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20809B1 -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 Google Patents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20809B1
KR102320809B1 KR1020170184589A KR20170184589A KR102320809B1 KR 102320809 B1 KR102320809 B1 KR 102320809B1 KR 1020170184589 A KR1020170184589 A KR 1020170184589A KR 20170184589 A KR20170184589 A KR 20170184589A KR 102320809 B1 KR102320809 B1 KR 10232080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id
heat
glycol
coating layer
primer coat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845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079216A (ko
Inventor
김동진
김윤조
백상현
한재일
Original Assignee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18007921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7921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2080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20809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3Improving the adhesiveness of the coatings per se, e.g. forming pri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est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05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 choice of materia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9WORKING OF PLASTICS; WORKING OF SUBSTANCES IN A PLASTIC STATE IN GENERAL
    • B29CSHAPING OR JOINING OF PLASTICS; SHAPING OF MATERIAL IN A PLASTIC STATE, NOT OTHERWISE PROVIDED FOR; AFTER-TREATMENT OF THE SHAPED PRODUCTS, e.g. REPAIRING
    • B29C55/00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 B29C55/02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 B29C55/04Shaping by stretching, e.g. drawing through a die; Apparatus therefor of plates or sheets uniaxial, e.g. obliqu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1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WORKING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 B31DMAKING ARTICLES OF PAPER, CARDBOARD OR MATERIAL WORKED IN A MANNER ANALOGOUS TO PAPER, NOT PROVIDED FOR IN SUBCLASSES B31B OR B31C
    • B31D1/00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 B31D1/02Multiple-step processes for making flat articles ; Making flat articles the articles being labels or tag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3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B32B27/3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vinyl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comprising acrylic (co)polym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5/00Manufacture of articles or shaped materials containing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5/18Manufacture of films or shee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4Coating
    • C08J7/046Forming abrasion-resistant coatings; Forming surface-hardening coat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7/00Chemical treatment or coating of shaped articles made of macromolecular substances
    • C08J7/08Heat treatment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LCOMPOSITIONS OF MACROMOLECULAR COMPOUNDS
    • C08L67/00Compositions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Compositions 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L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CHEMISTRY; METALLURGY
    • C09DYES; PAINTS; POLISHES; NATURAL RESINS; ADHESIVES; COMPOSITION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PPLICATIONS OF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C09D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FILLING PASTES; CHEMICAL PAINT OR INK REMOVERS; INKS; CORRECTING FLUIDS; WOODSTAINS; PASTES OR SOLIDS FOR COLOURING OR PRINTING; USE OF MATERIALS THEREFOR
    • C09D5/00Coating compositions, e.g. paints, varnishes or lacquers, characterised by their physical nature or the effects produced; Filling pastes
    • C09D5/002Priming paint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367/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polyesters obtained by reactions forming a carboxylic ester link in the main chain;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367/02Polyesters derived from dicarboxylic acids and dihydroxy compounds
    • CCHEMISTRY; METALLURGY
    • C08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THEIR PREPARATION OR CHEMICAL WORKING-UP; COMPOSITIONS BASED THEREON
    • C08JWORKING-UP; GENERAL PROCESSES OF COMPOUNDING; AFTER-TREATMENT NOT COVERED BY SUBCLASSES C08B, C08C, C08F, C08G or C08H
    • C08J2433/00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 C08J2433/04Characterised by the use of homopolymers or copolymers of compounds having one or more unsaturated aliphatic radicals, each having only one carbon-to-carbon double bond, and only one being terminated by only one carboxyl radical, or of salts, anhydrides, esters, amides, imides, or nitriles thereof; Derivatives of such polymers esters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aterials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 Manufacture Of Macromolecular Shaped Articles (AREA)
  • Shaping By String And By Release Of Stress In Plastics And The Lik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용제를 이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열수축성 필름 및 후가공 공정성이 우수하고 최종 제품에서의 불량률이 낮은 스티커 라벨 및 시밍 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Thermal shrinking polyester based film, Method of manufacturing thereof and Label comprising thereof}
본 발명은 열수축 특성을 가지며, 일축 배향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에 관한 것이다.
환경적인 요구 및 경제성 등을 고려하여 PET 병이나 유리병은 수거하여 다시 사용해오고 있다. 이와 같은 재활용시 PET 병이나 유리병 본체 이외에, 제품명, 성분명 및 기타 문양 등이 인쇄되어 부착된 라벨은 분리하여 제거되어야 한다.
지금까지 주로 사용되어온 종이 재질의 라벨인 경우 공업용수를 사용하여 제거한다. 구체적으로는 수거해온 PET 병이나 유리병을 가성소다를 함유하는 80℃ 정도의 공업용수에 담가 라벨을 떼어낸다. 이로 인해 공병을 재활용하는데 있어서 환경폐수가 발생되며, 이에 환경적 규제가 본격화되고 있다. 따라서 종이 라벨이 아닌 필름 재질의 라벨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한편 열수축성 필름은 플라스틱이나 유리병 등과 일반적인 포장 용기의 전체 피복, 수축 포장 및 수축 라벨 등으로 사용되고 있는데, 이러한 열수축성 필름으로는 PVC, PS, PET계 열수축 필름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PS 재질의 열수축 필름은 수축 공정 안정성은 우수하나 내화학성이 약해 특수 잉크를 사용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고, 상온 자연 수축율이 커 보관상 어려움이 있다.
