화하지 않고, 보다 많은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하는 방법에 대해서 검토했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비즈니스 용도 및 통근 용도의 경사 차량의 사용 형태를 검토했다. 본원 발명자는, 비즈니스 용도 및 통근 용도의 경사 차량에서는 라이더만이 승차하고, 패신저가 승차하지 않는 케이스가 많다는 것을 알아차렸다. 그래서, 본원 발명자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를 배치함과 아울러,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방에 후방 적재하물의 적재부를 배치하는 것을 생각했다.
본 발명은,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서 이하의 구성을 채용한다.
(1) 경사 차량으로서,
좌선회시에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지고, 우선회시에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왼쪽에 배치되고, 좌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좌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우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우전륜과,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로서, 상기 좌전륜 액슬을 상기 우전륜 액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좌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우전륜 액슬을 상기 좌전륜 액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우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상기 링크 기구와,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어, 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후륜으로서, 좌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과 함께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지고, 우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과 함께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지는 상기 후륜과,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을 조타하는 조타 기구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또한, 상기 조타 기구를 조타하는 라이더만이 착좌하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와,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며, 또한, 적재부 상에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는 상기 적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후륜 액슬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1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좌전륜 액슬 또는 상기 우전륜 액슬과 상기 후륜 액슬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휠베이스 중앙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2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3으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전단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4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가 착좌할 수 있는 착좌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한 상기 라이더의 힙 포인트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5로 정의하고,
상기 링크 기구가 상기 좌전륜 액슬과 상기 우전륜 액슬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동일 위치에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좌전륜, 상기 우전륜 및 상기 후륜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에 있어서, 식 (a), 식 (b) 및 식 (c)가 성립한다.
L1<L2···(a)
L3<L2···(b)
L4<L5···(c)
(1)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동률이 저감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1)의 경사 차량에 있어서, 링크 기구가 좌전륜 액슬과 우전륜 액슬을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동일 위치에 위치시키며, 또한, 좌전륜, 우전륜 및 후륜이 지면에 접촉한 상태란, 차체 프레임이 직립 상태인 것을 의미한다. (1)의 경사 차량에서는, 차체 프레임이 직립 상태일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후륜 액슬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1)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휠베이스 중앙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2)보다 짧다. 즉,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이 휠베이스의 후반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가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또한, (1)의 경사 차량에서는, 차체 프레임이 직립 상태일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적재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3)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휠베이스 중앙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2)보다 짧다. 즉,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가 적재부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이 적재부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의 무게 중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적재부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의 무게 중심도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1)의 경사 차량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 및 적재부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및 후방 적재하물의 중량의 대부분이 후륜에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적재 상태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후륜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동률이 저감된다.
또한, (1)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경사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후방 적재하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적재부의 전단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4)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있어서 라이더가 착좌할 수 있는 착좌면의 전단으로부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한 라이더의 힙 포인트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5)보다 짧다. 착좌면의 전단으로부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한 라이더의 힙 포인트까지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L5)는, 1명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는 스페이스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1)의 경사 차량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적재부의 전단까지의 사이에는, 1명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에는,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거의 배치되지 않고 적재부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1)의 경사 차량에서는 경사 차량을 대형화하지 않고, 보다 많은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2) (1)의 경사 차량으로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링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지지부의 상부에 상측 크로스 부재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래쪽이며 또한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지지부의 하부에 하측 크로스 부재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와, 좌측 사이드 부재의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의 하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와, 우측 사이드 부재의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의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의 하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의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전륜은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에 지지되며,
상기 우전륜은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에 지지된다.
(2)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평행사변형 링크 방식의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 있어서, 경사 차량을 대형화하지 않고, 보다 많은 후방 적재하물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3) (1) 또는 (2) 중 어느 하나의 경사 차량으로서,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래쪽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는, 상기 수납 공간이 상기 경사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닫힘 상태와 상기 수납 공간이 상기 경사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열림 상태를 취할 수 있다.
(3)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래쪽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수납 공간에도 수납 하물을 수납할 수 있다.
(4) (1)부터 (3) 중 어느 하나의 경사 차량으로서,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휠베이스 중앙으로부터 상기 후륜 액슬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보다 짧다.
(4)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가 짧으므로, 라이더만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할 수 있고, 패신저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할 수 없다.
(5) (1)부터 (4) 중 어느 하나의 경사 차량으로서,
상기 경사 차량은,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크랭크축을 갖는 엔진을 더 구비하며,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는, 상기 엔진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의 중심축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5)의 경사 차량에 의하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5)의 경사 차량에서는, 엔진을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는, 파워 유닛인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의 중심축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와 파워 유닛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짧다. 파워 유닛은 후륜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와 후륜 액슬의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5)의 경사 차량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하는 라이더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본 발명의 상술의 목적 및 그 밖의 목적, 특징, 국면 및 이점은, 첨부 도면에 관련해서 행해지는 이하의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상세한 설명으로부터 한층 명확해질 것이다.
본 명세서에 사용될 경우, 용어 「및/또는(and/or)」은 하나의, 또는 복수의 관련된 열거된 아이템(items)의 일체 또는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중에서 사용될 경우, 용어 「포함하다, 구비하다(including)」, 「포함하다, 구비하다(comprising)」 또는 「갖는다(having)」 및 그 변형의 사용은, 기재된 특징, 공정, 조작, 요소, 성분 및/또는 그것들의 등가물의 존재를 특정하지만, 스텝, 동작, 요소, 컴포넌트, 및/또는 그것들의 그룹 중 하나 또는 복수를 포함할 수 있다.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기술 용어 및 과학 용어를 포함한다)는, 본 발명이 속하는 당업자에 의해서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갖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된 용어와 같은 용어는, 관련되는 기술 및 본 개시의 문맥에 있어서의 의미와 일치하는 의미를 갖는다고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에서 명시적으로 정의되어 있지 않는 한, 이상적 또는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로 해석될 필요는 없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는, 기술 및 공정의 수가 개시되어 있다고 이해된다. 이들 각각은 개별의 이익을 갖고, 각각은 다른 개시된 기술의 하나 이상, 또는, 경우에 따라서는 모두와 함께 사용할 수도 있다. 따라서, 명확히 하기 위해서, 이 설명은, 불필요하게 개개의 스텝의 가능한 조합의 전체를 되풀이하는 것을 삼간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명세서 및 특허청구 범위는, 그와 같은 조합이 모두 본 발명 및 특허청구 범위 내에 있는 것을 이해해서 읽혀져야 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목적으로 본 발명의 완전한 이해를 제공하기 위해서 다수의 구체적인 상세를 서술한다. 그러나, 당업자에게는 이들 특정한 상세 없이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다는 것이 명확하다. 본 개시는, 본 발명의 예시로서 고려되어야 하고, 본 발명을 이하의 도면 또는 설명에 의해 나타내어지는 특정의 실시형태에 한정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좌전륜, 우전륜, 후륜, 및, 좌전륜의 액슬을 우전륜의 액슬보다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체 프레임을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시키고, 우전륜의 액슬을 좌전륜의 액슬보다 차체 본체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차체 본체를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링크 기구를 구비하는 경사 차량에 있어서, 경사 차량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후방 적재하물의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도 1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을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는 경사 차량(1)을 좌전타시킨 상태의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5는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진 상태의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전방(f)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은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을 왼쪽(l)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8은 경사 차량(1a)을 왼쪽(l)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9는 경사 차량(1b)을 왼쪽(l)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10은 경사 차량(1c)의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적재 기구(80)를 위쪽(u)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전체 구성]
이하, 일실시형태에 따른 경사 차량(1)의 전체 구성에 대해서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경사 차량(1)의 일례로서, 경사 가능한 차체 프레임과, 2개의 전륜과, 1개의 후륜을 갖는 삼륜 차량을 예시한다. 도 1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을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왼쪽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는,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전방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2에서는 차체 커버(22)를 투과시킨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이하에서는,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전방을 전방(F)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후방을 후방(B)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왼쪽을 왼쪽(L)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오른쪽(R)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위쪽을 위쪽(U)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아래쪽(D)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전후 방향(FB)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LR)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UD)이라고 부른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전방이란 경사 차량(1)의 진행 방향이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후방이란 경사 차량(1)의 진행 방향의 반대 방향이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왼쪽이란 경사 차량(1)에 앉은 라이더를 기준으로 해서 왼쪽이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오른쪽이란 경사 차량(1)에 앉은 라이더를 기준으로 해서 오른쪽이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위쪽이란 각각, 경사 차량(1)에 앉은 라이더를 기준으로 해서 위쪽이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아래쪽이란 각각, 경사 차량(1)에 앉은 라이더를 기준으로 해서 아래쪽이다.
