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4866B1 -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 Google Patents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4866B1
KR102324866B1 KR1020150072936A KR20150072936A KR102324866B1 KR 102324866 B1 KR102324866 B1 KR 102324866B1 KR 1020150072936 A KR1020150072936 A KR 1020150072936A KR 20150072936 A KR20150072936 A KR 20150072936A KR 102324866 B1 KR102324866 B1 KR 1023248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ea
light source
light
guide plate
reg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729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139099A (ko
Inventor
박경재
류제일
Original Assignee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729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4866B1/ko
Priority to US15/162,118 priority patent/US9904108B2/en
Priority to TW105116250A priority patent/TWI637214B/zh
Priority to CN201610357152.6A priority patent/CN106200114B/zh
Publication of KR2016013909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13909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48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48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15Edge-illuminating devices, i.e. illuminating from the sid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66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characterised by the light source being coupled to the light guide
    • G02B6/0068Arrangements of plural sources, e.g. multi-colour light sour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02B6/0021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for housing at least a part of the light source, e.g. by forming holes or recess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on the light output side of the light guide
    • G02B6/0053Prismatic sheet or layer; Brightness enhancement element,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6Illuminating devices
    • G02F1/133602Direct backlight
    • G02F1/133606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 G02F1/133607Direct backlight including a specially adapted diffusing, scattering or light controlling members the light controlling member including light directing or refracting elements, e.g. prisms or lens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406Control of illumination sour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16Grooves, prisms, gratings, scattering particles or rough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1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2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by shaping at least a portion of the light guide, e.g. with collimating, focussing or diverging surfac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1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 G02B6/002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in of light from the light source into the light guide provided by one optical element, or plurality thereof, placed between the light guide and the light source, or around the light source
    • G02B6/003Lens or lenticular sheet or layer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6/00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 G02B6/000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G02B6/0011Light guides; Structural details of arrangements comprising light guides and other optical elements, e.g. couplings specially adapted for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 light guides being planar or of plate-like form
    • G02B6/0033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 G02B6/0035Means for improving the coupling-out of light from the light guide provided on the surface of the light guide or in the bulk of it
    • G02B6/00362-D arrangement of prisms, protrusions, indentations or roughened surface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Planar Illumination Modules (AREA)
  • Liquid Crystal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Geometry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액정패널은 메인 표시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다. 백라이트유닛은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과,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다.

Description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Back Light Unit,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Driv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사용자와 정보간의 연결 매체인 표시장치의 시장이 커지고 있다. 이에 따라, 액정표시장치(Liquid Crystal Display: LCD),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OLED) 및 플라즈마액정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과 같은 표시장치의 사용이 증가하고 있다. 그 중 고해상도를 구현할 수 있고 소형화뿐만 아니라 대형화가 가능한 액정표시장치가 널리 사용되고 있다.
액정표시장치에는 액정패널과 백라이트유닛이 포함된다. 액정패널은 박막 트랜지스터, 스토리지 커패시터 및 화소전극 등이 형성된 트랜지스터기판과 컬러필터 및 블랙매트릭스 등이 형성된 컬러필터기판 사이에 위치하는 액정층을 포함한다.
백라이트유닛은 액정패널에 빛을 제공하는 광원(예: 발광다이오드 LED) 및 광원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가 형성된 광원 기판,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도광판, 도광판의 하부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도광판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집광 및 확산하는 광학시트 등이 포함된다.
앞서 설명된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장치의 구현 시 사용된다. 한편, 종래에는 액정패널을 사각형(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각형 형태의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 액정패널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자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액정패널을 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제작할 경우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이슈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바 이의 연구 및 개선이 요구된다.
상술한 배경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A영역) 외에 하나 이상의 서브 표시영역(B영역)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때,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해소하는 것이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으로 본 발명은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액정패널은 메인 표시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다. 백라이트유닛은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과,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다.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액정패널 및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를 제공한다. 액정패널은 메인 표시영역과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다. 백라이트유닛은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과,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다.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출사되는 빛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도광판은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은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갖고, 프리즘 도트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제2광원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이 동일하다.
제2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는 제1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보다 더 낮을 수 있다.
도광판은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은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갖고,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높이, 폭, 밀도,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를 수 있다.
도광판은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갖고, 제1영역과 제2영역 간의 경계부에서 제1돌출부와 제2돌출부의 높이, 폭, 밀도,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점진적으로 달라질 수 있다.
도광판은, 제2영역의 입광면에 위치하고, 도광판을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의 크기가 다른 비대칭 톱니 모양의 함몰부를 가질 수 있다.
도광판은, 제2영역의 입광면에 위치하고, 도광판을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보다 이들 사이의 중심이 더 볼록하게 돌출된 렌즈 모양의 렌즈부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도광판 및 광원을 포함하는 백라이트유닛을 제공한다. 도광판은 액정패널의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액정패널의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이 일체형으로 구성된다. 광원은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다. 제1광원과 제2광원은 출사되는 빛의 방향이 서로 다르다.
또 다른 측면에서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 액정패널,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 및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을 제공한다.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은 액정패널의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한다. 구동 단계에서는 백라이트유닛의 제1광원과 제2광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킨다.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A영역) 외에 하나 이상의 서브 표시영역(B영역)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때, 서브 표시영역에 개별 구동이 가능한 광원을 추가 설치하고, 서브 표시영역(B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단일로 구성된 도광판에 의해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이 영상을 따로 또는 같이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표시영역에 설치된 광원으로 인한 빛 퍼짐이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 사이에 경계영역이 인지되는 문제를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영역 외에 별도의 서브 표시영역을 구성하여 부가적인 정보의 표현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의 표시영역의 면적이 넓어지고, 베젤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
도 3은 액정패널 및 백락이트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
도 4는 실험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
도 10은 돌출영역에 설치된 광원만을 발광시킬 때 빛의 퍼짐이나 중첩 등에 의해 휘도 분균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
도 11 내지 도 15는 돌출영역에 설치된 광원만을 발광시킬 때 발생하는 휘도 분균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
이하, 본 발명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은 액정표시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에 도시된 서브 픽셀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회로도이며, 도 3은 액정패널 및 백락이트유닛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액정표시장치에는 타이밍제어부(130), 게이트구동부(140), 데이터구동부(150), 액정패널(160) 및 백라이트유닛(170)이 포함된다.
