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59956B1 -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 Google Patents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59956B1
KR102059956B1 KR1020170160382A KR20170160382A KR102059956B1 KR 102059956 B1 KR102059956 B1 KR 102059956B1 KR 1020170160382 A KR1020170160382 A KR 1020170160382A KR 20170160382 A KR20170160382 A KR 20170160382A KR 102059956 B1 KR102059956 B1 KR 10205995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lood
receptacle
lower body
plunger
capillari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701603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90061717A (ko
Inventor
조용호
이웅호
문영주
Original Assignee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임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임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7016038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59956B1/ko
Publication of KR201900617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06171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5995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5995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1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taking samples of capillary blood, e.g. by lancets, needles or bla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15Source of blood
    • A61B5/150022Source of blood for capillary blood or interstitial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15Devices for taking samples of blood
    • A61B5/150007Details
    • A61B5/150053Details for enhanced collection of blood or interstitial fluid at the sample site, e.g. by applying compression, heat, vibration, ultrasound, suction or vacuum to tissue; for reduction of pain or discomfort; Skin piercing elements, e.g. blades, needles, lancets or canulas, with adjustable piercing speed
    • A61B5/150061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 A61B5/150068Means for enhancing collection by tissue compression, e.g. with specially designed surface of device contacting the skin area to be pierc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physics (AREA)
  • Pathology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Hemat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Dermatology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Measurement Of The Respiration, Hearing Ability, Form, And Blood Characteristics Of Living Organism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모세관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흡입된 혈액의 총량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에서 흡입된 혈액의 양의 합이며;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를 제공한다.

Description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NON-PENETRATING TYPE BLOOD COLLECTION DEVICE}
본 발명은 인체 등에 침투되지 않은 상태로 인체 등에서 배출되는 혈액을 채취하기 위한 디바이스에 관한 것이다.
의학 기술이 발달함에 따라 혈액검사로 각종 질병을 진단할 수 있다. 이러한 혈액검사를 위해 혈액을 채취하는 방법은 주로 주사기를 이용하는 것이다. 그러나 주사기는 그의 바늘이 인체에 침투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기에, 혈액 채취 대상자의 고통이 클 수 있다.
이러한 주사기를 이용하는 혈액 채취와 달리, 란셋으로 손가락 등에 작은 상처를 낸 후에 외부로 배출된 혈액을 채취하는 비침투형 디바이스가 이용되기도 한다. 비침투형 채취 디바이스를 이용하게 되면, 주로 소량의 혈액을 채취하며, 혈액 채취 대상자에게 별다른 고통을 주지 않게 된다.
이러한 장점에도 불구하고,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에 의해서는 혈액의 채취가 원활하지 못해 요구되는 혈액양을 채취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그의 이용 방식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오조작될 때에는, 채취 디바이스가 제 기능을 수행하지 못하는 문제도 있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혈액의 채취가 설정된 채취량에 맞추어 원활하게 이루어질 수 있게 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일 목적은,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에 의해 오조작 되더라도 그의 기능이 손상되지 않고 재사용 가능한 상태로 회복될 수 있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실현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른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는,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모세관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흡입된 혈액의 총량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에서 흡입된 혈액의 양의 합이며;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120˚ 간격으로 배치되는 3개의 모세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복수의 모세관은,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지며 서로 평행하게 배열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보다 돌출되는 공통 입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액의 흡입 시에, 상기 공통 입출구를 통해 흡입된 상기 혈액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로 나뉘어 유입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 입출구에 내접하는 공통원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에 외접하는 개별원보다 작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여기서, 상기 공통원과 상기 개별원은 동심 관계를 이룰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이 형성되는 소경부; 및 상기 소경부에 연결되며, 상기 복수의 모세관 전체가 차지하는 단면적보다 넓은 단면적을 차지하는 중공부를 가지고 상기 중공부를 통해 상기 공기 압력을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전달하는 대경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런저가 설치되는 마운팅 구조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마운팅 구조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플런저는,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마운팅 구조에 안착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고, 상기 마운팅 구조는, 상기 하부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하부 몸체를 감싸는 수용벽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플런저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상기 제1 벤트홀보다 먼저 외부 공기가 상기 리셉터클로 유입되게 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하부 몸체의 하단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제2 벤트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몸체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상기 제2 벤트홀을 상기 리셉터클의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채널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하부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채널; 및 상기 하부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둘레 채널을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둘레 채널은, 상기 플런저가 미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벽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눌림에 의해 상기 수용벽에 밀착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제1 벤트홀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눌려지는 접촉 변형부; 및 상기 접촉 변형부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접촉 변형부가 눌려질 때 상기 수용벽을 향해 형상을 유지한 채 하강되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접촉 변형부에서 상기 하부 몸체를 향해 갈수록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여기서, 상기 형상 유지부는, 상기 수용벽과 마주하며, 상기 수용벽의 상면과 평행하게 형성되는 밀폐면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에 관련된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에 의하면, 혈액을 흡입하는 부분이 복수의 모세관으로 형성되어 각 모세관이 충분한 흡입력을 발휘함에 의해, 그들 각각이 흡입한 혈액의 총량으로 설정된 채취량을 쉽게 확보할 수 있게 된다.
