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39103B1 -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39103B1
KR102339103B1 KR1020200163606A KR20200163606A KR102339103B1 KR 102339103 B1 KR102339103 B1 KR 102339103B1 KR 1020200163606 A KR1020200163606 A KR 1020200163606A KR 20200163606 A KR20200163606 A KR 20200163606A KR 102339103 B1 KR102339103 B1 KR 1023391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pport
seated
space
unit
collection box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360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종성
윤진섭
Original Assignee
윤종성
윤진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종성, 윤진섭 filed Critical 윤종성
Priority to KR102020016360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391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391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391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41/00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or assembling magnets, inductances or transformers; Apparatus or processe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ir magnet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FMAGNETS; INDUCTANCES; TRANSFORMERS; SELECTION OF MATERIALS FOR THEIR MAGNETIC PROPERTIES
    • H01F17/00Fixed inductances of the signal ty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Coils Or Transformers For Communic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파워 인덕터의 전극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필링 가공(Peeling Process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 파워 인덕터가 일정한 수량만큼 열을지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의 위치를 음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안착부가 필링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파워 인덕터의 전극 주변 부분을 레이저로 필링 가공하는 필링 가공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한 정렬 또는 상기 필링 가공부에 의한 필링 가공 도중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를 수거하는 인덕터 수거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POWER INDUCTOR PROCESSING DEVICE}
본 발명은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파워 인덕터의 전극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필링 가공(Peeling Process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자기기의 소형화에 따라 이들에 사용되는 전자부품 또한 소형화, 경량화가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전자기기에 사용되는 전원회로의 상대적인 용적비율은 전자기기 전체의 체적에 대해 증가하는 경향이 있다.
이것은 각종 전자회로에 사용되는 CPU를 비롯한 각종 LSI가 고속화, 고집적화하고 있는데 반하여, 전원회로의 필수 회로요소인 인덕터 및 변압기와 같은 자기 부품은 소형화가 어렵다는 사실에 기인한다.
인덕터 및 변압기와 같은 자기부품은 소형화되어 자성체의 용적이 감소하면 자기코어가 자기포화 되기 쉬워져, 전원으로서 다룰 수 있는 전류량이 줄어드는 문제가 발생한다.
인덕터의 제조에 사용되는 자성체 재료는 페라이트계와 금속자성체계가 있는데, 대량생산 및 소형화에 유리한 적층형 칩타입 인덕터에는 페라이트계 자성재료가 주로 사용된다.
파워인덕터가 소자로서 잘 작동하기 위해서는 전극이 잘 드러나게 할 필요가 있다. 특히 파워인덕터의 몸체를 몰드로 형성하는 경우도 있는데 이 경우 전극이 유동하여 몸체의 정확한 위치에 형성되지 못하거나 전극에 이물 질이 묻을 염려가 있어 전극이 잘 드러나지 못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절연을 위해 파워인덕터의 외부에 절연 코팅막을 도포하여 형성하게 되는데 이 때 전극부위도 절연 코팅막이 도포되므로 기판에 실장하기 위해서는 전극부위의 코팅막을 제거해야 할 필요가 있다.
한편, 전술한 배경 기술은 발명자가 본 발명의 도출을 위해 보유하고 있었거나, 본 발명의 도출 과정에서 습득한 기술 정보로서, 반드시 본 발명의 출원 전에 일반 공중에게 공개된 공지기술이라 할 수는 없다.
