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84821B1 -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 Google Patents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84821B1
KR102184821B1 KR1020200038989A KR20200038989A KR102184821B1 KR 102184821 B1 KR102184821 B1 KR 102184821B1 KR 1020200038989 A KR1020200038989 A KR 1020200038989A KR 20200038989 A KR20200038989 A KR 20200038989A KR 102184821 B1 KR102184821 B1 KR 102184821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ludge
unit
module
hot air
dry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0003898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형술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라온에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라온에이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라온에이
Priority to KR102020003898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84821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84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84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2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TREATMENT OF WATER, WASTE WATER, SEWAGE, OR SLUDGE
    • C02F11/00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 C02F11/12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 C02F11/13Treatment of sludge; Devices therefor by de-watering, drying or thickening by heating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18/00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 B02C18/06Disintegrating by knives or other cutting or tearing members which chop material into fragments with rotating kniv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17/0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 F26B17/18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 F26B17/20Machines or apparatus for drying materials in loose, plastic, or fluidised form, e.g. granules, staple fibres, with progressive movement with movement performed by rotating helical blades or other rotary conveyors which may be heated moving materials in stationary chambers, e.g. troughs the axis of rotation being horizontal or slightly inclin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1/00Arrangements or duct systems, e.g. in combination with pallet boxes, for supplying and controlling air or gases for 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 F26B21/02Circulating air or gases in closed cycles, e.g. wholly within the drying enclosur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5/00Details of general application not covered by group F26B21/00 or F26B23/00
    • F26B25/005Treatment of dryer exhaust gas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02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 F26B3/04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vection, i.e. heat being conveyed from a heat sourc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a gas or vapour, e.g. air the gas or vapour circulating over or surrounding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3/0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 F26B3/18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 F26B3/20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processes involving the application of heat by conduction, i.e. the heat is conveyed from the heat source, e.g. gas flame, to the materials or objects to be dried by direct contact the heat source being a heated surface, e.g. a moving belt or conveyo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2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PREPARATORY TREATMENT OF GRAIN FOR MILLING
    • B02CCRUSHING, PULVERISING, OR DISINTEGRATING IN GENERAL; MILLING GRAIN
    • B02C2201/00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 B02C2201/06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 B02C2201/063Codes relating to disintegrating devices adapted for specific materials for garbage, waste or sewage for waste water or sewag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6DRYING
    • F26BDRYING SOLID MATERIALS OR OBJECTS BY REMOVING LIQUID THEREFROM
    • F26B2200/00Drying processes and machines for solid materials characterised by the specific requirements of the drying good
    • F26B2200/18Sludges, e.g. sewage, waste, industrial processes, cooling tow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icrobi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ydrology & Water Resources (AREA)
  • Environmental & Geological Engineering (AREA)
  • Water Supply & Treatment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Drying Of Solid Materials (AREA)
  • Treatment Of Sludge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투입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은상기 슬러지를 건조 및 이송하는 건조부를 포함하는,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을 개시한다.

Description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Drying Treatment System of Sewage Sludge}
본 발명은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폐수 슬러지, 하수 슬러지 및 산업 슬러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슬러지를 분쇄건조, 교반건조, 순환건조 및 간접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시스템 내부를 밀폐상태로 만들고 진공펌프로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증기가 배출하여 증기량 및 악취가 감소되도록 하는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염색폐수 슬러지, 하수 슬러지, 산업 슬러지 등의 발생량이 시간이 흐를수록 증가되고 있으며, 이러한 물질의 발생량 증가는 지구의 환경을 오염시키는데 커다란 영향을 끼치게 된다. 따라서 환경보호 및 친환경적인 정책을 위해서 환경단체뿐만 아니라 정부 또는 지방자치단체를 비롯한 많은 관련기관에서 쓰레기의 발생량을 줄일 수 있도록 노력하고 있다. 이러한 노력들 중의 하나로 수거과정에서 수분이 많이 포함된 음식물이나 하수 슬러지 등은 수분함량이 적당수준 이하로 되도록 건조시킨 후 다음의 처리공정을 거치도록 하고 있다.
이러한 역할을 하는 건조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어 왔으나, 종래의 건조기에서는 피건조물의 건조효율 및 이송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디스크의 배치간격이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 될수록 점차 간격이 크게 형성되고, 디스크의 외주에 부착되는 스크래이퍼의 각도가 전방에서 후방으로 진행 될 수록 점차 크게 형성되므로 어느정도의 건조효율 및 이송효율의 상승은 얻었으나 건조기를 이용하는 사업자가 원하는 만큼의 충분한 효율상승은 제공하지 못하는 실정이다.
또한 종래의 디스크 건조기는 디스크의 열원공급으로 증발되는 수분을 외부 팬(fan)으로 배출하여 건조기 내부의 수분을 증발시키는 구조이다. 종래의 기술은 투입구와 배출구가 항상 열려있는 구조이므로, 내부에서 증발되는 증기량과 증기가 재응축되기 전에 외부로 이동될 수 있는 풍량이 필요함으로 많은 양의 외부 공기가 유입되는 구조이다. 또한 배출된 증기는 응축기를 통과하며 대부분 응축되어 응축수로 변환되나, 나머지 비응축성 가스나 외부에서 유입된 공기는 악취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탈취탑 또는 탈취로 에서 탈취처리를 한 뒤 대기로 방출하였다.
때문에 종래의 배출장치는 다량의 외부공기를 유입시키기 위하여 대용량의 팬이 구비되어야 하며, 또한 배출되는 공기 중에 악취가 포함되므로 악취를 제거하기위한 설비가 추가적으로 필요한 등의 문제점이 있었으며, 유입되는 외부공기량에 비례하여 배출되는 공기중에 악취가 다량으로 포함되는 등의 문제점이 있었다.
위에서 언급된 배경기술에 기재된 내용들은 단지 본 발명의 배경기술을 이해시키기 위해서 작성된 것이므로, 이 기술의 당업자에게 이미 알려진 공지기술 외의 내용을 포함할 수 있다.
