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52006B1 -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52006B1
KR102252006B1 KR1020200164522A KR20200164522A KR102252006B1 KR 102252006 B1 KR102252006 B1 KR 102252006B1 KR 1020200164522 A KR1020200164522 A KR 1020200164522A KR 20200164522 A KR20200164522 A KR 20200164522A KR 102252006 B1 KR102252006 B1 KR 10225200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rt
rail part
logistics
area
control serv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6452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대식
손지우
권순우
유승우
Original Assignee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김도년
재단법인 여시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김도년, 재단법인 여시재 filed Critical 에스케이증권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6452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52006B1/ko
Priority to KR1020210057069A priority patent/KR102320265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5200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52006B1/ko
Priority to KR1020210121673A priority patent/KR20220076291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08Logistics, e.g. warehousing, loading or distribution; 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 G06Q10/087Inventory or stock management, e.g. order filling, procurement or balancing against ord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BRAILWAY SYSTEMS; EQUIPMENT THEREFOR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1B3/00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 B61B3/02Elevated railway systems with suspended vehicles with self-propelled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1RAILWAYS
    • B61CLOCOMOTIVES; MOTOR RAILCARS
    • B61C17/00Arrangement or disposition of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Use of control gear and control systems
    • B61C17/12Control gear; Arrangements for controlling locomotives from remote points in the train or when operating in multiple un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43/00Control devices, e.g. for safety, warning or fault-correcting
    • B65G43/08Control devices operated by article or material being fed, conveyed or discharg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10/00Administration; Management
    • G06Q10/10Office automation; Time mana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5CONVEYING; PACKING; STORING; HANDLING THIN OR FILAMENTARY MATERIAL
    • B65GTRANSPORT OR STORAGE DEVICES, e.g. CONVEYORS FOR LOADING OR TIPPING, SHOP CONVEYOR SYSTEMS OR PNEUMATIC TUBE CONVEYORS
    • B65G2201/00Indexing codes relating to handling devices, e.g. conveyors,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roduct or load being conveyed or handled
    • B65G2201/02Articl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60Planning or developing urban green infrastructur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conomics (AREA)
  • Quality & Reliability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Marketing (AREA)
  • Operations Research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ransportation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counting & Tax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Finance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Automation & Control Theory (AREA)
  • Traffic Control System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명세서는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이때,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어서버를 통해 제 1 지점에서 카트에 물류를 적재하는 단계, 물류가 적재된 카트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제어서버를 통해 제 2 지점에서 카트에 적재된 물류를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LOGISTICS SYSTEM USING COMMON DUCT}
실시예들은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에 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를 통해 물류 시스템을 설비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를 운반하는 방법에 대한 것이다.
공동구는 전력, 통신, 수도, 난방 등의 시설을 지하의 일정공간에 공동으로 수용하여 굴착 등의 도로시설 훼손없이 관리토록 한 도시 기반시설일 수 있다. 공동구에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냉난방시설, 전선 및 통신선 등 건물에 공급되는 공공재를 위해 지하에 갖춰진 시설일 수 있다. 기존 공동구는 지하에 설치되어 상기 공공재를 위한 배관 및 시설들만 존재하였고, 공동구를 별도로 활용하는 방안은 전무한 상태였다. 그러나, 공동구는 도시 기반시설로 도시 내의 건물들로 연결되는 가장 좋은 통로일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면 효율적인 물류 시스템을 구축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공동구에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에 대해 서술한다. 특히, 신도시나 새로운 지하철 노선 등 공동구 설비가 필요한 지역에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여 효율적인 운반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위한 물류 시스템에 대해 서술한다.
한국등록특허 제10-2132852호
본 명세서는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공동구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하는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통해 물류 시스템을 구축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는 제어서버를 통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방법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본 명세서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것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에 포함되고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상기 레일부와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은 제어서버를 통해 제 1 지점에서 카트에 물류를 적재하는 단계, 상기 물류가 적재된 카트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점으로 이동하는 단계 및 상기 제어서버를 통해 상기 제 2 지점에서 상기 카트에 적재된 물류를 반출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 및 상기 보조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는 상기 공동구 외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상기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공동구 내의 상기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외의 상기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메인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서 공동구의 통로를 따라 설치되고,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레일부이고, 상기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상기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는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상기 카트의 상기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상기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에 적재된 상기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를 상기 카트에서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상기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상기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상기 물류가 적재되되, 상기 물류가 상기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상기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는 상기 위치 정보 식별 장치에 기초하여 상기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상기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상기 제어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을 제공하여 물류 시스템 효율을 향상시키는데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을 설치하고, 이를 통해 이동하는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제공하는데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구를 통해 구축된 물류 시스템을 통해 물류 배송을 수행하도록 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서버를 통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이점이 있다.