이때, 모세관이 복수 개로 나뉨에 의해, 개별 모세관은 기존보다 적은 양의 혈액을 흡입하면서도 기존보다 더 좁아진 폭에 의해 더 큰 흡입력을 발휘할 수 있다. 따라서,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의 전체적인 혈액 흡입력 및 흡입 속도는 커지면서도 전체 흡입량은 복수의 모세관의 개별 흡입량의 합에 의해 부족함이 없게 확보될 수 있다.
또한,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의 사용에 익숙하지 않은 사용자가 플런저를 오조작하더라도, 플런저에 형성된 2개의 벤트홀 중 하측에 위치한 것에 의해 혈액의 과흡입을 방지할 수 있다. 사용자가 조작법을 다시 숙지해서, 오조작에 의해 흡입된 혈액을 배출하면,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는 다시 정상적인 방식으로 정량의 혈액을 흡수하도록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110)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의 공통 입출구(112)와 개별 입출구(132)의 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도 4는 도 1의 플런저(150)에 대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도 4의 플런저(150)에 대해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도 6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흡입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7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배출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도 8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오조작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다가 혈액의 흡입이 정지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에 대하여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본 명세서에서는 서로 다른 실시예라도 동일·유사한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유사한 참조번호를 부여하고, 그 설명은 처음 설명으로 갈음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사시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는, 크게 리셉터클(110)과, 플런저(150)를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110)은 사람의 손가락 등이 란셋에 찔려서 손가락 등에서 혈액이 배출될 때 그 혈액을 흡입하는 부분이다. 리셉터클(110)은 구조적으로, 다단 구조를 가질 수 있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110)은, 소경부(111)와, 대경부(113), 그리고 마운팅 구조(115)를 가질 수 있다.
소경부(111)의 자유단에는 공통 입출구(112)가 형성된다. 소경부(111) 내에는 복수의 모세관(131)이 형성될 수 있다. 대경부(113)는 소경부(111)에 연결되며, 소경부(111)보다 큰 단면적을 갖도록 형성된다. 대경부(113)는 대체로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마운팅 구조(115)는 대경부(113)의 자유단 측에 형성되며, 플런저(150)가 설치되는 부분이다.
플런저(150)는 리셉터클(110), 구체적으로 마운팅 구조(115)에 탈착 가능하게 설치되어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대상이 되는 구성이다. 플런저(150)는 대략적으로 반구 형상을 가지며, 탄성 재질로 형성되어 누름 조작 후에 원 상태로 복원되게 구성된다. 플런저(150)는 누름 조작에 따라 대경부(113)를 거쳐서 소경부(111)에 위치하는 복수의 모세관(131)에 공기 압력을 가하게 된다.
이상의 리셉터클(110)에 대해서는 도 2 및 도 3을 참조하여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2는 도 1의 리셉터클(110)에 대한 종단면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모세관(131)은 소경부(111)의 길이 방향을 따라 연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모세관(131)은 서로 평행하며 서로 동일한 길이를 가질 수 있다. 모세관(131)의 하단은 소경부(111)의 공통 입출구(112) 보다 상측에 위치할 수 있다. 모세관(131)의 하단은 혈액이 입출되는 부분으로서, 개별 입출구(132)라 칭하기도 한다. 공통 입출구(112)는 개별 입출구(132) 보다 돌출되어, 혈액은 공통 입출구(112)를 통해 전체로서 흡입된 후 개별 입출구(132)로 나뉘어 유입된다. 그에 의해, 리셉터클(110)이 흡입하는 혈액의 총량은 복수의 모세관(131) 각각에서 흡입된 혈액의 양의 합과 같다. 모세관(131)의 상단은 대경부(113)의 중공부(114)와 연통되는 부분으로서, 연통 단부(133)라 칭하기도 한다. 연통 단부(133)는 소경부(111)에서 중공부(114) 내로 다소 돌출된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대경부(113)는 소경부(111)의 전체 폭보다 큰 폭을 갖는 중공부(114)를 가진다. 이러한 중공부(114)에 의해, 모세관(131)으로 흡입되는 혈액은 연통 단부(133)를 넘어서 중공부(114) 내로 유입되지는 않는다. 또한, 중공부(114)는 플런저(150)가 조작됨에 따라 발생된 공기 압력을 모세관(131)에 전달하는 통로가 되기도 한다.
