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4314B1 -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 Google Patents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4314B1
KR102254314B1 KR1020140026587A KR20140026587A KR102254314B1 KR 102254314 B1 KR102254314 B1 KR 102254314B1 KR 1020140026587 A KR1020140026587 A KR 1020140026587A KR 20140026587 A KR20140026587 A KR 20140026587A KR 102254314 B1 KR102254314 B1 KR 10225431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viscous material
center line
virtual center
wall
pass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02658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50037465A (ko
Inventor
츠카사 사사키
료지 다케이
도시유키 나카츠카
가츠야 기모토
히데토 가사바
Original Assignee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filed Critical 소후 인코포레이티드
Publication of KR2015003746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50037465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431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431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1/00Dental machines for boring or cutting ; General features of dental machines or apparatus, e.g. hand-piece design
    • A61C1/08Machine parts specially adapted for dentistry
    • A61C1/12Angle hand-piec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2Applicators, e.g. syringes or gu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50Implements for filling root canals; Methods or instruments for medication of tooth nerve channe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5/00Filling or capping teeth
    • A61C5/6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pressing or mixing capping or filling materials, e.g. amalgam presses
    • A61C5/66Capsules for filling material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Dentistry (AREA)
  • Epidemi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ntal Tools And Instruments Or Auxiliary Dental Instrument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점성 재료의 점도가 높아져도,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성 재료 수용 용기를 제공한다.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1)에서는 제2 가상 중심선(L2)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한 모서리부(29)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연속한 모서리부(29)를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3)의 벽 부분(31)이 치과용 점성 재료가 배출구(9)로부터 압출될 때,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Description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VISCOUS MATERIAL CONTAINER WITH EXPANDABLE BEND}
본 발명은 점도가 높은 점성 재료를 수용하고, 적당량을 배출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에 관한 것이다.
치과 분야에 있어서 점도가 높은 치과용 충전 재료나 인공 치아용 재료, 치관 제작용 재료 등의 치과용 점성 재료를 취급하는 경우에는 치과용 점성 재료가 충전된 일회용 용기인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 등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를 전용 핸들형 압출 장치에 세트하고, 압출 장치의 핸들을 조작함으로써,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로부터 치과용 점성 재료를 적당량 배출한다.
특허문헌 1에는 종래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의 일례가 개시되어 있다. 이 점성 재료 수용 용기는 일단에 삽입구를 갖는 제1 통로를 둘러싸는 제1 내벽면을 구비한 제1 섹션과, 일단에 배출구를 갖는 제2 통로를 둘러싸는 제2 내벽면을 구비한 제2 섹션과,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통하는 제3 통로를 둘러싸는 제3 내벽면을 구비한 제3 섹션을 포함하는 하우징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내벽면과 상기 제3 내벽면의 경계부에는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일본 공개특허공보 2012-71110호
그러나, 특허문헌 1에 개시된 점성 재료 수용 용기의 구조에서는 점성 재료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경우가 있다. 도 8의 (A) 및 (B)는 실제로 연속한 요철이 발생되어 있는 상태를 나타내기 위한 사진이다. 도 8 (A)는 종래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나타난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의 측면 사진을 나타내고, 도 8 (B)는 도 8 (A)의 일부(좌측 상단)를 확대한 사진이다. 이러한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형성된 점성 재료를 소정의 지점에 충전하면, 줄무늬 또는 요철이 원인이 되어, 충전부에 기포가 혼입되는 문제가 발생한다. 특히, 치과 분야에 있어서는 이러한 기포가 혼입되면, 점성 재료의 외관의 색이 변하거나, 기포로부터 세균이 번식하는 등의 문제가 생긴다.