본 명세서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에에 따라 공동구에 물류레일이 설치된 경우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기초하여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이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6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에서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a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서버에 의해 카트가 제어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8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메인레일에서 보조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a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b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9c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카트주차레일에서 메인레일로 카트가 이동하는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0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1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에서 물류 목적지로의 화물의 이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대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인 연결관계뿐만 아니라, 그 중간에 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는 간접적인 연결관계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또는 "가진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라 또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제1, 제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되며, 특별히 언급되지 않는 한 구성요소들간의 순서 또는 중요도 등을 한정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 내에서 실시예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예에서 제2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고, 마찬가지로 실시예에서의 제2 구성요소를 다른 실시예에서 제1 구성요소라고 칭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의 실시예에 있어서, 서로 구별되는 구성요소들은 각각의 특징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함이며,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분리되는 것을 의미하지는 않는다. 즉, 복수의 구성요소가 통합되어 하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고, 하나의 구성요소가 분산되어 복수의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 단위로 이루어질 수도 있다. 따라서, 별도로 언급하지 않더라도 이와 같이 통합된 또는 분산된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에서 네트워크는 유무선 네트워크를 모두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때, 네트워크는 디바이스와 시스템 및 디바이스 상호 간의 데이터 교환이 수행될 수 있는 통신망을 의미할 수 있으며, 특정 네트워크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 기술된 실시예는 전적으로 하드웨어이거나, 부분적으로 하드웨어이고 부분적으로 소프트웨어이거나, 또는 전적으로 소프트웨어인 측면을 가질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부(unit)",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하드웨어,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조합, 또는 소프트웨어 등 컴퓨터 관련 엔티티(entity)를 지칭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서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은 실행중인 프로세스, 프로세서, 객체(object), 실행 파일(executable), 실행 스레드(thread of execution), 프로그램(program), 및/또는 컴퓨터(computer)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컴퓨터에서 실행중인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 및 컴퓨터의 양쪽이 모두 본 명세서의 부, 모듈, 장치 또는 시스템 등에 해당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웨어러블 디바이스 및 HMD(Head Mounted Display)와 같이 모바일 디바이스뿐만 아니라, PC나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한 가전처럼 고정된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디바이스는 차량 내 클러스터 또는 IoT (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일 수 있다. 즉, 본 명세서에서 디바이스는 어플리케이션 동작이 가능한 기기들을 지칭할 수 있으며, 특정 타입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어플리케이션이 동작하는 기기를 디바이스로 지칭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네트워크의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각 구성요소간 연결이 동일한 네트워크 방식으로 연결되지 않을 수도 있다. 네트워크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만 아니라 기기들간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네트워크는, 객체와 객체가 네트워킹 할 수 있는 모든 통신 방법을 포함할 수 있으며,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5G, 혹은 그 이외의 방법으로 제한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유선 및/또는 네트워크는 LAN(Local Area Network), MAN(Metropolitan Area Network), GSM(Global System for Mobile Network), EDGE(Enhanced Data GSM Environment), HSDPA(High Speed Downlink Packet Access), W-CDMA(Wideband 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TDMA(Time Division Multiple Access), 블루투스(Bluetooth), 지그비(Zigbee), 와이-파이(Wi-Fi), VoIP(Voice over Internet Protocol), LTE Advanced, IEEE802.16m, WirelessMAN-Advanced, HSPA+, 3GPP Long Term Evolution (LTE), Mobile WiMAX (IEEE 802.16e), UMB (formerly EV-DO Rev. C), Flash-OFDM, iBurst and MBWA (IEEE 802.20) systems, HIPERMAN, Beam-Division Multiple Access (BDMA),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및 초음파 활용 통신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통신 방법에 의한 통신 네트워크를 지칭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이 반드시 필수적인 구성요소들은 의미하는 것은 아니며, 일부는 선택적인 구성요소일 수 있다. 따라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의 부분집합으로 구성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또한, 다양한 실시예에서 설명하는 구성요소들에 추가적으로 다른 구성요소를 포함하는 실시예도 본 명세서의 실시예의 범위에 포함된다.
이하에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명세서의 실시예들에 대하여 상세히 살펴본다.
도 1은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의 동작 환경의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사용자 디바이스(110), 하나 이상의 서버(120, 130, 140)가 네트워크(1)를 통해 연결되어 있다. 이러한 도 1은 발명의 설명을 위한 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의 수나 서버의 수가 도 1과 같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컴퓨터 시스템으로 구현되는 고정형 단말이거나 이동형 단말일 수 있다.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 phone),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이 있다. 일례로 실시예들에서 사용자 디바이스(110)는 실질적으로 무선 또는 유선 통신 방식을 이용하여 네트워크(1)를 통해 다른 서버들(120 - 140)과 통신할 수 있는 다양한 물리적인 컴퓨터 시스템들 중 하나를 의미할 수 있다.
각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와 네트워크(1)를 통해 통신하여 명령, 코드, 파일, 콘텐츠, 서비스 등을 제공하는 컴퓨터 장치 또는 복수의 컴퓨터 장치들로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버는 네트워크(1)를 통해 접속한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각각의 서비스를 제공하는 시스템일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서버는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으로서의 어플리케이션을 통해, 해당 어플리케이션이 목적하는 서비스(일례로, 정보 제공 등)를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제공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버는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및 구동을 위한 파일을 사용자 디바이스(110)로 배포하고 사용자 입력 정보를 수신해 대응하는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도 2는 본 명세서의 일실시예에 있어서 컴퓨팅 장치(200)의 내부 구성을 설명하기 위한 블록도이다. 이러한 컴퓨팅 장치(200)는 도1을 참조하여 상술한 하나 이상의 사용자 디바이스(110-1, 110-2) 또는 서버(120-140)에 적용될 수 있으며, 각 장치와 서버들은 일부 구성요소를 더 하거나 제외하여 구성됨으로써 동일하거나 유사한 내부 구성을 가질 수 있다.
도 2를 참조하면 컴퓨팅 장치(200)는 메모리(210), 프로세서(220), 통신 모듈(230) 그리고 송수신부(240)를 포함할 수 있다. 메모리(210)는 비-일시적인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서,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210)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상술한 장치나 서버에 포함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210)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일례로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되어 구동되는 브라우저나 특정 서비스의 제공을 위해 사용자 디바이스(110) 등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210)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는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230)을 통해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어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일례로, 상술한 서버)이 네트워크(1)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일례로 상술한 어플리케이션)에 기반하여 메모리(210)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220)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210) 또는 통신 모듈(230)에 의해 프로세서(220)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220)는 메모리(210)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230)은 네트워크(1)를 통해 사용자 기기(110)와 서버(120 -140)가 서로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장치(110) 및/또는 서버(120 - 140) 각각이 다른 전자 기기와 통신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송수신부(240)는 외부 입력/출력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외부 입력장치는 키보드, 마우스, 마이크로폰, 카메라 등의 장치를, 그리고 외부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송수신부(240)는 터치스크린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위한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도 있다.
