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315671B1 -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315671B1
KR102315671B1 KR1020150008514A KR20150008514A KR102315671B1 KR 102315671 B1 KR102315671 B1 KR 102315671B1 KR 1020150008514 A KR1020150008514 A KR 1020150008514A KR 20150008514 A KR20150008514 A KR 20150008514A KR 102315671 B1 KR102315671 B1 KR 10231567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ubstrate
pad
area
display area
integrated circu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5000851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89559A (ko
Inventor
이윤범
Original Assignee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5000851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315671B1/ko
Priority to US14/743,274 priority patent/US9911375B2/en
Publication of KR2016008955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8955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31567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31567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092Details of a display terminals using a flat panel, the details relating to the control arrangement of the display terminal and to the interfaces thereto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Wearable computers, e.g. on a bel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00Details not covered by groups G06F3/00 - G06F13/00 and G06F21/00
    • G06F1/16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 G06F1/161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for portable computers
    • G06F1/1633Constructional details or arrangements of portable computers not specific to the type of enclosures covered by groups G06F1/1615 - G06F1/1626
    • G06F1/1637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 G06F1/1643Details related to the display arrangement, including those related to the mounting of the display in the housing the display being associated to a digitizer, e.g. laptops that can be used as penpad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41Digitisers, e.g. for touch screens or touch pads, characterised by the transducing means
    • G06F3/0416Control or interface arrangements specially adapted for digitisers
    • G06F3/04164Connections between sensors and controllers, e.g. routing lines between electrodes and connection pad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2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 G09G3/3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 G09G3/32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G09G3/3208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 G09G3/3225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using controlled light sources using electroluminescent panels semiconductive, e.g. using light-emitting diodes [LED] organic, e.g. using organic light-emitting diodes [OLED]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3/0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 G09G3/20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 G09G3/34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 G09G3/36Control arrangements or circuits, of interest only in connection with visual indicators other than cathode-ray tubes for presentation of an assembly of a number of characters, e.g. a page, by composing the assembly by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arranged in a matrix no fixed position being assigned to or needed to be assigned to the individual characters or partial characters by control of light from an independent source using liquid crystals
    • G09G3/3611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 G09G3/3648Control of matrices with row and column drivers using an active matrix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2Conductors connecting driver circuitry and terminals of panel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45Conductors connecting electrodes to cell terminals
    • G02F1/13458Terminal pad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2201/00Constructional arrangements not provided for in groups G02F1/00 - G02F7/00
    • G02F2201/56Substrates having a particular shape, e.g. non-rectangular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00/00Aspects of the constitution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Structural and physical details of display devices
    • G09G2300/0421Structural details of the set of electrodes
    • G09G2300/0426Layout of electrodes and connec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10/00Command of the display device
    • G09G2310/02Addressing, scanning or driving the display screen or processing steps related thereto
    • G09G2310/0264Details of driving circuits
    • G09G2310/0281Arrangement of scan or data electrode driver circuits at the periphery of a panel not inherent to a split matrix structure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GARRANGEMENTS OR CIRCUITS FOR CONTROL OF INDICATING DEVICES USING STATIC MEANS TO PRESENT VARIABLE INFORMATION
    • G09G2354/00Aspects of interface with display us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Devices For Indicating Variable Information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AREA)

Abstract

표시 장치가 제공된다.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일부와 오버랩되는 제2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및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노출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다.

Description

표시 장치{DISPLAY DEVICE}
본 발명은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정보화 사회가 발전함에 따라 화상을 표시하기 위한 표시 장치에 대한 요구가 다양한 형상으로 증가하고 있으며, 근래에는 표시 장치(LCD: liquid crystal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DP: plasma display panel), 유기 발광 표시 장치 (OLE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와 같은 다양한 평판 표시 장치(flat display device)가 활용되고 있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표시 패널과 이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구동 회로 기판(PCB)를 포함한다. 구동 회로 기판(PCB)은 연성 회로 기판(FPC)를 통해 집적 회로(IC)에 구동 신호를 제공한다. 구동 신호는 집적 회로(IC)에서 분배되어 표시 패널의 각 화소에 제공될 수 있다. 집적 회로(IC)는 표시 패널의 일면 상에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실장될 수 있으며, 연성 회로 기판(FPC)는 집적 회로(IC)와 인접하게 형성된 패드부와 연결되어 구동 회로 기판(PCB)에서 공급된 신호를 집적 회로(IC)로 전달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평판 표시 장치는 직사각형 형상으로써 구현되나, 원형이나 타원형 또는 다각 형상 등 다양한 형상을 갖는 표시 패널이 개발되고 있다. 다만,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표시 장치에 종래의 칩 온 글래스 방식과 같이 집적 회로(IC)와 패드부를 인접하게 형성하는 경우, 이를 위한 표시 패널의 추가적인 영역이 많이 필요하게 된다.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표시 장치는 이러한 추가적인 영역에 의해 디자인적 제한이 발생한다.
