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5266B1 -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 Google Patents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5266B1
KR102265266B1 KR1020190142155A KR20190142155A KR102265266B1 KR 102265266 B1 KR102265266 B1 KR 102265266B1 KR 1020190142155 A KR1020190142155 A KR 1020190142155A KR 20190142155 A KR20190142155 A KR 20190142155A KR 102265266 B1 KR102265266 B1 KR 10226526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ixed
bevel gear
shaft
gear shaft
vertica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4215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10054956A (ko
Inventor
신수재
Original Assignee
신수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신수재 filed Critical 신수재
Priority to KR102019014215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5266B1/ko
Publication of KR202100549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1005495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526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526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1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both horizontal and vertical working-spind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23MACHINE TOOLS; METAL-WORKING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23CMILLING
    • B23C1/00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 B23C1/02Milling machines not designed for particular work or special operations with one horizontal working-spind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Machine Tool Unit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10); 주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척(20); 상기 제 1 척(2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베벨기어축(30);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베벨기어(40); 상기 제 1 베벨기어(40)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50);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과 수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 2 베벨기어축(60);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밀링커터가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2 척(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Tool Rest for Vertical Milling Machine Possible Horizontal Process}
본 발명은 일반적인 수직밀링머신으로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되도록 하여 수평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수직밀링머신은 밀링커터가 수직으로 설치되어 주축대의 수직이동에 의해 홈, 평면 등의 수직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장치이다.
상기 수직밀링머신은 수직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동력전달축이 수평으로 구비된 경우에는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하지만, 수직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동력전달축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불가능하게 된다.
또한, 수직밀링머신으로 수직경사면을 가공하기 위해서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회전시키기 위한 회전테이블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회전시켜 경사면을 가공하게 된다. 회전테이블이 구비된 경우에는 바이스의 회전공간을 확보하여야 하므로 대형 수직밀링머신에 적용되며 장치가 대형화되는 문제점이 있다. 또, 회전테이블을 이용하여 공작물을 회전시켜 가공하는 경우에는 고정테이블에 비해 진동이 발생될 우려가 커서 정밀가공이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반면에,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공작물을 회전시켜 바이스에 고정한 다음 수직경사면을 가공하여야 하나, 공작물을 회전시켜 바이스에 고정할 때 공작물의 형상에 따라 고정작업이 쉽지 않은 경우가 많아 가공이 불가능한 경우도 발생된다.
따라서, 수직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동력전달축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밀링커터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개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수직축방향과 직각되는 방향으로의 동력전달축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밀링커터의 각도를 조절하도록 하여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도 적용가능하도록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는 브라켓 본체(10); 주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척(20); 상기 제 1 척(2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베벨기어축(30);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베벨기어(40); 상기 제 1 베벨기어(40)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50);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과 수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 2 베벨기어축(60);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밀링커터가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2 척(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기 주축대의 하부에 고정되는 원판(81)과,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판(81)이 수용되는 원판고정부(82)와, 상기 원판고정부(82)의 외부에서 상기 원판고정부(82)를 향하여 관통형성되되, 상기 원판(8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관통형성된 다수의 체결공(83)과, 각각의 상기 체결공(83)에 체결되어 상기 원판(81)의 외주연에 접하여 상기 원판(81)을 상기 원판고정부(82)에 고정되도록 하는 원판체결부(84)가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10)가 상기 주축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아울러,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중공축으로 되며, 내주연에 스플라인 치합부(6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는 외축(62)과, 중실축으로 되며, 상기 외축(6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주연에 상기 스플라인 치합부(62a)에 치합되는 스플라인(61a)이 형성되어 상기 외축(62)과 연동되어 회전되고, 전방단부에는 밀링커터가 고정되는 상기 제 2 척(70)이 고정되는 내축(61)과, 상기 내축(61)을 상기 외축(6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내축이송부(63)가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과,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구성에 의한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제 1 베벨기어(40)와 제 2 베벨기어(50)에 의해, 밀링커터가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종래의 수직가공형태를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가공하는 수평가공형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하게 되며, 수평 축방향으로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또, 원판(81)이 원판고정부(82)에 고정시킬 때 각도를 변화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 본체(10)를 주축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밀링커터의 설치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수직 경사면 등의 가공이 가능하게 되며, 공작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 유용하게 사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밀링커터가 고정되는 척이 고정되는 축을 수평이동가능함으로써 밀링커터의 수평이동이 가능함으로써 수평이동 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도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정면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배면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주요부위를 나타낸 확대사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브라켓 본체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에서 제 2 베벨기어축의 외축과 내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제 2 베벨기어축에서 내축의 수평이동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를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정면부위를 나타낸 사진이고, 도 2와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배면부위를 나타낸 사진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주요부위를 나타낸 확대사진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개략적인 구조를 나타낸 도면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브라켓 본체의 회전구조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에서 제 2 베벨기어축의 외축과 내축의 결합구조를 나타낸 측면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제 2 베벨기어축에서 내축의 수평이동구조를 나타낸 정면도이다.
