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6836B1 - 음료 제조기 - Google Patents

음료 제조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6836B1
KR102196836B1 KR1020187026767A KR20187026767A KR102196836B1 KR 102196836 B1 KR102196836 B1 KR 102196836B1 KR 1020187026767 A KR1020187026767 A KR 1020187026767A KR 20187026767 A KR20187026767 A KR 20187026767A KR 102196836 B1 KR102196836 B1 KR 10219683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ater
beverage maker
tank
kit
beverag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702676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80115739A (ko
Inventor
요엘 아이케
프랭크 골튼보스
롤프 스탭
Original Assignee
베엠에프 그룹 게엠베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베엠에프 그룹 게엠베하 filed Critical 베엠에프 그룹 게엠베하
Publication of KR201801157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11573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683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683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 A47J31/525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of pressur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403Constructional detail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46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 A47J31/462Dispensing spouts, pumps, drain valves or like liquid transporting devices with an intermediate liquid storage tank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1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performed over a network, e.g. by means of a computer or a handheld devic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JKITCHEN EQUIPMENT; COFFEE MILLS; SPICE MILLS;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00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 A47J31/44Parts or details or accessories of beverage-making apparatus
    • A47J31/52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A47J31/525Alarm-clock-controlled mechanism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 Timer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Electronic control devices for coffee- or tea-making apparatus the electronic control being based on monitoring of specific process paramet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pparatus For Making Beverages (AREA)
  • Devices For Dispensing Beverages (AREA)
  • Beverage Vending Machines With Cups, And Gas Or Electricity Vending Machines (AREA)

Abstract

음료 제조기는 특히 전기 작동식 커피 기계로서, 음료 제조기에 의해 준비될 수 있는 음료와 함께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물 탱크를 포함하고, 음료 제조기는 유입부를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음료 제조기가 유입부를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되거나 그리고 / 또는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에 의한 물의 수동 충전 또는 유입부를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료의 도입 중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이 충전될 수 있는 상태에서, 물탱크는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에 의해 음료 제조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될 수 있다.

Description

음료 제조기
본 발명은 음료 제조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특히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커피 기계 (바람직하게는 전자동 커피 기계) 일 수 있다. 이하에서 본 발명은 특히 (전기적으로 동작되는) 커피 기계를 예로 들어 설명될 것이지만, 다른 음료 제조기, 예를 들어 인스턴트 스프, 차 등과 같은 다양한 음료 특산품을 제조하기 위해 전기적으로 작동되는 자동 제조기들 또한 본 발명에 포함된다.
요식업에서는 하루에 일정한 수의 컵을 사용하는 커피 기계와 같은 음료수 메이커를 제공하는 것이 의미가 있다.
음료 제조기 (이후 간단히 기계라고도 함)는 음료 제조기의 탱크가 사용자에 의해 수도꼭지에서 항상 재충전되어야 할 필요가 없도록 영구적으로 물을 공급 받는다.
요식업에서는, 탱크 또는 메인 물 연결 장치가 있는 기계를 구입해야 하는지 여부에 대해, 이를 구매하기 전에 확실치 않은 경우가 종종 발생한다.
그러나 이미 구매된 기계를 각각의 다른 기술에 새롭게 장착하는 것은 서비스 엔지니어에 의한 기계의 전환과 관련되기 때문에 매우 복잡하고 비싸다 (또는 설계상의 이유로 더 이상 불가능할 수도 있다).
따라서 구매 비즈니스는 일반적으로 기계를 구매할 때 메인 물 기계 또는 탱크 기계를 구매해야 하는지 여부를 결정한다. 동일한 머신이 예를 들어, 식당이나 아침식사 방의 메인 물 시스템이나 음료수 시스템에서 작동하는 혼합된 동작과, 필요에 따라 독립적으로 탱크 기계로 작동되거나 또는 독립적으로 음료수 시스템 (예: 회의실 또는 비어 가든)과 연결되지 않는 경우 특히 가능하지 않다.
수동으로 제거 될 수 없는 탱크인 고정식으로 설치된 탱크를 갖는 종래 기술 (EP 2,702 908 A1)에 메인 물 기계가 개시되어 있다. 탱크는 메인 물 연결부를 통해 채워지도록 고정 설치된 완충기 역할을 한다.
선행 기술로부터 시작하여, 본 발명의 목적은 메인 물 기계의 장점과 탱크 기계의 장점을 조합 한 음료 제조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이 음료 제조기는 간단하고 조용한 방식으로 작동되어야 하며, 기계를 간단한 방식으로 깨끗하게 유지할 수 있어야 한다는 것도 목적이다.
이 목적은 청구항 1에 따른 음료 제조기 및 제 14 항에 따른 음료 제조기를 위한 메인 물 키트에 의해 달성된다. 유리한 실시 예 변형은 종속 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본 발명은 전동식 커피 머신 (구체적으로는 완전 자동 커피 머신)의 예에 대해 이하에서 설명 될 것이다. 전반적인 설명이 먼저 제공 될 것이고 그 다음 실시 예에 대한 상세한 설명이 제공 될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르면, 물을 필요로 하는 다른 음료 (예를 들어, 차, 인스턴트 스프, 시럽 음료, 초콜릿 기반의 음료 등의 냉, 온 음료 용 음료 제조기)의 제조를 제공하는 자동 음료 기계가 또한 커버된다.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청구 범위 제 1 항에 기재되어 있다. 그러한 기계의 기본 설계는 당업자에게 익숙하기 때문에 (예를 들어, CH 706 100 A1 또는 DE 10 2014 212 645 A1),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의 특징들만이 본 발명의 이해를 위해 중요한 커피 기계의 예를 위해 다음에서 설명 될 것이다.
음용수네트워크는 특히, 본 발명에 따른 기계가 음용하기 위한 물을 얻거나 음용수를 적절한 연결 요소(유압 플러그 - 인 연결부, 앵글 밸브, 튜브 요소 등과 같은 밸브)에 안내하기 위해 연결될 수 있는 빌딩의 메인 네트워트이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네트워크는 또한 더 큰 저장 컨테이너 및 압력 상승 시스템을 포함하는 물 공급원 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음용수네트워크에서, 공급 된 물은 일반적으로 가압되며, 흡입 될 필요가 없다).
수동 충전 (예: 주전자와 같은 외부 용기의 도움으로 주입)은 음료 제조기를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하는 음료 제조기의 유입이 물탱크를 채우는데 사용되지 않고, 오히려 탱크가,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으로부터 꺼내어지며, 예를 들어, 물 꼭지를 통해 또는 측정 용기를 사용하여 그 상측에서 물이 채워지는 것으로 특히 이해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음료 제조기는 특히 물탱크가 수동으로 비 연결 상태로 채워질 수 있도록 구성 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축제를 위한 가든으로 건물에서 가져온 경우). 후자는 특히 물 탱크가 사용자에 의해 기계의 하우징으로부터 수동으로 제거되고 예를 들어, 건물의 수도꼭지 아래에서 또는 건물 밖에서 고정될 때 발생한다. (또는 물 운송 수단을 통해 쏟아져 채워진다)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들은 청구항 2로부터 알 수 있다.
더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들은 청구항 3으로부터 알 수 있다.
두 가지 동작 모드 사이의 스위칭 (연결 상태에서)은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에서 (예를 들어, 터치 스크린 또는 하우징의 입력 버튼을 통해) 적절한 입력 가능성을 통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발생할 수 있다. 그러나 이 상태에서도 자동 전환이 가능하다. (제어 장치를 통해 프로그램 제어 됨).
예를 들어, 제어 장치가 연결된 상태가 존재한다고 판단 할 때 스위치는 항상 자동으로 두 번째 작동 모드로 전환 될 수 있습니다. 제어 장치는 메모리 및 이에 대응하여 설계된 제어 프로그램을 저장하는 마이크로 컨트롤러를 포함 할 수 있다. 접속 상태 또는 비 접속 상태 중 어느 것이 존재하는지의 판정은 접속 센서 (또는 존재 센서를 통해)를 통해 일어날 수 있다.