본 발명의 목적은 점성 재료의 점도가 높아져도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기 어려운 점성 재료 수용 용기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본 발명자가 연구한 결과, 본 발명자는 점성 재료의 점도가 높아질수록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는 원인이 제2 내벽면과 제3 내벽면의 경계부에 형성된 모서리부에 있는 것을 발견하였다. 본 발명은 이 발견에 기초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여기서, 본 발명이 개량의 대상으로 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는 일단에 삽입구를 갖고, 당해 삽입구로부터 제1 가상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상기 제1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1 통로를 둘러싸는 제1 내벽면을 구비한 제1 섹션과, 일단에 배출구를 갖고, 당해 배출구로부터 제1 가상 중심선과 교차하는 제2 가상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2 통로를 둘러싸는 제2 내벽면을 구비한 제2 섹션과, 제1 섹션과 제2 섹션 사이에 위치하며, 제1 통로와 제2 통로를 연통하는 제3 통로를 둘러싸는 제3 내벽면을 구비한 제3 섹션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제1 통로 내를 이동하여, 적어도 제1 통로 내에 수용된 점성 재료를 제2 및 제3 통로를 통해 배출구로부터 압출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있다. 그리고, 제2 내벽면과 제3 내벽면의 경계부에는 제1 가상 중심선과 제2 가상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상면 내에 제1 가상 중심선과 제2 가상 중심선의 교차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구조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에 있어서, 배출되는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형성되는 것은 점성 재료를 배출할 때, 모서리부에 대향하는 점성 재료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과, 모서리부와는 반대측에 위치하는 점성 재료 부분에 가해지는 압력에 큰 차이가 생기기 때문인 것으로 추측된다. 점성 재료 주위에 큰 압력차가 발생하면, 점성 재료가 모서리부에 강하게 접촉되거나, 모서리부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등의 거동이 반복되고 있는 것으로 추측된다. 여기서 본 발명에서는 하우징의 제2 내벽면과 제3 내벽면의 경계부에 형성된 연속한 모서리부의 존재에 의해 발생하는 큰 압력차의 영향을 저감시키기 위해서,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한 모서리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연속한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벽 부분을 갖는 벽을 구비하며, 이 벽 부분은 점성 재료가 배출구로부터 압출될 때,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형성하였다.
이러한 점성 재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벽 부분을 형성하면, 점성 재료를 압출할 때 발생하는 상기 압력차가 작아져, 상기 거동이 저감된다. 그리고, 점성이 높은 점성 재료가 연속한 모서리부에 가압되었을 때, 연속한 모서리부의 내각이 커지도록 모서리부가 변형됨으로써, 모서리부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바람직한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서는 제1 가상 중심선과 제2 가상 중심선의 교차각의 각도는 130도±15도의 범위 내로 할 수 있다. 이러한 교차각의 각도는 예를 들면 치과 분야에서는 환자의 구강 내에 있어서, 배출구를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130도±15도의 교차각의 경우, 팽창되는 벽 부분이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각도 범위는 설계상으로는 180도 이하이다.
또한, 교차각을 상기 각도 범위로 했을 경우에,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는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은 14.5㎜∼17.5㎜의 범위이다. 여기서 유동성의 값은 후술하는 소정의 유동성 측정 방법에 따라 측정된 값이다.
또한, 하우징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속한 모서리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벽 부분의 두께를 당해 벽 부분 근방의 벽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형성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벽 부분을 형성함으로써, 당해 벽 부분의 강도가 다른 부분보다 약해져, 벽 부분만이 팽창하게 된다.
또한, 하우징을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하는 경우에는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한 모서리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벽 부분에는 상기 가상면과 교차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의 두께를 얇게 하여, 벽 부분을 팽창되도록 할 수 있다. 이 오목부는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하며, 또한 둘레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활형상을 나타내는 형상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오목부를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의 두께를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하면, 점성이 높은 점성 재료가 압출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연속한 모서리부의 내각이 부드럽게 커지도록 벽 부분을 팽창시킬 수 있다. 벽 부분이 부드럽게 팽창되면 조기에 압력차가 작아지기 때문에, 배출되는 점성 재료의 표면에 요철이 형성되는 것을 확실히 방지할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가 폴리프로필렌인 경우에는, 오목부의 개구부의 폭방향의 치수를 1.0㎜ 이상 3.0㎜ 이하로 하고, 오목부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를 5.0㎜ 이상 8.0㎜ 이하로 하고, 오목부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벽 부분의 두께를 0.5㎜ 이상 0.9㎜ 이하로 하며,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한 모서리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는 하우징의 벽 부분의 최대 두께를 0.7㎜ 이하가 되도록 형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각 부의 치수를 정하면, 점도가 높은 점성 재료를 압출할 때, 당해 벽 부분만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킬 수 있어, 당해 벽 부분이 파손되어 점성 재료가 당해 벽 부분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하우징은 가시광선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고 있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렇게 함으로써, 광경화성 점성 재료를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점성 재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벽 부분을 형성했으므로, 점성 재료를 압출할 때 발생하는 압력차가 작아져, 점성이 높은 점성 재료가 연속한 모서리부에 가압되었을 때, 연속한 모서리부의 내각이 커지도록 모서리부가 변형됨으로써, 모서리부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의 일종인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의 정면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3은 피스톤을 밀어 넣은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다.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형태에 있어서의 피스톤의 측면도이다.