또한, 경사 차량(1)에서는,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 경사질 수 있다.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 경사졌을 경우에는,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각각,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 및 좌우 방향(LR)과 일치하지 않는다. 한편, 직립 상태의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 및 좌우 방향은 각각, 경사 차량(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 및 좌우 방향(LR)과 일치한다. 이하에서는,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전방을 전방(f)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후방을 후방(b)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왼쪽을 왼쪽(l)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오른쪽을 오른쪽(r)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위쪽을 위쪽(u)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아래쪽을 아래쪽(d)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을 전후 방향(fb)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을 좌우 방향(lr)이라고 부른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을 상하 방향(ud)이라고 부른다.
이하에서는, 구성의 상단이란 구성의 위쪽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하단이란 구성의 아래쪽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전단이란, 구성의 전방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후단이란 구성의 후방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좌단이란, 구성의 왼쪽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우단이란 구성의 오른쪽의 끝을 의미한다. 구성의 상단부란 구성의 상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의 하단부란 구성의 하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의 전단부란 구성의 전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의 후단부란 구성의 후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의 좌단부란 구성의 좌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의 우단부란 구성의 우단 및 그 근방을 의미한다. 구성이란, 경사 차량(1) 및 경사 차량(1)을 구성하는 부재를 의미한다.
또,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나 부재는, 반드시 전후 방향과 평행인 축이나 부재만을 나타내는 것은 아니다.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나 부재란, 전후 방향에 대하여 ±45°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축이나 부재이다. 마찬가지로, 상하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나 부재란, 상하 방향에 대하여 ±45°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축이나 부재를 말한다. 좌우 방향으로 연장되는 축이나 부재란, 좌우 방향에 대하여 ±45°의 범위에서 경사져 있는 축이나 부재를 말한다. 또한, 차체 프레임(21)의 직립 상태란, 라이더가 승차하지 않고, 경사 차량(1)에 연료를 탑재하지 않은 상태로서, 전륜이 전타도 경사도 하지 않은 상태를 의미한다.
또한,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대하여 이동 불가능하게 제 2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즉, 고정되어 있는) 경우, 및,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대하여 이동 가능하게 제 2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한다. 또한,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지지되어 있다는 것은, 제 1 부재가 제 2 부재에 직접적으로 부착되어 있는 경우, 및, 제 1 부재가 제 3 부재를 개재하여 제 2 부재에 부착되어 있는 경우의 양쪽을 포함한다.
경사 차량(1)은,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량 본체부(2), 좌전륜(31)(도 2 참조), 우전륜(32)(도 2 참조), 후륜(4), 링크 기구(5) 및 조타 기구(7)를 구비하고 있다. 차량 본체부(2)는, 차체 프레임(21), 차체 커버(22),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파워 유닛(25)을 포함하고 있다.
차체 프레임(21)은 좌선회시에 왼쪽(L)으로 경사진다. 차체 프레임(21)은 우선회시에 오른쪽(R)으로 경사진다. 차체 프레임(21)은, 헤드 파이프(211), 다운 프레임(212), 언더 프레임(214) 및 리어 프레임(215)을 포함하고 있다. 도 1에서는, 차체 프레임(21) 중 차체 커버(22)에 숨겨진 부분은 파선으로 나타내고 있다. 차체 프레임(21)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나 파워 유닛(25) 등을 지지하고 있다.
헤드 파이프(211)는 경사 차량(1)의 전방부에 배치되어 있다. 경사 차량(1)의 전방부란 경사 차량(1)에 있어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단보다 전방(f)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경사 차량(1)의 후방부란 경사 차량(1)에 있어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단보다 후방(b)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헤드 파이프(211)는, 차체 프레임(21)을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헤드 파이프(211)의 하단부보다 헤드 파이프(211)의 상단부가 후방(b)에 위치하도록, 상하 방향(ud)에 대하여 경사져서 배치되어 있다. 조타 기구(7) 및 링크 기구(5)는 헤드 파이프(211)의 주위에 배치되어 있다. 조타 기구(7)의 스티어링 샤프트(60)는 헤드 파이프(211)에 회전 가능하게 삽입되어 있다. 링크 기구(5)는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다운 프레임(212)은 헤드 파이프(211)보다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다운 프레임(212)은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는 원통 형상을 갖고있다. 다운 프레임(212)의 상단부는 헤드 파이프(211)의 하단부의 후방(b)에 위치한다. 또한, 다운 프레임(212)의 상단부는 헤드 파이프(211)의 하단부에 도시하지 않은 접속부에 의해 고정되어 있다.
언더 프레임(214)은 다운 프레임(212)의 하단부로부터 후방(b)이며 또한 위쪽(u)으로 연장되어 있다. 리어 프레임(215)은 언더 프레임(214)의 후단으로부터 후방(b)이며 또한 위쪽(u)으로 연장되어 있다.
차체 프레임(21)은 차체 커버(22)에 의해 덮여 있다. 차체 커버(22)는 프런트 커버(221), 좌우 한쌍의 프런트 펜더(223) 및 레그 실드(225)를 포함하고 있다. 프런트 커버(221)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방(f)에 위치하고 있다. 프런트 커버(221)는 조타 기구(7) 및 링크 기구(5) 중 적어도 일부를 덮고 있다.
파워 유닛(25)은 엔진 및 미션 장치 등을 포함하고 있다. 파워 유닛(25)은 후술하는 후륜(4)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킨다. 엔진은 크랭크축을 갖는다. 크랭크축의 회전의 중심축은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는 중심축(Ax)이다.
좌전륜(3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lr)의 중앙(C0)보다 왼쪽(l)에 배치되어 있다. 좌전륜(31)은 좌전륜 액슬(314)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우전륜(32)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1)의 좌우 방향(lr)의 중앙(C0)보다 오른쪽(r)에 배치되어 있다. 우전륜(32)은 우전륜 액슬(324)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좌전륜(31)과 우전륜(32)은 중앙(C0)에 대하여 좌우 대칭으로 배치되어 있다.
프런트 펜더(223)는 좌측 프런트 펜더(227) 및 우측 프런트 펜더(228)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 프런트 펜더(227)는 좌전륜(31)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프런트 펜더(228)는 우전륜(32)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후륜(4)은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후륜(4)은 후륜 액슬(414)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후륜(4)은 파워 유닛(25)이 발생시키는 구동력에 의해 회전시켜진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전후 방향(fb)에 있어서 좌전륜 액슬(314) 또는 우전륜 액슬(324)과 후륜 액슬(414) 사이에 배치되어 있다. 또한, 경사 차량(1)을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중심축(Ax)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차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후술하는 조타 기구(7)를 조타하는 라이더(500)만이 착좌하는 시트이다. 따라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후 방향(fb)의 길이는 짧게 설계된다. 구체적으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후 방향(fb)의 길이(L11)는, 휠베이스 중앙(WBC)으로부터 후륜 액슬(414)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길이(L12)보다 짧다. 휠베이스 중앙(WBC)이란 좌전륜 액슬(314) 또는 우전륜 액슬(324)과 후륜 액슬(414)의 전후 방향(fb)의 중앙의 점이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착좌면(24a) 및 등받이(24b)를 포함하고 있다. 착좌면(24a)은 라이더(500)의 둔부를 위쪽(u)으로 미는 영역이다. 따라서, 착좌면(24a)은 위쪽(u)을 향하는 평면이다. 단, 착좌면(24a)은 완전한 평면이 아니라 실질적으로 평면이면 좋다. 따라서, 착좌면(24a)은 약간 만곡하는 형상이나 미끄럼 저항을 위한 작은 요철이 형성된 형상을 갖고 있어도 좋다. 단, 착좌면(24a)의 상단과 착좌면(24a)의 하단 사이의 상하 방향(ud)에 있어서의 거리는 5㎝ 이하이다. 또한, 착좌면(24a)의 법선은 위쪽(u)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착좌면(24a)의 법선이란, 착좌면(24a)의 전단(이하, 착좌면 전단(SFF)) 및 착좌면(24a)의 후단(이하, 착좌면 후단(SFB))을 포함하고, 또한, 좌우 방향(lr)에 평행인 평면의 법선이다. 착좌면(24a)의 법선은, 라이더(500)가 착좌할 수 있는 범위 내에서 위쪽(u)에 대하여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구체적으로는, 착좌면(24a)의 법선은, 예를 들면, 위쪽(u)에 대하여 전방으로 10°까지 기울어져 있어도 좋다.
