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40778B1 - 카메라 모듈 - Google Patents

카메라 모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40778B1
KR102340778B1 KR1020150118535A KR20150118535A KR102340778B1 KR 102340778 B1 KR102340778 B1 KR 102340778B1 KR 1020150118535 A KR1020150118535 A KR 1020150118535A KR 20150118535 A KR20150118535 A KR 20150118535A KR 102340778 B1 KR102340778 B1 KR 1023407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s unit
prism
image sensor
lens
vie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11853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70023430A (ko
Inventor
최용복
Original Assignee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11853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40778B1/ko
Priority to EP16839597.8A priority patent/EP3343895B1/en
Priority to US15/754,976 priority patent/US10897563B2/en
Priority to PCT/KR2016/009348 priority patent/WO2017034308A1/ko
Priority to CN201680061673.5A priority patent/CN108141519B/zh
Publication of KR2017002343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7002343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407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407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04N5/2254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9/00Combinations of cameras, projectors or photographic printing apparatus with non-photographic non-optical apparatus, e.g. clocks or weapons; Cameras having the shape of other obj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45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for generating image signals from two or more image sensors being of different type or operating in different modes, e.g. with a CMOS sensor for moving images in combination with a charge-coupled device [CCD] for still images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37/00Panoramic or wide-screen photography; Photographing extended surfaces, e.g. for surveying; Photographing internal surfaces, e.g. of pip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4Mounting of pick-up tubes, electronic image sensors, deviation or focusing co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50Constructional details
    • H04N23/55Optical parts specially adapted for electronic image sensors; Mounting thereof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3/00Cameras or camera modules comprising electronic image sensors; Control thereof
    • H04N23/60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 H04N23/698Control of cameras or camera modules for achieving an enlarged field of view, e.g. panoramic image capture
    • H04N5/225
    • H04N5/2257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2217/002Details of arrangement of components in or on camera bod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tudio Devices (AREA)

Abstract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광축이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부; 광축이 x축과 수직한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일면이 상기 제1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이미지센서; 일면이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 사이 및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카메라 모듈{Camera module}
실시예는, 광각의 이미지를 구현하면서도 이미지 왜곡,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이 부분에 기술된 내용은 단순히 실시예에 대한 배경 정보를 제공할 뿐 종래기술을 구성하는 것은 아니다.
최근 캠핑, 레저, 익스트림스포츠 등 야외스포츠 또는 야외활동이 증가하고 있다. 따라서, 이러한 능동적이고 액티브한 활동을 사진 또는 영상으로 남기는 경우가 많다.
특히, 익스트림스포츠의 한 장면, 자연경관 등을 더욱 훌륭한 사진 또는 영상으로 남기기 위해, 액션카메라의 수요가 증가하고, 보통의 영상보다 넓은 화각(Field of view, FOV)을 가진 광각카메라 모듈을 사용한 파노라마 영상, 사진의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또한, 이러한 광각카메라 모듈은 주위환경을 정밀하고 광범위하게 검색하여 차량운행에 사용하는 이른바 스마트카에서 주위환경을 넓은 범위로 한눈에 볼 수 있도록 구현하는 경우에도 사용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각이 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하나의 렌즈부로 화각이 180° 이상이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하나의 렌즈부로 광각의 이미지가 촬영되므로, 촬영된 이미지는 왜곡이 심하다.
이러한 이미지 왜곡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사용자는 이미지로부터 거리감, 형상 등에 관한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인 운전자 등이 외부물체에 대한 거리감, 형상 등에 관한 착오를 일으킬 경우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경우, 이미지 보정과정에서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이 저하될 수 있다. 따라서, 개선이 필요하다.
따라서, 실시예는, 광각의 이미지를 구현하면서도 이미지 왜곡,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의 저하를 방지하거나 줄일 수 있는 카메라 모듈에 관한 것이다.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실시예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광축이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부; 광축이 x축과 수직한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일면이 상기 제1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이미지센서; 일면이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 사이 및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는 각각 광축방향으로 복수의 렌즈가 배열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가이드부 표면에 상기 광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는 투명재질의 일체형 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육면체를 통과하여 상기 제1이미지센서로 입사하고, 상기 제2렌즈부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육면체를 통과하여 상기 제2이미지센서로 입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광가이드부는 투명재질의 삼각기둥형상의 프리즘 한 쌍이 서로 결합한 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리즘은,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프리즘으로 구비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제1프리즘의 상기 제2프리즘에 대한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이미지센서로 입사하고, 상기 제2렌즈부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제2프리즘의 상기 제1프리즘에 대한 경계면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로 입사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는, 각각의 화각이 90° 내지 110°인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는, 총화각이 160° 내지 200°인 것일 수 있다.