한국등록특허 제10-0802259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더욱 상세하게는 염색폐수 슬러지, 하수 슬러지 및 산업 슬러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슬러지를 분쇄건조, 교반건조, 순환건조 및 간접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시스템 내부를 밀폐상태로 만들고 진공펌프로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증기가 배출하여 증기량 및 악취가 감소되도록 하는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을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은, 투입된 슬러지를 분쇄하는 분쇄부; 및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은상기 슬러지를 건조 및 이송하는 건조부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교반부에 수용 및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에 열풍을 공급하여 순환건조하는 열풍건조부; 및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분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간접건조하는 가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일 단부에 제 1 투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 제 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1 본체모듈; 상기 제 1 본체모듈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제 1 건조모듈; 상기 슬러지를 분쇄하는 제 1 분쇄모듈; 상기 제 1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슬러지를 상기 제 1 분쇄모듈로 공급 및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슬러지 공급모듈; 및 상기 제 1 분쇄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제 1 가이드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분쇄모듈은, 복수의 제 1 회전날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회전몸체; 및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과 맞물리며, 상기 제 1 본체모듈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고정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몸체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과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날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은 상기 제 1 회전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러지 공급모듈은, 상기 제 1 본체모듈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는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 날개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분쇄모듈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제 1 건조모듈은, 표면에서 열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열 히터유닛; 및 상기 제 1 분쇄모듈에서 분쇄된 상기 슬러지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열풍 공급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풍 공급유닛의 열풍은 상기 제 1 가이드판모듈의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슬러지에 분산되어 공급되고, 상기 제 1 열풍 공급유닛은, 상기 열풍을 발생시키는 제 1 열풍기; 상기 제 1 열풍기와 연동되며, 상기 열풍을 이송하는 제 1 이송관; 및 상기 제 1 이송관과 연통되며, 상기 제 1 분쇄모듈에서 분쇄된 상기 슬러지를 향해 상기 열풍을 방출하는 제 1 방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제 1 본체모듈과 연결형성되는 제 2 본체모듈; 상기 제 2 본체모듈 내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중공상의 제 2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중심축에는 다수의 제 2 디스크가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를 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 2 중심축을 통하여 공급되는 저압증기가 상기 각각의 제 2 디스크 내부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 2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부 일측으로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 2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하부 반대쪽으로 건조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2 투입구 및 제 2 배출구는 제 2 밀폐형 투입기 및 제 2 밀폐식 배출기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상기 제 2 몸체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제 2 디스크들은 중심에는 상기 제 2 중심축에 끼워지는 사각구멍이 천공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2 중심축에 천공된 제 2 스팀구멍과 통하는 제 2 가열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열풍건조부는,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는 급기팬; 상기 급기팬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으며,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용팬을 포함하는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분기되며, 내부에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상기 본체 내부에 공급하는 열풍공급구;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건조부는, 슬러지가 상기 교반부에 이송되면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된 댐퍼를 차단시키고, 상기 순환용팬을 가동시켜,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급기덕트로 흡입한 후, 상기 열교환기로 보내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공급구를 통해 열풍을 상기 슬러지에 분사하여 슬러지 및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여 수분을 연속 증발시키고, 건조 과정중 수분이 증발된 수증기와 상기 슬러지의 오염 가스는 상기 배기덕트 일측에 설치된 댐퍼가 개방되어 상기 공기정화부로 보내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교반부의 상기 제 2 몸체의 외주면의 측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상기 측면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과 밀착하여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 가열기; 및 상기 제 2 몸체의 외주면의 하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상기 제 2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면과 밀착하여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면 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가열기는, 연결부재와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가열기는, 제1 유닛 및 2개의 제2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간을 힌지 연결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유닛들의 단부가 맞닿도록 체결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측면 가열기의 내경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발열체와 접하면서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한다.
일 실시에에서, 상기 교반부에 의해 건조된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영역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건조된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영역 주변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입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흡입부는, 상기 교반부의 상기 제 2 배출구에서 발생되는 발생되는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하는 흡기구; 먼지가 제거된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구;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 및 배기구와 상호 연통되며, 물을 저장하는 본체와, 본체에 내설되어 먼지를 집진할 수 있게 물을 분사하는 살수부와,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로 전달하는 펌프로 구성된 집진기;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사이에 설치되어 주변공기를 흡입 및 배출되도록 하는 송풍기; 및 상기 흡기구와 배기구, 집진기 및 송풍기에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주변공기가 이동할 수 있게 통로로 이용되는주름관을 포함하며, 상기 배기구에는,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주름관; 접혀진 상기 주름관의 하부를 떠받치는 받침부; 및 상기 배기구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혀진 상기 주름관이 펼쳐지지 않게 억류하는 억류부가 형성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는 하나의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으며, 상기 메인공급선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사용전력을 측정하는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더 포함하고, 상기 사용전력 측정장치는,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를 측정하는 측정모듈;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상기 메인공급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모듈; 및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각각이 상기 메인공급선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상기 측정모듈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는 판단모듈를 포함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메인공급선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하고, 상기 판단모듈은,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상기 분쇄부, 상기 교반부, 상기 열풍건조부 및 상기 가열부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염색폐수 슬러지, 하수 슬러지 및 산업 슬러지 등을 포함하는 다양한 슬러지를 분쇄건조, 교반건조, 순환건조 및 간접건조시킴으로써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시스템 내부를 밀폐상태로 만들고 진공펌프로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증기가 배출하여 증기량 및 악취가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도시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도시한다.
도 11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2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도 1 내지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 내지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10)은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를 포함할 수 있다.
분쇄부(100)는 투입된 슬러지를 분쇄건조한다. 본 발명의 분쇄부(100)는 투입되는 슬러지를 분쇄하는 동시에 열 및 열풍을 통해 건조시킴으로서 슬러지의 건조효율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교반부(200)는 분쇄부(100)와 연통되며, 분쇄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를 교반건조 및 이송한다. 교반부(200)는 회전운동을 통해, 슬러지를 이송시키는 동시에 저압증기를 이용하여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다.
교반부(200)는 제 2 본체모듈(210), 제 2 몸체(220), 제 2 교반모듈(23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2 본체모듈(210)은 분쇄부(100)의 제 1 본체모듈(110)과 연결형성된다. 제 2 몸체(220)는 제 2 본체모듈(210) 내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 2 몸체(220)의 외주면에는 가열부(400)가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교반부(200) 내부로 열을 공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교반모듈(230)은 제 2 몸체(220) 내부에 중공상의 제 2 중심축(231)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제 2 중심축(231)에는 다수의 제 2 디스크(232)가 구비되어 슬러지를 한 방향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또한, 제 2 교반모듈(230)은 제 2 중심축(231)을 통하여 공급되는 저압증기가 각각의 제 2 디스크(232) 내부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몸체(220)에는, 상부 일측으로 분쇄부(100)로부터 전달받은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 2 투입구(221)가 구비되고, 제 2 몸체(220)의 하부 반대쪽으로 건조된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222)가 구비되는데, 제 2 투입구(221) 및 제 2 배출구(222)는 제 2 밀폐형 투입기(221-1) 및 제 2 밀폐식 배출기(222-1)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제 2 몸체(200) 내부가 밀폐시킬 수 있다. 즉, 교반부(200)의 밀폐가 요구되는 경우에는, 제 2 밀폐형 투입기(221-1) 및 제 2 밀폐식 배출기(222-1)를 닫아 교반부(200) 내부로 외부 공기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디스크(232)들은 중심에는 상기 제 2 중심축(231)에 끼워지는 사각구멍이 천공되며, 내부에는 제 2 중심축(231)에 천공된 제 2 스팀구멍(233)과 통하는 제 2 가열공간부(미도시)가 마련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을 통해, 교반부(200)는 슬러지를 교반하는 동시에 건조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본체모듈(210)의 상부 중앙에는 건조과정에서 발생되는 증기를 배출하기 위한 증기배출구(213)가 구비되고, 상기 증기배출구(213)는 진공펌프(미도시)와 연결되어 제 2 몸체(220) 내부가 진공상태로 유지되도록 해준다.
일 실시예에서, 제 2 중심축(231)은 단면이 사각형의 중공상으로 구비되어 내부로 스팀이 공급되는데, 제 2 중심축(231)의 한쪽에 스팀공급구(21)가 구비되고 반대쪽에 응축수를 배출하는 드레인(22)이 구비된다. 그리고 제 2 중심축(231)에는 다단으로 다수의 제 2 디스크(232)가 구비된다. 제 2 디스크(232)는 이중의 원판이 포개진 형태로써, 중심에는 제 2 중심축(231)에 끼워져 용접되는 사각구멍이 천공되며, 이들 원판의 사이로 스팀이 채워지는 제 2 가열공간부(32)가 형성되고, 제 2 가열공간부(32)는 제 2 중심축(231)에 천공된 다수의 제 2 스팀구멍(23)과 대응된다. 그리고 제 2 디스크(232)들의 외주면에는 다수의 제 2 이송날개(33)들이 구비되어 슬러지를 이송시킨다.
