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97919B1 -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 Google Patents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97919B1
KR102297919B1 KR1020167017932A KR20167017932A KR102297919B1 KR 102297919 B1 KR102297919 B1 KR 102297919B1 KR 1020167017932 A KR1020167017932 A KR 1020167017932A KR 20167017932 A KR20167017932 A KR 20167017932A KR 102297919 B1 KR102297919 B1 KR 10229791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nk destination
range
link
mark
video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179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95065A (ko
Inventor
도모타카 히라조
Original Assignee
파로님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54504A external-priority patent/JP5585716B1/ja
Priority claimed from JP2013254513A external-priority patent/JP5671671B1/ja
Application filed by 파로님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파로님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1600950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950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9791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9791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10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34Indicating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5Scrolling or panning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4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for the control of specific functions or operations, e.g. selecting or manipulating an object, an image or a displayed text element, setting a parameter value or selecting a range
    • G06F3/04847Interaction techniques to control parameter settings, e.g. interaction with sliders or dial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3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for inputting data by handwriting, e.g. gesture or tex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 GPHYSICS
    • G11INFORMATION STORAGE
    • G11BINFORMATION STORAGE BASED ON RELATIVE MOVEMENT BETWEEN RECORD CARRIER AND TRANSDUCER
    • G11B27/00Editing; Indexing; Addressing; Timing or synchronising; Monitoring; Measuring tape travel
    • G11B27/02Editing, e.g. varying the order of information signals recorded on, or reproduced from, record carriers
    • G11B27/031Electronic editing of digitised analogue information signals, e.g. audio or video signals
    • G11B27/036Insert-edit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1Structure of client; Structure of client peripherals
    • H04N21/4104Peripherals receiving signals from specially adapted client devices
    • H04N21/4126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 H04N21/41265The peripheral being portable, e.g. PDAs or mobile phones having a remote control device for bidirectional communication between the remote control device and client de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8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selecting a Region Of Interest [ROI], e.g. for requesting a higher resolution version of a selected reg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1Monomedia components thereof
    • H04N21/812Monomedia components thereof involving advertisement data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3Generation or processing of protective or descriptive data associated with content; Content structuring
    • H04N21/84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 H04N21/8455Structuring of content, e.g. decomposing content into time segments involving pointers to the content, e.g. pointers to the I-frames of the video stream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80Generation or processing of content or additional data by content creator independently of the distribution process; Content per se
    • H04N21/85Assembly of content; Generation of multimedia applications
    • H04N21/858Linking data to content, e.g. by linking an URL to a video object, by creating a hotspo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NPICTORIAL COMMUNICATION, e.g. TELEVISION
    • H04N21/00Selective content distribution, e.g. interactive television or video on demand [VOD]
    • H04N21/40Client devices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reception of or interaction with content, e.g. set-top-box [STB]; Operations thereof
    • H04N21/47End-user applications
    • H04N21/47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 H04N21/4722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 H04N21/4725End-user interface for requesting content, additional data or services; End-user interface for interacting with content, e.g. for content reservation or setting reminders, for requesting event notification, for manipulating displayed content for requesting additional data associated with the content using interactive regions of the image, e.g. hot spo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arketing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 Processing Or Creating Images (AREA)
  • Two-Way Televisions, Distribution Of Moving Picture Or The Like (AREA)

Abstract

링크처(link destination)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동영상 컨텐츠가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110)과,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107b)과, 화면 내에서,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110, 105, 107b)과,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110)과, 링크처 식별 정보 및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106)을 구비한다.

Description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INTERFACE DEVICE FOR LINK DESIGNATION, INTERFACE DEVICE FOR VIEWER, AND COMPUTER PROGRAM}
본 발명은,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자 측에 의해 재생 표시 중에 원하는 링크처(link destination)로 점프시키는 구성을, 광고주 등의 컨텐츠의 제공자 측에 의해 구축 가능하게 구성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이와 같은 장치에서 만든 링크처 지정용의 데이터를 이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표시 중에 시청자 측에 의해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를 이와 같은 장치로서 각각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의 기술 분야에 관한 것이다.
이러한 종류의 장치와 관련된 시스템으로서, 표시 중의 컨텐츠를 구성하는 오브젝트를 선택하면, 이와 관련된 링크처의 별도의 컨텐츠를 표시하도록 구축된 것이 다양하게 제안되어 있다(하기 특허 문헌 1∼3 참조).
일본공개특허 제2011-259184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10-108310호 공보 일본공개특허 제2008-146492호 공보
그러나, 이와 같은 시스템에 있어서는, 광고주 등의 컨텐츠의 제공자 측에서의 링크처의 지정 작업에 관하여, 동영상 컨텐츠의 일부로서 동영상 중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에,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작업을 행하는 데 있어서는, 기본적으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지식, 또는 시스템 엔지니어 지식과 같은 전문성이 필요하며, 간단한 조작 또는 신속한 조작에 의해, 링크처를 지정 또는 변경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지 않다. 또는, 천차만별의 동영상 컨텐츠의 내용이나 동작에 따라 링크처를 지정하는 시스템 또는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 자체가, 대체로 복잡 고도하며, 대규모 작업이 될 수 있다.
또한, 링크처를 지정 가능한 컨텐츠 자체에 임의성을 잃어 버릴 수 있다. 즉, 사전에 링크처 지정 가능하게 구축된 전용의 컨텐츠일 때 비로소, 나중에 시청자가 링크처를 선택할 수 있게 된다.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한 연구에 의하면, 광고주, 광고 대리점, 방송국 등의 컨텐츠의 제공자 측에서 지정하고자 하는 링크처는, 빈번한 변경, 추가, 삭제는 항상 있는 일이다. 따라서,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 있어서는, 링크처를 간단한 조작 또는 신속한 조작에 의해 임기응변적으로 지정하거나 변경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광고주, 광고 대리점, 방송국 등의 컨텐츠 제공자 측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 중에 존재하는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하나의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이와 같은 장치에 의해 작성된 링크처 지정용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중인 시청자 측에 의해,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각각 기능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또 다른 과제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자들에 의한 연구에 의하면, 동일한 컨텐츠라도, 와이드나 노멀의 대형 또는 소형의 텔레비전, PC, 모바일, 스마트폰, 휴대폰 등에 구비된, 각종 종횡 비율이나, 가변으로 되어있는 가로 배율과 세로 배율이나, 세그먼트 부분이 상이한 표시 수단에 의해, 이와 같은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구성을 실현시키는 것은, 복잡하며 곤란하다. 또는, 이와 같은 다종 다양한 표시 수단에 대응하게 하기 위해서는, 표시 수단의 종류별로,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특히, 표시 수단의 사양, 기획, 종류 등도, 일취월장하고 있고, 기존의 또는 장래 등장할 다종 다양한 표시 수단에 간단하게 대응 가능한 것은, 이러한 종류의 시스템에서는 바람직한 것으로 사료된다.
본 발명은, 예를 들면, 전술한 기술적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이루어진 것이며, 사양이 상이한 각종 표시 수단에 의해 재생되는 경우라도,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컴퓨터를, 이와 같은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기능하게 할 수 있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제공하는 것을 다른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의 제1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과,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과,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고,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제1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즉, 컨텐츠 제공자 측인 자)에서, 임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도, 결과적으로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설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배경 기술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마다 링크 지정용의 각종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에 비해 훨씬 더 소량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컨텐츠 상에서 링크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구축 가능하므로, 실천하는 면에서 대단히 유리하다.
본 발명의 제2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과,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과,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은,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복수의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또는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상기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표시 형태의 구별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의 제2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즉, 컨텐츠 제공자 측인 자)에서, 임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도, 결과적으로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설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 1개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이한 종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링크처의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되거나, 상이한 링크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3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과,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과,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하고, 상기 화면은, 터치 패널의 화면이며,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로의 조작자에 의한 접촉을,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개시의 트리거(trigger)로 하고, 상기 접촉의 종료를,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종료의 트리거로 한다.
본 발명의 제3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즉, 컨텐츠 제공자 측인 자)에서, 임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도, 결과적으로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설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범위 마크의 이동 개시로부터 이동 종료 시까지, 상기 장치의 사용자(즉, 여기에 말하는 「터치 패널」의 조작자」)가 행하는 조작이, 더 한층 간이화되어 전체적으로도, 보다 간단하게 또한 신속하게, 범위 마크의 이동 조작을 실행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각각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1 내지 제3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등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또는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다운로드시킨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제1 내지 제3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각각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i) 동영상 컨텐츠의 화면 내에서의 원하는 범위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全域)에 대한 상대 위치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 영상의 종횡 각각의 크기를 최대값으로 한 경우에서의 상기 최대값에 대한 비율에 의해 표시되는 좌표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ii) 상기 원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수단에 의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선택적으로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의 재생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대신 또는 그 재생에 부가하여 행하게 하기 위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수단과, 상기 위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상대 위치로부터 정해지는 상기 원하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링크처 지정용 데이터인, 위치 정보 및 링크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시청자 측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에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특히,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화면 상에서의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행할 때 사용되는 재생 수단(즉,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을 가지는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속성, 종횡 비율 설정, 배율 설정, 세그먼트 표시의 유무 등에 관계없이, 오브젝트의 선택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제4 컴퓨터 프로그램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컴퓨터를,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발명의 제4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예를 들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기록 매체 등으로부터,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또는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다운로드시킨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본 발명에 따른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이와 같은 작용 및 다른 이점은,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형태에 의해 밝혀진다
도 1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2는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블록도이다.
도 3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 동작에 의해 생성되고,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사용되는, 링크 지정용 데이터의 구조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4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 등이, 통신망에 수용된 상태를 나타낸 개념적인 블록도이다.
도 5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일례의 흐름을 나타낸 제1 흐름도이다.
도 6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일례의 흐름을 나타낸 제2 흐름도이다.
도 7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의 흐름을 나타낸 제1 흐름도이다.
도 8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다른 예의 흐름을 나타낸 제2 흐름도이다.
도 9는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의 일례의 흐름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10은 실시예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와 링크처 지정용 데이터와 재생 시간과의 관계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2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3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4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5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6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7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8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9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0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1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2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3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4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5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6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7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8은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29는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0은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측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하나의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1은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측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32는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측 인터페이스 장치의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다른 화상의 상태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1>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과,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과,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과,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과,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을 구비한다.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예를 들면, 광고주의 스태프, 광고 대리점의 스태프, 방송국 스태프 등의 컨텐츠 제공자 측인 자인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 의해, 하기과 같이 동작한다. 여기서의 「컨텐츠 제공자」는, 전형적으로는, 링크처가 되는 컨텐츠의 제공을 계획하는, 또는 시청자의 링크처로의 유도를 계획하는 자이며, 동영상 컨텐츠 자체를 제공하는 제공자와 동일할 수도 있고, 동일하지 않을 수도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브젝트」란, 동영상 컨텐츠 내에 포함되는 형태로 표시되는, 예를 들면, 음료품·식품, 음료품·식품의 용기, 의복, 장식품, 탈 것, 가구, 전자 제품 등의 가시(可視) 유체물(有體物)을 의미하고, 넓은 의미로는, 이하에서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링크처를 지정 가능하도록 동영상 컨텐츠 중에서 다른 부위로부터 구별될 수 있는 부위이면, 혹시 형상이나 윤곽이 명확하지 않아도,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오브젝트」에 해당한다. 좁은 의미로는, 「오브젝트」란, 링크처와 관련된, 동영상 컨텐츠의 일부로서 표시된 물품이다. 상기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이와 같은 사용자 또는 컨텐츠 제공자에게 이른바 GUI(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서 기능한다.
먼저, 예를 들면, PC, 터치 패널, 모바일, 휴대폰 단말기 장치, 스마트 폰, 휴대폰, 고기능 TV 등이 가지는 표시 수단(즉,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을 가지는 표시 디바이스, 표시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에, 링크를 설정하는 대상인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된다. 동영상 컨텐츠는, 영화, 드라마, 애니메이션, 다큐멘터리, 버라이어티쇼, 텔레비전 쇼핑, 스포츠 프로그램 등 임의이다. 즉,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제작된 컨텐츠일 필요는 없으며, 일반적인 컨텐츠이면 된다. 단, 링크를 설정하기 위하여 또는 용이하게 설정하기 위하여 또는 설정할 수 있도록 구성된 동영상 컨텐츠라도 된다.
이 상태에서, 화면 내에서, 범위 지정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원하는 범위가 지정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범위 마크 설정 수단에 의해, 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가, 화면 내에서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되어 표시된다. 범위 마크로서는, 예를 들면, 적색 라인의 사각형 또는 다각형의 윤곽 마크라도 되고, 둥근 윤곽 마크라도 된다. 또는 음영이나 형광 펜에 의한 마크라도 되고, 화면 상에서 상기 범위 마크를 육안으로 관찰할 수 있다면 임의이다. 범위 마크는, 후술하는 바와 같이 링크처로 점프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을 제공하는 「범위」를 정하는 의미에서는, 윤곽에 가선을 두르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링크처로 점프시키는지의 여부의 판정 기준을 제공하는 「일정 사이즈나 일정 형상의 범위를 그 주위에 따른다」라는 규약 하에서, 단순하게, 상기 범위의 중심 등을 나타내는 점형의 마크나 소정 종류의 아이콘이라도 상관없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범위 지정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우스, 태블릿, 조그다이얼, 트랙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화면 내에서 아이콘 조작, 묘화 조작, 표시 조작 등을 행할 수 있는, 기존의 각종 조작 장치를 채용 가능하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범위 마크 설정 수단」은, 예를 들면, CPU, 마이크로 컴퓨터, 메모리 등의, 표시하고자 하는 화상에 대응하는 화상 신호, 화상 제어 신호, 타이밍 신호, 동기 신호 등의 각종 신호를, 자기와는 별체의 또는 자기 내장하는 표시 수단(즉,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을 가지는 표시 수단)에 제공함으로써, 상기 표시 수단의 표시 제어를 행할 수 있는 기존의 각종 표시 제어 장치의 일부 또는 전부로 구성된다.
