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6079B1 -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6079B1
KR102226079B1 KR1020190177566A KR20190177566A KR102226079B1 KR 102226079 B1 KR102226079 B1 KR 102226079B1 KR 1020190177566 A KR1020190177566 A KR 1020190177566A KR 20190177566 A KR20190177566 A KR 20190177566A KR 102226079 B1 KR102226079 B1 KR 10222607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gion
oxide film
gate
dummy
tun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1775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상완
강석중
안현호
윤승현
오정민
Original Assignee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아주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9017756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607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607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607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8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ontrollable by onl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only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 H01L29/70Bipolar devices
    • H01L29/72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 H01L29/739Transistor-type devices, i.e. able to continuously respond to applied control signals controlled by field-effect, e.g. bipolar static induction transistors [BSIT]
    • H01L29/7391Gated diode structur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2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06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 H01L29/10Semiconductor bodi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characterised by their shape; characterised by the shapes, relative sizes, or dispositions of the semiconductor regions ; characterised by the concentration or distribution of impurities within semiconductor regions with semiconductor regions connected to an electrode not carrying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and such electrode being part of a semiconductor device which comprises three or more electrodes
    • H01L29/1025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 H01L29/1029Channel region of field-effect devices of field-effect transisto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9/00Semiconductor 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rectifying, amplifying, oscillating or switching and having potential barriers; Capacitors or resistors having potential barriers, e.g. a PN-junction depletion layer or carrier concentration layer; Details of semiconductor bodies or of electrodes thereof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Types of semiconductor device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for
    • H01L29/6600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 H01L29/66075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 H01L29/66227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of devices having semiconductor bodies comprising group 14 or group 13/15 materials the devices being controllable only by the electric current supplied or the electric potential applied, to an electrode which does not carry the current to be rectified, amplified or switched, e.g. three-terminal devices
    • H01L29/66356Gated diodes, e.g. field controlled diodes [FCD], static induction thyristors [SITh], field controlled thyristors [FCTh]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icroelectronics & Electronic Packaging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Condensed Matter Physics & Semiconductor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Hardware Design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Insulated Gate Type Field-Effect Transistor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과,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와, 상기 터널영역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소스와 드레인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상기 터널영역과 이격된 기판의 영역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어 위치하는 소스 플러그와, 상기 소스 플러그에서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소스 돌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Tunnel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Finger-shaped Source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더 상세하게는 높은 구동 전류 특성과 낮은 문턱전압 특성을 가지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개념을 최초로 제안한 곳은 일본의 Hitachi와 영국의 Cambridge 대학이다.
1990년대에는 기존의 MOSFET 축소화가 무리 없이 진행되었고 에너지 문제도 심각하지 않은 상황이었으므로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널리 연구되지 못하였다.
하지만, 2000년대에 들어서 MOSFET 축소화의 한계가 임박하고 에너지 문제에 대한 해법의 하나로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연구는 각광을 받게 되었다.
2000년대 초에는 Infineon을 중심으로 한 독일의 산학연 협력팀이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기술 제안하여 연구를 주도해 나아갔고 한국의 서울대도 초기 연구에서 상당한 성과를 도출하여 기술적 주도권은 독일과 한국이 차지하였다.
하지만, 최근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의 가능성에 대한 광범위한 합의가 이루어진 미국은 미국정부 차원에서 IBM, Intel과 같은 대기업, UC Berkeley, Stanford Univ, UCLA와 같은 대학이 참여하는 강력한 연구 집단을 형성하고 연구에 대한 지원을 아끼지 않은 결과 최근에는 미국이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관련 연구를 주도적으로 이끌고 있다.
그러나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는 아직까지 MOSFET과 비견될 성능을 보여주지 못하고 있다. 여러 가지 이유 중에 중요한 요인은 제한된 터널링 면적과 높은 밴드갭 에너지로 인한 낮은 밴드간 터널링 효율, 게이트의 낮은 채널 장악력이다.
종래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에 관하여, 등록특허 10-0622675호(터널링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2006년 9월 4일 등록)에 상세히 기재되어 있다.
위의 등록특허에는 메사 구조의 터널링 소자가 기재되어 있으며, 게이트 측벽과 절연막 측벽을 적절하게 이용하여 마스크의 수를 줄일 수 있는 구조에 관한 것이다.
