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51299B1 -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치료 용도 - Google Patents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치료 용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51299B1
KR102151299B1 KR1020167002015A KR20167002015A KR102151299B1 KR 102151299 B1 KR102151299 B1 KR 102151299B1 KR 1020167002015 A KR1020167002015 A KR 1020167002015A KR 20167002015 A KR20167002015 A KR 20167002015A KR 102151299 B1 KR102151299 B1 KR 10215129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mpound
cancer
disease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olvat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6700201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160024392A (ko
Inventor
리사 파텔
스티븐 알란 스미스
이안 로버트 그레이그
사무엘 카메론 윌리엄스
Original Assignee
핌코 2664 리미티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핌코 2664 리미티드 filed Critical 핌코 2664 리미티드
Publication of KR2016002439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6002439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5129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5129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311/00Amides of sulfonic acids, i.e. compounds having singly-bound oxygen atoms of sulfo groups replaced by nitrogen atoms, not being part of nitro or nitroso groups
    • C07C311/15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 C07C311/20Sulfonamides having sulfur atoms of sulfonamide groups bound to carbon atoms of six-membered aromatic rings having the nitrogen atom of at least one of the sulfonamide groups bound to a carbon atom of a ring other than a six-membered aromatic rin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 A61P1/04Drugs for disorders of the alimentary tract or the digestive system for ulcers, gastritis or reflux esophagitis, e.g. antacids, inhibitors of acid secretion, mucosal protect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1/00Drugs for disorders of the respiratory system
    • A61P11/06Antiasthm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7/00Drugs for dermatological disorders
    • A61P17/06Antipsoriatic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2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joint disorders, e.g. arthritis, arth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19/0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 A61P19/08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 A61P19/10Drugs for skeletal disorders for bone diseases, e.g. rachitism, Paget's disease for osteoporos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9/00Non-central analgesic, antipyretic or antiinflammatory agents, e.g. antirheumatic agents; Non-steroidal antiinflammatory drugs [NSA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5/00Antineoplastic agents
    • A61P35/02Antineoplastic agents specific for leukem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37/00Drugs for immunological or allergic disorders
    • A61P37/02Immunomodulator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7/00Drugs for disorders of the blood or the extracellular fluid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DHETEROCYCLIC COMPOUNDS
    • C07D213/0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2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 C07D213/04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 C07D213/60Heterocyclic compounds containing six-membered rings, not condensed with other rings, with one nitrogen atom as the only ring hetero atom and three or mor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three double bonds between ring members or between ring members and non-ring members having no bond between the ring nitrogen atom and a non-ring member or having only hydrogen or carbon atoms directly attached to the ring nitrogen atom with hetero atoms or with carbon atoms having three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ester or nitrile radicals, directly attached to ring carbon atoms
    • C07D213/61Halogen atoms or nitro radicals
    • CCHEMISTRY; METALLURGY
    • C07ORGANIC CHEMISTRY
    • C07CACYCLIC OR CARBOCYCLIC COMPOUNDS
    • C07C2601/00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 C07C2601/12Systems containing only non-condensed rings with a six-membered ring
    • C07C2601/14The ring being saturated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al Education & Sports Medicine (AREA)
  • Rheumatology (AREA)
  • Orthopedic Medicine & Surgery (AREA)
  • Immunology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Dermat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Pain & Pain Management (AREA)
  • Diabete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Onc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Neurology (AREA)
  • Neurosurge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 Pyridine Compounds (AREA)
  • Medicines That Contain Protein Lipid Enzymes And Other Medicin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료 화합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염증 및/또는 관절 파괴 및/또는 골손실; 면역계의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와 연계된 골손실; 암, 예컨대 혈액학적 악성 종양, 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또는 림프종, 또는 고형 종양암, 예컨대 방광암, 유방암(자성 및/또는 웅성),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또는 희귀성 배스큘리타이드(rare vasculitide), 예컨대 베체트병을 포함하는 장애(예: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특정의 치환된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총괄하여 본 명세서에서 HMC 화합물로 지칭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예를 들어 요법(therapy)에 있어서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치료 용도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S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S AND THEIR THERAPEUTIC USE}
본 출원은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 포함되고 2013년 6월 26일자 출원된 영국 특허 출원 제1311361.8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일반적으로 치료 화합물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예를 들어, 염증 및/또는 관절 파괴 및/또는 골손실; 면역계의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와 연계된 골손실; 암, 예컨대 혈액학적 악성 종양, 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또는 림프종, 또는 고형 종양암, 예컨대 방광암, 유방암(자성 및/또는 웅성),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또는 희귀성 배스큘리타이드(rare vasculitide), 예컨대 베체트병을 포함하는 장애(예: 질환)의 치료에 유용한 특정의 치환된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총괄하여 본 명세서에서 HMC 화합물로 지칭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이러한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 및 예를 들어 요법(therapy)에 있어서 이러한 화합물 및 조성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상태를 더욱 완전하게 기재하고 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간행물이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있다. 각각의 이들 간행물은 마치 각각의 개별적인 간행물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원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정도로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
본 명세서 및 뒤따르는 특허청구범위 전반적으로, 문맥상 달리 요구되지 않는 한, 단어 "포함하다", 및 변형어, 예컨대 "포함하다(삼인칭 단수)" 및 "포함하는"은 언급된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의 포함을 내포하며 임의의 다른 정수 또는 단계 또는 정수들 또는 단계들의 그룹을 제외시키지 않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명세서 및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에서 사용된 단수형 "a", "an" 및 "the"는 문맥상 명백하게 달리 지시하지 않는 한 복수의 지시대상을 포함하는 것으로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예를 들어, "약제학적 담체"에 대한 언급은 2 가지 이상의 이러한 담체들의 혼합물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범위는 종종 "약" 일 특정값으로부터, 및/또는 "약" 다른 특정값까지로서 표현된다. 이러한 범위가 표현되는 경우, 다른 실시양태는 일 특정값으로부터 및/또는 또 다른 특정값까지 포함한다. 유사하게, 수치가 근사치로 표현되는 경우, 선행사 "약"의 사용에 의해 특정값이 다른 실시양태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본 명세서는 본 발명을 이해하는데 유용할 수 있는 정보를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 제공된 임의의 정보가 선행기술이거나 현재 청구되는 발명과 관련된 것으로 인정되지 않으며, 또는 구체적으로 또는 함축적으로 인용되는 임의의 간행물이 선행기술인 것으로 인정되지도 않는다.
만성 염증성 질환
염증은 신체 손상으로 인한 조직의 면역 반응이다. 급성 염증은 물리적 손상 또는 감염에 이어서 신체를 보호하고 치유하는 정상적이고 보호적인 반응이며, 손상 부위의 발열, 팽윤, 및 홍조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염증이 장기간 지속되면, 이는 만성이 된다. 만성 염증은 류머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전신 홍반성 루푸스, 다발성 경화증 및 건선을 포함하는 다양한 질환 병태의 특질이자 기여 인자이다.
염증성 과정은 복잡하며, 생리학적 반응을 변화시키는 분자 및 세포 신호의 생물학적 연쇄 반응을 포함한다. 손상 부위에서, 세포는 환부에서의 다수의 변화, 예컨대 혈관 팽창, 혈류 증가, 혈관 투과성 증가, 백혈구(white blood cell)에 의한 침입, 및 면역글로불린(항체)과 같은 단백질을 함유하는 유체의 삼출을 유발하는 사이토카인 및 인터류킨과 같은 분자 신호를 방출한다. 여러 가지 상이한 유형의 백혈구, 예컨대 과립구, 단핵구, 및 림프구가 염증성 연쇄 반응에 관여한다. 그러나, 만성 염증은 주로 단핵구 및 장수하는 대식세포에 의해 매개되며; 단핵구는 일단 이들이 혈류를 떠나 조직으로 들어가면 대식세포로 성숙한다. 대식세포는 외부 침입자인 미생물을 완전히 에워싸서 분해하며, 노화 세포 및 대식세포는 여러 가지 상이한 화학적 매개자, 예컨대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인터류킨(예: IL-1, IL-6, IL-12 및 IL-23) 및 염증성 반응을 영속시키는 프로스타글란딘을 방출한다. 후기 단계에서, 다른 세포들, 예컨대 림프구는 환부 조직에 침입한다.
따라서, 다양한 만성 염증성 병태의 근원이 되는 공통의 병리학이 존재한다. 또한, 만성 염증의 특징들은 암 및 대사성 질환, 예컨대 비만과 당뇨병을 포함하는 다른 질환에서도 관찰된다.
가장 보편적인 만성 염증성 병태 중의 하나는 류머티스 관절염(RA)이며, 이는 전세계 개체군의 2% 이하에 영향을 주는 병태이다. 비록 이것이 복잡한 질환이기는 하지만, 다양한 다른 질환, 예컨대 자가면역(예: 다발성 경화증), 염증(예: 죽상동맥경화증 및 암), 골손실(예: 골다공증) 및 증식(예: 혈액학적 악성 종양)의 구성요소를 동반하는 질환에 공통적인 RA의 진행과 연계되는 다수의 생리학적, 세포적, 및 생화학적 인자들이 존재한다. 이는 RA를 이해하는 것이 훨씬 더 광범위한 질환의 연구에 중요할 뿐아니라 이들 공통 과정의 변형을 통해 작용하는 약제학적 제제가 RA를 초월하는 유용성을 나타낼 수 있으리라는 것을 시사한다. 후자는 RA 약물이 각종 기타 병태들에 대한 광범위한 유용성을 나타내는 것으로 관찰된 임상 실무에 의해 입증된다.
류머티스 관절염 및 관련 자가면역/염증성 질환
류머티스 관절염(RA)은 진행성 관절 악화와 결합된 다관절의 활액 라이닝의 만성 염증을 특징으로 하는 자가면역 장애이다. RA는 보통 손목 및 손의 관절에 영향을 주며, 팔꿈치, 어깨, 둔부, 목 및 무릎에도 영향을 주어 중증의 통증 및 장애를 유발한다(예를 들어, 문헌[Scott et al., 2010] 참조). 세계 보건 기구는 2천 3백 7십만의 사람들이 RA에 걸려 있으며, 병태 및 연령 증가의 연계로 인하여 발병률이 증가하고 있다고 예측한다.
모든 자가면역 장애의 경우와 같이, RA의 정확한 원인은 명확하지 않지만, 가능한 유발인자로는 자기면역관용의 감소, 환경 인자에 대한 비정상적 반응, 감염성 제제, 및 호르몬 자극을 들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Klareskog et al., 2006; Firestein et al., 2005] 참조).
세포 수준에서, RA의 발생은 보통 환부 관절의 활액막 라이닝에 T-세포가 침윤하는 것으로 시작되며; 그 후, 이는 세포-세포 접촉 및 후속적인 다양한 사이토카인, 예컨대 종양 괴사 인자-알파(TNFα) 및 전염증 인터류킨, 예컨대 IL-1, IL-6, IL-12 및 IL-23의 방출에 의한 단핵구, 대식세포 및 활액 섬유아세포의 활성화를 유발한다(예를 들어, 문헌[Astry et al., 2011] 참조). 이들 전염증 사이토카인은 염증성 반응을 전파하고 또한 조직 파괴를 촉진하는 다양한 산물을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유도를 유발하는 NFκB, 인터페론 조절 인자(IRF), 톨-유사 수용체(Toll-like receptor; TLR), 및 Jak/STAT 경로(예를 들어, 문헌[Malemud et al., 2010] 참조)를 포함하는 여러 가지 복잡한 신호 전달 연쇄 반응을 조정하는 방편이다. 이들 산물로는 조직-분해성 효소, 예컨대 콜라게나제,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제(MMP), 카텝신, 및 기타 전염증 인자, 예컨대 셀렉틴, 인테그린, 류코트리엔, 프로스타글란딘, 케모카인, 및 기타 사이토카인을 들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McInnes et al., 2007; Smolen et al., 2003] 참조). 또한, 이들 세포들도 MMP의 생산을 증가시킴으로써, 파골세포로 공지된 세포 및 핵인자 카파-B 리간드의 수용체 활성화제(RANKL)로 공지된 인자의 전문화된 부류를 수반하는 과정(예를 들어, 문헌[Takayanagi, 2009] 참조)인 세포외 매트릭스의 분해 및 관절 내부 연골의 손실을 초래한다(예를 들어, 문헌[Sun, 2010] 참조).
RANKL은 파골세포 생성의 필수 인자이며, 상향조절된 RANKL-생산은 파골세포 분화의 증가 및 궁극적으로 골파괴를 유발한다(예를 들어, 문헌[Long et al., 2012] 참조). RA에서의 염증성 반응은 림프구, 수지상 세포, 및 대식세포의 축적을 유발하며, 이들 모두는 국소적으로 작동하여 골파괴에 대한 RANKL의 효과를 추가로 강화하는 사이토카인 및 기타 전염증 매개자, 예컨대 TNFα 및 IL-6을 생산한다. 또한, 염증성 연쇄 반응은 활막 세포의 과형성을 유발하며(예를 들어, 문헌[Takayanagi, 2009] 참조), 이는 결과적으로 활막의 비대화 및 혈관화를 유발하여 파누스로 알려진 파괴적이고 공격적인 조직이 된다. 파누스는 뼈를 파괴하는 파골세포와 연골의 파괴에 관여하는 메탈로프로테이나제 양자 모두를 함유한다. 이와 같이, RANKL 축은 RA뿐 아니라 골면역계(면역 및 골 시스템 사이의 상호 작용)의 진행 및 병리학에 중요하며, 이는 하기에 기재하는 다수의 상이한 질환 병태의 병리학에 중심이 된다.
RA에서 TNFα의 역할
수용체 및 리간드의 TNF 수퍼패밀리는 염증 및 연계된 국소 및 전신 골손실을 유발하는데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TNFα는 대식세포 기능의 많은 측면들을 조절하는 강력한 전염증제이다. 이는 외상, 감염 또는 박테리아 유래의 LPS에 노출된 후 신속히 방출되며, 염증이 생긴 조직에서 가장 풍부한 초기 매개자 중의 하나로 밝혀졌다. 그의 다양한 기능 중 하나는 전염증 사이토카인 연쇄 반응의 생산을 조정하는데 중심적인 역할을 하는 것이다. 전염증 사이토카인뿐 아니라, TNFα도 프로스타글란딘과 같은 지질 신호 전달 매개자를 증가시킨다. 이러한 역할을 기초로 하여, TNFα는 염증성 세포 활성화 및 보충에 중심적인 역할 수행자로 제안되었으며, 류머티스 관절염을 포함하는 많은 만성 염증성 질환의 발달에 중요한 역할을 하는 것으로 시사된다(예를 들어, 문헌[Liu, 2005; Feldmann et al., 2001; Brennan et al., 1996; Brennan et al., 1992] 참조). RA에서 TNFα의 중요성은 TNFα를 차단하는 항체가 RA의 동물 모델에서 염증을 예방할 수 있으며, 항-TNFα 요법이 현재 가장 효과적인 RA의 치료라는 발견에 의해 강조된다(예를 들어, 문헌[Pisetsky, 2012] 참조, 추가의 구체적인 내용은 하기에 제공됨).
TNFα 자신은 전자 인자들인 NFκB 및 AP-1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신호전달 연쇄 반응에 착수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문헌[Parameswaran et al., 2010] 참조). 이들 각각의 수용체에 대한 TNFα 및 IL-1의 결합은 TRAF로 불리는 다운스트림 신호 전달자의 보충을 유발한다. 추가의 키나제들은 TRAF에 의해 보충되며, 생성된 키나제 복합체는 MAP-키나제 경로를 활성화하고, 궁극적으로 AP-1의 활성화, 및 IκB 키나제의 인산화를 유발한다. IκB는 NFκB의 저해제이며, NFκB의 핵으로의 전위을 예방함에 의해 작용한다. IκB 키나제에 의한 IκB의 인산화는 IκB의 분해를 유발한다. 일단 IκB가 분해되면, NFκB는 핵으로 이동하며, 여기에서 이는 항-자멸성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고, 이는 T- 및 B-세포의 생존을 촉진함으로써 면역 반응을 연장한다. 염증성 반응의 이와 같은 연장은 RA의 만성적 성질에 중심이 된다. NFκB 활성화의 중요성은 저해성 펩티드에 의한 NFκB 활성의 저해가 RA의 동물 모델에서 관절염을 예방할 수 있다는 사실에 의해 입증된다(예를 들어, 문헌[Jimi et al., 2004] 참조).
류머티스 관절염의 기타 중요 인자들
상술한 바와 같이, TNFα 및 NFκB에 추가하여 다수의 인자들이 RA 및 기타 만성 염증성 질환의 염증을 촉진하는 작용을 한다. 이들로는 IL-6 및 인터페론 조절 인자(IRF)를 들 수 있다.
인터류킨-6(IL-6)는 그의 수준이 RA의 염증 중에 다양한 면역계 세포들, 주로 대식세포 및 T 세포가 활성화되면 증가되는 전염증 사이토카인이다. 이는 급성 단계 반응에서의 그의 중요한 역할을 통해 질환에서 다면 발현성 효과를 나타내며, 급성에서 만성 염증으로 전이되는 것을 관리하는데 깊숙이 관여한다. 이는 염증 공간에서의 백혈구 침윤의 조성을 개질하고 이를 호중구에서 단핵구/대식세포로 이동시킴에 의해 역할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문헌[Gabay, 2006] 참조). 또한, IL-6는 T- 및 B-세포에 자극 효과를 발휘함으로써 만성 염증성 반응뿐 아니라 파골세포에 조력하며, 이에 따라 뼈의 순환을 촉진한다. 이들 효과는 RA 이외의 광범위한 자가면역/염증성 질환, 예컨대 전신 홍반성 루푸스, 죽상동맥경화증, 건선, 건선성 관절염,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쇼그렌 증후군, 죽상동맥경화증, 및 염증성 장질환뿐 아니라 암, 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및 전립선암의 병리학에 관여한다. 또한, IL-6는 골손실을 수반하는 질환(예: 골다공증), 섬유증에 의해 매개되는 질환(예: 전신성 경화증), 당뇨병, 이식 거부, 다양한 암들(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림프종, 전립선암), 신경퇴행성 질환(예: 알츠하이머), 정신과 장애(예: 우울증), 및 특정의 희귀성 배스큘리타이드(예: 베체트병)에 연루되어 있다. 전체적인 개관을 위해서는 문헌(예를 들어, Rincon, 2012)을 참조할 수 있다.
인터페론 조절 인자(IRF)는 건강 및 질환 상태에서의 세포 반응의 전사적 조절에서 다양한 기능을 하는 전사 인자 계열로 구성된다. IRF는 보통 N-말단에 DNA-결합 도메인을 함유하며, 대부분의 구성원들은 또한 단백질-단백질 상호작용을 매개하는 C-말단 IRF-연계 도메인을 함유한다. 10 가지 IRF 및 여러 가지 바이러스-암호화 IRF 동족체가 포유류에서 동정되었다. IRF는 면역 반응 중에 내인성 및 미생물 자극에 반응하여 활성화되며, 다양한 염증성 과정에 관여하는 주요 사이토카인 및 전사 인자들의 발현을 선택적으로 그리고 협조적으로 조율한다. 예를 들어, 박테리아 리포폴리사카라이드에 대한 수용체 TLR-4의 자극은 NFκB 및 IRF-5 양자 모두를 활성화하는 신호전달 연쇄 반응을 활성화하는 한편, IRF-7은 역시, 그러나 독립적으로, IL-6에 의해 활성화되는 전사 인자의 STAT 계열이 관여하는 과정에 의해 활성화된다.
IRF의 활성화는 다수의 다운스트림 효과, 예컨대 대식세포 운명의 특정화(예를 들어, 문헌[Krausgruber et al., 2011] 참조), T 헬퍼 세포 분화(예를 들어, 문헌[Zhang et al., 2012] 참조) 및 B-세포 증식(예를 들어, 문헌[Minamino et al., 2012] 참조)을 유발한다. 질환에서의 이들 다양한 역할은, 예를 들어, 염증성 자극에 반응하여 IL-6 및 TNFα의 수준 감소를 나타내는 동물 녹아웃 모델로부터의 데이터에 의해 강조된다(예를 들어, 문헌[Takaoka et al., 2005] 참조).
앞에 기재된 IRF의 생물학적 역할에 추가하여, 여러 가지 IRF 계열 구성원들은 염증성 병태에 대한 소인과 유전적으로 연계되어 있다. 예를 들어, IRF-3 및 IRF-7에서의 다형성은 전신 홍반성 루푸스에 대한 감수성과 연계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Akahoshi et al., 2008; Fu et al., 2011] 참조). 또한, 대식세포의 운명을 제어하는 IRF-5는 RA, 전신 홍반성 루푸스, 베게너 육아종증, 쇼그렌 증후군, 및 전신성 경화증에 대한 감수성과 연계되어 있다(예를 들어, 문헌[Sharif et al., 2012; Hu et al., 2011] 참조).
류머티스 관절염의 치료
RA의 조기 치료는 질환 진행의 지연보다는 주로 염증 감소에 의한 질환 증상의 제어에 초점이 맞추어져 있다. 이들 약물로는 NSAID, 예컨대 아스피린, 디클로페낙, 및 나프록센을 들 수 있다. 염증은 글루코코르티코이드에 의해 추가로 제어되며, NSAID와 이들의 조합은 상당히 효과적인 단기 염증 제어를 제공하였다. 더욱 최근에, 질환의 진행을 늦추거나 심지어 방지하는 작용을 하는 소위 질환-조정 항류머티스제(disease-modifying anti-rheumatic drugs; DMARD)를 사용하여, 질환 의 개시에 시작되는, RA를 치료하는 더욱 공격적인 접근법이 도입되었다. 이들은 다수의 더욱 오래된 약물들, 예를 들어, 금염; 설파살라진; 항말라리아제, 예컨대 하이드록시클로로퀸; D-페니실라민; 면역억제제, 예컨대 미코페놀산, 아자티오프린, 사이클로스포린 A, 타크롤리무스 및 시롤리무스; 미노사이클린; 레플루노미드; 및 가장 중요하게, 메토트렉세이트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문헌[Smolen et al., 2003] 참조).
메토트렉세이트는 현재 임상 시험 비교용의 골드-표준 요법(gold-standard therapy)이며, 일반적으로 더 새로운 요법과 조합 사용된다. 이는 대부분의 환자에서 효과적이지만, 상기 제제들 모두와 마찬가지로 중증 위장관 부작용을 나타내며, 이는 약 50%의 환자들이 궁극적으로 치료 중단을 하도록 한다(예를 들어, 문헌[Mount et al., 2005] 참조). 이들 더 오래된 DMARD의 추가 결점은 메토트렉세이트의 경우 수 주에서부터 금염의 경우 수 개월에 걸쳐 있는, 약물이 작용을 개시하기까지 걸리는 시간이다. 약 4분의 1의 환자들에서 완치가 이루어지지만, 효과를 전혀 보이지 않는 환자들의 경우 더욱 급격한 질환 리바운드의 위험을 겪지 않고 요법을 중단하는 것은 가능하지 않다(예를 들어, 문헌[Smolen et al., 2003] 참조).
최근에, RA의 치료는 특이적 염증성 경로를 표적으로 하는 생물학적 제제의 출현에 의하여 대변혁이 일어났다. 여러 가지 생물학적 제제들, 예컨대 토실리주맙(Actemra®) 및 아나킨라(Kineret®)와 같은 항-IL-6 및 IL-1 생물의약품이 현재 RA에 사용하도록 승인되었다(예를 들어, 문헌[Scott et al., 2010] 참조). 그러나, 최초의 가장 중요한 생물학적 제제는 항-종양 괴사 인자(항-TNF) 요법이다.
항-TNFα 요법은 RA에 대한 시장-선도 치료이다. 각종 항-TNFα 제제들, 예컨대 인플릭시맙(Remicade®; J&J 및 Schering Plough) 및 아달리무맙(Humira®; Abbott)과 같은 중화 항체, 또는 에타네르셉트(Enbrel®; Amgen 및 Wyeth)와 같은 유인용 수용체를 이용할 수 있으며, 양자 모두 크론병 및 건선과 같은 다른 질환뿐 아니라 RA에 대해 유효하며 매우 효과적인 치료를 나타낸다. 다수의 기타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도 잠재적인 표적으로서 조사되었다. TNFα의 작용을 차단하기 위한 다른 접근법으로는 페그(pegylated) 항-TNFα 단편 세르톨리주맙(Cimzia®, UCB)을 들 수 있다. 이들 모든 요법은 궁극적으로 NFκB를 포함하여 상기 기재한 TNFα의 다운스트림 이펙터의 활성화를 방지하는 작용을 한다. 그러나, 이들의 시장에서의 성공에도 불구하고, 항-TNFα 요법은 림프종과 같은 특정 악성 종양 및 레지오넬라 및 리스테리아와 같은 중증 감염의 위험성 증가뿐 아니라 심부전, B형 간염의 재활성화, 및 탈수 질환의 위험성 증가를 포함하는 다수의 부작용을 겪게 한다.
마지막으로, 및 가장 최근에, JAK 키나제 저해제인 토파시티닙(Xeljanz®, Pfizer)은 RA 치료 범위를 보강하였다. 그러나, 토파시티닙은 사람에서의 사용을 제한하기 쉬운 중증 감염의 위험성 증가뿐 아니라 위장관 천공, 간 손상, 및 특정 암의 위험성 증가를 포함하는 다수의 안전성 문제를 겪게 한다(예를 들어, 문헌[O'Shea et al., 2013] 참조).
이와 같이, 특별히 안전성 개선에 주력한, RA 및 기타 염증성 질환에 대한 새롭고 개선된 요법에 대한 필요가 존재한다.
골면역계 및 골 장애
골면역계는 면역계 및 골격계 사이의 조합되고 관련된 상호 작용에 대한 용어이다.
정상적인 생리학적 조건하에, 골격계는 중요 기관들에 대한 지원, 이동성 및 보호를 제공하며, 칼슘과 포스페이트에 대한 미네랄 저장소이다. 이들 기능을 달성하고 조정하기 위해서, 골격은 연속적인 파골세포-매개된 골 재흡수 및 골아세포-매개된 골 침착을 특징으로 하는 동적 평형으로 존재한다(예를 들어, 문헌[Karsenty et al., 2002] 참조). 이러한 생물학적 과정은 뼈의 "리모델링"으로 불리며, 주요 파골세포 분화 인자, 예컨대 상기 기재된 RANKL을 생산하는 골아세포, 및 파골세포가 뼈를 분해함에 따라 골아세포 매개자를 생산함으로써 골형성을 촉진하는 파골세포가 커플링된 방식으로 일어난다.
내재 및 적응 면역 세포 양자 모두는 각종 세포-표면 및 분비된 매개자들을 통해 파골세포 및 골아세포에 효과를 나타낸다(예를 들어, 문헌[Takayanagi, 2009] 참조). 파골세포 전구체에 대한 RANKL 수용체(RANK)의 활성화는 전사적 변화의 연쇄 반응을 개시하며, 이는 파골세포의 형성과 골 접착, 산 분비 및 단백질 분해에 필요한 분자들을 포함하는 골 재흡수에 필요한 조직의 발현을 초래한다. 파골세포 분화에 중요한 많은 전사 인자들, 예컨대 NFκB 및 활성화된 T 세포 c1의 핵 인자(NFATc1)는 면역 반응의 주요 조절자이며, 이 과정은 또한 염증에 관여하는 인자들, 예컨대 TNFα 및 IL-6에 의해 강화된다.