이상과 같이, 화면 내에서의 범위 마크의 초기 설정이 행해진다. 범위 마크의 형상·크기, 대응시키고자 하는 오브젝트와의 위치 관계 등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초기 설정한다는 관점에서는, 동영상 컨텐츠는, 본 단계에서는, 정지화상 재생 또는 스톱 모션 또는 슬로우 재생되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그러나, 동영상 재생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동작이나 특히 그 중에서의 오브젝트의 동작이 부족하거나 또는 거의 없거나 또는 전혀 없는 경우, 상기 장치의 사용자의 조작 기량이 높아 신속하게 조작 가능한 경우 등에는, 슬로우 재생, 통상 재생, 하이 스피드 재생 등의 동영상 재생 중에, 이와 같은 초기 설정이 행해져도 된다.
이어서, 이상과 같이 초기 설정이 행해진 범위 마크가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된 채,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된다. 동영상 재생은, 배속 재생 등의 고속 재생이라도 되고, 슬로우 재생 등의 저속 재생이라도 되고, 통상 재생이라도 되고 가변 재생이라도 되고, 프레임(frame-by-frame) 재생이라도 된다.
이 상태에서, 화면 내에서, 이동 조작 수단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범위 마크가,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전형적으로는, 화면의 2차원면내를 종횡 무진으로 연속적으로 또는 단속적(斷續的)으로, 임의의 스피드에 의해 이동된다. 이동 중에 1회 또는 복수 회의 정지가 포함되어 있어도 상관없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조작 수단」으로서는, 예를 들면, 마우스, 태블릿, 조그다이얼, 트랙볼, 키보드, 터치 패널 등의, 화면 내에서 아이콘 조작을 행할 수 있는 기존의 각종 조작 장치를 채용 가능하며, 전형적으로는, 화면 내에서 아이콘을 이동시키는 요령으로, 화면 내에서 범위 마크를 이동시킨다.
전술한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한 지정 동작 및 범위 마크 설정 수단에 의한 설정 동작과 거의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가, 전술한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링크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입력된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 입력 수단」은, 링크처 식별 정보(예를 들면, 링크처의 어드레스 정보)를, 입력하기 위한, 예를 들면, 키보드, 태블릿,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의 입력 수단이다. 「링크처」로서는, 시청자가 동영상 컨텐츠를 보는 환경에 있어서, 다른 동영상 컨텐츠의 제공원, 다른 정지화상 컨텐츠의 제공원, 인터넷 사이트, 동영상 제공 사이트, 음악 제공 사이트 등, 시청 중의 동영상 컨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구체적으로는, 전환 표시나 윈도우 표시에 의해) 화면 내에 어떠한 표시를 가능한 화상의 제공원이면, 임의이다. 어느 경우에도, 이와 같은 제공원은,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된다.
그 후, 예를 들면, 메모리, 기억 장치, 컨트롤러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유지 수단에, 전술한 바와 같이 이동되는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가 유지된다. 여기서의 보존은, 통신 수단을 통하여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조작하는 장소로부터 이격되어 행해져도 된다. 즉, 유지 수단 중 적어도 일부는, 원격지에 놓여져 있어도 된다.
이 때 특히, 위치 정보는, 링크처 식별 정보 및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과 대응하여, 유지된다. 여기서 「각각의 시각」이란, 동영상 컨텐츠를 이루는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일대일 또는 다대일의 일정 주기로, 규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되는 경우와, 동영상 컨텐츠를 이루는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부정 주기, 불규칙적으로 또는 단속적으로 되는 경우의 양자를 포함한다. 특히, 범위 마크가 이동되지 않는 기간 중에는,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빈도를 낮추고, 이동되지 않는 기간에 대하여 1개의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는, 범위 마크가 이동되는 기간 중에는,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빈도를 높이고, 이동될 때마다 1개의 위치 정보를(즉, 이동되지 않는 기간 중에는 불변인 위치 정보를 1개) 유지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이와 같이 「범위 마크의 위치(즉, 위치 정보)」에 대하여 언급하면, 장치 상에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응되지 않고, 재생 시각에 대응되어 있다.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링크처(링크처 식별 정보)」에 대하여 언급하면, 장치 상에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응되지 않고, 범위 마크에 대응되어 있다.
여기서 일반적으로는, 동영상 데이터 내의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링크를 설정하는 경우, 동영상 컨텐츠의 내용 자체나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의 오브젝트의 내용 자체·위치 자체에 링크하고자 하면, 화상 해석이나 화상 인식과 같은 매우 고도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하게 된다. 이에 따라 필요한 프로그램은, 복잡 고도화하고, 처리 시간 처리량, 데이터량은, 현저하게 증대하게 된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자신의 눈으로 동영상 컨텐츠 및 범위 마크를 보면서, 이동 조작 수단을 통하여 간단한 수동 조작 등을 실행하면 되고, 이에 의해 얻어지는 위치 정보는, 재생 시간 축에 링크된 형태로, 유지 수단에 지지되면 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범위 마크에 대해서는, 링크처가 링크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는, 링크를 설정하는 것을 간단하게 하여 실천 가능하게 된다. 특히, 링크처를, 동영상 컨텐츠의 내용 자체나 오브젝트의 내용 자체·위치 자체에 직접 링크할 필요성이 없고, 또한 범위의 지정이나 범위 마크의 이동과 같은 간단한 처리에 의해, 또는 시각적으로도 매우 알기 쉬운 형태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한 링크처의 지정에 관하여, 컴퓨터 프로그램의 지식, 또는 시스템 엔지니어 지식과 같은 전문성이 필요하지 않아도 된다. 범위 마크의 설정, 이동 조작 등의 채용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의 내용이나 동작의 복잡함이나 속도는 장치와는 관계없이, 링크처를 지정하는 것 또는 링크처 지정용의 데이터를 구축하는 것이 간단하게 해결된다.
반대로, 링크처를 지정하는 대상인 동영상 컨텐츠 자체에 대하여 언급하면, 특별히 제한은 없으며, 그것을 보면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화면 내에서 범위 마크의 설정 및 그 이동 조작을 실시 가능한 한 임의이다. 사전에 링크처 지정 가능하게 구축된 전용의 동영상 컨텐츠일 필요는 없다.
이와 같이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즉,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임의의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상기 장치의 사용자가 지정하고자 하는 링크처는, 상품 사이클의 고속화에 의해, 변경, 추가, 삭제되는 것이 일상다반사로 행해지고 있다.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할 수 있는 것이 강하게 요구되는 환경 하에서도, 결과적으로 임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간단하게 지정, 설정, 변경, 추가 등을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상기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실현하기 위해 필요한 프로그램은, 간단한 것이면 되므로, 처리 시간 처리량이나 데이터량을 현저하게 저감시키는 것도 가능하게 된다.
<2>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일 태양에서는,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기 범위 마크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범위 마크의 위치(위치 정보)」를, 장치 상은, 범위 마크가 표시 수단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위치 또는 상기 화면 내에서의 위치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시점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즉, 화면에 보이지 않는 화상 부분을 포함한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로 하고 있다.
그러므로, 유지 수단에서는, 「화면 내에서의 위치」, 보다 구체적으로는 「표시 수단에 의해 실제로 표시되는, 표시 화면 내에서의 위치」와 관계없이, 대응하는 오브젝트와는 장치 상에서는 링크되지 않는 범위 마크의 위치 또는 좌표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링크처를 지정하는 조작을 행할 때 사용되는 표시 수단의 사양, 규격, 속성, 종횡 비율 설정, 배율 설정, 세그먼트 표시의 유무 등에 구애받지 않고, 링크처를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지정할 수 있다.
또한,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화면 상에서의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행할 때 사용되는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속성, 종횡 비율 설정, 배율 설정, 세그먼트 표시의 유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오브젝트 선택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한 연구에 의하면, 동일 컨텐츠라도, 와이드나 노멀의 대형 또는 소형의 텔레비전, PC, 모바일, 스마트 폰, 휴대폰 등에 구비된, 각종 종횡 비율이나, 가변으로 되는 가로 배율과 세로 배율이나, 세그먼트 부분이 상이한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에서, 이와 같은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구성을 실현시키는 것은, 중요하다.
여기서,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이, 상기 장치의 사용자 또는 시청자가 사용하는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의 「화면」에 과부족이 없이 표시된다면 문제는 없지만, 전술한 바와 같이 다종 다양한 표시 수단 또는 재생 수단의 등장에 의해, 이와 같이 표시되는 것은 오히려 드물다. 구체적으로는,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 > 화면의 사이즈」의 경우(동영상 컨텐츠의 일부만이 화면 내에 표시되는 경우)도 있고, 반대로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 < 화면의 사이즈」의 경우(동영상 컨텐츠가 화면 내의 일부에만 표시되는 경우)도 있고, 동영상 컨텐츠가 세로 방향이나 가로 방향으로 확대되어, 세로로 긴 화상이나 가로로 긴 화상이나 확대 화상의 일부 또는 전부가 화면 내에 표시되는 경우도 있다.
그런데, 본 태양에 의하면,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서 사용될 수 있는 각종 화면을 가지는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에 대응할 수 있도록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또한, 이와 같이 간단하게 링크처를 지정해도, 범위 마크의 설정 및 이동 조작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한, 시청자 측에서 이용될 수 있는 「화면」을 가지는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의 종류에 의하지 않고, 동영상 컨텐츠에 표시된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에 대응하고 있어야 할 링크처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그리고, 범위 마크의 위치(위치 정보)는, 이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재생 수단이 가지는 표시 디바이스, 표시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의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라도 된다. 이 경우에, 표시 장치 또는 재생 장치의 사양, 규격 등에 따라 상이하도록 위치 정보가 생성 유지되고, 나중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양, 규격 등에 따라 상이하게 위치 정보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는, 표시 장치 또는 재생 장치의 사양, 규격 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위치 정보에 링크된 형태로 생성 유지되고, 나중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에 관하여 상기 파라미터에 따른 위치 조정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3>
이 태양에서는,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화상 전역과 관련된, 화각, 4개의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모서리, 외륜 또는 상기 화상 전역 내에 고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상기 범위 마크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유지 수단에는, 위치 정보로서, 범위 마크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가 유지되고, 전형적으로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의 4개의 모서리를, 좌표 상의 (0, 0), (1, 0), (1, 1), (0, 1)로 취한 경우의 xy 좌표가, 위치 정보로서 유지된다.
따라서, 상기 위치 정보를 이용하면,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상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행할 때 사용되는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등에 의하지 않고, 오브젝트의 선택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4>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고,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지 않는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유지 수단은, 범위 마크가 이동된 경우, 예를 들면, 이동된 기간 중에서의 복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복수의 위치 정보를 각각 유지한다. 한편, 범위 마크가 이동되지 않는 경우, 이동되지 않는 기간 중에서의 복수 m 개(단 m은 자연수)의 프레임에 대하여 하나 또는 상기 복수 m보다 적은 n 개(단 n은 자연수)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따라서, 배경 기술로 행해지는 바와 같이, 동영상 컨텐츠의 프레임마다 링크 지정용의 각종 데이터를 구축하는 데 비해 훨씬 더 소량의 데이터를 사용하여,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컨텐츠 상에서 링크처를 선택할 수 있는 구성을 구축 가능하므로, 실천하는 면에서 대단히 유리하다.
그리고, 유지 수단은, 재생 시간의 각각의 시각의 모두에 대하여, 즉 프레임마다 위치 정보를 유지해도 된다. 이 경우에, 동영상 컨텐츠와 동일한 재생 시간에 동영상 컨텐츠와 다른 동영상(즉, 시간의 경과에 따라, 배경 화면 내에서, 움직이는, 정지하거나 움직이거나 하는, 또는 사라지거나 출현하는 범위 마크의 동영상을 재생 가능한 동영상 데이터)이, 유지 수단에 기록되어 있는 것과 유사하게 된다.
<5>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내의 복수의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와 대응하여, 상기 위치 정보로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유지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 1개의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 복수의 링크처를 선택 가능한 환경을,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6>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은,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복수의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또는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상기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표시 형태의 구별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링크처 입력 수단을 통하여, 예를 들면, 터치 조작, 탭핑 조작, 길게 누름 조작, 스와이프 조작, 드래그 조작, 슬라이딩 조작, 회전 조작, 줌 조작, 핀치 조작, 스트레치 조작, 및 플릭 조작 등 중에서 1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표시 형태의 구별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링크처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또는,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복수의 링크처의 구별을 선별할 수 있게 되는 링크처 식별 정보가 입력된다.
따라서,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 1개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이한 종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링크처의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되거나, 상이한 링크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것이 가능한 환경을,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7>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범위 지정 수단은, 상기 원하는 범위를, 소정 종류의 지정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 내에서 신축 가능하며 또한 소정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에 의해 지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로서 상기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 태양에 의하면, 범위 지정 수단을 통하여 소정 종류의 지정 조작이 행해지면, 범위 마크 설정 수단에 의해, 예를 들면, 직사각형, 다각형, 원형, 타원형 등의 범위 마크가, 신축 가능하게 표시된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는, 화면 내에서 동영상 컨텐츠 및 이에 중첩된 프레임 마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한 크기의 범위를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적절한 크기의 범위를 나타낸 프레임 마크를, 이동 조작 수단을 통하여 이동시키면 되므로, 상기 이동 조작을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확실하게 실시할 수 있다.