그러나 밴드간 터널링 면적이 협소하여 높은 구동 전류를 얻기 어려운 구조이며, 이에 대한 개선이 요구된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와 같은 종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높은 구동 전류 특성을 가지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은 낮은 문턱전압 특성을 가지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다른 목적이 있다.
좀 더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집적도의 증가 없이 소스의 구조를 변경하여 문턱 전압을 낮추고, 구동 전류를 증가시킬 수 있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을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과, 게이트 산화막 상부에 위치하는 게이트와, 상기 터널영역을 중심으로 양측면에 각각 배치되는 소스와 드레인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에 있어서, 상기 소스는 상기 터널영역과 이격된 기판의 영역에 소정 깊이로 매립되어 위치하는 소스 플러그와, 상기 소스 플러그에서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도록 돌출된 다수의 소스 돌출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기판은 상면의 높이가 상대적으로 더 높은 제1영역과, 상면의 높이가 상기 제1영역보다 낮은 제2영역을 포함하며, 상기 소스는 상기 기판의 제1영역에 위치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터널영역은 상기 기판의 제1영역의 측면과, 제2영역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여, 제1영역에 위치하는 터널영역에는 상기 소스 돌출부가 접하고, 제2영역에 위치하는 터널영역의 단부에는 상기 드레인이 접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소스 돌출부는 적어도 둘 이상이고, 상호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은, a) 기판을 상대적으로 상면의 높이가 높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비하여 상면 높이가 낮은 제2영역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인 제1영역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다층의 소스 돌출부를 포함하는 소스를 형성하는 단계와, b) 제1더미 산화막, 산화막 및 더미 게이트로 이루어지는 제1더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의 측면과는 이격된 상기 기판의 제2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이온주입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와, c) 상기 드레인의 상부측에만 위치하는 제2더미 산화막인 제2더미 구조를 형성한 후, 상기 더미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더미 게이트의 제거에 따라 노출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제1영역의 측면과 제2영역의 상부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와, d) 노출된 상기 제1영역의 측면과 제2영역의 상부 일부에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켜 터널영역을 형성하는 단계와, e)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1더미 구조와 제2더미 구조를 이용하여 자기정렬방식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a) 단계는 a-1) 기판의 상부에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을 교번하여 순차 성장시켜,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이 교번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과, a-2)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의 일부에 고농도 이온주입공정을 통해 상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들을 연결하는 소스 플러그를 형성하는 과정과, a-3) 상기 소스 플러그와 상기 소스 플러그에 의해 접하는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들이 소정의 길이로 잔존할 수 있도록, 상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 적층 구조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 하부의 기판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더미 구조는 b-1)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1영역의 상부에만 위치하는 상기 제1더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b-2) 상기 b-1) 과정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상대적으로 얇은 산화막을 증착하는 과정과, b-3) 상기 b-2) 과정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산화막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산화막에 측면이 접하는 더미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더미 게이트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드레인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제2더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c-2) 반도체층인 상기 더미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과, c-3) 상기 더미 게이트의 제거에 따라 노출되는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e-2) 상기 e-1) 과정의 결과물의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게이트 산화막 및 제2더미 산화막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은, 소스의 구조를 변경하여 소스의 채널측 표면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구동 전류를 증가시키며, 문턱전압을 낮출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초저전력 반도체 소자 및 회로에 적용할 수 있다. 충전이 용이하지 않거나 추가적인 충전 없이 상당 시간 동작해야 하는 사물 인터넷 오소 기술 또는 헬스케어 기기에 적용할 수 있다.
또한, 에너지 하베스터(energy harvester)와 결합시 충전 자체가 필요 없는 에너지 자가 공급형 정보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특히, 본 발명은 메사 구조의 소스를 상호 면적이 다른 구조의 다층 구조로 제공하여 면적을 증가시킴으로써 집적도 저하를 방지할 수 있어, 초고집적의 고감도 저전력 센서 시스템의 구현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공정 수순 단면도이다.
도 10은 터널영역의 두께를 가변하면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도 11은 소스 돌출부 두께(TS) 변화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의 관계 그래프이다.
도 12 내지 도 16은 Ts의 두께에 따른 전기장 등고선 플롯이다.
도 17은 TE의 변화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도 18은 본 발명(F-shaped)과 종래(L-shaped)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 특성의 비교 그래프이다.
