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62817B1 -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 Google Patents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62817B1
KR102262817B1 KR1020200018762A KR20200018762A KR102262817B1 KR 102262817 B1 KR102262817 B1 KR 102262817B1 KR 1020200018762 A KR1020200018762 A KR 1020200018762A KR 20200018762 A KR20200018762 A KR 20200018762A KR 102262817 B1 KR102262817 B1 KR 102262817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ehicle
shock absorbing
shock
shock absorber
pl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1876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상혁
Original Assignee
합자회사 대광씨엠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합자회사 대광씨엠에스 filed Critical 합자회사 대광씨엠에스
Priority to KR102020001876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62817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6281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6281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24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 B60R19/26Arrangements for mounting bumpers on vehicles comprising yieldable mounting means
    • B60R19/36Combinations of yieldable mounting means of different typ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19/00Wheel guards; Radiator guards, e.g. grilles; Obstruction removers; Fittings damping bouncing force in collisions
    • B60R19/02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 B60R19/04Bumpers, i.e. impact receiving or absorbing members for protecting vehicles or fending off blows from other vehicles or objects formed from more than one section in a side-by-side arrangement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FSPRINGS; SHOCK-ABSORBERS; MEANS FOR DAMPING VIBRATION
    • F16F15/00Suppression of vibrations in systems; Means or arrangements for avoiding or reducing out-of-balance forces, e.g. due to motion
    • F16F15/02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 F16F15/04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 F16F15/06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 F16F15/073Suppression of vibrations of non-rotating, e.g. reciprocating systems; Suppression of vibrations of rotating systems by use of members not moving with the rotating systems using elastic means with metal springs using only leaf spring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Aviation & Aerospace Engineering (AREA)
  • Vibration Dampe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작업차량의 차체 후방에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후미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단계적으로 충분히 흡수해 주도록 하여 차량 추돌로 인하여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저감시켜 최소화 할 수 있고, 충격 흡수장치의 충격흡수부가 차체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체 후방에 힌지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추돌하는 차량이 작업차량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을 하더라도 고무매트와 쿠션매트 및 판스프링 세트로 구성된 충격흡수부가 추돌방향에 맞춰 회전하여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해서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Vehicle shock absorber for work vehicle mounting}
본 발명은 차량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작업차량의 차체 후방에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후미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흡수할 수 있도록 하여 충돌차량과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량을 저감시킬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들어 도로의 신규공사는 감소하고 있는 반면 도로 및 구조물의 유지 보수를 위한 수요가 증가하고 있어서 도로의 유지 보수 도중에 발생하는 차량 충돌 및 추돌 문제가 새로운 문제로 대두되고 있다. 도로의 유지 보수작업을 하는 작업차량은 도로의 일측에 정차하고 작업하는 경우가 빈번한데, 시야가 좁은 곳에서는 운전자가 작업구간을 미처 인지하지 못하여 추돌사고가 발생하게 되고, 특히 야간에는 시야가 제한적이어서 주행하는 차량이 도로변에 주차한 작업차량을 미처 발견하지 못하고 추돌 사고로 이어지는 경우가 많다.
일반적으로 작업차량은 트럭 등과 같은 대형 차량이므로 승용차보다 중량 및 크기가 클 뿐만 아니라 차높이가 높아서 승용차가 추돌을 했을 때 승용차가 작업차량의 하부로 침입하여 인명사고 뿐만 아니라 대형사고를 초래할 수 있으므로, 추돌한 승용차가 작업차량 밑으로 침입하여 들어와 깔리게 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작업차량의 차체 후방에는 충격 흡수장치의 설치를 권장하고 있으며 법제화도 추진되고 있다. 작업차량에 장착하는 충격 흡수장치는 도로 및 구조물의 유지보수를 위하여 차선을 통제하고 공사구간에 접근하는 차량의 추돌로 인한 피해를 저감시키기 위한 안전장치로, 통상의 충격 흡수시설과 마찬가지로 위험구간 또는 작업구간을 인지하지 못한 차량이 추돌할 경우 충격 흡수시설이 차량의 충격하중을 흡수하여 차량과 운전자에게 전달되는 충격을 최소화할 수 있게 해준다.
