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3144B1 -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 Google Patents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3144B1
KR102013144B1 KR1020190040200A KR20190040200A KR102013144B1 KR 102013144 B1 KR102013144 B1 KR 102013144B1 KR 1020190040200 A KR1020190040200 A KR 1020190040200A KR 20190040200 A KR20190040200 A KR 20190040200A KR 102013144 B1 KR102013144 B1 KR 10201314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earthquake
map
mapping
statu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40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이소희
김미송
Original Assignee
대한민국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한민국 filed Critical 대한민국
Priority to KR1020190040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314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314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314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06Q50/26Government or public ser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9/00Maps; Plans; Charts; Diagrams, e.g. route diagram
    • G09B29/003Maps
    • G09B29/006Representation of non-cartographic information on maps, e.g. population distribution, wind direction, radiation levels, air and sea rout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conom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Development Economic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cology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Alarm Systems (AREA)

Abstract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이 제공되며,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 중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피해현황자료를 피해현황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정보인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고,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시설물 위치정보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수집된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METHOD FOR PROVIDING MAP BASED EARTHQUAKE ANALYSIS INFORMATION SERVICE USING THEMATIC MAP}
본 발명은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관한 것으로, 피해현황, 생활안전 및 재난안전 시설물 정보를 지도에 매핑하여 시각화할 수 있는 방법을 제공한다.
한국은 지리적, 기후적 특성으로 인하여 자연재난이 매해 발생하며, 이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는 국가경제에 부담으로 작용하고 있다. 자연재난발생은 예측이 곤란하며, 재난발생시 대규모 피해를 발생시키기 때문에 공공 또는 민간 등 어느 한 부문만의 노력으로 피해를 예방하거나 극복하기 어렵다. 이에, 정부는 자연재난피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댐 및 저수지 건설, 제방 구축, 홍수로 개설 등의 구조적 대책과 홍수 예보, 경보 및 대피 체계의 구축, 토지 이용 및 개발 규제 등을 통한 비구조적 대책을 수립하여 추진하고 있다. 이때, 재난관리체계는 재난을 예방하고 위험으로부터 국민의 생명과 재산을 보호하기 위한 재난사전 단계와 재난 시 신속한 대응 활동을 통해 재난피해 최소화를 위한 재난사후 단계로 구분된다.
이때, 재난재해정보를 GIS 또는 공간정보를 기준으로 평가를 하거나 공간정보상에 표시를 하는 구성이 연구 및 개발되었는데, 이와 관련하여, 선행기술인 한국등록특허 제10-1531324호(2015년06월24일 공고) 및 한국등록특허 제10-1737815호(2017년05월29일 공고)에는, 지역별로 수집 및 관리되는 각종 재난재해 자료를 지아이에스 정보와 함께 연동시켜, 지역별로 평가할 때 보다 객관적이고 효용성 있는 자료를 제공하는 구성과, 재난정보를 시간 및 위치정보와 함께 지도에 표시하는 구성이 개시되어 있다.
다만, 한국의 재난관리체계는, 현장에서 지역대책본부로, 지역대책본부에서 다시 중앙대책본부로 이어지며 재난정보가 수집되고 보고되기 때문에 상술한 구성을 이용한다고 할지라도 정확한 재난정보의 표시가 어렵고 정보수집이 집중되지 않는다. 특히, 시설물 긴급위험도 평가결과 등의 자료는 종합 통계수치로만 관리되고 있어서 시인성이 매우 떨어진다. 또한, 평가결과 등의 자료는, 평가완료 혹은 진행 중으로 구분되어 수치적으로만 업데이트되고 있어서, 지역구분이 어렵고 현장에 나가서 판정하는 담당자의 중복점검이 발생하거나, 인수인계 시에도 혼선을 빗는 경우가 발생하고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의 수집 및 정보관리를 일원화 및 집중화하고, 문자와 통계수치 위주의 자료를 매핑주제도로 시각화함으로써 각 주제별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지역별 시간흐름에 따른 대응과정, 대응이력 및 피해현황을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황인식 통일 및 정보공유와 더불어 지역상황관리의 역량강화를 제고할 수 있는,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술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 중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피해현황자료를 피해현황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정보인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고,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시설물 위치정보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수집된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생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과제 해결 수단 중 어느 하나에 의하면,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의 수집 및 정보관리를 일원화 및 집중화하고, 문자와 통계수치 위주의 자료를 매핑주제도로 시각화함으로써 각 주제별 상황을 직관적으로 파악할 수 있도록 하고,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함으로써 지역별 시간흐름에 따른 대응과정, 대응이력 및 피해현황을 관리하기 용이하도록 하고, 상황인식 통일 및 정보공유와 더불어 지역상황관리의 역량강화를 제고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피해현황자료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는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를 구현하기 위해 매핑주제도의 목록을 과정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를 통하여 주제에 따라 생성된 매핑주제도의 일 실시예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하며,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분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약", "실질적으로" 등은 언급된 의미에 고유한 제조 및 물질 허용오차가 제시될 때 그 수치에서 또는 그 수치에 근접한 의미로 사용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정확하거나 절대적인 수치가 언급된 개시 내용을 비양심적인 침해자가 부당하게 이용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된다. 본 발명의 명세서 전체에서 사용되는 정도의 용어 "~(하는) 단계" 또는 "~의 단계"는 "~ 를 위한 단계"를 의미하지 않는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부(部)'란,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unit), 소프트웨어에 의해 실현되는 유닛, 양방을 이용하여 실현되는 유닛을 포함한다. 