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5840B1 -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 Google Patents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5840B1
KR102225840B1 KR1020197000782A KR20197000782A KR102225840B1 KR 102225840 B1 KR102225840 B1 KR 102225840B1 KR 1020197000782 A KR1020197000782 A KR 1020197000782A KR 20197000782 A KR20197000782 A KR 20197000782A KR 102225840 B1 KR102225840 B1 KR 10222584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ethyl
pharmaceutically acceptable
amino
compound
acceptable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70007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15561A (ko
Inventor
졸리 앤 바스티안
조슈아 라이언 클레이턴
데이빗 앤드류 코티스
대니얼 존 솔
티모시 앤드류 우즈
Original Assignee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filed Critical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Publication of KR2019001556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1556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584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5840B1/ko

Link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 C07D403/1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wo hetero rings linked by a chain containing hetero atoms as chain link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1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five-membered rings with two or more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of which being nitrogen, e.g. tetrazole
    • A61K31/41641,3-Diazoles
    • A61K31/41841,3-Diazoles condensed with carbocyclic rings, e.g. benzimidazo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39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five-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omeprazol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1/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 C07D401/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at least one ring being a six-membered ring with only one nitrogen atom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40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 C07D403/1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two or more hetero rings, having nitrogen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by group C07D401/00 containing three or more hetero ring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Rheumatology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Plural Heterocyclic Compound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R, 및 R1-R3이 본원에 기재된 바와 같은 것인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특정 유형의 자가면역 질환 및 암에 대해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Description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본 발명은 야누스 키나제 1 (JAK1)을 억제하는 벤즈이미다졸 화합물 및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상기 화합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 특정 유형의 자가면역 질환 및 암을 치료하는데 상기 화합물을 사용하는 방법, 및 상기 화합물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야누스 키나제 패밀리 (JAK1, JAK2, JAK3 및 TYK2)는 야누스 키나제-신호 전달자 및 전사 활성화제 (JAK-STAT) 경로를 통해 면역 기능, 염증 및 조혈에서 필수적인 역할을 갖는 세포내 단백질 티로신 키나제이다. 세포외 폴리펩티드 예컨대 유형 I 및 유형 II 시토카인에 반응하여, 야누스 키나제는 다양한 이펙터의 티로신 인산화를 조절하며, 다양한 생리학적 반응을 유도하는 하류 신호전달 경로의 활성화를 개시한다. 구체적으로 JAK1 이소형은 유형 I 및 II 인터페론 신호전달에서 주요 역할을 하며, 인터류킨-2 (IL-2), 인터류킨-4 (IL-4), 당단백질 130 (gp130) 및 클래스 II 수용체 패밀리로부터 신호를 도출한다. 그러므로, JAK1의 소분자 억제는 종양학, 염증 및 자가면역 질환에 수반된 신호전달 경로에 개입할 수 있다. 문헌 [Ghoreschi K et al. Immunological Review 2009, 228, 273-287] 및 [Zak M. et al. Med Chem. 2013, 56, 4764-4785].
JAK 억제제 작용제의 최근 성공에도 불구하고, 단일 JAK 이소형을 선택적으로 표적화하는 억제제를 발견하고 개발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존재한다. 이는 비-표적 효과의 위험을 완화시킬 수 있다.
야누스 키나제 억제제 화합물은 문헌에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US 2015/0203455에는 JAK 억제제로서, 특히 자가면역 질환, 염증성 질환 및 증식성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한 것으로 내세워지고 있는 특정 벤즈이미다졸 화합물이 개시되어 있다.
자가면역 질환, 특히 면역 질환, 예컨대 관절염, 류마티스 관절염, 및 당뇨병성 신병증의 치료를 위한 대안적 JAK1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있다. 추가로, 선택적 JAK1 억제제를 제공하는 것에 대한 요구가 여전히 남아있다. 본 발명은 이들 요구 중 하나 이상을 해결할 수 있는, JAK1의 특정 억제제를 제공한다.
본 발명은 화학식 1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1
여기서 R은 H, -C1-3 알킬, -CH2CH(OH)CH3 또는 -C2-3 알킬-O-CH3,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2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3
로부터 선택되고; R1은 H, -CH3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HF2 또는 -CF3이고; R3은 H 또는 -CH3이며; 단 R2가 -CF3이고 R3이 H인 경우에, R 또는 R1 중 어느 하나는 -CH3일 수 있지만, 둘 다인 것은 아니다.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4
로서 나타내어진 결합은 테트라히드로피란 고리 또는 피리딘 고리의 분자의 나머지에 대한 부착 지점을 지시한다.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2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하며,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5
여기서 R은 H, -C1-3 알킬, -CH2CH(OH)CH3 또는 -C2-3 알킬-O-CH3,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6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7
로부터 선택되고; R1은 H, -CH3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HF2 또는 -CF3이고; R3은 H 또는 -CH3이며; 단 R2가 -CF3이고 R3이 CH3인 경우에, R 또는 R1 중 어느 하나는 -CH3일 수 있지만, 둘 다인 것은 아니다.
하나의 양태에서, 본 발명은 R이 -CH3, -CH2CH3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8
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은 -CH3 또는 -CH2CH3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Figure 112019002744911-pct00009
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이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0
이며, 여기서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1
로서 나타내어진 결합은 분자의 나머지에 대한 부착 지점을 지시하는 것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이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2
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1이 H, -CH3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된 것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1은 H 또는 -CH3이다. 다른 실시양태에서, R1은 -OCH3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2가 -CF3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이러한 양태의 특정 실시양태에서, R은 -CH3 또는 -CH2CH3이고, R1은 -CH3 또는 -OCH3이다. 이러한 양태의 다른 실시양태에서, R은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3
이고, R1은 H이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R3이 -CH3인 화학식 1 또는 2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특정 실시양태에서, R은 H이고, R1은 H이고, R2는 CH3이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3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4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4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5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5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6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5A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7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5B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8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와 같은 화학식 6의 화합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19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유리 염기로서의 중성 화합물로서 또는 쯔비터이온으로서 포함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시트레이트 염으로서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15.5, 18.1, 18.3, 20.5 및 22.9 +/- 0.2° 2 세타, 또는 13.2, 15.5, 18.1, 18.3, 18.5, 20.5, 22.9 및 23.6, 23.7 +/- 0.2° 2 세타, 또는 13.2, 15.5, 18.1, 18.3, 18.5, 19.0, 20.5, 22.9, 23.3, 23.6, 23.7, 24.7 및 26.5 +/- 0.2° 2 세타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CuKα 방사선원 (λ=1.54056 Å)으로부터 획득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의 유리 염기로서 제공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6의 화합물을 18.6, 19.1, 21.0 및 22.4 +/- 0.2° 2 세타, 또는 7.4, 11.0, 18.6, 19.1, 21.0, 21.9, 22.4 및 26.2 +/- 0.2° 2 세타, 또는 7.4, 11.0, 12.7, 16.8, 18.6, 19.1, 21.0, 21.9, 22.4 및 26.2 +/- 0.2° 2 세타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CuKα 방사선원 (λ=1.54056 Å)으로부터 획득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질 형태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로서 제공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실질적으로 순수한 결정질 형태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을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바람직하게는 조성물은 80% (중량 /중량) 초과의 결정질 형태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중량 /중량) 초과의 결정질 형태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을 포함한다.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중량 /중량) 초과의 결정질 형태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 중 적어도 1종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1 내지 6의 화합물을 중성 화합물로서 또는 쯔비터이온으로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1 내지 6의 화합물을 제약상 허용되는 염으로서 포함한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제약 조성물은 화학식 1 내지 6의 화합물을 시트레이트 염으로서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관절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당뇨병성 신병증에 대해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당뇨병성 신병증에 대해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염증성 장 질환에 대해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제약 조성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자가면역 병태의 JAK1 억제에 의한 중재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치료는 화학식 1-6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JAK1 억제에 의해 중재되며 본 발명에 따라 치료될 수 있는 병태의 예는 당뇨병성 신병증; 루푸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관절염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그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보다 바람직한 관절염을 치료하는 방법은 류마티스 관절염에 대해 환자를 치료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하기로부터 선택된 병태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당뇨병성 신병증; 루푸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유효량을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암에 대한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는 방법을 제공한다. 상기 방법은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유효량을 그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것을 포함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요법에 사용하기 위한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을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이 사용될 수 있는 요법은 관절염, 보다 바람직하게는 류마티스 관절염; 당뇨병성 신병증; 루푸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으로부터 선택된다.
또 다른 양태에서, 본 발명은 의약의 제조에서의 화학식 1 내지 6 중 어느 하나에 따른 화합물의 용도를 제공한다.
한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류마티스 관절염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당뇨병성 신병증; 루푸스, 보다 바람직하게는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및 염증성 장 질환, 보다 바람직하게는 크론병 및 궤양성 결장염으로부터 선택된 병태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당뇨병성 신병증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루푸스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쇼그렌 증후군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또 다른 실시양태에서, 의약은 염증성 장 질환을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염"은 임상적 및/또는 수의학적 용도로 허용되는 것으로 간주되는 본 발명의 화합물의 염을 지칭한다. 제약상 허용되는 염의 예 및 그를 제조하는 통상의 방법론은 문헌 [P. Stahl, et al., Handbook of Pharmaceutical Salts: Properties, Selection and Use, 2nd Revised Edition, Wiley-VCH, 2011] 및 [S.M. Berge, et al., "Pharmaceutical Salts," Journal of Pharmaceutical Sciences, Vol. 66, No. 1, January 1977]에서 찾아볼 수 있다.
본 발명의 제약 조성물은 제약상 허용되는 첨가제를 사용하여,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다. 제약 조성물을 위한, 본원에 사용된 용어 "제약상 허용되는 첨가제(들)"는 제제의 다른 첨가제와 상용성이며 환자에게 유해하지 않은 1종 이상의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를 지칭한다. 제약 조성물 및 그의 제조 방법은 공지되어 있으며, 그 예는 문헌 [Loyd, V., et al. eds. Remington: The Science and Practice of Pharmacy 22nd Ed., Mack Publishing Co., 2012]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및 부형제의 비제한적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 염수, 물, 전분, 당, 만니톨 및 실리카 유도체; 결합제 예컨대 카르복시메틸 셀룰로스 및 다른 셀룰로스 유도체, 알기네이트, 젤라틴 및 폴리비닐-피롤리돈; 카올린 및 벤토나이트; 폴리에틸 글리콜.
바람직한 제약 조성물은 정제, 캡슐, 경구 투여용 용액 또는 주사용 용액으로서 제제화될 수 있다. 정제, 캡슐 또는 용액은 본 발명의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를 치료하기 위한 유효량으로 포함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유효량"은 장애, 예컨대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또는 암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투여량의 양을 지칭한다. 담당 의사 또는 수의사는,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로서, 통상적인 기술을 사용함으로써 및 유사한 상황 하에 획득된 결과를 관찰함으로써 유효량을 용이하게 결정할 수 있다. 유효량 또는 유효 용량을 결정하기 위해 다수의 인자가 고려될 수 있으며; 이러한 인자에는 화합물이 투여될 것인지 또는 그의 염이 투여될 것인지의 여부; 사용되는 경우, 다른 작용제의 공동-투여; 환자의 종; 그의 크기, 연령, 및 전반적 건강; 장애의 침범 정도 또는 중증도; 개별 환자의 반응; 투여 방식; 투여되는 제제의 생체이용률 특징; 선택된 용량 요법; 다른 병용 의약의 사용; 및 다른 관련 상황이 포함되나 이에 제한되지는 않는다.
