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3629B1 -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3629B1
KR102223629B1 KR1020180138913A KR20180138913A KR102223629B1 KR 102223629 B1 KR102223629 B1 KR 102223629B1 KR 1020180138913 A KR1020180138913 A KR 1020180138913A KR 20180138913 A KR20180138913 A KR 20180138913A KR 102223629 B1 KR102223629 B1 KR 10222362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apillary tube
receptacle
collection device
blood collection
holding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389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55351A (ko
Inventor
조용호
문영주
이웅호
Original Assignee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389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3629B1/ko
Publication of KR2020005535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5535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36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36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206Construction or design featur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manufacturing or production; packages; sterilisation of piercing element, piercing device or sampling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Hematology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Manufacturing & Machinery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중공부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모세관 튜브; 상기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에 적응하여 상기 모세관 튜브를 고정하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는 홀딩 유닛;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모세관 튜브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 튜브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BLOOD COLLECTION DEVICE ADAPTIVE TO SIZE OF CAPILLARY TUBE}
본 발명은 인체 등에 침투되지 않은 상태로 인체 등에서 배출되는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의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액검사로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혈액검사를 위해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은 주로 주사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사기는 그의 바늘이 인체 등에 침투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기에, 혈액 채취 대상자의 고통이 클 수 있다.
주사기를 이용하는 혈액 채취와 달리, 란셋으로 손가락 등에 작은 상처를 낸 후에 외부로 배출된 혈액을 채취하는 비침투형 디바이스가 이용되기도 한다. 비침투형 채취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되면, 주로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며, 혈액 채취 대상자에게 별다른 고통을 주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원하는 혈액양을 채취하기 위해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 별로 다양한 형태의 채취 디바이스를 만들어야 하는 문제가 있다. 이는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에 의해 혈액 채취량이 결정되기 때문이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채취하고자 하는 혈액 채취량에 맞는 모세관 튜브가 어떤 사이즈를 갖더라도 그에 적응할 수 있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삭제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는, 중공부를 구비하는 리셉터클;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모세관 튜브; 상기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에 적응하여 상기 모세관 튜브를 고정하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는 홀딩 유닛;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모세관 튜브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 튜브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클램핑 구조는, 상기 모세관 튜브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모세관 튜브가 상기 고정홀에 압입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노출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고, 상기 고정홀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거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리셉터클과 다른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런저가 설치되는 마운팅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마운팅 구조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마운팅 구조에 안착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구조는, 상기 하부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하부 몸체를 감싸는 수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구조는, 상기 플런저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상기 제1 벤트홀보다 먼저 외부 공기가 상기 리셉터클로 유입되게 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수용벽 및 상기 지지턱에 그루브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에 의하면, 리셉터클에 설치되어 모세관 튜브를 리셉터클의 중공부에 대해 고정하는 홀딩 유닛이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에 적용하도록 형성됨에 의해, 하나의 리셉터클 및 홀딩 유닛의 조립체에 원하는 사이즈의 모세관 튜브를 자유롭게 설치할 수 있게 된다. 그에 의해, 사용자가 원하는 사용 용도나 목적에 맞는 채취 디바이스를 간단하게 구성할 수 있게 된다.
삭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110), 홀딩 유닛(130), 및 모세관 튜브(140)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110), 홀딩 유닛(130), 및 모세관 튜브(140)에 대한 분해 종단면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런저(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런저(150)에 대해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흡입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배출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오조작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다가 혈액의 흡입이 정지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부분 분해 종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는, 리셉터클(110)과, 홀딩 유닛(130)과, 모세관 튜브(140), 그리고 플런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실린더부(111), 그리고 마운팅 구조(115)를 가질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전체적으로 플라스틱 수지로 형성될 수 있다.