또한, 1개의 유닛이 2개 이상의 하드웨어를 이용하여 실현되어도 되고, 2개 이상의 유닛이 1개의 하드웨어에 의해 실현되어도 된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해당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와 연결된 서버에서 대신 수행될 수도 있다. 이와 마찬가지로, 서버가 수행하는 것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도 해당 서버와 연결된 단말, 장치 또는 디바이스에서 수행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 있어서, 단말과 매핑(Mapping) 또는 매칭(Matching)으로 기술된 동작이나 기능 중 일부는, 단말의 식별 정보(Identifying Data)인 단말기의 고유번호나 개인의 식별정보를 매핑 또는 매칭한다는 의미로 해석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를 포함할 수 있다. 다만, 이러한 도 1의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시스템(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므로, 도 1을 통하여 본 발명이 한정 해석되는 것은 아니다.
이때, 도 1의 각 구성요소들은 일반적으로 네트워크(network, 200)를 통해 연결된다. 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그리고,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200)를 통하여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와 연결될 수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는, 복수의 단말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 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의 일 예에는 RF,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PP(5th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NFC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하기에서,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는 단수 및 복수를 포함하는 용어로 정의되고, 적어도 하나의 라는 용어가 존재하지 않더라도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존재할 수 있고, 단수 또는 복수를 의미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또한, 각 구성요소가 단수 또는 복수로 구비되는 것은, 실시예에 따라 변경가능하다 할 것이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피해현황정보에 대한 자료수집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피해현황정보를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지진방재관리과, 중앙부처 및 지자체 등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지진재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에 대응한 각 주관 및 연계부처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제공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첫 번째로 공공기관 서버(100)로부터 피해현황자료를 수집하고, 수집된 피해현황자료 중 위치정보가 포함된 자료를 필터링하여 추출하는 서버일 수 있다. 또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피해현황자료에 개인정보가 포함된 경우, 개인정보보호법에 따라 마스킹처리를 하거나 해당 데이터를 변형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두 번째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적어도 하나의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생활안전정보를 요청하고, 이에 대응하여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마지막으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상술한 공공기관 또는 생활안전정보 서비스나 다른 데이터 제공 서버(미도시)로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여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렇게,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가 모두 수집된 경우,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핑주제도를 생성하는데, 수집된 자료를 주제에 따라 분류하고, 각 주제에 따라 이에 포함된 자료를 위치기반으로 지도에 표시할 수 있도록 하는 서버일 수 있다. 그리고,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지도에 표시할 때 축척, 범례 등의 기능을 이용하여 밀도, 영역, 지역 등의 상황을 다르게 표시하는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관련 웹 페이지, 앱 페이지,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을 이용하여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부터 생활안전정보에 대한 자료수집요청이 수신되는 경우, 이에 대한 응답으로 생활안전정보를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로 전송하는 서버일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행정안전부, 중앙재난안전상황실, 지진방재관리과, 중앙부처 및 지자체 등의 서버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고, 지진재난 위기관리 표준 매뉴얼에 대응한 각 주관 및 연계부처의 서버일 수 있다.
여기서,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컴퓨터로 구현될 수 있다. 여기서, 컴퓨터는 예를 들어, 네비게이션, 웹 브라우저(WEB Browser)가 탑재된 노트북, 데스크톱(Desktop), 랩톱(Laptop)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네트워크를 통해 원격지의 서버나 단말에 접속할 수 있는 단말로 구현될 수 있다.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예를 들어, 휴대성과 이동성이 보장되는 무선 통신 장치로서, 네비게이션,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s),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 패드(smartpad), 타블렛 PC(Tablet PC) 등과 같은 모든 종류의 핸드헬드(Handheld) 기반의 무선 통신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도 2는 도 1의 시스템에 포함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를 설명하기 위한 블록 구성도이고, 도 3 내지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가 구현된 일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제 1 저장부(310), 제 2 저장부(320), 구축부(330), 생성부(340)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나 연동되어 동작하는 다른 서버(미도시)가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전송하는 경우,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는,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애플리케이션, 프로그램, 앱 페이지, 웹 페이지 등을 설치하거나 열 수 있다. 또한, 웹 브라우저에서 실행되는 스크립트를 이용하여 서비스 프로그램이 적어도 하나의 공공기관 서버(100), 및 적어도 하나의 공공 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에서 구동될 수도 있다. 여기서, 웹 브라우저는 웹(WWW: world wide web)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게 하는 프로그램으로 HTML(hyper text mark-up language)로 서술된 하이퍼 텍스트를 받아서 보여주는 프로그램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넷스케이프(Netscape), 익스플로러(Explorer), 크롬(chrome) 등을 포함한다. 또한, 애플리케이션은 단말 상의 응용 프로그램(application)을 의미하며,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스마트폰)에서 실행되는 앱(app)을 포함한다.