이에,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집적 회로 실장에 관한 디자인적 제한을 최소화할 수 있는 비직사각형 형상의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일부와 오버랩되는 제2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및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노출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기판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제2 기판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상기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에 의해 대칭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제2 기판과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2 기판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표시 영역과 오버랩되는 터치 패턴과,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과 오버랩되고 상기 터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대향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집적 회로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나아가, 상기 제2 기판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까지 커버하는 비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양측 모서리 영역은 사선으로 커팅된 모따기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은 라운드된 일변을 포함하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제1 기판의 라운드된 일변의 곡률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라운드될 수 있다.
상기 집적 회로과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라운드된 제1 기판의 일변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집적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배선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의 중심에서 상기 제1 패드간의 최단 직선 거리와 상기 제1 기판의 중심에서 상기 집적 회로간의 최단 직선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다.
상기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는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제1 기판, 상기 제1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제1 기판의 일부와 오버랩되는 제2 기판,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및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를 포함하고,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제2 기판으로부터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노출 영역의 서로 상이한 측에 위치한다.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까지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제1 기판의 일면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패드까지 연장된 가상의 선은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1 기판과 상기 제2 기판은 원형 형상일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표시 영역과 오버랩되는 터치 패턴과, 상기 제1 기판의 비표시 영역과 오버랩되고 상기 터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일면과 대향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와 각각 연결될 수 있다.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집적 회로와 인접하여 위치할 수 있다.
상기 제2 기판 상에 위치하여, 상기 노출 영역까지 커버하는 비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면, 집적 회로(IC)와 패드부를 형성하기 위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즉,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표시 장치에서 발생할 수 있는 디자인적 제한이 최소화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따른 효과는 이상에서 예시된 내용에 의해 제한되지 않으며, 더욱 다양한 효과들이 본 명세서 내에 포함되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3은 종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된 형상의 평면도이다.
도 7은 도 6의 A-A’ 및 B-B’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다.
도 15는 도 12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도 16은 도 12의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상으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소자(elements) 또는 층이 다른 소자 또는 층의 "위(on)"로 지칭되는 것은 다른 소자 바로 위에 또는 중간에 다른 층 또는 다른 소자를 개재한 경우를 모두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비록 제1, 제2 등이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서술하기 위해서 사용되나, 이들 구성요소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제한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들 용어들은 단지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와 구별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하에서 언급되는 제1 구성요소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내에서 제2 구성요소일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표시 장치는 화상을 표시하는 장치로서, 액정 표시 장치(Liquid Crystal Display), 전기영동 표시 장치(Electrophoretic Displayl), 유기 발광 표시 장치(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무기 EL 표시 장치(Electro Luminescent Display), 전계 방출 표시 장치(Field Emission Display), 표면 전도 전자 방출 표시 장치(Surface-conduction Electron-emitter Display), 플라즈마 표시 장치(Plasma Display), 음극선관 표시 장치(Cathode Ray Display) 등 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로서, 유기 발광 표시 장치를 예로 하여 설명하지만, 본 발명의 표시 장치는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양한 방식의 표시 장치가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3은 종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며, 도 4는 도 1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배면도이고, 도 6은 도 1의 표시 장치에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된 형상의 평면도이고, 도 7은 도 6의 A-A’ 및 B-B’를 따라 절단한 표시 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기판(S1), 제2 기판(S2), 집적 회로(IC) 및 제1 패드(P1)를 포함한다.
제1 기판(S1)은 투명 절연 기판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제1 기판(S1)은 유리 기판, 석영 기판, 투명 수지 기판 등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제1 기판(S1)은 고내열성을 갖는 고분자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제1 기판(S1)은, 폴리에테르술폰(PES, polyethersulphone), 폴리아크릴레이트(PAR, polyacrylate), 폴리에테르 이미드(PEI, polyetherimide), 폴리에틸렌 나프탈레이트(PEN, polyethyelenen napthal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드(PET, polyethyeleneterepthalate), 폴리페닐렌설파이드(polyphenylene sulfide: PPS), 폴리아릴레이트(polyallylate), 폴리이미드(polyimide: PI), 폴리카보네이트(PC), 셀룰로오스 트리 아세테이트(cellulose triacetate), 셀룰로오스 아세테이트 프로피오네이트(cellulose acetate propionate: CAP), 폴리아릴렌에테르 술폰(poly(aryleneether sulfone)) 및 이들의 조합으로 이루어진 그룹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몇몇 실시예에서 제1 기판(S1)은 가요성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은 롤링(rolling), 폴딩(folding), 벤딩(bending) 등으로 형상 변형이 가능한 기판일 수 있다.