마운팅 구조(115)는 지지턱(116)과, 수용벽(117), 그리고 플랜지(118)를 포함할 수 있다. 지지턱(116)은 대경부(113)의 상단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대체로 도넛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수용벽(117)은 지지턱(116)에서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며, 대체로 실린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플랜지(118)는 수용벽(117)에서 방사상으로 연장된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두 번째 및 세 번째 손가락이 걸리는 부분이 될 수 있다.
도 3은 도 2의 공통 입출구(112)와 개별 입출구(132)의 관계를 보인 개념도이다.
본 도면을 참조하면, 복수의 모세관(131)은 3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때, 3개의 모세관(131)은 서로 간에 120˚ 간격을 이루도록 배치될 수 있다.
공통 입출구(112)에 내접하는 공통원(112')에 대비하여, 3개의 모세관(131)의 개별 입출구(132)들에 외접하는 개별원(132')이 정의될 수 있다.
이때, 공통원(112')과 개별원(132')은 동심 관계를 이룰 수 있다. 그에 의해, 공통 입출구(112)를 통해 흡입된 혈액은 각 모세관(131)에 고르게 배분될 수 있다.
또한, 공통원(112')의 직경은 개별원(132')의 직경보다 작은 것일 수 있다. 그에 의해, 각 모세관(131)의 개별 입출구(132) 전체가 차지하는 면적에 비해 공통 입출구(112)가 차지는 면적이 좁아지게 된다. 그 결과, 3개의 개별 입출구(132) 전체가 차지는 면적 그대로 공통 입출구가 형성되는 경우에 비해, 본 실시예에 따른 공통 입출구(112)를 통한 혈액 흡입력을 높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통 입출구(112)는 핏방울 사이즈에 대응하는 사이즈로 설정되어, 그를 통한 모세관력(capillary force)이 극대화될 수 있기 때문이다.
다음으로, 플런저(150)에 대해 도 4 및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4는 도 1의 플런저(150)에 대한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의 플런저(150)에 대해 라인(Ⅴ-Ⅴ)을 따라 취한 단면도이다.
본 도면들을 참조하면, 플런저(150)는 상부 몸체(151)와, 하부 몸체(156)로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151)는 주로 마운팅 구조(115)의 상측에 위치하는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누름 조작의 대상이 되는 부분이다. 그에 반하여, 하부 몸체(156)는 마운팅 구조(115) 내에 안착되어, 상부 몸체(151)가 눌릴 때 마운팅 구조(115)에 의해 지지된다.