실린더부(111)는 원통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실린더부(111)의 내부는 중공부(112, 도 2 참조)를 형성한다. 마운팅 구조(115)는 실린더부(111)의 일 단부 측에 형성되며, 플런저(15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홀딩 유닛(130)은 실린더부(111)의 타 단부 측에 설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홀딩 유닛(130)은 실린더부(111)의 길이 방향을 기준으로 플런저(150)의 반대편에 설친된다. 홀딩 유닛(130)은 플런저(150)와는 다른 재질로 별도 부재로 형성될 수 있다.
모세관 튜브(140)는 모세관력에 의해 혈액을 흡입하는 구성이다. 모세관 튜브(140)는 홀딩 유닛(130)에 고정되어 실린더부(111) 내로 연장하도록 배치된다. 여기서, 모세관 튜브(140)는 흡입하고자 하는 혈액의 양 등에 따라 필요한 사이즈(외경)를 갖는 것으로 선택될 수 있다. 선택된 사이즈의 모세관 튜브(140)는 그의 사이즈에 적응된 홀딩 유닛(130)에 고정될 수 있다. 모세관 튜브(140)는, 예를 들어 유리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플런저(150)는 리셉터클(110), 구체적으로 마운팅 구조(11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대상이 되는 구성이다. 플런저(150)는 대략적으로 반구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 조작 후에 원 상태로 복원되게 구성된다. 플런저(150)는 누름 조작에 따라 중공부(112)를 거쳐서 모세관 튜브(140)에 공기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상의 리셉터클(11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110), 홀딩 유닛(130), 및 모세관 튜브(140)에 대한 종단면도이고, 도 3은 도 1의 리셉터클(110), 홀딩 유닛(130), 및 모세관 튜브(140)에 대한 분해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리셉터클(110)은 걸림턱(113)을 더 가질 수 있다. 걸림턱(113)은 실린더부(111)의 타 단부 측에서 중공부(112)의 중심을 향해 돌출된다. 걸림턱(113, 도 2 참조)은 대체로 링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마운팅 구조(115)는 지지턱(116)과, 수용벽(117), 그리고 플랜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턱(116)은 실린더부(111)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벽(117)은 지지턱(116)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18)는 수용벽(117)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손가락이 걸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홀딩 유닛(130)은, 구체적으로, 노출부(131), 삽입부(133), 걸림홈(135), 클램핑 구조(137), 및 제거홀(139)을 가질 수 있다.
노출부(131)는 실린더부(111)의 외측에 위치하며, 중공부(112) 내로 삽입되지 않고 실린더부(111)의 단부에 걸리는 폭을 가진다. 이에 반해, 삽입부(133)는 노출부(131) 보다 작은 폭을 가지고서, 중공부(112) 내로 삽입된다. 걸림홈(135)은 삽입부(133)와 노출부(131) 사이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걸림홈(135)은 삽입부(133)와 노출부(131)의 외주면에서 둘레 방향을 따라 그루브(groove)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걸림홈(135)에는 리셉터클(110)의 걸림턱(113)이 삽입되어, 홀딩 유닛(130)이 리셉터클(110)에 고정되게 한다.
클램핑 구조(137)는 모세관 튜브(140)를 고정하는 구성이다. 클램핑 구조(137)는, 예를 들어, 모세관 튜브(140)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상기 고정홀은 노출부(131)의 중앙을 관통하도록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홀딩 유닛(130)은 전체적으로 탄성 재질, 예를 들어 고무 재질로 형성되면, 상기 고정홀은 다양한 모세관 튜브(140)들의 외경보다 작은 내경을 가져서 모세관 튜브(140)가 그에 압입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제거홀(139)은 삽입부(133)에서 노출부(131)를 향해 연장하며 상기 고정홈과 연통되는 부분이다. 제거홀(139)은 상기 고정홀과 달리, 모세관 튜브(140)와 접촉되지는 않으나, 모세관 튜브(140)가 중공부(112)로 연장되는 통로를 형성하기는 한다. 또한, 제거홀(139)에 의해 삽입부(133)는 걸림턱(113)에도 불구하고 실린더부(111) 내로 쉽게 삽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해서, 사용자는 필요에 따라 다양한 사이즈의 모세관 튜브(140)를 홀딩 유닛(130)에 고정하여 사용할 수 있다. 홀딩 유닛(130)은 다양한 사이즈의 모세관 튜브(140)에 적응하여, 모세관 튜브(140)가 리셉터클(110)에 대해 고정되게 한다. 아울러, 중공부(112) 내의 공기가 실린더부(111)와 홀딩 유닛(130), 혹은 홀딩 유닛(130)과 모세관 튜브(140) 사이의 틈새로 누설되지는 않게 한다.