도 2를 참조하면, 제 1 저장부(310)는, 공공기관 서버(100)로부터 수집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 중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피해현황자료를 피해현황정보로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피해현황정보는, 재난 발생 이후 수집 또는 생성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자동으로 피해현황자료를 선정할 수도 있지만, 수동으로 선별하여 저장하는 것도 포함될 수 있음은 자명하다. 그리고, 피해현황자료 중 위치정보(주소)가 포함된 것들을 자동으로 필터링할 수도 있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과 동일한 키워드를 가지는 목록만이 추출될 수도 있다. 매핑주제도가 생성되기 위해서는, 각 주제에 맞는 위치가 자료에 포함이 되어야 한다. 이에 따라, 제 1 저장부(310)는 피해현황자료를 저장할 때, 모두 저장한 후 상술한 필터링(주소 AND 기준)할 수도 있고, 공공기관 서버(100)로 요청을 할 때, 상술한 필터링 기준에 적합한 데이터만을 요청하는 방식으로 추출을 할 수도 있다. 이때, 피해현황자료는 개인정보가 포함된 경우가 대부분이기 때문에, 제 1 저장부(310)는 개인정보를 처리하는 과정도 더 포함할 수 있다.
등급 분류 개인정보항목 설명
1등급 고유식별정보 주민등록번호, 여권번호, 운전면허번호, 외국인등록번호 *개인정보보호법 제24조 및 동법 시행령 제19조 그 자체로 개인의 식별이 가능하거나 매우 민감한 개인정보 또는 관련 법령에 따라 처리가 엄격하게 제한된 개인정보
민감정보 사상·신념, 노동조합·정당의 가입·탈퇴, 정치적 견해, 병력, 신체적·정신적 장애, 성적 취향, 유전자검사정보, 범죄경력정보 등 사생활을 현저하게 침해할 수 있는 정보
*개인정보보호법 제23조 및 동법 시행령 제18조
인증정보 비밀번호, 바이오정보(지문, 홍채, 정맥 등)
*개인정보의 안정성 확보조치 기준고시 제7조
신용정보
금융정보
신용정보, 신용카드번호, 계좌번호 등
*신용정보의 이용 및 보호에 관한 법률 제2조, 제19조 및 동법 시행령 제2조, 제16조, 제21조 등
위치정보 *위치정보의 보호 및 이동 등에 한 법률 제2조, 제16조 등
2등급 개인식별정보 이름, 주소, 전화번호, 핸드폰번호, 이메일, 생년월일, 성별 등 조합되면 명확히 개인의 식별이 가능한 개인정보
개인관련정보 학력, 직업, 키, 몸무게, 혼인여부, 가족상황, 취미 등
3등급 자동생성정보 IP정보, MAC정보, 사이트 방문기록, 쿠키 등 개인 식별정보와 조합되면 부가적인 정보를제공하는 간접개인정보
가공정보 통계성 정보, 가입자 성향 등
제한적 본인식별정보 회원정보, 사번, 내부용 개인식별정보 등
이때, 위치정보는 대부분 1 등급에 속하는 것으로 정의되어 있고, 그 밖의 개인정보도 2등급 및 3등급으로 보안대상인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개인정보의 메타데이터는 데이터베이스에 정형 데이터로 저장될 수 있기 때문에 메타데이터를 마스킹하는 방법으로 매핑주제도를 위한 전처리를 수행할 수도 있다. 이때, 개인정보를 마스킹하는 것 자체도 중요하지만 어느 항목을 마스킹 처리할 것인지를 미리 선정 및 정의하는 것도 중요하다. 개인정보보호할 항목을 선정하고 정의하기 위해서 데이터프로파일링 방법을 이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여기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은, 위험 건축물 철거 현황, 재난지원금 지급대상 현황, 전파 및 반파 이주내역, 지진대피소 세부진료 실적, 지진대피소 의료인력 투입현황, 지진대피소 현장의료지원 실적, 여진에 따른 정밀검사 확인결과,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운영,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결과, 정밀점검용역 추진현황, 이재민 인원변동 내역, 대피소별 인원변동 추이, 및 구호물품 접수현황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피해현황정보는, 위험 건축물 철거 현황 및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 결과를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정리한 것이 도 3a 및 도 3b이다. 이때, 도 3a를 참조하면, 주소정보가 존재하는 것도 있지만 주소정보가 존재하지 않는 목록도 존재한다. 이는, 하나의 예일 뿐, 수집형태와 주소정보가 항상 종이와 주소정보없음으로 수집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도 3b를 참조하면, 선별된 정보가 위험건축물 철거 현황 및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결과만 도시되어 있지만, 이 또한 두 개의 주제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실시예에 따라 다양한 주제가 선정되어 추가될 수도 있고, 삭제될 수도 있으며 변형될 수도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이에 따라, 제 1 저장부(310)는 지진 피해현황 자료가 파일로 수집되는 경우, 수집자료와 주소정보를 매핑하여 저장하고, 각 수집자료 내에 포함된 개인정보를 마스킹 처리하는 등으로 삭제하는 방식으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