본원에 사용된 용어 "환자"는 포유동물, 가금류 또는 어류를 지칭한다. 바람직한 포유동물은 인간, 반려 포유동물, 예컨대 개 또는 고양이, 또는 사육 동물 또는 가축, 예컨대 소, 돼지, 말, 양 및 염소를 포함한다.
용어 "실질적으로 순수한"은 중량/중량 기준으로 80% 초과의 순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90% 초과의 순도, 보다 더 바람직하게는 95% 초과의 순도를 갖는 조성물을 지칭한다.
본 발명의 화합물은 단독으로 사용되거나 또는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와 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화합물은 염증 및/또는 자가면역 질환의 치료를 위한 작용제와 조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NSAID 또는 COX-2 억제제, 예컨대 이부프로펜, 아스피린, 아세트아미노펜, 셀레콕시브, 나프록센 및 케토프로펜; 오피오이드, 예컨대 옥시코돈 및 펜타닐; 메토트렉세이트; 및 코르티코스테로이드, 예컨대 히드로코르티손, 프레드니솔론 및 프레드니손이 포함된다.
상기 화합물은 또한 암을 치료하는데 효과적인 1종 이상의 추가의 치료제와 조합될 수 있다. 그 예로는 시스플라틴, 카르보플라틴, 에토포시드, 겜시타빈, 파클리탁셀, 비노렐빈, 토포테칸, 이리노테칸, 시클로포스파미드, 독소루비신, 빈크리스틴 및 메토트렉세이트가 포함된다.
예시된 화합물 및 추가의 치료제(들)는 동일한 전달 경로 및 장치 예컨대 단일 환제, 캡슐 또는 정제를 통해 함께 투여되거나; 또는 별개의 전달 장치로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별개로 투여될 수 있다.
화학 섹션
본 발명의 화합물 또는 그의 염은 다양한 절차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이들 중 일부가 하기 제조예 및 실시예에 예시되어 있다. 하기 절차에서 각각의 단계의 생성물(들)은 추출, 증발, 침전, 크로마토그래피, 여과, 연화처리 및 결정화를 포함한, 통상적인 방법에 의해 회수될 수 있다. 시약 및 출발 물질은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용이하게 이용가능하다. 하기 기재된 제조예에서, 아민 치환기는 본원에 기재된 화합물의 합성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보호될 수 있다.
본원에 사용된 하기 용어들은 지시된 의미를 갖는다: "AcOH"는 빙초산을 지칭하고, "EC50"은 사전에 정의된 양성 대조군 화합물과 비교하여 표적 활성의 50% 반응을 발생시키는 작용제의 농도 (절대 EC50)를 지칭하고; "EtOAc"는 에틸 아세테이트를 지칭하고; "ES/MS"는 전기분무 질량 분광분석법을 지칭하고; "DCM"은 디클로로메탄을 지칭하고; "DMF"는 N,N-디메틸포름아미드를 지칭하고; "DMSO"는 디메틸술폭시드를 지칭하고; "GC-MS"는 기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을 지칭하고; "GFP"는 녹색 형광 단백질을 지칭하고; "HEPES"는 4-(2-히드록시에틸)-1-피페라진에탄술폰산을 지칭하고; "hr" 또는 "hrs"는 시간을 지칭하고; "IC50"은 그 작용제에 대해 가능한 최대 억제 반응의 50%를 발생시키는 작용제의 농도 (상대 IC50) 또는 위약 대조군과 비교하여 표적 활성의 50% 억제를 발생시키는 작용제의 농도 (절대 IC50)를 지칭하고; "LC-MS"는 액체 크로마토그래피-질량 분광측정법을 지칭하고; "MeOH"는 메탄올을 지칭하고; "min"은 분을 지칭하고; "MS"는 질량 분광분석법을 지칭하고; "MTBE"는 메틸 tert-부틸 에테르를 지칭하고, "OAc"는 아세테이트 또는 아세테이트 음이온을 지칭하고; "QD"는 1일-1회를 지칭하고; "RT 또는 rt"는 실온을 지칭하고; "STAT1"은 신호 전달자 및 전사 활성화제 1을 지칭하고; "THF"는 테트라히드로푸란을 지칭하고, "TR-FRET"는 시간-분해 형광 에너지 전달을 지칭한다.
다양한 아민 보호 관능기는 관련 기술분야에 공지되어 있으며, 카르바메이트 예컨대 C1-5 알킬 카르바메이트, C3-6 시클로알킬 카르바메이트, 바람직하게는 t-부틸 카르바메이트 (BOC) 또는 벤질 카르바메이트 (CBZ); 아미드 예컨대 C1-3 알킬아미드, C1-3 할로알킬아마이드, 포름아미드 또는 아세트아미드, 클로로아세트아미드, 트리플루오로아세트아미드; 및 벤질 아민을 포함한다. 아민 보호 관능기의 추가의 예, 보호된 아민 치환기를 제조하는 방법 및 아민 치환기를 탈보호하는 방법은 문헌 ["Greene's 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 5th Ed., Wuts, P.G.M., Eds. John Wiley and Sons, 2014]에서 찾아볼 수 있다. 아민 기로 용이하게 전환될 수 있는 다른 관능기도 사용될 수 있다는 것이 관련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에게 인식될 것이다. 이러한 관능기, 이들 기의 제조법 및 변환은 문헌 ["Comprehensive Organic Transformations: A Guide to Functional Group Preparations" by Larock. R.C, Wiley VCH, 1999] 및 ["March's Advanced Organic Chemistry: Reactions, Mechanisms and Structure" Smith, M.B., Wiley-Interscience, 7th Ed., 2013]에서 찾아볼 수 있다.
제조예 1
(2R)-2-(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
아세트산 (0.89 mL, 0.052 eq)을 톨루엔 (16.65 mL) 중의 (1S,2S)-(+)-1,2-시클로헥산디아미노-N,N'-비스(3,5-디-t-부틸살리실리덴)코발트 (II) (0.90 g, 0.0050 eq)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rt에서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진공에서 제거하였다. 톨루엔 (20 mL)을 첨가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0℃로 냉각시키고, 2-(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 (37.00 g, 330 mmol; 80.0% ee, (2R)이 주요 거울상이성질체임)을 첨가하였다. 5분 동안 교반하고, 물 (0.80 mL, 0.15 eq)을 적가하였다. 서서히 rt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rt에서 진공 증류시키고, 냉각된 플라스크에 표제 화합물을 담황색 오일로서 수집하였다 (28.10 g, 76%; 99.8% ee). 1H NMR (CDCl3) δ 2.92-2.94 (m, 1H), 2.98-3.01 (m, 1H), 3.41-3.46 (m, 1H).
표제 화합물 (0.13 g, 1.16 mmol) 및 MeOH (1.3 mL)를 합하였다. 0℃로 냉각시키고, 트리에틸아민 (0.17 mL, 1.10 eq) 및 티오페놀 (0.12 mL, 1.05 eq)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을 1,1,1-트리플루오로-3-페닐술파닐-프로판-2-올의 형성에 대해 GC-MS를 통해 모니터링하였다; m/z = 222. 키랄 LC-MS를 통한 생성물의 분석으로 생성물의 이성질체 순도가 99.8% ee이고, (2S)-1,1,1-트리플루오로-3-페닐술파닐-프로판-2-올이 주요 거울상이성질체인 것으로 밝혀졌다.
제조예 2
1-브로모-3,5-디플루오로-2-니트로벤젠
0℃에서 황산 (50 mL) 중의 1-브로모-3,5-디플루오로벤젠 (35.00 mL, 304 mmol)의 용액에 질산 (발연, 20 mL)을 적가하였다. 서서히 rt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얼음과 물의 혼합물 (600 mL)에 부었다. 서서히 rt로 가온하였다. EtOAc (200 mL) 및 헥산 (100 mL)을 첨가하였다. 모든 고체가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57.37 g, 79%). GC-MS m/z = (79Br/81Br) 237, 239 (M+H).
제조예 3
3-브로모-5-플루오로-N-메틸-2-니트로아닐린
테트라히드로푸란 중의 2 M 모노메틸아민 (92 mL, 2.00 eq)을 1,4-디옥산 (92 mL) 중의 1-브로모-3,5-디플루오로-2-니트로벤젠 (21.90 g, 92 mmol)의 용액에 첨가하였다. 45분 동안 rt에서 교반하였다. 물을 첨가하고; 이어서,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수집하고,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40% DCM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6.95 g, 74%). MS (ES) m/z = (79Br/81Br) 249/251 (M+H).
제조예 4
tert-부틸 {시스-4-[3-브로모-5-(메틸아미노)-4-니트로페녹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0
DCM (975 mL) 및 5 M 수성 수산화나트륨 (241 mL) 중에 3-브로모-5-플루오로-N-메틸-2-니트로아닐린 (75.04 g, 301 mmol), tert-부틸 (시스-4-히드록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89.52 g, 1.38 eq), 테트라(n-부틸)암모늄 비술페이트 (15.58 g, 0.15 eq)를 합하였다. 37℃에서 질소 하에 5일 동안 급속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DCM (200 mL) 및 물 (40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부를 DCM (3 x 10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40% EtOAc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8.57 g, 51%). MS (ES) m/z = (79Br/81Br) 442/444 (M-H).
제조예 5
tert-부틸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1
파르(Parr)® 반응기에서 테트라히드로푸란 (923 mL) 중에 tert-부틸 {시스-4-[3-브로모-5-(메틸아미노)-4-니트로페녹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76.92 g, 173 mmol) 및 백금 (황화 탄소 상 5%, 3.85 g)을 합하였다. rt에서 H2 (414 kPa) 하에 3일 동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규조토를 THF로 세척하였다. 합한 THF 여과물에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 (165 mL, 8.70 eq)를 첨가하였다. 22시간 동안 63℃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의 대부분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물 (400 mL) 및 EtOAc (400 mL)로 희석하였다. 수성 탄산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켜 pH를 9로 조정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부를 EtOAc (2 x 2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400 mL)로 희석하고, 30분 동안 초음파처리하였다. 여과하고, 메틸 tert-부틸 에테르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담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52.02 g, 71%). MS (ES) m/z = (79Br/81Br) 424/426 (M+H).
제조예 6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산아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2
0℃에서 DCM (1110 mL) 중의 tert-부틸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222 g, 497 mmol)의 용액에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666 mL)을 서서히 첨가하였다. 서서히 혼합물을 rt로 가온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물 (250 mL)을 첨가하고, 50%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켜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물 (250 mL)을 첨가하였다. DCM 중의 20% MeOH (1500 mL, 이어서 500 mL, 이어서 2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2 M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55 g, 91%). MS (ES) m/z = (79Br/81Br) 324/326 (M+H).