<8>
이 태양에서는, 상기 범위 지정 수단은, 상기 화면 내에 표시된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범위 지정 수단을 통하여 소정 종류의 지정 조작이 행해지면, 범위 마크 설정 수단에 의해,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가, 그 4개의 모서리를 신축 가능하게 표시된다. 여기서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를 신축시킨다」는 것은, 화상 전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신축되는 의미이며, 4개의 모서리의 4개의 좌표가 모두 변경되는 경우로 한정되지 않으며, 예를 들면, 2개의 모서리가 화상 전역에 대하여 고정된 채로 다른 2개의 모서리가 화상 전역에 대하여 이동되거나, 1개의 코너가 화상 전역에 대하여 고정된 채로 다른 3개의 모서리가 화상 전역에 대하여 이동되는 경우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따라서,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는, 화면 내에서 동영상 컨텐츠 및 이에 중첩된, 사이즈 설정이 완료된 프레임 마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한 크기의 범위를 극히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특히,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이면, 그 위치 및 크기를, 예를 들면, 좌상(左上) 모서리의 좌표 및 우하(右下) 모서리의 좌표와 같은, 2개의 좌표로 나타낼 수 있고, 이들 2개의 좌표를 변경하는 조작이 직사각형을 신축 가능하게 표시하는 조작이 된다. 즉, 간단한 조작에 의해 프레임 마크를 신축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 때의 좌표 축은, 이미 설명한 바와 같이, 표시 수단(또는 재생 수단)의 화면과는 관계없이,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의 4개의 모서리를 기준으로 가질 수 있다.
<9>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화면은, 터치 패널의 화면이며,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로의 조작자에 의한 접촉을,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개시의 트리거로 하고, 상기 접촉의 종료를,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종료의 트리거로 한다.
이 태양 따르면, 범위 마크의 이동 개시로부터 이동 종료 시까지, 상기 장치의 사용자(즉, 여기에 언급하는 「터치 패널」의 조작자」)가 행하는 조작이, 더 한층 간이화되어, 전체적으로도, 보다 간단하고 신속하게, 범위 마크의 이동 조작을 실행 가능하게 된다.
그리고, 터치 패널로의 조작자에 의한 접촉을, 지정 범위를 통한 범위의 지정 조작을 개시할 때의 트리거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 또한 조작자가, 전술한 터치 패널로의 접촉을 해제하지 않고, 범위 마크의 이동 종료까지의 조작이, 일련의 접촉 조작으로서 행해지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용의 컴퓨터 프로그램>
<10>
본 실시형태의 제1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단, 그것의 각종 태양을 포함함)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의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CD-ROM, DVD-ROM,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고체형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다운로드시킨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단, 그것의 각종 태양을 포함함)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11>
본 실시형태의 제1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단, 그것의 각종 태양을 포함함)에 의해 생성된 상기 위치 정보 및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수단에 의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선택적으로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의 재생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대신 또는 그 재생에 부가하여 행하게 하기 위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수단과, 상기 위치 지정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로부터 정해지는 상기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1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시청자(즉, 상기 장치의 사용자) 측에서,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을 가지는 재생 수단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위치 선택 수단을 통하여, 원하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이 선택된다. 그리고,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재생 수단」이란, 표시 화면을 가지는 동시에,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여 화면에 표시 가능하게 구성된, 기존의 표시 기능을 가진 각종 장치이다. 재생 수단은, PC, 태블릿, 스마트 폰, 모바일, 휴대폰 등에 내장되어 있어도 되으며, 특별히 한정되지 않는다. 표시 기능 외에, 음성 출력 기능을 가지고 있어도 된다.
이 위치 선택에 대해서는, 보다 구체적으로는, 시청자가 가지는 「위치 선택 수단」을 구성하는, 태블릿, 마우스, 터치 패널, 리모콘, 키보드 등에 의한 클릭 조작, 아이콘 조작 등에 의해, 시청자가 인식한 곳의 동영상 컨텐츠 내의 오브젝트의 일부나 근방인, 표시 위치나 표시 영역이 선택된다.
또한, 어떤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링크처가 존재하고 있는 것을 나타내는 특수 마크나 특수 표시가, 화면 내에서 오브젝트에 중첩되는 형태로 또는 인접하거나, 또는 화면 내의 소정 위치에, 별도로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표시되 않아도 된다.
이와 같이 화면 내에서 표시 위치나 표시 영역이 위치 선택 수단을 통하여 선택되면, 컨트롤러, CPU,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사전에 설정되어 있던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는, 사전에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 마크의 위치 및 형상으로부터 정해진다.
범위 마크의 위치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그렇지 않아도 된다. 예를 들면, 재생 수단이 가지는 표시 디바이스, 표시 디스플레이 등의 화면의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라도 된다. 이 경우에, 사전에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 또는 재생 장치의 사양, 규격 등에 따라 상이하도록 위치 정보가 생성 유지되고, 상기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상기 사양, 규격 등에 따라 상이하게 위치 정보가 사용되어도 된다. 또는, 사전에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표시 장치 또는 재생 장치의 사양, 규격 등을 나타내는 파라미터가 위치 정보에 링크되는 형태로 생성 유지되고, 상기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있어서,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에 관하여 상기 파라미터에 따른 위치 조정이 행해지도록 해도 된다.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 결과,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 컨트롤러, CPU, 메모리 등을 구비하여 이루어지는 링크처 제어 수단에 의한 제어 하에서, 예를 들면, 표시 디바이스, 표시 디스플레이, 음성 출력 디바이스 등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재생 수단에 의해, 링크처의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된다. 여기서의, 링크처는, 전술한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즉,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식별되거나, 또는 나타내어진다.
따라서, 시청자가, 자신의 육안에 의해 인식하는 오브젝트의 부근 등을 화면 상에서 선택하면,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링크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바꾸어 말하면, 링크처로 점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 때, 범위 마크는, 링크처 식별 정보 및 위치 정보를 통하여 원하는 링크처에 대응하고 있다. 이에 따라,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것으로 의도한 곳의 링크처에, 즉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형태의 제1 링크처 지정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해 작성된 링크처 지정용 데이터인, 위치 정보 및 링크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인 시청자 측에 의해,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2>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는, (i) 동영상 컨텐츠의 화면 내에서의 원하는 범위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나타내는 위치 정보, 및 (ii) 상기 원하는 범위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재생 수단에 의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중에, 선택적으로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의 재생을,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는 대신 또는 그 재생에 부가하여 행하게 하기 위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할 수 있는 위치 선택 수단과, 상기 위치 선택 수단에 의해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상대 위치로부터 정해지는 상기 원하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는 판정 수단과,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는 링크처 제어 수단을 포함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제1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와 거의 동일하게 동작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서는 특히, 예를 들면, 전술한 「범위 마크」가 채용되는 경우이면 상기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원하는 범위」는, 사전에 유지 수단에 의해 유지된 위치 정보로부터 정해진다. 여기서 위치 정보가 나타내는 위치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이다.
즉, 「원하는 범위의 위치(위치 정보)」를, 장치 상에서는, 표시 수단에 실제로 표시되는 화면에 대한 위치 또는 상기 화면 내에서의 위치로 하는 것은 아니고, 각각의 시점에서 화면에 표시되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즉, 화면에서 보이지 않는 화상 부분을 포함한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로 하고 있다.
따라서, 시청자 측에서,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화면 상에서의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행할 때 사용되는 재생 수단(즉,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화면」을 가지는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속성, 종횡 비율 설정, 배율 설정, 세그먼트 표시의 유무 등에 구애받지 않고, 오브젝트의 선택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자들에 의한 연구에 의하면, 동일 컨텐츠라도, 와이드나 노멀의 대형 또는 소형의 텔레비전, PC, 모바일, 스마트 폰, 휴대폰 등에 구비된, 각종 종횡 비율이나, 가변으로 되는 가로 배율과 세로 배율이나, 세그먼트 부분이 상이한 재생 수단 또는 표시 수단에 의해, 이와 같은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구성을 실현시키는 것은, 배경 기술에 의하면, 복잡하며 곤란하게 된다. 또는, 배경 기술에 의하면, 이와 같은 다양한 재생 수단 또는 표시 수단에 대응시키기 위해서는, 그 종류별로, 링크처를 관련시키는 번거로운 작업을 행할 필요가 있다.
그런데, 본 실시형태에 의하면, 예를 들면, 「원하는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의 설정 및 이동 조작 등인, 원하는 범위의 설정 및 이동 조작 등이 적절하게 행해지고 있는 한, 시청자 측에서 사용되는 재생 수단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동영상 컨텐츠에 표시된 오브젝트와 그 오브젝트에 대응하고 있어야 할 링크처가 어긋나지 않게 된다.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종류 등도, 일취월장하고 있는 것을 감안하여, 각종 재생 수단에 간단하게 또는 그대로 대응 가능한 점은, 실천하는 면에서 매우 유리하게 된다.
이상의 결과,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 의하면, 링크처 지정용 데이터인, 위치 정보 및 링크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시청자 측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에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3>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하나의 태양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원하는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의 상기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내고,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는,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상기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상기 위치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상대 위치로부터 정해지는 상기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전술한 제1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원하는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채용함으로써, 컨텐츠 제공자 등 측에서의 링크처를 지정하는 단계와 시청자 측에서의 링크처를 선택하는 단계에서의, 각각의 처리의 효율화 및 조작성의 향상을 도모하면서 데이터량의 비대화를 막으면서, 위치 정보 및 링크처 식별 정보를 사용하여, 시청자 측에 의해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에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4>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위치 정보는, 상기 화상 전역과 관련된, 화각, 4개의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모서리, 외륜 또는 상기 화상 전역 내에 고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상기 원하는 범위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다.
이 태양에 의하면, 위치 정보는, 예를 들면, 「원하는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내고, 전형적으로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의 4개의 모서리를, 좌표 상의 (0, 0), (1, 0), (1, 1), (0, 1)로 가진 경우의 xy 좌표를 나타낸다.
따라서, 동영상 컨텐츠 내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함으로써 행할 때 사용되는 재생 수단의 사양, 규격 등에 구애받지 않고, 오브젝트 선택을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선택한 오브젝트와는 다른 오브젝트와 관련된 링크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등의 문제점은, 확실하게 또한 미연에 방지된다.
<15>
본 실시형태의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는,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복수의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식별할 수 있게 되고, 또는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상기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표시 형태의 구별을 식별할 수 있게 되어 있고,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하고, 또한 상기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을 판정하고, 상기 링크처 제어 수단은, 상기 판정 수단에 의해 판정된 상기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에 의해 나타내는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를, 상기 동영상 컨텐츠 대신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예를 들면, 터치 조작, 탭핑 조작, 길게 누름 조작, 스와이프 조작, 슬라이딩 조작, 드래그 장치, 회전 조작, 줌 조작, 핀치 조작, 스트레치 조작, 및 플릭 조작 등 중에서 1개를 포함하는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링크처의 컨텐츠가, 동영상 컨텐츠 대신에 또는 그에 부가하여,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된다. 이 때, 동일한 위치 또는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도,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링크처가 상이하도록 재생 제어된다. 또는, 동일한 위치 또는 영역이 선택된 경우에도,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동일한 링크처가, 상이한 표시 형태로 되도록 재생 제어된다.
이와 같이, 시청자 측에서 동일한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이한 종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상이한 링크처의 컨텐츠가 표시되거나, 링크처의 컨텐츠가 상이한 표시 형태로 표시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16>
본 실시형태의 제1 또는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판정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가 대응된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지의 여부를 판정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판정 수단에 의해, 화면 내에서 선택된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영역 중 적어도 일부가,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에 포함되는지의 여부가, 위치 정보가 대응된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판정된다.
여기서의 「각각의 시각」이란, 동영상 컨텐츠를 이루는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일대일 또는 다대일의 일정 주기로, 규칙적으로 또는 연속적으로 되는 경우와, 동영상 컨텐츠를 이루는 화상 프레임에 대하여 부정 주기, 불규칙하게 또는 단속적으로 되는 경우의 양자를 포함하는 취지이다. 특히, 위치 정보로부터(구체적으로는, 각 위치에서의 값의 변화, 생성 빈도, 생성 시각 등, 위치 정보의 기초가 되는 전기적인 신호의 시간적 또는 공간적 거동(擧動)으로부터) 판명되는 범위 마크의 범위가 이동되지 않는 기간 중에는, 판정 빈도를 저하시키고, 이동되지 않는 기간에 대하여 1회의 판정 동작을 실시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또는, 위치 정보로부터 판명되는 범위 마크에 의해 나타내는 범위가 이동되는 기간 중에는, 판정 빈도를 높이고, 이동될 때마다 1회의 판정 동작을(즉, 이동되지 않는 기간 중에는 판정 결과가 동일한 판정 동작을 1회만큼) 실시하는 경우도 포함하는 취지이다.
어느 경우에도, 표시 위치 또는 표시 영역의 선택에 따라,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링크처의 컨텐츠로 일단 점프하게 되면, 그 후에는, 상기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판정 수단에 의한 판정을 실시할 필요는 없다.
<17>
본 실시형태의 제1 또는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다른 태양에서는, 상기 링크처 제어 수단은, 상기 적어도 일부가 포함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로 전환하여 재생하도록 상기 재생 수단을 제어하고, 상기 링크처의 컨텐츠를 재생하는 것이 종료되면, 상기 동영상 컨텐츠를 전환 시점으로부터 재생하도록 재생 수단을 제어한다.
이 태양에 의하면, 어떤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링크처로 일단 점프한 후, 점프하여 이동한 곳의 재생이 완료되면, 링크처로 점프하기 전의 동영상 컨텐츠가, 점프하여 이동하기 전에 재생하던 곳부터 다시 재생된다. 따라서, 예를 들면, 영화, 드라마 등의 일련의 의미를 가지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시청자는, 그 사이에 링크처의 컨텐츠의 시청을 개재(介在)시키는 것만으로, 그 동영상 컨텐츠를 과부족없이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그리고, 링크처의 컨텐츠를, 시청 중의 동영상 컨텐츠 내에 윈도우 표시하는 등의 경우에는, 링크처의 컨텐츠를 재생하면서 동영상 컨텐츠도 계속 재생하도록 한 구성을 채용하는 것도 가능하다.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용의 컴퓨터 프로그램>
<18>
본 실시형태의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전술한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또는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단, 그것의 각종 태양을 포함함)로서 기능하게 한다.