RA의 진행 및 발병에 있어서의 중요한 역할에 부가하여, 골면역계는 골다공증 및 기타 골 장애 및 암을 포함하는 다수의 기타 질환들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예를 들어, 문헌[Dallas et al., 2011] 참조).
골다공증은 골밀도 감소, 골조직 퇴행 및 골절의 위험성 증가를 특징으로 하는 흔한 질환이다. 불량한 식이, 운동 결핍, 흡연 및 과도한 알콜 섭취를 포함하는 많은 인자들이 골다공증의 발병에 기여한다. 골다공증은 또한 염증성 질환,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내분비 질환, 예컨대 갑상선 중독증, 및 특정 약물 치료, 예컨대 글루코코르티코이드를 사용한 치료와 연계되어 발생한다. 실제로, 골다공증-관련 취성 골절은 RA, 전신 홍반성 루푸스, 및 강직성 척추염과 같은 류마티스 질환을 나타내는 환자에서 발생할 수 있는 가장 중요한 합병증 중의 하나이다.
뼈의 파제트병은 파골세포 및 골아세포 활성이 증가된 부위를 동반하는, 골의 대사 회전(turnover) 증가 및 체계적이지 못한 골 리모델링을 특징으로 하는 원인불명의 일반적인 병태이다. 파제트병에 걸린 뼈가 종종 정상보다 밀도가 높기는 하지만, 비정상적인 알키텍쳐는 뼈가 기계적으로 약해지도록 하며, 결과적으로 뼈의 기형 및 병적인 골절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초래한다.
IL-6, TNFα 및 RANKL 신호전달은 파골세포 과다-활성 및 결과적인 골손실의 증가에 있어서 주된 역할을 수행하는 것으로 밝혀졌다(예를 들어, 문헌[Tanaka et al., 2003; Roodman, 2006] 참조). 이들 경로에 영향을 미치는 약물의 사용은 골다공증/다발성 골수종의 치료를 위한 RANKL, AMG-162(Denosumab®, Amgen)에 대한 단클론항체의 임상 시험의 완료에 의해, 그리고 항-TNFα 및 항-IL-6 요법도 관절염 질환들에서 골손실을 예방한다는 것을 보여주는 일련의 증거의 증가에 의해 승인되었다(예를 들어, 문헌[Ogata et al., 2012; Billau, 2010] 참조).
골면역계 및 암
많은 유형의 암이 뼈에 영향을 미친다. 암-관련 골질환은 고칼슘혈증의 발생 또는 용골성 및/또는 골경화성 전이의 전개에 의해 분명해질 수 있다. 파골세포성 골 재흡수 증가는 양자 모두의 병태의 발병에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거의 모든 암이 뼈의 전이에 의해 복잡해질 수 있지만, 가장 일반적인 공급처는 다발성 골수종, 유방 암종, 및 전립선 암종이다. 고칼슘혈증과 연계되는 가장 보통의 종양은 다발성 골수종, 유방 암종, 및 폐 암종이다.
앞에서 기재한 바와 같이, RANK/RANKL 신호전달은 골격 리모델링 중에 일어나는 파골세포 형성 및 골 재흡수에 필수적이다. RANK/RANKL 신호전달의 생리학적 수준이 유선 상피 세포의 증식 및 세포 생존을 자극하는 한편, 이들 조직에서의 비정상적 RANK/RANKL 신호전달은 유방 종양발생의 개시 및 진행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최근 밝혀졌으며, 데노수맙(Xgeva®, Amgen)을 사용한 RANKL 신호전달의 차단은 뼈 전이의 이차적인 합병증, 예컨대 병적인 골절, 및 유방암 환자에서의 고칼슘혈증을 예방하는데 효과적인 것으로 밝혀졌다(예를 들어, 문헌[Steger et al., 2011] 참조).
RANK/RANKL 신호전달을 차단하는 요법은 또한 골친화성 암이 뼈로 전이되는 능력을 감소시킬 수 있다. 인간 상피 종양 세포뿐 아니라 흑색종 세포의 표면에서 RANK를 통한 신호전달은 이들 종양 세포에서 화학주성 반응을 유도하는 것으로 밝혀진 반면, 흑색종 전이의 쥐과 모델에서 RANKL 수용체인 RANK를 중화시키는 오스테오프로테그린을 사용한 마우스의 치료는 다른 기관들을 제외학 뼈 내부에서 종양 부담을 현저히 감소시켰다.
암에서의 RANKL에 대한 역할에 부가하여, TNFα와 같은 분자를 통한 NFκB의 활성화가 혈액학적 악성 종양, 예컨대 골수종 및 림프종, 및 고형암, 예컨대 유방암, 전립선암, 및 폐암의 양자 모두의 촉진 및 진행에 있어서 중요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는 것에 대한 증거가 분명해지고 있다(예를 들어, 문헌[Baud et al., 2009] 참조). 암에 있어서 그리고 방사선요법과 화학요법제에 대한 저항성의 발달에 있어서 염증 및 골면역계의 역할 및 중요성에 대한 인식 역시 증가하고 있다. 또한, 염증이 사실상 암의 기본적인 특질 중 하나임이 시사되었다(예를 들어, 문헌[Mantovani, 2009] 참조). 따라서, NFκB 활성화의 예방에 의한 항암 치료 효능의 개선은 기존의 치료 체계를 증강시키는 유망한 전략이며, 현재 가장 현저하게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에 대한 조사가 이루어지고 있다.
정상적인 자멸성(apoptotic) 경로에 있어서의 결함은 또한, 종양 세포 성장뿐 아니라 염증의 발달 및 진행에 연루되어 있다. 자멸(프로그래밍된 세포 사멸)은 비정상적 세포의 제거; 정상적으로는 그의 유도를 초래하는 신호전달 연쇄 반응에 있어서의 결함에 중요한 역할을 수행하며, 발암에 있어서도 중요한 역할을 수행한다. 방사선요법 및 많은 화학요법제들은 정상적으로는 자멸을 유도하는 세포 손상을 유발함으로써 작용하며; 따라서 경로에 있어서의 결함은 또한 이러한 제제의 유효성을 감소시킬 것이다. 자멸에 이르는 신호전달 경로에 있어서 가장 중요한 이펙터 분자는 캐스파제로 알려져 있으며, 이는 그의 수용체에 대한 TNFα의 결합을 포함하는다수의 자극에 의해 촉발될 수 있다. 캐스파제를 암호화하는 유전자의 돌연변이가 다수의 종양 유형, 예컨대 위암, 유방암, 신세포암, 및 자궁경부암뿐 아니라 일반적으로 T-세포 림프아구성 림프종 및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에서 발견되었다(예를 들어, 문헌[Philchenkov et al., 2004] 참조). 캐스파제를 활성화하여 자멸에 대해 세포를 감수성으로 만드는 화합물들은 단일 제제로서 또는 기존의 암 화학요법 및 방사선요법의 유효성을 증진시킴에 있어서 암요법제로서 매우 효과적일 것이다.
염증 붕괴 골면역계의 예방 제제
본 발명자들은 염증 및/또는 골손실을 예방함으로써 염증성 또는 자가면역 구성요소를 동반하는 질환,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염증성 장질환, 전신 홍반성 루푸스, 죽상동맥경화증, 천식,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포도막염, 골반 염증성 질환, 자궁내막증, 건선 및 건선성 관절염; 골손실을 수반하는 질환,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뼈의 파제트병, 및 다발성 골수종과 연계된 골손실; 뿐 아니라 NFκB의 활성화, 비정상적 NFκB 신호전달, 또는 염증 또는 IL-6 과다 생성과 연계된 암, 예를 들어, 혈액학적 악성 종양, 예컨대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T-세포 림프아구성 림프종, 및 기타 림프종(예: 비-호지킨 림프종), 및 고형 종양, 예컨대 방광암, 유방암(자성 및/또는 웅성), 대장암, 신장암, 폐암, 췌장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및 흑색종; 캐스파제-매개된 세포 사멸의 불활성화 또는 손상과 연계된 암, 예컨대 위암, 유방암, 신장암, 자궁경부 암, 및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IRF-5의 조절된 활성과 연계된 병태, 예를 들어, 베게너 육아종증 및 전신성 경화증; IL-6의 과다 생성과 연계된 섬유증, 예컨대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IL-6 과다 생성과 연계된 신경퇴행성 질환, 예컨대 알츠하이머 질환; IL-6 과다 생성과 연계된 정신과 장애, 예컨대 우울증; IL-6 과다 생성과 연계된 혈관형성 질환, 예컨대 노화-관련된 시력 감퇴 및 당뇨병성 망막증, IL-6 연계된 과형성, 예컨대 캐슬맨 질환 및 IL-6 과다 생성과 연계된 특정 희귀성 배스큘리타이드, 예컨대 베체트병의 치료에 사용될 수 있는 새로운 화합물들을 동정하였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의해 구애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이러한 작용이 TNFα 및/또는 RANKL-신호전달 및/또는 IRF 활성의 차단 및/또는 IL-6 생성의 저해를 수반하는 메카니즘을 통할 수 있다고 믿는다.
공지 화합물
문헌(Wang et al., 2010)은 일견 고친화성 및 선택적인 도파민 D3 수용체 완전 작용제인 특정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그 안에 나타낸 화합물의 예는 하기를 포함한다(예를 들어, 문헌 내의 페이지 18-19 및 48-50 참조):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1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2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3
문헌(Chen et al., 2012)은 유사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문헌(Tsutsumi et al., 2005)은 일견 DPP-IV 저해 활성을 나타내며, 일견 II형 당뇨병 및 비만의 치료에 유용한 특정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하기 화합물을 페이지 192의 실시예 89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4
문헌(Hadida et al., 2007)은 주장한 바에 따르면 ATP-결합 카세트("ABC") 전달자 또는 그의 단편, 예컨대 낭포성 섬유증 막투과 전도 조절자("CFTR")로 유용한 특정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하기 화합물을 페이지 77의 실시예 208에 나타내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5
문헌(Ralston et al., 2005)은 골 장애, 예컨대 골다공증, 류머티스 관절염, 암관련 골질환, 및 파제트병의 치료; 및 염증 또는 면역계의 활성화와 연계된 병태의 치료에서 파골세포 생존, 형성, 및/또는 활성을 저해하기 위하여; 파골세포에 의해 매개되고/되거나 골 재흡수를 특징으로 하는 병태를 저해하기 위하여 사용하는 특정 비페닐-4-설폰산아미드를 기재한다. 그 안에 나타낸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6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8
Figure 112016007573294-pct00009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0
문헌(Greig et al., 2006)은 유사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문헌(Greig et al., 2008)은 염증 및/또는 관절 파괴 및/또는 골손실;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면역계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및 강직성 척추염; 및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및 파제트병에서의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의 치료용 특정 비페닐-4-설폰산아미드를 기재한다. 그 안에 나타낸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1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2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3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4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5
문헌(Greig et al., 2010b)은 염증 및/또는 관절 파괴 및/또는 골손실;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면역계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및 강직성 척추염;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및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 및 암, 예컨대 혈액학적 악성 종양 및 고형 종양의 치료용 특정 비페닐-4-설폰산아미드를 기재한다. 여기에 나타낸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6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8
문헌(Greig et al., 2013)은 유사 화합물들을 기재한다.
문헌(Greig et al., 2010a)은 염증 및/또는 관절 파괴 및/또는 골손실;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면역계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 염증성 및 자가면역 장애, 예를 들어,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및 강직성 척추염;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및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 및 암, 예컨대 혈액학적 악성 종양 및 고형 종양의 치료용 특정 비페닐-4-설폰산아미드를 기재한다. 여기에 나타낸 화합물의 예로는 하기를 들 수 있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19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0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1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2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3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4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5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6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8
Figure 112016007573294-pct00029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0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1
개선된 특성을 나타내는 신규 화합물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공지 화합물, 특히 문헌(Greig et al., 2010a)에 나타낸 화합물에 존재하는 여러 가지 독성 문제(toxic liability)에 대해 보호되어 있으며, 질환 모델에서 개선된 효능을 나타낸다.
임의의 특정 이론에 구애되고자 하는 것은 아니지만, 본 발명자들은 비아릴환 구조상의 치환기 및 이들 위치의 특정 조합이 놀라운 특성을 일으킨다고 믿는다. 생체내 급성 독성학에 있어서의 실질적인 개선에 부가하여, 이들 조합은 공지 화합물에서 관찰되는 일반적인 세포독성, 유전독성, 및 심혈관 안전성 문제로부터 화합물을 보호한다. 구체적으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유전독성에 대해 음성이며, 일반적인 세포독성에 있어서 실질적인 개선을 보이고, 주요 심혈관계 안전성 문제를 나타내는 인간 에테르-а-이동-이동 관련 유전자(hERG; human Ether-a-go-go-Related Gene)의 저해에 대해 실질적으로 보호되어 있다.
약물이 임상적으로 사용되고자 하는 경우, 이는 적합한 안전성 및 효능 프로파일을 나타내어야 한다. 이는 적절한 급성 안전성을 나타내어 심각한 일반적인 부작용의 예측이 없이 인간에 대한 투약을 허용하여야 한다. 또한, 유전독성을 나타내는 제제들은 인간에게 발암 물질로 작용할 수 있으므로 유전자 손상(유전독성)을 유발하지 않아야 한다. 임상적으로 허용되는 약물은 또한, 저해되는 경우 QT 연장 증후군으로 알려진 치명적인 심장 장애를 유발할 수 있는 이온-채널인 hERG를 저해하지 않아야 한다. 이들 안전성 특성과 함께, 약물은 생물학적 표적에 대해 충분히 강력한 효능을 나타내어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제공하여야 하고; 위장관으로부터 흡수되기에 충분한 용해도를 나타내어야 하며; 생물학적 표적에 도달하기 위해 충분히 오래 순환계에 남아있도록 충분한 안정성을 나타내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예를 들어, 문헌(Greig et al., 2010a)에 나타낸 화합물과 비교하여 류머티스 관절염 모델에서 개선된 효능이 입증되었다. 이는 질환에 대한 효과의 규모가 더 크다는 것뿐 아니라 더 큰 효능의 두 가지 측면에서 입증되며, 양자 모두, 중요하게는, 질환이 이미 확고해졌을 때 HMC 화합물이 투여되는 경우에 관찰된다. 이는 이들 화합물의 사용에 대한 임상적 설정을 반영한다. 또한 이들 효과는 명시적인 독성이 없이 관찰된다.
약물의 독성학적 특성(유해 효과)의 감소는 약력학적(신체에 대한 약물의 작용) 및 약동학적(약물에 대한 신체의 작용) 특성의 최적화와 비교하여 균등한 도전 및 중요성을 갖는 개발상의 장벽이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생체내 약동학에 있어서의 변화 또는 생물학적 표적에 대한 효능의 손실이 거의 또는 전혀 없으면서도 일반적인 급성 생체내 독성학, 유전독성 및 세포독성 안전성, 및 심혈관계 안전성의 개선에 의해 (공지 화합물과 비교하여) 경구 치료제로서 실질적인 이점들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예를 들어, 만성 염증성 병태, 골손실, 및 암 치료용 경구 활성 제제에 요구되는 특성들을 조합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특정의 치환된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본 명세서에서는 총괄하여 HMC 화합물로 지칭됨)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예: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예: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요법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 신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료,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적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a)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조성물로서 적합한 용기 내에 및/또는 적합한 포장과 함께 제공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b) 사용 설명서, 예를 들어, 화합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대한 서면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을 수 있는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을 포함하는 방법에 의해 얻어진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신규 중간체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합성 방법에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이와 같은 신규 중간체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당업자에 의해 인식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측면의 특징 및 바람직한 실시양태는 또한, 본 발명의 다른 측면들과 관련된다.
도 1은 하기 생물학적 연구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HMC-C-02-A(좌측 상단), (B) HMC-C-01-A(중간 상단), (C) HMC-N-02-A(우측 상단), (D) HMC-N-01-A(좌측 하단), (E) HMC-C-01-B(중간 하단), (F) HMC-N-01-B(우측 하단) 각각의 경우, 10 mg/kg/일로 위관 영양법에 의해 투약된 시험 화합물(하얀 원) 및 대조군(까만 원)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평균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6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2는 하기 생물학적 연구 6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10 mg/kg/일의 ABD899(좌측), (B) 0.3 mg/kg/일 및 3 mg/kg/일의 HMC-C-01-A(우측) 각각의 경우, 시험 화합물(하얀 원, 하얀 정사각형), 대조군(까만 원)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시판되는 약물 에타네르셉트(삼각형)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2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3은 하기 생물학적 연구 11에 기재된 바와 같이, (A) 3 mg/kg/일로 투약된 ABD899(좌측 상단), (B) 3 mg/kg/일로 투약된 HMC-C-01-A(중간 상단), (C) 3 mg/kg/일로 투약된 HMC-N-01-A(우측 상단), (D) 10 mg/kg/일로 투약된 ABD899(좌측 하단), (E) 10 mg/kg/일로 투약된 HMC-C-01-A(중간 하단), 및 (F) 10 mg/kg/일로 투약된 HMC-N-01-A(우측 하단) 각각의 경우, 시험 화합물(하얀 원), 대조군(까만 원)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메토트렉세이트(삼각형)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평균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6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화합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치환된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화합물로 편리하게 기재될 수 있는 특정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2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3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편의상, 총괄하여 "HMC 화합물"로 본 명세서에서 지칭됨)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이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4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5
사이클로헥실 환의 한쪽 면의 치환기(즉, 우측면의 -OH 및 -CH3)는 분자의 나머지에 대해(즉, 이들이 결합되어 있는 사이클로헥실 환에서, 사이클로헥실 환의 파라 위치에 결합된 화합물의 나머지에 대해) "트랜스"/"시스" 또는 "시스"/"트랜스"로 위치할 수 있음에 주목해야 한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6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모든 입체배좌는 특정 입체배좌를 지정하지 않은 화합물의 인용에 의해 포괄되고자 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들에서와 같이 "트랜스-OH" 입체배좌이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8
일 실시양태에서, 화합물은 예를 들어 하기 화합물들에서와 같이 "시스-OH" 입체배좌이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39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0
사이클로헥산 환이 "체어", "보트" 또는 "트위스트" 입체배좌를 취할 수 있으며, 입체배좌 사이의 상호변환이 가능함에 주목해야 한다. 달리 표시되지 않는 한, 이러한 모든 입체배좌(예: "체어", "보트", "트위스트", "OH는 축방향(axial)", "OH는 수평 방향(equatorial)" 등)는 특정 입체배좌를 지정하지 않은 화합물의 인용에 의해 포괄되고자 한다.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
본 발명의 일 측면은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 및/또는 실질적으로 불순물이 없는 형태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적어도 5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6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7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8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0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5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7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8 중량%, 예를 들어, 적어도 99 중량%이다.
특정되지 않는 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임의의 입체배좌 형태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예를 들어,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입체배좌 형태들의 혼합물, 즉, 다른 화합물에 대해 정제된 것을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하나의 입체배좌 형태를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입체배좌 형태들의 혼합물을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입체배좌 형태들의 동몰량 혼합물을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불순물은 5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4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3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2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10 중량% 이하, 예를 들어, 5 중량% 이하, 예를 들어, 3 중량% 이하, 예를 들어, 2 중량% 이하, 예를 들어, 1 중량% 이하를 나타낸다.
특정되지 않는 한, 불순물은 다른 화합물, 즉, 입체배좌 형태 이외의 화합물을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불순물은 다른 화합물 및 다른 입체배좌 형태를 지칭한다.
일 실시양태에서, 실질적으로 정제된 형태는 적어도 60%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고(즉, 몰 기준으로 60%의 화합물이 목적하는 입체배좌를 나타내고, 40%는 목적하지 않은 입체배좌 형태(들)임), 예를 들어, 적어도 70%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80%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고, 예를 들어, 적어도 90%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95%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고, 예를 들어, 적어도 97%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며, 예를 들어, 적어도 98%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고, 예를 들어, 적어도 99% 입체배좌적으로 순수하다.
이성체
특정 화합물은 시스- 및 트랜스-형태; E- 및 Z-형태; c-, t-, 및 r- 형태; 엔도- 및 엑소-형태; R-, S-, 및 메소-형태; D- 및 L-형태; d- 및 l-형태; (+) 및 (-) 형태; 케토-, 에놀-, 및 에놀레이트-형태; 신- 및 안티-형태; 향사- 및 배사-형태; α- 및 β-형태; 축 및 수평 형태; 보트-, 체어-, 트위스트-, 엔벨롭-, 및 하프체어-형태; 및 그의 조합을 포함하지만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 하나 이상의 특정 기하이성체, 광학이성체, 에난티오머, 디아스테레오머, 에피머, 아트로프, 입체이성체, 토토머, 입체배좌, 또는 아노머 형태로 존재할 수 있으며, 이하 총괄하여 "이성체"(또는 "이성체 형태")로 지칭된다.
한 부류의 구조에 대한 언급은 당연히 당해 부류 범주에 속하는 구조적 이성체 형태들을 포함한다(예를 들어, C1-7알킬은 n-프로필 및 이소-프로필을 포함하고; 부틸은 n-, 이소-, sec-, 및 tert-부틸을 포함하며; 메톡시페닐은 오르토-, 메타-, 및 파라-메톡시페닐을 포함). 그러나, 특정 기 또는 치환 패턴에 대한 언급은 공간적 위치에 의해서 보다는 원자 사이의 연결에 있어서 상이한 다른 구조(또는 입체배치 이성체들)를 포함하고자 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메톡시기 -OCH3에 대한 언급은 그의 구조 이성체인 하이드록시메틸기 -CH2OH를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유사하게, 오르토-클로로페닐에 대한 언급은 그의 구조 이성체 메타-클로로페닐을 언급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는다.
상기 배제는, 예를 들어, 하기 토토머쌍에서와 같이, 예를 들어, 케토-, 에놀- 및 에놀레이트-형태의 토토머 형태에 적용되지 않는다: 케토/에놀(하기 예시됨), 이민/엔아민, 아미드/이미노 알콜, 아미딘/아미딘, 니트로소/옥심, 티오케톤/엔티올, N-니트로소/하이드록시아조, 및 니트로/아시-니트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1
용어 "이성체"에는 하나 이상의 동위원소 치환을 동반하는 화합물이 구체적으로 포함됨에 주목해야 한다. 예를 들어, H는 1H, 2H(D), 및 3H(T)를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고; C는 11C, 12C, 13C, 및 14C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으며; O는 15O, 16O 및 18O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고; N은 14N 15N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으며; F는 18F 및 19F을 포함하는 임의의 동위원소 형태일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화합물의 언급은 그의 혼합물(예: 라세미 혼합물)을 포함하여 이러한 모든 이성체 형태를 포함한다. 이러한 이성체 형태의 제조(예: 비대칭 합성) 및 분리(예: 분별 결정 및 크로마토그래피 수단) 방법은 당업계에 공지되어 있거나 본 명세서에 교시되거나 공지된 방법을 공지된 방식으로 조정하여 쉽게 얻어진다.
화합물의 상응하는 염,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의 예가 문헌(Berge et al., 1977, "Pharmaceutically Acceptable Salts," J. Pharm. Sci., Vol. 66, pp. 1-19)에 논의되어 있다.
예를 들어, 화합물이 음이온성이거나 음이온성일 수 있는 작용기(예를 들어, -COOH는 -COO-일 수 있슴)를 갖는다면, 적합한 양이온과 함께 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양이온의 예로는 알칼리금속 이온, 예컨대 Na+ 및 K+, 알칼리토금속 양이온, 예컨대 Ca2+ 및 Mg2+, 및 기타 양이온, 예컨대 Al3+를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적합한 유기 양이온의 예로는 암모늄 이온(즉, NH4 +) 및 치환된 암모늄 이온들(예: NH3R+, NH2R2 +, NHR3 +, NR4 +)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일부 적합한 치환된 암모늄 이온의 예는 하기로부터 유래된 것이다: 에틸아민, 디에틸아민, 디사이클로헥실아민, 트리에틸아민, 부틸아민, 에틸렌디아민, 에탄올아민, 디에탄올아민, 피페라진, 벤질아민, 페닐벤질아민, 콜린, 메글루민, 및 트로메타민뿐 아니라, 아미노산, 예컨대 리신 및 아르기닌. 보통의 4급 암모늄 이온의 예는 N(CH3)4 +이다.
화합물이 양이온성이거나 양이온성일 수 있는 작용기(예를 들어, -NH2는 -NH3 +일 수 있슴)를 갖는다면, 적합한 음이온과 함께 염이 형성될 수 있다. 적합한 무기 음이온의 예로는 하기 무기산 유래의 것들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염산, 브롬화수소산, 요오드화수소산, 황산, 아황산, 질산, 아질산, 인산, 및 아인산. 적합한 유기 음이온의 예로는 하기 유기산 유래의 것들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2-아세티옥시벤조산, 아세트산, 아스코르브산, 아스파르트산, 벤조산, 캄포설폰산, 신남산, 시트르산, 에데트산, 에탄디설폰산, 에탄설폰산, 푸마르산, 글루코헵톤산, 글루콘산, 글루탐산, 글리콜산, 하이드록시말레산, 하이드록시나프탈렌 카복실산, 이세티온산, 락트산, 락토비온산, 라우르산, 말레산, 말산, 메탄설폰산, 점액산, 올레산, 옥살산, 팔미트산, 파모산, 판토텐산, 페닐아세트산, 페닐설폰산, 프로피온산, 피루브산, 살리실산, 스테아르산, 숙신산, 설파닐산, 타르타르산, 톨루엔설폰산, 및 발레르산. 적합한 중합체성 유기 음이온의 예로는 하기 중합체성 산으로부터 유래된 것들을 들 수 있으나, 이로 제한되지는 않는다: 탄닌산,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언급은 또한, 그의 염 형태를 포함한다.
용매화물 및 수화물
화합물의 상응하는 용매화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용어 "용매화물"은 본 명세서에서 용질(예: 화합물, 화합물의 염) 및 용매의 복합체를 지칭하는 관용적인 의미로 사용된다. 용매가 물이면, 용매화물은 편리하게, 수화물, 예를 들어, 일수화물, 이수화물, 삼수화물 등으로 편리하게 지칭될 수 있다.
달리 특정되지 않는 한, 특정 화합물에 대한 언급은 또한, 그의 용매화물 및 수화물 형태를 포함한다.