열풍건조부(300)는 교반부(200)에 수용 및 이송되는 슬러지에 열풍을 공급하여 순환건조시킬 수 있다. 열풍건조부(300)는 공기정화부(미도시)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는 급기팬(310), 급기팬(310)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으며 제 2 몸체(220)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제 2 몸체(220)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용팬(321)을 포함하는 급기덕트(320), 급기덕트(320)에 분기되며, 내부에 열교환기(331)를 포함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순환덕트(330), 순환덕트(330)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제 2 몸체(220) 내부에 공급하는 열풍공급구(340) 및 제 2 몸체(220)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350)를 포함한다. 이러한 구성을 포함하여, 일 실시예에서, 열풍건조부(3000는, 슬러지가 교반부(200) 내부로 이송되면 급기덕트(320)에 설치된 댐퍼를 차단시키고, 순환용팬(321)을 가동시켜, 제 2 몸체(220)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급기덕트(320)로 흡입한 후, 열교환기(331)로 보내어 공기를 가열할 수 있다. 계속하여 열교환기(331)에 의해 가열된 공기는 열풍공급구(340)를 통해 열풍을 슬러지에 분사하여 슬러지 및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여 수분을 연속 증발시킬 수 있다. 이후 건조 과정중 수분이 증발된 수증기와 슬러지의 오염 가스는 배기덕트(350) 일측에 설치된 댐퍼가 개방되어 공기정화부(미도시)로 보낸다.
가열부(400)는 교반부(200)의 적어도 일부분 형성되어 교반부(200)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간접건조한다.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를 통해 슬러지를 분쇄건조, 교반건조, 순환건조 및 간접건조 시킴으로써, 본 발명의 건조시스템(10)은 건조효율을 향상시키는 동시에, 건조시스템 내부를 밀폐상태로 만들고 진공펌프로 증기를 배출함으로써 외부공기의 유입 없이 증기가 배출하여 증기량 및 악취가 감소되도록 하는 효과가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를 도시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100)는 제 1 본체모듈(110),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 제 1 건조모듈(130), 제 1 분쇄모듈(140) 및 제 1 가이드판모듈(150)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본체모듈(110)는 일 단부에 제 1 투입구(111)가 형성되며, 다른 단부에 제 1 배출구(112)가 형성될 수 있다. 제 1투입구(111)를 통해 슬러지가 분쇄부(100)로 투입되며, 제 1 투입구(111)는 슬러지의 크기 및 양에 따라 다양한 크기 및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제 1 배출구(112)는 제 1 투입구(111), 제 1 건조모듈(130) 및 제 1 분쇄모듈(140)을 거친 분쇄된 슬러지가 배출되는 곳으로서, 제 1 배출구(112)는 제 1 본체모듈(110)의 하부에 형성될 수 있다. 배출구(112)를 통해서 배출되는 슬러지는 제 1 건조모듈(130) 및 제 1 분쇄모듈(140)의 작동에 의하여, 슬러지의 크기, 무게, 부피 등이 제 1 투입구(111)에 투입된 슬러지보다 작아질 수 있다.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은 제 1 투입구(111)로 투입된 슬러지를 제 1 분쇄모듈(140)로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은 슬러지가 제 1 분쇄모듈(140)로 투입되기 전에 위치하는 곳으로서, 제 1 분쇄모듈(140)의 슬러지 분쇄 효율을 높이기 위하여, 제 1 분쇄모듈(140)에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 및 슬러지 투입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는 제 1 투입구(111)로 투입된 슬러지를 제 1 분쇄모듈(140)로 공급 및 이송시킬 수 있다.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는 제 1 회전축(121) 및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122)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회전축(121)은 제 1 본체모듈(110)의 너비 방향(Y축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122)는 제 1 회전축(121)과 결합되어 제 1 회전축(121)의 회전 운동과 연동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122)는 각각 소정의 각도를 이루며 제 1 회전축(121)에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122) 사이에는 슬러지를 수용할 수 있는 공간이 형성되게 된다. 슬러지를 수용하는 공간의 크기는 제 1 회전 날개(122) 사이의 각도를 조절함으로써 크기 조절이 가능하다. 즉, 제 1 회전축(121)의 회전 속도 조절과 제 1 회전 날개(122)들 사이에 형성되는 공간의 크기 조절을 통하여,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는 제 1 분쇄모듈(140) 에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 및 슬러지 투입 속도 등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의 동작 방법을 살펴보면,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는 제 1 투입구(111)로부터 투입된 슬러지를 제 1 회전 날개(122) 사이의 공간으로 받게 된다. 즉,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은 슬러지가 제 1 분쇄모듈(140)로 바로 공급되는 것을 방지함으로써, 수분을 포함하는 슬러지가 낙하하면서 제 1 분쇄모듈(140)로 가하는 충격을 줄여 줄 수 있으며, 제 1 분쇄모듈(140)로 투입되는 슬러지의 양도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는 제 1 회전 날개(122) 사이의 공간에 슬러지를 채울 수 있으며, 상기 제 1 회전 날개(122) 사이의 공간의 크기에 의해 제 1 분쇄모듈(140) 에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계속하여, 제 1 회전축(121) 및 제 1 회전 날개(122)의 회전 운동을 통해 일정량의 슬러지를 제 1 분쇄모듈(140)로 이송시킬 수 있다. 즉, 제 1 회전축(121)의 회전속도를 빠르게 하면 제 1 분쇄모듈(140)로 적은 양의 슬러지를 짧은 주기로 제공할 수 있으며, 제 1 회전축(121)의 회전속도를 느리게 하면 상대적으로 많은 양의 슬러지를 긴 주기로 제공할 수 있다. 제 1 회전축(121)의 회전 속도는 제 1 분쇄모듈(140) 의 용량 및 회전 속도에 따라 다양하게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 1 슬러지 공급모듈(120)의 작동을 통하여, 본 발명의 건조분쇄기(1000)는 슬러지 분쇄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으며, 고장 및 파손의 위험도 제거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제 1 건조모듈(130)는 제 1 본체모듈(110)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투입구(111)를 통해 투입된 슬러지를 건조시킬 수 있다. 제 1 건조모듈(130)는 제 1 전열 히터유닛(131) 및 제 1 열풍 공급유닛(132)을 포함할 수 있으며, 제 1 전열 히터유닛(131) 및 제 1 열풍 공급유닛(132)은 슬러지 속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으며, 동시에 슬러지에 포함된 냄새도 제거할 수 있다.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은 제 1 본체모듈(110)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투입된 슬러지를 향해 열을 방출할 수 있다. 분쇄의 대상이 되는 슬러지는 슬러지의 함수량에 따라 분쇄의 효율에 차이가 발생한다. 따라서, 슬러지의 분쇄 단계 전에,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으로 슬러지를 건조시킴으로써 분쇄의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은 저항선 등에 전류를 흘려 열을 발생시키거나 가시광선 또는 적외선을 생성하여 열을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전열 히터유닛(131)는 제 1 분쇄모듈(140)의 제 1 고정날(142) 상측에 한 쌍으로 마주보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위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분쇄 단계 전에 슬러지를 건조시킴으로써, 분쇄 효율을 향상 시킬 수 있다. 다만, 이는 예시적인 것으로서,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은 제 1 투입구(111) 또는 제 1 고정날(142) 하측에도 형성되는 등 실시예에 따라, 본체부 내측면의 복수의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또한, 후술할 제 1 열풍 공급유닛(132)와 같은 공간에 동시에 작동하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제 1 분쇄모듈(140)는 슬러지를 분쇄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회전날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회전몸체 및 복수 개의 제 1 고정날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 개의 제 1 고정날은 제 1 본체모듈(110)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으며, 슬러지를 분쇄하기 위하여 복수 개의 제 1 고정날과 복수 개의 제 1 회전날이 맞물리는 구조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분쇄모듈(140)은 제 1 회전몸체(141), 제 1 회전날(142) 및 제 1 고정날(14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회전몸체(141)는 제 1 본체모듈(110)내부에서 회전 운동을 할 수 있으며, 제 1 회전몸체(141)의 외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 회전날(142)이 형성될 수 있다. 즉, 제 1 회전몸체(141)가 회전 운동을 하면 제 1 회전날(142)도 함께 회전 운동을 하며, 이때 발생하는 회전력으로 제 1 회전날(142)은 슬러지를 분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 1 회전몸체(141)는 시계방향(A방향) 및 반시계방향(B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할 수 있다. 이를 통하여, 제 1 회전날(142)의 한 측면만 마모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으며, 제 1 회전날(142)과 제 1 고정날(143) 사이에 슬러지가 걸린 경우에도 용이하게 슬러지를 빼낼 수 있다. 제 1 회전몸체(141)의 회전속도는 분쇄 대상이 되는 슬러지의 함수율 또는 두께를 고려하여 회전속도를 조절할 수 있다. 제 1 회전날(142)은 제 1 회전몸체(141)의 외주면에 복수 개가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회전몸체(141)의 회전 운동과 연동할 수 있다. 제 1 고정날(143)은 제 1 회전날(142)과 맞물리는 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제 1 본체모듈(110)의 내측면의 일 영역에 고정되어 형성될 수 있다. 복수의 제 1 회전날(142)과 복수의 제 1 고정날(143)은 서로 맞물리는 형태의 톱니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복수의 제 1 회전날(142)은 제 1 회전몸체(141)의 너비 방향(Y축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될 수 있다.