제1 기판(S1)은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1)의 외측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부채꼴형, 타원형 등일 수도 있다.
제1 기판(S1)은 표시 영역(DA)과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화상이 표시되는 영역이다. 표시 영역(DA)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할 수 있다. 각 화소(PX)는 표시 소자 및 표시 소자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표시 소자는 유기 발광 표시 소자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표시 영역(DA)은 제1 기판(S1)의 중앙부에 위치하며,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일 수 있다. 표시 영역(DA)은 제1 기판(S1)의 외형과 닮은꼴일 수도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화상이 표시되지 않은 영역이다. 비표시 영역(NA)의 표시 영역(DA)의 주변에 위치할 수 있다. 즉, 비표시 영역(NA)은 제1 기판(S1)의 가장자리부를 차지할 수 있다.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을 둘러쌀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비표시 영역(NA)은 표시 영역(DA)을 모두 둘러싸는 원형의 도넛 형상일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대향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일정거리 이격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판(S2)과 제1 기판(S1) 사이에는 질소 등이 충진되어 있을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의 적어도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의 전부 및 비표시 영역(NA)의 일부를 커버하도록 위치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과 실질적으로 동일한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이 원형인 경우 제2 기판(S2) 또한 원형일 수 있다. 제2 기판(S2)의 반지름은 제1 기판(S1) 표시 영역(DA)의 반지름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며, 제2 기판(S2)은 비표시 영역(NA)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실런트(SE) 등에 의해 제1 기판(S1)과 합착됨으로써, 제1 기판(S1)의 표시 소자 및 박막 트랜지스터 등을 봉지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투명한 절연 유리 또는 플라스틱일 수 있지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외부 물질을 차단할 수 있는 다양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동일한 물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은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NA1)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고, 제2 영역(NA2)은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방향과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은 제1 기판(S1)의 중심(CP)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관계에 있을 수 있다.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은 제2 기판(S2)에 의해 커버되지 않고 제2 기판(S2)으로부터 노출된 영역일 수 있다. 즉,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은 제2 기판(S2)과 오버랩되지 않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은 원형의 영역에서 서로 반대 방향으로 돌출된 사각 형상의 영역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적 회로(IC)는 제1 영역(NA1)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제1 영역(NA1)은 집적 회로(IC)가 실장되는 패드 전극(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집적 회로(IC)는 패드 전극(미도시)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칩 온 글래스(Chip On Glass; COG) 방식으로 제1 영역(NA1)에 실장될 수 있다. 집적 회로(IC)는 구동 회로 기판(미도시)에서 제공된 외부 신호를 처리하여 표시 영역(DA)의 각 화소(PX)에 처리된 구동 신호를 제공할 수 있다.
제1 패드(P1)는 제2 영역(NA2)에 위치할 수 있다. 제1 패드(P1)는 구동 회로 기판(미도시)과 연결되어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FPC; flexible printed circuit board)과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드(P1)는 복수의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패드(P1)는 연성 회로 기판(FPC)의 도전성 부재와 각각 결합될 수 있다. 제1 패드(P1)는 제1 영역(NA1)의 집적 회로(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으며, 연성 회로 기판(FPC)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집적 회로(IC)에 제공할 수 있다.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는 복수의 배선(L)을 통해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선(L)은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배선(L)은 표시 영역(DA)을 우회하여 비표시 영역(NA)에 위치할 수 있다. 복수의 배선(L)은 제1 기판(S1)의 외곽 테두리의 형상에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도록 연장될 수 있다. 복수의 배선(L) 각각은 제1 패드(P1)의 각 패드 전극과 대응되어 연결될 수 있으며, 복수의 패드 전극 각각은 대응되는 배선(L)을 통해 집적 회로(IC)와 연결될 수 있다. 복수의 배선(L) 중 일부 배선들은 비표시 영역(NA)의 일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으며, 복수의 배선(L) 중 나머지 배선들은 일측과 대칭되는 타측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의 외형이 원형인 경우, 복수의 배선(L) 중 일부 배선은 시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으며, 나머지 배선은 반시계 방향을 따라 연장된 형태일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의 중심(CP)에서 제1 패드(P1)간의 최단 직선 거리와 제1 기판의 중심(CP)에서 집적 회로(IC)간의 최단 직선 거리는 실질적으로 동일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의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는 공간적으로 구획된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에 각각 분리되어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가 인접하게 배치되지 않으므로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를 배치하기 위한 영역을 최소화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2 기판(S2) 상에 위치하여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까지 커버하는 커버 윈도우(CW)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화상을 표시하는 방향의 일면을 커버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유리 또는 플라스틱 등과 같은 투명한 소재로 만들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제2 기판(S2)과 유사한 형상일 수 있다. 즉,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S2)은 원형이고, 커버 윈도우(CW) 또한 원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는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과 대응하는 투광부, 및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과 대응하는 차광부를 포함할 수 있다. 차광부는 표시 영역(DA)의 가장자리 및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가 실장되는 영역에 대응되고, 투광부는 표시 영역(DA)에 대응될 수 있다. 