제조예 7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3
MeOH (1053 mL) 중의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산아민 (150.4 g, 436 mmol)의 용액에 (2R)-2-(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 (73.29 g, 1.50 eq)을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의 0-10% EtOH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98.10 g, 52%). MS (ES) m/z = (79Br/81Br) 436/438 (M+H).
제조예 8
1-(3-메톡시프로필)-5-메틸-3-니트로-1H-피라졸
5-메틸-3-니트로-1H-피라졸 (3.0 g, 22 mmol), 탄산칼륨 (6.2 g, 2.0 eq) 및 1-브로모-3-메톡시프로판 (3.8 g, 1.1 eq)의 혼합물에 아세토니트릴 (56 mL)을 첨가하였다.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EtOAc (~50 mL)를 첨가하고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35% EtOAc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3.3 g, 70%)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200 (M+H).
제조예 9
1-(3-메톡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아민
500 mL 파르® 반응기에 목탄 상 팔라듐 (5% w/w, 0.38 g)을 첨가하였다. 반응기를 N2로 퍼징하고, EtOH (100 mL)를 첨가하였다. EtOH (100 mL) 중의 1-(3-메톡시프로필)-5-메틸-3-니트로-1H-피라졸 (3.3 g, 17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60 psi)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오렌지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2.7 g, 96%). MS (ES) m/z = 170 (M+H).
제조예 10
1-(2-메톡시에틸)-5-메틸-3-니트로-1H-피라졸
5-메틸-3-니트로-1H-피라졸 (0.95 g, 7.1 mmol), 탄산칼륨 (2.0 g, 2.0 eq) 및 1-브로모-2-메톡시에탄 (2.0 mL, 3.0 eq)의 혼합물에 아세토니트릴 (35 mL)을 첨가하였다. 75℃에서 3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디에틸 에테르 (~35 mL)를 첨가하고 여과하였다. 고체를 EtOAc (2 x 25 mL)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0-100% EtOAc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1 g, 64%). MS (ES) m/z = 186 (M+H).
제조예 11
1-(2-메톡시에틸)-5-메틸-1H-피라졸-3-아민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0.38 g)을 첨가하였다. N2로 퍼징하고, EtOH (10 mL)를 첨가하였다. EtOH (40 mL) 중의 1-(2-메톡시에틸)-5-메틸-3-니트로-1H-피라졸 (0.86 g, 4.6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0.68 g, 84%). MS (ES) m/z = 156 (M+H).
제조예 12
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5-메틸-3-니트로-1H-피라졸 (2.0 g, 15 mmol), 탄산칼륨 (4.1 g, 2.0 eq) 및 1-클로로-2-프로판올 (3.8 mL, 3.0 eq)의 혼합물에 아세토니트릴 (75 mL)을 첨가하였다. 8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EtOAc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2.0 g, 65%)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186 (M+H).
제조예 13
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0.35 g)을 첨가하였다. N2로 퍼징하고, EtOH (50 mL)를 첨가하였다. EtOH (150 mL) 중의 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2.0 g, 11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분홍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2 g, 69%). MS (ES) m/z = 156 (M+H).
제조예 14
(2S)-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4
5-메틸-3-니트로-1H-피라졸 (1.2 g, 9.0 mmol), 탄산칼륨 (2.5 g, 2.0 eq) 및 (S)-1-클로로-2-프로판올 (0.98 g, 1.2 eq)의 혼합물에 아세토니트릴 (45 mL)을 첨가하였다. 85℃에서 4일 동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여과하여 고체를 수집하고, 고체를 EtOAc로 세정하고, 이어서 고체를 폐기하였다. 여과물을 수집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EtOAc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1 g, 67%). MS (ES) m/z = 186 (M+H).
제조예 15
(2S)-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5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0.22 g)을 첨가하였다. EtOH (50 mL) 중의 (2S)-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1.1 g, 6.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고체를 MeOH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 (0.89 g, 95%)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156 (M+H).
제조예 16
(2R)-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6
5-메틸-3-니트로-1H-피라졸 (1.1 g, 8.2 mmol), 탄산칼륨 (2.3 g, 2.0 eq) 및 (R)-1-클로로-2-프로판올 (0.92 mL, 1.3 eq)의 혼합물에 아세토니트릴 (41 mL)을 첨가하였다. 8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여과하고, 고체를 EtOAc로 세정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EtOAc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74 g, 48%). MS (ES) m/z = 186 (M+H).
제조예 17
(2R)-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7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0.15 g)을 첨가하였다. EtOH (33 mL) 중의 (2R)-1-(5-메틸-3-니트로-1H-피라졸-1-일)프로판-2-올 (0.74 g, 4.0 mmol)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고체를 MeOH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58 g, 95%). MS (ES) m/z = 156 (M+H).
제조예 18
에틸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레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8
디이소프로필아민 (55 mL, 1.36 eq) 및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500 mL)을 합하였다. N2 하에 -20℃로 냉각시켰다. 헥산 중의 2.5 M n-부틸리튬 (150 mL, 1.30 eq)을 10분에 걸쳐 적가하고, 이어서 용액을 -20℃에서 추가로 15분 동안 교반하였다. 상기 용액을 20분에 걸쳐 캐뉼라를 통해 -40℃에서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500 mL) 중의 에틸 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레이트 (50 mL, 287 mmol)의 용액에 전달하였다. 용액을 -40℃에서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60 mL) 중의 아이오도메탄 (30 mL, 1.68 eq)의 용액을 10분에 걸쳐 적가하였다. -40℃에서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서서히 rt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포화 수성 염화암모늄 (150 mL)으로 켄칭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5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층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63.3 g, 97%). 1H NMR (CDCl3) δ 1.16 (s, 3H), 1.20-1.25 (m, 3H), 1.42-1.66 (m, 6H), 2.07-2.14 (m, 2H), 3.91 (s, 4H), 4.08-4.15 (m, 2H).
제조예 19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산
Figure 112019002744911-pct00029
에틸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레이트 (20 g, 88 mmol), MeOH (100 mL) 및 물 중의 3 M 수산화나트륨 (140 mL)을 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물 (150 mL) 및 메틸 tert-부틸 에테르 (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3% w/w 수성 염산으로 산성화시켜, pH를 2로 조정하였다. 메틸 tert-부틸 에테르 (3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유성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2.6 g, 72%). 1H NMR (CDCl3) δ 1.25 (s, 3H), 1.47-1.60 (m, 2H), 1.65-1.70 (m, 4H), 2.08-2.17 (m, 2H), 3.93 (s, 4H).
제조예 20
프로프-2-엔-1-일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스-8-일)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0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8-카르복실산 (12 g, 60 mmol) 및 아세토니트릴 (200 mL)을 합하였다. 트리에틸아민 (25.5 mL, 3.11 eq) 및 디페닐포스포릴 아지드 (15 mL, 1.18 eq)를 첨가하였다. rt에서 N2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알릴 알콜 (25 mL, 6.25 eq)을 첨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환류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물 (150 mL) 및 메틸 tert-부틸 에테르 (15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2 x 10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0.8 g, 71%). 1H NMR (CDCl3) δ 1.34 (s, 3H), 1.57-1.69 (m, 6H), 1.98-2.11 (m, 2H), 3.92-3.93 (m, 4H), 4.48-4.66 (m, 3H), 5.16-5.32 (m, 2H), 5.82-5.99 (m, 1H).
제조예 21
프로프-2-엔-1-일 (1-메틸-4-옥소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1
프로프-2-엔-1-일 (8-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스-8-일)카르바메이트 (10.5 g, 41 mmol), 아세톤 (30 mL) 및 물 (3 mL)을 합하였다. 35% 염산 (2.7 mL)을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아세톤을 제거하였다. 메틸 tert-부틸 에테르 (100 mL)로 희석하였다. 6 M 수성 탄산칼륨으로 염기성화시켜, pH를 8로 조정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2 x 20 mL)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부를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100% 메틸 tert-부틸 에테르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무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6.0 g, 69%). 1H NMR (CDCl3) δ 1.44 (s, 3H), 1.76-1.88 (m, 2H), 2.24-2.51 (m, 6H), 4.54 (d, 2H), 4.78 (s, 1H), 5.20-5.35 (m, 2H), 5.85-6.00 (m, 1H).
제조예 22
프로프-2-엔-1-일 (시스-4-히드록시-1-메틸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2
이소프로판올 (110 mL) 중의 프로프-2-엔-1-일 (1-메틸-4-옥소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32.8 g, 155 mmol)의 용액에 0.1 M 인산일칼륨 완충제 (pH 7, 500 mL), MgSO4 (0.12 g), NADP (0.27 g) 및 케토리덕타제-P1-B10 (0.32 g)을 첨가하였다. 35℃에서 24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EtOAc로 추출하였다. 유기부를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32.41 g, 98%). 1H NMR (CDCl3) δ 1.18-1.50 (m, 7H), 1.57-1.88 (m, 3H), 1.98-2.14 (m, 2H), 3.55-3.65 (m, 1H), 4.46-4.66 (m, 3H), 5.17-5.32 (m, 2H), 5.83-5.96 (m, 1H). 3.55-3.65 ppm에서의 양성자 다중선은 시스 배위인 것으로 공지되어 있다.
제조예 23
프로프-2-엔-1-일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3
DCM (300 mL) 중의 3-브로모-5-플루오로-N-메틸-2-니트로아닐린 (30.00 g, 120 mmol) 및 프로프-2-엔-1-일 (시스-4-히드록시-1-메틸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33.00 g, 1.28 eq)의 용액에 5 M 수성 수산화나트륨 (270 mL) 및 테트라(n-부틸)암모늄 비술페이트 (7.50 g, 0.18 eq)를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rt에서 24시간 동안 급속 교반하였다. 테트라부틸암모늄 히드로겐 술페이트 (7.50 g, 0.18 eq)를 첨가하였다. rt에서 밤새 급속 교반하였다. 물 (2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 (2 x 150 mL)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5% w/w 수성 염화나트륨 (200 mL) 및 물 (200 mL)로 세척하고; 이어서 유기 추출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농축된 유기 추출물 및 아세트산 (650 mL)을 합하였다. 트리메틸오르토포르메이트 (45 mL)를 첨가하였다. 90℃에서 2.5시간 동안 질소 하에 교반하였다. EtOAc (500 mL)로 희석하였다.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패드를 EtOAc로 세척하였다. 합한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2 M 수성 인산이칼륨 (60 mL) 및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60 mL)으로 희석하였다. 20분 동안 교반하고, 이어서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 x 20 mL)으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물로 세척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1-메틸-2-피롤리디논 (100 mL)으로 희석하고, 교반하여 균질 혼합물을 수득하였다. 혼합물을 30분에 걸쳐 물 (1200 mL)에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여과하여 고체를 수집하고, 고체를 물로 세척하였다. 고체를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250 mL) 중에 용해시키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용액을 이소프로판올 (3 x 150 mL)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용액을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10 mL)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유성 갈색 잔류물로서 제공하였다 (31.5 g, 74%). MS (ES) m/z = (79Br/81Br) 422/424 (M+H).