본 실시형태의 제2 컴퓨터 프로그램에 의하면,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ROM, CD-ROM, DVD-ROM, 하드디스크 등의 기록 매체 또는 USB(Universal Serial Bus) 메모리 등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 및 분리 가능한 고체형 기억 장치로부터,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또는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을, 예를 들면, 통신 수단 등을 통하여 컴퓨터 시스템에 다운로드시킨 후에 실행시키면, 전술한 본 실시형태에 따른 제1 또는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단, 그것의 각종 태양을 포함함)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기록 매체>
본 실시형태의 기록 매체는,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제1 또는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다.
본 실시형태의 기록 매체에 의하면, 컴퓨터 시스템에 장착 또는 접속함으로써, 또는 컴퓨터 시스템에 구비되거나, 또는 접속된, 적절한 판독 장치에 삽입함으로써, 기록하고 있는 본 실시형태의 제1 또는 제2 컴퓨터 프로그램을, 컴퓨터 시스템에 읽어들이게 하여 실행시킬 수 있고, 전술한 본 실시형태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제1 및 제2 시청자용 인터페이스를 비교적 간단하게 실현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의 이와 같은 작용 및 다른 이득은, 이후에 설명하는 실시예에 의해 밝혀진다.
실시예
먼저, 도 1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는, 광고주의 스태프, 광고 대리점의 스태프, 방송국의 스태프 등의 동영상 컨텐츠의 제공 측의 사람인,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도 1에 있어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는, 링크 지정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101)와 입력 장치(110)와 디스플레이(1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11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120)는, 예를 들면,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입력 장치(110) 또는 링크 지정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101)와는 별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 지정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101)는, 영상 데이터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102), 기억 장치(102)로부터 영상 데이터를 재생하기 위한 영상 재생부(103),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위치에 관한 데이터 등을 입력하기 위한 위치 입력부(105), 링크 영역 정보 1, 2···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106), 및 영상 데이터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영상 표시부(107a)와 링크 영역 정보에 기초하여 범위 마크를 디스플레이(120)에 표시하게 하기 위한 제어를 행하는 영역 정보 표시부(107b)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표시 제어부(107)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범위 지정 수단」의 일례가 입력 장치(110) 및 위치 입력부(105)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범위 마크 설정 수단」의 일례가, 영역 정보 표시부(107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이동 조작 수단」의 일례가, 입력 장치(110), 위치 입력부(105) 및 영역 정보 표시부(107b)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 지정 수단」의 일례가 입력 장치(110)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유지 수단」의 일례가 기억 장치(10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2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기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본 장치는, 동영상 컨텐츠를 시청하는 시청자인 상기 장치의 사용자에 의해, 그래픽유저인터페이스로서 사용된다.
도 2에 있어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는, 링크 선택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201)와 입력 장치(210)와 디스플레이(220)를 구비하여 구성되어 있다.
입력 장치(210)는, 예를 들면,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을 가진다. 디스플레이(220)는, 예를 들면, PC, 스마트 폰, 태블릿 등의 디스플레이를 가지고, 입력 장치(210) 또는 링크 선택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201)와는 별체로서 구성할 수도 있고, 또는 일체로 구성할 수도 있다.
링크 선택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201)은, 통신부(202), 컨텐츠 취득부(203), 영상 데이터 및 영상 대응 정보(205)(링크 영역 정보 1, 2, 3, ···을 포함함)를 저장하는 기억 장치(204), 영역 정보 해석부(207), 천이 정보 취득부(208), 천이 정보 추출부(211a)와 영역 특정부(211b)를 포함하는 천이 정보 특정부(211), 영상 재생부(212), 입력 제스처 판정부(213), 영상 표시부(216a)를 포함하고 디스플레이(220)의 표시 제어를 행하는 표시 제어부(216), 및 위치 입력부(218)를 구비하여 구성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치 선택 수단」의 일례가 입력 장치(210) 및 위치 입력부(218)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판정 수단」의 일례가, 영역 정보 해석부(207), 천이 정보 특정부(211) 및 입력 제스처 판정부(213)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 제어 수단」의 일례가, 표시 제어부(216)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다음으로, 도 3의 개념도를 참조하여,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도 1 참조)에 의해 생성되고,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에서의 이용에 제공되는, 링크처 지정용 데이터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3에 있어서,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지정용 데이터」의 일례로서의 링크 영역 정보는, 시간 정보, 시점 정보, 좌표 정보, 제스처 정보, 및 천이 정보를 포함하여 구성되어 있다. 이들 중 「좌표 정보」는,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위치 정보」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고, 「천이 정보」는,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 식별 정보」의 일례를 구성하고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서는,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범위 마크」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로 되어 있다.
「링크 영역 정보」는,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1 참조)로, 설정되고 이동 조작되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의 생성·이동에 따라, 생성되는 정보이다. 링크 영역 정보는, 기억 장치(106)에 유지되고, 그 후,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인터넷 등을 통하여,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2 참조)로 보내지고, 기억 장치(204)에 유지되고, 그 후에 링크처 선택에 제공되는 정보이다.
「시간 정보」는, 단위를 초로 하고, 상기 링크 영역 정보에 대응하는 프레임 마크가 설정되고 나서의 경과 시간(바꾸어 말하면, 프레임 마크가 설정·이동 조작되었을 때의 대상인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축 상에서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시간 정보는, 프레임 마크가 이동 조작되었는지의 여부에 따라, 가변 길이의 시간을 나타내는 정보로 되어 있고, 예를 들면,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되지 않거나 또는 작은 시간대에 대하여는, 10초간의 시간 정보(도 3 중, 최하단의 "50S-60S")의 값으로 되어 있다. 한편,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되거나 또는 큰 시간대에 대하여는, 2초간의 시간 정보(도 3 중, 위로부터 4단째의 "30S-32S")의 값으로 되어 있다.
「시점 정보」는, 단위를 초로 하고, 각각의 시간 정보에 대하여 빈도가 변경되는 형식으로(바꾸어 말하면, 프레임 마크에 대하여 이동 조작된 빈도에 따라), 좌표 정보가 생성되는 타이밍, 즉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 축 상에서의, 좌표 정보의 생성 시각을 나타내는 정보이다.
「좌표 정보」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서의 프레임 마크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정보이다. 또한, 본 예에서는, 프레임 마크가 직사각형 또는 장방형이므로, 상기 프레임 마크의 4 모서리 중 좌상의 모서리의 좌표와 우하의 모서리의 좌표만에 의해, 프레임 마크의 위치와 사이즈를 포함한 외륜 형상은,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하여 상대적으로 일의적으로 정해진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서의, 좌상의 XY 좌표를 (0.0, 0.0)으로 하고, 우하의 XY 좌표를 (1.0, 1.0)으로 하고, 좌하의 XY 좌표를 (0.0, 1.0)으로 하고, 우상의 XY 좌표를 (1.0, 0.0)로 하고 있다.
예를 들면, 프레임 마크가 화상 전역에 설정된 경우에는, 좌표 정보를, 그 좌상 좌표 (0.0, 0.0) 및 우하 좌표 (1.0, 1.0)의 2개의 좌표 정보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좌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2 참조)로, 동영상 컨텐츠의 어느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해도 링크처의 선택이 행해지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마크가 화상 전역 중 우하 1/4로 설정된 경우에는, 좌표 정보를 좌상 좌표 (0.5, 0.5) 및 우하 좌표(1.0, 1.0)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좌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2 참조)로, 동영상 컨텐츠의 우하 1/4 내의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하면 링크처의 선택이 행해지게 되도록(그 이외의 3/4 내의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해도 링크처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프레임 마크가 화상 전역 중 우측 절반에 설정된 경우에는, 좌표 정보를 좌상 좌표 (0.5, 0.0) 및 우하 좌표 (1.0, 1.0)로 하면 된다. 이와 같은 좌표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2 참조)로, 동영상 컨텐츠의 우측 절반 내의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하면 링크처의 선택이 행해지도록(그 이외인 좌측 절반 내의 표시 위치 또는 영역을 선택해도 링크처의 선택이 행해지지 않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제스처」는, 프레임 마크의 설정 조작이나 이동 조작이 행해질 때의, 탭핑, 스와이프, 드래그 등의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생성 유지되는 정보이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제스처가 「탭핑」이면, 사전에 정한 규약에 따라,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에서는, 대응하는 좌표 정보로 나타내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 내(즉,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탭핑」이 행해진 경우에,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로부터, 다른 영상으로 천이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제스처가 「스와이프」이면, 사전에 정한 규약에 따라,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에서는, 대응하는 좌표 정보로 나타내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 내(즉,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스와이프」가 행해진 경우에,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윈도우 표시 등의 요령으로, 별도 화상(정지화상 또는 동영상)을 표시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여기서의 제스처가 「드래그」이면, 사전에 정한 규약에 따라,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로, 대응하는 좌표 정보로 나타내는 표시 위치 또는 영역 내(즉,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는 영역 내)에서 「드래그」가 행해진 경우에, 재생 중인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윈도우 표시 등의 요령으로 또는 전체 화상의 전환으로서, 웹 페이지로 점프하도록 제어 가능하게 된다.
이상과 같이 구성되어 있으므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에서는, 상기 링크 영역 정보를 사용함으로써,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10초부터 15초의 사이에는, 동영상 컨텐츠 중 어딘가에서 탭핑 조작이 행해지면, 다른 영상으로 천이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15초부터 20초의 사이에는, 동영상 컨텐츠의 우하 1/4에서 스와이프 조작이 행해지면, 사전에 준비된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20초부터 25초의 사이에는, 동영상 컨텐츠의 우측 절반에서 드래그 조작이 행해지면, 사전에 설정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30초부터 32초의 사이에는,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여 선택 조작을 실행 가능한 영역의 크기는 변하지 않은 상태에서 좌상으로부터 우하로 이동하는 상기 영역 내에서 탭핑 조작이 행해지면, 다른 영상으로 천이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40초부터 42.5초의 사이에는,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여 선택 조작을 실행 가능한 영역의 크기가 좌상 1/4로부터 화상 전체로 넓어지는 상기 영역 내에서 스와이프 조작이 행해지면, 사전에 준비된 특정 화상을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예를 들면, 동영상 컨텐츠의 50초부터 60초의 사이에는, 프레임 마크에 대응하여 선택 조작을 실행 가능한 영역이 55초의 시점에서 순간적으로, 좌상으로부터 우하로 변경된 상기 영역 내에서 드래그 조작이 행해지면, 사전에 설정된 웹 페이지를 표시하는 처리를 실행 가능하게 된다.
이와 같이 「링크 영역 정보」는, 천이 정보 및 시점 정보에 대응하는 좌표 정보에 링크되어 있고, 동영상 컨텐츠 내에 존재할 수 있는 오브젝트(특히, 그 표시 위치나 영역)에 대해서는, 시스템 상에서, 전혀 링크되어 있지 않다. 동영상 컨텐츠 중의 오브젝트의 존재를 적절하게 인식하면서 링크처 지정 조작을 행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도 1 참조)의 사용자에 의한 상기 일련의 조작에 의해, 결과적으로, 「링크 영역 정보」는, 오브젝트(특히 그 표시 위치나 영역)에 관련된다.
오브젝트의 유무나 위치를 나타낸 정보는, 어떤 식으로도 링크 영역 정보에 전혀 포함되지 않기 때문에, 링크 영역 정보(특히, 그 데이터 생성 작업, 데이터량, 데이터 구조 등)는, 오브젝트의 종류, 동작의 속도나 복잡성, 번잡성, 불명료성 등에 구애받지 않고,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대체로 간단하게 된다. 이는, 실전 면을 고려하면 대단히 유리하다.
또한, 도 3에 나타낸 예에서는, 좌표 정보에 변경이 가해진 경우에만(즉, 프레임 마크에 대하여 이동 조작이 실시된 경우에만), 좌표 정보가 유지 또는 생성 유지된다. 즉, 링크 영역 정보가, 시점 정보 외에, 시간 정보를 가지는 것에 의해, 시간 정보가 없는 시간대에 대해서는, 시점 정보, 좌표 정보 등을 가지지 않고 이루어지고 있다. 이에 따라, 동일한 값의 좌표 정보 등을, 용장적(冗長的)으로 유지 또는 생성 유지하지 않아도 되므로, 데이터량이 비대하지 않게 할 수 있어 각각의 처리에서의 부담도 경감된다.
다음으로, 도 4의 블록도를 참조하여, 도 1에 예시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서버 장치 및 도 2에 예시한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를 포함하는 클라이언트 장치를 포함하는 시스템의 전체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4에 있어서, 인터넷(1000)에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도 1 참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서버 장치(500), 서버 장치(500)에 링크처의 컨텐츠를 제공하는 링크처 컨텐츠 서버 장치(600), 서버 장치(500)에 동영상 컨텐츠를 제공하는 동영상 컨텐츠 서버 장치(700), 및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를 각각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복수의 클라이언트 장치(1200)가 수용되어 있다.
