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30258B1 -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 Google Patents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30258B1
KR102230258B1 KR1020200129175A KR20200129175A KR102230258B1 KR 102230258 B1 KR102230258 B1 KR 102230258B1 KR 1020200129175 A KR1020200129175 A KR 1020200129175A KR 20200129175 A KR20200129175 A KR 20200129175A KR 102230258 B1 KR102230258 B1 KR 10223025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disaster
information
data
mapping
map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917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준우
이소희
박진이
김옥주
이동만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20012917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3025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302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302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2Indexing; Data structures therefor; Storage structur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2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ructured data, e.g. relational data
    • G06F16/27Replication, distribution or synchronisation of data between databases or within a distributed database system; Distributed database system architectures therefor
    • G06F16/275Synchronous repli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3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metadata automatically derived from the content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6/0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 G06F16/50Information retrieval; Database structures therefor; File system structures therefor of still image data
    • G06F16/58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 G06F16/587Retrieval characterised by using metadata, e.g. metadata not derived from the content or metadata generated manually using geographical or spatial information, e.g. location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Library & Information Science (AREA)
  • Econom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Marketing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omputing System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Software Systems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원화된 정보를 전달을 하는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유형별로 재난현장의 상황관리 지원을 위해 활용 가능한 매핑 콘텐츠를 도출하고,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콘텐츠)를 공간정보 형태의 POI정보, 테이블 정보 등을 시스템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매핑되어지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즉,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하기 위한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 동기화는 기존 구축된 정보인 정적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와,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조사를 통한 신규 항목 및 정보를 동기화하는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는 기존에 정보가 구축된 있는 상태에서 연차별 최신 정보 또는 새로운 정보 발생 등 기존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안으로, 기존에 구축된 재난상황 정보의 최신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구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증을 진행하여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거치고,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재난상황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안으로, 재난상황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항목을 생성하고 재난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자료들을 반영하여 구축하고 동기화하는 과정을 거치며,
상기 자동동기화는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Method of providing mapping contents to strengthen the capacity to manage disaster situations}
본 발명은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 일원화된 정보를 전달을 하는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재난유형별로 재난현장의 상황관리 지원을 위해 활용 가능한 매핑 콘텐츠를 도출하고,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콘텐츠)를 공간정보 형태의 POI정보, 테이블 정보 등을 시스템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매핑되어지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이다.
기후변화로 인한 재난의 대형화, 다양화로 발생 패턴이 불규칙해 지면서 정부의 재난대응이 점차 어려워지고 있다. 그리고 재난현장에서 동시다발적으로 발생되는 대량의 정보가 무분별하게 전달되어 효율적인 상황판단이 어렵다.
따라서, 체계적인 재난현장의 상황관리를 위한 정보전달 체계가 필요하다. 상황관리 측면에서 보면 재난발생 현장에서 발생되는 정보가 의사결정권자에게 전달되어 신속한 상황판단이 이루어지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그러나 기존의 상황 정보전달 체계는 현장 정보를 텍스트 형태로 전달하여 가독성, 신속성, 편의성 등 측면에서 신속한 판단에 어려움이 있다.
또한 재난 발생 시 지역적 특성과 상황에 적절한 대응을 위해서는 재난발생현장과 중앙 및 지자체가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동일한 상황정보를 공유하여 대응할 수 있어야 한다.
그러나 상황관리 담당자 및 현장조사자 간의 일원화되지 못한 정보전달 체계로 인해 재난현장에 적합한 상황 판단이 어려운 실정이다.
따라서 재난현장의 대응 역량강화를 도모하기 위해서는 일원화된 정보전달·공유 체계의 구축이 필요하다. 그리고 기존의 텍스트 중심의 정보전달체계를 보완하기 위한 현장중심의 가시화된 정보전달 기술의 개발이 필요하다.
그리하여 본 발명에서는 재난현장의 활용성 강화를 위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구축하고, 재난상황 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개발하여 실제 재난상황관리에 활용될 수 있도록 하고자 한다.
또한 현재 국립 재난안전연구원 내 지도기반 상황관리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까지 가능하도록 유연한 구조의 시스템을 구축하여 활용하고자 한다.
특허문헌 1: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7-0022607호 특허문헌 2: 대한민국 특허공개공보 제 2018-0114814호
본 발명에서는 매핑체계 설계 및 기능개발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 강화를 목적으로 한다.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개발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강화를 도모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궁극적인 목적은 지도 기반의 매핑콘텐츠를 활용하여 상황관리 역량강화 지원을 위한 재난현장 정보의 수집·분석체계 및 가시화·정보전달 기술을 개발함에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함으로써, 향후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가능케함에 또 다른 목적이 있는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서는;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하기 위한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 동기화는 기존 구축된 정보인 정적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와,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조사를 통한 신규 항목 및 정보를 동기화하는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는 기존에 정보가 구축된 있는 상태에서 연차별 최신 정보 또는 새로운 정보 발생 등 기존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안으로, 기존에 구축된 재난상황 정보의 최신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구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증을 진행하여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거치고,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재난상황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안으로, 재난상황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항목을 생성하고 재난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자료들을 반영하여 구축하고 동기화하는 과정을 거치며,
상기 자동동기화는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해 제공된다.
또한, 자동 동기화를 통한 재난 현장 중심의 재난상황관리, 특히 기구축된 정보의 재난 정보 관리 및 동기화를 위해서는 구조화된 데이터 관리, 즉 메타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므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체계로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을 구비하는데,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에는 메타데이터의 소스를 수집하는 소스 계층, 수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하고 품질검증을 통한 적재 과정을 수행하는 메타 통합 계층,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거나 시스템과 작업을 관리하는 등의 메타 관리 계층, 통합되고 관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레파지토리 (Repository),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배포 계층, 관리되어지고 배포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으로 구성된다.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해 물리모델 정보 (컬럼ID, 속성정보)를 자동 연동하고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여 기존 구축된 정보와 새롭게 수집한 재난 정보들을 업데이트하고 배포하여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해당 정보는 주로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고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재난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원내 지도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있는 현장조사정보 등록 서비스를 활용하여, 매핑서비스의 생성기능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탑재된다.
재난현장 지원 매핑서비스 주제도 제작의 ‘현장조사’ 등록기능을 통하여 현장 조사로 수집 및 등록한 정보를 입력하여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현장 정보 전달의 용이성을 증진시켜 데이터의 혼동을 줄여주는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 지원을 가능케한다.
제목, 위치정보, 주요내용, 이미지 정보로 구현하고, ‘생성하기’ 기능에서는 엑셀로 현장조사 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인 재난현장 지원 매핑 서비스 시스템의 메뉴는, 재난이슈 및 사례를 조회할 수 있는 ‘재난맵포트’, 재난 이력 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매핑콘텐츠 제안’, 다른 메뉴들을 주제도 작성 및 설정할 수 있는 ‘주제도 제작’, 데이터와 계정 등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포함한다.