화학적으로 보호된 형태
화학적으로 보호된 형태의 화합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화학적으로 보호된 형태"는 관용적인 화학적 의미로 사용되며, 하나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가 특정 조건(예: pH, 온도, 방사선, 용매 등) 하에 바람직하지 않은 화학적 반응으로부터 보호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실무적으로, 특정 조건 하에 달리 반응성일 수 있는 작용기를 가역적으로 비반응성으로 되게 하기 위해 주지의 화학적 방법이 채용된다. 화학적으로 보호된 형태에서, 하나 이상의 반응성 작용기들은 보호되거나 보호기(차폐되거나 차폐기 또는 차단되거나 차단기로도 공지됨)의 형태이다. 반응성 작용기를 보호함에 의해, 보호된 기에 대한 영향없이 다른 비보호된 반응적 작용기가 관여하는 반응들이 실행될 수 있고; 보통 후속 단계에서 분자의 나머지에 대한 실질적인 영향없이 보호기가 제거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Protective Groups in Organic Synthesis(T. Green and P. Wuts; 4th Edition; John Wiley and Sons, 2006)] 참조).
이와 같이 매우 다양한 "보호", "차단" 또는 "차폐" 방법이 폭넓게 사용되며 유기 합성에 주지되어 있다. 예를 들어, 양자 모두 특정 조건 하에 반응성일 수 있는 2 개의 균등하지 않은 반응성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유도체화하여 작용기중 1 개를 "보호함으로써" 특정 조건 하에 비반응성으로 되게 할 수 있으며; 그렇게 보호된 화합물은 효과적으로 1 개의 반응성 작용기만을 갖는 반응물질로서 사용될 수 있다. 목적하는 반응(다른 작용기가 관여된)이 완료된 후, 보호기를 "탈보호화"하여 그의 원래 작용성으로 복귀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아민기는, 예를 들어, 아미드(-NRCO-R) 또는 우레탄(-NRCO-OR)으로서, 예를 들어, 메틸 아미드(-NHCO-CH3); 벤질옥시 아미드(-NHCO-OCH2C6H5, -NH-Cbz); t-부톡시 아미드(-NHCO-OC(CH3)3, -NH-Boc); 2-비페닐-2-프로폭시 아미드(-NHCO-OC(CH3)2C6H4C6H5, -NH-Bpoc), 9-플루오레닐메톡시 아미드(-NH-Fmoc), 6-니트로베라트릴옥시 아미드(-NH-Nvoc), 2-트리메틸실릴에틸옥시 아미드(-NH-Teoc), 2,2,2-트리클로로에틸옥시 아미드(-NH-Troc), 알릴옥시 아미드(-NH-Alloc), 2-(페닐설포닐)에틸옥시 아미드(-NH-Psec)로서; 또는 적합한 경우(예: 사이클릭 아민), 니트록시드 라디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2
)로서 보호될 수 있다.
전구약물
전구약물 형태의 화합물을 제조, 정제, 및/또는 취급하는 것이 편리하거나 바람직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전구약물"은 대사되는 경우(예: 생체내) 목적하는 활성 화합물을 생산하는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전형적으로, 전구약물은 불활성이거나 목적하는 활성 화합물보다 활성이 작지만, 유리한 취급, 투여 또는 대사 특성을 제공할 수 있다.
화학적 합성
HMC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되어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추가적인 HMC 화합물들의 합성을 촉진하기 위하여 이들 및/또는 기타 주지 방법들이 공지의 방식으로 변형되고/되거나 조정될 수 있다.
조성물
본 발명의 일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포함하는 조성물(예를 들어, 약제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조성물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예: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조성물(예: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에 관한 것이다.
용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를 포함하는 장애(예: 질환)를 치료하는데 유용하다.
치료법에서의 용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요법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 신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요법에 의해 인간 또는 동물 신체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를 치료하는 방법에 사용하기 위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와 조합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의 용도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료,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약제는 HMC 화합물을 포함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치료,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용 약제의 제조에 있어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의 용도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약제는 HMC 화합물 및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포함한다.
치료 방법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적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을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치료적 유효량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바람직하게 약제학적 조성물의 형태로 본 명세서에 기재된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부가적인 치료제를 치료를 필요로 하는 환자에게 투여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장애(예: 질환)의 치료 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료되는 병태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성 장애 또는 자가면역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 및/또는 면역계의 활성화와 연계되는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과도하고/하거나 부적절하고/하거나 지속적인 면역계의 활성화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 또는 면역계의 활성화와 연계되는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또는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류머티스 관절염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건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건선성 관절염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천식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죽상동맥경화증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강직성 척추염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성 장질환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이식 후 기관 또는 이식편 거부를 유발하는 면역 반응의 예방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IRF-5 발현 또는 활성이 비정상적인 염증성 병태의 예방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TNFα, IL-1, IL-6, RANKL, 및/또는 NFκB를 과발현하는 종양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TNFα, IL-1, RANKL, NFκB, IRF, 예컨대 IRF-3, -5 또는 -7 및/또는 IL-6 발현 또는 활성 또는 신호전달의 저해가 세포독성 살종양제(cytotoxic tumouricidal agents)의 작용을 촉진하거나 개선하는 종양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혈액학적 악성 종양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다발성 골수종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백혈병; 예를 들어, 급성 림프아구성 백혈병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림프종; 예를 들어, 비-호지킨 림프종, T-세포 림프종(예: T-림프아구성 림프종, 결절외 T-세포 림프종, 피부 T-세포 림프종,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혈관면역모세포 T-세포 림프종), 및 B-세포 림프종(예: 호지킨 림프종, 비-호지킨 림프종)(예: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 점막-관련 림프 조직 림프종, 소림프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모발 세포 백혈병 및 버킷 림프종)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고형 종양암, 예를 들어, 방광암, 유방암(자성 및/또는 웅성),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혈액학적 악성 종양(예: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등) 및 고형 종양암(예: 방광암 등)은 비정상적 NFκB 신호전달 또는 염증을 동반하는 NFκB의 활성화와 연계되어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혈액학적 악성 종양(예: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등) 및 고형 종양암(예: 방광암 등)은 캐스파제 유도의 불활성화 또는 손상이나 비정상적 캐스파제 신호전달과 연계되어 있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증식성 장애; 예를 들어, 캐슬맨 질환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하기 중에서 선택된 질환 또는 장애의 치료이다: 염증성 또는 자가면역 구성요소를 갖는 질환, 예컨대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알레르기성 질환, 예컨대 아토피, 알레르기성 비염, 아토피성 피부염, 과민증, 알레르기성 기관지 폐의 아스페르질루스증, 및 과민성 폐렴(비둘기 증식로 질환, 농부 폐질환, 가습기 폐질환, 맥아 생산자 폐질환); 알레르기, 예컨대 가축, 예를 들어, 개 및 고양이와 같은 포유류에서의 벼룩 알레르기 피부염, 모기 교상 또는 기타 곤충침 알레르기, 독성 아이비, 옻나무(poison oak), 독성 옻나무(poison sumac), 또는 기타 피부 알레르기 유발 항원을 포함하는 접촉성 알레르기 유발 항원; 자가면역 장애, 예컨대 I형 당뇨병 및 연계된 합병증, 다발성 경화증, 관절염, 전신 홍반성 루푸스, 자가면역(하시모토) 갑상선염, 자가면역 간질환, 예컨대 간염 및 원발 담즙성 간경변, 갑상선 기능 항진증(그레이브 질환; 갑상선 중독증), 인슐린-저항성 당뇨병, 자가면역 부신 기능 부전증(애디슨병), 자가면역 난소염, 자가면역 고환염, 자가면역 용혈성 빈혈, 발작성 한랭혈색소뇨증, 베체트병, 자가면역 혈소판 감소증, 자가면역 호중구 감소증, 악성 빈혈, 순수 적혈구계 빈혈, 자가면역 응고장애, 자궁내막증, 중증근무력증, 실험적 알레르기성 뇌척수염, 자가면역 다발 신경염, 수포창 및 기타 수포성 질환, 류머티스 심장염, 구드패스츄어 증후군, 심장절개후 증후군, 쇼그렌 증후군, 다발성근염, 피부근염, 및 피부 경화증; 부적절한 염증에 의해 야기된 질환 상태, 국소 또는 전신, 예를 들어, 과민성 또는 염증성 장 증후군(Mazzucchelli et al., 1996), 피부 질환, 예컨대 편평태선, 지연형 과민증, 만성 폐 염증, 예를 들어, 폐포염 및 폐육아종, 잇몸 염증 또는 기타 치주 질환, 및 치내요법 기원의 병변과 연계된 골성 염증(Volejnikova et al., 1997), 과민성 폐 질환, 예컨대 과민성 폐렴 (Sugiyama et al., 1995), 및 호염기구로부터의 히스타민 방출 관련 염증(Dvorak et al., 1996), 예컨대 건초열, 비만 세포로부터의 히스타민 방출(Galli et al., 1989), 또는 비만 세포 종양, 1형 과민 반응의 유형들(과민증, 피부 알레르기, 두드러기, 통풍, 알레르기성 비염, 및 알레르기성 위장염); 궤양성 대장염 또는 크론병; TNFα 유도된 다낭성 신장 질환(Li et al., 2008); 또는 크리오피린-연계된 주기적 증후군, 예컨대 머클-웰스 증후군.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파골세포에 의해 매개되는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과도한 골 재흡수를 특징으로 하는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과 연계된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과 연계되지 않은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화와 연계된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관절 파괴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염증과 연계된 관절 파괴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화와 연계된 관절 파괴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화와 연계된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뼈의 파제트병과 연계된 골손실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뼈의 파제트병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원발 종양 또는 전이로서 뼈의 종양 형성, 예를 들어, 골육종 및 골종(예를 들어, 문헌[Zheng et al., 1998] 참조) 및 암-관련 골질환(예: 악성 종양의 고칼슘혈증, 뼈 전이, 용골성 뼈 전이, 다발성 골수종, 유방 암종)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골 재흡수 증가와 연계된 병태, 예를 들어, 비타민 D 중독, 원발 또는 3차 부갑상선기능항진, 고정화(immobilisation), 및 유육종증에 의해 유발되는 고칼슘혈증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보철 임플란트(예: 인공 관절, 예를 들어, 무릎, 고관절 등은 국소 염증에 의해 구동된 파골세포 활성으로 인하여 헐거워질 수 있슴)의 무균성 헐거워짐의 치료이다(예를 들어, 문헌[Childs et al., 2001] 참조).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골석화증, 골관절염, 또는 전위성 골형성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예컨대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의 치료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치료는 희귀성 배스큘리타이드, 예컨대 베체트병의 치료이다.
치료
본 명세서에서 병태의 치료 맥락에서 사용되는 용어 "치료"는 일반적으로, 인간이건 동물(예: 수의학적 적용에서)이건 어떤 목적하는 치료 효과, 예를 들어, 병태 진행의 저해가 달성되고, 진행 속도의 감소, 진행 속도의 중단, 병태의 증상 완화, 병태의 경감, 및 병태의 치유를 포함하는 치료 및 요법에 관한 것이다. 예방 수단으로서의 치료(즉, 예방)도 포함된다. 예를 들어, 병태가 아직 전개되지 않았지만 병태가 전개될 위험이 있는 환자에의 사용도 용어 "치료"에 의해 포괄된다.
예를 들어, 염증의 치료는 염증의 예방, 염증 발생률의 감소, 중증 염증의 감소, 염증 증상의 완화 등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치료적 유효량"은 어떤 목적하는 치료 효과를 나타내기에 효과적이며, 목적하는 치료 체계에 따라 투여되는 경우 합리적인 이익/위험비에 따른 화합물, 또는 화합물을 포함하는 물질, 조성물 또는 투여형의 양에 관한 것이다.
조합 요법
용어 "치료"는 2 가지 이상의 치료 또는 요법이,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또는 동시에 조합되는 조합 치료 및 요법을 포함한다. 예를 들어,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은 조합 요법에서, 예를 들어, 다른 제제, 예를 들어, 항-염증제 등과 함께 사용될 수도 있다. 치료 및 요법의 예로는 화학요법(활성 제제, 예를 들어, 약물, 항체(예: 면역요법에서), 전구약물(예: 광역학적 요법, GDEPT, ADEPT 등에서)의 투여); 수술; 방사선 요법; 광역학적 요법; 유전자 요법; 및 제어 식이요법을 들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하나 이상의 부가적인 치료제와 조합되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에 관한 것이다.
특정 조합은 그의 일반적인 상식 및 당업자에게 알려진 투약 체계를 사용하여 투여량을 선택하는 의사의 재량에 따른다.
제제(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기타 제제)는 동시에 또는 순차적으로 투여될 수 있고, 개별적으로 변화되는 용량 스케쥴로 상이한 경로를 통해 투여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순차적으로 투여되는 경우, 제제는 밀접 배치된 간격(예: 5-10 분의 기간) 또는 더 긴 간격(예: 1, 2, 3, 4 또는 그 이상의 시간 간격, 또는 필요에 따라 훨씬 더 긴 기간)으로 투여될 수 있으며, 정확한 투여량 체계는 치료 제제(들)의 특성에 따라 이루어진다.
제제(즉, 본 명세서에 기재된 화합물과 하나 이상의 기타 제제)는 단일 투여형으로 함께 제형화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개별적인 제제가 별개로 제형화되어 임의로 이들의 사용 설명서와 함께 키트의 형태로 함께 제공될 수 있다.
기타 용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시험관내 어세이의 일부로서, 예를 들어, 후보 숙주가 당해 화합물을 사용한 치료에 의해 이익을 얻을 것인지 결정하기 위하여 사용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은, 예를 들어, 다른 화합물, 다른 항-염증제 등을 동정하기 위한 어세이에서 표준으로서 사용될 수도 있다.
키트
본 발명의 일 측면은 (a) 예를 들어, 바람직하게 적합한 용기 내에 및/또는 적합한 포장과 함께 제공된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또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 및 (b) 사용 설명서, 예를 들어, 화합물 또는 조성물을 투여하는 방법에 대한 서면 설명서를 포함하는 키트에 관한 것이다.
일 실시양태에서, 키트는 하나 이상(예: 1, 2, 3, 4)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부가적인 치료제를 추가로 포함한다.
서면 설명서는 활성 성분이 적합한 치료를 제공하는 적응증 목록을 포함할 수도 있다.
투여 경로
HMC 화합물 또는 HMC 화합물을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은 전신적으로/말초적으로 또는 국소적으로(즉, 목적하는 작용 부위에) 임의의 편리한 투여 경로에 의해 대상에게 투여될 수 있다.
투여 경로는 경구(예를 들어, 섭취에 의해); 구강; 설하; 경피(예를 들어, 패치, 반창고 등에 의해); 경점막(예를 들어, 패치, 반창고 등에 의해); 비내(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점적제에 의해, 분무기 또는 건조 분말 전달 장치로부터); 눈(예를 들어, 점안제에 의해); 폐(예를 들어 에어로졸을 사용하여 예를 들어 입 또는 코를 통한 흡입 또는 흡입 요법에 의해); 직장(예를 들어, 좌제 또는 관장에 의해); 질(예를 들어, 페서리에 의해);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피내, 근육내, 정맥내, 동맥내, 심장내, 척추강내, 척수내, 관절낭내, 피막하, 안와내, 복강내, 기관내, 표피하, 관절내, 지주막하, 및 흉골내 주사; 예를 들어, 피하 또는 근육내로 데포 또는 저장소의 임플란트를 들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투여 경로는 경구(예를 들어, 섭취에 의해)이다.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투여 경로는 비경구(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이다.
대상/환자
대상/환자는 척색동물, 척추동물, 포유류, 태반 포유류, 유대목 동물(예를 들어, 캥거루, 웜뱃), 설치류(예를 들어, 기니아 피그, 햄스터, 랫트, 마우스), 쥐과(예를 들어, 마우스), 토끼목(lagomorph)(예를 들어, 토끼(rabbit)), 조류(avian)(예를 들어, 새(bird)), 개(canine)(예를 들어, 개(dog)), 고양이(feline)(예를 들어, 고양이(cat)), 말(equine)(예를 들어, 말(horse)), 돼지(porcine)(예를 들어, 돼지(pig)), 양(ovine)(예를 들어, 양(sheep)), 소(bovine)(예를 들어, 암소(cow)), 영장류, 원숭이(simian)(예를 들어, 원숭이(monkey) 또는 유인원), 원숭이(monkey)(예를 들어, 마모셋, 개코원숭이), 유인원(예를 들어, 고릴라, 침팬지, 오랑우탄, 긴팔원숭이), 또는 인간일 수 있다. 또한, 대상/환자는 예를 들어 태아와 같이 그의 임의의 발생 형태일 수 있다.
일 바람직한 실시양태에서, 대상/환자는 인간이다.
제형
HMC 화합물을 단독으로 투여할 수 있지만, 적어도 하나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아쥬반트, 충전제, 완충제, 방부제, 항산화제, 윤활제, 안정화제, 가용화제, 계면활성제(예: 습윤제), 차폐제, 착색제, 향미제, 및 감미제와 함께 포함하는 약제학적 제형(예: 조성물, 제제, 약제)로서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제형은 기타 활성 제제, 예를 들어, 기타 치료 또는 예방 제제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상기 정의한 바와 같은 약제학적 조성물, 및 적어도 하나의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당업자에게 주지된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담체, 희석제, 부형제 등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을 추가로 제공한다. 분리된 단위(예: 정제 등)로 제형화되는 경우, 각각의 단위는 예정된 양(투여량)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은 확실한 의학적 판단의 범주 내에서 과도한 독성, 자극, 알레르기 반응, 또는 기타 문제나 합병증 없이 합리적인 이익/위험비에 따라 당해 대상(예: 인간)의 조직과 접촉하여 사용하기에 적합한 화합물, 성분, 물질, 조성물, 투여형 등에 관한 것이다. 각각의 담체, 희석제, 부형제 등은 또한, 제형의 기타 성분과의 상용성의 의미에서 "허용되는" 것이어야 한다.
적합한 담체, 희석제, 부형제 등은 표준 약제학적 교재, 예를 들어, 문헌(Remington's Pharmaceutical Sciences, 18th edition, Mack Publishing Company, Easton, Pa., 1990; and Handbook of Pharmaceutical Excipients, 5th edition, 2005)에서 찾을 수 있다.
제형은 약학 분야에 주지된 임의의 방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이러한 방법은 화합물을 하나 이상의 보조적인 성분을 구성하는 담체와 연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제형은 화합물을 담체(예: 액체 담체, 미분된 고체 담체 등)와 균일하고 긴밀하게 연합한 다음 필요에 따라 제품을 성형함에 의해 제조한다.
제형은 신속하거나 느린 방출; 속효성(immediate), 지연성(delayed), 지효성(timed), 또는 서방성(sustained); 또는 그의 조합을 제공하도록 제조할 수 있다.
제형은 적합하게 액체, 용액(예: 수성, 비-수성), 현탁액(예: 수성, 비-수성), 에멀젼(예: 수중유, 유중수), 엘릭시르, 시럽, 연약, 구강 청결제, 점적제, 정제(예: 코팅 정제), 과립, 산제, 로젠지, 파스틸, 캡슐(예: 경질 및 연질 젤라틴 캡슐), 카시에, 환제, 앰플, 볼루스, 좌제, 페서리, 팅크, 겔, 페이스트, 연고, 크림, 로션, 오일, 폼, 스프레이, 미스트, 또는 에어로졸 형태일 수 있다.
제형은 적합하게 하나 이상의 화합물 및 임의로 하나 이상의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예를 들어, 침투, 투과, 및 흡수 증진제가 주입된 패치, 접착성 반창고, 밴드, 드레싱 등으로 제공될 수 있다. 제형은 적합하게 데포 또는 저장소의 형태로 제공될 수도 있다.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에 용해되거나, 현탁되거나, 이와 혼합될 수 있다. 화합물은 화합물이, 예를 들어, 혈액 구성요소 또는 하나 이상의 기관을 표적으로 하도록 고안된 리포좀 또는 기타 미세 미립자로 제시될 수 있다.
경구 투여(예: 섭취에 의해)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액체, 용액(예: 수성, 비-수성), 현탁액(예: 수성, 비-수성), 에멀젼(예: 수중유, 유중수), 엘릭시르, 시럽, 연약, 정제, 과립, 산제, 캡슐, 카시에, 환제, 앰플, 볼루스를 들 수 있다.
구강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구강 청결제, 로젠지, 파스틸뿐 아니라 패치, 접착성 반창고, 데포, 및 저장소를 들 수 있다. 로젠지는 전형적으로 향미 기제, 보통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 또는 트라가칸트 내에 화합물을 포함한다. 파스틸은 전형적으로 불활성 매트릭스, 예컨대 젤라틴 및 글리세린, 또는 수크로즈 및 아카시아 내에 화합물을 포함한다. 구강 청결제는 전형적으로 적합한 액체 담체 내에 화합물을 포함한다.
설하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정제, 로젠지, 파스틸, 캡슐, 및 환제를 들 수 있다.
경구 경점막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액체, 용액(예: 수성, 비-수성), 현탁액(예: 수성, 비-수성), 에멀젼(예: 수중유, 유중수), 구강 청결제, 로젠지, 파스틸뿐 아니라 패치, 접착성 반창고, 데포, 및 저장소를 들 수 있다.
비-경구 경점막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액체, 용액(예: 수성, 비-수성), 현탁액(예: 수성, 비-수성), 에멀젼(예: 수중유, 유중수), 좌제, 페서리, 겔, 페이스트, 연고, 크림, 로션, 오일뿐 아니라 패치, 접착성 반창고, 데포, 및 저장소를 들 수 있다.
경피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겔, 페이스트, 연고, 크림, 로션, 및 오일뿐 아니라 패치, 접착성 반창고, 밴드, 드레싱, 데포, 및 저장소를 들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하나 이상의 보조 성분과 함께 관용적인 수단, 예를 들어, 압축 또는 성형에 의해 제조할 수 있다. 압축 정제는 분말 또는 과립과 같은 자유-유동성 형태의 화합물을 임의로 하나 이상의 결합제(예: 포비돈, 젤라틴, 아카시아, 솔비톨, 트라가칸트,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 충전제 또는 희석제(예: 락토즈, 미세결정성 셀룰로즈, 인산수소칼슘); 윤활제(예: 마그네슘 스테아레이트, 활석, 실리카); 붕해제(예: 소듐 스타치 글리콜레이트, 가교 포비돈, 가교 소듐 카복시메틸 셀룰로즈); 계면활성제 또는 분산제 또는 습윤제(예: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 방부제(예: 메틸 p-하이드록시벤조에이트, 프로필 p-하이드록시 벤조에이트, 솔브산); 향미제, 향미 증진제, 및 감미제와 혼합하여 적합한 기계 내에서 압축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성형 정제는 불활성 액체 희석제로 가습된 분말 화합물의 혼합물을 적합한 기계 내에서 성형하여 제조할 수 있다. 정제는 코팅되거나 눈금이 매겨질 수 있으며, 목적하는 방출 프로파일을 제공하기 위해 비율을 변화시키면서, 예를 들어, 하이드록시프로필메틸 셀룰로즈를 사용하여 그 안에 있는 화합물의 느리거나 제어된 방출을 제공하도록 제형화될 수 있다. 정제는 임의로, 예를 들어, 방출에 영향을 주기 위한 코팅, 예를 들어, 장용성 코팅을 동반하여 제공됨으로써 위가 아니라 내장 부위에서 방출되도록 할 수 있다.
연고는 전형적으로 화합물 및 파라핀성 또는 수-혼화성 연고 기제로부터 제조된다.
크림은 전형적으로 화합물 및 수중유 크림 기제로부터 제조된다. 경우에 따라, 크림 기제의 수성상은, 예를 들어, 적어도 약 30% w/w의 다가알콜, 즉, 2개 이상의 하이드록실기를 갖는 알콜, 예컨대 프로필렌 글리콜, 부탄-1,3-디올, 만니톨, 솔비톨, 글리세롤 및 폴리에틸렌 글리콜 및 이들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제형은 바람직하게, 피부 또는 기타 환부를 통한 화합물의 흡수 또는 침투를 증진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피부 침투 증진제의 예로는 디메틸 설폭사이드 및 관련 유사체들을 들 수 있다.
에멀젼은 전형적으로 화합물 및 유성상으로부터 제조되며, 유성상은 임의로 유화제(달리 유탁화제(emulgent)로도 알려짐) 만을 포함할 수 있거나 적어도 하나의 유화제와 지방 또는 오일 또는 지방 및 오일 양자 모두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바람직하게, 친수성 유화제는 안정화제로 작용하는 친유성 유화제와 함께 포함된다. 오일 및 지방 양자 모두를 포함하는 것도 바람직하다. 동시에, 안정화제(들)을 동반하거나 동반하지 않는 유화제(들)는 소위 이멀시파잉 왁스를 구성하며, 오일 및/또는 지방과 함께 왁스는 크림 제형의 유성 분산상을 형성하는 소위 이멀시파잉 연고 기제를 구성한다.
적합한 유탁화제 및 에멀젼 안정화제로는 트윈(Tween) 60, 스팬 80, 세토스테아릴 알콜, 미리스틸 알콜, 글리세릴 모노스테아레이트 및 소듐 라우릴 설페이트를 들 수 있다. 약제학적 에멀젼 제형에서 사용되기 쉬운 대부분의 오일에서의 화합물 용해도가 매우 낮을 수 있으므로, 제형용으로 적합한 오일 또는 지방의 선택은 목적하는 화장 특성의 달성에 기초하여 이루어진다. 따라서 크림은 바람직하게 튜브 또는 기타 용기로부터의 누출을 피하기 위한 적합한 농도를 동반하는 기름기없고, 오염이 없으며 세척가능한 제품이어야 한다. 직쇄 또는 분지쇄, 일염기성 또는 이염기성 알킬 에스테르, 예컨대 디-이소아디페이트, 이소세틸 스테아레이트, 코코넛 지방산의 프로필렌 글리콜 디에스테르, 이소프로필 미리스테이트, 데실 올리에이트, 이소프로필 팔미테이트, 부틸 스테아레이트, 2-에틸헥실 팔미테이트 또는 분지쇄 에스테르의 블렌드(크로다몰 CAP로 공지됨)를 사용할 수 있으며, 마지막 3 가지가 바람직한 에스테르이다. 이들은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사용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고융점 지질, 예컨대 화이트 소프트 파라핀 및/또는 액체 파라핀 또는 기타 광유도 사용될 수 있다.
담체가 액체인 경우 비내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예를 들어, 비강 스프레이, 점비제, 또는 분무기에 의한 에어로졸 투여를 들 수 있으며, 화합물의 수성 또는 유성 용액을 포함한다.
담체가 고체인 경우 비내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스너프(snuff)를 취하는, 즉, 코에 가까이 댄 분말 용기로부터 코의 통과를 통해 신속히 흡입하는 방식으로 투여되는, 예를 들어, 약 20 내지 약 500 마이크로미터 범위의 입자 크기를 나타내는 거친 분말로서 제공되는 것들을 예로 들 수 있다.
폐 투여(예를 들어, 흡입 또는 흡입 요법에 의해)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적합한 추진제, 예컨대 디클로로디플루오로메탄, 트리클로로플루오로메탄, 디클로로-테트라플루오로에탄, 이산화탄소, 또는 기타 적합한 기체를 사용하여 가압 팩으로부터의 에어로졸 스프레이로서 제공되는 것들을 들 수 있다.
안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화합물이 적합한 담체, 특히 화합물용 수성 용매 내에 용해되거나 현탁되어 있는 점안제를 들 수 있다.