상부 몸체(151)는, 대체로 뒤집어진 반구 형상으로서, 그의 폭은 하부 몸체(156)의 폭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부 몸체(151)는 접촉 변형부(152)와, 형상 유지부(154)를 포함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는 대체로 원판 형태의 부분으로서,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눌려지는 부분이다. 이러한 접촉 변형부(152)의 중앙에는 제1 벤트홀(153)이 형성된다. 형상 유지부(154)는 접촉 변형부(152)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된 실린더형 부분으로서, 접촉 변형부(152)가 눌려질 때 자신의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이를 위해, 형상 유지부(154)는 접촉 변형부(152)에서 하부 몸체(156)를 향해 갈수록 두께가 두꺼워지게 형성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와 형상 유지부(154) 사이 지점은 변형 지지점(152')이 될 수 있다. 접촉 변형부(152)가 눌려질 때 변형 지지점(152')을 기준으로 접촉 변형부(152)는 변형되고 형상 유지부(154)는 제 형상을 유지하게 된다. 형상 유지부(154)가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면 형상 유지부(154)의 저면은 수용벽(117)에 밀착될 수 있다. 이때, 형상 유지부(154)의 저면에는 수용벽(117)의 상면과 평행한 채로 마주하는 밀폐면(155)이 형성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6)는 대체로 실린더 형상을 가진 채로 수용벽(117)이 한정하는 공간 내에서 지지턱(116)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하부 몸체(156)는 제2 벤트홀(157)과, 연통 채널(158)을 가질 수 있다. 제2 벤트홀(157)은 대체로 하부 몸체(156)의 하단 측에 형성될 수 있다. 제2 벤트홀(157)은 하부 몸체(156)의 내부 공간을 하부 몸체(156)의 외부 공간과 연통시키는 구성이다. 연통 채널(158)은 제2 벤트홀(157)에 연통되며 하부 몸체(156)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형성되는 그루브(groove)일 수 있다. 연통 채널(158)은 제2 벤트홀(157)을 리셉터클(110)의 외부와 연통되게 하는 매개 통로이다. 연통 채널(158)은, 구체적으로 높이 채널(158a)과 둘레 채널(158b)을 포함할 수 있다. 높이 채널(158a)은 하부 몸체(156)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라면, 둘레 채널(158b)은 하부 몸체(156)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되는 것이다. 이 둘은 서로 연결된다. 또한, 둘레 채널(158b)은 플런저(150)가 누름 조작되지 않은 상태에서 리셉터클(110)이 수용벽(117) 보다 높게 위치할 수 있다.
이상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정상적인 이용 시의 작동에 대해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6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흡입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혈액에 대한 흡입시에, 사용자는 플런저(150)를 조작하지 않은 채로 리셉터클(110)을 혈액에 근접시키면 된다. 구체적으로, 리셉터클(110)의 공통 입출구(112)를 혈액에 접촉시킨 채로,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를 비스듬히 배치되게 된다.
그러면, 모세관력(capillary force)에 의해 공통 입출구(112)로 혈액이 흡입된다. 이러한 혈액은, 각 모세관(131) 역시 모세관력을 발휘하기에, 3개의 모세관(131)으로 나뉘어 유입된다. 그에 의해, 각 모세관(131)은 원활히(빠른 속도로) 혈액을 흡입하게 된다. 흡입된 혈액이 각 모세관(131)의 연통 단부(133)에 도달함에 따라 혈액의 흡입은 정지된다. 3개의 모세관(131)이 흡입한 혈액의 총합은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흡입 요구량이 된다.
이렇게 모세관(131)을 통해 혈액이 흡입되는 과정에서, 중공부(114) 내의 공기는 흡입되는 혈액에 밀려서 제1 벤트홀(153) 및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 벤트홀(157)을 통과한 공기는, 연통 채널(158)을 통과하여 최종적으로 마운팅 구조(115)와 상부 몸체(151) 사이의 틈새로 배출될 수 있다.
도 7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혈액을 배출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채취된 혈액을 희석액이 담긴 용기에 배출하고자 하는 경우에, 사용자는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하면 된다.
구체적으로, 사용자는 엄지손가락으로 제1 벤트홀(153)을 막은 채로 접촉 변형부(152)를 누르게 된다. 그에 의해, 접촉 변형부(152)는 그 중앙부가 주변부보다 리셉터클(110)을 향해 하강된 형태로 변형된다. 형상 유지부(154)는 그 형상을 유지하면서 수용벽(117)을 향해 하강하게 된다. 형상 유지부(154)의 밀폐면(155)은 수용벽(117)의 상면과 밀착되어, 중공부(114) 내의 공기가 제2 벤트홀(157)을 통해서도 외부로 배출되지 못한다. 형상 유지부(154)가 제 형상을 유지한 채로 하강하기에, 밀폐면(155)은 그의 둘레 방향을 따라 온전하게 수용벽(117)과 접촉된다. 그에 따라, 밀폐면(155)과 수용벽(117)의 접촉 영역 중 일부를 통해서라도 중공부(114) 내의 공기가 외부로 배출되는 일이 없다.