일반적인 수직밀링머신은, 주축대(1)가 직립으로 구비되며, 상기 주축대(1)에는 회전축이 직립되게 구비된다. 이러한 수직밀링머신은 회전축에 밀링척이 고정되고 밀링척에 밀링공구를 고정하여 수직가공을 하게 된다.
본 발명은 일반적인 수직밀링머신으로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설치하여 수평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도 1 내지 도 5에서와 같이, 브라켓 본체(10); 제 1 척(20); 제 1 베벨기어축(30); 제 1 베벨기어(40); 제 2 베벨기어(50); 제 2 베벨기어축(60); 제 2 척(70);으로 이루어진다.
상기 브라켓 본체(10)는,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브라켓 본체(10)는, 수평플레이트(11)와 수직플레이트(12)가 서로 결합된 "ㄱ"자형태로 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기 수평플레이트(11)는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며, 상기 수직플레이트(12)는 수평플레이트(1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된다.
상기 수직플레이트(12)를 상기 수평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가능하도록 하는 것은 수직밀링머신의 고유의 기능인 수직가공으로의 전환을 신속하고 용이하도록 하기 위함이다.
상기 제 1 척(20)은, 주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된다. 상기 제 1 척(20)에는 제 1 베벨기어축(30)이 고정되게 된다.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은, 상기 제 1 척(2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된다.
상기 제 1 베벨기어(40)는,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제 2 베벨기어(50)는, 상기 제 1 베벨기어(40)와 치합되어 상기 제 1 베벨기어(4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과 수직되게 수평으로 설치된다.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므로 상기 제 1 베벨기어(40)의 회전에 의해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 제 2 척(70)은,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밀링커터가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과 연동되어 회전되게 된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된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제 1 베벨기어(40)와 제 2 베벨기어(50)에 의해, 밀링커터가 수직으로 설치하여 가공하는 종래의 수직가공형태를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가공하는 수평가공형태로 전환되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어 가공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는, 수평 축방향으로의 동력전달수단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 유용하게 적용할 수 있게 된다.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를 분리하여 수직밀링머신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브라켓 본체(10)를 상기 주축대(1)로부터 분리시키도록 하면 된다.
이때, 상기 브라켓 본체(10)가 수평플레이트(11)와 수직플레이트(12)가 서로 결합된 "ㄱ"자형태로 되므로, 상기 제 1 척(20)으로부터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을 분리시키고, 상기 수직플레이트(12)를 수평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시키면, 주축대에는 수평플레이트(11)만 남아 있는 상태로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즉, 수평플레이트(11)를 주축대로부터 분리시키지 않고 수직플레이트(12)만 수평플레이트(11)로부터 분리시키게 되면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므로 수직밀링머신의 고유의 기능인 수직가공으로의 전환이 신속하고 용이하게 된다.
아울러, 본 발명은 브라켓 본체(10)를 주축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밀링커터의 설치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수직 경사면 등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은, 도 6에서와 같이, 원판(81)과, 원판고정부(82)와, 다수의 체결공(83)과, 원판체결부(84)를 채택한다.
상기 원판(81)은, 상기 주축대의 하부에 고정된다.