한국공개특허 제10-2017-0046007호 한국등록특허 제10-2052770호
본 발명의 일측면은 파워 인덕터의 전극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필링 가공(Peeling Processing)할 수 있도록 구현한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는, 전극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파워 인덕터들을 공급하는 이송부; 이동이 가능하고 상기 이송부에서 공급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가 일정한 수량만큼 열을지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의 위치를 음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안착부가 필링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파워 인덕터의 전극 주변 부분을 레이저로 필링 가공하는 필링 가공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한 정렬 또는 상기 필링 가공부에 의한 필링 가공 도중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를 수거하는 인덕터 수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클램프; 및 상기 안착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파워 인덕터가 안착되면 상기 파워 인덕터와 밀착되어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정렬시키는 가압 클램프;를 포함하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정렬부는, 상기 가압 클램프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을 따라 서로 밀착되어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기 가압 클램프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동시에 정렬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완충형 밀착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완충형 밀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워 인덕터와 밀착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밀착 각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밀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지지대 연결 링크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대향하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는 제2 고정 블록; 및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이 상기 제1 고정 블록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가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고정 블록과 상기 제2 고정 블록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슬라이딩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슬라이딩 블록은,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에 안착되어 상기 가이드홈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하며, 상기 가이드 돌기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인덕터 수거부는, 상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수거함;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수거함으로 낙하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가 안착되는 제2 수거함; 및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수거함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수거함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함 지지대는, 상기 제1 수거함과 상기 제2 수거함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수거함 지지대는,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상부 지지대; 상기 제1 수거함과 상기 제2 수거함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기 상부 지지대가 안착되는 하부 지지대;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 및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상기 하부 지지대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상기 하부 지지대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를 지지하며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되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부 지지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는 지지 플레이트;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되는 하부홈; 상기 지지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지지대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상기 하부홈 마다 설치되어 상기 하부 지지대의 상측에 안착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제동 프레임; 및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상기 지지 플레이트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제동 프레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부 지지대는, 상측에 상기 지지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지지 본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1 상하 관통홈; 상기 제2 제동 프레임이 삽입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되는 제2 상하 관통홀;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전단에 형성되는 제1 설치 공간; 및 상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가 설치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설치 공간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지지 본체의 내측 후단에 형성되는 제2 설치 공간;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설치 공간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는,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는 제1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2 스프라켓;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는 제3 스프라켓; 상기 제1 스프라켓,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상기 제2 스프라켓 및 상기 제2 스프라켓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상기 지지 본체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상기 지지 본체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상기 지지 본체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되는 구동 벨트;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면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상기 제1 설치 공간에서 고정 설치되며, 상기 제1 제동 프레임이 하강하면 상기 구동 벨트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제동 프레임과 밀착되어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을 제동시키는 제동 플레이트; 및 상기 구동 벨트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상기 구동 벨트의 전단과 상기 제1 설치 공간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되는 제동 스프링;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파워 인덕터의 전극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필링 가공(Peeling Processing)함으로써, 파워 인덕터의 고투자율 및 고용량을 확보하도록 하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이하에서 설명할 내용으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자명한 범위 내에서 다양한 효과들이 포함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렬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4은 도 3의 완충형 밀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는 도 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는 도 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7 내지 도 9은 도 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0은 도 1의 인덕터 수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는 도 10의 수거함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2은 도 11의 수거함 지지대의 단면도이다.
도 13은 도 12의 간격조절볼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4은 도 11의 제1 지지부의 지지 구조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5는 도 11의 수거함 지지대의 지지 높이 조절을 설명하는 도면이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0의 수거함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8은 도 16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은 도 16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이 도시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1)는, 안착부(10), 검사부(20), 정렬부(30), 고정부(40), 필링 가공부(50), 인덕터 수거부(60) 및 이송부(70)를 포함한다.
이송부(70)는, 전극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파워 인덕터(100)들을 안착부(10)로 공급한다.
일 실시예에서, 이송부(70)는, 전극이 형성된 면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파워인덕터(100)를 안착부(10)로 공급한다.
이때, 파워인덕터(100)에는 일면에 2개의 전극이 형성되므로 해당 면이 상부를 향하도록 하여 파워인덕터(100)를 안착부(10)로 공급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안착부(10)는, 검사부(20) 또는 필링 가공부(50)에서 수행되는 각각의 공정이 파워 인덕터(100)에 수행될 수 있도록 이동이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이송부(70)에서 공급되는 파워 인덕터(100)가 일정한 수량만큼 열을지어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안착부(10)는 이동이 가능하고 이송부(70)에서 공급되는 파워인덕터(100)가 일정한 수량만큼 안착된다. 안착부(10)는 파워인덕터(100)를 공급받는 위치(공급위치)와 파워인덕터(100)를 필링하는 위치(필링위치)로 이동이 가능하며 공급위치에서 복수의 파워인덕터(100)가 안착되고 필링위치로 이동한 후 파워인덕터(100)가 필링된다.
검사부(20)는, 안착부(10)로부터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며, 안착부(10)에 안착된 파워 인덕터(100)들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검사한다.
일 실시예에서, 검사부(20)에서는 안착부(10)에 모든 파워인덕터(100)가 안착되었는지 또는 전극이 상부로 향하도록 하여 안착되었는지 등의 안착 불량 여부를 검사한다.