도 6은 피스톤의 정면도이다.
도 7은 제2 가상면을 따라 피스톤을 절단하여, 원고리형 접촉부의 일부와 그 주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8의 (A)는 종래의 점성 재료 수용 용기로부터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나타난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의 측면 사진이며, (B)는 (A)의 일부(좌측 상단)를 확대한 사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점성 재료 수용 용기의 일종인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에 적용했을 경우의 실시형태에 대해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형태인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1)의 정면도이고, 도 2는 도 1의 A-A선 단면도이고, 도 3은 피스톤을 밀어 넣은 상태의 A-A선 단면도이며, 도 4는 도 2의 B-B선 단면도이다.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1)는 도시하지 않은 치과용 점성 재료를 수용하는 하우징(3)과, 치과용 점성 재료를 압출하기 위한 피스톤(5)을 갖고 있다. 하우징(3)과 피스톤(5)은 동일한 수지 재료에 의해 각각 일체로 형성되어 있다. 수지 재료로는, 예를 들면, 폴리에틸렌, 폴리아세탈, 폴리프로필렌, 폴리아미드, 염화비닐 수지, 나일론, 페놀 수지, 폴리우레탄, 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멜라민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 불포화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부타디엔, 폴리스티렌, EVA(에틸렌-초산비닐 공중합) 수지, 스티렌 수지, 폴리메틸펜텐, 메타크릴스티렌, ABS(아크릴로니트릴, 부타디엔, 스티렌)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등이 사용된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폴리프로필렌이 사용되고 있다. 또한, 하우징(3)은 가시광선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는 재료를 사용하여 형성되어 있다. 이렇게 함으로써, 광경화성 치과용 점성 재료를 하우징(3)에 수용했을 경우여도 보존시에 치과용 점성 재료가 경화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하우징(3)은 피스톤(5)을 삽입하여, 도시하지 않은 전용 핸들형 압출 장치를 접속하는 삽입구(7)와, 치과용 점성 재료를 배출하는 배출구(9)를 구비하고 있다. 하우징(3)은 일단에 삽입구(7)를 갖는 제1 섹션(11)과, 일단에 배출구(9)를 갖는 제2 섹션(13)과, 제1 섹션(11)과 제2 섹션(13) 사이에 위치하는 제3 섹션(15)으로 구성되어 있다. 제1 섹션(11)은 삽입구(7)로부터 제1 가상 중심선(L1)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제1 가상 중심선(L1)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1 통로(17)를 둘러싸는 제1 내벽면(19)을 구비하고 있다. 제2 섹션(13)은 배출구(9)로부터 제1 가상 중심선(L1)과 교차하는 제2 가상 중심선(L2)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제2 가상 중심선(L2)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2 통로(21)를 둘러싸는 제2 내벽면(23)을 구비하고 있다. 제3 섹션(15)은 제1 통로(17)와 제2 통로(21)를 연통하는 제3 통로(25)를 둘러싸는 제3 내벽면(27)을 구비하고 있다.
제2 내벽면(23)과 제3 내벽면(27)의 경계부에는 제1 가상 중심선(L1)과 제2 가상 중심선(L2)을 포함하는 가상면(S) 내에 제1 가상 중심선(L1)과 제2 가상 중심선(L2)의 교차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모서리 부분(29a)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모서리부(29)가 소정의 각도 범위에 걸쳐 형성되어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교차각은 135도이다. 연속한 모서리부의 각도는 모서리 부분(29a)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에서 멀어짐에 따라 커진다. 연속한 모서리부가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소정의 각도 범위는 실제 제품으로부터 명확하게 특정하는 것은 곤란하지만, 설계상은 180도 이하가 된다.