직장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은, 예를 들어, 천연 또는 경화 오일, 왁스, 지방, 반-액체 또는 액체 폴리올, 예를 들어, 코코아 버터 또는 살리실레이트를 포함하는 적합한 기제를 동반하는 좌제로서; 또는 관장 치료용 용액 또는 현탁액으로서 제공될 수 있다.
질 투여용으로 적합한 제형은 적절한 것으로 당업계에 공지된 담체를 화합물에 부가하여 함유하는 페서리, 탐폰, 크림, 겔, 페이스트, 폼 또는 스프레이 제형으로 제공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예를 들어, 주사에 의해)용으로 적합한 제형으로는 화합물이 용해되거나, 현탁되거나, 또는 달리 제공되는(예를 들어, 리포좀 또는 기타 미세 미립자 내에서) 수성 또는 비-수성, 등장성, 발열원-결여, 멸균성 액체(예: 용액, 현탁액)를 들 수 있다. 이러한 액체는 기타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성분, 예컨대 항산화제, 완충제, 방부제, 안정화제, 세균 발육 저지제, 현탁화제, 증점제, 및 제형을 의도된 수령인의 혈액(또는 기타 관련 체액)과 등장성으로 되게하는 용질을 부가적으로 함유할 수 있다. 부형제의 예로는 물, 알콜, 폴리올, 글리세롤, 식물성유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제형에 사용하기 위한 적합한 등장성 담체의 예로는 염화나트륨 주사액, 링거액, 또는 젖산화 링거 주사액을 들 수 있다. 전형적으로, 액체 중의 화합물 농도는 약 1 ng/mL 내지 약 10 ㎍/mL, 예를 들어, 약 10 ng/mL 내지 약 1 ㎍/mL이다. 제형은 단위-용량 또는 다중-용량 밀봉된 용기, 예를 들어, 앰플 및 바이알 내에 제공될 수 있으며, 사용 직전에 멸균 액체 담체, 예를 들어, 주사용수의 첨가만을 필요로 하는 냉동-건조(동결건조)된 상태로 보관될 수 있다. 즉석 주사 용액 및 현탁액은 멸균 산제, 과립 및 정제로부터 제조할 수 있다.
투여량
HMC 화합물, 및 HMC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적절한 투여량이 환자에 따라 변화할 수 있음을 당업자가 인식할 것이다. 최적의 투여량 결정은 일반적으로 임의의 위험 또는 유해한 부작용에 대한 치료 이익 수준의 균형을 수반할 것이다. 선택된 투여량 수준은 특정 HMC 화합물의 활성, 투여 경로, 투여 시간, HMC 화합물의 배설 속도, 치료 기간, 조합 사용되는 기타 약물, 화합물, 및/또는 물질, 병태의 중증도, 및 환자의 종, 성별, 연령, 체중, 병태, 일반적인 건강, 및 이전 약력을 포함하는 각종 인자들에 좌우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투여량이 실질적으로 해롭거나 유해한 부작용을 유발하지 않고 목적하는 효과를 달성하는 작용 부위의 국소 농도를 달성하도록 선택될 것이기는 하지만, HMC 화합물의 양 및 투여 경로는 결국 의사, 수의사, 또는 임상의의 재량일 것이다.
투여는 치료 과정 전반에 걸쳐 연속적으로 또는 간헐적으로(예를 들어, 적절한 간격에 분리된 용량으로) 하나의 용량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가장 효과적인 투여 수단 및 투여량의 결정 방법은 당업자에게 주지되어 있으며, 요법에 사용되는 제형, 요법의 목적, 치료하고자 하는 표적 세포(들), 및 치료하고자 하는 대상에 따라 변화될 것이다. 치료하는 의사, 수의사, 또는 임상의가 선택한 용량 수준 및 패턴에 따라 단일 또는 다중 투여가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HMC 화합물의 적합한 용량은 하루에 대상의 체중 킬로그램당 약 50 ㎍ 내지 약 20 mg(더욱 전형적으로 약 100 ㎍ 내지 약 10 mg) 범위이다. 폐 투여(예를 들어, 흡입에 의해)의 경우, 적합한 투여량은 하루에 대상의 체중 킬로그램당 약 50 ng 내지 약 1 mg 범위이다. 화합물이 염, 에스테르, 아미드, 전구약물 등인 경우, 투여량은 모화합물을 기준으로 계산되며, 따라서 사용되는 실제 중량은 비례하여 증가한다.
화학적 합성
HMC 화합물의 화학적 합성 방법이 본 명세서에 기재된다. 대안적인 또는 개선된 합성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이들 및/또는 기타 주지 방법들(예를 들어, 문헌[Greig et al., 2010a; Bahmanyar et al., 2010] 참조)을 공지의 방식으로 변형하고/하거나 조정할 수 있다.
합성 1
(1r,4r)-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3
300 mL 오토클레이브에서 메탄올(100 mL) 중 (1r,4r)-4-(디벤질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올(7.5 g, 24.2 mmol)의 교반된 용액에 수산화팔라듐(물로 50% 습윤시킴; 2.0 g)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수소(50 atm; ~5 MPa)로 채우고 80 ℃에서 24 시간 동안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촉매를 여과하였다. 여액을 오토클레이브에 돌려보내고 수산화팔라듐(물로 50% 습윤시킴; 3.0 g)을 가하였다. 오토클레이브를 수소(50 atm; ~50 MPa)로 채우고 밤새 80 ℃로 가열하였다.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황백색 고무질 고체로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3.2 g, 정량적).
1H NMR:(400 MHz; CDCl3) δ 2.86-2.76 (1H, m), 1.84-1.76 (2H, m), 1.75-1.63 (2H, m), 1.55-1.43 (2H, m), 1.30-1.17 (5H, m).
합성 1A
(1s,4s)-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4
(1s,4s)-4-디벤질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의 4개 동일한 배치(각각의 배치는 15 g이고, 총 60 g임)를 별개로 다음과 같이 탈벤질화하였다: 에탄올(450 mL) 중의 (1s,4s)-4-디벤질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15 g, 193.9 mmol)에 10% 수산화팔라듐(15 g, 50% 습윤 촉매)을 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질소 다음에 수소 기체로 플러싱(flushing)하고 실온에서 수소 대기 하에 16 시간 교반하였다. 용액을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고 이를 추가의 에틸 아세테이트로 세척하였다. 4개 모든 배치로부터의 여액을 합하고 감압하에 증발시켜 표제 화합물(23 g, 91.8% 수율)을 얻었다. 화합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다음 단계에 사용하였다.
1H NMR(400 MHz, CDCl3) δ 2.6 (m, 1H), 1.74-1.56 (m, 4H), 1.5-1.3 (m, 7H), 1.21 (s, 3H).
합성 2
4-브로모-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5
디클로로메탄(150 mL) 중의 (1r,4r)-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올(3.6 g, 27.86 mmol) 용액에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4 mL, 137.8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4-브로모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7.83 g, 30.6 mmol)를 고체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M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펜탄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7 g, 72%)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δ 7.74 (2H, d), 7.65 (2H, d), 4.77-4.61 (1H, m), 3.33-3.23 (1H, m), 1.85-1.75 (2H, m), 1.63-1.51 (2H, m), 1.49-1.30 (4H, m), 1.20 (3H, s).
LCMS:(실행 시간: 3.5 분): 체류 시간: 1.33 분(97%, MS(ESI) m/z 346(M-H)+).
합성 3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6
톨루엔(50 mL) 중의 4-브로모-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9 g, 25.8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9.87 g, 38.9 mmol) 및 아세트산 칼륨(7.6 g, 77.5 mmol)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8 g, 2.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00 ℃에서 4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8 g, 78%)을 얻었다. MS(ESI) m/z 394(M-H)+). 대규모 배치의 경우, 추가의 정제 없이 화합물을 사용하였다. 더 적은 규모로 이 제조를 실행하는 경우, 잔류물을 에테르에 취하여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합성 4
4-(3,5-디클로로피리딘-2-일)-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3-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7
디옥산과 물의 혼합물(3:1; 20 mL)을 탈기시켰다. 2,3,5-트리클로로피리딘(1.65 g, 9.0 mmol),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8 g, 4.6 mmol), K2CO3(1.24 g, 9.0 mmol) 및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57 mg, 0.3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3 시간 동안 12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시켜 비정제 잔류물을 얻고 이를 플래쉬 칼럼으로 정제하였다(용리액: 헵탄 중의 4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 생성물을 3회 결정화(에틸 아세테이트/헵탄)하여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284 mg, 15%)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δ 8.59 (1H, m), 7.97 (2H, d), 7.92-7.85 (3H, m), 4.62-4.55 (1H, m), 3.38-3.28 (1H, m), 1.92-1.76 (2H, m), 1.8-1.35 (7H, m), 1.22 (3H, s).
LCMS: 이동상 A: 물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05%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칼럼: YMC ODS A, C18(50X4.6 mm) 3 μM; 유속: 1.2 mL/분; 온도: 주변.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20:80 B:A는 최초 3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95:5 B:A에서 0.5 분간 유지한 다음 바로 마지막 1.5 분간 20:80 B:A로 복귀시켰다. 체류 시간: 2.50 분, m/z 415(M+H)+.
합성 5
4-(3,5-디플루오로피리딘-2-일)-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2-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8
디옥산 : 물(9:1; 100 mL),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20 g, 50.6 mmol), 2-브로모-3,5-디플루오로피리딘(14.73 g, 75.94 mmol) 및 탄산나트륨(10.73 g, 101.2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7 g, 5.06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분획들을 최소 부피로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8 g, 41%)을 얻었다.
1H NMR:(400 MHz; 메탄올-d4) δ 8.54 (d, J = 2.0 Hz, 1H), 8.11 (d, J = 8.2 Hz, 2H), 7.99 (d, J = 8.1 Hz, 2H), 7.74 (m, 1H), 3.20 (m, 1H), 1.83-1.27 (m, 8H), 1.18 (s, 3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10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 (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1.7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95:5 B:A에서 1 분간 유지하고, 1.2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1.88 분, m/z 381(M-H)+.
합성 6
4'-클로로-2'-시아노-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1-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49
디옥산 : 물(9:1; 100 mL),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2 g, 30.4 mmol), 2-브로모-5-클로로벤조니트릴(9.86 g, 45.5 mmol) 및 탄산나트륨(6.44 g, 60.8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21 g, 3.0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로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킨 다음, n-펜탄(2 회)으로 세척하고, 45-50 ℃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5.7 g, 46.5%)을 얻었다.
1H NMR(400 MHz, 메탄올-d4) δ 8.01 (d, J = 8.1 Hz, 2H), 7.95 (m, 1H), 7.83-7.74 (m, 3H), 7.64 (d, J = 8.5 Hz, 1H), 3.25-3.17(m, 1H), 1.8-1.54 (m, 4H), 1.47-1.34 (m, 4H), 1.18 (s, 3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10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 (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95:5 B:A에서 0.5 분간 유지하고, 1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167 분, m/z 403(M-H)+.
합성 6A
4'-클로로-2'-시아노-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1-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0
10 L 플라스크를 미분된 (1r,4r)-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123.7 g, 0.957 mol) 및 디클로로메탄(2400 mL)으로 채웠다. 트리에틸아민(534 mL, 3.830 mol)을 적가하였다. 현탁액을 5 ℃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디클로로메탄(768 mL) 중의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298.9 g, 0.957 mol)를 적가하면서 온도를 25 ℃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40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0 ℃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2 M 염산 수용액(2090 mL)을 적가하면서 온도를 25 ℃ 미만으로 유지하였다(발열 첨가 및 백색 연기가 관찰됨). 상들을 분리하고, 유기층을 물(2090 mL)로 세척하였다. 유기물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잔류물을 디클로로메탄(2 x 50 mL)으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한 다음,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50 g) 및 (1r,4r)-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1-올의 유사한 소규모 반응으로부터의 비정제 생성물과 합하고, 합해진 물질들 전부를 직접 실리카(800 g) 위에 흡착시켰다. 이를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20:80으로 시작하여, 다음에 순차적으로 에틸 아세테이트 : 디클로로메탄 30:70, 40:60, 50:50 혼합물들, 다음에 순수한 에틸 아세테이트로 용출하는 실리카(8000 g) 상의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 함유 분획들을 합하여 농축시켜 황색 고체를 얻었다. 이 물질을 진공 오븐에서 밤새 40 ℃에서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406.8 g; 전체 88% 수율)을 얻었다. NMR 분석 결과 >97%의 순도를 나타내었다.
1H NMR:(270 MHz; CDCl3) δ 8.02 (d, J = 8.6 Hz, 2H), 7.78 (d, J = 2 Hz, 1H), 7.73-7.63 (m, 3H), 7.49 (d, J = 8.5 Hz, 1H), 4.89 (d, J = 7 Hz, 1H), 3.38 (m, 1H), 1.98-1.75 (m, 2H), 1.75-1.3 (m, 7H, m), 1.23 (s, 3H).
HPLC: 이동상 A: 정제수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0.1% 트리플루오로아세트산; 칼럼: Fortis C18 4.6 x 150 mm; 3 μM; 유속: 1.0 mL/분. 실행 시간: 30 분 - 출발 용매 5:95 B:A를 최초 1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마지막 15 분간 95:5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12.0 분. 질량 스펙트럼: Bruker Esquire 3000 Plus Ion Trap MS; 양성 이온 극성, ESI: m/z 403(M-H)+.
합성 7
4'-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2'-(트리플루오로메틸)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2-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1
디옥산 : 물(9:1; 100 mL),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일)벤젠설폰아미드(20 g, 50.6 mmol), 1-브로모-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8.45 g, 75.9 mmol) 및 탄산나트륨(10.73 g, 101.2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7 g, 5.06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고, 분획들을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최소 부피의 디클로로메탄으로 세척한 다음 n-펜탄(2 회)으로 세척하고 45-50 ℃에서 진공하에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10.2 g, 47%)을 얻었다.
1H NMR(400 MHz, 메탄올-d4) δ 7.93 (d, J = 7.9 Hz, 2H), 7.59 (d, J = 9.2 Hz, 1H), 7.51 (d, J = 8.1 Hz, 2H), 7.46 (d, J = 6.6 Hz, 2H), 3.20 (m, 1H), 1.79-1.51 (m, 4H), 1.49-1.30 (m, 4H), 1.18 (s, 3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10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을 최초 1.7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 분간 95:5 B:A로 유지하고, 1.2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16 분, m/z 430(M-H)+.
합성 8
2',4',6'-트리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3-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2
디옥산 : 물(3:1; 20 mL)의 혼합물을 탈기시켰다. 1-브로모-2,4,6-트리플루오로벤젠(1.91 g, 9.1 mmol),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8 g, 4.6 mmol), K2CO3(1.24 g, 9.0 mmol) 및 [1,1 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57 mg, 0.3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마이크로웨이브 오븐에서 3 시간 동안 120 ℃에서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농축시키고, 에틸 아세테이트로 희석하고, 물로 세척하였다. 유기 추출물을 건조시키고(MgSO4) 농축시켜 비정제 잔류물을 얻고, 이를 플래쉬 칼럼(용리액: 헵탄 중의 40 내지 50% 에틸 아세테이트)으로 정제하였다. 생성물을 결정화(에틸 아세테이트/헵탄)로 추가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620 mg, 34%)을 얻었다.
1H NMR:(400 MHz; CDCl3) δ 7.95 (d, 2H), 7.58 (d, 2H), 6.80 (t, 2H), 4.62-4.52 (m, 1H), 3.41-3.30 (m, 1H), 1.91-1.81 (m, 2H), 1.66-1.34 (m, 6H), 1.22 (s, 3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10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5.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1.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40 분 m/z 400(M+H)+.
합성 9
4-브로모-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3
디이소프로필에틸아민(20 mL, 116.2 mmol)을 디클로로메탄(150 mL) 중의 (1r,4r)-4-아미노-1-메틸사이클로헥산올(3 g, 23.2 mmol) 용액에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0 ℃로 냉각시켰다. 4-브로모-3-플루오로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6.98 g, 25.5 mmol)를 고체로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실온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1 M 염산으로 중화시키고, 화합물을 디클로로메탄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얻어진 잔류물을 n-펜탄으로 세척하고, 여과하고, 건조시켜 표제 화합물(7 g, 82%)을 얻었다. MS(ESI) m/z 368(M+H)+).
합성 10
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4
톨루엔(50 mL), 4-브로모-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9 g, 24.6 mmol), 4,4,4',4',5,5,5',5'-옥타메틸-2,2'-비(1,3,2-디옥사보롤란)(9.33 g, 36.7 mmol) 및 아세트산 칼륨(7.23 g, 73.7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1.8 g, 2.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4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10 g, 98%)을 얻었다. 대규모 배치의 경우, 화합물을 추가의 정제 없이 사용하였다. 더 적은 규모로 제조가 실행되는 경우, 잔류물을 에테르에 취하고, 여과하고, 여액을 농축시켜 목적 생성물을 얻었다. MS (ESI) m/z 412(M-H)+).
합성 11
4-(3,5-디플루오로피리딘-2-일)-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1-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5
디옥산(50 mL), 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8 g, 43.6 mmol), 2-브로모-3,5-디플루오로피리딘(12.68 g, 65.37 mmol) 및 탄산세슘(35.52 g, 109.0 mmol)의 교반된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2 g, 4.4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킨 다음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 내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한 다음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8.19 g, 47%)을 얻었다.
1H NMR(400 MHz, 메탄올-d4) δ 8.55 (d, J = 2.1 Hz, 1H), 7.87-7.71 (m, 4H), 3.24 (m, 1H), 1.8-1.7 (m, 2H), 1.66-1.55 (m, 2H), 1.51-1.34 (m, 4H), 1.19 (s, 3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0.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1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1.88 분, m/z 399(M-H)+.
합성 12
4-(3,5-디클로로피리딘-2-일)-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4-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6
디메톡시에탄(10 mL) 중의 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0.338 g, 0.82 mmol) 용액을 15 분간 아르곤으로 퍼지하였다. 물 중의 2-브로모-3,5-디클로로피리딘(0.185 g, 0.82 mmol)과 탄산나트륨(0.175 g, 1.65 mmol)을 가하고, 아르곤을 사용하여 3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12 g, 0.16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킨 다음 80 ℃에서 2 시간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셀라이트를 통해 여과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잔류물을 헥산 중의 50% 에틸 아세테이트를 사용하여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0.04 g, 11%)을 얻었다.
1H NMR(400 MHz, 메탄올-d4) δ 1.19 (3H, s), 1.33-1.52 (4H, m), 1.54-1.66 (2H, m), 1.69-1.82 (2H, m), 3.25 (1H, m), 7.68 (1H, m), 7.75 (1H, m), 7.82 (1H, m), 8.20 (1H, d, J = 2.1 Hz), 8.65 (1H, d, J = 2.1 Hz).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10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2 mL/분. 실행 시간: 5 분 - 출발 용매 35:65 B:A를 최초 2.5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3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마지막 1.2 분간 35:65 B:A까지 즉시 감소시켰다. 체류 시간 2.59 분 m/z 431(M-H)+.
합성 13
4'-클로로-2'-시아노-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1-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7
디옥산 : 물(240 mL, 9: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7 g, 43.0 mmol), 2-브로모-5-클로로벤조니트릴(14 g, 64.7 mmol), 및 탄산나트륨(9.1g, 86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14 g, 4.3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의 부피(85 mL)로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8 g, 33%(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04-7.97 (m, 2H), 7.79 (d, J = 2.2 Hz, 1H), 7.69-7.64 (m, 3H), 7.48 (d, J = 8.4 Hz, 1H), 4.45 (d, J = 8 Hz, 1H), 3.3-3.15 (br, 1H), 1.74-1.51 (m, 6H), 1.45-1.35 (m, 2H), 1.20 (s, 3H), 1.00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62 분 m/z 403.30 [M-1].
합성 14
4'-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2'-(트리플루오로메틸)-[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2-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8
디옥산 : 물(230 mL, 9: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3.5 g, 34.1 mmol), 1-브로모-4-플루오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2.45 g, 51.2 mmol), 및 탄산나트륨(7.24 g, 68.3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49 g, 3.4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 부피(80 mL)까지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6 g, 20%(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7.97-7.88 (m, 2H), 7.52-7.40 (m, 3H), 7.31 (dd, J = 7.0, 2.4 Hz, 2H), 4.40 (d, J = 8.0 Hz, 1H), 3.25-3.12 (br, 1H), 1.70-1.50 (m, 6H), 1.45-1.33 (m, 2H), 1.20 (s, 3H), 1.00 (b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79 분 m/z 430 [M-1].
합성 15
2',4',6'-트리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3-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59
디옥산 : 물(250 mL, 9: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5 g, 37.9 mmol), 2-브로모-1,3,5-트리플루오로벤젠(12 g, 56.9 mmol), 및 탄산나트륨(8.03g, 75.8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2.77 g, 3.8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 부피(90 mL)까지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4.98 g, 18%(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7.99-7.92 (m, 2H), 7.61-7.53 (m, 2H), 6.80 (t, J = 8.2 Hz, 2H), 4.39 (d, J = 7.8 Hz, 1H), 3.25-3.12 (br, 1H), 1.75-1.51 (m, 6H), 1.48-1.33 (m, 2H), 1.20 (s, 3H), 0.99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65 분 m/z 398 [M-1].
합성 16
2,2',4'-트리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4-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0
디옥산 : 물(60 mL, 5:1) 중의 3-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3.1 g, 7.5 mmol), 1-브로모-2,4-디플루오로벤젠(2.1 g, 10.9 mmol), 및 탄산나트륨(1.6 g, 15.0 mmol) 용액을 10 분간 아르곤을 사용하여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548 g, 0.7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0.6 g, 18%(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7.73-7.69 (m, 2H), 7.56-7.47 (m, 1H), 7.44-7.32 (m, 1H), 7.06-6.91 (m, 2H), 4.41 (d, J = 7.8 Hz, 1H), 3.27-3.14 (br, 1H), 1.76-1.52 (m, 6H), 1.48-1.35 (m, 2H), 1.21 (s, 3H), 0.97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70 분 m/z 398 [M-1].
합성 17
4-(3,5-디플루오로피리딘-2-일)-3-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1-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1
디옥산 : 물(100 mL) 중의 3-플루오로-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22 g, 53.2 mmol), 2-브로모-3,5-디플루오로피리딘(15.5 g, 79.9 mmol), 및 탄산세슘(52.0g, 159.6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3.9 g, 5.3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 부피(110 mL)까지 농축시키고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6 g, 26%(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50 (m, 1H),7.83-7.67 (m, 3H), 7.41-7.33 (m, 1H), 4.43 (d, J = 7.8 Hz, 1H), 3.28-3.13 (m, 1H), 1.74-1.52 (m, 6H), 1.46-1.35 (m, 2H), 1.21 (s, 3H), 0.97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42 분 m/z 399 [M-1].
합성 18
4-(3,5-디플루오로피리딘-2-일)-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2-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2
디옥산: 물(250 mL, 9: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26.5 g, 67.0 mmol), 2-브로모-3,5-디플루오로피리딘(19.5 g, 100.5 mmol), 및 탄산나트륨(14.22g, 134.2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4.90 g, 6.70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 부피(100 mL)까지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5.9 g, 26%(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48 (d, J = 2.4 Hz, 1H), 8.13-8.06 (m, 2H), 7.98 (d, J = 8.5 Hz, 2H), 7.39-7.31 (m, 1H), 4.39 (d, J = 7.8 Hz, 1H), 3.25-3.1 (br, 1H), 1.72-1.5 (m, 6H), 1.42-1.32 (m, 2H), 1.19 (s, 3H), 0.96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에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에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41 분 m/z 381 [M-1].
합성 19
4-(3,5-디클로로피리딘-2-일)-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벤젠설폰아미드(HMC-N-03-B)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3
디옥산 : 물(18 mL, 5: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5 g, 3.8 mmol), 2-브로모-3,5-디클로로피리딘(1.3 g, 5.7 mmol), 및 탄산나트륨(0.805 g, 7.6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277 mg, 0.38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디옥산:물(54 mL, 5:1) 중의 N-((1s,4s)-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4 g, 10.1 mmol), 2-브로모-3,5-디클로로피리딘(3.44 g, 15.2 mmol), 및 탄산나트륨(2.14 g, 20.2 mmol)의 추가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739 g, 1.0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상기 배치들을 양자 모두 합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켜 잔류물을 얻었다. 잔류물을 100-200 메쉬 실리카 겔을 사용하고 헥산 중의 20-40% 에틸 아세테이트를 용리액으로 사용하는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분획들을 1/10 부피(30 mL)까지 농축시킨 다음 여과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중의 20% 에틸 아세테이트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0.79 g, 14%(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59 (m, 1H), 8.02-7.94 (m, 2H), 7.90-7.83 (m, 3H), 4.47 (d, J = 8 Hz, 1H), 3.25-3.1 (br, 1H), 1.73-1.5 (m, 6H), 1.44-1.32 (m, 2H), 1.19 (s, 3H), 1.01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69 분 m/z 413[M-1].
합성 20
2,2',4'-트리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4-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4
디옥산 : 물(60 mL, 5:1) 중의 3-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3.5 g, 8.4 mmol), 1-브로모-2,4-디플루오로벤젠(2.44 g, 12.7 mmol), 및 탄산나트륨(1.79 g, 16.9 mmol)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619 g, 0.8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켰다. 반응 혼합물을 110 ℃에서 6 시간 가열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물을 가하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SFC 정제하여 표제 화합물을 얻었다: 이동상: CO2:메탄올(5 분간 05-50), 칼럼: 실리카 2-에틸피리딘(250x4.6 mm, 5 μ), 유속: 3 mL/분, 파장: 210-400 nm. 수율: 0.7 g, 19%(2 단계).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7.78-7.64 (m, 2H), 7.62-7.45 (m, 1H), 7.44-7.34 (m, 1H), 7.06-6.91 (m, 2H), 4.51 (d, J = 6.8 Hz, 1H), 3.40-3.35 (br, 1H), 1.95-1.83 (m, 2H), 1.67-1.37 (m, 6H), 1.25 (d, J = 3.3 Hz, 3H), 1.13 (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4.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56 분 m/z 398 [M-1].
합성 21
5-클로로-2-페닐벤조니트릴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5
2-브로모-5-클로로-벤조니트릴(297.0 g, 1.372 mol), 페닐 보론산(184.0 g, 1.509 mol), 탄산나트륨(436.3 g, 4.116 mol), 1,2-디메톡시에탄(4455 mL) 및 물(1485 mL)을 질소 하에 용기에 가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3회 탈기시키고,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0)(79.3 g, 0.069 mol)을 가하였다. 질소를 사용하여 플라스크를 3회 탈기시키고, 교반하고, 70 ℃로 가열한 다음, 동 온도에서 24 시간 교반하였다. 추가로 페닐 보론산(36.8 g, 0.302 mol), 탄산나트륨(87.3 g, 0.824 mol) 및 테트라키스(트리페닐포스핀)팔라듐(15.9 g, 0.014 mol)을 가하고, 혼합물을 추가의 16 시간 동안 교반하였다. 반응액을 실온으로 냉각시키고, 현탁액을 여과하고,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2 x 200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하여 분리하고, 유기층을 포화 브린(2 x 20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고, 고체를 에틸 아세테이트(1000 mL)로 세척하였다. 여액을 합하여 농축시키는 한편, 실리카 겔(600 g) 상에 흡수시켰다. 비정제 물질을 헵탄 중의 25-50% 톨루엔으로 용출하는 실리카 겔(6 Kg) 상에서 정제하였다. 순수 분획들을 합하여 농축시켜 백색 고체를 얻었다. 고체를 헵탄(8 x 800 mL)과 공비증류하여 임의의 잔류 톨루엔을 제거하여 표적 화합물을 얻었다. 수율 = 215.9 g(73.6%).
