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638554B1 - 리셉터클 커넥터 - Google Patents

리셉터클 커넥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638554B1
KR102638554B1 KR1020230135829A KR20230135829A KR102638554B1 KR 102638554 B1 KR102638554 B1 KR 102638554B1 KR 1020230135829 A KR1020230135829 A KR 1020230135829A KR 20230135829 A KR20230135829 A KR 20230135829A KR 102638554 B1 KR102638554 B1 KR 10263855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body
cover
receptacle connector
continuous
hold dow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301358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30145310A (ko
Inventor
김동완
Original Assignee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301358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638554B1/ko
Publication of KR202301453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301453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3855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38554B1/ko

Link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9Additional 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e.g. aligning or guiding means, levers, gas pressure electrical locking indicators, manufacturing toleranc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48Protective earth or shield arrangements on coupling devices, e.g. anti-static shielding  
    • H01R13/658High frequency shielding arrangements, e.g. against EMI [Electro-Magnetic Interference] or EMP [Electro-Magnetic Pulse]

Landscapes

  • Coupling Device And Connection With Printed Circuit (AREA)

Abstract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컨텍트 핀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절연 몸체를 일체로 커버(cover)하는 금속재질의 홀드다운(hold-down)부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리셉터클 커넥터 {receptacle connector}
본 출원은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리셉터클 커넥터의 구조를 개선한 리셉터클 커넥터에 관한 것이다.
기판용 커넥터는 PCB(printed circuit board)나 도선이 패터닝된 전자 요소(electronic component)들을 연결하기 위해 사용된다 특히, B2B 커넥터(board to board connector)는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를 포함하는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 각각은 서로 다른 기판에 연결되며,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결합됨으로써, 서로 다른 기판을 통한 신호의 전달이 가능해질 수 있다.
플러그 커넥터의 컨택트들과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택트들을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해 플러그 커넥터와 리셉터클 커넥터가 물리적으로 결합되는데, 이 결합 과정에서 압력에 의해 리셉터클 커넥터나 플러그 커넥터가 파손될 위험이 있다 따라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 간의 결합을 용이하게 하고, 그 강도를 향상시키기 위한 방안이 요구된다.
본 출원은, 타 커넥터와의 결합이 용이하고, 타 커넥터와의 결합에 따른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할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출원은, 홀드 다운부를 일체로 형성하여, 강도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리셉터클 커넥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지며, 상기 상부면의 중심에 형성되는 융기부를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에 각각 형성되며, 복수의 컨텍트 핀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되어, 상기 절연 몸체를 일체로 커버(cover)하는 금속재질의 홀드다운(hold-down)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융기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컨텍트부는, 상기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1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만곡부를 포함하는 제1 컨텍트부; 및 상기 폭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상기 절연 몸체의 제2 내측면과, 상기 제2 내측면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내측면과 상기 제2 지지부 사이에 형성되는 제2 컨텍트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1 지지부와 제2 지지부는 상기 융기부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1 컨텍트부는, 상기 제1 내측면, 제1 만곡부 및 제1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1 컨텍트 핀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컨텍트부는, 상기 제2 내측면, 제2 만곡부 및 제2 컨텍트 융기부의 표면에 대응하여 휘어진 형상의 제2 컨텍트 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컨텍트부에 대응하는 위치에 통공을 포함하여, 상기 컨텍트부를 상기 홀드다운부의 외부로 노출시킬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상기 상부면의 내측면과 상기 융기부 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바닥면을 포함하고, 상기 바닥면은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융기부의 외형에 따라 벤딩되어 상기 융기부를 커버하는 융기커버부를 포함하며, 상기 융기커버부는 상기 제1 지지부 및 제2 지지부보다 상기 길이방향으로 더 돌출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통공 내로 돌출되는 형상의 접촉부를 더 포함하며, 상기 접촉부는 플러그 커넥터(plug connector)의 삽입시 상기 플러그 커넥터에 의해 압착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리셉터클 커넥터가 설치되는 기판의 솔더링(soldering) 영역에 대응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하부면에 솔더링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플러그 커넥터에 형성된 홈 또는 돌기와의 결합을 위하여, 상기 홀드다운부의 내측면에 대응하는 홈 또는 돌기를 포함할 수 있다.