또한, 다른 실시예들에서 컴퓨팅 장치(200)는 적용되는 장치의 성질에 따라서 도 2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컴퓨팅 장치(200)가 사용자 디바이스(110)에 적용되는 경우 상술한 입출력 장치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되거나 또는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도 있다. 보다 구체적인 예로, 사용자 디바이스가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가속도 센서나 자이로 센서,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하기에서 서술하는 제어서버는 도 1의 서버 중 어느 하나의 타입일 수 있다. 또한, 메일레일, 보조레일 및 카트주차레일은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동작하는 장치일 수 있다. 즉, 메일레일, 보조레일 및 카트주차레일에는 컴퓨팅 장치가 부착(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제어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또한, 카트에도 컴퓨팅 장치가 부착(또는 설치)될 수 있으며, 도 1 및 도 2에 기초하여 제어 서버와 통신을 수행하는 디바이스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3은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를 나타낸 도면이다. 상술한 바와 같이, 공동구는 전력, 통신, 수도, 난방 등의 시설을 지하의 일정공간에 공동으로 수용하여 굴착 등의 도로시설 훼손없이 관리토록 한 도시 기반시설일 수 있다. 공동구에는 상수도관, 하수도관, 냉난방시설, 전선 및 통신선 등 건물에 공급되는 공공재를 위해 지하에 갖춰진 시설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 3을 참조하면, 공동구에는 냉난방 시설, 전선, 통신선, 상수도관 및 하수도관과 함께 보행로가 포함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는 다른 시설 또는 설비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기존 물류 시스템은 통상적으로 도심 내 또는 도심간 차량 이동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도로 혼잡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또한, 지하 물류 체인을 형성하는 기술이 제안되고 있으나, 이는 별도의 물류 터널을 갖춰야 되므로 자연파괴가 발생할 수 있고, 시민합의 등에 의해 사업이 길어질 수 있는 문제가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 4를 참조하면, 기존의 공동구 또는 신도시나 새로운 지하철 노선에서 생성되는 공동구에 물류 시스템을 위한 설비를 구축하는 방법을 고려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에는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이 구비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4에서는 공동구의 천장에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이 장착된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하였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410-1, 410-2) 및 보조레일(420)은 보행로나 그 밖의 다른 형태로 장착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또한, 메인레일(410-1, 410-2)을 통해 카트(430-1, 430-2)가 장착될 수 있으며, 카트에 기초하여 물류 시스템이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도 5를 참조하면, 공동구 내의 물류 시스템은 제어서버(540)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540)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서버로 물류레일로서 메인레일(510-1, 510-2)/보조레일(520) 및 카트(530-1, 530-2)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에 대한 제어를 수행하는 서버일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제어서버(540) 및 공동구 내의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은 통신망을 구비할 수 있다. 일 예로, 통신망은 근거리 통신, 유선 통신, 무선 통신, 3G, 4G 및 5G 통신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일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제어서버(540)는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과 원활한 통신을 수행할 수 있도록 공동구 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540)가 공동구 밖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공동구 내에 위치하는 경우라면 제어서버(540)와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의 통신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즉, 지하에 설비된 공동구는 외부와 차단될 수 있으므로 외부와 연결하는 통신망은 연결이 원활하지 않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제어서버(540)와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은 공동구 내부에 함께 존재하고, 근거리 통신망이나 다른 통신망을 통해 자체적으로 통신망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540)는 외부와 연결된 별도의 통신망을 구비할 수 있으며, 유선망이나 기타 통신이 원활한 위치에서 외부망과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부에는 제어서버(540) 및 상술한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포함되는 인트라망이 구축되고, 제어서버(540)만이 외부와 연결하여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서버(540)는 물류 시스템을 제어하는 장치 또는 장치에 연결되는 어플리케이션과 통신을 원활하게 하도록 할 수 있다. 다만, 이는 하나의 일 예일뿐, 제어서버(540)가 공동구 밖에 위치하고, 나머지 구성들(510-1, 510-2, 520, 530-1, 530-2)이 공동구 내에 위치하는 것도 가능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구 내에 설치되는 물류시스템의 상술한 구성 중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은 공동구 내에서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나, 일 예로, 천장에 메인레일 및 보조레일이 설치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서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및 그 밖의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시설들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시설들이 공동구 한쪽 면으로 설치되고, 다른 한쪽 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한쪽면에 평행하게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다만, 하기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해 레일이 천장에 설치된 경우를 기준으로 서술한다.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 천장에 설치된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시스템은 레일부에 연결되어 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화물을 적재하는 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물류 시스템은 레일부 및 카트와 통신을 수행하고, 카트의 이동 및 레일을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즉, 물류시스템은 레일부, 카트 및 제어서버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동작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6을 참조하면, 공동구 천장에 물류시스템의 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레일부는 메인레일부(610-1, 610-2) 및 보조레일부(620)를 포함할 수 있다. 메인레일부(610-1, 610-2)는 카트(630)가 물류를 적재하고 이동하는 통로일 수 있다. 즉, 카트(630)는 메인레일부(610-1, 610-2)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610-1, 610-2)는 서로 다른 방향의 메인레일부(610-1) 및 메인레일부(610-2)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예에서 "IN" 메인레일부(610-1)는 물류를 공급하는 라인으로 기능하고 "OUT" 메인레일부(610-2)는 물류를 반출하는 기능을 수행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일 예로, 외부로부터 공동구를 따라 물류를 받는 건물로 연결된 메인레일부는 "IN" 메인레일부(610-1)일 수 있다. 