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6675B1 -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 Google Patents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6675B1
KR102326675B1 KR1020210094422A KR20210094422A KR102326675B1 KR 102326675 B1 KR102326675 B1 KR 102326675B1 KR 1020210094422 A KR1020210094422 A KR 1020210094422A KR 20210094422 A KR20210094422 A KR 20210094422A KR 102326675 B1 KR102326675 B1 KR 10232667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tor
rotating
unit
mounting
shaf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944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나종호
김재흥
Original Assignee
(주)트랜스테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트랜스테크 filed Critical (주)트랜스테크
Priority to KR10202100944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667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66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66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4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by electrical means, e.g. using travel or force senso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7/00Brake-action initiating means
    • B60T7/02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 B60T7/04Brake-action initiating means for personal initiation foot actuated
    • B60T7/06Disposition of pedal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1/00Controlling members, e.g. knobs or handles; Assemblies or arrangements thereof; Indicating position of controlling members
    • G05G1/30Controlling members actuated by foot
    • GPHYSICS
    • G05CONTROLLING; REGULATING
    • G05GCONTROL DEVICES OR SYSTEMS INSOFAR AS CHARACTERISED BY MECHANICAL FEATURES ONLY
    • G05G5/00Means for preventing, limiting or returning the movements of parts of a control mechanism, e.g. locking controlling member
    • G05G5/03Means for enhancing the operator's awareness of arrival of the controlling member at a command or datum position; Providing feel, e.g. means for creating a counterforc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Braking Elements And Transmission Devices (AREA)
  • Regulating Braking Fo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과 인접하게 배치된 바디부,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장착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에 의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Brake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본 발명은,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차량은 운전자가 조향조작수단인 스티어링 휠(steering wheel)과 가감속조작수단인 가속페달(Accel-pedal) 및 브레이크페달(Brake-pedal) 등의 조작을 통해, 지면을 주행하여 차량 운전자 및 동승자를 원하는 목적지에 도달할 수 있도록 돕는 운송수단이다.
최근에는 기존의 차량에 복수의 센서와 조향제어수단 및 가감속제어수단을 장착하여, 노면상태, 인접 차량과 사물의 위치 및 도로신호 등을 확인하여 설정된 목적지까지 운전자의 운전조작 없이 자율적으로 운행하는 자율주행 차량에 대한 연구가 지속적으로 이루어지고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2086447호
본 발명의 목적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자동으로 제어할 수 있는 브레이크 제어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과 인접하게 배치된 바디부,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장착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에 의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모터축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장착부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동장착홀, 상기 회동본체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와 상기 회동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회동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연동본체, 상기 연동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통과하는 관통홀,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장착홀 및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탐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감지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회동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모터축장착홀 내에서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장착목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터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관통편과 연결되며, 상기 장착목이 삽입되는 제2 관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관통편은, 상기 제1 관통편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내측단과 제2 내측단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내측단과 상기 제2 내측단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본체는, 상기 모터회동축의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1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2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장착목은, 상기 제2 관통편의 중앙에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3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장착홀은,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동본체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장착홀에 삽입되는 축형성부, 상기 축형성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접촉롤러부 및 상기 축형성부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의 상기 장착부장착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고정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상기 접촉롤러부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롤러부는, 상기 매개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를 따라 구름 접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감지부는, 감지공간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의 유무를 감지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감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4 위치 및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감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며,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 상기 회동부의 상기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에 따라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된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매개부는, 브레이크 페달에 부착되는 매개본체 및 상기 매개본체가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도록 하는 매개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본체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매개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경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개고정부는,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고정편 및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타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고정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고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경사부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는, 상기 매개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바디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본체, 상기 모터부가 체결되는 모터체결홀 및 상기 감지부의 상기 바디본체로의 장착을 위한 감지부체결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제어부에 의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할 수 있으므로,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을 직접 조작하지 않아도 차량을 감속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을 차량에 설치했을 경우 사용자가 페달에 발을 위치시키는데 불편함이 없는 구조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개략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
이하에서는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사상은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되지 아니하고, 본 발명의 사상을 이해하는 당업자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에서 다른 구성요소를 추가, 변경, 삭제 등을 통하여, 퇴보적인 다른 발명이나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을 것이나, 이 또한 본원 발명 사상 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또한, 각 실시예의 도면에 나타나는 동일한 사상의 범위 내의 기능이 동일한 구성요소는 동일한 참조부호를 사용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개략 사시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P)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일 수 있다.