덧붙여 상기한 과제의 해결수단은, 본 발명의 특징을 모두 열거한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의 다양한 특징과 그에 따른 장점과 효과는 아래의 구체적인 실시형태를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타 커넥터와의 결합시 가이딩을 제공할 수 있으므로, 타 커넥터와 용이하게 결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높은 강도를 달성할 수 있으므로, 타 커넥터와 결합시 파손 가능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단절부를 포함하지 않는 일체형의 홀드다운부를 이용하므로, 제품의 강도 및 성형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는, 컨텍트부를 전자기적으로 차폐하는 융기커버부를 포함하므로,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전송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컨텍트부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융기커버부를 나타내는 확대도이다.
도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의 솔더링부를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본 발명을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하게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또는 구성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유사한 기능 및 작용을 하는 부분에 대해서는 도면 전체에 걸쳐 동일한 부호를 사용한다.
덧붙여,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는 것은,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도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와 플러그 커넥터의 결합을 나타내는 개략도이다.
도1(a)를 참조하면, 플러그 커넥터(200)를 화살표 방향으로 이동시켜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결합시킬 수 있다. 이 경우, 도1(b)에 도시한 바와 같이, 플러그 커넥터(20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컨텍트부(120)에 형성된 만곡부에 삽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에 배치된 복수의 컨텍트 핀(c1, c2) 들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즉,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접점을 형성할 수 있으며,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연결된 접점을 통하여 데이터 신호 또는 전력 등을 송수신할 수 있다. 여기서,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는 기판과 기판을 서로 연결하는 B2B(board to board) 커넥터일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RF(Radio Frequency) 신호와 디지털 신호를 동시에 지원하는 것일 수 있다.
도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고, 도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2 및 도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100)는 절연 몸체(110), 컨텍트부(120) 및 홀드다운부(hold-down, 130)를 포함할 수 있다.
이하, 도2 및 도3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리셉터클 커넥터를 설명한다.
절연 몸체(110)는 상부면이 오목한 보울(bowl)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상부면의 중심에는 융기부(u)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기부(u)는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bar)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상부면은 폭방향에 위치하는 제1 내측면(f1) 및 제2 내측면(f2)과, 길이방향에 위치하는 제3 내측면(f3) 및 제4 내측면(f4)을 포함할 수 있다.
도2 및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몸체(110)에는 컨텍트 핀(c1, c2)이 배치되는 컨텍트부(1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에는 홀드다운부(130)가 조립되어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절연 몸체(110)는 전기가 통하지 않는 플라스틱 등의 절연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컨텍트부(120)는 절연 몸체(110)의 폭방향에 위치하는 상부면의 내측면(f1, f2)과, 융기부(u) 사이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도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에는 복수의 컨텍트 핀(c1, c2)이 일정한 피치(pitch)로 배열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컨텍트 핀(c1, c2)들은 절연 몸체(110) 내에 인서트 몰딩(insert molding)하는 방식으로 컨텍트부(120) 내에 배열될 수 있다.
컨텍트 핀(c1, c2)들은 도전 소재로 이루어질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의 컨텍트 핀 또는 기판과의 전기적 접촉을 위해 마련될 수 있다. 컨텍트 핀(c1, c2)의 일부 영역은 기판과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으며, 컨텍트 핀(c1, c2)의 다른 영역은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접촉을 위해 절연 몸체(110)로부터 노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1 및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는 융기부(u)를 기준으로 제1 컨텍트부(121)와 제2 컨텍트부(122)로 구분할 수 있다.