반면, 건물에서 공동구로 물류를 반출하는 메인레일부는 "OUT" 메인레일부(610-2)일 수 있다. 여기서, "IN" 메인레일부(610-1) 및 "OUT" 메인레일부(610-2) 사이에는 보조레일부(620)가 설치될 수 있다. 이때, 보조레일부(620)는 물류의 방향을 변경하기 위해 사용되는 레일부일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메인레일부(610-1, 610-2)에는 복수 개의 카트(630)가 존재할 수 있으며, 복수 개의 카트(630)의 순서 변경을 위해 보조적으로 구비된 레일부일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 메인레일부(610-1, 610-2)만 존재하는 경우, 카트(630)의 방향이나 순서를 변경하기 어려울 수 있다. 이를 위해, 메인레일부(610-1, 610-2) 사이에 보조레일부(620)가 구비될 수 있다. 다만, 보조레일부(620)는 메인레일부(610-1, 610-2) 전체에 설치될 필요성이 없으며, 일정 구간에만 설치될 수 있다. 일 예로, 보조레일부(620)는 기 설정된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보조레일부(620)는 일정 간격으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620)는 다양한 형태로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여기서, 메인레일부, 보조레일부 및 카트는 제어서버에 의해 제어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을 참조하면, 제어서버(710)는 복수 개의 카트(720)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복수 개의 카트 각각은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는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복수 개의 카트(720)들은 공동구 내에 위치하므로 카메라 센서를 구비하고, 이를 통해 획득되는 공동구 내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상대적 위치를 확인하여 위치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복수 개의 카트(720) 각각은 식별 장치(e.g. RFID)를 포함하고, 공동구 내의 각각의 위치에는 식별 장치를 인식하는 장치가 구비될 수 있다. 여기서, 각각의 장치는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설치될 수 있으며, 일정 간격마다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각각의 장치는 공동구 내의 물류 상하차 지점 및 그 밖의 물류 제어가 필요한 지점에 설치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에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때, 카트(720)의 식별 장치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고, 이를 통해 상대적 위치 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의 식별장치는 공동구 내의 장치에 태깅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공동구 내에서 카트(720)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카트(720)는 획득한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7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이를 통해 카트(720)의 상대적 위치를 주기적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특정 이벤트에 기초하여 위치 정보 전송을 트리거링하고, 카트(720)로 위치 정보 전송을 요청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물류 배송 순서를 바꾸거나 중단해야 하는 경우에 대한 이벤트를 디텍트하면 카트(720)로 현재 위치 정보를 요청할 수 있다. 이때, 카트(720)는 공동구 내의 장치로부터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 또는 카메라를 통해 공동구 내의 이미지를 통해 획득한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현재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71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를 통해, 제어서버(710)는 공동구 내의 복수 개의 카트(630)들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확인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 서비스 제공을 위한 제어를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7b를 참조하면, 제어서버(710)는 복수 개의 카트(720)에 대한 개폐 여부 및 그 밖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는 공동구 내에 설치된 물류 투입부에서 물류를 공급받을 수 있다. 일 예로, 물류 투입부는 물류 시스템의 동작 범위를 고려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물류 투입부는 공동구의 기 설정된 위치로 설정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다수의 아파트들은 공동구에 기초한 물류 시스템에 연결될 수 있고, 다수의 아파트와 관련된 허브가 존재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허브에 물류 투입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가 물류 시스템으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 장치를 제어하여 물류를 적재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720)에 포함되는 각각의 물류는 각각의 식별 값이 부여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물류 각각에 대한 식별 값을 확인하고, 카트(720)를 통해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즉, 물류 시스템에서 복수 개의 카트(720) 각각의 개별 식별 값을 가질 수 있으며, 카트(720)에 포함되는 복수 개의 물류 각각도 개별 식별 값을 가질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식별 값 및 물류의 식별 값의 조합으로 해당 물류의 위치를 파악할 수 있으며, 물류 배송을 위한 카트 개폐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움직임 또는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720)에서 물류를 방출하는 경우에는 카트가 컨베이어 벨트로 기울어질 수 있다. 반대로, 카트(720)에 물류를 싣는 경우에는 반대 방향으로 기울어져 물류가 실릴 수 있도록 할 수 있으며, 이러한 제어는 제어서버(710)를 통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트(720)가 물류를 이동시켜 공동구 내의 도착 위치로 도착하는 경우,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를 개폐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일 예로, 도착 위치는 각 건물 내의 기 설정된 위치일 수 있으나,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그 후, 물류는 건물 내의 리프트를 통해 배송될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해당 배송까지 확인 및 제어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 분실 사고를 방지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7c를 참조하면, 카트(720)는 메인레일을 따라 이동하여 도착 지점에 도착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710)는 카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의 도착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 및 카트의 기울기를 제어하고, 카트(720)에서 해당 지점에 대응되는 물류를 컨베이어로 방출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물류는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리프트(또는 엘리베이터)로 이동되어 배송될 수 있다. 일 예로, 도 7c에서 리프트는 목적지 건물의 화물용 엘리베이터일 수 있다. 이때, 리프트는 공동구에 인접한 건물들이 신도시 건설 단계에서부터 공동구 내 물류 레일에서 바로 해당 건물로 리프트를 통해 배송이 수행되도록 구현된 형태일 수 있다. 이때, 물류를 적재하고 온 카트(720)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엘리베이터가 설치된 건물로 물류를 이동시켜 자동 하역할 수 있다. 제어서버(710)는 카트(720)의 개폐뿐만 아니라 카트의 기울기도 제어할 수 있으며, 카트가 컨베이어 벨트에서 기울어지도록 제어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카트(720)는 메인레일부로 다시 합류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상술한 바와 같이, 물류 각각은 식별 값을 가지므로 이에 기초하여 엘리베이터를 통해 물류가 자동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710)는 해당 엘리베이터 또는 리프트도 제어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가 이동할 위치를 자동으로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엘리베이터 내부도 컨베이어 벨트일 수 있으며, 제어서버(710)는 해당 엘리베이터가 멈추면 해당 물류를 하차하여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아파트 내의 1705호"가 물류의 목적지인 경우, 물류는 공동구 내의 카트에서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엘리베이터로 이동 후 17층 엘리베이터에서 정차할 수 있다. 