상기‘재난맵포트’는 ‘재난이슈’의 하위 메뉴를 가지고, ‘매핑콘텐츠 제안’은 ‘풍수해’, ‘지진’의 하위메뉴를 가지며, ‘주제도 제작’은 기구축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불러오기’, 엑셀자료 등록을 통한 ‘생성하기’, 현장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현장조사’, 제작한 정보를 조회하는 ‘표출하기’, 제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관리’의 하위메뉴를 가지고, ‘관리자’는 ‘레이어 관리’, ‘재난(폴더) 관리’, ‘계정관리’의 하위메뉴를 가진다.
첫 화면에서는 메뉴 ‘재난맵포트’화면이 표출되고 ‘매핑콘텐츠 제안’, ‘주제도 관리’, ‘주제도 관리’ 메뉴는 로그인 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인쇄’, ‘다운로드(img)’, ‘Log-In’등의 버튼을 배치하여 각각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며,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 버튼이 있는 곳의 버튼이 관리자모드와 로그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바뀌도록 구성된다.
한편, 재난별 주제도 목록을 배치하고 지도 프레임 안에는 지역을 선택해서 이동할 수 있는 지역 콤보박스와 표출되는 지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 콤보 박스를 배치했으며,
사용자가 왼쪽 상단에서 주제도를 선택하면 선택한 주제도가 화면에 표출되고 하위목록으로 주제도에 포함되어 있는 Layer 목록이 표출되며, 이 목록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Layer를 다시 선택하면 포함되어있는 DB의 목록이 팝업창으로 표출되고, 팝업창에서 DB 목록 ‘보기’버튼을 선택하면 DB의 속성정보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구성된다.
매핑콘텐츠 제안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주요 재난에 대한 대표적인 매핑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관리자가 작성된 매핑콘텐츠의 공개여부를 설정하여 재난유형별 필요한 매핑콘텐츠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또한, ‘주제도 제작’ 메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매핑콘텐츠에 대한 주제도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주제도 제작’ 메뉴를 선택 후 ‘재난(폴더) 관리’를 선택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이 표출되고, 표출된 팝업창에서 ‘재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재난생성 팝업창이 표출되고, 유형과 명칭을 선택 및 입력하고 생성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에 목록으로 표출되며, 생성한 폴더를 삭제할 때에는 재난 폴더 목록에서 해당 폴더를 선택하고 ‘재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재난 수정 팝업창이 표출되며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관리자’메뉴의 ‘데이터관리’ 기능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기 구축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 목록을 조회하고 각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새로운 Layer와 DB를 추가하기 위한 기능으로 '데이터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 추가 팝업창이 표출되고 정보 입력 및 파일을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다.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서는, 매핑체계 설계 및 기능개발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 강화할 수 있도록 한다.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개발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함으로써, 향후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가능케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서 자동 동기화 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흐름도이고,
도 2은 본 발명에서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제작 메뉴화면의 예시도,
도 4는 본 발명에서 재난현장 지원의 매핑서비스 메뉴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시스템 초기 화면으로서, 메뉴 배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시스템 초기 화면으로서, 팝업창 구성안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재난 맵포트 화면이고,
도 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제안 메뉴의 화면이고,
도 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제작 메뉴 화면으로서, 폴더 제작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제작 메뉴 화면으로서, 내용 수정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기구축 위험주제불러오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2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해당 주제도 Layer의 속성정보의 확인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해당 주제도의 저장과정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해당 주제도가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해당 주제도를 저장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주소, 위경도, 위치정보를 통해 정보 입력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7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생성 데이터 리스트 팝업창에 등록된 내용이 표출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심벌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19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입력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0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의 주제도 화면으로서, 계산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1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에서, 데이터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2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에서, 주제도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3은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에서, 계정 관리 기능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4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에서, 주제도 설정(제작) 화면이고,
도 25는 본 발명에 따른 매핑콘텐츠에서, 로그인 화면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형태를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하지만, 본 발명의 범주가 여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님은 물론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형태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서, 본 발명의 범주는 단지 청구항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형태들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들은 실시형태를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결코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은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또한, '포함(또는, 구비)한다'로 언급된 구성 요소 및 동작은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및 동작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본 발명에서는 재난유형별로 재난현장의 상황관리 지원을 위해 활용 가능한 매핑 콘텐츠를 도출하고, 현장에서 수집되는 정보(콘텐츠)를 공간정보 형태의 POI정보, 테이블 정보 등을 시스템에 업로드하면 자동으로 매핑하는 기술을 마련하고자 한다.
본 발명에서는 "재난유형별 활용가능 매핑정보 분석 및 자동동기화 방안"을 마련하기 위해 먼저 "재난 활용가능 매핑정보 분석"을 필요로 하는데,
"풍수해재난 활용가능 매핑정보 분석"의 예를 들자면,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인 경우 『자연재해대책법』 제12조부터 제15조 및 동법 시행령 제8조부터 제12조에 따라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 및 정비계획 수립에 관한 사항을 명시하고 있다.
법령상에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각 시장·군수·구청장은 상습침수구역, 산사태위험지역 등 지형적인 여건에 의해 재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는 지역을 자연해해위험개선지구로 지정·고시하고, 시·도지사를 거쳐 행정안전부 장관과 관계중앙행정기관의 장에게 보고하도록 하고 있다.
따라서 행정안전부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을 고시하고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지정 및 관리, 정비계획 수립, 타당성 평가, 정비사업 시행, 지정 해제, 비용편익 분석, 재검토 기한에 관하여 규정하고 있으며,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에서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필요에 따라 수시로 지정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또한 지정절차는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 대상여부 검토, 유형별·등급분류 기준검토, 관계 전문가 검토, 행정예고(주민의견청취), 재해위험개선지구 지정·고시의 순으로 다음과 같이 진행된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1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총 7개의 유형으로 구분되며 침수위험지구, 유실위험지구, 고립위험지구, 취약방재시설지구, 붕괴위험지구, 해일위험지구, 상습가뭄재해지구가 이에 해당된다. 각 유형에 대한 지정 기준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2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3
각각 지정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위험정도를 구분하기 위하여 각각의 위험등급에 대한 기준을 규정하고, 등급별 지정 기준을 명시하고 있다.
상습가뭄재해 지구의 경우 다른 재해지구와의 분류기준이 상이한데, 본 실시예에서는 풍수해·지진 관련 콘텐츠를 중심적으로 다루고 있으므로 향후 연구가 진행되면 언급하고자 한다. 따라서 상습가뭄재해지구를 제외한 재해위험개선지구의 등급분류 기준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4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사업은 지정·추진·평가를 통하여 관리되고 있으며, 현재 DB형태로 관리가 이루어지지 않고 있으며, 해당정보는 각 지자체와 행정안전부가 공유하고 있다.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 관리지침의 제2절에 의하면 자연재해위험 개선지구의 선정대상은 태풍·홍수·호우·폭풍·해일·대설 등 불가항력적인 자연현상이 원인이 되어 발생되는 피해지역 또는 시설이 대상이다.