차광부는 불필요한 빛을 차단하고, 화상을 표시하지 않는 제1 기판(S1)의 구성을 가려주는 역할을 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를 인접하게 배치하는 경우 이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CW)의 차광부는 넓게 형성될 필요가 있다. 따라서, 넓은 면적의 차광부에 따라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 제한이 발생할 수 있다. 이와 달리,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므로,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를 커버하기 위한 차광부는 도 3의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즉, 불필요한 영역의 생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 제한이 최소화될 수 있어,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10)는 연성 회로 기판(FPC), 제2 패드(P2) 및 터치 패턴(TP)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성 회로 기판(FPC)은 제1 기판(S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기판(S1)의 배면은 제1 기판(S1)의 각 구성이 형성되지 않은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1)의 일면이 제2 기판(S2)과 대향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FPC)는 제1 기판(S1)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굽혀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연성 회로 기판(FPC)은 일 말단부가 굽혀져서 제1 패드(P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말단부는 구동 회로 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는 구동 회로 기판에서 제공되는 외부 신호를 제1 패드(P1)로 전달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의 또 다른 말단부는 제2 패드(P2)와 연결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패드(P2)는 제2 기판(S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터치 패턴(TP)도 제2 기판(S2)의 일면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2 패드(P2)는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과 오버랩되고, 터치 패턴(TP)은 표시 영역(DA)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패드(P2)는 집적 회로(IC)와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중심선(CP)을 가로지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1 기판(S1)을 이분할하여 영역을 구획하는 경우, 제2 패드(P2)는 집적 회로(IC)와 동일한 영역에 포함되고, 제1 패드(P1)와 다른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외부로부터 접촉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제2 기판(P2)에서 표시 영역(NA)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전반에 걸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전극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P2)는 복수의 패드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의 각 터치 전극은 배선을 통해 제2 패드(P2)의 복수의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의 또 다른 말단부의 전도성 패턴은 제2 패드(P2)의 각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제2 패드(P2)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신호를 구동 회로 기판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 기판은 이를 판단하고 처리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제1 패드(P1)로 출력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9는 도 8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8 및 도 9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제1 기판(S1), 제2 기판(S2), 집적 회로(IC) 및 제1 패드(P1)를 포함한다.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돌출되어 연장된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에 집적 회로(IC)와 제1 패드(P1)는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여기서,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양측 모서리 영역은 직각 형상이 아닌, 사선으로 커팅된 모따기 형상일 수 있다.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모서리 영역이 모따기 형상으로 커팅됨에 따라, 원형의 제2 기판(S2) 상에 배치되는 원형 커버 윈도우(CW)의 지름은 감소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커버 윈도우(CW)의 차광부는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커버 윈도우(CW)의 형상 및 크기는 도 9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몇몇 실시예에서 타원형으로 제공될 수도 있다.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모서리가 커팅되는 각도 및 정도는 커버 윈도우(CW)의 형상 및 크기에 따라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20)는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모서리 영역을 커팅하여 커버 윈도우(CW)의 차광부를 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CW)의 형상 및 크기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1은 도 10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는 제1 기판(S1), 제2 기판(S2), 집적 회로(IC), 제1 패드(P1) 및 제2 패드(P2)를 포함한다.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에서 서로 다른 방향으로 연장된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에 집적 회로(IC)와 제1 패드(P1)는 각각 배치될 수 있다. 제1 기판(S1)은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된 일변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기판(S1)은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1)의 외측 테두리의 적어도 일부는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예시적인 실시예에서, 제1 기판(S1)의 표시 영역(DA)은 원형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반원형, 부채꼴형, 타원형 등일 수도 있다. 그리고,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말단 영역은 직각 형상이 아닌, 곡면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말단 영역은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곡면 형상의 제1 기판(S1)의 외측 테두리와 제1 영역(NA1)과 제2 영역(NA2)의 말단 영역은 실질적으로 동일한 곡률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집적 회로(IC)는 소정의 곡률을 가진채로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집적 회로(IC)는 제1 영역(S1)의 말단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형상일 수 있다. 제1 패드(P1)는 제2 영역(NA2)의 말단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배치될 수 있다. 제1 패드(P1)의 복수의 패드 전극은 동일한 수평 위치에 배치되지 않으며, 소정의 곡률을 가지도록 서로 다른 위치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각 패드 전극의 말단 영역은 제1 패드(P1)가 전체적으로 소정 곡률을 형성하도록 곡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제1 패드(P1)의 복수의 패드 전극 각각은 직사각형 형상일 수 있으며, 제1 패드(P1)의 복수의 패드 전극은 계단 형상으로 배치될 수도 있다.
