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222784B1 -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 Google Patents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222784B1
KR102222784B1 KR1020200120099A KR20200120099A KR102222784B1 KR 102222784 B1 KR102222784 B1 KR 102222784B1 KR 1020200120099 A KR1020200120099 A KR 1020200120099A KR 20200120099 A KR20200120099 A KR 20200120099A KR 102222784 B1 KR102222784 B1 KR 102222784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doxaban
monohydrate
hemiethylene
disulfonic acid
acid sal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12009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안지훈
남시현
Original Assignee
유니셀랩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니셀랩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유니셀랩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0012009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22784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22784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22784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5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 C07D5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in the condensed system at least one hetero ring having nitrogen and sulfur atoms as the only ring hetero atoms, not provided for in groups C07D463/00, C07D477/00 or C07D499/00 - C07D507/00 in which the condensed system contains two hetero rings
    • C07D513/04Ortho-condensed syste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33Heterocyclic compounds
    • A61K31/39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 A61K31/435Heterocyclic compounds having nitrogen as a ring hetero atom, e.g. guanethidine or rifamycins having six-membered rings with one nitrogen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 A61K31/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 A61K31/4427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 A61K31/444Non condensed pyridines; Hydrogenated derivatives thereof containing further heterocyclic ring systems containing a six-membered ring with nitrogen as a ring heteroatom, e.g. amrinon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61P7/02Antithrombotic agents; Anticoagulants; Platelet aggregation inhibitor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BGENERAL METHODS OF ORGANIC CHEMISTRY; APPARATUS THEREFOR
    • C07B2200/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specific properties of organic compounds
    • C07B2200/13Crystalline forms, e.g. polymorphs

Abstract

본 발명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낮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극복하여 약리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규한 염형태를 연구 노력한 결과 보다 수용해도가 13배 이상 증가되었고, 높은 안정성을 갖는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수화물를 개발하였다. 이는 혈전성 질환의 유용한 치료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로서 사용 가능하다.