다시 도 2로 돌아와서, 제 2 저장부(320)는,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400)로부터 수집된 지진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정보인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할 수 있다. 여기서, 생활안전정보는, 인구밀도, 집계구별 노후주택 비율, 토지이용현황, 의료시설, 소방시설, 치안시설, 24시간 편의점, 화학물취급시설, 지진대피소, 건설공사현황 및 시설안전등급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고, 이를 정리한 표는 도 3c와 같고, 생활안전정보를 제공하는 사이트는 도 3b의 하단에 도시되어 있다. 물론, 상술한 사이트나 서버 이외에도 다양한 기관을 통하여 정보를 수집할 수 있고, 상술한 기관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구축부(330)는,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고,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는, 예를 들어, 병원 또는 소방서 등의 위치정보일 수도 있고, 피해현황정보 또는 생활안전정보 내의 정보와 겹칠 수도 있지만, 별도의 정보일 수도 있다. 여기서, 수집된 자료는 각 생성주체가 다르기 때문에 자료 항목이 상이할 수 있기 때문에,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표준화된 데이터베이스 스키마 설계가 더 진행될 수도 있다. 구축부(330)는, 조사정점, 조사지역, 조사일자, 경위도 정보를 공통적으로 가지고 있도록 필드를 구성할 수도 있고, 조사 정점에 대한 위치와 시간에 대한 기초적인 정보를 기본 메타테이블로 정의할 수도 있고, 각 항목의 단위를 테이블로 정의하여 분야별 테이블에 상속되도록 구성할 수도 있다. 구축부(330)는, 단위 테이블을 위해 전체 자료별 단위코드를 생성하여 각 항목 테이블들과 N:N으로 연결되도록 할 수도 있다. 또한, 자료의 항목과 특성이 각기 상이할 수도 있으므로, 구축부(330)는 각 자료의 속성을 분류하고 자료의 시공간적 특성을 우선적으로 정리하여 분류할 수도 있다.
생성부(340)는, 수집된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주제도란, 지도에 하나의 주제만을 첨가하여 만든 지도로서 특정한 주제를 가진 지도를 의미한다. 주제도의 종류로는 기후도, 지질도, 토양도, 인구도, 산업도 등이 있으며, 주제도는 여러 분야의 다양한 기관 및 연구소 등에서 기본 자료로 중요하게 활용된다. 뿐만 아니라 크게는 국토개발계획수립 등 국토를 관리하고 보전하는데 활용되고 있는데, 이를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각각의 주제를 하나의 지도 내에 각종 안전시설이나 피해현황 등을 표시하는데 이용할 수 있다.
이때, 매핑주제도는, 인구밀도, 노후주택등급, 주택이용현황, 의료시설, 소방시설, 치안시설, 24시간 편의점, 화학물취급시설, 지진대피소, 건설공사현황, 시설안전등급도, 시설물 긴급위험도 평가결과, 위험 건축물 철거현황, 읍면동별 지진대피소 분포현황, 옥외대피소 1인당 대피면적, 및 임시주거시설 1인당 대피면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제의 조합으로 출력되는 지도일 수 있고, 이와 관련하여 도 5를 참조하면, 각 주제도 목록이 리스트업된 것을 알 수 있다. 여기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상술한 주제를 기반으로 매핑주제도를 생성하지만, 이 목록은 변경가능하며 실시예에 따라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이 가능할 수 있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그리고, 도 6을 참조하면 도 5의 목록에 대응하는 주제가 각각 표시된 매핑주제도를 도시하는데, 매핑주제도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 중 본진의 위치 및 지진 범위가 표시되도록 생성되고,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아이콘으로 위치에 대응하도록 지도상에 오버레이되는 지도일 수 있다. 또한,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주제가 복수인 경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주제가 1인당 대피면적인 경우,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지도가 위치 및 면적에 의해 분할되고, 각 분할된 영역 내에 대피면적별 범례가 적용되어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매핑주제도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행정구역 및 전국의 지도, 축척과 방위, 범례, 및 지도상에 매핑되는 정보의 집계정보 또는 통계를 우측단부에 포함할 수 있다.