제 2 동작 모드는 제어 장치의 메모리 내의 적절한 제어 프로그램에 의해 다양한 방식으로 설정 될 수 있다. 따라서, 적어도 하나의 레벨 센서가 예를 들어 물 탱크 내의 레벨을 검출하는 물 탱크에 제공 될 수 있다.
현재 레벨은 센서로부터 제어 장치로 전달 될 수 있고, 제어 장치는 전송 된 데이터 값에 기초하여 제 2 동작 모드에서 물 탱크의 충진을 제어 할 수 있어서, 물 탱크는 물 탱크에서 최대 수준에 도달하는 음용수네트워크에서 너무 많은 음용수로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 후에 시간 간격으로 항상 채워진다.
그러나, 물이 탱크로부터 동시에 취해질 때 (음료 제조사에 의해 음료를 준비하는 동안) 물이 항상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탱크 내로만 채워지도록 제 2 작동 모드를 제어하는 것도 또한 고려 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다음 예를 참조한다.
추가로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들을 청구 범위 4에서 알 수 있다. 이 청구 범위의 특징(이는 모든 종속 항들에도 적용됨)은 본 청구 범위 구조의 틀 내에서 다른 종속 항의 특징과 원하는 대로 조합될 수 있다.
물 탱크를 하우징에 수용하는 것은, 물 탱크가 적어도 부분적으로, 바람직하게는 하우징에 의해 둘러싸인 체적 내에 완전히 위치 될 수 있는 것으로(예를 들어, 탱크가 하우징 내로, 예를 들어 하우징의 탱크 리시버 내로 푸쉬된다.) 이해된다.
추가로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들을 청구 범위 5에서 알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플러그로서 구성 될 수 있으며, 음료 제조기 (특히, 그 하우징)는 이 플러그를 수용하기 위해 음료 소켓과 상보적인 연결 소켓을 가질 수 있다. 연결 소켓은 제어 장치가 메인 물 키트의 기능을 제어 및 / 또는 조절할 수 있도록 바람직하게는 (필수적이지는 않지만) 양방향 전기적 데이터 및 제어 라인을 통해 제어 장치에 연결될 수 있다 (특히: 유량 조절기 및 / 또는 그 밸브).
비용상의 이유로, 전기 데이터 및 제어 라인은 밸브에 전류가 가해지거나 흐르지 않는 단순한 전기 라인이 될 수 있다 (밸브는 전류의 적용 또는 비적용에 의해 열거나 닫는 단순한 밸브 일 수 있음).
메인 물 키트는, 음료 제조기로부터 먼 일 측에서(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가 설치된 빌딩의 건설 측의 상류 측) 메인 물 키트를 음용수네트워크에 유압식으로 연결할 수 있는 유압 커넥터를 더 가질 수 있다. 메인 물 키트의 추가 유압 커넥터는, 예를 들어 음용수네트워크의 유압 커넥터에 고정 될 수 있다. (예: 앵글 밸브와 같은 밸브, 수도 꼭지 또는 음용수 네트워크의 스톱 콕)
메인 물 키트는 음료 제조기로부터 멀리 떨어진 측면, 즉 건설 측면의 상류 측에 기계적으로 연결될 수 있는 기계적 커넥터를 추가적으로 동등하게 가질 수 있습니다 (예: 음료 제조기가 설치된 집 벽면).
메인 물 키트와 음용수네트워크 간의 연결은 기계적으로 안전하고 유압식 플러그인 연결로 구성될 수 있다.
물 탱크는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의 섹션을 형성 할 수 있고, 음료 제조기 측 (즉, 유압, 기계 및 / 또는 전기 커넥터)에서 커넥터를 적어도 부분적으로 포함 할 수 있다.
그러나, 음료 제조기 측의 모든 커넥터 (또는 일부)는 음료 제조기의 다른 하우징 섹션, 예를 들어 음료 제조기의 다른 하우징 섹션에 형성되는 것이 가능할 수도 있다. (메인 물 키트의 유압 커넥터는 음료 메이커의 하우징 내부를 흐르는 추가의 수로를 통해 물 탱크와의 유압 연결을 구축 할 수 있음). 이 변형 예가 다음 실시 예에 도시되어 있다.
상호 보완적인 두 개의 유압 커넥터, 즉 하우징의 유압 커넥터와 메인 물 키트의 유압 커넥터는 추가로 기계적으로 고정 될 수 있는 유압 플러그인 연결로 구성 될 수 있다 (예: 나사 연결을 통해).
제 4 항 및 제 5 항에 따르면, 음료 제조기가 유입을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에 유압 적으로 연결될 때 음료수는 메인 물 키트를 통해 음료 제조기의 물 탱크로 도입 될 수 있다. 메인 물 키트는 여기에서 유입된 물의 일부가 구성 요소로서 완전히 (즉, 모든 개별 요소를 통해) 존재할 수 있으며 유입은 차례로 구성 요소로서 음료 제조기의 일부가 될 수 있다 (즉, 모든 그것의 개별 요소들).
그러나 유입의 개별 요소 만이 음료 제조기에 속하는 반면, 유입의 다른 개별 요소는 음료 제조기와는 완전히 별개의 메인 물 키트에 속하는 것도 똑같이 가능하다 (그들은 음료 제조기 외부의 메인 물 키트에 속한다). 음료 제조기의 외부에 있는 그러한 메인 물 키트는 음료 제조기에 연결될 수 있도록 형성된다.
음료 제조기에 속하는 유입의 구성 요소는 하우징의 유압 커넥터와 물 탱크 (및 선택적으로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에 위치한 기계적 커넥터 및 / 또는 전기적 커넥터 )의 연결을 위한 워터 라인 (하우징 내)을 포함 할 수 있다. 메인 물 키트는 복수의 개별 요소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외부의 구성 요소 (유입 외부에도 가능함)이다.
후자는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에 대한 유압 연결 (및 바람직하게는 기계적 연결 및 전기 연결을 위해)을 위해 구성된 유닛을 나타낸다.
따라서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료 제조기 (즉, 음료수 탱크) 로의 물 공급을 제공하는 유압 연결은 바람직하게 음료 제조기 사이의 메인 물 키트의 유압 끼워 맞춤에 의해 외부 메인 물 키트를 통해 수립될 수 있다.
외부 메인 물 키트는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료 제조기의 메인 워터 커넥터가 의도하지 않게 방출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음료 제조기 (특히 그 하우징) 및 음용수 네트워크에 기계적으로 연결 가능하거나 또는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메인 물 키트와 하우징 사이의 기계적 연결을 위해 하우징은 메인 물 키트의 기계적 커넥터와 보완적인 수신기를 가질 수 있으며, 메인 물 키트의 기계 커넥터가 고정 될 수 있다 (특히 나사 고정, 클램프 또는 클립).
메인 물 키트는 마찬가지로 바람직하게 전기적으로 음료 제조기에 연결될 수 있거나 연결된다. 이는 음료 제조기 (특히 그 제어 장치)가 메인 물 키트의 기능을 제어 및 / 또는 조절할 수 있게 한다. 예를 들어 솔레노이드 밸브 및 / 또는 유압 연결의 수류 단면적, 즉 시간 단위당 메인 물 키트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을 보조하는 메인 물 키트의 유량 조절기가 설정될 수 있다.
더욱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은 청구항 제6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밸브와 유량 조절기의 두 요소 중 하나를 제공하는 것으로도 충분하다. 밸브의 개구 단면에 대하여 연속적으로 조정 가능한 밸브는 유량 조절기와 함께 바이너리 밸브 (즉, 개방 위치와 폐쇄 위치를 갖는 밸브) 대신 제공 될 수 있다. 유량 조절기는 개구부를 포함하거나 개구부일 수 있다.
더욱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은 청구항 제 7 항 내지 제 9 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존재 센서 및 레벨 센서 (이하의 실시 예 참조)로서 조합하여 구성된 개별 센서가 또한 사용될 수 있다. 정전 용량 센서는 예를 들어 탱크 벽을 감지하고 / 또는 뒤에 물이 있는지 여부를 감지하는 조합 센서로서 생각할 수 있다.