PVC 재질의 열수축 필름은 소각 시 염화수소 가스 발생 등 환경적으로 규제 대상으로 분류되어 있으며, PET 용기의 재활용 시 이질 재료이기 때문에 라벨과 용기를 분리해야 하는 불편함이 있다.
이에 환경적으로 문제가 없고 내화학성이 우수하면서도 재활용 시 별도의 분리 공정이 필요없는 폴리에스테르 수축 필름의 수요가 증대되고 있으나, 폴리에스테르 열수축 필름의 경우 폭발성이 있는 한정적인 접착 용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일본등록특허 제2781598호에서는 테레프탈산을 포함하는 디카르복실산 성분 및 이소프탈산을 포함하여 제조된 폴리에스테르 수지를 개시하고 있으나, 한정적인 접착 용제를 사용해야 하는 문제를 가지고 있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연구가 절실한 상황이다.
본 발명의 주된 목적은 취급이 용이한 용제(특히, THF)와의 접착력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표면의 ILC 처리를 통해 후가공 공정성이 우수하고 완제품 불량률이 현저히 낮은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상기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으로 만든 스티커 라벨 및 시밍 라벨을 제공하는데 있다.
이에 본 발명은 바람직한 일 구현예로서,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80℃, 고유점도가 0.60 내지 0.75dl/g 및 분자량분포가 2.0 내지 4.0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를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이고, 90℃의 온수에서 측정된 주수축방향의 수축율이 40% 이상이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와의 접착력이 0.65 내지 1Kgf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이소프탈릭산이 85 내지 95 : 5 내지 15의 몰비로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 ㎚의 두께이며, 마찰계수가 0.20 이하인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로서,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디올 모노머를 혼합한 후, 이소프탈릭산을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5℃ 내지 280℃에서 용융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미연신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열을 가한 후, 6 내지 10m/sec의 연신속도로 주수축 방향의 연신비를 4 내지 6배로 하여 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한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70℃ 내지 80℃로 열처리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S1 단계에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가 85 내지 95 : 5 내지 15 : 100의 몰비로 포함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제조되는 것이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이다.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 ㎚의 두께인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중량부를 포함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환경적으로 문제가 되지 않으면서도 취급이 용이한 용제를 이용할 수 있는 폴리에스테르 열수축성 필름 및 후가공 공정성이 우수하고 최종 제품에서의 불량률이 낮은 스티커 라벨 및 시밍 라벨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일 구현예로서,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80℃, 고유점도가 0.60 내지 0.75dl/g 및 분자량분포가 2.0 내지 4.0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를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이고, 90℃의 온수에서 측정된 주수축방향의 수축율이 40% 이상이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와의 접착력이 0.65 내지 1Kgf인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이소프탈릭산이 85 내지 95 : 5 내지 15의 몰비로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대 이소프탈릭산의 몰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연신에 의한 결정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수축 거동이 용이하게 발현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이소프탈릭산의 몰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종 필름의 구조를 더욱 크게(bulky) 함으로써 용매의 부풀음(swelling)을 용이하게 하여 용매와의 접착력을 향상 시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몰비로 공중합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이소프탈릭산으로부터 유래된 단위구조를 5.0 내지 15.0몰%, 바람직하게는 6.0 내지 12.5몰%의 함량으로 포함하고, 12몰%, 8몰%, 3몰% 등의 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이소프탈릭산으로부터 유래된 단위구조의 함량이 5.0몰% 미만인 경우 충분한 용매와의 접착력을 구현하기가 어려울 수 있고, 15.0몰%를 초과하는 경우 Vacuum Dryer나 뜨거운 물을 이용한 예비결정화 공정에서 칩 간 융착이 발생할 수 있다.
이를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용융 과정 상에 수분이 존재할 경우 가수분해에 의해서 분자량이 급격히 감소하고 기계적 물성이 취약해진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용융시키기 전에 건조라는 공정을 거치고 해당 건조 공정은 예비결정화와 본건조로 나뉜다.
일반적인 폴리에스테르는 결정성 고분자로 예비결정화 단계에서 표면결정화가 일어나 칩(원료)간에 들러붙는 현상(칩 간 융착)이 없다. 그러나 공중합 폴리에스테르의 경우 비결정성 고분자가 되어 해당 예비결정화 단계에서 적절한 조건이 부여되지 않을 경우 칩간 들러붙는 융착 현상이 발생된다. 이는 원료에 포함된 공중합물의 양과도 관련되며 일정 수준의 공중합물이 포함된 경우 Vacuum Dryer를 이용하여 예비결정화를 진행할 수 있고 공중합물의 양이 일정 수준을 초과하는 경우 뜨거운 물을 이용한 열수예비결정화 시스템으로 예비결정화를 진행할 수 있다. 그러나 공중합물의 양이 지나치게 높을 경우 최적 조건을 부여하거나 별도의 공정을 이용하더라도 예비결정화 단계에서 표면결정화가 일어나지 않아 칩 내 수분을 제거하는 건조 공정 자체가 불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술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테트라하이드로프란(THF)와의 접착력이 0.65 내지 1Kgf, 바람직하게는 0.68 내지 0.87Kgf, 보다 바람직하게는 0.82 내지 0.87Kgf을 만족할 수 있다.