카메라 모듈의 일 실시예는, 상기 광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 제2렌즈부, 제1이미지센서 및 제2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화각이 비교적 작은 복수의 렌즈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얻고,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화각이 큰 하나의 광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로 획득되는 광각 이미지는 화각이 비교적 작으므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도 높은 이점이 있다.
실시예에서, 광가이드부에 렌즈들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렌즈들이 정렬되는 렌즈부의 광축방향 총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상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의 상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때, 도 5b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은 카메라 모듈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본문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실시예를 특정한 개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실시예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제1", "제2" 등의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 데 사용될 수 있지만, 상기 구성요소들은 상기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어서는 안 된다. 상기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일 뿐이고, 실시예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실시예의 설명에 있어서, 각 element의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에 형성되는 것으로 기재되는 경우에 있어,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는 두개의 element가 서로 직접(directly)접촉되거나 하나 이상의 다른 element가 상기 두 element사이에 배치되어(indirectly) 형성되는 것을 모두 포함한다. 또한 “상(위)" 또는 "하(아래)(on or under)”로 표현되는 경우 하나의 element를 기준으로 위쪽 방향뿐만 아니라 아래쪽 방향의 의미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이하에서 이용되는 "상/상부/위" 및 "하/하부/아래" 등과 같은 관계적 용어들은, 그런 실체 또는 요소들 간의 어떠한 물리적 또는 논리적 관계 또는 순서를 반드시 요구하거나 내포하지는 않으면서, 어느 한 실체 또는 요소를 다른 실체 또는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이용될 수도 있다. 또한, 도면에서는 직교 좌표계(x, y, z)를 사용할 수 있다.
도 1 및 도 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을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3은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600)의 상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제1이미지센서(300), 제2이미지센서(400), 광가이드부(500) 및 베이스(6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상기 광가이드부(500)를 수용하고, 상기 베이스(600)에는 상기 제1렌즈부(100), 제2렌즈부(200), 제1이미지센서(300) 및 제2이미지센서(400)가 장착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베이스(600)는 예를 들어, 판형의 상부부재와 하부부재, 상기 상부부재와 하부부재를 연결하는 복수의 연결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베이스(600)는 이러한 구조로 인해, 제1렌즈부(100) 및 제2렌즈부(200)에 외부의 광이 입사할 수 있도록 상기 제1렌즈부(100) 및 제2렌즈부(200)의 일부가 외부로 노출될 수 있고, 상기 광가이드부(500)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400)가 각각 상기 제1렌즈부(100) 및 제2렌즈부(200)와 일정한 이격거리를 가지고 서로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상부부재, 하부부재 및 복수의 연결부재가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고, 각각의 부재를 별도로 제작하여 서로 접착, 융착 등의 방식으로 결합되어 형성될 수도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600)는 상기 광가이브부를 수용하고, 상기 광가이드부(500)를 기준으로 제1렌즈부(100)와 제1이미지센서(300)가 동일한 광축방향으로 배치되고, 제2렌즈부(200)와 제2이미지센서(400)가 동일한 광축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는 구조라면, 다양한 구조로 변형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렌즈부(100)는 입사하는 광의 축 즉, 광축이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600)에 장착될 수 있다. 제2렌즈부(200)는 광축이 x축과 수직한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도록 상기 베이스(600)에 장착될 수 있다.
이때,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는 각각 하나의 렌즈로 구비될 수도 있으나, 복수의 렌즈가 각각의 광축방향으로 배열되어 광학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에 각각 3개의 렌즈가 각각의 광축방향으로 나란히 배열되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갯수와 다양한 종류의 렌즈들로 구비될 수 있다. 또한,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의 렌즈의 개수와 종류가 반드시 일치할 필요도 없다.