센서는 아날로그 또는 디지털 형태로 세 가지 다른 측정 값을 출력 할 수 있다. 1. = 탱크가 없음; 2: = 탱크가 있거나 올바르게 삽입되었지만 물이 없음 (즉, 탱크가 비어 있거나 최소 수준 이하 임). 3. = 탱크가 존재하거나 정확하게 삽입되고 충분한 물이 존재함. 개별 센서가 사용될 때 탱크의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자석, 리드 스위치 또는 홀 센서가 탱크의 존재를 감지 할 수 있다. 레벨은 예를 들면, 정전 용량 센서, 플로트 스위치, 초음파 센서 또는 최소 / 최대 접촉 전극을 통해 감지될 수 있다.
더욱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은 청구항 제10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또한 연결 센서는 기계적 연결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에서 메인 물 키트의 기계적 연결구와 이에 상보적인 리시버 사이)이 있는지 여부를 추가로 확인한다.
이러한 연결 센서의 신호에 기초한 제어 장치에 의한 유입과 메인 물 키트를 통한 음용수네트워크로부터의 음용수의 획득은 안전상의 이유로 유압 연결뿐만 아니라 그러한 기계적 연결이 존재할 때에만 발생한다.
제어 장치 및 상술 한 센서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어 장치의 메모리 내의 적절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는 기능 및 / 또는 제어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1. 연결 센서가 없는 경우 메인 물 키트는 최소 레벨 감지 시 항상 작동한다. 이 최소 메시지가 제한 시간 (예: 10 초) 후에 사라지지 않으면 기계의 디스플레이에 "물 탱크 채우기"가 나타난다.
2. 디스플레이 전환: 1.과는 달리 "메인 물 전원 연결 확인"메시지가 출력 될 수 있다.
3. 자동 감지: 이것은 다른 복잡성의 변형에서 발생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밸브를 작동시키고 동시에 전류 모니터링 또는 물 유입을 모니터하고 수압을 감지하는 기계의 압력 스위치에 의한 유체 통신의 추가 모니터링. 기계적 고정 장치의 모니터링은 마이크로 스위치 또는 전기 접촉을 통해 차례대로 수행 될 수 있다.
제어 장치 및 상술 한 센서에 의해 그리고 선택적으로 제어 장치의 메모리 내의 적절한 프로그램에 의해 구현 될 수 있는 기능 및 / 또는 제어의 다른 예는 다음과 같다.
존재 센서가 제어 장치에 연결된 경우, 물 탱크가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 내에 존재하지 않는다고 결정되면, 제 1 및 / 또는 제 2 작동 모드가 차단 될 수 있다.
물 탱크 내의 보조 수준이 감지 될 수 있는 하나의 (또는 두 개의 다른) 레벨 센서가 제공되면 두 가지 수위가 정의될 수 있다.
물 탱크 내의 최소 수위 MIN 및 최대 수위 MAX. MIN이 도달하거나 그 이하로 떨어지면 탱크에서 MAX에 도달 할 때까지 (예를 들어, 제어 장치가 이에 상응하여 연결된 메인 물 키트를 작동시킬 수 있을 때까지) 제어 장치를 통한 유입을 통해 물이 오랫동안 리필될 수 있다. 이와 달리, 규정된 양의 음용수는 탱크 내의 수위가 항상 MAX 이하가 되도록 치수가 설정된 유입부를 통해 재충전 될 수 있다.
레벨 센서(들)을 통한 제어 장치가 음료 제조기에서 음료가 막 준비되고 있다고 판단할 때, 유입구를 통해 음료 네트워크로부터 음료만 리필하는 것이 가능하다. 그것은 물이 물 탱크로로부터 가져오는 것을 의미한다. 따라서 물 탱크는 채우기 가능한 완충제 역할을 할 수 있다.
마지막으로, MAX가 초과되면 음료 제조기의 적절한 장치 (예: 하우징의 디스플레이에 깜박이는 표시 또는 경보 음)에 의해 경보가 트리거될 수 있다. 그리고 / 또는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료수를 더 채우는 것은, 물을 취하거나 음료수 준비에 의해 탱크의 수위가 MAX (예, 0.5 x MAX)의 규정 된 비율로 떨어질 때까지, 오랫동안 제어 장치에 의해 차단될 수 있다. 복수의 상기 제어 가능성은 누적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연결 센서가 사용된다면 음료 제조기와 음용수 네트워크에 대한 메인 물 키트의 올바른 연결 또는 유체 연결의 존재를 인식 할 수 있다. 이 경우에, 또한 존재 센서에 의해 물 탱크가 존재하고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 내에 정확하게 위치 된 것으로 검출되면, 제 1 및 제 2 작동 모드 모두가 제어 장치에 의해 해제 될 수 있다.
더욱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은 청구항 제 11 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상부 탱크 측 위의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 내의 물 유입구는, 음료수가 수직으로, 즉 기울어 진 상태로, 하우징에 삽입 된 탱크를 통해 탱크 내부로 유입되지 않도록 (또는 탱크 수용기 내로) 구성된다.
물 유입구 또는 공기 갭은 일반적으로 탱크의 최대 수위 높이 MAX보다 위에 위치한다. 내부 벽에 대해 유입되는 음용수의 기울어진 유입은 유입되는 음용수가 공기 갭을 통해 떨어지도록 (즉, 워터 제트에서의 접선이)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벽에 경사각 α <45 °, 바람직하게는 <20 °, 바람직하게는 <10 ° 입사 (또는 교차)하도록 이해된다.
더욱 유리하게 구현 가능한 특징은 청구항 제12항 및 제13항으로부터 알 수 있다.
이들 청구 범위에 따르면, 드립 트레이는 음료 제조기의 하우징의 일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드립 트레이에 위치한 폐수를 비우기 위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 될 수 있다. 그러나, 이러한 드립 트레이는 오버 플로우가 음료 제조기의 분리 된 유체 배출로 이어진다면 제공될 필요가 없다 (이 별도의 유체 배출은 음료 제조기로부터 오버 플로우 된 물의 선단을 위해 구성되고 배열된다).
드립 트레이의 레벨을 결정하는 추가 레벨 센서가 드립 트레이에 제공 될 수 있으며 트레이가 가득 차거나 거의 가득 차면 경보 신호 또는 표시"Drip tray full" 을 출력한다 (예: 음료 제조기의 디스플레이에서). 그리고 / 또는 (예를 들어, 제어 장치에 의해) 드립 트레이가 오버 플로우 할 때 또는 규정 된 최대 레벨 이상으로 채워질 때 음료 제조기에 의한 음료의 추가 준비를 차단한다.
부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드립 트레이 자체는 드립 트레이 (또는 드립 트레이의 최대 레벨에 도달) 상에 위치한 폐수가 드립 트레이(그러므로 음료 제조기)로부터 유출되는 유체 배출을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메인 물 키트는 청구항 제 14항에 기재되어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커피 기계는 기본 설계의 탱크 기계 일 수 있다. 메인 물 연결부에서 기계가 작동되려면, 기계 외부에 있는 메인 물 키트를 통해 물이 채워질 수 있다. 메인 물 키트는 앵글 밸브로 가정용 급수관의 라인 네트워크 (음용수네트워크)에 직접 연결되거나 중간에 물 필터를 통해 연결될 수도 있다.
메인 물 키트에 전기 및 유압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는 커피 기계의 표준으로 마련될 수 있다. 전기 커넥터는 장비의 제어 장치를 키트의 유입 밸브에 연결할 수 있다. 기기는 메인 물 키트가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전기 연결을 통해 자동으로 인식 할 수 있다. 또는 기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해 수동 선택 및 설정을 수행할 수도 있다.
유압 커넥터는 유입 밸브 (메인 물 키트에 설치된 밸브)와 기계 하우징에 있는 탱크 입구 사이를 연결합니다. 이 유압 연결은 플러그인 연결을 통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이러한 플러그 - 인 연결은 추가적으로 기계의 하우징과 메인 물 키트의 원치 않는 분리를 방지하기 위해 (예를 들어 나사 연결을 통해) 기계적으로 고정 될 수 있습니다. 이러한 분리는 예를 들어 커피 기계를 멀리 이동하거나 유입 튜브 위로 걸려 넘어지는 것을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커피 기계 내부의 물 탱크의 존재는 센서(존재 센서)로 모니터링 할 수 있다. 따라서 기계에 탱크가 없을 때 물이 다시 채워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탱크의 내부의 수위는 수위 센서 (또는 존재 센서와 수위 센서를 결합하여)로 모니터할 수도 있다.