이때, 주제도 제작에 있어서 기호는 지도의 축척과 투영을 고려하여 사용자에게 실제 사물과 기타 지리적 정보 및 재난상황을 서로 구분하여 판독가능하도록 설명해주는 매개체이다. 여기서, 기호는, 상술한 아이콘일 수도 있지만 다른 형태로 구성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원형, 파이형, 바(Bar)형, 면적형 등이 이용될 수도 있다. 지도타입은, 계급화된 기호 지도(Graduated Symbols Map), 계급화된 색상 지도(Graduated Colors Map), 차트 지도(Charts Map), 파이 차트 지도(Pie Charts Map), 바 차트 지도(Bar Charts Map), 등고선 지도(Contour Map), 3차원 투시도(3D Perspective Views) 등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생성부(340)는 수집되는 각 정보를 시간에 동기화되도록 수집함으로써, 매핑주제도를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라 생성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현재 국내에서 벡터데이터 형식으로 제작되고 있는 대부분의 2차원 지도는 지형지물의 가장 최근 정보만을 표현하고 있으며 과거의 이력정보는 포함하고 있지 않아서 재난이 발생했을 때 그 대응이 시간별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지를 확인하기가 어렵다. 이때, 시계열 이력구조는 특정 정보원(information source)이 생성하는 현재와 과거의 정보들을 시간을 기준으로 연계하여 관리할 수 있는 구조를 말하며, 다양한 정보의 연계활용과 정보의 신뢰도 측면에서 매우 중요하다고 할 수 있다. 정보원들이 생성하는 정보는 시간에 따라 변화하기 때문에 시간을 기준으로 연결된 이력구조를 적용함으로써 보다 정확하고 다양하게 활용할 수 있다. 정보원의 시간에 따른 변화 경향과 특성을 시계열 분석에 의해 파악할 수 있게 된다. 여러 종류의 정보를 연계하여 분석할 때에도 시간을 기준으로 매칭함으로써 보다 정확한 결과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사용자의 입장에서 볼 때에 특정 정보에 포함된 시간정보를 통해 정보의 최신성과 신뢰성을 확인할 수 있다. 벡터 데이터 형식의 2차원 지도 또한 하나의 정보이기 때문에 지형지물의 현재와 과거 정보를 모두 포함하는 시계열 이력구조를 적용하여 보다 다양하고 정밀하게 활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 1 저장부(310) 및 제 2 저장부(320)에서 각 정보를 수집하여 구축부(330)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의 형식은, 이력 데이터베이스(temporal database) 또는 시계열 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otemporal database)일 수 있다. 여기서, 이력 데이터베이스는 시간을 나타내주는 애트리뷰트가 첨가된 데이터베이스로서 시계열 이력정보의 관리를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이며, 시계열 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otemporal database)는 공간정보에 대한 이력관리 기능을 지원하는 데이터베이스이다. 여기서, 시간이력 정보를 다중값 속성정보(multivalue attribute)로 구현할 수도 있고, 객체 간 연결구조로 대체할 수도 있으나 다양한 실시예가 존재가능하므로 상술한 것들로 한정되지는 않는다.
덧붙여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할 때, 각종 자료 및 목록 등의 정보를 모아서 전처리 후 필터링 등의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이때 수집된 자료는 로우 데이터(Raw Data)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는, 저장된 로우 데이터 내에 포함된 비정형(Unstructed) 데이터, 정형(Structured) 데이터 및 반정형 데이터(Semi-structured)를 정제하고, 메타 데이터로 분류를 포함한 전처리를 실시할 수 있고, 전처리된 데이터를 데이터 마이닝(Data Mining)을 포함하는 분석을 실시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분석된 데이터를 상술한 매핑주제도 이외의 방식으로 시각화하여 출력할 수도 있다. 이때, 데이터 마이닝은, 전처리된 데이터 간의 내재된 관계를 탐색하여 클래스가 알려진 훈련 데이터 셋을 학습시켜 새로운 데이터의 클래스를 예측하는 분류(Classification) 또는 클래스 정보 없이 유사성을 기준으로 데이터를 그룹짓는 군집화(Clustering)를 수행할 수 있다. 물론, 이외에도 다양한 마이닝 방법이 존재할 수 있으며, 수집 및 저장되는 빅데이터의 종류나 이후에 요청될 질의(Query)의 종류에 따라 다르게 마이닝될 수도 있다. 이렇게 구축된 빅데이터는, 인공신경망 딥러닝이나 기계학습 등으로 검증과정을 거칠 수도 있다.