Description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NOVER EDOXABAN HEMI ETHANE-1,2-DISULFONIC ACID SALT MONOHYDRATE}
본 발명은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1수화물의 문제점인 용해도 및 안정성을 극복한 새로운 염형태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1수화물에 관한 것이다.
에독사반(Edoxaban)은 활성화 혈액 응고 제 X 인자(FXa)의 저해 작용을 나타내고 혈전성 질환의 예방 및/또는 치료약으로서 유용한 화합물이다. 이는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843호 및 제10-1708528호에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1수화물의 결정형 형태로 보고되고 있으며, 이는 릭시아나(Lixiana)라는 상품명으로 시판되는 정제 제품의 주성분이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842호의 에독사반 의약조성물 특허에서는 염산염 및 토실레이트 1수화물 등이 개시되어 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528호에는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결정형 1형과 2형에 대한 내용이 개시되어 있는데, 일반적인 결정화 방법으로 제조 시 결정형 1형과 2형을 재현성 있게 수득하는데 문제점이 있으며, 증기 흡착법과 디옥산 및 디메틸술폭사이드와 같은 일반적인 용매들과 다른 용매를 사용하는 매우 복잡한 방법으로 결정형을 수득한다.
또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528호에 의한 방법을 사용하여 결정화하였을 때에도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 결정형의 결정성이 매우 좋지 않으며 흡습에 의한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보고가 있다.
그리고 문헌에 의하면 흡습과 저장 및 보관과정에서 에독사반 토실레이트의 안정성은 매우 저조하며, 산에 의한 안정성이 취약하다는 보고가 있다(Acta Scientific Pharmaceutical Sciences 3.1 (2019): 73-81).
그리고 미국 FDA 리포트에 의하면 에독사반 토실레이트는 염 형태이지만 pH 6-9 까지의 용해도가 낮아 체내 흡수율이 낮다는 것이 보고되었으며 특히 pH 7 에서는 용해도가 0.14 mg/mL 이고 pH 9 에서는 용해도가 0.08 mg/mL 로서 매우 낮다는 것이 확인되었다(표 1).
Figure 112020099090777-pat00001
(FDA 리포트의 에독사반 물리화학적 특성)
따라서 이를 개선하기 위해 새로운 에독사반 신규염의 개발이 필요함에 따라, 본 발명자들은 pH 7의 용해도가 2.2mg/mL, pH 9의 용해도가 0.4mg/mL로 약 13배 이상 증가된 새로운 에독사반 염형태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개발하였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에독사반 신규한 염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그리고 수용해도 결과를 개시하고자 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424843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08528호
본 발명자들은 현재 시판되고 있는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낮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극복하여 약리적 효과를 높일 수 있는 신규한 염형태를 연구 노력한 결과, 보다 수용해도가 13배 이상 증가되었고, 보다 높은 안정성을 갖는 화학식 1 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을 개발하였다.
[화학식 1]
Figure 112020099090777-pat00002
본 발명의 다른 구현예에 따르면 본 발명은 분말 X선 회절(PXRD)분석에서 2θ회절각 17.049±0.2, 19.868±0.2 및 21.381±0.2 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가지며, 일예로는 12.598±0.2, 14.103±0.2, 17.049±0.2, 17.510±0.2, 18.596±0.2, 19.868±0.2, 21.381±0.2, 22.313±0.2, 23.887±0.2 및 25.790±0.2 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을 제공한다.
예컨대 본 발명에 따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의 일 구현예의 분말 X선 회절의 강도 및 피크 위치는 하기 [표 2]와 같을 수 있다.
Figure 112020099090777-pat00003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의 PXRD의 강도 및 피크 위치)
또한 본 발명은 열중량분석(TGA)에서 수분에 의한 질량감소가 2% 에서 3% 의 범위 내에서 질량 감소를 보이는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수소핵자기공명분광분석(H-NMR)에서 에독사반과 에틸렌다이설퍼닉산 비율이 2:1로 하여 이온결합으로 형성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종래의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이 갖는 낮은 용해도 및 안정성을 극복하기 위해 이에 노력한 결과 용해도가 13배 이상 증가되고 안정성이 높은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염 일수화물을 개발하였다.
본 발명의 효과는 아래와 같다.
본 발명에 따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에 비하여 용해도가 13배 증가되어 경구 흡수율을 높일 수 있어, 약학 조성물의 유용한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에 비해 체내 흡수율을 높일 수 있기 때문에, 약학 조성물의 유용한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에독사반 토실세이트 일수화물에 비해 그의 안정성이 증가되어 저장 및 보관과정에서 유용한 주성분으로 사용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의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도시한 것이다.
도 2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의 열중량분석(TGA) 결과를 도시한 것이다. 이 결과에서 에독사반 헤미나프탈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결정1형은 수분을 약 2.3% 이상 함유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의 수소핵자기공명분광 스펙트럼을 나타낸다. 이 결과에서 에독사반과 에틸렌다이설퍼닉산이 2:1의 비율로 정확하게 이온결합을 통해, 에독사반 헤미에틸란다이설퍼닉산 염을 형성하고 있음이 예측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제조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2 mg/mL 농도에서의 수용해성 결과를 나타낸다.