여기에서, 착좌면 전단(SFF) 및 착좌면 후단(SFB)에 대하여 설명한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있어서 착좌면(24a)의 전방(f)에는 원호면(S1)이 배치되어 있다. 착좌면 전단(SFF)은 원호면(S1)의 후단으로 한다. 또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있어서 착좌면(24a)의 후방(b)에는 원호면(S2)이 배치되어 있다. 착좌면 후단(SFB)은 원호면(S2)의 전단으로 한다. 또한, 등받이(24b)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있어서 원호면(S2)의 전단보다 후방(b)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등받이(24b)는 라이더(500)의 둔부를 후방(b)으로부터 지지한다.
또한, 라이더(500)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했을 때에, 라이더(500)의 고관절이 위치하는 포인트를 힙 포인트(HP)라고 부른다. 힙 포인트(HP)는 왼쪽(l)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착좌면(24a)의 전단으로부터 20㎝만큼 후방(b)에 위치한다.
또한, 착좌면(24a)에는 라이더(500)만이 착좌한다. 따라서, 착좌면(24a)의 전후 방향(fb)의 길이는 짧게 설계된다. 구체적으로는, 착좌면(24a)의 전후 방향(fb)의 길이는, 예를 들면, 20㎝ 이상 45㎝ 이하이다. 또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1개의 착좌면(24a)밖에 포함하고 있지 않고, 복수의 좌면(座面)을 포함하지 않는다. 복수의 좌면이란 전후 방향(fb)으로 늘어서는 2 이상의 평면이 상하 방향(ud)의 다른 위치에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2 이상의 평면의 전후 방향(fb)의 길이는 10㎝ 이상이다. 등받이(24b)의 상면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10㎝보다 짧다. 그 때문에, 등받이(24b)의 상면은 2 이상의 평면에는 포함되지 않는다.
이상과 같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는 패신저가 착좌할 수 없다. 또한 경사 차량(1)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외에 시트를 구비하고 있지 않다. 따라서, 경사 차량(1)의 승차 정원은 1명이다. 경사 차량(1)의 승차 정원에 대해서는, 예를 들면, 경사 차량(1)의 매뉴얼이나 차 검증 등에 의해 확인하는 것이 가능하다.
[조타 기구]
이하에, 조타 기구(7)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3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3에서는 차체 커버(22)를 투과시킨 상태에서 도시하고 있다.
조타 기구(7)는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조타한다. 조타 기구(7)는, 도 2 및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조타력 전달 기구(6), 좌측 완충 장치(33) 및 우측 완충 장치(34)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차체 프레임(21)에 대하여 상하 방향(ud)으로 이동 가능하게 좌전륜(31)을 지지한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하부(33a), 좌측 상부(33b) 및 좌측 지지부(33c)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 하부(33a)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지지부(33c)는 좌측 하부(33a)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지지부(33c)는 좌전륜(31)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좌전륜(31)은 좌전륜 액슬(314)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좌전륜 액슬(314)은 좌측 지지부(33c)로부터 왼쪽(l)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상부(33b)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좌측 상부(33b)는 좌측 상부(33b)의 하단 근방이 좌측 하부(33a)에 삽입된 상태에서, 좌측 하부(33a)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상부(33b)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좌측 브래킷(317)에 고정되어 있다. 즉, 좌측 상부(33b)는 후술하는 좌측 사이드 부재(53)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소위 텔레스코픽식의 완충 장치이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예를 들면, 댐퍼 및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좌측 상부(33b)가 좌측 하부(33a)에 대하여 좌측 하부(33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좌측 완충 장치(33)는 상기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상부(33b)에 대한 좌전륜(31)의 상하 방향(ud)에 있어서의 변위를 완충한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차체 프레임(21)에 대하여 상하 방향(ud)으로 이동 가능하게 우전륜(32)을 지지한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하부(34a), 우측 상부(34b) 및 우측 지지부(34c)를 포함하고 있다. 우측 하부(34a)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지지부(34c)는 우측 하부(34a)의 하단부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지지부(34c)는 우전륜(32)을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고 있다. 우전륜(32)은 우전륜 액슬(324)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우전륜 액슬(324)은 우측 지지부(34c)로부터 오른쪽(r)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상부(34b)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상부(34b)는 우측 상부(34b)의 하단 근방이 우측 하부(34a)에 삽입된 상태에서, 우측 하부(34a)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상부(34b)의 상단부는 후술하는 우측 브래킷(327)에 고정되어 있다. 즉, 우측 상부(34b)는 후술하는 우측 사이드 부재(54)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소위 텔레스코픽식의 완충 장치이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예를 들면, 댐퍼 및 스프링의 조합에 의해 구성된다. 우측 상부(34b)가 우측 하부(34a)에 대하여 우측 하부(34a)가 연장되는 방향으로 상대 이동함으로써, 우측 완충 장치(34)는 상기 방향으로 신축할 수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상부(34b)에 대한 우전륜(32)의 상하 방향(ud)에 있어서의 변위를 완충한다.
조타력 전달 기구(6)는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조타력 전달 기구(6)는 조타 부재(28), 타이 로드(67), 좌측 브래킷(317), 우측 브래킷(327) 및 중앙 브래킷(337)을 포함하고 있다. 조타 부재(28)는 라이더의 조타력을 입력하는 부재이다. 조타 부재(28)는 스티어링 샤프트(60) 및 핸들(23)을 포함하고 있다. 핸들(23)은 스티어링 샤프트(60)의 상부에 연결되어 있다. 스티어링 샤프트(60)는 차체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된다. 스티어링 샤프트(60)의 하단부는 스티어링 샤프트(60)의 상단부보다 전방(f)에 위치한다. 스티어링 샤프트(60)의 일부는 헤드 파이프(211)에 삽입되어 있다. 또한, 스티어링 샤프트(60)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스티어링 샤프트(60)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는 스티어링 샤프트(6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스티어링 샤프트(60)는 라이더에 의한 핸들(23)의 조작에 따라 회전된다. 중앙 브래킷(337)은 스티어링 샤프트(6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다. 따라서, 중앙 브래킷(337)은 스티어링 샤프트(60)와 함께 스티어링 샤프트(60)의 중심축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타이 로드(67)는, 핸들(23)의 조작에 의한 스티어링 샤프트(60)의 회전을 좌측 완충 장치(33) 및 우측 완충 장치(34)에 전달한다. 타이 로드(67)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된다. 타이 로드(67)의 좌우 방향(LR)의 중앙은, 중앙 브래킷(337)에 지지되어 있다. 타이 로드(67)의 좌단부는 좌측 브래킷(317)에 지지되어 있다. 타이 로드(67)의 우단부는 우측 브래킷(327)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기구]
이하에, 링크 기구(5)에 대해서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링크 기구(5)는 평행사변형 링크 방식의 링크 기구이다. 링크 기구(5)는 핸들(23)보다 아래쪽(d)에 배치되어 있다. 링크 기구(5)는 차체 프레임(21)의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링크 기구(5)는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를 포함하고 있다.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차체 프레임(21)에 대하여 변위할 수 있는 복수의 링크 부재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의 변위란, 평행 이동에 의한 변위, 회전 이동에 의한 변위, 및, 평행 이동 및 회전 이동의 조합에 의한 변위를 포함한다.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헤드 파이프(211)의 전방(f)이며, 또한,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지지부(C)에 의해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C)는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중간부, 및, 헤드 파이프(211)의 상부에 위치한다.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좌측부란, 상측 크로스 부재(51)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왼쪽(L)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우측부란, 상측 크로스 부재(51)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오른쪽(R)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중간부란, 상측 크로스 부재(51)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헤드 파이프(211)의 상부란 헤드 파이프(211)의 상반분이다. 헤드 파이프(211)의 하부란 헤드 파이프(211)의 하반분이다. 지지부(C)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지지부(C)는 헤드 파이프(211)로부터 약간 위쪽(u)으로 기운 상태에서 전방(f)으로 연장된다.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지지부(C)를 중심축으로 해서 헤드 파이프(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하측 크로스 부재(52)는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를 갖고 있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는 헤드 파이프(211)의 전방(f)이고, 상측 크로스 부재(51)보다 아래쪽(d)이며 또한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는 지지부(F)에 의해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F)는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중간부, 및, 헤드 파이프(211)의 하부에 위치하고 있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좌측부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왼쪽(L)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우측부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오른쪽(R)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중간부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지지부(F)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지지부(F)는 헤드 파이프(211)로부터 약간 위쪽(u)으로 기운 상태에서 전방(f)으로 연장되어 있다.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는 지지부(F)를 중심축으로 해서 헤드 파이프(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는 헤드 파이프(211)의 후방(b)이고, 상측 크로스 부재(51)보다 아래쪽(d)이며 또한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는 지지부(F)에 의해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F)는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중간부, 및, 헤드 파이프(211)의 하부에 위치한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좌측부란,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왼쪽(L)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우측부란,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가장 오른쪽(R)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중간부란,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를 좌우 방향(LR)으로 3등분했을 때에 한가운데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지지부(F)는, 상기와 같이,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단, 지지부(F)는 헤드 파이프(211)로부터 약간 아래쪽(d)으로 기운 상태에서 후방(b)으로도 연장되어 있다.