타이밍제어부(130)는 게이트구동부(14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와 데이터구동부(150)의 동작 타이밍을 제어하기 위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를 출력한다. 타이밍제어부(130)는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와 함께 영상처리부(11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를 데이터구동부(150)에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타이밍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 타이밍 제어신호(GDC)에 응답하여 게이트전압의 레벨을 시프트시키면서 게이트신호를 출력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게이트라인들(GL)을 통해 액정패널(16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게이트신호를 공급한다. 게이트구동부(14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되거나 액정패널(160)에 게이트인패널(Gate In Panel) 방식으로 형성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타이밍제어부(13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 타이밍 제어신호(DDC)에 응답하여 데이터신호(DATA)를 샘플링하고 래치하며 감마 기준전압으로 변환하여 출력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데이터라인들(DL)을 통해 액정패널(160)에 포함된 서브 픽셀들(SP)에 데이터신호(DATA)를 공급한다. 데이터구동부(150)는 IC(Integrated Circuit) 형태로 형성된다.
액정패널(160)은 게이트구동부(140)로부터 공급된 게이트신호와 데이터구동부(150)로부터 공급된 데이터신호(DATA)에 대응하여 영상을 표시한다. 액정패널(160)은 백라이트유닛(170)을 통해 제공된 빛을 제어하는 서브 픽셀들(SP)이 포함된다.
하나의 서브 픽셀에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 스토리지 커패시터(Cst) 및 액정층(Clc)이 포함된다.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게이트전극은 게이트라인(GL1)에 연결되고 소오스전극은 데이터라인(DL1)에 연결된다. 스토리지 커패시터(Cst)는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드레인전극에 일단이 연결되고 공통전압라인(Vcom)에 타단이 연결된다. 액정층(Clc)은 스위칭 트랜지스터(SW)의 드레인전극에 연결된 화소전극(1)과 공통전압라인(Vcom)에 연결된 공통전극(2) 사이에 형성된다.
액정패널(160)은 화소전극(1) 및 공통전극(2)의 구조에 따라 TN(Twisted Nematic) 모드, VA(Vertical Alignment) 모드, IPS(In Plane Switching) 모드, FFS(Fringe Field Switching) 모드 또는 ECB(Electrically Controlled Birefringence) 모드로 구현된다.
백라이트유닛(170)은 빛을 출사하는 광원 등을 이용하여 액정패널(160)에 빛을 제공한다. 백라이트유닛(170)은 빛을 출사하는 제1광원(예: 발광다이오드 LED)(172), 제1광원(172)을 구동하는 광원 구동부, 제1광원(172)이 실장된 제1광원 기판,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된 빛을 면광원으로 변환시키는 도광판(175), 도광판(175)의 하부에서 빛을 반사시키는 반사판, 도광판(175)으로부터 출사된 빛을 집광 및 확산하는 광학시트(176) 등이 포함된다. 액정패널(160) 및 백라이트유닛(170)은 상부커버(가이드 패널 등) 및 하부커버(커버버텀 등) 사이에 수납되어 액정패널 모듈 형태로 제작된다.
앞서 설명된 액정표시장치는 텔레비전, 스마트폰, 스마트워치 등 다양한 장치의 구현 시 사용된다. 종래에는 액정패널을 사각형(또는 직사각형) 형태로 제작하였다. 그러나 최근에는 사각형 형태의 정형화된 틀을 벗어나 액정패널을 다양한 형태로 제작하고자 연구 개발을 진행하고 있다. 그런데 액정패널을 사각형이 아닌 다른 형태로 제작할 경우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이슈가 다양하게 존재할 수 있는바 이의 연구 및 개선이 요구된다.
이하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스마트폰으로 구현하되, 액정패널의 일 측면에 다른 측면 대비 더 돌출된 돌출영역을 마련한다. 그리고 돌출영역을 엑스트라 인디케이터(Extra Indicator) 영역으로 사용시 백라이트유닛 및 액정패널 상에서 발생하는 이슈를 연구 및 개선할 수 있는 예를 실시예로 설명한다.
한편, 돌출영역은 액정패널의 일 측면에 수평 돌출(또는 확장)되고 이는 표시영역에 표시되는 영역과 다른 영상이나 정보를 표시할 수 있므로 서브 표시영역으로 정의될 수 있다. 액정패널에 서브 표시영역을 부가하면 표시부 면적이 확장된다. 그러므로 액정표시장치를 스마트폰 등으로 구현시 부가적인 정보의 표현 기능 등이 향상하게 된다. 이하의 설명에서는 돌출영역을 액정패널의 상측 면에 마련한 것을 일례로 하나 이는 좌측, 우측 및 하측면 중 하나 이상에 마련될 수도 있다. 또한, 이하의 설명에서는 액정표시장치를 스마트폰으로 구현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나, 본 발명은 테블릿 등의 휴대기기는 물론 다른 액정패널의 표시면이 사각형이 아닌 다각형(또는 이형)으로 구현되는 표시장치에 적용 가능함은 물론이다.
도 4는 실험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5는 제1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제1실시예에 따른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평면도이다.
도 4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우 상측 면의 돌출영역(IA)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구현하였다.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또는 사용 가능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돌출영역(IA)과 이웃하는 좌측에는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외부모듈 영역(115)이 위치한다.