이하,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아래에 설명되는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의 실시 예들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오히려, 이들 실시 예는 본 발명을 더욱 충실하고 완전하게 하며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단수 형태는 문맥상 다른 경우를 분명히 지적하는 것이 아니라면, 복수의 형태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경우 "포함한다(comprise)" 및/또는"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한 형상들, 숫자, 단계,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이들 그룹의 존재를 특정하는 것이며, 하나 이상의 다른 형상, 숫자, 동작, 부재, 요소 및/또는 그룹들의 존재 또는 부가를 배제하는 것이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제1, 제2 등의 용어가 다양한 부재, 영역 및/또는 부위들을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지만, 이들 부재, 부품, 영역, 층들 및/또는 부위들은 이들 용어에 의해 한정되지 않음은 자명하다. 이들 용어는 특정 순서나 상하, 또는 우열을 의미하지 않으며, 하나의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다른 부재, 영역 또는 부위와 구별하기 위하여만 사용된다. 따라서, 이하 상술할 제1 부재, 영역 또는 부위는 본 발명의 가르침으로부터 벗어나지 않고서도 제2 부재, 영역 또는 부위를 지칭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면들에 있어서, 예를 들면, 제조 기술 및/또는 공차에 따라, 도시된 형상의 변형들이 예상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본 명세서에 도시된 영역의 특정 형상에 제한된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예를 들면 제조상 초래되는 형상의 변화를 포함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단면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는, 단차가 높은 제1영역(11)과 단차가 낮은 제2영역(12)을 포함하는 기판(10)과, 상기 제1영역(11)의 측면과 제2영역(12)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는 터널영역(40)과, 상기 터널영역(40)과는 게이트 산화막(5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게이트(60)와, 상기 제2영역(12)의 게이트(60) 측면측 기판(10)에 위치하는 드레인(30)과, 상기 기판(10)의 제1영역(11)의 일부에서 소정의 깊으로 형성됨과 아울러 상기 게이트(50)를 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어 상기 터널영역(40)에 접하는 다수의 소스 돌출부(22)를 가지는 소스(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하,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구조와 작용에 대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먼저, 기판(10)은 메사(MESA) 구조를 제공한다. 즉, 기판(10)은 상면의 단차가 다른 영역을 제공한다.
설명의 편의상 메사 구조가 형성된 영역, 즉 단차가 높은 영역을 제1영역(11)이라 정의한다. 반대로 단차가 낮은 영역을 제2영역(12)이라 정의한다.
터널영역(40)은 제2영역(12)과 인접한 상기 제1영역(11)의 측면에 일부가 형성되고, 이와 연결되어 제2영역(12)의 일부에 형성된다.
즉, 터널영역(40)은 영문자 'L'의 단면 형상이다.
상기 터널영역(40)은 제1영역(11)의 측면에 형성된 수직 영역과 제2영역(12)에 형성된 수평 영역을 포함하며, 게이트 산화막(50)을 사이에 두고 상기 터널영역(40)에 접하는 위치에 위치하는 게이트(60)는 터널영역(40)의 수평 영역의 상부에서 수직 영역의 측면과 접하여 위치한다.
드레인(30)은 상기 터널영역(40)의 수평 영역과 인접한 기판(10)의 내에 소정 면적으로 위치한다.
드레인(30)은 단일층이며, 기판(10)에 이온 주입을 통해 형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농도 n형 불순물 이온의 주입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소스(20)는 제1영역(11)에서 소정의 깊이로 형성되는 소스 플러그(21)와, 소스 플러그(21)의 측면으로부터 상기 게이트 산화막(50)의 수직 영역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소스 돌출부(2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소스 돌출부(22)의 끝단은 상기 터널영역(40)에 접한다.
이처럼 소스(20)를 소스 플러그(21)와 소스 돌출부(22)로 구성함으로써, 채널을 향하는 소스(20)의 일면 면적을 증가시킬 수 있다.
상기 소스 돌출부(22)는 상하 배치되는 것으로 하며, 적어도 2개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소스 돌출부(22)는 전계 집중 현상을 발생시키며, 소스 돌출부(22)의 끝단에서 더 강한 전기장이 인가되는 효과를 나타낸다. 따라서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고, 문턱전압을 낮출 수 있는 특징이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방법을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도 2 내지 도 9는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제조 공정 수순 단면도이다.