따라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는 풍수해가 원인이 되는 재난에 의해 발생되는 피해가 대부분인 것으로 판단된다.
과거 피해가 발생한 지역이나, 피해가 예상되는 지역에 대하여 대책마련이 이루어지지 않은 지역은 위험지구 지정해제가 이루어지지 않기 때문에, 동일 지역에 동일한 피해가 발생할 우려가 있다는 의미이다.
따라서 자연재해위험개선지구의 경우 가시화를 통하여 지정지구의 범위를 시각적으로 확인하여 대책수립 등에 활용이 가능한 콘텐츠가 될 것으로 판단된다.
또한 "지진재난 활용가능 매핑정보 분석"의 예를 들자면, "건축물 구조"인 경우 지진피해가 빈번한 미국, 일본, 뉴질랜드 등에서는 지진 발생 직후 지진피해를 받은 시설물의 사용가능여부를 판단하여 긴급위험도 평가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는 등 활동을 통하여 발전시켜왔다.
연구원에서 ’11년~’13년까지 긴급위험도 평가 기술개발 연구를 수행하였고 지속적으로 발전시켜 지진피해 발생 시 신속하게 대응하기 위한 기술을 현장에 적용하고 있는데, 긴급 위험도평가 기술은 1~3단계로 구분되며 1단계 평가에서는 육안으로 판단 가능한 항목을 평가하며, 2단계 평가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에 관한 평가, 3단계는 1,2단계의 평가결과를 종합적으로 판단하는 단계이다.
지진피해 건축물의 위험도를 검토하여 건물의 사용 가능여부 판단기준은 다음과 같이 사용가능, 사용제한, 위험으로 구분하고 있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5
1차 긴급위험도 평가의 경우 신속하게 조사가 이루어져야하기 때문에 비전문가도 확인이 가능한 점검기준이 적용되고 있으며, 육안으로 확인이 가능한 건물의 위험 정도, 주변 건축물과의 위험도, 건물의 구조구체의 위험도, 낙하·붕괴에 관한 위험도 등의 기준을 적용하여 위험도를 평가한다.
2단계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손상도를 정성적 지표(건축물 구조 손상도), 정량적 지표(건축물 균열폭 등)의 건축물의 구조에 따라 손상도를 평가하고, 제시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긴급위험도 평가의 결과는 건축물의 위치정보, 긴급위험도 평가의 평가결과 정보를 종합하여 시각화 한다면, 피해의 현황파악이나 피해정보지도 등의 주제를 도출하여 피해 수습활동 등에 활용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한편, 『건축법』 제48조의2(건축물 내진등급의 설정)에서는 건축물의 구조안전 확보를 위한 설계구조의 중요도에 따라 내진등급을 설정하도록 하고 있으며, 이에 대한 국토교통부령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60조(건축물의 내진등급 기준)에 의해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6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7
이에 따라 건축물의 중요도는 『건축법 시행령』 제32조(구조 안전의 확인)에 의하여 구조의 안전을 확인받아야 하며, 제2항 제6호의 국토교통부령에 의해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56조(적용범위)에 다음과 같이 명시하고 있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8
이에 제2항제6호의 국토교통부령은 『건축물의 구조기준 등에 관한 규칙』 제56조 (적용범위)의 제2항에서 명시하고 있으며 그 내용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09
이에 대한 건축물의 중요도 및 중요도계수에서는 건축물의 용도 및 규모에 따라 건축물의 중요도를 다음과 같이 구분하고 있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0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1
따라서 지진과 관련한 건축물의 분류규정에 따라 내진등급 또는 건축물 중요도를 활용하여 지진 안전건축물, 위험건축물 등과 관련된 주제도 콘텐츠를 도출할 수 있을 것으로 판단된다.
본 발명은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한 것에 특징이 있는 것으로, 여기에서 자동 동기화는 기존 구축된 정보인 정적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방안과 본 발명에서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조사를 통한 신규 항목 및 정보를 동기화하는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 방안으로 구분한다.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는 도 1에서 볼 수 있듯이 기존에 정보가 구축되어 있는 상태에서 연차별 최신 정보 또는 새로운 정보 발생 등 기존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안으로, 기존에 구축된 재난상황 정보의 최신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구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증을 진행하여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거친다.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 방안은 본 연구에서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재난상황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안으로, 재난상황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항목을 생성하고 재난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자료들을 반영하여 구축하고 동기화하는 과정을 거친다.
자동동기화 방안은 향후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한 방안으로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자동 동기화를 통한 재난 현장 중심의 재난상황관리를 위해서는 재난 현장 정보의 관리가 중요하며, 특히 기구축된 정보의 재난 정보 관리 및 동기화를 위해서는 구조화된 데이터 관리, 즉 메타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다.
메타데이터는 모든 데이터와 지식에 관한 ‘정보’를 포함하고 있으며, 메타데이터 관리는 정보의 통합적 관리를 나타내는데, 메타데이터를 관리하여 정보를 통합 관리한다면 데이터 품질 개선을 도모할 수 있고 비효율적인 데이터 관리 작업이 감소되며 데이터를 사용하는 업무의 신뢰성을 증가시킬 수 있으므로, 재난상황 정보의 혼동을 예방할 수 있고 나아가 재난 상황 정보의 동기화가 가능하다.
도 2에서와 같이 메타데이터 관리를 위해 메타데이터를 관리하는 시스템 체계를 먼저 구성하였는데, 이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에는 메타데이터의 소스를 수집하는 소스 계층, 수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하고 품질검증을 통한 적재 과정을 수행하는 메타 통합 계층,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거나 시스템과 작업을 관리하는 등의 메타 관리 계층, 통합되고 관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레파지토리 (Repository),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배포 계층, 관리되어지고 배포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으로 구성되어있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2
이렇게 구성된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해 물리모델 정보 (컬럼ID, 속성정보)를 자동 연동하고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여 기존 구축된 정보와 새롭게 수집한 재난 정보들을 업데이트하고 배포하여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를 지원한다.
본 절에서 제시한 매핑서비스의 메타데이터 관리체계는 우선적으로 여러 데이터들의 표준화 작업이 동반되어야 하는데, 데이터 표준의 목적은 시스템에서 활용하는 전체적인 데이터를 정의하고 활용하는데 적용하는 통일된 기준을 의미한다.
전사의 데이터 표준은 메타관리시스템에 등록한 기본단어, 업무용어 및 도메인 등을 지칭하며, 데이터 표준의 범위는 업무용어의 한글 및 영문 이름을 정하는 명명규칙, 업무용어에 대한 설명을 붙이는 정의규칙, 데이터 타입과 길이를 정하는 표현규칙 등이 표함된다.