제조예 24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산아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4
2-메틸테트라히드로푸란 (700 mL) 중에 프로프-2-엔-1-일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실}카르바메이트 (30 g, 71 mmol), 비스(디벤질리덴아세톤)팔라듐 (0.50 g, 0.017 eq), 1,4-비스(디페닐포스피노)부탄 (0.50 g, 0.022 eq), 및 티오살리실산 (15 g, 1.90 eq)을 합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5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물 (300 mL) 및 메틸 tert-부틸 에테르 (300 mL)로 희석하였다. 35% 염산으로 산성화시켜, pH를 2로 조정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0 mL)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부를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DCM (150 mL)으로 희석하고,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켰다. 여과하고; 고체를 수집하고; 생성된 고체를 이어서 DCM 중의 5% 2 M 암모니아화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제공하였다 (12.0 g, 50%). MS (ES) m/z = (79Br/81Br) 338/340 (M+H).
제조예 25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5
유리 압력 반응기에서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산아민 (11.6 g, 34 mmol), (2R)-2-(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 (4.00 g, 1.05 eq), EtOH (45 mL) 및 물 (45 mL)을 합하였다. 실링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rt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2R)-2-(트리플루오로메틸)옥시란 (0.44 g, 0.12 eq)을 첨가하였다. 실링하고, 반응 혼합물을 90℃에서 1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물 (100 mL), 메틸 tert-부틸 에테르 (20 mL) 및 EtOAc (20 mL)로 희석하였다. 35% 수성 염산으로 산성화시켜 pH를 2로 조정하고, 완전한 용액이 달성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메틸 tert-부틸 에테르 (40 mL)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고, 유기 층을 폐기하였다. 수성 층을 50% w/w 수성 수산화나트륨으로 염기성화시켜, pH를 10으로 조정하였다. 수성 층을 EtOAc (2 x 50 mL)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합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고체를 EtOAc (50 mL)로부터 결정화하였다. 여과하여 고체를 수집하고, 생성된 고체를 이어서 EtOAc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6.3 g, 41%). MS (ES) m/z = (79Br/81Br) 450/452 (M+H).
여과물을 결정화 모액으로부터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EtOAc 중의 5% 2 M 암모니아화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추가의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3.3 g, 21%). MS (ES) m/z = (79Br/81Br) 450/452 (M+H).
제조예 26
(2R)-2-(디플루오로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6
(3R)-1,4-디옥사스피로[4.5]데칸-3-카르브알데히드 (15.98 g, 89.19 mmol)를 DCM (80 mL) 중에 용해시켰다. N2 하에 두고,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조심스럽게 디에틸아미노황 트리플루오라이드 (15 mL, 1.2 eq)를 적가하였다. 서서히 rt로 가온되도록 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상기 혼합물을 분쇄 얼음,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 및 DCM의 교반 혼합물에 서서히 부었다. 인산이칼륨 (5 g)을 첨가하고, 탄산칼륨을, pH ~7-8을 유지하면서, 버블링이 더 이상 관찰되지 않을 때까지 조금씩 첨가하였다. 20분 동안 교반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DCM (3 x)으로 추출하였다. 합한 유기 추출물을 1M 수성 중아황산나트륨 및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였다. 유기부를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호박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17.37 g, 93%). GC-MS m/z = 192.
제조예 27
(2R)-3,3-디플루오로-2-히드록시프로필 4-메틸벤젠술포네이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7
(2R)-2-(디플루오로메틸)-1,4-디옥사스피로[4.5]데칸 (9.08 g, 47.2 mmol)을 MeOH (250 mL) 중에 용해시켰다. p-톨루엔술폰산 1수화물 (0.70 g, 0.1 eq)을 첨가하였다. rt에서 1주 동안 교반하였다. 중탄산나트륨 (0.60 g)을 첨가하였다. 1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실리카 겔 및 트리메틸아민 (3 mL)을 첨가하였다. 10분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키고, 헥산 중의 15-100% EtOAc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2R)-3,3-디플루오로프로판-1,2-디올을 황색 오일로서 제공하였다 (2.95 g).
(2R)-3,3-디플루오로프로판-1,2-디올 (2.0 g, 15.2 mmol)을 DCM (40 mL) 중에 용해시켰다. 질소 하에 두고, 용액을 0℃로 냉각시켰다. 2,6-루티딘 (8.0 mL, 4.5 eq)을 첨가하였다. p-톨루엔술포닐 클로라이드 (3.0 g, 1.0 eq)를 조금씩 첨가하였다. 서서히 rt로 가온되도록 하고, 2일 동안 교반하였다. -78℃로 냉각시키고,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5 mL, 0.5 eq)를 적가하였다. 40분에 걸쳐 0℃로 가온되도록 하였다. 트리메틸실릴 트리플루오로메탄술포네이트 (1.5 mL, 0.5 eq)를 적가하였다. 30분 동안 교반하고, MeOH (5 mL)로 켄칭하였다. DCM으로 희석하고, 물 (75 mL) 중의 인산나트륨 (4.9 g)의 용액을 첨가하였다. pH를 2M 수성 중황산칼륨으로 ~3으로 조정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수성 층을 디에틸 에테르로 추출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무수 Na2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에틸렌 글리콜 (1 mL) 및 실리카 겔 (~20 g)을 첨가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A 중의 20-100% B 구배 (A: 헥산, B: 6:3:1의 헥산:DCM:THF)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1.37 g, 16%)을 제공하였다. GC-MS m/z = 266.
제조예 28
6-[(시스-4-아미노시클로헥실)옥시]-N-(1,5-디메틸-1H-피라졸-3-일)-1-메틸-1H-벤즈이미다졸-4-아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8
tert-부틸 알콜 (250 mL) 중에 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산아민 (25.70 g, 79.27 mmol), 1,5-디메틸-1H-피라졸-3-아민 (9.08 g, 1.0 eq), 탄산칼륨 (28.48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8.60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3.63 g, 0.050 eq) 및 아세트산 (0.14 mL)을 합하였다.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부를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EtOAc 및 헥산으로부터 연화처리하여 황갈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황갈색 고체를 헥산, 이어서 DCM 중의 5% MeOH, 이어서 DCM 중의 20% 2M 암모니아화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1.71 g, 77%). MS (ES) m/z = 355 (M+H).
제조예 29
2-(3-니트로-1H-피라졸-1-일)피리딘
Figure 112019002744911-pct00039
2개의 별개의 바이알 각각에서, 1-메틸-2-피롤리디논 (20 mL) 중에 3-니트로-1H-피라졸 (3.0 g, 27 mmol), 2-플루오로피리딘 (2.9 mL, 1.3 eq) 및 트리에틸아민 (4.6 mL, 1.2 eq)을 합하였다. 실링하고, 18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합하고, 물로 희석하였다. 여과하여 고체를 수집하고, 고체를 물로 세척하고, 진공 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5.9 g, 58%)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191 (M+H).
제조예 30
1-피리딘-2-일-1H-피라졸-3-아민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1.9 g)을 첨가하였다. N2로 퍼징하고, EtOH (200 mL)를 첨가하였다. 2-(3-니트로-1H-피라졸-1-일)피리딘 (2.5 g, 13 mmol)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밤새 교반하였다. 소량의 규조토를 첨가하고, 5분 동안 교반하였다.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EtOH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1.8 g, 85%). MS (ES) m/z = 161 (M+H).
제조예 31
1-(메틸술포닐)-3-니트로-1H-피라졸
DCM (20 mL) 중에 3-니트로-1H-피라졸 (3.0 g, 27 mmol), 메탄술포닐 클로라이드 (2.5 mL, 1.2 eq) 및 트리에틸아민 (4.4 mL, 1.2 eq)을 합하였다. rt에서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DCM 및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으로 희석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3.7 g, 73%). 1H NMR (DMSO-d6) δ 3.74 (s, 3H), 7.30 (d, J = 2.9 Hz, 1H), 8.55 (d, J = 2.9 Hz, 1H).
제조예 32
3-니트로-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0
아세토니트릴 (40 mL) 중에 테트라히드로피란-3-올 (1.3 g, 13 mmol), 1-(메틸술포닐)-3-니트로-1H-피라졸 (2.4 g, 1.0 eq) 및 탄산세슘 (4.8 g, 1.2 eq)을 합하였다. 90℃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EtOAc로 희석하고,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물 중의 0.1% 포름산) 중의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의 0% → 100% 구배로 용리하는 C-18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0.35 g, 14%)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198 (M+H).
제조예 33
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아민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1
플라스크에 목탄 상 팔라듐 (10% w/w, 0.10 g)을 첨가하였다. N2로 퍼징하고, EtOH (20 mL)를 첨가하였다. 3-니트로-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 (0.30 g, 1.5 mmol)을 첨가하였다. rt에서 H2 (풍선) 하에 2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고, EtOH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24 g, 94%). MS (ES) m/z = 168 (M+H).
실시예 1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1-(3-메톡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2
tert-부틸 알콜 (46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4.0 g, 9.2 mmol), 1-(3-메톡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아민 (2.2 g, 1.4 eq), 탄산칼륨 (3.2 g, 2.5 eq),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3,6-디메톡시-1,1'-비페닐 (0.92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87 g, 0.1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9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의 5%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조 생성물을 제공하였다. 조 생성물을 A 중의 15-60% B 구배 (A: MeOH 중의 10 mM 중탄산암모늄, B: 아세토니트릴)로 용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농축시켜 아세토니트릴의 대부분을 제거하였다. EtOAc를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포화 수성 염화나트륨으로 세척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생성물을 DCM 중의 5%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추가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2.4 g, 49%). MS (ES) m/z = 525 (M+H).
실시예 2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1-(2-메톡시에틸)-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3
tert-부틸 알콜 (32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1.4 g, 3.2 mmol), 1-(2-메톡시에틸)-5-메틸-1H-피라졸-3-아민 (0.69 g, 1.4 eq), 탄산칼륨 (1.1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0.35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15 g, 0.05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이솔루트(ISOLUTE)® HM-N 물질을 통해 여과하고, DCM 및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A 중의 30-100% B 구배 (A: DCM, B: DCM 중의 15% 2M 암모니아화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91 g, 56%). MS (ES) m/z = 511 (M+H).
실시예 3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1-(2-히드록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4
tert-부틸 알콜 (5.3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0.35 g, 0.80 mmol), 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0.14 g, 1.1 eq), 탄산칼륨 (0.28 g, 2.5 eq),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3,6-디메톡시-1,1'-비페닐 (0.12 g, 0.3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55 g, 0.075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100℃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메탄올 중의 10mM 중탄산암모늄) 중의 아세토니트릴의 0%-80% 구배로 용리하는 C-18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였다. 생성물 (이성질체의 혼합물로서)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29 g, 71%). MS (ES) m/z = 511 (M+H).