제 1 가이드판모듈(150)은 제 1 분쇄모듈(140)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통공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가이드판모듈(150)은 분쇄모듈(140)에서 분쇄된 슬러지를 복수 개의 통공을 통과하도록 하여 슬러지의 크기를 조절하고 제 1 배출구(112)로 안내하는 역할을 수행할 뿐만 아니라, 제 1 열풍 공급유닛(132)에서 공급되는 열풍을 분산하여 슬러지의 수분제거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제 1 열풍 공급유닛(132)는 제 1 열풍기(1321), 제 1 이송관(1322) 및 제 1 방출관(1323)을 포함할 수 있다. 제 1 열풍기(1321)는 열풍을 발생시키는 장치로서, 열풍을 이송하는 제 1 이송관(1322)과 연동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 1 이송관(1322)은 제 1 열풍기(1321)에서 발생한 열풍을 제 1 방출관(1323)으로 전달하며, 제 1 방출관(1323)은 제 1 이송관(1322)으로부터 전달받은 열풍을 슬러지를 향해 방출시킬 수 있다. 제 1 방출관(1323)는 제 1 고정날(143) 하측에 위치할 수 있으며, 제 1 분쇄모듈(140)에 의해 분쇄된 슬러지를 향해 열풍을 방출할 수 있다. 제 1 열풍 공급유닛(132)를 제 1 고정날(143) 하측에 위치시킴으로써, 제 1 방출관(1323)에서 방출된 열풍은 뜨거운 공기는 위로 상승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제 1 고정날(143) 상측에서도 그 열기를 활용할 수 있어 슬러지 건조의 성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열풍 공급유닛(132) 분쇄된 슬러지에 열풍을 불어넣음으로써, 슬러지에 포함된 냄새 입자도 제거할 수 있어, 분쇄된 슬러지의 냄새 제거에도 효과적이다.
정리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분쇄부(100)는 제 1 건조모듈(130)이 제 1 전열 히터유닛(131) 및 제 1 열풍 공급유닛(13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슬러지의 분쇄와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 제거를 동시에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은 제 1 분쇄모듈(140) 의 제 1 고정날(143)을 중심으로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의 1차 건조단계와 제 1 열풍 공급유닛(132)의 2차 건조단계로 이루어지는 이중 건조 단계를 제공함으로써, 슬러지에 포함된 수분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다. 또한, 제 1 열풍 공급유닛(132)를 제 1 고정날(143) 하측에 둠으로써, 분쇄된 슬러지의 건조를 위해 방출된 열풍이 제 1 고정날(143) 상측으로 상승함에 따라, 제 1 전열 히터유닛(131)의 건조 성능을 더욱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제 1 가이드판모듈(150)은 분쇄된 슬러지를 열풍 건조기(320)가 열풍을 방출하는 영역으로 유도하여 분쇄된 슬러지가 열풍에 노출되는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으며, 이를 통해, 분쇄된 슬러지의 수분 제거 효과가 상승되는 효과가 있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를 도시한다.
도 5 및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열부(400)는 교반부(200)의 제 2 몸체(220)의 외주면의 측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상기 측면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과 밀착하여 제 2 몸체(220)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 가열기(430) 및 제 2 몸체(220)의 외주면의 하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제 2 몸체(220)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면과 밀착하여 제 2 몸체(220)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면 가열기(440)을 포함한다.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의 측면과 밀착하여 제 2 몸체(220)의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를 가열함으로써, 슬러지를 간접적으로 가열하는 역할을 한다.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의 측면과 밀착하여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431), 발열체(431)를 외측에서 감싸는 단열재(432), 단열재(432)의 외측을 감싸면서 측면 가열기(430)의 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징(433), 제 2 몸체(220)와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도록 하는 연결부재(434) 및 체결부재(435)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발열체(431)는 제 2 몸체(220)와 밀착되도록 배치되어, 제 2 몸체(220) 내부로 공급할 열을 방출한다. 발열체(431)는 전기 에너지를 열 에너지로 변환시키는 저항체로서, 니크롬선 등의 열선, 내측면에 열선이 배열된 발열패드 또는 발열시트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발열체 (431) 는 발생된 열을 발열체(431)의 전면에서 균일하게 방출시키기 위하여, 배선된 열선 주위에 열전도 기능을 갖는 공지의 물질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도 있다.
단열재(432)는 발열체(431)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고, 발열체(431) 에서 방출되는 열이 외부로 손실되지 않고, 제 2 몸체(220)의 측면으로 전달되도록 한다. 단열재(432)는 열전도율이 작은 소재이거나, 열전도율을 작게 하기 위하여 다공질로 형성된 소재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단열재(432)는 예를 들어, 면, 코르크, 펠트 등의 유기 섬유질 소재일 수 있으며, 석면, 유리솜, 펄라이트 등의 무기질 소재일 수도 있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단열재(432) 로는 당업자에게 공지된 임의의 소재가 사용될 수 있다.
하우징(433)은 단열재(432)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배치되어, 측면 가열기 (430)의 외형을 형성한다. 하우징(433) 은 금속판일 수 있다. 하우징(433) 은 그 단면이 톱니 모양으로 가공되어 절곡되면서 단열재(432)를 감싸도록 형성된 금속판일 수 있다.
하우징(433)은 측면 가열기(430)의 가장 외측에 배치되어 발열체(432) 및 단열재(432)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므로, 쉽게 부식이 되지 않고 내구성이 좋은 스테인레스 스틸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하우징(433)에 의하여 단열재 (432)가 일체로 구비되고, 이러한 하우징(433) 및 단열재(432)가 발열체(431)를 감싸도록 배치되므로, 발열체(431)가 외부로 노출되지 않아 그 손상이 방지될 수 있고, 발열체(431) 에서 방출되는 열이 용기 측으로 효과적으로 전달될 수 있다.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에 측면 가열기(430)를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시킬 수 있도록, 연결부재 (434) 및 체결부재 (435)를 포함할 수 있다.