실험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을 통해 현재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고,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이 표시된다. 실험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영역 및 돌출영역(IA)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도 4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실험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이 모두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은 모두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A영역(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175a)을 따라 제1방향(L1)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상단에 도달한 빛은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175b)으로 전달된다. 그런데 위의 예와 달리,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은 일부(돌출영역에 대응되는 LED)만 발광하게 된다.
<제1실시예>
도 5 (a)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우 상측 면에 돌출영역(IA)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구현하였다. 돌출영역(IA)에는 실험예와 같이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또는 사용 가능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돌출영역(IA)과 이웃하는 좌측에는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외부모듈 영역(115)이 위치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 또한 표시영역을 통해 현재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고,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영역 및 돌출영역(IA)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한편, 돌출영역(IA)은 표시영역과 달리 항시 정보를 표시하고 있는 상태(계속 발광 상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실험예에서 얻은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광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광원(172)(달리 설명하면, Main LED) 외에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영역에 제2광원(173)(달리 설명하면, Sub LED)를 설치하였다. 제2광원(173)는 제1광원(172)와 달리 빛을 제2방향(L2)으로 출사한다.
즉, 제2광원(173)는 우측 돌출영역(IA)의 좌측에 설치된다. 도광판(175)을 기준으로 보면, 제2광원(173)는 B영역(175b)의 좌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한편,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제1방향(L1)은 수직 방향(상측 방향)에 해당하지만 제2방향(L2)은 수평 방향(좌측 방향)에 해당한다.
도 5 (b) 및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이 모두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와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는 모두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A영역(표시영역)(175a)을 따라 제1방향(L1)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광원(173)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175b)을 따라 제2방향(L2)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예와 달리,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에는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만 발광하게 된다. 즉,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 제1광원(172)은 비발광(턴오프) 하게 된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1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돌출영역(IA)만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돌출영역(IA)과 인접한 제2광원(173)만 발광시키면 되는바 실험예 대비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제2광원(173)의 개수는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175b)의 면적이나 크기에 대응하여 결정된다. 따라서, 도면에서는 제1실시예의 일환으로 제2광원(173)가 2개 설치된 것을 일례로 하였으나 이는 I(I는 1 이상 정수)개로 구성될 수 있다.
이하, 다른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제2실시예>
도 7은 제2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도 8은 제3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9는 제4실시예에 따라 구현된 스마트폰 그리고 이의 내부에 포함된 백라이트유닛의 일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7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좌 상측 면에 돌출영역(IA)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구현하였다. 돌출영역(IA)에는 실험예와 같이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또는 사용 가능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돌출영역(IA)과 이웃하는 좌측에는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외부모듈 영역(115)이 위치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 또한 표시영역을 통해 현재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고,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영역 및 돌출영역(IA)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실험예에서 얻은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광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광원(172)(달리 설명하면, Main LED) 외에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영역에 제2광원(173)(달리 설명하면, Sub LED)를 설치하였다. 제2광원(173)는 제1광원(172)와 달리 빛을 제3방향(L3)으로 출사한다.
즉, 제2광원(173)는 좌측 돌출영역(IA)의 우측에 설치된다. 도광판(175)을 기준으로 보면, 제2광원(173)는 B영역(175b)의 우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한편,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제1방향(L1)은 수직 방향(상측 방향)에 해당하지만 제2방향(L2)은 수평 방향(우측 방향)에 해당한다.
도 7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이 모두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와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는 모두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A영역(표시영역)(175a)을 따라 제1방향(L1)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광원(173)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175b)을 따라 제3방향(L3)으로 진행하게 된다. 그리고 위의 예와 달리,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에는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만 발광하게 된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돌출영역(IA)만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돌출영역(IA)과 인접한 제2광원(173)만 발광시키면 되는바 실험예 대비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제3실시예>
도 8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좌우 상측 면에 돌출영역(IA)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구현하였다. 좌 상측 돌출영역(IA1)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 등이 표시되고, 우 상측 돌출영역(IA2)에는 배터리의 충전 상태(또는 사용 가능 시간) 등이 표시된다.
돌출영역(IA) 사이에는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외부모듈 영역(115)이 위치한다. 외부모듈 영역(115)이 존재하게 됨에 따라 액정패널의 좌우 상측 면의 돌출영역(IA)은 좌 상측 돌출영역(IA1)과 우 상측 돌출영역(IA2)으로 이격 분리된다. 이로 인하여, 도광판(175) 또한 좌 상측 돌출영역(IA1)에 대응되는 좌B영역(175bL)과 우 상측 돌출영역(IA2)에 대응되는 우B영역(175bR)으로 이격 분리되는 구조를 갖는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 또한 표시영역을 통해 현재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고,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영역 및 돌출영역(IA) 중 하나 또는 좌 상측 돌출영역(IA1)이나 우 상측 돌출영역(IA2)만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실험예에서 얻은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광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광원(172)(달리 설명하면, Main LED) 외에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영역인 외부모듈 영역(115)에 제2-1 및 제2-2광원(173)(달리 설명하면, Sub LED)을 설치하였다.
즉, 제2-1 및 제2-2광원(173)은 좌 상측 돌출영역(IA1)과 우 상측 돌출영역(IA2) 사이에 설치된다. 도광판(175)을 기준으로 보면, 제2-1 및 제2-2광원(173)은 좌B영역(175bL)과 우B영역(175bR) 사이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2-1 및 제2-2광원(173)은 제1광원(172)와 달리 빛을 제2방향(L2)으로 출사하는 제2-1광원(173b)와 제3방향(L3)으로 출사하는 제2-2광원(173a)을 포함한다.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제1방향(L1)은 수직 방향(상측 방향)에 해당하지만 제2방향(L2)은 제1수평 방향(우측 방향)에 해당하고, 제3방향(L3)은 제2수평 방향(좌측 방향)에 해당한다.