이하 실시예를 통하여 본 발명을 더욱 상세히 설명하고자 한다. 이들 실시예는 오로지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요지에 따라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지 않는다는 것은 당업계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있어서 자명할 것이다.
[실시예 1]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912호로 제조된 에독사반 유리염기 1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150 mL에 용해하였다. 그 후 에틸렌다이설퍼닉산 2수화물 0.51당량을 메탄올 60 mL에 용해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2시간 4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20mL로 세척) 40도에서 2일간 진공건조한 후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염 일수화물 10.4g을 수득하였다.
[실시예 2]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제조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2090912호로 제조된 에독사반 유리염기 10g을 메틸렌클로라이드 150 mL에 용해하였다. 그 후 에틸렌다이설퍼닉산 2수화물 0.51당량 을 에탄올 80 mL에 용해하였다. 이후 두 용액을 혼합하여 상온에서 2시간 400rpm으로 교반한 후 여과하여 (메틸렌클로라이드 20mL로 세척) 40도에서 2일간 진공건조 한 후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염 일수화물 9.89g을 수득하였다.
[실험예 1] 분말 X-선 회절 (PXRD)
PXRD 분석(도 1참조)을 Cu Kα 방사선을 사용하여 (D8 Advance) X-선 분말 회절계상에서 수행하였다. 기구에는 관 동력이 장치되어 있고, 전류량은 45 kV 및 40 mA 로 설정하였다. 발산 및 산란 슬릿은 1°로 설정하였고, 수광 슬릿은 0.2 mm 로 설정하였다. 5 에서 35° 2θ까지 3°/분 (0.4 초/0.02°간격) 의 θ-2θ 연속 스캔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2] 열중량 분석법(DSC)
TA사로부터 입수한 DSC Q50을 사용하여, 질소 정화 하에 20℃ 에서 400℃까지 10℃/min의 스캔속도로, TGA 팬을 이용하여 측정(도2 참조)을 수행하였다.
[실험예 3]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의 용해도 평가
상기 실시예 1 및 2 로 제조된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수용해도 및 위장관 pH 6.8과 9에서의 용해도를 비교 분석하였다.
H2O pH 6.8 pH 9
토실레이트 일수화물 0.167 mg/ml 0.154 mg/ml 0.094 mg/mL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2.2 mg/ml 2.14 mg/ml 0.415 mg/mL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용해도)
상기 표 3 에서 보는 것과 같이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결정1형은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수용해도와 비교하였을 때 약 13배 정도 높은 수용해도를 나타내었다. 그리고 육안으로 그 용해성을 확인하기 위해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을 각각 농도 2 mg/mL로 하여 물에 용해되는지 확인하였다[도 4].
그 결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은 용해되지 않았으며,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잘 용해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문제점인 체내 흡수를 증가시킬 수 있어 약리적 효과를 개선시킬 수 있을 것이라 기대된다.
[실험예 4]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가속, 가혹 안정성비교 평가
의약품의 안정성 시험이라 함은 의약품등의 저장방법 및 사용기간을 설정하기 위하여, 적절한 규격을 설정한 후 정해진 시험법에 근거하여 유의적인 변화를 판단하여 유효기간을 설정하게 되므로, 약물의 적정한 안정성 확보는 약물의 제품화에 있어 대단히 중요한 요소 중 하나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의 제품화 가능성을 확인하기 위해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을 대조군으로 하여 ICH 가이드라인에 따라 가속 및 가혹 안정성을 실시하고 미국 약전(USP)에 기재되어 있는 액체크로마토그래피(HPLC) 분석법을 이용하여 분석한 후 그 결과를 표 4와 5 에 나타내었다.
초기 3일 7일
토실레이트 일수화물 99.76% 99.24% 99.11%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99.82% 99.78% 99.79%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가속 안정성 결과 (40℃±2℃, RH 75%)}
초기 3일 7일
토실레이트 일수화물 99.76% 98.5% 98.06%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99.82% 99.76% 99.75%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가혹 안정성 결과 (60℃±2℃, RH 75%)}
실시예에 의해 제조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과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의 가속, 가혹조건의 안정성 시험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표 4 와 5 에서 나타난 것 같이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순도의 영향 없이 안정하게 유지되었지만, 에독사반 토실레이트 일수화물은 순도가 낮아지면서 안정성이 좋지 않다는 것이 확인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에독사반 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은 안정성이 향상되어 새로운 에독사반 원료의약물질로서의 가능성을 시사하였다.
이상으로 본 발명의 특정한 부분을 상세히 기술하였는 바, 당업계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이러한 구체적인 기술은 단지 바람직한 구현예일 뿐이며, 이에 본 발명의 범위가 제한되는 것이 아닌 점은 명백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실질적인 범위는 첨부된 청구항과 그의 등가물에 의하여 정의된다고 할 것이다.