상기 원판고정부(82)는,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며 상기 원판(81)이 수용된다.
상기 체결공(83)은, 상기 원판고정부(82)의 외부에서 상기 원판고정부(82)를 향하여 관통형성되되, 상기 원판(8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관통형성되며 다수개로 이루어진다.
상기 원판체결부(84)는, 각각의 상기 체결공(83)에 체결되어 상기 원판(81)의 외주연에 접하여 상기 원판(81)을 상기 원판고정부(82)에 수용된 상태로 고정되도록 한다.
상기 원판(81)이 상기 원판고정부(82)에 수용된 상태로 상기 체결공(83)에 상기 원판체결부(84)가 체결되어 상기 원판(81)이 고정되게 되면, 상기 원판(81)에 상기 원판고정부(82)가 고정되게 되며, 상기 원판고정부(82)는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브라켓 본체(10)는 상기 원판(81)에 고정되는 상태가 되게 된다. 상기 원판(81)은 상기 주축대의 하부에 고정되게 되므로 상기 브라켓 본체(10)는 결국 상기 주축대에 고정되는 상태가 되게 된다.
이때, 상기 원판(81)이 상기 원판고정부(82)가 고정시킬 때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각도를 조절하여 고정시키게 되면 제 2 베벨기어축(60)이 수평으로 설치된 상태에서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되고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의 회전각도가 조절되게 되면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에는 상기 제 2 척(70)이 구비되므로 상기 제 2 척(70)에 고정되는 밀링커터의 설치각도가 조절되게 된다. 이와 같이, 상기 원판(81)이 상기 원판고정부(82)에 고정시킬 때 각도를 변화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브라켓 본체(10)를 주축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게 되므로,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밀링커터의 설치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수직 경사면 등의 가공이 가능하게 되는 것이다. 이러한 경우에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바이스를 회전시키는 회전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수직밀링머신에서 유용하게 사용되게 된다.
본 발명의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를 분리하여 수직밀링머신이 본래의 기능을 수행하도록 하기 위해서는 상기 체결공(83)으로부터 상기 원판체결부(84)를 분리하게 되면 상기 원판고정부(82)로부터 상기 원판(81)의 분리가 가능하게 되며, 상기 원판고정부(82)로부터 상기 원판(81)의 분리가 되면 브라켓 본체(10)가 주축대로부터 분리되게 되므로 수직밀링머신에는 원판(81)만 남게 되고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따라서, 원판(81)과 원판고정부(82)가 구비되는 경우에는 상기 체결공(83)으로부터 상기 원판체결부(84)를 분리하게 되면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의 분리가 가능하게 된다.
공작물이 크게 되면 주축대가 수평방향으로의 이동이 가능하지 않는 고정형 수직밀링머신의 경우에는, 공작물을 고정하는 테이블의 이동에 의해 공작물을 이동시켜 제 2 척(70)에 고정된 밀링커터에 의해 가공되게 되는데, 테이블이 구비되지 않는 경우에는 밀링커터의 이동하여 공작물의 가공을 할 필요성이 있다.
본 발명은 밀링커터의 이동이 가능하도록 하여 공작물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기 위하여,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을 내축(61)과 외축(62)으로 구성되도록 하고, 내축(61)에 상기 제 2 척(70)이 구비되도록 하며, 내축(61)이 외축(62)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가능하도록 하여 밀링커터의 수평이동이 가능하도록 하는 구성을 채택한다.
이때,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외축(62)과, 내축(61)과, 외축(62)을 내축(61)에 고정시키기 위한 고정부가 구비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내축(61)이 외축(62)에 결합된 상태로 이동한 상태에서 밀링커터를 수평이동시킨 상태에서 외축(62)을 내축(61)에 고정부를 이용하여 고정시킨 상태에서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한다.
밀링커터를 수평으로 이동시키면서 공작물을 가공하도록 하기 위해, 내축(61)을 이동시킴으로써 제 2 척(70)을 이동시켜 제 2 척(70)에 고정된 밀링커터로 공작물을 가공되도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상기 고정부 대신에 내축이송부(63)가 구비되도록 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외축(62)과, 내축(61)과, 내축이송부(63)로 이루어진다.