제1이미지센서(300)는 일면 즉, 이미지가 결상되는 면이 상기 제1렌즈부(1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센서(300)는 광가이드부(5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렌즈부(1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2이미지센서(400)는 일면이 상기 제2렌즈부(2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이미지센서(400)는 광가이드부(500)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렌즈부(200)와 대향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와 제2이미지센서(400)는 상기 광가이드부(500)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고, 카메라 모듈이 촬영하는 이미지가 결상되는 부위이다.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 및 상기 제2이미지프로세서에 결상된 이미지는 전기적 신호로 변환되어 예를 들어 이미지프로세서(미도시) 등으로 전송될 수 있다.
상기 이미지프로세서에서는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와 제2이미지센서(400)로부터 전송받은 서로 다른 복수의 이미지를 서로 조합하여 하나의 이미지로 완성될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제1이미지센서(300)와 제2이미지센서(400)로부터 얻어지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되는 복수의 이미지가 서로 조합되어 촬영각도가 큰 광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500)는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 사이 및 상기 제2렌즈부(200)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400)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렌즈부(100) 또는 상기 제2렌즈부(20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광가이드부(500)를 통과하여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 및 상기 제2이미지센서(400)에 도달할 수 있다.
광가이드부(500)는 투명재질의 육면체(510)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상기 광가이드부(500)는 예를 들어, 일체로 형성되는 육면체(510)일 수도 있고, 한 쌍의 프리즘(520)이 결합하여 형성되는 육면체(510)일 수도 있다.
한 쌍의 프리즘(520)이 결합한 광가이드부(500)의 구조에 대해서는 도 5a, 도 5b 및 도 6을 참조하여 구체적으로 설명하고, 도 3 및 도 4를 참조하여 일체로 형성되는 육면체(510) 구조의 광가이드부(500)를 먼저 설명한다.
도 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광가이드부(500)는 투명재질의 직육면체 또는 큐브(cube) 즉, 정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육면체(510)로 입사하는 광과 상기 육면체(510)를 빠져나가는 광의 광축은 동일하다. 즉, 광이 상기 육면체(510)를 통과하는 동안 광축방향이 변경되지 않는다.
따라서,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부(10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육면체(510)를 통과하여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로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20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육면체(510)를 통과하여 상기 제2이미지센서(400)로 입사할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센서(300)와 제2이미지센서(400)로부터 얻어지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되는 복수의 이미지가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실시예의 카메라모듈에서 제1렌즈부(100) 및 제2렌즈부(200)의 화각(θ)(Field of view, FOV) 즉, 제1렌즈부(100) 또는 제2렌즈부(200)가 피사체를 촬영할 수 있는 각도는, 예를 들어, 각각 90°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2렌즈부(200)의 각각의 화각(θ)을 합친 총화각은 예를 들어, 16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 총화각은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 각각의 화각(θ)을 산술적으로 더한 수치보다 작을 수 있는데, 이는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2렌즈부(200) 각각의 화각(θ)이 서로 겹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의 화각(θ)은 약 20°정도가 서로 겹칠 수 있다. 이는 약 20°정도의 범위에서 카메라 모듈은 동일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최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총화각은 약 190°로 조절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화각이 큰 광각렌즈를 사용하는 카메라 모듈의 경우, 하나의 렌즈부로 화각이 160° 내지 200°, 더욱 적절하게는 약 190°가 되도록 구현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경우, 하나의 렌즈부로 광각의 이미지가 촬영되므로, 촬영된 이미지는 왜곡이 심하다. 이러한 이미지 왜곡은 이미지의 중간부분이 부풀어 오른 술통형 왜곡(barrel distortion), 반대로 이미지의 중간부분이 줄어든 바늘꽂이형 왜곡(pincushion distortion) 등으로 나타난다.
이러한 이미지 왜곡으로 인해, 카메라 모듈의 사용자는 이미지로부터 거리감, 형상 등에 관한 착오를 일으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카메라 모듈이 차량에 장착되는 경우 사용자인 운전자 등이 외부물체에 대한 거리감, 형상 등에 관한 착오를 일으킬 경우 교통사고의 원인이 될 수 있다.
한편, 왜곡된 이미지를 보정하는 경우, 이미지 보정과정에서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이 저하될 수 있다.