다음으로, 플런저(15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플런저(15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플런저(150)에 대해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플런저(150)는 상부 몸체(151)와, 하부 몸체(156)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151)는 주로 마운팅 구조(115)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대상이 되는 부분이다. 그에 반하여, 하부 몸체(156)는 마운팅 구조(115) 내에 안착되어, 상부 몸체(151)가 눌릴 때 마운팅 구조(115)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몸체(151)는, 대체로 뒤집어진 반구 형상으로서, 그의 폭은 하부 몸체(15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151)는 접촉 변형부(152)와, 형상 유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는 대체로 원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접촉 변형부(152)의 중앙에는 제1 벤트홀(153)이 형성된다. 형상 유지부(154)는 접촉 변형부(152)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된 실린더형 부분으로서, 접촉 변형부(152)가 눌려질 때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형상 유지부(154)는 접촉 변형부(152)에서 하부 몸체(156)를 향해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와 형상 유지부(154) 사이 지점은 변형 지지점(152')이 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가 눌려질 때 변형 지지점(152')을 기준으로 접촉 변형부(152)는 변형되고 형상 유지부(154)는 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형상 유지부(154)가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면 형상 유지부(154)의 저면은 수용벽(117)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형상 유지부(154)의 저면에는 수용벽(117)의 상면과 평행한 채로 마주하는 밀폐면(15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6)는 대체로 실린더 형상을 가진 채로 수용벽(117)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서 지지턱(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6)는 제2 벤트홀(157)과, 연통 채널(158)을 가질 수 있다. 제2 벤트홀(157)은 대체로 하부 몸체(156)의 하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트홀(157)은 하부 몸체(156)의 내부 공간을 하부 몸체(156)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연통 채널(158)은 제2 벤트홀(157)에 연통되며 하부 몸체(156)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그루브(groove)일 수 있다. 연통 채널(158)은 제2 벤트홀(157)을 리셉터클(110)의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매개 통로이다. 연통 채널(158)은, 구체적으로 높이 채널(158a)과 둘레 채널(158b)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채널(158a)은 하부 몸체(156)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면, 둘레 채널(158b)은 하부 몸체(156)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 둘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둘레 채널(158b)은 플런저(15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셉터클(110)이 수용벽(117)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정상적인 이용 시의 작동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흡입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혈액에 대한 흡입시에, 사용자는 플런저(150)를 조작하지 않은 채로 리셉터클(110)을 혈액에 근접시키면 된다. 구체적으로, 모세관 튜브(140)의 노출된 단부를 혈액에 접촉시킨 채로,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를 비스듬히 배치되게 된다.
그러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모세관 튜브(140) 내로 혈액이 흡입된다. 흡입된 혈액이 모세관 튜브(140) 중 중공부(112) 내에 위치한 단부에 도달함에 따라 혈액의 흡입은 정지된다.
이렇게 모세관 튜브(140)를 통해 혈액이 흡입되는 과정에서, 중공부(112) 내의 공기는 흡입되는 혈액에 밀려서 제1 벤트홀(153) 및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벤트홀(157)을 통과한 공기는, 연통 채널(158)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마운팅 구조(115)와 상부 몸체(151) 사이의 틈새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배출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채취된 혈액을 희석액이 담긴 용기에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제1 벤트홀(153)을 막은 채로 접촉 변형부(152)를 누르게 된다. 그에 의해, 접촉 변형부(152)는 그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리셉터클(110)을 향해 하강된 형태로 변형된다. 형상 유지부(154)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형상 유지부(154)의 밀폐면(155)은 수용벽(117)의 상면과 밀착되어, 중공부(112) 내의 공기가 제2 벤트홀(157)을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형상 유지부(154)가 제 형상을 유지한 채로 하강하기에, 밀폐면(155)은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온전하게 수용벽(117)과 접촉된다. 그에 따라, 밀폐면(155)과 수용벽(117)의 접촉 영역 중 일부를 통해서라도 중공부(112)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없다.