특히, 제1 가상 중심선(L1)과 제2 가상 중심선(L2)의 교차각을 130도±15도의 범위 내의 각도로 하면, 환자의 구강 내에 있어서, 배출구(9)를 용이하게 소정의 위치에 배치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제2 가상 중심선(L2)을 중심으로 하여 연속한 모서리부(29)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연속한 모서리부(29)를 따라 연장되는 하우징(3)의 벽 부분(31)은 치과용 점성 재료가 배출구(9)로부터 압출될 때,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하기 설명하는 바와 같이, 벽 부분(31)의 두께를 벽 부분(31) 근방의 벽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31)만이 팽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점성 재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벽 부분을 연속한 모서리부(29)를 따라 형성하면, 점성 재료를 압출할 때 발생하는 상기 압력차가 작아져, 점성 재료가 연속한 모서리부(29)에 강하게 접촉되거나, 연속한 모서리부(29)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변위하는 등의 거동의 발생이 저감된다. 그리고, 점성이 높은 점성 재료가 연속한 모서리부(29)에 가압되었을 때, 연속한 모서리부(29)의 내각이 커지도록 연속한 모서리부(29)가 변형됨으로써, 연속한 모서리부(29)의 영향을 저감시킬 수 있다. 그 결과, 배출된 점성 재료의 표면에 연속한 줄무늬 또는 요철이 발생하는 것을 유효하게 억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는 벽 부분(31)의 두께가 벽 부분(31) 근방의 벽 두께보다 얇아지도록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31)만이 팽창되도록 형성되어 있다. 구체적으로는, 벽 부분(31)에 가상면(S)과 교차하는 부분(모서리 부분(29a)에 대응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하며, 또한 둘레 방향과 직교하는 폭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활형상을 나타내는 오목부(33)가 형성되어 있다. 이러한 오목부(33)를 형성함으로써, 벽 부분(31)의 두께를 다른 부분의 두께보다 얇게 할 수 있어, 치과용 점성 재료가 압출될 때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모서리부(29)의 내각이 부드럽게 커지도록 벽 부분(31)을 팽창시킬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 있어서, 본 발명의 효과가 유효하게 발휘되는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은 14.5㎜∼17.5㎜의 범위이다. 또한 치과용 점성 재료로서 사용되는 치과용 충전 재료는 15.2㎜∼16.8㎜의 범위의 유동성을 갖고 있다. 본원 명세서에 있어서의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이란, 다음과 같이 정의된다. 본원 명세서에서는 하기 방법으로 각 점성 재료마다 5회 측정하여, 그 평균값을 각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으로 하였다.
(1) 유리관 고정용 가대에 원통 유리관(내경 7.5㎜)을 삽입한 후, 스페이서 및 셀로판 시트(원반 형상)를 순서대로 원통 유리관 상부로부터 삽입하여, 측정용 기구를 조립한다.
(2) 원통 유리관(내경 7.5㎜) 상부의 페이스트 충전부(용적 309㎣)에 기포가 들어가지 않도록 시료를 충전하고, 플라스틱제 스패출러를 이용하여 충전한 시료의 상면을 원통 유리관에 맞추어 평탄하게 한다.
(3) 유리관을 꺼낸 후, 충전부와 반대측으로부터 유리봉을 삽입하여, 50×50×1㎜의 유리판 상에 시료를 조용히 압출한다.
(4) 이 유리판을 하중기로 옮겨, 동일한 사이즈의 유리판을 시료 위에 둠과 동시에 하중기의 추(385gf)를 가만히 놓고, 3분간 방치한다. 3분 경과 후, 추를 제거하고, 모눈종이를 사용하여 유리판 사이에 퍼진 시료의 평행 접선간의 치수 2점을 측정한다. 그 2점을 A㎜ 및 B㎜로 하여, 하기 식으로부터 유동성의 값을 산출한다.