그러나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은 화각(θ)이 비교적 작은 복수의 렌즈부를 사용하여 복수의 이미지를 얻고, 이러한 복수의 이미지를 조합하여 하나의 광각 이미지를 구현할 수 있다.
또한,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로 획득되는 광각 이미지는 화각(θ)이 비교적 작으므로 이미지 왜곡이 발생하지 않고, 이미지의 해상도, 질 등도 높은 이점이 있다.
도 5a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에서 베이스(600)의 상부를 제거한 모습을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5b는 도 5a의 A부분을 확대한 도면이다. 이때, 도 5b는 일 실시예를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다른 실시예에 따른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상기 광가이드부(500)는 투명재질의 삼각기둥형상의 프리즘(520) 한 쌍이 서로 결합한 육면체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육면체는 직육면체 또는 큐브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한 쌍의 프리즘(520)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되고, 상기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형성되는 면이 서로 결합하여 육면체를 형성할 수 있고, 이때, 상기 직각삼각형의 빗변에 형성되는 면은 한 쌍의 프리즘(520) 서로의 경계면(531, 532)이 될 수 있다.
물론, 한 쌍의 프리즘(520)이 결합하여 육면체를 형성하기 위해서는, 상기 한 쌍의 프리즘(520)은 단면이 직각삼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한 쌍의 프리즘(520)은, 상기 제1렌즈부(1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1프리즘(521)과 상기 제2렌즈부(200)를 통과한 광이 입사하는 제2프리즘(522)으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제1프리즘(521)과 상기 제2프리즘(522)은 서로의 경계면(531, 532)에서 서로 결합할 수 있다. 즉, 상기 제1프리즘(521)의 상기 제2프리즘(522)에 대한 경계면(531) 즉, 제1프리즘(521) 측 경계면(531)과, 상기 제2프리즘(522)의 상기 제1프리즘(521)에 대한 경계면(532) 즉, 제2프리즘(522) 측 경계면(532)이 서로 결합하여 육면체 형상의 광가이드부(500)를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1프리즘(521) 측 경계면(531)과 제2프리즘(522) 측 경계면(532)은 각각 제1프리즘(521)과 제2프리즘(522)으로 입사하는 광을 반사하여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를 통해 입사하는 각각의 광의 광축방향을 변경할 수 있다.
제1프리즘(521)에 입사하는 광은 제1프리즘(521) 측 경계면(531)에서 반사되어 광경로 및 광축방향이 변경될 수 있고, 제2프리즘(522)에 입사하는 광은 제2프리즘(522) 측 경계면(532)에서 반사되어 광경로 및 광축방향이 변경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경계면(531, 532)에서 광의 반사는 전반사(total reflection) 현상에 의해 발생할 수도 있고, 각각의 경계면(531, 532) 부위에 반사층(540)을 형성하여 반사율을 더욱 높일 수도 있다.
각각의 경계면(531, 532)에서 전반사 현상을 이용하여 광을 반사하는 경우, 상기 반사층(540)을 형성하지 않아도 될 것이다. 그러나 상기 반사층(540)을 형성하는 경우 광의 반사율을 더욱 높일 수 있을 것이다.
도 5b는 제1프리즘(521)과 제2프리즘(522)에 각각의 경계면(531, 532)에 형성되는 반사층(540)의 구조를 도시한 것이다.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프리즘(521) 및 제2프리즘(522)은 각각의 경계면(531, 532) 부위에 반사층(540)이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제1프리즘(521) 측 경계면(531)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반사층(540)이 형성될 수 있고, 마찬가지로 상기 제2프리즘(522) 측 경계면(532)에 일정한 두께를 가진 반사층(540)이 형성될 수 있다.
각각의 반사층(540)은 서로 대면하고 있으며, 또한 각각의 반사층(540)은 상기 제1프리즘(521)과 상기 제2프리즘(522)으로 입사하는 광을 반사시켜 광경로 및 광축방향을 변경하는 역할을 할 수 있다.
상기 반사층(540)은 불투명하고, 광 반사효율이 높다면 어떠한 재질의 것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반사층(540)은 필름형태로 각각의 경계면(531, 532)에 부착되거나, 반사물질을 도포하는 방식 등으로 형성될 수 있다.
도 6은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카메라 모듈의 작동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상기한 바와 같이,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는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로 입사하는 광경로가 변경되고, 이에 따라 광축방향도 변경될 수 있다.