하나의 센서가 각각 존재 모니터링과 레벨 모니터링에 사용되는 것도 고려할 수 있다. 수위가 최소값 아래로 떨어지면 레벨 센서가 제어 장치에 신호를 전송할 수 있다. 레벨 센서는, 예를 들어, 이미 트리거된 제품이 여전히 안정적으로 준비되고 출력될 수 있는 잔량 (빈 인식)에 대한 인식을 제공한다.
이 잔류량이 아래로 떨어지면 기계는 사용자에게 탱크를 채우라는 명령을 표시 할 수 있다 (또는 두 번째 작동 모드에서 프로그램 제어 방식으로 음용수네트워크에서 탱크로 유입되는 음용수를 자동으로 처리 할 수 있다). 이러한 신호는 연결된 메인 물 키트와 함께 탱크에 시간에 맞게 물 공급을 트리거할 수 있다.
컨트롤을 통해 일정 시간 동안 메인 물 키트에 유입 밸브를 개방할 수 있다. 이 시간에 탱크로 유입 된 물의 양이 음용수네트워크의 라인 압력에 지나치게 의존하지 않도록 유량 조절기가 메인 물 키트의 유입 밸브 또는 메인 물 키트 내부에 설치될 수 있다. 그것은 더 큰 압력 범위에 걸쳐 상대적으로 일정한 흐름을 유지시킨다.
유량 조절기는, 모든 경우에 물이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료수를 제조하기 위해 기계에서 취할 수 있는 것보다 탱크로 더 빨리 도입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 경우, 물을 동시에 얻을 때에만 물을 보충하면 충분하다. 이것은 탱크 충전시의 유동 소음이 커피 기계의 커피 분쇄기 및 커피 기계의 물 펌프의 소음을 중첩함으로써 사용자가 더 이상 지각하기 어렵다는 이점을 갖는다 (바람직한 실시 예). 그러나 원하는 시간에 물을 보충 할 수도 있다.
음용수네트워크를 통한 급수가 중단되면 개방되지 않은 앵글 밸브에 의해 기계는 메인 물 키트의 유입 밸브가 열린 후 짧은 시간 후에 수위 센서가 수조의 MIN 초과를 다시 보고하지 않는다는 사실로 이를 인식할 수 있다. 해당 메시지는 기계의 디스플레이에 표시될 수 있다.
제 2 작동 모드, 즉 음용수네트워크로부터의 음용수로의 물 탱크의 충전은 탱크 위에 위치한 물 유입구를 통해 발생할 수 있다. 위생적인 이유 때문에 이 입구와 탱크 사이에 에어 갭이 존재할 수 있으며 유입되는 워터 제트는 그 갭을 자유롭게 연결해야 한다.
여기서의 워터 제트는 바람직하게는 약간의 각도로 탱크 내부로 들어가서 얕은 각도로 물 탱크의 내벽 (측벽)에 대해 그리고 그 아래에서 이미 탱크 내에 있는 물의 수면까지 하강한다. 이는 워터 제트가 수면에 직접 (예를 들어, 수직으로) 입사되는 경우보다 훨씬 적은 소음 및 상당히 감소된 비산이 야기된다는 이점을 갖는다.
결함 또는 오작동으로 인해 탱크가 넘칠 경우, 물 탱크의 넘침이 충분히 큰 치수의 단면을 통해 제공 될 때 물이 드립 트레이로 떨어질 수 있다. 드립 트레이는 레벨 센서를 통해 모니터 될 수 있다 (또는 드레인에 연결될 수도 있다).
오버플로를 형성하기 위해, 탱크는 물이 앞 탱크 벽 (사용자가 볼 수 있음)에서 직접 아래쪽으로 전도되도록 앞쪽 영역 (핸들 영역)에 구성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오버 플로우는 또한 탱크의 임의의 다른 원하는 지점에 부착 될 수 있으며, 물은 탱크 외면으로 흐를 수 있고, 이로부터 드립 트레이의 정면으로 또는 별도의 배수구로 유도될 수 있다.
탱크에 대한 제거 가능성이 없으면, 그러한 침전물을 제거하는 것이 어려우며 상당한 위험을 초래할 수 있다. 탱크에 물이 저장되어 있으므로, 세균은 표면에 침착되어 소위 바이오 필름이라는 점액층 (점액층)을 형성한다.
이 바이오 필름은 불쾌한 냄새의 형태로 눈에 띄게 될 수 있으며 또한 건강에 해로울 수 있다. 그러나 신뢰할 수 있고 철저한 탱크의 기계적 및 화학적 세정은 탱크의 설치 상태에 따라 어렵게 시행될 수 있다. 그러나, 탱크가 제거 될 수 있다면, 본 발명에서와 같이, 모든 코너 및 에지의 수동 세정이 가능하다 (또한 예를 들어, 식기 세척기에 의한 세정도 가능).
탱크 기계의 상태에서 메인 물 기계의 상태로 (탱크 충전이 두 가지 이미 설명 된 작동 모드에 의해 일어날 수 있음)의 변경 또는 전환은 다음 단계에 의해 수행 될 수있다.
기계와 메인 물 키트 (플러그-인 연결, 기계 뒷면의 인터페이스를 사용할 수 있음) 사이에 전기, 기계 및 유압 연결을 설정.
메인 물 키트를 건설면의 물 연결부에 앵글 밸브에 직접 연결하거나 물 필터 (석회 필터)를 통해 연결.
기계의 사용자 인터페이스에서 운전자 메뉴를 통해 기계 소프트웨어 (제어 장치의 프로그램)를 탱크 기계에서 메인 물 장치로 전환. 제어 장치 또는 소프트웨어로 연결된 메인 물 키트를 독립적으로 인식하는 것도 이론적으로 가능하다.
탱크 기계로의 전환은 역순으로 발생할 수 있다. 이 과정에서 메인 물 네트워크 또는 음용수네트워크와의 분리는 절대적으로 필요하지 않다. 기계에서 전기, 유압 및 기계적 연결을 차단하고, 안전상의 이유로 앵글 밸브와 차단 밸브를 닫는 것으로 충분하다.
실시 예는 (커피 머신의 유입의 일부로서) 외부 메인 물 키트가 사용되는 음료 제조기로서 커피 머신을 참조하여 이하에서 설명 될 것이다. 다음이 표시된다.
본 발명은 특히 음료 준비를 위한 물 공급이 다른 방식으로 발생할 수 있다는 이점을 제공한다. 기술 된 메인 물 키트에 대한 전기적, 유압 및 기계적 연결을 위한 인터페이스만이 기계에 표준으로 제공된다면, 본 발명에 따른 기계를 탱크 기계에서 메인 물 기계로 간단하게 변환 할 수 있다 (예: 그 하우징에서). 따라서 기계는 변환을 위해 개방 필요가 없다. 또한, 기계가 조용히 작동한다는 장점이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특히 탱크의 수동 제거로 인해 시간에 따라 형성되는 석회 스케일 침전물을 간단하고 신뢰성 있게 제거 할 수 있다는 장점 (즉, 제거 할 수 없도록 고정식으로 설치된 탱크를 갖는 기계에 대해)을 갖는다.
도 1은 커피 기계(1)가 유입구 (3)를 통해 음용수네트워크 (T)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 (Z0)에서의 커피 기계 (1)의 정면의 3 차원 평면도.
도 2는 커피 기계 (1)가 유입구 (3)를 통해 음용수네트워크 (T)에 연결된 상태 (Z1)에서의 대응하는 평면도 (기계의 후방 측).
도 3은 커피 기계 (1)의 하우징 (5)의 후방측 상의 커넥터의 평면도.
도 4는 메인 물 키트 (7)의 외부도.
도 5는 메인 물 키트(7)의 하우징 (72) 및 내부에 위치한 메인 물 키트의 요소에 대한 도면.