이때, 인공 신경망은 CNN(Convolutional neural network) 구조가 이용될 수 있는데, CNN은 컨볼루션 층을 이용한 네트워크 구조로 이미지 처리에 적합하며, 이미지 데이터를 입력으로 하여 이미지 내의 특징을 기반으로 이미지를 분류할 수 있기 때문이다. 또한, 텍스트 마이닝(Text Mining)은 비/반정형 텍스트 데이터에서 자연어처리 기술에 기반하여 유용한 정보를 추출, 가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는 기술이다. 텍스트 마이닝 기술을 통해 방대한 텍스트 뭉치에서 의미 있는 정보를 추출해 내고, 다른 정보와의 연계성을 파악하며, 텍스트가 가진 카테고리를 찾아내거나 단순한 정보 검색 그 이상의 결과를 얻어낼 수 있다. 이를 이용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지진분석정보 서비스에서는, 질의로 입력되는 식별자나 자연어를 분석하고, 그 안에 숨겨진 정보를 발굴해 내기 위해 대용량 언어자원과 통계적, 규칙적 알고리즘이 사용될 수 있다. 또한, 클러스터 분석(Cluster Analysis)은, 비슷한 특성을 가진 객체를 합쳐가면서 최종적으로 유사 특성의 그룹을 발굴하는데 사용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도 2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의 구성에 따른 동작 과정을 도 3 내지 도 6을 예로 들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다만, 실시예는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 중 어느 하나일 뿐,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할 것이다.
도 3a를 참조하면, 상술한 바와 같이 수집된 피해현황 자료목록을 도시하고, 도 3a의 수집된 형태는 종이를 포함한 형태였지만 파일로 받는 경우 바로 데이터베이스 작업이 가능할 수 있고, 주소정보도 포함이 되지 않은 경우가 존재하는데 주소정보도 이후 각 연계기관으로부터 수집할 수 있으므로, 도 3a의 목록에만 한정되지 않고 그 파일의 형태나 주소여부도 도 3a의 목록에 개시된 것으로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에서 도 3a와 같이 자료를 얻은 후에는, 이를 정제하고 매핑자료로서 활용성이 높다고 판단되는 정보를 선별해야 하는데, 이는 상술한 바와 같이 수동 또는 자동으로 가능할 수 있으며, 도 3b의 상단부의 표와 같이 위험 건축물 철거 현황과,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 결과가 주제로 선정된 경우에는, 이를 각각 구분되도록 지도에 매핑하되, 각 주제(철거현황/위험도평가)가 구분되도록 아이콘의 색상, 형태 등을 달리할 수 있다.
그 다음에는,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도 4a와 같이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하여 필요한 기본정보를 수집해야 하는데, 이는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페이지로부터 수집할 수 있고, 이는 도 4a의 상단부의 표와 같을 수 있다. 이때, 도 3의 피해현황정보와, 도 4의 생활안전정보의 수집 순서는 변경될 수도 있다. 그리고,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매핑주제도 제작을 위해 최종적으로 선별 및 데이터베이스화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도 4b와 같이 구축할 수 있고, 매핑 데이터베이스는 크게 i) 피해현황정보, ii)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 iii) 생활안전정보로 구분되어 구축될 수 있다.
도 5a를 참조하면,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300)는, 수집하여 선별 및 가공한 매핑 데이터베이스를 기반으로 현장-지역대책본부-중앙대책본부 간의 상황정보와 피해현황정보를 공유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생성할 수 있다. 이때, 도 5a의 주제도 목록은 포항시 전체와 흥해읍 위주로 작성되었으나, 이 두 지역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렇게 각 주제마다 매핑주제도가 생성된 결과는 도 5b 및 도 6에 걸쳐 도시되는데, 매핑주제도를 이용하는 경우, 재난피해 지역의 현장정보 파악 및 현황정보 공유를 통한 신속한 대응지원이 가능하고, 현장, 지역 및 중앙대책본부 간의 상황인식을 통일할 수 있고, 피해현황통계와 함께 시인성이 높은 지도기반 분석정보를 제공 및 전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지진대피소 위치정보와 함께 운영현황(예를 들어, 수용인원과 이재민 수 등)을 지도기반으로 표출 및 제공함으로써 대피소 한 곳에 이재민이 몰리거나 거주지 근처 대피소 위치를 제대로 알지 못해 우왕좌왕하는 등 포항지진 당시 미숙했던 문제를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지원물품과 자원봉사자 배분 시 의사결정 지원 자료로 이용될 수도 있다.