제1 영역(NA1), 제2 영역(NA2), 집적 회로(IC) 및 제1 패드(P1)들이 소정의 곡률을 가짐에 따라, 원형의 제2 기판(S2) 상에 배치되는 원형 커버 윈도우(CW)의 지름은 보다 감소될 수 있다. 즉, 커버 윈도우(CW)의 차광부는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커버 윈도우(CW)의 형상 및 크기는 도 11에 도시된 것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른 제2 기판(S2)도 적어도 부분적으로 라운드된 일변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제2 기판(S2)의 라운드된 일변과 인접하게 배치되는 제2 패드(P2) 또한 소정의 곡률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즉, 제2 패드(P2)를 차폐하기 위한 윈도우(CW)의 차광부의 폭은 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30)는 커버 윈도우(CW)의 차광부를 보다 좁게 형성할 수 있으며, 커버 윈도우(CW)의 형상 및 크기가 제한되는 것을 방지하여 다양한 디자인의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도 12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의 평면도이며, 도 13 및 도 14는 도 12의 표시 장치의 제1 기판의 평면도이고, 도 15는 도 12의 표시 장치에 커버 윈도우를 배치한 평면도이며, 도 16은 도 12의 표시 장치의 부분 단면도이다. 이하의 실시예에서, 이미 언급된 구성과 동일한 구성에 대해서는 그 설명을 생략하거나 간략화하고,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도 12 내지 도 1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표시 장치(40)는 제1 기판(S1), 제2 기판(S2), 집적 회로(IC), 제1 패드(P1) 및 제2 패드(P2)를 포함한다.
제1 기판(S1)의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기판(S1)과 제2 기판(S2)은 원형 형상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1 기판(S1)은 복수의 화소(PX)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DA)와 표시 영역(DA)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NA)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기판(S2)은 제1 기판(S1)과 대향하여 제1 기판(S1)의 일부와 오버랩될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은 제2 기판(S2)으로부터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화소(PX)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IC)는 이러한 노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집적 회로(IC)와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1 패드(P1)도 노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노출 영역은 집적 회로(IC)와 제1 패드(P1)가 실장되는 실장 영역일 수 있다. 다만,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는 노출 영역의 서로 상이한 측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일면의 중심점(CP)으로부터 집적 회로(IC)까지 연장된 제1 가상의 선(L1)과 제1 기판(S1)의 일면의 중심점(CP)으로부터 제1 패드(P1)까지 연장된 제2 가상의 선(L2)은 일정 각도를 형성할 수 있다.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는 서로 대칭되어 노출 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가상의 선(L1)과 제2 가상의 선(L2)이 형성하는 각도(θ1)은 180도일 수 있다.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는 제1 가상의 선(L1)과 제2 가상의 선(L2)이 90도의 각도(θ1)를 형성하도록 위치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가 공간적으로 분리되어 형성되는 바, 이러한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를 커버하기 위한 커버 윈도우의 차광부는 종래보다 상대적으로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불필요한 영역의 생성을 방지함과 동시에 표시 장치의 디자인적 제한이 최소화될 수 있어, 네로우 베젤(narrow bezel)을 가지는 표시 장치를 얻을 수 있다.