연결부재(434)는 측면 가열기(430)의 각 유닛(430a, 430b)이 연결되고, 구성될 수 있다. 측면 가열기(430) 의 제1 유닛(430a)과 제2 유닛(430b)은 힌지 연결부재에 의하여 회전 가능한 구조로 연결되고, 힌지 연결부재를 중심으로 제2 유닛이 개방될 수 있다. 이러한 연결부재(434)에 의하여, 제 2 몸체(220)가 수용되는 공간이 확장될 수 있으므로,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연결부재(3434)는 상술한 연결방식 및 구조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고, 위치 및 개수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연결부재(434)는 제 2 몸체(220)와 측면 가열기(430)가 용이하게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라면,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연결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체결부재(435)는 하우징(433) 의 상호 맞닿는 단부에 설치되어, 측면 가열기(430)의 불연속된 부분을 연결한다. 또한, 체결부재(435)에 의해 측면 가열기(430)의 내경이 조절될 수도 있다. 체결부재(435)는 예시적으로, 하우징 (433)의 일단부에 결합되는 너트와, 타단부에 결합되어 너트에 나사 결합되는 볼트로 구성될 수 있다. 체결부재(435)가 이러한 너트와 볼트로 구성되면, 볼트를 손으로 잡고 돌리는 간단한 조작만으로 측면 가열기(430)와 제 2 몸체(220)가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으므로, 측면 가열기(430)는 제 2 몸체(220)에 용이하게 탈착가능하다는 이점을 가진다. 다만, 체결부재(435)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제 2 몸체(220)와 측면 가열기(430)이 결합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다양한 체결부재가 채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하면 가열기(440)는 제 2 몸체(220)의 하면과 밀착하여 제 2 몸체(220)의 내부로 열을 공급한다. 하면 가열기(440)는 제 2 몸체(220)의 하면에 탈착 가능하게 구성될 수 있다. 하면 가열기(440)는 측면 가열기(430)와 동일하게, 열을 방출하는 발열체(441)와, 발열체(441)를 외측에서 감싸는 단열재(442)와, 단열재(442)의 외측을 감싸면서 하면 가열기(440)의 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징(44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하면 가열기(440)의 발열체(441), 단열재 (442) 및 하우징(443)은 측면 가열기(430)의 발열체(431), 단열재(432) 및 하우징(433)과 그 역할 및 구성이 동일하므로 중복된 기재는 생략하도록 한다.
한편, 측면 가열기(430) 및 하면 가열기(440)(이하, 가열기(430, 440)로 통칭함)는 온도 센서 (미도시)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가열기(430, 440)는 온도 센서를 포함함으로써, 발열체(431, 441) 또는 발열체(431, 441)와 접하는 부분에서의 제 2 몸체(220)의 온도를 감지할 수 있다. 온도 센서에서 측정된 온도는 발열체(431, 441) 의 동작을 적절하게 제어하기 위하여 활용될 수 있다. 온도 센서는 구성이 간단하며 비용이 저렴하고, 고온에서도 온도 측정 효과가 우수한 열전대 (Thermo couple)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온도 센서는 바이메탈 (bi-metal), 써미스터(thermistor) 등 공지의 다양한 온도 센서일 수도 있고, 온도 센서는 별도의 전선으로 온도 센서와 연결되어 온도를 표시하는 온도기록 수단을 구비할 수도 있다.
나아가, 가열기(430, 440)는 온도 센서에서 감지된 온도에 따라, 발열체 (431, 441)의 동작을 제어하는 온도조절장치(미도시)와 연결될 수도 있다. 온도 조절장치는 설정한 온도에 이르면 OFF 되고 온도가 낮아지면 ON되는 방식 즉, 가열기(430, 440)로의 전력 공급을 차단하는 방식으로 구동될 수 있다. 다만, 가열기(430, 440)의 온도 센서 및 온도 조절장치는 상술한 바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당업자에게 공지된 다양한 방식으로 가열기(430, 440)의 온도가 조절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도 7 내지 도 9는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도시한다.
도 7 내지 도 9를 참고하면, 본 발명에 따른 흡입부(600)는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집진기(630), 송풍기(640) 및 주름관(650)으로 구성된 것으로, 상기 교반부에 의해 건조된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영역과 인접하게 설치되며, 건조된 상기 슬러지가 배출되는 영역 주변의 먼지를 포함하는 공기를 흡입할 수 있다. 즉, 건조되어 가벼워진 슬러지가 공기 중에 떠다니는 것을 미연에 방지하기 위하여 흡입부(600)를 추가로 더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610)는 송풍기(640)의 흡입력을 매개로 건조시스템(10) 주변 내의 먼지를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는 역할을 한다. 이때 먼지는 가벼워진 슬러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흡기구(610)의 일단에는 좌에서 우로 갈수록 직경이 확장되는 깔대기형상의 가이드관이 일체로 형성된다. 흡기구(610)의 타단에는 주름관(6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가이드관과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배기구(620)는 집진기(630)를 거친 주변공기를 송풍기(640)에 의해 생성된 바람을 매개로 외부로 배출하는 역할을 한다. 배기구(620)의 일단에는 주름관(6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착탈가능하게 설치되어 내부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집진기(630)는 본체(631)와 살수부(632) 및 펌프(633)로 구성된 것으로서, 본 실시예의 경우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사이에 배치되어 흡기구(610) 및 배기구(620)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루며, 흡기구(610)를 통해 유입된 주변공기의 먼지에 물을 분사하여 집진하는 역할을 한다.
본체(631)는 전체적으로 박스형태를 이루는 부재로서, 내부에는 먼지를 집진하기 위한 물이 저장되고, 양측에는 구멍이 각각 형성되며, 구멍에는 주름관(650)이 나사볼트를 매개로 각각 설치되어 흡기구(610)와 집진기(630), 배기구(620)와 집진기(630)을 상호 연결시켜 준다. 또한, 상기 본체(631)의 상부에는 힌지를 매개로 회전가능하게 설치되는 커버가 구비되며, 이를 통해 부족한 물을 채워 넣거나, 내부에 설치되는 살수부(632)와 펌프(633)를 손쉽게 유지보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631)에는 내부에 오염된 물을 외부로 배출할 수 있는 드레인 라인이 구비된다.
살수부(632)는 본체(631)에 내설되며 노즐이 구비된 파이프라인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펌프(633)로부터 공급받은 물을 노즐을 통해 하향으로 분사 또는 분무하여 먼지를 집진한다.
펌프(633)는 본체(631)에 내부에 설치될 수도 있고, 본체(631)의 외부에 설치될 수도 있지만, 본 실시 예의경우에는 본체(631)의 내측에 설치될 수 있다. 펌프(633)는 살수부(632)와 연결되는 수중펌프로서, 본체(631)에 저장된 물을 빨아올려 살수부(632)로 전달해 주는 기능을 한다. 특히, 집진제거되어 물에 혼입된 슬러지가 유입되는 것을 차단할 수 있도록 펌프(633) 주변으로 필터를 설치해 주는 것이 좋다.
송풍기(640)는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사이에 설치되어 흡기구(610)를 통해 먼지를 포함하는 외부공기를 흡입할 수 있는 흡입력을 제공하고, 흡입된 먼지가 제거된 외부공기를 배기구(620)를 통해 배출할 수 있는 바람을 제공한다.
본 실시 예에서는, 흡기구(610)와 집진기(630) 사이, 그리고 집진기(630)와 배기구(620) 사이에 각각 설치시켜 주었으며, 필요에 따른 흡기구(610)와 집진기(630) 사이, 또는 집진기(630)와 배기구(620) 사이에 설치해 줄 수도 있다. 송풍기(640)는 주름관(650)을 매개로 흡기구(610)와 집진기(630) 및 배기구(620)와 상호 연통된 구조를 이룬다. 주름관(650)은 스프링구조의 철사 주위로 합성수지 필름을 입혀 형성한 자바라형태의 관으로서, 양단에는 흡기구, 집진기, 송풍기, 배출기 각각에 착탈가능하게 설치할 수 있도록 플런지가 형성된다. 또한, 기구물과 플런지 사이로 유입된 외부공기가 세어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플런지와 기구물 사이에는 실링재가 설치된다.