지금까지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와 관련하여 특허등록 제1666139호 "작업차량 장착용 충격 흡수장치", 특허등록 제902984호 "트럭장착용 충격 흡수시설", 특허등록 제1203108호 "에어 배관과 다수의 중공부를 구비한 트럭 부착형 충격 흡수장치" 등의 많은 기술이 출현하였으나, 이들은 대부분 충격하중이 가해지면 축관부가 확관되도록 함으로써 충격을 흡수할 수 있는 메커니즘을 구비하는데, 충격하중이 충격 흡수장치의 길이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가해지지 않고 비스듬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경우에는 길이방향으로 형성되는 충격흡수 강관이 배면 소켓으로 회전되지 않고, 절곡 변형되거나 이탈하여 충격하중을 제대로 흡수해 주지 못한다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특허등록 제2075007호 "차량 탈부착형 충격 흡수장치", 특허등록 제2074717호 "작업차량 부착형 충격 흡수장치" 등과 같은 차량에 탈부착하는 충격 흡수장치가 출현하였으나, 이들도 사고차량이 작업차량과 동일한 방향의 후방이 아니라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했을 때는 충격 흡수장치 자체가 정상적인 자세를 유지할 수 없게 되므로 충격을 제대로 흡수해 줄 수가 없다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작업차량의 차체 후방에 착탈식으로 장착하여 후미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단계적으로 충분히 흡수해 주도록 하여 차량 추돌로 인하여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저감시켜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충격 흡수장치의 충격흡수부가 차체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체 후방에 힌지식으로 결합함으로써 추돌하는 차량이 작업차량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을 하더라도 고무매트와 쿠션매트 및 판스프링 세트로 구성된 충격흡수부가 추돌방향에 따라 회전하여 충격량을 충분히 흡수해서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 할 수 있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는, 고무매트와 쿠션매트를 구비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 장착시 최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충격흡수부;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3개의 판스프링이 세트를 이루어 배치되어, 제1충격흡수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충격흡수부; 상기 제1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과, 제2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로드(rod) 형상의 충격흡수부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충격흡수부를 결합 고정시키고 있는 제1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제1고정프레임과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고, 제3연결플레이트에 의해 차량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된 제2고정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서 서로 대향(對向)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힌지연결판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힌지연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제1고정프레임과 결합된 제1 및 제2충격흡수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축;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바람직하게는, 충격 흡수장치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 세트를 이루도록 조립되어, 제2충격흡수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3충격흡수부를 더 구비하고, 제2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과, 제3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충격흡수부 체결부재가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를 제1고정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제2충격흡수는 조립되었을 때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의 제1 내지 제3판스프링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제3충격흡수부는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의 제4 및 제5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제1판스프링과 제5판스프링은 원호의 직경이 동일하다.
바람직하게는, 제1연결플레이트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양측면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상면의 양측 부분에서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는 판상(板狀)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보아 중간부분이 'V'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가 제1고정프레임의 상면과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2고정프레임의 상면과는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며, 볼트가 체결된 부분의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구멍은 제2연결플레이트의 단부(端部)로 절개되어, 절개된 쪽으로 볼트구멍이 개구(開口)되어 형성된다.
바람직하게는, 힌지연결판 및 힌지축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높이방향에서 상하로 2∼3개가 설치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는, 쿠션매트와 고무매트가 결합되어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최후방에 배치된 제1충격흡수부에서 1차로 충격을 흡수해 주고, 복수개의 판스프링을 겹쳐서 원호 형상으로 형성한 제2 및 제3충격흡수부에서 2차 및 3차로 충격을 흡수해 주게 되므로, 작업차량의 후미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다단계로 충분히 흡수해 주기 때문에 추돌로 인하여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현저하게 저감시켜 최소화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충격 흡수장치는, 충격흡수부가 차체에 대하여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차체 후방에 힌지식으로 결합된 구조이기 때문에 추돌하는 차량이 작업차량에 대하여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을 하더라도 충격흡수부가 추돌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충격량을 흡수해 주게 되므로,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을 분리하여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평면도이다.