데이터 표준의 용도는 업무적인 데이터 이름과 속성을 정하는 기준이 되고, 이를 활용한 지속적인 데이터 유지관리 체계의 기본이 되며, 이러한 데이터 표준작업을 포함하여 향후 데이터들의 지속적이고 안정적인 자동동기화를 위해서는 체계적인 정보화계획을 수립하여 데이터의 표준화, 메타관리체계 구축, 데이터 품질관리체계 구축, 서비스 인프라 확충 등 서비스 기반체계가 우선적으로 마련되어야 하는데, 본 발명에서 제시한 구성안은 향후 정보화계획을 수립함에 있어 기초자료로 활용이 가능할 것이다.
재난 현장정보의 자동동기화 방안 마련을 위해 본 발명에서는 우선적으로 매핑서비스에 필요한 현장정보 등록 항목을 정립하여 동기화할 재난상황 정보를 구성하였다.
본 발명에서는 다음과 같이 풍수해와 지진을 중심으로 하는 현장정보 동기화를 진행할 것이므로 풍수해와 지진의 각 재난별 수집 정보들을 분류하였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3
‘풍수해’는 홍수 예측정보, 취약지역 정보, 대피요령 및 대피소 등의 정보, 피해이력 등이 있고, ‘지진’은 지진피해 예측정보, 주요 인프라시설 정보, 2차 피해 유발 우려 시설 등이 있으며, 해당 정보는 주로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고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재난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원내 지도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있는 현장조사정보 등록 서비스를 활용하였으며, 본 기능을 매핑서비스의 생성기능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탑재하였다. 본 기능을 통하여 재난 현장의 조사정보를 동기화하여 매핑함으로써 재난 상황 관리자가 해당 정보를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이렇게 구현한 재난현장 지원 매핑서비스 주제도 제작의 ‘현장조사’ 등록기능을 통하여 현장 조사로 수집 및 등록한 정보를 입력하여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현장 정보 전달의 용이성을 증진시켜 데이터의 혼동을 줄여주는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를 지원한다. 본 시범구현에 적용된 현장조사 정보의 등록사항은 도 3에서와 같이 제목, 위치정보, 주요내용, 이미지 정보로 구현하였으며, ‘생성하기’ 기능에서는 엑셀로 현장조사 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재난현장 중심의 상황관리 지원용 매핑서비스 시범 구현을 위하여 주요 사용자인 국립재난안전연구원 담당자의 요구사항을 수집하였고, 이를 반영한 구현 방안을 도출하였다. 매핑서비스 구현에 대한 요구사항은 총 31개로 수집되었으며, 세부적으로 분류하면 재난맵포트 기능 개발 요구사항은 5개, 매핑콘텐츠 제안 기능개발 요구사항은 3개, 주제도 제작 기능개발 요구사항은 19개, 관리자 기능 개발 요구사항은 4개를 수집하였다. 요구사항 목록은 다음과 같다.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4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5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6
Figure 112020105824950-pat00017
본 발명에서는 수집한 요구사항을 바탕으로 매핑 콘텐츠 및 가시화 기능을 제공하기 위해 재난현장 지원 매핑 서비스 표출 기획(안)을 마련하였는데, 매핑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가 가시화된 정보를 활용하여 현장 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이 강화될 수 있도록 사용자 중심의 메뉴구조도 및 서비스 표출 화면을 기획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스템 사용자의 원활한 기능 활용을 위해 시스템 전체의 메뉴구조도를 여러번의 구성 과정을 거쳐 기획하였는데, 1차 기획으로 구성한 메뉴구조도는 재난이력 지도 현황을 확인할 수 있는 ‘Home’과 위험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위험지도 보기’, 피해 이력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력지도 보기’, 이벤트 리스트를 확인할 수 있는 ‘현장 조사’, 위험지도 및 이력지도를 관리할 수 있는 ‘지도 관리’로 구분하여 총 5가지의 메뉴로 구성하였었다.
그러나 검토 결과, 사용자 입장에서의 재난현장을 지원하는 매핑 서비스 구현이 어려울 것으로 판단되어 메뉴 구성도를 수정하였는데, 2차로 수정한 메뉴 구조도는 총 4가지의 메뉴로 구성하였으며 재난현장 지원 매핑 서비스 시스템의 메뉴는 재난이슈 및 사례를 조회할 수 있는 ‘재난맵포트’와 재난 이력 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매핑콘텐츠 제안’, 주제도를 설정할 수 있는 ‘주제도 설정’, 데이터와 계정 등을 관리하는 ‘주제도 관리’로 구분하였다.
다시 수정된 메뉴 구조도를 재검토한 결과, 사용자의 수정 요청사항이 있었고 사용자 요구사항에 따라 메뉴구조도를 부분적으로 재 수정하였다. 그렇게 수정된 3차 메뉴 구조도 기획안은 ‘재난맵포트’와 ‘매핑콘텐츠 제안’ 메뉴는 동일하고 다른 메뉴들을 주제도 작성 및 설정할 수 있는 ‘주제도 제작’, 데이터와 계정 등을 관리하는 ‘관리자’로 구분하여 수정하였다.
그리고 최종적으로, 매핑서비스 요구사항과 부합되는 시스템 메뉴를 구성하기 위해 메뉴구조도를 보완하여 도 4와 같이 재구성하였다. 최종적으로 구성한 메뉴 구조도는 ‘재난맵포트’와 ‘매핑콘텐츠 제안’, ‘주제도 제작’, ‘관리자’로 3차 메뉴 구조도 기획안과 대 메뉴 구성은 동일하지만, 세부적인 메뉴 항목을 수정하였다.
최종 메뉴구성도의 ‘재난맵포트’는 ‘재난이슈’ 하위 메뉴가 있으며, ‘매핑콘텐츠 제안’은 ‘풍수해’, ‘지진’ 하위메뉴를 구성하였고, ‘주제도 제작’은 기구축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불러오기’, 엑셀자료 등록을 통한 ‘생성하기’, 현장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현장조사’, 제작한 정보를 조회하는 ‘표출하기’, 제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관리’로 구성하였다. ‘관리자’는 ‘레이어 관리’, ‘재난(폴더) 관리’, ‘계정관리’ 하위메뉴가 있도록 기획하였으며, 총 4개의 대 메뉴와 11개 세부 하위 메뉴로 구성되어 있는 메뉴구조도를 구성하였다.
앞서 수집한 요구사항과 메뉴구조도를 기반으로 매핑서비스 기능에 대한 스토리 보드를 도출하였는데, 스토리보드는 최초 작성한 내용에 대한 담당자와의 검토를 통하여 수정하며 최종안을 마련하였다.
시스템의 초기 화면은 도 다음 도 5, 6과 같은데, 첫 화면에서는 메뉴 ‘재난맵포트’화면이 표출되도록 하였고 ‘매핑콘텐츠 제안’, ‘주제도 관리’, ‘주제도 관리’ 메뉴는 로그인 시 이용 가능하도록 설정하도록 구성하였으며, 오른쪽 상단에는 ‘인쇄’, ‘다운로드(img)’, ‘Log-In’ 버튼을 배치하여 각각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하였고,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 버튼이 있는 곳의 버튼이 관리자모드와 로그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바뀌도록 구성하였다.