도 8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이 모두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와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1 및 제2-2광원(173)은 모두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A영역(표시영역)(175a)을 따라 제1방향(L1)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광원(173)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175bL, 175bR)을 따라 제2 및 제3방향(L2, L3)으로 진행하게 된다.
위의 예와 달리,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에는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1 및 제2-2광원(173)은만 발광하게 된다. 그러나 돌출영역(IA) 중 우 상측 돌출영역(IA2)만 구동할 때에는 제2-1광원(173b)만 발광하게 되고, 좌 상측 돌출영역(IA1)만 구동할 때에는 제2-2광원(173a)만 발광하게 된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돌출영역(IA)만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돌출영역(IA)과 인접한 제2-1 및 제2-2광원(173)만 발광시키면 되는바 실험예 대비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또한, 제3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좌우로 구분된 돌출영역(IA)을 선택적으로 구동할 수 있고, 이에 대응하여 제2-1 및 제2-2광원(173) 중 하나만 발광시키면 되는바 실험예 대비 소비전력을 더욱 저감할 수 있다.
<제4실시예>
도 9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서는 액정패널의 우측 면에 돌출영역(IA)을 마련하고 이를 이용하여 스마트폰(100)을 구현하였다. 우측 돌출영역(IA1)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 배터리의 충전 상태(또는 사용 가능 시간), 단문 메시지, 사용자 지정 정보 또는 사용자 지정 버튼 등이 표시된다. 그러나 돌출영역(IA)은 액정패널의 좌측 면에 마련될 수도 있다.
우측 돌출영역(IA)의 상측에는 카메라나 조도 센서 등이 구비되는 외부모듈 영역(115)이 위치한다. 액정패널의 우측 면의 돌출영역(IA)은 외부모듈 영역(115)이 존재하게 됨에 따라 상측의 일부를 제외하고 표시영역의 길이 방향(y 방향)에 대응되도록 형성된다. 이로 인하여, 도광판(175) 또한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175a)과 우측 돌출영역(IA)에 대응되는 B영역(175b)을 갖게 된다. 한편, 우측 돌출영역(IA)과 외부모듈 영역(115)은 표시영역과 같은 방향으로 빛을 발광하지 않고 측면(스마트폰의 엣지를 의미하는 측면 방향)으로 빛을 발광하는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 또한 표시영역을 통해 현재시간이나 사용자가 지정한 어플리케이션 등이 표시되고, 돌출영역(IA)에는 기지국의 수신 상태나 배터리의 충전 상태 등이 표시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을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거나 표시영역 및 돌출영역(IA) 중 하나만 선택적으로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도록 구현된다.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실험예에서 얻은 실험 결과를 기반으로 광원의 사용량을 최소화하기 위해 제1광원(172)(달리 설명하면, Main LED) 외에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영역인 외부모듈 영역(115)에 제2광원(173)(달리 설명하면, Sub LED)를 설치하였다.
즉, 제2광원(173)는 우측 돌출영역(IA)의 상측에 설치된다. 도광판(175)을 기준으로 보면, 제2광원(173)는 B영역(175b)의 상측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는 것으로 설명된다.
제2광원(173)는 제1광원(172)와 달리 빛을 제4방향(L4)으로 출사한다. 즉, 제2광원(173)는 제1광원(172)의 반대 방향에서 빛을 출사한다. 도면에서 보았을 때, 제1방향(L1)은 제1수직 방향(상측 방향)에 해당하지만 제4방향(L4)은 제2수직 방향(하측 방향)에 해당한다.
도 9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IA)이 모두 구동할 때 스마트폰(100)의 하단에 위치하는 제1광원(172)와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는 모두 빛을 발광하게 된다. 이에 따라, 제1광원(172)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A영역(표시영역)(175a)을 따라 제1방향(L1)으로 진행하게 되며 하단에서 상단으로 전달된다. 그리고 제2광원(173)로부터 출사되는 빛은 도광판(175)의 B영역(돌출영역)(175b)을 따라 제4방향(L4)으로 진행하게 되며 상단에서 하단으로 전달된다. 위의 예와 달리, 돌출영역(IA)만 구동할 때에는 돌출영역(IA)과 인접하는 제2광원(173)만 발광하게 된다.
위의 예에서 알 수 있듯이, 제4실시예에 따른 스마트폰(100)은 돌출영역(IA)만 구동하여 정보를 표시하고자 할 때 돌출영역(IA)과 인접한 제2광원(173)만 발광시키면 되는바 실험예 대비 소비전력을 저감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들과 같은 형태로 스마트폰을 제작한 경우, 백라이트유닛의 구성 및 구조에 따라 다를 수 있지만 기존에 존재하던 광원과 돌출영역에 추가로 설치된 광원을 따로 또는 같이 발광시킬 때, 빛의 퍼짐이나 중첩 등에 의해 휘도 분균일 현상이 야기될 수 있음을 발견하였다.
이하에서는 돌출영역에 설치된 광원만을 발광시킬 때 빛의 퍼짐이나 중첩 등에 의해 휘도 분균일 현상과 이를 개선할 수 있는 방안에 대해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설명의 단순화를 위해 제1실시예의 스마트폰을 일례로 설명한다.
도 10은 돌출영역에 설치된 광원만을 발광시킬 때 빛의 퍼짐이나 중첩 등에 의해 휘도 분균일 현상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 내지 도 15는 돌출영역에 설치된 광원만을 발광시킬 때 발생하는 휘도 분균일 현상을 개선하기 위한 방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이다.
제1실시예를 통해 설명한 바와 같이, 도광판(175)에는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A영역(175a)과 돌출영역에 대응되는 B영역(175b)이 존재한다. 그리고 도광판(175)의 B영역(175b)에는 제2광원가 설치된다.