제1 컨텍트부(121)는 폭방향의 일측에 위치하는 절연 몸체(110)의 제1 내측면(f1)과, 제1 내측면(f1)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1 지지부(s1)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컨텍트부(121)는, 제1 내측면(f1)과 제1 지지부(s1) 사이에 형성되는 제1 만곡부(b1)를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 핀(c1)은 제1 내측면(f1), 제1 만곡부(b1) 및 제1 지지부(s1)의 표면을 따라 노출되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2 컨텍트부(122)는 폭방향의 타측에 위치하는 절연 몸체(110)의 제2 내측면(f2)과, 제2 내측면(f2)으로부터 이격하여 형성되는 제2 지지부(s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제2 내측면(f2)과 제2 지지부(s2) 사이에 제2 만곡부(b2)가 포함되며, 컨텍트 핀(c2)은 제2 내측면(f2), 제2 만곡부(b2) 및 제2 지지부(s2)의 표면을 따라 노출되도록 휘어지는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제1 지지부(s1)와 제2 지지부(s2)는, 융기부(u)의 양측면에 각각 위치하며, 절연 몸체(110)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바(bar)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지지부(s1)와 제2 지지부(s2)는, 융기부(u) 보다 짧거나 같은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홀드다운부(130)는 절연 몸체(110)의 형상에 따라 벤딩(bending)하여 형성할 수 있으며,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절연 몸체(110)를 일체로 커버(cover)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130)는 단절된 영역없이 일체로서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 전체를 커버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홀드다운부(130)는 금속재질로 구현될 수 있으며,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200)를 가이딩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즉, 홀드다운부(130)는 벤딩을 통하여 형성되므로,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 또는 외측면의 모서리들은 완만한 경사를 이룰 수 있다. 따라서,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플러그 커넥터(200)는 홀드다운부(130)의 표면에서 자연스럽게 가이딩될 수 있다.
또한, 절연 몸체(110)의 경우, 플라스틱 등 상대적으로 강도가 약한 재질로 형성되므로, 플러그 커넥터(200)의 결합시 가해지는 충격 등에 의하여 파손될 위험이 존재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금속 재질의 홀드다운부(130)를 절연 몸체(110)의 상부면을 커버하도록 조립할 수 있다. 즉, 금속재질의 강도가 높은 홀드다운부(130)를 이용하여 절연 몸체(110)를 보호함으로써, 절연 몸체(110)의 파손을 방지하고, 리셉터클 커넥터(100)의 강도를 보강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3을 참조하면 홀드다운부(130)는 바닥면(131)을 포함할 수 있다. 바닥면(131)은 절연 몸체(110)의 길이 방향에 위치하는 내측면(f3, f4)과 융기부(u) 사이의 영역을 커버하는 구성에 해당한다. 여기서, 바닥면(31)은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과 연결되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사용자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바닥면(131)에 해당하는 위치부터 접촉하여 결합시킬 수 있으며,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에 의하여 충격이 가해질 수 있다. 또한, 절연 몸체(110)의 내측면(f3, f4)과 융기부(u) 사이의 영역은 상대적으로 두께가 얇기 때문에, 강도가 약할 수 있다. 따라서, 홀드다운부(130)는 바닥면(131)을 더 포함하여 해당 영역의 강도를 보강시킬 수 있다.
한편, 도3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홀드다운부(130)는 통공(h)을 포함할 수 있으며, 통공(h)은 컨텍트부(120)에 대응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컨텍트부(120)는 통공(h)을 통하여 홀드다운부(130)의 외부로 노출될 수 있다. 통공(h)에 의하여 외부로 노출되므로, 플러그 커넥터(200)가 삽입되는 경우, 컨텍트부(120)는 플러그 커넥터(200)와 결합하여 접점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도4에 도시한 바와 같이, 통공(h)을 통하여 컨텍트부(120)를 외부로 노출할 때, 홀드다운부(130)는 절연 몸체(110)의 외측면을 "ㄱ"자 형상으로 커버하여, 컨텍트부(120) 주위의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도3 및 도4를 참조하면, 홀드다운부(130)는 융기부(u)의 외형에 따라 벤딩되어 융기부(u)를 커버하는 융기커버부(132)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융기커버부(132)는 금속 재질의 전도성 물질이므로, 융기커버부(132)의 양측에 위치하는 각각의 제1 컨텍트부(121)와 제2 컨텍트부(122)를 전기적으로 차폐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홀드다운부(130)는 접지와 연결되어 있을 수 있다.
