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41B1 -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41B1
KR102320841B1 KR1020190167944A KR20190167944A KR102320841B1 KR 102320841 B1 KR102320841 B1 KR 102320841B1 KR 1020190167944 A KR1020190167944 A KR 1020190167944A KR 20190167944 A KR20190167944 A KR 20190167944A KR 102320841 B1 KR102320841 B1 KR 10232084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rthritis
niclosamide
present
composition
preven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679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76580A (ko
Inventor
박상한
강복기
김동환
이민석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대웅테라퓨틱스
Priority to KR10201901679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20841B1/ko
Publication of KR2021007658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7658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4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4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6Amides, e.g. hydroxamic acids
    • A61K31/165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 A61K31/167Amides, e.g. hydroxamic acids having aromatic rings, e.g. colchicine, atenolol, progabide having the nitrogen of a carboxamide group directly attached to the aromatic ring, e.g. lidocaine, paracetamo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06Organic compounds, e.g. natural or synthetic hydrocarbons, polyolefins, mineral oil, petrolatum or ozokerite
    • A61K47/26Carbohydrates, e.g. sugar alcohols, amino sugars, nucleic acids, mono-, di- or oligo-saccharides; Derivatives thereof, e.g. polysorbates, sorbitan fatty acid esters or glycyrrhiz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47/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non-active ingredients used, e.g. carriers or inert additives; Targeting or modifying agents chemically bound to the active ingredient
    • A61K47/30Macromolecular organic or inorganic compounds, e.g. inorganic polyphosphates
    • A61K47/32Macromolecular compounds obtained by reactions only involving carbon-to-carbon unsaturated bonds, e.g. carbomers, poly(meth)acrylates, or polyvinyl pyrrolid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9/00Medicinal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9/0012Galenical forms characterised by the site of application
    • A61K9/0019Injectable compositions; Intramuscular, intravenous, arterial, subcutaneous administration; Compositions to be administered through the skin in an invasive mann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ublic Health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Rheumatology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Der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Biochemist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Oil, Petroleum & Natural Ga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Medicinal Preparat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COMPOSITION FOR PREVENTING AND TREATING ARTHRITIS COMPRISING NICLOSAMIDE}
본 발명은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은 만성 퇴행성 질환으로 관절에 발생한 염증에 의하여 관절 연골의 손상과 연골세포의 사멸이 발생하는 질환이다. 관절 질환 중 가장 흔한 형태의 질환으로서 세계 인구의 5%에 해당하는 유병율을 나타내고 있으며 국내에서도 2008년 기준 10.7%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 특히, 노령 인구의 급속한 증가와 비만 유병율이 증가함에 따라 관절염 환자도 같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이고 있으며 80세 이상에서는 최대 34.5%의 유병율을 보이고 있다.
관절염 발병의 정확한 원인은 아직까지 밝혀지지 않았지만 비만에 따른 물리적 스트레스, 활성산소, 싸이토카인과 같은 요인들이 발병에 밀접하게 관여하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현재 임상적으로 사용되는 퇴행성 관절염의 치료방법으로는 진통제, 스테로이드제제, 비스테로이드계 항염제 및 클루코사민, 히알루론산 등과 같은 연골 보호제를 사용하거나 수술적 처치 등을 사용하고 있다.
약물 치료제의 경우 통증이나 염증반응 자체를 비특이적으로 완화시키고 연골 보호제는 연골세포에 영향을 주거나 충격을 완화시킴으로써 관절을 보호해 주는 역할을 담당하고 있다. 이 중 스테로이드계 제제는 장기간 복용 시 칼슘의 손실로 골다공증, 고혈압, 당뇨병과 같은 질환을 유발시킬 수 있는 부작용을 가지고 있다.
이와 같이 관절염의 약물치료는 대부분의 경우 통증을 감소시키는 목적으로만 사용되고 있고 영구적인 인공관절 치환술과 같은 수술적 방법이 주를 이루고 있으며 근본적인 치료효과를 보이는 약물은 현재까지 없는 실정이다.
한국공개특허 제 10-2018-0081936호
본 발명의 목적은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니클로사마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서,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는 1960년 FDA 승인을 받아 50년 가까이 다양한 기생충 감염 치료에 사용되는 경구형 살리실 아닐리드 유도체로, 최근에는 다양한 종류의 암에 대한 항암 요법에 사용될 수 있다는 내용이 보고된 바 있으나, 관절염에 대한 치료, 개선 효과를 나타냄에 대해서는 보고된 바 없다.