혼합물 중의 이성질체를 하기 키랄 크로마토그래피 조건을 사용하여 분리하여 하기를 제공하였다:
제1 용리 거울상이성질체 1 (0.12 g, 99% ee). MS (ES) m/z = 511 (M+H), 75%/25% CO2/이소프로판올, 5 mL/분, 4.6 x 150 mm, 키랄팩 AD-H
제2 용리 거울상이성질체 2 (0.11 g, 97% ee). MS (ES) m/z = 511 (M+H), 75%/25% CO2/이소프로판올, 5 mL/분, 4.6 x 150 mm, 키랄팩 AD-H
실시예 4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1-[(2S)-2-히드록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5
tert-부틸 알콜 (10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0.40 g, 0.92 mmol), (2S)-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0.17 g, 1.2 eq), 탄산칼륨 (0.33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0.099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42 g, 0.05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크림프 캡으로 실링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60분 동안 140℃에서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이솔루트® HM-N 물질을 통해 여과하고, 물질을 DCM 및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EtOAc/헥산으로 연화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0.44 g, 95%)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511 (M+H).
실시예 5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1-[(2R)-2-히드록시프로필]-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6
tert-부틸 알콜 (10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0.15 g, 0.34 mmol), (2R)-1-(3-아미노-5-메틸-1H-피라졸-1-일)프로판-2-올 (0.064 g, 1.2 eq), 탄산칼륨 (0.12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0.037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16 g, 0.05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크림프 캡으로 실링하였다.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반응기에서 60분 동안 140℃에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에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이솔루트® HM-N 물질을 통해 여과하고; 물질을 DCM 및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EtOAc/헥산으로부터 연화처리하여 표제 화합물을 황갈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11 g, 62%). MS (ES) m/z = 511 (M+H).
실시예 6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4-[(5-메톡시-1-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7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10 g, 22.9 mmol), 5-메톡시-1-메틸-피라졸-3-아민 (3.6 g, 28.8 mmol),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 디팔라듐-(0) (1.8 g, 2 mmol), 디-tert-부틸(2',4',6'-트리이소프로필-3,6-디메톡시-[1,1'-비페닐]-2-일)포스핀 (1.3 g, 2.4 mmol) 및 탄산칼륨 (9 g, 65 mmol)의 혼합물에 2-메틸부탄-2-올 (120 mL)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통한 N2 기체의 버블링에 의해 혼합물을 탈기시키고, 이어서 아세트산 (118 uL, 2 mmol)을 첨가하였다. 가열하고, 혼합물을 N2 하에 100℃에서 20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시키고; 용매를 증발시키고; 이어서, EtOAc (100 mL), 물 (50 mL) 및 목탄 (1 g)을 첨가하였다. 혼합물을 15분 동안 교반하고,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수집하고, 유기 층을 분리하였다. 물 (100 mL) 및 진한 염산을 첨가하여 pH를 2로 조정하였다. 목탄 (1.5g)을 첨가하고, 혼합물을 30분 동안 교반하고, 혼합물을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여과물을 분리 깔때기에 전달하고, 수성 층을 단리하였다. 수성 층 상에 진한 수산화암모늄 용액을 첨가하여 pH를 10으로 조정함으로써, 연한 크림색 고체를 제공하였다. 고체를 메틸렌 클로라이드 및 MeOH (95:5)의 혼합물로 용리하는 실리카 겔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였다. 목적하는 분획을 수집하고, 용매를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을 연한 크림색 물질로서 64% 수율로 제공하였다 (6.5 g, 13 mmol).
표제 화합물을 시클로펜틸 메틸 에테르 (45 mL)로부터 결정화하여, (2R)-1,1,1-트리플루오로-3-[[4-[7-[(5-메톡시-1-메틸-피라졸-3-일)아미노]-3-메틸-벤즈이미다졸-5-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3.2 g, 6.5 mmol)을 제공하였다. 혼합물을 22℃에서 18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증발시키고, 백색 고체를 일정 중량까지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99% 수율로 제공하였다 (3.2 g, 6.4 mmol). MS (m/z): 483.2 (M+H). 1H NMR (300.16 MHz, DMSO): 8.13 (s, 1H), 7.90 (s, 1H), 7.46 (d, J= 1.9 Hz, 1H), 6.46 (d, J= 1.9 Hz, 1H), 5.49 (s, 1H), 4.45 (s, 1H), 3.83 (s, 3H), 3.73 (s, 3H), 3.47 (s, 3H), 2.75-2.67 (m, 2H), 1.99-1.91 (m, 2H), 1.67-1.54 (m, 7H).
실시예 7
(2R)-3-{[시스-4-({4-[(에틸-5-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8
tert-부틸 알콜 (30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1.36 g, 3.12 mmol), 1-에틸-5-메틸-1H-피라졸-3-아민 (0.78 g, 2.0 eq), 탄산칼륨 (1.12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0.34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14 g, 0.05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환류 하에 밤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이솔루트® HM-N 물질을 통해 여과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EtOAc 및 헥산으로 연화처리하여 표제 화합물 (1.40 g, 94%)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481 (M+H).
실시예 8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1-메틸-4-{[1-메틸-4-(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49
tert-부틸 알콜 (20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1-메틸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0.91 g, 2.02 mmol), 3-아미노피라졸 (0.29 g, 1.70 eq), 탄산칼륨 (0.73 g, 2.6 eq), 2-(디시클로헥실포스피노)3,6-디메톡시-2',4',6'-트리이소프로필-1,1'-비페닐 (0.22 g, 0.2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93 g, 0.050 eq) 및 아세트산 (0.01 mL)을 합하였다. 혼합물을 밤새 환류시켰다.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DCM 및 물을 첨가하고;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이솔루트® HM-N 물질을 통해 여과하고, DCM으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A 중의 50-100% B 구배 (A: 메틸 tert-부틸 에테르, B: DCM 중의 15% 7M 암모니아화 MeOH)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0.67 g, 74%)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453 (M+H).
실시예 9
(2R)-3-{[시스-4-({4-[(1,5-디메틸-1H-피라졸-3-일)아미노]-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디플루오로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0
아세토니트릴 (3 mL) 및 2-프로판올 (3 mL) 중에 (2R)-3,3-디플루오로-2-히드록시프로필 4-메틸벤젠술포네이트 (0.38 g, 1.31 mmol) 및 6-[(시스-4-아미노시클로헥실)옥시]-N-(1,5-디메틸-1H-피라졸-3-일)-1-메틸-1H-벤즈이미다졸-4-아민 (0.61 g, 1.30 eq)을 합하였다. N,N-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 (0.50 mL, 2.0 eq) 및 아이오딘화나트륨 (0.015 g, 0.1 eq)을 첨가하였다. 6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2R)-3,3-디플루오로-2-히드록시프로필 4-메틸벤젠술포네이트 (0.065 g, 0.22 mmol)를 첨가하고, 65℃에서 밤새 가열하였다. 규조토를 통해 여과하였다. 고체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물 중의 0-90% 아세토니트릴 구배로 용리하는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함유하는 분획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을 회백색 고체로서 제공하였다 (0.40 g, 67%). MS (ES) m/z = 449 (M+H).
실시예 10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1
tert-부틸 알콜 (22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1.8 g, 4.1 mmol), 1-피리딘-2-일-1H-피라졸-3-아민 (0.86 g, 1.3 eq), 탄산칼륨 (1.7 g, 2.9 eq),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3,6-디메톡시-1,1'-비페닐 (0.83 g, 0.41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38 g, 0.10 eq) 및 아세트산 (0.03 mL)을 합하였다. 혼합물을 90℃에서 3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rt로 냉각시켰다.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의 0-10% MeOH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1.34 g, 63%)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516 (M+H).
실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된 고체 물질을 2 부타논 (100 질량%) 중에 용해시키고, 생성된 혼합물을 이어서 65℃로 가열함으로써 결정질 유리 염기 물질을 수득할 수 있었다. 혼합물이 20℃로 냉각되도록 하고, 헵탄 (100 질량%)을 첨가하여 참여를 유도하였다. 생성된 고체를 수집하고, 헵탄으로 세척하고, 15분 동안 공기 건조시키고, 이어서 40℃ 오븐에서 밤새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을 무수 결정질 유기 염기로서 62% 수율로 제공하였다.
실시예 10의 X선 분말 회절
결정질 고체의 XRD 패턴을, CuKa 방사선원 (λ = 1.54060 Å) 및 반텍(Vantec) 검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브루커 D4 엔데버(Bruker D4 Endeavor)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시켜 획득하였다. 샘플을 0.0087° 2θ의 스텝 크기 및 0.5초/스텝의 스캔 속도로 4 내지 40° 2θ에서, 0.6 mm 발산, 5.28mm 고정 산란방지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스캐닝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평활 표면을 획득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결정 형태 및 습성과 같은 인자로부터 기인하는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 [The U. S. Pharmacopeia 38 - National Formulary 35 Chapter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and partially crystalline solids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PD) Official May 1, 2015]을 참조한다. 게다가,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각도 피크 위치가 약간 달라질 수 있다는 것 또한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에서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2θ에서의 ± 0.2의 피크 위치 변동성이 지시된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들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증은 특징적인 피크 (° 2θ의 단위), 전형적으로 보다 현저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은 8.85 및 26.77도 2-세타에서의 NIST 675 표준 피크에 기반하여 조정된다.
이와 같이, 실시예 10의 유리 염기 화합물의 제조된 샘플은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RD 패턴에 의해, 하기 표 1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절 피크 (2-세타 값)를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구체적으로 패턴은 15.5, 18.1, 18.3, 18.5, 22.9 및 23.6으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20.5에서의 피크를 함유하며, 회절 각도에 대한 허용오차는 0.2도이다.
표 1
실시예 10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2
실시예 11A 및 11B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3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4
먼저 화합물을 라세미 혼합물로서 제조하였다. tert-부틸 알콜 (6 mL) 중에 (2R)-3-({시스-4-[(4-브로모-1-메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1,1,1-트리플루오로프로판-2-올 (0.62 g, 1.2 eq), 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아민 (0.20 g, 1.2 mmol), 탄산칼륨 (0.42 g, 2.5 eq), 2-(디-tert-부틸포스피노)-2',4',6'-트리이소프로필-3,6-디메톡시-1,1'-비페닐 (0.18 g, 0.30 eq), 트리스(디벤질리덴아세톤)디팔라듐(0) (0.085 g, 0.075 eq) 및 아세트산 (0.02 mL)을 합하였다. 100℃에서 7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반응 혼합물이 rt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EtOAc로 희석하였다. 규조토의 패드를 통해 여과하고, 패드를 EtOAc로 세척하였다. 여과물에 포화 수성 중탄산나트륨을 첨가하였다. 층을 분리하였다. 유기 층을 물 및 염수로 세척하였다. 유기 층을 무수 MgSO4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여과물을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의 0-30% MeOH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표제 화합물 (0.31 g, 49%)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523 (M+H).
먼저 5-(트리플루오로메틸)옥사졸리딘-2-온 유도체를 제조함으로써 이성질체를 분리하였다:
(5R)-3-(시스-4-{[1-메틸-4-({1-[(3R)-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5-(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리딘-2-온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5
(5R)-3-(시스-4-{[1-메틸-4-({1-[(3S)-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5-(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리딘-2-온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6
DCM (2 mL) 중에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0.25 g, 0.42 mmol), 1,1'-카르보닐디이미다졸 (0.14 g, 2.0 eq) 및 4-디메틸아미노피리딘 (0.011 g, 0.21 eq)을 합하였다. rt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진공에서 농축시켜 잔류물을 제공하였다. 잔류물을 DCM 중의 0-20% MeOH 구배로 용리하는 정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적용하여, (5R)-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5-(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리딘-2-온의 라세미 혼합물을 제공하였다. 60%/40% CO2/이소프로판올, 5 mL/분, 4.6 x 150 mm, 룩스 아밀로스-2를 사용한 키랄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이성질체를 분리하였다.