1H NMR(270 MHz, DMSO d6) δ 8.18-8.12 (m, 1H), 7.86 (dd, J = 8.4 Hz, 2.4 Hz, 1H), 7.7-7.45 (m, 6 H).
합성 22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폰산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6
5 L 플라스크에 비정제 5-클로로-2-페닐벤조니트릴(407.8 g, 1.909 mol) 및 클로로포름(2325 mL)을 채웠다. 연황색 용액을 5 ℃ 미만으로 냉각시키고, 클로로설폰산(343 mL, 5.15 mol)을 가하고, 온도를 10 ℃ 미만으로 유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실온으로 승온시키고, 암갈색 용액을 실온에서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20 ℃에서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325 mL)에 용해시키면 33 ℃까지의 발열이 관찰되었다. 물(490 mL)을 가한 다음(64 ℃까지 발열), 포화 브린(1920 mL)을 가하고, 혼합물을 19 ℃까지 냉각시켰다. 진한 현탁액을 여과하고(매우 천천히 여과됨), 잔류물을 물(2 x 1 L) 및 에틸 아세테이트(2 x 1.5 L)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진공하에 40 ℃에서 64 시간 건조시켜 435 g의 물질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이를 실온에서 20 분간 에틸 아세테이트(1740 mL) 중에 슬러리로 만들었다. 현탁액을 여과하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435 mL)로 세척하였다. 여과 케이크를 진공하에 40-60 ℃에서 2 일밤 동안 건조시켜 289 g의 표제 화합물(52% 수율)을 함유하는 크림 고체(366.3 g)를 얻었다. 칼 피셔 분석 결과, 생성물은 4.3%의 물을 함유하였다.
1H NMR(270 MHz, DMSO d6) δ 8.16 (d, J = 2.3 Hz, 1H), 7.85 (dd, J = 2.3 Hz, 8.5 Hz, 1H), 7.73 (d, J = 8.2 Hz, 2H), 7.65 (d, J = 8.2 Hz. 1H), 7.54 (d, J = 8.3 Hz, 2H).
합성 23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포닐 클로라이드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7
5 L 플라스크를 비정제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폰산(366.3 g, 289 g의 4-(4-클로로-2-시아노페닐)벤젠-1-설폰산 함유, 0.98 mol) 및 톨루엔(3000 mL)으로 채웠다. 티오닐 클로라이드(423 mL, 5.83 mol) 다음에 디메틸포름아미드(5 mL, 0.0646 mol)를 적가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75 ℃까지 가열하고 밤새 교반하였다. 반응 혼합물을 냉각시키고, 진공 하에 농축시키고,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3000 mL) 및 물(1500 mL) 사이에 분배하고, 유기층을 포화 브린(1500 mL)으로 세척하였다. 유기층을 무수 황산마그네슘(50 g) 상에서 건조시키고 여과하였다. 잔류물을 에틸 아세테이트(2 x 100 mL)로 세척하고, 유기층을 합하여 농축시켜 표제 화합물(297.6 g, 93% 수율)을 황색 고체로 얻었다. NMR 분석 결과, ~95%의 순도를 나타내었다.
1H NMR(270 MHz, DMSO d6) δ 8.16 (d, J = 2 Hz, 1H), 7.87 (dd, J = 2.1 Hz, 8.2 Hz, 1H), 7.73 (d, J = 8.2 Hz, 2H), 7.64 (d, J = 8.2 Hz. 1H), 7.54 (d, J = 8.3 Hz, 2H).
합성 24
2'-시아노-4'-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5-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8
디옥산: 물(30:3 mL) 중의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6 g, 4.05 mmol), 2-브로모-5-플루오로벤조니트릴(2.03 g, 10.15 mmol), 탄산나트륨(1.07 g, 10.1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296 g, 0.40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수율: 1.1 g, 70%.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04-7.97 (m, 2H), 7.71-7.64 (m, 2 H), 7.55-7.49 (m, 2H), 7.39-7.46 (m, 1H), 4.46 (d, J = 6.6 Hz, 1H), 3.45-3.32 (m, 1H), 1.92-1.82 (m, 2H), 1.65-1.35 (m, 6H), 1.23 (s, 3H), 1.11 (br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50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50 분(ESI) m/z 387[M-1].
합성 25
4'-시아노-2'-플루오로-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1,1'-비페닐]-4-설폰아미드(HMC-C-06-A)
Figure 112016007573294-pct00069
디옥산/물(30/3 mL) 중의 N-((1r,4r)-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4,4,5,5-테트라메틸-1,3,2-디옥사보롤란-2-일)벤젠설폰아미드(1.6 g, 4.05 mmol), 4-브로모-3-플루오로벤조니트릴(2.03 g, 10.1 mmol), 탄산나트륨(1.07 g, 10.1 mmol)의 교반된 용액을 아르곤을 사용하여 10 분간 탈기시켰다. [1,1-비스(디페닐포스피노)페로센]디클로로팔라듐(II)(0.296 g, 0.405 mmol)을 가하고, 반응 혼합물을 추가의 10 분간 탈기시키고, 110 ℃에서 6 시간 교반하였다. 용매를 감압하에 증발시키고, 화합물을 에틸 아세테이트에서 추출하였다. 유기층을 분리하고, 황산나트륨 상에서 건조시키고, 감압하에 농축시켰다. 잔류물을 플래쉬 실리카 겔 칼럼 크로마토그래피로 정제하였다. 얻어진 잔류물을 헥산 다음에 n-펜탄으로 세척하여 표제 화합물을 백색 고체로 얻었다. 수율: 1.19 g, 75.79%.
1H NMR(400 MHz, 클로로포름-d) δ 8.03-7.96 (m, 2H), 7.73-7.66 (m, 2H), 7.62-7.56 (m, 2H), 7.54-7.48 (m, 1H), 4.51 (d, J=6.65 Hz, 1H), 3.42-3.30 (m, 1H), 1.95-1.82 (m, 2H), 1.66-1.55 (m, 2H), 1.53-1.37 (m, 4H), 1.23 (s, 3H), 1.12 (brs, 1H).
LCMS: 이동상 A: 물 + 0.1% 암모니아 중의 5 mM 포름산암모늄, 이동상 B: 아세토니트릴 + 5% 이동상 A + 0.1% 암모니아; 칼럼: YMC Triart, C18(50X4.6 mm) 3 μM; 유속: 1.4 mL/분. 실행 시간: 5 분 - 출발 용매 30:70 B:A를 최초 2.50 분에 걸쳐 95:5 B:A까지 선형으로 증가시키고, 1.5 분간 95:5 B:A로 유지하고, 0.5 분에 걸쳐 30:70 B:A까지 선형으로 감소시키고, 마지막 0.5 분간 30:70 B:A로 유지하였다. 체류 시간 2.52 분(ESI) m/z 387[M-1].
부가적인 화합물
하기 화합물들도 본 명세서에 기재된 생물학적 연구에서 기준 화합물로 사용하기 위하여 제조하였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0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1
생물학적 연구
J774 대식세포 세포주의 생존을 기반으로 하는 생존도 어세이를 사용하여 효능을 평가하였다. 대식세포는 파골세포에 밀접하게 관련되어 있으며 파골세포 생존에 대한 모델 시스템으로서 이전에 사용되어 왔다(예를 들어, 문헌[Luckman et al., 1998, "Heterocycle-containing bisphosphonates cause apoptosis and inhibit bone resorption by preventing protein prenylation: evidence from structure-activity relationships in J774 macrophages," J. Bone Miner. Res., Vol. 13, pp. 1668-1678] 참조). 그 모델은 골다공증, 골관절염, 및 류머티스 관절염과 같은 질환에서의 골 보호에 대한 효과, 및 염증에 대한 효과 양자 모두를 시사하며, 이는 J774 대식세포의 생존이 파골세포와 같이 계속되는 NFκB 활성화에 의존하기 때문이다.
액체 크로마토그래피 질량 분석법 및 표준 질량 분석법(LC-MS/MS: liquid chromatography mass-spectrometry and standard mass-spectrometry)에 의해 정량화되는 바와 같이, 인간 간 마이크로좀 조제의 존재 하에 화합물의 소실률(rate of disappearance)을 결정함으로써 대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금식 상태 인공 장액(FaSSIF: fasted state simulated intestinal fluid) 중의 화합물의 평형에 의해 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고속 액체 크로마토그래피(HPLC: high-performance liquid chromatography)에 의해 정량화하였다.
전염증 자극 박테리아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 lipopolysaccharide)로 자극한 인간 Thp-1 유래의 대식세포에 의한 인터류킨-6(IL-6)의 생성을 평가함으로써 항-염증 효과를 추가로 특성화하였다. LPS는 세포-표면 수용체인 톨-유사 수용체-4(Toll-like receptor-4)와 작용하여 NFκB 및 IRF 신호전달 경로를 활성화하여 IL-6을 생성시킨다. 이러한 자극 어세이에서 IL-의 감소는, IL-6 생성이 비정상적인 병태의 치료에 있어서 유용성을 가진 항-염증 효과를 시사한다.
이들 화합물의 약물로서의 잠재력을 평가하기 위하여 생체내 연구 또한 실행하였다.
랫트에서 약동학을 평가하였고, 콜라겐-유도 관절염의 마우스 모델에서 질환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생물학적 연구 1
레자주린 대식세포 J774 생존도 어세이
J774 대식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한 후에 레자주린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도를 결정함으로써 시험 화합물의 시험관내 효능을 결정하였다.
레자주린은 배양된 세포에서 생존도의 지표로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산화환원 염료이다(예를 들어, 문헌[Anoopkumar-Dukie, 2005, British Journal of Radiology, Vol. 78, pp. 945-947] 참조). 그것은 세포에 대해 비-독성이고 배양 배지 내에서 안정하며, 동역학적 어세이 또는 종말점 어세이로서 시험관내에서 세포 증식의 계속적인 측정을 가능하게 한다. 그 어세이는 생존가능한 대사-활성 세포가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NADPH) 및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FADH)와 같은 환원성 화학종으로부터의 전자를 사용하여 레자주린(이는 청색이며 비-형광성임)을 레조루핀 및 디하이드로레조루핀(이들은 적색이며 형광성임)으로 환원시키는 능력을 기반으로 한다. 산화된 형태로부터 환원된 형태로의 이러한 변환을 비색분석 또는 형광분석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세포 생존도 및 증식을 악화시키는 손상은 또한 세포가 레자주린을 환원시키는 능력에도 영향을 미치며, 염료 환원의 속도는 존재하는 생존가능한 세포의 수에 직접 비례한다.
형광 측정의 경우, 530 내지 560 nm 여기 파장 및 590 nm 방출 파장이 전형적으로 사용된다. 비색 측정의 경우, 570 nm(환원된 형태) 및 600 nm(산화된 형태)에서의 흡광도가 전형적으로 측정된다. 단순한 계산을 수행하여 2개 화학종의 상대량을 결정한다: 레조루핀(환원된 형태) 대 레자주린(산화된 형태)의 높은 비율은 세포가 증식하고 있으며 생존가능하다는 지표이다. 낮은 비율은 휴지 상태이거나 생존가능하지 않은 세포를 시사한다.
96-웰 플레이트에서 100 ㎕의 αMEM(α수정된 이글 배지(αModified Eagle Medium)) 중에 104 세포/웰로 J774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밤새 부착시켰다. 다음 날에, 시험 화합물을 DMSO 중의 100 mM 용액으로서 제조하였다. 이들 저장 용액을 DMSO 중에 희석하고, 이어서 배양 배지(αMEM) 중에 1000x 희석한 후, 목적하는 최종 화합물 농도를 제공하도록 웰에 직접 첨가하였다. 37 ℃/5% CO2에서 72 시간 인큐베이션 후에 각각의 웰에 레자주린(Alamar Blue, Biosource International)을 첨가하였다(1 : 10 v/v, 10 ㎕). 이어서, 플레이트를 37 ℃에서 3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590 nm에서 25 nm의 대역폭으로 형광을 측정하였다.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평균 결과를 세포 생존도를 반영하는 평균 대조군 값의 퍼센트(%)로서 표현하였다. 이어서, 시험 농도에 걸친 평균 값을 플로팅하고, 그래피트(Grafit)(Erithacus Software)로부터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4-파라미터 IC50 방정식에 데이터를 적합시킴으로써 IC50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실험을 2회 반복하고 양자 모두의 실험으로부터의 평균 IC50으로서 데이터를 나타낸다.
결과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레자주린 대식세포 J774 생존도 어세이
화합물 IC50(μM) (1) IC50(μM) (2)
ABD599 0.19 0.41
ABD735 0.10 0.07
ABD836 0.28 1.45
ABD900 0.56 3.64
ABD899 0.08 0.27
REF001 0.12 0.05
HMC-C-01-A 0.13 1.89
HMC-C-02-A 0.26 14.7
HMC-C-03-A 0.14 0.41
HMC-C-04-A 0.50
HMC-C-05-A 2.46
HMC-C-06-A 0.71
HMC-N-01-A 0.13 2.66
HMC-N-02-A 0.18 4.59
HMC-N-03-A 0.17 0.62
HMC-N-04-A 0.18
HMC-C-01-B 0.16
HMC-C-02-B 1.74
HMC-C-03-B 0.20
HMC-C-04-B 0.06
HMC-N-01-B 0.14
HMC-N-02-B 0.36
HMC-N-03-B 0.08
(1) 10 μM 내지 10 nM 범위의 6 지점 농도에서 농도 당 n=3 반복실험으로 수행한 레자주린 대식세포 생존도 어세이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는 2회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의 평균임.
(2) 10 μM 내지 0.5 nM 범위의 12 지점 농도에서 농도 당 n=4 반복실험으로 수행한 레자주린 대식세포 생존도 어세이로부터의 결과. 데이터는 3회의 독립적인 실험으로부터의 평균임.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 및 특히 HMC-C-01-A 및 HMC-C-01-B; HMC-C-03-A 및 HMC-C-03-B; HMC-C-04-A 및 HMC-C-04-B; HMC-C-06-A; HMC-N-01-B; HMC-N-02-B; 및 HMC-N-03-B가, 레자주린 대식세포 생존도 어세이에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내며 기준 화합물에 비교하여 효능의 손실을 나타내지 않는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2
인간 간 마이크로좀 안정성
인간 간 마이크로좀의 존재 하에 인큐베이션할 때 화합물의 소실률을 결정함으로써 시험 화합물의 대사 안정성을 측정하였다. 간 마이크로좀은 간세포의 소포체로부터 제조되며 약물 대사에 관여하는 가장 중요한 효소(사이토크롬 P450)의 주요 공급원이다. 간 마이크로좀 존재 하의 약물 안정성 연구는 생체내 약물 안정성의 신속한 예측을 가능하게 하는 가치 있는 모델로서 인정된다.
인간 간 마이크로좀은 상업적 공급원으로부터 입수되었다. 시험 화합물(1 μM)을 혼주(pooled) 간 마이크로좀(웅성 및 자성)과 함께 인큐베이션하였다. 샘플은 60 분 기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으며 최대 6개의 시점에 수거하고 시험 화합물의 존재/양에 대해 LC-MS/MS로 분석하였다.
마이크로좀(최종 단백질 농도 0.25 또는 0.5 mg/mL), 0.1 M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 및 시험 화합물(최종 농도 1 μM; 10 mM 저장 용액으로부터 희석하여 0.1%의 최종 DMSO 농도를 제공함)을 37 ℃에서 인큐베이션한 후에, 니코틴아미드 아데닌 디뉴클레오티드 포스페이트(NADPH, 최종 농도 1 mM)를 첨가하여 반응을 개시하였다. 최종 인큐베이션 부피는 100 ㎕였다.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해, 0.1 M 포스페이트 완충액(pH 7.4)이 NADPH 대신에 첨가된 대조군 인큐베이션이 포함되었다. 각각의 실험에 양성 대조군 화합물 테르페나딘이 포함되었으며, 모든 인큐베이션은 각각의 화합물에 대해 1회 수행하였다.
각각의 화합물을 0, 5, 15, 30, 45, 또는 6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내부 표준(0.001 mM 글리피지드)을 함유하는 100 ㎕의 얼음-냉각 아세토니트릴을 적절한 시점에 첨가함으로써 반응을 중단시켰다. 인큐베이션 플레이트를 4 ℃에서 15 분 동안 4000 rpm에서 원심분리하여 단백질을 침전시키고, 하기 표에 나타낸 조건으로 LC-MS/MS를 사용하여 0.1 mL 분취액을 분석하였다.
LC-MS/MS 조건
HPLC: 시마쯔 아질런트(Schimadzu Agilent)
MS/MS: API 4000, API 4000 Q-Trap
소프트웨어: 애널리스트(Analyst) 1.5
이온화 모드: 터보 스프레이(Turbo spray), 양성 모드 이온화
스캔 모드: 다중 반응 모니터링(MRM: Multiple reaction monitoring)
칼럼: 워터스(Waters), 엑스테라(Xterra), MS-C18 (2) 5 ㎛ 50 x 3.0 mm
칼럼 온도(℃): 40
상 A: 물 중의 0.1% 포름산
상 B: 아세토니트릴 중의 0.1% 포름산
표준 주입(㎕): 1, 2, 3, 5, 7, 10
시험 주입(㎕): 1, 2, 3, 10, 20, 50
유속(mL/분): 0.8 내지 1
시간에 대한 피크 면적 비율(즉, 화합물 피크 면적 : 내부 표준 피크 면적의 비율)의 자연 로그의 플롯으로부터, 선의 기울기를 결정하였다. 이어서, 하기 방정식을 사용하여 반감기(t1/2) 및 고유 청소율(CLint)을 계산하였으며, 여기서 V는 인큐베이션 부피(㎕/mg 마이크로좀 단백질)이다:
제거 속도 상수(k) = (- 기울기)
반감기(t1/2)(분) = 0.063/k
고유 청소율(CLint)(㎕/분/백만개 세포) = (V x 0.693)/t1/2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인간 간 마이크로좀 안정성
화합물 T1/2(분) (1) T1/2(분) (2)
ABD599 287
ABD735 524
ABD836 > 900
ABD899 72 105
ABD900 87
REF001 43
HMC-C-01-A 82
HMC-C-02-A 55
HMC-C-03-A 84
HMC-C-04-A 100
HMC-C-05-A 123
HMC-C-06-A 240
HMC-N-01-A 175
HMC-N-02-A 367
HMC-N-03-A 258
HMC-N-04-A 156
HMC-C-01-B 70
HMC-C-02-B 18
HMC-C-03-B 48
HMC-C-04-B 107
HMC-N-01-B 127
HMC-N-02-B 168
HMC-N-03-B 70
(1) 화합물을 인간 간 마이크로좀과 함께 0.25 mg/mL의 최종 단백질 농도에서 인큐베이션하면서 하기 5개 시점에 샘플링하였다: 0, 5, 15, 30, 및 60 분. 시점 당 1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2) 화합물을 인간 간 마이크로좀과 함께 0.5 mg/mL의 최종 단백질 농도에서 인큐베이션하면서 하기 6개 시점에 샘플링하였다: 0, 5, 15, 30, 45, 및 60 분. 시점 당 2회 반복실험을 수행하였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기준 화합물과 균등한 대사 안정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3
수용해도
금식 상태 인공 장액(FaSSIF)과 화합물의 평형에 의해 수용해도를 측정하였으며, 분광광도법으로 정량화하였다.
FaSSIF는 하기 기재된 바와 같이 제조하였다:
블랭크 FaSSIF의 제조: 0.21 g의 수산화나트륨(NaOH) 펠렛, 1.97 g의 인산이수소나트륨(NaH2PO4.2H2O), 및 3.09 g의 염화나트륨(NaCl)을 400 mL의 탈이온수에 용해시켰다. 1 M 염산을 사용하여 pH를 6.5로 조정하고 500 mL의 최종 부피까지 추가의 탈이온수를 첨가하였다.
FaSSIF의 제조: 0.056 g의 SIF 분말(소듐 타우로콜레이트 및 레시틴을 함유함)(Phares AG)을 25 mL의 블랭크 FaSSIF에 용해시키고 분말이 완전히 용해될 때까지 교반하였다. 용액을 2 시간 동안 정치시켰고, 그 동안 그것이 유백색이 되었으며; 24 시간 이내에 그것을 사용하였다. 최종 용액 조성은 하기와 같이 특성화되었다:
소듐 타우로콜레이트: 3 mM
레시틴: 0.75 mM
삼투도: 270 ± 10 mOsmol
pH: 6.5
공지 농도의 시험 화합물(DMSO에 용해됨)을 FaSSIF 내에 스파이킹한 후에 16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함으로써 수용해도를 결정하였다. 용해도를 결정하기 위해 사용된 기준 및 시험 화합물에 대해 인큐베이션 기간의 종점에서 광학 밀도를 측정하였다. 약술하면, 각각의 결정을 위해 하기 2개의 샘플을 제조하였다: 시스템 용액(포스페이트가 없는, 저흡수 완충액) 및 프로판올에 희석된 DMSO 중의 시험 화합물의 저장 용액으로 구성된 기준 샘플; 및 0.2 mM에서 시험 화합물로 스파이킹된 0.5 mL FaSSIF로 구성된 시험 샘플(삼중실험으로 제조됨). 각각의 샘플을 250 rpm으로 일정하게 진탕하면서 실온에서 16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기간의 종점에서, 0.3 mL의 각각의 샘플을 pION 필터 플레이트(PION, Woburn MA)를 통해 여과하고, 프로판올로 1 : 1 희석하고, μSOL 익스플로러(Explorer) 용해도 결정 소프트웨어(pION, Woburn, MA)와 함께, 스펙트라 맥스 플러스(Spectra Max Plus)-버전 2.1000(Molecular Devices, Sunnyvale, CA)을 사용하여 λmax(190 내지 400 nM)에서 UV 분광광도법을 사용하여 스캐닝하였다.
FaSSIF 용해도는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계산하였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2
여기서
"OD"는 광학 밀도이고;
"Cr"은 기준의 농도(33.4 μM)이며;
"분자량"은 시험 화합물에 대한 것이다(예를 들어, ABD735의 경우 381.44).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FaSSIF 용해도
화합물 용해도(mg/mL) (1) 용해도(mg/mL) (2)
ABD599 0.03
ABD735 0.02
ABD836 0.03
ABD899 0.06 0.13
ABD900 0.12
REF001 0.05
HMC-C-01-A 0.06
HMC-C-02-A 0.04
HMC-C-03-A 0.03
HMC-C-04-A 0.08
HMC-C-05-A 0.19
HMC-C-06-A 0.11
HMC-N-01-A 0.03
HMC-N-02-A 0.02
HMC-N-03-A > 0.08
HMC-N-04-A 0.06
HMC-C-01-B 0.08
HMC-C-02-B 0.07
HMC-C-03-B 0.15
HMC-C-04-B 0.13
HMC-N-01-B 0.12
HMC-N-02-B 0.12
HMC-N-03-B 0.10
(1) 연구 당 3회 반복 실험을 pH 6.5에서 실행하였다.
(2) 연구 당 2회 반복 실험을 pH 6.8에서 실행하였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기준 화합물과 균등한 용해도를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4
Thp1 대식세포 IL-6 방출 어세이
Thp1 대식세포와 함께 인큐베이션하고, 이어서 염증 자극(박테리아 리포폴리사카라이드(LPS))으로 자극한 후, 세포 인터류킨-6(IL-6) 방출을 측정함으로써, 인간 세포에서 시험 화합물의 시험관내 효능을 결정하였다.
어세이는 염증에 대한 효과를 강력하게 시사한다. LPS는 톨-유사 수용체-4(TLR4)에 대한 리간드이며, 이는 세포 표면 수용체의 톨-유사 수용체 계열의 구성원이다. 이 수용체는 내재 면역계의 활성화에 있어서 중요하며, 그의 주요 작용은 하기와 같다:
(a) IL-6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생성을 통해 감염 부위로 면역 세포를 동원하고;
(b) 보체 연쇄 반응을 활성화하여, 박테리아를 동정하며, 세포를 활성화하고, 사멸 세포 및 항체 복합체 양자 모두를 제거하며;
(c) 대식세포 및 수지상 세포와 같은 세포에 의해 외래 물질의 제거를 활성화하고;
(d) 적응 면역계의 일부인 항원 제시를 활성화한다.
TLR4는, NFκB 및 인터페론 조절 전사인자(IRF) 계열의 구성원 3, 5, 및 7(IRF-3, IRF-5, 및 IRF-7)을 포함하는 몇몇 전사 인자의 활성화를 유발하는 신호전달 연쇄 반응을 활성화함으로써 그의 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전사 인자, 및 특히 NFκB 및 IRF-5의 활성화는 인터류킨 6(IL-6)과 같은 사이토카인의 합성 및 분비를 추진한다.
IL-6의 과다-생성/발현은 자가면역, 염증, 및 암을 포함하는 다양한 장애와 연계되어 있다. IL-6는 주로 대식세포 및 T-세포에 의해 합성되며, 급성 염증으로부터 만성 염증으로의 전이를 통제하는 데에 깊이 관여한다. 그것은 염증 공간(inflammatory space)내의 백혈구 침윤(white blood cell infiltrate)의 조성을 변형하고, 호중구로부터 단핵구/대식세포로 그것을 이동시킴으로써 이를 수행한다(예를 들어, 문헌[Gabay, 2006] 참조). 또한, IL-6은 T-세포 및 B-세포(따라서 만성 염증 반응을 촉진함)와 더불어 파골세포(따라서 골의 대사 회전을 촉진함)에 자극 효과를 발휘한다. 이들 효과는 골다공증, 류머티스 관절염, 당뇨병, 죽상동맥경화증, 우울증, 알츠하이머병, 전신 홍반 루푸스, 베체트병, 다발성 골수종, 및 전립선암을 포함하는 몇몇 질환의 병리학에 관여한다. 또한, 진행성 암 또는 전이성 암을 가진 환자는 정상보다 더 높은 IL-6의 순환 수준(circulating level)을 나타낸다. 그러므로 대식세포에서 IL-6 수준의 감소는 치료적으로 유익하다.