본 발명에서, “관절염”은 뼈와 뼈가 만나는 부위인 관절에 여러가지 원인에 의해 손상 또는 염증이 발생한 것을 말하며, 관절 내에 염증성 변화가 생긴 것을 모두 지칭한다.
구체적으로, 상기 관절염은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관절염, 소아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에서, '골관절염'은 퇴행성 관절염이라고도 불리며, 연골의 손상 혹은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연골 및 인대 등에 손상이 일어나고, 염증과 통증이 생기는 만성질환이다. 골관절염은 손가락, 무릎(슬관절), 엉덩이(고관절), 허리(요추관절), 목(경추관절) 등 체내 거의 모든 관절에서 발병된다. 골관절염은 그 발생이 나이와 연관이 있어 관절의 과다 사용이나 노화에 따른 연골 마모로 인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여겨져 왔다. 하지만 최근 골관절염의 발생 기전과 연골세포의 여러 자극에 대한 반응들이 알려지면서, 단순히 노화와 연관되어 피할 수 없는 현상이 아니라 연골세포 대사균형의 이상 등 다양한 원인에 의한 관절 손상과, 이로 인해 여러 전신적 인자와 국소적 인자들이 서로 작용하여 발생하는 관절질환으로 이해되고 있다.
본 발명에서, '류마티스 관절염(Rheumatoid Arthritis, RA)'은 만성의 진행성 전신(progressive systemic) 염증질환으로 주로 여러 관절의 윤활막을 침범하여 뼈와 연골을 파괴시킨다. 또한, 여러 관절에 다발성으로 나타나는 염증성 자가면역질환으로서, 관절의 활막(synovial membrane) 조직이 증생(hyperplasia)되며 동시에 대식세포(macrophage), 수상세포(dendritic cell) 및 활성화된 T 림프구와 B 림프구가 활막 조직으로 이동하고 다형핵 세포(polymorphonuclear cell)는 활액(synovial fluid) 내와 연골(cartilage) 표면에 축적되어 염증이 나타난다.
본 발명에서, '퇴행성 관절염(degenerative arthritis)'은 관절을 보호하고 있는 연골의 손상이나 퇴행성 변화로 인해 관절을 이루는 뼈와 인대 등에 손상이 생겨 염증과 통증이 발생하는 질환을 총칭하며, 특별한 기질적 원인 없이 나이, 성별, 유전적 요소, 비만, 특정 관절 부위 등의 요인에 따라 발생하는 일차성 또는 특발성 관절염과 관절 연골에 손상을 줄 수 있는 외상, 질병 및 기형 등이 원인이 되어 발생하는 이차성 또는 속발성 관절염을 포함한다. 초기 증상은 관절염이 발생한 관절 부위의 국소적인 통증이며 대개 전신적인 증상은 없는 것이 류마티스 관절염과의 차이점 중 하나이다.
본 발명에서, '통풍 관절염(gouty arthritis)'은 요산결정이 관절주변 조직에 들러붙어 관절에 심한 염증을 일으키는 것으로서, 주로 급성 관절염의 형태로 나타난다. 요산의 생성을 억제하는 치료와 함께 관절의 변형 및 손상을 막기 위하여 관절에 대한 염증 억제 치료를 진행한다.
본 발명에서, '소아 관절염'은 16세 이하의 소아에서 발생되는 관절염을 말하며, 소아 특발성 관절염, 소아 류마티스 관절염, 연소기 만성 관절염, 건선 관절염, 착부염 관절염 등을 포함한다. 주로 만성 염증성 관절염의 형태로 나타나며, 관절의 발열, 부종, 통증이 함께 나타난다. 소아 관절염은 증상의 범위와 심각도는 사람마다 다양하게 나타나며, 적절히 치료되지 않으면 관절의 기형이 생길 수 있다.