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는 지지부(F)를 중심축으로 해서 헤드 파이프(21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좌측 사이드 부재(53)가 연장되는 방향은, 헤드 파이프(211)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헤드 파이프(211)의 왼쪽(l)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좌전륜(31)의 위쪽(u)이며 좌측 완충 장치(33)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지지부(D)에 의해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D)는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상부, 및,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좌측 사이드 부재(53)에 있어서,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상부란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상반분이다.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하부란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하반분이다. 지지부(D)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지지부(D)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지지부(G)에 의해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G)는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하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좌측부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좌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G)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지지부(G)를 중심축으로 해서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좌측 브래킷(317)은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 브래킷(317)은 좌측 중심축(Y1)을 중심축으로 해서 좌측 사이드 부재(53)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좌측 중심축(Y1)은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중심축이다. 따라서, 좌측 중심축(Y1)은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따라서, 우측 사이드 부재(54)가 연장되는 방향은 헤드 파이프(211)가 연장되는 방향과 평행하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헤드 파이프(211)의 오른쪽(r)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우전륜(32)의 위쪽(u)이고 우측 완충 장치(34)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지지부(E)에 의해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E)는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상부, 및,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우측부에 위치한다. 우측 사이드 부재(54)에 있어서,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상부란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상반분이다.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하부란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하반분이다. 지지부(E)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지지부(E)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또한,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지지부(H)에 의해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에 지지되어 있다. 지지부(H)는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하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의 우측부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의 우측부에 위치하고 있다. 지지부(H)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는 축이다.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지지부(H)를 중심축으로 해서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우측 브래킷(327)은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 브래킷(327)은 우측 중심축(Y2)을 중심축으로 해서 우측 사이드 부재(54)에 대하여 회전 가능하다. 우측 중심축(Y2)은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중심축이다. 따라서, 우측 중심축(Y2)은 상하 방향(ud)으로 연장되어 있다.
이상과 같이,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상측 크로스 부재(51)와 하측 크로스 부재(52)가 서로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고, 좌측 사이드 부재(53)와 우측 사이드 부재(54)가 서로 평행한 자세를 유지하도록 연결되어 있다.
또한,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아래쪽(d)에 배치되어 있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브래킷(317)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좌측 완충 장치(33)의 상단부는 좌측 브래킷(31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전륜(31)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좌측 브래킷(317) 및 좌측 완충 장치(33)를 개재하여 좌전륜(31)을 지지하고 있다. 즉, 링크 기구(5)는 좌전륜(31)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사이드 부재(53)와 함께 좌우 방향(LR)으로 경사진다.
또한,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아래쪽(d)에 배치되어 있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브래킷(327)에 지지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우측 완충 장치(34)의 상단부는 우측 브래킷(327)에 고정되어 있다. 또한,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전륜(32)을 지지하고 있다. 따라서,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우측 브래킷(327) 및 우측 완충 장치(34)를 개재하여 우전륜(32)을 지지하고 있다. 즉, 링크 기구(5)는 우전륜(32)을 지지하고 있다. 이와 같은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사이드 부재(54)와 함께 좌우 방향(LR)으로 경사진다.
[조타 동작]
이하에, 경사 차량(1)의 조타 동작에 대해서 도 4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4는 경사 차량(1)을 좌전타시킨 상태의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4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더가 핸들(23)을 좌전타하면,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샤프트(60)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중앙 브래킷(337)은 스티어링 샤프트(60)의 하단부에 고정되어 있으므로,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스티어링 샤프트(60)와 함께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타이 로드(67)는 중앙 브래킷(337)의 회전에 따라 왼쪽(l)이며 또한 후방(b)으로 평행 이동한다. 타이 로드(67)의 좌단부는 좌측 브래킷(317)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좌측 브래킷(317)은 좌측 중심축(Y1)(도 2 참조)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그 때문에, 타이 로드(67)의 평행 이동에 따라, 좌측 브래킷(317)은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타이 로드(67)의 우단부는 우측 브래킷(327)의 전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우측 브래킷(327)은 우측 중심축(Y2)(도 2 참조)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 가능하다. 그 때문에, 타이 로드(67)의 평행 이동에 따라, 우측 브래킷(327)은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좌전륜(31)은 좌측 완충 장치(33)를 개재해서 좌측 브래킷(317)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측 브래킷(317)의 회전에 따라,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전륜(31)이 좌측 중심축(Y1)(도 2 참조)을 중심축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우전륜(32)은 우측 완충 장치(34)를 개재해서 우측 브래킷(327)에 접속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측 브래킷(327)의 회전에 따라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우전륜(32)이 우측 중심축(Y2)(도 2 참조)을 중심축으로 해서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 라이더가 핸들(23)을 우전타하면, 상술한 각 요소는 핸들(23)이 좌전타된 경우와 역방향(즉,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각 요소의 움직임은 좌우가 반대가 될 뿐이므로, 이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경사 동작]
이하에, 경사 차량(1)의 경사 동작에 대해서 도 5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5는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진 상태의 경사 차량(1)의 전방부를 전방(f)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링크 기구(5)는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전륜 액슬(314)이 우전륜 액슬(324)보다 위쪽(u)에 위치하도록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와 차체 프레임(21)이 상대 변위함으로써, 좌선회시에 차체 프레임(21)을 왼쪽(L)으로 경사시킨다. 또한, 링크 기구(5)는 우전륜 액슬(324)이 좌전륜 액슬(314)보다 위쪽(u)에 위치하도록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와 차체 프레임(21)이 상대 변위함으로써, 우선회시에 차체 프레임(21)을 오른쪽(R)으로 경사시킨다. 이하에서는,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질 경우를 예로 들어 설명한다.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링크 기구(5)의 형상이 변화됨으로써 직립 상태의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진다. 구체적으로는,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에서는,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장방형상을 갖고 있다. 한편,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져 있는 경사 차량(1)에서는, 상측 크로스 부재(51), 하측 크로스 부재(52),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평행사변형상을 갖고 있다.
라이더가 차체 프레임(21)을 왼쪽(L)으로 경사시키면, 헤드 파이프(211)가 왼쪽(L)으로 경사진다. 헤드 파이프(211)가 왼쪽(L)으로 경사지면,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C)를 중심축으로 해서 헤드 파이프(211)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하측 크로스 부재(52)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F)를 중심축으로 해서 헤드 파이프(211)에 대하여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상측 크로스 부재(51)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하측 크로스 부재(52)에 대하여 왼쪽(L)으로 이동한다.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이동에 의해,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D)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E)를 중심축으로 해서 상측 크로스 부재(51)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또한, 상측 크로스 부재(51)의 이동에 의해, 좌측 사이드 부재(53)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G)를 중심축으로 해서 하측 크로스 부재(5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마찬가지로,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경사 차량(1)을 전방(f)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지지부(H)를 중심축으로 해서 하측 크로스 부재(52)에 대하여 시계 방향으로 회전한다. 이것에 의해, 좌측 사이드 부재(53) 및 우측 사이드 부재(54)는, 헤드 파이프(211)와 평행한 상태를 유지한 채 왼쪽(L)으로 경사진다.