즉,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렌즈부(10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제1프리즘(521)의 상기 제2프리즘(522)에 대한 경계면(531) 즉, 상기 제1프리즘(521) 측 경계면(531)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2이미지센서(400)로 입사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렌즈부(200)로 입사하는 광은 상기 제2프리즘(522)의 상기 제1프리즘(521)에 대한 경계면(532) 즉, 제2프리즘(522) 측 경계면(532)에서 반사되어 상기 제1이미지센서(300)로 입사할 수 있다.
도 4에 도시된 실시예와 비교하면,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에서는 광이 입사하는 렌즈부와 상기 광이 도착하는 이미지센서가 서로 바뀐 것을 알 수 있다. 다만, 도 4와 도 6에 도시된 실시예는 결과적으로 동일한 복수의 이미지는 얻을 수 있는 점에서는 동일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제1이미지센서(300)와 제2이미지센서(400)로부터 얻어지는 서로 다른 방향에서 촬영되는 복수의 이미지가 서로 조합되어 하나의 이미지로 구현될 수 있다.
한편, 도 4에서 설명한 바와 마찬가지로, 도 6에 도시된 실시예의 카메라모듈에서 제1렌즈부(100) 및 제2렌즈부(200)의 화각(θ)은, 예를 들어, 각각 90° 내지 110°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2렌즈부(200)의 각각의 화각(θ)을 합친 총화각은 예를 들어, 160° 내지 200°일 수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상기 총화각은 상기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 각각의 화각(θ)을 산술적으로 더한 수치보다 작을 수 있고, 이는 상기 제1렌즈부(100)와 상기 제2렌즈부(200) 각각의 화각(θ)이 서로 겹칠 수 있기 때문이다.
따라서, 실시예에서는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의 화각(θ)은 약 20°정도가 서로 겹칠 수 있다. 이는 약 20°정도의 범위에서 카메라 모듈은 동일한 이미지를 촬영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한편,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에서 최상의 이미지를 촬영하기 위해서는 상기 총화각은 약 190°로 조절되는 것이 적절할 수 있다.
도 7은 카메라 모듈에서 다른 실시예에 따른 렌즈부의 구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실시예에서, 제1렌즈부(100)와 제2렌즈부(200)를 형성하는 상기 복수의 렌즈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광가이드부(500) 표면에 상기 광가이드부(500)와 일체로 형성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렌즈부(100)를 형성하는 하나의 렌즈(100-1)와 제2렌즈부(200)를 형성하는 다른 하나의 렌즈(200-1)는 모두 상기 광가이드부(500) 표면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광가이드부(500)에 상기 렌즈들(100-1, 200-1)이 일체로 형성된 구조는 사출성형 등의 방식으로 구현할 수도 있고, 광가이드부(500)에 상기 렌즈들(100-1, 200-1)을 접착 또는 융착의 방식으로 고정적으로 결합하여 구현할 수도 있다.
한편, 도 7에서는 한 쌍의 프리즘(520)이 결합되어 형성되는 광가이드부(500)를 도시하였으나,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일체형 육면체(510)로 형성되는 광가이드부(500)에도 상기한 구조는 당연히 적용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 광가이드부(500)에 렌즈들(100-1, 200-1)이 일체로 형성됨으로써, 복수의 렌즈들이 정렬되는 렌즈부의 광축방향 총 길이를 줄일 수 있고, 이에 따라 실시예의 카메라 모듈을 소형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실시예와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몇 가지만을 기술하였지만, 이외에도 다양한 형태의 실시가 가능하다. 앞서 설명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내용들은 서로 양립할 수 없는 기술이 아닌 이상은 다양한 형태로 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새로운 실시형태로 구현될 수도 있다.