다음 도 7은 ‘재난맵포트’ 메뉴의 화면 구성안인데, 왼쪽에 관련 사례들을 배치해두었고 이를 클릭하면 해당 재난 사례의 주제도 목록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하였다.
표출된 팝업창에서는 보고자 하는 주제도의 ‘보기’버튼을 클릭하여 주제도를 확인할 수 있다. 매핑콘텐츠 사례에서는 로그인 없이도 조회가 가능한 서비스이며, 주요 재난에 대한 대표적인 사례를 제시해줌으로써 사용자가 기본적인 매핑콘텐츠에 대한 정보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8은 ‘매핑콘텐츠 제안’ 메뉴의 화면으로서, 화면 왼쪽에는 재난별 주제도 목록을 배치해두었고 지도 프레임 안에는 지역을 선택해서 이동할 수 있는 지역 콤보박스와 표출되는 지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 콤보 박스를 배치하였다.
사용자가 왼쪽 상단에서 주제도를 선택하면 선택한 주제도가 화면에 표출되며 하위목록으로 주제도에 포함되어 있는 Layer 목록이 표출된다.
이 목록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Layer를 다시 선택하면 포함되어있는 DB의 목록이 팝업창으로 표출되며, 팝업창에서 DB 목록 ‘보기’버튼을 선택하면 DB의 속성정보 팝업창이 표출된다.
매핑콘텐츠 제안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주요 재난에 대한 대표적인 매핑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고, 필요에 따라 관리자는 작성된 매핑콘텐츠의 공개여부를 설정하여 재난유형별 필요한 매핑콘텐츠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해당 메뉴는 계정을 부여받은 사용자가 완성된 다양한 매핑콘텐츠에 대한 목록을 조회함으로써 매핑콘텐츠에 대한 이해와 작성방향에 대한 숙지에도 활용이 가능할 것으로 판단된다.
다음은 ‘주제도 제작’ 메뉴의 화면 구성안이다. 해당메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매핑콘텐츠에 대한 주제도를 제작하는 기능으로 주제도 작성 및 설정 작업 과정들을 왼쪽에 배치하였는데, 도 9의 ‘폴더만들기’ 기능으로, 이 기능은 주제도를 저장하기 위한 폴더를 생성하는 기능이다.
사용자가 항목을 선택한 후 ‘재난(폴더) 관리’를 선택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이 표출되고, 표출된 팝업창에서 ‘재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재난생성 팝업창이 표출되며 유형과 명칭을 선택 및 입력하고 생성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에 목록으로 표출되며, 생성한 폴더를 삭제할 때에는 재난 폴더 목록에서 해당 폴더를 선택하고 ‘재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도 10과 같이 재난 수정 팝업창이 표출되며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삭제를 진행한다.
도 11은 '열기’ 기능에 대한 것으로, 주제도를 불러오거나 작성하기 위한 기능으로서, 이 기능은 ‘기구축 위험주제도불러오기’, ‘열기’, ‘사용자 주제도 불러오기’로 구성되는데, '기구축 위험주제도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기구축 위험 주제도 팝업창이 표출되고, 불러오고자 하는 주제도를 선택 후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주제도가 화면에 표출되어지도록 하였다.
주제도를 불러오면 주제도의 Layer 그룹 목록이 표출되는데, 주제도의 속성정보를 확인하고자 한다면, 조회하고자 Layer 목록을 선택한다.
그리고 표출되는 주제도 Layer 팝업창에서 다시 조회하고자 하는 데이터의 속성정보 ‘보기’버튼을 클릭하여 도 12와 같이 속성정보 팝업창에서 해당 주제도 Layer의 속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도록 하였다.
도 13과 같이 해당 주제도를 저장하려 할 때에는 포함하고자 하는 Layer를 선택하고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한다. 그리고 표출된 저장하기 팝업창에서 저장하고자하는 재난을 선택하고 주제도 명칭을 기입하여 팝업창 내에 있는 ‘저장하기’버튼을 클릭한다. 그러면 선택한 재난 하위 주제도로 저장이 되며 사용자는 재난별 주제도를 확인할 수 있게 된다.
여기에서‘주제도 작성’ 버튼을 클릭하면 주제도 포함할 Layer 목록이 표출되고 목록을 선택하면 Layer의 데이터 목록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하였다. 사용자는 이 목록들 중 데이터를 선택하고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도 14와 같이 해당 데이터가 불러와 진 것을 표출된 지도 화면으로 확인할 수 있다.
Layer와 데이터를 모두 선택하고 ‘저장하기’ 버튼을 클릭하면 도 15와 같이 저장 팝업창이 표출되고, 재난유형과 명칭을 선택 및 기입하여 저장할 수 있도록 기획하였다.
‘사용자 주제도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면 사용자 주제도 불러오기 팝업창이 표출되고, 사용자는 이 팝업창에서 불러오고자 하는 주제도를 선택하고 ‘불러오기’ 버튼을 클릭하여 불러올 수도 있다.
다음은 ‘생성’ 기능으로 주소 및 위경도, 위치정보를 통해 정보를 등록하려 할 때 데이터를 생성하도록 하는 기능으로서, 도 16에서 보듯이 ‘생성 데이터 관리’를 클릭하면 생성된 데이터의 리스트를 표출하는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기획하였다. 이 팝업창에서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DB 등록 팝업창이 표출되고 사용자는 제목 및 주소, 내용 입력과 자료 등록을 통해 DB 등록을 진행할 수 있다.
여기서 주소 입력을 위해 ‘주소 검색’ 버튼을 클릭하면 ‘위치정보조회’ 팝업창이 표출된다. 사용자는 검색 구분 설정으로 통해 원하는 방식으로 주소를 검색할 수 있도록 하였고, 검색결과를 선택하면 선택한 주소가 DB등록 팝업창에 표출되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입력한 주소에 맞도록 위치 정보가 입력되었는지 확인하기 위한 주소 확대기능을 기획하였다. 이 기능은 ‘주소 확대’ 버튼을 클릭하면 입력한 주소에 따른 위치를 지도 화면으로 표출시켜 확인할 수 이도록 하는 기능이다.
지도 검색 기능 외에도 주소를 알 수 없을 경우에도 주소 입력을 할 수 있는 지도 선택 기능과 건물 선택 기능도 구비하고 있다.
지도 선택 기능은 ‘지도 선택’ 버튼을 클릭한 후 입력하고자 하는 지점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창에 해당 지점의 주소가 입력되는 기능이고, 건물 선택 기능도 마찬가지로 ‘건물 선택’ 버튼을 클릭한 후 입력하고자 하는 건물을 클릭하면 주소 입력 창에 건물의 주소가 입력된다.