유동성의 값=(A+B)/2 (㎜)
제1 섹션(11)에는 삽입구(7)로부터 피스톤(5)을 삽입할 때 제1 통로(17) 내의 공기를 배출하는 2개의 홈부(35 및 37)가 제1 통로(17)와 연통하도록 형성되어 있다. 2개의 홈부(35 및 37)는 삽입구(7)와 연통하여 제1 가상 중심선(L1)을 따라 연장되어 있다. 또한, 홈부(35 및 37)의 제1 가상 중심선(L1)을 따르는 길이 치수와, 후술하는 피스톤(5)의 비접촉부(39)의 길이 치수는 피스톤(5)의 원고리형 접촉부(43)가 홈부(35 및 37)를 넘는 위치까지 삽입된 시점에서 하우징(3) 내의 공기가 홈부(35 및 37)를 통해 외부에 배출되도록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홈부(35 및 37)를 형성하면, 삽입구(7)로부터 피스톤(5)을 삽입할 때 제1 통로(17) 내의 공기를 홈부(35 및 37)에 유도할 수 있어, 하우징(3) 내의 공기를 확실히 배출할 수 있다. 또한, 본 실시형태에서는 2개의 홈부를 형성하고 있지만, 하우징 내의 공기를 확실히 배출할 수 있으면 홈부는 1개여도 되며, 3개 이상이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피스톤(5)의 형상에 대해 설명한다. 도 5는 피스톤(5)의 측면도이고, 도 6은 피스톤(5)의 정면도이며, 도 7은 제2 가상면(S2)을 따라 피스톤(5)을 절단하여, 원고리형 접촉부(43)의 일부와 그 주위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피스톤(5)은 원고리형 접촉부(43)와,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를 구비하고 있다. 원고리형 접촉부(43)는 제1 통로(17)에 삽입된 상태로 제1 내벽면(19)과 접촉한다.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는 원고리형 접촉부(43)의 외경 치수보다 외경 치수가 작게 형성되어 있고, 제1 통로(17)에 삽입된 상태로 원고리형 접촉부(43)를 중심으로 하여 제1 가상 중심선(L1)이 연장되는 방향에 형성되어 있다. 피스톤(5)에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를 형성함으로써, 삽입시의 피스톤(5)의 가배치를 할 수 있다. 또한,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를 면대칭이 되는 형상으로 형성함으로써, 삽입구(7)로부터 피스톤(5)을 삽입할 때, 어느 쪽의 비접촉부측으로부터도 삽입할 수 있다. 또한, 피스톤(5)과 하우징(3)의 접촉 면적이 적기 때문에, 하우징(3)과 피스톤(5)은 동일한 수지 재료에 의해, 각각 일체로 형성해도 피스톤(5)의 미끄러짐성이 나빠지는 경우는 없다.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는 원고리형 접촉부(43)에 인접하는 고리형 비접촉면(45)을 갖고 있다. 고리형 비접촉면(45)은 그 직경 치수가 제1 내벽면(19)의 직경 치수의 90% 이상이 되어 있다. 이와 같이 고리형 비접촉면(45)을 형성함으로써, 제1 내벽면(19)에 대한 수용이 양호해져, 피스톤(5)의 가배치를 확실히 할 수 있게 된다.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의 단부(47)의 형상은 제3 통로(25)를 둘러싸는 제3 내벽면(27)과 면접촉하도록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의 단부(47)의 형상을 정함으로써, 보다 많은 양의 치과용 점성 재료를 낭비 없이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형태에서는 단부(47)는 원뿔대 형상으로 형성되어 있고, 도 3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피스톤(5)을 배출구(9)측에 완전히 밀어 넣은 상태에 있어서, 제3 내벽면(27)의 상측(모서리 부분(29a)과 마주 보는 측)의 면(27a)과 단부(47)의 원뿔면의 상측의 면(47a)이 면접촉하고 있다.
피스톤(5)의 제1 통로(17)에 삽입되는 측의 단면(49)으로부터 원고리형 접촉부(43) 사이의 거리는 홈부(35 및 37)의 제1 통로(17)측의 단부(51 및 53)와, 제1 섹션(11)의 삽입구(7)측의 단부(55) 사이의 거리와 동일하다. 이와 같이 구성함으로써, 피스톤(5)이 완전히 제1 통로(17) 내에 삽입된 시점에 있어서, 공기의 배출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제1 가상 중심선(L1)을 면 내에 포함하며, 또한 제1 가상면(S1)과 직교하는 제2 가상면(S2)을 따라 상기 피스톤(5)을 절단했을 때, 원고리형 접촉부(43)가 원호 형상의 정점에 위치하도록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의 형상이 정해져 있다. 이와 같이 한 쌍의 비접촉부(39 및 41)를 형성함으로써, 피스톤(5)과 하우징(3)의 접촉 면적을 줄일 수 있어, 적은 힘으로 치과용 점성 재료를 압출할 수 있다.