좌측 브래킷(317)은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좌측 사이드 부재(53)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좌측 브래킷(317)은 왼쪽(L)으로 경사진다. 좌측 완충 장치(33)는 좌측 브래킷(317)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좌측 브래킷(317)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왼쪽(L)으로 경사진다. 좌전륜(31)은 좌측 완충 장치(33)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좌측 완충 장치(33)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왼쪽(L)으로 경사진다.
우측 브래킷(327)은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우측 사이드 부재(54)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우측 브래킷(327)은 왼쪽(L)으로 경사진다. 우측 완충 장치(34)는 우측 브래킷(327)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우측 브래킷(327)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왼쪽(L)으로 경사진다. 우전륜(32)은 우측 완충 장치(34)의 하단부에 지지되어 있으므로, 우측 완충 장치(34)의 왼쪽(L)으로의 경사에 따라 왼쪽(L)으로 경사진다.
후륜(4)은 차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그 때문에, 후륜(4)은 차체 프레임(21)과 함께 왼쪽(L)으로 경사진다.
상기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의 경사 동작에 따른 설명은 연직 방향을 기준으로 하고 있다. 그러나, 경사 차량(1)의 경사 동작시(링크 기구(5)의 동작시)에 있어서는,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과 연직 상하 방향은 일치하지 않는다.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을 기준으로 했을 경우, 링크 기구(5)의 작동시에 있어서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은,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에 있어서의 상대 위치가 변화되어 있다. 바꿔 말하면, 링크 기구(5)는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ud)에 있어서의 좌전륜(31)과 우전륜(32)의 상대 위치를 변경함으로써, 차체 프레임(21)을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 경사시킨다.
또, 차체 프레임(21)이 오른쪽(R)으로 경사질 경우에는, 상술한 각 요소는 차체 프레임(21)이 왼쪽(L)으로 경사질 경우와 역방향으로 동작한다. 각 요소의 움직임은 좌우가 반대가 될 뿐이므로, 이 이상의 설명을 생략한다.
[적재 기구부]
이어서, 적재 기구(80)에 대해서 도 1 및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6은 경사 차량(1)을 위쪽(u)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6에서는 후방 적재하물(90)에 대해서는 도시하고 있지 않다.
경사 차량(1)은 적재 기구(80)를 더 구비한다. 적재 기구(80)는 리어 캐리어(81) 및 수납 박스(82)를 포함한다. 수납 박스(82)는 수지제의 직육면체 형상을 이루는 상자이다. 수납 박스(82)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b)에 배치된다. 수납 박스(82)는 차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리어 캐리어(81)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사다리 형상을 갖고 있다. 리어 캐리어(81)는 차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리어 캐리어(81)는, 좌측부(811), 우측부(812), 연결부(813, 814, 815) 및 스토퍼부(816)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부(811)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수납 박스(82)의 왼쪽(l)에 설치되어 있다. 좌측부(811)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좌측부(811)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좌측부(811)의 후단이 좌측부(811)의 전단보다 약간 위쪽(u)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좌측부(811)의 후단은 전후 방향(fb)에 있어서 후륜(4)의 후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우측부(812)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수납 박스(82)의 오른쪽(r)에 설치되어 있다. 우측부(812)는 전후 방향(fb)으로 연장되어 있다. 단, 우측부(812)는 우측부(812)의 후단이 우측부(812)의 전단보다 약간 위쪽(u)에 위치하도록 경사져 있다. 우측부(812)의 후단은 전후 방향(fb)에 있어서 후륜(4)의 후단 근방에 위치하고 있다.
연결부(813)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박스(82)의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813)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813)의 좌단은 좌측부(811)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813)의 우단은 우측부(812)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814)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연결부(813)의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814)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814)의 좌단은 좌측부(811)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814)의 우단은 우측부(812)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815)는, 도 6에 나타나 있는 바와 같이, 연결부(814)의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연결부(815)는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어 있다. 연결부(815)의 좌단은 좌측부(811)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다. 연결부(815)의 우단은 우측부(812)의 후단에 접속되어 있다.
스토퍼부(816)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스토퍼부(816)를 후방(b)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하가 반전된 U자형을 갖고 있다. 스토퍼부(816)는 스토퍼부(816)를 후방(b)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수납 박스(82)를 왼쪽(l), 위쪽(u) 및 오른쪽(r)의 세 방면으로부터 둘러싸고 있다. 스토퍼부(816)의 좌단은 좌측부(811)에 접속되어 있다. 스토퍼부(816)의 우단은 우측부(812)에 접속되어 있다.
적재 기구(80)는 적재부(85)를 갖는다. 적재부(85)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보다 후방(b)에 배치되어 있다. 적재부(85) 상에는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후방 적재하물(90)이 적재된다. 후방 적재하물(90)은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 박스 및 수납 박스에 수납된 물품이다. 후방 적재하물(90)은 적재 기구(80)에 대하여 착탈할 수 있다. 적재부(85)는 적재 기구(80)에 있어서 후방 적재하물(90)의 저면이 대향하는 부분이다. 후방 적재하물(90)의 저면은 리어 캐리어(81) 및 수납 박스(82)에 접촉한다. 수납 박스(82)는 후방 적재하물(90)의 저면의 전단부를 지지한다. 리어 캐리어(81)의 연결부(815)는 수납 박스(82)의 저면의 후방부를 지지한다. 수납 박스(82)의 저면의 전방부란 수납 박스(82)의 저면의 전반분이다. 수납 박스(82)의 저면의 후방부란 수납 박스(82)의 저면의 후반분이다. 또한, 스토퍼부(816)는 후방 적재하물(90)의 전면을 지지한다. 따라서, 적재부(85)는,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적재 기구(80)를 위쪽(u)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적재 기구(80)에 있어서의 스토퍼부(816)보다 후방(b)에 위치하는 부분이다.
[각 구성의 위치 관계]
이어서, 경사 차량(1)의 각 구성의 위치 관계에 대해서 도 6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우선, L1∼L5를 아래와 같이 정의한다.
L1: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단(이하,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후륜 액슬(414)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
L2: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단(시트 후단(SB))으로부터 좌전륜 액슬(314) 또는 우전륜 액슬(324)과 후륜 액슬(414)의 전후 방향(fb)의 중앙에 위치하는 휠베이스 중앙(WBC)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
L3: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단(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후 방향(fb)의 중앙(이하, 적재부 중앙(BC))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
L4: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단(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단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
L5: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있어서 라이더(500)(도 6에서는 도시하지 않음)가 착좌할 수 있는 착좌면(24a)의 전단(착좌면 전단(SFF))으로부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한 라이더(500)의 힙 포인트(HP)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일 때에, 이하에 나타내는 식 (a), 식 (b) 및 식 (c)가 성립한다.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라는 것은, 링크 기구(5)가 좌전륜 액슬(314)과 우전륜 액슬(324)을 상하 방향(ud)의 동일 위치에 위치시키고, 또한, 좌전륜(31), 우전륜(32) 및 후륜(4)이 수평한 지면에 접촉한 상태이다. 차체 프레임(21)의 직립 상태에서는, 좌전륜(31), 우전륜(32) 및 후륜(4)에는 경사 차량(1)의 중량만이 가해지고 있다. 따라서, 경사 차량(1)에는 라이더(500)가 승차하고 있지 않고, 연료도 탑재되어 있지 않고, 후방 적재하물(90)도 적재되어 있지 않다.
L1<L2···(a)
L3<L2···(b)
L4<L5···(c)
[수납 공간]
이어서, 수납 공간(110)에 대해서 도 1 및 도 7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7은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인 경사 차량(1)을 왼쪽(l)으로부터 본 도면이다. 도 7에서는 수납 공간(110)이 경사 차량(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다.