플런저(150)의 변형에 따라 형성된 중공부(112) 내의 공기 압력은 모세관 튜브(140)에 작용하게 된다. 이 공기 압력은 모세관 튜브(140)에 저장된 혈액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이상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오조작 시의 작동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오조작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다가 혈액의 흡입이 정지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는 혈액을 흡입하고자 하면서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혈액 흡입 방법에 반하는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스포이드의 조작법에 따라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를 조작하려는 경우에 일어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가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했다가 놓게 되면, 혈액은 모세관 튜브(140)의 모세관력 및 진공 흡입력에 의해 과도하게 모세관 튜브(140) 내로 흡입되어 중공부(112) 내로 흘러 넘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경우에는 그러한 일이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왜냐하면, 플런저(150)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제2 벤트홀(157)이 제1 벤트홀(153)에 앞서서 외부 공기를 중공부(112) 내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50)가 눌려졌다가 복원되는 중에 제1 벤트홀(153)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여전히 막혀있지만, 제2 벤트홀(157)은 먼저 외부 공기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54)의 밀폐면(155)이 수용벽(117)의 상면에서 떨어지는 순간에 외부 공기는 밀폐면(155)과 수용벽(117)의 틈새를 통해 리셉터클(110) 내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틈새를 통과한 공기는 연통 채널(158) 및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중공부(112)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진공이 해소됨에 따라, 혈액의 흡입이 중단되어 혈액이 모세관 튜브(140)을 넘어서서 과흡입되지는 않게 된다.
사용자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잘못 흡입된 혈액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대로 배출한 후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대로 정상적으로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혈액을 흡입되게 할 수 있다.
이상과 다른 형태의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해서는 도 9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9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부분 분해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는 앞선 실시예의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와 대체로 동일하나,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플런저(150)에 제2 벤트홀(157)과 연통 채널(158)이 형성되지 않고, 제2 벤트홀(119')이 마운팅 구조(115')에 형성되는 점이 상이하다.
제2 벤트홀(119')은 그루브(groove) 형태로 마운팅 구조(115')에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벤트홀(119')은 플랜지(118')에서 수용벽(117') 및 지지턱(116')을 거쳐서 중공부(112')에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트홀(119')은 플랜지(118')의 수용벽(117')을 감싸는 부분에 대해, 둘레 방향 중에 서로 마주보는 두 곳에 각각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에 의하면,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도 6 내지 도 8을 통해 설명한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서의 공기의 흐름은 동일하다. 다만, 플런저(150')에 제2 벤트홀(119) 등이 형성되지 않음에 의해, 플런저(150')의 강도가 저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플런저(150')에 비해 리셉터클(110')은 보다 강인한 재질로 형성되는 바, 제2 벤트홀(119')의 형성에도 리셉터클(110')의 강도는 문제되지 않는다.