본 발명에서, '반응성 관절염(reactive arthritis)'은 신체 내 세균 감염으로 면역 체계에 이상이 생겨 발생하는 염증성 관절 질환을 말한다. 위장관 혹은 비뇨생식기계 감염증이 생긴 이후 발생하는 염증성 관절병증의 하나로서, 감염균에 대항하기 위해 활성화되는 면역 체계가 감염균 뿐 아니라 정상적인 체내의 관절 및 관절 주위 조직에 대해 공격하여 발생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반응성 관절염은 대개 급성으로 발생하나, 만성화되거나 재발성으로 나타나기도 한다.
본 발명이 조성물은 다양한 원인에 의해 급성 또는 만성으로 발병된 관절염에 대해 관절 경직, 부종, 통증 등을 치료 및 개선시키는 것으로서, 관절에 발병된 염증성 질환에 대해 우수한 약리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니클로사마이드를 투여한 경우 양성 대조군인 토파시티닙 대비 우수한 효과를 나타냄을 확인하였다. 구체적으로, 니클로사마이드 경구 투여의 경우, 토파시티닙 저용량 투여군 대비 우수한 관절염 점수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니클로사마이드 비경구 투여인 주사제 적용시에는 토파시티닙 고용량 투여군에 비해서도 현저히 우수한 관절염 감소 효과를 나타내었다(도 2).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투여를 위하여, 상기 본 발명의 니클로사마이드 외에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 부형제 또는 희석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담체, 부형제 및 희석제로는 락토즈, 덱스트로즈, 수크로스, 솔비톨, 만니톨, 자일리톨, 에리스리톨, 말티톨, 전분, 아카시아 고무, 알지네이트, 젤라틴, 칼슘 포스페이트, 칼슘 실리케이트, 셀룰로즈, 메틸 셀룰로즈, 미정질 셀룰로스, 폴리비닐 피롤리돈, 물, 메틸히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히드록시벤조에이트, 탈크,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및 광물유를 들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어떠한 제형으로도 적용가능하며, 구체적으로 경구용 제형 또는 비경구형 제형으로 적용될 수 있다. 경구형 제형으로 액제, 정제 형태를 적용할 수 있으며, 비경구형 제형으로는 주사용, 도포용, 에어로졸 등의 스프레이 형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는 주사제 형태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를 위한 제제에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 용제, 현탁제, 유제, 동결건조 제제, 좌제가 포함된다. 비수성 용제, 현탁제로는 프로필렌글리콜(propylene glycol),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 에틸올레이트와 같은 주사 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비경구형 제형인 것일 수 있으며, 더욱 구체적으로 서방형 주사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구체적으로 피하 또는 근육 주사용인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및 만니톨(mannito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폴리비닐피롤리돈 및 만니톨을 니클로사마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과 혼합 현탁하여 주사제 형태로 사용할 수 있으며, 주사 경로는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 일 실시예에서는 주사제 형태로 투여한 경우, 우수한 관절염 감소 효과와 함께 부종 억제 효과까지 나타냄을 확인하였는 바(도 2 및 도 3), 비경구형 제형으로서 피하 또는 근육 주사 형태로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적용될 수 있으며, "약학적으로 유효한 양"은 의학적 치료에 적용가능한 합리적인 수혜/위험 비율로 질환을 치료하기에 충분한 양을 의미하며, 유효용량 수준은 환자의 성별, 연령, 질병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및 배출 비율, 치료기간, 동시 사용되는 약물을 포함한 요소 및 기타 의학 분야에 잘 알려진 요소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또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고, 종래의 다른 치료제와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단일 또는 다중 투여될 수 있다. 상기 요소를 모두 고려하여 부작용 없이 최소한의 양으로 최대 효과를 얻을 수 있는 양을 투여하는 것이 중요하며, 당업자에 의해 필요에 따라 용이하게 결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키트는 그 종류가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형태의 키트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키트는 니클로사마이드가 개별 용기에 담긴 형태, 또는 다른 약제 또는 부형제와 하나 이상의 구획으로 나누어진 한 개의 용기 내에 담긴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으며, 상기 니클로사마이드는 각각 1회 투여 용량의 단위 용량 형태로 포장되어 있을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키트 내의 니클로사마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은 투여 대상 개체의 건강 상태 등에 따라 적절한 시기에 투여될 수 있으며, 다른 약제와 필요에 따라 동시, 순차적, 또는 역순으로 병용투여 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상기 약학적 조성물을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방법에 관한 것이다. '관절염'은 상기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발명의 용어 "개체"는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투여에 의해 증상이 호전될 수 있는 관절염을 가진 동물 또는 인간을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을 개체에게 투여함으로써, 관절염을 효과적으로 예방 및 치료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용어 "투여"는 어떠한 적절한 방법으로 인간 또는 동물에게 소정의 물질을 도입하는 것을 의미하며,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의 투여 경로는 목적 조직에 도달할 수 있는 한 어떠한 일반적인 경로를 통하여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치료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이 표적 세포로 이동할 수 있는 임의의 장치에 의해 투여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의 바람직한 투여량은 환자의 상태 및 체중, 질병의 정도, 약물형태, 투여경로 및 기간에 따라 다르지만, 당업자에 의해 적절하게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니클로사마이드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관절염 치료 및 개선 효과와 함께 부종 억제 효과까지 나타내면서도, 부작용 문제로 인해 관해 유지가 어려운 스테로이드와 달리 관해 유지를 위한 보다 장기적인 투여가 가능함으로써 우수한 치료 효과가 더 장기적으로 유지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관절염이 유발된 모델에 14일 동안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의 약물을 투여한 후의 체중변화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P<0.05 vs Vehicle(비교예 1), ** P<0.01 vs Vehicle).