한편,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집진기(630) 및 송풍기(640)의 하면에는 운반의 편의를 위해 바퀴가 설치된다. 또한, 상기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및 송풍기(640)의 상면에는 손잡이 설치된다. 본 발명은 흡기구(610)와 배기구(620), 집진기(630) 및 송풍기(640)에 주름관(650)이 착탈가능하게 설치하여 상호 연통되게 연결한 다음 먼지를 포함하는 주변공기를 흡입하여 분사되는 물을 매개로 먼지를 집진하고, 먼지가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하며, 사용이 완료된 이후에는 각각 분리하여 보관하는 구조이므로 현장에서 손쉽게 사용할 수 있음은 물론 보관 및 운반도 매우 편리하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의 제1실시 예의 작용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먼저, 흡기구(610), 집진기(630), 송풍기(640), 배기구(620) 순으로 배치한 다음, 흡기구, 집진기, 송풍기, 배기구 사이에 주름관(650)을 설치하여 내부가 상호 연통되도록 한다. 상기와 같이 설치한 상태에서 전원을 인가하게 되면 집진기(630)와 송풍기(640)가 동작하게 되며, 송풍기(640)에 의해 흡기구(610)를 통해 먼지를 포함하는 주변공기가 흡입된다.
그리고 흡입된 주변공기는 주름관(650)을 따라 이동되어 집진기(630)를 통과해 배기구(6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특히 상기 주변공기가 집진기(630)를 통과하는 과정에 집진기(630)의 살수부(632)로부터 분사(또는 분무)되는 물에 의해 주변공기에 포함된 먼지가 집진되고, 먼지가 제거된 주변공기만이 송풍기(640)에 의해 유도되어 배기구(62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된다.
도 10은 본 발명의 제2실시 예에 따른 흡입부를 도시한다.
제2실시예는 앞선 제1실시 예와 전반적으로 동일하며, 다만 배기구(620)에 받침부(621)와 억류부(22) 및 주름관(650')이 더 보강된다는 점만 상이하다.
도 10을 참조하면, 주름관(650')은 스프링구조의 철사 주위로 합성수지 필름을 입혀 형성하며, 전체적으로 접었다 펼쳤다 할 수 있는 자바라형태의 관으로서, 배기구(620)에 일체 또는 일체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받침부(631)는 배기구(620)에 일체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접혀진 주름관(650')의 하부를 떠받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억류부(632)는 전체적으로‘ㄷ’자 형상을 이루는 프레임으로서, 본 실시 예의 경우 배기구(620)에 회전가능하게 설치되어 접혀진 주름관(50')이 펼쳐지지 않게 억류하는 역할을 한다.
특히, 억류부(632)는 지지대(622a)를 구비하는데, 여기서 지지대(622a)는 억류부(632)를 회전시켰을 때 함께 회전되어 일단이 받침부(621)의 상면에 수직하게 입설되면서 접혀진 주름관(650')이 전방으로 밀리는 것을 방지해주는 역할을 한다.
본 실시 예에 의하면, 상기와 같이 접혔다 펼쳐졌다는 주름관(650')을 통해 높은 곳에 위치된 배기창까지 연장하여 쉽게 가설해 줄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먼지가 제거된 주변공기를 외부로 배출해 줄수 있어 실내에 먼지유발을 해소할 수 있다. 또한, 사용이 완료된 주름관(650')은 접은 다음 받침부(621) 및 억류부(622)를 매개로 고정할 수 있기 때문에 보다 컴팩트하게 보관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보관 및 운반이 비교적 용이해지는 이점이 있다. 한편, 단순히 주름관(650')을 펼친 상태에서 주름관(650')의 단부를 배기창에 걸치게 되면, 잘 걸쳐지지도 않을 뿐더러 주름관(650')의 자중에 의해 낙하게 되는 문제가 있다. 이에 본 실시 예에서는 배기창 등에 주름관(650')의 단부를 손쉽게 거치할 수 있는 거치기구(660)를 포함할 수 있다. 거치기구(660)는 줄(661)과 무게추(662)로 구성된다. 본 실시 예의 경우 주름관(650')의 단부에 긴 줄(661)을 감아 줄(661)의 양단부가 충분히 늘어지도록 한 상태에서줄(661)의 양단부에 무게추(662)를 설치한다. 일 예로서, 상기 주름관(650')의 단부를 배기창에 거치시키고자 할 경우 배기창의 단면을 기준으로 한쪽 무게추(662)는 바깥쪽에 위치시키고 다른 쪽 무게추(662)는 안쪽에 배치시켜 무게 중심을 맞춰 주면 주름관(650')을 배기창에 손쉽게 거치할 수 있다. 그리고 거치기구(660)의 사용이 완료되면 주름관(650')으로부터 분리하여 별도로 보관하거나 주름관(650')에 설치된 상태로 보관하면 된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11을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함으로써 어떤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지를 판별할 수 있다.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는 하나의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도록 형성될 수 있다.
메인공급선(A)은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에 전원을 공급하는 전원선을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메인공급선(A)에는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들과 연결될 수 있는 복수 개의 연결 지점(x, y)이 존재할 수 있다. 메인공급선(A)은 멀티탭 또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다양한 형태의 전원선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각각에 별도의 센서를 설치하지 않아도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즉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 변화만을 감지하여 복수의 전자장치들의 동작 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메인공급선(A)에 형성된 전류 센서(미도시)를 통해 감지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분석 결과를 기초로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를 판별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전자장치들(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의 고유의 전력 특성을 미리 파악하고, 각 전자장치의 접점인 모선에 센서를 설치함으로써, 각 전자장치의 동작 여부를 판별할 수 있다. 전자장치의 고유의 전력 특성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나타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고유 전력 특성은, 전력이 공급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 형태와 위상 잡음을 포함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은 전자 디바이스에게 인가되는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의 주변에서 형성된다. 전류의 주파수 주성분이란,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에 대응하는 성분을 의미할 수 있다. 위상 잡음을 주요 사양으로 갖는 회로는 발진회로(Oscillator)가 있으며, 발진회로에서는 ‘위상잡음’을 고유 명사화하여 중심 주파수에서 특정 주파수 대략(Off-Set Frequency)까지의 전압 비율로 정의한다. 중심 주파수는, 전류 값이 피크값을 나타내는 주파수를 의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을 전자 디바이스의 고유 전력 특성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전자장치의 동작을 감지함에 있어서, 중심 주파수 주변의 주파수 성분만을 추출해서 구별하는 위상 잡음 분석 방법을 이용함으로써 노이즈에 의한 왜곡을 줄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복수 개의 전자장치(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에 센서를 설치하지 않더라도, 전자장치들이 연결되는 메인공급선(A)에 설치된 센서만을 이용하여 어떤 전자 디바이스가 동작하는지 여부를 판별함으로써 대략적인 전기 사용량을 계산할 수 있다.
도 1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전력 측정장치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도면이다.
도 12를 참조하면, 사용전력 측정장치(900)는 측정모듈(910), 저장모듈(920) 및 판단모듈(930)을 포함할 수 있다.