도 6은 물 유입구 (16)의 디자인을 도시하는 커피 기계 (1)의 물 탱크 (2)의 단면도.
도 7은 오버플로 (20)를 나타내는 물 탱크 (2)의 정면 (사용자를 향한 기계의 측면)으로부터의 사시도.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전자 작동식 커피 기계 (1)의 사시도로서, 특히 본 발명에 중요한 요소, 그 중에서도 베이스 그룹 (31) (커피 머신(1)의 하우징 (5)의 일부를 나타낸다)과 베이스 그룹 (31)의 섹션 상에 고정되고 그 위에 배치 된 탱크 리시버 (30)를 도시한다.
탱크 리시버(30)는 중공 형상으로 형성되고, 탱크 리시버(30)로의 물 탱크(2)의 수평 방향으로 사용자 (보이지 않음)를 마주 보는 커피 기계(1)의 전방 측으로부터(도면의 좌측 하단) 기계(1)의 후방 측을 향하여 푸쉬된다.
도 1은 탱크 (2)가 탱크 리시버 (30) 내로 완전히 푸쉬된 상태 (탱크 내에 존재할 수 있는 물은 참조 기호 W로 표시됨)를 도시한다. 도 2와 비교하면, 도 1은 커피 기계 (1)가 유입부 (3)(부분적으로 커피 기계 (1)의 요소들 및 커피 기계의 외부에 있고 커피 기계 (1)에 연결 가능한 메인 물 키트 (7)의 요소들을 포함한다.)를 통해 커피 기계 (1)가 위치되는 빌딩의 음용수네트워크 (T)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 (Z0)를 도시한다.
탱크 (2)의 핸들 (23)은 사용자에 대향하는 물 탱크 (2)의 정면 (22)에서 상단부, 즉 베이스 그룹으로부터 떨어진 단부에 형성된다.
이 전방 측면 (22)과 베이스 그룹 (31)의 전방 측면 사이에 배치면 (21 ')이 도시되어 있으며, 기계 (1)의 드립 트레이 (21)는 핸들 (23) 아래의 상기 배치면 상에 부분적으로 위치되어, 손잡이 (23) 위의 탱크 (2)로부터 넘쳐 흐르는 물 (W)은 탱크 (2)의 전면 (22) 또는 정면에서 낙하하여 드립 트레이 (21)로 들어갈 수 있다 (이 점에 관해서는 도 7 참조).
참조 기호 (24)는 탱크 (2)의 상측에 형성되고, 접히거나 및 / 또는 제거 될 수 있고, 기계 (1)의 전방 측에서 도 1의 우측 상부의 후방 측을 향해 연장되는 탱크 (2)의 커버를 표시한다. 커버 (24)는 종 방향 탱크 방향 또는 기계 (1)의 전방 측에서 기계 (1)의 후방 측을 향한 방향에서 본 물 유입구 (16)에 대응하는 중앙 개구 (25)를 가지며, 여기서 전방 측에서만 단면적으로 보일 수 있다. 그것은 물 유입구 (16)의 레벨이 아니고, 탱크 (2) 또는 기계 (1)의 후방도 아니다.
전체 내측 탱크 용적을 따라 형성되고 접힐 수 있고 도 1에서 접힌 상태로 도시된 커버 (24)는 탱크 (2)가 기계 (1)의 하우징 (5)으로부터 인출되어 탱크 (2)는 측정 용기 (미도시) (기계 (1)의 제 1 작동 모드)와 같은 외부 용기를 통해 기계 (1) 외부의 개방 커버 (24)를 갖는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물이 채워지도록 한다.
탱크 (2)의 푸쉬-인 상태에서, 도 1에 도시 된 바와 같이, 커버 (24)는 강제적으로 닫히고, 도 1에 도시 된 탱크 (2)의 위치에서 탱크 (2)의 충전은 단지 음용수를 (특히 하우징 (5) 내의 수선 (34)을 통해, 화살표 및 또한 도 2 참조) 물 유입구 (16)로 유도하고, 그로부터 도 1에 보이지 않고 물 유입구 (16)의 아래에 배치된 탱크 커버(24)의 입구 (25) 를 통해 탱크 내부로 음용수를 유입시킴으로써 가능하다 (기계 (1)의 제 2 작동 모드).
그러나, 제거 가능한 커버 (도시 생략)를 사용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하다. 만약 이를 잊어 버리면, 인식되지 않는다.
도 2의 후방으로부터의 기계 (1)의 사시 평면도는 음료 제조기가 음료 제조기의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입부 (3) 및 음료 제조기 외부의 메인 물 키트 (7)의 구성 요소를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 (T)로부터 물 (W)로 공급 될 수 있는 상태 (Z1)를 도시한다. 요소 (25, 17, 16, 34 및 6)는 기계 (1)에 속하는 하우징 (5)의 요소 또는 하우징 (5)의 요소로서의 유입부 (3)의 일부분이다.
기계 (1)에 속하지 않고 수력으로 음료 네트워크 (T)에 기계를 연결하는 외부 메인 물 키트 (7)에 속하는 유입부 (3)의 요소들은 요소 8, 73, 74 및 70이다.
키트 (7)의 유압 커넥터 (70)는 상태 (Z1)의 음용수네트워크 (T)의 상보적인 유압 커넥터 (71)에 기계적으로 고정된다. 음용수네트워크 (T)로부터의 물 (W)은 유압 플러그 - 인 접속부 (70, 71)를 거쳐 메인 물 키트(7)로 흐르고, 유압 플러그 - 인 접속부 (6, 8)를 통해 기계 (1) 또는 하우징 (5)으로 흐르고, 하우징 (5) 내에서 유압 커넥터 (6)를 통해 하우징 내부에 배치된 물라인(34)으로 유입되어 물 유입구 (16)로 들어간다. (수로 (34)는 물입구 (16)에 수력 식으로 연결되거나 후자에 고정된다)
물 (W)은 최종적으로 물 유입구 (16) (도 6 참조)의 공기 갭 (17)을 넘어 탱크 (2)의 내부로 흐른다. 탱크 (2) 위에 그리고 커버 (24)의 개구 (25) 위에 위치된 물 유입구 (16)는 기계 (1)의 하우징 (5)의 탱크 수용부 (30)의 교체 가능한 요소로서 고려될 수 있다.
도 2는 기계 1, 키트 7 및 물 네트워크 T가 완전하게 연결된 상태, 즉 수력 적으로, 전기적 및 기계적으로, 그리고 다음의 센서 시스템 및 다음의 제어 가능성을 함께 도시한다 (또한 연결 또는 커넥터에 대해 도 3 및 도 4 참조).
제어 장치 (4)는 데이터 메모리를 구비한 하우징 (5) 내에 마련된다. 데이터 메모리는 마이크로 제어기로 구성되고, 기계 (1)는 데이터 메모리로 상술한 동작 모드 및 동등하게 연결된 메인 물 키트 (7)를 제어한다.
이를 위해, 제어 장치 (4)는 양방향 데이터 및 제어 라인 (41 및 42)을 통해 센서 (11, 12 및 13)에 의해 송신된 측정 값을 이용한다 (그리고 선택적으로, 상기 센서를 제어하기 위한 양방향 라인을 통해 상기 센서의 파라미터를 설정한다.) 그리고 제어 장치 (4)는 솔레노이드 밸브 (14) 및 메인 물 키트 (7)의 유동 조절기 (15)로부터 동일한 양방향 데이터 및 제어 라인 (10 ') 및 플러그 (10)를 통해 전달된 밸브 (14) 및 유량 조절기 (15)의 즉각적인 설정 파라미터를 부가적으로 사용한다. (예. 도 5)
제어 신호는 제어 장치 (4)로부터 라인 (10 ')을 통해 밸브 (14)로 그리고 유량 조절기 (15)로 전달되어 메인 물 키트 (7)를 통해 원하는 물 흐름을 설정한다. 또한, 전기 라인 (10 ')은 플러그 (10) 및 소켓 (33)을 통해 기계 (1)를 통해 메인 물 키트의 전원을 공급한다.