정렬부(3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파워 인덕터(100)들을 정렬함으로써, 여러 파워인덕터(100)들을 동시에 필링하여도 균일한 품질의 필링 결과를 얻을 수 있게 한다.
고정부(40)는, 안착부(10)에 안착된 뒤 정렬부(30)에 의해 정렬된 파워 인덕터(100)들의 위치를 음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킨다.
필링 가공부(50)는, 안착부(10)가 필링위치로 이동되면 파워 인덕터(100)의 전극 주변 부분을 레이저로 필링 가공한다.
인덕터 수거부(60)는, 정렬부(30)에 의한 정렬 또는 필링 가공부(50)에 의한 필링 가공 도중에 안착부로부터 낙하되는 파워 인덕터(100)를 수거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1)는, 파워 인덕터(100)의 전극면이 외부로 드러나도록 필링 가공(Peeling Processing)함으로써, 파워 인덕터의 고투자율 및 고용량을 확보하도록 할 수 있다.
도 2 및 도 3은 도 1의 정렬부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정렬부(30)는, 고정 클램프(31) 및 가압 클램프(32)를 포함한다.
고정 클램프(31)는, 안착부(1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안착부(10)에 안착되는 파워 인덕터(100)의 일측을 지지한다.
가압 클램프(32)는, 안착부(10)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안착부(10)에 파워 인덕터(100)가 안착되면 파워 인덕터(100)와 밀착되어 파워 인덕터(100)들을 정렬시킨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렬부(30)는, 다수 개의 완충형 밀착부(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완충형 밀착부(33)는, 가압 클램프(32)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34)을 따라 서로 밀착되어 열을 지어 설치되며, 가압 클램프(32)가 전진함에 따라 파워 인덕터(100)들을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동시에 정렬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정렬부(30)는, 파워 인덕터(100)들을 정렬함에 있어서 지나친 힘으로 파워 인덕터(100)들을 가압하여 파워 인덕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함은 물론, 고른 정렬을 수행함으로써 필링 공정의 정확성을 향상시켜 제품은 품질을 향상시킬 수 있다.
도 4은 도 3의 완충형 밀착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4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완충형 밀착부(400)는, 받침 플레이트(410), 하부 플레이트(420) 및 회동형 완충부(430)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여기서, 완충형 밀착부(40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이 전단에 위치하도록 누어 있는 형태로 설치될 것이나,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상 받침 플레이트(410)가 상측으로 위치하는 직립된 형태를 기준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받침 플레이트(410)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파워 인덕터(100)와 밀착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하여 지지된다.
하부 플레이트(420)는,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전단 안착홈(34)에 설치되며, 회동형 완충부(430)에 의해 지지되는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회동형 완충부(430)는, 받침 플레이트(410)와 하부 플레이트(420)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밀착되는 파워 인덕터(100)의 밀착 각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받침 플레이트(410)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회동형 완충부(430)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 제2 아치형 지지대(432), 제3 아치형 지지대(433) 및 지지대 연결 링크(43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받침 플레이트(410)를 지지하고,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에 안착되며, 받침 플레이트(410)에 밀착되는 파워 인덕터(100)의 밀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하부 플레이트(42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된다.
제2 아치형 지지대(432)는,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를 사이에 두고 제2 아치형 지지대(432)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하부 플레이트(42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된다.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완충형 밀착부(400)는, 자신에게 밀착되는 각각의 파워 인덕터(100)들을 개별적으로 정렬시킴으로써, 일괄 정렬시 발생될 수 있는 일부 파워 인덕터(100)의 파손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일부 파워 인덕터(100)에 과도한 가압이 발생되어 해당 파워 인덕터(100)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5는 도 4의 하부 플레이트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5를 참조하면,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440)이 내측에 각각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단부 안착 공간(440)은, 단부 안착 공간(440)에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435)가 안착되어 이동될 수 있도록 원형 플레이트(435)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원형 플레이트(435)는, 단부 안착 공간(440)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T1)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T2)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하부 플레이트(420)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또는 제3 아치형 지지대(433)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움직일 수 있도록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의 각각의 단부가 안착되어 움직이기 위한 공간인 단부 안착 공간(440)의 내측에 형성할 수 있다.