상기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바디부(10), 모터부(20), 회동부(30), 장착부(40), 감지부(50) 및 제어부(60)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는,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P)과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상기 모터부(20)는,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10)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모터부(20)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20)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장착부(40)는, 상기 회동부(30)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30)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 또는 가압 해제하여, 브레이크 페달(P)의 각도를 변화시킬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는, 상기 바디부(10)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20)에 의한 상기 회동부(30)의 회동 위치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 도 5 참조)는,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분해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를 도시한 개략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이 구동되는 모습을 도시한 개략 사시도이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상기 모터부(20)는, 모터본체(21) 및 모터회동축(23)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본체(21)는, 회전력을 발생시키고,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상기 모터본체(21)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상기 회동부(30)는, 회동본체(31) 모터축장착홀(32), 장착부장착홀(33), 연동장착홀(34), 연동부(35), 및 연결부(36)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장착부장착홀(33)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3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장착홀(34)은, 상기 회동본체(31)를 관통하여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32)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을 기준으로 회동될 수 있다.
상기 연동부(35)는, 상기 회동본체(31)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23)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31)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31)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감지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는 상기 연동부(35)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34)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35)와 상기 회동본체(3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연동부(35)는, 연동본체(351), 관통홀(352), 연결장착홀(353) 및 탐지바(354)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바디부(10)와 상기 회동본체(31)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52)은, 상기 연동본체(351)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23)이 통과할 수 있다.
상기 관통홀(352)은 제1 관통편(3521) 및 제2 관통편(3522)으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관통편(3521)은,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삽입될 수 있고, 상기 제2 관통편(3522)은, 상기 제1 관통편(3521)과 연결되며, 후술할 장착목(37)이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제2 관통편(3522)은, 제1 내측단(3522a) 및 제2 내측단(3522b)에 의해 규정되며, 상기 제1 내측단(3522a) 및 상기 제2 내측단(3522b)은 상기 제1 관통편(3521)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연결장착홀(353)은,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36)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연결부(36)는, 상기 연동장착홀(34)과, 상기 연결장착홀(353)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연동본체(351)와 상기 회동본체(31)를 연결할 수 있다.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50)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회동본체(31)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50)에 감지될 수 있다.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231)를 구비할 수 있다(도 3의 (a) 참조).
상기 모터축장착홀(32)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321)를 구비할 수 있다(도 3의 (b) 참조).
상기 회동부(30)는 장착목(37)을 더 구비할 수 있으며,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1 함입부(231) 및 상기 제2 함입부(321)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도 6 참조).
이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축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경우를 방지하기 위해서이다.
만약,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축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에 의해 헛돌게 되면, 상기 모터부(20)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30)로 전달되지 못할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함입부(231) 및 상기 제2 함입부(321)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모터장착홀(32)내에서 미끄럼 접촉되는 것을 방지하고, 상기 모터부(20)의 회전력이 상기 회동부(30)로 전달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바디부(10)는, 바디본체(11), 모터체결홀(13) 및 감지부체결부(1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바디본체(11)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고, 상기 모터체결홀(13)에는, 상기 모터부(20)가 체결되며, 상기 감지부체결부(15)는, 상기 감지부(50)를 상기 바디본체(11)로 장착시킬 수 있다.
상기 장착부(40)는, 축형성부(41), 접촉롤러부(43) 및 축고정부(45)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축형성부(41)는, 상기 장착부장착홀(33)에 삽입될 수 있다.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축형성부(41)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할 수 있다.
상기 축고정부(45)는, 상기 축형성부(41)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41)가 상기 장착부장착홀(33)로부터 이탈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매개부(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개부(70)는, 상기 브레이크 페달(P)의 상기 접촉롤러부(43)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43)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P)에 전달할 수 있다.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매개부(70)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70)를 따라 구름 접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접촉롤러부(43)는, 상기 매개부(70)의 상면에 접촉된 채, 상기 매개부(70)의 상면을 따라 슬라이딩 되며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거나 가압해제 할 수 있다.