이렇게 정보를 입력한 후 ‘등록’ 버튼을 클릭하면 아래 도 17과 같이 생성 데이터 리스트 팝업창에 등록된 내용이 표출되도록 하였다. 그리고 해당 데이터 목록을 선택하면 입력된 지점이 지도 화면상에도 표출되도록 하였다.
다음은 ‘표출’ 기능으로, 화면상에 표출되는 정보를 관리하기 위한 기능인데, 이 기능은 ‘심벌 관리’, ‘속성정보 보기’ 로 구성하였다. 도 18의 심벌 관리 기능은 지도에 표출되는 색상이나 심벌의 정보를 변경하고 싶을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심벌 관리’를 클릭하여 표출되는 심벌 관리 팝업창에서 관리할 수 있다. 변경하고자 하는 데이터 항목의 ‘변경’버튼을 클릭하면 변경하기 팝업창이 표출되고 레이어 명칭, 데이터 명칭, 데이터 타입 등을 설정하고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심벌 관리 팝업창에서 내용이 변경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그리고 심벌 관리 팝업창으로 돌아와 ‘저장’ 버튼을 클릭하면 변경된 내용의 심벌이 저장된다.
또한, '속성정보 보기’ 버튼을 클릭하면 속성정보 보기 팝업창이 표출되고 원하는 데이터를 선택하면 해당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팝업창에서 확인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도 19는 ‘입력’ 기능으로, 수집된 재난현장정보를 사용자가 직접 자유롭게 입력하는 기능으로 주제도를 작성하며 표시해두는 메모형식의 기능으로 구성하였다. 이 기능은 도형을 그리는 ‘그리기’ 기능과 텍스트를 기입하는 ‘텍스트’기능으로 구성하였으며, 입력한 상태에서 이미지 형태로 다운로드 받을 수 있고, 주제도에 함께 저장은 되지 않는 형태로 구성하였다.
입력 항목의 ‘그리기’ 버튼을 클릭하면 그리기 도구 팝업창이 표출되고 사용자는 입력하고자하는 도형의 속성을 선택하여 도형을 그릴 수 있으며, 텍스트를 입력하기 위해 ‘텍스트’ 버튼을 클릭하면 텍스트 도구 팝업창이 표출되고 마찬가지로 사용자가 입력하고자하는 텍스트를 설정하여 입력할 수 있다.
도 20은 주제도 제작 메뉴의 마지막 항목인 ‘계산’ 기능으로, 사용자가 조회하고 있는 화면에서 거리와 면적을 측정하는 기능이다. 해당 기능은 지역에 대한 시설물, 하천 등 각종 정보들의 개략적인 거리와 침수 등 면적에 대한 값을 측정하기 위해 구성하였다.
마지막 메뉴인 ‘관리자’ 메뉴의 화면 구성안이다. 관리자 메뉴에서는 매핑서비스에 적용된 데이터 및 주제도, 계정을 관리할 수 있는 메뉴로 관리할 각 항목들은 화면 상단에 배치하였다.
먼저 ‘데이터관리’ 기능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기 구축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 목록을 조회하고 각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또한, 새로운 Layer와 DB를 추가하기 위한 기능으로 도 21과 같이 ‘데이터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 추가 팝업창이 표출되고 정보 입력 및 파일을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하였다.
그리고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확인하고자 할 때는 데이터 항목을 선택하여 오른쪽에 표출되는 데이터의 속성정보를 확인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데이터 속성 정보들을 확인하면서 영어로 입력되어 있는 코드를 식별하기 용이한 한글 명칭으로 입력하는 것이 가능하고, 속성정보 표출 여부 또한 선택이 가능하다. 또, 등록한 데이터의 내용을 수정하고자 할 때에는 해당 항목의 ‘변경’ 버튼을 클릭하면 표출되는 변경하기 팝업창에서 수정을 진행하거나 삭제를 진행할 수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주제도 관리 기능이다. 도 22의 기능은 주제도의 내용 및 공개 여부 등을 관리할 수 있는 기능으로 관리하고자 하는 주제도를 선택하면 표출되는 주제도 관리 팝업창을 통해 관리할 수 있다. 표출된 팝업창에서는 재난 유형, 명칭, 공개 여부를 선택 및 입력할 수 있고 사용자가 ‘수정’ 또는 ‘삭제’ 버튼을 사용하여 주제도를 관리할 수 있도록 하였다.
마지막으로 계정 관리 기능이다. 이 기능은 시스템을 사용하는 사용자의 계정 및 접속 현황, 권한을 확인하고 관리할 수 있는 기능으로서, 기능 구분을 위해 ‘계정 관리’ 항목과 ‘메뉴 및 권한관리’로 나누어 왼쪽에 배치하였다.
먼저 계정관리 항목에서 ‘사용자 관리’ 항목을 선택하면 도 23과 같이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사용자 목록이 포함된 사용자 계정이 관리 화면이 표출되며, 표출된 사용자 목록에서는 아이디별로 항목을 구분할 수 있고 삭제할 수 있는 기능을 기획하였다.
또한 표출된 화면에서 ‘생성창 열기’ 버튼을 클릭하면 표출된 목록 위로 사용자 추가 창이 표출되며, 추가하고자 하는 사용자 정보를 입력하고 ‘생성’ 버튼을 클릭하여 사용자를 추가할 수 있다.
계정관리 항목의 ‘접속현황’ 항목을 선택하면 사용자 별 접속 현황이 표출된다. 시스템의 등록된 사용자의 접속 내용을 확인하고자 할 때 사용할 수 있는 기능으로, 특정 사용자와 기간을 입력 및 선택하여 조회할 수도 있도록 하였다.
다음은 메뉴 및 권한 관리 항목이다. 메뉴 및 권한관리 항목에서 ‘권한관리’항목을 선택하면 아이디별로 메뉴 사용권한을 설정할 수 있으며, 읽기, 쓰기 사용권한을 구분하여 설정할 수 있다.
이처럼 사용자 입장에서 사용이 용이하고 활용성 있는 시스템을 구축하기 위해, 최종 수정된 메뉴 구조도에 따라 각각의 최종 화면 기획안을 구성하였다.
구성한 메뉴구조도를 토대로 서비스 표출 화면을 스토리보드로 기획하였고, 이를 구체적인 화면으로 구현하기 위한 화면 디자인 시안 제작을 진행하였다. 디자인 시안 제작에 있어서 서비스를 이용하는 사용자를 위해 해상도 및 폰트, 색상의 기준을 정하여 통일성 있는 서비스 화면을 제공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여러 사용자들의 사용 환경을 고려하여 기본 해상도를 1920*1080의 사이즈와 16:9 HD 비율로 설정하였고, 폰트는 가독성이 좋은 맑은 고딕으로 설정하였다.
색상도 사용자 입장에서 시각적인 무리가 최소화되도록, 배경이 되는 색상은 무채색으로 설정하고 구분이 필요한 부분의 색상은 식별이 용이하고 시각적 피로도가 적은 파란색 계열의 색상으로 설정하였다.