이때, 엘리베이터 내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해당 물류는 복도쪽으로 밀어지고(이동되고), 이에 따라 배송이 완료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상술한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서버는 어플리케이션 또는 다른 서버와 연동되어 물류를 배송받는 유저 디바이스로 메시지 또는 알림을 제공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와 통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인 일 예로, 도 8a를 참조하면,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모든 부분이 제어서버와 통신을 수행하지는 않을 수 있다.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 및 방향 전환이 가능한 영역(811, 812)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방향 전환이 가능한 영역은 구동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보조레일부는 화물의 주문 취소, 배송지 변경, 경로 복잡성에 기초하여 카트 이동을 제어하기 위해 필요한 레일부일 수 있다. 여기서, 카트의 경로 변경을 위해서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소정의 위치에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이 포함될 수 있다. 공동구 내부는 좁은 영역일 수 있으므로 방향 전환을 위해서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은 구동 장치 및 통신 장치를 포함하여 제어되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도 8b를 참조하면, 카트의 경로 변경이 필요한 경우, 해당 카트는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필요성이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카트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이동함을 확인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상술한 카트의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카트의 이동을 디텍트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카트 이동을 위한 방향 전환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는 제어서버로부터 요청을 수락한 경우, 이에 대한 응답을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로 방향 전환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은 구동장치에 의해 회전될 수 있으며, 도 8b처럼 소정 회전각도에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이 연결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통신 장치는 연결이 완료되면 제어서버로 연결 완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연결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카트로 이동 명령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으며, 카트는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그 후, 카트가 보조레일부로 이동을 완료하면 카트는 이동 완료 메시지를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이동 완료 메시지에 기초하여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으로 종료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구동장치는 이동 완료에 기초하여 도 8c처럼 기존 상태로 복귀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트가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보조레일부는 방향전환을 위해 필요하므로 메인레일부 전체에 설치되지 않고, 기설정된 영역에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이때, 상술한 카트의 이동은 제어서버에 의해 관리될 수 있으며,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도 제어서버에 의해서 제어되므로 물류 시스템에서 카트나 물류가 분실되거나 관리 영역 밖으로 이동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카트는 물류 상태 또는 물류 배송을 고려하여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일 예로, 경로 변경 가능성이 생긴 카트는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되어 대기할 수 있으며, 보조레일로 이동되어 서행 또는 중지되어 지시를 기다릴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상술한 동작을 위해 카트 및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811, 812)의 통신 장치와 통신을 수행하여 이동을 제어할 수 있으며, 이에 기초하여 카트 이동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보조레일부 이외에 카트주차레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 일 예로, 공동구 내에 복수 개의 카트가 존재하고, 이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경우, 카트의 이동 및 보관이 필요할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도 9a처럼 별도의 카트 주차레일부가 존재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 카트들은 지하에 위치하기 때문에 카트의 공급 및 제거를 실시간으로 수행하는데 한계가 존재할 수 있다. 즉, 복수의 카트들을 실시간으로 레일에 장착하거나 제거하는 것은 쉽지 않을 수 있을 수 있다. 상술한 점을 고려하여, 공동구 내의 레일부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있다. 여기서, 카트주차 레일부에는 복수 개의 카트들이 레일에 위치할 수 있으며,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처럼 카트주차레일부 및 메인레일부 방향전황용 영역(911, 912)이 존재할 수 있다. 이때, 상술한 영역(911, 912)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전환용 영역처럼 구동장치 및 통신장치를 포함하고, 도 9b처럼 방향 전환되어 메인레일부로 카트를 이동시킬 수 있으며, 이는 도 9c와 같을 수 있다. 여기서, 방향 전환 방법은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의 방향 전환과 동일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도 10 및 도 11을 참조하면, 물류 시스템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구체적인 동작이 도시될 수 있다.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센터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물류 센터는 공동구로 물류를 공급할 수 있는 설비를 구비할 수 있다. 이때, 각각의 물류들은 물류 센터로 모이고, 각각의 식별 값을 부여받을 수 있다. 또한, 각각의 물류들은 제어서버에 의해 각각의 카트로 할당될 수 있다. 그 후, 각각의 물류들은 에스컬레이터 또는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공동구 내로 이동되며 각각의 카트로 실릴 수 있다. 그 후, 카트들은 공동구 내의 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여기서, 도 10에서첨 레일부에는 메인레일부와 일정 영역에 방향 전환을 위한 보조레일부가 설치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그 후, 물류는 카트를 따라 이용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인 일 예로, 카트는 "IN" 메일레일부를 따라 공동구 인접 건물 1로 하차될 수 있다. 여기서, 도 10에서처럼 리프트가 존재하고, 리프트를 통해 공동구 인접 건물 1의 해당 목적지로 자동 하역이 수행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OUT" 메일레일부를 따라 공동구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공동구 인접 건물 2에는 다른 지역으로 배송이 필요한 물류가 존재할 수 있다. 이때, 해당 물류는 리프트를 통해 카트로 전달되고, 카트는 "OUT" 메일레일부를 따라 반출되는 물류를 적재하고 공동부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서버는 건물에서 배출되는 물류에도 식별 값을 부여하고, 대응되는 카트를 확인할 수 있다.
하기에서는 상술한 바에 기초하여 물류 시스템의 동작에 대한 구체적인 실시예일 수 있다.