상기 외축(62)은, 도 7에서와 같이, 중공축으로 되며, 내주연에 스플라인 치합부(6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된다.
상기 내축(61)은, 도 7에서와 같이, 중실축으로 되며, 상기 외축(6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주연에 상기 스플라인 치합부(62a)에 치합되는 스플라인(61a)이 형성되어 상기 외축(62)과 연동되어 회전되고, 전방단부에는 밀링커터가 고정되는 상기 제 2 척(70)이 고정된다.
상기 내축이송부(63)는, 상기 내축(61)의 후방단부에 구비되어 상기 내축(61)을 상기 외축(6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내축이송부(63)는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는 실린더(63a) 및 실린더(63a)에 의해 인입출되며 단부가 상기 내축(61)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피스톤(63b)으로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8 참조).
아울러, 본 발명은,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과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을 안정적으로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안정적으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고정블럭을 이용한다.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을 채택한다(도 3 및 도 4 참조).
상기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은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수직플레이트(12)에 고정축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을 회전가능하도록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2)을 채택한다.
상기 제 2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2)은 상기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과 마찬가지로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수직플레이트(12)에 고정축을 이용하여 고정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의 상기한 실시예에 한정하여 기술적 사상을 해석해서는 안된다. 적용범위가 다양함은 물론이고,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업자의 수준에서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당업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된다.
1: 주축대 10: 브라켓 본체
11: 수평플레이트 12: 수직플레이트
20: 제 1 척 30: 제 1 베벨기어축
40: 제 1 베벨기어 50: 제 2 베벨기어
60: 제 2 베벨기어축 61: 내축
61a: 스플라인 62: 외축
62a: 스플라인 치합부 63: 내축이송부
63a: 실린더 63b: 피스톤
70: 제 2 척 81: 원판
82: 원판고정부 83: 체결공
84: 원판체결부 91: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
92: 제 2 베벨기어축 고정블럭

Claims (4)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는 수평플레이트(11)와, 수평플레이트(11)에 분리가능하게 고정되는 수직플레이트(12)로 이루어지며, 상기 수평플레이트(11)와 수직플레이트(12)가 서로 결합된 "ㄱ"자형태로 되는 브라켓 본체(10);
    주축의 단부에 설치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따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1 척(20);
    상기 제 1 척(20)에 고정되어 상기 주축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제 1 베벨기어축(30);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의 하단부에 구비되며 상기 주축과 수직되는 방향으로 동력을 전달하는 제 1 베벨기어(40);
    상기 제 1 베벨기어(40)와 치합되는 제 2 베벨기어(50);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며, 일측에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고,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과 수직되게 수평으로 설치되는 제 2 베벨기어축(60);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의 타측단부에 구비되며 밀링커터가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과 연동되어 회전되는 제 2 척(70);을 포함하여 이루어지며,
    상기 주축대(1)의 하부에 고정되는 원판(81)과,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상부에 구비되며 상기 원판(81)이 수용되는 원판고정부(82)와,
    상기 원판고정부(82)의 외부에서 상기 원판고정부(82)를 향하여 관통형성되되, 상기 원판(81)을 중심으로 일정각도를 이루어 방사형으로 관통형성된 다수의 체결공(83)과,
    각각의 상기 체결공(83)에 체결되어 상기 원판(81)의 외주연에 접하여 상기 원판(81)을 상기 원판고정부(82)에 고정되도록 하는 원판체결부(84)가 구비되어,