상기와 같은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100':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10,110': 리셉터클 111,111': 실린더부
113,113': 걸림턱 115,115': 마운팅 구조
119': 제2 벤트홀 130,130': 홀딩 유닛
131: 노출부 133: 삽입부
135: 걸림턱 137: 클램핑 구조
139: 제거홀 140,140': 모세관 튜브
150,150': 플런저 151,151': 상부 몸체
152,152': 접촉 변형부 154,154': 형상 유지부
156,156': 하부 몸체 157: 제2 벤트홀
158: 연통 채널

Claims (11)

  1. 중공부를 구비하는 플라스틱 수지 재질의 리셉터클;
    상기 중공부 내로 연장되게 배치되고,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모세관 튜브;
    상기 모세관 튜브의 사이즈에 적응하여 상기 모세관 튜브를 고정하는 클램핑 구조를 구비하고, 상기 리셉터클과 다른 재질로 별도 부재로 형성되어 상기 리셉터클에 결합되는 홀딩 유닛;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모세관 튜브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 튜브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클램핑 구조는,
    상기 모세관 튜브가 삽입 고정되는 고정홀을 포함하고,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모세관 튜브가 상기 고정홀에 압입되도록 탄성 재질로 형성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중공부 내로 삽입되는 삽입부; 및
    상기 삽입부 보다 큰 폭을 가지고, 상기 리셉터클의 외부로 돌출되는 노출부를 포함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삽입부에서 상기 노출부를 향해 연장되어 상기 고정홀과 연통되고, 상기 고정홀 보다 큰 내경을 갖는 제거홀을 포함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홀딩 유닛은,
    상기 삽입부와 상기 노출부 사이에 형성되는 걸림홈을 더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중공부의 중심을 향해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에 삽입되는 걸림턱을 더 포함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런저가 설치되는 마운팅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제1 벤트홀을 구비하고,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마운팅 구조에 안착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 및 상기 마운팅 구조 중 적어도 하나는,
    상기 플런저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상기 제1 벤트홀보다 먼저 외부 공기가 상기 중공부로 안내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하는,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삭제
  9. 삭제
  10. 삭제
  11. 삭제
KR1020180138913A 2018-11-13 2018-11-13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KR1022236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13A KR102223629B1 (ko) 2018-11-13 2018-11-13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38913A KR102223629B1 (ko) 2018-11-13 2018-11-13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51A KR20200055351A (ko) 2020-05-21
KR102223629B1 true KR102223629B1 (ko) 2021-03-05

Family

ID=7091035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38913A KR102223629B1 (ko) 2018-11-13 2018-11-13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3629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900A (ja) * 2009-12-10 2011-06-23 Physical Screening Inc 血液分離器具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546A (en) * 1997-05-01 1998-07-07 Comar, Inc. Dispensing bulb
KR101888122B1 (ko) * 2016-04-11 2018-09-20 에임바이오 주식회사 일회용 액체 앰플
KR102059956B1 (ko) * 2017-11-28 2019-12-27 에임 주식회사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122900A (ja) * 2009-12-10 2011-06-23 Physical Screening Inc 血液分離器具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55351A (ko) 2020-05-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938924T3 (es) Dispositivo de recogida de acción capilar
US4327746A (en) Blood extraction device
US20060041190A1 (en) Operation button for endoscope
EP2946798B1 (en) Manual breastpump
JP6104440B1 (ja) 血液採取器及び血液収容器を含む血液採取器具
EP1285628A2 (en) Capillary device for sampling and transfer of fluids
AU2016239253A1 (en) Mating structure of liquid extraction piece and test tube assembly
KR102223629B1 (ko)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WO2005110224A1 (ja) 採血具の逆流防止構造、ルアー針、採血針及び採血ホルダー
EP3445311B1 (en) Device and system of blood collection, and method thereof
JP3898399B2 (ja) ランセット及び体液成分検出部を備えた組立体
US20220241485A1 (en) Suction bottle for thrombus aspirator and thrombus aspirator
JP2005017280A (ja) 使い捨てピペット及び採血器
KR102059956B1 (ko)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JP3648098B2 (ja) 体液成分測定具
JPWO2018055675A1 (ja) ピペット装置
AU2015344731B2 (en) Needle assembly with flashback chamber for collecting blood or other liquid samples
EP0541423A1 (en) Stopper for evacuated blood collecting tube
CN211270781U (zh) 非穿刺式采血装置
CN214416426U (zh) 吸嘴适配器
US20220331823A1 (en) Dispenser
KR101742803B1 (ko) 안전 필터 주사기
JPH02200234A (ja) 内視鏡用鉗子栓
KR20160109334A (ko) 정량 흡입용 피펫
JPH05161599A (ja) 吸引制御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