서버 장치(500)는, 예를 들면, PC, 워크스테이션, 모바일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디스크(100d)가 장착 가능하다. 광디스크(100d)에 저장되어 있으며,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바와 같이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의 링크처 지정에 관한 각각의 처리(도 5 내지 도 8 참조)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서버 장치(500) 내에,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도 1 참조)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100)을 통하여 서버 장치(500)에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클라이언트 장치(1200)는, 예를 들면, PC, 고기능 TV, 모바일, 스마트 폰 등으로 구성되어 있고, 광디스크(200d)가 장착 가능하다. 광디스크(200d)에 저장되어 있고, 나중에 상세하게 설명하는 시청자 측에서의 링크처 선택에 관한 각각의 처리(도 9 참조)를 컴퓨터에 실행시키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을 읽어들여 실행시키면, 클라이언트 장치(1200) 내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를 비교적 용이하게 실현할 수 있다. 또는, 이와 같은 컴퓨터 프로그램은, 인터넷(1000)을 통하여 클라이언트 장치(1200)에 다운로드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5 및 도 6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1에 나타낸 기본 구성을 가지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동작을, 그 상세한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이 때, 도 10∼도 18에 나타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동작에 관한 개념도 중,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동작 또는 각 스텝에 각각 관련된 도면이 적절하게 참조된다.
도 5에 있어서 먼저, 어느 동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링크처 지정을 행할 것인지의 선택, 즉 기억 장치(102)에 기억된 영상 데이터의 선택 조작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행해진다(스텝 S11).
다음으로, 프레임 마크를 설정할 때마다 필요로 하는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의 초기 설정, 즉 영역 정보의 신규 추가에 관한 조작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행해진다(스텝 S12). 즉, 당초에는 빈 상태인 링크 영역 정보가 신규로 생성되고, 기억 장치(106)에 유지된다.
다음으로, 신규 추가된 링크 영역 정보에 대하여, 제스처 및 천이 정보(도 3 참조)의 설정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행해진다(스텝 S13). 즉, 기억 장치(106)에 있어서, 신규로 저장된 빈 상태의 링크 영역 정보 중, 다음에 설정되는 프레임 마크에 대한 제스처 및 천이 정보의 각 란이 채워진다.
다음으로, 영상 재생부(103)에 있어서, 링크 영역 정보를 생성하는 영상 시각까지, 선택된 영상 데이터를, 빨리 감기(fast forwarding), 시각 지정 감기 등에 의해 진행되는 작업이 행해진다(스텝 S14).
다음으로, 영상 재생부(103) 및 영상 표시부(107a)에 의해, 이와 같이 진행된 영상이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되고, 바람직하게는 정지화상 재생된다. 이 상태에서, 입력 장치(110) 및 위치 입력부(105)에 의해, 프레임 마크에 대한 좌상 좌표와 우하 좌표가 설정된다. 이 때, 영역 정보 표시부(107b)에 의해, 설정 작업중 및 설정 완료 시의 프레임 마크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 영상에 중첩된 형식으로 표시된다. 최종적으로는, 이 시점에서 표시되고 있는 영상의 영상 시각에서의, 설정이 완료된 크기 및 위치를 가지는 프레임 마크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 영상에 중첩된 형식으로 표시된다(스텝 S15).
여기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동영상 컨텐츠」의 일례인 영상은,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재생 시간」의 일례인 영상 시간(t)(즉, 영상 시간 축 상에서의 영상 시각 t)에 대하여, 복수의 프레임 영상으로 구성된다. x 좌표 및 y 좌표는, 모든 프레임 영상에 대하여 공통으로 정의된다. 일반적으로는, 디스플레이(120)의 사양, 규격 등에 따라,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는, 각 프레임 영상의 에지 부근의 부분이 돌출하는 형태로 표시되지 않거나, 적극적으로 프레임 영상의 일부만이 잘라내어진 형태로 표시되거나, 종횡 배율이 변경되어 표시된다. 그런데,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프레임 영상의 영상 전역(즉,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x 좌표 및 y 좌표가 정의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프레임 영상의 영상 전역의 좌상 모서리가, 좌표 (0, 0)이 되고, 프레임 영상의 영상 전역의 우하 모서리가, 좌표 (1, 1)이 된다. 따라서, 좌표는, 디스플레이(120)가 가지는 화면에서의, 종횡의 픽셀 수나 종횡의 축척비에 구애받지 않는다. 또한, 나중에 시청자 측에서의 디스플레이(220)(도 2 참조)와의 관계에 대해서도, 디스플레이(220)가 가지는 화면에서의, 종횡의 픽셀 수나 종횡의 축척비에 구애받지 않는다.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스텝 S15에서는, 영상 시간(t1)에서 먼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 "얼굴"을 포함하는 영상이 정지화상 재생으로 표시되고 있다. 이 시점에서,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보면서 입력 장치(110)를 조작하는 사용자에 의해, 그 화면 내에 표시된 "얼굴"이, 링크를 설정하는 대상의 1개의 「오브젝트」인 것으로 상정된다.
그 결과, 사용자에 의한, 디스플레이(120)를 보면서 입력 장치(110)의 입력 조작에 의해, 회색 부분으로 도시된 링크 영역을 에워싸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가, "얼굴"을 에워싸도록 설정된다.
이 때, 프레임 마크는, 영상의 화상 전역에 대한 상대 좌표로 표시되고, 그 좌상의 좌표 a1(a1x, a1y)과 우하의 좌표 b1(b1x, b1y)에 의해, 영상 시간(t1)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설정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 영역」은, 나중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실제로 탭핑, 스와이프, 드래그 등의 액션이 행해지면 천이가 행해지는 영상 내의 부분 영역이다. 링크 영역은, 나중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시인(視認) 가능하게 표시될 필요가 없고, 본 실시예에서도 표시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 따른 「프레임 마크」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나중에 탭핑, 스와이프, 드래그 등의 액션이 행해지면 천이가 행해지는 영역을,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나타내는 프레임의 마크이다. 간단하게는, 도 12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직사각형의 링크 영역의 전역을 에워싸는 직사각형의 프레임형의 마크라도 된다. 이와 같은 프레임 마크는, 예를 들면, 영상의 내용에 관계없이 시인 가능하도록, 가느다란 적색 선이나 가느다란 형광색의 선으로 이루어지고, 영상에 중첩되어 표시되는 프레임으로서,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 표시된다.
예를 들면,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예를 들면, 터치 패널에서의 줌 동작을 이용하여, 프레임 마크는, 화면 내에서 신축 가능하게 되고, 화면 내에서 종횡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사용자는, 화면 내에서 영상 및 여기에 중첩된 신축 가능한 프레임 마크를 시각적으로 확인하면서, 적절한 크기의 프레임 마크를 간단하게 지정할 수 있다. 그 후, 상기 적절한 크기의 범위를 나타낸 프레임 마크를,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이동 조작하면 되므로, 편리하다.
한편, 도 1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프레임 마크를, 타원형(즉, 도면 중의 회색 영역)을 에워싸는 프레임형의 마크로 하고, 링크 영역을, 타원형(즉, 도면 중의 회색 영역)으로 해도 된다. 이 경우에도, 프레임 마크 및 링크 영역을, 직사각형에 내접하는 타원형이라는 규약을 사전에 마련해 두면,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의 좌상 좌표 및 우하 좌표에 의해, 상기 프레임 마크 또는 링크 영역은, 영상 시간(t1)에 대하여 일의적으로 설정될 수 있다.
그리고, 도 13에 있어서, 프레임 마크를 도면 중 점선으로 나타낸 직사각형 마크로 해 두고(즉, 디스플레이(120) 상에서는 직사각형의 프레임 마크가 표시되면서), 프레임 마크와 소정 관계를 가지면서도 상이한 형상의, 즉 타원 형상의 링크 영역이 설정되어도 된다. 이와 같이 사전에 규약을 마련하고, 그것이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의 사용자가 알고 있다면, 프레임 마크 및 링크 영역의 형상은, 서로 동일할 수도 있고 상이할 수도 있으며, 각각의 형상 자체도 임의이며, 직사각형, 원형으로 한정되지 않고 다각형 등이라도 된다.
이와 같이, 프레임 마크 또는 링크 영역(도 12 및 도 13 중의 회색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에 대하여, 스텝 S13에서 설정된 제스처, 천이 정보가 정의된다. 즉,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 중 영상 시간(t1)에 대한 부분이 생성되어 채워진다.
다시 도 5에 있어서, 영상의 동영상 재생이 개시되고, 그것을 디스플레이(120)로 보고 있는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이 행해지는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행해진다. 영상의 동영상 재생이 개시되고, 또한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 및 이에 따른 링크 영역 정보를 구성하는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스텝 S16).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가, 마우스이면, 왼쪽 버튼을 누르는 조작에 따라, 이와 같은 동영상 재생 및 정보 기록이 개시되면 된다. 또는, 입력 장치(110)가, 터치 패널이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을 만지는 조작에 따라, 이와 같은 동영상 재생 및 정보 기록이 개시되면 된다.
또한, 사용자에 의해 디스플레이(12) 상에서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따라, 위치 입력부(105)로부터의 좌표 정보 또는 그것의 기초가 되는 위치 신호가 갱신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17).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가,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이면, 드래그 되었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된다.
여기서 갱신된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7: YES), 위치 입력부(105)로부터 입력되는 좌표 정보 또는 그것의 기초가 되는 위치 신호의 변화에 따라, 영역 정보 표시부(107a)에 의한 표시 제어 하에서, 프레임 마크가 디스플레이(120) 상에서 이동된다. 전형적으로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영상 중 이동하는 오브젝트(예를 들면, 도 12에 나타낸 얼굴)를 볼 때의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110)의 수동 조작에 의해, 오브젝트의 동작에 추종(追從)하도록, 프레임 마크가 이동된다.
이와 병행하여, 위치 입력부(105)로부터의 이동 정보로부터, 프레임 마크의 표시 영역을 나타내는 좌표 정보가 생성되고, 각 영상 시간(t)에서의 시간 정보 및 시점 정보에 대응되어, 기억 장치(106)에 저장된다(스텝 S18).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서는,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행해진(예를 들면, 마우스 또는 터치 패널로 드래그된) 경우에만, 정보 기록이 행해지고 것에 의해, 데이터량이 비대화하는 것이 미연 방지된다.
스텝 S18에서 좌표 정보가 저장된 후, 또는 위치 입력부(105)로부터의 좌표 정보가 갱신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7: NO), 도 6의 처리로 이행(移行)한다.
여기서, 스텝 S17 및 S18에서의 처리 중, 링크 영역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에 대하여, 도 14 및 도 1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링크 영역이 이동되지 않는 경우(즉, 스텝 S17: NO의 경우), 영상 중의 링크 영역의 설정을 개시하고자 하는 영상 시간(t3)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지정된다. 이 지정은, 예를 들면, 시간을 지정하기 위한, 입력 장치(110)의 일례인 스마트 폰 디바이스의 표준 IF(인터페이스)를 이용하여 행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영상 시간(t3)이 지정되었을 때, 영상은 일시 정지한 상태로 된다. 이 상태에서, 터치 패널,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좌상 위치(a3)와 우하 위치(b3)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상에서 지정된다. 이 조작은, 링크 영역 지정 모드로서 행할 수 있다. 좌상 위치(a3)가 지정되면, 그것을 나타내는 좌표로서 (a3x, a3y)가 생성되고, 우하 위치(b3)가 지정되면, 그것을 나타내는 좌표로서 (b3x, b3y)가 생성되고, 영역 링크 정보의 일부를 이루는 좌표 정보로서 기억 장치(106)에 저장된다.
이어서,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하고,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된 후, 그대로 접촉이 유지되고 있는 동안, 또는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마우스가 클릭되고 있는 동안, 영상의 재생이 계속된다. 이와 병행하여,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도 1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4에서 나타낸 영상 시간(t3)의 후인 영상 시간(t4)에 있어서,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로부터 손가락이 떨어지거나(터치가 해방되거나) 또는 마우스의 클릭이 해방된다. 이렇게 되면, 표시 제어부(107)에 의한 제어 하에서, 영상이 정지된다. 이 때의 프레임 마크는, 좌상 위치(a4) 및 우하 위치(b4)의 위치까지 이동되어 있다. 이들 동작에 의해, 링크 영역을 설정하고자 하는 영상 시간(t3∼t4)의 사이에서의 링크 영역을, 매우 효과적으로 또한 실용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그리고, 원래의 영상의 속도를 변경한 후, 영상을 재생한다(예를 들면, 고속 재생(빠른 재생)이나 슬로우 재생을 행하는) 사이에, 이와 같은 영상의 재생의 개시, 계속 및 종료에 대한 조작은, 마찬가지로 실행 가능하며, 이렇게 함으로써 영상 시간(t3∼t4) 내에, 보다 간단하게 링크 영역을 지정할 수 있다.
여기서, 스텝 S17 및 S18에서의 처리 중, 링크 영역이 이동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6 내지 도 1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링크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는, 영상으로서 자동차가 화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이동하는 예가 여기서는 상정된다. 이 때,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5)에서 위치(C5)이며, 영상 시간(t6)에서 위치(C6)이며, 영상 시간(t7)에서 위치(C7)이다. 영상은, 영상 시간(t5∼t8)의 사이에 연속적으로 다수의 시계열의 프레임 영상으로서 존재하지만, 본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3개의 시점(즉, 3개의 프레임)에만 존재하는 영상 컨텐츠를 예로 들어, 링크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중의 링크 영역의 설정을 개시하고자 하는 영상 시간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지정된다. 예를 들면, 영상 시간(t5)이 지정되었을 때, 영상은 일시 정지한 상태로 되고,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좌상 위치(c5a)와 우하 위치(c5b)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상에서 지정된다. 이 조작은, 링크 영역 지정 모드로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하고,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5)에서 링크 영역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계속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5)로부터 영상시간(t6)까지의 사이에,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도 1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영상 중의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5)으로부터 영상 시간(t6)가 되는 것에 따라, 위치(c5)로부터 위치(C6)로 이동된다. 영상 시간(t5)로부터 영상 시간(t6)의 사이에, 입력 장치(110)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된 채로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된 채로 이동되는 등의, 사용자의 시각을 이용한 수동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자동차의 움직임에, 프레임 마크가 추종된다. 이 프레임 마크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재생 시간에서의 프레임 마크로부터 정해지는 좌표 정보가, 시간 정보 및 시점 정보와 함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의 일부로서 생성되어 간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중의 오브젝트의 해석을 전혀 행할 필요 없고, 사용자인 인간에 의한 시각을 이용한 오퍼레이션에 의해, 간단하게 또한 실용적으로 링크 영역을 연속적으로 지정할 수 있다.