이때,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는, 일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부터 다른 단부 안착 공간(440)으로 그 형상이 절곡되는 등과 같이 변형되면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움직임에 따라 함께 이동될 수 있도록 탄성 또는 연성의 재질로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도 6는 도 4의 지지대 연결 링크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6를 참조하면,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고정 블록(4341), 제2 고정 블록(4342) 및 슬라이딩 블록(4343)을 포함한다.
제1 고정 블록(4341)은, 제2 아치형 지지대(432)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1 체결핀(P1)에 연결 설치된다.
제2 고정 블록(4342)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대향하며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에 고정 설치되며, 슬라이딩 블록(4343)의 제2 체결핀(P2)에 연결 설치된다.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 사이의 이격 공간에 해당하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에 안착되며, 일측에 형성되는 제1 체결핀(P1)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하고, 다른 일측에 형성되는 제2 체결핀(P2)이 제1 고정 블록(43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며,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받침 플레이트(410)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함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을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지지대 연결 링크(434)는,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이 움직임에 따라 전단 또는 후단의 수평 방향으로 이동되는 슬라이딩 블록(4343)에 의해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에 고정 설치되는 제1 고정 블록(4341)과 제2 고정 블록(4342)이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를 전진 또는 후진시켜 줄 수 있다.
도 7 내지 도 9은 도 6의 슬라이딩 블록을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7 내지 도 9을 참조하면,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가이드홈(4311)에 안착되어 가이드홈(4311)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할 수 있도록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에 밀착되는 둥글게 형성되는 하측면을 따라 가이드 돌기(4344)가 전후 방향으로 연장 형성한다.
그리고, 슬라이딩 블록(4343)은,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주면과의 마찰력을 최소화시켜 줄 수 있도록 가이드 돌기(4344)를 사이에 두고 하측면의 일측 및 다른 일측을 따라 전후 방향으로 다수 개의 롤라(4345)가 전후 방향으로 서로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되어 연결 설치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아치형 지지대(431)는, 제2 아치형 지지대(432) 및 제3 아치형 지지대(433)와는 달리 경질의 재질로 형성되어 받침 플레이트(410)에 의한 가압에도 그 형상이 변하지 않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하고, 형상의 변형을 방지하기 위한 자동차 바퀴의 휠과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한 지지대(4312)가 일측 및 다른 일측 테두리를 따라 형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슬라이딩 블록(4343)은,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받침 플레이트(410)에 밀착되는 파워 인덕터(100)의 밀착 각도에 따라 받침 플레이트(410)가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동함에 따라 제1 아치형 지지대(431)가 함께 회전할 경우, 받침 플레이트(410)가 평행한 경우의 안착 위치인 기준선(L)으로부터 제1 아치형 지지대(431)의 내측면을 따라 슬라이딩 이동하면서 수평 방향으로 전진 또는 후진하면서 이동할 수 있다.
도 10은 도 1의 인덕터 수거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0을 참조하면, 인덕터 수거부(60)는, 제1 수거함(61), 제2 수거함(62) 및 다수 개의 수거함 지지대(63)를 포함한다.
제1 수거함(61)은, 상측(61a)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내측에 제2 수거함(62)이 안착된다.
제2 수거함(62)은,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제1 수거함(61)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제1 수거함(61)의 내측에 수거함 지지대(63)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안착되며, 제1 수거함(61)으로 낙하되는 파워 인덕터(100)가 안착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2 수거함(62) 역시 제1 수거함(61)의 내측으로 낙하하는 파워 인덕터(100)가 보다 안정적으로 상측으로 낙하될 수 있도록 테두리(62a)가 상측으로 경사지도록 절곡되도록 형성됨이 바람직할 것이다.
수거함 지지대(63)는, 제1 수거함(61)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제2 수거함(62)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준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인덕터 수거부(60)는, 정렬 공정, 검사 공정 또는 필링 공정 등의 각 공정이 수행됨에 있어 고정부(40)에 의한 파워 인덕터(100)의 고정이 풀려 안착부(10)로부터 낙하되는 경우에 있어 파워 인덕터(100)를 안정적으로 수거함으로써, 파워 인덕터(100)가 장치의 구성들 사이에 삽입되어 장치가 파손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파워 인덕터(100)를 파손 없이 수거하여 재활용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1은 도 10의 수거한 지지대의 일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 지지대(200)는, 박스형 케이스(210),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제3 지지부(240) 및 간격조절볼트(250)를 포함한다.