도 2 내지 도 9를 각각 참조하면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은, 기판(10)의 상부에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을 교번하여 성장시키는 단계(도 2)와, 고농도 이온 주입을 통해 상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을 연결하여 도 1의 소스 플러그(21)를 형성하는 단계(도 3)와, 더미 산화막(71)을 이용하여 상기 순차 적층된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 및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을 식각하여 메사 구조를 형성하는 단계(도 4)와, 상기 구조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72)과 반도체층을 순차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더미 게이트(73)를 형성하는 단계(도 5)와, 상기 더미 게이트(73), 상기 산화막(72) 및 더미 산화막(71)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는 이온주입공정으로 상기 더미 게이트(73)의 측면 하부 기판(10)에 드레인(30)을 형성하는 단계(도 6)와, 상기 구조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드레인(30)의 상부측에서 더미 게이트(73)의 측면에 접하는 더미 산화막(74)을 형성하는 단계(도 7)와, 상기 더미 게이트(73)와 그 하부의 산화막(72)을 제거하여, 상기 적층된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의 측면을 노출시킴과 아울러 드레인(30)의 측면측 기판(10)의 상부를 노출시킨 후, 노출된 영역에 터널영역(40)을 성장시키는 단계(도 8)과, 상기 구조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막(50)을 형성한 후, 상기 구조의 상부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더미 게이트(73)가 위치하던 영역에 게이트(60)를 형성하는 단계(도 9)를 포함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을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기판(10)의 상부에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을 교번하여 순차적으로 성장시켜 고농도 영역과 저농도 영역이 교차하여 적층되는 적층 구조를 형성한다.
이때의 에피층 성장방법은 저온 에피 성장을 사용할 수 있으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은 각각 P형 이온이 도핑된 것으로 한다. 이는 하나의 실시예이며 동작 방식에 따라서 N형 이온이 도핑될 수 있다.
이때 성장되는 반도체 에피층은 Si, SiGe, Ge, C 등 4족 반도체 물질뿐만 아니라, InP, GaAs, InGaAs 등의 3-5족 화합물 반도체를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을 서로 동일한 반도체층을 사용할 수 있으며, 이종의 반도체층을 사용하여 이종접합구조를 이룰 수 있다.
이때의 고농도와 저농도는 통상의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소스의 고농도와 터널영역의 저농도를 따르는 것으로, 당업자 수준에서 특별한 수치의 한정 없이도 이를 쉽게 이해할 수 있다.
그 다음,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고농도 P형 이온 주입을 통해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과 교번하여 위치하는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의 일부를 연결하는 소스 플러그(21)를 형성한다.
이때 각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의 일부는 앞서 설명한 소스 돌출부(22)가 된다.
상기 소스 플러그(21)의 형성을 위해 주입되는 이온은 P형이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과 동일한 농도로 주입할 수 있다.
이온 주입은 산화막 마스크 패턴을 이온 주입 영역외의 마지막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의 상부에 형성한 후 수행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3의 구조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한 후, 패터닝하여 상기 소스 플러그(21)의 상부 및 그 소스 플러그(21) 주변의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의 상부 일부에만 위치하는 더미 산화막(71)을 형성한다.
이때 더미 산화막(71)은 사진식각공정을 이용하여 형성할 수 있다.
그 다음, 상기 더미 산화막(71)을 식각 공정의 마스크로 사용하여, 노출되어 있는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과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23)의 적층 구조를 식각하여 제거한다.
이와 같은 식각으로 앞서 설명한 소스 플러그(21)에서 돌출되는 소스 돌출부(22)들을 포함하는 소스(20)의 형상을 완성할 수 있다. 위의 식각공정은 메사 구조의 소스(20)를 형성하는 것으로,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한 제1영역(11)과 제2영역(12)의 구분을 만드는 것으로 이해될 수 있다.
그 다음,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도 4의 구조 상부 전면에 산화막(72)을 증착한다.
이때의 산화막(72)은 상기 메사 구조가 유지되도록 얇게 형성하는 것이며, 이후에 설명될 더미 게이트(73)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기 위한 수단으로서 형성한다.