도 16은 제1 패드(P1)와 집적 회로(IC)가 형성된 영역을 각각 절단한 단면도이며, 각각의 구성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기판(S2)은 일면 상에 터치 패턴(TP)과 제2 패드(P2)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패드(P2)는 제1 기판(S1)의 비표시 영역(NA)과 오버랩될 수 있으며, 터치 패턴(TP)은 표시 영역(DA)과 오버랩될 수 있다. 제2 패드(P2)는 집적 회로(IC)와 보다 인접하게 위치할 수 있다. 즉, 제1 기판(S1)의 중심선(CP)을 가로지는 가상의 수평선을 기준으로 제1 기판(S1)을 이분할하여 영역을 구획하는 경우, 제2 패드(P2)는 집적 회로(IC)와 동일한 영역에 포함되고, 제1 패드(P1)와 다른 영역에 포함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외부로부터 접촉된 위치를 감지할 수 있는 복수의 터치 전극일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제2 기판(P2)에서 표시 영역(NA)과 오버랩되는 영역에 전반에 걸쳐 넓게 형성될 수 있다. 터치 패턴(TP)은 수직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전극과 수평 방향으로 서로 연결된 복수의 터치 전극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패드(P2)는 복수의 패드 전극일 수 있다. 터치 패턴(TP)의 각 터치 전극은 배선을 통해 제2 패드(P2)의 복수의 패드 전극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제1 기판(S1)의 배면에 부착될 수 있다. 제1 기판(S1)의 배면은 제1 기판(S1)의 각 구성이 형성되지 않은 면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기판(S1)의 일면이 제2 기판(S2)과 대향되는 경우, 연성 회로 기판(FPC)는 제1 기판(S1)의 타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굽혀질 수 있는 유연한 재질의 연성 회로 기판(FPC)은 일 말단부가 굽혀져서 제1 패드(P1)와 연결될 수 있으며, 다른 말단부는 제2 패드(P2)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또 다른 말단부는 구동 회로 기판(미도시)과 연결될 수 있다. 연성 회로 기판(FPC)은 제2 패드(P2)로부터 제공되는 터치 신호를 구동 회로 기판으로 제공할 수 있으며, 구동 회로 기판은 이를 판단하고 처리하여 대응되는 신호를 제1 패드(P1)로 출력할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상으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20, 30, 40: 표시 장치
S1: 제1 기판
S2: 제2 기판
P1: 제1 패드
P2: 제2 패드
PX: 화소
IC: 집적 회로
FPC: 연성 회로 기판

Claims (20)

  1.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기판;
    상기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기판의 일부와 오버랩되는 절연부재;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 및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를 포함하되,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제1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노출된 제1 영역과 상기 제1 방향과 다른 방향인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노출된 제2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제1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집적 회로, 상기 제2 영역에 위치하는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상기 절연부재는 원형 형상인 표시 장치.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방향과 상기 제2 방향은 서로 반대 방향이고,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기판의 중심을 가로지르는 가상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대칭인 표시 장치.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은 상기 절연부재와 오버랩되지 않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절연부재와 오버랩되지 않는 표시 장치.
  5.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오버랩되는 터치 패턴과,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과 오버랩되고 상기 터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기판의 일면과 대향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와 각각 연결되는 표시 장치.
  7.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집적 회로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8.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제1 영역과 제2 영역까지 커버하는 비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9.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양측 모서리 영역은 사선으로 커팅된 모따기 형상인 표시 장치.
  10.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영역의 말단 영역과 상기 제2 영역의 말단 영역은 곡면 형상인 표시 장치.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적 회로는 상기 제1 영역의 말단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휘어진 형상이고,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제2 영역의 말단 영역에 대응하는 곡률을 가지도록 배치되는 표시 장치.
  1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에 위치하고,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집적 회로를 전기적으로 연결하는 복수의 배선을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3. 제1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패드는 복수의 패드 전극을 포함하며,
    상기 복수의 배선 각각은 각 복수의 패드 전극과 대응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중 일부 배선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측을 따라 연장되고,
    상기 복수의 배선 중 나머지 배선들은 상기 비표시 영역의 일측과 대칭되는 타측을 따라 연장되는 표시 장치.
  14. 복수의 화소를 포함하는 표시 영역과 상기 표시 영역의 외곽 영역인 비표시 영역을 포함하고, 비직사각형(non-rectangular) 형상의 기판;
    상기 기판과 대향하여 상기 기판의 일부와 오버랩되는 절연부재;
    상기 복수의 화소에 구동 신호를 제공하는 집적 회로; 및
    외부 신호를 전달하는 연성 회로 기판;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이 결합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전기적으로 연결된 제1 패드를 포함하고,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은 상기 절연부재로부터 노출된 노출 영역을 포함하고,
    상기 집적 회로와 상기 제1 패드는 상기 노출 영역의 서로 상이한 측에 위치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집적 회로, 상기 제1 패드 및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중첩하는 표시 장치.
  15.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의 일면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집적 회로까지 연장된 가상의 선과 상기 기판의 일면의 중심점으로부터 상기 제1 패드까지 연장된 가상의 선은 일정 각도를 형성하는 표시 장치.
  16.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기판과 상기 절연부재는 원형 형상인 표시 장치.
  17.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기판의 표시 영역과 오버랩되는 터치 패턴과,
    상기 기판의 비표시 영역과 오버랩되고 상기 터치 패턴과 전기적으로 연결되는 제2 패드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18.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는 상기 기판의 일면과 대향되고,
    상기 연성 회로 기판은 상기 기판의 타면에 위치하여, 상기 제1 패드와 상기 제2 패드와 각각 연결되는 표시 장치.