    상기 브라켓 본체(10)가 상기 주축의 축방향으로 회전이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밀링커터의 설치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수직밀링머신의 주축대(1) 하부에 고정되도록 하되, 상기 원판(81)이 상기 원판고정부(82)가 고정시킬 때 각도를 변화시켜 고정되도록 함으로써, 밀링커터가 수평으로 설치되는 상태에서 밀링커터의 설치각도를 변경가능하도록 하여 수직 경사면의 가공이 가능하도록 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은,
    중공축으로 되며, 내주연에 스플라인 치합부(62a)가 형성되고, 외주연에는 상기 제 2 베벨기어(50)가 고정되는 외축(62)과,
    중실축으로 되며, 상기 외축(62)의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동가능하도록 외주연에 상기 스플라인 치합부(62a)에 치합되는 스플라인(61a)이 형성되어 상기 외축(62)과 연동되어 회전되고, 전방단부에는 밀링커터가 고정되는 상기 제 2 척(70)이 고정되는 내축(61)과,
    상기 내축(61)을 상기 외축(62) 내부에서 길이방향으로 이송되도록 하는 내축이송부(63)가 구비되고,
    상기 내축이송부(63)는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는 실린더(63a) 및 실린더(63a)에 의해 인입출되며 단부가 상기 내축(61)의 후방단부에 결합되는 피스톤(63b)으로 되며,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되,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수직플레이트(12)에 고정축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 1 베벨기어축(3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과,
    상기 브라켓 본체(10)에 고정되되, 상기 제 1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1)과 마찬가지로 상기 브라켓 본체(10)의 수직플레이트(12)에 고정축을 이용하여 고정되며, 상기 제 2 베벨기어축(60)이 회전가능하게 고정되는 제 2 베벨기어축 고정블럭(92)이 더 구비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KR1020190142155A 2019-11-06 2019-11-06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KR10226526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55A KR102265266B1 (ko) 2019-11-06 2019-11-06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42155A KR102265266B1 (ko) 2019-11-06 2019-11-06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56A KR20210054956A (ko) 2021-05-14
KR102265266B1 true KR102265266B1 (ko) 2021-06-16

Family

ID=759156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42155A KR102265266B1 (ko) 2019-11-06 2019-11-06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5266B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76117A (ja) * 1994-04-07 1995-10-24 Yasaka Tekko Kk 多軸ボール盤のスピンドル駆動装置
KR200449868Y1 (ko) * 2008-08-12 2010-08-16 최광배 탭핑머신의 측면탭핑장치
KR20120009127A (ko) * 2010-07-22 2012-02-01 주식회사 국제이엔지 공작기계의 수평 및 수직 겸용 스핀들헤드
KR20170003760A (ko) * 2015-06-30 2017-01-10 주식회사 진영엠에스씨 홀 가공장치용 기어박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10054956A (ko) 2021-05-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900655B1 (ko) 터릿 공구대 및 그 터릿 공구대를 구비한 공작 기계
US6904652B2 (en) Universal machine tool
EP1897640B1 (en) Machine tool
JP2007075995A (ja) 工作機械
TW201906676A (zh) 旋轉傳送轉位機
JPS5818161B2 (ja) タジクジドウバン トクニタジクカイテンジドウバン
EP4204183A1 (en) Machine tool
CN210877742U (zh) 一种曲柄连杆端头外圆周面自动铣削设备
CN113319612A (zh) 双主轴车削中心
KR101575198B1 (ko) 키홈 가공장치
KR102265266B1 (ko) 수평가공이 가능한 수직밀링머신용 공구대
JPS6232061B2 (ko)
KR20160015678A (ko) 머시닝 센터용 툴포트 선회장치
JPWO2016013307A1 (ja) 工作機械、工具ユニット、及び加工方法
US20080066591A1 (en) Machine tool
JP2020040202A (ja) タレット旋盤用工具ホルダ
TW202042952A (zh) 五軸車銑磨複合機
CN112829077B (zh) 一种可调角度的偏心安装锯片
EP2623237B1 (en) Nc lathe and attachment device therefor
CN114871458A (zh) 一种多功能数控车床
US11123804B2 (en) Tool holder for lathe and lathe provided with the tool holder
KR101152779B1 (ko) 스핀들이 2개인 멀티 스핀들 가공기
JP2003311501A (ja) 2主軸対向旋盤の対向ワークの同時加工方法
KR20090099272A (ko) Cnc선반용 공구대의 터렛처짐 방지장치
JP4621569B2 (ja) 旋盤における主軸交叉内周の加工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