수축 필름의 경우 원단에 인쇄를 한 후 "시밍(Seaming)"이라는 공정을 거쳐서 슬리브(Sleeve) 형태로 만들어지게 된다. 해당 슬리브를 병(Bottle)에 씌우고 난 후 수축터널을 거치면서 원단 자체 수축율에 의해 수축이 되면서 병에 고정이 되게 된다. 수축응력이 높은 제품은 수축터널을 지나는 공정에서 용매(Solvent)와의 접착력이 약할 경우 접착 부위가 떨어지면서 불량이 발생하게 된다. 이러한 점에서 상기 용매로서 THF와의 접착력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불량 발생을 방지하는 효과를 가지는 것이며, 상기 범위를 벗어나는 경우 불량이 발생할 뿐만 아니라 제품으로의 적용이 불가능하게 된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Slip)제를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아크릴 바인더 수지로는 메틸아크릴레이트(methyl acrylate), 에틸아크릴레이트(ethyl acrylate), 이소프로필아크릴레이트(isopropyl acrylate), n-프로필아크릴레이트(n-propyl acrylate), n-부틸아크릴레이트(n-butyl acrylate), 이소보르닐아크릴레이트(isobornyl acrylate), 2-에틸헥실아크릴레이트(2-ethylhexyl acrylate), 메틸메타크릴레이트(methyl methacrylate), 에틸메타크릴레이트(ethyl methacrylate), 이소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isopropyl methacrylate), n-프로필메타크릴레이트(n-propyl methacrylate), tert-부틸메타크릴레이트(tert-butyl methacrylate), n-부틸메타크릴레이트(n-butyl methacrylate), 이소부틸메타크릴레이트(isobutyl methacrylate), 시클로헥실메타크릴레이트(cyclohexyl methacrylate), 이소보르닐메타크릴레이트(isECOobornyl methacrylate), 디에틸렌 글리콜 모노메틸 에테르 메타크릴레이트(diethylene glycol monomethyl ether methacrylate), 2-에틸헥실메타크릴레이트(2-ethylhexyl methacrylate), 벤질메타크릴레이트(benzyl methacrylate), 1-나프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1-naphthylmethyl methacrylate), 2-나프틸메틸메타크릴레이트(2-naphthylmethyl methacrylate), 9-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9-anthrylmethyl methacrylate), 1-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1-anthrylmethyl methacrylate) 및 2-안트릴메틸메타크릴레이트(2-anthrylmethyl methacrylate)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하나 이상 선택될 수 있으며, 반드시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슬립제로는 Stearamidopropyldimethyl-2-hydroxyethyl ammonium nitrate, Steramidopropyldimethyl-2-hydroxyethyl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N,N-bis (2-hydroxyethyl)-N-(3-dodecyloxy-2-hydroxypropyl) methyl ammonium methosulfate 중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슬립제로 포함되는 화합물의 구조는 아래와 같다.
<Stearamidopropyldimethyl-2-hydroxyethyl ammonium nitrate>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1
<Steramidopropyldimethyl-2-hydroxyethyl ammonium dihydrogen phosphate>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2
<N,N-bis (2-hydroxyethyl)-N-(3-dodecyloxy-2-hydroxypropyl) methyl ammonium methosulfate>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3
상기 슬립제를 포함함으로써,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으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마찰계수를 0.2 이하의 물성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슬립성을 부여함으로써 후가공 공정 시 발생되는 스크래치 발생을 줄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공기 중 수분이 필름의 표면에 흡착되게 되고 이로 인해서 인접한 두 장의 필름이 들러붙게 된다. 이러한 현상에 의해서 최종 제품을 포장한 상태에서 하나의 제품을 꺼낼 때 인접한 제품의 라벨이 찢어지는 현상이 발생되는데, 이를 블록킹 불량이라고 한다. 본 발명에서는 상술한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제를 포함하여 블록킹 불량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 바인더 수지와 슬립제를 포함하여 내블록킹(Blocking)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성을 부여함으로써, 후가공 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줄일 수 있으며, 공정상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열내수성 측면에서 우수한 아크릴 바인더를 적용함으로써 내블록킹 성능이 향상되었다.
상기 슬립제의 함량이 150중량부 미만인 경우 전사가 되지 않아 슬립성이 떨어지며, 2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킹이 유발되는 문제가 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nm의 두께인 것이 좋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종 필름의 표면에 균일하게 코팅층이 형성됨으로써 균일한 슬립성(Slip)을 구현할 수 있으며 안정적인 블록킹 방지 특성도 구현할 수 있는 효과를 가진다. 또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가 5nm 미만일 경우에는 도포균일성이 나오지 않으며, 50nm를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블록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구성을 포함하는 본 발명의 프라이머 코팅층은 마찰계수가 0.20 이하인 것이다.
상술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80℃, 고유점도가 0.60 내지 0.75dl/g 및 분자량분포가 2.0 내지 4.0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유리전이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열적 안정성이 우수하여 장기 보관 시 자연 수축이 발생하지 않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고유점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고분자 주쇄간에 충분한 엉킴이 존재하여 1축 배향임에도 불구하고 충분한 기계적 강도 및 신도를 구현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분자량분포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고분자 사슬간 슬립을 억제하여 필름 제조 시 부여한 주수축 방향의 수축율을 장기간 유지할 수 있는 장점을 가진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90℃의 온수에서 측정된 주수축방향의 수축율이 40% 이상, 바람직하게는 55%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7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축율이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현재 통용되고 있는 다양한 용기에 적용이 가능한 장점을 가진다.