제어 장치 (4)는 추가로 양방향 데이터 및 제어 라인 (40)을 통해 하우징 (5)의 일부로서 형성된 커넥터 소켓 (33)에 연결된다. 키트 (7)의 플러그 (10)는 커넥터 소켓 (33)에 플러그 연결되고, 라인 (10)을 넘어 밸브(14) 및 키트 (7)의 유량 조절기 (15)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도 4 및 도 5).
제어 장치 (4)는 라인 (41)을 통해 조합 센서 (11, 12)에 동일하게 전기적으로 연결되며, 조합 센서 (11, 12)는 존재 센서 (11) 및 레벨 센서 (12)를 포함한다.
존재 센서 (11)에 의해 탱크 (2)가 수신기 (30), 즉 기계 (1)의 하우징 (5) 내에 정확하게 위치되는지 여부가 결정될 수 있다. 탱크 (2) 내의 물 (W)의 순간 충전 레벨은 레벨 센서 (12) (즉, 최대 레벨 (MAX)에 도달했는지 초과했는지, 그리고 최소 레벨 (M)에 도달했는지 또는 아래로 떨어 졌는지 여부)에 의해 결정된다.
마지막으로, 제어 장치 (4)는 라인 (42)을 통해 연결 센서 (13)에 전기적으로 연결된다. 센서 (13)는 압력 및 전도 센서가 결합된 것이며, 조합 센서 (11,12)가 리어 탱크 측에 위치하는 동안, 센서 (13)는 후방 기계 측에 위치되어, 유압 커넥터 (6, 8)가 완전하게 밀폐될 때, 이 센서에만 압력이 가해진다.
또한, 음용수네트워크 (T)의 기계 (1), 키트 (7) 및 유압 커넥터 (71)는, 기계 (1)와 키트 (7) 사이의 유압 커넥터 (6, 8)와 키트 (7)와 네트워크 (T) 사이의 유압 커넥터 (70,71) 모두가 정확하게 닫힐 때만 센서 (13)가 그라운드와 전기적으로 접촉할 수 있도록 적절하게 구성된다.
하우징 (5)의 유압 커넥터 (6)와 빌딩의 유압 커넥터 (71) 사이의 유체 연결이 완전히 닫혔는지 여부에 대한 검사가 라인(42)와 센서(13)에 의한 제어 장치(4)에 의해 수행된다.
그러나 이러한 누수에 대한 모니터링은 제공될 필요가 없다. 충전의 모니터링 (즉, 소정의 시간 내에 특정 레벨에 도달했는지 여부를 모니터링)만이 예를 들어, 또한 발생한다. 예: 설정된 시간 이후에 충전하는 동안 MIN 신호가 사라지지 않으면 오류 신호 및 / 또는 알람 신호가 출력된다.
요소 (9, 32)는 키트 (7)가 하우징 (5) 또는 그의 베이스 그룹 (31)에 기계적으로 고정될 수 있는 기계적 연결을 나타낸다. 이에 관해서는 도 3을 참조한다.
참조기호 (32)는 메인 물 키트 (7) (도 4 참조)의 구성 요소인 기계적 커넥터 (9)에 상보 적으로 구성되는 하우징 (5)의 요소로서 기계적 하우징 수용체를 나타내며, 이를 통해 기계 측 또는 하우징 측의 키트 (7)의 단부는 하우징 수용 부 (32)에 끼워 지거나 나사 결합 될 수 있고 따라서 하우징 (5)에 고정될 수 있다.
도 3은 하우징 (5)의 유압 커넥터 (6) (이에 상보 적으로 구성되는 키트 (7)의 유압 커넥터 (8)의 형상 일치, 밀봉 수용을 위해 형상화 됨) 와 하우징 (5) 또는 그 베이스 그룹 (31) 내의 전기 커넥터 소켓 (33)을 도시한 것으로서, 베이스 그룹 (31)은 그에 상보적으로 구성된 키트 (7)의 플러그 (10)의 형상 - 일치 수용을 위해 그리고 머신 (1) 또는 그의 제어 장치 (4)와 키트 (7) 사이의 전기적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구성된다. (또는 제어되는 요소 14, 15)
도 4 및 도 5는 외부 메인 물 키트 (7)의 구조를 상세히 도시한다. 키트 (7)의 하우징 (72)에 배열 된 요소 (14, 15)는 키트 (7)를 통해 흐르는 물의 양을 시간 단위로 설정하도록 구성된다. (즉 건물 측 키트 (7)의 유압 커넥터 (70)로부터 기계 측 키트 (7)의 유압 커넥터 (8)에 연결된다.)
참조기호 (14)는 자기적으로 스위칭되는 이원 솔레노이드 밸브로 "개방"과 "폐쇄"의 두 위치만 채택 할 수 있다. 밸브 (14)의 에너지 공급은 플러그 (10) 및 소켓 (33)을 통해 기계 (1)에 연결된 후, 데이터, 제어 및 동력선 (10 ')을 통해 이루어진다 (요소 (33, 10및 10')은 이러한 목적을 위해 적절하게 형성됨).
이러한 이원 밸브 (14)의 기본 구조는 당업자에게 익숙하다. 개방된 솔레노이드 밸브 (14)로 시간 단위 당 유량을 설정하기 위해, 유량 조절기는 밸브 (14)의 상류 측에 연속적으로 개방 정도에 대해 가변적인(또는 또한 교체 가능한) 개구 (15)의 형태로 제공된다.
음용수네트워크 (T) 또는 그 유압 커넥터 (71)로부터 키트 (7)의 상보형 커넥터 (70)를 통해 들어간 음용수(W)는 밸브 (14)를 통해 개구 (15)를 넘어 하우징 (72) 내의 밸브 (14)의 하류에 위치된 테프론 튜브 (74) 내로 흐르고, 유연한 직물 튜브 (73) (또는 라인 수신기라고도 함) 내의 하우징 (72)을 빠져 나간다.
음용수공급을 위한 테프론 튜브 또는 상응하는 유압 라인 (74) 및 에너지 공급원으로서 그리고 양방향 데이터 및 제어 라인으로서 작용하는 전기 라인 (10 ') 모두는 라인 수신기 (73) 내에서 하우징 (72)으로부터 음료 제조기 측의 키트 (7)의 단부로 안내된다.
음료 제조기 (74) 측의 라인 (74)의 단부는 플러그 (10) 내로 개방되는 동안 키트 (7)의 유압 커넥터 (8)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된다. 도 4a 및 도 4b에 도시 된 바와 같이, 라인 (74) (유압) 및 10 '(전기)가 배치된 직물 튜브 (73)는이 목적을 위해 유압 커넥터 (8)의 플라스틱 하우징 내로 개방된다.
후자는 커넥터 (8)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통해 하우징 (5)의 상보적인 유압 커넥터 (6)에 유체 기밀 방식으로 연결될 수 있다. 직물 튜브 (73)의 입구에 대향하여 배치된 플라스틱 하우징의 측면에서, 전기 라인 (10) '은 음료 제조기의 측면에 있는 단부의 플러그 (10) 내로 개방되도록 유압 커넥터 (8)의 플라스틱 하우징을 빠져 나간다.
도 6a 및 도 6b (배율로서의 후자)는 종 방향 탱크 축에 수직인 단면 및 수조 (2)를 통과하는 물 유입구 (16)의 높이에서의 단면을 도시한다. 탱크 리시버 (30)의 상부 측의 물 유입구 (16)는 탱크로부터 멀리 떨어져있는 기계 (1)의 상부 측을 향하여 돌출하는 벨(bell)형 섹션을 가지며, 그 상부 측에서 하우징 내에서 유압 커넥터에 이르는 수선 (34) 이 개방된다.
물 입구 (16) 또는 벨(bell)형 부분 (및 따라서 선 (34)의 입구에 해당함)에 대응하여, 개구 (25)가 탱크 (2)의 커버 (24)에 형성되고, 이 개구의 개구 단면은 물 유입구 (16)의 벨(bell)형 팽창 부의 명확한 내부 단면과 대략 일치한다.