실시예
본 실시형태의 효과를 확인하기 위한 실시예를 작성하였다. 이 실시예에서는 5회 측정을 행하여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의 평균값이 16.0㎜인 치과용 점성 재료를 용기에 충전하였다. 그리고, 하우징(3) 및 피스톤(5)을 형성하는 수지 재료로서 폴리프로필렌을 사용하였다. 이 경우에는, 오목부(33)의 개구부의 폭방향의 치수를 1.0㎜ 이상 3.0㎜ 이하(실시예에서는 1.5㎜)로 하고, 오목부(33)의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를 5.0㎜ 이상 8.0㎜ 이하(실시예에서는 6.5㎜)로 하며, 오목부(33)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벽 부분(31)의 두께를 0.5㎜ 이상 0.9㎜ 이하(실시예에서는 0.65㎜)가 되도록 하우징(3)을 형성하였다. 이와 같이 각 부의 치수를 정하면, 점도가 높은 치과용 점성 재료를 압출할 때, 벽 부분(31)만을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시킬 수 있어, 벽 부분(31)이 파손되어 치과용 점성 재료가 벽 부분(31)으로부터 외부에 누출되는 것을 막을 수 있었다. 그리고, 배출구(9)로부터 배출되는 점성 재료의 표면에는 실질적으로 줄무늬나 요철은 발생하지 않는 것을 육안으로 확인할 수 있었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하우징(3)과 피스톤(5)을 동일한 재질로 형성했지만, 양자를 상이한 재질로 형성해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또한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배출구(9)를 노출시킨 상태로 하고 있지만, 배출구(9)를 막을 수 있는 캡을 제3 섹션(15)에 끼워도 되는 것은 물론이다. 이 경우, 캡의 탈락을 방지하기 위해서, 제3 섹션(15)의 외주부와 캡 사이에 계합 구조를 형성해도 된다.
상기 실시형태에서는 오목부(33)를 형성함으로써,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벽 부분(31)을 구성하고 있지만, 이 벽 부분(31)을 다른 부분보다 부드러운 재질로 형성함으로써, 점성 재료로부터 가해지는 압력에 의해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는 벽 부분(31)을 구성해도 된다. 이 경우에는, 벽 부분(31)을 구성하는 것을 인서트로 하여 인서트 성형에 의해 하우징(3)을 성형하면 된다.
1 치과용 점성 재료 수용 용기
3 하우징
5 피스톤
7 삽입구
9 배출구
11 제1 섹션
13 제2 섹션
15 제3 섹션
17 제1 통로
19 제1 내벽면
21 제2 통로
23 제2 내벽면
25 제3 통로
27 제3 내벽면
27a 면
29 연속한 모서리부
29a 모서리 부분
31 벽 부분
33 오목부
35, 37 홈부
39, 41 비접촉부
43 원고리형 접촉부
45 고리형 비접촉면
47 단부
47a 면
49 단면
51, 53 단부
55 단부
L1 제1 가상 중심선
L2 제2 가상 중심선
S 가상면
S1 제1 가상면
S2 제2 가상면

Claims (11)

  1. 일단에 삽입구를 갖고, 당해 삽입구로부터 제1 가상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상기 제1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1 통로를 둘러싸는 제1 내벽면을 구비한 제1 섹션과,
    일단에 배출구를 갖고, 당해 배출구로부터 상기 제1 가상 중심선과 교차하는 제2 가상 중심선을 따라 연장되며, 또한 횡단면 형상이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는 원형을 이루는 제2 통로를 둘러싸는 제2 내벽면을 구비한 제2 섹션과,
    상기 제1 섹션과 상기 제2 섹션 사이에 위치하며, 상기 제1 통로와 상기 제2 통로를 연통하는 제3 통로를 둘러싸는 제3 내벽면을 구비한 제3 섹션을 포함하는 하우징과,
    적어도 상기 제1 통로 내를 이동하며, 적어도 상기 제1 통로 내에 수용된 점성 재료를 상기 제2 및 제3 통로를 통해 상기 배출구로부터 압출하는 피스톤을 구비하고,
    상기 제2 내벽면과 상기 제3 내벽면의 경계부에는 상기 제1 가상 중심선과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을 포함하는 가상면 내에 상기 제1 가상 중심선과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의 교차각과 동일한 각도를 갖는 모서리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는 연속한 모서리부가 형성되어 있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로서,
    상기 하우징은 수지 재료에 의해 일체로 성형되어 있고,
    상기 하우징은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연속한 모서리부보다 직경 방향 외측에 위치하고 또한 상기 연속한 모서리부를 따라 연장되는 벽 부분을 갖는 벽을 구비하며, 상기 벽 부분은 상기 점성 재료가 상기 배출구로부터 압출될 때, 상기 직경 방향 외측으로 팽창되도록, 상기 벽 부분의 두께가 당해 벽 부분 근방의 벽 두께보다 얇고,
    상기 벽 부분에는 상기 가상면과 교차하는 부분을 중심으로 하여 상기 둘레 방향 양측으로 연장되고, 상기 직경 방향 외측을 향해 개구하며, 또한 상기 둘레 방향에서 본 단면 형상이 활형상을 나타내는 오목부가 형성되어 있으며,