상술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하기에 따른 방법을 제조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일 구현예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디올 모노머를 혼합한 후, 이소프탈릭산을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5 내지 280℃에서 용융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미연신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 (S3);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열을 가한 후, 6 내지 10m/sec의 연신속도로 주수축 방향의 연신비를 4 내지 6배로 하여 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한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70 내지 80℃로 열처리하는 단계(S5)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S1) 단계]
먼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디올 모노머를 혼합한 후, 이소프탈릭산을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한다.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가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대 이소프탈릭산대 디올 모노머의 몰비로서 85 내지 95 : 5 내지 15 : 100의 몰비로 공중합되어 제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대 이소프탈릭산대 디올 모노머의 몰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연신에 의한 결정화 현상을 억제함으로써 수축 거동이 용이하게 발현될 수 있게 하는 장점을 가지며, 특히 이소프탈릭산의 몰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종 필름의 구조를 더욱 크게(bulky) 함으로써 용매의 부풀음(swelling)을 용이하게 하여 용매와의 접착력을 향상 시키는 장점을 가질 수 있다.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을 들 수 있다.
상기 축중합 반응은 본 발명에서 널리 알려진 통상적인 방법으로 실시할 수 있으며, 이는 잘 알려진 바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한다.
[(S2) 단계]
이어서,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5 내지 280℃에서 용융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한다.
상기 용융온도의 범위가 255℃ 미만인 경우 불완전 용융이 발생될 여지가 있어 공정 트러블이 발생할 수 있고, 280℃를 초과하는 경우 열분해에 의해 최종 필름의 고유 점도가 낮아지고 분자량 분포가 넓어져 기계적 물성의 저하, 장기 물성 유지 특성의 저하 등이 발생하고 다이 전단 압력이 낮아져 필름 제조 시 두께 제어가 어렵게 된다.
이 때, 시트를 제조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시트 제조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T 다이를 사용한 시트 제조방법, 환형 다이를 사용한 블로운 제조방법 등을 들 수 있다.
[(S3) 단계]
이어서, 상기 제조된 미연신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한다(S2).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제를 포함하는 것이다.
상기 아크릴 바인더 수지는 상술된 프라이머 코팅층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슬립제는 상술된 프라이머 코팅층에서 기재된 바와 동일하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160 내지 210중량부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아크릴 바인더 수지와 슬립제를 포함하여 내 Blocking 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성을 부여함으로써, 후가공 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줄일 수 있으며, 공정상의 불량을 감소시킬 수 있다. 또한 내열내수성 측면에서 우수한 아크릴 바인더를 적용함으로써 내블록킹 성능을 향상 되었다.
상기 슬립제의 함량이 150중량부 미만인 경우 전사가 되지 않아 슬립성이 떨어지며, 25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블록킹이 유발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상기 아크릴 바인더 및 슬립제 이외에 웨팅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웨팅제는 코팅성을 향상시키기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실리콘계 웨팅제, 변성 실리콘계 웨팅제 등을 사용할 수 있으며, 구체적으로 예를 들면, 다우코닝사에 QE-5212, ENDOBIC사의 TEGO WET250, BYKCHEMIE사에 BYK340 등을 사용할 수는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웨팅제는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20 내지 100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20 내지 60중량부의 함량으로 포함하는 것이 좋다. 상기 웨팅제의 함량이 20중량부 미만인 경우 웨팅(Wetting)성 부족으로 코팅외관이 불량하며, 100중량부를 초과하는 경우 건조공정 이후 잔존하는 웨팅제 등의 불순물로 인하여 코팅얼룩이 발생할 수 있다. 상기 아크릴 바인더 수지와 슬립(Slip)제의 적용을 통하여 내블록킹성을 향상시킬 수 있으며, 슬립성을 부여할 수 있다. 이러한 슬립성을 부여함으로써, 후가공 시 발생될 수 있는 스크래치를 줄일 수 있으며, 공정상의 불량을 감소 시킬수 있다. 또한 내열내수성측면 우수한 아크릴 바인더를 적용함으로써 내블록킹 성능이 향상 되었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10 내지 20nm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이 좋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의 두께가 5nm 미만일 경우에는 도포균일성이 나오지 않으며, 50nm을 초과하는 경우에는 내블록킹성이 저하될 수 있다.
상술한 프라이머 코팅층은 마찰계수가 0.20 이하인 것이다.
이때,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공정으로서,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을 임의로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M-bar를 사용한 코팅법, 그라비어 코팅법 등을 들 수 있다.
[(S4) 단계]
이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열을 가한 후, 6 내지 10m/sec의 연신속도로 주수축 방향의 연신비를 4 내지 6배로 하여 한 방향으로 연신시켜 일축 배향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열을 가하는 공정은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예열온도 85 내지 110℃, 연신 온도 70 내지 90℃로 가열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예열, 연신 온도의 범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연신 시 발생되는 연신응력을 낮춤으로써 최종 필름에 잔류하는 연신응력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연신비의 범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최종 필름의 수축율을 열처리 온도로 제어함으로써 물리적으로 주수추축방향의 수축율이 낮은 것과 더불어 물리적으로 구현 가능한 최대 수축율을 발현함으로써 다양한 용기에 적용 가능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S5) 단계]
이어서, 상기 한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70 내지 80℃로 열처리한다.