100: 제1렌즈부
200: 제2렌즈부
300: 제1이미지센서
400: 제2이미지센서
500: 광가이드부
510: 육면체
520: 프리즘
521: 제1프리즘
522: 제2프리즘
531, 532: 경계면
540: 반사층
600: 베이스

Claims (11)

  1. 광축이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부;
    광축이 x축과 수직한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일면이 상기 제1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이미지센서;
    일면이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 사이 및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고, 투명재질의 육면체로 형성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상기 제1이미지센서로 출사하고, 상기 제2렌즈부를 통과하여 입사된 광을 상기 제2이미지센서로 출사하는 카메라 모듈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는 상기 제1렌즈부의 광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1렌즈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렌즈부는 상기 제2렌즈부의 광축방향으로 배열되는 복수의 제2렌즈들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 각각은 상기 광가이드부 표면에 상기 광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 각각은 화각이 90°내지 110°이고,
    상기 제1렌즈부의 화각과 상기 제2렌즈부의 화각을 합친 총화각은 160°내지 200°인 카메라 모듈.
  5. 광축이 x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1렌즈부;
    광축이 x축과 수직한 y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제2렌즈부;
    일면이 상기 제1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1이미지센서;
    일면이 상기 제2렌즈부와 대향되도록 배치되는 제2이미지센서; 및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1이미지센서 사이 및 상기 제2렌즈부와 상기 제2이미지센서 사이에 배치되는 광가이드부를 포함하고,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제1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렌즈부를 통과한 광이 입사되는 제2프리즘을 포함하고,
    상기 제1프리즘은 입사된 광을 상기 제2이미지센서로 출사하고, 상기 제2프리즘은 입사된 광을 상기 제1이미지센서로 출사하는 카메라 모듈.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프리즘 각각은 삼각 프리즘 형상을 갖고,
    상기 제1프리즘 및 상기 제2프리즘 각각은 직각 삼각형 형상을 단면을 갖고,
    상기 제1프리즘의 제1빗변과 상기 제2프리즘의 제2빗변이 서로 마주보도록 배치되는 카메라 모듈.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는,
    상기 제1프리즘의 상기 제1빗변에 형성되는 제1반사층; 및
    상기 제2프리즘의 상기 제2빗변에 형성되는 제2반사층을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프리즘의 상기 제1빗변과 상기 제2프리즘의 상기 제2빗변은 서로 결합되여 육면체를 형성하는 카메라 모듈.
  9.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렌즈부와 상기 제2렌즈부 각각은 화각이 90°내지 110°이고,
    상기 제1렌즈부의 화각과 상기 제2렌즈부의 화각을 합친 총화각은 160°내지 200°인 카메라 모듈.
  10.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렌즈부 및 상기 제2 렌즈부 각각은 상기 광가이드부 표면에 상기 광가이드부와 일체로 형성되는 렌즈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11.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광가이드부를 수용하고, 상기 제1렌즈부, 제2렌즈부, 제1이미지센서 및 제2이미지센서가 장착되는 베이스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KR1020150118535A 2015-08-24 2015-08-24 카메라 모듈 KR1023407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535A KR102340778B1 (ko) 2015-08-24 2015-08-24 카메라 모듈
EP16839597.8A EP3343895B1 (en) 2015-08-24 2016-08-24 Camera module
US15/754,976 US10897563B2 (en) 2015-08-24 2016-08-24 Camera module
PCT/KR2016/009348 WO2017034308A1 (ko) 2015-08-24 2016-08-24 카메라 모듈
CN201680061673.5A CN108141519B (zh) 2015-08-24 2016-08-24 摄像机模块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118535A KR102340778B1 (ko) 2015-08-24 2015-08-24 카메라 모듈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70023430A KR20170023430A (ko) 2017-03-06
KR102340778B1 true KR102340778B1 (ko) 2021-12-20

Family

ID=58100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118535A KR102340778B1 (ko) 2015-08-24 2015-08-24 카메라 모듈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10897563B2 (ko)
EP (1) EP3343895B1 (ko)
KR (1) KR102340778B1 (ko)