이성질체 1 (0.10 g, 99% ee). 체류 시간 2.98분. MS (ES) m/z = 549 (M+H)
이성질체 2 (0.10 g, 99% ee). 체류 시간 4.83분. MS (ES) m/z = 549 (M+H)
이성질체 1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THF (2 mL) 중에 (5R)-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5-(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리딘-2-온 (이성질체 1) (0.080 g, 0.15 mmol) 및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0.041 g, 2.0 eq)를 합하였다. 65℃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0.018 g, 1.0 eq)를 첨가하였다.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몇 방울의 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 중의 10mM 중탄산암모늄) 중의 0%-100% 아세토니트릴 구배를 사용하는 C-18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55 g, 72%)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523 (M+H).
이성질체 2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THF (2 mL) 중에 (5R)-3-(시스-4-{[1-메틸-4-({1-[테트라히드로-2H-피란-3-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5-(트리플루오로메틸)-1,3-옥사졸리딘-2-온 (이성질체 2) (0.080 g, 0.15 mmol) 및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0.040 g, 2.0 eq)를 합하였다. 65℃에서 3일 동안 교반하였다. 칼륨 트리메틸실란올레이트 (0.018 g, 1.0 eq)를 첨가하였다. 65℃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rt로 냉각되도록 하였다. 몇 방울의 물로 희석하고, 진공에서 농축시켰다. (메탄올 중의 10mM 중탄산암모늄) 중의 0%-100% 아세토니트릴 구배를 사용하는 C-18 역상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해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 (0.058 g, 76%)을 제공하였다. MS (ES) m/z = 523 (M+H).
실시예 12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7
10 mL의 88% 아세톤에 1.23 g의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을 1000 rpm/70℃에서 교반하면서 첨가하여 백색 슬러리를 수득하였다. 510 mg의 시트르산을 적가하였다. 백색 슬러리는 투명한 황색빛 용액이 되었다. 가열 및 교반을 중단하였다. 후속 시간에 걸쳐, 황색 고체가 서서히 형성되었다. 진공 여과에 의해 담황색 고체를 단리하였다. 샘플을 20분 동안 공기 스트림 하에 필터 상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 (1.62 g, 93.6%)을 산출하였다.
실시예 12의 X선 분말 회절:
결정질 고체의 XRD 패턴을, CuKa 방사선원 (λ = 1.54060 Å) 및 반텍 검출기가 장착되어 있는 브루커 D4 엔데버 X선 분말 회절계 상에서, 35 kV 및 50 mA에서 작동시켜 획득하였다. 샘플을 0.0087° 2θ의 스텝 크기 및 0.5초/스텝의 스캔 속도로 4 내지 40° 2θ에서, 0.6 mm 발산, 5.28mm 고정 산란방지 및 9.5 mm 검출기 슬릿을 사용하여 스캐닝하였다. 건조 분말을 석영 샘플 홀더 상에 패킹하고, 유리 슬라이드를 사용하여 평활 표면을 획득하였다.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회절 피크의 상대 강도가 결정 형태 및 습성과 같은 인자로부터 기인하는 바람직한 배향으로 인해 달라질 수 있다는 것이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바람직한 배향의 효과가 존재하는 경우에, 피크 강도는 변경되지만, 다형체의 특징적인 피크 위치는 변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문헌 [The U. S. Pharmacopeia 38 - National Formulary 35 Chapter Characterization of crystalline and partially crystalline solids by X-ray powder diffraction (XRPD) Official May 1, 2015]을 참조한다. 게다가, 임의의 주어진 결정 형태에 대해 각도 피크 위치가 약간 달라질 수 있다는 것 또한 결정학 기술분야에 널리 공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피크 위치는 샘플이 분석되는 온도 또는 습도에서의 변동, 샘플 변위, 또는 내부 표준의 존재 또는 부재로 인해 이동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경우에는, 2θ에서의 ± 0.2의 피크 위치 변동성이 지시된 결정 형태의 명백한 확인을 방해하지 않으면서 이들 잠재적 변동을 고려할 것이다. 결정 형태의 확증은 특징적인 피크 (° 2θ의 단위), 전형적으로 보다 현저한 피크의 임의의 고유한 조합에 기반하여 이루어질 수 있다. 주위 온도 및 상대 습도에서 수집된 결정 형태 회절 패턴은 8.85 및 26.77도 2-세타에서의 NIST 675 표준 피크에 기반하여 조정된다.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의 CuKa 방사선을 사용한 XRD 패턴은 하기 표 2에 기재된 바와 같은 회절 피크 (2-세타 값)를 제공하며, 특히 26.1, 26.6 및 22.7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피크 중 하나 이상과 조합하여 17.9에서의 피크를 가지고; 회절 각도에 대한 허용오차는 0.2도이다.
표 2
결정질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 (1:1:1)의 X선 분말 회절 피크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8
생물 섹션
JAK1, JAK2 및 JAK3 시험관내 효소 검정
JAK 란타스크린(LanthaScreen)™ 키나제 검정 (인비트로젠(Invitrogen))을 사용하여, JAK1, JAK2 및 JAK3 키나제 활성을 억제하는 시험 화합물의 능력을 결정하였다. 이들은 공여자 종으로서 수명이 긴 테르븀 표지된 항체를 사용하고 수용자 종으로서 GFP-STAT1을 사용하는 TR-FRET 검정 포맷이다. TR-FRET 비를 사용하여 JAK 키나제 활성을 모니터링하며, 여기서 GFP-STAT1의 인산화의 증가는 TR-FRET 비의 증가를 유발한다. 얕은 흑색 384-웰 프록시플레이트(Proxiplate)®에서 12.5 μl 반응 부피를 사용하여 키나제 반응을 수행하였다. 50 ml HEPES pH, 1.76 mM 트리톤 X-100, ATP (JAK1 및 JAK3의 경우에는 20.0 μM 또는 JAK2의 경우에는 5 μM) 효소 검정, 10.0 mM MgCl2, 1 mM EGTA 및 0.01% 브리즈-35, 0.05 mM GFP-STAT1, JAK1의 경우에는 14 nM JAK1 효소, JAK2는 1.0 nM 또는 JAK3 효소 검정의 경우에는 2.5 nM, 및 4% DMSO의 최종 반응 조건을 획득하도록 시약을 첨가하고, 시험 화합물을 연속 희석하였다 (20,000 nM에서 1 nM까지 1:3 희석됨). ATP/GFP-STAT1 첨가 후에, 검정 플레이트를 1000의 분당 회전수 (RPM)로 1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플레이트를 RT에서 6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도록 한 다음, 20 mM EDTA, 2 nM 테르븀-항-인산화 신호 전달자 및 전사 활성화제 [인산화 티로신 701 아미노산] 항체 (Tb-항-pSTAT1[pTyr701], 0.67 mM 트리스(히드록시메틸)아미노에탄 히드로클로라이드 (트리즈마(Trizma)®) pH 7.5, 0.02% NaN3 및 0.01% 노닐페닐폴리에틸렌 글리콜 (노니데트(Nonidet)® P40)을 함유하는 정지 완충제 12.5 μl를 첨가하였다. RT에서 9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340 nm 파장 여기 필터 및 520 nm 및 495 nm 파장의 방출 필터를 갖는 엔비전(EnVision)® 플레이트 판독기에서 판독하였다. 520 nm에서 측정된 GFP-STAT1에 대한 방출 파장 대 (Tb-항-pSTAT1[pTyr701]에 대한 495 nm에서의 방출로부터 비를 유도하였다. 온-플레이트 대조군 (활성 효소 대 토파시티닙으로 2.0 mM에서 억제된 효소) 대비 반응 데이터로부터 계산된 퍼센트 억제 데이터를 사용하여 각 화합물에 대한 IC50 값을 유도하였다. 액티비티베이스(ACTIVITYBASE)® 4.0을 사용하여, 퍼센트 억제 및 10-포인트 화합물 농도 데이터를 4-파라미터 로지스틱 방정식에 피팅하였다.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본원 실시예의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실시예의 화합물은 JAK1에 대해 8 nM 미만의 IC50을 나타내었으며, 시험관내에서 JAK2 또는 JAK3보다도 JAK1에 대한 선택적 억제제이다. 실시예 1 및 6 내지 10의 화합물은 표 3에 열거된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3
Figure 112019002744911-pct00059
데이터는, 실시예의 화합물이 JAK1 효소의 억제제이며, 시험관내에서 JAK2 및 JAK3보다도 JAK1에 대해 선택적이라는 것을 입증한다.
알파스크린 슈어파이어 프로토콜 p-STAT3-(p-Tyr705)-IL6-TF-1-JAK1 세포-기반 검정
하기 기재된 JAK1 세포 기반 검정을 사용하여 시험 화합물의 JAK1 세포성 효력을 결정하였다.
세포 준비: TF-1 세포를 37℃의 0.5% 26400 (FBS) 및 1X Pen/Strep이 함유된 DMEM 배지에서 고갈시켰다. 투명한 바닥을 갖는 BD 96 웰 흑색 플레이트에 웰당 100K개 세포를 플레이팅하였다. 플레이트를 RT에서 30-60분 동안 유지한 다음, 37℃ 및 5% CO2에서 밤새 인큐베이션하였다. 바이-셀 계수기를 사용하여 세포를 계수하고, 100개 세포/mL의 세포 현탁액을 사용하여, 베크만 디킨슨 바이오코트 플레이트 (카탈로그 # 354640)에 100 μL/웰로 플레이팅하였다.
시험 화합물 준비 및 처리: 화합물을 DMSO 중의 1:3 연속 희석물로 준비하고, 추가로 배지로 희석하였다. 20,000 내지 1 nM 사이의 10개 포인트 농도의 범위에서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희석된 화합물을 상응하는 세포 플레이트에 첨가하였다. 플레이트를 37℃에서 2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IL6 용액을 상응하는 세포 플레이트에 30 ng/mL의 최종 농도로 첨가하고, 계속해서 37℃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50 μL 1x 용해 완충제를 각 웰에 첨가하였다.
pSTAT3 검출: 하기 단계를 순차적으로 수행하였다: 수용자 혼합물 (활성화 완충제/ 반응 완충제/수용자 비드)을 제조하고; 96 웰 플레이트로부터의 4 μL 용해물을 384 웰-프록시플레이트로 옮기고; 5 μL 수용자 혼합물을 384 프록시플레이트 플레이트(들)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알루미늄 실링으로 실링하고;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서 1-2분 진탕하고; 플레이트를 완만한 진탕 하에 RT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공여자 혼합물 (희석 완충제 중의 공여자 비드)을 제조하고; 2 μL 공여자 혼합물을 검정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플레이트를 알루미늄 실링으로 실링하고; 플레이트 진탕기 상에서 1-2분 진탕하고; 완만한 진탕 하에 RT에서 2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플레이트를 엔비전으로 판독하였다; 프로토콜 알파스크린 슈어파이어 384.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예 1, 2 및 6의 화합물을 시험하였고, 하기 표 4에 예시된 바와 같은 하기 활성을 나타내었다.