이어서, 도 6에 있어서, 도 5의 스텝 S17 또는 S18의 처리 후에, 영상 재생부(103)에 의해, 현재 재생 중인 영상의 재생 위치가 종단(終端)인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 S19), 종단이 아닌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19: NO), 위치 입력부(105)로부터의 좌표 정보 또는 그것의 기초가 되는 위치 신호의 입력이 정지되었는지의 여부가 판정된다(스텝 S20). 여기서의 판정은,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가 마우스이면, 좌측 버튼이 떨어졌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되면 된다. 입력 장치(110)가 터치 패널이면, 터치 패널로부터 사용자의 손이 떨어졌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되면 된다.
여기서 정지되어 있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고(스텝 S20: NO), 이미 도 5에 나타낸 스텝 S17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스텝 S19에서, 영상의 재생 위치가 종단인 것으로 판정된 경우(스텝 S19: YES) 또는, 스텝 S20에서 정지되는 것으로 판정되고(스텝 S20: YES), 여기까지에 생성되어 온 좌표 정보가, 시간 정보, 시점 정보와 함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로서, 기억 장치(106)에 보존된다(스텝 S21).
다음으로, 또한 링크 영역 정보를 기억 장치(106)에 추가하여 생성 유지하는지의 여부가 판정되고(스텝 S22), 추가하는 경우에는(스텝 S22: YES), 이미 도 5에 나타낸 스텝 S12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한편, 링크 영역 정보를 추가하여 생성 유지하지 않는 경우에는(스텝 S22: NO), 각각의 항목이 적절하게 채워진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가 기억 장치(106)에 보존되고, 링크처 지정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다.
이로써,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1 참조)에 있어서,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를 생성 유지하는 동작이 완료된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의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하면, 입력 장치(110) 및 위치 입력부(105) 등의 기능에 의해, 영상 시간의 경과에 따라, 프레임 마크가, 사용자의 수동 조작에 따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된다. 이와 거의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기록 장치(106)에, 좌표 정보, 시점 정보 등을 포함하는 링크 영역 정보가 유지된다. 이 때, 본 발명 또는 실시형태에 따른 「링크처(링크처 식별 정보)」의 일례를 구성하는 천이 정보에 대하여 언급하면, 시스템 상에서는, 대응하는 오브젝트에 대응되지 않고, 프레임 마크 또는 그 좌표 위치를 포함하고 링크 영역 정보에 대응되어 있다. 따라서, 오브젝트 해석과 같은 화상 해석이나 화상 인식과 같은 고도의 데이터 처리를 필요로 하지 않는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사용자(즉, 컨텐츠 제공자 측인 자)가, 임의의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원하는 링크처를 지정하는 작업을 용이하게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링크 영역 정보를 구성하는 좌표 정보는, 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에 대한 프레임 마크의 상대 위치 또는 링크 영역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좌표 정보이다. 따라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사용자 측에서, 링크처를 지정하는 조작을 행할 때 사용되는 디스플레이(120)의 사양, 규격 등에 따르지 않고, 링크처를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지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프레임 마크를,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상에서 원하는 위치에서 원하는 사이즈로 변경 가능한 직사각형을 가지는 프레임 마크로 하고 있으므로(도 12 참조), 실용면에서 대단히 편리하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프레임 마크는, 영상 전역에 대한 상대 위치로서, 영상 전역에 대한, 프레임 마크의 상대 위치를 2개의 모서리의 좌표(즉, 그 좌상 좌표 및 우하 좌표)로 나타낸다. 이것은, 시각 및 입력 장치(110)를 취급하는 사용자의 입장에서 보면, 시각적으로 알기 쉽고 조작하기 쉬운 실천적인 이익을 거둘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프레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 중에 좌표 정보가 기록되고, 프레임 마크가 이동되고 있지 않은 기간에는, 동일 값의 좌표 정보가 용장적으로 기록되지 않도록 하는 것도 가능하므로, 본래의 기능의 저하를 초래하지 않고, 취급하는 데이터의 비대화를 효율적으로 회피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입력 장치(110)에서의 탭핑, 스와이프, 드래그 등의 복수 종류의 입력 조작의 구별에 의해, 복수의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천이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다. 그러므로, 나중에 시청자측 인터페이스 장치(200)로, 1개의 오브젝트에 대하여 상이한 종류의 입력 조작이 행해지는 것에 의해, 상이한 링크처의 컨텐츠가 표시되는 환경을, 간단하게 구축할 수 있다.
다음으로, 도 7 및 도 8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4를 참조하여 설명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동작의 다른 예에 대하여, 설명한다. 그리고, 상기한 도면에 있어서, 도 5 및 도 6과 중복되는 스텝에는 동일한 스텝 번호를 부여하고 이들에 대한 설명은 적절하게 생략한다. 이 때, 도 19∼도 23에 나타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의 동작에 대한 개념도 중, 이하에서 설명하는 각각의 동작 또는 각 스텝에 각각 관련된 도면이 적절하게 참조된다.
도 7에 있어서, 도 5와 동일하게 스텝 S11로부터 스텝 S18의 처리가 행해지고, 도 8에 있어서, 도 6과 동일하게 스텝 S19로부터 S20의 처리가 행해진다.
도 8에 있어서, 스텝 S20의 처리가 완료되면(스텝 S20: YES), 편집을 계속하는지의 여부, 즉 현재까지 링크 영역 정보가 생성되어 있던 대상인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또한 링크 영역 정보를 생성 유지하는지의 여부가,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입력되는 이 취지의 커맨드에 기초하여, 판정된다(스텝 S201). 예를 들면, 동일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링크 영역이 영상 시간 축 상에 있어서 비연속으로 2 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는, 여기서의 편집이 계속된다. 혹은, 영상 컨텐츠에 복수의 오브젝트가 존재하고 있고, 이들에 각각 대응하는 복수의 링크처가 지정되는 경우에는, 여기서의 편집이 계속된다.
여기서 편집을 계속하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201: YES), 또한 링크처 지정의 대상이 되는 영상을 재개하는 위치까지 영상이 진행된다(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의 재생 시간 축 상에서는, 재생 위치가 진행되거나 또는 되돌려진다). 그 후, 도 7의 스텝 S15로 복귀하고, 그 이후의 처리가 반복적으로 실행된다. 즉, 편집의 계속으로서,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110)의 조작에 의해, 천이처나 제스처의 변경, 프레임 마크의 사이즈 변경이나 초기 위치의 변경 등이 행해지고, 이러한 변경 후의 프레임 마크의 이동 조작이, 새로운 오브젝트에 대응하여 실행됨으로써, 편집이 계속된다.
스텝 S201에서 편집을 계속하지 않는 것으로 판정된 경우에는(스텝 S201: NO), 도 6과 동일하게 스텝 S21로부터 스텝 S23의 처리가 행해져서, 링크처 지정에 대한 일련의 처리가 완료된다.
여기서, 스텝 S201 및 S202를 포함하는 처리 중, 링크 영역이 비연속적으로 2개의 시간에서 지정되는 경우에 대하여, 도 19 내지 도 23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1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영상으로서 자동차가 화면 좌측으로부터 우측을 향해 이동하는 예가 여기서는 상정된다. 이 때,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8)에서 위치(C8)이며(도 20 참조), 영상 시간(t9)에서 위치(C9)이며(도 21 참조), 영상 시간(t11)로 위치(C11)이며(도 22 참조), 영상 시간(t12)에서 위치(C12)이다(도 23 참조). 영상은, 영상 시간(t8)∼영상 시간(t9)의 사이, 영상 시간(t9)∼영상 시간(t10)의 사이, 영상 시간(t10)∼영상 시간(t11)의 사이, 영상 시간(t11)∼영상 시간(t12)의 사이에 각각, 연속적으로 다수의 시계열의 프레임 영상으로서 존재하지만, 본 예에서는 설명의 편의 상, 5개의 시점(즉, 5개의 프레임)에만 존재하는 영상 컨텐츠를 예로 들어, 링크 영역을 이동시키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중의 링크 영역의 설정을 개시하고자 하는 영상 시간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지정된다. 예를 들면, 영상 시간(t8)이 지정되었을 때, 영상은 일시 정지한 상태로 되고,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좌상 위치(c8ax)와 우하 위치(c8by)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상에서 지정된다. 이 조작은, 링크 영역 지정 모드로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하고,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8)에서 링크 영역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계속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8)으로부터 영상 시간(t9)까지의 사이에,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영상 중의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8)으로부터 영상 시간(t9) 되는 것에 따라, 위치(C8)로부터 위치(C9)로 이동된다. 영상 시간(t8)으로부터 영상 시간(t9)의 사이에, 입력 장치(110)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된 채로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된 채로 이동되는 등의, 사용자의 시각을 이용한 수동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자동차의 움직임에, 프레임 마크가 추종된다. 이 프레임 마크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재생 시간에서의 프레임 마크로부터 정해지는 좌표 정보가, 시간 정보 및 시점 정보와 함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의 일부로서 생성되어 간다.
또한, 예를 들면, 사용자에 의한, 터치 패널로의 접촉이 해방되거나, 또는 마우스의 클릭이 해방되는 등의 입력 장치(110)를 통한 조작에 의해, 표시 제어부(107)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120)에 표시된 영상은 일시 정지 상태로 된다. 이 때, 프레임 마크는 그대로 표시되어 있어도 되고, 일단 지워져도 되고, 표시 태양이 변경되어도 된다.
이어서, 도 2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영상은 영상 시간(t9)에서, 일시 정지 상태로 되어 있다. 이 상태로부터, 입력 장치(110)에 의해 재생할 영상으로서, 영상 시간(T11)이 지정되면, 영상 재생부(103)의 제어 하에서, 자동차가 위치(C11)로 불연속적으로 또는 순간적으로 이동한 후의 영상이 재생된다. 이어서 다시,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변경된다. 이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하고,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1)에서 링크 영역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계속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1)으로부터 영상 시간(t12)까지의 사이에,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이어서, 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영상 중의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11)으로부터 영상 시간(t12)이 되는 것에 따라, 위치(C11)로부터 위치(C12)로 이동된다. 영상 시간(t11)으로부터 영상 시간(t12)의 사이에, 입력 장치(110)의 사용자에 의한 수동 조작에 의해, 예를 들면,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된 채로 슬라이드 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된 채로 이동되는 등의, 사용자의 시각을 이용한 수동 조작에 의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자동차의 움직임에, 프레임 마크가 추종된다. 이 프레임 마크의 이동에 따라, 각각의 재생 시간에서의 프레임 마크로부터 정해지는 좌표 정보가, 시간 정보 및 시점 정보와 함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의 일부로서 생성되어 간다.
이상 도 20∼도 23에 나타낸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시간(t8)∼영상 시간(t9)의 사이와 영상 시간(t11)∼영상 시간(t12)의 사이에서는, 영상 시간축 상에서, 서로 비연속적으로 링크 영역이 설정된다. 이 때, 재생 시간(t9)∼재생 시간(t11)의 사이는, 링크 영역이 설정되지 않는 시간으로 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재생 시간(t9)으로부터 재생 시간(t11)의 사이에는, 좌표 정보는 생성되지 않는다. 즉, 원하는 링크처 지정을 행하기 위하여, 불필요한 데이터의 발생을 방지하고 또는 링크 영역 정보에 불필요한 데이터가 받아들여지지 않도록 함으로써, 전체적으로 데이터량의 비대화를 미연에 방지할 수 있다.
이상에 의해, 도 7 및 도 8의 흐름도에서 나타낸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도 1 참조)에서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를 생성 유지하는 동작이 완료된다. 본 실시예에서는 특히, 동일한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링크 영역이 영상 시간축 상에 있어서 비연속적으로 2개 이상 존재하는 경우에, 효율적으로,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의 생성 유지를 행할 수 있어, 실천면에서 대단히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24 내지 도 28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링크처 지정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에서 적절하게 실행되는, 링크 영역 또는 프레임 마크의 사이즈를, 영상 재생 중에서의 링크 영역 정보를 생성하고 있는 작업 도중에 변경하는 경우에 대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도 2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도 14의 경우와 마찬가지로, 영상 중의 링크 영역의 설정을 개시하고자 하는 영상 시간이,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지정된다. 예를 들면, 영상 시간(t13)이 지정되었을 때, 영상은 일시 정지한 상태로 되고, 입력 장치(110)를 통하여, 프레임 마크의 좌상 위치(c13a)와 우하 위치(c13b)가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상에서 지정된다. 이 조작은, 링크 영역 지정 모드로서 행할 수 있다.
이어서, 링크 영역 녹화 모드로 하고,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3)에서 링크 영역 정보의 기록이 개시된다. 또한,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계속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3)으로부터 영상 시간(t14)까지의 사이에,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그 후, 도 25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디스플레이(120)의 화면 내에서의 영상 중의 자동차의 위치는, 영상 시간(t13)으로부터 영상 시간(t14)이 되는 것에 따라, 위치(c13)로부터 위치(c14)로 이동된다. 이 때, 영상 시간(t13)에서,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되고, 또한, 접촉(클릭)이 유지되면서, 탭핑 위치 또는 클릭 위치가, 영상 중의 자동차에 맞추어 슬라이드 또는 이동된다. 이들 조작에 의해, 영상 시간(t14)에서 좌표(c14a)와 좌표(c14b)가 기록된다. 그 후, 영상 시간(t14)에서, 터치 패널로의 접촉이 해방되거나 또는 마우스의 클릭이 해방되면, 영상은 일시 정지 상태로 된다. 즉, 일시적으로 정지화상 재생이 된다.