상기 한 방향으로 연신 필름을 70 내지 80℃로 추가 연신 없이 필름에 열을 가하여 연신구간에서 발생되는 연신 후 잔류 응력을 일부 해소시킴과 더불어 결정화를 증가시켜 일축 배향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한다.
상기 열처리 온도가 상기 범위 내에 있는 경우 상대적으로 낮은 잔류 응력을 가지고 구조적으로 일정 수준의 결정화를 가짐으로써 경시 외관 변화에 대한 저항성이 우수해져 장기 보관하더라도 필름의 외관이 저해되는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본 발명은 바람직한 다른 일 구현예로서, 상술한 제조방법으로 제조된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라벨은 스티커라벨 및 시밍 라벨이 바람직하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테레프탈산(TPA) 88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 (IPA) 12몰을 반응관에 투입하여 1.5㎏/㎠로 가압한 후, 부생성물을 제거하면서 24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켰다. 에스테르화 반응 후 중합 촉매로서 3산화안티몬을 0.05몰 함량으로, pinning제로서 마그네슘과 나트륨을 200ppm 함량으로, 추가하여 280℃에서 250분 동안 중합하여 유리전이온도가 71℃, 고유점도가 0.71 dl/g, DEG 1.3wt%, 카르복실말단기가 28.3meq/㎏, 분자량분포 3.2, 이소프탈릭산으로부터 유래된 단위구조의 함량(이하, IPA 함량이라 함)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60℃로 가열된 ETR에서 용융시키고 T 다이를 이용하여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였다. 상기 제조된 미연신 시트의 일면에 아크릴 바인더(PK-8012P, Nippon Carbibe사) 100중량부에 대하여 슬립제(Stearamidopropyldimethyl-2-hydroxyethyl ammonium nitrate) 200중량부, 웨팅제로서 실리콘계 웨팅제(폴리에스테르실록산 공중합체 QE-5212, 다우코팅사) 50중량부로 혼합된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M-Bar를 이용하여 코팅하여 20㎚ 두께를 가지는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였다.
상기 일면에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를 예열온도 95℃로 하고, 연신 온도를 83℃로 가열한 후, 8m/sec의 연신속도로 폭 방향의 4.0배로 연신한 후, 75℃로 열처리하여 일축 배향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실시예 2
테레프탈산(TPA) 92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IPA) 8몰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3℃, 고유점도가 0.70dl/g, DEG 1.8wt%, 카르복실말단기가 26.7meq/㎏, 분자량분포가 3.0, IPA 함량이 8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3
필름 연신 시 예열 온도를 87℃로 하고, 연신 온도를 85℃로 가열한 후, 연신 속도를 10m/sec로 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1℃, 고유점도가 0.71dl/g, DEG 1.5wt%, 카르복실말단기가 25.8meq/㎏, 분자량분포가 3.3, IPA 함량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4
테레프탈산(TPA) 95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IPA) 5몰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5℃, 고유점도가 0.71dl/g, DEG 1.41wt%, 카르복실말단기가 29.3meq/㎏, 분자량분포 2.8, IPA 함량이 5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실시예 5
미연신 시트를 연신 온도를 67℃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1℃, 고유점도가 0.70dl/g, DEG 1.42wt%, 카르복실말단기가 27.3meq/㎏, 분자량분포가 3.1, IPA 함량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1
테레프탈산(TPA) 100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중합 반응관에 투입하고 1.5㎏/㎠로 가압한 후, 부생성물을 제거하면서 240℃까지 승온시키면서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터를 제조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8℃, 고유점도가 0.70dl/g, DEG 1.33wt%, 카르복실말단기가 28.5meq/㎏, 분자량분포 3.1, IPA 함량이 0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2
테레프탈산(TPA) 98.5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IPA) 1.5몰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7℃, 고유점도가 0.71dl/g, DEG 1.41wt%, 카르복실말단기가 29.1meq/㎏, 분자량분포 2.9, IPA 함량이 1.5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3
테레프탈산(TPA) 80몰, 에틸렌 글리콜(EG) 84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16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IPA) 20몰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67℃, 고유점도가 0.70dl/g, DEG 1.42wt%, 카르복실말단기가 27.6meq/㎏, IPA 함량이 20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4
미연신 시트에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지 않은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1℃, 고유점도가 0.69dl/g, DEG 1.5wt%, 카르복실말단기가 28.5meq/㎏, 분자량분포가 3.1, IPA 함량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5
미연신 시트를 일축으로 연신한 후 열처리 공정을 적용하지 않을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2℃, 고유점도가 0.70dl/g, DEG 1.6wt%, 카르복실말단기가 26.9meq/㎏, 분자량분포가 2.9, IPA 함량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6
미연신 시트를 일축으로 연신한 후 열처리 공정 온도를 85℃로 적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71℃, 고유점도가 0.69dl/g, DEG 1.5wt%, 카르복실말단기가 26.3meq/㎏, 분자량분포가 3.0, IPA 함량이 12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비교예 7
테레프탈산(TPA) 85몰, 에틸렌 글리콜(EG) 60몰 및 네오펜틸 글리콜(NPG) 20몰의 함량으로 혼합하여 반응관에 투입하고, 이소프탈릭산(IPA) 15몰과 디에틸렌 글리콜 (DEG) 20몰을 적용한 것 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제조하였다.
이 때,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유리전이온도가 61℃, 고유점도가 0.69dl/g, DEG 21wt%, 카르복실말단기가 27.6meq/㎏, IPA 함량이 15몰%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였다.