상기 감지부(50)는, 중앙에 감지공간(G)을 형성하며, 상기 감지공간(G)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354)의 유무를 감지할 수 있다(도 4의 확대도 참조).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제어부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고, 도 6 및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모터부, 회동부 및 연동부의 회동을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6의 (a), (b), (c)는 도 6의 A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고, 도 7의 (a), (b), (c)는 도 7의 B부분을 확대한 확대도이다.
도 5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모터회동축(23)은 제1 방향(M) 또는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M)은, 상기 접촉롤러부(43)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는 방향이고(도 6 참조), 상기 제2 방향(N)은 상기 접촉롤러부(43)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해제 하는 방향일 수 있다(도 7 참조).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 후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상기 제1 방향(M)으로의 회전에 의해 무조건 회전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에 접촉되고 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가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에 접촉 되어야만 상기 연동본체(351)에 상기 모터회동축(23)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 후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전에 의해 무조건 회전 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에 접촉되고 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전하는 경우에만,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상기 제2 내측단(3522b)의 이격거리가 상기 장착목(37)의 폭 보다 크게 형성되므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에 접촉 되어야만 상기 연동본체(351)에 상기 모터회동축(23)의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에 의한 상기 회동부(30) 및 상기 연동부(35)의 회전에 대해 설명하겠다.
먼저, 도 6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방향(M)으로의 위치이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6의 (a)는 상기 장착목(37), 상기 회동부(30), 및 상기 연동부(35)의 초기위치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초기위치에서의 상기 접촉롤러부(43)는,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지 않은 상태일 수 있다.
상기 초기위치에서 상기 장착목(37)은 제1 위치에 위치하고,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관통편(3522)의 중앙에 위치하는 위치일 수 있다(도 6의 (a) 참조).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1 위치에서 제2 위치로 이동되어, 상기 접촉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하도록 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도 6의 (b)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장착목(37)과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지만,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이 때문에,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위치 또는 상기 제2 위치에 위치할 경우 상기 탐지바(354)는, 위치이동 되지 않고 상기 감지부(50)의 감지공간(G) 내에 위치될 수 있다(도 6의 (a), (b) 참조).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4 위치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1 내측단(3522a)과 접촉한 채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동되어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연동본체(351)에 의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되어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완전히 이탈되면, 브레이크 페달(P)은, 상기 접촉롤러부(43)에 의해 최대로 가압된 상태일 수 있다.
도 7을 참조하여,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위치이동에 대해 설명하면, 도 7의 (a)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 위치하고 있는 상태를 도시한 개략도이다.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도 7의 (a) 및 (b) 참조).
여기서, 제3 위치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되는 위치일 수 있다(도 7의 (b) 참조).
구체적으로,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 회동되는 동안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장착목(37)과 연동되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지만,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지 않을 수 있다.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 이동되는 경우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될 수 있다.
다시 말해, 상기 제5 위치는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내측단(3522b)과 접촉한 채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어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되도록 하는 위치일 수 있다.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4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 회동됨에 따라 상기 접촉롤러부(43)는, 브레이크 페달(P)을 가압해제 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 되어있던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연동본체(351)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공간(G)내로 이동되고, 최대 각도로 회동되면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상기 연결장착홀(353)은, 상기 연결부(36)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36)와 상기 연동본체(351)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도 6의 (c) 참조).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는 경우, 이는 상기 접록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를 최대로 가압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1 방향(M)으로 더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50)에 의해 상기 탐지바(354)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20)를 제어할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이는, 상기 접촉롤러부(43)가 브레이크 페달(P)을 완전히 가압해제 한 상태이므로, 상기 제어부(60)가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전시키지 않고 정지하도록 제어하는 것이다.
상기 바디부(10)는, 스토퍼(17)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스토퍼(17)는, 상기 회동부(30)와 대향하도록 배치된 채, 상기 회동부(30)의 상기 제2 방향(N)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어부(60) 및 상기 스토퍼(17)를 구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23)의 제2 방향(N)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7을 참조하면, 상기 회동부(30)는,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동중에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상기 제2 방향(N)으로 더 회동되지 못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37)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제1 모드, 제2 모드 및 제3 모드를 구현되도록 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제1 모드의 구현이 완료되면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으로부터 이탈된 상태일 수 있다(도 7의 (c) 참조).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1 모드 구현 중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스토퍼(17)에 의해 회동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1 방향(M)으로 기 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1 각도란,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회동하는 경우,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된 채 회동되어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될 수 있도록 하는 각도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모터회동축(23)이 상기 제1 방향(M)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되면, 도 6의 (b)의 경우처럼 상기 탐지바(354)가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될 수 있다
상기 제어부(60)는, 상기 제2 모드를 구현한 후, 상기 모터회동축(23)을 상기 제2 방향(N)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상기 제3 모드를 구현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각도란, 상기 장착목(37)이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될 수 있는 각도를 의미한다.