도 2는 관절염이 유발된 모델에14일 동안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의 약물을 투여한 후의 관절염 점수를 측정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5 vs Vehicle(비교예 1), ** P<0.05 vs 비교예 2, *** P<0.05 vs 실시예 1).
도 3은 관절염 동물모델에 약물 투여 전(0일) 및 투여 후 14일째의 부종을 비교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다(** P<0.05 vs Vehicle(비교예 1)).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니클로사마이드 파우더
니클로사마이드 파우더는 Sigma-aldrich, USA로부터 구입하였으며, 니클로사마이드를 0.5%(w/v)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용액에 분산시킨 후 경구 투여하였다.
실시예 2. 니클로사마이드 주사제
니클로사마이드는 난용성이 심하여 생체이용률이 극히 낮은 단점이 있다. 상기와 같은 니클로사마이드의 난용성을 이용하여 현탁 주사제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니클로사마이드를 Kollidon 17PF(BASF사, Polyvinylpyrrolidone 분자량 7천~1만) 및 D-만니톨(mannitol)을 혼합하여 현탁 주사제형을 제조하였다. 상기 현탁액 주성분 입자의 입도 범위는 d(0.5) = 4~5 um, d(0.9) = 12~13um가 되도록 하였다.
실험예 1. 관절염 질환 모델의 제작
1-1. 관절염 질환 유발
Japan SLC, Inc.에서 DBA/1J 마우스를 구입하여 사용하였다. 수컷 6주령의 DBA/1J 마우스를 SPF시설에서 사육, 실험 전 1주일간 순화하였으며 물과 사료는 자유롭게 섭취하도록 하였다. 온도 23±3 ℃, 상대습도 55±15 %, 환기횟수 10∼20 회/hr, 조명시간 12 시간 및 조도 150∼300 Lux로 설정하여 사육하였으며, 사육기간 중 동물실의 온/습도, 환기횟수 및 조도 등의 환경조건은 정기적으로 측정하였다. 사육상자, 깔개 및 물병은 주 1 회 이상 교환하였으며, 순화기간 중 건강한 것으로 판정된 동물들의 체중을 측정하고 순위화한 체중에 따라 각 군의 평균체중이 최대한 균일하게 분포하도록 무작위법으로 분배하였다.
이후, DBA/1J 마우스(n=각 군당 8)에 2 mg/mL Bovine Type II collagen을 4 mg/mL Complete Freund's adjuvant에 1:1로 유화시켜 mouse 꼬리 기저부에 100 μL/head로 1 차 피내 주사하여 관절염을 유발하고, 3 주 후 2 mg/mL Bovine Type II collagen을 4 mg/mL Incomplete Freund's adjuvant에 1:1로 유화시켜 동일한 방법으로 추가 주사하여 관절염을 유발시켰다. 대조군으로 동일 조건으로 비히클(vehicle)을 투여한 동물 모델을 이용하였다.