    상기 제1 가상 중심선과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의 상기 교차각이 130도±15도의 범위 내의 각도이고,
    상기 점성 재료의 유동성의 값이 14.5㎜∼17.5㎜의 범위이며,
    상기 수지 재료는 폴리프로필렌이고,
    상기 오목부의 개구부의 폭방향의 치수가 1.0㎜ 이상 3.0㎜ 이하이며,
    상기 오목부의 상기 둘레 방향의 길이 치수가 5.0㎜ 이상 8.0㎜ 이하이고,
    상기 오목부의 바닥부에 대응하는 상기 벽 부분의 두께가 0.5㎜ 이상 0.9㎜ 이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속한 모서리부는 상기 제2 가상 중심선을 중심으로 하여 180도 이하의 각도 범위로 연장되어 있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5. 삭제
  6. 삭제
  7. 삭제
  8. 제 1 항 또는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하우징은 가시광선에 대해 불투과성을 갖고 있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40026587A 2013-09-30 2014-03-06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KR102254314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3205446A JP6274804B2 (ja) 2013-09-30 2013-09-30 屈曲部が拡張する粘性材料収容容器
JPJP-P-2013-205446 2013-09-30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50037465A KR20150037465A (ko) 2015-04-08
KR102254314B1 true KR102254314B1 (ko) 2021-05-20

Family

ID=503459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026587A KR102254314B1 (ko) 2013-09-30 2014-03-06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9345555B2 (ko)
EP (1) EP2853225B1 (ko)
JP (1) JP6274804B2 (ko)
KR (1) KR102254314B1 (ko)
CN (1) CN10451054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6635698B2 (ja) * 2015-07-14 2020-01-29 ぺんてる株式会社 抵抗構造によりプランジャの可動範囲を制限したアプリケータ
JP6560042B2 (ja) 2015-07-14 2019-08-14 株式会社松風 カートリッジに装着容易なピストン及びその挿入方法
JP2017018505A (ja) * 2015-07-14 2017-01-26 株式会社松風 容易にカートリッジを着脱できるアプリケータ
US20180000694A1 (en) * 2015-07-14 2018-01-04 Neomed, Inc. Enteral syringe having angled connector or body having a minimum dimension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811A (ja) 2000-04-19 2001-12-18 Centrix Inc 超高粘性歯科複合材料を配置するための歯科カプセル
JP2003079642A (ja) 2001-07-16 2003-03-18 Centrix Inc 多孔性流出アプリケーターのついた歯科材料容器
KR100985728B1 (ko) 2002-02-27 2010-10-06 센트릭스, 아이엔씨. 감소된 압출력으로 고점도 치과용 복합재료를 도포하기위한 치과용 캡슐
JP2012071110A (ja) * 2010-07-30 2012-04-12 Transcodent Gmbh & Co Kg 容器およびピストン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K235589D0 (da) * 1989-05-12 1989-05-12 Wolff & Kaaber Fremgangsmaade og indretning til blanding af en fast og en flydende komponent
US5445523A (en) * 1993-09-03 1995-08-29 Ultradent Products, Inc. Syringe apparatus and methods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s
DE4400073C3 (de) * 1994-01-04 2002-02-28 Burghardt Krebber Zahnersatz aus faserverstärkten Verbundwerkstoffen und seine Verwendung
JP3115196B2 (ja) 1994-09-22 2000-12-04 ネオ製薬工業株式会社 シリンジ
US5707234A (en) * 1995-05-24 1998-01-13 Dentsply G.M.B.H. Cartridge for dispensing dental material
US5848894A (en) * 1996-06-28 1998-12-15 Minnesota Mining And Manufacturing Company Delivery system for non-aqueous paste dental materials
US5938439A (en) 1996-12-13 1999-08-17 Ivoclar A.G. Syringe for dispensing viscous material and method