상기 제어부(60)에 의해 상기 제3 모드가 구현되면, 상기 장착목(37)은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위치로 위치이동 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연동본체(351)는 상기 회동부(30)와 연동되어 회전되지 않기 때문에 상기 탐지바(354)는 상기 감지공간(G)내에 위치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상기 제3 모드까지 구현되면, 상기 회동부(30), 상기 연동부(35) 및 상기 장착목(37)은 도 6의 (a)에 도시된 상기 초기위치에 위치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매개부를 설명하기 위한 개략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의 상기 매개부(70)는, 매개본체(71) 및 매개고정부(73)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본체(71)는, 브레이크 페달(P)에 부착되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매개경사부(711)는,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P)에 발(F)을 위치시키는 경우 발(F)의 앞단이 상기 매개본체(71)와 맞닿아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매개본체(71)에 상기 매개경사부(711)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상기 매개고정부(73)는, 상기 매개본체(71)가 브레이크 페달(P)에 고정되도록 하며, 제1 고정편(731) 및 제2 고정편(732)을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편(731)은, 상기 매개본체(71)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P)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1 고정경사부(731a)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경사부(711)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편(731)은, 상기 매개본체(71)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P)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될 수 있으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할 수 있다.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할 수 있으며, 상기 매개경사부(711)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할 수 있다.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는,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만약,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하지 않는다면 사용자가 브레이크 페달(P)에 발(F)을 위치시키는 경우 발(F)의 앞단이 상기 고정편(731, 732)과 맞닿아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데 불편함을 줄 수 있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본 발명에서는 상기 제1 고정경사부(731a)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미도시)를 구비하여, 브레이크 페달(P)을 밟는 사용자 발(F)의 앞단이 위치하도록 할 수 있다(도 8의 (b) 참조).
본 발명의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1)은 자율주행 차량에 내장된 브레이크 제어시스템과 별도로 설치/구동되어, 차량의 브레이크 시스템을 구현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가 모터부(20)에 연결된 수신장치로 신호를 보내어 모터부(20)를 구동시킴으로써, 차량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과 별도로 차량의 브레이크를 제어할 수 있다. 이는, 자율주행 차량을 시험/평가하기 위한 과정에서, 예기치 못한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의 결함으로 인한 차량 파손을 방지하거나 차량에 의한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함이다.
또는, 사용자에 의한 임의 제어와는 별개로, 비정상적인 차량 구동 신호가 감지되면 스스로 모터부(20)가 구동되도록 하여, 차량 자체 브레이크 시스템을 보조하는 역할로 이용될 수도 있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기준으로 본 발명의 구성과 특징을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과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와 같은 변경 또는 변형은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을 밝혀둔다.