경사 차량(1)에 있어서,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아래쪽(d) 및 후방(b)에는 수납 공간(110)이 형성되어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b)에는 수납 박스(82)가 배치되어 있다. 수납 박스(82)의 내부는 공동(空洞)이다. 또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부의 아래쪽(d)에도 공동이 형성되어 있다. 2개의 공동은 이어져 있고 수납 공간(110)을 형성하고 있다. 수납 공간(110)은, 예를 들면, 헬멧 등을 수용하는 공간이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단부에 위치하는 축을 중심축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다. 도 1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110)이 경사 차량(1)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는 상태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닫힘 상태이다. 닫힘 상태에서는, 라이더(500)는 수납 공간(110)에 하물을 출납할 수 없다. 또한, 경사 차량(1)을 왼쪽(l)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닫힘 상태의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가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시켜지면,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110)이 경사 차량(1)의 외부에 노출된다. 도 7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수납 공간(110)이 경사 차량(1)의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상태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열림 상태이다. 열림 상태에서는 라이더(500)는 수납 공간(110)에 하물을 출납할 수 있다.
또, 라이더(500)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를 조작하지 않으면, 수납 공간(110)에의 출납을 할 수 없는 하물을 후방 적재하물(90)과 구별해서 수납 하물이라고 부른다. 후방 적재하물(90)은 라이더(500)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를 조작하지 않고 출납할 수 있는 하물이다. 그 때문에, 후방 적재하물(90)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를 조작하지 않으면, 수납 공간(110)으로의 출납을 할 수 없는 수납 하물을 포함하지 않는다.
[효과]
경사 차량(1)에 의하면, 경사 차량(1)의 대형화를 억제하면서 후방 적재하물(90)의 적재량을 증가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차량(1)에서는,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일 때에,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후륜 액슬(414)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1)는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휠베이스 중앙(WBC)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2)보다 짧다. 즉, 시트 후단(SB)이 휠베이스의 후반분에 위치하게 되므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가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또한, 경사 차량(1)에서는, 차체 프레임(21)이 직립 상태일 때에,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 중앙(BC)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3)는 시트 후단(SB)으로부터 휠베이스 중앙(WBC)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2)보다 짧다. 즉,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가 적재부(85)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이 적재부(85)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90)의 무게 중심의 가까이에 위치하게 된다. 상기와 같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에 위치하므로, 적재부(85)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90)의 무게 중심도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이상과 같이, 경사 차량(1)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 및 적재부(85)에 적재되는 후방 적재하물(90)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에 위치하고 있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500) 및 후방 적재하물(90)의 중량의 대부분이 후륜(4)에 가해지게 된다. 그 결과, 후방 적재하물(90)이 적재되어 있는 적재 상태와 후방 적재하물(90)이 적재되어 있지 않은 비적재 상태 사이에 있어서의 후륜(4)에 가해지는 중량의 변동률이 저감된다.
또한,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단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4)는, 착좌면 전단(SFF)으로부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한 라이더(500)의 힙 포인트(HP)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5)보다 짧다. 착좌면 전단(SFF)으로부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한 라이더(500)의 힙 포인트(HP)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5)는, 1명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는 스페이스에 상당한다. 그 때문에, 경사 차량(1)에서는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단까지의 사이에는 1명의 사람이 착좌할 수 있는 스페이스가 존재하지 않는다. 이것에 의해, 시트 후단(SB)의 후방에는 쓸데없는 스페이스가 거의 배치되지 않고 적재부(85)가 배치되어 있다. 그 결과, 경사 차량(1)에서는 경사 차량(1)을 대형화하지 않고, 보다 많은 후방 적재하물(90)을 적재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경사 차량(1)에 의하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아래쪽(d)에는 수납 공간(110)이 형성되어 있다. 따라서, 수납 공간(110)에도 수납 하물을 수납하는 것이 가능하다.
또한, 경사 차량(1)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후 방향(fb)의 길이(L11)는 휠베이스 중앙(WBC)으로부터 후륜 액슬(414)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길이(L12)보다 짧다. 이것에 의해,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는 라이더(500)만이 착좌할 수 있고, 패신저가 착좌할 수 없다.
또한, 경사 차량(1)에서는, 이하의 이유에 의해서도,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에 위치한다. 경사 차량(1)에서는 경사 차량(1)을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아래쪽(d)은, 파워 유닛(25)인 엔진의 크랭크축의 회전의 중심축(Ax)의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따라서,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와 파워 유닛(25)의 전후 방향(fb)의 거리가 짧다. 파워 유닛(25)은 후륜(4)의 근방에 배치되어 있다. 그 때문에,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와 후륜 액슬(414)의 전후 방향(fb)의 거리가 짧다. 따라서, 경사 차량(1)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에 착좌하는 라이더(500)의 무게 중심이 후륜 액슬(414)의 가까이 위치하게 된다.
(제 1 변형예)
이하에, 제 1 변형예에 따른 경사 차량(1a)에 대해서 도 8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8은 경사 차량(1a)을 왼쪽(l)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8에서는 경사 차량(1a)이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비켜서 기재했다. 또한, 도 8에서는, 각 구성을 간소화해서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성의 사이즈는 실제의 사이즈와 다르다.
경사 차량(1a)은 적재 기구(80)의 구조에 있어서 경사 차량(1)과 상위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차량(1)에서는 적재 기구(80) 상에 수납 박스인 후방 적재하물(90)이 적재된다. 한편, 경사 차량(1a)의 적재 기구(80)는 차체 커버(22)와 일체화된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 박스(850)이다. 후방 적재하물(90)은 수납 박스(850) 내에 수납된다. 이 때, 후방 적재하물(90)은 수납 박스(850)의 내주면의 저면 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경사 차량(1a)에서는, 적재부(85)는 수납 박스(850)의 내주면의 저면이다. 경사 차량(1a)의 그 밖의 구성은, 경사 차량(1)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2 변형예)
이하에, 제 2 변형예에 따른 경사 차량(1b)에 대해서 도 9를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9는 경사 차량(1b)을 왼쪽(l)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도 9에서는, 경사 차량(1b)이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구비하고 있는 것을 용이하게 이해할 수 있도록,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비켜서 기재했다. 또한, 도 9에서는 각 구성을 간소화해서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성의 사이즈는 실제의 사이즈와 다르다.
경사 차량(1b)은 적재 기구(80)의 구조에 있어서 경사 차량(1a)과 상위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차량(1b)의 적재 기구(80)는 차체 커버(22)와 일체화된 직육면체 형상의 수납 박스(850)를 포함하고 있다. 또한, 경사 차량(1b)의 적재 기구(80)는 경사 차량(1a)에 있어서 수납 박스(850)의 아래쪽(d) 및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아래쪽(d)에 설치되어 있는 차체 수납부(854)를 포함하고 있다. 수납 박스(850)의 저면의 전방부가 결손됨으로써, 수납 박스(850) 내의 공간과 차체 수납부(854) 내의 공간이 이어져 있다.
후방 적재하물(90)은 적재 기구(80) 내에 수납된다. 이 때, 후방 적재하물(90)은 적재 기구(80)의 내주면의 저면 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경사 차량(1b)에서는, 적재부(85)는 적재 기구(80)의 내주면의 저면이다. 즉, 적재부(85)는 수납 박스(850)의 내주면의 저면 및 차체 수납부(854)의 내주면의 저면이다. 단, 적재부(85)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보다 후방(b)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적재부(85)는 적재 기구(80)의 내주면의 저면(보다 특정적으로는, 차체 수납부(854)의 내주면의 저면)에 있어서의,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아래쪽(d)에 위치하는 부분을 포함하지 않는다. 경사 차량(1b)의 그 외의 구성은 경사 차량(1a)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제 3 변형예)
이하에, 제 3 변형예에 따른 경사 차량(1c)에 대해서 도 10을 참조하면서 설명한다. 도 10은 경사 차량(1c)의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적재 기구(80)를 위쪽(u)으로부터 본 모식도이다. 또, 도 10에서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및 적재 기구(80) 이외의 구성에 대해서는 생략했다. 또한, 도 10에서는 각 구성을 간소화해서 기재하고 있기 때문에, 각 구성의 사이즈는 실제의 사이즈와 다르다.
경사 차량(1c)은 적재 기구(80)의 구조에 있어서 경사 차량(1a)과 상위하다. 보다 상세하게는, 경사 차량(1c)의 적재 기구(80)는 수납 박스(850)에 추가해서 좌측 돌기부(851) 및 우측 돌기부(852)를 포함하고 있다. 좌측 돌기부(851)는 수납 박스(850)의 좌단부로부터 전방(f)으로 돌출되어 있다. 좌측 돌기부(851)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부의 왼쪽(l)에 배치되어 있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전방부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 전반분이다.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부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반분이다. 이것에 의해, 좌측 돌기부(851)는, 라이더(500)(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로부터 왼쪽(l)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좌측 돌기부(851)의 내부는 공동이다. 좌측 돌기부(851) 내의 공간과 수납 박스(850) 내의 공간은 이어져 있다.