여기서, 융기커버부(132)는 단면이 돔(dome) 형상으로 구현되므로, 외부의 충격에 대한 파손 강도를 향상시킬 수 있으며, 융기커버부(132)는 내부에 융기부(u)를 포함하므로, 외부의 압력 등에 대해 상대적으로 높은 좌굴강도를 가질 수 있다.
추가적으로, 도5를 참조하면, 융기커버부(132)가 제1 지지부(s1) 및 제2 지지부(s2)보다 길이방향으로 설정길이(d)만큼 더 돌출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융기커버부(132)는 금속재질로 구현되므로, 플라스틱 등으로 구현되는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에 비하여 상대적으로 강성이 높다. 플러그 커넥터(200)의 체결시,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촉하게 되면,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는 파손될 위험성이 높다. 따라서, 이를 방지하기 위하여, 융기커버부(132)가 제1 지지부(s1)나 제2 지지부(s2) 보다 먼저 플러그 커넥터(200)와 접촉할 수 있도록, 융기커버부(132)를 설정길이(d)만큼 더 돌출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설정길이(d)는 다양하게 설정할 수 있으며, 실시예에 따라서는 융기커버부(132)의 두께로 설정할 수 있다.
한편, 홀드다운부(130)는 접촉부(13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도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접촉부(133)는 통공(h) 내로 길게 돌출되는 형상을 가질 수 있으며, 돌출된 형상에 의해 탄성을 가질 수 있다. 접촉부(133)는 플러그 커넥터(200)의 삽입시 플러그 커넥터에 의하여 압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접촉 신뢰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여기서, 홀드다운부(130)는 접지와 연결될 수 있으므로, 접촉부(133)는 플러그 커넥터(200)에 접지를 제공할 수 있다. 접촉부(133)의 형상이나 개수는 실시예에 따라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홀드다운부(130)는 리셉터클 커넥터(100)를 기판에 솔더링(soldering)하기 위한 솔더링부(13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솔더링부(134)는 홀드다운부(130)의 하부면에 형성될 수 있으며, 도6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의 솔더링 영역(p)에 대응하여 형성될 수 있다. 즉, 솔더링부(134)는 홀드다운부(130)의 하부면의 둘레를 따라 형성될 수 있으며, 컨텍트부(120)의 컨텍트 핀(c1, c2)이 돌출되는 영역에는 솔더링부(134)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솔더링부(134)에 의하여, 홀드다운부(130)가 기판의 솔더링 영역(p)과 접촉하는 면적이 확대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기판 사이의 접촉력을 증대시킬 수 있다.
이외에도, 홀드다운부(130)의 내측면에는, 플러그 커넥터(200)와의 결합을 위한 홈 또는 돌기(e1)들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플러그 커넥터(200)에는 홀드다운부(130)에 생성된 홈 또는 돌기(e1)에 대응하는 돌기 또는 홈이 형성되어 있을 수 있으며, 홈과 돌기 사이의 결합을 통하여 리셉터클 커넥터(100)와 플러그 커넥터(200) 사이의 안정적인 결합을 유지시킬 수 있다.
실시예에 따라서는, 홀드다운부(130)의 외측면에도 홈(e2)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홀드다운부(130)의 외측면에 형성되는 홈(e2)은 절연 몸체(110)와의 안정적인 결합을 위해 형성되는 것으로서, 홀드다운부(130)가 절연 몸체(110)로부터 벗겨지는 것을 방지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요소를 치환, 변형 및 변경할 수 있다는 것이 명백할 것이다.