1: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10: 바디부
20: 모터부 21: 모터본체
23: 모터회동축 30: 회동부
35: 연동부 36: 연결부
37: 장착목 40: 장착부
43: 접촉롤러부 50: 감지부
60: 제어부 70: 매개부
P: 브레이크 페달 G: 감지공간

Claims (9)

  1. 자율주행 차량의 브레이크 페달 각도를 변화시키기 위하여, 차량 내부에 설치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물리적으로 가압하거나 가압 해제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에 있어서,
    차량내부에 설치되되, 브레이크 페달과 인접하게 배치된 바디부;
    연결된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되고, 상기 바디부에 장착되며, 외부로부터 인가된 전원에 의해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부;
    상기 모터부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부에 의해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동되는 회동부;
    상기 회동부에 장착되며, 상기 회동부와의 연동에 따라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여, 브레이크 페달의 각도를 변화시키는 장착부;
    상기 바디부에 연결되며, 상기 수신장치에 수신된 신호에 따라 구동된 상기 모터부에 의한 상기 회동부의 회동 위치를 감지하는 감지부; 및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된 값을 기초로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모터부는,
    회전력을 발생시키는 모터본체 및
    상기 모터본체로부터 발생된 회전력에 의해 회전되는 모터회동축을 구비하며,
    상기 회동부는,
    회동본체,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장착되는 장착공간을 제공하는 모터축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장착부장착홀,
    상기 회동본체를 관통 형성되고, 상기 모터축장착홀과 이격되어 배치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을 기준으로 회동되는 연동장착홀,
    상기 회동본체에 연결된 채, 상기 모터회동축과 연동되며, 상기 회동본체의 외측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의해 감지되는 연동부 및
    상기 연동부를 관통한 채, 상기 연동장착홀에 체결되어 상기 연동부와 상기 회동본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연동부는,
    상기 바디부와 상기 회동본체 사이에 배치되는 연동본체,
    상기 연동본체의 중앙을 관통하여 형성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통과하는 관통홀,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따라 관통되어 형성되며, 상기 연결부가 삽입되는 통로를 제공하는 연결장착홀 및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감지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탐지바를 구비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회동본체의 회동에 연동되어 회동되는 상기 연동본체의 위치에 따라, 상기 감지부에 감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모터회동축은,
    원통형으로 형성되되, 외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1 함입부를 구비하며,
    상기 모터축장착홀은,
    내주면으로부터 함입된 제2 함입부를 구비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제1 함입부 및 상기 제2 함입부에 동시에 삽입되어,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모터축장착홀 내에서의 미끄럼 접촉을 방지하는 장착목을 더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관통홀은,
    상기 모터회동축이 삽입되는 제1 관통편 및 상기 제1 관통편과 연결되며, 상기 장착목이 삽입되는 제2 관통편으로 구성되며,
    상기 제2 관통편은,
    상기 제1 관통편으로부터 상기 연동본체의 테두리를 향해 함입되어 형성된 제1 내측단과 제2 내측단에 의해 규정되고,
    상기 제1 내측단과 상기 제2 내측단의 이격거리는, 상기 장착목의 폭보다 크게 형성되며,
    상기 연동본체는,
    상기 모터회동축의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1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되고,
    상기 모터회동축의 상기 제1 방향의 반대방향인 제2 방향으로의 회전 중에, 상기 장착목과 상기 제2 내측단과의 접촉 후의 계속된 회전에 따라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며,
    상기 장착목은,
    상기 제2 관통편의 중앙에 위치한 제1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1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2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4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 중에 상기 제2 내측단과 접촉되는 제3 위치로 이동되며,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어 제5 위치로 이동되고,
    상기 회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연동되어 회전되고,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회전되지 않으며,
    상기 연결장착홀은,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2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1 위치에서 상기 제3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연결부와 상기 연동본체가 상호 간섭되지 않도록 상기 연결부의 회동 반경과 대응되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부장착홀에 삽입되는 축형성부,
    상기 축형성부에 회전 가능하도록 장착되며,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는 접촉롤러부 및
    상기 축형성부의 일측단 및 타측단에 고정되어 상기 축형성부의 상기 장착부장착홀로부터의 이탈을 방지하는 축고정부를 구비하며,
    브레이크 페달의 상기 접촉롤러부와의 대향면에 부착되어 상기 접촉롤러부와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른 가압력을 브레이크 페달에 전달하는 매개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롤러부는,
    상기 매개부에 접촉된 채, 상기 회동부의 회동에 따라 상기 매개부를 따라 구름 접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부는,
    감지공간에 위치한 상기 탐지바의 유무를 감지하며,
    상기 연동부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2 위치에서 상기 제4 위치로의 위치 이동 또는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 중에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회전되며,
    상기 탐지바는,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 상기 제2 위치 및 상기 제3 위치에서, 상기 감지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4 위치 및 상기 제5 위치로의 위치 이동에 따라 연동되어 상기 감지공간으로부터 이탈되며,