이 때문에, 스마트폰(100)의 돌출영역만 구동할 경우 도광판(175)의 B영역(175b)을 통해 입사된 빛은 도 10 (a)과 같이 도광판(175)의 B영역(175b)에만 존재하지 않고 A영역(175a)까지 퍼지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의 퍼짐이 발생하는 이유는 설치된 광원의 지향각에 의해 하단으로 빛이 퍼지게 되면서, 필요 영역 외에 빛을 전달하게 되어 광 효율이 저하되어 원하는 영역까지 빛이 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광판(175)의 A영역(175a)과 B영역(175b)이 구조적으로 분리(분할)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빛의 퍼짐 현상은 특정 부위에 추가로 설치된 광원과 도광판(175)의 빛 전달 특성이 맞물려 구조적, 물리적, 광학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이와 달리, 스마트폰(100)의 표시영역과 돌출영역을 함께 구동할 경우 도광판(175)의 A영역(175a) 및 B영역(175b)을 통해 입사된 빛은 도 10 (b)와 같이 도광판(175)의 A영역(175a) 및 B영역(175b)의 경계 영역에서 빛의 중첩이 일어나게 된다.
이와 같이 빛의 중첩이 발생하는 이유는 설치된 광원의 지향각에 의해 하단으로 빛이 퍼지게 되면서, 필요 영역 외에 빛을 전달하게 되어 광 효율이 저하되어 원하는 영역까지 빛이 도달되지 않기 때문이다. 또한, 도광판(175)의 A영역(175a)과 B영역(175b)이 구조적으로 분리(분할)된 상태가 아니기 때문이다. 즉, 빛의 중첩 현상은 특정 부위에 추가로 설치된 광원과 도광판(175)의 빛 전달 특성이 맞물려 구조적, 물리적, 광학적으로 나타날 수 있는 현상이다.
도 10의 현상을 기반으로 다양한 실험을 해본 결과 이하에서 설명되는 구조를 사용할 경우 위의 문제가 해결 및 개선되는 것으로 밝혀졌다.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광판의 B영역(175b)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프리즘 도트(PD)를 패턴화하여 다수 형성하였다. 프리즘 도트(PD)는 균일한 크기를 갖는 다수의 프리즘의 산(뾰족하게 솟은 부분)이 추가된 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을 따라 배열되도록 패턴화한 것이다. 즉, 프리즘 도트(PD)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빛의 진행방향이 동일(프리즘 패턴은 빛의 진행방향을 따라 배열)하게 배열된다.
프리즘 도트(PD)는 도광판의 상부로 안내(출사)되는 빛의 직진성을 높이 게된다. 그러므로 광원의 지향각이 존재하더라도 도광판의 상부로 최종 출사되는 빛은 주변으로 퍼지는 량이 감소하게 된다. 프리즘 도트 패턴(PD)은 도 11의 (a)에 도시된 평면도와 도 11의 (b)에 도시된 단면도를 참조하면 그 형상을 알 수 있다.
도광판의 B영역(175b)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프리즘 도트 패턴(PD)을 형성한 결과, 도광판(175)의 A영역(175a)과 B영역(175b)이 구조적으로 분리(분할)된 상태가 아니더라도 광원의 지향각에 의해 주변으로 빛이 퍼지는 문제가 개선되었다.
한편, 추가된 제2광원과 기존에 존재하는 제1광원은 최대 발광 휘도가 다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추가된 제2광원은 기존에 존재하는 제1광원 대비 최대 발광 휘도가 더 낮을 경우 이 효과를 더욱 높일 수 있다. 예컨대, 기존에 존재하는 제1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가 약 13000nit 라고 하면 추가된 제2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는 약 7000nit 로 설정될 수 있다.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광판의 A영역(175a) 및 B영역(175b)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돌출부(LP1, LP2)를 패턴화하여 다수 형성하였다. 다만, 도광판의 A영역(175a)에 형성되는 제1돌출부(LP1)와 도광판의 B영역(175b)에 형성되는 제2돌출부(LP2)는 높이, 폭, 밀도, 개수 중 하나 이상이 다르다. 그리고 도광판의 A영역(175a) 및 B영역(175b)의 경계 영역에는 제1 및 제돌출부(LP1, LP2)의 높이(또는 깊이), 폭, 밀도, 개수 중 하나 이상이 점진적으로 달라지도록 그라데이션(Gradation) 처리하였다.
일례로, 제1 및 제2돌출부는 도 13 (A)와 같이, 렌티큘라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의 A영역(175a)에 설치된 제1돌출부(LP1)와 도광판의 B영역(175b)에 설치된 제2돌출부(LP2)는 높이 및 폭이 LP1 < LP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다른 예로, 제1 및 제2돌출부는 도 13 (B)와 같이,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광판의 A영역(175a)에 설치된 제1돌출부(LP1)와 도광판의 B영역(175b)에 설치된 제2돌출부(LP2)는 높이 및 폭이 LP1 < LP2의 관계를 가질 수 있다.
한편, 위의 설명에서는 제1 및 제2돌출부가 렌티큘라 또는 프리즘 형상으로 형성되는 것을 일례로 하였지만, 이는 렌티큘라 및 프리즘 형상이 조합된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및 제2돌출부는 도광판에 대하여 A영역만 적용 / B 영역만 적용 / A영역 + B영역 적용 / A영역 + B영역 + A-B 경계부 적용 / A영역과 A-B 경계부 적용 등 다양한 형태로 적용이 가능하다.
기타 제1 및 제2돌출부의 영역별 적용 그리고 깊이(depth)나 밀도와 관련된 실시예는 하기의 표 1을 참조한다.
Figure 112015050167616-pat00001
이하에서는 또 다른 예로 도광판의 B영역(175b)의 측면(입광면)에 구조부를 형성하고 이를 이용하는 방식에 대해 설명한다.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광판의 B영역(175b)의 측면(입광면)에 함몰부(PP)를 패턴화하여 형성하였다. 다만, 함몰부(PP)는 추가된 제2광원로부터 출사된 빛의 대부분이 일측 방향으로 퍼지도록 다수의 톱니(Serration) 모양을 갖도록 한다.