도 4는 충격 흡수장치의 후방에서 바라본 구조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충격 흡수장치의 하부를 볼 수 있도록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 흡수장치의 기술적 특징은, 판스프링과 쿠션매트를 적절한 형상으로 배치하여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을 단계적으로 충분히 흡수해 줄 수 있게 했다는 점과, 판스프링과 쿠션매트로 제작된 충격흡수부를 차체와 힌지식으로 결합시킴으로써 충격 흡수장치의 충격흡수부가 추돌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되도록 했다는 점이다.
본 발명에 따른 차량 충격 흡수장치는 트럭과 같은 작업차량의 후방에 착탈식으로 장착되어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추돌차량 및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장치인데, 차량에 장착했을 때 최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충격흡수부(10)와, 제1충격흡수부(10)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충격흡수부(20)와, 제1 및 제2충격흡수부(10, 20)를 결합 고정시키고 있는 제1고정프레임(41)와, 제1고정프레임(41)과 연결되면서 차량과 연결되는 제2고정프레임(42)과, 제1고정프레임(41)과 제1 및 제2충격흡수부(10, 20)가 일정 범위 내에서 회전 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축(441)을 기본적인 구성으로 구비하게 된다.
제1충격흡수부(10)는 고무매트(11)와 쿠션매트(12)가 각각 고무매트 고정플레이트(111)와 쿠션매트 베이스플레이트(121)에 결합되어 원호 형상을 이루도록 일체로 형성되어 볼록한 면이 후방을 향하도록 설치되며, 제1충격흡수부(10)는 차량 장착시 최후방에 위치하게 되면서 차량이 추돌했을 때 고무와 매트의 쿠션에 의해 1차적으로 추돌차량에 가해지는 충격을 흡수해 주게 된다. 쿠션매트(12)는 PE폼과 같이 어느 정도 탄성이 있는 재질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충격흡수부(10) 내에서도 고무매트(11)와 쿠션매트(12) 및 이들을 결합하고 있는 고무매트 고정플레이트(111)와 쿠션매트 베이스플레이트(121)의 형상에 의한 탄성에 의해 각각 충격을 흡수해 주기 때문에 제1충격흡수부(10) 내에서도 4차에 걸쳐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게 된다.
제2충격흡수부(20)는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3개의 판스프링이 하나의 세트를 이루어 배치되어, 제1충격흡수부(10)의 전방('전방'이란 차량쪽을 말하며, 본 명세서에서는 동일하다)에 위치하게 된다. 제2충격흡수(20)는 조립되었을 때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으로 제작된 제1 내지 제3판스프링(21, 22, 23)이 배치되어 구성되는데, 제2판스프링(22)의 직경은 제1판스프링(21)의 직경보다 크고, 제2판스프링(22)을 받쳐서 지지해 주는 제3판스프링(23)의 직경이 가장 작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제1판스프링(21)과 제2판스프링(22)의 양단(兩端)은 각각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 내주면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3판스프링(23)의 양단은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 내주면에 닿지 않고 제2판스프링(22)만을 받쳐서 지지해 주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제2충격흡수부(20)를 구성하는 제1판스프링(21)과 제2판스프링(22)이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 내주면과 서로 다른 지점에서 닿도록 배치되기 때문에 제2충격흡수부(20) 내에서도 2차에 걸쳐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게 된다.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 직경이 제2충격흡수부(20)의 원호 형상 직경보다 크게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과, 제2충격흡수부(20)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되는데, 이와 같이 제2충격흡수부(20)의 원호 형상이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 내측에 위치하도록 배치되었을 때, 차량이 추돌하여 제1충격흡수부(10)에서 1차로 받은 충격이 제2충격흡수부(20)에 전해지면서 제2충격흡수부(20)를 구성하는 제1 내지 제3판스프링(21, 22, 23)이 벌어지면서 2차로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게 된다.