  19. 제17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패드는 상기 집적 회로와 인접하여 위치하는 표시 장치.
  20. 제14 항에 있어서,
    상기 절연부재 상에 위치하여, 상기 노출 영역까지 커버하는 비직사각형 형상의 커버 윈도우를 더 포함하는 표시 장치.
KR1020150008514A 2015-01-19 2015-01-19 표시 장치 KR102315671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514A KR102315671B1 (ko) 2015-01-19 2015-01-19 표시 장치
US14/743,274 US9911375B2 (en) 2015-01-19 2015-06-18 Display device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50008514A KR102315671B1 (ko) 2015-01-19 2015-01-19 표시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89559A KR20160089559A (ko) 2016-07-28
KR102315671B1 true KR102315671B1 (ko) 2021-10-21

Family

ID=564082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50008514A KR102315671B1 (ko) 2015-01-19 2015-01-19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US (1) US9911375B2 (ko)
KR (1) KR102315671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261370B2 (en) 2011-10-05 2019-04-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TWI518650B (zh) * 2014-10-27 2016-01-21 群創光電股份有限公司 顯示裝置
CN107807480B (zh) * 2016-09-08 2021-04-20 株式会社日本显示器 显示装置
US10409102B2 (en) * 2016-09-08 2019-09-10 Japan Display Inc. Display device
KR102598155B1 (ko) 2016-10-27 2023-11-07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전자 장치
KR102316563B1 (ko) * 2017-05-22 2021-10-25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금속으로 형성된 상부 기판을 포함하는 유기 발광 표시 장치 및 이의 제조 방법
KR102610245B1 (ko) * 2018-01-10 2023-12-05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및 표시 장치의 제조 방법
KR102627937B1 (ko) * 2018-11-27 2024-01-23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패널
CN112419903B (zh) * 2020-11-30 2022-05-10 厦门天马微电子有限公司 显示面板及显示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128819A (ja) * 2003-10-24 2005-05-1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5528644A (ja) 2002-05-31 2005-09-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非矩形状の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8292995A (ja) 2007-04-27 2008-12-04 Nec Lcd Technologies Ltd 非矩形表示装置
JP2009092981A (ja) * 2007-10-10 2009-04-30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パネル

Family Cites Families (4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881611B1 (en) * 1996-07-12 2005-04-19 Fujitsu Limited Method and mold for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ounting the device
JP4815088B2 (ja) 2000-02-07 2011-11-16 ユーグ ジョリドン, アナログインジケータ装置およびその応用
US7098077B2 (en) * 2004-01-20 2006-08-29 Taiwan Semiconductor Manufacturing Company, Ltd. Semiconductor chip singulation method
GB0411970D0 (en) 2004-05-28 2004-06-30 Koninkl Philips Electronics Nv Non-rectangular display device
KR100632257B1 (ko) * 2004-11-09 2006-10-11 삼성전자주식회사 액정 디스플레이 구동용 탭 패키지의 배선 패턴 구조
US20070109208A1 (en) * 2005-11-16 2007-05-17 Microsoft Corporation Antenna in a shielded enclosure
US9626900B2 (en) * 2007-10-23 2017-04-18 Japan Display Inc. Electro-optical device
KR101323454B1 (ko) * 2008-10-08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백라이트 유닛 및 이를 구비한 액정표시장치
KR101529921B1 (ko) * 2008-11-04 2015-06-18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단말기
KR101535929B1 (ko) 2008-12-02 2015-07-1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기판, 이를 갖는 표시패널 및 이를 갖는 표시장치
KR101323434B1 (ko) 2009-06-08 2013-10-29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유기전계발광표시장치
WO2011013523A1 (en) * 2009-07-31 2011-02-03 Semiconductor Energy Laboratory Co., Ltd. Semiconductor device and method for manufacturing the same
KR101626621B1 (ko) * 2009-12-30 2016-06-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원형 디스플레이부를 구비한 이동 통신 단말기의 데이터 제어 방법 및 이를 적용한 이동 통신 단말기
TWI450237B (zh) * 2010-01-14 2014-08-21 Wintek Corp 觸控顯示裝置
KR101659023B1 (ko) * 2010-03-15 2016-09-23 엘지전자 주식회사 와치형 이동 단말기
KR101822938B1 (ko) * 2011-04-12 2018-01-29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US9713295B2 (en) * 2012-06-21 2017-07-18 Apple Inc. Tape-based grounding structures
US10261370B2 (en) * 2011-10-05 2019-04-16 Apple Inc. Displays with minimized border regions having an apertured TFT layer for signal conductors