플런저(150)의 변형에 따라 형성된 중공부(114) 내의 공기 압력은 3개의 모세관(131)에 작용하게 된다. 이 공기 압력은 3개의 모세관(131)에 저장된 혈액이 외부로 배출되게 한다. 각 모세관(131)의 혈액은 공통 입출구(112)를 통해 한 덩어리로 뭉쳐서 배출된다. 그에 따라, 공통 입출구(112)가 없고 각 모세관(131)의 개별 입출구(132)가 바로 외부로 노출된 경우와 달리, 어느 하나의 모세관(131)의 혈액만 배출되고 나머지 모세관(131)의 혈액은 배출되지 못하는 일이 구조적으로 예방된다.
이상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대한 오조작 시의 작동에 대해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도 8은 도 1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가 오조작된 채로 혈액을 흡입하다가 혈액의 흡입이 정지될 때의 상태를 보인 사용 상태 단면도이다.
본 도면(및 도 1 내지 도 5)을 참조하면,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익숙하지 못한 사용자는 혈액을 흡입하고자 하면서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할 수 있다. 이는 앞서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혈액 흡입 방법에 반하는 상황으로서, 예를 들어 스포이드의 조작법에 따라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를 조작하려는 경우에 일어날 있는 상황이다.
사용자가 플런저(150)를 누름 조작했다가 놓게 되면, 혈액은 모세관(131)의 모세관력 및 진공 흡입력에 의해 과도하게 모세관(131) 내로 흡입되어 중공부(114) 내로까지 유입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나,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의 경우에는 그러한 일이 구조적으로 방지된다. 왜냐하면, 플런저(150)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제2 벤트홀(157)이 제1 벤트홀(153)에 앞서서 외부 공기를 중공부(114) 내로 공급하기 때문이다.
구체적으로, 플런저(150)가 눌려졌다가 복원되는 중에 제1 벤트홀(153)은 사용자의 손가락에 의해 여전히 막혀있지만, 제2 벤트홀(157)은 먼저 외부 공기와 연통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형상 유지부(154)의 밀폐면(155)이 수용벽(117)의 상면에서 떨어지는 순간에 외부 공기는 밀폐면(155)과 수용벽(117)의 틈새를 통해 리셉터클(110) 내로 유입된다. 구체적으로, 상기 틈새를 통과한 공기는 연통 채널(158) 및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중공부(114) 내로 유입된다. 이렇게 제2 벤트홀(157)을 통해 유입된 외부 공기에 의해 진공이 해소됨에 따라, 혈액의 흡입이 중단되어 혈액이 모세관(131)을 넘어서서 과흡입되지는 않게 된다.
사용자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잘못 흡입된 혈액을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대로 배출한 후에, 도 6을 참조하여 설명한 방식대로 정상적으로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100)에 혈액을 흡입되게 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는 위에서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작동 방식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상기 실시예들은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100: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10: 리셉터클
11: 소경부 112: 공통 입출구
113: 대경부 115: 마운팅 구조
131: 모세관 150: 플런저
151: 상부 몸체 152: 접촉 변형부
154: 형상 유지부 156: 하부 몸체
157: 제2 벤트홀 158: 연통 채널

Claims (17)

  1. 혈액을 흡입하도록 형성된 복수의 모세관을 구비하는 리셉터클, 상기 리셉터클에 흡입된 혈액의 총량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에서 흡입된 혈액의 양의 합이며;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복수의 모세관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모세관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보다 돌출되는 공통 입출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혈액의 흡입 시에, 상기 공통 입출구를 통해 흡입된 상기 혈액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로 나뉘어 유입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2. 삭제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공통 입출구에 내접하는 공통원은,
    상기 복수의 모세관 각각의 개별 입출구에 외접하는 개별원보다 작은 직경을 갖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6. 삭제
  7. 삭제
  8. 혈액을 흡입하도록 구성되는 리셉터클; 및
    상기 리셉터클에 설치되고, 사용자에 의해 조작됨에 따라 상기 리셉터클에 공기 압력을 가하도록 구성되어 흡입된 상기 혈액이 상기 리셉터클에서 배출되게 하는 플런저를 포함하고,
    상기 리셉터클은,
    상기 플런저가 설치되는 마운팅 구조를 포함하고,
    상기 플런저는,
    상기 마운팅 구조에 탈착 가능하게 지지되며, 사용자의 조작에 의해 탄성적으로 변형되는 재질로 형성되고,
    상기 플런저는,
    사용자의 조작 대상이 되는 상부 몸체; 및
    상기 마운팅 구조에 안착되는 하부 몸체를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마운팅 구조는,
    상기 하부 몸체를 지지하는 지지턱; 및
    상기 하부 몸체를 감싸는 수용벽을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제1 벤트홀을 포함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플런저가 눌려졌다 복원되는 중에 상기 제1 벤트홀보다 먼저 외부 공기가 상기 리셉터클로 유입되게 하는 제2 벤트홀을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벤트홀은,