표 4
Figure 112019002744911-pct00060
표 4의 데이터는, 실시예 1, 2 및 6의 화합물이 세포 기반 검정에서 JAK1 효소를 억제한다는 것을 입증하며, 이는 실시예의 화합물이 또한 세포에서도 JAK1 효소를 억제한다는 근거를 제공한다.
인간 전혈 검정: 림프구 및 단핵구에서의 pSTAT3 (JAK1) 및 pSTAT5 (JAK2)의 결정
시험 화합물의 JAK1 및 JAK2 선택성을 결정하기 위해 인간 전혈 (HWB) 검정을 개발하고 검증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10개 포인트에서, DMSO 100% 및 단계적으로 감소하는 PBS + 0.1% BSA로 (1:3) 희석하였다. 데이터를 정규화하기 위해, 각 플레이트에 참조 화합물로서 토파시티닙을 사용하고, 뿐만 아니라 최대 신호 (자극된 웰) 및 최소 신호 (자극되지 않은 웰)를 사용하였다. 4개체의 상이한 건강한 공여자로부터 HWB의 풀을 획득하였다. 혈액을 테칸 에보 96w를 사용하여 96 웰 플레이트에 플레이팅하고, 시험 화합물과 함께 1시간 동안 RT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상기 시간의 인큐베이션 후에, HWB를 15분 동안 더 IL6 (206-IL, R&D 시스템(R&D System)) 및 GM-CSF (PHC2015, 라이프 테크놀로지스(Life Technologies)) 둘 다로 자극하였다. 생존 염료 (65-0865, 이바이오사이언스(eBioscience)) (1:1000)를 테칸 에보 96w를 사용하여 첨가하였다 (5x혼합).
검정에서의 최종 농도는 하기와 같다: 100 μM 화합물, 50 μM 토파시티닙, 0.1μg/mL IL6, 0.038 μg/mL GM-CSF 및 1% DMSO. 900 μL의 용해 완충제를 테칸 에보 96w를 사용하여 첨가함으로써 (10x 고속 혼합) 용해/고정 완충제 (558049, 벡톤 디킨슨(Becton Dickinson))를 사용하여 HWB를 용해시키고 고정하였다. 조에서 HWB를 37℃에서 1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HWB를 500G에서 8분 원심분리하고, 상청액을 폐기하였다. 세포를 투과화하기 위해 테칸 엑소 96w를 사용하여 저온 MeOH를 첨가하였다. 30분 동안 얼음 상에서 혈액 세포를 인큐베이션하였다. 이 후에, 세포를 염색 완충제 (554656, 벡톤 디킨슨)를 사용하여 2x 세척하고, 3000rpm에서 2분 회전시키고, 상청액을 폐기하고, 하기 항체를 첨가하였다: 항-인간 CD4 PE, 1:100 (12-0048, 이바이오사이언스), 항-인간 CD33 이플루오르(eFluor)® 450,1:50 (48-0337, 이바이오사이언스), 포스포-STAT5 (Tyr694) (C71E5) 토끼 mAb, 1:100 (알렉사 플루오르(Alexa Fluor)® 488 접합체)(3939, 셀 시그널링(Cell Signaling)) 및 포스포-STAT3 (Tyr705) (D3A7) XP™ 토끼 mAb 1:200, (알렉사 플루오르® 647 접합체)(4324, 셀 시그널링). 항체를 1시간 동안 RT의 암실에서 인큐베이션한 다음, 세포를 2x 세척하고, 세포측정기 맥스퀀트 (밀테니 바이오텍(Miltenyi Biotec)) 상에서 판독하였다. CD4+ (림프구) 및 CD4Low CD33Hi (단핵구)에 대한 데이터를 게이팅하여, 각각 pSTAT3 및 pSTAT5를 발현하는 세포로부터의 형광 강도를 측정하였다. 플로우조 v 10을 사용하여 데이터를 분석하고, 이어서 IC50을 결정하기 위해 최대 및 최소 신호에 대해 형광의 중앙값을 정규화하였다. 그래프 패드 프리즘 5™를 사용하여 용량 반응 곡선을 나타내었다.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본원 실시예의 화합물을 시험하였다. 실시예의 화합물은 JAK 2보다도 JAK1에 대해 더 큰 선택성을 나타내었다. 실시예 6 내지 10의 화합물에 대한 활성이 표 5에 열거되어 있다.
표 5
Figure 112019002744911-pct00061
표 5의 데이터는, 실시예의 화합물이 인간 전혈 검정에서 JAK2보다도 JAK1에 대해 더 큰 효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한다.
래트 PK/PD 검정
경구 위관영양 투여를 위해 265-285 그램의 수컷 위스타 래트 (찰스 리버(Charles River))를 사용하였다. 동물에게 1.82 mL/kg (275 그램당 0.5 mL)을 투여하였다 (경구 위관영양). 0.25% 트윈 80 및 0.05% 소포제를 함유하는 1% HEC 비히클 중에 화합물을 1.1 몰 당량의 메탄술폰산과 함께 제제화하여, 염을 계내에서 형성하였다. 화합물을 1주에 1회씩 제제화하고, 4℃에서 저장하였다. 다양한 시점에, 꼬리 정맥 출혈을 통해 멀티베트 600μl EDTA 혈액 수집 튜브 (cat# 151671100PK100, 자르슈테트 인크(Sarstedt Inc))에 래트 전혈을 획득하고, 생체외 JAK1 및 JAK2 검정에 사용하였다. 각 래트로부터의 100 ul의 혈액을 96-웰 둥근 바닥 플레이트에 분취하였다. 전혈을 재조합 IL-6 (100ng/ml) 및 재조합 마우스 GM-CSF (cat# 415-ML, 로트#, R&D)에 의해 rt에서 12분 동안 자극하였다. 시토카인 자극 후에, 미니튜브 랙에서 전혈을 용해/고정액 (cat# 558049, 로트#, BD)에 첨가하고; 웰을 5X 혼합하였다. rt에서 10분 인큐베이션하였다. 미니튜브 랙을 600g에서 4분 동안 회전시켰다. 12-채널 매니폴드로 흡인하였다. 미니튜브 랙의 내용물을 96 웰 둥근-바닥 플레이트로 옮겼다. 세포를 3000 rpm에서 1분 동안 회전 침강시키고, 상청액을 폐기하였다. 웰 내의 세포를 100 ul의 빙냉 MeOH와 혼합하고, 얼음 상에서 30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150 ul의 PBS +2% FCS를 각 웰에 첨가하고, 3000 rpm에서 2분 동안 회전 침강시켰다. 세포를 250 ul의 PBS + 2% FCS로 2x 세척하였다. 세포 표면 및 세포내 염색을 위해, 모든 항체를 혼합하고 각 웰에 첨가하여, 1시간 동안 rt의 암실에서 인큐베이션하였다. 염색에 사용된 항체는 하기와 같다: pSTAT3, 알렉사 플루오르 647 (cat# 4324s, 로트, 셀 시그널링); pSTAT5, 알렉사 플루오르 488 (cat# 3939s, 로트#, 셀 시그널링), 항-래트 CD4, V450 (cat# 561579, 로트#, BD); 항-래트 CD11b, Percp 이플루오르710 (cat# 12-0110-82, 로트#, 이바이오사이언스). 세포를 Ab로 염색한 후에, 플레이트를 PBS + 2% FCS로 2회 세척하고, 마지막으로 동일한 150 ul의 용액 중에 재현탁시켰다. 생존 염료 780 (cat# 65-0865-14, 로트#, 이바이오사이언스)에 의해 세포 생존율을 평가하였다. 포르테사를 사용하여 세포측정법 검정을 수행하였다.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에 따라 실시예 4 및 6 내지 10의 화합물을 시험하였고, 데이터가 표 6에 열거되어 있다.
표 6
래트 전혈 생체외 JAK1 및 JAK2 활성 (100% 억제로서 비히클 처리와 비교된 30 mpk에서의 % 억제)
Figure 112019002744911-pct00062
상기 데이터는, 실시예의 화합물의 활성, 및 이들이 래트 생체내에서 JAK2보다도 JAK1에 대해 더 큰 효력을 나타낸다는 것을 뒷받침한다.
래트 콜라겐-유발 관절염 (CIA) 모델
이 프로토콜은 찰스 리버로부터의 루이스 래트 (무게 150-175 그램)를 사용하였다. 제0일에, 래트를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켰다. 제1일에,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 위쪽의, 요추 아래 영역의 2개 부위에서 콜라겐 에멀젼으로 피내로 면역화시켰다. 용량 부피는 주사 부위당 최소 0.4 mL였다. 제8일에, 래트를 이소플루란으로 마취시키고,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 위쪽의, 요추 아래 영역의 2개 부위에서 콜라겐 에멀젼으로 피내로 면역화시켰다. 제12일에, 뒷발에서의 염증 (발적 및/또는 종창)에 기반하여, 래트를 치료군에 등록하였다. 발목 측정 값 및 체중에 기반하여, 블록 무작위 배정 툴을 사용하여, 동물을 치료 단계에 대해 무작위화하였다. 등록 이후부터 부검 당일까지 제1일, 제8일 및 제11일에, 그 후에는 1주에 3회 발목 종창을 기록하였다. 제12일 (무작위화 이후)부터 시작하여 제25일까지 1일 1회 화합물을 경구로 투여하였다. 실시예 6 및 7의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로 평가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 7에 열거되어 있다.
표 7
래트 발 종창 억제 (100% 억제로서 나이브 래트와 비교된 %억제)
Figure 112019002744911-pct00063
표 7의 데이터는, 실시예 6 및 7의 화합물이 래트의 발 종창에 대해 용량 반응성 억제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며, 실시예의 화합물이 관절염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를 더해준다.
래트 아주반트-유발 관절염 (AIA) 모델
다발관절염 염증 및 발목 관절 골 미란에 대한 화합물의 효과를 래트 아주반트-유발 관절염 (AIA) 모델에서 평가할 수 있었다. 연구를 위해 평균 체중 185g의 수컷 루이스 래트를 사용하였다. 100μL의 아주반트 현탁된 면역화 에멀젼 오일을 사용하여 꼬리가 시작되는 부분에 위치지정된 피내 주사에 의해 관절염을 유발하였다. 제10일에 평균 발 두께 및 체중에 기반하여 동물을, 각각의 군에 8마리의 래트가 포함된 연구군으로 무작위화하였다. 정제수 중의 1% HEC / 0.25% P80 / 0.05% AF 중에 화합물을 제제화하여, 면역화로부터 제11일에 시작하여 14일 동안 경구 위관영양을 통해 매일 투여하였다. 캘리퍼 측정으로 양쪽 발목의 발 두께를 정량화하였다. 비히클 대조군에 대한 다중 비교를 위해 일원 ANOVA에 이어 던넷 사후-검정을 사용하여 군 간의 차이를 평가하였다. 실시예 10의 화합물을 본질적으로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은 프로토콜로 평가하였다. 결과가 하기 표 8에 열거되어 있다.