그 다음, 상기 산화막(72)의 상부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한 후, 평탄화 및 패터닝하여 상기 소스(20)가 형성된 제1영역(11)의 측면에서 제2영역(12)인 기판(10)의 일부 상부측의 산화막(72) 상에 위치하는 더미 게이트(73)를 형성한다.
더미 게이트(73)는 이후 게이트(60)의 형성위치를 정의하며, 또한 셀프어라인 방식으로 드레인(30) 및 게이트(60)를 형성하기 위한 수단이 된다.
그 다음,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미 게이트(73) 및 더미 산화막(71)을 이온주입 마스크로 사용하는 이온 주입공정으로 상기 더미 게이트(73)의 측면 하부측 기판(10) 영역에 드레인(30)을 형성한다.
상기 드레인(30)은 고농도 N형 이온의 주입에 의해 형성되는 단일층 구조로 한다. 이때 소스가 N형인 경우 드레인은 P형이 된다. 이때 고농도 N형 이온 주입의 농도는 알려진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드레인 형성을 위한 농도로 한다.
그 다음,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산화막을 도 6의 구조 상부 전면에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드레인(30)의 상부측에서 더미 게이트(73)에 접하는 더미 산화막(74)을 형성한다.
그 다음,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더미 산화막(74)과 메사 구조 사이에 위치하는 더미 게이트(73)를 선택적으로 식각하고, 노출된 산화막(72)을 모두 제거하여 제1영역(11)의 더미 산화막(71)과, 소스(20)가 형성되는 메사 구조의 측면과, 드레인(30)과 메사 구조 사이의 기판(10) 상부를 노출시킨다.
그 다음, 메사 구조의 측면과 노출된 기판(10)의 상부에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켜 터널영역(40)을 형성한다.
상기 터널영역(40)의 농도는 상기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과 동일한 수준으로 하며, 이는 알려진 터널영역의 농도 범위와 동일하다.
그 다음,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상기 구조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게이트 산화막(50)을 형성한 후,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자기정렬 방식으로 게이트(60)를 형성한다.
이처럼 본 발명은 소스(20)의 형상을 소스 플러그(21)와, 소스 플러그(21)에서 터널영역(40)을 향해 돌출되는 다수의 소스 돌출부(22)를 포함하도록 형성하되, 메사 구조를 이용함으로써, 드레인과 게이트를 자기 정렬 방식으로 쉽게 형성할 수 있으며, 소자가 형성되는 면적의 증가 없이 구동전류를 증가시키고, 낮은 문턱전압특성을 가지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를 제조할 수 있다.
도 10은 터널영역(40)의 두께를 가변하면서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의 변화를 측정한 그래프이다.
여기서 터널영역(40)의 두께는 상기 소스 돌출부(22)의 끝단과 게이트 산화막(50)의 사이를 뜻하며, 터널영역(40)의 두께를 2nm, 4nm, 6nm, 8nm, 10nm로 가변하여 게이트 전압에 따른 드레인 전류를 확인하였다.
상기 터널영역(40)의 두께(LT)가 10nm에서 2nm까지 감소함에 따라 턴온 전압(Von)은 증가하게 된다.
이는 직렬 연결된 커패시터의 전압 분배 모델을 통해 LT의 변화에 따른 표면 전위에 의해 설명될 수 있다.
더 상세하게는, 만약 LT가 감소하면, 고정된 게이트-소스간 전압에서 표면 전위는 완전히 공핍된 터널영역(40)의 커패시턴스가 증가하기 때문에 감소하게 된다.
반면, LT가 감소하면 서브-스래쉬홀드 스윙(Sub-threshold Swing, SS)은 감소한다. 이는 더 작은 두께의 LT에서 게이트-소스간 전압과 턴온 전압이 동일하게 되기 때문이다.
이와 유사하게, 턴온 상태에서 터널링 장벽의 두께가 감소하기 때문에 LT가 감소하면 턴온 전류가 증가한다.
결국, 상기 턴온 전압의 증가를 최소화해야 하며, LT가 4nm보다 작아짐에 따라 SS의 평균값의 감소는 무시할 수 있는 정도이기 때문에 최적의 LT는 4nm로 결정된다.
또한, 상기 소스 돌출부(22) 각각의 두께(Ts) 역시 본 발명의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
도 11은 소스 돌출부(22) 두께(TS) 변화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의 관계 그래프이다.