제3충격흡수부(30)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개의 판스프링이 세트를 이루도록 조립되어, 제2충격흡수부(20)의 전방에 위치하게 배치된다. 제3충격흡수부(30)는 차량(50)에 결합했을 때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의 제4 및 제5판스프링(31, 32)으로 구성되는데, 제3충격흡수부(30)는 제2충격흡수부(20)를 지지해 주면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역할을 하기 때문에 제2충격흡수부(20)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의 개수보다 적은 개수의 판스프링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제2충격흡수부(20)가 3개의 판스프링으로 구성된 경우에는 제3충격흡수부(30)를 구성하는 판스프링은 개수는 2개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2충격흡수부(20)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과 제3충격흡수부(30)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제3충격흡수부(30)가 제2충격흡수부(20)를 지지해 주면서 충격을 흡수해 주는 역할을 하는데, 제1판스프링(21)과 제5판스프링(32) 및 제3판스프링(23)과 제4판스프링(31)은 각각 원호의 직경이 동일하거나 비슷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5판스프링(32)의 양단(兩端)은 제1고정프레임(41)에 접하도록 배치되고, 제4판스프링(31)의 양단은 제1고정프레임(41)에 닿지 않고 제5판스프링(32)만을 받쳐서 지지해 주도록 배치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고정프레임(41)은 제1충격흡수부(10)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과 제2충격흡수부(20)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로드(rod) 형상의 충격흡수부 체결부재(40)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충격흡수부(10, 20)를 결합 고정시키게 된다. 물론 제3충격흡수부(30)를 구비하는 경우에는 충격흡수부 체결부재(40)가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를 제1고정프레임(41)에 결합 고정되게 된다. 이와 같이 제1고정프레임(41)과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가 일체로 결합되어 차량이 추돌하면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해 주게 된다.
제1고정프레임(41)과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를 충격흡수부 체결부재(40)만으로 결합했을 때는 불안정하므로 제4연결플레이트(43)를 더 부착하여 결합 고정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4연결플레이트(43)는 제1고정프레임(41)과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를 일체로 결합시키기 위한 구성으로, 제1고정프레임(41)의 상면과 하면에서 제1충격흡수부(10)에 위치한 쿠션매트 베이스플레이트(121)의 상면과 하면 사이를 복수의 개소에 부착하여 결합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며, 제4연결플레이트(43)는 판상(板狀)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보아 중간부분이 'V'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형상으로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제2고정프레임(42)은 제1고정프레임(41)과 일정 거리만큼 차량(50) 쪽으로 이격 배치되는 구성인데, 제2고정프레임(42)은 제1고정프레임(41)과는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411, 412)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고, 차량(50)과는 제3연결플레이트(421)에 의해 연결되어 차량(50)에 고정된 상태로 설치된다.
제1연결플레이트(411)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41, 42)의 양측면(측면에 근접한 부분도 포함된다)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제2연결플레이트(412)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41, 42)의 상면의 양측 부분에서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는 구성인데,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411, 412)는 판상(板狀)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보아 중간부분이 'V'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형상이으로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1 내지 제4연결플레이트(411, 412, 421, 43)가 'V'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형상이기 때문에 추돌사고가 발생했을 때 플레이트가 쉽게 절곡되면서 충격을 흡수해 줄 수 있다.
제2연결플레이트(412)는 제1고정프레임(41)의 상면과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2고정프레임(42)의 상면과는 볼트를 체결하여 연결되는데, 볼트가 체결된 부분의 제2연결플레이트(412)에 형성된 볼트구멍(412a)은 제2연결플레이트(412)의 단부(端部)로 절개되어, 절개된 쪽으로 볼트구멍(412a)이 개구(開口)되어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도 2 참조). 이와 같이 볼트구멍(412a)이 단부로 개구(開口)되어 있기 때문에 차량이 제1충격흡수부(10)의 정면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을 했을 때, 볼트구멍(412a)에 체결된 볼트가 개구(開口)된 부분을 통해 빠져나가면서 일체로 결합된 제1고정프레임(41)과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가 힌지축(441)을 중심으로 추돌방향에 따라 일정 각도 범위 내에서 회전하면서 충격량을 흡수해 주게 되므로, 추돌차량과 운전자에게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시킬 수 있다.