1-2. 관절염 유효성 평가
임상증상은 시험물질 투여 직전 및 투여 후부터 시험기간 중 1 주 2 회 부종이나 종창이 없음(0점)부터 발목에서 다리 전체에 걸쳐 부종과 발적이 있고 관절 경직이 나타난 경우(4점)까지 나누어 관절염 정도를 스코어링(Arthritis score)하여 측정하였다. 사지의 점수를 합산하여 최고점수는 16점으로 하였다. Paw edema(발 부종)는 시험물질 투여 전 및 부검일에 동물을 ether를 이용하여 마취하고, 변화된 Hind paw edema(뒷발 부종)를 측정하였다.
관절염 질환 모델의 관절염 점수(Arthritis score)를 측정하고, 비히클(vehicle)을 투여한 동물 모델과의 관절염 점수를 비교한 결과, 관절염이 유효하게 유도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관절염에 대한 약리효과 확인
2-1. 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 설정
시험군의 구성 및 투여량 설정은 하기 표 1에 정리된 바와 같다.
Figure 112019129862181-pat00001
양성 대조군으로서 JAK 저해제 계열 약물인 토파시티닙(Tofacitinib)을 이용하였다. 상기 토파시티닙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을 적응증으로 하는 경구용 관절염 치료제로서, 본 발명에서는 10 mg/kg의 저용량군(비교예 2), 50 mg/kg의 고용량군(비교예 3)을 니클로사마이드 투여군과 관절염에 대한 약리효과를 비교하였다.
2-2. 체중변화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작한 관절염 동물모델에 14일 동안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의 약물을 투여하고, 시험 종료시의 체중변화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 및 2의 경우, 유의한 체중변화가 관찰되지는 않았으며, 다만, 토파시티닙 고용량 군에서 약 5% 가량의 체중 감소가 관찰되었다. 니클로사마이드를 투여한 실시예 1 및 2 군에서는 체중이 증가하였으며, 특히 주사제를 투여한 경우에는 체중이 약 10% 가량 증가하여, 개체의 활력 징후가 가장 우수한 것으로 나타났다.
2-3. 관절염 점수(Arthritis score) 측정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작한 관절염 동물모델에 14일 동안 비교예 1 내지 3, 실시예 1 및 2의 약물을 투여하고, 시험 종료시의 관절염 점수를 측정하였다.
그 결과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비교예 1의 Vehicle 투여군 대비 비교예 2의 토파시티닙 저용량 투여군은 약 15%의 관절염 점수 감소를 나타내었으나, 통계적으로 유의하지 않았다. 반면, 비교예 3의 토파시티닙 고용량 투여군은 관절염 점수가 36% 감소하였다(p<0.05).
또한, 실시예 1의 니클로사마이드 경구투여 군은 27%의 관절염 점수 감소를 나타내었으며(p<0.05), 실시예 2의 니클로사마이드 주사 투여군은 45%의 관절염 점수 감소를 나타냄으로써, 가장 우수한 약효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1의 니클로사마이드 경구투여 군의 경우 실시예 2의 근육주사 대비 상대적으로 낮은 생체 이용률로 인하여 제한된 약효가 나타났으나, 양성 대조군인 토파시티닙 저용량군(비교예 2)에 비해 우월한 효과를 나타내었다.
실시예 2의 경우, 실시예 1의 경구투여 군 대비 유의한 약효 개선 효과를 더욱 나타내었으며(P<0.05), 이는 주사제 투여를 통한 체내 노출 증가 및 지속적인 혈중 약물농도 유지로 인한 효과인 것으로 판단되었다.
2-4. 발 부종(Paw edema) 억제효과 확인
상기 실험예 1에서 제작한 관절염 동물모델에 약물 투여 전(0일) 및 투여 후 14일째의 부종을 비교하였다.
그 결과, 도 3에 나타난 바와 같이 모든 시험 군에서 부종이 증가하였으나, 실시예 2의 주사제를 투여한 그룹에서 Vehicle(비교예 1) 대비 왼쪽 뒷발목 부종(HL), 오른쪽 뒷발목 부종(HR) 모두 억제 효과를 나타내었다.