따라서, 탱크 수용 부 (30) 내의 라인 (34) 및 물 유입구 (16)를 하향으로 (즉, 베이스 그룹 (31)을 향해) 흐르는 물 (W)은 물 입구 (16)의 마우스 영역 (16a)을 빠져 나간 후, 입구 (16)의 에어 갭 (17)을 통해 낙하한다. 이 에어 갭 (17)은 개구 (25)를 통해 베이스 그룹 (31)쪽으로 볼 때 탱크 (2)의 내부로 연장된다.
라인 (34)의 입구 (16a) 또는 개구 (25)를 향한 입구 (16)의 입구 또는 탱크 내부를 향한 입구 (16a)는 에어 갭 (17)을 통해 떨어지는 유입수 (W)가 에어 갭 (17)을 따라 수직으로 탱크 (2) 내로 흐르지 않고 경사지게 흐르도록 구성된다. (도 6b의 파선 화살표)
다시 말하면, 압력을 받아 도입된 물 (W)은 약 15 °의 작은 경사각 (α)으로 개구 (25)를 통해 물 탱크의 내부의 상부 영역 (18)으로 낙하한 후, 탱크 (2)의 전 측벽 또는 내 측벽 (19)에 입사되도록 입구 (16a)를 빠져 나간다.
따라서, 공기 갭 (17)을 통한 낙하는 물을 충전 할 때 탱크 내에서 발생할 수 있는 세균으로 인해 음용수네트워크 (T)로부터 공급되는 물의 오염을 신뢰성 있게 기하학적으로 방지한다.
탱크 내부의 상부 영역 (18)의 측벽 (19)상의 작은 경사각 (α) (물의 브러싱 발생)에서의 유입수의 충돌은 거의 음용수(W)로 탱크 (2)를 완전히 채울 때까지 불쾌한 소음 발생을 방지한다. 유입되는 물이 탱크 (2)에 이미 위치한 수위의 표면 상에 수직으로 하향으로 떨어지면 불쾌한 소음이 발생할 수 있다. (충돌 표면은 또한 MAX 레벨 이상일 수 있다).
도 7은 최종적으로 기계 (1)의 사용자와 마주하는 수조 (2)의 전방 측면 (22)을 확대하여 도시한다 (도 1 참조). 핸들 (23)은 탱크 (2)로부터 전방 측면 (22)의 상단에 사용자 (도시하지 않음)를 향하는 방향으로 다음과 같이 돌출한다. 손잡이 (23)의 상부 측 (23a)은 평평한 수평으로 정렬된 표면으로 형성되고 위치된다.
이 상부 측면 (23a)은, 베이스 그룹 (31)에 대해 수직으로 보았을 때,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탱크 (2)의 전방 측면 (22)의 상부 에지 (22a)보다 약간 아래에 위치된다.
종 방향 탱크 축 (기계의 전방 측으로부터 그 후방 측으로 수평으로 연장됨)에 대해 수평으로 그리고 수직으로 보았을 때, 즉 길이 방향 탱크 축을 가로 지르며 마찬가지로 수평으로 연장되는 핸들 (23)의 종축을 따라 본 경우, 전방 수조 측 (22)의 상부 에지 (22a)가 중단되거나 또는 상부 에지 (22a)가, 핸들 (23)의 상부 측 (23a)의 높이까지 수직으로 보았을 때, 낮아진다.
상부 에지 (22a)의 중단은 오버 플로우 (20)를 형성한다. 물 탱크 (2) 내의 충전 레벨이 상부 측면 (23a)의 레벨까지 증가하면, 수위가 계속 상승하고 베이스 그룹 (31)을 향한 방향으로 탱크의 전방 측 (22)에서 흘러 내림에 따라 상부 핸들 측면 (23a)을 통해 이 오버플로로부터 물이 오버플로우되기 시작한다.
사용자를 향하는 핸들 (23)의 부분 (23a ')은 수직 방향 (상부를 향하여)에서 본 탱크 내부를 향하는 상부 측면 (23a)의 섹션 (23a ")에 대해 약간 상승되기 때문에, 한편, 상부 가장자리 (22a)와 사용자에 대향하는 손잡이 (23)의 상측 (23a)의 표면 부분 (23a ') 사이의 상부면 (23a)에는 홈 (23r)이 형성되고, 상기 홈 내에서 넘쳐 흐르는 물은 핸들 축의 길이 방향에서 본 손잡이 단부를 향한 양측에서 흘러 내릴 수 있다.
넘치는 물 (W ')은 차단부 외측, 즉 손잡이 (23)의 상부 가장자리 부 (22a) 아래 및 탱크 (2)의 전방 측 (22)에서 하방으로 흐른다. 전방 측 (22)의 하단, 즉 베이스 그룹과 마주하는 하단에 드립 트레이 (21) (도시되지 않음)를 적절하게 위치시킴으로써 넘치는 물 (W ')이 드립 트레이 (21)에 집수된다.
이러한 오버 플로우 (20)는 기계 (1)의 사용자가 탱크 (2)의 과충전을 즉시 감지 할 수 있고, 동시에 사용자가 사용하는 손잡이 (23)의 손잡이 부분을 물에 젖지 않은 상태로 사용자에게 향하게 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1: 커피 기계
2: 물탱크
3: 유입부
4: 제어 장치
5: 하우징
6, 8: 수압 커넥터
7: 메인 물 키트
10: 전기 커넥터
11: 존재 센서
12: 레벨 센서
13: 연결 센서
14: 밸브
15: 유량 조절기

Claims (14)

  1. 음료 제조기로서,
    하우징(5);
    상기 음료 제조기에 의해 준비될 수 있는 음료와 함께 물이 채워질 수 있는 물 탱크를 포함하고, 상기 물 탱크(2)는 상기 하우징(5) 내에 수용되고,
    상기 음료 제조기는 유입부(3)를 통해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 가능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음료 제조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되고 상기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에 의한 물의 수동 충전 또는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음용수의 도입 중 하나에 의해 선택적으로 물이 충전될 수 있는 연결 상태(Z1)에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에 의해 상기 음료 제조기로부터 수동으로 제거 될 수 있고,
    상기 음료 제조기는, 상기 음료 제조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 할 수 있는 제어 장치를 포함하고,
    상기 연결 상태에서, 상기 제어 장치는 상기 물탱크로의 물의 충전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이루어지는 상기 음료 제조기의 제 1 작동 모드와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물탱크로 음용수의 도입이 상기 유입부를 통해 발생되는 제2작동모드 사이의 전환이 가능하도록 하고,
    상기 유입부(3)는 상기 하우징(5)에 부착된 유압 커넥터(6)를 포함하고, 및
    상기 음료 제조기는 한편으로는 상기 유압 커넥터에, 다른 한편으로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T)에 연결 가능하거나 또는 연결된 메인 물 키트(7)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음료 제조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제거 후에 상기 음료 제조기 외부에서 세정 될 수 있는 음료 제조기.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가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에 연결되지 않은 상태(Z0)에서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음료 제조기의 제 2 작동 모드가 아닌 제 1 작동 모드만 가능하게 되는 음료 제조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물 키트는, 두 개의 유압 커넥터(6, 8)를 통해 상기 메인 물 키트와 상기 물탱크 사이에서 유체 연결을 설정하기 위해 상기 하우징의 유압 커넥터(6)와 상보적으로 구성되는 유압 커넥터(8)와,
    상기 메인 물 키트를 상기 하우징에 고정하기 위한 기계식 커넥터와,
    상기 메인 물 키트를 상기 음료 제조기에 전기적으로 연결하기 위한 전기 커넥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메인 물 키트는 스위치 위치에 따라 상기 메인 물 키트를 통해 물의 흐름을 가능하게 하거나 차단하는 밸브 및 유량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하고,
    상기 메인 물 키트를 통과하는 단위 시간당 유량은 상기 음료 제조기의 상기 제어 장치에 의해 상기 밸브 및 상기 유량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에 의해 제어될 수 있는 음료 제조기.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및 상기 유량 조절기 중 적어도 하나는, 음료의 준비에 의해 상기 물탱크로부터 제거되는 것보다 단위 시간당 더 많은 물이 상기 음료 제조기가 음료를 준비하는 동안 상기 메인 물 키트 및 상기 유입부를 통해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도록 제어 가능한 음료 제조기.