도 14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조에 이를 적용할 경우, 함몰부(PP)는 도광판의 A영역(175a)보다는 B영역(175b)의 상부 방향으로 빛이 퍼지도록 상부 방향이 기울어진 톱니 모양(평면 상에서 놓인 도광판의 입광면에서 좌측과 우측이 다른 비대칭 톱니 모양)을 갖게 된다. 그러나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구조에 적용될 경우, 함몰부(PP)의 톱니 모양을 이루는 부분의 기울기는 이와 다른 형태로 기울어질 것이다.
한편, 톱니 모양을 이루는 함몰부(PP)는 추가된 제2광원로부터 출사된 빛을 일측 방향에 위치하는 구조물(예: 액정패널을 덮고 있는 가이드 패널)로 유도 또는 안내하기 때문에, 구조물에 의한 빛의 반사로 일정량 이상의 광량을 보존할 수도 있다.
도 1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위의 문제를 개선하기 위해 도광판의 B영역(175b)의 측면(입광면)에 렌즈부(LS)를 패턴화하여 형성하였다. 다만, 렌즈부(LS)는 추가된 제2광원로부터 출사된 빛의 대부분이 중심(중앙) 방향으로 모아지도록 볼록 렌즈(convex lens) 모양(평면 상에서 놓인 도광판의 입광면에서 좌측과 우측보다 이들 사이의 중심이 더 볼록한 모양)을 갖도록 한다.
도 15와 같이 제1실시예의 구조에 이를 적용할 경우, 렌즈부(LS)는 도광판의 A영역(175a)보다는 B영역(175b)의 중심(중앙) 방향으로 빛이 퍼지도록 광원 방향으로 돌출된 볼록 렌즈 모양을 갖게 된다. 또한, 제2 내지 제4실시예의 구조에 적용될 경우에도 렌즈부(LS)의 볼록 렌즈 모양을 이루는 부분은 이와 같은 형태로 형성되되, 위치만 달라질 것이다. 렌즈부(LS)는 입광면(입광부)의 빛 퍼짐을 최소화하여 빛의 중첩 등과 같은 문제를 개선하게 된다.
도 11 내지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 구조들은 각기 단독으로 적용되는 것을 일례로 설명하였으나, 이들은 빛의 퍼짐이나 중첩 등을 방지하기 위해 조합하는 형태로 함께 적용될 수도 있다. 즉, 도 11의 구조와 도 14의 구조 또는 도 11의 구조와 도 15의 구조 등으로 변형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A영역) 외에 하나 이상의 서브 표시영역(B영역)을 갖는 액정표시장치를 구현할 때, 서브 표시영역에 개별 구동이 가능한 광원을 추가 설치하고, 서브 표시영역(B영역)을 독립적으로 구동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도광판의 제1영역 및 제2영역이 일체형(즉, 제1 및 제2영역은 물리적 분할이 아닌 기능적 분할임)으로 구성되므로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에 영상을 따로 또는 같이 표시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서브 표시영역에 설치된 광원으로 인한 빛 퍼짐이나 중첩을 최소화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 사이에 경계영역이 인지되는 문제를 방지 및 개선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표시 영역 외에 별도의 서브 표시영역을 구성하여 부가적인 정보의 표현 기능을 향상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장치 내의 표시영역의 면적이 넓어지고, 베젤이 축소되는 효과가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설명하였지만, 상술한 본 발명의 기술적 구성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의 당업자가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 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인 것이 아닌 것으로서 이해되어야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진다. 또한,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등가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30: 타이밍제어부 140: 게이트구동부
150: 데이터구동부 160: 액정패널
170: 백라이트유닛 175: 도광판
175a: 제1영역 175b: 제2영역
172: 제1광원 173: 제2광원
100: 스마트폰 IA: 돌출영역

Claims (13)

  1.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메인 표시영역으로부터 돌출된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 액정패널;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 광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영역의 일측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갖고,
    상기 프리즘 도트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액정표시장치.
  2.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 액정패널; 및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과,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은 출사되는 빛의 방향이 서로 다르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영역의 일측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갖고,
    상기 프리즘 도트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액정표시장치.
  3. 삭제
  4. 삭제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는 상기 제1광원의 최대 발광 휘도보다 더 낮은 액정표시장치.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 폭, 밀도,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서로 다른 액정표시장치.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1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1돌출부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제2돌출부를 갖고,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 간의 경계부에서 상기 제1돌출부와 상기 제2돌출부의 높이, 폭, 밀도, 개수 중 적어도 하나는 점진적으로 달라지는 액정표시장치.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입광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의 크기가 다른 비대칭 톱니 모양의 함몰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입광면에 위치하고, 상기 도광판을 평면 상에서 보았을 때 좌측과 우측보다 이들 사이의 중심이 더 볼록하게 돌출된 렌즈 모양의 렌즈부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11. 액정패널의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상기 액정패널의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이 일체형으로 구성된 도광판; 및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포함하고,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은 출사되는 빛의 방향이 서로 다르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영역의 일측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갖고,
    상기 프리즘 도트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백라이트유닛.
  12. 메인 표시영역과 서브 표시영역을 갖는 액정패널,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1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되는 제2영역을 갖는 도광판 및 상기 제1영역에 배치되는 제1광원과 상기 제2영역에 배치되는 제2광원을 갖는 백라이트유닛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에 있어서,
    상기 액정패널의 상기 메인 표시영역과 상기 서브 표시영역을 선택적으로 구동하는 구동 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구동 단계에서는 상기 백라이트유닛의 상기 제1광원과 상기 제2광원 중 하나 이상을 선택적으로 발광시키되,
    상기 도광판은 상기 서브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2영역이 상기 메인 표시영역에 대응하는 상기 제1영역으로부터 돌출되어 상기 제1영역보다 작은 크기의 상기 제2영역을 가지며,
    상기 제2광원은 상기 제1영역의 일측과 상기 제2영역의 일측 사이에 마련된 공간에 설치되고,
    상기 도광판은 상기 제2영역의 상부 또는 하부 표면에 위치하는 다수의 프리즘 도트를 갖고,
    상기 프리즘 도트는 프리즘의 산의 길이방향과 상기 제2광원으로부터 출사된 빛의 진행 방향이 동일한 액정표시장치의 구동방법.