공동구 인접 건물에 거주하는 유저 A가 반품을 요청한 경우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생산자로부터 물류 소비자로 배송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물류 소비자의 반품에 기초하여 물류 생산자로 물류를 다시 반송하는 경우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A가 이커머스 업체에 모바일 앱으로 반품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의 반품 요청은 상술한 제어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반품 요청을 받은 이커머스 업체는 자동으로 공동구 운영 회사에 물건 수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유저 A 거주 건물로 인근 카트를 이동하도록 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유저 A 거주 건물 인근 카트 중 배송에 적합한 카트를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확인하고, 이를 유저 A 거주 건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유저 A는 리프트에 반품 물류를 상차시켜 지하의 컨베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컨베이어를 통해 카트로 반품 물류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반품 물류가 카트에 포함되면 식별 값을 부여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상술한 메일레일부 중 "OUT" 메인레일부를 통해 공동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동구 인접 건물에 거주하는 유저 A가 교환을 요청한 경우
일 예로, 물류 시스템은 물류 생산자로부터 물류 소비자로 배송하는 동작뿐만 아니라, 물류 소비자의 반품에 기초하여 물류 생산자로 물류를 다시 교환하는 경우까지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유저 A가 이커머스 업체에 모바일 앱으로 교환 요청을 수행할 수 있다. 이때, 모바일 앱의 교환 요청은 상술한 제어서버로 전송될 수 있다. 즉, 교환 요청을 받은 이커머스 업체는 자동으로 공동구 운영 회사에 물건 수거 요청을 전달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공동구 외의 물류센터에서 교환 물품을 식별하고, 이를 카트로 싣어 유저 A 거주 건물로 이동시킬 수 있다. 이때, 교환 물건은 유저 A 거주 건물의 컨베이어 벨트를 통해 자동 하역하고, 리프트를 통해 해당 교환 물품을 유저 A에게 제공할 수 있다. 여기서, 해당 카트는 "IN" 메일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여기서, 유저 A는 리프트에 반품 물류를 상차 시켜 지하의 컨베이어로 전달될 수 있다. 그 후, 컨베이어를 통해 카트로 반품 물류가 전달될 수 있다. 여기서, 제어서버는 반품 물류가 카트에 포함되면 식별 값을 부여하여 분실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카트는 상술한 메일레일부 중 "OUT" 메인레일부를 통해 공동구 밖으로 배출될 수 있다.
공동구 인접 건물에 동시에 여러 화물이 도착하는 경우
일 예로, 카트에는 다수의 물류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의 목적지를 고려하여 물류를 이동시킬 카트를 결정할 수 있다. 일 예로, 목적지가 유사한 물류들은 동일한 카트를 통해 이동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카트는 레일을 따라 이동하면서 먼저 도착하는 물류 하차 지점에 물류를 자동하역하고, 이동을 통해 물류를 순차적으로 하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물류 시스템의 효율을 높일 수 있다.
물류 레일을 따라 이동 중 유저 A가 주문을 취소한 경우
일 예로, 공동구 내의 카트를 통해 물류가 배송 중에 유저 A가 취소 주문을 수행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을 변경해야 하므로 카트를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는 보조레일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물류센터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를 물류센터에 하차 후 다시 배송을 위해 공동구로 이동할 수 있다.
물류 레일을 따라 이동 중 유저 A가 배송지 변경 요청한 경우
일 예로, 공동구 내의 카트를 통해 물류가 배송 중에 유저 A가 배송지 변경을 요청한 경우를 고려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지 변경을 수행하여도 카트 이동에 문제가 없는지 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여기서, 카트 이동에 문제가 없는 경우, 제어서버는 해당 카트의 해당 물류의 배송지를 변경하여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예로, 변경된 배송지가 카트 내의 다른 물류의 배송지와 동일한 경우, 제어서버는 변경된 배송지로 해당 물류를 배송할 수 있다. 반면, 카트 이동에 의해 배송에 지연 또는 문제가 발생하는 경우, 제어서버는 해당 배송을 변경해야 하므로 카트를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는 보조레일부에서 방향이 전환되어 다시 물류센터로 이동할 수 있으며, 해당 물류를 물류센터에 하차하고, 배송지를 변경하여 새로운 카트로 배송을 수행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공동구 내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일 예로, 도 12를 참조하면, 공동구 내의 냉난방시설, 상수관, 하수관 등 다른 시설들과 물류 레일의 교차시 간섭을 방지하기 위해 구조물 간 설치 높이를 다르게 설계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의 냉난방시설, 상수관, 하수관 등 다른 시설들은 낮은 높이에 위치하게 하고, 물류 시스템은 천장에 설치하여 상호 간의 간섭을 주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공동구 내에서는 상수도관이나 하수도관 및 그 밖의 시설들이 포함되어 있기 때문에 해당 시설들과 충돌을 피하기 위해 천장에 레일이 설치되고, 레일을 따라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일 수 있다. 또 다른 일 예로, 상술한 시설들이 공동구 한쪽 면으로 설치되고, 다른 한쪽 면에 레일이 설치되고 한쪽면에 평행하게 카트가 이동하는 형태도 가능할 수 있으며, 상술한 실시예로 한정되지 않는다.
도 13 및 도 14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구에서 물류 목적지로의 화물의 이동 방식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이하에서는 도 13 및 도 14를 참조하여 공동구(10)를 통해 이송된 화물(1330)이 건물(20) 내 배송 목적지로 이동되는 것을 설명하나 이는 그 반대로 건물에서 공동구로 화물이 이동되는 경우도 동일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도 13을 참조하면, 공동구(10)의 레일부(1300)를 따라서 카트(1310)이 하역 위치로 이동될 수 있다. 하역 위치에서 카트(1310)의 일면에 형성된 도어가 열리고 카트(1310) 내 화물이 카트에서 내려질 수 있다. 카트 내 화물은 로컬이동수단(1320)으로 내려질 수 있다. 카트 내 화물이 내려지기 위해서, 카트 내에 컨베이어 장치(1311)가 구비될 수 있다. 컨베이어 장치의 동작 방향은 적어도 2개 방향일 수 있다. 즉 카트 내 컨베이어 장치(1311)는 카트 내부 또는 외부로 화물을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상술한 로컬이동수단(1320)은 컨베이어 장치가 구비된 설치물 또는 이동 가능한 장비일 수 있다. 도 13에서는 컨베이어 장치가 컨베이어벨트로 표시되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설명하는 '컨베이어 장치'는 컨베이어 시스템을 지칭하는 것으로서 화물의 이동을 위해서 벨트 형태의 면이 이동하는 것(컨베이어벨트) 뿐만 아니라 적어도 부분적으로 형성되는 바퀴, 볼 등을 통해 면 상에 배치된 물건의 위치를 이동시키는 다양한 수단이 여기에 포함될 수 있다.