이어서, 도 2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영상 시간(t14)에 있어서, 정지화상 재생되고 있는 영상에 대하여, 도 24와 동일한 조작에 의해, 프레임 마크의 좌상 위치 및 우하 위치가 변경된다. 즉, 링크 영역의 면적 및 형상이 변경된다. 도 25 내지 도 26에서 나타낸 예에서는, 프레임 마크 또는 링크 영역의 좌상 좌표가 고정된 채, 우하 좌표가 우측 아래로 이동되어, 이들 사이즈가 커지도록 변경되어 있다.
그 후 도 2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영상 시간(t14)에 있어서, 동영상 재생이 재개되고, 즉, 링크 영역 녹화 모드가 재개된다.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4)에서 링크 영역 정보의 기록이 재개된다.
또한 도 2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입력 장치(110)를 구성하는 터치 패널이 계속 탭핑되거나, 또는 마우스가 계속 클릭됨으로써, 영상 시간(t14)으로부터 영상 시간(t15)까지의 사이에, 링크 영역 정보(즉, 좌표 정보, 시간 정보, 시점 정보 등)가 생성되어 간다. 이 때, 도 26에서 사이즈 및 형상이 변경된 프레임 마크에 의해, 링크 영역 정보의 생성이 행해진다.
이상 도 24∼도 28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영상 시간(t13)∼영상 시간(t15)의 도중에 어떤 영상 시간(t14)에서, 링크 영역의 사이즈가 변경된다. 즉, 일반적으로 빈번하게 이루어지고 있는 바와 같이 영상 중에 존재하는 오브젝트의 사이즈가, 영상 도중에 변경되는 경우에도, 링크 영역의 사이즈를 적절하게 행하는 것이 가능하게 된다. 또한, 입력 장치(110)에서의 간단한 조작을 통하여 실행 가능하므로, 실천면에서, 대단히 편리하다.
또한 도 29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면, 이상 설명한 본 실시예에서는, 동일한 영상 컨텐츠 내에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복수의 오브젝트가 출현하고 있고, 이들 각각에 대하여 별개로 링크를 설정하는 구성을 구축하는 것도, 링크처 지정용 사용자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해 실행 가능하다. 즉, 사용자에 의한 입력 장치(110)를 통한 링크 영역 녹화 모드의 조작이, 복수의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형태로 복수의 기회에 행해지면 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도 5 또는 도 7에서 나타낸 스텝 S15의 처리가 복수 행해지고, 영상 시간(t16)에서, 하나의 링크 영역을 지정하는 좌표(d16a) 및 좌표(d16b)와, 다른 링크 영역을 지정하는 좌표(d16c) 및 좌표(d16d)가, 지정되어, 2개의 프레임 마크(즉 2개의 링크 영역)이 설정되면 된다.
이 경우에 있어서의 프레임 마크의 설정(즉, 스텝 S15의 처리 등)은, 복수의 링크 영역 정보의 생성에 대하여 동일한 정지화상 재생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행해질 수도 있고, 복수의 링크 영역 정보의 생성에 대하여 상이한 정지화상 재생되고 있는 영상 컨텐츠에 대하여 행해질 수도 있다. 도 29의 예에서는, 2개의 링크 영역이 지정되는 경우를 나타내고 있지만, 영상 컨텐츠의 내용에 따라, 3개 이상의 링크 영역을 지정하는 것도 동일한 조작에 의해 가능하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나중에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1개의 영상 컨텐츠 내에서 복수의 링크처를 선택 가능한 환경을,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에 의해, 간단하게 구축 가능하므로, 편리하다.
다음으로, 도 1 내지 도 4와 함께, 도 9의 흐름도를 참조하여, 도 2에 나타낸 기본 구성을 가지는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의 동작을, 그 상세한 구성과 함께 설명한다.
도 9에 있어서, 먼저 통신부(202)를 통하여, 컨텐츠 취득부(203)에 의해, 영상 데이터의 취득이 행해지고, 기억 장치(204)에, 영상 데이터와 함께 링크 영역 정보(도 3 참조)가 저장된다(스텝 S101). 여기서의 취득은, 예를 들면,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인터넷을 경유하여 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영상 대응 정보(205)란, 복수의 링크 영역 정보 1, 2, ···를 포함하고, 먼저 링크처 지정 장치(100)에서 생성 유지된 것이다. 영상 대응 정보가 취득되면 영역 정보 해석부(207)에서는, 영상 대응 정보를 구성하는 각 링크 영역 정보 중 좌표 정보(도 3 참조)의 해석이 행해진다. 즉, 링크처 지정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먼저 지정된 각 링크 영역이 특정된다.
이와 병행하여 또는 거의 동시에 천이 정보 취득부(208)에서는, 각 링크 영역 정보 중 천이 정보(도 3 참조)의 취득이 행해진다. 즉, 링크처 지정 인터페이스 장치(100)에서 먼저 지정된 각 링크 영역의 링크처(구체적으로는, 다른 영상, 웹 페이지, 특정 화상의 구별 등)가 특정된다.
이들에 의해,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 어떤 방식으로 링크처를 링크했는지를, 여기서의 정보 취득 및 정보 해석에 의해 명확하게 된다. 스텝 S101 중 영상 대응 정보에 대한 처리는,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에 의해, 시청자에게 의식되지 않은 채 영상 데이터의 취득에 따라 자동적으로 실행될 수도 있다.
다음으로, 영상 데이터 및 링크 영역 정보의 취득과 거의 동시에 또는 병행하여, 영상 재생이 개시된다(스텝 S102). 구체적으로는, 시계열 데이터로서 영상 데이터가, 영상 재생부(212)에 의해 재생되고, 영상 표시부(216a)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220)에 있어서 재생된다.
이 영상 재생의 사이에, 표시 중의 영상 중, 스텝 S101에서 해석되고 특정된 링크 영역 영역에서 규정되는 영상 부분에 대하여, 입력 장치(210)에서의 소정 조작이 행해졌는지의 여부가 모니터링된다(스텝 S103).
보다 구체적으로는, 영상 시간의 각각의 시각에 있어서, 입력 장치(210)로부터 위치 입력부(218)를 통하여 조작의 유무, 조작 위치 등을 나타내는 조작 신호의 거동(즉, 시간적 및 공간적 변화)에 기초하여, 입력 제스처 특정부(301)에서, 탭핑, 스와이프, 드래그 등 중에서 어떤 소정 종류의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또는 아무런 조작도 행해지지 않은 것인지)가 특정된다. 이와 병행하여 또는 거의 동시에, 조작 신호의 거동에 기초하여, 재생 시간 특정부(302)에 의해, 어떤 타이밍에서 이와 같은 소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가 특정된다. 이와 병행하여 또는 거의 동시에, 조작 신호의 거동에 기초하여, 영역 탐색부(303)에 의해, 어느 영상 부분에 대하여, 이와 같은 소정 조작이 행해진 것인지 특정된다. 천이 정보 추출부(211a)는, 유효한 소정 조작이 행해진 경우에, 상기 유효한 소정 조작에 따른 천이 정보를 추출하고, 이에 대응한 천이 동작이 행해지도록, 천이 정보 취득부(208)로 전달한다.
스텝 S103의 모니터링은, 아무런 제스처도 행해지지 않은 것으로 판정되면(스텝 S103: NO), 영상의 재생 종료가 아닌 한(스텝 S107: NO), 반복적으로 계속된다.
스텝 S103의 모니터링에 의해, 입력 장치(210)에서 시청자에 의해 행해진 제스처 또는 조작이, "영상"이다, 즉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지정된 영상을 재생"인 경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04로 진행되어, 표시 제어부(216)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22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 영상 지정의 영상으로 전환할 수 있다(스텝 S104). 또한, 스텝 S101로 되돌아와, 그 이후의 처리가 동일하게 반복된다. 이 때, 상기 영상 지정의 영상(즉, 지금까지 재생되고 있던 영상과는 다른 영상)은, 링크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천이 정보로 표시되어 있고, 천이 정보 취득부(208)에서 이미(스텝 S102에) 취득되고 있으므로, 신속한 또는 순간적인 영상 전환이 가능하다.
스텝 S103의 모니터링에 의해, 입력 장치(210)에서 시청자에 의해 행해진 제스처 또는 조작이, "웹"이다, 즉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웹 페이지의 표시"인 경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05로 진행하고, 표시 제어부(216)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22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로 전환된다(스텝 S105). 그 후,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이 때, 상기 웹 페이지의 표시는, 링크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천이 정보로 표시되어 있고, 천이 정보 취득부(208)에서 이미(스텝 S102에서) 취득되고 있으므로, 신속하게 또는 순간적으로 웹 페이지의 표시가 가능하다.
스텝 S103의 모니터링에 의해, 입력 장치(210)에서 시청자에 의해 행해진 제스처 또는 조작이, "화상"이다, 즉 사전에 설정된 규칙에 따라, 특정 화상인 "화상의 표시"인 경우에 대응하고 있는 것으로 판정되면, 스텝 S106으로 진행하고, 표시 제어부(216)의 제어 하에서, 디스플레이(220)에서 재생되는 영상이, 상기 화상의 표시로 전환된다(스텝 S106). 그 후, 스텝 S107로 진행한다. 이 때, 상기 화상의 표시는, 링크 영역 정보에 포함되는 천이 정보로 표시되어 있고, 천이 정보 취득부(208)에서 이미(스텝 S102에서) 취득되고 있으므로, 신속하게 또는 순간적으로 화상의 표시가 가능하다.
어떤 경우에도, 스텝 S107에서, 영상의 재생 종료인 것으로 판정되면, 본 실시예에 따른 일련의 처리가 종료된다.
그리고, 본 실시예에 있어서, 표시 제어부(216)에 의한 제어 하에서, (i) 스텝 S104를 거친 다른 영상의 재생, (ii) S105를 거친 웹 페이지의 재생, 및 (iii) 스텝 S106를 거친 화상의 표시가 종료되었을 때, 스텝 S102에서 당초부터 재생 개시되고 있던 영상 컨텐츠가, 전환 시점으로부터 재개되는 형태로, 재생되도록 구성해도 된다. 이와 같이 구성하면, 예를 들면, 영화, 드라마 등의 일련의 의미를 이루는 동영상 컨텐츠를 재생하고 있는 경우, 시청자는, 그 사이에 링크처의 컨텐츠의 시청을 개재시키는 것만으로, 그 동영상 컨텐츠를 과부족없이 시청할 수 있으므로, 편리하다.
또는, (i) 스텝 S104를 거친 다른 영상의 재생, (ii) S105를 거친 웹 페이지의 재생, 및 (iii) 스텝 S106을 거친 화상의 표시 중 적어도 1개를, 스텝 S102에서 당초부터 재생 개시되고 있던 영상 컨텐츠 내에 윈도우 표시하는 구성(당초부터 재생 개시되고 있던 영상 컨텐츠를 계속 재생하게 하는 구성)을 채용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먼저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100)(도 1 참조)에서 생성한 링크 영역 정보를 사용하여,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도 2 참조)에 의해, 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에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키는 것이 가능하다.
특히 본 실시예에서는, 시청자 측에서, 영상 컨텐츠 내에서 오브젝트를 선택하는 조작을, 예를 들면, 시청자가 개인적으로 이용하는 다종 다양한 디스플레이(220)의 사양, 규격 등 또는 표시의 확대 축소나 표시의 세그먼트에 구애받지 않고, 정확하게 또는 확실하게 행할 수 있다. 이 점에 대하여 도 30 내지 도 32를 참조하여 설명을 추가한다.
즉, 도 3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링크 영역 정보를 지정한 후, 재생하는 단계에서, 만일 기록 시의 화각 Xz에 대하여 A배, Yz에 대하여 B배의 변경이 가해져도 영상의 가장 좌상점을 좌표(0, 0), 우하를 좌표(1, 1)로 취급하는 것에는 변함이 없다.
따라서 도 3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재생 시에 링크 영역을 결정하는 2개의 좌표(a3, b3)는, 각각 x축 및 y축의 최대를 1로 한 경우의 비율 정보를 기초로 산출된다. 따라서, 재생 시에 영상이 x축과 y축이 각각 등배로 「확대」 혹은 「축소」되어도, x축과 y축 각각이 상이한 배율로 되므로, 가로로 긴, 또는 세로로 긴 영상으로 축척이 변경되어도, 기록 시에 링크 영역으로서 설정하고자 하는 영역을 재생 시에 일정하게 유지할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220)의 사양에 따라서는(특히 소형 디스플레이인 경우 등에는), 영상의 중앙 주위의 부분만이 세그먼트 표시되거나, 축소 표시된다. 이 때, 예를 들면, 링크 지정 조작을 행하는 컨텐츠 제공자 측의 디스플레이(110)에서의 영상이 표준 영상(도 29 참조)이라도, 도 32에 나타낸 시청자 측의 디스플레이(220)에서의 축소 또는 세그먼트 영상 상에서, 복수의 링크 영역의 각각에 대하여, 시청자가 선택하고자 하는 오브젝트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의도된 링크처가, 정확하게 표시된다.
이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르면,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200)에서 사용되는 디스플레이(220)의 종류에 구애받지 않고, 영상 컨텐츠를 재생 중에 원하는 링크처로 점프시킬 수 있으므로, 실용면에서 대단히 편리하다.
시청자 측에 있어서는, 그 성질상, 진부화(陳腐化)한 링크처가 아니라, 최신 상황까지도 가미한 다종 다양한 링크처가 제공되는 것이 기본적으로 바람직하며, 또한 영상 컨텐츠에 대해서도, 제약이 적고, 가능한 한 수많은 범용성이 높은 영상 컨텐츠(특히, 링크를 의식하지 않고서도 즐길 수 있는 통상의 프로그램, 영화, 드라마 등)를 시청하면서, 때로는 임기응변으로 링크처로 점프할 수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시청자 측에서는, 다종다양한 디스플레이가 이용되는 것이 현실이다.