100: 리셉터클 커넥터 110: 절연 몸체
120: 컨텍트부 121: 제1 컨텍트부
122: 제2 컨텍트부 130: 홀드다운부
131: 바닥면 132: 융기커버부
133: 접촉부 134: 솔더링부

Claims (19)

  1.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측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내부 모서리면과 연속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의 상측을 덮는 커버 상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커버 내측면의 하측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내부 모서리면과 연속되는 커버 바닥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4.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를 내측에서 덮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내부 모서리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를 외측에서 덮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모서리면 및 상기 외부 모서리면은 같은 방향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면을 외측에서 덮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 모서리면과 연속되는 커버 외측면; 및
    상기 커버 외측면의 상측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외부 모서리면과 연속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의 상측을 덮는 커버 상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7.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내부 모서리면과 연속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하측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내부 모서리면과 연속되는 커버 바닥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8.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외측면; 및
    상기 커버 외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외측면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상기 외부 모서리면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커버 외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측과 연속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어 그 단부가 상기 내부 모서리면과 연속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의 상측을 덮는 커버 상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1.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2 방향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외측면; 및
    상기 커버 외측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커버 외측면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며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상기 외부 모서리면을 향해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3.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 외측면은,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1 커버 외측면;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2 방향의 외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1 방향으로 연장되는 제2 커버 외측면; 및
    상기 제1 커버 외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 및 상기 제2 커버 외측면의 상기 제1 방향의 단부와 각각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상기 제1 커버 외측면의 내측에 위치되고,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커버 내측면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5.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상측 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상면; 및
    상기 커버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측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6.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커버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측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7. 제1 방향의 길이 및 제2 방향의 폭을 가지며,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고, 상기 공간을 둘러싸는 복수 개의 내측면을 포함하는 절연 몸체;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고, 외부와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컨텍트부; 및
    상기 절연 몸체와 결합되는 홀드다운부를 포함하며,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상측 면을 둘러싸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커버 상면; 및
    상기 커버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외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측 외부 모서리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커버 상면의 상기 제1 방향을 따라 내측에 위치되는 부분의 상기 제2 방향의 단부와 연속되고, 외측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상측 내부 모서리면을 포함하고,
    상기 상측 외부 모서리면 및 상기 상측 내부 모서리면은 같은 방향으로 볼록하도록 라운드지게 연장되는,
    리셉터클 커넥터.
  19.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홀드다운부는,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내측면을 둘러싸고, 그 상측이 상기 커버 상면과 연속되는 커버 내측면; 및