<특성평가 방법>
(1) 수축율 측정
필름의 길이방향(MD)과 폭방향(TD)에 대해 15mm(MD)× 400mm(TD) 크기의 직사각형으로 재단하고, TD 방향 양 끝단 50mm 지점에서 MD 방향으로 실선을 그어 유효측정길이가 300mm인 시편을 제작한 후, 핀셋 등을 이용하여 좌우 구분없이 시료의 한쪽 끝단에서 50mm 이내의 지점을 잡아 전체 시료를 70℃ 및 90℃의 온수 중에 무하중 상태로 하여 완전히 담근 상태에서 10초간 열수축시킨 후, 상온에서 1분간 방치한 후, 초기의 실선으로 표시된 TD방향의 300mm 간격의 줄어든 길이를 측정하여 필름 폭 방향(TD)의 70℃ 및 90℃ 열수축율을 하기 식 1에 따라 구하였다.
<식 1>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4
(2) 용매와의 접착력 측정
실시예 및 비교예에 따라 제조된 필름으로서 동일한 시편 2장을 각각 준비한다. 상기 준비된 시편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상기 선택된 시편의 어느 일면에 접착 용제(solvent)로 테트라하이드로프란(THF)를 사용하여 주수축 방향의 수직 방향으로 0.5cm 굵기로 도포한 후, 다른 시편의 일면과 상기 THF가 도포된 시편에서의 THF 도포면을 서로 붙여서 롤러로 압착하여 접착시킨 후, 하루 방치 후 인스트론 장비로 접착 강도를 평가 하였다. 이 때, 상기 다른 시편의 일면과 THF가 도포된 면 중 어느 하나의 면은 프라이머 코팅층으로 한다.
평가 시 시편은 폭 15mm, 길이 100mm로 절단하여 주수축 방향으로 Loaidng 한 후 Head speed는 300mm/min, Gap 30mm를 적용하여 접착 강도를 평가하였다.
(3) 수축응력 측정
가네보 및 테스트라이트 기기로 온도에 따른 수축응력 및 항온에서 시간에 따른 수축응력을 비교하였다.
(4) 슈팅(Shooting) 공정성 측정
본 발명이 속한 분야에서 사용되는 라벨 슈팅기(고속형 수축라벨러(SH-5100-S), (주)새한테크를 이용하여 100개의 바틀에 상기 제조된 필름을 이용한 라벨을 슈팅하여 슈팅 후 라벨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해진 위치에 안착된 개수를 확인하여 비교하였다.
(5) 내블록킹성 측정
Heat-Gradient 장비(Heat Gradient Tester, TOYOSEIKI)를 사용하여 아래와 같은 방법으로 Sticky 평가 및 내열내수 평가를 통한 처리 후 찢어짐이나 얼룩 등 외관으로 비교하였다.
-두 장의 필름을 로딩(Loading)한 상태에서 일정한 압력과 온도로 필름을 눌러주는 것이고 일정 시간 후에 해당 필름을 꺼내서 붙은 면을 관찰하여 블러킹 특성을 평가한다. 내열내수의 경우 실제 병(Bottle)에 끓는 물을 넣고 두 개의 병(Bottle)을 단단하게 묶은 후 시간의 경과에 따라 라벨의 손상 여부를 확인하는 정성적 평가 방법이다.
외관은 아래와 같은 기호로 표시하였다.
◎: 들러붙음 없음. 얼룩 발생 없음
○: 들러붙음 없음. 약한 얼룩 발생
△: 약한 들러붙음 발생, 강한 얼룩 발생
X: 강한 들러붙음 발생, 강한 얼룩 발생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물성을 하기 표 1과 표2에 기재하였다.
(6) 가속경시 주름 발생 측정
제조된 필름을 Roll 상태로 포장하여 40℃로 설정된 Aging Room에 넣고 1주일 Aging을 시킨다. 해당 기간 경과 후 Roll 상태에서 5m 풀어서 일정한 장력을 주어 편 다음 육안상 관찰되는 주름의 발생 정도를 확인하는 정성적 평가 방법이다.
외관은 아래와 같은 기호로 표시하였다.
○: 주름 발생 없음.
△: 약한 주름 발생. 후공정 사용 문제 없음.
X: 강한 주름 발생. 후공정 사용 불가
(7) 고유점도 측정
필름을 160± 2℃에서 OCP (Ortho Chloro Phenol)로 녹인 후, 25℃의 조건에서 자동점도 측정기(Skyvis-4000)를 이용하여 점도관에서의 시료 점도를 측정하여 하기 계산식 2로 시료의 고유 점성도(intrinsic viscosity, IV)를 구하였다.
[계산식 2]
고유점성도(IV) = {(0.0242× Rel)+0.2634}× F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5
Figure 112017131309784-pat00006
상기 계산식 2에서 표준칩(Standard chip)이란 무수한 칩(chip)의 집단에서 하나의 칩을 선별할 경우 특정의 칩을 선정하고자 하는 의도를 가지지 않고 통상의 방법으로 선별된 칩을 의미한다. 또한, 표준동작으로 측정한 것이란 실험자가 소정의 결과값을 도출하려는 특정한 의도 없이 통상의 방법에 따라 측정하여 진행한 것을 의미한다.