박스형 케이스(210)는,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해 제1 공간(S1), 제2 공간(S2), 제3 공간(S3) 및 제4 공간(S4)으로 구획되며, 제1 수거함(61)과 제2 수거함(6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된다.
제1 지지부(22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1 공간(S1)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24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1 공간(S1)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2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수거함(62)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지지부(220)는,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될 수 있다.
제2 지지부(230)는,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상측이 제2 공간(S2)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25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2 공간(S2)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23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1 수거함(61)의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3 지지부(240)는,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며, 전단 하측이 제3 공간(S3)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260)를 통해 박스형 케이스(210)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간격조절볼트(250)에 설치되어 제3 공간(S3)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241)이 박스형 케이스(210)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어 제2 수거함(62)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간격조절볼트(250)는,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의하여 지지되어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박스형 케이스(210)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준다.
일 실시예에서, 간격조절볼트(250)는, 볼트 본체(251),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253) 및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254)을 포함할 수 있다.
볼트 본체(251)는, 박스형 케이스(210)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제1 격벽(210), 제2 격벽(220) 및 제3 격벽(230)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251a)을 형성한다.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252-1, 252-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1 지지부(22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2 고정 원판(253-1, 253-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2 지지부(23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제3 고정 원판(254-1, 254-2)은, 볼트 본체(251)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제3 지지부(240)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볼트 본체(251)에서 서로 이격되어 고정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수거함 지지대(200)는,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간격조절볼트(250)의 회전 정도에 따라 제1 지지부(220), 제2 지지부(230) 및 제3 지지부(240)에 의하여 지지되는 제1 수거함(61)과 제2 수거함(62) 사이의 이격 간격을 사용자의 필요에 따라 자유롭게 조절함으로써, 제2 수거함(62)의 지지 높이 뿐만 아니라, 제2 수거함(62)에 의한 안착 충격 완충 정도를 용이하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6 및 도 17은 도 10의 수거함 지지대의 다른 실시예를 보여주는 도면들이다.
도 16 및 도 17을 참조하면,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 지지대(300)는, 상부 지지대(310), 하부 지지대(320),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를 포함한다.
상부 지지대(310)는,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설치되며, 제2 수거함(62)의 바닥면을 지지한다.
하부 지지대(320)는, 제1 수거함(61)과 제2 수거함(62)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상측에 상부 지지대(310)가 안착되며, 하부 전단에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되고, 하부 후단에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된다.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제1 수거함(61)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된다.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로 형성되며, 하측이 하부 지지대(320)의 하측으로 노출되도록 하부 지지대(320)의 내측 후단에 안착되어 하부 지지대(320)를 지지하며 제1 수거함(61)의 내측 바닥면에 안착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다른 실시예에 따른 수거함 지지대(300)는, 제2 수거함(62)으로부터 전달되는 상하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등을 완충시켜 줄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2 수거함(62)으로부터 전달되는 경사 방향의 진동 또는 충격 역시 효과적으로 완충시켜 줌으로써, 낙하되어 제2 수거함(62)과 충돌하는 파워 인덕터(100)가 파손 없이 안착되어 후에 재사용 되도록 할 수 있다.
도 18은 도 16의 상부 지지대와 해부 지지대 간의 연결 관계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8을 참조하면, 상부 지지대(310)는, 지지 플레이트(311), 하부홈(312), 간격 지지 탄성체(313), 제1 제동 프레임(314) 및 제2 제동 프레임(315)을 포함한다.
지지 플레이트(311)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제2 수거함(62)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하측을 따라 형성되는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는 간격 지지 탄성체(313)에 의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된다.
하부홈(312)은, 간격 지지 탄성체(313)의 상부가 안착될 수 있도록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에 다수 개가 서로 이격되어 형성된다.
간격 지지 탄성체(313)는, 지지 플레이트(311)와 하부 지지대(320) 사이를 탄성력을 이용하여 지지할 수 있도록 하부홈(312) 마다 설치되어 하부 지지대(320)의 상측에 안착된다.
제1 제동 프레임(314)은,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하측 전단보다 하측 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41)을 형성한다.
제2 제동 프레임(315)은, 제1 제동 프레임(314)으로부터 후단으로 이격된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측으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가 형성되도록 하측 후단보다 하측 전단이 하측으로 더 연장 형성되어 하측면이 경사면(3151)을 형성한다.