로컬 이동수단(1320)에 의해 이동되는 화물은 이동로봇(1340)으로 옮겨질 수 있다. 이동 로봇(1340)은 서버의 제어에의해 이동 및 화물의 상하차를 수행하는 기계장치이다. 이동로봇의 상부면의 일 부분에는 화물을 실을 수 있는 적재면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다. 적재면에는 컨베이어 장치가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서 이동로봇(1340)의 컨베이어 장치(적재면)의 높이와 로컬 이동수단(132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비슷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로봇과 로컬 이동수단에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에의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화물이 이동될 수 있다.
이동로봇(1340)은 화물을 적재 후 배송 목적지 건물(20)로 이동할 수 있다. 건물(20)에는 엘리베이터(1350)가 구비될 수 있으며, 엘리베이터는 건물 내에서 상하 방향으로 위치이동을 할 수 있다. 또한 건물 내 엘리베이터(1350)의 밑면 중 적어도 이 부분에는 컨베이어 장치(1351)가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엘리베이터의 컨베이어 장치(1351)의 높이와 이동로봇(1340)의 높이는 동일하거나 유사하게 구성될 수 있다. 즉 양자간에 단차가 형성되지 않을 수 있다. 이에 따라서 이동로봇과 엘리베이터 각각에 형성된 컨베이어 장치에의해 추가적인 에너지 소모 없이 화물이 이동될 수 있다.
엘리베이터의 컨베이어 장치(1351)에 이동된 화물은 목적지 층으로 이동되고, 목적치 층에서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장치(1351)에 의해 화물이 목적지 층의 공간으로 이동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도 13에서 설명한 이동로봇이 각 목적지 층마다 구비되어 엘리베이터로부터 화물을 수신하여 정확한 목적지까지 이동을 수행할 수도 있다.
한편 도 13을 더 참조하면, 엘리베이터 컨베이어 장치(1351)로 화물을 하역한 이동로봇(1340)은 기 설정된 장소로 이동되어 충전 또는 세척과 같은 정비 작업을 받거나, 다른 화물의 이동을 위해서 로컬 이동수단(1320)으로 이동할 수도 있다.
도 15는 본 명세서의 일 실시예에 따라 물류 시스템의 동작 방법을 나타낸 도면이다.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공동구에 포함되고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레일부와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일 예로, 물류 시스템에 기초하여 물류가 배송되는 경우, 제어서버를 통해 제 1 지점에서 카트에 물류를 적재될 수 있다.(S1310) 그 후, 물류가 적재된 카트가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여 제 2 지점으로 이동할 수 있다.(S1320) 이때, 제어서버는 제 2 지점에서 카트에 적재된 물류를 반출할 수 있다.(S1330)
여기서, 일 예로,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메인레일부는 공동구 외부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동구 내부로 이동하는 카트는 제 1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레일부는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공동구 밖의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즉, 공동구 외부로 이동하는 카트는 제 1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 구성될 수 있다. 여기서, 메인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서 공동구의 통로를 따라 설치되고, 보조레일부는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될 수 있다.
또한, 보조레일부는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레일부일 수 있다. 이때,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회전된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카트가 메인레일부에서 보조레일부로 이동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레일부는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서버는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킬 수 있다. 여기서,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되고, 카트는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될 수 있다. 그 후, 제어서버는 회전된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사용을 위한 카트를 메인레일부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카트는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카트의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기울기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카트에 적재된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제어서버는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예로, 제어서버는 물류를 카트에서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켜 배송을 완료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물류가 적재될 수 있다. 이때, 물류가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레일부 및 카트를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일 예로,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카트는 위치 정보 식별 장치에 기초하여 공동구 내의 상대적 위치 정보를 획득하고, 획득한 상대적 위치 정보를 제어서버로 전송할 수 있다. 제어서버는 상대적 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레일부 및 카트를 제어할 수 있으며, 이는 상술한 바와 같다.
상술한 바와 같이 개시된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당업자가 본 발명을 구현하고 실시할 수 있도록 제공되었다. 상기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 형태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의 범위에 기재된 본 명세서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은 여기에 나타난 실시형태들에 제한되려는 것이 아니라, 여기서 개시된 원리들 및 신규한 특징들과 일치하는 최광의 범위를 부여하려는 것이다. 또한, 이상에서는 본 명세서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명세서는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명세서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 실시들은 본 명세서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Claims (9)

  1. 상수도관, 하수도관, 전선 및 통신선을 위한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는 메인레일부 및 보조레일부를 포함하는 레일부;
    물류를 적재하고 상기 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카트; 및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제어서버를 포함하되,
    상기 메인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 외의 제 1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내의 제 2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상기 카트가 이동하는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공동구 내의 상기 제 2 지점에서 물류를 상차하고, 상기 공동구 외의 상기 제 1 지점으로 물류를 이동시켜 하차하는 제 2 메인레일부를 포함하고,
    상기 보조레일부는,
    상기 메인레일부를 따라 이동하는 상기 카트의 방향을 전환하기 위한 것이고, 상기 제 1 메인레일부 및 상기 제 2 메인레일부 사이에만 구성되고, 상기 메인레일부가 설치된 영역 중 일부 영역에만 설치되고,
    상기 카트의 방향 전환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1 영역과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1 영역이 연결되면, 상기 카트를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가 상기 보조레일부로 이동을 완료하면, 상기 회전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보조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키며,
    상기 제어서버는,
    각각의 카트에 구비된 카메라 센서를 통해 획득한 공동구 내의 이미지 정보를 통해 확인되는 제1 위치정보; 및
    각각의 카트에 구비된 RFID 식별장치와 공동구 내 각 위치에 구비된 식별장치를 통해 확인되는 제2 위치정보를 기초로 각 카트의 공동구 내 현재 위치를 확인하는, 물류 시스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삭제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는 상기 공동구의 상부에 설치되고,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보관하는 카트주차레일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에 위치한 상기 카트의 사용이 필요한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를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회전시키고,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영역을 상기 회전에 기초하여 소정의 각도에서 연결시키고,
    상기 카트를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에서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으로 이동시키고,
    상기 회전된 상기 카트주차레일부의 제 1 영역 및 상기 메인레일부의 제 1 영역을 복원시키는, 물류 시스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는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개폐가 가능한 일측면을 포함하고, 상기 물류 적재를 위해 기울기가 조절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의 적재 및 반출을 고려하여 상기 카트의 개폐 가능한 일측면 및 상기 기울기를 제어하는, 물류 시스템.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카트에 적재된 상기 물류가 반출되는 경우,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 및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제어하되,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물류를 상기 카트에서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로 이동시키고, 상기 반출 지점의 컨베이어 벨트를 따라 이동된 물류를 상기 반출 지점의 리프트를 따라 배송지로 이동시키는, 물류 시스템.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서버는 복수 개의 상기 카트를 제어하되, 복수 개의 상기 카트 각각은 식별 정보를 포함하고,
    상기 카트 각각에는 복수 개의 상기 물류가 적재되되, 상기 물류가 상기 카트에 적재되는 경우, 상기 물류 각각에는 식별 정보가 할당되고,
    상기 제어서버는,
    상기 카트 각각의 식별 정보 및 상기 물류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레일부 및 상기 카트를 제어하는, 물류 시스템.