(8) 유리전이온도 측정
필름을 일정 크기로 절단하여 상온에서부터 280℃까지 분당 20℃ 승온 속도 조건에서 시차주사열량계(TA Instruments社, Q20)를 이용하여 열 흐름을 측정하였다. 해당 열 흐름 중에서 흡열 Peak의 온도를 확인하여 해당 Peak의 온도를 유리전이온도로 하였다.
(9) 분자량분포 측정
시료 25mg을 0.5mL HFIP에 녹인 후 Eluent 9.5mL 희석을 시킨다. 표준물은 5mg을 0.25mL HFIP에 녹인 후 Eluent 4.75mL에 희석시킨다. 해당 표준물을 이용하여 측정 기기인 GPC(영린, GPC AutoChro)에서 영점 조정을 한 후 시료를 희석시킨 용액을 기기에 투입하여 측정한다. 측정 시 Column은 μStyragel 103 + 104+ 105A을 사용하고 Flow Rate 1.0mL/min, 40℃로 유지한다.
상술한 방법으로 측정된 물성을 하기 표 1과 표 2에 기재하였다.
THF 접착력
(Kgf)
수축응력
(Kg/㎟)
슈팅공정성
(Ea.)
내블록킹성 마찰계수
실시예 1 0.87 1.32 100 0.18
실시예 2 0.82 1.23 99 0.20
실시예 3 0.82 1.19 100 0.18
실시예 4 0.68 1.29 100 0.19
실시예 5 0.85 1.55 100 0.18
비교예 1 0.57 1.52 100 0.17
비교예 2 0.62 1.38 98 0.18
비교예 3 필름 제조 불가
비교예 4 0.84 1.33 76 X 0.45
비교예 5 0.92 1.62 99 0.19
비교예 6 0.55 1.09 100 0.20
비교예 7 1.32 1.02 86 0.19
70℃열수축율(%) 90℃열수축율(%) 가속 경시 주름 발생
실시예 1 24 76
실시예 2 25 75
실시예 3 27 75
실시예 4 26 75
실시예 5 47 76
비교예 1 25 76
비교예 2 25 75
비교예 3 필름 제조 불가
비교예 4 25 75
비교예 5 26 76 X
비교예 6 25 75
비교예 7 38 77 X
상기 표 1과 2에 나타난 바와 같이, 실시에 1 내지 4는 최종 필름의 구조를 벌키하게 하면서 필름 내 존재하는 잔류 응력을 일부 해소 시켜줌으로써 THF의 접착력을 향상시킴과 더불어 경시 안정성을 부여함으로써 장기 보관을 하더라도 후공정에 문제가 없음을 알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3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2에 비해 수축응력이 더 낮아 딱딱한 용기뿐 아니라 상대적으로 연질인 PE Bottle에도 적용할 수 있어 그 용도가 더 넓을 수 있다. 또한, 실시예 4의 경우 실시예 1 내지 3에 비하여 접착력이 다소 약하여 용기의 형태에 따라 달리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실시예 5는 70℃의 온수에서 측정된 수축율이 높아 스팀을 이용하는 수축 공정에 이용될 수 있다.
그러나 비교예 1 내지 2에 따라 제조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은 THF와의 접착력 특성이 저하되어 시밍공정을 통한 라벨 제조가 불가하고 비교예 3의 경우 접착력은 우수하나 최종 필름의 낮은 Tg로 인해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어 자연수축에 의한 경시 주름이 발생된다. 비교예 4의 경우 표면 코팅을 통한 표면처리가 되지 않음으로 인해 슈팅 공정성이 불량하여 적용이 불가함을 알 수 있었다. 수축 공정의 경우 스팀을 이용하거나 열풍을 이용하게 되는데 스팀을 이용하는 경우 70℃ 수축율이 중요하지 않으나 열풍을 이용하는 경우 수축되는 속도에 따라 수축 후 외관 품질의 차이가 발생한다. 본 발명이 속한 분야의 업계에서는 수축속도가 느릴수록 수축 후 외관 품질이 우수하다고 알려져 있으며, 비교예 5의 경우 필름을 제조한 시점에는 육안으로 주름이 확인되지 않으나 일정 시간 경과 후에는 필름 내에 존재하는 잔류 응력에 의한 수치 변화가 발생되고 해당 수치 변화에 의해 표면에 주름이 발생된다. 필름에 주름이 발생될 경우 인쇄 공정 및 시밍 공정에서 불량이 발생되어 사용할 수 없게 된다. 비교예 6의 경우 과도한 열처리에 의해 필름의 결정화가 증가하고 이로 인해 THF의 스웰링 현상이 줄어 들어 THF와의 접착력 특성이 떨어져 슬리브를 제조할 수 없게 된다. 비교예 7의 경우 과도한 공중합 공중합물을 적용함에 따라 접착력은 매우 높으나 접착 용매의 투과 현상이 발생되어 최종 라벨에서 라벨간 접착이 발생되어 슈팅 공정성이 저하됨은 물론 매우 낮은 Tg로 인해 치수 안정성이 저하되어 자연수축에 의한 경시 주름이 발생된다.
본 발명의 단순한 변형 또는 변경은 모두 이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용이하게 실시될 수 있으며 이러한 변형이나 변경은 모두 본 발명의 영역에 포함되는 것으로 볼 수 있다. 