  13.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2돌출부는
    상기 제1돌출부보다 높이가 높고 폭이 넓은 액정표시장치.
KR1020150072936A 2015-05-26 2015-05-26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KR1023248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6A KR102324866B1 (ko) 2015-05-26 2015-05-26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5/162,118 US9904108B2 (en) 2015-05-26 2016-05-23 Liquid crystal display with multiple display areas
TW105116250A TWI637214B (zh) 2015-05-26 2016-05-25 具有多個顯示區域之液晶顯示器
CN201610357152.6A CN106200114B (zh) 2015-05-26 2016-05-26 具有多个显示区域的液晶显示器及其背光单元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72936A KR102324866B1 (ko) 2015-05-26 2015-05-26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139099A KR20160139099A (ko) 2016-12-07
KR102324866B1 true KR102324866B1 (ko) 2021-11-12

Family

ID=573985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72936A KR102324866B1 (ko) 2015-05-26 2015-05-26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9904108B2 (ko)
KR (1) KR102324866B1 (ko)
CN (1) CN106200114B (ko)
TW (1) TWI637214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07015308A (zh) * 2017-05-26 2017-08-04 深圳市隆利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异型高屏占比背光模组及其控制方法
CN107894676B (zh) * 2017-11-07 2020-06-23 深圳市德仓科技有限公司 一种背光模组及液晶模组
CN108267879B (zh) * 2018-02-11 2021-02-02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模组及显示设备
CN108376518B (zh) * 2018-02-26 2021-07-16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和显示装置
CN113419370B (zh) * 2018-06-06 2022-10-18 上海中航光电子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
CN109782499B (zh) * 2019-02-26 2022-02-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液晶显示装置及电子设备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522A1 (en) * 2002-11-19 2004-05-20 Ta-Yuan Lee Display apparatus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Family Cites Families (6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5323344A (ja) 1992-05-22 1993-12-07 Sony Corp 液晶表示装置
JP2002014366A (ja) 2000-06-30 2002-01-18 Minolta Co Ltd 表示パネル、電子機器、および装着型電子機器
JP4266551B2 (ja) 2000-12-14 2009-05-20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面光源システムおよびそれに用いる光偏向素子
GB0031039D0 (en) * 2000-12-20 2001-01-31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Active matrix devices
CN2485669Y (zh) * 2001-06-15 2002-04-10 力捷电脑股份有限公司 扫描器背光照明模板
JP4178937B2 (ja) * 2002-12-16 2008-11-12 カシオ計算機株式会社 照明装置および電子機器
KR100506092B1 (ko) * 2003-04-16 2005-08-04 삼성전자주식회사 측면 발광형 백라이트 장치의 도광판 및 이를 채용한 측면발광형 백라이트 장치
JP2005071610A (ja) * 2003-06-26 2005-03-17 Toyota Industries Corp 導光板及び面光源装置
US7223005B2 (en) * 2003-12-23 2007-05-29 Lamb David J Hybrid lightguide backlight
GB0412782D0 (en) * 2004-06-09 2004-07-14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Non-rectangular display device
JP4802094B2 (ja) * 2004-08-06 2011-10-26 株式会社クラレ 導光板、その製造方法、及びそれを備える面光源装置
CN100395615C (zh) * 2004-11-24 2008-06-18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采用该导光板的背光模组
JP4716754B2 (ja) * 2005-02-25 2011-07-06 三菱レイヨン株式会社 面光源装置及びそれに用いる導光体及びその製造方法
JPWO2006100744A1 (ja) * 2005-03-18 2008-08-28 富士通株式会社 導光板および光源ユニット並びにディスプレイパネルユニットおよび電子機器
TW200634371A (en) * 2005-03-18 2006-10-01 Innolux Display Corp Dual-display liquid crystal display
JP2007027099A (ja) * 2005-07-13 2007-02-01 Samsung Electronics Co Ltd バックライトアセンブリ及び表示基板とこれらを有する表示装置、並びに表示基板及びその製造方法
KR20070008285A (ko) * 2005-07-13 2007-01-1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KR20070015988A (ko) * 2005-08-02 2007-02-07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표시 장치
JP4592549B2 (ja) * 2005-09-26 2010-12-01 シャープ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
KR20070043102A (ko) * 2005-10-20 2007-04-25 삼성전자주식회사 점광원용 광 가이드 유닛, 이를 갖는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표시 장치
WO2007105700A1 (ja) * 2006-03-15 2007-09-20 Sharp Kabushiki Kaisha アクティブマトリクス基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表示装置
KR100662540B1 (ko) * 2006-03-17 2006-12-28 제일모직주식회사 스트라이프 패턴을 포함하는 액정표시 장치용 도광판,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KR101213842B1 (ko) * 2006-04-27 2012-12-18 후지쯔 가부시끼가이샤 조명 장치 및 액정 표시 장치
JP2007322541A (ja) * 2006-05-30 2007-12-13 Nec Lcd Technologies Ltd 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KR101149409B1 (ko) * 2006-11-09 2012-06-01 삼성전자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EP2085952B1 (en) * 2006-11-21 2016-08-10 Sharp Kabushiki Kaisha Active matrix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CN101221265A (zh) * 2007-01-12 2008-07-16 财团法人工业技术研究院 导光板
KR100880724B1 (ko) * 2007-03-14 2009-02-02 제일모직주식회사 광확산 물질을 포함하는 액정표시장치용 도광판 및 이를이용한 액정표시장치 백라이트 유닛