이와 같은 도 2 내지 도 6의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을 통해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 중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피해현황자료를 피해현황정보로 저장한다(S7100).
그리고,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기본정보인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고(S7200),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고,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시설물 위치정보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한다(S7300).
또한,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는, 수집된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생성한다(S7400).
이와 같은 도 7의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해서 설명되지 아니한 사항은 앞서 도 1 내지 도 6을 통해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과 동일하거나 설명된 내용으로부터 용이하게 유추 가능하므로 이하 설명을 생략하도록 한다.
도 7을 통해 설명된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애플리케이션이나 프로그램 모듈과 같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가능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기록 매체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가용 매체일 수 있고, 휘발성 및 비휘발성 매체,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또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컴퓨터 저장 매체를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저장 매체는 컴퓨터 판독가능 명령어, 데이터 구조, 프로그램 모듈 또는 기타 데이터와 같은 정보의 저장을 위한 임의의 방법 또는 기술로 구현된 휘발성 및 비휘발성, 분리형 및 비분리형 매체를 모두 포함한다.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이는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탑재된 플랫폼이나 운영체제 등에 포함된 프로그램을 포함할 수 있음)에 의해 실행될 수 있고, 사용자가 애플리케이션 스토어 서버, 애플리케이션 또는 해당 서비스와 관련된 웹 서버 등의 애플리케이션 제공 서버를 통해 마스터 단말기에 직접 설치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에 의해 실행될 수도 있다. 이러한 의미에서, 전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은 단말기에 기본적으로 설치되거나 사용자에 의해 직접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즉, 프로그램)으로 구현되고 단말기에 등의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Claims (10)

  1.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서버에서 실행되는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에 있어서,
    공공기관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발생 이후에 수집 또는 생성되는 정보인 피해현황정보를 목록화한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 중 주소정보를 포함하고 기 설정된 선정기준에 의해 선정된 피해현황자료를 피해현황정보로 저장하는 단계;
    공공데이터 포털 및 생활안전지도 서비스 제공 서버로부터 수집된 지진 현장상황을 파악하기 위해 필요한 인적 및 물적 정보를 포함하는 기본정보인 생활안전정보를 수집하여 저장하는 단계;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POI)를 수집하고, 상기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로 구분되는 데이터베이스를 구축하는 단계; 및
    상기 수집된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를 기반으로 지도상에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가 출력될 수 있도록 매핑주제도를 시계열적인 흐름에 따라 시계열 이력구조를 가지도록 생성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피해현황정보, 생활안전정보 및 상기 적어도 하나의 재난안전 시설물 위치정보는, 시간에 동기화되어 상기 데이터베이스에 저장되고, 상기 데이터베이스는, 이력 데이터베이스(Temporal Database) 및 시계열 공간 데이터베이스(Spatiotemporal Database)이고,
    상기 매핑주제도는, 인구밀도, 노후주택등급, 주택이용현황, 의료시설, 소방시설, 치안시설, 24시간 편의점, 화학물취급시설, 지진대피소, 건설공사현황, 시설안전등급도, 시설물 긴급위험도 평가결과, 위험 건축물 철거현황, 읍면동별 지진대피소 분포현황, 옥외대피소 1인당 대피면적, 및 임시주거시설 1인당 대피면적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주제의 조합으로 출력되는 지도이고,
    상기 매핑주제도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 중 본진의 위치 및 지진 범위가 표시되도록 생성되고, 상기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어느 하나의 주제에 대응하는 파라미터가, 적어도 하나의 형태의 아이콘으로 위치에 대응하도록 지도상에 오버레이되는 지도인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진 피해현황 자료목록은,
    위험 건축물 철거 현황, 재난지원금 지급대상 현황, 전파 및 반파 이주내역, 지진대피소 세부진료 실적, 지진대피소 의료인력 투입현황, 지진대피소 현장의료지원 실적, 여진에 따른 정밀검사 확인결과, 재난심리지원 서비스 운영,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결과, 정밀점검용역 추진현황, 이재민 인원변동 내역, 대피소별 인원변동 추이, 및 구호물품 접수현황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으로 이루어지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피해현황정보는, 위험 건축물 철거 현황 및 시설물 긴급 위험도 평가 결과를 포함하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생활안전정보는, 인구밀도, 집계구별 노후주택 비율, 토지이용현황, 의료시설, 소방시설, 치안시설, 24시간 편의점, 화학물취급시설, 지진대피소, 건설공사현황 및 시설안전등급도 중 어느 하나 또는 적어도 하나의 조합을 포함하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주제가 복수인 경우, 상기 선택된 주제에 대응하는 아이콘의 색상이 서로 다르게 설정되어 출력되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8.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주제도에서 선택된 주제가 1인당 대피면적인 경우, 상기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지도가 위치 및 면적에 의해 분할되고, 각 분할된 영역 내에 대피면적별 범례가 적용되어 출력되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매핑주제도는,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행정구역 및 전국의 지도, 축척과 방위, 범례, 및 지도상에 매핑되는 정보의 집계정보 또는 통계를 우측단부에 포함하는 것인,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10. 