24-웰 플레이트 또는 96-웰 플레이트에 각각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열 불활성화 소 태자 혈청을 함유하는 500 ㎕ 또는 150 ㎕의 RPMI 완전 배지에 1 x 105 세포/웰 또는 1.7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Thp1 세포를 플레이팅하고 밤새 부착시켰다. 다음 날에, 100 nM(24-웰 플레이트) 또는 200 nM(96-웰 플레이트)의 최종 농도에서 포르볼 미리스트산(PMA)으로 세포를 자극하여 분화를 유도하고 최대 8 일 동안 유지하였으며, 세포를 8 일까지 배양한 경우에는 5 일에 배지를 교환하였다. 시험 화합물을 DMSO 중의 100 nM 용액으로서 제조한 후에, 배양 배지에 희석하기 전에 DMSO에 연속 희석하였다. 100 ng/mL LPS로 자극하기 1 시간 전에 희석된 화합물을 배양액에 첨가하였다. 37 ℃/5% CO2에서 16 또는 18 시간 인큐베이션한 후에 세포 배양 배지를 수집하고 인간 IL-6 듀오-세트(duo-set) ELISA 키트(R&D Systems)를 사용하여 인간 IL-6의 수준을 어세이하였다. 각각의 시험 화합물에 대한 평균 결과(n=3)를 평균 대조군 값의 퍼센트(%)로서 표현하였다. 이어서, 시험 농도에 걸친 평균 값을 플로팅하고 그래피트 버전 6.0.12(Erithacus Software Ltd., by Dr Robin Leatherbarrow) 또는 윈도우용 그래프패드 프리즘(GraphPad Prism) 버전 5.04(GraphPad Software, La Jolla, California, USA, www.graphpad.com)로부터의 소프트웨어를 사용하여 4-파라미터 IC50 방정식에 데이터를 적합시킴으로써 IL-6의 저해에 대한 IC50을 계산하였다. 각각의 실험을 2회 반복하였으며, 데이터는 양자 모두의 실험으로부터의 평균 IC50 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결과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대식세포 IL-6 방출 어세이 데이터
화합물 IC50(μM) (1) IC50(μM) (2)
ABD599 0.07
ABD899 0.03
ABD900 0.09
HMC-C-01-A 0.04 0.18
HMC-C-02-A 0.001 0.97
HMC-C-03-A 0.004 0.05
HMC-C-04-A 0.13
HMC-C-05-A 1.02
HMC-C-06-A 0.19
HMC-N-01-A 0.13 0.28
HMC-N-02-A 0.15 0.29
HMC-N-03-A 0.05
HMC-C-01-B 0.06
HMC-C-02-B 0.29
HMC-C-03-B 0.02
HMC-C-04-B 0.03
HMC-N-01-B 0.03
HMC-N-02-B 0.02
HMC-N-03-B 0.02
(1) 24-웰 플레이트에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열 불활성화 소 태자 혈청을 함유하는 500 ㎕의 RPMI 완전 배지에 1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Thp1 세포를 8 일 동안 플레이팅하였으며, 5 일에 배지를 교환하였다. 6 지점 농도 반응 곡선에서 10, 1, 0.1, 0.01, 0.001, 및 0.0001 μM의 농도로 화합물을 삼중실험으로 시험하였으며, LPS 자극 후 16 시간에 IL6 수준을 측정하였다. 그래피트 버전 6.0.12(Erithacus Software)를 사용하여 IC50을 계산하였다.
(2) 96-웰 플레이트에 1% 페니실린-스트렙토마이신 및 10% 열 불활성화 소 태자 혈청을 함유하는 150 ㎕의 RPMI 완전 배지에 1.7 x 105 세포/웰의 농도로 Thp1 세포를 3 일 동안 플레이팅하였다. 9 지점 농도 반응 곡선에서 30, 10, 3, 1, 0.3, 0.1, 0.03, 0.01, 및 0.001 μM의 농도로 화합물을 삼중실험으로 시험하였으며, LPS 자극 후 18 시간에 IL6 수준을 측정하였다. 윈도우용 그래프패드 프리즘 버전 5.04(GraphPad Software)를 사용하여 IC50을 계산하였다.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인간 대식세포로부터의 IL-6 방출 저해에 있어서 우수한 효능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주며, 이는 IL-6가 상향 조절되는 장애의 치료에 있어서 그들의 유용성을 시사한다. 화합물 HMC-C-01-A, HMC-C-03-A, HMC-C-06-A, HMC-C-01-B, HMC-C-03-B, HMC-C-04-B, HMC-N-01-B, HMC-N-02-B, 및 HMC-N-03-B는 IL-6 방출 감소에 있어서 특히 양호한 활성을 나타낸다.
생물학적 연구 5
설치류 약동학 연구
생체내 약동학 어세이를 사용하여 흡수 및 대사 안정성을 연구하였다.
주령 8 내지 12 주의 3 마리 웅성 스프라그-돌리(Sprague-Dawley) 랫트에 시험 화합물을 경구 또는 정맥내 투여하였다(1 mg/kg 체중의 정맥내 용량 수준 또는 5 mg/kg 체중의 경구 용량 수준). 시험 화합물은 0.5% 카복시메틸셀룰로즈(CMC)/0.1% 트윈-80 중에 제형화하거나(경구 경로를 통한 투여의 경우), 식염수 중의 5% DMSO/10% 솔루톨 중에 제형화하였다(정맥내 경로를 통한 투여의 경우). 화합물 HMC-C-01-A의 경우에 경구 투여는 물 중의 2% 다이메틸아세트아미드/20% 하이드록시프로필-β-사이클로덱스트린 중에 제형화하였다. 밤새 금식 및 투약일에 투약한 후 2 시간까지를 제외하고는, 연구 전반에 걸쳐 동물에게 사료를 자유 급여하였다.
하기 시점에 안와 정맥총으로부터 혈액 샘플을 취하고 20% K2EDTA 용액을 함유하는 마이크로튜브에 넣었다:
경구 투약: 투약 전; 투약 후 0.25, 0.5, 1, 2, 4, 6, 8, 및 24 시간.
정맥내 투약: 투약 전; 투약 후 0.08, 0.25, 0.5, 1, 2, 4, 8, 및 24 시간.
혈액 샘플을 원심분리하여 혈장을 얻고, 이를 별도의 용기에 이전하여 -20 ℃로 냉동하였다.
분석을 위하여, 샘플을 실온에서 해동시키고 내부 표준(500 ng/mL 글리피지드)으로 스파이킹한 아세토니트릴을 이용하여 1 : 4의 혈장과의 비율로 단백질 침전에 의해 준비하였다. 이어서, 샘플을 5 분 동안 보텍싱하고 4 ℃에서 20,600 × g로 10 분 동안 원심분리하였다. 분석을 위해 100 ㎕의 상등액을 수집하였다. 블랭크 랫트 혈장 샘플을 10 ㎕의 분석물로 스파이킹한 후에 표준 샘플을 유사하게 준비하였다.
하기 표에 나타낸 조건으로 LC-MS/MS를 사용하여 랫트 혈장 샘플 내의 시험 화합물의 농도를 결정하였다.
LC-MS/MS 조건
HPLC: 시마쯔 아질런트
MS/MS: API 4000
소프트웨어: 애널리스트 1.5
이온화 모드: 터보 스프레이, 음성 모드
스캔 모드: 다중 반응 모니터링(MRM)
칼럼 워터스, 엑스테라, MS-C18 (2) 5 ㎛ 50 x 3.0 mm;
디스커버리 그레이스 스마트(Discovery Grace Smart) RP183μ 150 x 2.1, 3 μM;
워터스 시메트리 쉘프(Symmetry Shelf) C18 75 x 4.6, 3.5 μM;
아질런트 조르박스(Zorbax) XDB, 150 x 4.6, 5 μM
칼럼 온도(℃): 40
상 A: 아세토니트릴
상 B: 0.1% 포름산
유속(mL/분): 0.8 내지 1.2
표준 비-구획 방법을 사용하여 피닉스 윈논린(Phoenix WinNonlin) 버전 6.3(Pharsight Corp, CA)에 의해 시험 화합물에 대한 약동학 파라미터를 계산하였다. 관찰된 값은 피크 혈장 농도(Cmax) 및 피크 혈장 농도의 시간(Tmax)이었다. 최후 측정가능 농도(the last measurable concentration)까지 선형 사다리꼴 공식을 사용하고(AUClast) 그 후에는 무한대까지 최종 소실 단계를 외삽함으로써(AUCinf) 혈장 농도-시간 곡선하 면적(AUC)을 결정하였다. 로그 혈장 농도-시간 곡선의 선형 최종 부분의 회기 분석에 의해 최종 소실 속도 상수(kel)를 결정하였다. 소실 단계 반감기(t1/2)는 0.693/kel로서 계산되었다. 경구 투여 후의 AUC(0 내지 24 시간)를 정맥내 투여 후의 조정된 AUC(0 내지 8 시간)로 나눔으로써 잠정적인 경구 생체이용율(F)을 계산하고(즉, F = AUC(p.o.) x 용량(i.v.)/AUC(i.v.) x 용량(p.o.)) 퍼센트(%)로 보고하였다.
약동학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약동학 데이터
화합물 생체이용율, F
(%)
i.v. AUC
(ng/mL/분)
p.o. AUC
(ng/mL/분)
T1/2
(h)
ABD735 83 1081 8965‡ 3.8
ABD836 55 2142 5927 5.3
ABD899 50 2133 10740‡ 10.8
REF001 50 963 4766‡ 7.2
HMC-C-01-A 89 900 4002 6.2
HMC-C-02-A 39 546 1069 3.2
HMC-C-03-A 55 1427 3910 2.4
HMC-N-01-A 64 740 1408 13.4
HMC-N-02-A 43 3053† 3303 6.3
HMC-N-03-A 8 5102† 962 3.1
HMC-N-04-A 66 1279 4203 2.9
HMC-C-01-B 67 1539 5121 5.7
HMC-C-03-B 116 816 * 9432 8.3
HMN-C-04-B 59 1589 * 9360 5.5
HMC-N-01-B 60 2824 8454 9.1
HMC-N-02-B 66 1931 6412 6.0
HMC-N-03-B 84 1380* 11609 7.4
† 2 mg/kg으로 정맥내 투약함.
* 0.5 mg/kg으로 정맥내 투약함.
‡ 10 mg/kg으로 경구 투약함.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기준 화합물과 균등하게 우수한 경구 약동학 특성을 나타냄을 보여준다. 이는 그들을 경구 약물로 사용하기에 적합하게 만든다.
생물학적 연구 6
마우스 콜라겐-유도 관절염
주령 7 내지 8 주의 웅성 DBA/1j 마우스를 모든 절차에 사용하였다. 동물들은 10 마리의 군으로 수용하였으며, 21 ℃ ± 2 ℃에서 12-시간 명/암 주기로 사료 및 물을 자유 급여하면서 유지하였다. 4 mg/mL의 소 유형 II 콜라겐을 프로인트 불완전 면역보강제(IFA: Incomplete Freund's adjuvant)(0.85 mL 파라핀 오일 및 0.15 mL 만니드 모노올레에이트) 중의 마이코박테리움 투베르쿨로시스(Mycobacterium tuberculosis) H37Ra의 4 mg/mL 현탁액과 1 : 1 (v/v) 비율로 유화시킴으로써 프로인트 완전 면역보강제(CFA: Complete Freund's adjuvant)를 제조하였다. CFA 중의 소 유형 II 콜라겐 200 ㎍으로 모든 마우스를 피하 면역화하였다. 21 일 후에, IFA 중의 소 유형 II 콜라겐 100 ㎍으로 모든 마우스를 피하 면역화하였다. '추가' 면역('booser' immunisation) 후에 마우스에 관절염의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했다.
관절염의 거시적 평가를 위해, 각각의 마우스의 각각의 발에서 하기 징후를 주 당 3회 모니터링하고 합산하여 관절염 지수(AI: Arthritic Index)(1 마리 동물에 대한 최대 AI는 16임)를 생성시켰다:
0 = 관절염의 가시적 효과가 없음.
1 = 1개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2 = 2개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3 = 2개 초과의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4 = 전체 발 및 발가락의 중증 관절염.
평균 관절염 지수가 2.5인 치료군으로 동물을 분류한 후, 14 일 동안 매일 1회, 시험 화합물의 경우에는 위관 영양법에 의해, 또는 양성 대조군인 에타네르셉트의 경우에는 10 mg/kg의 용량으로 피하 주사에 의해 화합물을 투약하였다. 실험 완료 후에, 마우스를 희생시켰다.
각각의 치료군에 걸쳐 관절염 지수의 평균을 생성시킴으로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평균 관절염 지수를 대조군(미치료) 동물의 관절염 지수에 비교하여 질환의 퍼센트 저해를 생성시켰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3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관절염의 저해
화합물 용량
(mg/kg/일)
질환의 % 저해
ABD735 10 44
ABD899 10 77
HMC-C-01-A 10 40
HMC-C-01-A 3 60
HMC-C-01-A 1 50
HMC-C-01-A 0.3 60
HMC-N-01-A 10 45
HMC-C-02-A 10 61
HMC-N-02-A 10 36
HMC-C-01-B 10 26
HMC-N-01-B 10 → 1 (*) 38
(*) 치사율로 인해 10 mg/kg/일로부터 1 mg/kg/일까지 감소시킴.
몇몇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는 도 1 및 2에도 예시되어 있다.
도 1은 (A) HMC-C-02-A(좌측 상단), (B) HMC-C-01-A(중간 상단), (C) HMC-N-02-A(우측 상단), (D) HMC-N-01-A(좌측 하단), (E) HMC-C-01-B(중간 하단), (F) HMC-N-01-B(우측 하단) 각각의 경우, 10 mg/kg/일로 위관 영양법에 의해 투약된 시험 화합물(하얀 원) 및 대조군(까만 원)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평균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6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도 2는 (A) 10 mg/kg/일의 ABD899(좌측), (B) 0.3 mg/kg/일 및 3 mg/kg/일의 HMC-C-01-A(우측) 각각의 경우, 시험 화합물(하얀 원, 하얀 정사각형), 대조군(까만 원)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시판되는 약물 에타네르셉트(삼각형)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2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확진된 중증 관절염의 진행을 방지함에 있어서 우수한 경구 생체내 활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시사한다.
또한 이 데이터는, 낮은 용량에서, 시판되는 치료제인 에타네르셉트보다 더 큰 효능을 나타내는 화합물 HMC-C-01-A의 특출한 활성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1 또는 생물학적 연구 4에서 HMC-C-01-A는 가장 활성인 화합물이 아니므로, 이러한 활성은 특히 의외이다. 부가적으로, HMC-C-01-A의 활성은 생물학적 연구 1 및 4에서 HMC-C-01-A보다 더 활성인 밀접하게 관련된 화합물인 HMC-C-01-B의 것보다 더 크며, 이는 우월한 효능을 가진 화합물의 동정이 사소한 것도 아니고 예측가능한 것도 아님을 보여준다는 것을 나타낸다.
생물학적 연구 7
최대 허용 용량
동물에서 화합물의 안전성의 지표인 최대 허용 용량(MTD: maximum tolerated dose)의 결정을 가능하게 하기 위하여, 랫트에서 화합물의 급성 안전성을 평가하였다. MTD가 높을수록, 시험되는 화합물의 잠재적 안전성이 커진다.
주령 8 내지 12 주의 2 마리의 웅성 및 2 마리의 자성 스프라그-돌리 랫트에 상승 용량 연구 설계에서 각각의 용량 수준으로 투약하였다. 시험 화합물은 0.5% 카복시메틸셀룰로즈(CMC)/0.1% 트윈-80 중에 제형화된 현탁액으로서 10 mL/kg의 용량 부피로 경구 투여하였다. 연구 전반에 걸쳐 동물에게 사료를 자유 급여하였다.
투약 후 최초 1 시간 동안에는 대략 30 분 간격으로 2회 이상 동물을 관찰하였으며, 그 후에 투약일의 나머지에는 적어도 4 시간 동안 매시간 간격으로 관찰하였다. 다음 날에는, 적어도 아침에 1회 및 저녁에 1회 동물을 관찰하였다. 경우에 따라, 각각의 관찰에서 임상적 징후의 성질 및 중증도 및 시간을 기록하였다. 관찰에는 피부, 털, 눈, 점막, 및 또한 호흡계, 순환계, 자율 신경계, 및 중추 신경계와 더불어, 체운동 활성 및 행동 양식에서의 변화가 포함되었다. 진전, 경련, 유연, 설사, 무기력, 수면, 및 혼수의 관찰에 특히 주의하였다.
연구 완료시에, 결과는 각각의 화합물에 대한 최대 허용 용량으로서 표현되었으며, 이는 허용할 수 없는 독성이 없는 각각의 최고 값이다.
허용할 수 없는 부작용이 없는 최대 용량을 MTD(mg/kg으로 표현됨)인 것으로 결정하였다.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최대 허용 용량
화합물 최대 허용 용량(mg/kg)
자성 웅성
ABD735 20 10
ABD899 30 30
REF001 7.5 10
HMC-C-03-A 30 30
HMC-N-03-A 50 50
HMC-C-01-A (1) 70 70
HMC-C-01-A (2) >500 >500
HMC-N-01-A 80 80
HMC-C-02-A > 200 > 200
HMC-N-02-A > 200 > 200
(1) 기재된 바와 같이 스프라그 돌리 랫트에 투약됨.
(2) 한 위스타(Han Wistar) 랫트에 투약됨.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기준 화합물인 ABD735, ABD899, 및 REF001에 비교하여 크게 증가된 안전성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데이터는 또한, 급성 안전성의 개선이 사소하지도 않고 예측가능하지도 않으며, 유사한 치환 패턴, 예를 들어 REF001에서 확인되는 것들이 급성 안전성의 감소를 유발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또한, 데이터는 화합물 HMC-C-01-A, HMC-C-02-A, HMC-N-01-A, 및 HMC-N-02-A, 및 특히 HMC-C-01-A의 특출한 안전성을 보여준다.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에서 나타나는 최대 허용 용량의 증가는 기준 화합물에 비교하여 개선된 안전성 여유도를 제공하며 경구 약물로서의 HMC 화합물의 잠재력을 강조한다.
생물학적 연구 8
그린스크린 HC 유전독성(GreenScreen HC Genotoxicity) 및 세포독성 어세이
그린스크린 HC는 화학적 화합물 및 혼합물의 유전독성 및 세포독성의 측정을 위한 포유류 세포 기반의 어세이이다.
용어 유전독성은 세포 내의 유전 물질(DNA)에 손상을 야기할 수 있는 물질을 기재하기 위해 사용되며, 이는 궁극적으로 인간에게 돌연변이 유발성, 발암성, 또는 기형 유발성 효과를 가질 수 있다.
그린스크린 어세이는 p53-수용(competent) TK6 인간 림프아구성 세포주의 유전적으로 변형된 유도체로부터 형광의 증가로서 유전독성 스트레스를 보고한다. 변형된 세포에서, GADD45a 유전자의 전사를 촉진하는 조절 DNA 서열은 녹색 형광 단백질(GFP: Green Fluorescent Protein)의 발현을 제어한다. GADD45a는 유전체 항상성(genomic integrity)에 있어서 중심 역할을 나타내며, 유전독성 스트레스는 그의 전사를 유도한다. 그러므로, 유전독성 화합물에 대한 노출은 GFP의 발현을 증가시키며, 이는 플레이트 판독기 또는 유세포 분석기를 사용하는 형광 검출에 의해 모니터링되는 형광의 증가로서 관찰된다. 그린스크린 HC 어세이에서는 형광을 흡광도 측정에 대해 정규화하여 세포 생존도의 손실 또는 세포독성에 의해 야기되는 세포 수율의 변동에 대해 보정한다. 그린스크린 HC 어세이에서의 양성 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정의된 역치는 1.5(즉,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대한 기준선 위로, 그리고 이를 초과하여 50% 유도)이다.
그린스크린 어세이에서는 유전독성과 함께 세포독성을 측정하며, 세포독성 평가의 결과는 상기 기재된 바와 같이 유전독성 측정을 정규화하기 위해 사용된다.
그린스크린 HC 어세이에서, 세포 생존도는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흡수 어세이를 사용하여 평가한다. 프로피듐 요오다이드는 삽입제이며 세포를 염색하기 위해 사용할 수 있는 형광 분자이다. 이는 세포 주기 분석에서 DNA 함량을 정량적으로 산정하여 세포 생존도 또는 DNA 함량을 평가하기 위해 통상적으로 사용되며, 괴사성(necrotic), 자멸성, 및 정상 세포를 분화시키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예를 들어, 문헌[Dengler et al., 1995, Anticancer Drugs, Vol. 6, No. 4, pp. 522-532] 참조). 세포독성 화합물에 대한 노출은 프로피듐 요오다이드의 흡수를 증가시키며, 이는 흡광도에 의해 모니터링되고 세포 증식에 비례한다.  세포독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시험 농도에서,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비교하여 90%로 설정된 유의성 역치 미만으로 상대 생존 개체수의 감소가 관찰되는 것들이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기부를 가진 96-웰 흑색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각각의 시험 화합물을 동시에 연속 희석한다. 표준 유전독성 화합물(메틸 메탄설포네이트(MMS))을 플레이트내 품질 관리 체크(intra-plate quality control check)로서 첨가한다. 마이크로플레이트 판독기를 사용하여 24 시간 및 48 시간 시점에 플레이트를 분석하며, 이는 마이크로플레이트 웰 내의 세포 및 용액에 대한 흡광 및 형광의 측정을 제공한다.
상기 기재된 세포 생존도 및 유전독성의 측정에 부가하여, 그린스크린 어세이는 대사 활성화의 효과를 평가하는 "그린스크린 HC S9 어세이"를 어세이 내에 포함한다. 이를 수행하기 위하여, 미토콘드리아 제거 상등액 간 추출물("S9"으로 공지됨)의 존재 및 부재 하에 세포를 인큐베이션한다. S9는 시험 세포에 포유류 1차 대사를 보충하기 위해 유전 독성학에 일상적으로 사용된다. 대사 활성화를 평가하기 위하여, 화합물을 TK6 균주와 함께 1% v/v S9 분획 혼합물의 존재 하에 3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고, 이어서 45 시간의 회복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한다. 회복 기간 후에, 유세포 분석기에 의해 GFP 형광 신호 및 세포 생존도(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흡수에 의해 평가됨)를 측정한다. 대사 활성화를 이용하는 유전독성 연구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대조군인 사이클로포스파미드를 어세이에서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다. 그린스크린 HC S9 어세이에서는, 평균 샘플 형광을 사용하여 정량화하는 GFP 발현의 유도에 의해 유전독성을 평가하고, 상기 기재된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흡수 어세이를 사용하여 세포독성을 평가한다. 양성 유전독성 결과에 대해 통계적으로 정의된 역치는 1.3(즉,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대한 기준선 위로, 그리고 이를 초과하여 30% 유도)이며, 결과는 양성 또는 음성으로 보고되어 있다. 세포독성 화합물은, 하나 이상의 시험 농도에서,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비교하여 90%로 설정된 유의성 역치 미만으로 상대 생존 개체수의 감소가 관찰되는 것들이다.
p53-수용 인간 림프아구성 TK6 세포주로부터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리포터 세포주가 유래되었다. 리포터 세포주는 인간 최적화 녹색 형광 단백질(GFP) 유전자에 연결된 인간 GADD45a 유전자의 업스트림 프로모터 영역 및 다른 조절 서열을 보유한 에피솜 복제 플라스미드를 지니고 있다. 대조군 세포주는, GFP가 생성되지 않도록 EGFP 유전자의 시작 부분에서 4개의 염기쌍이 제거된 점을 제외하고는 동일한 플라스미드를 지니고 있다. 양자 모두의 플라스미드는 또한 세포주에 하이그로마이신 B에 대한 내성을 부여하여 플라스미드 존재에 대한 계속되는 선택을 가능하게 하는 유전자를 지니고 있다(200 ㎍/mL 하이그로마이신 B; Invitrogen Corporation, Carlsbad, CA). 양자 모두의 세포주를 완전 배양 배지(10%(v/v) 열-불활성화 공여자 말 혈청(Lonza Wokingham Ltd, Wokingham, UK), 10 mM 소듐 피루베이트(Invitrogen Corporation), 및 5000 U/ml 페니실린 G 소듐과 5000 ㎍/ml 스트렙토마이신 설페이트(Invitrogen Corporation)로 보충된, GlutaMAX™ 및 25 mM N-2-하이드록시에틸피페라진-N'-2-에탄설폰산(Invitrogen Corporation)을 가진 RPMI 1640) 중에 37 ℃에서 5% CO2로 가습된 분위기에 유지하였다.
리포터 균주 및 대조군 세포주(이는 시험 균주와 동일한 유전적 변형을 함유하지만, 삽입된 GFP 유전자의 시작 부분에서 서열이 약간 변화했기 때문에 GFP를 생성하지 않음) 양자 모두를 이용하여, 9개의 연속 2-배 희석액에 걸쳐 각각의 시험 화합물을 평가하기 위해 각각의 어세이 플레이트를 준비하였다. 광학적으로 투명한 멸균된 흑색 벽의 평면 바닥 폴리스티렌 96-웰 마이크로플레이트에서 48 시간 노출을 수행하였다. 데이터 인정(data acceptance)을 제공하기 위하여 '고'(50 ㎍/mL) 및 '저'(10 ㎍/mL) 농도 양자 모두의 메틸 메탄설포네이트의 이중실험 웰이 플레이트내 양성 대조군으로서 포함되었다. 다른 대조군 웰은 음성 대조군으로서의 비히클-처리(1% v/v DMSO) 세포, 오염을 체크하기 위한 어세이 배지 단독, 및 색 또는 침전으로 인한 임의의 내재 형광 및/또는 흡광도를 결정하기 위한 어세이 배지를 가진 시험 화합물을 포함하였다.
통기성 막(BreathEasy, Diversified Biotech, USA)을 마이크로플레이트에 적용한 후에 격렬하게 진탕하였다(20 초). 그 다음에 48 시간 동안 37 ℃ 및 5% CO2에서 가습된 분위기 중에 정적 인큐베이션하였다. 48 시간 후에, 마이크로플레이트를 10 초 동안 격력하게 진탕하여 세포를 재현탁한 후에 분광광도법 데이터를 획득하였다. 형광 데이터를 흡광도 데이터에 대해 정규화하여 비히클-처리 대조군의 평균에 대한 '휘도' 값을 제공하고, 화합물 농도에 대해 플로팅하였다. ≥ 50%의 휘도 증가를 유전독성에 대한 양성 결과로서 분류하였으며: 이는 비히클-처리 및 비-유전독소-처리 세포로부터의 형광 데이터에서의 표준 편차의 3배를 초과하는 증가를 반영한다. 흡광도 데이터를 비히클-처리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고 세포독성으로서 플로팅하였다. 90%의 세포독성은 통계적으로 유의적인 세포 수율의 하락을 반영하며 성장 저해 독성 효과로서 기록된다.
마이크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그린스크린 HC 어세이 마이크로플레이트로부터 수집된 원 데이터를 그린스크린 HC 소프트웨어 템플레이트를 사용하여 자동 분석하여 하기 파라미터에 대한 결과 요약을 생성시켰다: S9 분획의 존재 및 부재 하에 24 시간 및 48 시간에 프로피듐 요오다이드 배제 어세이(즉, 세포 생존도의 손실)에서 양성 결과를 야기하는 최저 유효 농도(LEC: lowest effective concentration); 유전독성에 대한 음성 또는 양성 효과.