Claims (15)

  1. 유리전이온도가 70 내지 80℃고유점도가 0.60 내지 0.75dl/g 및 분자량분포가 2.0 내지 4.0인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포함하는 기재필름 및 상기 기재필름의 일면 또는 양면에 형성된 프라이머 코팅층을 포함하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를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이고,
    90℃의 온수에서 측정된 주수축방향의 수축율이 40% 이상이고, 테트라하이드로퓨란(THF)와의 접착력이 0.65 내지 1Kgf이고,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이소프탈릭산이 85 내지 95 : 5 내지 15의 몰비로 포함하여 공중합된 것이고,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아크릴 바인더 100 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 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2. 삭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의 두께이며, 마찰계수가 0.20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6. 삭제
  7. 삭제
  8.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및 디올 모노머를 혼합한 후, 이소프탈릭산을 첨가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제조하는 단계(S1);
    상기 제조된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를 255 내지 280℃에서 용융시켜 미연신 시트를 제조하는 단계(S2);
    상기 S2 단계에서 제조된 미연신 시트의 일면 또는 양면에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을 코팅하여 프라이머 코팅층을 형성하는 단계(S3);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이 형성된 미연신 시트에 열을 가한 후, 6 내지 10m/sec의 연신속도로 주수축 방향의 연신비를 4 내지 6배로 하여 한 방향으로 연신시키는 단계(S4); 및
    상기 한 방향으로 연신된 필름을 70 내지 80℃로 열처리 하는 단계(S5)를 포함하고,
    상기 S1 단계에서 상기 코폴리에스테르 수지는 디카르복실산 모노머, 이소프탈릭산 및 디올 모노머가 85 내지 95 : 5 내지 15 : 100의 몰비로 포함하여 축중합 반응시켜 제조되고,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 조성물은 아크릴 바인더 100중량부를 기준으로 하여 슬립제 150 내지 250중량부를 포함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9. 삭제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카르복실산 모노머는 테레프탈산, 옥살산, 말론산, 숙신산, 아디프산, 수베르산, 아젤라산, 세바스산, 프탈산, 나프탈렌디카르복실산, 디페닐 에테르 디카르복실산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11.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디올 모노머는 에틸렌 글리콜, 네오펜틸 글리콜, 프로필렌 글리콜, 트리메틸렌 글리콜, 테트라메틸렌 글리콜, 헥사메틸렌 글리콜, 디에틸렌 글리콜, 폴리알킬렌 글리콜, 1,4-시클로헥산 디메탄올 및 이들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2종 이상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프라이머 코팅층은 5 내지 50㎚의 두께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의 제조방법.
  13. 삭제
  14. 삭제
  15. 제1항, 제3항 내지 제5항 중에서 어느 한 항의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을 포함하는 라벨.
KR1020170184589A 2016-12-30 2017-12-29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KR10232080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183790 2016-12-30
KR1020160183790 2016-12-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79216A KR20180079216A (ko) 2018-07-10
KR102320809B1 true KR102320809B1 (ko) 2021-11-02

Family

ID=6270994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84589A KR102320809B1 (ko) 2016-12-30 2017-12-29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320809B1 (ko)
WO (1) WO2018124830A1 (ko)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129728D0 (en) * 2001-12-12 2002-01-30 Dupont Teijin Films Us Ltd Plymeric film
KR101255388B1 (ko) * 2005-04-08 2013-04-17 도요보 가부시키가이샤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및 열수축성 라벨
KR101190348B1 (ko) * 2007-12-11 2012-10-11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1176689B1 (ko) * 2007-12-21 2012-08-23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101265105B1 (ko) * 2009-06-30 2013-05-16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고투명 광학용 이축연신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268250B1 (ko) * 2009-06-30 2013-05-30 코오롱인더스트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KR20110056734A (ko) * 2009-11-23 2011-05-31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20150092981A (ko) * 2014-02-06 2015-08-17 도레이첨단소재 주식회사 슬립성이 향상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KR101551562B1 (ko) * 2014-02-10 2015-09-08 롯데케미칼 주식회사 1,4-시클로헥산디메탄올이 공중합된 폴리에스테르 수지 조성물
KR101733193B1 (ko) * 2014-12-26 2017-05-08 에스케이씨 주식회사 다층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8124830A1 (ko) 2018-07-05
KR20180079216A (ko) 2018-07-1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68660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
TWI429691B (zh) 熱可收縮性聚酯膜
KR960000590B1 (ko) 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JP604563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ラベル
TWI694100B (zh) 熱收縮性聚酯系膜及包裝體
WO2009075533A2 (en)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JP5901969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2021042386A (ja) ポリアミドフィルムミルロール及びその製造方法
JP6789821B2 (ja) 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KR102320809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EP2449009B1 (en) Thermo-shrinkable polyester film
JP300600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イルム
JP2009019183A (ja) 巻き上がり現象の改善された熱収縮性の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その製造方法
KR102491633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필름, 이의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라벨
JP3960741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多層フイルム
KR101066517B1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터계 필름
JP2014094521A (ja) 成型加飾材用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564753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KR100559952B1 (ko)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JP5015448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フィルム
JP5487596B2 (ja) 熱収縮性ポリエステル系フィルム、及び熱収縮性ラベル
JPH11115133A (ja) ポリエステル製熱収縮ラベル
KR100559951B1 (ko) 융착방지성이 우수한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 필름 및 그의제조방법
KR20110140075A (ko) 열수축성 폴리에스테르계 라벨
JP2517995C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