힌지축(441)은 제1충격흡수부(10)의 정면이 아닌 비스듬한 방향에서 추돌을 했을 때 충격 흡수장치를 추돌방향에 따라 회전시켜 줌으로써 추돌차량에 가해지는 피해를 최소화 해주기 위한 구성이다. 제1 및 제2고정프레임(41, 42)에서 서로 대향(對向)하는 방향으로 힌지연결판(44)이 돌출 설치되어 일정 부분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힌지연결판(44)에 형성된 구멍에는 힌지축(441) 삽입 설치되어 제1고정프레임(41)과 결합 고정된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해준다.
힌지연결판(44) 및 힌지축(441)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41, 42)의 높이방향에서 상하로 2∼3개가 중첩되게 설치하여, 제1고정프레임(41)과 결합 고정된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10, 20, 30)가 안정적으로 회전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상의 설명은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한 것이고, 명세서에 게시된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한정하기 위한 것이 아니라 설명하기 위한 것이므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기술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할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해 해석되고, 그와 균등한 범위 내에 있는 기술적 사항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 : 제1충격흡수부 11 : 고무매트
111 : 고무매트 고정플레이트 12 : 쿠션매트
121 : 쿠션매트 베이스플레이트
20 : 제2충격흡수부 21 : 제1판스프링
22 : 제2판스프링 23 : 제3판스프링
30 : 제3충격흡수부 31 : 제4판스프링
32 : 제5판스프링
40 : 충격흡수부 체결부재 41 : 제1고정프레임
411 : 제1연결플레이트 412 : 제2연결플레이트
42 : 제2고정프레임 421 : 제3연결플레이트
43 : 제4연결플레이트 44 : 힌지연결판
441 : 힌지축
50 : 차량

Claims (5)

  1. 작업차량의 후방에 장착되어 추돌시 발생하는 충격량을 흡수하여 추돌차량에 가해지는 피해를 줄이기 위한 차량 충격 흡수장치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장치는,
    고무매트와 쿠션매트를 구비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되어, 차량 장착시 최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1충격흡수부;
    직경을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2∼3개의 판스프링이 세트를 이루어 배치되어, 제1충격흡수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2충격흡수부;
    상기 제1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과, 제2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오목한 형상의 내주면 부분이 서로 마주 보도록 배치하여, 로드(rod) 형상의 충격흡수부 체결부재를 체결하여 제1 및 제2충격흡수부를 결합 고정시키고 있는 제1고정프레임;
    상기 제1고정프레임과 일정 거리만큼 이격 배치되어 제1고정프레임과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에 의해 결합되어 구성되고, 제3연결플레이트에 의해 차량과 연결되어 고정 설치된 제2고정프레임;
    상기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에서 서로 대향(對向)하는 방향으로 돌출 설치된 힌지연결판이 서로 겹쳐지도록 배치되고, 힌지연결판에 형성된 구멍에 삽입 설치되어 제1고정프레임과 결합된 제1 및 제2충격흡수부가 일정 범위 내에서 좌우측으로 회전 가능하도록 해주는 힌지축;
    을 포함하여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충격 흡수장치는, 직경이 서로 다르게 하여 원호 형상으로 형성된 판스프링이 세트를 이루도록 조립되어, 제2충격흡수부의 전방에 위치하게 되는 제3충격흡수부를 더 구비하고,
    상기 제2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과, 제3충격흡수부의 원호 형상에서 볼록한 형상의 외주면 부분이 서로 맞닿도록 배치되어,
    상기 충격흡수부 체결부재가 제1 내지 제3충격흡수부를 제1고정프레임에 결합 고정시키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2충격흡수는 조립되었을 때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의 제1 내지 제3판스프링이 배치되어 구성되고, 제3충격흡수부는 후방으로부터 직경이 서로 다른 원호 형상의 제4 및 제5판스프링으로 구성되며,
    제1판스프링과 제5판스프링은 원호의 직경이 동일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연결플레이트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양측면 사이를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고,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는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상면의 양측 부분에서 각각 연결하여 고정시키며, 상기 제1 및 제2연결플레이트는 판상(板狀)의 부재가 길이방향으로 보아 중간부분이 'V'자 형상으로 일정 각도 절곡된 형상이며,