US6503084B2 (en) * 2000-02-24 2003-01-07 Dentsply Detrey G.M.B.H. Method for dispensing dental materials
US6261094B1 (en) * 2000-04-19 2001-07-17 Centrix, Inc. Dental capsule for placement of ultra-high viscosity dental composite material
US6595776B2 (en) 2001-07-10 2003-07-22 Stick Tech Oy Applicator system for dental posts and anchors and use of said applicator system
DE10218859B4 (de) * 2002-04-26 2006-05-24 Heraeus Kulzer Gmbh Kapsel aus Kunststoff zur Aufbewahrung und Abgabe von Dentalmaterial
US7320596B2 (en) * 2002-12-09 2008-01-22 Dentsply International Inc. Cartridge for viscuos dental material
DE102005011643A1 (de) * 2005-03-14 2006-11-16 Ivoclar Vivadent Ag Kartusche zum Lagern und Ausbringen einer Masse
US8556870B2 (en) * 2007-04-19 2013-10-15 3M Innovative Properties Company Dental package
JP5752115B2 (ja) 2010-04-22 2015-07-22 株式会社トクヤマデンタル 吐出器具及び吐出器具の充填材料の充填方法
CN103079493B (zh) * 2010-05-28 2016-08-03 可乐丽则武齿科株式会社 筒式分配器
RU2580921C2 (ru) * 2011-07-28 2016-04-10 Зм Инновейтив Пропертиз Компани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дозирования стоматологического материала и способ дозирования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46811A (ja) 2000-04-19 2001-12-18 Centrix Inc 超高粘性歯科複合材料を配置するための歯科カプセル
JP2003079642A (ja) 2001-07-16 2003-03-18 Centrix Inc 多孔性流出アプリケーターのついた歯科材料容器
KR100985728B1 (ko) 2002-02-27 2010-10-06 센트릭스, 아이엔씨. 감소된 압출력으로 고점도 치과용 복합재료를 도포하기위한 치과용 캡슐
JP2012071110A (ja) * 2010-07-30 2012-04-12 Transcodent Gmbh & Co Kg 容器およびピストン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150093715A1 (en) 2015-04-02
JP6274804B2 (ja) 2018-02-07
KR20150037465A (ko) 2015-04-08
EP2853225A1 (en) 2015-04-01
CN104510542A (zh) 2015-04-15
JP2015066339A (ja) 2015-04-13
CN104510542B (zh) 2017-11-10
EP2853225B1 (en) 2017-10-04
US9345555B2 (en) 2016-05-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4314B1 (ko) 굴곡부가 확장되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EP2050509B1 (en) Viscous material pouring dispenser
US9145253B2 (en) Dispensing device with pressure release
JP2015066339A5 (ko)
BR212016010799Y1 (pt) seringa
JP2009506798A5 (ko)
KR101405072B1 (ko) 수액백용 포트 부재, 및 수액백
US10143535B2 (en) Container for storing and dispensing a liquid
US20040065690A1 (en) Slotted plunger
US9827070B2 (en) Application tip and system for dispensing a dental material
KR20170037947A (ko) 도포 팁을 구비한 튜브
KR102237684B1 (ko) 고리형 접촉하는 피스톤을 갖는 점성 재료 수용 용기
JP2015066340A5 (ko)
US4899909A (en) Materials container with index markings
TW201600423A (zh) 黏著體之賦予方法及便器用器具
EP2266893B1 (en) Storage container
CN205087350U (zh) 具有轴向拼接机构的可拼接容器盖
JP6294440B1 (ja) プレフィルドシリンジ
WO2017214354A1 (en) Cap for dispensing a metered volume of liquid
KR102023143B1 (ko) 2개 이상의 유동성 성분을 위한 카트리지
JP5010118B2 (ja) 粘性流体容器用のプランジャ
US20120135375A1 (en) Dispensing device for a dental substance
JP2014104345A (ja) ジッパーテープ、ジッパー付き包装袋、及びその製造方法
JPH09240691A (ja) 詰替用液体収納容器
JPS638610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