그리고, 하부 지지대(320)는, 지지 본체(321), 제1 상하 관통홈(322), 제2 상하 관통홀(323),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을 포함한다.
지지 본체(321)는, 상측에 지지 플레이트(311)가 안착될 수 있도록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며, 제1 설치 공간(324) 및 제2 설치 공간(325)에 설치되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 및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에 의하여 지지된다.
제1 상하 관통홈(322)은, 제1 제동 프레임(314)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2 상하 관통홀(323)은, 제2 제동 프레임(315)이 삽입될 수 있도록 지지 본체(321)를 상하 방향으로 관통하고 형성된다.
제1 설치 공간(324)은,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전단에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설치 공간(324)은, 전단으로부터 후단으로 갈수록 상하 높이가 줄어드는 삼각형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설치 공간(325)은,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가 설치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과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며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지지 본체(321)의 내측 후단에 형성된다.
도 19은 도 16의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를 보여주는 도면이다.
도 19을 참조하면,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제3 스프라켓(333), 구동 벨트(334), 제동 플레이트(335) 및 제동 스프링(336)을 포함한다.
여기서, 제2 컨베이어형 지지대(340)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와 전후 방향으로 대칭 구조를 형성하는 구성으로서, 후술한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의 각각의 구성들이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는 것으로서, 설명의 중복을 피하기 위해 그 설명을 생략하기로 한다.
제1 스프라켓(331)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상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2 스프라켓(332)은,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제3 스프라켓(333)은, 제1 설치 공간(324)의 후단 하측에 설치되며, 구동 벨트(334)의 후단 하측에 맞물려 연결 설치되어 구동 벨트(334)를 지지한다.
구동 벨트(334)는, 제1 스프라켓(331),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을 따라 맞물려 연결 설치되며, 제2 스프라켓(332) 및 제2 스프라켓(332)에 의해 지지되는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되어 지지 본체(321)를 지지하며, 외력에 의해 지지 본체(321)가 전후 방향으로 이동됨에 따라 제1 수거함(61)의 내측 바닥면과의 밀찰력에 의해 회전된다.
즉, 제2 스프라켓(332)와 제3 스프라켓(333)은, 구동 벨트(334)의 하측이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하부 일부가 지지 본체(321)의 하측으로 노출될 수 있도록 제1 설치 공간(324)에 연결 설치되어야 할 것이다.
제동 플레이트(335)는,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면(3141)으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제1 제동 프레임(314)의 하측 경사면에 대응하는 경사각을 형성하며 제1 설치 공간(324)에서 고정 설치되며, 제1 제동 프레임(314)이 하강하면 구동 벨트(334)를 사이에 두고 제1 제동 프레임(314)과 밀착되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을 제동시킨다.
제동 스프링(336)은,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탄성적으로 지지될 수 있도록 구동 벨트(334)의 전단과 제1 설치 공간(324)의 전단 상측면 사이에 설치된다.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가지는 제1 컨베이어형 지지대(330)는,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이 이루어지지 아니하여 구동 벨트(334)의 제동이 이루어지지 아니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수거함 지지대(300)가 제동 스프링(336)의 탄성력에 의해 일정 거리 이상 이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지지 플레이트(311)의 하강되어 구동 벨트(334)가 제동되는 경우에는 제동 스프링(336)에 의해 제동되는 경우보다 강한 힘으로 구동 벨트(334)의 회전이 제동되어 수거함 지지대(300)가 더 이상 이동되는 것이 방지될 수 있다.