결과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세포독성 및 유전독성
화합물 세포독성, LEC(μM) 유전독성
24 h 48 h, -S9 48 h, +S9
ABD735 0.31 0.31 5 음성
ABD836 0.04 0.01 40 양성
ABD899 (1) < 0.001 < 0.001 0.32 양성
ABD899 (2) 0.64 0.08 81.9 음성
ABD900 0.29 0.07 74.1 음성
REF001 0.039 0.039 0.63 양성
HMC-C-01-A 0.47 0.12 60 음성
HMC-C-02-A > 1000 60 120 음성
HMC-C-03-A 0.24 0.06 15 음성
HMC-N-01-A 0.94 0.12 60 음성
HMC-N-02-A 0.94 0.47 120 음성
HMC-N-03-A 0.94 0.24 30 음성
HMC-N-04-A 0.47 0.12 30 음성
HMC-C-01-B 0.08 0.005 4.82 음성
HMC-C-03-B 0.17 0.08 10.8 양성
HMC-N-01-B 0.01 0.05 5.85 음성
HMC-N-02-B 0.04 0.01 10.2 음성
(1) 1.3 mM 내지 0.3 pM의 범위에서 실험실 규모 배치를 시험함.
(2) 164 μM 내지 0.003 μM의 범위에서 중간 규모 배치를 시험함.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기준 화합물에 비교하여 향상되거나 적어도 유사한 세포독성 및 유전독성을 나타내며 특히 ABD836 및 REF001보다 현저하게 더 양호하다는 것을 시사한다.
데이터는 또한, 세포독성 또는 유전독성 프로파일을 개선하기 위해 필요한 변화가 사소하지도 않고 예측가능하지도 않다는 것을 보여준다. 이는 밀접하게 관련된 화합물 ABD836 및 HMC-N-02-A의 프로파일에 의해 특히 강조된다.
또한, 데이터는 화합물 HMC-C-02-A, HMC-C-01-A, HMC-N-02-A, 및 HMC-N-01-A의 일반 세포독성에 대해 특출한 안전성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9
hERG 이온 채널 어세이
인간 에테르-a-이동-이동-관련 유전자(hERG) 이온 채널의 저해는 심장 활동 전위에서 재분극 IKr 전류를 매개함으로써, 그것이 심장의 박동을 조정하는 전기 활성에 기여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hERG가 세포막을 가로질러 전류를 전도하는 능력이 저해되거나 훼손될 경우, 그것은 QT 연장 증후군이라고 불리는 잠재적으로 치명적인 장애를 유발할 수 있다. hERG와 QT 연장 증후군 사이의 이러한 연계는 hERG 저해를 약물 개발 중에 피해야 하는 중요한 반-표적(anti-target)이 되게 하였다.
hERG 이온 채널에 대한 화합물의 활성을 시험하였다. 안정적으로 형질감염된 중국 햄스터 난소 세포(hERG-CHO)를 사용하는 자동 패치-클램프(path-clamp), Q-패치 방법을 사용하여 어세이를 수행하였다. hERG-CHO 세포를 F-12 카인 영양 혼합물 배지(Kaighn's Nutrient Mixture medium)(Invitrogen) + 10% FBS 중에 37 ℃에서 1 내지 3 일 동안 배양하였다. hERG 전류 진폭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패치 클램핑 전에 30 ℃에서 24 내지 48 시간 동안 세포를 유지하였다. 이어서, 트립신 처리에 의해 세포를 수확하고, 무혈청 배지(SFM: Serum Free Medium) 중에 Q-패치 세포 제조 상태에서 최대 6 시간 동안 실온에서 유지한 후, 세척하여 세포외 용액에 재현탁하고 데이터 기록을 위해 패치 클램프 부위에 적용하였다.
패치-클램프 전압 프로토콜: 전세포 형태(whole cell configuration)가 이루어진 후에, 세포를 -80 mV로 유지하였다. -40 mV로의 50 밀리초 펄스를 전달하여 누설 전류를 측정하고, 온-라인 꼬리 전류로부터 이를 감산하였다. 이어서, 세포를 2 초 동안 +20 mV로 탈분극시킨 후, -40 mV로의 1 초 펄스에 의해 hERG 꼬리 전류를 시현하였다. 이 패러다임을 5 초마다 1회씩 전달하여 전류 진폭을 모니터링하였다.
세포외 용액: 137 mM NaCl, 4 mM KCl, 1.8 mM CaCl2, 1 mM MgCl2, 10 mM D(+)-글루코스, 10 mM HePES 완충액(NaOH를 이용하여 pH를 7.4로 조정함).
전세포 형태가 이루어진 후에, 세포외 용액(대조군)을 먼저 적용하고 세포를 세포외 용액 중에 2 분 동안 안정화시켰다. 이어서, 낮은 농도로부터 높은 농도까지 점증적으로 시험 화합물을 적용하였다. 각각의 시험 농도로 5 분 동안 세포를 인큐베이션하였다. 각각의 인큐베이션 중에, 상기 기재된 전압 프로토콜을 사용하여 세포를 반복적으로 자극하고, 꼬리 전류 진폭을 계속 모니터링하였다.
인정 기준:
(1) 대조군에서 피크 꼬리 전류가 100 pA를 초과함.
(2) 초기 런-다운이 30% 미만이고 시험 화합물의 최초 적용 전에 런-다운이 중단됨.
(3) 누설 전류가 항상 대조군 피크 꼬리 전류의 50% 미만임.
(4) 실험 전반에 걸쳐 rs가 20 ㏁ 미만임.
시험 화합물과 함께 인큐베이션하기 전 및 후에, +20 mV로의 2 초 펄스 후의 -40 mV로의 1 초 시험 펄스에 의해 유도된 꼬리 전류 진폭을 측정함으로써 저해의 정도(%)를 얻었다. 퍼센트 저해를 얻기 위하여 전류의 차이를 대조군에 대해 정규화하고 100을 곱하였다.
농도(로그) 반응 곡선을 로지스틱 방정식(매우 높은 시험 화합물 농도에서 전류의 완전한 차단을 가정하는 3개의 파라미터)에 적합시켜 50% 저해 농도(IC50)의 추정값을 생성시켰다. 순차적 농도에 의한 전류 진폭의 퍼센트 감소로부터 각각의 화합물의 농도-반응 관계를 구축하였다.
결과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hERG 이온 채널 저해
화합물 IC50(μM) (1) 30 μM에서의 % 저해
ABD599 4.9 85
ABD735 - 62.5
ABD836 - 50
ABD899 2.9 100 (2)
ABD899 53 (3)
ABD900 51
REF001 - 60
HMC-C-01-A 19.3 79
HMC-C-02-A 25 57
HMC-C-03-A > 30 45
HMC-C-04-A 69
HMC-N-01-A 183 2
HMC-N-02-A 231 31
HMC-N-03-A > 30 13
HMC-N-04-A > 30 26
HMC-C-01-B 74
HMC-C-02-B 94
HMC-C-03-B 36
HMC-N-01-B 27
HMC-N-02-B 23
HMC-N-03-B 47
HMC-N-04-B 60
(1) IC50은 그래피트 버전 6.0.12(Erithacus Software Ltd., by Dr Robin Leatherbarrow)에서 자동으로 계산되는 4개 파라미터의 로지스틱 방정식을 사용하여 계산함.
(2) 실험실 규모 배치를 시험함.
(3) 중간 규모 배치를 시험함.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경구 활성 약물에 필요한 심장 안전성 특성을 나타내며, ABD599 및 ABD899와 같은 기준 화합물에 비교하여 안전성 이점을 갖고, HMC-N-01-A, HMC-N-02-A, 및 HMC-N-03-A가 특히 양성인 프로파일을 나타낸다는 것을 보여준다.
생물학적 연구 10
인간 초대 백혈구(Primary Leucocyte) 연구
인간 면역계는 약물 또는 화학물질에 의해 악영향을 받을 수 있는 세포 및 기관의 복잡한 세트를 포함한다. 이는 감염, 종양, 알레르기 반응, 자가면역 반응, 또는 다른 형태의 면역계 질환에 대한 감수성 증가를 유발한다. 그러므로, 면역독성의 평가는 새로운 의약품의 안전성 평가의 중요한 구성요소이며, 면역계의 조절을 통해 작용하는 잠재적 항-염증 약물에 대한 이상적인 프로파일은, 다른 것들에는 효과가 없고 면역계 세포의 소정의 서브세트에 대해 선택성을 보여줌으로써 일반적인 면역 활성화 또는 억제를 피하는 것이다. 예를 들어, 호중구에는 효과가 없고 단핵구의 생존도 또는 활성을 감소시키는 약물은, 감염에 대해 반응하고 이를 제거하는 환자의 능력을 훼손하지 않으면서 다수의 질환에서의 응용을 가진 항-염증 특성을 보유하는 것으로 예상될 것이다.
인간 전혈로부터 유래된 세포를 사용하여 기준 화합물(ABD735)이 인간 백혈구의 생존도에 영향을 미치는 능력을 조사하였다. 하기 인간 백혈구 유형에 대해 기준 화합물(ABD735)의 효과를 시험하였다: CD4 양성(T-헬퍼) 및 CD8-양성(T-세포독성) 개체군을 양자 모두 포함하는, 호중구, 단핵구, B-림프구, 및 T-림프구. 이들 세포 유형 각각은 인간 면역계에서 상이한 작용을 갖는다.
호중구는 또한 과립구로서 공지되어 있다. 그들은 사람에게 가장 풍부한 백혈구이며 내재 면역계의 일부를 형성한다. 호중구는 박테리아 감염에 의해 야기되는 염증의 급성기에 대한 주요 반응으로서 작용한다.
단핵구는 순환계에서 발견되는 내재 면역계의 일부이다. 말초 혈액 단핵구는 분화되어 대식세포를 형성하며, 이는 수지상 세포를 포함하여 면역 반응의 조절에 관여하는 다수의 세포의 전구체이다. 단핵구-대식세포의 주요 작용은 면역 이펙터 세포로서의 작용이다. 그들은 류머티스 관절염 및 다발성 경화증을 포함하는 몇몇 만성 염증성 병태의 발병에 깊이 관여한다.
T-림프구는 적응 면역계의 일부이며 면역에 있어서 중심 역할을 담당한다. 몇몇 서브세트의 T-림프구가 존재하며, 이들 각각은 면역계에서 상이한 작용을 보유한다. T-세포독성 림프구는 또한, 그들의 표면 상의 CD8이라고 불리는 분자의 존재로 인해 CD8+ T-세포로서 공지되어 있다. 그들의 역할은 감염된 세포 및 종양 세포를 파괴하는 것이지만, 염증성 조건 하에서 그들은 또한 질환을 악화시키는 작용을 할 수 있다. T-헬퍼 림프구는 또한, 그들의 표면 상의 CD4라고 불리는 분자의 존재로 인해 CD4+ T-세포로서 공지되어 있다. T-헬퍼 세포의 작용은 B-림프구의 성숙을 지원하고 세포독성 T-세포를 활성화시키는 것이다.
B-림프구는 적응 면역계의 일부이다. 그들의 주요 작용은 항체를 제조하고 항원-제시 세포로서 작용하는 것이며, 이는 T-림프구가 외래 항원을 인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호중구, 단핵구, CD4+ 및 CD8+ T-세포, 및 B-림프구의 생존도에 대한 기준 화합물(ABD735)의 효과를 휴지 조건 및 자극 조건 양자 모두에서 평가하였다. 인간 혈액에서 발견되는 정상 세포에 대한 개연적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휴지 조건을 사용하였고, 질환 조건 하에 화합물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해 자극 조건을 사용하였다.
유세포 분석법을 사용하여 세포 생존도에 대한 효과를 평가하였다. 유세포 분석법은 세포를 유체의 스트림 내에 현탁시키고 그들을 전자 검출 장치에 통과시킴으로써 세포 계수, 세포 분리, 및 생체표지자 검출에 채용되는 레이저 기반의 생물리학적 기술이다. 이는 초 당 최대 수천개 입자의 물리적 특징 및 화학적 특징의 동시 다중-파라미터 분석을 가능하게 한다. 유세포 분석을 사용하는 세포의 분리에는 특이적 세포 표지자의 사용이 필요하다. 세포 수를 정량화하기 위하여, 내부 표준으로서 계수 비드(counting bead)를 사용한다. 계수 비드는 공지 부피의 샘플에 첨가되는 마이크로비드의 보정된 현탁액이며, 따라서 비드 당 샘플 부피가 공지된다. 이는 샘플 내의 세포 수의 절대 결정을 가능하게 한다. 또한, B-림프구 및 T-림프구의 경우, 세포 증식 염료(Cell Proliferation Dye)(eFluor® 450)로서 공지된 염료를 사용하여 세포 증식을 측정한다. eFluor® 450은 세포-특이적 표지자에 접합될 수 있는 유기 염료이다. 그것은 레이저에 의해 여기될 때 접합체에 의해 결합된 세포의 수에 비례하는 방식으로 형광을 낸다. 그러므로 그의 신호는 특이적 세포 유형의 증식의 지표를 제공한다.
호중구 단리 및 생존에 대한 영향의 평가:
전혈(건강한 공여자로부터 수집함)로부터 2-단계 밀도 구배 히스토파크(Histopaque)® 1077 및 히스토파크® 1119에 의해 호중구를 단리하였다.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배지 중에 다형핵 세포를 세척하고 10% 송아지 태자 혈청(FCS: foetal calf serum)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2x106 세포/mL로 재현탁하였다. 이어서,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 또는 대조군(0.3% DMSO)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덱사메타손(1 μM)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50 ㎕의 세포 현탁액을 96 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 CO2 에서 24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세포를 고정시키고 정확한 부피의 계수 비드를 각각의 튜브에 첨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단핵구 단리 및 생존에 대한 영향의 평가:
건강한 공여자(모두 남성)로부터 PBMC(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수집하고 피콜 파크(Ficoll Paque)(GE Healthcare, UK)의 층 상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어서, 10% FCS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세포를 재현탁시키고(3 x 106 세포/mL) 1 mL의 세포 현탁액을 48-웰 플레이트에 첨가한 후, 이를 37 ℃/5% CO2에서 1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이어서, 상등액을 흡인하여 비-부착 세포를 제거한 후, 비-부착 세포의 제거를 보장하기 위해 2회의 세척 단계를 수행하였다. 이어서,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의 부재(대조군) 또는 존재 하에 48 시간 동안 37 ℃/5% CO2에서 부착 세포(단핵구)를 LPS(10 ng/mL), TNFα(10 ng/mL), 또는 대식세포 콜로니 자극 인자(M-CSF)(10 ng/mL)로 자극하였다. 이어서, 플레이트를 원심분리하고 단핵구를 PBS 중에 세척한 후, PBS + EDTA(10 mM)를 첨가하고 4 ℃에서 20 분 동안 인큐베이션하여 세포의 탈착을 지원하였다(이는 피펫팅에 의해 촉진됨). 단핵구를 팔콘 튜브에 첨가하고 원심분리에 의해 PBS로 세척한 후, 각각의 튜브에 정확한 부피의 계수 비드를 첨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B-림프구 단리 및 생존에 대한 영향의 평가:
건강한 공여자(모두 여성)로부터 PBMC(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수집하고 피콜 파크(GE Healthcare, UK)의 층 상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어서, 10% FCS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세포를 재현탁시켰다.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 또는 대조군(0.3% DMSO)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Staphylococcus aureus) 코완 I(SAC)과 인터류킨-2의 조합(SAC/IL-2)(1:10,000 및 2 ng/m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항-인간 CD19로 세포를 염색한 후, 정확한 부피의 계수 비드를 각각의 튜브에 첨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B-세포 단리 및 증식에 대한 영향의 평가:
건강한 공여자(모두 여성)로부터 PBMC(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수집하고 피콜 파크(GE Healthcare, UK)의 층 상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어서, 세포의 증식을 측정하는 세포 증식 염료(eFluor® 450)로 세포를 염색하고, 10% FCS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재현탁하였다.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 또는 대조군(0.3% DMSO)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스타필로코커스 아우레우스 코완 I(SAC)과 인터류킨-2의 조합(SAC/IL-2)(1:10,000 및 2 ng/m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5 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B-림프구의 표지자인 항-인간 CD19로 세포를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기 상에서 분석하였다. e450이 낮은 세포는 증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T-세포 단리 및 생존에 대한 영향의 평가:
건강한 공여자(모두 여성)로부터 PBMC(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수집하고 피콜 파크(GE Healthcare, UK)의 층 상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어서, 10% FCS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2 x 106 세포/mL로 세포를 재현탁하였다.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 또는 대조군(0.3% DMSO)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피토헤마글루티닌(PHA, 5 ㎍/m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48 시간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항-인간 CD8 또는 CD4로 세포를 염색한 후, 정확한 부피의 계수 비드를 각각의 튜브에 첨가하여 살아있는 세포의 수를 계산하였다.
T-세포 단리 및 증식에 대한 영향의 평가:
건강한 공여자(모두 여성)로부터 PBMC(말초 혈액 단핵 세포)를 수집하고 피콜 파크(GE Healthcare, UK)의 층 상에서 원심분리에 의해 단리하였다. 이어서, 세포 증식 염료(eFluor® 450)로 세포를 염색하고, 10% FCS 및 항생제(페니실린 100 U/mL, 스트렙토마이신 100 ㎍/mL)로 보충된 RPMI 중에 재현탁하였다. 기준 화합물(ABD735)(30, 10, 3, 1, 또는 0.3 μM에서) 또는 대조군(0.3% DMSO)의 존재 또는 부재하에, 피토헤마글루티닌(PHA, 5 ㎍/mL)의 존재 또는 부재 하에, 세포 현탁액을 96-웰 플레이트에 첨가하고 37 ℃/5% CO2에서 5 일 동안 인큐베이션하였다. 인큐베이션 후에, 항-인간 CD8 또는 CD4로 세포를 염색한 후, 유세포 분석기 상에서 분석하였다. e450이 낮은 세포는 증식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기준 화합물(ABD735)에 대한 평균 결과(n=3)를 배수 변화 대 평균 대조군 값으로 표현하였다. 이어서, 그래피트로부터의 소프트웨어(Erithacus Software)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도식적으로 플로팅하였다. 각각의 실험을 3회 반복하였으며, 데이터는 모든 실험의 평균으로서 제공되어 있다.
결과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ABD735(3 μM)의 존재 하의 세포 생존도
세포 유형 자극 생존도의 배수 변화
호중구 - 1.0
덱사메타손 0.8
B-림프구 - 0.9
SAC/IL-2 1.1
CD4+ T-림프구 - 0.9
피토헤마글루티닌 0.6
CD8+ T-림프구 - 0.8
피토헤마글루티닌 0.7
단핵구 - 0.7
M-CSF 1.1
LPS 1.0
TNFα 0.5
ABD735(3 μM)의 존재 하의 세포 증식
세포 유형 자극 증식의 배수 변화
B-림프구 - 0.9
SAC/IL-2 0.6
CD4+ T-림프구 - 1
피토헤마글루티닌 0.6
CD8+ T-림프구
- 0.7
피토헤마글루티닌 0.3
백혈구 유형에 걸친 기준 화합물(ABD735)의 단일 고농도(3 μM)로부터의 결과를 상기에 나타낸다. 본 어세이에서, 생존도의 손실에 있어서는 0.5 이하의 배수 변화가 유의적이고, 증식의 감소에 있어서는 0.6 이하의 배수 변화가 유의적이다.
이들 데이터로부터 M-CSF 또는 LPS의 존재 하에서가 아니라 TNFα의 존재 하에서만 기준 화합물(ABD735)이 단핵구의 생존도를 선택적으로 감소시킨다는 것을 알 수 있다.  또한, 기준 화합물(ABD735)은 다른 백혈구 개체군의 생존도에 효과가 거의 없으며, 이는 이 계열로부터의 화합물이 일반적으로 면역억제성이 아님을 시사한다.  기준 화합물(ABD735)은 또한, 림프구의 증식을 감소시키는 것으로 나타나며, 가장 극심한 효과는 자극된 CD8+ T-림프구에서 나타난다.  림프구 아개체군의 증식에 있어서 선택적 감소를 동반하는 이러한 프로파일은, 류머티스 관절염, 전신 홍반 루푸스, 크론병, 및 다발성 경화증과 같은 염증 질환의 치료와 더불어, T-세포 림프종, 예컨대 결절외 T-세포 림프종, 피부 T-세포 림프종, 역형성 거대 세포 림프종, 및 혈관면역모세포 T 세포 림프종; B-세포 림프종, 예컨대 호지킨 및 비-호지킨 림프종, 예를 들어 미만성 거대 B-세포 림프종, 소포성 림프종, 점막-관련 림프 조직 림프종, 소림프구 림프종, 외투 세포 림프종, 및 버킷 림프종; 및 다른 백혈병, 예컨대 만성 림프구성 백혈병 및 다발성 골수종을 포함하는 백혈병의 치료에 있어서 매력적인 기전 프로파일이다.
생물학적 연구 11
랫트 프리스탄-유도 관절염 연구
모든 절차에 자성 루이스 랫트를 사용하였다. 동물들은 5 마리의 군으로 수용하였으며, 21 ℃ ± 2 ℃에서 12-시간 명/암 주기로 사료 및 물을 자유 급여하면서 유지하였다. 0.3 mL 프리스탄을 꼬리의 기저부에 피내 투여함으로써 관절염을 유도하였다. 프리스탄 주사로부터 대략 7일 후에 랫트에 관절염의 징후 및 증상이 발생하기 시작하였다.
관절염의 거시적 평가를 위해, 각각의 마우스의 각각의 발에서 하기 징후를 주 당 3회 모니터링하고 합산하여 관절염 지수(AI)(1 마리 동물에 대한 최대 AI는 16임)를 생성시켰다:
0 = 관절염의 가시적 효과가 없음.
1 = 1개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2 = 2개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3 = 2개 초과의 발가락의 부종 및/또는 홍반.
4 = 사지 변형(limb deformation) 및 관절의 강직을 포함하는, 전체 발 및 발가락의 중증 관절염.
프리스탄 투여 전에 동물들을 치료군으로 분류하고 28 일 동안 매일 1회 시험 화합물을 3 및 10 mg/kg/일의 용량으로 위관 영양법에 의해 투약하거나, 양성 대조군인 메토트렉세이트의 경우에 0.05 mg/kg의 용량으로 복강내 주사에 의해 투약하였다. 실험 완료 후에, 랫트를 희생시켰다.
각각의 치료군에 걸쳐 관절염 지수의 평균을 생성시킴으로써 데이터를 분석하였다. 이어서, 하기 수학식을 사용하여 평균 관절염 지수를 대조군(미치료) 동물의 관절염 지수에 비교하여 질환의 퍼센트 저해를 생성시켰다.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4
데이터는 하기 표에 요약되어 있다.
관절염의 저해
화합물 용량
(mg/kg/일)
질환의 % 저해
ABD899 3 21
ABD899 10 ND(1)
HMC-C-01-A 3 40
HMC-C-01-A 10 67
HMC-N-01-A 3 39
HMC-N-01-A 10 60
(1) 유해한 효과로 인해 제10일에 투약을 종료함.
몇몇 화합물에 대한 데이터는 도 3에도 예시되어 있다.
도 3은 (A) 3 mg/kg/일로 투약된 ABD899(좌측 상단), (B) 3 mg/kg/일로 투약된 HMC-C-01-A(중간 상단), (C) 3 mg/kg/일로 투약된 HMC-N-01-A(우측 상단), (D) 10 mg/kg/일로 투약된 ABD899(좌측 하단), (E) 10 mg/kg/일로 투약된 HMC-C-01-A(중간 하단), 및 (F) 10 mg/kg/일로 투약된 HMC-N-01-A(우측 하단) 각각의 경우, 시험 화합물(하얀 원), 대조군(까만 원) 및 양성 대조군으로서 메토트렉세이트(삼각형)에 대해 시간(투약 일수)의 함수로서 각각 평균 관절염 지수를 도시한 6개의 그래프를 보여준다.
이들 데이터는 본 명세서에 기재된 HMC 화합물이 프리스탄 유도 관절염의 진행의 방지에 있어서 우수한 경구 생체내 활성을 나타내는 반면에, 화합물 ABD899은 생물학적 연구 6에서의 양호한 활성에도 불구하고 이 모델에서는 질환에 대한 제한된 효과를 나타내었음을 시사한다. 또한, 화합물 HMC-C-01-A 및 HMC-N-01-A는 연장된 투약 중에 동물에 의해 잘 용인된 반면에, ABD899는 투약을 종료하고 그것을 투약 받는 동물들을 연구로부터 제거할 필요가 있을 만큼 열등하게 용인되었다(도 3, 패널 D에 나타냄). 추가로, 화합물 HMC-C-01-A는 모델에서 특히 양호한 효능을 나타냈으며, 이는 류머티스 관절염에 대해 시판되는 1차 요법인 메토트렉세이트와 균등하였다.
데이터는 우월한 효능을 가진 화합물의 동정이 사소하지도 않고 예측가능하지도 않다는 것을 추가로 나타낸다.
전술한 내용에 본 발명의 원리, 바람직한 실시 양태, 및 작동 모드를 기재하였다. 그러나, 본 발명이 논의된 특정 실시 양태로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대신에, 상기 기재된 실시 양태는 한정적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간주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로부터 이탈하지 않으면서 당업자에 의해 그러한 실시 양태의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다는 것이 인정되어야 한다.
참조문헌
본 발명 및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상태를 더욱 완전하게 기재하고 개시하기 위하여 다수의 간행물이 본 명세서에 인용되어 있다. 이들 간행물에 대한 전체 인용이 하기에 제공되어 있다. 각각의 이들 간행물은 마치 각각의 개별적인 간행물이 구체적으로 그리고 개별적으로 원용에 의해 포함되는 것으로 표시되는 정도로 그 전체 내용이 원용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본 발명 내에 포함된다.
Akahoshi et al., 2008, "Promoter polymorphisms in the IRF3 gene confer protection against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Lupus, Vol. 17 pp. 568-574.
Astry et al., 2011, "A cytokine-centric view of the pathogenesis and treatment of autoimmune arthritis", J Interferon Cytokine Res., Vol. 31, pp.927-940.
Bahmanyar et al., 2010, "Aminotriazolopyridines and their use as kinase inhibitors",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10/027500 A1 published 11 March 2010.
Baud et al., 1999, "Signalling by proinflammatory cytokines: oligomerization of TRAF2 and TRAF6 is sufficient for JNK and IKK activation and target gene induction via an amino-terminal effector domain", Genes Dev., Vol. 13, pp. 1297-1308.
Baud et al., 2009, "Is NFκB a good target for cancer therapy? Hopes and pitfalls", Nat. Rev. Drug Disc., Vol. 8, pp. 33-40.
Billiau, 2010, "Etanercept improves linear growth and bone mass acquisition in MTX-resistant polyarticular-course juvenile idiopathic arthritis", Rheumatology (Oxford), Vol. 49, pp. 1550-1558.
Bladh et al., 2006, "Novel sulphonamide derivatives as glucocorticoid receptor modulators for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diseases",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06/046916 A1 published 04 May 2006.
Brennan et al., 1992, "Enhanced expression of tumor necrosis factor receptor mRNA and protein in mononuclear cells isolated from rheumatoid arthritis synovial joints", Eur. J. Immunol., Vol. 22, pp. 1907-1912.