상기와 같은 결과를 통해 본 발명의 니클로사마이드는 관절염 질환에 대한 치료 효과를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으며, 특히 관절염 치료와 함께 부종 억제 효과를 함께 나타낼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7)

  1. 니클로사마이드(niclosamide) 또는 이의 약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염을 포함하는, 비경구형 제형의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관절염은 골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퇴행성 관절염, 통풍 관절염, 소아 관절염, 반응성 관절염 및 이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인 것인,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삭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피하 또는 근육 주사용인 것인,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폴리비닐피롤리돈(Polyvinylpyrrolidone) 및 만니톨(mannitol)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인,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의 조성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예방 또는 치료용 키트.
  7. 제1항의 조성물을 인간을 제외한 개체에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방법.
KR1020190167944A 2019-12-16 2019-12-16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KR10232084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44A KR102320841B1 (ko) 2019-12-16 2019-12-16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67944A KR102320841B1 (ko) 2019-12-16 2019-12-16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80A KR20210076580A (ko) 2021-06-24
KR102320841B1 true KR102320841B1 (ko) 2021-11-03

Family

ID=766073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67944A KR102320841B1 (ko) 2019-12-16 2019-12-16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320841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8211A1 (en) 2015-11-10 2017-05-17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Pharmaceutical co-crystals of niclosamide
US20190083638A1 (en) 2017-07-25 2019-03-21 Duke University Niclosamide-conjugated polypeptide nanoparticles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928543B1 (ko) 2017-01-09 2018-12-13 사단법인 분자설계연구소 니클로사마이드를 함유하는 Axin-GSK3 단백질 결합 관련 질환 치료용 약학조성물
KR101982667B1 (ko) * 2018-12-24 2019-05-27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유도체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tnf-관련 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tnf 활성 억제 방법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3168211A1 (en) 2015-11-10 2017-05-17 Westfälische Wilhelms-Universität Münster Pharmaceutical co-crystals of niclosamide
US20190083638A1 (en) 2017-07-25 2019-03-21 Duke University Niclosamide-conjugated polypeptide nanoparticles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LI AL_GAREEB ET AL, ARCH RHEUMATOL., 2019;34(4):426_433
ALI ISMAIL A. AL_GAREEB ET AL, CLINICAL RHEUMATOLOGY, 2018, 37:2633_2641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76580A (ko) 2021-06-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444665B1 (en) Method for treating pain
WO2016062283A1 (zh) 抗发炎用药物在制备抑制癌症的医药组合物中的应用
AU2009304002B2 (en) A medicinal product and treatment
RU2700582C2 (ru) Схема применения соединения fgf-18
US20170266168A1 (en) Methods for preventing or treating osteoarthritis
Kumar et al. Novel formulation approaches used for the management of osteoarthritis: a recent review
KR20010071572A (ko) 발프로산 유사체를 편두통 및 기분 장애의 치료 및 예방에사용하는 용도
KR102320841B1 (ko) 니클로사마이드를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및 치료용 조성물
WO2011091247A1 (en) Mixed aminal pharmaceutical compositions and uses thereof
WO2009019473A1 (en) Treatments for inflammatory arthritis
ES2641143T3 (es) Una composición farmacéutica que comprende palmitoiletanolamida y citidina-difosfocolina
KR102285724B1 (ko) Dna 단편 혼합물 및 히알루론산을 포함하는 연골 재생용 조성물
RU2701720C1 (ru) Комбинации пальмитоилэтаноламида для лечения хронической боли
US20110166180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bone diseases and fractures
WO2020046466A1 (en) Methods for alleviating, inhibiting or reversing muscle disuse atrophy in mammals
KR20140043898A (ko) 조루증 치료용 약학 조성물 및 조루증 치료 방법
EP2744497B1 (en) Therapeutic combinations of netupitant and palonosetron
KR101351978B1 (ko) 참치 안구 파쇄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관절염 예방 또는 치료용 약제학적 조성물 및 식품 조성물
WO2015084706A1 (en) Intra-articular formulations and methods for treatment of osteoarthritis
KR20220064039A (ko) 척수 손상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WO2022269001A1 (en)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mprising glp-1r agonists
WO2021240540A1 (en) Novel synergistic nutritional compositions for treating seizures and chronic inflammatory diseases
US20210015781A1 (en) Method of treating or preventing mood disorders, mental disorders, and/or chronic fatigue syndrome
CN113855707A (zh) 一种治疗股骨头坏死的药物组合物及其应用
CN113712990A (zh) 一种组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