측정모듈(910)는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에게 전원을 공급하는 메인공급선(A)의 전류를 측정한다. 일 실시예에 따른 측정모듈(910)은 큰 전류를 견딜 수 있어야 하고, 설치가 용이해야 한다. 따라서, 측정모듈(910)는 로고스키 코일(Rogowski Coil), 홀 센서(Hall Sensor) 등이 사용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측정모듈(910)는 각 전자장치의 전류 변화만을 보다 명확히 구분하기 위하여, 그 출력단에 캐패시터가 접지 방향으로 션트(Shunt) 연결될 수 있다. 캐패시터의 임피던스(Z)는 Z= 1/jwC 이므로 고주파에서는 접지(Ground)와 유사하게 작용하여 전압이 작아지며, 저주파에서의 전압만 측정될 수 있다. 이때, 캐패시터의 캐패시턴스(capacitance)가 너무 큰 경우, 전류 변화 모서리의 급격한 변화, 즉, 고주파 성분을 확인할 수 없으므로 적절한 캐패시터의 선택이 필요하다. 따라서, 일 실시예에서 캐피시터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될 수 있는 전자 디바이스들 중 전류 변화 모서리의 변화가 가장 큰 전자 디바이스, 즉, 피크 전류가 가장 명확히 구별되는 전자 디바이스의 전류 변화를 확인하기에 적합한 캐피시터를 선택할 수 있다.
저장모듈(920)은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즉,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동작하는 경우 또는 메인공급선(A)에 연결된 전자장치의 전원(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이 ON되는 경우,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가열장치(100), 보온장치(200), 배합장치(3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에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그래프를 저장하거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을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주파수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또는, 예를들어, 저장모듈(920)은 시간 영역에서 고유의 전류 변화 패턴을 나타내는 특징값으로서 피크 전류와 정격 전류의비율, 정격 전류, 및 감지된 전류 변화가 안정화되는 시간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학습 또는 사용자 입력에 의해 저장될 수도 있고, 외부 장치로부터 수신하여 저장된 것일 수도 있다. 또한, 저장모듈(920)은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하기 위해 필요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들어, 저장모듈(920)는, 각 전자장치의 정격 전류, 정격 전압, 및 정격 전력 중 적어도 하나를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모듈(920)은 각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저장함으로써, 각 전자장치가 동작한 시간에 기초하여 각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 및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각각이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을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하여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들(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을 판별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복수의 전자장치들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하는 과정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판단모듈(930)은 사용전력 측정장치(900)가 측정모듈(910)를 이용하여 메인공급선(A)에 흐르는 전류를 감지하고, 감지된 전류를 바탕으로 시간 영역 및/또는 주파수 영역에서 메인공급선(A)의 전류 변화를 분석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분석 결과에 기초하여,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판별된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판별된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에 기초하여, 판별된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결정할 수 있다.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은,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에 전자장치가 단위 시간동안 사용하는 전력량을 곱함으로써 계산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각 전자정치사용한 전력량을 누적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예: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이 사용한 전력량을 측정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소정 시간동안 측정된 적어도 하나의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저장모듈(920)에 저장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으로부터 전원을 공급 받아 동작하는 경우, 측정모듈(910)를 통해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감지된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을 통해 전원을 공급받아 동작하는 순간의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를 기초로, 동작하기 시작한 전자 디바이스를 판별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 통해 공급되는 전류가 제1 정상 상태로부터 제2 정상 상태로 변하는 과도 상태의 전류 변화와 저장모듈(920)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복수의 전자장치들 중에서 동작하고 있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제1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어 있지 않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꺼진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제2 정상 상태는, 전자장치가 메인공급선(A)에 연결되거나 전자장치의 전원이 켜지고 소정 시간이 지난 후의 상태에 대응할 수 있다.
일 예로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를 추출할 수 있다. 판단모듈(930)은, 상기 감지된 전류 변화를 주파수 변환한 결과에 기초하여,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 및 소정 전류 크기에 대응하는 오프셋 주파수 중 적어도 하나를 추출하고, 추출된 값을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와 비교함으로써 상기 분리모듈, 상기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메인공급선(A)을 통해 공급되는 전류의 중심 주파수를 고려하여 결정된 상기 소정 주파수 구간의 전류 변화 기울기와 상기 저장모듈에 저장된 데이터를 비교함으로써 분리모듈, 절단모듈, 상기 절단이송모듈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를 판별할 수 있다. 또한, 판단모듈(930)은,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의 동작 시간 및 단위시간당 사용전력량에 기초하여, 분쇄부(100), 교반부(200), 열풍건조부(300) 및 가열부(400) 중에서 동작하는 전자장치가 사용한 전력량을 계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100: 분쇄부
200: 교반부
300: 열풍건조부
400: 가열부
600: 흡입부
900: 사용전력 측정장치

Claims (2)

  1. 투입된 슬러지를 분쇄건조하는 분쇄부;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슬러지를 교반건조 및 이송하는 교반부;
    상기 교반부에 수용 및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에 열풍을 공급하여 순환건조하는 열풍건조부; 및
    상기 교반부의 적어도 일부분 형성되어 상기 교반부 내부로 열을 공급하여 간접건조하는 가열부를 포함하고,
    상기 분쇄부는,
    일 단부에 제 1 투입구가 형성되고, 다른 단부에 제 1 배출구가 형성되는 제 1 본체모듈; 상기 제 1 본체모듈 내측면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며, 상기 제 1 투입구를 통해 투입된 상기 슬러지를 건조시키는 제 1 건조모듈; 상기 슬러지를 분쇄하는 제 1 분쇄모듈; 상기 제 1 투입구로 투입된 상기 슬러지를 상기 제 1 분쇄모듈로 공급 및 이송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슬러지 공급모듈; 및 상기 제 1 분쇄모듈의 하부에 형성되며, 복수 개의 통공을 구비하는 제 1 가이드판모듈을 포함하되,
    상기 제 1 분쇄모듈은, 복수의 제 1 회전날이 외주면에 형성된 제 1 회전몸체; 및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과 맞물리며, 상기 제 1 본체모듈의 내측면에 고정되어 형성되는 복수 개의 제 1 고정날을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전몸체는 시계방향 및 반시계방향 중 적어도 하나의 방향으로 회전 운동하고,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과 상기 복수의 제 1 고정날은 톱니 형상으로 형성되며, 상기 복수의 제 1 회전날은 상기 제 1 회전몸체의 너비 방향으로 일렬로 형성되고,