상술된 실시예들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상술된 실시예들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상술된 실시예들이 갖는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명세서를 통해 보호받고자 하는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를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10: 안착부
20: 검사부
30: 정렬부
40: 고정부
50: 필링 가공부
60: 인덕터 수거부

Claims (10)

  1. 파워 인덕터가 일정한 수량만큼 열을지어 안착되는 안착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이 정상적으로 안착되었는지 검사하는 검사부;
    상기 안착부에 안착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정렬하는 정렬부;
    상기 정렬부에 의해 정렬된 상기 파워 인덕터들의 위치를 음압을 이용하여 고정시키는 고정부;
    상기 안착부가 필링위치로 이동되면 상기 파워 인덕터의 전극 주변 부분을 레이저로 필링 가공하는 필링 가공부; 및
    상기 정렬부에 의한 정렬 또는 상기 필링 가공부에 의한 필링 가공 도중에 상기 안착부로부터 낙하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를 수거하는 인덕터 수거부;를 포함하며,
    상기 정렬부는,
    상기 안착부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어 상기 안착부에 안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일측을 지지하는 고정 클램프; 및
    상기 안착부의 다른 일측에 연결 설치되며, 상기 안착부에 상기 파워 인덕터가 안착되면 상기 파워 인덕터와 밀착되어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정렬시키는 가압 클램프;를 포함하고,
    상기 정렬부는,
    상기 가압 클램프의 전단을 따라 형성되는 전단 안착홈을 따라 서로 밀착되어 열을 지어 설치되며, 상기 가압 클램프가 전진함에 따라 상기 파워 인덕터들을 개별적으로 정렬시키는 동시에 정렬시 발생되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기 위한 다수 개의 완충형 밀착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완충형 밀착부는,
    평판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파워 인덕터와 밀착되는 받침 플레이트;
    육면체 박스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전단 안착홈에 설치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하측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 및
    상기 받침 플레이트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 사이에 연결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밀착 각도에 따라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전후 방향으로 회동시키면서 상기 받침 플레이트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회동형 완충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동형 완충부는,
    하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U"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의 하측에 상부 전단 및 후단이 고정 설치되어 상기 받침 플레이트를 지지하고,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에 안착되며, 상기 받침 플레이트에 밀착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의 밀착 각도에 따라 하측이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측면을 따라 전단 또는 후단 방향으로 구르면서 이동되는 제1 아치형 지지대;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아치형 지지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형태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측으로 둥글게 형성되는 "∩" 형태의 아치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를 사이에 두고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로부터 이격되어 하부 전단 및 후단이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3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부터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상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상측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제1 아치형 지지대에 의해 형성되는 하측으로 둥근 아치형 공간의 하측을 하측 방향으로 가압하면서 안착되는 지지대 연결 링크;를 포함하는,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 플레이트는,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 그리고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하부 전단 및 후단이 안착될 수 있도록 단부 안착 공간이 내측에 각각 형성되며,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은,
    상기 제2 아치형 지지대 및 상기 제3 아치형 지지대의 단부에 형성되는 원판 형태의 원형 플레이트가 안착될 수 있도록 상기 원형 플레이트의 형태에 대응하는 원형으로 단면이 형성되며,
    상기 원형 플레이트는,
    상기 단부 안착 공간의 중앙에 배치된 상태에서 상측면을 따라 설치되는 다수 개의 상부 지지 탄성체와 하측에 설치되는 하부 지지 탄성체에 의해 상측 및 하측이 각각 지지되는,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6. 삭제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인덕터 수거부는,
    상측이 외측으로 벌어지도록 형성되며, 상부가 개방 형성되는 박스 형태로 형성되는 제1 수거함;
    연질의 재질로 제작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면을 따라 밀착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에 안착되며, 상기 제1 수거함으로 낙하되는 상기 파워 인덕터가 안착되는 제2 수거함; 및
    상기 제1 수거함의 내측 바닥면을 따라 서로 이격 설치되어 상측에 안착되는 상기 제2 수거함으로부터 전달되는 진동 또는 충격을 완충시켜 주는 다수 개의 수거함 지지대;를 포함하는, 파워 인덕터 가공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수거함 지지대는,