CN (1) CN108141519B (ko)
WO (1) WO201703430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19388A (ko) * 2018-01-26 2024-02-14 애플 인크. 광학기기를 이동시키기 위한 액추에이터를 갖는 접이식 카메라
US11061213B2 (en) 2018-02-07 2021-07-13 Apple Inc. Folded camera
KR102581599B1 (ko) 2018-05-11 2023-09-25 엘지전자 주식회사 프리즘 모듈, 이를 구비하는 카메라, 및 영상표시장치
US11314147B1 (en) 2018-05-31 2022-04-26 Apple Inc. Folded camera with actuator for moving optics
CN111565268B (zh) 2019-02-13 2024-04-19 株式会社理光 拍摄装置及拍摄光学***
CN111565270B (zh) 2019-02-13 2024-05-03 株式会社理光 拍摄装置及拍摄光学***
CN111007693B (zh) * 2019-12-17 2022-05-31 广州立景创新科技有限公司 广角摄像装置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40B1 (ko) * 2004-11-11 2006-08-22 김배훈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27467B2 (en) * 2002-02-18 2004-12-07 Canon Kabushiki Kaisha Illuminating apparatus
US20100045773A1 (en) * 2007-11-06 2010-02-25 Ritchey Kurtis J Panoramic adapter system and method with spherical field-of-view coverage
JP4396674B2 (ja) * 2006-08-11 2010-01-13 船井電機株式会社 パノラマ撮像装置
US7852572B2 (en) * 2007-06-25 2010-12-14 Ricoh Co., Ltd. Compact super wide-angle imaging system
US9118850B2 (en) 2007-11-27 2015-08-25 Capso Vision, Inc. Camera system with multiple pixel arrays on a chip
JP2009211012A (ja) * 2008-03-06 2009-09-17 Funai Electric Co Ltd 広角複眼撮像装置
KR101373856B1 (ko) 2011-04-29 2014-03-11 휴앤에스(주) 어레이형 카메라 장치 및 어레이 영상획득방법
KR101508254B1 (ko) 2012-04-02 2015-04-06 주식회사 파인디지털 두 개의 촬영장치를 이용하여 구현한 차량용 블랙박스 및 무왜곡 영상을 제공하기 위한 유효화소 추출 방법
US9871956B2 (en) * 2012-04-26 2018-01-16 Intel Corporation Multiple lenses in a mobile device
JP6065474B2 (ja) * 2012-09-11 2017-01-25 株式会社リコー 撮像制御装置、撮像制御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US9398264B2 (en) * 2012-10-19 2016-07-19 Qualcomm Incorporated Multi-camera system using folded optics
KR101502448B1 (ko) 2014-09-25 2015-03-13 주식회사 영국전자 좌우 360도 상하 360도의 화각을 가지는 영상감시 시스템 및 감시방법
GB2533103A (en) * 2014-12-09 2016-06-15 Bae Systems Plc Apparatus and method for optical imaging
CN105867064B (zh) 2016-04-29 2019-02-22 深圳六滴科技有限公司 一种全景成像***的镜头排列方式及全景相机、投影仪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614840B1 (ko) * 2004-11-11 2006-08-22 김배훈 360°파노라마 촬영용 카메라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343895A1 (en) 2018-07-04
KR20170023430A (ko) 2017-03-06
US20200059584A1 (en) 2020-02-20
EP3343895B1 (en) 2020-07-01
WO2017034308A1 (ko) 2017-03-02
US10897563B2 (en) 2021-01-19
EP3343895A4 (en) 2018-08-22
CN108141519B (zh) 2020-07-28
CN108141519A (zh) 2018-06-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40778B1 (ko) 카메라 모듈
US11619864B2 (en) Compact folded camera structure
US10873688B2 (en) Multi-aperture imaging device having a beam-deflecting device comprising reflecting facets
KR102124773B1 (ko) 광학 기판을 포함하는 다중 조리개 이미징 디바이스
CN103685886B (zh) 图像捕获***和成像光学***
KR101349589B1 (ko) 카메라 모듈
US20080297612A1 (en) Image pickup device
CN108061955A (zh) 塑胶光学透镜组、成像镜头模块及电子装置
CN107948470B (zh) 摄像头模块和移动设备
CN214174717U (zh) 成像镜头、取像装置与电子装置
US20240196074A1 (en) Lens assembly, optical unit and electronic device
US11650480B2 (en) Optical system
US20170184807A1 (en) Device and apparatus for imaging
CN112987149B (zh) 复合棱镜模块以及图像获取模块
JP7124366B2 (ja) 撮像素子固定構造及び撮像装置
KR102516769B1 (ko) 듀얼 카메라 모듈
JP2003110891A (ja) 撮像光学系
US8035907B2 (en) Image capturing device
KR102561935B1 (ko) 카메라 모듈
CN118264912A (en) Image capturing device
TWI402607B (zh) 成像設備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