우측 돌기부(852)는 수납 박스(850)의 우단부로부터 전방(f)으로 돌출되어 있다. 우측 돌기부(852)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의 후방부의 오른쪽(r)에 배치되어 있다. 이것에 의해, 우측 돌기부(852)는 라이더(500)(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가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로부터 오른쪽(r)으로 어긋나는 것을 억제한다. 우측 돌기부(852)의 내부는 공동이다. 우측 돌기부(852) 내의 공간과 수납 박스(850) 내의 공간은 이어져 있다.
후방 적재하물(90)(도 10에는 도시하지 않음)은 적재 기구(80) 내에 수납된다. 이 때, 후방 적재하물(90)은 적재 기구(80)의 내주면의 저면 상에 적재된다. 따라서, 경사 차량(1c)에서는, 적재부(85)는 적재 기구(80)의 내주면의 저면이다. 단, 적재부(85)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보다 후방(b)에 배치된다. 그 때문에, 적재부(85)는 수납 박스(850)의 내주면의 저면을 포함하고, 좌측 돌기부(851)의 내주면의 저면 및 우측 돌기부(852)의 내주면의 저면을 포함하지 않는다. 경사 차량(1c)의 그 밖의 구성은, 경사 차량(1a)과 동일하므로 설명을 생략한다.
(그 밖의 실시형태)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와 도시 중 적어도 한쪽이 이루어진 실시형태는, 본 개시의 이해를 쉽게 하기 위한 것으로, 본 개시의 사상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형태는 그 취지를 일탈하지 않고 변경·개량될 수 있다.
상기 취지는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형태 예에 의거하여 당업자에 의해 인식될 수 있는, 균등한 요소, 수정, 삭제, 조합(예를 들면, 각종 실시형태에 걸친 특징의 조합), 개량, 변경을 포함한다. 특허청구의 범위에 있어서의 한정 사항은 상기 특허청구 범위에서 사용된 용어에 의거하여 넓게 해석되어야 하며, 본 명세서 또는 본원의 심사 중에 기재된 실시형태에 한정되어서는 안된다. 그와 같은 실시형태는 비배타적이라고 해석되어야 한다. 예를 들면, 본 명세서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좋다」라는 용어는 비배타적인 것으로서, 「바람직하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좋지만 이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라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및 표현은 설명을 위해서 사용된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하기 위해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나타내어지며, 또한, 서술된 특징 사항의 어떠한 균등물도 배제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청구된 범위 내에 있어서의 각종 변형도 허용하는 것이라고 인식되지 않으면 안된다.
본 발명은, 많은 다른 형태로 구현화될 수 있는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의 원리의 실시형태를 제공하는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기재와 도시 중 적어도 한쪽이 이루어진 바람직한 실시형태는, 상기 실시형태에 본 발명이 한정되는 것을 의도하는 것은 아니라는 양해에 의거하고 있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후륜(4)의 좌우 방향(lr)에 있어서의 중앙은 좌전륜(31)과 우전륜(32)과 좌우 방향(lr)에 있어서의 중앙과 일치하고 있다. 단, 후륜(4)의 좌우 방향(lr)에 있어서의 중앙은 좌전륜(31)과 우전륜(32)과 좌우 방향(lr)에 있어서의 중앙과 일치하고 있지 않아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링크 기구(5)는 좌전륜(31) 및 우전륜(32)보다 위쪽(u)에 배치되어 있다. 단, 링크 기구(5)는 좌전륜(31)과 우전륜(32) 사이에 배치되어도 좋다. 즉, 링크 기구(5)는 링크 기구(5)를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좌전륜(31) 및 우전륜(32)과 겹친다. 이 경우, 좌측 사이드 부재(53)가 좌측 완충 장치(33)를 겸한다. 또한, 우측 사이드 부재(54)가 우측 완충 장치(34)를 겸한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링크 기구(5)는 평행사변형 링크 방식의 링크 기구이다. 단, 링크 기구(5)는 더블 위시본 방식의 링크 기구여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상측 크로스 부재(51)가 단일의 판 형상 부재이며, 하측 크로스 부재(52)가 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A) 및 후방 하측 크로스 부재(522B)를 포함하고 있다. 그러나, 상측 크로스 부재(51)가 전방 상측 크로스 부재 및 후방 상측 크로스 부재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또한, 하측 크로스 부재(52)가 단일의 판 형상 부재여도 좋다. 상측 크로스 부재(51) 및 하측 크로스 부재(52) 중 적어도 한쪽은, 헤드 파이프(211)와 좌측 사이드 부재(53)에 지지되는 좌측 판 형상 부재, 및, 헤드 파이프(211)와 우측 사이드 부재(54)에 지지되는 우측 판 형상 부재를 포함해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핸들(23)은 좌우 방향(LR)으로 연장되는 단일의 부재로 구성되어 있다. 그러나, 핸들(23)은 좌전륜(31) 및 우전륜(32)을 회전시키는 조타력의 입력이 가능하면, 라이더(500)의 왼손에 의해 조작되는 좌측 핸들부와 라이더(500)의 오른손에 의해 조작되는 우측 핸들부가 별체로서 설치되어 있는 구성이어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링크 기구(5)는 링크 지지부의 일례로서의 헤드 파이프(211)에 지지되어 있다. 그러나, 링크 기구(5)는 차체 프레임(21)에 있어서의 헤드 파이프(211) 이외의 부분에 지지되어도 좋다.
또, 파워 유닛(25)은 차체 프레임(21)에 지지되어 있다. 따라서, 파워 유닛(25)은 차체 프레임(21)에 직접적으로 고정되어 있어도 좋고, 차체 프레임(21)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어 있는 스윙 암에 고정되어 있어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 1a∼1c)의 파워 유닛(25)은, 엔진이 아니라 전기 모터 및 배터리의 조합이어도 좋다. 이 경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24)는 전기 모터의 회전축 및 배터리의 위쪽(u)에 위치하고 있어도 좋다.
또, 경사 차량(1, 1a∼1c)에서는, 좌선회시에는 좌전륜(31), 우전륜(32), 차체 프레임(21) 및 후륜(4)이 왼쪽(L)으로 경사진다. 또한, 우선회시에는 좌전륜(31), 우전륜(32), 차체 프레임(21) 및 후륜(4)이 오른쪽(R)으로 경사진다. 이와 같이, 후륜(4)은 차체 프레임(21)과 함께 왼쪽(L) 또는 오른쪽(R)으로 경사진다. 따라서, 경사 차량(1, 1a∼1c)은 좌선회 또는 우선회시에 차체 프레임(21)이 비틀어져서, 후륜(4)이 경사지지 않은 타입의 차량을 포함하지 않는다.
또, 시트 후단(SB)으로부터 적재부(85)의 전단까지의 전후 방향(fb)의 거리(L4)는 0이어도 좋다. 즉, 시트 후단(SB)과 적재부(85)는 전후 방향(fb)에 있어서 접해 있어도 좋다.
또한, 경사 차량(1)에 있어서 리어 캐리어(81)는 금속 파이프에 의해 제작되어 있다. 단, 리어 캐리어(81)의 구조는 도 6에 나타낸 구조에 한하지 않는다. 리어 캐리어(81)는 목제판, 금속판, 수지판 등에 의해 제작되어 있어도 좋다.