    상기 장착부는,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하며,
    상기 장착목에 의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동되는 상기 회동부와 연동되어 브레이크 페달을 가압 해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1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며,
    상기 모터회동축이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 중에, 상기 감지부에 의해 상기 탐지바가 감지되지 않으면,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하도록 상기 모터부를 제어하고,
    상기 바디부는,
    상기 회동부와 대향하도록 배치되는 스토퍼를 구비하며,
    상기 스토퍼는,
    상기 회동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회동 범위를 제한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제1 위치에서 벗어난 상기 장착목의 상기 제1 위치로의 위치 조정을 위하여,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회전시키는 제1 모드,
    상기 회동부의 상기 스토퍼에 의한 회동 제한에 따라 상기 모터회동축이 정지되면,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1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1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2 모드 및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각도만큼 회전된 상기 모터회동축을 상기 제2 방향으로 기설정된 제2 각도만큼 회전시키는 제3 모드를 순차적으로 구현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8. 제6항에 있어서,
    상기 매개부는,
    브레이크 페달에 부착되는 매개본체 및
    상기 매개본체가 브레이크 페달에 고정되도록 하는 매개고정부를 구비하며,
    상기 매개본체는,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매개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매개경사부는,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며,
    상기 매개고정부는,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일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일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1 고정편 및
    매개본체의 길이방향 타측단과 브레이크 페달의 타측면에 동시에 체결되는 제2 고정편을 구비하고,
    상기 제1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1 고정경사부를 구비하고,
    상기 제2 고정편은,
    하측단으로부터 경사면을 형성하는 제2 고정경사부를 구비하며,
    상기 제1 고정경사부 및 상기 제2 고정경사부는,
    상기 매개경사부와 동일한 경사면을 제공하며, 브레이크 페달을 밟는 사용자 발의 앞단이 위치하는 공간을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차량 내부에 장착되는 바디본체,
    상기 모터부가 체결되는 모터체결홀 및
    상기 감지부의 상기 바디본체로의 장착을 위한 감지부체결부를 구비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KR1020210094422A 2021-07-19 2021-07-19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KR1023266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326675B1 true KR102326675B1 (ko) 2021-11-22

Family

ID=7871762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94422A KR102326675B1 (ko) 2021-07-19 2021-07-19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6675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018A1 (zh) * 2022-07-30 2024-02-08 宁德时代(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制动控制设备以及制动控制***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47B1 (ko) 2019-07-10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자율 감속 제어 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86447B1 (ko) 2019-07-10 2020-03-09 주식회사 케이에이알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자율 감속 제어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4027018A1 (zh) * 2022-07-30 2024-02-08 宁德时代(上海)智能科技有限公司 车辆制动控制设备以及制动控制***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782368B1 (ko) 차량 및 그 제어 방법
KR102086447B1 (ko) 자율 주행 시스템 및 자율 감속 제어 장치
EP0634979B1 (fr) Installation de commandes de vehicule automobile pour l'assistance a la conduite de personnes handicapees
US20100222976A1 (en) Driving assistance system having presence monitoring
KR101999689B1 (ko) 차량의 가감속 제어장치
KR102326675B1 (ko) 차량 브레이크 제어시스템
KR101754310B1 (ko) 전기 자동차용, 또는 스로틀 기구를 구비한 자동차용 페달 장치
US20090212935A1 (en) Anti-collision Emergency Braking System
EP1186494A3 (en) Brake fluid pressure retaining apparatus
US10099664B2 (en) Adjustable brake apparatus for use with vehicles
KR970069720A (ko) 차량용 전자식 주차브레이크장치 및 제어방법
CN112824201B (zh) 自动行驶***及自动转向装置
US20050067889A1 (en) Brake-by-wire input device arrangment
CN102859463B (zh) 车辆控制***
KR101514419B1 (ko) 차량 탑승자 안전제어시스템 및 그 제어방법
US5257673A (en) Braking control system for a vehicle driven by an electric motor
KR20170090152A (ko) 이피비와 이에스씨를 이용한 차량의 비상 제동 장치 및 방법
US6356190B1 (en) Brake early warning system and method of use
KR20190113217A (ko) 차량의 에어-백 전개 후 자동 제동장치 및 그 방법
KR20190068898A (ko) 차량의 제동 제어 장치 및 방법
JPH05162623A (ja) 自動ブレーキ装置
JP2015160455A (ja) 車両のブレーキ・アクセル誤操作防止装置
WO1997033781A3 (de) Vorrichtung zum Bremsen
JP3094617B2 (ja) バッテリ式トーイングトラクタにおけるトレーラ連結作業時の走行制御装置
KR101903669B1 (ko) 차량용 브레이크페달 및 엑셀페달 인지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