Claims (3)

  1. 두분자의 에독사반과 한분자의 에틸렌다이설퍼닉산이 이온 결합으로 결합된 화학식 1로 표시되는 염형태의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결정형으로서, 분말 X선 회절(PXRD)분석에서 2θ회절각 17.049±0.2, 17.510±0.2, 19.868±0.2, 21.112±0.2, 21.381±0.2, 22.313±0.2 및 24.817±0.2 에서 특징적인 피크를 갖는 분말 X선 회절 패턴을 갖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결정형.
    [화학식 1]
    Figure 112021011721346-pat00004
  2. 삭제
  3. 제 1 항에 있어서, 2% 에서 3% 의 수분함량을 갖고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염 일수화물 결정형.
KR1020200120099A 2020-09-17 2020-09-17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KR102222784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99A KR102222784B1 (ko) 2020-09-17 2020-09-17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120099A KR102222784B1 (ko) 2020-09-17 2020-09-17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22784B1 true KR102222784B1 (ko) 2021-03-04

Family

ID=7517484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120099A KR102222784B1 (ko) 2020-09-17 2020-09-17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22784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43B1 (ko) 2007-03-29 2014-08-13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의약 조성물
KR101708528B1 (ko) 2010-03-19 2017-02-20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디아민 유도체의 결정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3270A (ko) * 2018-11-08 2020-05-18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에독사반의 신규염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4843B1 (ko) 2007-03-29 2014-08-13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의약 조성물
KR101708528B1 (ko) 2010-03-19 2017-02-20 다이이찌 산쿄 가부시키가이샤 디아민 유도체의 결정 및 그 제조 방법
KR20200053270A (ko) * 2018-11-08 2020-05-18 동아에스티 주식회사 에독사반의 신규염 및 이의 제조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961250B2 (en) Short-acting benzodiazepine salts and their polymorphic forms
CA2835332C (en) Polymorph of linagliptin benzoate
JP2020100624A (ja) L−オルニチンフェニルアセテートおよびその製造方法
US9149539B1 (en) Crystalline naloxol-PEG conjugate
JP2023509242A (ja) 新規なエンパグリフロジンの共結晶
KR102221856B1 (ko) 신규한 피마살탄 결정형의 다형체
EP2524921A1 (en) Novel Crystalline Salts of Asenapine
KR102090912B1 (ko) 신규한 결정형 형태의 에독사반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222784B1 (ko)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에틸렌다이설퍼닉산 염 일수화물
JP2005298424A (ja) エパルレスタット結晶の製造方法
KR102215625B1 (ko) 신규한 에독사반 헤미나프탈렌다이설퍼닉산 염 및 그의 다형체
EP2524919A1 (en) Novel crystalline salts of Asenapine with organic Di-acids and Tri-acids
CN112538123A (zh) 一种舒更葡糖钠晶型m
JP2013540810A (ja) 1−{(2S)−2−アミノ−4−[2,4−ビス(トリフルオロメチル)−5,8−ジヒドロピリド[3,4−d]ピリミジン−7(6H)−イル]−4−オキソブチル}−5,5−ジフルオロピペリジン−2−オン酒石酸塩の水和物
RU2753335C2 (ru) Кристалл ингибитора DPP-IV длительного действия и его соли
KR101928987B1 (ko) 신규한 고순도 미라베그론의 결정질 일수화물, 이의 제조방법 또는 용도
KR102111247B1 (ko) 다파글리플로진 무정형 형태의 공결정 또는 복합제
KR102514961B1 (ko) 에독사반 벤젠술폰산염 1 수화물 결정형 및 그 제조방법
WO2021226020A1 (en) Polymorphic forms of (r)-oxybutynin hydrochloride
JP2010518145A (ja) 無水結晶ビンフルニン塩、その製造方法ならびに薬物およびビンフルニン精製手段としてのその使用
US20230286900A1 (en) Polymorphic forms of (r)-oxybutynin hydrochloride
KR102518204B1 (ko) 신규한 에독사반 프로필렌글리콜 용매화물
KR102150825B1 (ko) 새로운 sglt-2 억제제의 신규한 공결정
EP3976598B1 (en) Selective histamine h3 antagonist acid addition salts and process for the preparation thereof
KR102494848B1 (ko) 테네리글립틴 2토실산염 2수화물의 결정형 ⅰ형 및 그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