CN101329423A (zh) * 2007-06-21 2008-12-24 胜华科技股份有限公司 导光板及背光模组
JP4773410B2 (ja) 2007-08-28 2011-09-14 シャープ株式会社 導光板、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JP5066741B2 (ja) * 2007-09-27 2012-11-07 スタンレー電気株式会社 面光源用導光板
US7740390B2 (en) 2007-11-16 2010-06-22 Avago Technologies Ecbu Ip (Singapore) Pte, Ltd. Segmented light guide
KR101483625B1 (ko) * 2007-12-31 2015-01-19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광학플레이트, 이를 포함한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표시장치
JP5239368B2 (ja) * 2008-02-06 2013-07-17 三菱電機株式会社 アレイ基板および表示装置
CN101738678A (zh) * 2008-11-26 2010-06-16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导光板及显示装置
US7931396B2 (en) * 2008-12-10 2011-04-26 Sharp Kabushiki Kaisha Backlight and display
CN201368958Y (zh) * 2009-02-24 2009-12-23 天马微电子股份有限公司 一种cstn液晶显示器
JP5343752B2 (ja) * 2009-07-31 2013-11-13 大日本印刷株式会社 導光板、導光板の製造方法、面光源装置および液晶表示装置
US8882323B2 (en) * 2009-08-12 2014-11-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Lightguide
CN101866079B (zh) * 2010-02-26 2012-04-04 信利半导体有限公司 一种液晶显示装置和制备液晶显示装置的方法
KR101767452B1 (ko) * 2010-07-05 2017-08-14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 표시 장치의 백라이트 유닛
US8646960B2 (en) * 2010-08-03 2014-02-11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Scanning backlight with slatless light guide
JP5801065B2 (ja) 2011-03-03 2015-10-28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液晶表示装置
CN102818219B (zh) * 2011-06-09 2015-02-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光学膜片及其制造方法及使用该光学膜片的液晶显示装置
KR101894350B1 (ko) * 2011-06-29 2018-09-04 엘지이노텍 주식회사 표시 장치
CN102866452B (zh) * 2011-07-05 2016-04-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导光板和面光源装置
JP5776401B2 (ja) 2011-07-21 2015-09-09 セイコーエプソン株式会社 液晶表示装置、電子機器および照明装置
KR101835549B1 (ko) * 2011-09-29 2018-03-08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장치
CN102520468A (zh) * 2011-12-07 2012-06-27 北京康得新复合材料股份有限公司 一种复合式聚光片
TWI453507B (zh) 2011-12-29 2014-09-21 Young Lighting Technology Inc 光源模組
CN102681083B (zh) * 2012-05-03 2015-07-15 丹阳博昱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凹陷微结构的导光片及其制作方法
KR102080276B1 (ko) * 2013-05-23 2020-02-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그를 이용한 액정표시장치
CN102888963B (zh) * 2012-10-24 2014-09-17 褚文利 可拼装式显示墙板
CN103971600B (zh) * 2013-02-05 2017-02-15 鸿富锦精密工业(深圳)有限公司 显示元件、显示装置及拼接式显示器
CN105190154B (zh) 2013-04-25 2017-04-12 夏普株式会社 照明装置、显示装置以及电视接收装置
KR101504236B1 (ko) 2013-07-23 2015-03-1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CN104144302A (zh) * 2014-08-19 2014-11-12 深圳市晶日盛科技有限公司 一种异形拼接液晶显示器的显示处理***和方法
TWI504969B (zh) * 2014-10-27 2015-10-21 Au Optronics Corp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CN204242526U (zh) * 2014-12-12 2015-04-01 京东方科技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环形多面显示器件
KR101596848B1 (ko) * 2015-03-02 2016-02-23 엘지전자 주식회사 디스플레이 패널 및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40095522A1 (en) * 2002-11-19 2004-05-20 Ta-Yuan Lee Display apparatus and light guide plate thereof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6200114A (zh) 2016-12-07
KR20160139099A (ko) 2016-12-07
TW201641991A (zh) 2016-12-01
US9904108B2 (en) 2018-02-27
CN106200114B (zh) 2019-10-18
US20160349439A1 (en) 2016-12-01
TWI637214B (zh) 2018-10-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24866B1 (ko) 백라이트유닛과 액정표시장치 및 이의 구동방법
US11754897B2 (en) Liquid crystal display
US20220107519A1 (en) Display apparatus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102334862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EP1600929A2 (en) Color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US20120262940A1 (en) Light Guide Element, Backlight Unit, and Display Device
KR20200023766A (ko) 디스플레이 장치
JP2014203004A (ja) 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JP2014191228A (ja) 反射型液晶表示装置及び電子機器
KR20150016608A (ko) 무안경 입체 디스플레이 디바이스 및 구동 방법
KR102460231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포함하는 액정 표시 장치
JP2014197132A (ja) 表示装置
CN110111734B (zh) 一种显示面板及显示装置
KR101191760B1 (ko) 협시야각모드 전환이 가능한 액정표시장치
US9280015B2 (en) Liquid crystal display device and electronic apparatus provided therewith
JP5998720B2 (ja) 液晶表示装置および電子機器
US20160245979A1 (en) Liquid crystal display apparatus having a light guide plate with optical patterns to prevent light leakage
KR102112652B1 (ko) 액정표시장치
KR20110032340A (ko) 액정표시모듈 및 그를 이용한 표시장치
KR102334856B1 (ko) 액정 표시 장치
KR102661615B1 (ko) 액정표시장치
KR101816314B1 (ko)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2048080B1 (ko) 광학시트와 도광판을 구비한 투명 백라이트 유닛
KR20050030724A (ko) 백라이트 어셈블리 및 이를 갖는 액정표시장치
US20170059762A1 (en) Backlight unit an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