    상기 제1 수거함과 상기 제2 수거함 사이의 이격 공간에 배치되며, 내부 공간이 전후 방향으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제1 격벽, 제2 격벽 및 제3 격벽에 의해 제1 공간, 제2 공간, 제3 공간 및 제4 공간으로 구획되는 박스형 케이스;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1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1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1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1 지지부;
    "∪" 형태로 하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1 수거함의 바닥면에 안착되며, 전단 상측이 상기 제2 공간의 하측에 형성되는 제2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2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상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하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2 지지부;
    "∩" 형태로 상측으로 둥글게 절곡되어 형성되어 상기 제2 수거함의 바닥면을 지지하며, 전단 하측이 상기 제3 공간의 상측에 형성되는 제3 개구부를 통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내측으로 삽입되어 상기 제3 공간에 안착되고, 후단 하측이 상기 박스형 케이스의 상측에 회동 가능하도록 연결 설치되는 제3 지지부; 및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의하여 지지되어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며,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이 체결되며, 시계 방향 또는 반시계 방향으로 회전함에 따라 상기 박스형 케이스에서 후단 방향으로 이동하면서 상기 제1 지지부, 상기 제2 지지부, 및 상기 제3 지지부의 각 전단을 후단 방향으로 이동시켜 주는 간격조절볼트;를 포함하는,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지지부는,
    상기 간격조절볼트에 의해 전단 하측이 후단 방향으로 이동되어 후단과의 간격이 줄어듦에 따라 상하 높이가 증가되는,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간격조절볼트는,
    상기 박스형 케이스를 전후 방향으로 관통하고 설치되되, 상기 제1 격벽, 상기 제2 격벽 및 상기 제3 격벽에 형성되는 관통홀의 내주면에 형성되는 나사산에 맞물려 연결 설치될 수 있도록 외측면을 따라 나사산을 형성하는 볼트 본체;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1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1 고정 원판;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2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2 고정 원판; 및
    상기 볼트 본체가 전진 또는 후진함에 따라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전진 또는 후진시킬 수 있도록 상기 제3 지지부의 전단을 사이에 두고 상기 볼트 본체에서 서로 이격되어 설치되는 한 쌍의 제3 고정 원판;을 포함하는,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KR1020200163606A 2020-11-30 2020-11-30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KR1023391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6A KR102339103B1 (ko) 2020-11-30 2020-11-30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3606A KR102339103B1 (ko) 2020-11-30 2020-11-30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39103B1 true KR102339103B1 (ko) 2021-12-13

Family

ID=788321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3606A KR102339103B1 (ko) 2020-11-30 2020-11-30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39103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575037B1 (ko) * 2014-12-26 2015-12-14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파워인덕터 필링장치 및 필링방법
KR20170046007A (ko) 2015-10-20 2017-04-28 에이치엔에스파워텍 주식회사 적층형 파워인덕터
KR102052770B1 (ko) 2014-12-23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107051B1 (ko) * 2019-05-14 2020-05-08 제너셈(주) 플립퍼 장치
KR102134910B1 (ko) * 2019-05-20 2020-07-16 한상수 판링용 코일 권선기의 와인딩 장치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52770B1 (ko) 2014-12-23 2019-12-09 삼성전기주식회사 파워인덕터 및 그 제조방법
KR101575037B1 (ko) * 2014-12-26 2015-12-14 주식회사 한라정밀엔지니어링 파워인덕터 필링장치 및 필링방법
KR20170046007A (ko) 2015-10-20 2017-04-28 에이치엔에스파워텍 주식회사 적층형 파워인덕터
KR102107051B1 (ko) * 2019-05-14 2020-05-08 제너셈(주) 플립퍼 장치
KR102134910B1 (ko) * 2019-05-20 2020-07-16 한상수 판링용 코일 권선기의 와인딩 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290813B2 (en) Active edge grip rest pad
KR100395925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KR101951288B1 (ko) 픽업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반도체 소자의 픽업 시스템
US9359135B2 (en) Storage shelf
CN212085034U (zh) 硅片收料盒及硅片分档收料装置
CN102883973A (zh) 薄晶片运载器
JPH07326657A (ja) 半導体の製造装備のウエハ装着のカセット
KR102339103B1 (ko) 파워 인덕터 가공장치
CN104001661B (zh) 用于测试处理机的振动装置
CN217779364U (zh) 料框及上料机构
KR102385187B1 (ko) 앨범 이송 장치
CN212311276U (zh) 一种专用于不锈钢板材的焊接设备
KR100451050B1 (ko) 테스트 핸들러의 반도체 디바이스 로딩장치
TW202022383A (zh) 檢測裝置
CN109013395B (zh) 电子元件分选方法及装置
TWI767426B (zh) 用於支援電子部件測試的搬運器的測試托盤
KR200445542Y1 (ko) 테스트핸들러용 셋플레이트
KR20020049956A (ko) 반도체패키지 적재 테이블장치
JPH09148423A (ja) 基板収納用カセットの載置装置
KR200158833Y1 (ko) 수평식핸들러의 소자흡착용 픽커
CN220796666U (zh) 测试分选机
JP3190879B2 (ja) Ic製品の自動多重分類器
KR102381740B1 (ko) 전자부품의 테스트를 지원하는 핸들러용 테스트트레이
KR101156800B1 (ko) 기판검사테이블
JP3199586B2 (ja) コンベヤ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