표 8
래트 AIA 모델에서의 발 종창 및 골 무기질 밀도 (BMD) 손실 억제 (100% 억제로서 나이브 래트와 비교된 %억제)
Figure 112019002744911-pct00064
표 8의 데이터는, 실시예 10의 화합물이 래트의 발 종창에 대해 용량 반응성 억제를 나타낸다는 것을 입증하며, 실시예의 화합물이 관절염의 치료에 효과적일 수 있다는 것에 대한 근거를 더해준다.

Claims (23)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20111655184-pct00065

    여기서 R은 H, -C1-3 알킬, -CH2CH(OH)CH3, -C2-3 알킬-O-CH3,
    Figure 112020111655184-pct00066
    Figure 112020111655184-pct00067
    로부터 선택되고;
    R1은 H, -CH3,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HF2 또는 -CF3이고;
    R3은 H 또는 -CH3이며;
    단 R2가 -CF3이고 R3이 H인 경우에, R 또는 R1 중 어느 하나는 -CH3일 수 있지만, R 및 R1이 둘 다 -CH3일 수는 없다.
  2.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20111655184-pct00068

    여기서:
    R은 H, -C1-3 알킬, -CH2CH(OH)CH3 또는 -C2-3 알킬-O-CH3,
    Figure 112020111655184-pct00069
    Figure 112020111655184-pct00070
    로부터 선택되고;
    R1은 H, -CH3, -OCH3으로부터 선택되고;
    R2는 -CHF2 또는 -CF3이고;
    R3은 H 또는 -CH3이며;
    단 R2가 -CF3이고 R3이 H인 경우에, R 또는 R1 중 어느 하나는 -CH3일 수 있지만, R 및 R1이 둘 다 -CH3일 수는 없다.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이 -CH3, -CH2CH3
    Figure 112019002744911-pct00071
    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4.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이 -CH3 또는 -CH2CH3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5.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이
    Figure 112019002894142-pct00072
    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6.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1이 H, -CH3 및 -OCH3으로부터 선택되는 것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2가 -CF3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R3이 -CH3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9002894142-pct00073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9002894142-pct00074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9002894142-pct00075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
    Figure 112019002894142-pct00076
  13.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인 화합물.
  14.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인 화합물의 결정이며, 하기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CuKα 방사선원 (λ=1.54056 Å)으로부터 획득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a) 15.5, 18.1, 18.3, 20.5 및 22.9 +/- 0.2° 2 세타, 또는
    b) 13.2, 15.5, 18.1, 18.3, 18.5, 20.5, 22.9 및 23.6, 23.7 +/- 0.2° 2 세타, 또는
    c) 13.2, 15.5, 18.1, 18.3, 18.5, 19.0, 20.5, 22.9, 23.3, 23.6, 23.7, 24.7 및 26.5 +/- 0.2° 2 세타.
  15. (2R)-1,1,1-트리플루오로-3-({시스-4-[(1-메틸-4-{[1-(피리딘-2-일)-1H-피라졸-3-일]아미노}-1H-벤즈이미다졸-6-일)옥시]시클로헥실}아미노)프로판-2-올 2-히드록시프로판-1,2,3-트리카르복실레이트 수화물인 화합물의 결정이며, 하기에서의 피크를 포함하는, CuKα 방사선원 (λ=1.54056 Å)으로부터 획득된 X선 분말 회절 패턴을 특징으로 하는 결정:
    a) 17.9, 22.7, 26.1 및 26.6 +/- 0.2° 2 세타, 또는
    b) 9.5, 17.2, 17.9, 18.7, 22.7, 26.1 및 26.6 +/- 0.2° 2 세타, 또는
    c) 9.5, 10.0, 17.2, 17.9, 18.7, 22.7, 26.1 및 26.6 +/- 0.2° 2 세타.
  16. 제1항, 제2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제약상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및 암으로부터 선택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7. 제15항의 결정을 80% w/w 초과로 포함하는,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및 암으로부터 선택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8. 제15항의 결정을 90% w/w 초과로 포함하는, 관절염, 자가면역 질환 및 암으로부터 선택된 병태의 치료에 사용하기 위한 제약 조성물.
  19. 유효량의 제1항, 제2항 및 제9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또는 그의 제약상 허용되는 염을 포함하는, 관절염의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서 관절염의 치료를 위한 제약 조성물.
  20. 삭제
  21. 삭제
  22. 삭제
  23. 삭제
KR1020197000782A 2016-07-14 2017-07-10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KR102225840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1662362208P 2016-07-14 2016-07-14
US62/362,208 2016-07-14
PCT/US2017/041388 WO2018013486A1 (en) 2016-07-14 2017-07-10 Pyrazolylaminobenzimidazole derivatives as jak inhibitors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15561A KR20190015561A (ko) 2019-02-13
KR102225840B1 true KR102225840B1 (ko) 2021-03-11

Family

ID=5936654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7000782A KR102225840B1 (ko) 2016-07-14 2017-07-10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Country Status (22)

Country Link
US (2) US10323019B2 (ko)
EP (1) EP3484875B1 (ko)
JP (1) JP6712331B2 (ko)
KR (1) KR102225840B1 (ko)
CN (1) CN109476643B (ko)
AU (1) AU2017296026B2 (ko)
BR (1) BR112018075086B1 (ko)
CA (1) CA3030697C (ko)
CY (1) CY1124308T1 (ko)
DK (1) DK3484875T3 (ko)
EA (1) EA038129B1 (ko)
ES (1) ES2877198T3 (ko)
HR (1) HRP20210965T1 (ko)
HU (1) HUE054912T2 (ko)
LT (1) LT3484875T (ko)
MX (1) MX2019000542A (ko)
NZ (1) NZ748942A (ko)
PL (1) PL3484875T3 (ko)
PT (1) PT3484875T (ko)
RS (1) RS61991B1 (ko)
SI (1) SI3484875T1 (ko)
WO (1) WO2018013486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582097B1 (ko) 2022-12-28 2023-09-25 (주)메디언스 야누스키나아제 표적 억제제 및 이의 용도
KR20230141115A (ko) 2022-03-31 2023-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2-아릴-1H-벤조[d]이미다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792B1 (ko) * 2015-08-04 2019-10-16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4-(3-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화합물 및 그의 jak1 억제제로서의 용도

Family Cites Families (8)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0524911A (ja) * 2007-04-18 2010-07-22 アストラゼネカ アクチボラグ 5−アミノピラゾール−3−イル−3H−イミダゾ[4,5−b]ピリジン誘導体と癌の治療のためのその使用
US8445676B2 (en) * 2008-10-08 2013-05-21 Bristol-Myers Squibb Company Pyrrolotriazine kinase inhibitors
WO2010068806A1 (en) * 2008-12-10 2010-06-17 Cgi Pharmaceuticals, Inc. Amide derivatives as btk inhibitors in the treatment of allergic, autoimmune and inflammatory disorders as well as cancer
CN102712640A (zh) * 2010-01-12 2012-10-03 弗·哈夫曼-拉罗切有限公司 三环杂环化合物、其组合物和应用方法
AR083933A1 (es) * 2010-11-19 2013-04-10 Incyte Corp Derivados de pirrolopiridina y pirrolopirimidina sustituidos con ciclobutilo como inhibidores de jak
WO2013040863A1 (en) * 2011-09-22 2013-03-28 Merck Sharp & Dohme Corp. Cycloalkylnitrile pyrazole carboxamides as janus kinase inhibitors
GB201401086D0 (en) 2014-01-23 2014-03-12 Galapagos Nv Novel compoun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orders
WO2016065138A1 (en) * 2014-10-22 2016-04-28 Dana-Farber Cancer Institute, Inc. Thiazolyl-containing compounds for treating proliferative diseases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032792B1 (ko) * 2015-08-04 2019-10-16 일라이 릴리 앤드 캄파니 4-(3-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화합물 및 그의 jak1 억제제로서의 용도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141115A (ko) 2022-03-31 2023-10-10 한림대학교 산학협력단 신규한 2-아릴-1H-벤조[d]이미다졸 유도체, 이의 제조 방법 및 이의 항암제로서의 용도
KR102582097B1 (ko) 2022-12-28 2023-09-25 (주)메디언스 야누스키나아제 표적 억제제 및 이의 용도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SI3484875T1 (sl) 2021-08-31
MX2019000542A (es) 2019-07-04
EP3484875B1 (en) 2021-04-07
CN109476643B (zh) 2021-06-08
JP6712331B2 (ja) 2020-06-17
WO2018013486A1 (en) 2018-01-18
HUE054912T2 (hu) 2021-10-28
EP3484875A1 (en) 2019-05-22
PT3484875T (pt) 2021-07-05
CA3030697A1 (en) 2018-01-18
US10344018B2 (en) 2019-07-09
BR112018075086A2 (pt) 2019-03-12
DK3484875T3 (da) 2021-06-28
ES2877198T3 (es) 2021-11-16
RS61991B1 (sr) 2021-07-30
JP2019525908A (ja) 2019-09-12
EA201892698A1 (ru) 2019-06-28
NZ748942A (en) 2020-08-28
HRP20210965T1 (hr) 2021-09-17
KR20190015561A (ko) 2019-02-13
AU2017296026A1 (en) 2018-12-20
CN109476643A (zh) 2019-03-15
AU2017296026B2 (en) 2019-11-21
CY1124308T1 (el) 2022-07-22
US20190177300A1 (en) 2019-06-13
US10323019B2 (en) 2019-06-18
CA3030697C (en) 2021-02-23
LT3484875T (lt) 2021-07-26
PL3484875T3 (pl) 2021-11-02
US20180325873A1 (en) 2018-11-15
BR112018075086B1 (pt) 2024-02-27
EA038129B1 (ru) 2021-07-0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210163464A1 (en) Pyridine compound
JP7337951B2 (ja) 癌を治療するための窒素含有芳香族ヘテロ環アミド誘導体
CN101107243B (zh) 作为催产素拮抗剂的取代***衍生物
EP3277670A1 (en) Inhibitors of indoleamine 2,3-dioxygenase for the treatment of cancer
JP2006522143A (ja) プロテインキナーゼ阻害剤としての新規化合物および組成物
WO2021041237A1 (en) Thyroid hormone receptor beta agonist compounds
WO2012174342A1 (en) Trpv4 antagonists
TW201713629A (zh) 新穎苯并咪唑化合物及其醫藥用途
EP3700891A1 (en) Aromatic sulfonamide derivatives for the treatment of ischemic stroke
CA3143613A1 (en) Macrocyclic inhibitors of mcl-1
KR102225840B1 (ko) Jak 억제제로서의 피라졸릴아미노벤즈이미다졸 유도체
JP6470869B2 (ja) 4−(3−ピラゾリルアミノ)ベンズイミダゾール化合物及びそのjak1阻害剤としての用途
TW202239416A (zh) 含硼之吡唑化合物、包含彼等之組合物及其方法及用途
JP6258508B2 (ja) 新規のイミダゾリジン−2,4−ジオン誘導体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