    상기 제 1 슬러지 공급모듈은, 상기 제 1 본체모듈의 너비 방향으로 연장되어 형성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제 1 회전축과 결합되어, 상기 제 1 회전축의 회전 운동과 연동하는 복수의 제 1 회전 날개를 포함하며, 상기 제 1 회전 날개의 회전 속도에 따라 상기 제 1 분쇄모듈로 공급되는 슬러지의 양을 조절하며,
    상기 제 1 건조모듈은, 표면에서 열을 방출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전열 히터유닛; 및 상기 제 1 분쇄모듈에서 분쇄된 상기 슬러지를 향해 열풍을 공급하는 적어도 하나의 제 1 열풍 공급유닛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열풍 공급유닛의 열풍은 상기 제 1 가이드판모듈의 복수의 통공 중 적어도 일부를 통과함으로써, 상기 슬러지에 분산되어 공급되고,
    상기 제 1 열풍 공급유닛은,
    상기 열풍을 발생시키는 제 1 열풍기; 상기 제 1 열풍기와 연동되며, 상기 열풍을 이송하는 제 1 이송관; 및 상기 제 1 이송관과 연통되며, 상기 제 1 분쇄모듈에서 분쇄된 상기 슬러지를 향해 상기 열풍을 방출하는 제 1 방출관을 포함하고,
    상기 교반부는,
    제 1 본체모듈과 연결형성되는 제 2 본체모듈;
    상기 제 2 본체모듈 내부에 형성되며, 원통형의 제 2 몸체;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중공상의 제 2 중심축이 회전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제 2 중심축에는 다수의 제 2 디스크가 구비되어 상기 슬러지를 한 방향으로 이송시키며, 상기 제 2 중심축을 통하여 공급되는 저압증기가 상기 각각의 제 2 디스크 내부로 유입되어 이송되는 상기 슬러지가 건조되도록 하는 제 2 교반모듈을 포함하고,
    상기 제 2 몸체에는, 상부 일측으로 상기 분쇄부로부터 전달받은 상기 슬러지를 공급하는 제 2 투입구가 구비되고, 상기 제 2 몸체의 하부 반대쪽으로 건조된 상기 슬러지를 배출하는 제 2 배출구가 구비되는데, 상기 제 2 투입구 및 제 2 배출구는 제 2 밀폐형 투입기 및 제 2 밀폐식 배출기를 통하여 연결되어서 상기 제 2 몸체 내부가 밀폐되고,
    상기 제 2 디스크들은 중심에는 상기 제 2 중심축에 끼워지는 사각구멍이 천공되며, 내부에는 상기 제 2 중심축에 천공된 제 2 스팀구멍과 통하는 제 2 가열공간부가 마련되고,
    상기 열풍건조부는,
    공기정화부에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는 급기팬; 상기 급기팬으로 정화된 공기를 공급받으며,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적어도 일 영역에 형성되어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흡입하는 순환용팬을 포함하는 급기덕트; 상기 급기덕트에 분기되며, 내부에 열교환기를 포함하여 열풍을 생성하는 순환덕트; 상기 순환덕트에 의해 생성된 열풍을 상기 제 2 몸체 내부에 공급하는 열풍공급구;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배출하는 배기덕트를 포함하고,
    상기 열풍건조부는, 슬러지가 상기 교반부에 이송되면 상기 급기덕트에 설치된 댐퍼를 차단시키고, 상기 순환용팬을 가동시켜, 상기 제 2 몸체 내부의 공기를 상기 급기덕트로 흡입한 후, 상기 열교환기로 보내어 상기 공기를 가열하여 상기 열풍공급구를 통해 열풍을 상기 슬러지에 분사하여 슬러지 및 함유된 수분을 가열하여 수분을 연속 증발시키고, 건조 과정중 수분이 증발된 수증기와 상기 슬러지의 오염 가스는 상기 배기덕트 일측에 설치된 댐퍼가 개방되어 상기 공기정화부로 보내며,
    상기 가열부는,
    상기 교반부의 상기 제 2 몸체의 외주면의 측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상기 측면의 둘레를 따라 환형으로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과 밀착하여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측면 가열기; 및
    상기 제 2 몸체의 외주면의 하면을 적어도 일부분 감싸면서 상기 제 2 몸체의 하측에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하면과 밀착하여 상기 제 2 몸체 내부로 열을 공급하는 발열체 및 상기 발열체를 외측에서 감싸도록 형성되는 단열부를 포함하여 구성되는 하면 가열기를 포함하고,
    상기 측면 가열기는, 연결부재와 체결부재를 포함하여, 상기 제 2 몸체에 탈착 가능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측면 가열기는, 제1 유닛 및 2개의 제2 유닛으로 구성되고, 상기 연결부재는, 상기 제1 유닛과 상기 제2 유닛 간을 힌지 연결하고, 상기 체결부재는, 적어도 한 쌍의 볼트와 너트로 구성되어 상기 제2 유닛들의 단부가 맞닿도록 체결하고, 상기 볼트와 상기 너트의 조임에 의해 상기 측면 가열기의 내경이 조절되도록 구성되고, 상기 단열부는, 상기 발열체와 접하면서 상기 발열체를 감싸는 단열재 및 상기 단열재의 외측을 감싸면서 상기 단열부의 형상을 유지하는 하우징을 포함하는,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2. 삭제
KR1020200038989A 2020-03-31 2020-03-31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KR102184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89A KR102184821B1 (ko) 2020-03-31 2020-03-31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00038989A KR102184821B1 (ko) 2020-03-31 2020-03-31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184821B1 true KR102184821B1 (ko) 2020-12-01

Family

ID=7379054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00038989A KR102184821B1 (ko) 2020-03-31 2020-03-31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84821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7210A (zh) * 2023-11-17 2023-12-19 威海华友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高温分解装置及方法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59B1 (ko) 2007-02-09 2008-02-11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유기성 슬러지 건조기의 디스크 구조
KR20100065662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한창엔텍 슬러지 건조 장치
KR101329758B1 (ko) * 2013-08-01 2013-11-1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30126167A (ko) * 2012-05-11 2013-11-20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20170068026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네오디아 유기성 슬러지용 디스크 건조기
KR102111587B1 (ko) * 2019-11-07 2020-05-15 (주)제이피텍 슬러지 건조장치

Patent Citations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802259B1 (ko) 2007-02-09 2008-02-11 주식회사 대인기계공업 유기성 슬러지 건조기의 디스크 구조
KR20100065662A (ko) * 2008-12-08 2010-06-17 주식회사 한창엔텍 슬러지 건조 장치
KR20130126167A (ko) * 2012-05-11 2013-11-20 대구염색산업단지관리공단 슬러지의 슬라이스칩 가공장치, 이를 포함하는 슬러지의 건조장치 및 그 방법
KR101329758B1 (ko) * 2013-08-01 2013-11-14 주식회사 남부환경개발 하수 슬러지 처리 장치
KR20170068026A (ko) * 2015-12-09 2017-06-19 주식회사 네오디아 유기성 슬러지용 디스크 건조기
KR102111587B1 (ko) * 2019-11-07 2020-05-15 (주)제이피텍 슬러지 건조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7247210A (zh) * 2023-11-17 2023-12-19 威海华友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高温分解装置及方法
CN117247210B (zh) * 2023-11-17 2024-04-02 威海华友节能科技有限公司 一种污泥高温分解装置及方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GB2434195A (en) Drying apparatus with a liquid dispersal system utilising a high frequency agitator
KR102184821B1 (ko) 하·폐수슬러지 자원화 건조시스템
KR101634741B1 (ko) 유기성 폐기물 처리장치
US5220733A (en) Modular radiant plate drying apparatus
KR100905176B1 (ko) 보일러의 폐열을 이용한 음식물찌꺼기 건조장치
KR101548942B1 (ko) 음식물 감량기를 이용한 밀폐형 응축시스템
KR20180019884A (ko) 증발장치를 적용한 콘덴싱 보일러
KR100998199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101826974B1 (ko) 음식물쓰레기 처리기용 응축장치
KR102094966B1 (ko) 외부열원을 이용하는 흡착제습식 음식물 건조기
KR101957859B1 (ko) 가스를 열원으로 하는 열매체유 보일러를 이용한 악취 방지용 폐쇄회로형 음식물 쓰레기 건조 장치
KR100881642B1 (ko) 음식물 쓰레기 응축 건조 장치
JP3123350B2 (ja) 厨芥処理装置
KR101029913B1 (ko) 음식물 쓰레기 습,열교환식 건조장치
KR20090018266A (ko) 공기조화기의 응축수 처리장치
KR200442556Y1 (ko) 제어반 에어컨용 응축수 증발유닛
KR101527099B1 (ko) 엘리베이터용 에어콘
KR200165356Y1 (ko) 음식물 쓰레기 분말 처리장치
CN108522649A (zh) 一种具有品种分类可去除杂质的谷物干燥机
KR101025554B1 (ko) 음식물 쓰레기 처리장치
KR0181273B1 (ko) 가정용 소형 폐기물 건조기
JPH0538488A (ja) マグネトロンの温度センサーを有する生ゴミの処理装置
CN212270478U (zh) 一种工业用衣物洗涤后烘干装置
JP2003320341A (ja) 生ごみ処理装置
JPH08200953A (ja) 生ごみ処理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