    상기 제2연결플레이트가 제1고정프레임의 상면과는 용접에 의해 고정되고, 제2고정프레임의 상면과는 볼트를 체결하여 고정되며, 볼트가 체결된 부분의 제2연결플레이트에 형성된 볼트구멍은 제2연결플레이트의 단부(端部)로 절개되어, 절개된 쪽으로 볼트구멍이 개구(開口)되어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연결판 및 힌지축은 제1 및 제2고정프레임의 높이방향에서 상하로 2∼3개가 설치되어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KR1020200018762A 2020-02-17 2020-02-17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KR10226281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62A KR102262817B1 (ko) 2020-02-17 2020-02-17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18762A KR102262817B1 (ko) 2020-02-17 2020-02-17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62817B1 true KR102262817B1 (ko) 2021-06-09

Family

ID=7641498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18762A KR102262817B1 (ko) 2020-02-17 2020-02-17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62817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847B1 (ko) * 2021-07-22 2022-12-12 한국도로공사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593Y1 (ko) * 1995-12-28 2000-01-15 류정열 충격 흡수용 겹판 스프링이 내장된 자동차 범퍼
JP2003054336A (ja) * 2001-08-22 2003-02-26 Koichi Nagai 衝撃吸収バンパー装置
KR200352846Y1 (ko) * 2004-01-28 2004-06-12 명철식 범퍼장치
JP2010047167A (ja) * 2008-08-22 2010-03-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バンパ構造
JP2015157495A (ja) * 2014-02-21 2015-09-0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161593Y1 (ko) * 1995-12-28 2000-01-15 류정열 충격 흡수용 겹판 스프링이 내장된 자동차 범퍼
JP2003054336A (ja) * 2001-08-22 2003-02-26 Koichi Nagai 衝撃吸収バンパー装置
KR200352846Y1 (ko) * 2004-01-28 2004-06-12 명철식 범퍼장치
JP2010047167A (ja) * 2008-08-22 2010-03-04 Toyota Motor Corp 車両用バンパ構造
JP2015157495A (ja) * 2014-02-21 2015-09-03 いすゞ自動車株式会社 車体前部構造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76847B1 (ko) * 2021-07-22 2022-12-12 한국도로공사 차량의 측면 보호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730001B1 (en) Energy absorbing device having notches and pre-bent sections
CA2389499C (en) Rail vehicle for passenger transportation, especially for local traffic
JPH0673714A (ja) 道路用緩衝装置
AU2014295833B2 (en) Crash Cushion
KR101458702B1 (ko) 자동차용 서브프레임
US6068329A (en) Rear-impact underride protector
KR102262817B1 (ko) 작업차량 장착용 차량 충격 흡수장치
JP2017521299A (ja) 車両衝突構造
KR102355897B1 (ko) 허니컴을 이용한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EP3246468B1 (en) Traffic barrier structure
KR20190073193A (ko) 충격흡수 고정수단이 구비된 차량 방호울타리
GB2329877A (en) Vehicle subframe attached to a structure by non-frangible and frangible mountings
AU2012202001B2 (en) An impact absorbing assembly, an impact member assembly and a vehicle
KR200385880Y1 (ko) 차량방호책용 충격흡수장치
KR200277445Y1 (ko) 도로용 충격흡수대
CN210797385U (zh) 一种防撞公路移动钢护栏
KR20140111766A (ko) 가드레일의 충격흡수장치
KR100535552B1 (ko) 자동차의 충격흡수 구조
KR102355898B1 (ko) 관 구조의 차량용 충격흡수장치
CN111971221B (zh) 电动四轮车
JP4379991B2 (ja) 車両用駆動伝達装置
KR200166593Y1 (ko) 안전 범퍼
KR101167270B1 (ko) 자동차용 범퍼 완충장치
KR19990024289U (ko) 대형화물차의 후방 안전판 장착구조
KR20150104900A (ko) 충돌성능을 만족하는 알루미늄 크래쉬박스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