이에 도시한 바와 같이 턴온 전류 및 턴온 전압 측면에서 두 가지 주목할만한 결과를 확인할 수 있다. 두 결과는 도 12 내지 도 16에 도시한 Ts의 두께에 따른 전기장 등고선 플롯으로 분석할 수 있다.
도 1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소스 돌출부(22)의 모서리 부분에서의 전기장은 평탄한 단부에서의 전기장에 비해 더 크며, Ts가 점차 감소하는 형상인 도 13 내지 도 16을 통해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Ts가 감소함에 따라 전기장은 소스 돌출부(22)의 끝단에서 전체적으로 매우 강하게 형성되는 것을 알 수 있다.
특히 10nm 이하의 Ts에서는 평탄한 단부의 영향은 사라지고, 두 모서리의 전기장이 서로 병합되어 영향을 나타낸다.
이처럼 Ts가 감소할수록 전기장이 증가하고, 턴온 전압이 감소하는 특징이 있다.
따라서 소스 돌출부(22)의 두께는 공정을 고려하여 5nm 내지 10nm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소스 돌출부(22)들의 사이 간격(TE)도 본 발명의 특성에 영향을 준다.
상기 소스 돌출부(22)들의 사이 간격(TE)은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24)의 두께로 결정된다.
도 17은 상기 TE의 변화에 따른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 특성 그래프이다.
도 17에 도시한 바와 같이 TE가 증가함에 따라 전기장 밀집효과에 따라 턴온 전압은 약간 감소한다. 즉 터널 접합이 더 큰 게이트 면적에 의해 영향을 받기 때문에 전기장 플럭스의 수가 증가하게 되며, 결과적으로 터널 영역에서의 밴드 벤딩이 갑작스럽게 발생하여 턴온 전압을 줄인다.
그러나 TE를 증가시키면 공정에서 급격한 에칭 프로파일이 필요하며, 또한 TE가 15nm를 초과하면 Von의 증가는 무시할 수 있으므로, 최적의 TE는 15nm로 한다.
도 18은 본 발명(F-shaped)과 앞서 설명한 등록특허 10-0622675호와 같은 L-shaped 트랜지스터의 게이트 전압과 드레인 전류 특성의 비교 그래프이다.
도 1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저전력 구동이 가능하며, 높은 구동 전류(드레인 전류)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요지를 벗어나지 아니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수정,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음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한 것이다.
10:기판 20:소스
21:소스 플러그 22:소스 돌출부
23:고농도 반도체 에피층 24:저농도 반도체 에피층
30:드레인 40:터널영역
50:게이트 산화막 60:게이트

Claims (9)

  1. 삭제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a) 기판을 상대적으로 상면의 높이가 높은 제1영역과, 상기 제1영역에 비하여 상면 높이가 낮은 제2영역을 가지는 구조로 형성함과 아울러 상기 제1영역과 상기 제2영역의 경계인 제1영역의 측면까지 연장되는 다층의 소스 돌출부를 포함하는 소스를 형성하는 단계;
    b) 제1더미 산화막, 산화막 및 더미 게이트로 이루어지는 제1더미 구조를 이용하여, 상기 제1영역의 측면과는 이격된 상기 기판의 제2영역을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고, 이온주입공정을 통해 상기 기판의 제2영역에 드레인을 형성하는 단계;
    c) 상기 드레인의 상부측에만 위치하는 제2더미 산화막인 제2더미 구조를 형성한 후, 상기 더미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고, 상기 더미 게이트의 제거에 따라 노출된 산화막을 제거하여, 제1영역의 측면과 제2영역의 상부 일부를 노출시키는 단계;
    d) 노출된 상기 제1영역의 측면과 제2영역의 상부 일부에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을 성장시켜 터널영역을 형성하는 단계; 및
    e)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한 후, 상기 제1더미 구조와 제2더미 구조를 이용하여 자기정렬방식의 게이트를 형성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a) 단계는,
    a-1) 기판의 상부에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을 교번하여 순차 성장시켜,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이 교번하여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를 형성하는 과정과,
    a-2) 상기 다층으로 적층된 구조의 일부에 고농도 이온주입공정을 통해 상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들을 연결하는 소스 플러그를 형성하는 과정과,
    a-3) 상기 소스 플러그와 상기 소스 플러그에 의해 접하는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들이 소정의 길이로 잔존할 수 있도록, 상기 고농도 반도체 에피층과 저농도 반도체 에피층 적층 구조의 일부를 제거하여 그 하부의 기판을 노출시키는 과정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7.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b) 단계에서 상기 제1더미 구조는,
    b-1) 상기 a)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1영역의 상부에만 위치하는 상기 제1더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b-2) 상기 b-1) 과정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상대적으로 얇은 산화막을 증착하는 과정과,