제 1 항 내지 제 4 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방법을 수행하는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90040200A 2019-04-05 2019-04-05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KR10201314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00A KR102013144B1 (ko) 2019-04-05 2019-04-05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40200A KR102013144B1 (ko) 2019-04-05 2019-04-05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3144B1 true KR102013144B1 (ko) 2019-10-21

Family

ID=684600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40200A KR102013144B1 (ko) 2019-04-05 2019-04-05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3144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8B1 (ko) * 2020-10-07 2021-03-19 대한민국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KR102376894B1 (ko) 2021-05-17 2022-03-22 대한민국(기상청장) 지진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416892B1 (ko) * 2021-11-29 2022-07-05 대한민국 재난대응절차 기반 센서-서버 간 지능형 재난대응시스템
CN117236711A (zh) * 2023-08-29 2023-12-15 青海师范大学 一种基于大数据的自然灾害后生态***损害评估方法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5914A (ko) * 2013-05-16 2014-11-27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43138B1 (ko) * 2017-01-20 2017-06-16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2430A (ko) * 2011-07-25 2013-02-04 나눔정보통신(주) 위치기반 현장위험정보 제공 및 재난대처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40135914A (ko) * 2013-05-16 2014-11-27 앤하이브 주식회사 재난 정보를 제공하는 방법 및 장치
KR101743138B1 (ko) * 2017-01-20 2017-06-16 (주)바인테크 사물지능통신을 기반으로 하는 재난대응시스템 및 방법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30258B1 (ko) * 2020-10-07 2021-03-19 대한민국 재난 상황관리 역량강화를 위한 매핑콘텐츠 제공방법
KR102376894B1 (ko) 2021-05-17 2022-03-22 대한민국(기상청장) 지진 시계열 데이터 분석을 제공하는 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 매체 및 장치
KR102416892B1 (ko) * 2021-11-29 2022-07-05 대한민국 재난대응절차 기반 센서-서버 간 지능형 재난대응시스템
CN117236711A (zh) * 2023-08-29 2023-12-15 青海师范大学 一种基于大数据的自然灾害后生态***损害评估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013144B1 (ko) 매핑주제도를 이용한 지도 기반 지진분석정보 서비스 제공 방법
JP6242651B2 (ja) 早期状況把握方法、および装置
US20120232939A1 (en) Method for Rendering Layer Images and Providing Information
JP6276106B2 (ja) 意思決定支援システムおよび意思決定支援方法
US20210096935A1 (en) Notifying entities of relevant events removing private information
Ahmouda et al. Analyzing the effect of earthquakes on OpenStreetMap contribution patterns and tweeting activities
KR20180114814A (ko) 권역별 재난정보 제공방법
Mee et al. Evidence for localised HIV related micro–epidemics associated with the decentralised provision of antiretroviral treatment in rural South Africa: a spatio–temporal analysis of changing mortality patterns (2007–2010)
Abdalla Evaluation of spatial analysis application for urban emergency management
Wu et al. Repeat and near-repeat burglaries and offender involvement in a large Chinese city
Debnath An assessment of spatio-temporal pattern of urban earthquake vulnerability using GIS: a study on Dhaka City
Aldrich et al. Local politicians as linking social capital: an empirical test of political behavior after Japan’s 3/11 disasters
Villegas et al. Lessons from Harvey: Improving traditional damage estimates with social media sourced damage estimates
CN112308325B (zh) 热力图生成方法和装置
Fujisaka et al. Detection of unusually crowded places through micro-blogging sites
Banisakher et al. A human centric approach to data fusion in post-disaster management
Sheikh et al. IST: Role of GIS in crime mapping and analysis
Suarez et al. A geographical and content-based approach to prioritize relevant and reliable tweets for emergency management
Taylor et al. Managing unintentional dwelling fire risk
Kipsaina et al. A standardised mortuary-based injury surveillance system: lessons learned from the Ibadan Nigerian trial
Shafique et al. Role of GIS in Crime Mapping & Analysis
Chow et al. Using web demographics to model population change of Vietnamese-Americans in Texas between 2000 and 2009
Blum Shem-Tov et al. Modular multi-dimensional tool for emergency evacuation including location-based social network data
KR101835778B1 (ko) 공공데이터 개방 인터페이스 제공 장치 및 방법
KR102368524B1 (ko) Gps 위치기반 수집된 빅데이터를 이용한 퀵메뉴 서비스 제공 시스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