이와 같이 설정한 해상도 및 폰트, 색상 기준을 바탕으로 매핑 서비스의 대략적인 디자인 시안을 제작하였다. 주제도 설정(제작) 화면과 로그인 화면의 디자인 시안을 도 24, 25와 같이 제작하였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에서는, 매핑체계 설계 및 기능개발을 통해 현장중심 정보를 활용하여 상황 인식을 통일하고 현장 대응역량 강화할 수 있도록 하는데,
먼저 상황인식 통일을 위해 재난현장·지대본·중대본간의 신속한 정보공유·전달체계를 일원화된 정보공유 체계를 구축하여, 중앙, 지자체 등 누구라도 손쉽게 접근이 가능한 전달체계를 마련하고, 재난발생 초기의 신속한 상황관리와 현장지원을 위한 재난 유형별 객관적 정보수집체계구축과 더불어 현장중심의 정보를 가시적 형태의 매핑콘텐츠를 구축하도록 하며, 마지막으로 구축한 지도기반 정보표출 체계를 연구원내 지도기반 상황관리 시스템을 활용한 연계·표출 기능을 개발하여 현장중심의 재난관리 역량을 강화할 수 있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에서는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함으로써, 향후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가능케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은 바람직한 실시형태에서 구체적으로 기술되었으나, 상기한 실시형태는 그 설명을 위한 것이며, 그 제한을 위한 것이 아님을 주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명백한 것이며, 따라서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이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Claims (13)

  1. 재난상황 발생 전 기본적으로 구축할 수 있는 데이터를 뜻하는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상황 발생 시에 실시간으로 구축하는 데이터를 뜻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를 접목하여 자료 및 정보를 분석하고 지도 기반의 가시화된 결과물을 서비스하는 매핑서비스의 데이터를 자동 동기화하기 위한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자동 동기화는 기존 구축된 정보인 정적 데이터의 업데이트를 위한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와,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조사를 통한 신규 항목 및 정보를 동기화하는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로 이루어지고,
    상기 '기구축 정보의 동기화’는 기존에 정보가 구축된 있는 상태에서 연차별 최신 정보 또는 새로운 정보 발생과 같이 기존 정보의 업데이트가 필요할 때 적용할 수 있는 동기화 방안으로, 기존에 구축된 재난상황 정보의 최신 정보들을 수집하고 기구축된 정보와 비교하여 정합성 검증을 진행하여 정보 업데이트 과정을 거치고,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동적 데이터로 분류한 현장 조사를 통해 얻은 재난상황 정보를 동기화하는 방안으로, 재난상황 정보의 수집이 필요한 항목을 생성하고 재난 현장조사를 통해 얻은 조사 자료들을 반영하여 구축하고 동기화하는 과정을 거치며,
    상기 자동동기화는 매핑서비스를 운영함에 있어 기본이 되는 기구축 ‘정적 매핑 데이터’와 재난 현장 정보를 기반으로 하는 ‘동적 매핑 데이터’의 지속적인 서비스를 위해 제공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2. 제 1항에 있어서,
    자동 동기화를 통한 재난 현장 중심의 재난상황관리 및 동기화를 위해서는 구조화된 데이터 관리, 즉 메타 데이터 관리가 필요하므로, 메타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한 시스템 체계로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구비되는데,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에는 메타데이터의 소스를 수집하는 소스 계층, 수집한 소스에서 데이터를 추출하고 변환하고 품질검증을 통한 적재 과정을 수행하는 메타 통합 계층, 메타데이터를 등록하거나 시스템과 작업을 관리하는 메타 관리 계층, 통합되고 관리된 메타데이터를 저장하는 메타데이터 레파지토리 (Repository), 저장된 메타데이터를 분석하고 검증하는 배포 계층, 관리되어지고 배포된 데이터를 사용하는 사용자 계층으로 구성되며,
    이와 같이 구성된 메타데이터 관리 시스템이 매핑콘텐츠 제공방법을 수행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을 통해 물리모델 정보 (컬럼ID, 속성정보)를 자동 연동하고 데이터 정합성을 확보하여 기존 구축된 정보와 새롭게 수집한 재난 정보들을 업데이트하고 배포하여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를 지원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재난상황 정보는 텍스트 형태로 구성되고 이미지를 첨부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재난 현장조사 정보의 동기화는 지도기반의 상황관리시스템에서 활용하고있는 현장조사정보 등록 서비스를 활용하여, 매핑서비스의 생성기능에 적합하도록 변경하여 탑재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5. 제 1항에 있어서,
    재난현장 지원 매핑서비스 주제도 제작의 ‘현장조사’ 등록기능을 통하여 현장 조사로 수집 및 등록한 정보를 입력하여 동기화하고, 동기화된 정보를 활용하여 재난 현장 정보 전달의 용이성을 증진시켜 데이터의 혼동을 줄여주는 재난현장 데이터의 동기화 지원을 가능케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6. 제 5항에 있어서,
    제목, 위치정보, 주요내용, 이미지 정보로 구현하고, ‘생성하기’ 기능에서는 엑셀로 현장조사 정보의 등록이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7.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메타데이터 관리시스템인 재난현장 지원 매핑 서비스 시스템의 메뉴는, 재난이슈 및 사례를 조회할 수 있는 ‘재난맵포트’, 재난 이력 지도를 확인할 수 있는 ‘매핑콘텐츠 제안’, 다른 메뉴들을 주제도 작성 및 설정할 수 있는 ‘주제도 제작’, 데이터와 계정을 관리하는 ‘관리자’를 포함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8. 제 7항에 있어서,
    상기‘재난맵포트’는 ‘재난이슈’의 하위 메뉴를 가지고, ‘매핑콘텐츠 제안’은 ‘풍수해’, ‘지진’의 하위메뉴를 가지며, ‘주제도 제작’은 기구축된 데이터를 불러오는 ‘불러오기’, 엑셀자료 등록을 통한 ‘생성하기’, 현장정보를 직접 입력하는 ‘현장조사’, 제작한 정보를 조회하는 ‘표출하기’, 제작한 정보를 저장하는 ‘저장 관리’의 하위메뉴를 가지고, ‘관리자’는 ‘레이어 관리’, ‘재난(폴더) 관리’, ‘계정관리’의 하위메뉴를 가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9. 제 7항에 있어서,
    첫 화면에서는 메뉴 ‘재난맵포트’화면이 표출되고 ‘매핑콘텐츠 제안’, ‘주제도 관리’, ‘주제도 관리’ 메뉴는 로그인 시 이용 가능하도록 구성되고, 부가적으로 ‘인쇄’, ‘다운로드(img)’, ‘Log-In’의 버튼을 배치하여 각각의 버튼을 클릭하면 해당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는 팝업창이 표출되며, 로그인을 하면 로그인 버튼이 있는 곳의 버튼이 관리자모드와 로그아웃을 선택할 수 있는 버튼으로 바뀌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10. 제 7항 또는 제 9항에 있어서,
    화면 왼쪽에는 재난별 주제도 목록을 배치하고 지도 프레임 안에는 지역을 선택해서 이동할 수 있는 지역 콤보박스와 표출되는 지도 종류를 선택할 수 있는 지도 콤보 박스를 배치했으며,
    사용자가 왼쪽 상단에서 주제도를 선택하면 선택한 주제도가 화면에 표출되고 하위목록으로 주제도에 포함되어 있는 Layer 목록이 표출되며, 이 목록에서 확인하고자 하는 Layer를 다시 선택하면 포함되어있는 DB의 목록이 팝업창으로 표출되고, 팝업창에서 DB 목록 ‘보기’버튼을 선택하면 DB의 속성정보 팝업창이 표출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11. 제 7항에 있어서,
    매핑콘텐츠 제안은 요구사항을 반영하여 주요 재난에 대한 대표적인 매핑콘텐츠를 조회할 수 있도록 구성되고, 관리자가 작성된 매핑콘텐츠의 공개여부를 설정하여 재난유형별 필요한 매핑콘텐츠 정보 조회가 가능하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12. 제 7항에 있어서,