1, 1a∼1c : 경사 차량
4 : 후륜
5 : 링크 기구
7 : 조타 기구
21 : 차체 프레임
24 :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
24a : 착좌면
24b : 등받이
25 : 파워 유닛
28 : 조타 부재
31 : 좌전륜
32 : 우전륜
51 : 상측 크로스 부재
52 : 하측 크로스 부재
53 : 좌측 사이드 부재
54 : 우측 사이드 부재
80 : 적재 기구
81 : 리어 캐리어
82 : 수납 박스
85 : 적재부
90 : 후방 적재하물
110 : 수납 공간
211 : 헤드 파이프
314 : 좌전륜 액슬
324 : 우전륜 액슬
414 : 후륜 액슬
500 : 라이더
811 : 좌측부
812 : 우측부
813∼815 : 연결부
816 : 스토퍼부
850 : 수납 박스
851 : 좌측 돌기부
852 : 우측 돌기부
854 : 차체 수납부
Ax : 중심축
BC : 적재부 중앙
HP : 힙 포인트
SB : 시트 후단
SFF : 착좌면 전단
WBC : 휠베이스 중앙

Claims (5)

  1. 경사 차량으로서,
    좌선회시에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지고, 우선회시에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지는 차체 프레임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왼쪽에 배치되며, 좌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좌전륜과,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좌우 방향의 중앙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오른쪽에 배치되고, 우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우전륜과,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을 지지하는 링크 기구로서, 상기 좌전륜 액슬을 상기 우전륜 액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좌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시키고, 상기 우전륜 액슬을 상기 좌전륜 액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위치시킴으로써 우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을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시키는 상기 링크 기구와,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고, 후륜 액슬을 중심으로 해서 회전할 수 있는 후륜으로서, 좌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과 함께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왼쪽으로 경사지고, 우선회시에 상기 차체 프레임과 함께 상기 경사 차량에 있어서의 오른쪽으로 경사지는 상기 후륜과,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을 조타하는 조타 기구와,
    상기 차체 프레임에 지지되며, 또한, 상기 조타 기구를 조타하는 라이더만이 착좌하는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와,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후방에 배치되고, 또한, 적재부 상에 후방 적재하물이 적재되는 상기 적재부를 구비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후륜 액슬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1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좌전륜 액슬 또는 상기 우전륜 액슬과 상기 후륜 액슬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에 위치하는 휠베이스 중앙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2로 정의하며,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중앙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3으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후단으로부터 상기 적재부의 전단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4로 정의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가 착좌할 수 있는 착좌면의 전단으로부터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 착좌한 상기 라이더의 힙 포인트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를 L5로 정의하고,
    상기 링크 기구가 상기 좌전륜 액슬과 상기 우전륜 액슬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상하 방향의 동일 위치에 위치시키며, 또한, 상기 좌전륜, 상기 우전륜 및 상기 후륜이 지면에 접촉된 상태에 있어서, 식 (a), 식 (b) 및 식 (c)가 성립하고,
    L1<L2···(a)
    L3<L2···(b)
    L4<L5···(c)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래쪽에는 수납 공간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는, 상기 수납 공간이 상기 경사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지 않은 닫힘 상태와 상기 수납 공간이 상기 경사 차량의 외부에 노출되는 열림 상태를 취할 수 있는 경사 차량.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차체 프레임은 링크 지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링크 기구는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지지부의 상부에 상측 크로스 부재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아래쪽이며 또한 상기 좌전륜 및 상기 우전륜보다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고, 상기 링크 지지부의 하부에 하측 크로스 부재의 중간부가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와, 좌측 사이드 부재의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고,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의 하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의 좌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와, 우측 사이드 부재의 상부가 상기 상측 크로스 부재의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며,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의 하부가 상기 하측 크로스 부재의 우측부에 회전 가능하게 지지되는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좌전륜은 상기 좌측 사이드 부재에 지지되고,
    상기 우전륜은 상기 우측 사이드 부재에 지지되는 경사 차량.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에는 상기 착좌면이 1개만 제공되는 경사 차량.
  4.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길이는 상기 휠베이스 중앙으로부터 상기 후륜 액슬까지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전후 방향의 거리보다 짧은 경사 차량.
  5.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 차량은,
    상기 후륜을 회전시키기 위한 구동력을 발생시키고, 크랭크축을 갖는 엔진을 더 구비하고,
    상기 라이더 전용 싱글 시트는, 상기 엔진을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왼쪽 또는 오른쪽으로부터 보았을 때에, 상기 크랭크축의 회전의 중심축의 상기 차체 프레임에 있어서의 위쪽에 배치되어 있는 경사 차량.
KR1020207005026A 2017-09-28 2018-07-24 경사 차량 KR1023410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7-187769 2017-09-28
JP2017187769 2017-09-28
PCT/JP2018/027591 WO2019064857A1 (ja) 2017-09-28 2018-07-24 傾斜車両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3295A KR20200033295A (ko) 2020-03-27
KR102341009B1 true KR102341009B1 (ko) 2021-12-20

Family

ID=6590282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7005026A KR102341009B1 (ko) 2017-09-28 2018-07-24 경사 차량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3689727B1 (ko)
KR (1) KR102341009B1 (ko)
ES (1) ES2939114T3 (ko)
PH (1) PH12020550134A1 (ko)
TW (1) TWI717635B (ko)
WO (1) WO201906485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70556B1 (ko) 2021-09-27 2023-08-24 윤경선 틸팅이 가능한 전기 삼륜차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225A (ja) * 2009-08-20 2011-03-03 Bridgestone Cycle Co 三輪車
WO2015115109A1 (ja) * 2014-01-31 2015-08-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WO2017081251A1 (en) 2015-11-12 2017-05-18 Quadro Vehicles S.A. Case holder device for motorcycles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AT403566B (de) * 1996-01-25 1998-03-25 Geiser Friedrich Motorisiertes fahrzeug, insbesondere dreirad, mit zwei drehbar am fahrzeugramen angelenkten, gefederten schwingen
JP4132220B2 (ja) * 1998-05-21 2008-08-13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揺動式三輪車のジョイント構造
JP4188136B2 (ja) * 2003-05-09 2008-11-26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自動二輪車のシート構造
ITMI20040172A1 (it) 2004-02-04 2004-05-04 Piaggio & C Spa Dispositivo di arresto corsa delle sospensioni di un veicolo
JP2007091140A (ja) * 2005-09-30 2007-04-12 Honda Motor Co Ltd 鞍乗り型車両の収納部構造
JP2008068653A (ja) * 2006-09-12 2008-03-27 Akira Hagiwara 荷台装置
US9187143B2 (en) * 2010-01-08 2015-11-17 Honda Motor Co., Ltd. Evaporated fuel control device for vehicles that are straddled
JP5528870B2 (ja) * 2010-03-23 2014-06-25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フロント2輪式鞍乗型車両
TWM399077U (en) * 2010-08-31 2011-03-01 Sanyang Industry Co Ltd Cargo-carrying type motorcycle
KR101455515B1 (ko) * 2013-02-27 2014-10-27 현대제철 주식회사 파이프 진원도 교정용 지그
US8814186B1 (en) 2013-06-26 2014-08-26 Adiva Co., Ltd. Mechanism for causing leaning of a motorized reverse tricycle in the direction of turning
DE102013223317B4 (de) * 2013-11-15 2020-01-09 Bayerische Motoren Werke Aktiengesellschaft Gepäcksystem mit einer verstellbaren Befestigungsvorrichtung für einen Gepäckkoffer
KR20150100062A (ko) * 2014-02-24 2015-09-02 최진만 틸팅형 삼륜 자전거
JP6101663B2 (ja) * 2014-09-18 2017-03-22 本田技研工業株式会社 鞍乗型車両のリヤキャリア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042225A (ja) * 2009-08-20 2011-03-03 Bridgestone Cycle Co 三輪車
WO2015115109A1 (ja) * 2014-01-31 2015-08-06 ヤマハ発動機株式会社 車両
WO2017081251A1 (en) 2015-11-12 2017-05-18 Quadro Vehicles S.A. Case holder device for motorcycle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H12020550134A1 (en) 2021-02-08
EP3689727A1 (en) 2020-08-05
KR20200033295A (ko) 2020-03-27
WO2019064857A1 (ja) 2019-04-04
TWI717635B (zh) 2021-02-01
EP3689727A4 (en) 2020-11-18
EP3689727B1 (en) 2023-02-15
ES2939114T3 (es) 2023-04-19
TW201914888A (zh) 2019-04-1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19758B2 (en) Vehicle
US9840299B2 (en) Vehicle
JP5536967B1 (ja) 車両
JP5536968B1 (ja) 車両
US8915323B2 (en) Two-rear-wheel electric vehicle
JP2019520266A (ja) 原動機付車両の傾斜式前キャリッジおよび関連する原動機付車両
JP5889336B2 (ja) 鞍乗型電動車両
KR102341009B1 (ko) 경사 차량
CN105377678B (zh) 车辆
WO2022208887A1 (ja) 一人乗り電動車両
US11135886B2 (en) Vehicle
JP2013129337A (ja) 鞍乗型電動車両
OA17611A (en) Vehicle.
OA17617A (en)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