KR1020200164522A 2020-11-30 2020-11-30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KR102252006B1 (ko)

Priorit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ko) 2020-11-30 2020-11-30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ko) 2020-11-30 2021-05-03 공동구를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시스템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ko) 2020-11-30 2021-09-13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ko) 2020-11-30 2020-11-30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69A Division KR102320265B1 (ko) 2020-11-30 2021-05-03 공동구를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52006B1 true KR102252006B1 (ko) 2021-05-13

Family

ID=75913556

Family Applications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64522A KR102252006B1 (ko) 2020-11-30 2020-11-30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ko) 2020-11-30 2021-05-03 공동구를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시스템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ko) 2020-11-30 2021-09-13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Family Applications After (2)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57069A KR102320265B1 (ko) 2020-11-30 2021-05-03 공동구를 활용한 라스트 마일 배송 시스템
KR1020210121673A KR20220076291A (ko) 2020-11-30 2021-09-13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3) KR102252006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97B1 (ko) * 2021-08-02 2022-03-28 임석철 고층 건물 실내 배송용 자동 택배 리프트 시스템
KR102475720B1 (ko) * 2021-10-01 2022-12-08 (주)스테이하이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30049252A (ko) * 2021-10-06 2023-04-13 (주)컨트롤웍스 공동 주택용 물품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4413A (ko) 2022-09-07 2024-03-14 (주)티라로보틱스 물류 시스템의 사용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1A (ja)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地下物流システムの端末集配部構造
KR102132852B1 (ko) 2018-12-07 2020-07-13 주식회사 엠볼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3300601A (ja) * 2002-04-08 2003-10-21 Mitsubishi Heavy Ind Ltd 地下物流システムの端末集配部構造
KR102132852B1 (ko) 2018-12-07 2020-07-13 주식회사 엠볼트 다면 레일을 이용한 물류 시스템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79297B1 (ko) * 2021-08-02 2022-03-28 임석철 고층 건물 실내 배송용 자동 택배 리프트 시스템
WO2023013843A1 (ko) * 2021-08-02 2023-02-09 임석철 고층 건물 실내 배송용 자동 택배 리프트 시스템
KR102475720B1 (ko) * 2021-10-01 2022-12-08 (주)스테이하이 공동주택용 택배물품 배송 시스템 및 제어방법
KR20230049252A (ko) * 2021-10-06 2023-04-13 (주)컨트롤웍스 공동 주택용 물품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619803B1 (ko) * 2021-10-06 2024-01-03 (주)컨트롤웍스 공동 주택용 물품 배달 시스템 및 방법
KR20240034413A (ko) 2022-09-07 2024-03-14 (주)티라로보틱스 물류 시스템의 사용자 식별 시스템 및 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076291A (ko) 2022-06-08
KR102320265B1 (ko) 2021-10-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52006B1 (ko) 공동구를 활용한 물류 시스템
JP6924804B2 (ja) ピッキングスケジューリング方法、装置、保管システム及び可読記憶媒体
CN107000975B (zh) 用于基于电梯信息的室内寻路的方法和***
JP6832980B2 (ja) 屋内測位サービス提供方法およびシステム
US20190072979A1 (en) Federated automated interoperation between premises and autonomous resources
KR20180096703A (ko) 로봇 현장 복귀를 위한 방법 및 장치
CN110531773A (zh) 机器人路径调度方法、装置、服务器及存储介质
CN109471427A (zh) 搬运物品的方法、调度***及计算机可读存储介质
JP2020504983A (ja) ロボットアドホックネットワーク
AU2021215147B2 (en) Parcel sorting platform, system and method, and data processing for item sorting system
CN109178743A (zh) 基于密集存储的物品搬移方法、装置、设备和存储介质
CN110770594A (zh) 客运车辆地理定位
CN111815225A (zh) 无人机对等物流网络配送***及其配送方法
TWI707283B (zh) 車隊管理方法、車隊管理裝置、車隊管理系統及其電子設備與儲存介質
US11550827B2 (en) Graph enabled location optimization
JP2021064231A (ja) 自律走行車両を用いたサービスシステム
CN113071836A (zh) 物流基础设施结构
US20230154316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deling and Simulating a Hyperloop Portal
JP2020061150A (ja) マルチレベルロボットオートメーション
TWI701622B (zh) 用於機器人場地回流的方法和裝置
CN113888627A (zh) 无人驾驶设备、无人驾驶设备的交互***、方法及装置
JP2016091296A (ja) 駐車場車室管理システム、駐車場車室管理方法、プログラム
TW200415094A (en) Conveying vehicle system
CN107403362A (zh) 工程设备平板车服务***及方法
JP7234896B2 (ja) 車両管理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