이상 상세하게 설명한 본 실시예에 따르면, 컨텐츠 제공자 측에서는 링크처의 지정을 간단하게 또는 염가로 행할 수 있고, 시청자 측에서는 영상 컨텐츠 상에서(최신의 링크처까지 포함할 수 있음) 원하는 링크처에 높은 자유도를 가지고 점프하는 환경이 실현 가능하게 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형태 또는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고, 청구의 범위 및 명세서 전체로부터 파악할 수 있는 발명의 요지 또는 사상에 반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하게 변경 가능하며, 이와 같은 변경을 수반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도 또한 본 발명의 기술적 범위에 포함된다.
100: 링크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101: 링크 지정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
110: 입력 장치 120: 디스플레이
200: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201: 링크 선택 기능을 가지는 동영상 재생 장치
210: 입력 장치 220: 디스플레이

Claims (15)

  1.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link destination)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 및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고 있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고,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이 행해지지 않는 기간 중에는, 상기 위치 정보를 각각의 시각에 대하여 유지하지 않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2.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 및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은, 복수 종류의 조작의 구별에 의해, 복수의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또는 이를 대신하여 또는 이에 부가하여, 복수 종류의 조작의 구별에 의해, 상기 링크처와 관련된 복수의 표시 형태의 구별을 선별할 수 있도록 하면서 상기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3. 동영상 컨텐츠가 정지화상 재생 또는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는 범위 지정 수단;
    상기 범위 지정 수단에 의해 지정된 범위를 나타낸 범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 상에 중첩하여 표시시키는 범위 마크 설정 수단;
    상기 동영상 컨텐츠가 동영상 재생되고 있는 화면 내에서,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재생 시간의 경과에 따라, 상기 범위 마크를 원하는 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한 이동 조작 수단;
    상기 범위 마크에 대응하는 것으로서, 원하는 링크처를 식별하는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는 링크처 입력 수단; 및
    (i)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에 의해 입력된 링크처 식별 정보 및 (ii) 상기 재생 시간 내의 각각의 시각에 대응시켜, 상기 범위 마크의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유지 수단
    을 포함하고,
    상기 화면은, 터치 패널의 화면이며,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터치 패널로의 조작자에 의한 접촉을,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개시의 트리거(trigger)로 하고, 상기 접촉의 종료를, 상기 범위 마크의 이동 종료의 트리거로 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범위 마크의 상기 동영상 컨텐츠의 화상 전역(全域)에 대한 상대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위치 정보로서, 상기 화상 전역과 관련된, 화각, 4개의 모서리 중에서 적어도 1개의 모서리, 외륜 또는 상기 화상 전역 내에 고정된 기준 위치에 대한, 상기 범위 마크의 상대 위치를 나타낸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6.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처 입력 수단은, 상기 동영상 컨텐츠 내의 복수의 오브젝트에 각각 대응하는 것으로서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를 입력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고,
    상기 유지 수단은, 상기 복수의 링크처 식별 정보에 대응시켜, 상기 위치 정보로서 복수의 위치 정보를 유지하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7.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지정 수단은, 상기 원하는 범위를, 소정 종류의 지정 조작에 따라 상기 화면 내에서 신축(伸縮) 가능하며 또한 소정 형상을 가지는 프레임에 의해 지정 가능하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로서 상기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범위 지정 수단은, 상기 화면 내에 표시된 직사각형의 4개의 모서리를 신축시킴으로써 상기 원하는 범위를 지정할 수 있게 구성되어 있고,
    상기 이동 조작 수단은, 상기 범위 마크로서 상기 직사각형의 프레임을 나타내는 프레임 마크를, 상기 화면 내에서 이동시킬 수 있게 구성되어 있는,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9.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
    상기 컴퓨터 프로그램은 컴퓨터를,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로서 기능하게 하는,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저장 매체에 기록된 컴퓨터 프로그램.
  10. 삭제
  11. 삭제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KR1020167017932A 2013-12-09 2014-12-05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KR10229791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13-254504 2013-12-09
JP2013254504A JP5585716B1 (ja) 2013-12-09 2013-12-09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JP-P-2013-254513 2013-12-09
JP2013254513A JP5671671B1 (ja) 2013-12-09 2013-12-09 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CT/JP2014/082270 WO2015087804A1 (ja) 2013-12-09 2014-12-05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95065A KR20160095065A (ko) 2016-08-10
KR102297919B1 true KR102297919B1 (ko) 2021-09-02

Family

ID=5337110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17932A KR102297919B1 (ko) 2013-12-09 2014-12-05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3) US9899062B2 (ko)
EP (1) EP3082344A4 (ko)
KR (1) KR102297919B1 (ko)
CN (2) CN110413185A (ko)
WO (1) WO2015087804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68B1 (ko) * 2021-09-24 2022-05-16 주식회사 에프엠케이 영상 객체 인식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0379637B2 (en) * 2015-01-30 2019-08-13 Logitech Europe S.A. Rotational element enabling touch-like gestures
JP6641731B2 (ja) * 2015-06-05 2020-02-05 ソニー株式会社 送信装置及び送信方法、並びに受信装置及び受信方法
CN109983781B (zh) * 2016-10-27 2022-03-22 日商艾菲克泽股份有限公司 内容播放装置以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US11146743B2 (en) * 2017-09-22 2021-10-12 Paronym Inc. Display control apparatus with first controlling device and second controlling device superimposing bookmark data
CN107820133B (zh) * 2017-11-21 2020-08-28 三星电子(中国)研发中心 在电视机提供虚拟现实视频的方法、电视机和***
CN108024073B (zh) * 2017-11-30 2020-09-04 广州市百果园信息技术有限公司 视频编辑方法、装置及智能移动终端
US10515473B2 (en) 2017-12-04 2019-12-24 At&T Intellectual Property I, L.P. Method and apparatus for generating actionable marked objects in images
KR102338901B1 (ko) * 2018-04-03 2021-12-13 삼성전자주식회사 전자 장치 및 그 동작 방법
CN108984740B (zh) * 2018-07-16 2021-03-26 百度在线网络技术(北京)有限公司 页面交互方法、装置、设备及计算机可读介质
US10715871B1 (en) 2019-03-27 2020-07-14 Verizon Patent And Licensing, Inc. Determining an end screen time for displaying an end screen user interface

Family Cites Families (3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6251082A (ja) 1993-02-26 1994-09-09 Toshiba Corp ハイパーメディアシステム
JP2914244B2 (ja) 1995-09-29 1999-06-28 日本電気株式会社 プレゼンテーション支援方法と装置
US6580870B1 (en) * 1997-11-28 2003-06-17 Kabushiki Kaisha Toshiba Systems and methods for reproducing audiovisual information with external information
JPH11161664A (ja) 1997-11-28 1999-06-18 Toshiba Corp Av情報の再生システム及び同システムに適用する再生方法
JP2001188738A (ja) 1999-10-21 2001-07-10 Vision Arts Kk 情報提供システム及び情報提供方法、識別情報付加装置及び識別情報付加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提供サーバ装置及び情報提供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情報利用端末及び情報利用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課金装置
JP2002099232A (ja) * 2000-09-21 2002-04-05 Canon Inc ガイダンスシステム及び情報処理装置及びそれらの方法
JP2003099783A (ja) 2001-09-20 2003-04-04 Fuji Xerox Co Ltd 動画処理方法および装置並びにプログラム
JP4045768B2 (ja) 2001-10-04 2008-02-13 富士ゼロックス株式会社 映像処理装置
US7296230B2 (en) * 2002-11-29 2007-11-13 Nippon Telegraph And Telephone Corporation Linked contents browsing support device, linked contents continuous browsing support device, and method and program therefor, and recording medium therewith
JP4254950B2 (ja) * 2003-09-01 2009-04-15 ソニー株式会社 再生装置および再生装置における操作メニュー表示方法
JP2007019769A (ja) 2005-07-06 2007-01-25 Sony Corp タグ情報表示制御装置、情報処理装置、表示装置、タグ情報表示制御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2007074266A (ja) * 2005-09-06 2007-03-22 Fujifilm Corp 撮像装置、プリントシステム及びコンテンツサーバ
JP4809201B2 (ja) 2006-12-12 2011-11-09 ヤフー株式会社 情報提供装置、情報提供方法、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WO2008093632A1 (ja) 2007-01-29 2010-05-20 株式会社Access 動画処理方法、動画処理プログラム、および動画処理装置
JP2009065551A (ja) * 2007-09-07 2009-03-26 Fujifilm Corp 関連情報伝達方法、関連情報伝達サーバ、端末装置、関連情報伝達システム
JP2009117974A (ja) 2007-11-02 2009-05-28 Fujifilm Corp 興味情報作成方法、装置およびシステム
KR101380783B1 (ko) * 2008-08-22 2014-04-02 정태우 영상에 포함된 객체를 식별하여 부가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
US8631453B2 (en) 2008-10-02 2014-01-14 Sony Corporation Video branching
JP2010108310A (ja) 2008-10-30 2010-05-13 Koichi Sumida 広告マッチング装置及び広告マッチング方法
JP4960999B2 (ja) 2009-08-19 2012-06-27 日本放送協会 デジタル放送受信装置
JP5551913B2 (ja) 2009-10-13 2014-07-16 株式会社クローラ研究所 動画追尾による情報提供システム
WO2011115260A1 (ja) 2010-03-18 2011-09-22 日本電信電話株式会社 情報入力装置、情報入力方法、及び情報入力プログラム
US20110264768A1 (en) * 2010-04-24 2011-10-27 Walker Digital, Llc Systems and methods for facilitating transmission of content from a source to a user device
JP5488180B2 (ja) 2010-04-30 2014-05-14 ソニー株式会社 コンテンツ再生装置、制御情報提供サーバ、及びコンテンツ再生システム
JP5522789B2 (ja) * 2010-06-09 2014-06-18 日本放送協会 リンク機能付動画再生装置およびリンク機能付動画再生プログラム
KR101769819B1 (ko) * 2010-11-15 2017-08-21 엘지전자 주식회사 영상표시기기의 동작 방법
JP5857450B2 (ja) * 2011-05-30 2016-02-10 ソニー株式会社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JP5468576B2 (ja) 2011-07-12 2014-04-09 ヤフー株式会社 翻訳装置、翻訳方法及び翻訳プログラム
CN103392345B (zh) * 2011-12-28 2017-06-20 松下知识产权经营株式会社 播放内容再生装置、以及播放内容再生方法
JP6107225B2 (ja) * 2012-03-12 2017-04-05 コニカミノルタ株式会社 画像処理装置、画像処理装置の制御方法、および制御プログラム
KR102027357B1 (ko) 2012-04-24 2019-10-01 삼성전자주식회사 외부 기기의 스크린 상에 디스플레이된 정보를 탐색하는 터치 스크린을 가지는 휴대용 기기 및 그의 정보 탐색 방법
US20130324850A1 (en) 2012-05-31 2013-12-05 Mindray Ds Usa, Inc. Systems and methods for interfacing with an ultrasound system
JP6006536B2 (ja) 2012-06-01 2016-10-12 任天堂株式会社 情報処理プログラム、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システム、およびパノラマ動画表示方法
US20140055633A1 (en) * 2012-08-27 2014-02-27 Richard E. MARLIN Device and method for photo and video capture
US10592089B1 (en) * 2012-10-26 2020-03-17 Twitter, Inc. Capture, sharing, and display of a personal video vignette
US20140344697A1 (en) * 2013-05-14 2014-11-20 Tencent Technology (Shenzhen) Company Limited Method, apparatus and terminal for adjusting playback progress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98668B1 (ko) * 2021-09-24 2022-05-16 주식회사 에프엠케이 영상 객체 인식 기반 객체 정보 제공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15087804A1 (ja) 2015-06-18
KR20160095065A (ko) 2016-08-10
CN105900053A (zh) 2016-08-24
US20160307604A1 (en) 2016-10-20
US9899062B2 (en) 2018-02-20
US10622024B2 (en) 2020-04-14
CN105900053B (zh) 2019-07-26
EP3082344A4 (en) 2017-10-25
US20200185007A1 (en) 2020-06-11
US20180130503A1 (en) 2018-05-10
US11074940B2 (en) 2021-07-27
CN110413185A (zh) 2019-11-05
EP3082344A1 (en) 2016-10-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97919B1 (ko) 링크처 지정용 인터페이스 장치, 시청자용 인터페이스 장치, 및 컴퓨터 프로그램
US11126343B2 (en) Information processing apparatus, information processing method, and program
JP5681193B2 (ja) グリッドナビゲーションのための機器および方法
EP2740264B1 (en) Video peeking
US10657928B2 (en) Projected content based display device and display method
JP5585716B1 (ja)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WO2017014800A1 (en) Video editing on mobile platform
AU2012263123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controlling a display of multimedia content using a timeline-based interface
KR20110067492A (ko) Gui 제공방법 및 이를 적용한 멀티미디어 기기
KR2014008506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142347A (ko) 사용자 단말 및 이의 제어 방법, 그리고 멀티미디어 시스템
KR20140083229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메뉴 제공 방법
JP6150136B2 (ja) 記録装置
JP5585741B1 (ja)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671671B1 (ja) 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7169222A (ja)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6744939B2 (ja)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5589208B1 (ja) リンク先指定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視聴者用インタフェース装置、及びコンピュータプログラム
JP2018190474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6184418A (ja) 情報処理装置、情報処理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KR20140089291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제어 방법
KR20150031512A (ko) 디스플레이 장치 및 이의 디스플레이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