US20130113712A1 (en) * 2011-11-04 2013-05-09 Nokia Corporation User Interface Panel Connection
US8711292B2 (en) * 2011-11-22 2014-04-29 Atmel Corporation Integrated touch screen
US9894781B2 (en) * 2012-06-06 2018-02-13 Apple Inc. Notched display layers
US9110320B2 (en) * 2012-08-14 2015-08-18 Apple Inc. Display with bent inactive edge regions
US9214507B2 (en) * 2012-08-17 2015-12-15 Apple Inc. Narrow border organic light-emitting diode display
US9454025B2 (en) * 2012-08-31 2016-09-27 Apple Inc. Displays with reduced driver circuit ledges
US9024530B2 (en) * 2012-11-13 2015-05-05 Apple Inc. Synchronized ambient light sensor and display
US9477313B2 (en) * 2012-11-20 2016-10-25 Samsung Electronics Co., Ltd. User gesture input to wearable electronic device involving outward-facing sensor of device
KR102010492B1 (ko) * 2013-01-31 2019-08-13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액정표시장치 및 그의 제조방법
US9423897B2 (en) * 2013-04-01 2016-08-23 Apple Inc. Electronic device display with shielding layer
US9367094B2 (en) * 2013-12-17 2016-06-14 Apple Inc. Display module and system applications
KR102278507B1 (ko) * 2014-04-15 2021-07-16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착용형 장치
US10475363B2 (en) * 2014-06-02 2019-11-12 Apple Inc. Displays with adaptive spectral characteristics
JP6396690B2 (ja) * 2014-06-13 2018-09-26 株式会社ジャパンディスプレイ 表示装置
US20160070414A1 (en) * 2014-09-05 2016-03-10 Apple Inc. Electronic Devices With Replaceable Subassemblies
US9293102B1 (en) * 2014-10-01 2016-03-22 Apple, Inc. Display having vertical gate line extensions and minimized borders
JP2016085457A (ja) * 2014-10-24 2016-05-19 株式会社半導体エネルギー研究所 電子機器
US9490312B2 (en) * 2014-12-22 2016-11-08 Lg Display Co., Ltd.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with flexible printed circuit film
US9535522B2 (en) * 2014-12-22 2017-01-03 Lg Display Co., Ltd. Flexible organic light emitting diode display device
US9678588B2 (en) * 2015-01-28 2017-06-13 Sony Corporation Wire-bonded borderless display
US10067583B2 (en) * 2015-03-31 2018-09-04 Sony Corporation Virtual borderless display
KR102415651B1 (ko) * 2015-07-01 2022-07-01 엘지전자 주식회사 이동 단말기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5528644A (ja) 2002-05-31 2005-09-22 コーニンクレッカ フィリップス エレクトロニクス エヌ ヴィ 非矩形状のディスプレイ装置
JP2005128819A (ja) * 2003-10-24 2005-05-19 Kawaguchiko Seimitsu Co Ltd タッチパネル及びそれを備えた画面入力型表示装置
JP2008292995A (ja) 2007-04-27 2008-12-04 Nec Lcd Technologies Ltd 非矩形表示装置
JP2009092981A (ja) * 2007-10-10 2009-04-30 Epson Imaging Devices Corp 表示パネル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9911375B2 (en) 2018-03-06
KR20160089559A (ko) 2016-07-28
US20160210893A1 (en) 2016-07-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315671B1 (ko) 표시 장치
US11296287B2 (en) Display device
US10910410B2 (en) Flexible array substrate, flexible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assembling the same
GB2542503B (en) Display device
US9837038B2 (en) Display panel
US20190096911A1 (en) Array substrate,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9864227B2 (en) Display device
US10845658B2 (en) Display device having a plurality of peripheral wirings
CN111403934B (zh) 显示装置
TW201616184A (zh) 顯示面板以及顯示裝置
WO2014129272A1 (ja) 表示装置
US11269208B2 (en) Display device comprising a first auxiliary substrate including a first section and a second section oriented at a first right-or-acute angle relative to the first section and tiled display apparatus including the same
KR20110033602A (ko) 액정 표시 장치 및 그 제조 방법
KR102215881B1 (ko) 테이프 패키지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US10361224B2 (en) Display device
US11520200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KR20150002344A (ko) 협 베젤 구조를 갖는 평판 표시 패널
US20230154452A9 (en) Display device
US9035190B2 (en) Flexible circuit board and display device
US20220208898A1 (en) Display device
JP2021139937A (ja) 表示装置
KR102247134B1 (ko) 협지 연결 단자를 갖는 협 베젤 평판 표시장치용 박막 트랜지스터 기판
CN219697984U (zh) 电路板和包括电路板的显示装置
JP2023184061A (ja) 表示装置及びドライバ
KR20210054088A (ko) 표시 패널 및 이를 포함하는 표시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