    b-3) 상기 b-2) 과정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패터닝하여, 상기 제2영역의 상기 산화막의 상부 일부에 위치하며, 상기 제1영역의 측면에 형성된 상기 산화막에 측면이 접하는 더미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8.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c) 단계는,
    c-1) 상기 b)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더미 게이트의 측면에 접하며, 상기 드레인의 상부측에 위치하는 제2더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c-2) 반도체층인 상기 더미 게이트를 선택적으로 제거하는 과정과,
    c-3) 상기 더미 게이트의 제거에 따라 노출되는 상기 산화막을 제거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9. 제5항 또는 제6항에 있어서,
    상기 e) 단계는,
    e-1) 상기 d) 단계의 결과물의 상부 전면에 산화막을 증착하여 상기 터널영역에 접하는 게이트 산화막을 형성하는 과정과,
    e-2) 상기 e-1) 과정의 결과물의 전면에 반도체층을 증착하고, 평탄화하여 상기 게이트 산화막 및 제2더미 산화막 사이에 위치하는 게이트를 형성하는 과정을 포함하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제조방법.
KR1020190177566A 2019-12-30 2019-12-30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KR10222607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66A KR102226079B1 (ko) 2019-12-30 2019-12-30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177566A KR102226079B1 (ko) 2019-12-30 2019-12-30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6079B1 true KR102226079B1 (ko) 2021-03-09

Family

ID=7517986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177566A KR102226079B1 (ko) 2019-12-30 2019-12-30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6079B1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9865A1 (en) * 2017-07-17 2019-01-17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Shanghai) Corporation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190019865A1 (en) * 2017-07-17 2019-01-17 Semiconductor Manufacturing International (Shanghai) Corporation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 and fabrication method thereof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Cong Li et al.,‘Ge/Si heterojunction L-shape tunnel field-effect transistors with hetero-gate-dielectric’, Chin. Phys. B, Vol.27, No.7, 078502 (2018.06.2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286671B1 (ko) 열이온으로 오버드라이브된 터널 전계 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 방법
US8829608B2 (en) Semiconductor device
US7851857B2 (en) Dual current path LDMOSFET with graded PBL for ultra high voltage smart power applications
CN107093631B (zh) 用于块体FinFET技术的漏极延伸MOS器件
KR101695521B1 (ko) 디바이스 향상을 위한 샌드위치 에피 채널
CN104517857A (zh) 包括鳍形场效应晶体管的集成电路器件及其形成方法
CN102859699A (zh) 制造双栅极装置的结构和方法
JP2010135791A (ja) 半導体素子及びその製造方法
US8969157B2 (en) Method of manufacturing semiconductor device having field plate electrode
JP2008066708A (ja) 半導体装置
JP5925740B2 (ja) トンネル電界効果トランジスタ
US11894457B2 (en) Semiconductor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JP6249571B2 (ja) 適応電荷平衡mosfet技法
US20160093706A1 (en) Method of Forming a Transistor, Method of Patterning a Substrate, and Transistor
US8928082B2 (en) JLT (junction-less transistor) device and method for fabricating the same
JP5886802B2 (ja) 半導体装置
CN106057675B (zh) 屏蔽栅沟槽mosfet的制造方法
WO2013175880A1 (ja) 炭化珪素半導体装置およびその製造方法
JP4328797B2 (ja) 半導体装置
US8084813B2 (en) Short gate high power MOSFET and method of manufacture
KR102226079B1 (ko) 손가락 모양의 소스를 갖는 터널 전계효과 트랜지스터 및 그 제조방법
JPWO2008123491A1 (ja) 電離衝突によるキャリア増倍を用いた半導体素子及びその作製方法
CN103094319A (zh) 双通道高压结型场效应管降低夹断电压的结构及制造方法
CN108074974B (zh) 半导体装置的形成方法
JP4053497B2 (ja) トレンチバイポーラトランジス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