    ‘주제도 제작’ 메뉴는 관리자 또는 사용자가 매핑콘텐츠에 대한 주제도를 제작하기 위한 것으로, ‘주제도 제작’ 메뉴를 선택 후 ‘재난(폴더) 관리’를 선택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이 표출되고, 표출된 팝업창에서 ‘재난 생성’ 버튼을 클릭하면 다시 재난생성 팝업창이 표출되고, 유형과 명칭을 선택 및 입력하고 생성하면 재난 폴더 관리 팝업창에 목록으로 표출되며, 생성한 폴더를 삭제할 때에는 재난 폴더 목록에서 해당 폴더를 선택하고 ‘재난 수정’ 버튼을 클릭하면 재난 수정 팝업창이 표출되며 ‘삭제’버튼을 클릭하여 삭제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13. 제 7항에 있어서,
    ‘관리자’메뉴의 ‘데이터관리’ 기능은, 시스템에 등록되어 있는 기 구축된 데이터들을 관리하는 기능으로, 데이터 목록을 조회하고 각 정보들을 세부적으로 조회하고 관리할 수 있도록 구성되는데,
    새로운 Layer와 DB를 추가하기 위한 기능으로 '데이터 추가’ 버튼을 클릭하면 데이터 추가 팝업창이 표출되고 정보 입력 및 파일을 업로드하여 데이터를 추가할 수 있도록 구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KR1020200129175A 2020-10-07 2020-10-07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KR1022302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75A KR102230258B1 (ko) 2020-10-07 2020-10-07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9175A KR102230258B1 (ko) 2020-10-07 2020-10-07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30258B1 true KR102230258B1 (ko) 2021-03-19

Family

ID=7526179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9175A KR102230258B1 (ko) 2020-10-07 2020-10-07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3025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54B1 (ko)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KR102490062B1 (ko) 2022-03-10 2023-01-18 (주)큐브더모먼트 Ai 기반 사용자 맞춤형 재난 위험예측 및 안전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30170604A (ko) 2022-06-09 2023-12-19 조남열 사업주 맞춤형 중대재해 예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39A (ko)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80114814A (ko) 2017-09-18 2018-10-1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KR102013145B1 (ko) * 2019-04-05 2019-08-27 대한민국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144B1 (ko) * 2019-04-05 2019-10-21 대한민국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106439A (ko) * 2015-03-02 2016-09-12 한남대학교 산학협력단 자연재해 피해조사를 위한 지형공간정보 융합시스템
KR20170022607A (ko) 2015-08-21 2017-03-02 대한민국(국민안전처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재난 안전 통합관리 시스템에 의한 관심지역 분석방법
KR20180114814A (ko) 2017-09-18 2018-10-19 대한민국(행정안전부 국립재난안전연구원장)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KR102013145B1 (ko) * 2019-04-05 2019-08-27 대한민국 민관공조 기반 드론을 이용한 현장정보 수급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144B1 (ko) * 2019-04-05 2019-10-21 대한민국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350254B1 (ko) * 2021-04-14 2022-01-12 대한민국 격자기반 데이터를 활용한 시공간적 변화 패턴 도시방법
KR102490062B1 (ko) 2022-03-10 2023-01-18 (주)큐브더모먼트 Ai 기반 사용자 맞춤형 재난 위험예측 및 안전관리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30134089A (ko) 2022-03-10 2023-09-20 (주)큐브더모먼트 Ai 기반 사용자 맞춤형 재난 대응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KR20230170604A (ko) 2022-06-09 2023-12-19 조남열 사업주 맞춤형 중대재해 예방 방법, 장치 및 컴퓨터프로그램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30258B1 (ko)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US9984170B2 (en) Community awarenes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US8046309B2 (en) Community awareness management systems and methods
Bhowmick et al. Ibm intelligent operations center for smarter cities administration guide
US20040059586A1 (en) System and method for updating real estate web sites
Fiedukowicz et al. Map portal as a tool to share information on cultural heritage illustrated by the national heritage board geoportal
KR102269545B1 (ko) 지적정보 이력을 활용한 수치화된 측량정보 분석 기능의 성과검사 시스템
KR102533004B1 (ko) 최신 주제도정보 제공 방법
She et al. A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GIS)–based bridge management system
Poore et al. Structures data collection for the National Map using volunteered geographic information
Ezquerra et al. Zaragoza: Two Housing Estates, Two Neighbourhoods. Comparative Cartographic Analysis of Two Urban Growth Forms
KR102273308B1 (ko) 매핑콘텐츠 결과물을 제공하기 위한 재난상황 관리시스템
Herbreteau et al. GeoHealth and QuickOSM, two QGIS plugins for health applications
Marcer et al. Handling historical information on protected-area systems and coverage. An information system for the Natura 2000 European context
Angelides et al. Using multimedia database information systems over the Internet for enhancing the planning processes for dealing with the built heritage
JP2011059818A (ja) 砂防関連情報管理システム
Kemavuthanon et al. Integrate system design and development of Global Sustainable Tourism Criteria system (GSTC)
KR20240078539A (ko) 토지의 미래가치의 예측기능이 구비된 지도정보서비스시스템의 제어방법
Ardiyansa et al. WEB Based Geographic Information System For School Maping In Bungo District
Joshua et al. Integration Of E-Government Blue Prints Through GIS-Building Data Collection Implementation In Badung Regency
Lee et al. Earthquake damage assessment system for New Taipei City
Lejdel Implementation of GIS for the Sanitation System in El-Oued City
Arundhati et al. Ibm intelligent operations center for smarter cities administration guide
Green Development of a traffic sign inventory system: Sign Click.
Higgs et al. The use of GIS with address-based information in planning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