    상기 하부 몸체의 하단 측에 형성되고,
    상기 하부 몸체는,
    상기 제2 벤트홀에 연통되도록 상기 하부 몸체의 외면에 리세스되어, 상기 제2 벤트홀을 상기 리셉터클의 외부와 연통되는 연통 채널을 더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연통 채널은,
    상기 하부 몸체의 높이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높이 채널; 및
    상기 하부 몸체의 둘레 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둘레 채널을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둘레 채널은,
    상기 플런저가 미조작된 상태에서 상기 수용벽보다 높게 위치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4.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하부 몸체보다 큰 폭을 갖도록 형성되어, 눌림에 의해 상기 수용벽에 밀착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는,
    상기 제1 벤트홀이 형성되며, 사용자의 손가락으로 눌려지는 접촉 변형부; 및
    상기 접촉 변형부에서 원통형으로 하향 연장되고, 상기 접촉 변형부가 눌려질 때 상기 수용벽을 향해 형상을 유지한 채 하강되는 형상 유지부를 포함하는,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16. 삭제
  17. 삭제
KR1020170160382A 2017-11-28 2017-11-28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KR10205995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82A KR102059956B1 (ko) 2017-11-28 2017-11-28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70160382A KR102059956B1 (ko) 2017-11-28 2017-11-28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17A KR20190061717A (ko) 2019-06-05
KR102059956B1 true KR102059956B1 (ko) 2019-12-27

Family

ID=668447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160382A KR102059956B1 (ko) 2017-11-28 2017-11-28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59956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223629B1 (ko) * 2018-11-13 2021-03-05 에임 주식회사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546A (en) 1997-05-01 1998-07-07 Comar, Inc. Dispensing bulb
JP2011122900A (ja) * 2009-12-10 2011-06-23 Physical Screening Inc 血液分離器具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51188B1 (ko) * 2013-09-05 2018-04-24 가부시키가이샤 미야비 체액채취기, 체액용기, 및 체액채취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775546A (en) 1997-05-01 1998-07-07 Comar, Inc. Dispensing bulb
JP2011122900A (ja) * 2009-12-10 2011-06-23 Physical Screening Inc 血液分離器具
KR101684689B1 (ko) 2016-06-08 2016-12-08 주식회사 노블바이오 혈액 채취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061717A (ko) 2019-06-0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S2497576T3 (es) Un dispositivo y un procedimiento para recoger una muestra de sangre
US7959583B2 (en) Integrated lancet and bodily fluid sensor
US20180214059A1 (en) Body fluid sampling device - sampling site interface
US20120046574A1 (en) Saliva collection device
JP6297777B2 (ja) 鞍状のチップを有する穿刺装置
KR20200085789A (ko) 유체 샘플 수집 장치
CN102573629A (zh) 具有可透气通气孔的血液取样装置
JP2013541958A (ja) 細胞採集装置
KR102265307B1 (ko) 혈액 수집과 배출을 위한 유니트
US20190320960A1 (en) Blood collection device with integrated absorbent material
KR20190104300A (ko) 혈액 검사용 카트리지를 구비하는 생리컵
KR102059956B1 (ko) 비침투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EP1285628A2 (en) Capillary device for sampling and transfer of fluids
US20050015019A1 (en) Sampling syringe unit, sampling device and sampling method for sampling blood or body fluid
US11207057B1 (en) Nasopharyngeal sample collection devices and methods
EP3445311B1 (en) Device and system of blood collection, and method thereof
CN211270781U (zh) 非穿刺式采血装置
JP3648098B2 (ja) 体液成分測定具
US20200330013A1 (en) Unit for collecting blood
KR102223629B1 (ko) 모세관 튜브 사이즈 적응형 혈액 채취 디바이스
KR102194252B1 (ko) 혈액 수집 유니트
EP0541423A1 (en) Stopper for evacuated blood collecting tube
US20200121233A1 (en) Funnel with extension tube to augment blood collection device
KR101800116B1 (ko) 비침습형 눈물 포집기
US11478175B1 (en) Devices for collecting capillary blood and methods for sa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