  7.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는 상기 음료 제조기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상기 물탱크가 상기 음료 제조기에 존재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존재 센서가 음료 제조기에 존재하는 음료 제조기.
  8.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 탱크에 현재 존재하는 수위를 검출할 수 있거나 미리 정해진 수위 또는 미리 정해진 수위에 도달했는지, 미리 정해진 수위를 초과했는지 또는 미리 정해진 수위 아래로 하락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수위 센서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9.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음료 제조기가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에 상기 유입부를 통해 연결되는지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연결 센서가 상기 음료 제조기에 존재하는 음료 제조기.
  10.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물탱크로 유도되고, 상기 음용수 네트워크로부터 취해진 음용수가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기 전 또는 상기 물탱크로 유입되는 동안 통과해야 하는 에어 갭을 가지는 물 유입구(16)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1.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물탱크로부터 물의 넘침 시, 넘치는 물이 상기 음료 제조기의 드립 트레이 내로 또는 준비된 음료를 위한 상기 음료 제조기의 음료 배출구와 동일하지 않은 상기 음료 제조기의 별도의 유체 배출구로 안내되도록 하는 상기 물탱크의 오버플로우를 포함하는 음료 제조기.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오버플로우는, 상기 음료 제조기의 사용자와 마주하는 물탱크의 전방 측에 형성되고, 넘치는 물이 사용자에게 보여지도록 형성되는 음료 제조기.
  13. 삭제
  14. 삭제
KR1020187026767A 2016-02-15 2017-02-13 음료 제조기 KR102196836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DE102016202257.1 2016-02-15
DE102016202257.1A DE102016202257A1 (de) 2016-02-15 2016-02-15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Kaffeemaschine, für Festwasseranschluss sowie Festwasserkit
PCT/EP2017/053148 WO2017140618A1 (de) 2016-02-15 2017-02-13 Getränkebereiter, insbesondere kaffeemaschine, für festwasseranschluss sowie festwasserkit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115739A KR20180115739A (ko) 2018-10-23
KR102196836B1 true KR102196836B1 (ko) 2020-12-30

Family

ID=5801672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7026767A KR102196836B1 (ko) 2016-02-15 2017-02-13 음료 제조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399655B2 (ko)
EP (1) EP3270750B1 (ko)
JP (1) JP6736681B2 (ko)
KR (1) KR102196836B1 (ko)
CN (1) CN108697261B (ko)
DE (1) DE102016202257A1 (ko)
PL (1) PL3270750T3 (ko)
WO (1) WO2017140618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DE102018218502B4 (de) 2018-10-29 2023-02-09 BSH Hausgeräte GmbH Verfahren zur Erkennung einer fehlerhaften Installation einer Abwasserleitung eines Getränkeautomaten
EP3730008B1 (en) 2019-04-23 2021-11-17 BSH Hausgeräte GmbH Automatic coffee machine and method of filling a water tank of an automatic coffee machine
KR102422001B1 (ko) * 2019-09-03 2022-07-15 엘지전자 주식회사 잔디깎이 로봇 및 그 제어방법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6363A1 (en) * 2004-02-09 2006-09-07 Rahn Christopher 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fusing a pre-packaged pod
US20140069279A1 (en) * 2011-05-10 2014-03-13 Breville Pt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ffee Maker

Family Cites Families (1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975357A (en) 1996-12-24 1999-11-02 Topar; William M. Beverage dispensing apparatus having consistent mix delivery of beverage to container
JP2005321124A (ja) * 2004-05-07 2005-11-17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貯湯タンク式湯沸装置
DE202005007482U1 (de) * 2005-04-15 2006-08-24 Liebherr-Hausgeräte Lienz Gmbh Wasserversorgungsvorrichtung zur Versorgung eines Eiswürfelbereiters und/oder eines Wasserspenders eines Kühl- und/oder Gefriergerätes
JP2007195832A (ja) * 2006-01-30 2007-08-09 Fuji Electric Retail Systems Co Ltd 飲料供給装置
DE102006050302B4 (de) * 2006-10-23 2017-05-24 Aquis Wasser-Luft-Systeme Gmbh, Lindau, Zweigniederlassung Rebstein Tank, Filterpatrone und Gerät mit Tank
CN201076369Y (zh) * 2007-07-24 2008-06-25 宁波圣开纳电器有限公司 一种可用自来水供水的咖啡机
WO2010006953A1 (en) * 2008-07-14 2010-01-21 Nestec S.A. Water circulation system for a beverage preparation device
CH706100A1 (de) 2012-02-08 2013-08-15 Wmf Wuerttemberg Metallwaren Kaffeemaschine mit Mahlwerk und abnehmbarem Siebträger sowie Verfahren zum Betrieb einer solchen Kaffeemaschine.
CN102670072A (zh) * 2012-05-09 2012-09-19 罗岳均 极速开水机
EP2702908A1 (de) * 2012-08-30 2014-03-05 Jura Elektroapparate AG Vorrichtung zum Bereitstellen von Flüssigkeit für einen Getränkeautomaten und deren Verwendung
US20160007798A1 (en) * 2012-09-11 2016-01-14 The Richards Corporation Coffee maker water heater
CN203619242U (zh) * 2013-11-11 2014-06-04 李文钦 一种多功能饮水机水杯
DE102014212645B4 (de) 2014-06-30 2022-11-03 Wmf Gmbh Elektrisch betreibbare Kaffeemaschine mit Brühwassertemperaturregelung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20060196363A1 (en) * 2004-02-09 2006-09-07 Rahn Christopher W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infusing a pre-packaged pod
US20140069279A1 (en) * 2011-05-10 2014-03-13 Breville Pty Limited Apparatus and Method for an Improved Coffee Maker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08697261B (zh) 2020-12-29
WO2017140618A1 (de) 2017-08-24
CN108697261A (zh) 2018-10-23
JP6736681B2 (ja) 2020-08-05
KR20180115739A (ko) 2018-10-23
JP2019511265A (ja) 2019-04-25
US11399655B2 (en) 2022-08-02
EP3270750A1 (de) 2018-01-24
US20210315414A1 (en) 2021-10-14
DE102016202257A1 (de) 2017-08-17
EP3270750B1 (de) 2020-04-29
PL3270750T3 (pl) 2020-08-2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86870B2 (en) Device for providing liquid for a beverage machine and use thereof
KR102196836B1 (ko) 음료 제조기
US9038529B2 (en) Coffee machine comprising a frothing device and means for cleaning the frothing device and a milk suction line and process for rinsing the milk suction line
AU2010202825B2 (en)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and method for cleaning a beverage preparation machine
US4094233A (en) Automatic coffee maker with inlet water control means in response to cold water and hot water levels
US20140272025A1 (en) Beverage brewing apparatus with user-variable, flow-controlled heating and by-pass dispensing of a liquid
CN105326398B (zh) 液体加热设备
CN106998949B (zh) 奶泡机、饮料制备***和饮料制备机
KR20120121915A (ko) 가열 탱크로의 자동화된 물 전달을 통한 음료 제조용 장치 및 방법
SE509625C2 (sv) Anordning för bryggning av drycker och utmatning av varmvatten
CN210871092U (zh) 一种胶囊咖啡机
US4653389A (en) Boilers or tanks for hot water
EP3412183B1 (en) Automatic coffee maker
CN210989712U (zh) 一种咖啡机
RU199194U1 (ru) Установка для кипячения воды и раздачи кипятка
CN210643704U (zh) 一种自动检测液位的安全饮水机
CN212489593U (zh) 一种咖啡机管路***
CN215993640U (zh) 一种富氢水即热饮水机
EP0203701A2 (en) Improvements in and relating to boilers or tanks for hot water
KR200212322Y1 (ko) 물받이의 만수 감지 센서가 설치된 냉온수기
CN104545419A (zh) 一种预约定时的电锅
KR20230098249A (ko) 음료 추출 기기 및 그 관로 시스템과 작동 방법
JP4049352B2 (ja) 浴槽用給湯装置
JP4643940B2 (ja) 湯水混合水栓
KR20120133419A (ko) 수공급 연결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X091 Application refused [pat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