    상기 절연 몸체의 상기 제1 방향의 외측면을 외측에서 덮고, 그 상측이 상기 커버 상면과 연속되는 커버 외측면을 포함하는,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30135829A 2018-07-17 2023-10-12 리셉터클 커넥터 KR10263855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ko) 2018-07-17 2023-10-12 리셉터클 커넥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ko) 2018-07-17 2018-07-17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ko) 2018-07-17 2023-10-12 리셉터클 커넥터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02A Division KR102590445B1 (ko) 2018-07-17 2018-07-17 리셉터클 커넥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145310A KR20230145310A (ko) 2023-10-17
KR102638554B1 true KR102638554B1 (ko) 2024-02-19

Family

ID=69322464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ko) 2018-07-17 2018-07-17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30013536A KR102631033B1 (ko) 2018-07-17 2023-02-01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30135829A KR102638554B1 (ko) 2018-07-17 2023-10-12 리셉터클 커넥터

Family Applications Before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83002A KR102590445B1 (ko) 2018-07-17 2018-07-17 리셉터클 커넥터
KR1020230013536A KR102631033B1 (ko) 2018-07-17 2023-02-01 리셉터클 커넥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59044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7430818B2 (ja) * 2020-03-19 2024-02-13 エル エス エムトロン リミテッド 基板コネクタ
CN113675650A (zh) 2020-05-13 2021-11-19 日本航空电子工业株式会社 连接器
KR102623602B1 (ko) * 2020-05-13 2024-01-10 니혼 고꾸 덴시 고교 가부시끼가이샤 커넥터
WO2022108036A1 (ko) * 2020-11-20 2022-05-27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커넥터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92B1 (ko)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207557A (ja)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6009619A (ja) 2014-06-25 2016-0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7103119A (ja) 2015-12-02 2017-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Family Cites Familie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901944B2 (ja) * 2009-12-03 2012-03-21 ヒロセ電機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KR101078971B1 (ko) * 2011-05-18 2011-11-01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체결 가이드를 구비한 커넥터 장치
KR102019739B1 (ko) * 2014-12-23 2019-09-09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홀드다운의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CN106299878B (zh) 2015-05-14 2019-04-09 昆山嘉华电子有限公司 电连接器
JP6281539B2 (ja) * 2015-07-29 2018-02-21 第一精工株式会社 基板接続用電気コネクタ装置
JP6498622B2 (ja) * 2016-03-14 2019-04-10 日本航空電子工業株式会社 コネクタ
JP6673312B2 (ja) * 2017-09-27 2020-03-25 株式会社村田製作所 コネクタの製造方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88892B1 (ko) 2013-08-08 2015-02-02 엘에스엠트론 주식회사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JP2015207557A (ja) 2014-04-17 2015-11-19 タイコ エレクトロニクス (シャンハイ) カンパニー リミテッド 端子、電気コネクタ、および電気コネクタアセンブリ
JP2016009619A (ja) 2014-06-25 2016-01-18 モレックス エルエルシー コネクタ
JP2017103119A (ja) 2015-12-02 2017-06-08 第一精工株式会社 電気コネクタ
JP2017147171A (ja) 2016-02-19 2017-08-24 タイコエレクトロニクスジャパン合同会社 コネクタ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30019919A (ko) 2023-02-09
KR102631033B1 (ko) 2024-01-30
KR20230145310A (ko) 2023-10-17
KR102590445B1 (ko) 2023-10-16
KR20200008840A (ko) 2020-01-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638554B1 (ko) 리셉터클 커넥터
US11011874B2 (en) Connector and connector assembly
US9065228B2 (en) Connector
US9647393B2 (en) Electrical receptacle connector
US6234827B1 (en) Electrical connector shield with dual function of mechanical locking and electrical shielding continuety
US6988912B2 (en) Coaxial connector for a printed circuit card
KR102063296B1 (ko) 접속 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US20070066142A1 (en) Connector
US10381776B2 (en) Connector assembly with an improved latch member having a shorter length
KR101927931B1 (ko) 방수형 마이크로 유에스비 커넥터
JP2021009836A (ja) マルチチャネルコネクタ及びその組立体
US10020625B2 (en) Electrical connector
CN113054472B (zh) 基板配合连接器
KR101344933B1 (ko) 커넥터 조립체
CN108418022B (zh) 板对板型射频插座
US6623301B2 (en) Plug connector for electronic devices
US7052286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cover
US20070275605A1 (en) Electrical Connector for Connecting a Cable to a Circuit Board
US20120094534A1 (en) Connector, cable assembly, and semiconductor testing device
US10320124B1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internal terminals having opposite sides located from connector internal sidewalls
KR101488891B1 (ko) 기판 대 기판 커넥터 어셈블리
KR101113500B1 (ko) 리셉터클과 플러그 간의 결합구조가 개선된 커넥터 장치
KR102294959B1 (ko) 리셉터클 커넥터 및 이를 위한 가이드 부재 장치
US7066743B2 (en) Electrical connector with spacer
CN220963815U (zh) 插孔连接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