Brennan et al., 1996, "Cytokines in autoimmunity", Curr. Opin. Immunol., Vol. 8, pp. 872-877.
Chen et al., 2012, "High-affinity and selective dopamine D3 receptor full agonists", Bioorg. & Med. Chem. Lett., Vol. 22, pp. 5612-5617.
Childs, L.M., et al., 2001, "Efficacy of etanercept for wear debris-induced osteolysis", Journal of Bone and Mineral Research, Vol. 16, No. 2, pp. 338-347.
Dallas et al., 2011, "Osteoimmunology at the nexus of arthritis, osteoporosis, cancer, and infection", J. Clin. Invest., Vol. 121, pp. 2534-2542.
Dimitris et al., 1998, "The Pathophysiologic Roles of Interleukin-6 in Human Disease", Ann Intern Med., Vol. 128, No. 2, pp. 127-137.
Dvorak et al., 1996, "Comparative ultrastructural morphology of human basophils stimulated to release histamine by anti-IgE, recombinant IgE-dependent histamine-releasing factor, or monocyte chemotactic protein-1", Journal of Allergy and Clinical Immunology, Vol. 98, pp. 355-370.
Feldmann et al., 1994, "TNF alpha as a therapeutic target in rheumatoid arthritis," Circ. Shock, Vol. 43, pp. 179-184.
Feldmann et al., 1996, "Rheumatoid arthritis", Cell, Vol. 85, pp. 307-310.
Feldmann et al., 2001, "The role of TNF alpha and IL-1 in rheumatoid arthritis," Curr. Dir. Autoimmun., Vol. 3, pp. 188-199.
Firestein, 2005 "Immunologic mechanisms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J. Clin. Rheumatol., Vol. 11. pp. S39-S44.
Fu et al., 2011, "Association of a functional IRF7 variant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Arthritis Rheum., Vol. 63, pp. 749-754.
Gabay, 2006, "Interleukin-6 and chronic inflammation", Arthritis Research & Therapy, Vol. 8 (Suppl 2), S3.
Galli et al., 1989, "IgE, Mast Cells and the Allergic Response", Ciba Foundation Symposium, Vol. 147, pp. 53-73.
Gottlieb, 2005, "Psoriasis: Emerging Therapeutic Strategies", Nat. Rev. Drug Disc., Vol. 4, pp. 19-34.
Greig et al., 2006, "Development and characterization of biphenylsulfonamides as novel inhibitors of bone resorption", J. Med. Chem., Vol 49: pp 7487-7492.
Greig et al., 2008, "Biphenyl-4-yl-sulfonic acid arylamide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08/114022 A1 published 25 September 2008.
Greig et al., 2010a, "Aryl-phenyl-sulfonamido-cycloalkyl compounds and their us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10/032009 A1 published 25 March 2010.
Greig et al., 2010b, "Aryl-phenyl-sulfonamido-phenylene compounds and their us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10/032010 A1 published 25 March 2010.
Greig et al., 2013, "Development of triarylsulfonamides as novel anti-inflammatory agents", Bioorg. & Med. Chem. Lett., Vol. 23, pp. 816-820.
Hadida et al., 2007, "Heterocyclic modulators of ATP-binding cassette transporters",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07/056341 A1 published 18 May 2007.
Hu et al., 2011, "A meta-analysis of the association of IRF5 polymorphism with systemic lupus erythematosus International", Journal of Immunogenetics, Vol. 38, pp. 411-417.
Jimi et al., 2004, "Selective inhibition of NF-kappa B blocks osteoclastogenesis and prevents inflammatory bone destruction in vivo", Nat. Med., Vol. 10, pp. 617-624.
Joosten et al., 1996, "Anticytokine treatment of established type II collagen-induced arthritis in DBA/1 mice. A comparative study using anti-TNF alpha, anti-IL-1 alpha/beta, and IL-1Ra," Arthritis Rheum., Vol. 39, pp. 797-809.
Karsenty et al., 2002, "Reaching a genetic and molecular understanding of skeletal development", Dev. Cell., Vol. 2, pp. 389-406.
Klareskog et al., 2006, "Mechanisms of disease: Genetic susceptibility and environmental triggers in the development of rheumatoid arthritis," Nat. Clin. Pract. Rheumatol., Vol. 2, pp. 425-433.
Korzenik et al., 2006, "Evolving knowledge and therapy of inflammatory bowel disease," Nat. Rev. Drug Disc., Vol. 5, pp. 197-209.
Krausgruber et al., 2011, "IRF5 promotes inflammatory macrophage polarization and TH1-TH17 responses", Nat. Immunol., Vol. 12, pp. 231-238.
Li et al., 2008, "A tumor necrosis factor-α-mediated pathway promoting autosomal dominant polycystic kidney disease", Nature Medicine, Vol. 14, No. 8, pp. 863-868.
Liu, 2005, "Molecular mechanism of TNF signalling and beyond," Cell Res., Vol. 15, pp. 24-27.
Long, 2012, "Osteoimmunology: the expanding role of immunoreceptors in osteoclasts and bone remodeling", Bone Key Rep., Vol. 1, p. 59.
Malemud et al., 2010, "Myeloid-related protein activity in Rheumatoid Arthritis", International Journal of Interferon, Cytokine and Mediator Research, Vol. 2, pp. 97-111.
Mantovani, 2009, "Inflaming metastasis", Nature, Vol. 457, pp. 36-37.
Mazzucchelli et al., 1996, "Differential in situ expression of the genes encoding the chemokines MCP-1 and RANTES in human inflammatory bowel disease", J. Pathol., Vol. 178, No. 2, pp. 201-206.
McInnes et al., 2007, "Cytokines in the pathogenesis of rheumatoid arthritis", Nat. Rev. Immunol., Vol. 7, pp. 429-442.
Minamino et al., 2012, "IRF-2 regulates B-cell proliferation and antibody production through distinct mechanisms", Int Immunol., Vol. 24, pp. 573-581.
Mount et al., 2005, "Rheumatoid arthritis market", Nat. Rev. Drug Disc., Vol. 2, pp. 11-12.
O'Shea et al., 2013, "Janus kinase inhibitors in autoimmune diseases", Annals of Rheumatic Disease, Vol. 72, Supplement 2, pp. 111-115.
Ogata et al., 2012, "Safety and Efficacy of Tocilizumab for the Treatment of Rheumatoid Arthritis", Clin Med Insights Arthritis Musculoskelet Disord., Vol. 5, pp. 27-42.
Parameswaran et al., 2010, "Tumor necrosis factor-α signaling in macrophages", Crit. Rev. Eukaryot. Gene Expr., Vol. 20, pp. 87-103.
Philchenkov et al., 2004, "Caspases and cancer: mechanisms of inactivation and new treatment modalities", Exp. Oncol., Vol 26, pp 82-97.
Pisetsky, 2012, "Advances in the treatment of inflammatory arthriti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Vol. 26. pp.251-261.
Ralston et al., 2005, "Aryl alkyl sulfonamide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bone conditions",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05/118528 A2 published 15 December 2005.
Rincon, 2012 "Interleukin-6: from an inflammatory marker to a target for inflammatory diseases", Trends in Immunology, Vol. 33, No. 11, pp. 571-577.
Roodman, 2006, "Regulation of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n. N. Y. Acad. Sci. , Vol. 1068, pp. 100-109.
Scott et al., 2010, "Rheumatoid Arthritis", Lancet, Vol. 376, pp. 1094-1108.
Sharif et al., 2012, "IRF5 polymorphism predicts prognosis in patients with systemic sclerosis", Annals of the Rheumatic Diseases, Vol. 71, pp. 1197-1202.
Smolen et al., 2003, "Therapeutic Strategies for Rheumatoid Arthritis", Nat. Rev. Drug Disc. , Vol. 2, pp. 473-488.
Steger et al., 2011, "Denosumab for the treatment of bone metastases in breast cancer: evidence and opinion", Ther. Adv. Med. Oncol., Vol. 3, pp. 233-243.
Sugiyama et al., 1995, "Chemokines in bronchoalveolar lavage fluid in summer-type hypersensitivity pneumonitis", Eur. Respir. J., Vol. 8, pp. 1084-1090.
Sun, 2010, "Mechanical loading, cartilage degradation and arthritis", Annals of the New York Academy of Sciences, Vol. 1211, pp. 37-50.
Takaoka et al., 2005, "Integral role of IRF-5 in the gene induction programme activated by Toll-like receptors", Nature, Vol. 434, pp. 243-249.
Takayanagi, 2009, "Osteoimmunology and the effects of the immune system on bone", Nature Reviews Rheumatology, Vol. 5, pp. 667-676.
Tanaka et al., 2003, "Signal transduction pathways regulating osteoclast differentiation and function", J. Bone Miner. Metab., Vol. 21, pp. 123-133.
Tsutsumi et al., 2005,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05/025554 A2 published 24 March 2005.
van den Berg et al., 1999, "Pathogenesis of joint damage in rheumatoid arthritis: evidence of a dominant role for interleukin-I", Baillieres Best Pract. Res. Clin. Rheumatol., Vol. 13, pp. 577-597.
van den Berg, 2002, "Is there a rationale for combined TNF and IL-1 blocking in arthritis?", Clin. Exp. Rheumatol. , Vol. 20, pp. S21-S25.
Volejnikova et al., 1997, "Monocyte recruitment and express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are developmentally regulated in remodeling bone in the mouse", Am. J. Pathol., Vol. 150, No. 5, pp. 1711-1721.
Wang et al., 2010, "Selective ligands for the dopamine 3 (D3) receptor and methods of using same", international patent publication number WO 2010/025235 A1 published 04 March 2010.
Zhang et al., 2012 "Regulation of T helper cell differentiation by interferon regulatory factor family members", Immunol. Res., Vol. 54 pp. 169-176.
Zheng et al., 1998, "Gene expression of monocyte chemoattractant protein-1 in giant cell tumors of bone osteoclastoma: Possible involvement in CD68+ macrophage-like cell migration", Journal of Cellular Biochemistry, Vol. 70, No. 1, pp. 121-129.

Claims (46)

  1.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5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6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8

    Figure 112016007573294-pct00079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0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1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2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3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4
  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5
  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6
  4.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7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8
  6.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89
  7.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0
  8.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1
  9.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2
  10.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3
  11.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4
  12.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5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6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7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8

    Figure 112016007573294-pct00099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0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1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2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3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4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5
  13.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6
  14.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7
  15.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8
  16.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09
  17.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0
  18.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1
  19.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2
  20.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3
  21.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4
  22. 제12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5
  23.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 중에서 선택되는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6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7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8

    Figure 112016007573294-pct00119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0
  24.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1
  25.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2
  26.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3
  27.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4
  28.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5
  29.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6
  30.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7
  31.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8
  32.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29
  33. 제23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의 화합물, 또는 그의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염, 수화물 또는 용매화물인 화합물:
    Figure 112016007573294-pct00130
  3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포함하는, 하기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
    암; 혈액학적 악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고형 종양암; 방광암; 유방암;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또는
    베체트병.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류머티스 관절염.
  36.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또는 강직성 척추염.
  37.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또는 쇼그렌 증후군.
  38.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39.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
  40.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암; 혈액학적 악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고형 종양암; 방광암; 유방암;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
  41.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42.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43.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질환은 하기의 질환인 약제학적 조성물:
    베체트병.
  44. 제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화합물 및 약제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또는 희석제를 혼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하기 질환 중 하나 이상의 치료를 위한 약제학적 조성물의 제조 방법:
    류머티스 관절염; 건선; 건선성 관절염; 만성 폐쇄성 폐질환(COPD); 천식; 죽상동맥경화증; 염증성 장질환; 강직성 척추염;
    다발성 경화증; 전신 홍반성 루푸스; 쇼그렌 증후군;
    골손실과 연계된 장애; 류머티스 관절염, 골다공증, 암-관련 골질환, 또는 파제트병에서 과도한 파골세포 활성과 연계된 골손실;
    암; 혈액학적 악성 종양; 다발성 골수종; 백혈병; 림프종; 고형 종양암; 방광암; 유방암; 대장암; 신장 세포 암종; 신장암; 폐암; 췌장암; 위암; 전립선암; 뇌종양; 피부암; 갑상선암; 기저 세포 법랑모세포종; 또는 흑색종;
    섬유증과 연계된 장애, 전신성 경화증 또는 피부 경화증; 또는
    베체트병.
  45. 삭제
  46. 삭제
KR1020167002015A 2013-06-26 2014-06-24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치료 용도 KR102151299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GB1311361.8 2013-06-26
GBGB1311361.8A GB201311361D0 (en) 2013-06-26 2013-06-26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PCT/GB2014/051921 WO2014207445A1 (en) 2013-06-26 2014-06-24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s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s and their therapeutic use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60024392A KR20160024392A (ko) 2016-03-04
KR102151299B1 true KR102151299B1 (ko) 2020-09-02

Family

ID=489989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67002015A KR102151299B1 (ko) 2013-06-26 2014-06-24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페닐-벤젠설폰아미드 및 n-(4-하이드록시-4-메틸-사이클로헥실)-4-(2-피리딜)벤젠설폰아미드 및 이들의 치료 용도

Country Status (28)

Country Link
US (4) US9624167B2 (ko)
EP (1) EP3013799B1 (ko)
JP (1) JP6360555B2 (ko)
KR (1) KR102151299B1 (ko)
CN (1) CN105492426B (ko)
AU (1) AU2014300745B2 (ko)
BR (1) BR112015031527B1 (ko)
CA (1) CA2915075C (ko)
CY (1) CY1119438T1 (ko)
DK (1) DK3013799T3 (ko)
EA (1) EA028077B1 (ko)
ES (1) ES2641758T3 (ko)
GB (1) GB201311361D0 (ko)
HK (1) HK1218115A1 (ko)
HR (1) HRP20171611T1 (ko)
HU (1) HUE034983T2 (ko)
IL (1) IL243103B (ko)
LT (1) LT3013799T (ko)
ME (1) ME02834B (ko)
MX (1) MX2015016914A (ko)
NZ (1) NZ715192A (ko)
PL (1) PL3013799T3 (ko)
PT (1) PT3013799T (ko)
RS (1) RS56256B1 (ko)
SG (1) SG11201510646SA (ko)
SI (1) SI3013799T1 (ko)
WO (1) WO2014207445A1 (ko)
ZA (1) ZA201600202B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0817207D0 (en) 2008-09-19 2008-10-29 Pimco 2664 Ltd therapeutic apsac compounds and their use
GB201311361D0 (en) 2013-06-26 2013-08-14 Pimco 2664 Ltd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WO2016097001A1 (en) * 2014-12-17 2016-06-23 Pimco 2664 Limited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GB201813312D0 (en) * 2018-08-15 2018-09-26 Modern Biosciences Ltd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GB201905520D0 (en) 2019-04-18 2019-06-05 Modern Biosciences Ltd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009A1 (en) 2008-09-19 2010-03-25 Pimco 2664 Limited Aryl-phenyl-sulfonamido-cycloalkyl compounds and their use

Family Cites Families (5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GB597810A (en) 1943-04-12 1948-02-04 Gen Printing Ink Corp Improvements in or relating to derivatives of diphenyl
DE1046220B (de) 1956-04-21 1958-12-11 Bayer Ag Verfahren zur Herstellung von Monoazofarbstoffen und deren Metallkomplexverbindungen
US4119784A (en) 1977-07-01 1978-10-10 American Cyanamid Company Anionic substituted sulfonamido biphenyls
DE3000519A1 (de) 1979-02-01 1980-08-14 Byk Gulden Lomberg Chem Fab Sulfonamido-alkansaeuren, ihre verwendung und herstellung sowie sie enthaltende arzneimittel
DE3535167A1 (de) 1985-10-02 1987-04-09 Boehringer Mannheim Gmbh Neue sulfonyl-phenyl(alkyl)amine, verfahren zu ihrer herstellung sowie arzneimittel
IL118325A0 (en) 1995-05-25 1996-10-31 Pont Merck And Pharmaceutical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containing them
KR19990067184A (ko) 1995-10-30 1999-08-16 스튜어트 알. 수터, 스티븐 베네티아너, 피터 존 기딩스 프로테아제 억제제
US5760028A (en) 1995-12-22 1998-06-02 The Du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Integrin receptor antagonists
CA2249733A1 (en) 1996-03-15 1997-09-18 Du Pont Pharmaceuticals Company Spirocycle integrin inhibitors
CA2260860A1 (en) 1996-07-22 1998-01-29 Monsanto Company Thiol sulfonamide metalloprotease inhibitors
NZ335028A (en) 1996-10-16 2000-09-29 American Cyanamid Co Ortho-sulfonamido aryl hydroxamic acids as matrix metalloproteinase (MMP) and TACE (TNF-alpha converting enzyme) inhibitors
DE69736812T2 (de) 1996-11-27 2007-08-09 Bristol-Myers Squibb Pharma Co. Neue integrin rezeptor antagonisten
AU6780398A (en) 1997-03-28 1998-10-22 Du Pont Merck Pharmaceutical Company, The Heterocyclic integrin inhibitor prodrugs
BR9815469A (pt) 1997-05-08 2001-03-06 Smithkline Beecham Corp Inibidores de protease
DE19719621A1 (de) 1997-05-09 1998-11-12 Hoechst Ag Sulfonylaminocarbonsäuren
DE59802394D1 (de) 1997-05-09 2002-01-24 Hoechst Ag Substituierte Diaminocarbonsäuren
US6291425B1 (en) 1999-09-01 2001-09-18 Guilford Pharmaceuticals Inc. Compounds, method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for treating cellular damage, such as neural or cardiovascular tissue damage
CN1177832C (zh) 1998-01-23 2004-12-01 艾文蒂斯药品德国股份有限公司 作为骨重吸收抑制剂和作为细胞粘附抑制剂的新的磺酰胺衍生物
NZ505968A (en) 1998-02-04 2003-03-28 Novartis Ag Sulfonylamino derivatives which inhibit matrix- degrading metallproteinases
JPH11246527A (ja) 1998-03-02 1999-09-14 Shionogi & Co Ltd Mmp−8阻害剤
DE19815547C1 (de) 1998-04-07 1999-12-02 Joachim Schmidt Haftmittel für Zahnprothesen
EP0960882A1 (en) 1998-05-19 1999-12-01 Hoechst Marion Roussel Deutschland GmbH Thienyl substituted acylguanidines as inhibitors of bone resorption and vitronectin receptor antagonists
WO2001070720A2 (en) 2000-03-21 2001-09-27 The Procter & Gamble Company Carbocyclic side chain containing, n-substituted metalloprotease inhibitors
AU2001264595A1 (en) 2000-05-19 2001-12-03 Guilford Pharmaceuticals Inc. Sulfonamide and carbamide derivatives of 6(5h)phenanthridinones and their uses
WO2002060867A2 (en) 2001-01-29 2002-08-08 Insight Strategy And Marketing Ltd Carbazole derivatives and their uses as heparanase inhibitors
US20050119305A1 (en) 2001-03-21 2005-06-02 Masao Naka Il-6 production inhibitors
JP2004535390A (ja) 2001-05-07 2004-11-25 スミスクライン・ビーチャム・コーポレイション スルホンアミド
IL160253A0 (en) 2001-08-09 2004-07-25 Ono Pharmaceutical Co Carboxylic acid derivative compounds and drugs comprising these compounds as the active ingredient
GB0126157D0 (en) 2001-10-31 2002-01-02 Univ Aberdeen Therapeutic compounds
US20050227994A1 (en) 2002-03-27 2005-10-13 Shionogi & Co., Ltd. Decomposition inhibitor for extracellular matrix of cartilage
AU2003263071B2 (en) 2002-09-04 2007-03-15 Merck Sharp & Dohme Llc Pyrazolopyrimidines as cyclin-dependent kinase inhibitors
DE10251170A1 (de) 2002-10-31 2004-05-13 Boehringer Ingelheim Pharma Gmbh & Co. Kg Neue Beta-Agonisten, Verfahren zu deren Herstellung und deren Verwendung als Arzneimittel
WO2004073619A2 (en) 2003-02-14 2004-09-02 Smithkline Beecham Corporation Ccr8 antagonists
EP1638544B1 (en) 2003-05-07 2007-12-05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Aberdeen Ketones and reduced ketones as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bone conditions
WO2004106290A1 (ja) 2003-05-14 2004-12-09 Kissei Pharmaceutical Co., Ltd. アミノアルコール誘導体、それを含有する医薬組成物およびそれらの用途
WO2005025554A2 (en) 2003-09-09 2005-03-24 Japan Tobacco Inc. Dipeptidyl peptidase iv inhibitor
GB0324792D0 (en) 2003-10-23 2003-11-26 Sterix Ltd Compound
WO2005060963A1 (en) 2003-12-19 2005-07-07 Pfizer Inc. Benzenesulfonylamino-pyridin-2-yl derivatives and related compounds as inhibitors of 11-beta-hydroxy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beta-hsd-1) for the treatment of diabetes and obesity
EP1723132A1 (en) 2004-02-12 2006-11-22 Asterand Uk Limited Ep2 receptor agonists
GB0405193D0 (en) 2004-03-08 2004-04-21 Medical Res Council Compounds
JP2007536348A (ja) 2004-05-05 2007-12-13 ノボ ノルディスク アクティーゼルスカブ スルホンアミド誘導体
GB0412553D0 (en) 2004-06-04 2004-07-07 Univ Aberdeen Therapeutic agents for the treatment of bone conditions
WO2005123089A2 (en) 2004-06-10 2005-12-29 Kalypsys, Inc. Multicyclic sulfonamide compounds as inhibitors of histone deacetylase for the treatment of disease
BRPI0517263A (pt) 2004-10-29 2008-10-07 Astrazeneca Ab novos derivados de sulfonamida como moduladores do receptor de glicocorticóide para o tratamento de doenças inflamatórias
EP1659113A1 (en) 2004-11-08 2006-05-24 Evotec AG Inhibitors of 11beta-hydroxy steroid dehydrogenase type 1 (11beta-HSD1)
CA2610903A1 (en) 2005-06-16 2006-12-21 Pfizer Inc. N-(pyridin-2-yl)-sulfonamide derivatives
WO2007008541A2 (en) 2005-07-08 2007-01-18 Kalypsys, Inc. Cellular cholesterol absorption modifiers
TW200720261A (en) 2005-08-31 2007-06-01 Sankyo Co Phenylene derivatives
SI2395002T1 (sl) 2005-11-08 2014-10-30 Vertex Pharmaceuticals Incorporated Farmacevtski sestavek, vsebujoč heterociklični modulator prenašalcev z ATP-vezavno kaseto
EP2386547B1 (en) 2005-12-29 2018-06-20 Lexicon Pharmaceuticals, Inc. Multicyclic amino acid derivatives and methods of their use
US7560597B2 (en) 2007-03-08 2009-07-14 The University Court Of The University Of Aberdeen 2′,4′-dichloro-biphenyl-4-yl-hydroxy-ketones and related compounds and their use as therapeutic agents
GB0705400D0 (en) 2007-03-21 2007-05-02 Univ Aberdeen Therapeutic compounds andm their use
WO2010025235A1 (en) 2008-08-29 2010-03-04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Michigan Selective ligands for the dopamine 3 (d3) receptor and methods of using the same
TWI453207B (zh) 2008-09-08 2014-09-21 Signal Pharm Llc 胺基***并吡啶,其組合物及使用其之治療方法
GB0817208D0 (en) 2008-09-19 2008-10-29 Pimco 2664 Ltd Therapeutic apsap compounds and their use
GB201311361D0 (en) 2013-06-26 2013-08-14 Pimco 2664 Ltd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WO2016097001A1 (en) 2014-12-17 2016-06-23 Pimco 2664 Limited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0032009A1 (en) 2008-09-19 2010-03-25 Pimco 2664 Limited Aryl-phenyl-sulfonamido-cycloalkyl compounds and their use
JP2012502964A (ja) 2008-09-19 2012-02-02 ピムコ 2664 リミテッド アリール−フェニル−スルホンアミド−シクロアルキル化合物とその使用
US8822507B2 (en) 2008-09-19 2014-09-02 Pimco 2664 Limited Aryl-phenyl-sulfonamido-cycloalkyl compounds and their use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PT3013799T (pt) 2017-10-03
IL243103B (en) 2019-09-26
SI3013799T1 (sl) 2017-10-30
KR20160024392A (ko) 2016-03-04
HRP20171611T1 (hr) 2017-12-15
US9796670B2 (en) 2017-10-24
BR112015031527B1 (pt) 2023-04-11
JP6360555B2 (ja) 2018-07-18
US20180037544A1 (en) 2018-02-08
EP3013799A1 (en) 2016-05-04
CY1119438T1 (el) 2018-03-07
CN105492426B (zh) 2018-01-12
ME02834B (me) 2018-01-20
DK3013799T3 (en) 2017-09-18
PL3013799T3 (pl) 2018-01-31
CA2915075A1 (en) 2014-12-31
US20160145206A1 (en) 2016-05-26
US10233147B2 (en) 2019-03-19
LT3013799T (lt) 2017-09-25
EA028077B1 (ru) 2017-10-31
US10029979B2 (en) 2018-07-24
JP2016529218A (ja) 2016-09-23
US20180319742A1 (en) 2018-11-08
GB201311361D0 (en) 2013-08-14
ZA201600202B (en) 2017-04-26
MX2015016914A (es) 2016-06-15
CN105492426A (zh) 2016-04-13
SG11201510646SA (en) 2016-01-28
US20170217881A1 (en) 2017-08-03
RS56256B1 (sr) 2017-11-30
BR112015031527A2 (pt) 2017-07-25
US9624167B2 (en) 2017-04-18
NZ715192A (en) 2020-08-28
AU2014300745A1 (en) 2016-02-11
IL243103A0 (en) 2016-02-01
HK1218115A1 (zh) 2017-02-03
HUE034983T2 (en) 2018-05-02
EP3013799B1 (en) 2017-07-26
CA2915075C (en) 2021-02-16
EA201592308A1 (ru) 2016-07-29
ES2641758T3 (es) 2017-11-13
AU2014300745B2 (en) 2018-10-04
WO2014207445A1 (en) 2014-12-3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233147B2 (en)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s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11667663B2 (en) Cyclic dinucleotides as anticancer agents
CA3082363A1 (en) Benzenesulfonamide derivatives and pharmaceutical compositions thereof useful as ire1 small molecule inhibitors
KR20110005819A (ko) 케모카인 수용체 조절제
US11034658B2 (en) Pyridinyl pyrazoles as modulators of RORγT
JP2020536971A (ja) 抗がん剤としての環状ジヌクレオチド
US20180297955A1 (en) N-(4-hydroxy-4-methyl-cyclohexyl)-4-phenyl-benzenesulfonamide and n-(4-hydroxy-4-methyl-cyclohexyl)-4-(2-pyridyl)-benzenesulfonamide compounds and their therapeutic use
US20190352300A1 (en) Pyrrolopyrimidine itk inhibitors for treating inflammation and cancer
KR20240008336A (ko) 치환된 헤테로시클릭 화합물
CA3214244A1 (en) Pyridinyl substituted oxoisoindoline compounds
CN116507331A (zh) Tlr7/8拮抗剂及其用途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